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24038B1 - Cluster configuration method of cluster sensor network and sensor network to which the method is applied - Google Patents
Cluster configuration method of cluster sensor network and sensor network to which the method is applied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024038B1 KR101024038B1 KR1020080106345A KR20080106345A KR101024038B1 KR 101024038 B1 KR101024038 B1 KR 101024038B1 KR 1020080106345 A KR1020080106345 A KR 1020080106345A KR 20080106345 A KR20080106345 A KR 20080106345A KR 101024038 B1 KR101024038 B1 KR 10102403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luster
- sensor network
- sensor
- delete delete
- nod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5/00—Routing or path finding of packets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5/46—Cluster building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5/00—Routing or path finding of packets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5/32—Flooding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0—Communication routing or communication path finding
- H04W40/24—Connectivity information management, e.g. connectivity discovery or connectivity update
- H04W40/32—Connectivity information management, e.g. connectivity discovery or connectivity update for defining a routing cluster membership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18—Self-organising networks, e.g. ad-hoc networks or sensor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클러스터 구조의 센서 네트워크에서 클러스터의 크기를 조절하는 구성 방법에 대한 것으로 센서 네트워크의 각 클러스터에 포함된 클러스터 헤드의 에너지 소비량이 균등하게 되도록 클러스터의 크기를 조절하여 센서 네트워크의 수명을 극대화한 클러스터 조절방법에 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figuration method for controlling the size of a cluster in a sensor network of a cluster structure, by maximizing the life of the sensor network by adjusting the size of the cluster to equalize the energy consumption of the cluster heads included in each cluster of the sensor network. It is about how to adjust the cluster.
본 발명에 따른 센서 네트워크의 클러스터 크기 조절방법은 클러스터 구조의 센서 네트워크의 클러스터를 조절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클러스터를 구성하는 각 센서노드와 상기 센서 네트워크의 싱크노드 사이의 거리를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결정된 거리에 따른 센서노드의 에너지 소비량과 상기 센서 네트워크의 특성을 고려하여 각 클러스터의 크기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In a method for adjusting a cluster size of a sensor networ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ethod for adjusting a cluster of a sensor network having a cluster structure includes determining a distance between each sensor node constituting the cluster and a sink node of the sensor network. And determining the size of each cluster in consideration of the energy consumption of the sensor node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sensor network according to the determined distance.
위와 같은 클러스터 크기조절방법에 따르면 각 클러스터를 이루는 클러스터 헤드의 에너지 소비량이 동일하도록 클러스터의 크기를 조절함에 따라 센서 네트워크의 수명을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cluster sizing method as described above, by adjusting the size of the cluster so that the energy consumption of the cluster head constituting each cluster is the same, it is possible to maximize the life of the sensor network.
클러스터, 센서 네트워크, 지그비(Zigbee), CSMA/CA Cluster, Sensor Network, Zigbee, CSMA / CA
Description
본 발명은 클러스터 구조의 센서 네트워크에서 클러스터의 크기를 조절하는 방법에 대한 것으로 센서 네트워크의 각 노드의 에너지 소비량에 따라 클러스터의 크기를 조절하여 센서 네트워크의 수명이 최대화 되도록 하는 클러스터 구성방법에 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adjusting the size of a cluster in a sensor network of a cluster structure, and to a method for configuring a cluster to maximize the life of the sensor network by adjusting the size of the cluster according to the energy consumption of each node of the sensor network.
최근 들어 무선 통신기술과 통신장비의 급격한 발달에 따라 유비쿼터스 네트워킹 시대가 도래 하였는데 유비쿼터스 네트워킹에는 낮은 전력 소모와 낮은 생산단가의 센서를 이용하는 센서 네트워크가 각광을 받고 있다.Recently, with the rapid development of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y and communication equipment, the ubiquitous networking era has arrived. In the ubiquitous networking, a sensor network using sensors with low power consumption and low production cost has been in the spotlight.
센서 네트워크 중 지그비(ZigBee)는 단말의 통신 거리는 짧지만 클러스터링 구조를 통하여 쉽게 통신 커버리지를 확장할 수 있는 장점이 있어 홈네트워크, 가전기기 제어, 산업 자동화 등의 다양한 분야에 널리 적용되고 있다.Among the sensor networks, ZigBee has a short communication distance but has an advantage of easily extending communication coverage through a clustering structure, and thus has been widely applied to various fields such as home network, home appliance control, and industrial automation.
지그비를 포함하는 센서 네트워크는 값싼 센서노드들의 특징으로 인해 정교한 배치 알고리즘이 필요 없으며 자기 스스로 topology를 바꿀 수가 있으며, 각 센서노드들은 에너지를 공급해주는 전력선이 없고 단지 배터리에 의존하여 작동한다. 각 센서노드들의 배터리를 교환하거나 충전하기가 쉽지 않기 때문에 에너지 소모 문제가 센서 네트워크의 가장 큰 연구과제이다.ZigBee's sensor networks do not require sophisticated placement algorithms due to the inexpensive sensor nodes, and they can change their topology on their own. Each sensor node does not have an energy supply line and operates only on batteries. Since it is not easy to exchange or recharge the battery of each sensor node, energy consumption problem is the biggest problem of sensor network.
위와 같은 센서 네트워크의 에너지 소모를 최적화 하기 위해 "Seema Bandyopadhyay, Edward J. Coyle, "Minimizing communication costs in hierarchically-clustered networks of wireless sensors", Computer Networks, Vol.44, pp.1-16, 15Jan. 2004"에서는 클러스터 네트워크의 에너지 소모를 통신 거리에 비례한다고 가정하고 에너지 소모를 최소로 하는 클러스터 헤드(Cluster head)의 개수를 구하였고, See Seema Bandyopadhyay, Edward J. Coyle, "Minimizing communication costs in hierarchically-clustered networks of wireless sensors", Computer Networks, Vol. 44, pp. 1-16, 15 Jan. 2004 In ", we calculated the number of cluster heads that minimize the energy consumption, assuming that the energy consumption of the cluster network is proportional to the communication distance.
"W. Heinzelman, A. Chandrakasan, H. Balakrishnan, "Energy-Efficient Communication Protocol for Wireless Microsensor Networks", Proc. of the 33rd Annual Hawaii International Conference on System Sciences, pp. 3005-3014, Jan 2000"에서는 클러스터의 부하를 줄이기 위해 클러스터 멤버들 간에 반복적으로 클러스터 헤드(Cluster head)의 역할을 돌아가면서 맞는 방법을 제안하였고, In "W. Heinzelman, A. Chandrakasan, H. Balakrishnan," Energy-Efficient Communication Protocol for Wireless Microsensor Networks, "Proc. Of the 33rd Annual Hawaii International Conference on System Sciences, pp. 3005-3014, Jan 2000. In order to reduce the load, the proposed method was proposed by repeatedly changing the role of the cluster head between cluster members.
"W. Heinzelman, A. Chandrakasan, H. Balakrishnan, "An application specific protocol architecture for Wireless Microsensor Networks", IEEE Trans. on Wireless Communications, Vol. 1, no. 4, pp. 660-670, 2002"에서는 각 클러스터 멤버들이 자신의 남은 에너지 정보를 교환하여 에너지가 가장 많이 남은 클러스터 멤버를 클러스터 헤드로 뽑는 방법을 제안하였다.In "W. Heinzelman, A. Chandrakasan, H. Balakrishnan," An application specific protocol architecture for Wireless Microsensor Networks ", IEEE Trans. On Wireless Communications, Vol. 1, no. 4, pp. 660-670, 2002. The cluster members exchanged their remaining energy information, and proposed a method of selecting the cluster member with the most energy as the cluster head.
하지만 상기 방법들은 복잡도가 낮은 센서노드들에게 또 다른 컴퓨팅의 부하를 일으켜 추가적으로 에너지가 소모되는 단점이 있고, 싱크 노드 근처의 클러스터 헤드의 에너지 소모가 다른 클러스터 헤드에 비해 크기 때문에 발생하는 병목(bottle neck) 현상에 의해 전체 센서 네트워크의 수명이 단축되는 문제가 여전히 발생하였다.However, the above methods have the disadvantage that additional energy is consumed by causing another computing load on low-complex sensor nodes, and a bottleneck caused by a larger energy consumption of the cluster head near the sink node than other cluster heads. ), The problem of shortening the lifespan of the entire sensor network still occurred.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클러스터의 크기를 센서 네트워크를 이루는 싱크노드와 센서노드간의 거리에 따라 조절하여 각 클러스터에 포함된 클러스터 헤드의 에너지 소비량이 동일하도록 함에 따라 센서 네트워크의 수명을 극대화 할 수 있는 센서 네트워크의 클러스터 조절방법 및 크기가 조절된 클러스터로 이루어진 센서 네트워크를 제공함에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by adjusting the size of the cluster according to the distance between the sync node and the sensor node constituting the sensor network so that the energy consumption of the cluster head included in each cluster to be the same, the life of the sensor network It is to provide a sensor network consisting of a cluster control method and a scaled cluster of sensor networks that can be maximized.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센서 네트워크의 클러스터 조절방법은 클러스터 구조의 센서 네트워크의 클러스터를 조절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클러스터를 구성하는 각 센서노드와 상기 센서 네트워크의 싱크노드 사이의 거리를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결정된 거리에 따른 센서노드의 에너지 소비량과 상 기 센서 네트워크의 특성을 고려하여 각 클러스터의 크기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method of controlling a cluster of a sensor network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method of adjusting a cluster of a sensor network of a cluster structure, the distance between each sensor node constituting the cluster and the sink node of the sensor network. And determining the size of each cluster in consideration of the energy consumption of the sensor node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sensor network according to the determined distance.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센서 네트워크의 클러스터 조절방법은 클러스터 헤드(CH)와 클러스터 멤버(CM)를 포함하는 센서노드로 구성된 클러스터 구조의 센서 네트워크에 있어서, 상기 클러스터를 구성하는 각 센서노드와 상기 센서 네트워크의 싱크노드 사이의 거리를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결정된 거리에 따라 각 클러스터에 포함된 클러스터 헤드의 에너지 소비량이 동일하도록 각 클러스터의 크기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cluster control method of the sensor network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in the sensor network of the cluster structure consisting of a sensor node including a cluster head (CH) and the cluster member (CM), comprising the cluster Determining a distance between each sensor node and a sink node of the sensor network, and determining the size of each cluster such that energy consumption of the cluster head included in each cluster is equal according to the determined distance.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센서 네트워크는 상기 본 발명에 따른 센서 네트워크의 클러스터 조절방법에 의해 크기가 조절된 클러스터로 이루어진다.In addition,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sensor network of the present invention consists of a cluster whose size is adjusted by the cluster adjusting method of the sensor networ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상과 같은 구성의 본 발명은 각 클러스터 헤드의 크기를 싱크노드로 부터의 거리에 따라 조절하여 센서 네트워크의 수명을 극대화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has the effect of maximizing the life of the sensor network by adjusting the size of each cluster head according to the distance from the sink node.
또한, 각 클러스터에 포함된 클러스터 헤드의 에너지 소모량이 동일하도록 클러스터의 크기를 조절함에 따라 특정 클러스터 헤드의 수명이 빨리 단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by adjusting the size of the cluster so that the energy consumption of the cluster head included in each cluster is the sam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life of the specific cluster head is shortened quickly.
또한, 클러스터 헤드들이 어느 위치에 있건 노드 당 소모 전력을 균등화하여 센서 네트워크의 수명을 극대화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cluster heads have the effect of maximizing the life of the sensor network by equalizing the power consumption per node at any position.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n examp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클러스터 구조의 센서 네트워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클러스터 구조의 센서 네트워크는 다수의 센서 노드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제안된 네트워크로서 센서 노드 간의 에너지 소모를 최소화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클러스터 구조의 네트워크에서는 클러스터 헤드와 클러스터 멤버로 구성된 다수의 클러스터로 이루어지며 클러스터 멤버들의 데이터를 취합하여 싱크노드로 전송함에 따라 에너지 소모를 줄일 수가 있다.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ensor network having a cluster structure. The sensor network of the cluster structure is a proposed network for efficiently managing a plurality of sensor nodes, and has an advantage of minimizing energy consumption between sensor nodes. In a clustered network, a cluster consists of a cluster head and cluster members, and data of cluster members are collected and transmitted to the sink node, thereby reducing energy consumption.
도 1에 도시된 클러스터 구조의 센서 네트워크는 하나의 PAN(Personal Area Network) 코디네이터를 포함하는데 PAN 코디네이터는 PAN의 형성, 유지 관리를 담당한다. PAN 코디네이터 이외에도 센서 네트워크에는 다수의 클러스터가 포함되는데 각 클러스터는 클러스터 헤드와 클러스터 멤버로 구성된다. The sensor network of the cluster structure shown in FIG. 1 includes one Personal Area Network (PAN) coordinator, which is responsible for formation and maintenance of a PAN. In addition to the PAN coordinator, the sensor network includes a number of clusters, each consisting of a cluster head and cluster members.
각 클러스터에는 하나의 클러스터 헤드(CLH)가 마련되어 있어서, 센서노드와 PAN간의 통신을 중계한다. 데이터의 송신이 필요한 클러스터 멤버는 클러스터 헤드로 데이터를 송신하고 클러스터 헤드는 클러스터 멤버들의 데이터를 모아서 멀티홉 방식으로 PAN 코디네이터로 데이터를 송신한다. Each cluster is provided with one cluster head CLH to relay communication between the sensor node and the PAN. The cluster member that needs to transmit the data transmits the data to the cluster head, and the cluster head collects the data of the cluster members and transmits the data to the PAN coordinator in a multi-hop manner.
이 과정에서 데이터 수집 노드 (그림 상에서는 PAN 코디네이터로 가정) 근처의 클러스터 헤드는 잦은 데이터 송신으로 인해 에너지의 소모가 많아 배터리가 빨리 소모되므로 목적지 데이터 수집 노드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는 클러스터 헤드보 다 수명이 짧은 병목(bottleneck) 현상이 일어난다. In this process, the cluster head near the data acquisition node (assuming a PAN coordinator in the figure) is a bottleneck with a shorter lifespan than the cluster head farther from the destination data collection node because the battery consumes more energy due to high energy consumption due to frequent data transmission. (bottleneck) phenomenon occurs.
클러스터에 포함된 센서노드들은 다중 채널을 이용하여 통신을 하며 각 클러스터는 여러 채널을 사용하여 클러스터 내 통신 및 다른 클러스터의 노드와 통신을 통신을 수행한다. 일례로 지그비 단말 노드의 경우 IEEE 802.15.4 표준에 기반하여 만든 통신 장비로서 유럽의 경우 868 ~ 868.6 MHz, 북아메리카에서는 902 ~ 928 MHz에서 작동하며 전 세계적으로 ISM(Industrial, Scientific and Medical) band에서 작동을 한다. 2.4 GHz band에는 16개의 채널이 있다.Sensor nodes included in a cluster communicate using multiple channels, and each cluster uses multiple channels to communicate within a cluster and with nodes of another cluster. For example, a Zigbee terminal node is a communications device built on the IEEE 802.15.4 standard, operating in 868-868.6 MHz in Europe and 902-928 MHz in North America and operating in the Industrial, Scientific and Medical (ISM) band globally. Do it. There are 16 channels in the 2.4 GHz band.
각 클러스터는 11번부터 24번의 채널 중 임의의 한 채널을 이용하며 클러스터 헤드는 기존의 채널에 25번 혹은 26번의 채널을 이용하여 클러스터 헤드들 끼리 멀티 홉을 통해 통신을 한다. 클러스터 헤드들 간의 통신 채널을 25번 혹은 26번으로 정한 이유는 무선랜 동작 채널과의 간섭을 피하기 위함이다.Each cluster uses any one of channels 11 to 24, and the cluster head communicates through the multi-hop between cluster heads using channels 25 or 26 for the existing channel. The reason for determining the communication channel between the cluster heads as 25 or 26 is to avoid interference with the WLAN operation channel.
센서 네트워크를 이루는 센서노드들은 통상 필드에 무작위로 분포하게 되는데 이는 센서노드를 이루는 단말기의 가격이 저렴하므로 정교한 배치 알고리즘이 필요 없기 때문이다. Sensor nodes constituting the sensor network are usually distributed randomly in the field because the cost of the terminals constituting the sensor node is low, so a sophisticated placement algorithm is not required.
본 발명은 센서 네트워크의 수명을 극대화하기 위해 싱크노드와 센서노드 사이의 거리에 따라 클러스터의 크기를 적절히 조절하는 클러스터 조절방법인데 도 2를 참조하여 지그비(ZigBee) 단말노드를 일예로 들어 홉 수에 따라 클러스터 헤드가 될 확률을 달리 결정하고 이를 통해 클러스터의 크기를 적응적으로 조절하는 클러스터 조절방법에 대해 이하에서 설명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cluster control method for properly adjusting the size of the cluster according to the distance between the sink node and the sensor node in order to maximize the life of the sensor network with reference to Figure 2 ZigBee (node) node as an example hop number Accordingly, a cluster adjustment method for differently determining a probability of becoming a cluster head and adaptively adjusting the size of the cluster through the cluster head will be described below.
지그비 단말노드들이 무작위로 분포되고 나면 싱크노드는 11번부터 24번 채 널까지 순서대로 자신의 홉 값 0을 broadcast하게 된다. 싱크노드의 전송거리 r안에 있는 즉, 1-hop의 거리에 있는 지그비 단말노드들은 그 메시지를 받게 된다. 메시지를 받은 단말노드들은 메시지에 있는 홉값 더하기 1을 자신의 홉값으로 하고 이를 다시 broadcast한다. 이러한 방식을 flooding 기법이라고 하는데 일정 시간동안 flooding 기법에 의해 지그비 단말노드들은 각자의 홉값을 갖게 된다.(S200 단계)After the Zigbee terminal nodes are randomly distributed, the sink node broadcasts its
싱크노드와 각 지그비 단말노드 즉, 센서노드간의 거리 추정 방안으로서 flooding에 의한 홉 값 설정 방안을 이용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외에 각 node의 위치를 알고 있는 경우 곧바로 거리 정보를 알아낼 수 있다. The hop value setting method by flooding is used as a method for estimating the distance between the sink node and each Zigbee terminal node, that is, the sensor node, but is not limited thereto. In addition, if the location of each node is known, distance information can be found out immediately.
Flooding 기법에 의해 클러스터를 이루는 지그비 단말노드들은 각자의 홉값을 가지며 각 지그비 단말노드의 홉값이 결정되면 본 발명의 클러스터 조절방법에 의해 차등적으로 설정되는 클러스터 헤드가 될 확률값(p)에 따라 클러스터 헤드가 되거나 클러스터 멤버가 된다. The zigbee terminal nodes that make up the cluster by the flooding technique have their respective hop values, and when the hop value of each zigbee terminal node is determined, the cluster head is set according to the probability value p to be the cluster head differentially set by the cluster adjustment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Or become a cluster member.
본 발명의 클러스터 조절방법은 클러스터 헤드가 될 확률값 p를 이용하여 클러스터의 크기를 결정하고 p는 싱크노드로부터의 거리, 예를 들어 홉값에 따라 차등적으로 결정된다. 이를 통해 거리에 따라 클러스터의 크기가 달라지고 네트워크를 이루는 클러스터 헤드의 에너지 소모가 동일해져 센서 네트워크의 수명을 극대화 할 수 있다. 즉, 병목(bottleneck) 현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하여 싱크노드 근처의 클러스터 헤드의 수명이 외곽에 위치한 클러스터 헤드의 수명과 동일하게 됨에 따라 센서 네트워크의 수명이 길어지게 된다.In the cluster adjustment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luster size is determined using the probability value p to be the cluster head, and p is differentially determined according to a distance from the sink node, for example, a hop value. As a result, the cluster size varies according to the distance, and the energy consumption of the cluster head constituting the network is the same, thereby maximizing the life of the sensor network. That is, the bottleneck phenomenon is effectively prevented, so that the life of the cluster head near the sink node is the same as the life of the cluster head located at the outer edge of the sensor network.
각 클러스터에서 클러스터 헤드가 될 확률값 p는 싱크노드와 센서 네트워크의 특성을 고려하여 결정하게 되는데 이하에서 각 클러스터의 p를 결정하는 일예를 자세히 설명한다.The probability value p to be the cluster head in each cluster is determined in consider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sink node and the sensor network. Hereinafter, an example of determining p of each cluster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우선 본 발명은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싱크노드와의 거리에 따라 적응적으로 클러스터의 크기를 결정한다. 즉, 싱크노드와의 거리가 가까워질수록 외곽으로부터의 데이터가 몰리게 되므로 에너지 소모량의 균형을 맞추기 위해 클러스터를 작게 설정한다.First,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adaptively determines the size of the cluster according to the distance to the sink node. In other words, as the distance from the sink node gets closer, the data from the outside is crowded, so the cluster is set smaller to balance energy consumption.
또한, 싱크노드로부터 N번째 홉에 있는 클러스터에서 클러스터 헤드가 될 확률을 pN으로 정의로 정의한다면 다음의 조건이 만족해야하는데Also, if p N is defined as the probability of being the cluster head in the cluster at the Nth hop from the sink node, the following conditions must be met:
여기서 마지막 부등호는, 지그비 단말노드의 전송거리 r안 (전송 거리 안의 노드 개수는 단말노드의 밀도가 η이므로 개가 된다) 중에 적어도 하나의 클러스터 헤드가 있어야 하는 조건이 표현된 것이고(≥(1개 클러스터 헤드/개 노드들)) 그 앞의 부등호 들은, 싱크노드로부터 가까울수록 클러스터 헤드가 될 확률이 높아야 한다는 조건을 나타낸 것이다. (N이 작을수록 싱크노드에 가깝다.)Here, the last inequality sign is the transmission distance r of the Zigbee terminal node (the number of nodes within the transmission distance is η since the terminal node density is η). The condition that there must be at least one cluster head) ≥ (1 cluster head / The inequalities in front of them represent a condition that the closer to the sink node, the higher the probability of becoming a cluster head. (The smaller N, the closer to the sink node.)
하지만 위의 수학식 1을 만족한다 하더라도 부분적으로 하나의 클러스터 안에 두 개의 지그비 단말노드가 있고 다른 클러스터에는 하나도 없는 경우가 생길 수 있다. 따라서 클러스터 사이즈 자체를 지그비 단말노드의 전송거리 r보다 작아야 한다는 특성을 이용한다. However, even if the
지그비 단말노드는 무작위로 분포되므로 Voronoi tessellation의 성질을 만족하고 이때 클러스터 사이즈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클러스터 헤드를 중심으로 하는 원의 반지름 ρ로 할 수 있는데 클러스터 사이즈 ρ가 지그비 단말노드 전송거리 r보다 클 확률은 아주 작은 값 σ보다 작아야 한다. 이를 정리하면 아래의 식이 성립한다.Since the Zigbee terminal node is randomly distributed, it satisfies the property of Voronoi tessellation, and the cluster size can be defined as the radius ρ of the circle centering on the cluster head as shown in FIG. 3, where the cluster size ρ is the Zigbee terminal node transmission distance r. The greater probability must be less than the very small value σ. In summary, the following equation holds.
여기서 등호 관계의 우변 항의 는 클러스터 헤드의 밀도를 나타낸다. 이 관계는 클러스터 사이즈가 전송거리보다 클 확률을 (Pr{ρ>r})이 노드의 밀도(η), 클러스터 헤드가 될 확률(p) 그리고 전송거리의 제곱(r2)에 반비례하는 것을 나타내는 Voronoi의 성질로서 잘 알려져 있다. Where the right side protest of the equality relationship Represents the density of the cluster head. This relationship indicates that (Pr {ρ> r}) is inversely proportional to the node's density (η), cluster head's probability (p), and the square of the transmission distance (r 2 ). It is well known as the nature of Voronoi.
[수학식 1]과 [수학식 2] 두 식을 통해 계산한 확률 중 큰 값을 pN으로 결정하여 클러스터의 크기를 조절할 수도 있다. 다만 클러스터에 포함되는 클러스터 멤버의 개수와 전체 시스템의 throughput은 깊이 관련되어 있는데 이는 클러스터 멤버의 수가 증가할수록 서로 간에 충돌이 일어날 확률이 커지고 충돌이 일어나는 경우 재전송을 하여야 하므로 에너지 소모가 커지게 된다. 따라서 다음의 수식을 추가적으로 고려해 줄 수 있다.
k는 normalized throughput을 최대로 하는 클러스터 멤버의 수로, 한 클러스터 안에 k보다 작거나 k보다 클러스터 멤버들이 있으면 채널이 비효율적으로 이용되거나 충돌이 많아져 normalized throughput의 저하가 발생한다. 따라서 아래의 [수학식 4]처럼 [수학식1] [수학식 2], [수학식 3] 중 가장 큰 값을 고를 수 있다.(S210 단계) k is the number of cluster members maximizing normalized throughput. If there are cluster members smaller than k or larger than k in a cluster, the channel is inefficiently used or collisions increase, resulting in lowered normalized throughput. Therefore, as shown in
이렇게 클러스터 헤드가 될 확률을 결정하게 되면 더욱 정확하게 클러스터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Determining the probability of becoming a cluster head in this way has the effect of scaling the cluster more accurately.
위와 같이 결정된 pN을 이용하여 홉값에 따른 각 클러스터의 p값을 결정할 수 있는데 CSMA/CA의 프로토콜을 통해 active 구간과 inactive 구간을 갖는 superframe 구조에서의 데이터 통신량을 모델링하여 다른 홉값을 갖는 클러스터의 p값을 결정할 수 있다. 도 4는 superframe 구조의 renewal period를 나타낸 것으로 이를 통해 각 클러스터 헤드의 데이터 전송량을 결정한다. 물론 이는 일예를 예시한 것으로 throughput이 아닌 다른 센서 네트워크의 특성을 이용하거나 다른 프로토콜의 throughput을 이용할 수도 있다.The p value of each cluster according to the hop value can be determined using the p N determined as described above. The pMA of the cluster having different hop values is modeled by modeling the data traffic in the superframe structure having the active and inactive intervals through the protocol of CSMA / CA. The value can be determined. Figure 4 shows the renewal period of the superframe structure through which the data transmission amount of each cluster head is determined. Of course, this is an example, and may use characteristics of sensor networks other than throughput or throughput of other protocols.
pN값을 결정하고 나면 나머지 클러스터 헤드가 될 확률을 순차적으로 구해야 하는데 이는 데이터 통신량을 모델링하여 각 클러스터 헤드의 에너지 소모량이 균등하게 되도록 각 클러스터 헤드가 될 확률을 정하게 된다. After determining the value of p N, the probabilities to be the remaining cluster heads must be sequentially obtained. The data communication is modeled to determine the probabilities of becoming each cluster head so that the energy consumption of each cluster head is equal.
일예로는 1초에 데이터 트래픽 발생량을 일정량으로 가정하고 프레임의 구조를 idle과 transmission이 무한히 반복되는 renewal period로 된다고 설정한다. 이때 클러스터 멤버들이 전송할 확률을 Ptr이라고 하면 Ptr은 renewal period와 slot의 수를 이용하여 클러스터 멤버가 성공적으로 frame을 전송할 확률을 구할 수 있다. 이를 이용하여 클러스터 헤드에게 전송하는 프레임수를 구할 수 있고 이를 동일하게 이를 multi-hop을 통해 싱크노드로 전송하므로 홉 수를 이용하여 각 클러스터 헤드가 1초 동안 전송하는 frame의 양을 계산할 수 있다. 에너지 소모량이 균등하다는 조건을 이용하고, 앞서 구한 pN값을 대입하면 pN-1값을 구할 수 있다. 다시 pN-1값을 pN-2값을 구하고 이렇게 순차적으로 각 클러스터의 클러스터 헤드가 될 확률을 구할 수 있다. As an example, assuming that a certain amount of data traffic is generated in one second, the frame structure is set to be a renewal period in which idle and transmission are infinitely repeated. In this case, if the probability that the cluster members transmit is P tr , P tr can calculate the probability that the cluster member successfully transmits the frame by using the renewal period and the number of slots. By using this, the number of frames to be transmitted to the cluster head can be obtained, and the same can be transmitted to the sink node through multi-hop. Therefore, the amount of frames transmitted by each cluster head for one second can be calculated using the hop number. Using the condition that energy consumption is equal and substituting the previously obtained p N value, p N-1 value can be obtained. The value of p N-1 is again determined by the value of p N-2 , and thus the probability of becoming the cluster head of each cluster can be obtained in this way.
위와 같이 홉수에 따른 클러스터 헤드가 될 확률값을 결정하고 이를 통해 클러스터의 크기를 조절한다.(S220단계)As described above, the probability value of the cluster head according to the number of hops is determined, and the size of the cluster is adjusted through this (step S220).
위와 같이 싱크노드로부터의 거리에 따라 클러스터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고 이를 통해 병목(bottleneck)을 방지하여 전체 네트워크의 수명을 극대화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size of the cluster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distance from the sink node, thereby preventing bottlenecks and maximizing the lifetime of the entire network.
본 발명에 따른 클러스터 조절방법은 클러스터 헤드의 에너지 소모량이 균등하도록 클러스터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는데 우선 센서 네트워크를 이루는 클러스터의 에너지 소모량을 모델링 등을 통해 계산하고 각 클러스터의 클러스터 헤드의 에너지 소모량과 클러스터의 크기와의 관계를 센서 네트워크의 특성을 고려하여 수립한 후 수립된 관계를 이용하여 각 클러스터의 클러스터 헤드의 에너지 소모량이 균등하도록 클러스터의 크기를 결정할 수 있다.The cluster control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adjust the size of the cluster so that the energy consumption of the cluster head is equal. First, the energy consumption of the cluster constituting the sensor network is calculated through modeling and the like. After establishing the relationship with the size in consider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sensor network, the size of the cluster can be determined so that the energy consumption of the cluster head of each cluster is equal using the established relationship.
이에 대한 구체적인 방법은 위에서 설명한 홉 값에 따른 p를 결정하여 에너지 소모량이 균등하다는 조건을 통해 클러스터의 크기를 조절하는 방법을 예로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Specific methods for this may be a method of adjusting the size of the cluster under the condition that energy consumption is equal by determining p according to the hop value described above, but is not limited thereto.
도 5a와 5b는 각각 홉수가 표시된 종래의 클러스터 구조의 네트워크와 본 발명에 따른 클러스터 구조의 네트워크를 나타낸 것으로 클러스터 헤드(32)가 각 클러스터마다 하나씩 존재하고 클러스터(30)의 크기가 일반적으로 중앙의 싱크노드로부터 멀어질수록 커짐을 알 수 있다. 즉, 클러스터의 크기는 싱크노드와의 거리와 반비례함을 알 수 있다.5A and 5B show a network of a conventional cluster structure in which the number of hops is displayed and a network of a cluster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one
도 6과 도 7은 각각 싱크노드와의 홉수에 따른 송신 내지는 전체 전력소모를 종래와 비교한 그래프이다.6 and 7 are graphs comparing the transmission or total power consumption according to the number of hops with the sink node, respectively.
도 6과 도 7을 참조하면 종래의 클러스터 헤드의 송신 및 전체 전력소모량은 홉수가 커질수록 줄어들게 되어 홉수가 1인 클러스터 헤드의 에너지 소모량이 홉수가 10인 클러스터 헤드에 비해 거의 750μJ만큼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에 비해 본 발명은 홉수가 1인 클러스터 헤드만 에너지 소모량이 약간 높을 뿐 전체적으로 에너지 소모량이 거의 비슷함을 알 수 있다. 6 and 7, the transmission and total power consumption of the conventional cluster head decreases as the number of hops increases, so that the energy consumption of the cluster head having a hop number of 1 differs by almost 750 μJ compared to the cluster head having a hop number of 10. Able to know. In contras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seen that only the cluster head having a hop number of 1 is slightly higher in energy consumption and the energy consumption is almost the same.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클러스터 조절방법에 의해 클러스터의 크기를 조절하면 병목(bottleneck) 현상이 발생하지 않는 것을 알 수 있다. 물론 이를 통해 전체 네트워크의 수명이 극대화되는 효과가 있다.Therefore, it can be seen that the bottleneck does not occur when the size of the cluster is adjusted by the cluster adjust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f course, this has the effect of maximizing the lifetime of the entire network.
밀도나 사이즈의 크기를 고려하여 사이즈를 우선 정하고 야포나 비행기 등을 통해 센서들을 배치한다.The size is determined first by considering the density and the size, and the sensors are arranged by using artillery or airplane.
이상 구체적인 구성요소 등의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구성을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형태의 수정 및 변형을 가할 수 있다.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by specific embodiments such as specific components and limited embodiments and drawings, but it is provided to help general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add various forms of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from this description.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대상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Accordingly,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and all subjects having equivalent or equivalent modifications to the claims as well as the following claims are intended to b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도 1은 클러스터 구조의 센서 네트워크를 나타내는 도면이고,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ensor network having a cluster structure.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클러스터 조절방법의 일 실시예를 단계별로 도시한 순서도이고,2 is a flowchart showing step by step an embodiment of a method for adjusting a clus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는 Voronoi tessellation에 의해 형성된 클러스터에서 클러스터 헤드를 중심으로 하는 원을 통해 나타낸 클러스터의 사이즈를 도시하는 도면이고,3 is a diagram showing the size of a cluster shown through a circle centered on the cluster head in a cluster formed by Voronoi tessellation,
도 4는 클러스터 헤드의 에너지 소모량을 계산하기 위한 단일 클러스터 동작의 renewal period를 나타내는 도면이고,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renewal period of a single cluster operation for calculating energy consumption of a cluster head,
도 5a, 5b는 각각 싱크노드로부터의 홉수가 표시된 종래의 클러스터 구조의 네트워크와 본 발명에 따른 클러스터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고,5A and 5B are diagrams illustrating a network of a conventional cluster structure in which hop numbers from a sink node are displayed, and a cluster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spectively.
도 6은 싱크 노드와의 홉수에 따른 클러스터 헤드의 송신 전력소모를 종래와 비교한 그래프이고,6 is a graph comparing the transmission power consumption of the cluster head according to the number of hops with the sink node as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art.
도 7은 싱크 노드와의 홉수에 따른 클러스터 헤드의 전체 전력소모를 종래와 비교한 그래프이다.7 is a graph comparing the total power consumption of the cluster head according to the number of hops with the sink node.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클러스터 : 30 클러스터 헤드 : 32Cluster: 30 Cluster Head: 32
Claims (21)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106345A KR101024038B1 (en) | 2008-10-29 | 2008-10-29 | Cluster configuration method of cluster sensor network and sensor network to which the method is applied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106345A KR101024038B1 (en) | 2008-10-29 | 2008-10-29 | Cluster configuration method of cluster sensor network and sensor network to which the method is applied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047450A KR20100047450A (en) | 2010-05-10 |
KR101024038B1 true KR101024038B1 (en) | 2011-03-22 |
Family
ID=422744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80106345A Expired - Fee Related KR101024038B1 (en) | 2008-10-29 | 2008-10-29 | Cluster configuration method of cluster sensor network and sensor network to which the method is applied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024038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71435B1 (en) * | 2012-11-21 | 2014-12-11 | 한국식품연구원 | A method allocating sensors in a store using Voronoi Polygo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39682B1 (en) * | 2012-10-30 | 2019-11-04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Method of manufacturing liquid crystal display |
KR102118936B1 (en) * | 2018-08-20 | 2020-06-04 |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 System parameters determination method for cluster-based routing |
KR102721507B1 (en) * | 2021-06-17 | 2024-10-23 | 국립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 Dragonfly-based swarm system for node identification and low-latency communication in ultra-reliable low-latency communication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684497B1 (en) | 2005-12-01 | 2007-02-22 |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 Proxyable Clustering System in Wireless Sensor Networks, Clustering Method, and Recording Media Recording the Same |
KR102200611B1 (en) * | 2020-04-13 | 2021-01-08 | 주식회사 조은이엔지 | Street light smart control system |
-
2008
- 2008-10-29 KR KR1020080106345A patent/KR101024038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684497B1 (en) | 2005-12-01 | 2007-02-22 |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 Proxyable Clustering System in Wireless Sensor Networks, Clustering Method, and Recording Media Recording the Same |
KR102200611B1 (en) * | 2020-04-13 | 2021-01-08 | 주식회사 조은이엔지 | Street light smart control system |
Non-Patent Citations (3)
Title |
---|
"무선 센서 네트워크에서충돌 방지를 고려한 클러스터링 기법", 제26회 한국정보처리학회 추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제13권 제2호, 2006.11 |
"센서 네트워크에서 클러스터 기반 에너지 효율성을 고려한 개선된 라우팅 프로토콜", 전자공학회 논문지 제45권 TC편 제9호, 2008. 9 |
"멀티홉 무선 센서 네트워크 환경에서 성능 향상을 위한 플러딩 레벨 클러스터 기반 계층적 라우팅 알고리즘", 한국통신학회논문지 제33권 제3호(네트워크 및 서비스), 2008. 3*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71435B1 (en) * | 2012-11-21 | 2014-12-11 | 한국식품연구원 | A method allocating sensors in a store using Voronoi Polygon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047450A (en) | 2010-05-1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Di Francesco et al. | Reliability and energy-efficiency in IEEE 802.15. 4/ZigBee sensor networks: An adaptive and cross-layer approach | |
Awwad et al. | Cluster based routing protocol for mobile nodes in wireless sensor network | |
Wu et al. | Energy-efficient wake-up scheduling for data collection and aggregation | |
US8514789B2 (en) | Cognitive channel adaptation in wireless sensor networks | |
Wu et al. | Energy efficient sleep/wake scheduling for multi-hop sensor networks: Non-convexity and approximation algorithm | |
Rajesh et al. | Congestion control scheme for heterogeneous wireless ad hoc networks using self-adjust hybrid model | |
Durresi et al. | Delay-energy aware routing protocol for sensor and actor networks | |
Gherbi et al. | Distributed energy efficient adaptive clustering protocol with data gathering for large scale wireless sensor networks | |
Shah et al. | Modeling and analysis of opportunistic routing in low traffic scenarios | |
Adhikari | A meticulous study of various medium access control protocols for wireless sensor networks | |
Toklu et al. | BSC-MAC: Energy efficiency in wireless sensor networks with base station control | |
Papadopoulos et al. | T-AAD: Lightweight traffic auto-adaptations for low-power MAC protocols | |
KR101024038B1 (en) | Cluster configuration method of cluster sensor network and sensor network to which the method is applied | |
Gholami et al. | Adaptive and distributed TDMA scheduling protocol for wireless sensor networks | |
Al-Kaseem et al. | Energy efficient MAC protocol with smart sleep scheduling for cluster-based M2M networks | |
Engmann et al. | Network performance metrics for energy efficient scheduling in wireless sensor networks (WSNs) | |
Li et al. | Study of power-aware routing protocal in wireless sensor networks | |
Doddapaneni et al. | A survey study on MAC and routing protocols to facilitate energy efficient and effective UAV-based communication systems | |
Qian et al. | Prolonging the lifetime of wireless sensor network via multihop clustering | |
Kim | A TDMA-based MAC between gateway and devices in M2M networks | |
Chatterjee et al. | A cross-layer distributed TDMA scheduling for data gathering with minimum latency in wireless sensor networks | |
El Rachkidy et al. | Queue-exchange mechanism to improve the QoS in a multi-stack architecture | |
Choudhury et al. | Dynamic adaptation of duty cycling with MAC parameters in cluster tree IEEE 802.15. 4 networks | |
Zytoune et al. | A fairly balanced clustering algorithm for routing in wireless sensor networks | |
Ngo et al. | A schedule‐based medium access control protocol for mobile wireless sensor network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D13-X000 | Search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
|
D14-X000 | Search report comple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
|
AMND | Amendment | ||
E13-X000 |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St.27 status event code: N-2-6-B10-B15-exm-PE0601 |
|
AMND | Amendment | ||
E13-X000 |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
|
J201 |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PJ0201 |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3-3-V10-V11-apl-PJ0201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B0901 | Examination by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
St.27 status event code: A-6-3-E10-E12-rex-PB0901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303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150316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150316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