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024366B1 - 항온조제어 수정발진기 - Google Patents

항온조제어 수정발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24366B1
KR101024366B1 KR1020090019249A KR20090019249A KR101024366B1 KR 101024366 B1 KR101024366 B1 KR 101024366B1 KR 1020090019249 A KR1020090019249 A KR 1020090019249A KR 20090019249 A KR20090019249 A KR 20090019249A KR 101024366 B1 KR101024366 B1 KR 1010243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aphragm
heating member
crystal oscillator
temperature sensor
contac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92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00383A (ko
Inventor
한태환
홍종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티앤에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티앤에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티앤에프
Priority to KR10200900192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24366B1/ko
Publication of KR201001003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003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43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4366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HIMPEDANCE NETWORKS, e.g. RESONANT CIRCUITS; RESONATORS
    • H03H9/00Networks comprising electromechanical or electro-acoustic elements; Electromechanical resonators
    • H03H9/02Details
    • H03H9/05Holders or supports
    • H03H9/08Holders with means for regulating temperature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BGENERATION OF OSCILLATIONS, DIRECTLY OR BY FREQUENCY-CHANGING, BY CIRCUITS EMPLOYING ACTIVE ELEMENTS WHICH OPERATE IN A NON-SWITCHING MANNER; GENERATION OF NOISE BY SUCH CIRCUITS
    • H03B5/00Generation of oscillations using amplifier with regenerative feedback from output to input
    • H03B5/02Details
    • H03B5/04Modifications of generator to compensate for variations in physical values, e.g. power supply, load, temperature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BGENERATION OF OSCILLATIONS, DIRECTLY OR BY FREQUENCY-CHANGING, BY CIRCUITS EMPLOYING ACTIVE ELEMENTS WHICH OPERATE IN A NON-SWITCHING MANNER; GENERATION OF NOISE BY SUCH CIRCUITS
    • H03B5/00Generation of oscillations using amplifier with regenerative feedback from output to input
    • H03B5/30Generation of oscillations using amplifier with regenerative feedback from output to input with frequency-determining element being electromechanical resonator
    • H03B5/32Generation of oscillations using amplifier with regenerative feedback from output to input with frequency-determining element being electromechanical resonator being a piezoelectric resonator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HIMPEDANCE NETWORKS, e.g. RESONANT CIRCUITS; RESONATORS
    • H03H9/00Networks comprising electromechanical or electro-acoustic elements; Electromechanical resonators
    • H03H9/02Details
    • H03H9/05Holders or supports
    • H03H9/10Mounting in enclosure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LAUTOMATIC CONTROL, STARTING, SYNCHRONISATION OR STABILISATION OF GENERATORS OF ELECTRONIC OSCILLATIONS OR PULSES
    • H03L1/00Stabilisation of generator output against variations of physical values, e.g. power supply
    • H03L1/02Stabilisation of generator output against variations of physical values, e.g. power supply against variations of temperature only
    • H03L1/04Constructional details for maintaining temperature constan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Oscillators With Electromechanical Reson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항온조제어 수정발진기에 관한 것으로, 진동전극이 형성된 진동판의 일부면에 박막필름 형태의 가열부재와 온도감지센서를 배치하여 상기 수정판에 열을 공급하는 항온조제어 수정발진기를 제공한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은 전원 인가 시 진동하도록 일정한 패턴을 갖는 진동전극이 형성된 진동판과; 상기 진동판의 상부면에 접촉하고, 상기 진동판의 외측 테두리를 따라 배치되는 가열부재와; 상기 진동판의 하부면에 접촉하고, 상기 진동판의 외측 테두리를 따라 배치되는 온도감지센서와; 상기 진동판의 상하부면에 접촉하고, 상기 진동판을 지지하도록 배치되는 수정판 지지부재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상기 진동판으로 원하는 온도의 열을 전달함에 따라 발생하는 압전현상에 따른 진동판의 진동을 통해 더욱 정확한 주파수를 발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수정발진기, 진동판, 수정디스크, 압전현상, OCXO, 열전도

Description

항온조제어 수정발진기 {The oven controlled crystal oscillators}
본 발명은 항온조제어 수정발진기에 관한 것으로, 진동전극이 형성된 진동판의 일부면에 박막필름 형태의 가열부재와 온도감지센서를 배치하여 상기 진동판에 열을 전달하는 항온조제어 수정발진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정판의 진동을 이용하는 수정발진기는 이동통신단말기 사이에 신호의 전송 및 수신을 제어하기 위해 발진주파수를 생성하는 필수적인 부품이다. 이러한 수정발진기는 주위 온도에 따라 발진주파수가 변동되는 온도특성이 있고, 이러한 온도특성에 따른 주파수 변동을 보상하기 위해 개발된 제품이 온도보상형 수정발진기(TCXO: Temperature Compensated Crystal Oscillator)이다.
하지만, 상기 온도보상형 수정발진기(TCXO)는 상온에서 동작하므로, 주파수 안정도가 떨어지고, 위상노이즈 특성이 열악하여 높은 정밀도가 요구되는 전자제품에 적용하기 어려웠다.
이러한 상기 온도보상형 수정발진기(TCXO)에 대하여 주파수 안정도 및 위상 노이즈 특성이 향상된 발진기가 바로 항온조제어 수정발진기 (OCXO: Oven Controlled Crystal Oscillator)이다. 상기 항온조제어 수정발진기(OCXO)는 주위온도보다 높은 일정한 온도를 유지하기 위한 항온조를 만들고, 그 속에 수정판을 위치시킴으로써, 보다 안정된 주파수안정도를 나타낸다.
여기서, 상기 항온조의 온도를 높여주기 위한 가열지점이 주파수를 생성하는 수정판과 떨어져 있어, 효율적인 열전도와 온도 측정이 이루어지기 어려운 문제점이 발생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에 의해 제안된 것으로, 진동전극이 형성된 진동판의 일부면에 박막필름 형태의 가열부재와 온도감지센서를 배치하여 상기 진동판에 열을 공급하는 항온조제어 수정발진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전원 인가 시 진동하도록 일정한 패턴을 갖는 진동전극이 형성된 진동판과; 상기 진동판의 상부면에 접촉하고, 상기 진동판의 외측 테두리를 따라 배치되는 가열부재와; 상기 진동판의 하부면에 접촉하고, 상기 진동판의 외측 테두리를 따라 배치되는 온도감지센서와; 상기 진동판의 상하부면에 접촉하고, 상기 진동판을 지지하도록 배치되는 진동판 지지부 재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열부재에 전원이 인가되도록 상기 진동판의 상부면에 접촉하고, 상기 가열부재의 양 끝단에 연결되어 배치되는 적어도 두 개의 전극단자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온도감지센서에 전원이 인가되도록 상기 진동판의 하부면에 접촉하고, 상기 온도감지센서의 양 끝단에 연결되어 배치되는 적어도 두 개의 전극단자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상기 가열부재와 온도감지센서는 박막필름(Thin Film) 형태일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진동판으로 열을 공급함에 따라 발생하는 압전현상을 이용하여 진동판의 진동을 통해 더욱 정확한 주파수를 발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와 동시에, 높은 주파수 정확성을 갖는 수정발진기를 생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항온조제어 수정발진기에 대한 예는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항온조제어 수정발진기의 구조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항온조제어 수정발진기(100)는 각각의 전극단자들(112a,112b, 113a,113b, 114a,114b)이 형성된 메탈베이스(111)와; 진동전극(122)이 형성된 진동판(121), 상기 진동판(121)의 외주를 따라 형성되는 가열부재(124), 상기 가열부재(124)로 전원을 인가하는 가열부재용 전극단자(126a, 126b), 상기 진동판(121)을 지지하는 진동판 지지부재(미도시), 상기 진동판을 덮는 커버케이스(130)를 포함한다.
메탈베이스(111)는 상기 진동판(121)이 실장되는 베이스로, 상기 메탈베이스(111)의 하부면에서 상기 메탈베이스(111)를 지탱하는 지지홀더가 형성되고, 메탈로 구성되는 상기 메탈베이스(111)의 상부면에는 진동판용 전극단자(112a, 112b), 가열부재용 전극단자(113a, 113b), 온도감지센서용 전극단자(114a, 114b)가 각각 형성된다. 이러한 전극단자들은 상기 메탈로 이루어진 메탈베이스(111)의 상부면과 전기적 간섭이 일어나지 않도록 절연재를 포함하여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진동판(121)은 진동전극(122)이 상하 또는 좌우로 진동하도록 형성된 원형의 디스크형태를 말한다. 이러한 상기 진동판(121)의 재질은 은(Ag)을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가열부재(124)는 상기 진동판(121)의 상부면에 접촉하고, 상기 진동판(121)의 상부 외측 테두리를 따라 배치된다. 이러한 상기 가열부재(124)는 박막필름(Thin Film)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가열부재용 전극단자(126a, 126b)는 상기 가열부재(124)로 전원이 인가되도록 상기 진동판(121)의 상부면에 접촉하고, 상기 가열부재(124)의 양끝단과 연결되 어 배치된다.
진동판 지지부재(미도시)는 상기 진동판(121)의 상하부면에 접촉하여 상기 메탈베이스(111)의 상부면에 형성된 전극단자(112a,112b, 113a113b, 114a114b)들에 각각 연결되고, 상기 진동판(121)을 지지한다.
커버케이스(130)는 상기 메탈베이스(111)의 상부면에 실장되는 진동판(121)을 덮는다. 이때, 상기 커버케이스(130)는 용접 또는 본딩을 통해 상기 메탈베이스(111)와 진동판(121)을 고정시킨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인 항온조제어 수정발진기(100)의 진동판(121)을 위에서 내려다 본 모습을 살펴보도록 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동전극(122)이 형성된 진동판(121), 상기 진동판(121)에 접촉하여 형성되는 가열부재(124), 상기 가열부재(124)의 양 끝단에 연결되는 전극단자(126a, 126b)을 포함한다.
상기 진동판(121)은 상부면에 내부 중앙부분으로부터 외곽부분까지 진공증착방법을 통해 진동전극(122)이 형성된다. 이러한 진동판(121)은 원형으로 이루어지고, 내부 중앙부분에는 상기 진동판(121)의 형태와 동일한 원형의 전극이 형성되고, 상기 중앙부분부터 외곽부분까지 연장형성되는 부분은 직사각형의 형태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열부재(124)는 상기 진동판(121)의 상부면과 접촉하여, 상기 진동판(121)의 외측 테두리를 따라 일정 두께를 갖는 띠 형태로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가열부재(124)로부터 발생된 열이 진동판(121)으로 전달되어, 상기 진동판(121)의 온도가 올라간다.
상기 가열부재용 전극단자(126a, 126b)는 상기 가열부재(124)의 양 끝단에 연결되어 상기 진동판(121)의 상부면에 접촉하여 배치된다.
결국, 상기 가열부재용 전극단자(126a, 126b)를 통해 상기 가열부재(124)로 전원이 인가되고, 전원이 인가된 가열부재(124)가 상기 진동판(121)으로 열을 전달한다. 진동을 위한 설정온도가 될 때까지 상기 진동판(121)의 온도가 상승함에 따라, 상기 진동판(121)이 진동하여 주파수를 발생한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인 항온조제어 수정발진기(100)의 진동판(121)을 아래에서 올려다 본 모습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동전극(123)이 형성된 진동판(121), 상기 진동판(121)을 따라 형성되는 온도감지센서(125), 상기 온도감지센서(125)로 전원을 인가하는 온도감지센서용 전극단자(127a, 127b)를 포함한다.
진동판(121)은 하부면에 내부 중앙부분으로부터 외곽부분까지 연장되는 진동전극(123)이 형성된다.
온도감지센서(125)는 상기 진동판(121)의 하부면에 접촉하고, 상기 진동판(121)의 외측 테두리를 따라 배치된다. 이러한 온도감지센서(125)는 상기 진동판(121)을 사이에 두고, 앞서 설명한 상기 가열부재(124)와 대응하여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온도감지센서(125)는 상기 가열부재(124)와 동일한 형태인 박막필름 형태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상기 온도감지센서(125)는 RTD(Resistance Temperature Detector)를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RTD는 저항을 이용하여 온도를 감지하는 측온저항체를 말하며, 본 발명에서는 백금측온저항체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백금측온저항체는 플라스틱 필름에 얇은 백금 막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RTD를 통해 전류를 통과시키면 RTD에서 전압을 생성하고, 생성된 전압을 측정하면 저항 및 온도를 파악할 수 있는 소자이다.
따라서 상기 진동판(121)의 상부면에 형성된 가열부재(124)로부터 발생된 열이 상기 진동판(121)으로 전도됨에 따라, 상기 진동판(121)의 온도가 상승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진동판(121)의 온도가 85℃ 일 때, 상기 진동판(121)이 진동하여 정확한 주파수를 발생할 수 있으므로, 상기 진동판(121)의 하부면에 형성된 온도감지센서(125)가 상기 진동판(121)의 온도를 측정하여 85℃가 되는지 확인한다. 상기 온도감지센서(125)가 상기 진동판(121)의 온도를 지속적으로 측정하여 85℃가 되는 것을 확인하면, 상기 가열부재(124)로부터 상기 진동판(121)으로의 열전달이 중단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가열부재(124)와 대응하여 온도감지센서(125)가 상기 진동판(121)에 배치되므로, 상기 가열부재(124)로부터 상기 진동판(121)에 열이 전도될 때, 상기 온도감지센서(125)가 상기 진동판(121)의 온도를 측정한다.
온도감지센서용 전극단자(127a, 127b)는 상기 진동판(121)의 하부면에 접촉되고, 상기 온도감지센서(125)의 양 끝단에 연결배치되어 상기 온도감지센서(125)에 전원을 인가한다.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진동판을 사이에 두고 배치된 가열부재와 온도감지센서에 대해 보다 자세히 살펴보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항온조제어 수정발진기(100)의 진동판(121)을 측면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동판(121)을 사이에 두고, 상부면의 중앙에는 진동전극(122)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면의 외측 테두리부분에 가열부재(124)가 형성된다.
상기 진동판(121)의 하부면의 중앙에는 진동전극(123)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면의 외측 테두리부분에 온도감지센서(125)가 형성된다.
결과적으로, 진동판(121)의 동일한 위치에 있어서 상부면에는 가열부재(124)가 구비되고, 하부면에는 온도감지센서(125)가 구비된다. 이에 따라, 진동판(121)으로 열이 전달되는 위치와 온도를 측정하는 위치가 동일하므로, 효율적인 열전도 및 온도측정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열전도를 이용한 수정발진기에 대해 보다 자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진동판은 크리스탈로 구성되고, 상기 진동판에 기계적인 힘을 주면 내부에 응력이 발생하고, 그 물질 속에 전기분극이 일어나는 압전현상이 발생한다. 이러한 압전현상에 의해, 상기 진동판에 전원을 인가하면, 내부에 응력이 발생하여 수축 및 팽창이 발생함으로써, 상기 진동판의 진동이 발생하여 주파수를 생성한다.
이 때, 상기 진동판이 가열부재로부터 열을 공급받으면, 상기 진동판의 내부온도가 상승하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진동판이 발생하는 주파수 또한 미세하게 달라진다. 하지만 본 발명과 같이, 상기 진동판에 접촉하여 열을 공급하는 가열부재와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감지센서가 배치됨에 따라, 상기 진동판으로 좀 더 효율적인 열 전도가 가능해질 뿐만 아니라 온도측정의 오차를 줄임으로써, 보다 정확한 주파수를 발생시키는 효과가 있다. 이에 따라, 높은 주파수 정확성을 갖는 수정발진기를 생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 본 발명에 의한 항온조제어 수정발진기 및 그 제조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이러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항온조제어 수정발진기의 조립구조도이고,
도 2는 도 1의 진동판을 위에서 내려다 본 모습이고,
도 3은 도 1의 진동판을 아래에서 올려다 본 모습이고,
도 4는 도 1의 진동판을 측면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1: 메탈베이스 112a, 112b: 진동판용 전극단자
113a, 113b: 가열부재용 전극단자 114a, 114b: 온도감지센서용 전극단자
121: 진동판 122: 진동전극
124: 가열부재 126a, 126b: 가열부재용 전극단자
130: 커버케이스

Claims (4)

  1. 전원 인가 시 진동하도록 일정한 패턴을 갖는 진동전극이 형성된 진동판과;
    상기 진동판의 상부면에 접촉하고, 상기 진동판의 외측 테두리를 따라 배치되는 가열부재와;
    상기 진동판의 하부면에 접촉하고, 상기 진동판의 외측 테두리를 따라 배치되는 온도감지센서와;
    상기 진동판의 상하부면에 접촉하고, 상기 진동판을 지지하도록 배치되는 진동판 지지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진동판은 중앙부분에 형성되는 원형의 진동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중앙부분으로부터 외곽부분까지 상기 원형의 진동전극에 연장형성되는 직사각형의 진동전극을 포함하며,
    상기 가열부재와 상기 온도감지센서는 상기 진동판을 사이에 두고 상호 대응하도록 각각 띠 형태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온조제어 수정발진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부재에 전원이 인가되도록 상기 진동판의 상부면에 접촉하고, 상기 가열부재의 양끝단에 연결되어 배치되는 적어도 두 개의 전극단자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항온조제어 수정발진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감지센서에 전원이 인가되도록 상기 진동판의 하부면에 접촉하고, 상기 온도감지센서의 양끝단에 연결되어 배치되는 적어도 두 개의 전극단자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항온조제어 수정발진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부재와 온도감지센서는 박막필름(Thin Film) 형태임을 특징으로 하는 항온조제어 수정발진기.
KR1020090019249A 2009-03-06 2009-03-06 항온조제어 수정발진기 Expired - Fee Related KR1010243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9249A KR101024366B1 (ko) 2009-03-06 2009-03-06 항온조제어 수정발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9249A KR101024366B1 (ko) 2009-03-06 2009-03-06 항온조제어 수정발진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0383A KR20100100383A (ko) 2010-09-15
KR101024366B1 true KR101024366B1 (ko) 2011-03-23

Family

ID=430064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9249A Expired - Fee Related KR101024366B1 (ko) 2009-03-06 2009-03-06 항온조제어 수정발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24366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14929A (ja) 1998-01-20 1999-08-06 Toyo Commun Equip Co Ltd 圧電発振器
JP2001016034A (ja) 1999-04-30 2001-01-19 Toyo Commun Equip Co Ltd 恒温槽型圧電発振器
JP2001127579A (ja) * 1999-10-25 2001-05-11 Toyo Commun Equip Co Ltd 圧電振動子及び、これを用いた圧電発振器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14929A (ja) 1998-01-20 1999-08-06 Toyo Commun Equip Co Ltd 圧電発振器
JP2001016034A (ja) 1999-04-30 2001-01-19 Toyo Commun Equip Co Ltd 恒温槽型圧電発振器
JP2001127579A (ja) * 1999-10-25 2001-05-11 Toyo Commun Equip Co Ltd 圧電振動子及び、これを用いた圧電発振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0383A (ko) 2010-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354347B2 (ja) 水晶発振器
US8754718B2 (en) Piezoelectric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JP4739387B2 (ja) 恒温型の水晶発振器
JP2011004382A (ja) 恒温型の水晶発振器
JP5218169B2 (ja) 圧電発振器及びこの圧電発振器の周囲温度測定方法
EP1476796A4 (en) OSCILLATOR HAVING FREQUENCY STABILIZATION CIRCUIT AND CORRESPONDING PRODUCTION METHOD
JP5218372B2 (ja) 圧電発振器、及び圧電発振器の周波数制御方法
JP2012124549A (ja) 温度制御型水晶振動子及び水晶発振器
TW201126890A (en) Constant-temperature type crystal oscillator
JP5926578B2 (ja) 圧電デバイス
JP4483138B2 (ja) 高安定圧電発振器の構造
RU2329591C1 (ru) Кварцевый резонатор-термостат
KR101024366B1 (ko) 항온조제어 수정발진기
JP5741869B2 (ja) 圧電デバイス
JP2004207870A (ja) 圧電振動子収納用パッケージおよびこれを用いた恒温型発振器
RU167515U1 (ru) Кварцевый резонатор-термостат
JP2013150253A (ja) 恒温槽付水晶発振器
RU198436U1 (ru) Кварцевый резонатор-термостат
RU123218U1 (ru) Кварцевый резонатор-термостат
WO2017015834A1 (zh) 一种直接加热式恒温晶体振荡器
JP4437336B2 (ja) 静電容量型真空センサ
CN211481244U (zh) 一种晶体振荡器
RU2375814C1 (ru) Термокомпенсированный кварцевый генератор
JPH1141032A (ja) 水晶発振子の温度制御装置
RU2323517C1 (ru) Термостатированный пьезоэлектрический генерато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030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0090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1022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1031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1031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4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31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602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