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025012B1 - 후면강하 로터리식 스크린 - Google Patents

후면강하 로터리식 스크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25012B1
KR101025012B1 KR1020100066830A KR20100066830A KR101025012B1 KR 101025012 B1 KR101025012 B1 KR 101025012B1 KR 1020100066830 A KR1020100066830 A KR 1020100066830A KR 20100066830 A KR20100066830 A KR 20100066830A KR 101025012 B1 KR101025012 B1 KR 1010250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bar
sprocket
rake
foreign matt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668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팔석
Original Assignee
윤팔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팔석 filed Critical 윤팔석
Priority to KR10201000668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2501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50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5012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5/00Artificial water canals, e.g. irrigation canals
    • E02B5/08Details, e.g. gates, screens
    • E02B5/085Arresting devices for waterborne materials, e.g. grat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후면강하 로터리식 스크린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 스크린과 레이크의 틈 사이로 각종 이물이 끼어 인력으로 직접 제거해야했으며 또 인양물에 함유된 수분에 의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
하수처리장이나 취수장 등에 설치되어 유입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내어 제거하기 위하여 조밀한 간격으로 다수가 입설되는 바로 이루어져 유입수의 흐름에 후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바 스크린과, 상기 바 스크린의 상부와 하부에 인접하여 동일한 축에 의하여 회전하는 각각 두 개의 상부 및 하부 스프라켓과, 상기 상부 및 하부 스프라켓을 연결하고 상기 상부 스프라켓과 연동하는 모터에 의하여 운동하는 체인과, 상기 체인에 일정 간격으로 장착되어 상기 바 스크린에 걸린 이물질을 상부로 이송하는 다수의 레이크로 구성되는 후면강하 로터리식 스크린에 있어서;
상기 상부 스프라켓이 양측에 장착되는 상부축은 상단과 하단에 가이드홈이 형성되는 이동부재가 적어도 두 개 이상 형성되고, 상기 이동부재의 가이드홈에 상응하는 가이드레일이 스프라켓 고정브라켓의 상부와 하부에 형성되되, 상기 이동부재에는 가이드레일 방향으로 나사축이 연장되어 상기 스프라켓 고정브라켓을 관통 연결하여 상기 나사축의 길이방향 위치에 따라 체인의 장력이 조절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레이크는 이물질을 수집하기 위하여 전방으로 돌출된 갈퀴부와, 후방에 인접한 상기 바 스크린의 인접한 바의 사이에 삽입되도록 일정 간격 다수 돌출 형성되는 삽입돌출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후면강하 로터리식 스크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후면강하 로터리식 스크린{The screen type of rotary dropping in back side}
본 발명은 후면강하 로터리식 스크린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종래 스크린과 레이크의 틈 사이로 각종 이물이 끼어 인력으로 직접 제거해야했으며 또 인양물에 함유된 수분에 의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발된 후면강하 로터리식 스크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오폐수를 처리하는 하수처리장과 취수장에서는 물의 정화를 위하여 화학적 그리고 생물학적 처리를 하여 각종 유기물질을 제거하고 있다.
하지만 하천이나 하수관으로부터 흘러 내려오는 유입수에는 각종 부유물을 포함하는 이물질을 포함하고 있어 이러한 이물질의 경우 화학적 또는 생물학적인 처리로 해결할 수 없어 기계적인 스크린에 의하여 걸러내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스크린 특히 로터리식 스크린의 구조는 물이 유입되는 곳에 조밀한 간격으로 입설되어 있는 다수의 바로 이루어지는 스크린과, 상기 스크린의 전면 즉 물이 유입되는 면에 밀착되어 상승하면서 스크린에 걸린 이물질을 상부로 이송하는 수 개의 레이크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하여 이루어진 로터리식 스크린은 하수처리장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으나 상기 스크린을 구성하는 바의 사이와 상기 스크린과 레이크의 틈 사이로 제거되지 않은 이물질의 끼임 현상이 발생하여 장치가 정상적으로 작동되더라도 부분적으로 사람이 직접 제거해야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스크린에 의하여 인양된 이물질(협잡물)은 수분을 많이 함유하고 있어 저장 및 운반시 유출수에 의한 이차 오염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스크린을 구성하는 바의 사이와, 스크린과 레이크 사이의 틈으로 이물질이 끼이는 것을 방지하거나 또는 끼인 이물질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는 후면강하 로터리식 스크린을 개발하는 것에 있다.
또한, 수분이 많이 함유된 이물질의 수분을 최소화할 수 있는 후면강하 로터리식 스크린을 개발하는 것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하수처리장이나 취수장 등에 설치되어 유입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내어 제거하기 위하여 조밀한 간격으로 다수가 입설되는 바로 이루어져 유입수의 흐름에 후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바 스크린과, 상기 바 스크린의 상부와 하부에 인접하여 동일한 축에 의하여 회전하는 각각 두 개의 상부 및 하부 스프라켓과, 상기 상부 및 하부 스프라켓을 연결하고 상기 상부 스크린과 연동하는 모터에 의하여 운동하는 체인과, 상기 체인에 일정 간격으로 장착되어 상기 바 스크린에 걸린 이물질을 상부로 이송하는 다수의 레이크로 구성되는 후면강하 로터리식 스크린에 있어서;
상기 상부 스프라켓이 양측에 장착되는 상부축은 상단과 하단에 가이드홈이 형성되는 이동부재가 적어도 두 개 이상 형성되고, 상기 이동부재의 가이드홈에 상응하는 가이드레일이 스프라켓 고정브라켓의 상부와 하부에 형성되되, 상기 이동부재에는 가이드레일 방향으로 나사축이 연장되어 상기 스프라켓 고정브라켓을 관통 연결하여 상기 나사축의 길이방향 위치에 따라 체인의 장력이 조절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레이크는 이물질을 수집하기 위하여 전방으로 돌출된 갈퀴부와, 후방에 인접한 상기 바 스크린의 인접한 바의 사이에 삽입되도록 일정 간격 다수 돌출 형성되는 삽입돌출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바 스크린을 구성하는 바는 수직으로 입설되는 얇은 판형으로 이루어져 그 두께 면이 유입수의 진행 방향과 직각이 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바 스크린과 레이크는 유입수가 유입되는 방향으로 볼록하게 형성되어, 상기 바 스크린을 이루는 바는 인접한 바와 후방 방향으로 그 간격이 넓어지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삽입돌출부는 후방으로 형성된 다수의 브러쉬로 대체됨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상부 스프라켓은 유입수로의 상판 보다 더욱 높게 형성되고, 그 끝단에서 연직 하부로 이물질 탈수통이 형성되어 이물질이 쌓이도록 하되, 이송된 이물질에 포함된 물이 상기 이물질 탈수통의 연직 하부 바 스크린을 통과한 유입수로로 배출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스크린을 구성하는 바의 사이와, 스크린과 레이크 사이의 틈으로 이물질이 끼이는 것을 방지하거나 또는 끼인 이물질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하여 종래 사람이 직접 수작업으로 제거해야 했던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수분이 많이 함유된 이물질을 일정 시간 탈수 장치에서 물이 빠지도록 하여 오염된 물에 의한 이차 오염을 최대한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장력 조절구조를 나타낸 개념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A-A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A-A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A-A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레이크를 나타낸 사시도
이에 본 발명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측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장력 조절구조를 나타낸 개념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A-A 단면도로서, 하수처리장이나 취수장 등에 설치되어 유입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내어 제거하기 위하여 조밀한 간격으로 다수가 입설되는 바(11)로 이루어져 유입수의 흐름에 후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바 스크린(1)과, 상기 바 스크린(1)의 상부와 하부에 인접하여 동일한 축에 의하여 회전하는 각각 두 개의 상부 및 하부 스프라켓(2, 3)과, 상기 상부 및 하부 스프라켓(2, 3)을 연결하고 상기 상부 스프라켓(2)과 연동하는 모터(4)에 의하여 운동하는 체인(5)과, 상기 체인(5)에 일정 간격으로 장착되어 상기 바 스크린(1)에 걸린 이물질을 상부로 이송하는 다수의 레이크(6)로 구성되는 후면강하 로터리식 스크린을 나타내었다.
본원의 경우 기존의 방식과 기본적인 구성에 있어서는 별다른 기술의 차이가 없으나 기존의 구성은 주지관용의 기술인데 반하여 본원에서는 상기 레이크(6)는 이물질을 수집하기 위하여 전방으로 돌출된 갈퀴부(61)와, 후방에 인접한 상기 바 스크린(1)의 인접한 바(11)의 사이에 삽입되도록 일정 간격 다수 돌출 형성되는 삽입돌출부(62)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실시 예를 제시하였다.
상기 실시 예는 바 스크린(1)과 레이크(6)의 사이 틈과, 바 스크린(1)을 구성하는 인접한 바(11) 사이의 공간으로 이물질의 끼임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삽입돌출부(62)가 후방으로 연장되도록 하였다.
또한 상기 삽입돌출부(62)는 인접한 바(11)의 사이에 이물질이 끼었을 경우 이를 레이크(6)의 상승 운동과 함께 이를 빼내어 제거할 수 있는 기능도 같이 가지고 있다.
또한, 본원에서는 상기 상부 스프라켓(2)이 양측에 장착되는 상부축(21)은 상단과 하단에 가이드홈이 형성되는 이동부재(22)가 적어도 두 개 이상 형성되고, 상기 이동부재(22)의 가이드홈에 상응하는 가이드레일(23)이 스프라켓 고정브라켓(24)의 상부와 하부에 형성되되, 상기 이동부재(22)에는 가이드레일(23) 방향으로 나사축(25)이 연장되어 상기 스프라켓 고정브라켓(24)을 관통 연결하여 상기 나사축(25)의 길이방향 위치에 따라 체인(5)의 장력이 조절되도록 구성되는 실시 예 또한 기본적인 구성으로 제시하였다.
상기 실시 예는 장치의 장기간 가동 또는 주위 온도의 변화에 따라 상기 체인(5)이 늘어나는 경우가 발생하면 이는 장치의 오작동의 원인이 될 수 있으므로 필요에 따라 상기 상부 스프라켓(2)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상기 나사축(25)이 관통하면 그 외측의 너트를 조임으로 상부 스프라켓(2)이 후방으로 이동하도록 할 수도 있으며, 상기 스프라켓 고정브라켓(24)의 나사홀을 형성하여 상기 나사축(25)이 이와 결합 관통될 경우 상기 나사축(25)을 회전 시켜 상부 스프라켓(2)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또 본원에서는 추가적인 실시 예로 상기 상부 스프라켓(2)은 유입수로(7)의 상판(71) 보다 더욱 높게 형성되고, 그 끝단에서 연직 하부로 이물질 탈수통(8)이 형성되어 이물질이 쌓이도록 하되, 이송된 이물질에 포함된 물이 상기 이물질 탈수통(8)의 연직 하부 바 스크린(1)을 통과한 유입수로(7)로 배출되도록 구성되는 실시 예를 제시하였다.
상기 실시 예는 수분을 다량 함유한 이물질에 의하여 이차오염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이물질 탈수통(8)은 단순히 저면이 망 구조로 이루어져 물이 자연적으로 하부로 빠져나오게 하는 구성을 할 수 있으며, 또는 기계적인 강제 탈수의 기능을 둘 수도 있다.
강제 탈수 방법은 상기 이물질 탈수통(8)을 회전시켜 원심력에 의허여 탈수되도록 하는 것과, 반복 교반에 의하여 탈수하는 등 여러 가지 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A-A 단면도로서, 상기 바 스크린(1)을 구성하는 바(11)는 수직으로 입설되는 얇은 판형으로 이루어져 그 두께 면이 유입수의 진행 방향과 직각이 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바 스크린(1)과 레이크(6)는 유입수가 유입되는 방향으로 볼록하게 형성되어, 상기 바 스크린(1)을 이루는 바(11)는 인접한 바(11)와 후방 방향으로 그 간격이 넓어지도록 형성되는 실시 예를 제시하였다.
상기 실시 예는 이물질이 걸리는 인접한 두 개의 바(11) 사이 폭이 후방으로 갈수록 넓어지도록 하면 작은 이물질은 물의 흐름에 따라 걸리지 않고 바 스크린(1)을 빠져나가게 되어 바 스크린(1)에 끼인 상태로 있는 이물질을 최소화하기 위한 실시 예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A-A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레이크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상기 삽입돌출부(62)는 후방으로 형성된 다수의 브러쉬(63)로 구성됨을 나타내었다.
전술한 삽입돌출부(62)의 구성은 틈 사이에 이물질이 단단히 끼어 있을 경우 장치의 작동 불능 원인이 되기도 하며, 또한 바(11)에 미세한 이물질이 층을 이루면서 붙어 있을 경우 효과적인 제거가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이에 브러쉬(63)를 삽입돌출부(62) 대신 형성할 경우 이물질이 단단히 끼어 있는 경우 어느 정도 힘만 작용한 후 통과하게 되어 반복되는 작용에 의하여 오히려 더 용이하게 이물질이 제거될 수 있다.
또한 바(11)의 표면에 형성된 이물질 즉 일 예로 물이끼 등이 부착되었을 경우 브러쉬(63)는 이를 보다 쉽게 제거할 수 있는 수단이 된다.
1 : 바 스크린
11 : 바
2 : 상부 스프라켓
21 : 상부축 22 : 이동부재
23 : 가이드레일 24 : 스프라켓 고정브라켓
25 : 나사축
3 : 하부 스프라켓
4 : 모터
5 : 체인
6 : 레이크
61 : 갈퀴부 62 : 삽입돌출부
63 : 브러쉬
7 : 유입수로
71 : 상판
8 : 이물질 탈수통

Claims (4)

  1. 하수처리장이나 취수장 등에 설치되어 유입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내어 제거하기 위하여 조밀한 간격으로 다수가 입설되는 바(11)로 이루어져 유입수의 흐름에 후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바 스크린(1)과, 상기 바 스크린(1)의 상부와 하부에 인접하여 동일한 축에 의하여 회전하는 각각 두 개의 상부 및 하부 스프라켓(2, 3)과, 상기 상부 및 하부 스프라켓(2, 3)을 연결하고 상기 상부 스프라켓(2)과 연동하는 모터(4)에 의하여 운동하는 체인(5)과, 상기 체인(5)에 일정 간격으로 장착되어 상기 바 스크린(1)에 걸린 이물질을 상부로 이송하는 다수의 레이크(6)로 구성되는 후면강하 로터리식 스크린에 있어서;
    상기 상부 스프라켓(2)이 양측에 장착되는 상부축(21)은 상단과 하단에 가이드홈이 형성되는 이동부재(22)가 적어도 두 개 이상 형성되고, 상기 이동부재(22)의 가이드홈에 상응하는 가이드레일(23)이 스프라켓 고정브라켓(24)의 상부와 하부에 형성되되, 상기 이동부재(22)에는 가이드레일(23) 방향으로 나사축(25)이 연장되어 상기 스프라켓 고정브라켓(24)을 관통 연결하여 상기 나사축(25)의 길이방향 위치에 따라 체인(5)의 장력이 조절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레이크(6)는 이물질을 수집하기 위하여 전방으로 돌출된 갈퀴부(61)와, 후방에 인접한 상기 바 스크린(1)의 인접한 바(11)의 사이에 삽입되도록 일정 간격 다수 돌출 형성되는 삽입돌출부(62)를 포함하며,
    상기 바 스크린(1)을 구성하는 바(11)는 수직으로 입설되는 얇은 판형으로 이루어져 그 두께 면이 유입수의 진행 방향과 직각이 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바 스크린(1)과 레이크(6)는 유입수가 유입되는 방향으로 볼록하게 형성되어, 상기 바 스크린(1)을 이루는 바(11)는 인접한 바(11)와 후방 방향으로 그 간격이 넓어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더 포함하는 후면강하 로터리식 스크린.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돌출부(62)는 후방으로 형성된 다수의 브러쉬(63)로 대체됨을 특징으로 하는 후면강하 로터리식 스크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스프라켓(2)은 유입수로(7)의 상판(71) 보다 더욱 높게 형성되고, 그 끝단에서 연직 하부로 이물질 탈수통(8)이 형성되어 이물질이 쌓이도록 하되, 이송된 이물질에 포함된 물이 상기 이물질 탈수통(8)의 연직 하부 바 스크린(1)을 통과한 유입수로(7)로 배출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후면강하 로터리식 스크린.
KR1020100066830A 2010-07-12 2010-07-12 후면강하 로터리식 스크린 Active KR1010250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6830A KR101025012B1 (ko) 2010-07-12 2010-07-12 후면강하 로터리식 스크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6830A KR101025012B1 (ko) 2010-07-12 2010-07-12 후면강하 로터리식 스크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25012B1 true KR101025012B1 (ko) 2011-03-25

Family

ID=439394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66830A Active KR101025012B1 (ko) 2010-07-12 2010-07-12 후면강하 로터리식 스크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25012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2929B1 (ko) 2012-03-23 2012-05-14 거림환경 주식회사 미세 협잡물처리용 웨지형 바 스크린을 포함하는 협잡물 종합처리장치
KR101301974B1 (ko) * 2012-12-07 2013-08-30 주식회사 이엔이텍 브러쉬를 갖는 이중 레이크 구조
KR101338315B1 (ko) 2010-06-18 2013-12-09 유한회사 원진엔비텍 오각형 바가 설치된 스크린
CN103613149A (zh) * 2013-11-26 2014-03-05 刘晓静 一种新型水轮旋转格栅
KR20160088594A (ko) * 2015-01-16 2016-07-26 장현수 스크린 잔류 협잡물의 처리구조를 갖는 레이크 및 이를 이용한 제진기
KR101659899B1 (ko) * 2016-03-24 2016-09-26 신신이앤지(주) 로타리 제진기
KR101822178B1 (ko) * 2017-08-09 2018-01-26 주식회사 우성테크 휠스크린 장치
JP2021116538A (ja) * 2020-01-22 2021-08-10 宇部興産機械株式会社 除塵装置の運転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44243A (ja) * 1994-11-21 1996-06-04 Ube Techno Enji Kk 通水路の除塵方法および装置
KR200306430Y1 (ko) * 2002-10-16 2003-03-11 정위득 스크린 레이크 보호장치
KR200323130Y1 (ko) * 2003-05-22 2003-08-14 (유)신일 수로용 제진기 유니트
KR100607865B1 (ko) * 2005-12-19 2006-08-03 주식회사동일기술공사 이물질 차단판이 구비된 로터리식 제진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44243A (ja) * 1994-11-21 1996-06-04 Ube Techno Enji Kk 通水路の除塵方法および装置
KR200306430Y1 (ko) * 2002-10-16 2003-03-11 정위득 스크린 레이크 보호장치
KR200323130Y1 (ko) * 2003-05-22 2003-08-14 (유)신일 수로용 제진기 유니트
KR100607865B1 (ko) * 2005-12-19 2006-08-03 주식회사동일기술공사 이물질 차단판이 구비된 로터리식 제진기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8315B1 (ko) 2010-06-18 2013-12-09 유한회사 원진엔비텍 오각형 바가 설치된 스크린
KR101142929B1 (ko) 2012-03-23 2012-05-14 거림환경 주식회사 미세 협잡물처리용 웨지형 바 스크린을 포함하는 협잡물 종합처리장치
KR101301974B1 (ko) * 2012-12-07 2013-08-30 주식회사 이엔이텍 브러쉬를 갖는 이중 레이크 구조
CN103613149A (zh) * 2013-11-26 2014-03-05 刘晓静 一种新型水轮旋转格栅
KR20160088594A (ko) * 2015-01-16 2016-07-26 장현수 스크린 잔류 협잡물의 처리구조를 갖는 레이크 및 이를 이용한 제진기
KR102258255B1 (ko) * 2015-01-16 2021-06-01 장현수 스크린 잔류 협잡물의 처리구조를 갖는 레이크 및 이를 이용한 제진기
KR101659899B1 (ko) * 2016-03-24 2016-09-26 신신이앤지(주) 로타리 제진기
KR101822178B1 (ko) * 2017-08-09 2018-01-26 주식회사 우성테크 휠스크린 장치
JP2021116538A (ja) * 2020-01-22 2021-08-10 宇部興産機械株式会社 除塵装置の運転方法
JP7310619B2 (ja) 2020-01-22 2023-07-19 Ubeマシナリー株式会社 除塵装置の運転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25012B1 (ko) 후면강하 로터리식 스크린
KR100889497B1 (ko) 회류식 사육수조를 포함하는 순환여과식 양어 시설
KR101084319B1 (ko) 제진기의 잔류 진개물 제거장치
EP3003526B1 (en) Continuous belt screen
KR102371002B1 (ko) 협잡물 제거 효율이 증대된 레이크 구조를 가진 스크린
KR102392835B1 (ko) 휴지시 이물질의 진입을 차단하는 로타리 제진기
KR101752105B1 (ko) 더블 레이크가 적용된 로터리 제진기
KR100902816B1 (ko) 오폐수 처리용 자동 바 스크린 장치
KR101738353B1 (ko) 로터리 제진기
KR101887831B1 (ko) 협잡물 퇴적방지구조가 적용된 계단식 여과기
KR101425778B1 (ko) 제진기
KR101119517B1 (ko) 로터리 제진기
US6613238B2 (en) Fixed media filter screen, screen protector, and CSO screen
KR200332449Y1 (ko) 로터리식 제진기
KR102243084B1 (ko) 제진기
KR102258255B1 (ko) 스크린 잔류 협잡물의 처리구조를 갖는 레이크 및 이를 이용한 제진기
KR101254694B1 (ko) 제진기
KR20190119750A (ko) 수로 분리형 제진기
KR101177922B1 (ko) 제진기
KR101403773B1 (ko) 제진기 틈새로 유입되는 잔존협잡물 차단기능을 구비한 자동제진기.
KR101330187B1 (ko) 로터리 제진기
KR101325471B1 (ko) 프레임 부착 롤러 타입의 회전망스크린 장치
KR101044248B1 (ko) 수 처리용 회전식 플레이트형 제진기
JP3616663B2 (ja) 除糞装置
KR101126198B1 (ko) 폐수정화장치용 무빙스크린기의 스크린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0712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00712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0100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0121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1022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1031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1032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03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20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7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21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1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32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2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302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9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219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7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207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316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321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320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418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317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