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25615B1 - Radiant tube - Google Patents
Radiant tub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025615B1 KR101025615B1 KR1020100055812A KR20100055812A KR101025615B1 KR 101025615 B1 KR101025615 B1 KR 101025615B1 KR 1020100055812 A KR1020100055812 A KR 1020100055812A KR 20100055812 A KR20100055812 A KR 20100055812A KR 101025615 B1 KR101025615 B1 KR 10102561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ylinder
- radiant tube
- straight pipe
- straight
- attached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2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2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39000000567 combustion gas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09826 distribu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2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0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5266 cas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2787 reinforc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HSFWRNGVRCDJHI-UHFFFAOYSA-N Acetylene Chemical compound C#C HSFWRNGVRCDJH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29910000599 Cr alloy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229910045601 alloy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956 allo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5855 radi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29910000990 Ni alloy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750 centrifugal cas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70 constitu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602 contr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6185 dispers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737 fuel ga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59 nick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29910001080 W alloy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804 chrom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485 combus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547 de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66 deterio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2615 epidermis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647 oxid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254 oxid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67 re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722 reduc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096 rol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665 sag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467 substitu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313 weaken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5/00—Hot-air central heating systems; Exhaust gas central heating systems
- F24D5/06—Hot-air central heating systems; Exhaust gas central heating systems operating without discharge of hot air into the space or area to be heated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00—Stoves or ranges in which the fuel or energy supply is not restricted to solid fuel or to a type covered by a single one of the following groups F24C3/00 - F24C9/00; Stoves or ranges in which the type of fuel or energy supply is not specified
- F24C1/08—Stoves or ranges in which the fuel or energy supply is not restricted to solid fuel or to a type covered by a single one of the following groups F24C3/00 - F24C9/00; Stoves or ranges in which the type of fuel or energy supply is not specified solely adapted for radiation heating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3/00—Air heaters
- F24H3/006—Air heaters using fluid fuel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2220/00—Components of central heating installations excluding heat sources
- F24D2220/20—Heat consumers
- F24D2220/2009—Radi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ombustion Of Fluid Fuel (AREA)
- Gas Bur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직관부 및 곡관부를 포함하는 라디언트 튜브는, 상하로 배치된 2개의 직관부들을 서로 연결하여 상기 직관부들의 온도 편차에 따른 변형을 상,하 및 좌, 우로 흡수할 수 있는 랩 조인트 타입의 연결지지대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랩 조인트 타입의 연결지지대에 의해 상하 직관부들을 서로 연결시키면, 상부 직관부가 하부 직관부를 끌어올리는 작용을 하게 되어 중량 분산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radiant tube including the straight pipe portion and the curved pipe por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onnects two straight pipe portions disposed up and down to each other to wrap the joints which can absorb deformation due to the temperature deviation of the straight pipe portions to the upper, lower, left and right sides. It includes a type of connecting support.
As such, when the upper and lower straight pipe portion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the connection support of the wrap joint type, the upper straight pipe portion acts to lift the lower straight pipe portion, and thus weight distribution can be efficiently performed.
Description
본 발명은 라디언트 튜브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상하로 배치된 2개의 직관부들을 서로 연결하여 직관부들의 온도 편차에 따른 변형을 상, 하 및 좌, 우로 흡수할 수 있는 랩 조인트(Lap Joint) 타입의 연결지지대를 포함하는 라디언트 튜브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adiant tube, and more specifically, to connect two straight pipe portions disposed vertically to each other, a wrap joint capable of absorbing deformation due to temperature deviation of the straight pipe portions to the top, bottom, left and right (Lap Joint) It relates to a radiant tube comprising a connecting support of the type).
일반적으로 라디언트 튜브(radiant tube)를 사용하는 열처리로는 복수의 라디언트 튜브를 내부에 설치하고, 각각의 라디언트 튜브의 일측에 장착된 버너가 연료가스를 연소시키게 되고, 이때 각각의 라디언트 튜브내에서는 연료가스의 연소, 가열 및 환원현상이 이루어짐으로써 열이 발생되며, 이러한 열은 라디언트 튜브의 외부로 복사되어 열처리로의 내부 온도를 상승시켜서 생산제품의 열처리 작업을 실행하게 되는 것이다.In general, a heat treatment furnace using a radiant tube installs a plurality of radiant tubes therein, and a burner mounted on one side of each radiant tube burns fuel gas. In the tube, heat is generated by combustion, heating, and reduction of fuel gas, which is radiated to the outside of the radiant tube to raise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heat treatment furnace to perform heat treatment of the product.
복사를 이용한 방사관(radiant tube)의 구성은 직관부와 곡관부로 나뉘며, 관의 제조 방법에 따라 원심주조 방식을 이용하여 제작되는 주물제품과 판형 자재를 롤링과 벤딩 공정후 용접 방식을 이용하여 제작되는 용접제품으로 나뉘며, 재질에 따라 Ni, Cr 합금 또는 Ni, Cr, W 합금으로 나뉠 수 있다.Radiation tube is composed of straight tube and curved tube. The casting product and plate-shaped material manufactured by centrifugal casting method are manufactured by welding method after rolling and bending process. It is divided into welding products, which can be divided into Ni, Cr alloy or Ni, Cr, W alloy depending on the material.
실제 현장에서 라디언트 튜브는 Ni/Cr 합금의 UNS N06601 과 MORE 1, 2로 불리우는 재질이 각각 용접방식과 주조방식으로 제작 설치 운전되고 있다. 여기서, UNS NO6601은 C : 0.1이하, Si : 0.5이하, Mn : 1.0이하, S : 0.015이하, Ni : 58.0 - 63.0, Cr : 21.0 - 25.0, Cu : 1.0이하, Al : 1.0 - 1.7, Fe : 나머지의 구성 성분을 가지는 합금이다. MORE 1은 C : 0.3 - 0.5, Si : 2.0이하, Mn : 2.0이하, P : 0.04이하, S : 0.04이하, Ni : 31.0 - 35.0, Cr : 26.0 - 30.0, Mo : 0.5이하, W : 1.0 - 2.0, Fe : 나머지의 구성 성분을 가지는 합금이다. 그리고, MORE 2는 C : 0.3이하, Si : 0.5이하, Mn : 0.5이하, P : 0.04이하, S : 0.04이하, Ni : 48.0이하, Cr : 32.0 - 36.0, Mo : 0.5이하, W : 14.0 - 17.0, Co : 2.0 - 4.0, Fe : 나머지의 구성 성분을 가지는 합금이다. 그러나, 방사관 내외부의 압력차와 재질의 특성과 운전 조건에 의해 산화에 의한 열화로 찌그러짐, 파공 및 표피 이탈의 현상(도 9 참조)과 더불어 열팽창 및 자중에 의한 변형으로 파손이 발생하여 제품 불량의 원인 및 생산성 저하로 경쟁력약화를 야기하고 있다. 종래에는 주로 주물로 제작된 방사관을 사용하고 있는데 주물의 경우 무게가 무거워 열에 의한 처짐이 더욱 문제를 야기시켜 왔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방사관에 연결고리(71)와 곡관부 지지대를 설치하여 개선하려 했으나, 연결고리(71)의 이탈현상과 곡관부 지지대의 지지부의 찌그러짐 등이 발생 새로운 문제를 야기시키고 있다. 도 9 및 도 10은 종래의 MORE 1, 2 재질을 이용한 원심주조 라디언트 튜브에서 하부 곡관부(Lower Elbow)와 상부 곡관부(Upper Elbow)를 연결하는 주물 제품에서 열에 의한 변형으로 이탈현상이 발생하여, 하부로 처지는 변형 일으킨 결함을 나타낸 사진이다.In practice, radiant tubes are manufactured and installed by welding and casting materials of UNS N06601 and
또한, 복수의 직관부 및 곡관부를 포함하는 라디언트 튜브에서는 고온의 연소가스가 통과하는 직관부의 온도는 통상 버너측에 연결된 직관부에서 가장 높고 버너측으로부터 연소가스 배출구측으로 갈 수록 직관부의 온도가 저하되어 상하로 배치된 직관부들 사이에서의 온도 편차가 발생하게 되고, 이에 따라 직관부들 사이에서의 열팽창량이 달라지게 되어 고정식 연결고리의 이탈현상이 발생된다.In addition, in a radiant tube including a plurality of straight pipes and curved pipes, the temperature of the straight pipe portion through which the hot combustion gas passes is usually the highest in the straight pipe portion connected to the burner side, and the temperature of the straight pipe portion decreases from the burner side toward the combustion gas discharge side. Thus, a temperature deviation occurs between the straight pipe portions disposed up and down, and thus, the amount of thermal expansion between the straight pipe portions is changed, thereby causing a deviation of the fixed connection ring.
또한, 버너 연결부위의 직관부에서의 온도가 가장 높아 다른 직관부들보다도 열팽창량이 커지게 되어 변형이 쉽게 일어나서 라디언트 튜브의 전체적인 변형을 야기시키는 문제가 있다.In addition, since the temperature at the straight pipe portion of the burner connection is the highest, the amount of thermal expansion is greater than that of other straight pipe portions, so that deformation easily occurs and causes overall deformation of the radiant tube.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고려하여, 라디언트 튜브의 직관부들의 연결지지대의 구조를 개선하여 열팽창에도 길이방향 및 상하간 수축팽창이 가능한 방식으로 변경하여 이탈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연결지지대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Therefore, in view of the above-described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improves the structure of the connection support of the straight pipe portions of the radiant tube to change in a longitudinal and vertical expansion and contraction in such a way that the expansion can be prevented from the separation phenomenon It is to provide.
또한, 버너 연결부위의 직관부에서의 과도한 열팽창에 따른 라디언트 튜브의 변형을 개선하기 위한 것이다.
In addition, to improve the deformation of the radiant tube due to excessive thermal expansion in the straight portion of the burner connection.
본 발명은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1 측면에 따른 라디언트 튜브는, 직관부 및 곡관부를 포함하는 라디언트 튜브에 있어서, 상하로 배치된 2개의 직관부들을 서로 연결하여 상기 직관부들의 온도 편차에 따른 변형을 상,하 및 좌,우로 흡수할 수 있는 랩 조인트(Lap Joint) 타입의 연결지지대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랩 조인트 타입의 연결지지대에 의해 상하 직관부들을 서로 연결시키면, 상부 직관부가 하부 직관부를 끌어올리는 작용을 하게 되어 중량 분산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radiant tube according to the 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radiant tube including a straight pipe portion and a curved pipe portion, by connecting the two straight pipes arranged up and down to each other Lap Joint type connection support that can absorb the deformation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deviation of the straight pipe portion up, down, left and right. As such, when the upper and lower straight pipe portion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the connection support of the wrap joint type, the upper straight pipe portion acts to lift the lower straight pipe portion, and thus weight distribution can be efficiently performed.
상기 본 발명의 제1 측면에 따른 라디언트 튜브에서의 상기 랩 조인트 타입의 연결지지대는 상하로 배치된 2개의 직관부중 어느 한쪽의 직관부에 부착되며, 직관부의 길이방향에 수직한 방향의 양 측면에 관통구멍들이 형성된 제1 원통; 다른 한쪽의 직관부에 부착되며, 상기 제1 원통의 측면 관통구멍에 대응하는 위치에 장방형 구멍들이 형성되며, 상기 제1 원통의 내측 또는 외측에 끼워지는 제2 원통; 및 상기 제1 원통의 측면 관통구멍들과 상기 제2 원통의 측면 장방형 구멍들을 관통하여 상기 제1 원통 및 상기 제2 원통을 결합시키는 결합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connecting support of the wrap joint type in the radiant tube according to the 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ttached to one of the straight pipe portions of two straight pipe portions disposed up and down, and both side surfaces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traight pipe portion. A first cylinder having through holes formed therein; A second cylinder attached to the other straight pipe part and having rectangular holes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side through-hole of the first cylinder, the second cylinder being fitted inside or outside the first cylinder; And a coupling member for coupling the first cylinder and the second cylinder through the side through holes of the first cylinder and the side rectangular holes of the second cylinder.
상기 본 발명의 라디언트 튜브에서, 상기 제1 원통의 직경과 상기 제2 원통의 직경의 차는 약 24mm인 것이 바람직하며, 제1 원통 및 제2 원통의 어느 쪽의 직경이 커도 좋다.In the radiant tub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fference between the diameter of the first cylinder and the diameter of the second cylinder is preferably about 24 mm, and the diameter of either the first cylinder or the second cylinder may be large.
상기 본 발명의 라디언트 튜브에서, 상기 제1 원통의 관통구멍의 직경(d1) 및 상기 제2 원통의 장방형 구멍의 단축방향의 직경(d2)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상기 결합부재 단면의 수직방향의 치수(H) 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radiant tube of the present invention, at least one or more of the diameter d 1 of the through hole of the first cylinder and the diameter d 2 of the minor axis of the rectangular hole of the second cylinder are perpendicular to the cross section of the coupling member. It is preferable that it is larger than the dimension H of a direction.
상기 본 발명의 라디언트 튜브에서, 상기 제1 원통의 관통구멍의 직경(d1) 및 상기 제2 원통의 장방형 구멍의 단축방향의 직경(d2)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상기 결합부재의 수직방향의 높이(H) 보다 약 3mm 큰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radiant tube of the present invention, at least one of the diameter (d 1 ) of the through hole of the first cylinder and the diameter (d 2 ) of the minor axis of the rectangular hole of the second cylinder is at least one of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coupling member. It is preferably about 3 mm larger than the height H.
상기 본 발명의 라디언트 튜브에서, 상기 제2 원통의 측면에 형성된 장방형 구멍의 길이(L)가 상기 결합부재 단면의 수평방향의 치수(W) 보다 약 30mm 큰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radiant tub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ength L of the rectangular hole formed on the side of the second cylinder is preferably about 30 mm larger than the horizontal dimension W of the cross section of the coupling member.
상기 본 발명의 라디언트 튜브에서, 상기 랩 조인트 타입의 연결지지대는 직관부들 연결하는 곡관부의 맞은편 끝에 설치될 수 있다.In the radiant tub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ap joint type connection support may be installed at opposite ends of the curved pipe connecting the straight pipes.
상기 본 발명의 라디언트 튜브에서, 상기 직관부들의 상기 제1 원통 및 제2 원통 부착부위에 각각 패드(pad)를 설치한 다음에 상기 제1 원통 및 제2 원통을 부착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직관부에 패드를 설치한 후 연결지지대의 원통들을 부착시키면, 중량분산의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In the radiant tube of the present invention, a pad may be attached to the first cylindrical and second cylindrical attachment portions of the straight pipe portions, and then the first cylindrical and the second cylindrical may be attached. As such, if the cylinder is attached to the connecting support after the pad is installed in the straight pipe, the effect of weight dispersion can be maximized.
본 발명의 제2 측면에 따르면, 라디언트 튜브의 곡관부에는 곡관부에 부착되는 제3 원통; 및 상기 제3 원통의 내측 또는 외측에 끼워지며, 라디언트 튜브의 본체 프레임 또는 지지 구조체에 부착되는 제4 원통으로 이루어지는 제1 지지대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지지대에서는 제3 원통과 제4 원통이 미끄럼 선접촉으로 결합되기 때문에 슬라이딩 이동이 용이하게 되어 라디언트 튜브의 직관부 및 곡관부에서의 수평방향의 변형을 흡수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e secon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urved portion of the radiant tube has a third cylinder attached to the curved portion; And a first support, which is fitted inside or outside of the third cylinder and consists of a fourth cylinder attached to the body frame or support structure of the radiant tube. In the first support, since the third cylinder and the fourth cylinder are coupled by sliding line contact, the sliding movement is facilitated to absorb the horizontal deformation in the straight tube portion and the curved tube portion of the radiant tube.
또한, 본 발명의 제2 측면에 따르면, 라디언트 튜브의 곡관부에는 곡관부에 부착되는 채널부재; 및 상기 채널부재가 내측에 수납되며, 라디언트 튜브의 본체 프레임 또는 지지 구조체에 부착되는 사각통부재로 이루어지는 제2 지지대를 포함한다. 상기 제2 지지대에서는 채널부재의 밑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환봉 또는 파이프부재가 부착될 수 있다. 채널부재의 밑면에 환봉 또는 관형상 부재가 부착된 경우에는 상기 채널부재와 상기 사각통부재가 미끄럼 선접촉으로 결합되기 때문에 슬라이딩 이동이 용이하게 되어 라디언트 튜브의 직관부 및 곡관부에서의 수평방향의 변형을 흡수할 수 있게 된다.Further, according to the secon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urved tube portion of the radiant tube has a channel member attached to the curved tube portion; And a second support, which is accommodated in the channel member and is formed of a rectangular tube member attached to the main frame or the support structure of the radiant tube. At least one round bar or pipe member may be attached to a bottom surface of the channel member in the second support. When the round bar or the tubular member is attached to the bottom of the channel member, the channel member and the rectangular tube member are coupled by sliding line contact, so that the sliding movement is easy, so that the horizontal direction in the straight tube and the curved tube of the radiant tube is easy. It is possible to absorb the deformation of.
본 발명의 제3 측면에 따르면, 직관부 및 곡관부를 포함하는 라디언트 튜브에 있어서, 상하로 배치된 2개의 직관부들을 서로 연결하여 상기 직관부들의 온도 편차에 따른 변형을 상,하 및 좌,우로 흡수할 수 있는 랩 조인트 타입의 연결지지대를 포함하며, 직관부들중 버너가 연결되는 직관부의 버너 연결 부위에 팽창 조인트(expansion joint)를 설치할 수 있다. 버너가 연결되는 직관부의 버너 연결 부위에 팽창 조인트를 설치하면, 열팽창에 의한 길이 방향의 변화를 흡수하고 진동을 흡수시켜 라디언트 튜브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a thir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radiant tube including a straight pipe portion and a curved pipe portion, two straight pipe portions arranged up and down are connected to each other so that deformation of the straight pipe portions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variation of the up, down, left, It includes a lap joint-type connection support that can be absorbed to the right, it is possible to install an expansion joint (expansion joint) in the burner connection portion of the straight pipe to which the burner is connected among the straight pipe. When the expansion joint is installed at the burner connection portion of the straight pipe to which the burner is connected, the life of the radiant tube can be extended by absorbing the chang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due to thermal expansion and absorbing the vibration.
본 발명의 제4 측면에 따르면, 직관부 및 곡관부를 포함하는 라디언트 튜브에 있어서, 직관부들 중 버너가 연결되는 직관부와 연소가스가 배출되는 직관부에서의 본체 프레임의 연결부위에 각각 상기 직관부들이 끼워지는 보강관이 설치될 수 있다. 직관부들 중 본체 프레임과 연결되는 부위의 직관부는 하중을 많이 받게 되어 변형이 쉽게 일어나므로, 직관부 위에 소정길이의 보강관을 끼워서 함께 용접 등에 의해 결합시켜 본체 프레임에 장착하면 라디언트 튜브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According to a four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radiant tube including a straight pipe portion and a curved pipe portion, the straight pipe portion is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ortion of the body frame in the straight pipe portion to which the burner is connected and the straight pipe portion from which the combustion gas is discharged. A reinforcement pipe into which the parts are fitted may be installed. Since the straight pipe part of the straight pipe part connected to the main frame is subjected to a lot of load, deformation is easy. Therefore, when the reinforcing pipe of a predetermined length is inserted on the straight pipe part and joined together by welding, the life of the radiant tube is extended. Can be extended.
본 발명에 따른 라디언트 튜브는 랩 조인트 타입의 연결지지대에 의해 상하로 배치된 직관부들을 결합시켜 열팽창에도 길이방향 및 상하간 수축팽창이 가능한 방식으로 변경하여 연결지지대의 이탈현상이 방지되고 중량 분산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버너 연결부위에 설치된 팽창 조인트에 의해 열팽창에 의한 길이 방향의 변화를 흡수하고 진동을 흡수시켜 방사관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Radiant tub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connecting the straight pipes arranged up and down by the lap joint type connecting support to change in a longitudinal and vertical expansion and contraction in a way that can be expanded even in thermal expansion to prevent the separation of the support support and weight distribution This can be effectively done, by the expansion joint installed on the burner connection portion has the effect of absorbing the chang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by thermal expansion and absorbing vibration to extend the life of the radiation tube.
도 1은 본 발명의 라디언트 튜브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라디언트 튜브에서의 랩 조인트 타입의 연결지지대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 1의 I-I 방향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라디언트 튜브에서의 랩 조인트 타입의 연결지지대의 패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 2의 II-II 방향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라디언트 튜브의 랩 조인트 타입의 연결지지대에서의 제1 원통, 제2 원통 및 결합부재의 조립상태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라디언트 튜브의 직관부에 패드를 부착시키는 것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라디언트 튜브의 직관부에 패드를 부착시킨 후 제1 원통 또는 제2 원통을 부착시키는 것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라디언트 튜브의 상하로 배치되는 직관부들을 연결지지대로 결합시킨 상태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라디언트 튜브의 곡관부에 설치되는 제2 지지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종래의 라디언트 튜브에서의 하부 직관부가 열변형된 상태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10은 종래의 라디언트 튜브에서의 연결고리가 이탈된 상태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11과 도 12는 라디언트 튜브에 패드를 부착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a radiant tub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seen from the direction II of FIG. 1, showing a connecting joint of the wrap joint type in the radiant tube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showing the pad of the connecting support of the wrap joint type in the radiant tube of the present invention, a cross-sectional view seen in the II-II direction of FIG.
Figure 4 is a photograph showing the assembled state of the first cylinder, the second cylinder and the coupling member in the connection support of the wrap joint type of the radiant tub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hotograph showing the pad attached to the straight portion of the radiant tub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photograph showing the first or second cylinder attached to the pad after the pad attached to the straight tube of the radiant tub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hotograph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traight pipes arranged up and down of the radiant tub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coupled with a connecting support.
8 is a view showing a second support installed in the curved portion of the radiant tub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photograph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lower straight tube heat deformation of the conventional radiant tube.
10 is a photograph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onnecting ring is separated in the conventional radiant tube.
11 and 12 illustrate a state in which a pad is attached to a radiant tube.
전술한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bove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will become more apparent through the following examples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Specific structural or functional descriptions are merely illustrated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embodiments in accordance with the concep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embodiments in accordance with the concep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various forms and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or the application. It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se.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은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Embodiments in accordance with the concep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variously modified and have a variety of forms specific embodiments will b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specification or the application.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embodiments in accordance with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 specific disclosed form,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change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제1 및/또는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들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컨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1 구성 요소는 제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 요소는 제1 구성 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Terms such as first and / or second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are not limited to the terms. The terms are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other components,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rights according to the inventive concept, the first component may be called a second component, and For example,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어떠한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떠한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또는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 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인접하는'과 '∼에 직접 인접하는' 등의 표현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at other component, but it may be understood that other components may be present in the middle. Should be. On the other hand, when a component is said to be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no other component exists in the middle. Other expressions for describ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lements, such as 'between' and 'immediately between' or 'adjacent to' and 'directly adjacent to', should be interpreted as well.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The terms 'comprise' or 'having' in this specification are intended to indicate that there is a feature, number, step, ac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that is described, and that one or more other features or number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it does not exclude in advance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addition of steps, ac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의 정의 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the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meanings consistent with the meanings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art, and are not construed i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s unless expressly defined herein. Do not.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Like reference numerals in the drawings denote like elements.
도 1은 본 발명의 라디언트 튜브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라디언트 튜브에서의 랩 조인트(Lap Joint) 타입의 연결지지대(3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FIG. 1 is a view showing a radiant tub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view showing a lap joint type connection support 30 in the radiant tub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라디언트 튜브는 복수의 직관부(11, 12, 13, 14)와 복수의 곡관부(21, 22, 23)를 포함하며, 상하로 배치된 직관부들의 단부들은 곡관부들에 의해 연결되며, 제2 직관부(12)와 제3 직관부(13)는 곡관부(22)의 맞은 편쪽에서 서로 랩 조인트 타입의 연결지지대(30)에 의해 연결된다. 상기 연결지지대(30)은 직관부(12, 13)의 중간부에 설치될 수도 있다.The radiant tub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랩 조인트 타입의 연결지지대(30)는 상하로 배치된 2개의 직관부중 어느 한쪽의 직관부(13)에 부착되며, 직관부의 길이방향에 수직한 방향의 양 측면에 관통구멍들(32)이 형성된 제1 원통(31); 다른 한쪽의 직관부(12)에 부착되며, 상기 제1 원통(31)의 측면 관통구멍(32)에 대응하는 위치에 장방형 구멍들(34)이 형성되며, 상기 제1 원통의 내측 또는 외측에 끼워지는 제2 원통(33); 및 상기 제1 원통의 측면의 관통구멍들(32)과 상기 제2 원통의 측면의 장방형 구멍들(34)을 관통하여 상기 제1 원통 및 상기 제2 원통을 결합시키는 결합부재(37)로 이루어진다.As shown in FIG. 2, the lap joint type connecting support 30 is attached to one of the
상기 제1 원통(31) 및 제2 원통(33)은 직관부(13) 및 직관부(12)에 예를 들어 용접에 의해 부착시킨다. 이때, 상기 제1 원통(31) 및 제2 원통(33)을 직접 직관부(12, 13)에 용접할 수도 있지만, 중량분산의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하여 먼저 직관부(12, 13)의 원통(31, 32) 부착부위에 패드(pad)(35, 36)를 가용접시킨 다음에(도 5 참조), 원통(31, 32)을 직관부(12, 13)에 용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6 참조). 패드(35, 36)를 직관부(12, 13)에 용접시킬 때는 약 10mm 정도는 용접을 하지 않음으로써 용접가스 등의 배출을 용이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패드(35, 36)는 직관부(12, 13)의 재질과 동일한 재질의 자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상기 제1 원통(31)의 직경과 상기 제2 원통(33)의 직경의 차는 약 24mm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양 원통의 직경차가 약 24mm 정도 유지되어야 상부 직관부(13)와 하부 직관부(12)의 온도 편차에 따른 수평방향의 변형을 흡수할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제1 원통(31)의 직경이 제2 원통(33)의 직경보다 커도 좋고, 그 반대라도 좋다.The difference between the diameter of the
상부 직관부(13)와 하부 직관부(12)의 온도 편차에 따른 수평방향의 변형을 보다 효과적으로 흡수하기 위하여는 상기 제2 원통(33)의 측면에 형성된 장방형 구멍(34)의 길이(L)가 상기 결합부재 단면의 수평방향의 치수(W) 보다 약 30mm 큰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장방형의 구멍은 제1 원통에 형성되어도 좋다.Length L of the
한편, 상하로 배치된 라디언트 튜브의 2개의 직관부(12, 13) 사이에서의 온도 편차에 의한 상하 변형을 흡수하기 위하여는 상기 제1 원통(31)의 관통구멍(32)의 직경(d1) 및 상기 제2 원통(33)의 장방형 구멍(34)의 단축방향의 직경(d2)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상기 결합부재(37) 단면의 수직방향의 치수(H) 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제1 원통(31)의 관통구멍(32)의 직경(d1) 및 상기 제2 원통의 단축방향의 직경(d2)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상기 결합부재의 수직방향의 높이(H) 보다 약 3mm 큰 것이 더 바람직하다. 상기 결합부재(37)는 어떠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나, 원통형 파이프 또는 원통형 바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원통(31)의 관통구멍(32)의 직경(d1)은 결합부재(37)의 수직단면의 치수(예를 들어, 직경)(H)와 같거나 약간 크고, 상기 제2 원통(33)의 장방형 구멍(34)의 단축방향의 직경(d2)은 결합부재(37)의 수직단면의 치수(예를 들어, 직경)(H) 보다 약 3mm 큰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결합부재(37)의 직경(H)이 25 mmm인 경우에는 제2 원통(33)의 장방형 구멍의 단축방향의 직경(d2)는 28 mm인 것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the diameter (d) of the through hole 32 of the
랩 조인트 타입의 연결지지대의 결합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도 5 내지 도 7 참조). 먼저, 제1 원통(31) 및 제2 원통(33)을 직관부(12, 13)에 용접시킨후에, 제1 원통(31)의 내측에 제2 원통(33)을 끼우거나 제2 원통(33)의 내측에 제1 원통(31)을 끼운다. 그 다음에 제1 원통(31)의 관통구멍(32)과 제2 원통의 장방형 구멍(34)을 정렬시키고 나서, 결합부재(37)를 상기 구멍들(32, 34)을 관통시킨다. 그 다음에 결합부재(37)의 양단부에 상기 구멍(32, 34)의 크기보다 큰 와셔(38)를 용접시키거나, 결합부재(37)의 양단부를 확장시켜 상기 구멍(32, 34)으로부터 빠져나가지 않도록 만들어서 연결지지대(30)의 결합을 완료한다.Coupling of the connection support of the wrap joint type is made as follows (see FIGS. 5 to 7). First, after welding the
또한, 직관부들의 단부를 연결하는 곡관부가 지지대 없이 자유단 형태로 유지될 경우에는 하부의 직관부들, 예를 들어, 제1 직관부(11) 및 제2 직관부(12)에 하중이 집중되어 변형을 초래하고, 이는 라디언트 튜브 전체의 변형으로 이어져서 라디언트 튜브의 수명이 단축되는 문제가 있기 때문에 곡관부에 적절하게 지지대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라디언트 튜브의 곡관부(22)에는 곡관부에 부착되는 제3 원통(26); 및 상기 제3 원통의 내측 또는 외측에 끼워지며, 라디언트 튜브의 본체 프레임(60) 또는 지지 구조체(미도시)에 부착되는 제4 원통(27)으로 이루어지는 제1 지지대(24)를 포함한다(도 1 참조). 상기 제1 지지대(24)에서는 제3 원통(26)과 제4 원통(27)이 미끄럼 선접촉으로 결합되기 때문에 슬라이딩 이동이 용이하게 되어 라디언트 튜브의 직관부 및 곡관부에서의 수평방향의 변형을 흡수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1 지지대(24)는 모든 곡관부에 설치될 수 있으므로, 곡관부(21, 23)에도 설치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curved portion connecting the ends of the straight portion is maintained in the free end shape without a support, the load is concentrated on the lower straight portion, for example, the first
상기 제3 원통(26)은 곡관부(22)에 예를 들어 용접에 의해 부착시킨다. 이때, 상기 제3 원통(26)을 직접 곡관부(22)에 용접할 수도 있지만, 중량분산의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하여 먼저 곡관부(22)의 제3 원통(26) 부착부위에 패드(22P)를 가용접시킨 다음에, 제3 원통(26)을 곡관부(22)에 용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패드(22P)를 곡관부(22)에 용접시킬 때는 약 10mm 정도는 용접을 하지 않음으로써 용접가스 등의 배출을 용이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패드(22P)는 곡관부(22)의 재질과 동일재질의 자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라디언트 튜브의 곡관부(23)에는 곡관부에 부착되는 채널부재(28); 및 상기 채널부재가 내측에 수납되며, 라디언트 튜브의 본체 프레임 또는 지지 구조체에 부착되는 사각통부재(29)로 이루어지는 제2 지지대(25)를 포함한다. 상기 제2 지지대(25)에서는 채널부재의 밑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환봉(28a) 또는 관형상 부재가 부착될 수 있다(도 8 참조). 채널부재의 밑면에 환봉 또는 관형상 부재가 부착된 경우에는 채널부재(28)와 사각통부재(29)가 미끄럼 선접촉으로 결합되기 때문에(도 8의 단면 A-A' 참조), 슬라이딩 이동이 용이하게 되어 라디언트 튜브의 직관부 및 곡관부에서의 수평방향의 변형을 흡수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2 지지대(25)는 모든 곡관부에 설치될 수 있으므로, 곡관부(21, 22)에도 설치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상기 채널부재(28)는 곡관부(23)에 예를 들어 용접에 의해 부착시킨다. 이때, 상기 채널부재(28)를 직접 곡관부(23)에 용접할 수도 있지만, 중량분산의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하여 먼저 곡관부(23)의 채널부재(28) 부착부위에 패드(23P)를 가용접시킨 다음에, 채널부재(28)를 곡관부(23)에 용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패드(23P)를 곡관부(23)에 용접시킬 때는 약 10mm 정도는 용접을 하지 않음으로써 용접가스 등의 배출을 용이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패드(23P)는 곡관부(23)의 재질과 동일재질의 자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또한, 직관부들 중 버너가 연결되는 직관부는 연소가스의 온도가 가장 높아서 열팽창이 가장 크게 일어나서 라디언트 튜브의 전체적인 변형을 유발할 수 있기 때문에, 버너 연결 부위의 직관부에서의 변형을 흡수할 수 있는 구조가 요구된다. 따라서, 제1 직관부(11)에서 버너(40) 연결부위에 열팽창 변형을 흡수할 수 있는 팽창 조인트(expansion joint)(50)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버너(40)가 연결되는 직관부(11)의 버너 연결 부위에 팽창 조인트(50)를 설치하면, 열팽창에 의한 길이 방향의 변화를 흡수하고 진동을 흡수시켜 라디언트 튜브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straight pipe portion to which the burner is connected among the straight pipe portions has the highest temperature of the combustion gas, thermal expansion may occur to cause the overall deformation of the radiant tube, so that the structure can absorb the deformation at the straight pipe portion of the burner connection portion. Is required. Therefore, it is preferable to install an
또한, 직관부들 중 본체 프레임과 연결되는 부위의 직관부는 하중을 많이 받게 되어 변형이 쉽게 일어나므로, 연결부위 직관부의 강도를 보강할 수 있는 구조가 요구된다. 따라서, 직관부들 중 버너가 연결되는 직관부(11)와 연소가스가 배출되는 직관부(14)에서의 본체 프레임의 연결부위에 각각 상기 직관부들이 끼워지는 보강관(81, 82)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강관(81, 82)의 내경은 직관부(11, 14)의 외경이 끼워맞처질 수 있는 크기이면 충분하다. 상기 보강관(81, 82)의 내경은 직관부(11, 14)에 중간 끼워맞춤 또는 헐거운 끼워맞춤을 할 수 있는 크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강관(81, 82)의 길이는 본체 프레임(60)에 장착할 수 있는 소정 길이이면 충분하다.In addition, since the straight pipe portion of the portion connected to the body frame of the straight pipe portion is subjected to a lot of load and easily occurs, a structure capable of reinforcing the strength of the straight pipe portion of the connection portion is required. Accordingly, the reinforcing
이어서, 본 발명에 따른 라디언트 튜브의 작용, 효과를 설명하기로 한다.Next, the operation and effect of the radiant tub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Ni/Cr 합금의 UNS N06601 또는 MORE 1, 2로 제작된 라디언트 튜브의 경우, 고온의 연소가스가 통과하는 직관부의 온도는 통상 버너측에 연결된 제1 직관부에서는, 예를 들어, 약 1150℃, 제1 직관부 다음의 제2 직관부에서는 약 1100℃, 제2 직관부 다음의 제3 직관부에서는 약 1050℃, 제3 직관부 다음의 제4 직관부에서는 약 1000℃를 나타낸다.In the case of radiant tubes made of UNS N06601 or MORE 1, 2 of Ni / Cr alloy, the temperature of the straight pipe portion through which the high-temperature combustion gas passes is usually about 1150 ° C in the first straight pipe portion connected to the burner side, for example. And about 1100 ° C. in the second straight pipe portion after the first straight pipe portion, about 1050 ° C. in the third straight pipe portion after the second straight pipe portion, and about 1000 ° C. in the fourth straight pipe portion after the third straight pipe portion.
예를 들어, UNS N06601로 제작된 라디언트 튜브의 제1 직관부(11)에서의 열팽창량과 제4 직관부(14)에서의 열팽창량을 비교해 보기로 한다.For example, the thermal expansion amount in the first
주위온도가 20℃이고, UNS N06601의 열팽창 계수가 14.9 x 10-6 mm/℃이고, 라디언트 튜브의 직관부의 길이가 3000mm인 경우, 제1 직관부(11)와 제4 직관부(14)에서의 열팽창량은 각각 다음과 같다.When the ambient temperature is 20 ° C., the coefficient of thermal expansion of UNS N06601 is 14.9 × 10 −6 mm / ° C., and the length of the straight portion of the radiant tube is 3000 mm, the first
a. 제1 직관부(11)의 열팽창량 = 열팽창계수x직관부 길이x상온과 온도차a. Of the first
= 14.9 x 10-6 mm/℃ x 3000mm x (1150℃ - 20℃)= 14.9 x 10 -6 mm / ℃ x 3000mm x (1150 ℃-20 ℃)
= 50.51 mm = 50.51 mm
b. 제4 직관부(14)의 열팽창량 = 열팽창계수x직관부 길이x상온과 온도차b. Of the fourth
= 14.9 x 10-6 mm/℃ x 3000mm x (1000℃ - 20℃)= 14.9 x 10 -6 mm / ℃ x 3000mm x (1000 ℃-20 ℃)
= 43.81 mm = 43.81 mm
제1 직관부(11)와 제4 직관부(14)에서의 열팽창량의 차이는 The difference in thermal expansion amount in the first
50.51mm - 43.81 mm = 6.70 mm의 차이를 나타낸다.50.51 mm-43.81 mm = 6.70 mm.
그런데,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라디언트 튜브에 따르면, 상하로 배치된 직관부들을 연결하는 구조가 고정식이 아니라 소정의 직경차를 가지는 2개의 원통(31, 33)을 끼우고 이들 원통을 각각 양 측면에 형성된 관통구멍(32) 및 장방형 구멍(34)으로 결합부재를 관통시켜 결합하는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한 랩 조인트 타입의 연결지지대(30)를 포함하고 있다. 이에 따라, 상기와 같은 직관부들 사이의 온도 편차에 따른 열팽창량의 차이로 인하여 야기되는 구조물의 변형을 랩 조인트 타입의 연결지지대가 흡수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직관부(11)와 제4 직관부(14)에서의 열팽창량의 차이가 6.70 mm임에 비하여, 상기 제1 원통(31)과 상기 제2 원통(33)의 직경차가 약 24 mm이고, 장방형 구멍(34)의 길이(L)와 결합부재의 수평방향의 치수(W)의 차가 약 30 mm이기 때문에 직관부들에서의 열팽창량의 차이를 랩 조인트 타입의 연결지지대(30)가 좌,우 슬라이딩 이동에 의해 충분히 흡수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However,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radiant tub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ructure connecting the straight pipe portions arranged up and down is not fixed but sandwiches the two
또한, 제2 직관부(12)와 제3 직관부(13)는 온도 편차에 따라 열팽창률이 상이하여 상하로 변형이 발생할 수 있는데,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원통(31)의 관통구멍(32)의 직경(d1) 및 상기 제2 원통(33)의 장방형 구멍(34)의 단축방향의 직경(d2)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상기 결합부재 단면의 수직방향의 치수(H) 보다 크므로(바람직하기로는 약 3 mm 크다), 직관부들에서의 상하 방향의 변형을 흡수할 수 있는 것이다. In addition, the second
또한, 곡관부(22)에 제1 지지대(24)를 설치하여 제1 직관부(11) 및 제2 직관부(12)에 하중이 집중되어 변형을 초래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 경우, 곡관부(22)에 설치되는 제1 지지대(24)는 제3 원통(26)과 제4 원통(27)이 미끄럼 선접촉으로 결합되기 때문에 슬라이딩 이동이 용이하게 되어 라디언트 튜브의 직관부 및 곡관부에서의 수평방향의 변형을 흡수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1 지지대(24)는 곡관부(21, 23)에도 설치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또한, 곡관부(23)에 제2 지지대(25)를 설치하여 제1 직관부(11) 및 제2 직관부(12)에 하중이 집중되어 변형을 초래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 경우, 곡관부(23)에 설치되는 제2 지지대(25)는 곡관부에 부착되는 채널부재(28); 및 상기 채널부재가 내측에 수납되며, 라디언트 튜브의 본체 프레임 또는 지지 구조체에 부착되는 사각통부재(29)로 이루어지며, 채널부재(28)의 밑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환봉 또는 관형상 부재(28a)가 부착될 수 있다. 채널부재의 밑면에 환봉 또는 관형상 부재(28a)가 부착된 경우에는 채널부재(28)와 사각통부재(29)가 미끄럼 선접촉으로 결합되기 때문에 슬라이딩 이동이 용이하게 되어 라디언트 튜브의 직관부 및 곡관부에서의 수평방향의 변형을 흡수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2 지지대(25)는 모든 곡관부에 설치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또한, 버너(40)가 연결되는 제1 직관부(11)에서 열팽창 변형을 흡수할 수 있는 팽창 조인트(expansion joint)(50)를 설치하여, 열팽창에 의한 길이 방향의 변화를 흡수하고 진동을 흡수시켜 라디언트 튜브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In addition, by installing an
또한, 직관부들 중 버너가 연결되는 직관부(11)와 연소가스가 배출되는 직관부(14)에서의 본체 프레임의 연결부위에 각각 상기 직관부들이 끼워지는 보강관(81, 82)을 설치하여 직관부의 강도를 보강함으로써, 라디언트 튜브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various substitutions, modifications, and changes are possible within the scope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evident to those who have knowledge of.
11, 12, 13, 14 : 직관부 21, 22, 23 : 곡관부
24, 25 : 지지대 26 : 제3 원통
27 : 제4 원통 28 : 채널부재
28a : 환봉 29 : 사각통부재
30 : 랩 조인트 타입의 연결지지대 31 : 제1 원통
32 : 관통구멍 33 : 제2 원통
34 : 장방형 구멍 35, 36 : 패드
37 : 결합부재 38 : 와셔
40 : 버너 50 : 팽창 조인트
60 : 본체 프레임 71 : 연결고리
81, 82 : 보강관 d1 : 관통구멍의 직경 d2 : 장방형 구명의 단축 직경 H : 결합부재의 수직방향 치수 L : 장방형 구멍의 길이 W : 결합부재의 수평방향 치수11, 12, 13, 14:
24, 25: support 26: third cylinder
27: fourth cylinder 28: channel member
28a: round bar 29: rectangular tube member
30: connection support of the lap joint type 31: the first cylinder
32: through hole 33: second cylinder
34:
37: coupling member 38: washer
40: burner 50: expansion joint
60: body frame 71: link
81, 82: reinforcing pipe d 1 : diameter of through hole d 2 : short axis diameter of rectangular life span H: vertical dimension of coupling member L: length of rectangular hole W: horizontal dimension of coupling member
Claims (15)
상하로 배치된 2개의 직관부들을 서로 연결하여 상기 직관부들의 온도 편차에 따른 변형을 상,하 및 좌,우로 흡수할 수 있는 랩 조인트(Lap Joint) 타입의 연결지지대를 포함하고,
상기 랩 조인트 타입의 연결지지대는 상하로 배치된 2개의 직관부 중 어느 한쪽의 직관부에 부착되며, 직관부의 길이방향에 수직한 방향의 양 측면에 관통구멍들이 형성된 제1 원통; 다른 한쪽의 직관부에 부착되며, 상기 제1 원통의 측면 관통구멍에 대응하는 위치에 장방형 구멍들이 형성되며, 상기 제1 원통의 내측 또는 외측에 끼워지는 제2 원통; 및 상기 제1 원통의 측면 관통구멍들과 상기 제2 원통의 측면 장방형 구멍들을 관통하여 상기 제1 원통 및 상기 제2 원통을 결합시키는 결합부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직관부들의 상기 제1 원통 및 제2 원통 부착부위에 각각 패드를 설치한 다음에 상기 제1 원통 및 제2 원통을 부착시키는
라디언트 튜브.
In a radiant tube comprising a straight pipe and a curved pipe,
It includes a connecting joint of the Lap Joint type to connect the two straight pipes arranged up and down with each other to absorb the deformation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deviation of the straight pipes to the upper, lower, left and right,
The lap joint type connection support may include: a first cylinder attached to a straight pipe portion of one of two straight pipe portions disposed vertically, and having through holes formed at both sides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ength direction of the straight pipe portion; A second cylinder attached to the other straight pipe part and having rectangular holes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side through-hole of the first cylinder, the second cylinder being fitted inside or outside the first cylinder; And a coupling member for coupling the first cylinder and the second cylinder through the side through holes of the first cylinder and the side rectangular holes of the second cylinder.
A pad is attached to the first cylindrical and second cylindrical attachment portions of the straight pipe portions, and then the first cylindrical and the second cylindrical are attached.
Radiant tube.
상기 제1 원통의 직경과 상기 제2 원통의 직경의 차는 24mm인
라디언트 튜브.
The method of claim 1,
The difference between the diameter of the first cylinder and the diameter of the second cylinder is 24 mm
Radiant tube.
상기 제1 원통의 관통구멍의 직경(d1) 및 상기 제2 원통의 장방형 구멍의 단축방향의 직경(d2)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상기 결합부재 단면의 수직방향의 치수(H) 보다 큰
라디언트 튜브.
The method of claim 1,
At least one or more of the diameter (d 1 ) of the through-hole of the first cylinder and the diameter (d 2 ) of the minor axis of the rectangular hole of the second cylinder is larger than the dimension (H)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cross section of the coupling member.
Radiant tube.
상기 제1 원통의 관통구멍의 직경(d1) 및 상기 제2 원통의 장방형 구멍의 단축방향의 직경(d2)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상기 결합부재의 수직방향의 높이(H) 보다 3mm 큰
라디언트 튜브.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At least one of the diameter d 1 of the through-hole of the first cylinder and the diameter d 2 of the minor axis of the rectangular hole of the second cylinder is 3 mm larger than the height H of the coupling member in the vertical direction.
Radiant tube.
상기 제2 원통의 측면에 형성된 장방형 구멍의 길이(L)가 상기 결합부재 단면의 수평방향의 치수(W) 보다 30mm 큰
라디언트 튜브.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3,
The length L of the rectangular hole formed in the side surface of the second cylinder is 30 mm larger than the horizontal dimension W of the cross section of the coupling member.
Radiant tube.
상기 랩 조인트 타입의 연결지지대는 직관부들 연결하는 곡관부의 맞은편 끝에 설치되는
라디언트 튜브.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3,
The connecting support of the lap joint type is installed on the opposite end of the curved pipe connecting the straight pipes
Radiant tube.
라디언트 튜브의 곡관부에 부착되는 제3 원통; 및 상기 제3 원통의 내측 또는 외측에 끼워지며, 라디언트 튜브의 본체 프레임 또는 지지 구조체에 부착되는 제4 원통으로 이루어지는 제1 지지대를 포함하는
라디언트 튜브.
The method of claim 1,
A third cylinder attached to the curved portion of the radiant tube; And a first support, which is fitted inside or outside the third cylinder, and comprises a fourth cylinder attached to the body frame or the support structure of the radiant tube.
Radiant tube.
상기 곡관부의 상기 제3 원통 부착부위에 패드를 설치한 다음에 상기 제3 원통을 부착시키는
라디언트 튜브.
10. The method of claim 9,
After attaching a pad to the third cylindrical attachment portion of the curved pipe portion for attaching the third cylinder
Radiant tube.
라디언트 튜브의 곡관부에 부착되는 채널부재; 및 상기 채널부재가 내측에 수납되며, 라디언트 튜브의 본체 프레임 또는 지지 구조체에 부착되는 사각통부재로 이루어지는 제2 지지대를 포함하는
라디언트 튜브.
The method of claim 1,
A channel member attached to the curved tube portion of the radiant tube; And a second support having the channel member accommodated therein and comprising a rectangular tube member attached to the body frame or the support structure of the radiant tube.
Radiant tube.
상기 곡관부의 상기 채널부재 부착부위에 패드를 설치한 다음에 상기 채널부재를 부착시키는
라디언트 튜브.
The method of claim 11,
After installing a pad on the channel member attachment portion of the curved pipe portion to attach the channel member
Radiant tube.
상기 제2 지지대의 채널부재의 밑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환봉 또는 관형상 부재가 부착되는
라디언트 튜브.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1 or 12, wherein
At least one round bar or tubular member is attach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channel member of the second support.
Radiant tube.
상기 직관부들중 버너가 연결되는 직관부의 버너 연결 부위에 팽창 조인트를 설치하는
라디언트 튜브.
The method of claim 1,
Installing an expansion joint in the burner connection portion of the straight pipe portion to which the burner is connected among the straight pipe portions
Radiant tube.
라디언트 튜브의 복수개의 직관부들 중에서 버너가 연결되는 직관부와 연소가스가 배출되는 직관부에서의 본체 프레임의 연결부위에 각각 상기 직관부들이 끼워지는 보강관이 설치되는
라디언트 튜브.The method of claim 1,
Among the plurality of straight tubes of the radiant tube, a reinforcing pipe into which the straight pipes are fitted is respectively installed at the connection portion of the body frame in the straight pipe portion to which the burner is connected and the straight pipe portion from which the combustion gas is discharged.
Radiant tub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54478 | 2009-06-18 | ||
KR20090054478 | 2009-06-18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136417A KR20100136417A (en) | 2010-12-28 |
KR101025615B1 true KR101025615B1 (en) | 2011-03-30 |
Family
ID=435105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0055812A Active KR101025615B1 (en) | 2009-06-18 | 2010-06-14 | Radiant tub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025615B1 (en)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49463B1 (en) * | 2013-05-09 | 2014-10-14 | 주식회사 세창엔지니어링 | radiant tube |
CN105333491A (en) * | 2015-10-30 | 2016-02-17 | 天津赛金节能科技有限公司 | Heater with multiple cooling units |
CN108027213A (en) * | 2015-08-07 | 2018-05-11 | 尼克罗股份公司 | Radiant tube with corrugated radiant tube back support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DE202008009065U1 (en) * | 2008-07-04 | 2008-10-09 | WS Wärmeprozesstechnik GmbH | Radiant heating arrangement with delay compensation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930783A (en) * | 1995-07-13 | 1997-02-04 | Osaki Electric Co Ltd | Lateral shake prevention jack |
KR100334581B1 (en) * | 1997-11-08 | 2002-09-04 | 주식회사 포스코 | Cooling system of the exhaust gas in the annealing furnace |
JP2002317904A (en) * | 2001-04-23 | 2002-10-31 | Nippon Steel Corp | Furnace support structure for radiant tube |
-
2010
- 2010-06-14 KR KR1020100055812A patent/KR101025615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930783A (en) * | 1995-07-13 | 1997-02-04 | Osaki Electric Co Ltd | Lateral shake prevention jack |
KR100334581B1 (en) * | 1997-11-08 | 2002-09-04 | 주식회사 포스코 | Cooling system of the exhaust gas in the annealing furnace |
JP2002317904A (en) * | 2001-04-23 | 2002-10-31 | Nippon Steel Corp | Furnace support structure for radiant tube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49463B1 (en) * | 2013-05-09 | 2014-10-14 | 주식회사 세창엔지니어링 | radiant tube |
CN108027213A (en) * | 2015-08-07 | 2018-05-11 | 尼克罗股份公司 | Radiant tube with corrugated radiant tube back support |
CN105333491A (en) * | 2015-10-30 | 2016-02-17 | 天津赛金节能科技有限公司 | Heater with multiple cooling units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136417A (en) | 2010-12-2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025615B1 (en) | Radiant tube | |
CN102439303A (en) | Tower for a wind power plant | |
KR101889992B1 (en) | Radiant tubular element for industrial plants and similar | |
BRPI0917072B1 (en) | CANOE BOARD CONNECTED BY DIFFUSION WITH LIQUID PHASE AND PRODUCTION METHOD OF THE SAME | |
DE3326260C2 (en) | ||
US6845559B2 (en) | Method for coupling a protective net to flexible tube for a sprinkler | |
JP5542945B2 (en) | Equipment for heat treatment of sheet metal strip | |
JP6031561B1 (en) | chimney | |
JP4671819B2 (en) | Method for reinforcing high-temperature hollow member | |
JP6323366B2 (en) | Radiant tube | |
AU2006274248B2 (en) | Semitrailer landing gear | |
JP6908018B2 (en) | In-core support structure for W-type radiant tube | |
JP3549981B2 (en) | Furnace support structure of radiant tube with alternating heat storage | |
KR101449463B1 (en) | radiant tube | |
JP2005537452A (en) | Pipe clip | |
JP2002317904A (en) | Furnace support structure for radiant tube | |
CN201778075U (en) | Radiant tube component | |
JP2017506320A (en) | Heat exchanger tube assembl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heat exchanger tube assembly | |
CN210860241U (en) | Explosion-proof type pipeline compensator | |
CN213018297U (en) | Composite ceramic expansion joint | |
JP4191460B2 (en) | Piping reinforcement method | |
JP7006579B2 (en) | W type radiant tube | |
JPH0548074Y2 (en) | ||
CN105953574B (en) | Reinforced muffle tube | |
JPH0241503Y2 (en)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0614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00820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00614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010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10225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1032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1032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321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032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322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32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322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322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322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322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323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322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322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227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226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