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025104B1 - 어류의 서식공간의 확장이 가능한 하이브리드형 인공어초 및 이를 구비한 대형 인공어초 - Google Patents

어류의 서식공간의 확장이 가능한 하이브리드형 인공어초 및 이를 구비한 대형 인공어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25104B1
KR101025104B1 KR1020070070259A KR20070070259A KR101025104B1 KR 101025104 B1 KR101025104 B1 KR 101025104B1 KR 1020070070259 A KR1020070070259 A KR 1020070070259A KR 20070070259 A KR20070070259 A KR 20070070259A KR 101025104 B1 KR101025104 B1 KR 1010251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members
fixing member
hybrid
artificial reefs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702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06674A (ko
Inventor
라소선
엄기원
강옥구
Original Assignee
라소선
강옥구
엄기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라소선, 강옥구, 엄기원 filed Critical 라소선
Priority to KR10200700702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25104B1/ko
Publication of KR200900066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66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51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5104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02A40/81Aquaculture, e.g. of fis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rtificial Fish Reef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Abstract

이 발명은 일정용적의 내부공간을 갖도록 다수개의 기둥과 보로 구성되며 기둥과 보에 의해 형성되어 내부공간과 연통하는 연통구를 가지며 강재와 용접 접합이 불가능한 이종재료로 제작된 콘크리트 구조물과, 기둥의 양쪽에 각각 형성되는 연통구의 일부분씩을 차단하도록 기둥의 높이방향으로 각각 설치되어 기둥의 주위에 조류의 영향을 적게 받는 정온영역을 증대시키는 다수개의 강재 차단부재와, 강재로 구성되어 다수개의 강재 차단부재가 정위치에 각각 위치하도록 고정하여 콘크리트 구조물과 다수개의 강재 차단부재를 일체화하는 고정부재를 포함한다. 이 발명은 강재와 용접 접합이 불가능한 이종재료로 제작된 구조물에 강재 부재를 일체화하되 구조물과 강재 부재의 연결부위에 조류의 영향을 적게 받는 정온영역을 증대시켜 플랑크톤이 군집하고 해조류가 부착 서식할 수 있는 넓은 공간을 제공함에 따라 어류의 서식공간을 확장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어류의 서식공간의 확장이 가능한 하이브리드형 인공어초 및 이를 구비한 대형 인공어초{Hybrid artificial reef which can expand inhabitation space of fish, and large artificial reef having them}
이 발명은 수산자원 조성을 위해 바다 속에 설치하는 인공어초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강재와 용접 접합이 불가능한 이종재료로 제작된 구조물에 강재 부재를 일체화하되 구조물과 강재 부재의 연결부위에 조류의 영향을 적게 받는 정온영역을 증대시켜 플랑크톤이 군집하고 해조류가 부착 서식할 수 있는 넓은 공간을 제공함에 따라 어류의 서식공간을 확장하는 하이브리드형 인공어초 및 이를 구비한 대형 인공어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공어초라 함은 연안어장의 수산자원 확보를 목적으로 해양생물의 산란 및 서식공간을 조성하고 치어의 은신처를 제공하기 위하여 연안이나 근해에 설치하는 인공적인 구조물이다. 인공어초는 최초 폐선박을 침몰시키거나 지상 구조물을 바다에 투하하여 서식공간을 조성한 것에서부터 서식공간을 보다 효율 적으로 조성하기 위하여 6면체형, 원통형, 요철형 구조물로 설계한 것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형태로 변모되어 왔다. 그리고 인공어초를 만드는 재료로는 자연석, 강재, 콘크리트, 목재, 타이어, 플라스틱, 세라믹 등 다양한데, 그 중에서 콘크리트가 가장 많이 이용되어 왔다.
일반적으로 콘크리트 인공어초는 골재, 모래, 시멘트, 철근 등을 이용하여 제작하되, 이들 재료의 최적의 배합비율을 도출하여 강재 거푸집을 통해 성형하기 때문에, 그 제작이 매우 편리할 뿐만 아니라 원하는 압축강도로의 성형이 가능하다. 그런데, 이러한 콘크리트 인공어초는 강재 거푸집을 통해 성형하기 때문에,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순한 형태로 그 구조가 제한될 수밖에 없을 뿐만 아니라 표면자체가 미끈미끈하여 수생 부착식물(해조류 등)의 착상이 용이하지 않아 패류를 비롯한 다양한 어종에 적합한 생태환경을 조성하는데 한계가 있다. 또한, 콘크리트 인공어초는 그 구조가 단순하기 때문에 산란, 서식 및 휴식을 취하거나 잠을 자기 위해 조류의 영향을 적게 받는 정온영역을 찾는 어류의 서식공간을 제공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여기서, 정온영역(靜穩領域)이란 일반적으로 해양에서 파도가 높지 않거나 조류의 흐름이 빠르지 않아 조용한 해역을 말하며, 인공어초에서의 정온영역은 조류의 흐름 속에 놓여진 인공어초가 조류의 진행방향 흐름을 막아 인공어초 전면보다 낮아진 후면의 유속 또는 느려진 후면의 흐름에 의해 형성된 조용한 영역을 말한다.
한편, 어류는 체장에 따라 견딜 수 있는 유속이 정해지는데, 통상 생활하기 에 편한 유속은 체장의 2-4배 이하라고 한다. 따라서, 인공어초에 의해 만들어진 정온영역은 어초 부재에 부착생물이 정착하기 쉬운 환경을 제공하고, 또한 동식물성 플랑크톤 등이 집적되어, 어류를 비롯한 각종 해양생물들에게 먹이장의 역할을 비롯하여 서식장, 숨이장 및 산란장 등의 중요한 역할을 한다.
강재를 이용한 인공어초의 경우에는 강재를 용접 등으로 연결하므로 제작이 용이하고 복잡한 구조를 가질 수 있기 때문에, 많은 연구들이 진행됨과 더불어 제작 시공되고 있다.
그런데, 현재까지는 콘크리트와 강재를 각각 개별적으로 이용하여 인공어초를 구성하거나, 개별적으로 제작된 콘크리트 또는 강재 구조물을 콘크리트 또는 강재 인공어초의 내부에 단지 배열하는 형태로 하이브리드형 인공어초를 구성하거나, 콘크리트 또는 강재 구조물을 단순 적층하는 형태로 하이브리드형 인공어초를 구성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으로 콘크리트와 강재를 조합한 하이브리드형 인공어초는 단순한 구조의 콘크리트 구조물의 단점을 복잡한 구조설계가 용이한 강재로 보강하는데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고, 또한 조류의 영향을 적게 받는 정온영역을 확장하여 보다 넓은 어류의 서식공간을 제공하지도 못하는 단점이 있다.
여기서, 하이브리드형 인공어초는 통상 강재, 콘크리트 및 세라믹 등 단일재료로 구성된 어초가 아니라 주로 대형화가 가능한 강제어초 속에 강재를 제외한 콘크리트 등 다른 재료로 제작된 인공어초를 일체화 또는 포함하는 인공어초를 말한다. 이렇듯, 하이브리드형 인공어초는 2개 이상의 서로 다른 재료로 구성된 어초가 함께 존재하기 때문에, 강재보다 부착생물의 정착속도가 빠른 기질이 있으면, 강제어초의 어초성 또는 기능성의 조기 확보에 큰 도움이 된다. 또한, 강제어초 하단부에 설치된 어초 또는 어초 부재가 강재보다 비중이 큰 재질이라면, 강제어초의 미끌림 및 전도 특성을 향상시킬 수도 있다.
따라서 이 발명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강재와 용접 접합이 불가능한 이종재료로 제작된 구조물에 강재 부재를 일체화하되 구조물과 강재 부재의 연결부위에 조류의 영향을 적게 받는 정온영역을 증대시켜 플랑크톤이 군집하고 해조류가 부착 서식할 수 있는 넓은 공간을 제공함에 따라 어류의 서식공간을 확장하는 하이브리드형 인공어초 및 이를 구비한 대형 인공어초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이 발명은, 일정용적의 내부공간을 갖도록 다수개의 기둥과 보로 구성되며 기둥과 보에 의해 형성되어 내부공간과 연통하는 연통구를 가지며 강재와 용접 접합이 불가능한 이종재료로 제작된 구조물과, 기둥의 양쪽에 각각 형성되는 연통구의 일부분씩을 차단하도록 기둥의 높이방향으로 각각 설치되어 기둥의 주위에 조류의 영향을 적게 받는 정온영역을 증대시키는 다수개의 강재 차단부재와, 강재로 구성되어 다수개의 강재 차단부재가 정위치에 각각 위치하도록 고정하여 구조물과 다수개의 강재 차단부재를 일체화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발명의 강재 차단부재는 기둥의 양쪽 외측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이 발명의 고정부재는 구조물의 하단을 지지하면서 다수개의 강재 차단부재 의 하단을 고정하는 하단 고정부재와, 다수개의 강재 차단부재의 상단을 고정하는 상단 고정부재로 구성될 수 있다.
이 발명의 구조물은 콘크리트, FRP, 황토, 세라믹 또는 제철슬래그 중 어느 하나로 제작될 수 있다.
이 발명의 강재 차단부재는 L형강, 4각 파이프, ㄷ형강, C형강, 원형 파이프 또는 플레이트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이 발명은 하단 고정부재의 외측으로 연장하는 다수개의 연장부재와, 다수개의 연장부재를 서로 연결하여 하단을 구성하는 하단 부재와, 하단 부재와 상단 고정부재를 서로 연결하는 다수개의 경사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발명은 하단 부재와 상단 고정부재가 C형강으로 구성되고, C형강의 그 내부공간에 다수개의 블록이 끼워져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이 발명은 상기와 같이 구성된 하이브리드형 인공어초 다수개를 일반적인 대형 인공어초의 내부에 분산 배열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발명은 강재와 용접 접합이 불가능한 이종재료로 제작된 구조물에 강재 부재를 일체화하되 구조물과 강재 부재의 연결부위에 조류의 영향을 적게 받는 정온영역을 증대시켜 플랑크톤이 군집하고 해조류가 부착 서식할 수 있는 넓은 공간을 제공함에 따라 어류의 서식공간을 확장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이 발명은 상단 고정부재 및 하단 부재를 C형강으로 구성하고 그 내부 에 관통구멍을 갖는 블록을 끼워 고정할 경우, 그 관통구멍에 치어나 치패들이 서식하는 공간으로 활용되거나, 부유물이 쌓여 수생 부착식물(해조류 등)이 보다 빨리 착생할 수 있도록 도울 수 있다.
또한, 이 발명은 다수개의 하이브리드형 인공어초를 기존의 대형 인공어초의 내부에 설치할 경우 치어나 치패의 서식환경을 보다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아래에서는 이 발명에 따른 어류의 서식공간의 확장이 가능한 하이브리드형 인공어초 및 이를 구비한 대형 인공어초의 양호한 실시예들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a는 이 발명에 따른 어류의 서식공간의 확장이 가능하도록 콘크리트와 강재를 일체화한 하이브리드형 인공어초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2b는 도 2a에 도시된 하이브리드형 인공어초를 일정 높이에서 절단한 사시도이며, 도 2c는 도 2b에 도시된 하이브리드형 인공어초를 위에서 본 평면도 및 일부 확대도이다.
도 2a 내지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형 인공어초(100)는 일정용적의 내부공간을 갖도록 다수개의 기둥(111)과 보(112)로 구성되며 기둥(111)과 보(112)에 의해 형성되어 내부공간과 연통하는 연통구(113)를 갖는 콘크리트 구조물(110)과, 각각의 기둥(111)의 양쪽 외측에서 연통구(113)의 일부분씩을 차단하도록 기둥(111)의 높이방향으로 한 쌍씩 설치되어 기둥(111)의 주 위에 조류의 영향을 적게 받는 정온영역을 증대시키는 다수 쌍의 강재 차단부재(120)와, 강재로 구성되어 다수 쌍의 강재 차단부재(120)가 정위치에 각각 위치하도록 그 하단 및 상단을 각각 고정하여 콘크리트 구조물과 강재를 일체화하는 상하단 고정부재(130, 140)로 구성된다.
도 2a에 도시된 콘크리트 구조물(110)은 도 1a와 같이 현재 시공되고 있는 사각 박스형 콘크리트 인공어초와 동일한 형태 및 구조를 갖는 것으로서, 4개의 기둥(111)과 상하단에 4개씩의 보(112)와 한 면에 1개의 연통구(113)를 갖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이 실시예에서는 L형강으로 구성된 4쌍의 강재 차단부재(120)를 기둥(111)의 양쪽 외측에서 연통구(113)의 일부분씩을 차단하도록 기둥(111)의 높이방향으로 한 쌍씩 설치한다. 이때, 강재 차단부재(120)는 기둥(111)의 단부와 밀착하는 형태로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강재 차단부재(120)를 기둥(111)의 일부분과 중첩되거나 기둥(111)의 단부와 약간의 간격을 두고 이격되는 형태로 배치해도 무방하다. 즉, 이 실시예의 강재 차단부재(120)는 기둥(111)의 주위에 조류의 영향을 적게 받는 정온영역을 증대시키고자 하는 것으로서, 기둥(111)과 강재 차단부재(120)의 사이에 약간의 틈이 형성되더라도 거센 조류를 약화시킬 수 있으므로 제기능을 충분히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이 실시예의 도면에서는 강재 차단부재(120)를 기둥(111)의 양쪽 외측 즉 콘크리트 구조물(110)의 외측에 각각 위치하도록 설치하였으나, 기둥(111)의 양쪽 내측 즉 콘크리트 구조물(110)의 내측에 각각 위치하도록 설치할 수도 있다. 또한, 이 실시예에서는 기둥(111)의 양쪽에 각각 설치되는 한 쌍의 강재 차단부재(120)를 통해 연통구(113)의 일부분씩을 차단하여 정온영역을 증대시키도록 구성하였으나, 기둥(111)의 외측 또는 내측을 덮으면서 연통구(113)의 일부분씩을 덮는 일체형 강재 차단부재를 이용해 정온영역을 증대시키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상하단 고정부재(130, 140)는 다수 쌍의 강재 차단부재(120)를 정위치에 각각 위치시켜 기둥(111)의 주위에 정온영역을 증대시키도록 그 하단 및 상단을 각각 고정하여 콘크리트[콘크리트 구조물(110)]와 강재[다수 쌍의 강재 차단부재(120)]를 일체화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상하단 고정부재(130, 140)는 도면과 같은 H빔을 비롯하여 플레이트, L형강, I형강, ㄷ형강 또는 C형강 등으로 구성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H빔을 서로 연결하여 상하단 고정부재(130, 140)를 구성한 것이다.
그리고 이 실시예에서는 하단 고정부재(140)의 상단에 콘크리트 구조물(110)의 하단을 위치시켜 지지하고 기둥(111)의 양쪽 외측에 한 쌍의 강재 차단부재(120)가 각각 위치하도록 강재 차단부재(120)의 하단을 하단 고정부재(140)에 용접하고, 강재 차단부재(120)의 상단에 상단 고정부재(130)를 용접함으로써, 기둥(111)의 주위에 정온영역을 증대시킴과 더불어 콘크리트와 강재를 일체화한 것이다. 그러나 강재 차단부재(120)의 하단과 하단 고정부재(140) 간의 용접이 견고하여 강재 차단부재(120)가 거센 조류에도 하단 고정부재(140)로부터 분리될 우려가 없다면, 상단 고정부재(140)로 강재 차단부재(120)의 상단을 고정하여 보강하지 않아도 무방하다.
또한, 이 실시예의 상하단 고정부재(130, 140)는 강재 차단부재(120)를 정위치에 위치시켜 기둥(111)의 주위에 정온영역을 증대시킴과 더불어 콘크리트와 강재를 일체화하는 것이 주역할이다. 따라서 이 실시예는 상하단 고정부재(130, 140) 대신에 기둥(111)의 양쪽 외측 또는 내측에 각각 위치하는 다수 쌍의 강재 차단부재(120) 또는 다수개의 일체형 강재 차단부재의 외측 또는 내측을 서로 연결하는 1개의 고정부재를 이용해 주역할을 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도 3a 내지 도 7b는 이 발명에 따른 어류의 서식공간의 확장이 가능하도록 콘크리트와 강재를 일체화한 하이브리드형 인공어초의 여러 형태를 개념적으로 각각 도시한 분해 사시도와, 각각의 하이브리드형 인공어초를 일정 높이에서 절단하여 위에서 본 평면도 및 일부 확대도이다.
도 3a 내지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형 인공어초는 강재 차단부재를 L형강 대신에 4각 파이프(도 3a, 도 3b), ㄷ형강(도 4a, 도 4b), C형강(도 5a, 도 5b), 원형 파이프(도 6a, 도 6b) 및 플레이트(도 7a, 도 7b)로 구성한 것을 제외하고는 앞서 설명한 실시예와 동일한 개념으로 구성된다.
앞서 설명한 실시예들에서는 사각 박스형태의 콘크리트 구조물(110)을 이용한 하이브리드형 인공어초(100)에 대해 설명했으나, 이 발명은 3각형, 5각형, 6각형 및 8각형 등 다양한 다각형 형상의 콘크리트 구조물을 이용해 하이브리드형 인공어초를 구현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들에서는 기둥(111)의 단면이 4각형인 콘크리트 구조물(110)을 이용한 하이브리드형 인공어초(100)에 대해 설명했으나, 이 발명은 3각형, 5각형, 6각형 및 8각형 등 다양한 다각형 형상의 기둥을 갖 는 콘크리트 구조물을 이용해 하이브리드형 인공어초를 구현할 수도 있다.
도 8은 이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어류의 서식공간의 확장이 가능하도록 콘크리트와 강재를 일체화한 하이브리드형 인공어초의 구성요소들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형 인공어초(200)는 도 2a에 도시된 인공어초(100)를 이용하되 그 사이즈를 크게 구성한 것으로서, 하단 고정부재(240)의 외측으로 연장하는 다수개의 연장부재(250)와, 다수개의 연장부재(250)를 서로 연결하여 하단을 구성하는 하단부재(260)와, 하단부재(260)와 상단 고정부재(230)를 서로 연결하는 다수개의 경사부재(270)를 갖는다.
이 실시예의 하이브리드형 인공어초(200)는 도 2a와 달리 강재 차단부재(220)를 콘크리트 구조물(210)의 상단에서 일정 높이까지 높인 상태에서 강재 차단부재(220)의 상단에 상단 고정부재(230)를 용접한 것이다. 또한, 상단 고정부재(230) 및 하단부재(260)를 C형강으로 구성하고, C형강의 내부공간에 친환경 소재로 제작된 다수개의 블록(280)을 끼워 고정한 상태로 구성한 것이다. 이러한 블록(280)은 친환경 소재로 제작되어 상단 고정부재(230) 및 하단부재(260)의 내부공간에 끼워져 고정되는 것으로서, 현재 시중에 유통되고 있는 적벽돌이나 황토벽돌, 또는 환경 친화적인 황토와 패각을 이용하여 일반적인 적벽돌 또는 황토벽돌의 크기로 제작된 벽돌을 사용하면 된다.
이때, 블록(280)은 상하부를 수직하게 관통하는 다수개의 관통구멍을 갖거나, 관통구멍을 전혀 갖지 않게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관통구멍을 갖는 블록의 경우에는 그 관통구멍에 치어나 치패들이 서식하는 공간으로 활용되거나, 부 유물이 쌓여 해조류가 보다 빨리 착생할 수 있도록 돕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블록(280)은 상하부를 수직하게 관통하는 다수개의 관통구멍을 갖는 적벽돌이나 황토벽돌을 이용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도 9는 이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어류의 서식공간의 확장이 가능하도록 콘크리트와 강재를 일체화한 하이브리드형 인공어초의 구성요소들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형 인공어초(300)는 도 2a에 도시된 인공어초(100)를 이용하되 그 사이즈를 크게 구성한 것으로서, 다수개의 콘크리트 구조물(310)과, 하단 고정부재(340)의 외측으로 연장하는 다수개의 연장부재(350)와, 다수개의 연장부재(350)를 서로 연결하여 하단을 구성하는 하단부재(360)와, 하단부재(360)와 상단 고정부재(330)를 서로 연결하는 다수개의 경사부재(370)를 갖도록 구성된다.
도 10은 도 2a에 도시된 하이브리드형 인공어초 다수개를 일반적인 대형 인공어초에 분산 배열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발명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개념으로 구성된 하이브리드형 인공어초 다수개를 일반적인 대형 인공어초에 분사 배열한 대형 인공어초를 구성할 수도 있다.
도 2a 내지 도 10을 참고하여 설명한 상기 실시예들에서는 콘크리트로 제작된 콘크리트 구조물에 강재를 일체화한 하이브리드형 인공어초에 대해 설명했으나, 이 발명은 콘크리트 구조물 대신에 강재와 용접 접합이 불가능한 이종재료인 FRP(Fiber Reinforced Plastics), 황토, 세라믹 또는 제철슬래그 등에 의해 거푸집 성형, 조립 또는 용접 접합되며 상기와 동일한 구조의 구조물에 강재를 일체화한 하이브리드형 인공어초를 구성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이 발명의 어류의 서식공간의 확장이 가능한 하이브리드형 인공어초 및 이를 구비한 대형 인공어초에 대한 기술사항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이 발명의 가장 양호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이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이면 누구나 이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고 첨부한 특허청구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도 1a 및 도 1b는 사각 박스형 콘크리트 인공어초의 사시도 및 인공어초를 일정 높이에서 절단하여 위에서 본 평면도이고,
도 2a는 이 발명에 따른 어류의 서식공간의 확장이 가능하도록 콘크리트와 강재를 일체화한 하이브리드형 인공어초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2b는 도 2a에 도시된 하이브리드형 인공어초를 일정 높이에서 절단한 사시도이고,
도 2c는 도 2b에 도시된 하이브리드형 인공어초를 위에서 본 평면도 및 일부 확대도이고,
도 3a 내지 도 7b는 이 발명에 따른 어류의 서식공간의 확장이 가능하도록 콘크리트와 강재를 일체화한 하이브리드형 인공어초의 여러 형태를 개념적으로 각각 도시한 분해 사시도와, 각각의 하이브리드형 인공어초를 일정 높이에서 절단하여 위에서 본 평면도 및 일부 확대도이고,
도 8 및 도 9는 이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어류의 서식공간의 확장이 가능하도록 콘크리트와 강재를 일체화한 하이브리드형 인공어초의 구성요소들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0은 도 2a에 도시된 하이브리드형 인공어초 다수개를 일반적인 대형 인공어초에 분산 배열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하이브리드형 인공어초 110 : 콘크리트 구조물
111 : 기둥 112 : 보
113 : 연통구 120 : 강재 차단부재
130 : 상단 고정부재 140 : 하단 고정부재

Claims (8)

  1. 일정용적의 내부공간을 갖도록 다수개의 기둥과 보로 구성되며 상기 기둥과 보에 의해 형성되어 상기 내부공간과 연통하는 연통구를 가지며 강재와 용접 접합이 불가능한 이종재료로 제작된 구조물과,
    상기 기둥의 양쪽에 각각 형성되는 상기 연통구의 일부분씩을 차단하도록 상기 기둥의 높이방향으로 각각 설치되어 상기 기둥의 주위에 조류의 영향을 적게 받는 정온영역을 증대시키는 다수개의 강재 차단부재와,
    강재로 구성되어 상기 다수개의 강재 차단부재가 정위치에 각각 위치하도록 고정하여 상기 구조물과 상기 다수개의 강재 차단부재를 일체화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형 인공어초.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강재 차단부재는 상기 기둥의 양쪽 외측에 각각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형 인공어초.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구조물의 하단을 지지하면서 상기 다수개의 강재 차단부재의 하단을 고정하는 하단 고정부재와, 상기 다수개의 강재 차단부재의 상단을 고정하는 상단 고정부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형 인공어초.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구조물은 콘크리트, FRP(Fiber Reinforced Plastics), 황토, 세라믹 또는 제철슬래그 중 어느 하나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형 인공어초.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강재 차단부재는 L형강, 4각 파이프, ㄷ형강, C형강, 원형 파이프 또는 플레이트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형 인공어초.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하단 고정부재의 외측으로 연장하는 다수개의 연장부재와, 상기 다수개의 연장부재를 서로 연결하여 하단을 구성하는 하단 부재와, 상기 하단 부재와 상기 상단 고정부재를 서로 연결하는 다수개의 경사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형 인공어초.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하단 부재와 상기 상단 고정부재는 C형강으로 구성되고, 상기 C형강의 그 내부공간에 다수개의 블록이 끼워져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형 인공어초.
  8. 청구항 4에 기재된 하이브리드형 인공어초 다수개를 일반적인 대형 인공어초의 내부에 분산 배열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형 인공어초.
KR1020070070259A 2007-07-12 2007-07-12 어류의 서식공간의 확장이 가능한 하이브리드형 인공어초 및 이를 구비한 대형 인공어초 Expired - Fee Related KR1010251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0259A KR101025104B1 (ko) 2007-07-12 2007-07-12 어류의 서식공간의 확장이 가능한 하이브리드형 인공어초 및 이를 구비한 대형 인공어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0259A KR101025104B1 (ko) 2007-07-12 2007-07-12 어류의 서식공간의 확장이 가능한 하이브리드형 인공어초 및 이를 구비한 대형 인공어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6674A KR20090006674A (ko) 2009-01-15
KR101025104B1 true KR101025104B1 (ko) 2011-03-25

Family

ID=404878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70259A Expired - Fee Related KR101025104B1 (ko) 2007-07-12 2007-07-12 어류의 서식공간의 확장이 가능한 하이브리드형 인공어초 및 이를 구비한 대형 인공어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2510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11507A (ko) 2014-07-22 2016-02-01 최형석 미래지향적 기능성 인공어초
CN107926804B (zh) * 2017-12-18 2023-06-09 深圳海川新材料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多层立体人工鱼礁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4134B1 (ko) * 2003-08-26 2004-03-24 대한민국 보강판을 구비하는 인공어초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4134B1 (ko) * 2003-08-26 2004-03-24 대한민국 보강판을 구비하는 인공어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6674A (ko) 2009-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34259B1 (ko) 콘크리트와 강재를 일체화한 하이브리드형 인공어초 및이를 구비한 대형 인공어초
KR200473631Y1 (ko) 해양생태 복원용 다기능 복합 인공어초
KR101025104B1 (ko) 어류의 서식공간의 확장이 가능한 하이브리드형 인공어초 및 이를 구비한 대형 인공어초
JPH0881936A (ja) 河川浄化用護岸化粧構造
KR101167655B1 (ko) 팔각지붕형 인공어초
KR101738836B1 (ko) 바이오 세라믹 벽돌을 이용한 인공어초
KR101006319B1 (ko) 다수개 연결형 인공어초
KR100979420B1 (ko) 터널식 인공어초
KR100996879B1 (ko) 패류 부착구조를 갖는 강재골조 인공어초
KR100891738B1 (ko) 어도 시설 기능을 겸한 방틀형 식생 및 호안 블록
JP4659538B2 (ja) 人工リーフ及びその構築工法
KR101674892B1 (ko) 인공어초 및 그 제조방법
KR20240103814A (ko) 에코주름형 어초
KR100262796B1 (ko) 인공 어초를 이용한 해양 목장의 조성방법
KR102052926B1 (ko) 플러스 공간 인공어도초
KR100962667B1 (ko) 패류용 인공어초 및 그 제조 방법
KR20090000182U (ko) 굴 패각 투석식 강제어초
JP4180218B2 (ja) 魚礁兼用消波用ブロック
KR101624469B1 (ko) 밸러스트 콘크리트와 일체화된 쉘터구조물을 가지는 침선어초
KR20060116688A (ko) 해중림 조성용 하우스형 인공어초
KR101125868B1 (ko) 인공어초 및 인공어초 복합체
KR101239378B1 (ko) 문어의 산란장 및 성육이 가능한 다기능 구조물
KR102350819B1 (ko) 화로형 인공어초
KR101409006B1 (ko) 친환경 수중 구조물 및 그 제조방법
KR200447682Y1 (ko) 세굴방지용 식생블럭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70712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8111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090504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081110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PJ0201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Patent event date: 20090608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code: PJ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90504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J02011S01I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Decision date: 20110228

Appeal identifier: 2009101005151

Request date: 20090608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90608

Effective date: 20110228

PJ1301 Trial decision

Patent event code: PJ13011S01D

Patent event date: 20110228

Comment text: Trial Decision on Objection to Decision on Refusal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 date: 20090608

Decision date: 20110228

Appeal identifier: 2009101005151

PS0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PS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mand of revocation

Patent event date: 20110315

Patent event code: PS07012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10303

Patent event code: PS07011S01I

Comment text: Notice of Trial Decision (Remand of Revoc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1031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1031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1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31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5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30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9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30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0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31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6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306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1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311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317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317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314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412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