[go: up one dir, main page]

KR101025837B1 - 초전도 전력 변압 장치 - Google Patents

초전도 전력 변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25837B1
KR101025837B1 KR1020090026447A KR20090026447A KR101025837B1 KR 101025837 B1 KR101025837 B1 KR 101025837B1 KR 1020090026447 A KR1020090026447 A KR 1020090026447A KR 20090026447 A KR20090026447 A KR 20090026447A KR 101025837 B1 KR101025837 B1 KR 1010258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former
cable
superconducting
switch
switch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264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08018A (ko
Inventor
최경달
이지광
김우석
박찬
최선복
Original Assignee
한국산업기술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산업기술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국산업기술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900264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25837B1/ko
Priority to US12/679,697 priority patent/US8089332B2/en
Priority to PCT/KR2009/006818 priority patent/WO2010110524A1/ko
Publication of KR201001080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080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58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5837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36/00Transformers with superconductive windings or with windings operating at cryogenic tempera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02Casings
    • H01F27/04Leading of conductors or axles through casings, e.g. for tap-chang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9/00Variable transformers or inductances not covered by group H01F21/00
    • H01F29/02Variable transformers or inductances not covered by group H01F21/00 with tappings on coil or winding; with provision for rearrangement or interconnection of wind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6/00Superconducting magnets; Superconducting coils
    • H01F6/04Cool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505/00Superconductor technology: apparatus, material, process
    • Y10S505/825Apparatus per se, device per se, or process of making or operating same
    • Y10S505/876Electrical generator or motor structure
    • Y10S505/877Rotary dynamoelectric type
    • Y10S505/878Rotary dynamoelectric type with coo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ntainers, Films, And Cooling For Superconductive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초전도 전력 변압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초전도 전력 변압 장치는 변압 케이블 통과구가 형성되며, 내부에 액상의 냉각수단이 채워진 변압기 수용체와; 상기 냉각수단에 담겨진 상태로 상기 변압기 수용체에 수용되는 초전도 변압기와; 절환 케이블 통과구가 형성되며, 외부로부터 밀폐된 진공 상태의 절환기 수용체와; 진공 상태의 상기 절환기 수용체에 수용되는 전압 탭 절환기와; 상기 초전도 변압기와 상기 전압 탭 절환기를 연결하는 변압기 권선 탭 케이블이 통과되도록 상기 변압기 수용체의 상기 변압 케이블 통과구와 상기 절환기 수용체의 상기 절환 케이블 통과구를 연결하되, 상기 변압기 수용체 및 상기 절환기 수용체로부터 밀폐된 진공 상태의 케이블 연결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극저온에서 동작하는 초전도체 변압기와 저온에서 동작하는 온-로드 탭 체인저와 같은 전압 탭 절환기의 동작이 보장된다.

Description

초전도 전력 변압 장치{SUPERCONDUCTING POWER TRANSFORMING APPARATUS}
본 발명은 초전도 전력 변압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극저온에서 동작하는 초전도체 변압기와 저온에서 동작하는 온-로드 탭 체인저와 같은 전압 탭 절환기의 동작을 보장하기 위한 초전도 전력 변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변압기란 전자기 유도 작용을 이용하여 교류전압이나 직류의 값을 바꾸는 장치를 의미하는 단어로 사용되며, 일반적인 송전,배전선로에 접속되는 전력용 변압기는 전원에 연결된 1차 권선과 부하에 연결된 2차 권선을 포함하여 전력을 그대로 둔 채 특정 전압을 높이거나 또는 낮은 전압으로 변환시키는 기능을 한다.
한편, 초전도체의 개발과 함께 저항손실이 없는 초전도 전력기기의 개발에 관한 연구가 다양한 방법으로 진행되어 왔으며, 기존의 저온 초전도체(Low Temperature Superconductor : LTS)가 극저온에서 동작하여야 하는 제약을 어느 정도 극복해낸 고온 초전도체(High Temperature Superconductor : HTS)의 개발은 초 전도체를 이용한 전력기기의 실용화를 위한 연구를 더욱 가속화하고 있고, 이에 부응하여 초전도체를 이용한 초전도 변압기(이하, '초전도 전력 변압 장치'라 함)의 실용화를 위한 연구가 지속되고 있다.
초전도 전력 변압 장치는 일반 변압기에 비해 부피와 무게를 감소시키고, 고효율, 환경 친화적, 과부하 내력 등의 장점을 가지고 있다. 초전도 전력 변압 장치의 개발 초기 단계에는 고효율에 따른 에너지 절약과 작동 비용의 감소가 중요한 장점으로 인식되어 왔다.
하지만, 근래에는 초전도 변압기의 무게와 크기를 줄일 수 있다는 점이 더 큰 이점으로 인식되어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3상 154 kV급 변압기의 기준 용량은 60 MVA이며, 대도심의 경우 빌딩의 지하에 설치하여 운전되고 있다. 하지만, 근 미래에 부하가 증가하는 경우, 기존 구리선을 이용한 변압기의 용량 증가는 부피의 증가로 이어지므로, 이는 현재 도심지에 설치 운영되고 있는 변압기를 보다 넓은 장소로 이동시켜야 하는 문제점을 야기하게 된다.
이와 같이, 초전도 변압기는 기존 변압기를 대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기존 변압기보다 크기를 1/3 또는 1/2 정도로 줄일 수 있어 용량 증가에 따라 설치 장소가 제약을 받는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게 된다.
한편, 현재 실용화되어 있는 일반 변압기의 경우, 이상적으로 2차 전압(부하 전압 또는 저압)이 규정된 정격전압으로 유지되나, 실제 변압기는 설치되는 장소마다 1차 전압(수전 전압)이 일정하지 않고, 부하 전류의 크기 및 역률에 따라 변압기의 내부 전압 강하도 계속 변하므로 2차측 출력 전압 역시 변동되는 문제점이 발 생한다.
따라서, 변동되는 부하에 대하여 2차 전압을 정격 전압에 가깝게 조정하여야 하는데, 변압기의 권선비를 바꾸는 방식으로 2차 전압을 정격 전압으로 조정하는 온-로드 탭 체인저(On-Load Tap Changer : OLTC)가 변압기에 설치되어 사용된다.
이와 같이, 변압기에서 2차 전압을 정격 전압으로 조정하기 위한 과정은 초전도 변압기에서도 필요한 과정이므로, 초전도 변압기의 실용화를 위해서는 초전도 변압기에 적용될 온-로드 탭 체인저(On-Load Tap Changer : OLTC)도 함께 고려되어야 한다.
일반적인 변압기와 온-로드 탭 체인저는 함께 절연유에 담궈진 상태로 설치되어 작동한다. 그런데, 초전도 변압기가 실용화되더라도 기존의 변압기와 온-로드 탭 체인저를 설치하는 방식을 초전도 변압기에 그대로 적용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즉, 고온 초전도 변압기가 저온 초전도 변압기보다는 "고온"에서 동작한다는 의미일 뿐, 고온 초전도 변압기 또한 일반 전력기기들보다는 매우 낮은 극저온에서 동작하므로, 기존의 변압기에서와 같이 온-로드 탭 체인저와 함께 절연유에 함께 담궈진 상태로 동작할 수 없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극저온에서 동작하는 초전도 변압기와 저온에서 동작하는 온-로드 탭 체인저와 같은 전압 탭 절환기의 동작을 보장하기 위해 초전도 변압기와 전압 탭 절환기가 상호 독립적인 동작 환경에서 동작 가능하게 하는 초전도 전력 변압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변압 케이블 통과구가 형성되며, 내부에 액상의 냉각수단이 채워진 변압기 수용체와; 상기 냉각수단에 담겨진 상태로 상기 변압기 수용체에 수용되는 초전도 변압기와; 절환 케이블 통과구가 형성되며, 외부로부터 밀폐된 진공 상태의 절환기 수용체와; 진공 상태의 상기 절환기 수용체에 수용되는 전압 탭 절환기와; 상기 초전도 변압기와 상기 전압 탭 절환기를 연결하는 변압기 권선 탭 케이블이 통과되도록 상기 변압기 수용체의 상기 변압 케이블 통과구와 상기 절환기 수용체의 상기 절환 케이블 통과구를 연결하되, 상기 변압기 수용체 및 상기 절환기 수용체로부터 밀폐된 진공 상태의 케이블 연결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전도 전력 변압 장치에 의해서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초전도 변압기는 고온 초전도 변압기 형태로 마련되며; 상기 액상의 냉각수단은 액화질소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압 탭 절환기는 온-로드 탭 체인저(On-Load Tab Changer : OLTC)로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변압기 수용체의 상기 변압 케이블 통과구에는 상기 케이블 연결관과의 결합을 위한 변압 결합부가 마련되고; 상기 OLCT 수용체의 상기 절환 케이블 통과구에는 상기 케이블 연결관과의 결합을 위한 절환 결합부가 마련되며; 상기 케이블 연결관은, 통 형상의 연결관 본체와, 상기 연결관 본체의 일측에 마련되어 상기 변압 결합부와 밀폐 가능하게 결합되는 변압 연결부와, 상기 연결관 본체의 타측에 마련되어 상기 절환 결합부와 밀폐 가능하게 결합되는 절환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변압 결합부와 상기 변압 연결부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변압기 수용체와 상기 케이블 연결관을 밀폐하며, 상기 변압기 권선 탭 케이블에 통과하는 복수의 제1 케이블 통과공이 형성된 변압 밀폐 벽체와; 상기 절환 결합부와 상기 절환 연결부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절환기 수용체와 상기 케이블 연결관을 밀폐하며, 상기 변압기 권선 탭 케이블에 통과하는 복수의 제2 케이블 통과공이 형성된 절환 밀폐 벽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복수의 제1 케이블 통과공은 상기 각 제1 케이블 통과공을 통과하는 상기 변압기 권선 탭 케이블 간에 절연파괴가 발생하지 않도록 상호 이격 형성되며; 상기 복수의 제2 케이블 통과공은 상기 각 제2 케이블 통과공을 통과하는 상기 변압기 권선 탭 케이블 간에 절연파괴가 발생하지 않도록 상호 이격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변압 밀폐 벽체와 상기 절환 밀폐 벽체는 에폭시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블 연결관은, 상기 연결관 본체 내부를 진공 상태로 만들기 위한 진공 펌프가 연결되는 펌프 연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극저온에서 동작하는 초전도 변압기와 저온에서 동작하는 온-로드 탭 체인저와 같은 전압 탭 절환기의 동작을 보장하기 위해 초전도 변압기와 전압 탭 절환기가 상호 독립적인 동작 환경에서 동작 가능하게 하는 초전도 전력 변압 장치가 제공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초전도 전력 변압 장치(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압기 수용체(10), 초전도 변압기(30), 절환기 수용체(20), 전압 탭 절환기(40) 및 케이블 연결관(50)을 포함한다.
초전도 변압기(30)는 전원에 연결된 1차 측과 부하에 연결된 2차측 으로 구성되며, 초전도체를 이용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초전도 변압기(30)에는 고온 초전도체(High Temperature Superconductor : HTS)가 사용되는 것 을 일 예로 한다.
변압기 수용체(10)는 내부에 초전도 변압기(30)를 수용하도록 대략 통 형상을 갖는다. 그리고, 변압기 수용체(10)의 일측에는 변압기 권선 탭 케이블(60)이 통과하기 위한 변압 케이블 통과구(11)가 형성된다. 본 발명에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압 케이블 통과구(11)가 변압기 수용체(10)의 하부 영역에 마련되는 것을 예로 하고 있으며, 초전도 변압기(30)와 전압 탭 절환기(40)를 연결하는 변압기 권선 탭 케이블(60)의 배치에 따라 상부 영역 또는 중앙 영역에 마련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변압기 수용체(10) 내부에는 초전도 변압기(30)의 동작시 극저온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액상의 냉각수단이 채워진다. 여기서, 본 발명에서는 변압기 수용체(10)에 채워지는 액상의 냉각수단으로 액화질소가 마련되는 것을 일 예로 하며, 초전도 변압기(30)의 동작을 가능하게 하는 다른 형태의 액상의 냉각수단이 적용 가능함은 물론이다.
한편, 전압 탭 절환기(40)는 부하의 변동에도 초전도 변압기(30)로부터 일정한 전압 공급이 가능하도록 초전도 변압기(30)의 권선의 탭 접속을 변경한다. 본 발명에서는 전압 탭 절환기(40)로 초전도 변압기(30)가 동작되는 상태에서 권선의 탭 접속을 변경하는 온-로드 탭 체인저(On-Load Tab Changer : OLTC)가 사용되는 것을 일 예로 하며, 무부하 탭 체인저(Non Load Tab Changer : NLTC)도 적용될 수 있다.
절환기 수용체(20)는 내부에 전압 탭 절환기(40)를 수용하도록 대략 통 형상 을 갖는다. 그리고, 절환기 수용체(20)의 일측에는 변압기 권선 탭 케이블(60)이 통과하기 위한 절환 케이블 통과구(21)가 형성된다. 여기서, 절환기 수용체(20)에 형성된 절환 케이블 통과구(21)는 케이블 연결관(50)을 통해 변압 케이블 통과구(11)와 절환 케이블 통과구(21)가 연결되도록 변압 케이블 통과구(11)에 대응하는 위치에 마련된다.
또한, 절환기 수용체(20) 내부에는 절연 환경을 형성되는데, 본 발명에서는 절환기 수용체(20) 내부가 진공 상태로 유지되는 것을 예로 한다. 이에 따라, 절환기 수용체(20) 내부를 진공 상태로 유지시킴으로써, 저온 환경을 형성함과 동시에 절연 환경 또한 형성 가능하게 된다.
케이블 연결관(50)은 초전도 변압기(30)와 전압 탭 절환기(40)를 연결하는 변압기 권선 탭 케이블(60)이 통과하도록 변압기 수용체(10)의 변압 케이블 통과구(11)와 전환기 수용체의 절환 케이블 통과구(21)를 연결한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연결관(50)은 변압기 수용체(10)와 절환기 수용체(20)로부터 밀폐된 진공 상태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극저온 동작 환경을 제공하는 변압기 수용체(10) 내부와 저온 동작 환경을 제공하는 절환기 수용체(20)를 공간상으로 상호 독립시킴으로서, 극저온에서 동작하는 초전도체 변압기와 저온에서 동작하는 온-로드 탭 체인저와 같은 전압 탭 절환기(40)의 동작을 보장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변압기 수용체(10), 절환기 수용체(20) 및 케이블 연결관(50)의 결합 구성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변압기 수용체(10)의 변압 케이블 통과구(11)에는 케이블 연결관(50)과의 결합을 위한 변압 결합부(12,13)가 마련된다.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변압 결합부(12,13)는 변압기 수용체(10)의 변압 케이블 통과구(11)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된 제1 연장관부(13)와, 제1 연장관부(13)의 단부로부터 반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된 제1 결합 스커트부(1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절환기 수용체(20)의 절환 케이블 통과구(21)에는, 변압기 수용체(10)의 변압 결합부(12,13)의 형상에 대응하여, 케이블 연결관(50)과의 결합을 위한 절환 결합부(22,23)가 마련된다.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절환 결합부(22,23)는 절환기 수용체(20)의 절환 케이블 통과구(21)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된 제2 연장관부(23)와, 제2 연장관부(23)의 단부로부터 반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된 제2 결합 스커트부(22)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블 연결관(50)은 통 형상의 연결관 본체(51)와, 변압 연결부(52) 및 절환 연결부(53)를 포함할 수 있다. 변압 연결부(52)는 연결관 본체(51)의 일측에 마련되어 변압기 수용체(10)의 변압 결합부(12,13)와 밀폐 가능하게 결합된다. 여기서, 변압 연결부(52)는 변압 결합부(12,13)의 제1 결합 스커트부(12)와 결합 가능하도록 연결관 본체(51)의 일측 가장자리로부터 반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 형성된다.
또한, 절환 연결부(53)는 연결관 본체(51)의 타측에 마련되어 절환기 수용체(20)의 절환 결합부(22,23)와 밀폐 가능하게 결합된다. 여기서, 절환 연결부(53)는, 변압 연결부(52)의 형상에 대응하여, 절환 결합부(22,23)의 제2 결합 스 커트부(22)와 결합 가능하도록 연결관 본체(51)의 타측 가장자리로부터 반경 방향 외측으로 연정 형성된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초전도 전력 변압 장치(10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압 밀폐 벽체(54) 및 절환 밀폐 벽체(55)를 포함할 수 있다.
변압 밀폐 벽체(54)는 변압 결합부(12,13)와 변압 연결부(52) 사이에 설치되며 변압기 수용체(10)와 케이블 연결관(50)을 밀폐한다. 여기서, 변압 밀폐 벽체(54)에는 변압기 권선 탭 케이블(60)의 통과를 위한 복수의 제1 케이블 통과공(54a)이 형성된다.
그리고, 절환 밀폐 벽체(55)는 절환 결합부(22,23)와 절환 연결부(53) 사이에 설치되어 절환기 수용체(20)와 케이블 연결관(50)을 밀폐한다. 여기서, 절환 밀폐 벽체(55)에는, 변압 밀폐 벽체(54)와 마찬가지로, 변압기 권선 탭 케이블(60)의 통과를 위한 복수의 제2 케이블 통과공(54a)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라, 변압 결합부(12,13)와 변압 연결부(52) 사이에 변압 밀폐 벽체(54)가 배치된 상태에서 변압 결합부(12,13)와 변압 연결부(52)가 볼트 체결을 통해 상호 결합되고, 절환 결합부(22,23)와 절환 연결부(53) 사이에 절환 밀폐 벽체(55)가 배치된 상태에서 절환 결합부(22,23)와 변압 연결부(52)가 볼트 체결을 통해 상호 연결됨으로써, 변압기 수용체(10), 케이블 연결관(50), 그리고 절환기 수용체(20)가 공간적으로 상호 격리된다.
여기서, 변압 밀폐 벽체(54)에 형성된 복수의 제1 케이블 통과공(54a)들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제1 케이블 통과공(54a)을 통과하는 변압기 권선 탭 케이블(60) 간의 절연파괴가 발생하지 않도록 상호 이격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절환 밀폐 벽체(55)에 형성된 복수의 제2 케이블 통과공(54a)들, 또한, 각각의 제2 케이블 통과공(54a)을 통과하는 변압기 권선 탭 케이블(60) 간의 절연파괴가 발생하지 않도록 상호 이격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변압 밀폐 벽체(54)와 절환 밀폐 벽체(55)는 케이블 연결관(50)을 진공 상태로 유지하기 유리한 에폭시 재질로 마련될 수 있으며, 변압 밀폐 벽체(54)와 절환 밀폐 벽체(55)에 형성된 제1 케이블 통과공(54a) 및 제2 케이블 통과공(54a)에 변압기 권선 탭 케이블(60)이 통과한 상태에서 제1 케이블 통과공(54a) 및 제2 케이블 통과공(54a) 부분을 에폭시로 마감 처리하여 밀폐가 유지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연결이 완료된 상태에서, 케이블 연결관(50)에 형성된 펌프 연결부를 통해 진공 펌프를 연결하여, 케이블 연결관(50)의 연결관 본체(51) 내부의 공기를 제거하여 연결관 본체(51) 내부를 진공 상태로 만들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초전도 전력 변압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초전도 전력 변압 장치의 변압기 수용체, 케이블 연결관 및 절환기 수용체의 결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초전도 전력 변압 장치의 변압 밀페 벽체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번호에 대한 설명>
100 : 초전도 전력 변압 장치 10 : 변압기 수용체
11 : 변압 케이블 통과구 20 : 절환기 수용체
21 : 절환 케이블 통과구 30 : 초전도 변압기
40 : 전압 탭 절환기 50 : 케이블 연결관
51 : 연결관 본체 52 : 변압 연결부
53 : 절환 연결부

Claims (8)

  1. 초전도 전력 변압 장치에 있어서,
    변압 케이블 통과구가 형성되며, 내부에 액상의 냉각수단이 채워진 변압기 수용체와;
    상기 냉각수단에 담겨진 상태로 상기 변압기 수용체에 수용되는 초전도 변압기와;
    절환 케이블 통과구가 형성되며, 외부로부터 밀폐된 진공 상태의 절환기 수용체와;
    진공 상태의 상기 절환기 수용체에 수용되는 전압 탭 절환기와;
    상기 초전도 변압기와 상기 전압 탭 절환기를 연결하는 변압기 권선 탭 케이블이 통과되도록 상기 변압기 수용체의 상기 변압 케이블 통과구와 상기 절환기 수용체의 상기 절환 케이블 통과구를 연결하되, 상기 변압기 수용체 및 상기 절환기 수용체로부터 밀폐된 진공 상태의 케이블 연결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전도 전력 변압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초전도 변압기는 고온 초전도 변압기 형태로 마련되며;
    상기 액상의 냉각수단은 액화질소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전도 전력 변압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 탭 절환기는 온-로드 탭 체인저(On-Load Tab Changer : OLTC)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전도 전력 변압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변압기 수용체의 상기 변압 케이블 통과구에는 상기 케이블 연결관과의 결합을 위한 변압 결합부가 마련되고;
    상기 OLTC 수용체의 상기 절환 케이블 통과구에는 상기 케이블 연결관과의 결합을 위한 절환 결합부가 마련되며;
    상기 케이블 연결관은,
    통 형상의 연결관 본체와,
    상기 연결관 본체의 일측에 마련되어 상기 변압 결합부와 밀폐 가능하게 결합되는 변압 연결부와,
    상기 연결관 본체의 타측에 마련되어 상기 절환 결합부와 밀폐 가능하게 결합되는 절환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전도 전력 변압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변압 결합부와 상기 변압 연결부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변압기 수용체와 상기 케이블 연결관을 밀폐하며, 상기 변압기 권선 탭 케이블에 통과하는 복수 의 제1 케이블 통과공이 형성된 변압 밀폐 벽체와;
    상기 절환 결합부와 상기 절환 연결부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절환기 수용체와 상기 케이블 연결관을 밀폐하며, 상기 변압기 권선 탭 케이블에 통과하는 복수의 제2 케이블 통과공이 형성된 절환 밀폐 벽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전도 전력 변압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 케이블 통과공은 상기 각 제1 케이블 통과공을 통과하는 상기 변압기 권선 탭 케이블 간에 절연파괴가 발생하지 않도록 상호 이격 형성되며;
    상기 복수의 제2 케이블 통과공은 상기 각 제2 케이블 통과공을 통과하는 상기 변압기 권선 탭 케이블 간에 절연파괴가 발생하지 않도록 상호 이격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전도 전력 변압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변압 밀폐 벽체와 상기 절환 밀폐 벽체는 에폭시 재질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전도 전력 변압 장치.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연결관은,
    상기 연결관 본체 내부를 진공 상태로 만들기 위한 진공 펌프가 연결되는 펌 프 연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전도 전력 변압 장치.
KR1020090026447A 2009-03-27 2009-03-27 초전도 전력 변압 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1010258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6447A KR101025837B1 (ko) 2009-03-27 2009-03-27 초전도 전력 변압 장치
US12/679,697 US8089332B2 (en) 2009-03-27 2009-11-19 Superconducting power transforming apparatus
PCT/KR2009/006818 WO2010110524A1 (ko) 2009-03-27 2009-11-19 초전도 전력 변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6447A KR101025837B1 (ko) 2009-03-27 2009-03-27 초전도 전력 변압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8018A KR20100108018A (ko) 2010-10-06
KR101025837B1 true KR101025837B1 (ko) 2011-03-31

Family

ID=431296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26447A Expired - Fee Related KR101025837B1 (ko) 2009-03-27 2009-03-27 초전도 전력 변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2583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62041A (ja) * 1995-12-05 1997-06-20 Toshiba Corp ガス絶縁変圧器
KR20020027048A (ko) * 2000-10-04 2002-04-13 김형벽ㅂ 가스변압기
JP2003516628A (ja) 1999-12-09 2003-05-13 エイビービー・パワー・ティー・アンド・ディー・カンパニー・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超伝導変圧器用低温保持装置
JP2003178912A (ja) 2001-12-12 2003-06-27 Taiyo Toyo Sanso Co Ltd 超電導コイル装置の冷却容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62041A (ja) * 1995-12-05 1997-06-20 Toshiba Corp ガス絶縁変圧器
JP2003516628A (ja) 1999-12-09 2003-05-13 エイビービー・パワー・ティー・アンド・ディー・カンパニー・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超伝導変圧器用低温保持装置
KR20020027048A (ko) * 2000-10-04 2002-04-13 김형벽ㅂ 가스변압기
JP2003178912A (ja) 2001-12-12 2003-06-27 Taiyo Toyo Sanso Co Ltd 超電導コイル装置の冷却容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8018A (ko) 2010-10-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452071C2 (ru) Узел концевого соединения
US20050073200A1 (en) Distributed floating series active impedances for power transmission systems
BG63442B1 (bg) Постояннотоков трансформатор/реактор
EP1667172A1 (en) Super-conductive cable operation method and super-conductive cable system
AU2008329552C1 (en) High voltage fault current limiter having immersed phase coils
US11575248B2 (en) Solid state prefabricated substation
EP3276764A1 (en) Dc circuit breaker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KR101025837B1 (ko) 초전도 전력 변압 장치
KR101025836B1 (ko) 초전도 전력 변압 장치
WO2010110524A1 (ko) 초전도 전력 변압 장치
Banović et al. Classification of transformers family
KR20080076833A (ko) 극저온 용기 내부의 초전도 소자 및 외부 회로 연결용부싱을 갖는 이상 전류 리미터
WO2022104634A1 (zh) 一种预装式变电站、油浸式变压器及光伏发电系统
CN105610148B (zh) 高电压大功率直流断路器
CN110323585A (zh) 一种三相同芯超导电缆与超导限流器的终端立式连接结构
CN110459386B (zh) 一种同铁芯可扩展结构的直流隔离变压器
KR100552335B1 (ko) 22.9kV급 더블 팬케이크 코일형 고온초전도 변압기의초전도체 턴간 절연설계구조
CN209087568U (zh) 一种气体绝缘一体化组合互感器
CN110311347A (zh) 超导电缆终端与超导限流器的低温容器的卧式连接结构
KR101768849B1 (ko) 고압 인버터 시스템의 유입식 위상변이 변압기
CN102832606A (zh) 一种高压超导故障限流器整体式绝缘绝热结构
CN213906311U (zh) 一种基于谐振充电超导储能的大型码头船舶供电系统
EP4329117A1 (en) Arrangement of a current transformer core at an interface with a conical connector
KR102755556B1 (ko) 고전압직류송전 시스템용 변압기 및 이를 포함하는 고전압직류송전 시스템
CA2086650A1 (en) Multi-bushing single-phase electric distribution transformer for feeder phase current balanc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032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01224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1032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1032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0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31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9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30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8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30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5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305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201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