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024437B1 - Stone waste sludge treatment device and treatment method - Google Patents

Stone waste sludge treatment device and treatment metho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24437B1
KR101024437B1 KR1020110004280A KR20110004280A KR101024437B1 KR 101024437 B1 KR101024437 B1 KR 101024437B1 KR 1020110004280 A KR1020110004280 A KR 1020110004280A KR 20110004280 A KR20110004280 A KR 20110004280A KR 101024437 B1 KR101024437 B1 KR 1010244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udge
reservoir
water
stone waste
dry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0428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복희
Original Assignee
이복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복희 filed Critical 이복희
Priority to KR10201100042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24437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44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4437B1/en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 C02F11/121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mechanical de-watering
    • C02F11/125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mechanical de-watering using screw fil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8Control or steering systems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subclass C02F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Treatment Of Slud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현무암 등의 석재를 가공하는 과정에서 발생된 폐슬러지를 처리하는 장치와 이를 이용해 폐슬러지를 산업원자재로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기술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수분을 함유한 메인슬러지가 수용될 수 있는 수용공간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수용공간 내에 교반날개가 설치되어 있으며, 하부에는 메인슬러지 중 입자가 큰 슬러지와 수분이 배출되는 제1배출구가 형성되어 있고 상부에는 상대적으로 작은 입자의 슬러지와 수분이 배출되는 제2배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원심분리부, 상기 제1배출구와 연결되어 상기 제1배출구를 통해 배출된 슬러지 및 수분이 저장되는 제1저수로 및 상기 제1저수로 상측에서 상기 제1저수로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상기 제2배출구를 통해 배출된 슬러지가 안착되어 이송되는 제1이송컨베이어를 갖는 제1선별부, 상기 제1선별부 일측에 위치하고 있고 상기 제1이송컨베이어를 따라 이송된 슬러지가 수용되는 건조부 및 상기 제1저수로 일측에 형성되어 있는 제2저수로와 상기 제2저수로 상측에서 상기 제2저수로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는 제2이송컨베이어를 갖는 제2선별부를 포함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for treating waste sludge generated in the process of processing stone such as basalt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waste sludge as industrial raw material using the same.
To this end,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with a receiving space for accommodating the main sludge containing water and the stirring blade is installed in the receiving space, the lower portion of the main sludge and the first discharge port is discharged water And a centrifugal separator having a second discharge port for discharging water and sludge of relatively small particles thereon, and a sludge and water discharged through the first discharge port in connection with the first discharge port. A first sorting part having a first conveying conveyor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reservoir and above the first reservoir and having a sludge discharged through the second discharge port seated and transported, one side of the first selecting portion Located in and the drying unit for receiving the sludge conveyed along the first conveying conveyor and the second bottom formed on one side of the first reservoir And the second from the top in jeosuro comprises a second selection portion having a second transfer conveyor which is formed along the second longitudinal jeosuro.

Figure R1020110004280
Figure R1020110004280

Description

석재 폐슬러지 처리장치 및 그 처리방법{DISPOSAL APPARATUS OF STONE SLUDGE AND DISPOSAL METHOD THEREOF}Stone waste sludge treatment apparatus and its treatment method {DISPOSAL APPARATUS OF STONE SLUDGE AND DISPOSA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현무암 등의 석재를 가공하는 과정에서 발생된 폐슬러지를 처리하는 장치와 이를 이용해 폐슬러지를 산업원자재로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기술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for treating waste sludge generated in the process of processing stone such as basalt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waste sludge as industrial raw material using the same.

일반적으로 현무암 등의 석재 원석을 건축자재나 조경물 등으로 가공하는 과정에서 커팅장치로 원석을 커팅하는 과정을 거치는데, 이러한 커팅과정에서 커팅부위에 물을 분사하여 커팅 시 발생되는 석재분진의 비산을 방지함과 동시에 커팅효율이 향상되도록 한다.In general, in the process of processing stone ore, such as basalt, as a building material or landscaping material, the raw material is cut by a cutting device.In this cutting process, water is sprayed on the cutting part to scatter the stone dust generated during cutting. While preventing and improving cutting efficiency.

그런데 이 과정에서 석재분진은 물과 함께 별도의 수조 또는 수로 내에 수집되고 이 과정에서 석재분진은 고여있는 물 내에 슬러지 형태로 침전된다.In this process, the stone dust is collected together with the water in a separate tank or channel, and in this process, the stone dust is precipitated in sludge form in the standing water.

이러한 분진 폐슬러지는 현재 특별한 처리기준이 제시되어 있지 않아, 대부분 매립방식으로 처리되고 있다.These dust waste sludges are currently not treated with special treatment standards, and most of them are disposed of by landfill.

하지만 석재분진은 수분과 접촉될 경우 마치 진흙처럼 자체 점도가 높아지기 대문에 이렇게 단순 매립하게 되면 비나 눈에 의해 수분이 지하 매립지점까지 침투함으로써 석재분진의 점도 증가로 인해, 지면 중 석재분진이 매립된 지점의 지반강도가 약화되어, 결국 지반 함몰 등의 사고 발생 위험이 높다.However, when the dust is in contact with moisture, its own viscosity is increased like mud, so when this simple landfill is infiltrated by the rain or snow, the moisture is penetrated to the underground landfill point, resulting in an increase in the viscosity of the stone dust. As the ground strength of the branch is weakened, there is a high risk of accidents such as ground depression.

특히, 석재 폐슬러지는 바람이 강하게 부는 경우 일반 대기중으로 유입되어 공기를 오염시키며, 비가 많이 올 때는 하천 및 지하수로 유입되어 수질을 오염시키는 등 환경 오염 및 피해를 발생시키는 요인이 된다.In particular, the stone waste sludge flows into the general atmosphere when the wind blows strongly, and pollutes the air when it rains a lot.

그리고 위와 같이 현재에는 석재분진 폐슬러지의 처리방식이 단순 매립처리로 한정되어 있으므로 폐슬러지의 재처리 및 더 나아가 재활용을 통한 처리방식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As above, the treatment method of the waste stone sludge is currently limited to simple landfill treatment, and thus, a treatment method through reprocessing and further recycling of the waste sludge is urgently required.

기본적으로 석재가공과정에서 발생된 석재 폐슬러지를 폐기처리방식이 아닌 재활용방식을 통해 처리할 수 있도록 하여 매립에 의한 지반붕괴사고 등의 방지 및 산업상 이용이 가능한 석재 폐슬러지 처리장치와 처리방법 및 원자재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Basically, the stone waste sludge generated in the stone processing process can be treated by recycling method, not waste disposal method. To provide a method for manufacturing raw materials.

그리고 석재 폐슬러지 처리과정에서 불순물 제거 및 입자크기 별로 선별이 가능하도록 하여 적용분야별 적정 입자상태 별 분리효율을 높일 수 있는 석재 폐슬러지 처리장치 및 처리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In addition, it is intended to provide a stone waste sludge treatment apparatus and treatment method that can improve the separation efficiency by the appropriate particle state for each application by removing impurities and sorting by particle size in the stone waste sludge treatment process.

또한 석재 폐슬러지의 처리과정에서 슬러지와 분리된 물을 산업용수 등으로 재활용 할 수 있는 석재 폐슬러지 처리장치 및 처리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In addition, it is intended to provide a device and treatment method for the stone waste sludge that can recycle the water separated from the sludge during the treatment of stone waste sludge as industrial water.

그리고 석재 폐슬러지의 처리를 통해 입자크기 별로 가공 처리된 슬러지 분진을 각 산업별 원자재로 재활용할 수 있는 석재 폐슬러지 처리장치와 처리방법 및 원자재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In addition, through the treatment of stone waste sludg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evice for treating stone waste sludge, a treatment method,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raw material, which can recycle sludge dust processed by particle size into raw materials for each industry.

위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제안된 본 발명의 실시 예 중 석재 폐슬러지 처리장치에 관한 실시 예는,Among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d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n embodiment of a waste stone sludge treatment apparatus,

수분을 함유한 메인슬러지가 수용될 수 있는 수용공간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수용공간 내에 교반날개가 설치되어 있으며, 하부에는 메인슬러지 중 입자가 큰 슬러지와 수분이 배출되는 제1배출구가 형성되어 있고 상부에는 상대적으로 작은 입자의 슬러지와 수분이 배출되는 제2배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원심분리부, 상기 제1배출구와 연결되어 상기 제1배출구를 통해 배출된 슬러지 및 수분이 저장되는 제1저수로 및 상기 제1저수로 상측에서 상기 제1저수로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상기 제2배출구를 통해 배출된 슬러지가 안착되어 이송되는 제1이송컨베이어를 갖는 제1선별부, 상기 제1선별부 일측에 위치하고 있고 상기 제1이송컨베이어를 따라 이송된 슬러지가 수용되는 건조부 및 상기 제1저수로 일측에 형성되어 있는 제2저수로와 상기 제2저수로 상측에서 상기 제2저수로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는 제2이송컨베이어를 갖는 제2선별부를 포함한다.An accommodating space for accommodating the main sludge containing water is formed, and a stirring blade is installed in the accommodating space, and a lower portion of the main sludge and a first discharge port through which water is discharged are formed. The centrifugal separator is formed with a second discharge port for discharging the sludge and water of relatively small particles, a first reservoir connected with the first discharge port for storing the sludge and water discharged through the first discharge port and the second discharge port. A first sorting part having a first conveying conveyor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reservoir in a first reservoir and the sludge discharged through the second discharge port is seated and transported. A drying unit for receiving the sludge conveyed along the conveying conveyor and the second reservoir and the second reservoir formed on one side of the first reservoir And a second sorting unit having a second conveying conveyor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cond reservoir in the upper side.

삭제delete

또한 상기 제2선별부는 상기 제2이송컨베이어 상측에 형성되어 상기 제2이송컨베이어 상에 위치한 슬러지에 세척수를 분사하는 제1분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selection unit may further include a first injection unit formed on the second transfer conveyor to spray the washing water to the sludge located on the second transfer conveyor.

그리고 상기 제1저수로에는 상기 제1배출구와 연결되어 있는 부분으로부터 제1저수로의 길이방향을 따라 반대쪽 단부로 갈수록 아래를 향해 경사진 형태의 제1경사면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저수로에는 상기 제1경사면과 반대방향으로 경사진 형태의 제2경사면이 제2저수로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reservoir has a first inclined surface that is inclined downward from the portion connected to the first outlet toward the opposite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reservoir, and the second reservoir has the first inclined surface. A second inclined surface incline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inclined surface may be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cond reservoir.

또한 상기 제1경사면 중 상기 제1배출구와 연결된 지점부근에 형성되어 상기 제1저수로를 분할구획하고 있는 필터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inclined surface may include a filter portion formed near the point connected to the first outlet and partitions the first reservoir.

그리고 상기 필터부는 상기 제1경사면 상에 격벽 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배출구를 통해 배출된 슬러지가 1차적으로 걸러지는 통공을 갖는 제1필터판 및 상기 제1필터판과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제1필터판 의 통공보다 작은 직경의 통공을 가지며 상기 제1필터판을 통과한 슬러지가 2차적으로 걸러지는 제2필터판을 포함할 수 있다.The filter part is formed in the form of a partition wall on the first inclined surface and is disposed at a distance from the first filter plate and the first filter plate having a through hole through which the sludge discharged through the first discharge port is first filtered. And a second filter plate having a through hole of a diameter smaller than that of the first filter plate, and the sludge passing through the first filter plate is secondaryly filtered.

또한 상기 제1이송컨베이어에는 상기 제1저수로와 연결되어 있는 제1배수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이송컨베이어는 상기 제2저수로와 연결되어 있는 제2배수공이 형성되어 있으며,In addition, the first transfer conveyor is formed with a first drain hole connected to the first reservoir, the second transfer conveyor is formed with a second drain hole connected to the second reservoir,

상기 제1이송컨베이어와 상기 제2이송컨베이어 상에 위치한 슬러지가 상기 제1배수공과 상기 제2배수공에 의해 걸러질 수 있다.The sludge located on the first conveying conveyor and the second conveying conveyor may be filtered by the first drain hole and the second drain hole.

그리고 상기 제1저수로와 상기 제2이송컨베이어를 연결하는 제1보조이송컨베이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저수로에 침전된 슬러지가 상기 제1보조이송컨베이어를 따라 이송하여 상기 제2이송컨베이어에 안착될 수 있다.And a first auxiliary transport conveyor connecting the first water reservoir and the second transport conveyor, wherein the sludge deposited in the first water reservoir is transported along the first auxiliary transport conveyor to be seated on the second transport conveyor. Can be.

또한 상기 제1이송컨베이어상에 위치하여 제1이송컨베이어를 따라 이송되고 상기 제2배출공을 통해 배출된 슬러지가 수용되며 표면에는 외부와 내부를 연결하는 배출공이 형성되어 있는 제1운반용기, 상기 제2이송컨베이어 상에 위치하여 제2이송컨베이어를 따라 이송되고 상기 제1저수로에 침전된 슬러지가 수용되며 제1운반용기의 배출공 직경보다 작은 직경의 배출공이 형성되어 있는 제2운반용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transport container is located on the first conveying conveyor is transported along the first conveying conveyor and the sludge discharged through the second discharge hole, the discharge port for connecting the outside and the inside is formed on the surface, the A second transport container located on the second transport conveyor and transported along the second transport conveyor to accommodate sludge deposited in the first reservoir, and having a discharge hole having a diameter smaller than that of the first transport container. It may include.

그리고 상기 제1저수로와 상기 제2저수로와 연결되어 있는 집수탱크 및 상기 집수탱크와 상기 제1저수로와 상기 집수탱크를 연결하는 제1연결배관 및 상기 제2저수로와 상기 집수탱크를 연결하는 제2연결배관을 포함하고,And a collecting tank connected to the first reservoir and the second reservoir, a first connecting pipe connecting the collecting tank and the first reservoir and the collecting tank, and a second connecting the collecting reservoir and the second reservoir. Including connecting piping,

상기 제1, 2연결배관의 일단부는 상기 제1, 2저수로 중 최대 깊이 형성지점의 의 상측에 연결될 수 있다.One end of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on pipes may be connected to an upper side of the maximum depth forming point of the first and second reservoirs.

또한 상기 제2선별부의 제1분사부는 상기 집수탱크와 연결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injection portion of the second sorting unit may be connected to the collecting tank.

그리고 상기 제2저수로 일측에 형성되어 있는 제3저수로와 상기 제3저수로 상측에서 상기 제3저수로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는 제3이송컨베이어를 갖는 제3선별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And a third sorting unit having a third reservoir formed on one side of the second reservoir and a third transfer conveyor formed in a longitudinal direction from the upper side of the third reservoir.

또한 상기 제3선별부는 상기 집수탱크와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제3이송컨베이어 상측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3이송컨베이어 상에 세척수를 분사하는 제3분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third sorting unit may further include a third spraying unit which is formed above the third conveying conveyor in a state of being connected to the collecting tank and sprays the washing water onto the third conveying conveyor.

그리고 상기 제3선별부는 상기 제3저수로의 바닥에 제3저수로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고 제3저수로의 일측단부로부터 타측단부를 향해 경사져 있는 제3경사면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third selection unit may further include a third inclined surface formed at the bottom of the third reservoi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hird reservoir and inclined toward one end of the third reservoir.

또한 상기 제2저수로와 상기 제3이송컨베이어를 연결하는 제2보조이송컨베이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저수로에 침전된 슬러지가 상기 제2보조이송컨베이어를 통해 상기 제3이송컨베이어로 이송될 수 있다.
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auxiliary transfer conveyor connecting the second reservoir and the third transfer conveyor, and the sludge precipitated in the second reservoir may be transferred to the third transfer conveyor through the second auxiliary transfer conveyor. have.

그리고 위와 같은 석재 폐슬러지 처리장치를 이용한 석재 폐슬러지 처리방법에 관한 실시예는,And the embodiment of the stone waste sludge treatment method using the stone waste sludge treatment apparatus as described above,

수분을 함유한 석재슬러지를 회전시켜 큰 입자의 제1슬러지와 작은 입자의 제2슬러지를 분리 배출시키는 원심 분리공정, 상기 제1슬러지를 저장하면서 제1슬러지를 침전시키는 1차 슬러지침전단계 및 상기 제2슬러지를 이송시키면서 제2슬러지로부터 수분 및 이물질을 분리시키는 탈수단계를 갖는 1차 선별공정, 상기 탈수단계를 거친 상기 제2슬러지를 건조시켜 분말형태로 만드는 1차건조공정을 포함한다.A centrifugal separation step of separating and discharging the first sludge of the large particles and the second sludge of the small particles by rotating the stone sludge containing water; a first sludge precipitation step of precipitating the first sludge while storing the first sludge; It includes a first sorting process having a dehydration step of separating the water and foreign matter from the second sludge while transferring the second sludge, and a first drying process of drying the second sludge after the dewatering step to form a powder form.

그리고 상기 1차 건조공정 이후에 실시되고 건조된 상기 제2슬러지 분말에 흙 안정 강화제(soil tac)와 물 및 붕사분말을 혼합시켜 혼합시료를 만드는 시료형성단계, 상기 혼합시료를 금형에 넣어 양생시키는 1차 양생단계, 상기 양생단계 후 상기 금형으로부터 상기 혼합시료를 분리시키고 혼합시료 표면에 붕사액을 도포시키는 도포단계, 상기 붕사액을 건조시키는 2차 양생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And a sample forming step of mixing a soil stabilizer (soil tac) with water and borax powder to the second sludge powder which is carried out after the first drying process and dried, and curing the mixed sample by putting it in a mold. The first curing step, after the curing step may further include a coating step of separating the mixed sample from the mold and applying a borax solution to the surface of the mixed sample, a secondary curing step of drying the borax solution.

또한 상기 시료형성단계에서 상기 상기 흙 안정 강화제와 상기 물 간 혼합비율은 물 최소 20%중량비에서 최대 50%중량비 : 흙 안정 강화제 최소 50%중량비에서 최대 80%중량비로 이루어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mixing ratio between the soil stabilizer and the water in the sample forming step may be made up of a maximum ratio of 50% by weight in water at least 20% by weight: at least 50% by weight of soil stabilizer in a ratio of up to 80% by weight.

그리고 상기 1차 건조공정 이후에 실시되고 상기 제2슬러지 분말에 흙 안정 강화제(soil tac)와 물, 수용성접착제를 혼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mixing the soil stabilizer (soil tac) with water and a water-soluble adhesive in the second sludge powder after the first drying process.

또한 상기 원심분리공정과 상기 1차 슬러지 침전단계 사이에 실시되며, 상기 제1 슬러지를 입자크기 별로 분리시켜 상기 제1슬러지로부터 상기 제2슬러지보다 입자가 작은 제3슬러지를 걸러내는 제1슬러지 걸름단계를 더 포함하고,In addition, the first sludge filtering is performed between the centrifugation process and the first sludge precipitation step, and the first sludge is separated by particle size to filter out the third sludge having smaller particles than the second sludge from the first sludge. More steps,

상기 1차 슬러지 침전단계는 상기 제3슬러지가 침전되도록 하는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1차 건조단계는 상기 제3슬러지를 건조시키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first sludge precipitation step may be made in such a way that the third sludge is precipitated, and the first drying step may be made in the form of drying the third sludge.

그리고 상기 1차 슬러지 침전단계 이후에 실시되고 상기 제3슬러지가 침전되어 있는 수분을 외부로 배출시켜 상기 제3슬러지를 분리해내는 제3슬러지 분리공정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a third sludge separation process performed after the first sludge settling step and separating the third sludge by discharging the water from which the third sludge is precipitated to the outside.

또한 상기 제3슬러지 분리공정을 통해 분리된 상기 제3슬러지를 이송시키면서 세척액으로 제3슬러지를 세척함과 동시에 상기 제3슬러지로부터 입자가 더욱 작은 제4슬러지를 걸러내는2차 선별공정을 더 포함하고,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sorting process of filtering the third sludge with the washing liquid while transferring the third sludge separated through the third sludge separation process and filtering the fourth sludge having smaller particles from the third sludge. and,

상기 2차 선별공정은 집수된 상기 세척액 및 상기 제3슬러지로부터 배출된 수분내에 상기 제4슬러지가 침전되도록 하는 2차 슬러지 침전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ary sorting process may include a secondary sludge precipitation step to allow the fourth sludge to precipitate in the water discharged from the collected wash liquid and the third sludge.

그리고 상기 2차 선별공정을 통해 선별된 상기 제3슬러지와 제4슬러지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건조하여 분말형태로 만드는 2차 건조공정 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drying process of drying at least one or more of the third and fourth sludges selected through the second sorting process to form a powder.

또한 상기 2차 건조단계와 상기 2차 슬러지 침전단계 사이에 실시되고 상기 제4슬러지가 침전된 상태의 세척액을 외부로 배출시켜 상기 제4슬러지를 분리해내는 제4슬러지 분리공정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a fourth sludge separation process performed between the second drying step and the second sludge settling step and separating the fourth sludge by discharging the washing liquid having the fourth sludge settled to the outside. have.

그리고 상기 제4슬러지 분리공정을 통해 분리된 상기 제4슬러지를 이송시키면서 세척액으로 제4슬러지를 세척함과 동시에 상기 제4슬러지로부터 입자가 더욱 작은 제5슬러지를 걸러내는3차 선별공정을 더 포함하고,And a third sorting step of filtering the fourth sludge with a washing liquid while filtering the fourth sludge separated through the fourth sludge separation process and filtering out the fifth sludge having smaller particles from the fourth sludge. and,

상기 3차 선별공정은 집수된 상기 세척액 및 상기 제4슬러지로부터 배출된 수분 내에 상기 제5슬러지가 침전되도록 하는 3차 슬러지 침전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tertiary sorting process may include a tertiary sludge precipitation step of allowing the fifth sludge to precipitate within the water discharged from the collected wash liquid and the fourth sludge.

또한 상기 3차 선별공정을 통해 선별된 제5슬러지를 건조하여 분말형태로 만드는 3차 건조공정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a third drying process of drying the fifth sludge selected through the third sorting process to form a powder.

그리고 상기 3차 건조단계와 상기 3차 슬러지 침전단계 사이에 실시되고, 상기 제5슬러지가 침전된 상태의 세척액을 외부로 배출시켜 상기 제5슬러지를 분리해내는 제5슬러지 분리공정을 더 포함할 수 있다.And a fifth sludge separation process performed between the third drying step and the third sludge settling step, and separating the fifth sludge by discharging the washing liquid in a state in which the fifth sludge is precipitated to the outside. Can be.

상기 석재 폐슬러지 처리장치 및 석재 폐슬러지 처리방법에서 상기 슬러지는 현무암 슬러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stone waste sludge treatment apparatus and stone waste sludge treatment method, the sludg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basalt sludge.

이러한 여러 실시예를 갖는 본 발명은,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se various embodiments,

석재 가공과정에서 발생된 석재 폐슬러지를 원심분리방식을 이용해 입자크기 별로 분리하여 입자크기 별로 별도 가공을 통해 처리됨에 따라 입자크기 별로 해당 원자재로의 맞춤형 제조가 가능하므로 매립처리 방식에 의한 문제점을 해결 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Stone waste sludge generated in the stone processing process is separated by particle size by centrifugal separation method and processed through separate processing for each particle size. It has the advantage to do it.

그리고 세척방식을 통해 폐슬러지의 입자크기 선별이 단계별로 이루어짐에 따라 폐슬러지의 이물질 제거효율향상 및 슬러지 선별 효율을 향상되는 장점도 갖는다.In addition, as the particle size screening of waste sludge is performed step by step through the washing method, it is also advantageous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removing foreign substances and improve the sludge sorting efficiency of the waste sludge.

또한 폐슬러지 선별과정에서 폐슬러지가 함유되어 있던 지장수의 정화가 자연스럽게 이루어지므로 정화된 지장수를 산업용수로 재활용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In addition, since the purification of the liquor containing waste sludge is naturally performed during the waste sludge sorting process, the purified liquor is recycled into industrial water.

그리고 본 발명은 각 단계별 선별과정을 통해 선별된 폐슬러지의 별도 가공을 통해 가정에서도 손쉽게 각 산업별 원자재로 재활용하여 제작 및 적용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각 산업분야별 원자재 절감효율을 얻을 수 있는 장점을 갖을 뿐만 아니라, 음이온, 원적외선 방사 및 탈취 효과와 함께 불연성, 형상복원력, 제습효과, 항균성 등을 부여할 수 있게 되며, 균일하고 고급스러운 재질 부여 등으로 제품의 품질을 높일 수 있는 등의 효과를 제공한다.
In another asp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that can be easily recycled into raw materials for each industry in the home through the separate processing of the waste sludge selected through the step-by-step sorting process, to obtain the raw material saving efficiency of each industry sector In addition to the effects of anion, far-infrared radiation and deodorization, non-combustibility, shape restoring power, dehumidification effect, and antimicrobial effect can be given, and uniform and high-quality materials can be used to improve product quality. to provide.

도1은 석재 폐슬러지 처리장치의 전체 평면개략도
도2는 원심분리부 및 제1선별부의 개략단면도
도3은 제2선별부의 측면 개략단면도
도4는 제3선별부의 측면 개략단면도
도5는 보조이송컨베이어가 설치된 상태의 전체 평면개략도
도6은 석재 폐슬러지 처리방법의 전체 공정도
도7a 및 도7b는 석재 폐슬러지 처리장치를 통해 가공된 현무암분말 슬러지 시료에 대한 시험성적서
1 is a general plan view of the stone waste sludge treatment apparatus
Figure 2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the centrifugal separator and the first selection unit
3 is a schematic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second sorting unit;
4 is a schematic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third sorting unit;
Figure 5 is a schematic overall plan view of the auxiliary transport conveyor is installed
6 is an overall process diagram of the stone waste sludge treatment method
7a and 7b is a test report for the basalt powder sludge samples processed through the stone waste sludge treatment apparatus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easil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Like parts are designated by like reference numeral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본 발명 석재 폐슬러지 처리장치는 석재 폐 슬러지 중, 특히 현무암 슬러지의 처리에 관한 것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원심분리부(100)와 제1선별부(200), 제2선별부(300) 및 제3선별부(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Stone waste sludge treatment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the treatment of stone waste sludge, in particular basalt sludge, as shown in FIG. 1, the centrifugation unit 100 and the first screening unit 200, the second screening It comprises a unit 300 and the third selection unit 400.

먼저 원심분리부(100)는 최초 석재가공과정에서 석재로부터 발생된 분진과 분진 비산방지용도로 사용되는 물이 혼합된 형태의 메인슬러지(S)를 회전시켜 메인슬러지(S)에 함유된 물을 분리시킴과 동시에 메인슬러지(S)의 입자크기 별 최초 분리기능을 하는 것으로, [도 1] 및 [도 2]와 같이 다시 수용본체(110)와 교반부(120)를 포함한다.First, the centrifugal separator 100 separates the water contained in the main sludge S by rotating the main sludge S in which the dust generated from the stone and the water used for dust scattering prevention are mixed during the initial stone processing. Simultaneously with the initial separation function for each particle size of the main sludge (S), as shown in [FIG. 1] and [FIG. 2] again includes a receiving body 110 and the stirring unit 120.

그 중 수용본체(110)는 전체적으로 원통형태이며 내부에는 수용공간(112)이 형성되는데, 이때 수용공간(112)의 내벽면은 전체적으로 원형의 곡면을 이루도록 하여 원심분리(사이클론)과정에서 메인슬러지(S)의 회전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Among them, the receiving body 110 has a cylindrical shape as a whole, and an accommodating space 112 is formed therein, wherein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accommodating space 112 forms a circular curved surface as a whole, and thus the main sludge (cyclone) process The rotation of S) can be made smoothly.

또한 수용본체(110)는 원심분리효율을 높이기 위해 하단으로 갈수록 직경이 감소되는 형태로 이루어진다.In addition, the receiving body 110 is made in the form of reducing the diameter toward the bottom to increase the centrifugation efficiency.

이러한 수용본체(110)의 하단에는 메인슬러지(S)의 회전과정에서 입자가 크고 무거운 슬러지(이하 '제1슬러지(1)'라 함)의 외부배출을 위한 제1배출구(114)가 형성되어 있고 측벽 상부에는 상대적으로 입자가 작고 가벼운 슬러지(이하 '제2슬러지(2)'라 함)의 외부배출을 위한 제2배출구(116)가 형성되어 있다.The first discharge port 114 for external discharge of the large and heavy sludge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first sludge 1') is formed in the lower end of the receiving body 110, the main sludge (S) In addition, a second discharge port 116 is formed at the upper side of the side wall for external discharge of relatively small and light sludge (hereinafter referred to as 'second sludge 2').

이때 제1배출구(114)와 제2배출구(116)에는 별도의 전자 또는 수동방식의 개폐밸브(미도시)가 형성되어 선택적으로 개폐될 수 있도록 한다.At this time, the first discharge port 114 and the second discharge port 116 is provided with a separate electronic or manual type on-off valve (not shown) to be selectively opened and closed.

그리고 원심분리부(100)의 또 다른 구성요소인 교반부(120)는 메인슬러지(S)의 실질적인 회전구동원 역할을 하는 것으로, 수용본체(110) 내부에 설치되는 교반날개(122) 및 교반날개(122)와 연결되어 구동원 역할을 하는 구동모터(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In addition, the stirring unit 120, which is another component of the centrifugal separation unit 100, serves as a substantially rotary driving source of the main sludge S, and the stirring wing 122 and the stirring wing installed inside the receiving body 110.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drive motor (not shown) connected to the 122 to serve as a drive source.

이때 교반날개(122)는 수용본체(110)의 바닥에 위치되는데, 형성위치는 바닥에 한정되지 않고 메인슬러지(1)를 원활히 회전시킬 수 있는 위치라면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stirring blade 122 is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receiving body 110, the forming position is not limited to the bottom can be variously modified if the position that can smoothly rotate the main sludge (1).

이러한 원심분리부(100)는 제1선별부(200)와 연결된다.
The centrifugal separator 100 is connected to the first selection unit 200.

제1선별부(200)는 원심분리부(100)를 통해 분리된 제1슬러지(1)와 제2슬러지(2)를 각각 입자크기 별로 재차 선별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다시 제1저수로(210)와 필터부(220) 및 제1이송컨베이어(2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first selection unit 200 serves to reselect the first sludge 1 and the second sludge 2 separated by the particle size, respectively, by the centrifugal separator 100, and again, the first water reservoir 210. ) And a filter unit 220 and a first transfer conveyor 230.

그 중 제1저수로(210)는 제1슬러지(1)의 저장 및 입자별 선별이 이루어지는 부분으로, 지면상에 소정의 깊이 및 길이를 갖는 수로 형태로 형성된다.The first reservoir 210 is a portion in which the first sludge 1 is stored and the particles are sorted. The first reservoir 210 is formed in a channel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depth and length on the ground.

이때 제1저수로(210)의 바닥 면은 한쪽 단부에서 반대쪽 단부로 갈수록 아래로 경사진 형태의 제1경사면(212)이 형성된다. 따라서 제1저수로(210)는 제1경사면(212)에 의해 일측으로 갈수록 깊이가 깊어지는 구조를 갖는다.At this time, the bottom surface of the first reservoir 210 is formed with a first inclined surface 212 inclined downward from one end to the opposite end. Therefore, the first reservoir 210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depth deepens toward one side by the first inclined surface 212.

이때 원심분리부(100)의 제1배출구(114)는 제1저수로(210) 중 깊이가 제일 낮은 지점 상에 위치됨에 따라 제1배출구(114)로부터 배출된 제1슬러지(1)는 제1경사면(212)면을 따라 일측으로 흘러내리게 된다.At this time, the first discharge port 114 of the centrifuge 100 is located on the lowest depth of the first reservoir 210, the first sludge 1 discharged from the first discharge port 114 is the first The inclined surface 212 flows down to one side.

그리고 필터부(220)는 제1슬러지(1)가 제1저수로(210)에 수용되는 과정에서 제1슬러지(1)를 입자크기 별로 선별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다시 제1필터판(222)과 제2필터판(224)을 포함한다.In addition, the filter unit 220 serves to select the first sludge 1 by particle size in the process in which the first sludge 1 is accommodated in the first reservoir 210, and again, the first filter plate 222. And a second filter plate 224.

그 중 제1필터판(222)은 판재형태로 표면에는 슬러지 및 수분의 통과를 위한 통공(미도시)가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참고로 제1필터판(222)은 판재에 통공을 타공시킨 구조 또는 전체가 메쉬(mesh)구조로 이루어지도록 제작될 수 있다.Among them, the first filter plate 222 has a structure in which a through hole (not shown) i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first filter plate 222 to pass sludge and moisture. For reference, the first filter plate 222 may be manufactured to have a structure in which a through hole is formed in the plate or the whole may have a mesh structure.

이러한 제1필터판(222)은 [도 2]와 같이 제1저수로(210)중 깊이가 제일 낮는 지점 부근에 설치됨에 따라, 제1슬러지(1)가 제1경사면(212)을 따라 이동하는 과정에서 제1슬러지(1)에 함유된 수분과 제1슬러지(1)중 입자가 작은 슬러지(이하 '제3슬러지(3)'라 함)는 통공을 통과하게 되고 제1슬러지(1) 중 제3슬러지(3)보다 입자가 큰 슬러지는 제1필터판(222)을 통과하지 못한 상태로 제1경사면(212) 상에 남게 된다.As the first filter plate 222 is installed near the lowest point of the first reservoir 210 as shown in FIG. 2, the first sludge 1 moves along the first inclined surface 212. In the process, the water contained in the first sludge 1 and the sludge having small particles in the first sludge 1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ird sludge 3') pass through the through hole and the first sludge 1 The sludge having larger particles than the third sludge 3 remains on the first inclined surface 212 without passing through the first filter plate 222.

그리고 제2필터판(224)은 제1필터판(222)과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지며 제1필터판(222)과 이격 된 상태로 배치된다. 구체적으로는 제2필터판(224)은 제1저수로(212)중 제1필터판(222)이 위치된 지점보다 깊이가 깊은 지점에 위치된다.In addition, the second filter plate 224 has the same structure as the first filter plate 222 and is spaced apart from the first filter plate 222. Specifically, the second filter plate 224 is located at a point deeper than the point where the first filter plate 222 is located in the first reservoir 212.

이때 제2필터판(224)에 형성된 통공의 직경은 제1필터판(222)의 통공 보다 작게 형성됨에 따라, 제3슬러지(3)가 제1경사면(212)을 따라 이동하는 과정에서 제3슬러지(3)에 함유된 수분과 제3슬러지 중 입자가 더욱 작은 슬러지만이 제2필터판(224)을 통과하게 되고 상대적으로 큰 입자의 슬러지는 제2필터판(224)을 통과하지 못하고 제1필터판(222)과 제2필터판(224) 사이에 위치하게 된다.In this case, as the diameter of the through hole formed in the second filter plate 224 is smaller than the through hole of the first filter plate 222, the third sludge 3 moves in the process of moving along the first slope 212. Among the water and the third sludge contained in the sludge 3, the smaller sludge is passed through the second filter plate 224, and the sludge of relatively large particles does not pass through the second filter plate 224. It is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filter plate 222 and the second filter plate 224.

즉 제1필터판(222)과 제2필터판(224)이 제1저수로(212)를 구간별로 분할구획하고 제1슬러지(1)를 입자크기 별로 순차적으로 걸러내는 것이다.That is, the first filter plate 222 and the second filter plate 224 divide and partition the first reservoir 212 by section, and sequentially filter the first sludge 1 by particle size.

이러한 필터부(220)에 의해 제1저수로(212) 중 제2필터판(220)이후 구간 내에는 제1슬러지(1) 중 제일 입자가 작은 슬러지가 저장된다.The sludge having the smallest particle among the first sludge 1 is stored in the section after the second filter plate 220 of the first reservoir 212 by the filter unit 220.

참고로 필터부(220)는 제1필터부(222)의 통공 직경을 아주 미세하게 형성시킬 경우 제2필터판(224)을 생략할 수 있고, 반대로 제2필터판(224)과 더불어 더욱 많은 필터판을 추가 설치하는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For reference, the filter unit 220 may omit the second filter plate 224 when the through hole diameter of the first filter unit 222 is formed to be very small. It may also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dditional filter plate.

이하에서는 제3슬러지(3)가 제1저수로(212) 중 제2필터판(224)이후 구간에 최종적으로 위치하는 것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it will be described that the third sludge 3 is finally positioned in a section after the second filter plate 224 of the first reservoir 212.

이렇게 제2필터판(224)을 통과한 후 제1저수로(212)내에 저장된 제3슬러지(3)는 제1배출구(114)를 통해 배출된 수분과 함께 저장되고, 제1저수로(212) 내에는 후술하는 제2슬러지(2)로부터 탈수된 수분이 함께 저장되므로, 결국 제3슬러지(3)는 이러한 수분 내에서 침전된 상태로 위치하게 된다.After passing through the second filter plate 224, the third sludge 3 stored in the first reservoir 212 is stored together with the water discharged through the first outlet 114, and is stored in the first reservoir 212. Since the dehydrated water from the second sludge 2 to be described later is stored together, the third sludge 3 is finally placed in a precipitated state in such moisture.

그리고 제1저수로(212)에 최종 수용된 제3슬러지(3)의 입자크기는 후술하는 제2슬러지의 입자크기보다 작게 형성되도록 필터부(220)에 의해 걸러진다.The particle size of the third sludge 3 finally received in the first reservoir 212 is filtered by the filter unit 220 so as to be smaller than the particle size of the second sludge described later.

참고로 필터부를 제1저수로(212)에 형성시키지 않고 제1배출구(114)내에 설치하여 제1슬러지(1)가 제1배출구(114)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제3슬러지(3)가 선별된 상태로 배출되도록 할 수도 있다.For reference, the third sludge 3 is sorted in a process in which the first sludge 1 passes through the first outlet 114 by being installed in the first outlet 114 without forming the filter part in the first reservoir 212. It can also be discharged in a state.

이 경우 제1슬러지가 제3슬러지의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In this case, the first sludge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the meaning of the third sludge.

필터부(220)와 함께 제1선별부(200)를 구성하는 제1이송컨베이어(230)는 제2배출구(116)를 통해 배출된 제2슬러지(2)의 이송 및 탈수 기능을 하는 것으로, 일반적인 컨베이어벨트 형태로 이루어지며 제1저수로(212) 위쪽에 위치한 상태에서 제1저수로(212)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된다.The first conveying conveyor 230 constituting the first selection unit 200 together with the filter unit 220 serves to transfer and dewater the second sludge 2 discharged through the second outlet 116. It is made in the form of a general conveyor belt and is dispos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reservoir 212 in a state located above the first reservoir 212.

따라서 제1배출구(114)로 배출된 제2슬러지(2)는 제1이송컨베이어(230)를 통해 제1저수로(212) 길이방향을 따라 이송된다.Therefore, the second sludge 2 discharged to the first discharge port 114 is transferr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reservoir 212 through the first transfer conveyor 230.

이때 제1이송컨베이어(230)의 표면에는 제1저수로(212)와 연통되는 제1배수공(232)이 형성된다.In this case, a first drain hole 232 communicating with the first reservoir 212 i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first conveying conveyor 230.

그리고 이러한 제1이송컨베이어(230) 상에는 제1운반용기(240)가 안착되는데, 제1운반용기(240)는 제2슬러지(2)의 수용기능을 하는 것으로,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형태의 일반적인 용기 형태이고 바닥에는 대략 지름 0.5mm 정도의 제1배출공(242)이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지고 제1이송컨베이어(230)상에 안착되어 제1이송컨베이어(230)를 따라 이송된다.In addition, the first transport container 240 is seated on the first transport conveyor 230. The first transport container 240 serves to receive the second sludge 2, and a space is formed therein. It is a general container form of the bottom is made of a structure formed with a first discharge hole 242 having a diameter of about 0.5mm and is seated on the first conveying conveyor 230 is transported along the first conveying conveyor 230.

따라서 제2슬러지(2)는 제2배출구(116)를 통해 배출된 후 제1운반용기(240)에 수용된 상태로 제1이송컨베이어(230)를 따라 이송되고, 이 과정에서 제2슬러지(2)에 함유된 수분을 비롯해 미세입자의 슬러지는 제1운반용기(240)의 제1배출공(242)과 제1이송컨베이어(230)의 제1배수공(232)을 통해 제1저수로(210)로 수용된다.Therefore, the second sludge 2 is discharged through the second discharge port 116 and then transported along the first conveying conveyor 230 in a state of being accommodated in the first transport container 240, and the second sludge 2 in this process. Sludge of fine particles, including moisture contained in the first water reservoir 210 through the first discharge hole 242 of the first transport container 240 and the first drain hole 232 of the first conveying conveyor 230. Is accepted.

따라서 위에서 언급한 것처럼 제1저수로(210) 내에는 제3슬러지(3)가 이러한 수분내에 침전된 상태, 즉 제1저수로(210) 중 깊이가 제일 깊은 지점을 기준으로 봤을 때 제3슬러지(3)는 제1경사면(212)으로부터 약 중간지점 이하의 높이까지 침전된 상태가 되고 그 위쪽 구간으로는 수분만이 존재하게 된다.Accordingly, as mentioned above, when the third sludge 3 is deposited in the water in the first reservoir 210, that is, the third sludge 3 is viewed based on the deepest point of the first reservoir 210. ) Is settled from the first inclined surface 212 to a height of about the middle point or less, and only water is present in the upper section.

참고로 제1운반용기(240)를 구비시키지 않고 제1슬러지(1)가 제1이송컨베이어(230)에 직접 안착되어 이송되는 구조로도 구현될 수 있다.For reference, the first sludge 1 may be directly mounted on the first conveying conveyor 230 without being provided with the first conveying container 240.

이러한 제1선별부(200) 일측에는 집수탱크(500)가 설치된다.
A collecting tank 500 is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first sorting unit 200.

집수탱크(500)는 제1저수로(210)에 침전되어 있는 제3슬러지(3)를 수분으로부터 분리해내는 역할 및 후술하는 제2선별부(300)에서의 세척액 공급원 역할을 하는 것으로, 단순 탱크 형태이며 지면 아래에 매설된 상태로 설치된다.The collecting tank 500 serves to separate the third sludge 3 precipitated in the first reservoir 210 from water and serves as a washing liquid supply source in the second sorting unit 300 to be described later. It is shaped and installed under the ground.

그리고 이러한 집수탱크(500)는 제1연결배관(510)을 통해 제1저수로(210)와 연결되는데,제1연결배관(510)은 일단부가 집수탱크(500)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제1저수로(210)에 연결되는 구조로 설치되며 지하에 매설된 상태로 설치된다.And the collecting tank 500 is connected to the first reservoir 210 through the first connecting pipe 510, the first connecting pipe 510 is connected to the collecting tank 500, one end is the first end Installed in a structure connected to the reservoir 210 is installed in a state buried underground.

이러한 구조에 의해 제1저수로(210)내 수분이 제1연결배관(510)을 통해 집수탱크(500)로 이동 가능한 구조를 갖게 되며,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제1연결배관(510) 상에 별도의 펌프를 설치하여 제1저수로(210)내 수분이 집수탱크(500)로 원활히 이동되도록 할 수도 있다.By this structure, the water in the first reservoir 210 has a structure that can be moved to the collecting tank 500 through the first connection pipe 510,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separately on the first connection pipe 510 By installing a pump of the water in the first reservoir 210 may be smoothly moved to the collecting tank (500).

이때 제1연결배관(510)의 일단부는 제1저수로(210) 중 제3슬러지(3)가 침전된 구간에서 제3슬러지(3)의 위쪽 구간, 즉 수분(W)만이 존재하는 지점에 연결됨에 따라, 제3슬러지(3)를 제외한 수분만이 집수탱크(500)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At this time, one end of the first connection pipe 510 is connected to the upper section of the third sludge 3, that is, the point where only the water (W) is present in the section in which the third sludge 3 of the first reservoir 210 is precipitated. As a result, only the water except the third sludge 3 may be moved to the water collecting tank 500.

참고로 집수탱크(500)는 지하에 매설되지 않고 지상에 설치될 수 있으며 제1연결배관(510)도 지상에 노출된 상태로 배설될 수 있다.For reference, the collecting tank 500 may be installed on the ground without being buried underground, and the first connection pipe 510 may also be disposed while being exposed to the ground.

이렇게 집수탱크(500)와 연결된 제1선별부(200)의 일측에는 제2선별부(300)가 설치된다.
The second sorting unit 300 is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first sorting unit 200 connected to the collecting tank 500.

제2선별부(300)는 제1저수로(210)에 침전된 제3슬러지(3)의 세척 및 입자크기 별 재차 선별이 이루어지는 부분으로, 다시 제2저수로(310)와 제2이송컨베이어(320) 및 제1분사부(3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second sorting unit 300 is a portion in which the third sludge 3 precipitated in the first reservoir 210 and sorted again by particle size are again formed. The second reservoir 310 and the second conveying conveyor 320 ) And a first injection unit 330.

그 중 제2저수로(310)는 제3슬러지(3)로부터 분리 선별된 슬러지의 수용이 이루어지는 부분으로,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저수로(210)와 거의 동일한 구조, 즉 지면상에 소정의 깊이 및 길이를 갖는 수로 형태로 형성되며 제1저수로(210)와 간격을 두고 수평 상태로 형성된다.Among them, the second reservoir 310 is a part in which the sludge separated and separated from the third sludge 3 is accommodated, and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first reservoir 210 as shown in FIGS. 1 and 3. The structure, that is, is formed in the form of a channel having a predetermined depth and length on the ground and is formed in a horizontal state at intervals from the first reservoir 210.

그리고 제2저수로(310)의 바닥면에는 제1저수로(210)의 제1경사면(212)과 동일한 구조, 즉 한쪽 단부에서 반대쪽 단부로 갈수록 아래로 경사진 형태의 제2경사면(312)이 형성됨에 따라, 제2저수로(310)는 제2경사면(312)에 의해 일측으로 갈수록 깊이가 깊어지는 구조를 갖는다.In addition, a second sloped surface 312 having the same structure as that of the first sloped surface 212 of the first reservoir 210, that is, the inclined downward from one end to the opposite end i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second reservoir 310. Accordingly, the second reservoir 310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depth deepens toward one side by the second inclined surface 312.

이때 제2경사면(312)은 경사방향이 제1경사면(212)과 반대방향으로 형성되는데, 이는 제1저수로(210)와 후술하는 제2이송컨베이어(320)간 연결경로를 최대한 짧게 형성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를 고려하지 않는다면 제1경사면(212)과 제2경사면(312)의 경사방향을 동일하게 형성시킬 수도 있다.At this time, the second inclined surface 312 is forme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inclined surface 212, which is to form a connection path between the first reservoir 210 and the second transfer conveyor 320 to be described later as short as possible If not considered, the inclined directions of the first inclined surface 212 and the second inclined surface 312 may be the same.

이러한 제2저수로(310)는 지하에 매설된 제2연결배관(520)을 통해 집수탱크(500)와 연결되는데, 이때 제2연결배관(520)의 일단부는 제2저수로(310) 중 깊이가 제일 깊은 구간의 중간 이상의 높이지점에 연결됨에 따라, 추후 제2저수로(310)내에 수용된 제4슬러지(4)와 수분 중에서 제4슬러지(4)를 제외한 수분만이 집수탱크(500)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The second reservoir 310 is connected to the collecting tank 500 through the second connection pipe 520 buried underground, where one end of the second connection pipe 520 has a depth of the second reservoir 310 As it is connected to a height point higher than the middle of the deepest section, only the water except the fourth sludge 4 and the water contained in the second reservoir 310 may be moved to the collecting tank 500. To help.

이때 제2연결배관(520)에도 제1연결배관 처럼 별도의 펌프(미도시)가 설치될 수도 있다.
In this case, a separate pump (not shown) may be installed in the second connection pipe 520 like the first connection pipe.

그리고 제2이송컨베이어(320)는 제3슬러지(3)와 제2슬러지(2)의 이송 및 탈수기능을 하는 것으로, 제1이송컨베이어(230)처럼 일반적인 이송벨트 구조이며 제2저수로(310) 위쪽에 위치한 상태에서 제2저수로(310)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된다.In addition, the second conveying conveyor 320 serves to transfer and dewater the third sludge 3 and the second sludge 2, and is a general conveying belt structure like the first conveying conveyor 230 and the second reservoir 310. It is dispos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cond reservoir 310 in a state located above.

이때 도면에서는 제2이송컨베이어(320)와 제1이송컨베이어(230)가 완전히 분리된 상태로 도시되었지만, 제2이송컨베이어(320)와 제1이송컨베이어(230)의 단부를 연결하여 제1이송컨베이어(230)를 통해 이송된 제1운반용기(240)가 제2이송컨베이어(320)상으로 자동으로 이동하도록 할 수도 있다.At this time, although the second conveying conveyor 320 and the first conveying conveyor 230 are shown in a completely separated state, the first conveying by connecting the end of the second conveying conveyor 320 and the first conveying conveyor 230 The first transport container 240 transferred through the conveyor 230 may be automatically moved onto the second transport conveyor 320.

이러한 제2이송컨베이어(320)의 표면에는 제2저수로(310)와 연통되는 제2배수공(322)이 형성된다.A second drain hole 322 communicating with the second reservoir 310 i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second conveyance conveyor 320.

그리고 제2이송컨베이어(320) 상에는 제1운반용기(240)와 더불어 제2운반용기(340)가 안착되는데, 제2운반용기(340)는 제1저수로(210)로부터 분리된 제3슬러지(3)의 수용기능 및 제3슬러지(3)의 입자크기 별 선별기능을 하는 것으로, 제1운반용기(240)와 동일한 구조, 즉 일반 용기 형태이고 바닥에는 대략 지름 0.3mm 정도의 제2배출공(342)이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진다.A second transport container 340 is mounted on the second transport conveyor 320 together with the first transport container 240. The second transport container 340 is a third sludge separated from the first reservoir 210. 2) the second discharge hole having the same structure as that of the first transport container 240, that is, a general container form, and having a diameter of about 0.3 mm at the bottom. 342 is formed.

이때 제2배출공(342)과 제2배수공(322)의 직경은 제1운반용기(240)의 제1배출공(242) 직경보다 작게 형성시킴에 따라 추후 제1저수로(210)로부터 분리되어 제2운반용기(340)내 수용된 제3슬러지(3) 중 제2슬러지(2)의 입자크기보다 훨씬 작은 입자의 슬러지(이하 '제4슬러지(4)'라 함)만이 제2배출공(342)과 제2배수공(322)을 순차적으로 통과해 제2저수로(310)내부로 빠져나올 수 있도록 한다.In this case, the diameters of the second discharge hole 342 and the second drain hole 322 are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first discharge hole 242 of the first transport container 240, and thus are separated from the first reservoir 210. Only the sludge of the particles much smaller than the particle size of the second sludge 2 (hereinafter referred to as 'fourth sludge 4') among the third sludges 3 accommodated in the second transportation container 340 is the second discharge hole ( 342 and the second drain hole 322 may be sequentially passed through the second reservoir 310.

제2이송컨베이어(320)와 함께 제2선별부(300)를 구성하는 마지막 요소인 제1분사부(330)는 제3슬러지(3) 및 제2슬러지(2)의 세척 기능을 하는 것으로, 다시 제1분사관(332)과 제1펌프(33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first injection unit 330, which is the last element constituting the second selection unit 300 together with the second transfer conveyor 320, functions to wash the third sludge 3 and the second sludge 2. The first injection pipe 332 and the first pump 334 are configured again.

그 중 제1분사관(332)은 세척액의 실질적인 분사기능을 하는 것으로, 단순 배관형태이고 제2이송컨베이어(320)의 상측에서 제2이송컨베이어(320)와 수평 상태로 배설되며 하부 면에는 분사노즐(332a)이 간격을 두고 배치됨에 따라 제1분사관 내부의 세척액이 제2이송컨베이어(320) 상부면을 향해 분사되는 구조를 갖는다.Among them, the first injection pipe 332 is a function of substantially spraying the washing liquid, and is in the form of a simple pipe and is disposed in a horizontal state with the second transfer conveyor 320 on the upper side of the second transfer conveyor 320 and is sprayed on the lower surface. As the nozzles 332a are disposed at intervals, the cleaning liquid in the first injection pipe is sprayed toward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transfer conveyor 320.

이때 제1분사관(332)은 두 개로 분할되어 상호 수평 상태로 배설되되, 각 제1분사관(332)의 간격은 제2운반용기(340)의 내부 공간 이하로 형성되어 각 제1분사관(332)을 통해 분사된 세척액이 제2운반용기(340)의 내부 전체에 걸쳐 골고루 분사되도록 한다.At this time, the first injection pipe 332 is divided into two and disposed in a horizontal state with each other, the interval between each of the first injection pipe 332 is formed below the inner space of the second transport container 340, each of the first injection pipe The washing liquid sprayed through 332 is sprayed evenly over the entire interior of the second transport container 340.

이러한 제1분사관(332)은 일단부가 제2연결배관(520)과 연결되고 제1분사관(332)에 제1펌프(334)가 설치됨으로써 집수탱크(500) 내 수분이 제1분사관(332)을 통해 배출되도록 한다. 즉 집수탱크 내 수분을 세척액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One end of the first spray pipe 332 is connected to the second connection pipe 520 and the first pump 334 is installed in the first spray pipe 332, so that the water in the water collecting tank 500 is the first spray pipe. Discharge through 332. That is, the water in the collecting tank can be used as a washing liquid.

참고로 제1분사관(332)을 제2연결배관(520)과 연결시키지 않고 별도의 세척액 공급부와 연결시킴으로써 집수탱크(500)내 수분을 세척액으로 사용하지 않는 구조로도 구현할 수 있다.For reference, the first spray pipe 332 may be connected to a separate washing liquid supply unit without being connected to the second connecting pipe 520 to implement a structure that does not use the water in the collecting tank 500 as the washing liquid.

이러한 제2선별부(300)의 일측에는 제3선별부(400)가 설치된다.
The third selection unit 400 is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second selection unit 300.

제3선별부(400)는 제2저수로(310)에 침전된 제4슬러지(4)의 세척 및 입자크기 별로 재차 선별이 이루어지는 부분으로, 다시 제3저수로(3)와 제3이송컨베이어(420) 및 제2분사부(4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third sorting unit 400 is a portion in which the fourth sludge 4 precipitated in the second reservoir 310 and sorted again by the particle size, and the third reservoir 3 and the third conveying conveyor 420. ) And a second injection unit 430.

그 중 제3저수로(410)는 제4슬러지(4)로부터 분리 선별된 슬러지의 수용이 이루어지는 부분으로,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저수로(210)와 동일한 구조, 즉 지면상에 소정의 깊이 및 길이를 갖는 수로 형태로 형성되며 제2저수로(310)와 간격을 두고 수평 상태로 형성된다.The third reservoir 410 is a portion in which the sludge separated and separated from the fourth sludge 4 is accommodated, and has the same structure as the first reservoir 210 as shown in FIGS. 1 and 4. That is, it is formed in the form of a channel having a predetermined depth and length on the ground and formed in a horizontal state at intervals from the second reservoir 310.

그리고 제3저수로(410)의 바닥면은 제1저수로(210)의 제1경사면(212)과 동일한 구조, 즉 한쪽 단부에서 반대쪽 단부로 갈수록 아래로 경사진 형태의 제3경사면(412)이 형성됨에 따라, 제3저수로(410)는 제3경사면(412)에 의해 일측으로 갈수록 깊이가 깊어지는 구조를 갖는다.In addition, the bottom surface of the third water channel 410 has the same structure as the first inclined surface 212 of the first water channel 210, that is, a third inclined surface 412 having a shape inclined downward from one end to the opposite end is formed. Accordingly, the third reservoir 410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depth becomes deeper toward one side by the third inclined surface 412.

이때 제3경사면(412)은 경사방향이 제2경사면(312)과 반대방향, 즉 제1경사면(212)과 동일한 방향으로 형성되는데, 이 또한 제2저수로(310)와 후술하는 제3이송컨베이어(420)간 연결경로를 최대한 짧게 형성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를 고려하지 않는다면 제3경사면(412)과 제2경사면(312)의 경사방향을 동일하게 형성시킬 수도 있다.In this case, the inclined direction of the third inclined surface 412 is forme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second inclined surface 312, that is,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first inclined surface 212, which is also the second water reservoir 310 and the third transport conveyor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n order to form the connection path between the 420 as short as possible, if not considered, the inclined directions of the third slope 412 and the second slope 312 may be the same.

이러한 제3저수로(410)는 지하에 매설된 제3연결배관(530)을 통해 집수탱크(500)와 연결되는데, 이때 제3연결관(530)의 일단부는 제3저수로(410) 중 깊이가 제일 깊은 구간의 중간 이상의 높이지점에 연결됨에 따라, 추후 제3저수로(410)내에 수용된 제5슬러지(5)와 수분 중에서 제5슬러지(5)를 제외한 수분만이 집수탱크(500)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The third reservoir 410 is connected to the collecting tank 500 through the third connection pipe 530 buried underground, wherein one end of the third connection pipe 530 has a depth in the third reservoir 410. As it is connected to a height point higher than the middle of the deepest section, only water except for the fifth sludge 5 and the water contained in the third reservoir 410 may be moved to the collecting tank 500. To help.

이때 제3연결배관(530)에도 별도의 펌프(미도시)가 설치될 수도 있다.In this case, a third pump (not shown) may also be installed in the third connection pipe 530.

그리고 제3이송컨베이어(420)는 제4슬러지(4)와 제3슬러지(3) 및 제2슬러지(2)의 이송 및 탈수기능을 하는 것으로, 제1, 2이송컨베이어(230)(320)와 동일한 구조이며 제3저수로(410) 위쪽에 위치한 상태에서 제3저수로(410)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된다.In addition, the third conveying conveyor 420 serves to transfer and dewater the fourth sludge 4, the third sludge 3, and the second sludge 2, and the first and second conveying conveyors 230 and 320. The structure is the same as and dispos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hird reservoir 410 in a state located above the third reservoir 410.

이때 도면에서는 제3이송컨베이어(420)와 제2이송컨베이어(320)가 완전히 분리된 상태로 도시되었지만, 제3이송컨베이어(420)와 제2이송컨베이어(320)의 단부를 연결하여 제2이송컨베이어(320)를 통해 이송된 제1운반용기(240) 및 제2운반용기(340)가 제3이송컨베이어(420)상으로 자동으로 이동하도록 할 수도 있다.At this time, although the third conveying conveyor 420 and the second conveying conveyor 320 are shown in a completely separated state, the second conveying by connecting the ends of the third conveying conveyor 420 and the second conveying conveyor 320 The first transport container 240 and the second transport container 340 transferred through the conveyor 320 may be automatically moved onto the third transport conveyor 420.

이러한 제3이송컨베이어(420)의 표면에는 제3저수로(410)와 연통되는 제3배수공(422)이 형성된다.The third drainage hole 422 communicating with the third reservoir 410 i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third conveying conveyor 420.

그리고 제3이송컨베이어(420) 상에는 제3운반용기(440)가 안착되는데, 제3운반용기(440)는 제2저수로(320)로부터 분리된 제4슬러지(4)의 수용기능 및 제4슬러지(4)의 입자크기 별 선별기능을 하는 것으로, 제1, 2운반용기(240)(340)와 동일한 구조, 즉 일반 용기 형태이고 바닥에는 대략 지름 0.2mm 정도 또는 그 이하의 제3배출공(442)이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진다.The third transport container 440 is seated on the third conveying conveyor 420. The third transport container 440 has a receiving function and a fourth sludge of the fourth sludge 4 separated from the second reservoir 320. (4) The function of screening by particle size, the same structure as the first and second transport containers 240, 340, that is, in the form of a general container, the bottom of the third discharge hole of about 0.2mm or less in diameter ( 442 is formed.

이때 제3배출공(442)과 제3배수공(422)의 직경은 제2운반용기(340)의 제2배출공(342) 직경보다 작게 형성시킴에 따라 추후 제2저수로(310)로부터 분리되어 제3운반용기(440)내 수용된 제4슬러지(4) 중 작은 입자의 슬러지(이하 '제5제슬러지(5)라 함)가 제3배출공(442)과 제3배수공(422)을 순차적으로 통과해 제3저수로(410)내부로 빠져나올 수 있도록 한다.At this time, the diameter of the third discharge hole 442 and the third drain hole 422 is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second discharge hole 342 of the second transportation container 340, and is separated from the second reservoir 310 later. Small sludge (hereinafter referred to as '5th sludge 5') of the fourth sludge 4 accommodated in the third transportation container 440 sequentially passes through the third discharge hole 442 and the third drain hole 422. Pass through to exit the third reservoir 410 inside.

제3이송컨베이어(420)와 함께 제3선별부(400)를 구성하는 마지막 요소인 제2분사부(430)는 제4슬러지(4)의 세척 기능을 하는 것으로, 다시 제2분사관(432)과 제2펌프(43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second injection unit 430, which is the last element constituting the third selection unit 400 together with the third transfer conveyor 420, functions to wash the fourth sludge 4, and again, the second injection pipe 432. ) And a second pump 434.

그 중 제2분사관(432)은 세척액의 실질적인 분사기능을 하는 것으로, 단순 배관형태이고 제3이송컨베이어(420)의 상측에서 제3이송컨베이어(420)와 수평 상태로 배설되며 하부면에는 분사노즐(432a)이 간격을 두고 배치됨에 따라 제2분사관 내부의 세척액이 제3이송컨베이어(420) 상부면 및 제3운반용기(440)내부를 향해 분사되는 구조를 갖는다.Among them, the second injection pipe 432 is a function of substantially spraying the washing liquid. The second injection pipe 432 is in the form of a simple pipe and is disposed in a horizontal state with the third transfer conveyor 420 on the upper side of the third transfer conveyor 420 and is sprayed on the lower surface. As the nozzles 432a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he cleaning liquid in the second injection pipe is sprayed toward the upper surface of the third transfer conveyor 420 and the inside of the third transport container 440.

이때 제2분사관(432)은 두개로 분할되어 상호 수평 상태로 배설되되, 각 제2분사관(432)의 간격은 제3운반용기(440)의 내부 공간 이하로 형성되어 각 제2분사관(432)을 통해 분사된 세척액이 제3운반용기(440)의 내부 전체에 걸쳐 골고루 분사되도록 한다.At this time, the second injection pipe 432 is divided into two and is disposed in a horizontal state with each other, the interval between each second injection pipe 432 is formed below the inner space of the third transport container 440, each second injection pipe The washing liquid sprayed through 432 is to be evenly sprayed throughout the entire interior of the third transport container (440).

이러한 제2분사관(432)은 일단부가 제3연결배관(530)과 연결되고 제2분사관(432)에 제2펌프(434)가 설치됨으로써 집수탱크(500) 내 수분이 제2분사관(432)을 통해 배출되도록 한다. 즉 제2분사부(430)도 집수탱크(500)내 수분을 세척액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One end of the second spray pipe 432 is connected to the third connection pipe 530 and a second pump 434 is installed in the second spray pipe 432 so that the water in the water collecting tank 500 has the second spray pipe. Discharge through 432. That is, the second spray unit 430 may also use the water in the collecting tank 500 as a washing liquid.

참고로 제2분사부(430)도 제2분사관(432)과 제3연결배관(530)을 연결시키지 않고 제2분사관(432)을 별도의 세척액 공급부와 연결시킴으로써 집수탱크(500)내 수분을 세척액으로 사용하지 않는 구조로도 구현할 수 있다.For reference, the second spray unit 430 also connects the second spray pipe 432 to a separate washing liquid supply unit without connecting the second spray pipe 432 and the third connection pipe 530 in the collecting tank 500. It can also be implemented as a structure that does not use the water as a cleaning liquid.

이러한 제3선별부(400)의 일측에는 건조부(600)가 설치된다.
The drying unit 600 is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third selection unit 400.

건조부(600)는 제1선별부(200)와 제2선별부(300) 및 제3선별부(400)를 거친 제2내지 제5슬러지(2)(3)(4)(5)를 건조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건조공간(610)에 히터(620)가 연결되어 건조공간(610) 내에서 각 슬러지(2)(3)(4)(5)의 건조가 이루어지는 구조이다.The drying unit 600 includes the second to fifth sludges (2) (3) (4) (5) which have passed through the first selection unit (200), the second selection unit (300), and the third selection unit (400). It serves to dry, the heater 620 is connected to the drying space 610 is a structure that the drying of each sludge (2) (3) (4) (5) in the drying space 610.

이때 건조공간(610)에는 각 운반용기(240)(340)(440)가 안착될 수 있는 트레이(630)가 구비되고 트레이(630)는 이동 가능하도록 하여 외부에서 각 운반용기를 수용한 상태로 건조공간(610)으로 운반할 수 있도록 한다.At this time, the drying space 610 is provided with a tray 630 on which each transport container 240, 340, 440 can be seated and the tray 630 is movable to accommodate each transport container from the outside. It can be transported to the drying space (610).

그리고 참고적으로 히터(620)는 열풍공급구조나 전기 히팅과 같은 자체 발열구조 등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For reference, the heater 620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ways such as a self-heating structure such as a hot air supply structure or electric heating.

[도 5]는 보조이송컨베이어(710)(720)가 설치된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으로, 도면과 같이 각 이송컨베이어(230)(320)(420) 사이에 별도의 제1, 2보조이송컨베이어(710)(720)를 설치하여 각 저수로(210)(310)(410)와 각 이송컨베이어(230)(320)(420)간 슬러지 이송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5 is a view showing a modification of the auxiliary transport conveyor 710, 720 is installed, separate first, second auxiliary transport conveyor (between each of the transport conveyors 230, 320, 420, as shown in the figure) 710, 720 may be installed so that sludge transfer between each reservoir 210, 310, 410 and each conveying conveyor 230, 320, 420 is smoothly performed.

구체적으로는 제1보조이송컨베이어(710)는 제1저수로(210)와 제2이송컨베이어(320) 사이에 설치되어 제1저수로(210)내의 제3슬러지(3)가 제1보조이송컨베이어(710)를 통해 이송되어 제2이송컨베이어(320)에 자동으로 안착되도록 한다.Specifically, the first subsidiary conveying conveyor 710 is installed between the first reservoir 210 and the second conveying conveyor 320 so that the third sludge 3 in the first reservoir 210 is connected to the first secondary conveying conveyor ( It is transported through the 710 to be automatically seated in the second transport conveyor (320).

그리고 제2보조이송컨베이어(720)는 제2저수로(310)와 제3이송컨베이어(420) 사이에 설치되어 제2저수로(310) 내의 제4슬러지(4)가 제2보조이송컨베이어(720)를 통해 이송되어 제3이송컨베이어(420)에 자동으로 안착되도록 한다.
In addition, the second auxiliary conveying conveyor 720 is installed between the second reservoir 310 and the third conveying conveyor 420 so that the fourth sludge 4 in the second reservoir 310 is the second auxiliary conveying conveyor 720. Is transported through to be automatically seated on the third conveying conveyor (420).

이하에서는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석재 폐 슬러지 처리 장치를 이용한 석재분진 슬러지 처리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will be described the stone dust sludge treatment method using a stone waste sludge treatment apparatus made of such a configuration.

본 발명 석재 폐슬러지 처리방법은, 석재 폐 슬러지 중 특히 현무암 슬러지 처리에 관한 것으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원심분리공정과 1차 선별공정, 1차 건조공정, 2차 선별공정, 2차 건조공정, 3차 선별공정 및 3차 건조공정을 포함하여 구성된다.Stone waste sludge treatment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the treatment of basalt sludge in particular among the stone waste sludge, as shown in FIG. It consists of a secondary drying process, a tertiary sorting process and a tertiary drying process.

이러한 각 공정들을 위에서 설명한 석재 폐 슬러지 처리장치의 구조를 이용해 설명하면, Each of these processes will be described using the structure of the stone waste sludge treatment apparatus described above.

먼저 최초 석재가공과정에서 발생된 메인슬러지를 원심분리부(100)의 수용본체(110)에 수용시킨 상태에서 교반기를 통해 회전시켜 세척과 동시에 입자크기 별로 선별하는 원심분리공정을 진행한다.First, the main sludge generated during the first stone processing is rotated through a stirrer in a state where the main body sludge is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ng body 110 of the centrifugal separator 100, and the centrifugal separation process is performed at the same time as the particle size.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메인슬러지(S)는 교반기의 회전력에 의해 수용본체(110) 내벽면을 따라 회전되고 이 과정에서 메인슬러지(S) 중 입자가 크고 무거운 제1슬러지(1)는 아래로 이동하고 입자가 작고 가벼운 제2슬러지(2)는 상부로 이동하여 상호 분리된 상태로 회전된다.In more detail, the main sludge S is rotated along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receiving body 110 by the rotational force of the stirrer, and in this process, the first sludge 1 with large and heavy particles in the main sludge S moves downward. The second sludge 2, which is light and small in particle, moves upwardly and is rotated in a state of being separated from each other.

즉 마치 사이클론 작용을 이용해 제1슬러지(1)와 제2슬러지(2)가 상하 분리되는 것이다.That is, the first sludge 1 and the second sludge 2 are separated vertically by using a cyclone action.

이렇게 수용본체(110) 내에서 상하 분리된 제1슬러지(1)와 제2슬러지(2) 중 제2슬러지는 제1배출구(114)를 통해 제1저수로(210)로 배출되고, 제2슬러지(2)는 제2배출구(116)를 통해 제1운반용기(240)내부로 공급된다.Thus, the second sludge of the first sludge 1 and the second sludge 2 separated up and down in the receiving body 110 is discharged to the first reservoir 210 through the first outlet 114, the second sludge (2) is supplied into the first transport container 240 through the second outlet 116.

이 과정에서 제1슬러지(1)는 제1저수로(210)의 제1경사면(212)을 따라 이동하다가 제1필터판(222)과 제2필터판(224)에 의해 상대적으로 작은 입자의 제3슬러지(3)가 분리 선별되는 제1슬러지 걸름단계를 거친 뒤, 제2슬러지(2)로부터 배출된 수분과 함께 제1저수로(210)내에 수용된다.In this process, the first sludge 1 moves along the first inclined plane 212 of the first reservoir 210, and is made of relatively small particles by the first filter plate 222 and the second filter plate 224. After the first sludge filtering step in which the three sludges 3 are separated and sorted, the sludge 3 is accommodated in the first reservoir 210 together with the water discharged from the second sludge 2.

이러한 제1슬러지 걸름단계에 의해 제1슬러지(1)로부터 최종 선별된 제3슬러지(3)의 입자크기는 제2슬러지(2)의 입자크기 이하 수준으로 미세 입자 상태가 된다.The particle size of the third sludge 3 finally sorted from the first sludge 1 by the first sludge filtering step becomes a fine particle state at a level below the particle size of the second sludge 2.

그리고 제2슬러지(2)는 제1이송컨베이어(230)를 따라 이송되는 과정에서 제2슬러지(2)에 함유된 수분이 제1운반용기(240)의 제1배출공(242)과 제1이송컨베이어(230)의 제1배수공(232)을 순차적으로 통과한 후 제1저수로(210)에 집수되는 탈수단계를 거치게 된다.In addition, the second sludge 2 includes the first discharge hole 242 and the first moisture of the first transport container 240 in which water contained in the second sludge 2 is transferred along the first conveying conveyor 230. After passing sequentially through the first drain hole 232 of the conveying conveyor 230 is subjected to a dehydration step to be collected in the first reservoir 210.

따라서 제1저수로(210)에 수용된 제3슬러지(3)는 제1슬러지(1) 및 제2슬러지(2)로부터 분리된 수분과 함께 제1저수로(210)내에 수용되되, 일정시간이 지나면 수분내에 침전된 상태로 수용되는 1차 슬러지 침전단계를 거치게 된다.Therefore, the third sludge 3 accommodated in the first reservoir 210 is accommodated in the first reservoir 210 together with the water separated from the first sludge 1 and the second sludge 2, and after a predetermined time, The first sludge settling step that is accommodated in the precipitated state is carried out.

즉 메인슬러지는 원심분리공정을 통해 제1슬러지와 제2슬러지로 분리되고 제1슬러지는 제1슬러지 걸름단계를 통해 제3슬러지(3)가 분리 생성되고 제2슬러지는 탈수단계를 통해 수분이 제거되는 방식의 1차 선별공정을 거치게 되는 것이다.That is, the main sludge is separated into the first sludge and the second sludge through a centrifugal separation process, and the first sludge is separated and produced by the third sludge 3 through the first sludge filtering step, and the second sludge is dehydrated. The first sorting process is to be removed.

그리고 탈수된 제2슬러지(2)는 제1운반용기(240)와 함께 건조부(600)로 이송되어 1차건조공정을 거침에 따라 습기가 제거된 분말 형태가 된다.The dewatered second sludge 2 is transferred to the drying unit 600 together with the first transport container 240 to form a powder in which moisture is removed as the first drying process is performed.

이렇게 건조된 제2슬러지(2)는 원심분리공정만을 거친 제2슬러지가 사용되었기 때문에 추후 만들어지는 제3, 4, 5슬러지 분말에 비해 입자가 크고 거칠다.Since the second sludge 2 thus dried is the second sludge which has been subjected only to the centrifugal separation process, the particles are larger and coarse than the third, fourth and fifth sludge powders produced later.

따라서 이러한 제2슬러지 분말은 미세입자가 요구되지 않는 건축 및 인테리어제품이나 건축 및 인테리어 제품용 접착제, 도료 또는 원예용 배양토 재료로 활용된다.Therefore, the second sludge powder is used as a construction and interior products or fine adhesives, paints or cultivated soil material for horticulture, which does not require fine particles.

그 중 제2슬러지 분말을 이용해 건축 및 인테리어제품을 제조하는 방법을 설명하면,Th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construction and interior products using the second sludge powder,

먼저 제2슬러지 분말과 흙 안정 강화제(soil tac), 물 및 붕사분말을 혼합시켜 몰탈 형태의 시료를 생성시키는 시료형성단계를 거친다.First, a second sludge powder and a soil stabilizer (soil tac), water and borax powder is mixed to form a sample in the form of mortar.

이때 제2슬러지 분말은 흙 안정 강화제와 물 간의 혼합 양에 4배의 양이 사용되며 분사분말은 제2슬러지 분말의 약 10%의 양이 사용된다.At this time, the second sludge powder is used in an amount of four times the mixing amount between the soil stabilizer and water, and the injection powder is used in an amount of about 10% of the second sludge powder.

그리고 흙 안정 강화제와 물의 혼합비는 흙 안정 강화제가 34%일 경우 물은 66%일 경우 제품화되었을 때 최적의 강도 와 밀도 및 방수효율을 얻을 수 있다.In addition, the mixing ratio of soil stabilizer and water is 34% when soil stabilizer is 66%, when water is 66%, the optimum strength, density and waterproof efficiency can be obtained when commercialized.

물론 흙 안정 강화제와 물 간의 혼합비(중량비)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흙 안정 강화제는 최소 20%에서 최대 50%까지 허용되고 물은 최소 50%에서 최대 80%까지 허용된다.Of course, the mixing ratio (weight ratio) between the soil stabilizer and the water is not limited to this, and the soil stabilizer is allowed at least 20% up to 50% and water is allowed at least 50% up to 80%.

만약 흙 안정 강화제의 혼합 양이 50%를 초과할 경우, 즉 흙 안정 강화제의 혼합 양이 물의 혼합 양보다 많을 경우 붕사 분말과 흙 안정 강화제 간의 화학반응으로 인해 응고되어 각 성분 간의 배합이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If the mixing amount of the soil stabilizer is greater than 50%, that is, if the mixing amount of the soil stabilizer is greater than the mixing amount of water, it is solidified due to the chemical reaction between the borax powder and the soil stabilizer to prevent the mixing of each component. do.

또한 흙 안정 강화제의 혼합 양이 20%미만일 경우, 추후 실시되는 양생 효율은 향상되나 제품의 강도가 낮아지고 수분 접촉 시 쉽게 물러지게 된다.In addition, when the mixing amount of the soil stabilizer is less than 20%, the curing efficiency will be improved later, but the strength of the product will be lowered and will easily recede when contacted with moisture.

이후 이렇게 생성된 시료를 금형에 넣은 뒤 그늘에서 2~3일 양생하는 1차 양생단계를 거치고 1차 양생 후 금형으로부터 시료를 분리시키면 금형의 모양대로 응고된 형태의 제품이 형성된다.After the sample is put into the mold, and after curing in the shade for 2 to 3 days through the first curing step, and after the first curing to separate the sample from the mold to form a product in the shape of the mold.

이 상태에서 1차 양생된 시료를 붕사액, 즉 붕사 분말과 물간의 혼합액에 2분정도 담근 후 빼낸 뒤 다시 약 1일 동안 2차 양생단계를 거치면 최종 건축 및 각종 인테리어 제품으로 완성된다.In this state, the first cured sample is soaked for 2 minutes in borax solution, that is, a mixture solution of borax powder and water, and then taken out again and undergoing the second curing step for about 1 day to complete the final construction and various interior products.

이때 1차양생된 상태에서 붕사액에 담그는 이유는, 붕사액이 1차양생제품의 표면에 코팅 형태로 도포됨에 따라 방수기능 및 전체 강도증가효과를 얻을 수 있다.At this time, the reason for immersing in the borax solution in the primary curing state, as the borax solution is applied in the form of a coating on the surface of the primary curing product can obtain the waterproof function and the overall strength increase effect.

이렇게 석재분말 중 특히 현무암분말 슬러지를 건축 및 인테리어제품의 원재료로 사용할 경우, 현무암은 원적외선방사기능과 탈취, 제습 및 항균기능의 특성을 가지기 때문에 친환경적이고 인체에 유익한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Thus, when basalt powder sludge is used as a raw material for building and interior products, the basalt has the characteristics of far-infrared radiation, deodorization, dehumidification, and antibacterial function, thereby obtaining environmentally friendly and beneficial effects on the human body.

도7a 및 도7b는 본 발명 처리장치를 통해 가공된 현무암분말 슬러지 시료에 대한 시험성적서이다.7A and 7B are test reports for basalt powder sludge samples processed by the treatment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7a 및 도7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현무암분말 슬러지를 본 처리장치 및 처리방법에 따라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산업 원재료 및 원자재에 적용할 경우, 음이온, 원적외선 방사 및 탈취 효과와 함께 현무암 슬러지가 가지는 불연성, 형상복원력 등을 부여할 수 있게 되며, 균일하고 고급스러운 재질 등으로 제품의 품질을 높일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As shown in FIGS. 7A and 7B, when the basalt powder sludge is applied to the industrial raw materials and raw materials proposed by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treatment apparatus and treatment method, the nonflammable properties of the basalt sludge together with the anion, far-infrared radiation and deodorizing effects It is possible to give shape restoring force, etc., and provide the effect of improving the quality of the product with uniform and luxurious materials.

그리고 제2슬러지 분말을 이용해 건축 및 인테리어 접착제를 제조하는 방법은, 제2슬러지 분말과 흙 안정 강화제, 수용성접착제 및 물을 혼합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In addition, th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building and interior adhesive using the second sludge powder is made by mixing the second sludge powder with soil stabilizer, water-soluble adhesive and water.

이때 제2슬러지 분말은 흙 안정 강화제와 물 간의 혼합 양보다 4배정도 많은 양이 혼합되며 수용성 접착제는 제2슬러지 분말의 20%정도에 해당하는 양이 혼합된다.At this time, the second sludge powder is mixed in an amount of about four times greater than the mixing amount between the soil stabilizer and water, and the water-soluble adhesive is mixed in an amount corresponding to about 20% of the second sludge powder.

만약 제2슬러지 분말이 흙 안정 강화제와 물 간의 혼합 양보다 4배 미만이고 수용성 접착제가 제2슬러분말의 20%미만의 양으로 혼합될 경우, 혼합효율은 향상되나 혼합상태에서의 점도가 낮아져 접착력과 내수성이 저하되어 접착제로의 역할을 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된다.If the second sludge powder is less than four times the mixing amount between the soil stabilizer and the water and the water-soluble adhesive is mixed in an amount less than 20% of the second sludge powder, the mixing efficiency is improved, but the viscosity in the mixed state is lowered, thus the adhesive strength Deterioration of water resistance and the problem that does not play a role as an adhesive occurs.

반대로 제2슬러지 분말과 수용성 접착제의 혼합 양이 위 기준치를 초과할 경우 혼합효율이 낮아져 혼합시간이 지연되는 문제점을 갖는다.On the contrary, when the mixing amount of the second sludge powder and the water-soluble adhesive exceeds the above reference value, the mixing efficiency is lowered and the mixing time is delayed.

그리고 흙 안정 강화제와 물 간의 혼합비율은 위에서 설명한 건축 및 인테리어 제품에 제조방법에서 적용되는 최적 혼합비, 즉 흙 안정 강화제 34% : 물 66%의 혼합비를 사용한다.In addition, the mixing ratio between the soil stabilizer and water uses the optimum mixing ratio applied in the manufacturing method to the construction and interior products described above, that is, the soil stabilizer 34%: 66% water.

일반적인 수용성 접착제는 내수성이 약해 물에 쉽게 분해되는 단점이 있는데, 본 발명과 같이 현무암과 같은 석재 슬러지 분말을 혼합할 경우 수용성은 유지하는 반면 내수성 및 접착력이 향상되는 효과를 얻게 된다.In general, the water-soluble adhesive has a disadvantage in that water resistance is weak and easily decomposed in water. When the stone sludge powder, such as basalt, is mixed with the present invention, water solubility is maintained while water resistance and adhesion are improved.

뿐만 아니라 일반 접착제는 자체 화학성분에 의해 빠른 연소율을 갖지만 석재슬러지 분말을 혼합시킬 경우 강한 순간 접착력을 가지면서 연소를 지연시켜 화재확산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도 갖게 된다.
In addition, the general adhesive has a fast burning rate by its chemical composition, but when the stone sludge powder is mixed, it has the advantage of preventing fire spreading by delaying combustion with strong instantaneous adhesive force.

그리고 제2슬러지 분말을 이용해 건축용 도료를 제조하는 방법은,And th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building paint using the second sludge powder,

위 접착제 제조방법처럼 제2슬러지 분말과 흙 안정 강화제, 수용성접착제 및 물을 혼합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Like the above adhesive manufacturing method, the second sludge powder is made of a method of mixing soil stabilizer, water-soluble adhesive and water.

이때 제2슬러지 분말은 흙 안정 강화제와 물 간의 혼합 양보다 3.5배 많은 양이 혼합되며 수용성 접착제는 제2슬러지 분말의 20%정도에 해당하는 양이 혼합된다.At this time, the second sludge powder is mixed 3.5 times more than the mixing amount between the soil stabilizer and water, and the water-soluble adhesive is mixed in an amount corresponding to about 20% of the second sludge powder.

만약 제2슬러지 분말이 흙 안정 강화제와 물 간의 혼합 양보다 3.5배 미만이고 수용성 접착제가 제2슬러지 분말의 20%미만의 양으로 혼합될 경우, 제조과정에서 혼합효율은 향상되나 사용과정에서 벽면 등에 도포되었을 때 쉽게 흘러내리는 문제점이 있어 여러번(약 6번 이상)덧칠해야만 하는 번거로움이 있고 도포 후 건조시간이 길어지는 문제점도 발생된다.If the second sludge powder is less than 3.5 times the mixing amount between the soil stabilizer and the water, and the water-soluble adhesive is mixed in an amount less than 20% of the second sludge powder, the mixing efficiency is improved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but the wall surface is not used. When it is applied, there is a problem that it easily flows down, so that it is cumbersome to apply it several times (about 6 times or more), and a problem occurs that the drying time is long after application.

반대로 제2슬러지 분말과 수용성 접착제의 혼합 양이 위 기준치를 초과할 경우 혼합효율이 낮아져 혼합시간이 지연될 뿐만 아니라, 점도가 너무 높아서 너무 두껍게 도포됨은 물론 도포면이 고르게 형성되지 않는 문제점이 발생된다.On the contrary, when the amount of the mixture of the second sludge powder and the water-soluble adhesive exceeds the above reference value, the mixing efficiency is lowered and the mixing time is delayed. The viscosity is too high and the coating surface is not formed too thick.

이에 따라 제조된 건축용 도료는 본 처리장치를 통해 현무암 슬러지가 가지는 음이온, 원적외선 방사 및 탈취 효과의 기능과 함께 균일한 표면 처리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The building paints thus prepared will provide a uniform surface treatment effect with the functions of anion, far-infrared radiation and deodorizing effect of basalt sludge through this treatment device.

그리고 제2슬러지 분말을 이용해 원예용 배양토를 제조하는 방법은,And the method for producing a cultivation soil for horticulture using the second sludge powder,

단순히 제2슬러지 분말을 일반 흙과 혼합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지는데, 이때 흙과 제2슬러지 분말 간의 혼합비는, 흙 최소 30%에서 최대 90% : 제2슬러지 분말 최소 10%에서 최대 70%가 적용된다.By simply mixing the second sludge powder with the general soil, the mixing ratio between the soil and the second sludge powder is applied at least 30% to 90% of the soil: at least 10% to 70% of the second sludge powder. .

실험결과 이 중에서 최적의 혼합비율은 흙70% : 제2슬러지 분말30%이다.As a result of the experiment, the optimum mixing ratio was 70% soil: 30% of the second sludge powder.

만약 제2슬러지 분말의 혼합 양이 70%를 초과 할 경우 석재, 특히 현무암의 특성 상 수분을 과도하게 흡수함에 따라 식물의 발아시기가 늦어지고 발육상태 또한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된다.If the amount of the mixture of the second sludge powder exceeds 70%, due to the excessive absorption of moisture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stone, especially basalt, the germination time of the plant is delayed and the development state also decreases.

또한 이 경우 흙에 있는 기초영양성분보다 제2슬러지 분말의 양이 지나치게 많기 때문에 식물이 흙으로부터 받는 기초영양성분의 양이 저하되므로 식물의 발아효율이 저하될 수밖에 없다.In this case, since the amount of the second sludge powder is too much larger than that of the basic nutrients in the soil, the amount of the basic nutrients received from the soil is reduced, so that the germination efficiency of the plant is inevitably reduced.

또한 제2슬러지 분말의 혼합 양이 10%미만일 경우 현무암이 갖는 특징인 원적외선과 음이온 방출 정화효과가 미비하게 발생되므로 식물의 발육향상에 도움을 주지 못하게 된다.In addition, when the mixed amount of the second sludge powder is less than 10%, the far-infrared and anion emission purification effects, which are characteristic of the basalt, are inadequately generated, and thus do not help to improve the development of the plant.

이상 설명한 것처럼 원심분리공정을 통해 1차 선별된 제2슬러지는 건조공정을 통해 위와 같은 각종 산업 원재료로 활용된다.As described above, the second sludge selected first through the centrifugal separation process is utilized as various industrial raw materials as described above through the drying process.

그리고 이와 별도로 제3슬러지(3)가 제1저수로(210) 내에 침전되어 있는 상태에서 펌프나 밸브 등을 이용해 제1저수로(210)내 집수 되어 있는 수분을 제1연결관(510)을 통해 집수탱크(500)로 이동시키는 제3슬러지 분리공정을 실시한다.Separately, the third sludge 3 is collected in the first reservoir 210 using a pump or a valve while the third sludge 3 is precipitated in the first reservoir 210 through the first connection pipe 510. The third sludge separation step of moving to the tank 500 is performed.

이때 위에서 설명한 것처럼 제1연결관(510)이 제3슬러지(3)의 침전높이 보다 위쪽지점에 연결되기 때문에 제1저수로(210)내 수분만이 제1연결배관(510)으로 빠져나가, 결국 제1저수로(210)에는 제3슬러지(3)만이 남게 된다.At this time, since the first connecting pipe 510 is connected to a point higher than the settling height of the third sludge 3 as described above, only the water in the first reservoir 210 exits to the first connecting pipe 510, and eventually, Only the third sludge 3 remains in the first reservoir 210.

이렇게 제1저수로(210)내에서 수분과 분리된 제3슬러지(3)는 제2운반용기(340)에 담겨진 상태에서 수작업 또는 제1보조이송벨트(720)를 통해 제2이송컨베이어(320)상으로 이동되고 제2이송컨베이어(320)를 따라 제2저수로(310)를 지나게 된다.Thus, the third sludge 3 separated from the water in the first reservoir 210 is manually transported in the state contained in the second transport container 340 or the second transport conveyor 320 through the first auxiliary transport belt 720. It is moved up and passes along the second reservoir 310 along the second conveying conveyor 320.

이 과정에서 집수탱크(500)내에 저장되어 있는 물이 제2연결배관(520)을 통해 제1분사관(332)으로 이동한 뒤 제1분사관(332)의 각 분사노즐(332a)을 통해 제2운반용기(340) 내부로 분사된다.In this process, the water stored in the collecting tank 500 moves to the first spray pipe 332 through the second connecting pipe 520 and then through each spray nozzle 332a of the first spray pipe 332. It is injected into the second transport container 340.

이로 인해 제2운반용기(340) 내에 위치한 제3슬러지(3)가 세척됨과 동시에 세3슬러지(3)의 함유수분과 세척액이 제2운반용기(340)의 제2배출공(342)과 제2이송컨베이어(320)의 제2배수공(322)을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제2저수로(310)내부에 집수되는 탈수과정을 거치게 된다.As a result, the third sludge 3 located in the second transport container 340 is washed, and at the same time, the water and the washing liquid of the third sludge 3 are discharged from the second discharge hole 342 and the second transport container 340. Passing through the second drain hole 322 of the two-conveyor 320 in order to undergo a dehydration process that is collected in the second reservoir 310.

그리고 이 과정에서 제3슬러지(3) 중 미세 입자도 세척액과 함께 배출됨에 따라 제2저수로(310)안에는 제3슬러지(3)로부터 분리된 제4슬러지(4)가 수용되고 일정시간이 지나면 제4슬러지(4)가 수분 내에 침전되는 2차 슬러지 침전단계를 포함하는 2차 선별공정을 거치게 된다.In this process, as the fine particles of the third sludge 3 are discharged together with the washing liquid, the fourth sludge 4 separated from the third sludge 3 is accommodated in the second reservoir 310 and after a predetermined time passes, Four sludge (4) is subjected to a secondary sorting process including a secondary sludge settling step in which water is precipitated.

이때 제2저수로(310)내에 최초 수용된 제4슬러지(4)는 제2경사면(312)을 따라 흘러내려가 제2경사면 전체 면적에 걸쳐 분포된 상태로 침전된다.At this time, the fourth sludge 4 initially accommodated in the second reservoir 310 flows along the second slope 312 and is precipitated in a state distributed over the entire area of the second slope.

위에서 설명한 것처럼 제3슬러지(3)의 입자크기는 제2슬러지(2)의 입자크기 이하로 형성되고 이러한 제3슬러지(3)로부터 분리된 제4슬러지(4)는 제3슬러지(3)보다 작은 입자로 이루어지므로, 결국 제4슬러지(4)는 제2슬러지(2)에 비해 훨씬 미세한 입자상태를 갖는다.As described above, the particle size of the third sludge 3 is formed to be smaller than or equal to the particle size of the second sludge 2, and the fourth sludge 4 separated from the third sludge 3 is less than the third sludge 3. Since it is made of small particles, the fourth sludge 4 has a much finer particle state than the second sludge 2.

이렇게 제4슬러지와(4) 분리된 상태로 제2운반용기(340)내에 수용된 제3슬러지(3)는 제2건조공정을 거쳐 수분이 제거된 상태의 제3슬러지 분말로 제조된 후 건축자재에 비해 미세입자의 슬러지가 요구되는 각종 생활용품의 원재료 및 기존 생활용품의 표면피막재료로 사용된다.Thus, the third sludge 3 contained in the second transport container 340 in a state in which the fourth sludge 4 is separated is manufactured from the third sludge powder in which the water is removed through the second drying process and then the building material. Compared to the raw materials of various household goods that require sludge of fine particles and the surface coating material of existing household goods.

먼저 제3슬러지 분말을 이용해 생활용품을 제조하는 방법 중 상대적으로 단단한제품의 제조방법을 설명하면,First, a method of manufacturing a relatively hard product among the methods of manufacturing household goods using the third sludge powder,

제3슬러지 분말과 CM8000MW을 혼합한 상태에서 약 5분정도 교반한 후 금형에 넣은 상태로 약 2내지 3일간 양생과정을 거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After mixing the third sludge powder and CM8000MW, the mixture is stirred for about 5 minutes and then placed in a mold for about 2 to 3 days.

이때 CM8000MW와 제3슬러지 분말 간의 혼합비는 CM8000MW 최소 20%에서 최대50% : 제3슬러지 분말 최소 50%에서 최대 80%가 되도록 한다.At this time, the mixing ratio between the CM8000MW and the third sludge powder is at least 20% to 50%: at least 50% to 80% of the third sludge powder.

그 중 최적의 혼합비는 CM8000MW 30% : 제3슬러지 분말 70%인데,Among them, the optimum mixing ratio is CM8000MW 30%: third sludge powder 70%,

만약 CM8000MW의 혼합 양이 20%미만일 경우 제3슬러지 분말과의 혼합이 어렵고 사출불량 가능성이 높으며 양생 후 표면이 거칠 뿐만 아니라 강도도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If the mixing amount of the CM8000MW is less than 20%, it is difficult to mix with the third sludge powder, there is a high possibility of injection failure, and the surface is not only rough after curing, but also the strength is reduced.

그리고 CM8000MW의 혼합 양이 50%초과일 경우에는 혼합효율은 높으나 양생시간이 너무 지연되고 슬러지를 현무암분말로 사용할 경우 현무암 특유의 장점, 즉 향균성이나 음이온방출성 및 살균성 등의 효과가 충분히 부각되지 않는 단점이 있다.
And when the mixing amount of CM8000MW is over 50%, the mixing efficiency is high, but curing time is delayed too much, and when sludge is used as basalt powder, the advantages of basalt, that is, antibacterial, anion release, and bactericidal effect, are not sufficiently highlighted. There is a disadvantage.

그리고 생활용품 중 탄성이 있는 연질제품을 제조하는 방법은 DH7000(혼성중합제)과 제3슬러지 분말을 혼합한 후 교반한 뒤 금형 내에서 양생시키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In addition, the method of manufacturing a flexible soft product of household goods is made by mixing DH7000 (hybridized polymer) and the third sludge powder, stirring and curing in a mold.

이때 DH7000과 제3슬러지 분말 간의 혼합비는 DH7000 최소20%에서 최대 50% : 제3슬러지 분말 최소 50%에서 최대 80%가 되도록 한다.At this time, the mixing ratio between the DH7000 and the third sludge powder is at least 20% to 50%: at least 50% to 80% of the third sludge powder.

만약 제3슬러지 분말의 혼합비가 50%이하일 경우 탄성은 좋으나 양생시간이 지연되고 현무암의 특유 장점이 잘 부각되지 않는 문제가 발생된다.If the mixing ratio of the third sludge powder is 50% or less, the elasticity is good, but curing time is delayed, and the unique advantages of the basalt are not easily highlighted.

그리고 제3슬러지 분말의 혼합비가 80%이상일 경우 혼합 및 양생효율은 향상되는 반면 DH7000의 양이 너무 적어 제품의 탄성력이 충분히 발휘되지 않는 단점이 있다.And when the mixing ratio of the third sludge powder is more than 80%, the mixing and curing efficiency is improved, while the amount of DH7000 is too small,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the elastic force of the product is not sufficiently exhibited.

이처럼 생활용품은 일반 건축자재용 원재료에 비해 입자가 고와야 하고 이물질이 최소화되어야 하기 때문에 위와 같이 1차 선별공정을 통해 재차 선별된 미세입자 형태의 제3슬러지를 이용함으로써 충분히 적합한 원재료로 사용될 수 있다.As such, the daily necessities of the household goods should be finer than the raw materials for general building materials, and the foreign matters should be minimized. Thus, the household goods can be used as a suitable raw material by using the third sludge in the form of fine particles again selected through the first sorting process.

그리고 제3슬러지 분말을 이용해 기존 생활용품의 표면 피막성분을 제조하는 방법은, And th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urface coating component of the existing household goods using the third sludge powder,

CM8000MW와 제3슬러지 분말 및 물을 혼합 및 교반한 후 해당 모양의 금형에 넣어 양생시키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CM8000MW and the third sludge powder and water are mixed and stirred, and then put into a mold of the shape to cure.

이때 CM8000MW와 제3슬러지 분말 간의 혼합비율은 CM8000MW 최소 20%에서 최대 50% : 제3슬러지 분말 최소 50%에서 최대 80%가 되도록 하며 물은 CM8000MW의 10%에 해당하는 양이 사용된다.At this time, the mixing ratio between the CM8000MW and the third sludge powder is at least 20% to 50% of the CM8000MW: at least 50% to 80% of the third sludge powder is used, and an amount corresponding to 10% of the CM8000MW is used.

그 중 최적의 혼합비율은 CM8000MW 40% : 제3슬러지 분말 60%인데, Among them, the optimum mixing ratio is CM8000MW 40%: third sludge powder 60%,

만약 제3슬러지 분말이 50%이하일 경우 교반 효율은 높으나 현무암 특유의 장점이 부각되지 않고 건조시간이 지연되는 단점이 있다.If the third sludge powder is 50% or less, the stirring efficiency is high, but the advantages of the basalt are not highlighted, and the drying time is delayed.

그리고 제3슬러지 분말의 혼합비율이 80%이상일 경우 교반이 잘 이루어지지 않고 표면이 고르지 못할 뿐만 아니라 건조시간이 지연되는 단점이 있다.In addition, when the mixing ratio of the third sludge powder is 80% or more, the stirring is not performed well, the surface is not uniform, and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the drying time is delayed.

이와 같이 슬러지 분말, 특히 현무암의 슬러지 분말을 이용해 만든 피막재료를사용 할 경우 열에 강한 현무암의 특성 상 제품의 난연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원적외선과 음이온 방출 및 살균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Thus, when using the film material made using the sludge powder, in particular, the basalt sludge powder can improve the flame retardancy of the product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basalt resistant to heat, and the effect of improving the far infrared ray, anion release and sterilization.

참고로 제품에 피막재료를 도포시키는 방법은, 작업자가 피막재료를 제품표면에 직접 칠하는 방식이나 분무 또는 제품을 피막재료 내에 담겄다 빼내는 방식 등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다. For reference, the method of applying the coating material to the product may be performed in various ways, such as a method in which an operator paints the coating material directly on the product surface, spraying or dipping the product into the coating material.

그리고 참고적으로 제2저수로(310)에 침전되어 있는 제4슬러지(4)의 입자크기는 제3슬러지(3)보다 더 미세하므로 는 제3슬러지(3)와 더불어 제4슬러지(4)를 이용해서도 생활용품이나 피막제품을 제조할 수도 있다.For reference, since the particle size of the fourth sludge 4 deposited in the second reservoir 310 is finer than that of the third sludge 3, the fourth sludge 4 together with the third sludge 3 is formed. You can also manufacture household goods and coating products.

제4슬러지(4)를 이용하기 위해 일단 제2연결배관(520)을 통해 제2저수로(310)에 집수된 물을 집수탱크로 이동시켜 제4슬러지(4)를 수분과 분리해내는 제4슬러지 분리공정을 실시한다.In order to use the fourth sludge 4, the fourth sludge 4 is separated from the water by moving the water collected in the second reservoir 310 through the second connecting pipe 520 to the collecting tank. Sludge separation process is performed.

이렇게 물이 제2연결배관(520)을 통해 빠져나감에 따라 제2저수로(310)에는 제4슬러지(4)만이 남게 되고 제3운반용기(440)에 담겨진 상태에서 수작업 또는 제2보조이송벨트(720)를 통해 제3이송컨베이어(420)상으로 이동된 뒤 제3이송컨베이어(420)를 따라 제3저수로(410)를 지나게 된다.As the water is discharged through the second connection pipe 520, only the fourth sludge 4 remains in the second reservoir 310, and the manual or second auxiliary transfer belt is contained in the third transportation container 440. After moving to the third transfer conveyor 420 through the 720, and passes through the third reservoir 410 along the third transfer conveyor 420.

이 과정에서 집수탱크(500)내에 저장되어 있는 물이 제3연결배관(530)을 통해 제2분사관(432)으로 이동한 뒤 제2분사관(432)의 각 분사노즐을 통해 제3운반용기(440) 내부로 분사된다.In this process, the water stored in the collecting tank 500 is moved to the second spray pipe 432 through the third connecting pipe 530 and then transported through the respective spray nozzles of the second spray pipe 432. It is injected into the container 440.

이로 인해 제3운반용기(440) 내에 위치한 제4슬러지(4)가 세척됨과 동시에 제3슬러지(3)의 함유수분과 세척액이 제3운반용기(440)의 제3배출공(442)과 제3이송컨베이어(420)의 제3배수공(422)을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제3저수로(410)내부에 집수되는 탈수과정을 거치게 된다.As a result, the fourth sludge 4 located in the third transport container 440 is washed, and at the same time, the moisture and the washing liquid of the third sludge 3 are discharged from the third discharge hole 442 and the third transport container 440. Passing through the third drain hole 422 of the three conveying conveyor 420 in order to undergo a dehydration process that is collected in the third reservoir 410.

이렇게 탈수된 제4슬러지(4)는 제3운반용기(440)와 함께 건조부(600)로 이송된 후 3차 건조공정을 거쳐 수분이 제거된 상태의 제4슬러지 분말로 제조된다.The dewatered fourth sludge 4 is transferred to the drying unit 600 together with the third transport container 440 and then made of fourth sludge powder in which water is removed through a third drying process.

이러한 제4슬러지 분말은 위에서 설명한 것처럼 제3슬러지보다 입자가 작은 상태이므로 얼마든지 생활용품의 원재료로 사용될 수 있으며, 더불어 더욱 미세입자 형 원재료가 요구되는 미용팩 원재료로도 사용될 수 있다.Since the fourth sludge powder is smaller than the third sludge, as described above, the fourth sludge powder may be used as a raw material for household goods, and may also be used as a cosmetic pack raw material requiring more fine particle raw materials.

더구나 현무암분말일 경우 현무암의 기본 특성, 즉 살균성과 음이온 및 원적외선 방사효율 등에 의해 충분히 미용효과를 발휘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basalt powder is able to exhibit a cosmetic effect sufficiently due to the basic characteristics of basalt, that is, bactericidal properties and negative ions and far-infrared radiation efficiency.

이렇게 제4슬러지(4)가 제3이송컨베이어(420)상에서 세척되는 과정에서 제4슬러지(4) 중 미세 입자도 세척액과 함께 배출됨에 따라 제3저수로(410)안에는 제4슬러지(4)로부터 분리된 제5슬러지(5)가 수용되고 일정시간이 지나면 제5슬러지(5)가 수분 내에 침전되는 3차 슬러지 침전단계를 포함하는 3차 선별공정을 거치게 된다.As the fourth sludge 4 is washed on the third conveying conveyor 420, fine particles of the fourth sludge 4 are discharged together with the washing liquid, and thus, the fourth sludge 4 is discharged from the fourth sludge 4 in the third reservoir 410. After the separated fifth sludge 5 is accommodated and a predetermined time passes, the fifth sludge 5 undergoes a third sorting process including a third sludge settling step in which the fifth sludge 5 is precipitated within a few minutes.

이때 제3저수로(410)내에 최초 수용된 제5슬러지(5)는 제3경사면(410)을 따라 흘러내려가 제3경사면 전체 면적에 걸쳐 분포된 상태로 침전된다.At this time, the fifth sludge 5 initially accommodated in the third reservoir 410 flows along the third slope 410 and is precipitated in a distributed state over the entire area of the third slope.

위에서 설명한 것처럼 제5슬러지(5)의 입자크기는 제2내지 제4슬러지에 비해훨씬 입자크기가 미세하므로 건조공정을 통해 다시 더욱 미세입자가 요구되는 산업용 원자재로 사용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since the particle size of the fifth sludge 5 is much finer than that of the second to fourth sludges, the fifth sludge 5 may be used as an industrial raw material which requires fine particles again through a drying process.

그리고 제1슬러지 걸름단계와 제3슬러지 걸름단계 및 제4슬러지 걸름단계를 순차적으로 진행하는 과정에서 슬러지의 침전이 반복적으로 이루어지므로, 결국 그 과정에서 저수로 및 집수탱크 내 물은 자연스럽게 정화처리된다.And since the sludge is repeatedly made during the first sludge filtering step, the third sludge filtering step and the fourth sludge filtering step, the water in the reservoir and the sump tank are naturally purified.

따라서 이렇게 집수탱크에 수용된 물은 현무암 성분이 적절하게 포함된 상태 이르므로, 이러한 지장수를 식물재배용도로 활용할 수도 있다.
Therefore, since the water contained in the collection tank reaches a state in which basalt components are properly contained, such jijangsu may be used as plant cultivation.

참고로 석재 폐 슬러지의 처리 용량에 따라 제1내지 제3선별부(200)(300)(400)와 동일한 구조의 선별부들이 추가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For reference, according to the treatment capacity of the stone waste sludge, the selection unit having the same structure as the first to third sorting unit 200, 300, 400 may be additionally formed.

반대로 원심분리부(100)와 제1선별부(200)만으로도 충분히 석재분말 슬러지의 처리효과를 얻을 수 있으므로, 건축물 및 인테리어제품 등에 사용되는 제2슬러지 분말의 필요용량이 많을 경우, 제2선별부와 제3선별부는 생략될 수도 있다.
On the contrary, since only the centrifugal separation unit 100 and the first selection unit 200 can sufficiently obtain the treatment effect of the stone powder sludge, the second sorting unit is required when the required amount of the second sludge powder used in buildings and interior products is large. And the third sorting section may be omitted.

이상 설명한 것처럼 본 발명은 현무암 등의 석재가공에서 발생되는 폐 슬러지를 단계별 세척 및 입자선별과정을 통해 다양한 산업용 원자재로 재활용 할 수 있도록 함을 가장 큰 특징으로 한다.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waste sludge generated in stone processing such as basalt can be recycled to various industrial raw materials through stepwise washing and particle sorting.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Although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in detail abo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improvements of those skilled in the art using the basic concepts defined in the following claims are also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belongs to.

100 : 원심분리부 110 : 수용본체
112 : 수용공간 114 : 제1배출구
116 : 제2배출구 120 : 교반부
122 : 교반날개 200 : 제1선별부
210 : 제1저수로 212 : 제1경사면
220 : 필터부 222 : 제1필터판
224 : 제2필터판 230 : 제1이송컨베이어
232 : 제1배수공 240 : 제1운반용기
242 : 제1배출공 300 : 제2선별부
310 : 제2저수로 312 : 제2경사면
320 : 제2이송컨베이어 322 : 제2배수공
330 : 제1분사부 332 : 제1분사관
332a : 분사노즐 334 : 제1펌프
340 : 제2운반용기 342 : 제2배출공
400 : 제3선별부 410 : 제3저수로
412 : 제3경사면 420 : 제3이송컨베이어
422 : 제3배수공 430 : 제2분사부
432 : 제2분사관 432a : 제2분사노즐
434 : 제2펌프 440 : 제3운반용기
442 : 제3배출공 500 : 집수배관
510 : 제1연결배관 520 : 제2연결배관
530 : 제3연결관 600 : 건조부
610 : 건조공간 620 : 히터
630 : 트레이 710 : 제1보조이송컨베이어
720 : 제2보조이송컨베이어
100: centrifugal separator 110: receiving body
112: accommodation space 114: first outlet
116: second outlet 120: stirring section
122: stirring blade 200: first selection unit
210: first reservoir 212: first slope
220: filter unit 222: first filter plate
224: second filter plate 230: first conveying conveyor
232: first drainage 240: first transport container
242: first discharge hole 300: second selection
310: second reservoir 312: second slope
320: second conveying conveyor 322: second drain
330: first injector 332: first injector
332a: injection nozzle 334: the first pump
340: second transport container 342: second discharge hole
400: third selection unit 410: third reservoir
412: third slope 420: third conveying conveyor
422: third drainage 430: second injection unit
432: second injector 432a: second injector nozzle
434: second pump 440: third transport container
442: third discharge hole 500: water collection pipe
510: first connection pipe 520: second connection pipe
530: third connector 600: drying unit
610: drying space 620: heater
630: tray 710: first secondary conveying conveyor
720: secondary auxiliary conveyor

Claims (29)

삭제delete 석재 폐 슬러지가 수용될 수 있는 수용공간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수용공간 내에 교반날개가 설치되어 있으며, 하부에는 제1배출구가 형성되어 있고 상부에는 제2배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원심분리부,
상기 제1배출구와 연결되어 상기 제1배출구를 통해 배출된 슬러지 및 수분이 저장되는 제1저수로 및 상기 제1저수로 상측에 형성되어 상기 제2배출구를 통해 배출된 슬러지가 안착되는 제1이송컨베이어를 갖는 제1선별부,
상기 제1선별부 일측에 위치하고 있고 상기 제1이송컨베이어를 따라 이송된 슬러지가 수용되는 건조부 및
상기 제1저수로 일측에 형성되어 있는 제2저수로와 상기 제2저수로 상측에 형성되어 있는 제2이송컨베이어를 갖는 제2선별부를 포함하는
석재 폐슬러지 처리장치.
A centrifugal separator having an accommodating space for accommodating stone waste sludge and having a stirring blade installed in the accommodating space, a first outlet formed at a lower portion thereof, and a second outlet formed at an upper portion thereof;
A first transport conveyor connected to the first outlet and formed above the first reservoir for storing sludge and water discharged through the first outlet and the first reservoir for sludge discharged through the second outlet; The first selection unit having,
A drying unit which is located on one side of the first selection unit and accommodates sludge transported along the first transport conveyor;
And a second sorting unit having a second reservoir formed on one side of the first reservoir and a second conveying conveyor formed on the second reservoir.
Stone waste sludge treatment device.
제2항에서,
상기 제2선별부는,
상기 제2이송컨베이어 상에 위치한 슬러지에 세척수를 분사하는 제1분사부를 더 포함하는
석재 폐슬러지 처리장치.
In claim 2,
The second selection unit,
Further comprising a first injection unit for spraying the washing water to the sludge located on the second conveying conveyor
Stone waste sludge treatment device.
제3항에서,
상기 제1저수로의 바닥에는 상기 제1배출구와 연결되어 있는 부분으로부터 제1저수로의 반대쪽 단부로 갈수록 아래를 향해 경사진 형태의 제1경사면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저수로의 바닥에는에는 상기 제1경사면과 반대방향으로 경사진 형태의 제2경사면이 형성되어 있는
석재 폐슬러지 처리장치.
4. The method of claim 3,
On the bottom of the first reservoir is formed a first inclined surface inclined downward toward the opposite end of the first reservoir from the portion connected to the first outlet,
The bottom of the second reservoir is formed with a second inclined surface incline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inclined surface
Stone waste sludge treatment device.
제4항에서,
상기 제1경사면 중 상기 제1배출구와 연결된 지점부근에 형성되어 있는 필터부를 포함하는
석재 폐슬러지 처리장치.
In claim 4,
A filter unit is formed near a point connected to the first outlet of the first inclined surface.
Stone waste sludge treatment device.
제5항에서,
상기 필터부는,
상기 제1경사면 상에 형성되어 있으며 통공을 갖는 제1필터판 및 상기 제1필터판과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제1필터판 의 통공보다 작은 직경의 통공을 가지는 제2필터판을 포함하는
석재 폐슬러지 처리장치.
In claim 5,
The filter unit,
A first filter plate formed on the first inclined surface and having a through hole, and a second filter plate disposed at a distance from the first filter plate and having a through hole having a diameter smaller than that of the first filter plate.
Stone waste sludge treatment device.
제2항에서,
상기 제1이송컨베이어에는 상기 제1저수로와 연결되어 있는 제1배수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이송컨베이어는 상기 제2저수로와 연결되어 있는 제2배수공이 형성되어 있는
석재 폐슬러지 처리장치.
In claim 2,
The first conveying conveyor is formed with a first drain hole connected to the first reservoir,
The second conveying conveyor is formed with a second drain hole connected to the second reservoir
Stone waste sludge treatment device.
제7항에서,
상기 제1저수로와 상기 제2이송컨베이어를 연결하는 제1보조이송컨베이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저수로에 수용된 슬러지가 상기 제1보조이송컨베이어를 따라 이송하여 상기 제2이송컨베이어에 안착되는
석재 폐슬러지 처리장치.
In claim 7,
Further comprising a first auxiliary transfer conveyor connecting the first reservoir and the second transfer conveyor,
The sludge accommodated in the first reservoir flows along the first subsidiary conveying conveyor to be seated on the second conveying conveyor.
Stone waste sludge treatment device.
제7항에서,
상기 제1,2이송컨베이어에 안착되고, 상기 제2배출구를 통해 배출된 슬러지가 담겨지며, 담겨진 슬러지의 배출공이 형성되어 있는 운반용기를 더 포함하는
석재 폐슬러지 처리장치.
In claim 7,
Further comprising a transport container seated on the first and second conveying conveyor, the sludge discharged through the second discharge port is contained, the discharge hole of the contained sludge is formed.
Stone waste sludge treatment device.
제4항에서,
상기 제1저수로 및 상기 제2저수로와 연결되어 있는 집수탱크,
상기 집수탱크와 상기 제1저수로를 연결하는 제1연결배관 및 상기 제2저수로와 상기 집수탱크를 연결하는 제2연결배관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2연결배관의 일단부는 상기 제1, 2저수로 중 최대 깊이형성지점의 의 상측에 연결되어 있는
석재 폐슬러지 처리장치.
In claim 4,
A collecting tank connected to the first reservoir and the second reservoir,
And a first connection pipe connecting the water collecting tank and the first reservoir and a second connection pipe connecting the second reservoir and the water collecting tank.
One end of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on pipes is connected to an upper side of the maximum depth forming point of the first and second reservoirs.
Stone waste sludge treatment device.
제10항에서,
상기 제2선별부의 제1분사부는 상기 집수탱크와 연결되어 있는
석재 폐슬러지 처리장치.
11. The method of claim 10,
The first injection portion of the second sorting portion is connected to the collection tank
Stone waste sludge treatment device.
제10항에서,
상기 제2저수로 일측에 형성되어 있는 제3저수로 및 상기 제3저수로 상측에 형성되어 있는 제3이송컨베이어를 갖는 제3선별부
를 더 포함하는 석재 폐슬러지 처리장치.
11. The method of claim 10,
A third selecting portion having a third reservoir formed on one side of the second reservoir and a third conveying conveyor formed on the third reservoir;
Stone waste sludge treatment apparatus further comprising a.
제12항에서,
상기 제3선별부는,
상기 제3이송컨베이어상에 세척수를 분사하는 제3분사부를 더 포함하는
석재 폐슬러지 처리장치.
In claim 12,
The third selection unit,
Further comprising a third spraying unit for spraying the washing water on the third conveying conveyor
Stone waste sludge treatment device.
제13항에서,
상기 제3저수로의 바닥에는 일측단부로부터 제3저수로의 길이방향을 따라 타측단부를 향해 경사져 있는 제3경사면이 형성되어 있는
석재 폐슬러지 처리장치.
In claim 13,
The bottom of the third reservoir is formed with a third inclined surface inclined toward the other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from one side end to the third reservoir.
Stone waste sludge treatment device.
제14항에서,
상기 제2저수로와 상기 제3이송컨베이어를 연결하는 제2보조이송컨베이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저수로에 침전된 슬러지가 상기 제2보조이송컨베이어를 통해 상기 제3이송컨베이어로 이송되는
석재 폐슬러지 처리장치.
The method of claim 14,
And a second auxiliary transfer conveyor connecting the second reservoir and the third transfer conveyor.
The sludge precipitated in the second reservoir is transferred to the third transfer conveyor through the second auxiliary transfer conveyor.
Stone waste sludge treatment device.
수분을 함유한 석재 폐 슬러지를 회전시켜 큰 입자의 제1슬러지와 작은 입자의 제2슬러지를 분리 배출시키는 원심 분리공정,
상기 제1슬러지를 저장하면서 제1슬러지를 침전시키는 1차 슬러지침전단계 및 상기 제2슬러지를 이송시키면서 제2슬러지로부터 수분 및 이물질을 분리시키는 탈수단계를 갖는 1차 선별공정,
상기 탈수단계를 거친 상기 제2슬러지를 건조시켜 분말형태로 만드는 1차건조공정을 포함하는
석재 폐슬러지 처리방법.
Centrifugal separation process for separating and discharging the wastewater sludge containing water to separate and discharge the first sludge of large particles and the second sludge of small particles,
A primary sludge settling step of precipitating the first sludge while storing the first sludge and a dewatering step of separating water and foreign matter from the second sludge while transferring the second sludge,
Including a primary drying step of drying the second sludge after the dehydration step to form a powder
Stone waste sludge treatment method.
제16항에서,
그리고 상기 1차건조공정 이후에 실시되고,
건조된 상기 제2슬러지 분말에 흙 안정 강화제(soil tac)와 물 및 붕사분말을 혼합시켜 혼합시료를 만드는 시료형성단계,
상기 혼합시료를 금형에 넣어 양생시키는 1차양생단계,
상기 양생단계 후 상기 금형으로부터 상기 혼합시료를 분리시키고 혼합시료 표면에 붕사액을 도포시키는 도포단계,
상기 붕사액을 건조시키는 2차양생단계를 더 포함하는
석재 폐슬러지 처리방법.
The method of claim 16,
And after the first drying process,
A sample forming step of mixing the dried second sludge powder with a soil stabilizer (soil tac), water and borax powder to make a mixed sample,
A first curing step of curing the mixed sample into a mold;
An application step of separating the mixed sample from the mold after the curing step and applying a borax solution to the mixed sample surface;
Further comprising a secondary curing step of drying the borax solution
Stone waste sludge treatment method.
제17항에서,
상기 시료형성단계에서 상기 상기 흙 안정 강화제와 상기 물 간 혼합비율은 물 최소 20%중량비에서 최대 50%중량비 : 흙 안정 강화제 최소 50%중량비에서 최대 80%중량비로 이루어지는
석재 폐슬러지 처리방법.
The method of claim 17,
In the sample forming step, the mixing ratio between the soil stabilizer and the water is made up of at least 20% by weight of water at a maximum of 50% by weight: at least 50% by weight of soil stabilizer.
Stone waste sludge treatment method.
제16항에서,
상기 1차건조공정 이후에 실시되고,
상기 제2슬러지 분말에 흙 안정 강화제(soil tac)와 물, 수용성접착제를 혼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석재 폐슬러지 처리방법.
The method of claim 16,
After the first drying process,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mixing the soil stabilizer (soil tac) and water, the water-soluble adhesive to the second sludge powder
Stone waste sludge treatment method.
제16항에서,
상기 원심분리공정과 상기 1차 슬러지 침전단계 사이에 실시되며,
상기 제1 슬러지를 입자크기 별로 분리시켜 상기 제1슬러지로부터 상기 제2슬러지보다 입자가 작은 제3슬러지를 걸러내는 제1슬러지 걸름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1차 슬러지 침전단계는 상기 제3슬러지가 침전되도록 하는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1차 건조단계는 상기 제3슬러지를 건조시키는
석재 폐슬러지 처리방법.
The method of claim 16,
It is carried out between the centrifugation process and the first sludge settling step,
Separating the first sludge by the particle size further comprises a first sludge filtering step for filtering the third sludge having a smaller particle than the second sludge from the first sludge,
The first sludge settling step is formed in such a way that the third sludge is precipitated, the first drying step is to dry the third sludge
Stone waste sludge treatment method.
제20항에서,
상기 1차 슬러지 침전단계 이후에 실시되고,
상기 제3슬러지가 침전되어 있는 수분을 외부로 배출시켜 상기 제3슬러지를 분리해내는 제3슬러지 분리공정을 더 포함하는
석재 폐슬러지 처리방법.
20. The method of claim 20,
After the first sludge settling step,
Further comprising a third sludge separation step of separating the third sludge by discharging the water in which the third sludge is precipitated to the outside
Stone waste sludge treatment method.
제20항에서,
제3슬러지 분리공정을 통해 분리된 상기 제3슬러지를 이송시키면서 세척액으로 제3슬러지를 세척 및 탈수하는 단계와,
상기 탈수단계에서 제3슬러지로부터 분리된 제4슬러지가 탈수된 물에 침전되도록 하는 2차 슬러지 침전단계를 갖는
2차 선별공정을 더 포함하는
석재 폐슬러지 처리방법.
20. The method of claim 20,
Washing and dehydrating the third sludge with a washing liquid while transferring the third sludge separated through a third sludge separation process;
The second sludge sedimentation step for the fourth sludge separated from the third sludge in the dewatering step to precipitate in the dewatered water
Further comprising a secondary sorting process
Stone waste sludge treatment method.
제22항에서,
상기 2차 선별공정을 통해 선별된 상기 제3슬러지와 제4슬러지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건조하여 분말형태로 만드는 2차 건조공정 을 더 포함하는
석재 폐슬러지 처리방법.
The method of claim 22,
Further comprising a secondary drying step of drying at least one or more of the third sludge and the fourth sludge selected by the secondary sorting process into a powder form
Stone waste sludge treatment method.
제23항에서,
상기 2차 건조단계와 상기 2차 슬러지 침전단계 사이에 실시되고 상기 제4슬러지가 침전된 상태의 세척액을 외부로 배출시켜 상기 제4슬러지를 분리해내는 제4슬러지 분리공정을 더 포함하는.
석재 폐슬러지 처리방법.
The method of claim 23,
And a fourth sludge separation process performed between the second drying step and the second sludge settling step and separating the fourth sludge by discharging the washing liquid having the fourth sludge settled to the outside.
Stone waste sludge treatment method.
제24항에서,
상기 제4슬러지 분리공정을 통해 분리된 상기 제4슬러지를 이송시키면서 세척액으로 제4슬러지를 세척 및 탈수하는 단계와,
상기 탈수단계에서 상기 제4슬러지로부터 분리된 제5슬러지가 상기 탈수된 물에 침전되도록 하는3차 슬러지 침전단계를 갖는
3차 선별공정을 더 포함하는,
석재 폐슬러지 처리방법.
25. The method of claim 24,
Washing and dewatering the fourth sludge with a washing liquid while transferring the fourth sludge separated through the fourth sludge separation process;
Having a third sludge settling step to allow the fifth sludge separated from the fourth sludge in the dewatering step to precipitate in the dewatered water
Further comprising a third sorting process,
Stone waste sludge treatment method.
제25항에서,
또한 상기 3차 선별공정을 통해 선별된 제5슬러지를 건조하여 분말형태로 만드는 3차 건조공정 을 더 포함하는
석재 폐슬러지 처리방법.
The method of claim 25,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a third drying process of drying the fifth sludge selected through the third sorting process to form a powder.
Stone waste sludge treatment method.
제26항에서,
상기 3차 건조단계와 상기 3차 슬러지 침전단계 사이에 실시되고, 상기 제5슬러지가 침전된 상태의 세척액을 외부로 배출시켜 상기 제5슬러지를 분리해내는 제5슬러지 분리공정을 더 포함하는
석재 폐슬러지 처리방법.
The method of claim 26,
And a fifth sludge separation process performed between the third drying step and the third sludge settling step, and separating the fifth sludge by discharging the washing liquid in which the fifth sludge is precipitated to the outside.
Stone waste sludge treatment method.
삭제delete 제16항 내지 제2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슬러지는 현무암 슬러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재 폐슬러지 처리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6 to 27,
The sludg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basalt sludge
Stone waste sludge treatment method.
KR1020110004280A 2011-01-14 2011-01-14 Stone waste sludge treatment device and treatment method Expired - Fee Related KR10102443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4280A KR101024437B1 (en) 2011-01-14 2011-01-14 Stone waste sludge treatment device and treatment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4280A KR101024437B1 (en) 2011-01-14 2011-01-14 Stone waste sludge treatment device and treatment method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24437B1 true KR101024437B1 (en) 2011-03-23

Family

ID=439393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04280A Expired - Fee Related KR101024437B1 (en) 2011-01-14 2011-01-14 Stone waste sludge treatment device and treatment metho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24437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171308A (en) * 2018-03-29 2019-10-10 株式会社日立製作所 Turbid material separation unit, turbid material separation method, and turbid material separation system
KR102702174B1 (en) * 2023-07-20 2024-09-04 주식회사 비손오앤비 Apparatus for treating organic sludg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2757B1 (en) * 2010-03-26 2010-09-16 부경엔지니어링주식회사 Seperating apparatus using centrifugal force about scum mixed wate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2757B1 (en) * 2010-03-26 2010-09-16 부경엔지니어링주식회사 Seperating apparatus using centrifugal force about scum mixed water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171308A (en) * 2018-03-29 2019-10-10 株式会社日立製作所 Turbid material separation unit, turbid material separation method, and turbid material separation system
KR102702174B1 (en) * 2023-07-20 2024-09-04 주식회사 비손오앤비 Apparatus for treating organic sludg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5260782B2 (en) Method of sorting and/or processing waste material and processed material produced thereby
US4849116A (en) Process and a plant for separating low density material from substrate mixtures
MXPA01009675A (en) METHOD FOR RECYCLING POLYETHYLENE TEREFTALATE COMPONENTS AND DEVICE FOR CARRYING OUT SUCH METHOD.
KR101915279B1 (en) Recycling Method of Waste Vinyl through Dry Processing Technology
JP2011509236A (en) System and method for purifying carbonaceous material
KR101024437B1 (en) Stone waste sludge treatment device and treatment method
KR101172040B1 (e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sand
AU2013201748B2 (en) Separation method and apparatus
JPH08503415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eating glass objects containing dangerous substances
KR20190138526A (en) Recycling Method through Plastic Waste Sorting
CN216677272U (en) Kitchen waste filtering equipment
EA036141B1 (en) Method for recycling abrasive used for high pressure waterjet cutting from cutting sludge and equipment for application of this method
KR20130104081A (en) A recycling system for pvc coverings of waste wire
KR20190123845A (en) Dredged soil processing device
JP2004202758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generating waste plastic film and pre-sorting machine, rough cutter, ultrasonic washing device and rotary type dryer used in them
JP641034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salination of mixed ash and raw material for cement
CN113016724A (en) Method for collecting and treating excrement for earthworm breeding
KR101270065B1 (en) Chemistry washing method
RU2276012C1 (en) Method of reprocessing of the secondary polymeric raw materials and the device for its realization
KR101483979B1 (en) Dried Powder Manufacture Apparatus By Sludge Dewatering-Drying Apparatus
CN204076575U (en) For the treating apparatus of plastic products isolated from rubbish
KR20210078937A (en) Composition of eco-friendly synthetic wood mixed grinded waste net and synthetic wood fabricated by the same
US3702135A (en) Filtration apparatus for use in treating sludge
KR20130090851A (en) Sediment Reduction Method and Sediment Reduction Treatment System
CN214714980U (en) Concrete waste water recycle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0114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10119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10114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020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1022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1031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1031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6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91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602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