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21927B1 - Foot parking brake - Google Patents
Foot parking brak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021927B1 KR101021927B1 KR1020080092895A KR20080092895A KR101021927B1 KR 101021927 B1 KR101021927 B1 KR 101021927B1 KR 1020080092895 A KR1020080092895 A KR 1020080092895A KR 20080092895 A KR20080092895 A KR 20080092895A KR 101021927 B1 KR101021927 B1 KR 10102192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od
- brake lever
- parking brake
- cylinder
- elastic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0000006835 compress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07906 compress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7246 mechanism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51 other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7/00—Brake-action initiating means
- B60T7/02—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 B60T7/04—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foot actuated
- B60T7/045—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foot actuated with locking and release means, e.g. providing parking brake applicat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1/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out power assistance or drive or where such assistance or drive is irrelevant
- B60T11/04—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out power assistance or drive or where such assistance or drive is irrelevant transmitting mechanically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7/00—Brake-action initiating means
- B60T7/02—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 B60T7/08—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hand actuated
- B60T7/10—Disposition of hand control
- B60T7/102—Disposition of hand control by means of a tilting lever
- B60T7/104—Disposition of hand control by means of a tilting lever with a locking mechanism
-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1/00—Controlling members, e.g. knobs or handles; Assemblies or arrangements thereof; Indicating position of controlling members
- G05G1/04—Controlling members for hand actuation by pivoting movement, e.g. le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raking Elements And Transmiss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풋 파킹 브레이크 장치는 브레이크 레버, 상기 브레이크 레버에 구비되며 상기 브레이크 레버의 회전에 따른 파킹 상태를 잠금 및 해제시키기 위한 소정의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 상기 브레이크 레버의 동작에 의하여 원터치 방식으로 출몰이 전환되는 원터치 작동부, 및 상기 탄성부재와 상기 원터치 작동부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원터치 작동부의 출몰 동작에 연동하여 상기 탄성부재를 가압 또는 해제하는 브릿지를 포함한다.Foot parking brak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brake lever, the elastic member which is provided in the brake lever and provides a predetermined elastic force for locking and unlocking the parking state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brake lever, And a one-touch operation unit for switching the appearance and exit in a one-touch manner by an operation, and a bridge positioned between the elastic member and the one-touch operation unit to press or release the elastic member in association with the appearance operation of the one-touch operation unit.
파킹, 브레이크, 원터치, 브릿지, 토션 스프링 Parking, Brake, One Touch, Bridge, Torsion Spring
Description
본 발명은 풋 파킹 브레이크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주정차시 차량의 정지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페달을 이용하여 파킹 브레이크의 잠금 및 해제 상태를 원터치 방식으로 수행하는 풋 파킹 브레이크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oot parking brake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foot parking brake device that performs a locking and releasing state of a parking brake in a one-touch manner by using a pedal to maintain a stopped state of a vehicle during parking. .
일반적으로 차량의 브레이크 장치는 주행 속도를 줄이거나 운행 중에 일시적인 정차를 위하여 사용되는 감속용의 메인 브레이크(Main brake)와 장시간의 주차를 위하여 사용되는 파킹 브레이크(Parking brake)로 나눌 수 있다.In general, a brake device of a vehicle may be divided into a main brake for deceleration, which is used for temporary stopping while driving, and a parking brake, which is used for long time parking.
상기 파킹 브레이크는 차량의 주차 상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차량의 뒷바퀴 또는 앞바퀴 등을 제동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파킹 브레이크는 운전자가 브레이크 레버를 손으로 당겨 작동시키는 핸드 파킹 브레이크(Hand parking brake)와 운전자가 브레이크 페달을 발로 밟아 작동시키는 풋 파킹 브레이크(Foot parking brake)로 구분할 수 있다. 최근에 자동 변속기가 장착된 고급 차량이 증가하면서, 운전자가 별도의 브레이크 페달을 발로 밟아 작동시키는 풋 파킹 브레이크 장치가 보급되고 있다. The parking brake serves to brake the rear wheel or the front wheel of the vehicle to maintain the parking state of the vehicle. Such parking brakes may be classified into a hand parking brake in which a driver pulls the brake lever by hand and a foot parking brake in which the driver steps on the brake pedal. In recent years, with the increasing number of luxury vehicles equipped with automatic transmissions, foot parking brake devices that allow a driver to step on a separate brake pedal have become popular.
종래의 풋 파킹 브레이크 장치는 파킹을 잠금 및 해제하기 위한 구성 부품들 이 많이 사용되므로 구조가 복잡하고, 파킹 브레이크의 조작이 불편하다. 또한 브레이크 페달의 급격한 작동을 방지하기 위해 별도의 댐퍼 장치 등 추가적인 부품들이 필요하다.The conventional foot parking brake device has a complicated structure because many components for locking and releasing parking are complicated, and the operation of the parking brake is inconvenient. In addition, additional components, such as a separate damper device, are needed to prevent sudden operation of the brake pedal.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운전자가 발로 페달을 밟는 간단한 동작을 통해 파킹 브레이크의 잠금 및 해제 상태를 원터치 방식으로 수행할 수 있는 풋 파킹 브레이크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and provides a foot parking brake device that can perform the locking and unlocking state of the parking brake in a one-touch manner through a simple operation of the driver pedaling the foot. hav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파킹 브레이크의 잠금 및 해제를 위해 사용되는 구성부품의 개수를 줄일 수 있도록 구조를 개선한 풋 파킹 브레이크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oot parking brake device having an improved structure to reduce the number of components used for locking and releasing the parking brake.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질 수 있을 것이다.The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objects, and other object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풋 파킹 브레이크 장치는, 브레이크 레버, 상기 브레이크 레버에 구비되며 상기 브레이크 레버의 회전에 따른 파킹 상태를 잠금 및 해제시키기 위한 소정의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 상기 브레이크 레버의 동작에 의하여 원터치 방식으로 출몰이 전환되는 원터치 작동부, 및 상기 탄성부재와 상기 원터치 작동부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원터치 작동부의 출몰 동작에 연동하여 상기 탄성부재를 가압 또는 해제하는 브릿지를 포함한다.Foot parking brak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provided in the brake lever, the brake lever and provides a predetermined elastic force for locking and unlocking the parking state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brake lever. An elastic member, a one-touch operating portion which switches on and off in a one-touch manner by the operation of the brake lever, and is positioned between the elastic member and the one-touch operating portion, and presses or releases the elastic member in conjunction with the movement of the one-touch operating portion. It includes a bridge.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 다.Specific details of other embodiments are includ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drawings.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풋 파킹 브레이크 장치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According to the foot parking brak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has one or more of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운전자가 발로 페달을 밟는 간단한 동작을 통해 파킹 브레이크의 잠금 및 해제 상태를 원터치 방식으로 수행할 수 있다. First, the driver can perform the one-touch locking and unlocking of the parking brake by a simple operation of pedaling with a foot.
둘째, 원터치 방식의 메커니즘을 이용하는 간단한 기계적 구성에 의하여 풋 파킹 브레이크 장치를 동작시킴으로써, 파킹 브레이크의 잠금 및 해제를 위해 사용되는 구성부품의 개수를 줄일 수 있다.Second, by operating the foot parking brake device by a simple mechanical configuration using a one-touch mechanism, the number of components used for locking and releasing the parking brake can be reduced.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effects,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claims.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for achieving them will b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can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only the embodiments make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lete, and the general knowledge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e person having the scope of the invention, which is defined only by the scope of the claim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풋 파킹 브레이크 장치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참고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Hereinafter, a foot parking brake de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well-known functions or constructions are not described in detail to avoid unnecessarily obscuring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풋 파킹 브레이크 장치의 결합 사시도 및 분해 사시도이고, 도 3 및 4는 도 2에 도시된 원터치 작동부의 분해 사시도 및 단면도이며, 도 5, 6 및 7은 도 3의 'A', 'B' 및 'C' 부분을 각각 상세 도시한 확대도이다.1 and 2 are exploded perspective and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foot parking brak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3 and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one-touch operation shown in Figure 2, Figures 5, 6 and 7 3 is an enlarged view illustrating 'A', 'B' and 'C' portions of FIG. 3 in detail.
도 1 내지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풋 파킹 브레이크 장치는 브레이크 레버(100), 클러치부재(200), 탄성부재(300), 원터치 작동부(400) 및 브릿지(500) 등을 구비한다.1 to 7, the foot parking brake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브레이크 레버(100)는 본체(10)에 회전축(a)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일단에 페달(110)이 구비된다. 브레이크 레버(100)의 타단은 회전에 따른 복원력을 제공하는 스프링(120)에 의해 본체(10)와 연결된다.The
클러치부재(200)는 브레이크 레버(100)의 회전축(a)과 동심원을 이루도록 브레이크 레버(100)에 고정된다. 클러치부재(200)는 후술할 토션 스프링(300)이 외주면에 감겨지도록 원반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브레이크 레버(100)에 볼트 등으로 체결 고정하기 위한 고정편(210)이 다수개 형성될 수 있다. 클러치부재(200)는 외주면에 토션 스프링(300)이 삽입되어 안착되도록 소정 깊이의 안착홈(220)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탄성부재(300)는 클러치부재(200)에 구비되어 브레이크 레버(100)의 회전에 따른 파킹 상태를 잠금 및 해제시키기 위한 소정의 탄성력을 제공한다. 탄성부재(300)는 클러치부재(200)에 토션에 따른 마찰력을 발생시키는 토션 스프링(Torsion Spring)(이하, 참조부호 '300'으로 설명함)을 포함할 수 있다. 토션 스프링(300)은 원형태로 클러치부재(200)의 외주면에 감겨져 설치되며, 일단이 브레이크 레버(100)에 고정되고 타단이 후술할 브릿지(500)에 연결된다.The
원터치 작동부(400)는 브레이크 레버(100)의 동작에 의하여 원터치 방식으로 출몰이 전환된다.The one-
원터치 작동부(400)는 실린더(410), 제 1 로드(420), 로우터(430), 제 2 로드(440), 압축팽창부재(450), 하우징(460) 및 탄성블록(470) 등을 구비한다.One-
실린더(410)는 내부에 제 1 로드(420), 로우터(430), 제 2 로드(440) 및 압축팽창부재(450)가 순차적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일단에 개방면(411)이 형성되고, 제 1 로드(420)의 선단이 관통하여 돌출될 수 있도록 타단에 홀(413)이 형성된다. 실린더(410)의 타단 내면에는 길이방향으로 다수개의 장홈(415)과 단홈(416)이 교번적으로 형성되고, 장홈(415)과 단홈(416) 사이의 단부에 대략 45도 각도로 경사면(416a)이 형성된다.An
제 1 로드(420)는 브레이크 레버(100)의 동작에 연동하여 장홈(415)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실린더(410)의 내부에 설치된다. 제 1 로드(420)는 장홈(415)에 삽입되어 슬라이딩 이동하는 안내돌기(421)가 측면에 다수개 형성되고, 단부에 톱니부(423)가 형성된다. 제 1 로드(420)는 후술할 탄성블록(470)의 관통홀(471)에 삽 입되고 단부에 결합되는 고정링(475)에 의해 탄성블록(470)에 고정될 수 있다.The
로우터(430)는 실린더(410)의 내부에 구비되며, 제 1 로드(420)와 접촉하여 이동함에 따라 회전하면서 장홈(415)과 단홈(416)에 교번적으로 삽입 및 이탈된다. 이를 위해, 로우터(430)는 장홈(415)과 단홈(416)에 교번적으로 삽입 및 이탈되는 걸림돌기(431)가 측면에 다수개 형성되고, 걸림돌기(431)의 단부에 제 1 로드(420)의 톱니부(423)가 경사지게 접촉되도록 대략 45도 각도로 경사면(431a)이 형성된다. 로우터(430)의 경사면(431a)은 실린더(410)의 경사면(416a)과 일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제 2 로드(440)는 로우터(430)와 접촉하여 이동 가능하도록 실린더(410)의 내부에 구비되며, 일단이 브릿지(500)에 연결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 2 로드(440)는 일단이 실린터 커버(418)의 홀(418a)을 관통하여 브릿지(500)에 힌지(11)로 결합되고, 타단이 로우터(430)에 파지된다.The
압축팽창부재(450)는 제 2 로드(440)가 로우터(430) 쪽으로 탄성 복원될 수 있도록 실린더(410)와 제 2 로드(440) 사이에 구비되는 코일스프링(이하, 참조부호 '450'으로 설명함)을 포함할 수 있다. 코일스프링(450)은 제 2 로드(440)에 끼워지며, 일단이 실린터 커버(418)의 내측에 접촉되고 타단이 제 2 로드(440)의 원판에 접촉된다. The
하우징(460)은 일단이 브레이크 레버(100)에 힌지(13)로 결합되고, 타단의 개방면(461)을 통해 실린더(410)가 삽입되어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하우징(460)은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내주면에 요철(463)이 형성된다.One end of the
탄성블록(470)은 하우징(460)의 내부에 탄성적으로 접촉되면서 이동하도록 구비되며, 제 1 로드(420)에 연결된다. 탄성블록(470)은 외주면에 하우징(460)의 요철(463)과 탄성적으로 접촉하는 탄성편(473)이 돌출 형성된다.The
브릿지(500)는 토션 스프링(300)과 원터치 작동부(400) 사이에 위치하며, 원터치 작동부(400)의 출몰 동작에 연동하여 토션 스프링(300)을 가압 또는 해제한다. 브릿지(500)는 중앙이 본체(10)에 힌지(15)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일단이 원터치 작동부(400)의 제 2 로드(440)에 연결되고 타단이 토션 스프링(300)의 자유단에 연결된다.The
이하, 도 8 및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풋 파킹 브레이크 장치의 작동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8 and 9, the operation of the foot parking brak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8a 내지 8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풋 파킹 브레이크 장치에서 파킹 잠금을 위한 작동 과정을 순차적으로 설명하는 예시도이다.8A to 8D are exemplary views sequentially illustrating an operation process for locking the parking in the foot parking brak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킹 해제 상태에서는 로우터(430)의 걸림돌기(431)가 실린더(410)의 단홈(416)에 삽입되어 걸리게 되고, 제 2 로드(440)는 로우터(430)에 의해 고정된 상태로 브릿지(500)를 통해 토션 스프링(300)의 가압을 해제한다. 토션 스프링(300)의 가압이 해제됨에 따라 클러치부재(200)에 토션에 따른 마찰 저항이 제거되어 브레이크 레버(100)의 작동이 가능한 상태가 된다.As shown in FIG. 8A, in the unparked state, the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페달(110)에 힘이 가해져 브레이크 레버(100)의 회전 동작이 시작되면, 브레이크 레버(100)의 동작에 연동하여 하우징(460), 탄성블록(470) 및 제 1 로드(420)가 이동하게 되고 탄성블록(470)과 실린더(410)가 접 촉한 상태에서 멈추게 된다. 이때, 제 1 로드(420)의 톱니부(423)가 로우터(430)의 걸림돌기(431)와 접촉하면서 로우터(430)를 단홈(416) 밖으로 밀게 되고, 걸림돌기(431)의 경사면(431a)이 단홈(416)을 이탈하여 장홈(415)과 단홈(416) 사이의 경사면(416a)을 따라 회전하면서 로우터(430)의 걸림돌기(431)는 장홈(415)에 삽입될 수 있는 상태가 된다.As shown in FIG. 8B, when a force is applied to the pedal 110 to start the rotation of the
도 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페달(110)에 힘을 계속 가하면 다른 부품들은 이동하지 않고 현상태를 유지하고 하우징(460)만 페달(110)의 풀 스트로크(Full Stroke) 만큼 이동하게 된다.As shown in FIG. 8C, when the force is continuously applied to the
도 8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페달(110)에 가하는 힘을 제거하게 되면, 코일스프링(450)의 복원력에 의해 하우징(460), 탄성블록(470), 제 1 로드(420), 로우터(430) 및 제 2 로드(440)가 페달(110)의 복원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로우터(430)의 걸림돌기(431)가 실린더(410)의 장홈(415)에 삽입되어 복원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제 2 로드(440)도 코일스프링(450)에 의해 초기보다 로우터(430)쪽으로 더 이동하게 된다. 제 2 로드(440)가 로우터(430) 쪽으로 이동하게 됨에 따라 제 2 로드(440)에 연결된 브릿지(500)는 당겨져 회전하면서 토션 스프링(300)의 자유단을 가압하게 된다. 이와 같이 토션 스프링(300)이 가압됨에 따라 클러치부재(200)에 토션에 따른 마찰 저항이 발생하여 파킹 잠금 상태가 된다.As shown in FIG. 8D, when the force applied to the
도 9a 내지 9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풋 파킹 브레이크 장치에서 파킹 해제를 위한 작동 과정을 순차적으로 설명하는 예시도이다.9A to 9D are exemplary views sequentially illustrating an operation process for releasing parking in the foot parking brak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킹 장금 상태에서 페달(110)에 추가 작동으로 힘을 인가한다.As shown in FIG. 9A, the force is applied to the pedal 110 in an additional operation in the parking lock state.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페달(110)에 힘이 가해져 브레이크 레버(100)의 회전 동작이 시작되면, 브레이크 레버(100)의 동작에 연동하여 하우징(460), 탄성블록(470), 제 1 로드(420) 및 로우터(430)가 이동하게 되고 탄성블록(470)과 실린더(410)가 접촉한 상태에서 멈추게 된다. 이때 제 1 로드(420)가 로우터(430)를 장홈(415) 밖으로 밀게 되고, 로우터(430)의 걸림돌기(431)의 경사면(431a)이 장홈(415)을 이탈하여 장홈(415)과 단홈(416) 사이의 경사면(416a)을 따라 회전하면서 로우터(430)의 걸림돌기(431)는 단홈(416)에 삽입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그리고, 로우터(430)에 의해 제 2 로드(440)가 이동함에 따라 제 2 로드(440)에 연결된 브릿지(500)가 밀려 회전하면서 토션 스프링(300)의 자유단을 풀어주게 된다.As shown in FIG. 9B, when a force is applied to the pedal 110 to start the rotation of the
도 9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페달(110)에 가하는 힘을 제거하게 되면, 코일스프링(450)의 복원력에 의해 하우징(460), 탄성블록(470), 제 1 로드(420) 및 로우터(430)가 페달(110)의 복원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로우터(430)의 걸림돌기(431)가 실린더(410)의 단홈(416)에 삽입되어 걸리게 되므로 제 2 로드(440)는 이동하지 않게 된다. 제 2 로드(440)가 이동하지 않게 되어 제 2 로드(440)에 연결된 브릿지(500)가 고정되고, 토션 스프링(300)은 벌어진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토션 스프링(300)에 걸리는 가압이 해제됨에 따라 클러치부재(200)에 토션에 따른 마찰 저항이 제거되어 브레이크 레버(100)의 작동이 가능한 상태가 된다.As shown in FIG. 9C, when the force applied to the
도 9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원력에 의해 하우징(460)만 원위치로 복귀하게 되면서 초기의 파킹 해제 상태가 된다.As shown in FIG. 9D, only the
즉, 본 발명의 풋 파킹 브레이크 장치에 따르면, 운전자가 발로 페달(110)을 밟는 간단한 동작을 통해 파킹 브레이크의 잠금 및 해제 상태를 원터치 방식으로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원터치 방식의 메커니즘을 이용하는 간단한 기계적 구성에 의하여 풋 파킹 브레이크 장치를 동작시킴으로써, 파킹 브레이크의 잠금 및 해제를 위해 사용되는 구성부품의 개수를 줄일 수 있다.That is, according to the foot parking brake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river can perform the locking and releasing state of the parking brake in a one-touch manner through a simple operation of stepping on the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Althoug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ma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thereof. I can understand that. It is therefore to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in all aspects and not restricti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by the following claims rather than the above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o.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풋 파킹 브레이크 장치의 결합 사시도.1 is a combined perspective view of a foot parking brak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풋 파킹 브레이크 장치의 분해 사시도.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foot parking brak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원터치 작동부의 분해 사시도.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one-touch operation unit shown in FIG.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원터치 작동부의 단면도.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one-touch operation unit shown in FIG.
도 5는 도 3의 'A'부분을 상세 도시한 확대도5 is an enlarged view showing detail 'A' of FIG.
도 6은 도 3의 'B'부분을 상세 도시한 확대도FIG. 6 is an enlarged view showing detail 'B' of FIG. 3.
도 7은 도 3의 'C'부분을 상세 도시한 확대도FIG. 7 is an enlarged view illustrating 'C' part of FIG. 3 in detail.
도 8a 내지 8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풋 파킹 브레이크 장치에서 파킹 잠금을 위한 작동 과정을 순차적으로 설명하는 예시도.8A to 8D are exemplary views sequentially illustrating an operation process for parking locking in the foot parking brake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a 내지 9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풋 파킹 브레이크 장치에서 파킹 해제를 위한 작동 과정을 순차적으로 설명하는 예시도.9A to 9D are exemplary views sequentially illustrating an operation process for releasing parking in the foot parking brake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Drawings>
100 : 브레이크 레버 110 : 페달 100: brake lever 110: pedal
200 : 클러치부재 300 : 탄성부재(토션 스프링) 200: clutch member 300: elastic member (torsion spring)
400 : 원터치 작동부 410 : 실린더 400: one-touch operating part 410: cylinder
415 : 장홈 416 : 단홈415: long groove 416: single groove
420 : 제 1 로드 421 : 안내돌기 420: first load 421: guide protrusion
423 : 톱니부 430 : 로우터 423: tooth part 430: rotor
431 : 걸림돌기 440 : 제 2 로드 431: protrusion 440: the second rod
450 : 압축팽창부재(코일 스프링) 460 : 하우징 450: compression expansion member (coil spring) 460: housing
470 : 탄성블록 500 : 브릿지470: elastic block 500: bridge
Claims (7)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092895A KR101021927B1 (en) | 2008-09-22 | 2008-09-22 | Foot parking brak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092895A KR101021927B1 (en) | 2008-09-22 | 2008-09-22 | Foot parking brak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033839A KR20100033839A (en) | 2010-03-31 |
KR101021927B1 true KR101021927B1 (en) | 2011-03-17 |
Family
ID=421826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80092895A Expired - Fee Related KR101021927B1 (en) | 2008-09-22 | 2008-09-22 | Foot parking brak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021927B1 (en)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00003581U (en) * | 1998-07-27 | 2000-02-25 | 홍종만 | Auxiliary brake system |
KR100380932B1 (en) | 2000-12-11 | 2003-04-26 | 기아자동차주식회사 | Foot Pedal Parking Brake System of One Touch Way |
US20040173044A1 (en) | 2001-06-09 | 2004-09-09 | Ulf Braker | Device for actuating parking brakes in motor vehicles |
KR20080046589A (en) * | 2006-11-22 | 2008-05-27 | 듀라 글로벌 테크놀러지즈, 인크. | Parking brake |
-
2008
- 2008-09-22 KR KR1020080092895A patent/KR101021927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00003581U (en) * | 1998-07-27 | 2000-02-25 | 홍종만 | Auxiliary brake system |
KR100380932B1 (en) | 2000-12-11 | 2003-04-26 | 기아자동차주식회사 | Foot Pedal Parking Brake System of One Touch Way |
US20040173044A1 (en) | 2001-06-09 | 2004-09-09 | Ulf Braker | Device for actuating parking brakes in motor vehicles |
KR20080046589A (en) * | 2006-11-22 | 2008-05-27 | 듀라 글로벌 테크놀러지즈, 인크. | Parking brak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033839A (en) | 2010-03-3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H10339339A (en) | Electric motor provided with parking brake and brake actuator for electrically operated brake device therewith | |
CN118775461A (en) | Actuator and electromechanical disc brake having the same | |
WO2013114656A1 (en) | Parking brake device | |
KR101910854B1 (en) | Electronic drum parking brake for trucks to prevent loosening | |
KR101021927B1 (en) | Foot parking brake | |
CN101554868B (en) | Anti-locking brake structure | |
KR20110140004A (en) | Caliper for parking brake of vehicle | |
JP2004034958A (en) | Shift locking device of automatic transmission | |
KR20040071868A (en) | Disk brake | |
CN109693754B (en) | Hub brake lock, hub brake system, hub assembly and bicycle | |
JP3015349B1 (en) | Foot-operated parking brake pedal | |
JP2000229560A (en) | Lever unit | |
JP2006170241A (en) | Duo-servo type drum brake device | |
JP3184452B2 (en) | Open / close lid structure for shift lock release button operation | |
KR100398257B1 (en) | drum break for vehicle | |
KR200385116Y1 (en) | Parking brake device | |
KR20160145442A (en) | Apparatus for parking breake | |
JPS6123941Y2 (en) | ||
JPH11348742A (en) | Parking hand brake for vehicle | |
KR200300494Y1 (en) | Button locking device of parking-lever for vehicles | |
KR100380932B1 (en) | Foot Pedal Parking Brake System of One Touch Way | |
KR101035639B1 (en) | Car Parking Brake Lever | |
KR200300495Y1 (en) | Button locking device of parking lever for vehicles | |
KR100191953B1 (en) | Foot brake for parking | |
JPH06278582A (en) | Foot parking brak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80922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0091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10228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1030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1030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1226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122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1226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122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1228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122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227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227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1226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1226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912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