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023456B1 - Oled 조명장치 - Google Patents

Oled 조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23456B1
KR101023456B1 KR1020090091275A KR20090091275A KR101023456B1 KR 101023456 B1 KR101023456 B1 KR 101023456B1 KR 1020090091275 A KR1020090091275 A KR 1020090091275A KR 20090091275 A KR20090091275 A KR 20090091275A KR 101023456 B1 KR101023456 B1 KR 1010234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led
light emitting
gear
light
refl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912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반태현
김회근
소민수
Original Assignee
금호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금호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금호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912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2345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34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34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7/00Reflectors for light sources
    • F21V7/005Reflectors for light sources with an elongated shape to cooperate with linear light sour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4/00Controlling the distribution of the light emitted by adjustment of elements
    • F21V14/04Controlling the distribution of the light emitted by adjustment of elements by movement of reflec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21V17/02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with provision for adjust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9/00Elements for modifying spectral properties, polarisation or intensity of the light emitted, e.g. filters
    • F21V9/40Elements for modifying spectral properties, polarisation or intensity of the light emitted, e.g. filters with provision for controlling spectral properties, e.g. colour, or intensit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03/00Elongate light sources, e.g. fluorescent tubes
    • F21Y2103/10Elongate light sources, e.g. fluorescent tubes comprising a linear array of point-like light-generating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 F21Y2115/15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362/00Illumination
    • Y10S362/80Light emitting dio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전압이 인가되면 빛을 발산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OLED 어레이와, 상기 OLED 어레이가 장착되는 패널을 포함하여 구비되는 발광부; 상기 발광부의 상부에 위치한 상부덮개와, 상기 발광부의 양 측단에 위치한 측면덮개를 포함하여 구비되며, 상기 발광부를 외부로부터 보호하는 커버부; 및 상기 커버부의 상부덮개와 연결되되, 상호 연결되는 연결부위(D)를 중심으로 개폐 각도(θ)로 접철되도록 장착되며, 상기 발광부의 OLED 어레이와 대향되는 면에는 반사판이 구비되어 상기 발광부의 빛을 반사시키는 반사부;를 포함하는 OLED 조명장치가 개시된다.
OLED, 전등, 커버, 발광, 조명

Description

OLED 조명장치{OLED lighting apparatus}
본 발명은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조명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휘도 및 조명면적의 조절이 용이한 OLED 조명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명장치(lighting apparatus)는 각종 광원을 이용하여 일정 면적에 빛을 제공하는 장치로서, 통상 백열등, 형광등, 수은등 및 나트륨등 등과 같이 조명 장소 및 용도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광원이 이용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LED 및 OLED를 이용하여 다양한 용도와 목적을 갖는 발광장치(디스플레이 장치, 조명장치 등)가 개발되고 있는 실정이다.
여기서, 도 1은 종래의 조명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조명장치(10)는 광원을 둘러싸는 형태로 구비되어 광원을 보호하는 커버부(11)와, 광원으로부터 발산된 빛이 투과되는 투광판(12) 및, 상기 조명장치(10)를 특정 높이에 고정시키는 고정부(13)로 구성되었다.
이러한 종래의 조명장치(10)는 설치되는 장소에 따라 일정한 조명면적(a)에 빛을 제공하기 위해 특정 설치높이(h)로 장착된다.
그러나, 상기 조명장치(10)를 사용함에 있어서 상기 조명면적(a)을 넓히거나 좁혀야 할 경우가 발생할 수 있는데, 종래의 조명장치(10)의 경우에 조명면적(a)을 넓힐 때에는 상기 설치높이(h)를 증가시키거나, 투광판(12)에 확산시트 및 확산판 등의 확산부재를 부착하여 빛의 확산범위를 넓혀야 했다.
반대로 조명면적(a)을 좁혀야 할 때에는 상기 설치높이(h)를 감소시켜 빛의 확산범위를 좁혀야만 가능했기 때문에, 상기 조명면적(a)을 조절해야 할 때마다 상기 조명장치(10)를 재설치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으며, 조명장치(10)가 천정 및 벽 등에 고정 설치되어 설치높이(h)를 조절할 수 없는 경우에는 상기 확산부재를 별도로 장착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조명장치(10)의 휘도(luminance)를 조절해야 할 경우에는, 전류량을 조절하여 광원의 빛의 세기 또는 광원의 크기를 조절해야 했으나, 이 경우 조명장치(10)의 전기적인 회로 구성이 복잡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조명장치의 설치높이의 조절 또는 광원의 전기적 제어와는 무관하게, 조명장치의 휘도 및 조명면적의 조절이 용이한 OLED 조명장치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OLED 조명장치는, DC 전원이 인가되면 빛을 발산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OLED 어레이와, 상기 OLED 어레이가 장착되는 패널을 포함하여 구비되는 발광부; 상기 발광부의 상부에 위치한 상부덮개와, 상기 발광부의 양 측단에 위치한 측면덮개를 포함하여 구비되며, 상기 발광부를 외부로부터 보호하는 커버부; 및 상기 커버부의 상부덮개와 연결되되, 상호 연결되는 연결부위(D)를 중심으로 개폐 각도(θ)로 접철되도록 장착되며, 상기 발광부의 OLED 어레이와 대향되는 면에는 반사판이 구비되어 상기 발광부의 빛을 반사시키는 반사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발광부는, 직립한 형태로 장착되되, 하나의 패널의 양측면에 상기 OLED 어레이가 장착되어 양 방향으로 빛을 발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발광부는, 직립한 형태로 장착되되, 일측면에만 OLED 어레이가 장착된 두 개의 패널이 접합된 형태로 구비되어 양 방향으로 빛을 발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발광부의 하단부에는 상기 OLED 어레이로부터 발산된 빛 또는 상 기 반사판에 의해 반사된 빛이 투과되는 투광판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투광판의 일측면에는 컬러필터가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반사판의 일측면에는 확산판 또는 프리즘 시트가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반사부의 내측에 위치하며 기계적 또는 전기적 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상부덮개와 연결되는 연결부위(D)를 중심으로 상기 반사부를 개폐 각도(θ)로 접철시키는 구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는, 선택적으로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의 회전력을 제공하는 동력모터(미도시)와, 상기 동력모터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구동기어)를 회전시키는 구동축과, 상기 반사부의 내측면에 장착되며 상기 회전력에 의해 회전되어 상기 반사부를 접철시키는 반사부기어와, 상기 반사부기어와 구동기어의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구동기어로부터 전달된 회전력을 반사부기어에 전달하는 동력전달기어 및. 상기 구동기어와 상기 동력전달기어의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구동기어로부터 전달된 회전력을 동력전달기어에 전달하는 보조기어를 포함하여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구동부는, 하나의 반사부기어와 다른 반사부기어를 구분하여 각각의 독립적인 회전력이 전달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하나의 반사부기어와 다른 반사부기어가 개별적으로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OLED 조명장치에 의하면,
첫째, 조명장치 설치높이의 조절 또는 광원의 전기적 제어와는 무관하게, 조 명장치의 휘도 및 조명면적의 조절이 용이한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둘째, 광원으로 OLED를 이용하기 때문에 에너지 효율이 높으며, 종래의 조명장치보다 크기를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셋째, 조명면적 및 휘도의 조절이 가능하므로 일반조명 용도는 물론, 무드등 및 취침등 용도로도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넷째, R·G·B OLED 광원을 이용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색상의 빛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먼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OLED 조명장치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OLED 조명장치(100)의 반사부(120)가 오픈(open)된 상태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도 2의 OLED 조명장치(100)의 정면도, 측면도 및 평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OLED 조명장치(100)의 반사부(120)가 클로즈(close)된 상태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도 4의 OLED 조명장치(100)의 정면도, 측면도 및 평면도이다.
또한, 도 6a는 본 발명에 따른 OLED 조명장치(100)의 발광부(110)의 구성을 나타낸 개략도,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OLED 조명장치(100)의 발광부(110)의 다른 구성을 나타낸 개략도, 도 7a는 상기 반사부(120)의 내측면에 반사판(121) 및 확산판(123;diffuser plate)이 장착된 형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7b는 상기 반사부(120)의 내측면에 반사판(121) 및 프리즘 시트(124;prism sheet)가 장착된 형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더불어, 도 8a 내지 도 8c는 본 발명의 OLED 조명장치(100)의 구동부(150)의 구성 및 동작원리를 나타낸 개략도로써, 보다 구체적으로 도 8a는 OLED 조명장치(100)의 반사부(120)가 클로즈된 상태, 도 8b는 상기 구동부(150)의 구동축(151)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반사부(120)가 오픈된 상태, 도 8c는 상기 구동축(151)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반사부(120)가 클로즈되고 있는 상태를 각각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2 내지 도 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OLED 조명장치(100)는 발광부(110), 반사부(120), 투광판(130), 커버부(140) 및 구동부(150)를 포함하여 구비된다.
상기 발광부(110)는, 전압이 인가되면 빛을 발산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OLED 어레이(111)와, 상기 OLED 어레이(111)가 장착되는 패널(112)을 포함하여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OLED 어레이(111)는 전압이 인가되면 빛을 내는 OLED(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ode) 또는 LED(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가 배열된 집합체로서 면단위 발광이 가능하며, OLED 조명장치(100)가 사용되는 공간의 조명면적 및 조명의 휘도를 고려하여 패널(112)에 장착되는 어레이의 수량 및 형태가 정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OLED는 경우에 따라, R(red), G(green), B(blue)의 색상을 발산하는 소자로 구성될 수 있는데, 이로 인하여 본 발명의 OLED 조명장치(100)는 다양한 색상을 갖는 빛을 조명할 수 있는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상기 패널(112)은 상기 OLED 어레이(111)가 장착되는 기판으로서, 직립된 형태로 장착되어 OLED 어레이(111)에서 발산하는 빛이 수평방향으로 발산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발광부(110)는 패널(112)에 의해 직립한 형태로 장착되되, 패널(112)의 어레이장착홈(114)에 하나의 양방향 방출형 OLED 어레이(111)가 삽입되는 형태로 장착되어 양 방향으로 빛을 발산하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두 개의 단방향 방출형 OLED 어레이(111)(예:top emission형 또는 bottom emission형 OLED)의 사이에 방열판(113)이 삽입된 상태로 어레이장착홈(114)에 삽입되어 장착되어 양 방향으로 빛을 발산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방열판(113)은 상기 OLED 어레이(111)가 빛을 발산하는 동안에 발생하는 열을 방출하는 통로로서의 기능을 하며 메탈(Metal)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2 및 도 3에는 하나의 OLED 어레이(111)와 인접한 두 개의 OLED 어레이(111) 사이에는 패널에 의한 간격이 형성되어 있으나, 빛의 효율을 증가시키기 위해서 상기 간격이 형성됨이 없이 각각의 OLED 어레이(111)를 연속하여 장착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커버부(140)는, 상기 발광부(110)의 상부에 위치한 상부덮개(142)와, 발광부(110)의 양 측단에 위치한 측면덮개(141)를 포함하여 구비되며, 발광부(110)를 외부의 충격 또는 이물질에 의한 오염으로부터 보호한다.
여기서, 상기 측면덮개(141)는 OLED 조명장치(100)의 효율을 고려하여 투명 또는 반투명한 재질로 형성되어 발광부(110)로부터 발산된 빛이 외부로 투과되도록 구비될 수 있으나, 측면덮개(141)가 위치한 부위에서 발산된 빛을 차단하기 위해 불투명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는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선택적으로 채택가능한 사항이다.
한편, 상기 반사부(120)는, 커버부(140)의 상부덮개(142)와 연결되되, 상호 연결되는 연결부위(D)(보다 구체적으로는 반사부(120)의 회전축(122))를 중심으로 개폐 각도(θ)로 접철되도록 장착되며, 상기 발광부(110)의 OLED 어레이(111)와 대향되는 내측면에는 반사판(121)이 구비되어 발광부(110)의 빛을 반사시킨다.
여기서,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반사부(120)는 내측면에 반사판(121)이 장착되며, 상기 반사판(121)의 외부면에 확산판(123) 또는 프리즘 시트(124)이 구비될 수 있으므로, 발광부(110)로부터 발산된 빛을 보다 넓은 범위로 분산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경우에 따라서는 특정 방향으로 상기 빛을 굴절시킬 수 있는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발광부(110)의 하단부에는 상기 OLED 어레이(111)로부터 발산된 빛 또는 반사판(121)에 의해 반사된 빛이 투과되는 투광판(130)이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투광판(130)은 OLED 조명장치(100)의 효율을 고려하여 투명 또는 반투명한 재질로 형성되어 발광부(110)로부터 발산된 빛 또는 반사된 빛이 하부방향으로 투과되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투광판(130)의 일측면에는 컬러필터(color filter)가 장착되어 투과되는 빛의 색상이 다양해지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확산판 또는 프리즘 시트가 구비되어 하부방향으로 발산되는 빛을 넓은 범위로 분산시키거나 특정방향으로 굴절되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측면덮개(141)는 선택적으로 투명, 반투명 및 불투명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는데, 이 중 상기 측면덮개(141)를 투명 또는 반투명의 재질로 형성할 경우에는 상기 투광판(130)과 일체형으로 형성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반면 상기 측면덮개(141)를 불투명한 재질로 형성할 경우에는 상기 상부덮개(142)와 일체형으로 형성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측면덮개(141)를 투광판(130) 또는 상부덮개(142)와 일체형으로 형성 가능하므로, 제조 시에 제작공정이 간소화되므로 경제적 효용가치를 극 대화할 수 있는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도 8a 내지 도 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OLED 조명장치(100)은, 상기 반사부(120)의 내측에 위치하며 기계적 또는 전기적 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상부덮개(142)와 연결되는 연결부위(D)를 중심으로 반사부(120)를 접철시키는 구동부(150)를 더 포함하여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구동부(150)는, 선택적으로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의 회전력을 제공하는 동력모터(미도시)와, 상기 동력모터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구동기어(152)를 회전시키는 구동축(151)과, 상기 반사부(120)의 내측면에 장착되며 상기 회전력에 의해 회전되어 상기 반사부(120)를 접철시키는 반사부기어(153a,153b)와, 상기 반사부기어(153a,153b)와 구동기어(152)의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구동기어(152)로부터 전달된 회전력을 반사부기어(153a,153b)에 전달하는 동력전달기어(154a,154b) 및. 상기 구동기어(152)와 상기 동력전달기어(154b)의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구동기어(152)로부터 전달된 회전력을 동력전달기어(154b)에 전달하는 보조기어(155)를 포함하여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반사부기어(153a,153b)는, 상기 반사부(120)의 내측면 상부에 장착되어 기어로서, 접철되는 개폐 각도(θ)의 최대범위에 따라 내각(C)이 달라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보조기어(155)는 두 개의 동력전달기어(154a,154b)를 각각 다른 방향으로 동시 회전시키기 위해 선택된 하나의 동력전달기어(154b)와 맞물려 연결된다.
여기서, 도 8a 내지 도 8c에서는 상기 반사부(120)를 접철시키기 위해 회전력을 전달하는 각 기어(152,154a,154b,155)가 4개인 것으로 표현되었으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구동기어(152)가 하나의 반사부기어(153a)와 연결되며 보조기어(155)가 다른 하나의 반사부기어(153b)와 연결된 상태로 회전하여 상기 반사부(120)를 접철시키는 구성을 채택할 수 있다.
즉, 동력모터의 회전력을 상기 반사부기어(153a,153b)로 전달하기 위해 구성될 수 있는 각 기어의 수량 또는 결합관계는 고정됨이 없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당업자가 선택적으로 변경할 수 있는 부분이다.
또한, 본 출원서에서는 반사부(120)를 접철시키기 위한 동력원 전달 수단을 기어인 것으로 한정하여 설명하였으나, 이에 국한되지 않으며 이 밖에 체인(chain) 및 피스톤(piston) 형태 등과 같은 다양한 동력원 전달 수단이 적용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더불어, 상기 구동부(150)는, 복수 개의 동력모터 및 구동기어를 구비하거나, 하나의 반사부기어(153a)와 다른 반사부기어(153b)에 독립적인 회전력이 전달되는 구조의 기어 조합체가 구비되어, 두 개의 반사부기어(153a,153b)가 개별적으로 회전되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구동부(150)는, 하나의 반사부기어(153a)와 다른 반사부기어(153b)를 구분하여 각각 독립적인 회전력이 전달되도록 구비됨으로써, 상기 하나의 반사부기어(153a)와 다른 반사부기어(153b)가 개별적으로 회전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반사부기어(153a,153b)가 각각 독립적으로 회전되는 기술적 특징 으로 인하여, OLED 조명장치(100)의 조명면적 및 휘도 조절의 범위가 넓어지게 되므로 사용자의 편의를 극대화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와 같이 구동부(150)에 의해 반사부기어(153a,153b)가 회전되어 임의의 개폐 각도(θ)로 상기 회전부(140)가 접철될 경우에는, 상기 접철된 동작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구동부(150)의 일측에는 스토퍼(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토퍼는 동력기어(152), 반사부기어(153a,153b), 동력전달기어(154a,154b) 및 보조기어(155) 중의 어느 하나 이상의 기어가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거나, 상기 반사부(140)의 접철을 고정시키는 전기적 또는 기계적 고정수단일 수 있다.
다음으로는, 도 8a 내지 도 8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OLED 조명장치(100)의 반사부(120)가 구동부(150)에 의해 접철되는 동작원리를 설명한다.
도 8a와 같이 반사부(120)가 클로즈된 상태에서 동력모터가 구동축(151)으로 시계방향의 회전력을 부여하게 되면, 구동기어(152)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며 맞물려 연결된 하나의 동력전달기어(154a)와 보조기어(155)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킴과 동시에 다른 동력전달기어(154b)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다.
또한, 상기 동력전달기어(154a)로 전달된 반시계방향의 회전력은 하나의 반사부기어(153a)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며, 상기 다른 동력전달기어(154b)로 전달된 시계방향의 회전력은 다른 반사부기어(153b)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 써, 도 8b와 같이 반사부(120)를 오픈시키거나 개폐 각도(θ)를 증가시킬 수 있다.
한편, 도 8b와 같이 오픈된 상태의 반사부(120)를 클로즈시키거나 개폐 각도(θ)를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도 8c와 같이 반사부(120)를 오픈시키기 위한 동작과 반대로 구동축(151)을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구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OLED 조명장치(100)는 반사부(120)가 개폐 각도(θ) 범위 내에서 접철할 수 있도록 구비되므로, 조명 면적과 휘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청구범위의 균등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1은 종래의 조명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OLED 조명장치의 반사부가 오픈(open)된 상태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도 2의 OLED 조명장치의 정면도, 측면도 및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OLED 조명장치의 반사부가 클로즈(close)된 상태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도 4의 OLED 조명장치의 정면도, 측면도 및 평면도,
도 6a는 본 발명에 따른 OLED 조명장치의 발광부의 구성을 나타낸 개략도,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OLED 조명장치의 발광부의 다른 구성을 나타낸 개략도,
도 7a는 상기 반사부의 내측면에 반사판 및 확산판이 장착된 형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7b는 상기 반사부의 내측면에 반사판 및 프리즘 시트가 장착된 형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8a 내지 도 8c는 본 발명의 OLED 조명장치의 구동부의 구성 및 동작원리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OLED 조명장치 110...발광부
111...OLED 어레이 112...패널
120...반사부 121...반사판
130...투광판 140...커버부
150...구동부

Claims (9)

  1. DC 전원이 인가되면 빛을 발산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OLED 어레이(111)와, 상기 OLED 어레이(111)가 장착되는 패널(112)을 포함하여 구비되는 발광부(110);
    상기 발광부(110)의 상부에 위치한 상부덮개(142)와, 상기 발광부(110)의 양 측단에 위치한 측면덮개(141)를 포함하며, 상기 발광부(110)를 외부로부터 보호하는 커버부(140); 및
    상기 커버부(140)의 상부덮개(142)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발광부(110)의 OLED 어레이(111)와 대향되는 면에는 반사판(121)이 구비되어 상기 발광부(110)의 빛을 반사시키는 반사부(120);를 포함하는 OLED 조명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110)는,
    직립한 형태로 장착되되,
    하나의 패널(112)의 양측면에 상기 OLED 어레이(111)가 장착되어 양 방향으로 빛을 발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OLED 조명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110)는,
    직립한 형태로 장착되되,
    일측면에만 OLED 어레이(111)가 장착된 두 개의 패널(112)이 접합된 형태로 구비되어 양 방향으로 빛을 발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OLED 조명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110)의 하단부에는 상기 OLED 어레이(111)로부터 발산된 빛 또는 상기 반사판(121)에 의해 반사된 빛이 투과되는 투광판(130)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OLED 조명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투광판(130)의 일측면에는 컬러필터가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OLED 조명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판(121)의 일측면에는 확산판(123) 또는 프리즘 시트(124)가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OLED 조명장치.
  7. 제 1항 내지 제 6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부(120)의 내측에 위치하며 기계적 또는 전기적 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상부덮개(142)와 연결되는 연결부위(D)를 중심으로 상기 반사부(120)를 회전시키는 구동부(15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OLED 조명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150)는,
    선택적으로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의 회전력을 제공하는 동력모터(미도시)와,
    상기 동력모터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구동기어(152)를 회전시키는 구동축(151)과,
    상기 반사부(120)의 내측면에 장착되며 상기 회전력에 의해 회전되어 상기 반사부(120)를 접철시키는 반사부기어(153a,153b)와,
    상기 반사부기어(153a,153b)와 구동기어(152)의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구동기어(152)로부터 전달된 회전력을 반사부기어(153a,153b)에 전달하는 동력전달기어 (154a,154b) 및
    상기 구동기어(152)와 상기 동력전달기어(154b)의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구동기어(152)로부터 전달된 회전력을 동력전달기어(154b)에 전달하는 보조기어(155)를 포함하여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OLED 조명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150)는,
    하나의 반사부기어(153a)와 다른 반사부기어(153b)를 구분하여 각각의 독립적인 회전력이 전달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하나의 반사부기어(153a)와 다른 반사부기어(153b)가 개별적으로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OLED 조명장치.
KR1020090091275A 2009-09-25 2009-09-25 Oled 조명장치 KR1010234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1275A KR101023456B1 (ko) 2009-09-25 2009-09-25 Oled 조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1275A KR101023456B1 (ko) 2009-09-25 2009-09-25 Oled 조명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23456B1 true KR101023456B1 (ko) 2011-03-24

Family

ID=439391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1275A KR101023456B1 (ko) 2009-09-25 2009-09-25 Oled 조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2345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6449B1 (ko) * 2011-05-20 2017-05-16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램프
US10475384B2 (en) 2016-07-29 2019-11-12 L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comprising a lighting part
EP3705778A1 (en) * 2019-03-06 2020-09-09 Irwin Kotovsky Lighting apparatus with screens and method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6704A (ja) * 1991-06-27 1993-01-14 Mitsubishi Electric Corp 配光可変照明装置
JPH0773717A (ja) * 1993-09-02 1995-03-17 Misawa Homes Co Ltd 照明装置
KR200182968Y1 (ko) 1999-12-15 2000-05-15 이여한 형광등기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6704A (ja) * 1991-06-27 1993-01-14 Mitsubishi Electric Corp 配光可変照明装置
JPH0773717A (ja) * 1993-09-02 1995-03-17 Misawa Homes Co Ltd 照明装置
KR200182968Y1 (ko) 1999-12-15 2000-05-15 이여한 형광등기구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6449B1 (ko) * 2011-05-20 2017-05-16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램프
US10475384B2 (en) 2016-07-29 2019-11-12 L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comprising a lighting part
EP3705778A1 (en) * 2019-03-06 2020-09-09 Irwin Kotovsky Lighting apparatus with screens and metho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41747B2 (en) Lighting fixture with reflector and template PCB
US20070268698A1 (en) LED illuminating device
KR101278258B1 (ko) 메인 조명으로부터 구별되는 외관을 가진 램프
WO2010126662A1 (en) Heat sinking and flexible circuit board, for solid state light fixture utilizing an optical cavity
TWI516709B (zh) 發光二極體裝置及其發光二極體燈具
RU2613156C2 (ru) Светодиодное осветит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с оптическим компонентом для смешения выходных световых излучений от множества светодиодов
CN1898497A (zh) 照明装置
US9146028B2 (en) Linear LED illumination device with improved rotational hinge
CN102691904A (zh) 色温和显色指数可调的发光装置及装有该发光装置的灯具
US20180257285A1 (en) Solid-state linear lighting arrangements including light emitting phosphor
KR101023456B1 (ko) Oled 조명장치
KR101057678B1 (ko) 조명장치
JP5350379B2 (ja) Ledランプ
KR101055177B1 (ko) Led 조명장치
US10240734B1 (en) Outdoor lamp capable of changing colors
KR101115562B1 (ko) 조명장치
EP2749809A1 (en) Lighting fixture
JP2011100569A (ja) パネル型照明器具
KR20110076247A (ko) Led 조명장치
KR101404821B1 (ko) 황색 형광액이 도핑된 광확산 패널을 구비한 led 형광등
AU2018100426A4 (en) Outdoor lamp capable of changing colors
TW201812207A (zh) 照明裝置
TW201411045A (zh) 照明器具及使用此照明器具之照明器具單元
CN217875564U (zh) 一种两面发光的照明灯具
CN220911361U (zh) 一种用于三维异形空间安装的灯具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0925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1031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1031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1031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2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31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2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30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2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302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812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