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021196B1 - 수납 케이스 - Google Patents

수납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21196B1
KR101021196B1 KR1020080070005A KR20080070005A KR101021196B1 KR 101021196 B1 KR101021196 B1 KR 101021196B1 KR 1020080070005 A KR1020080070005 A KR 1020080070005A KR 20080070005 A KR20080070005 A KR 20080070005A KR 101021196 B1 KR101021196 B1 KR 1010211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wall member
height
storage case
folde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700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17410A (ko
Inventor
홍석민
임양택
Original Assignee
김인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인수 filed Critical 김인수
Publication of KR200900174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74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11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1196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32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having bodies formed by folding and interconnecting two or more blanks
    • B65D5/322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having bodies formed by folding and interconnecting two or more blanks at least one container body part formed by folding a single blank to essentially U-shape with or without extensions which form openable lid elements
    • B65D5/323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having bodies formed by folding and interconnecting two or more blanks at least one container body part formed by folding a single blank to essentially U-shape with or without extensions which form openable lid elements and two further opposed body panels formed from two essentially planar bl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02Wrapped articles enclosed in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02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 or erecting a single blank to form a tubular body with or without subsequent folding operations, or the addition of separate elements, to close the ends of the body
    • B65D5/029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 or erecting a single blank to form a tubular body with or without subsequent folding operations, or the addition of separate elements, to close the ends of the body the tubular body presenting a special sha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02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 or erecting a single blank to form a tubular body with or without subsequent folding operations, or the addition of separate elements, to close the ends of the body
    • B65D5/06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 or erecting a single blank to form a tubular body with or without subsequent folding operations, or the addition of separate elements, to close the ends of the body with end-closing or contents-supporting elements formed by folding inwardly a wall extending from, and continuously around, an end of the tubular bod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36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specially constructed to allow collapsing and re-erecting without disengagement of side or bottom conne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fuse Recepta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납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수납 케이스를 보관할 때에는 평면으로 펼쳐지면서, 사용할 때에는 수납공간을 간편하게 형성할 수 있도록 한 수납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다수의 직사각형 판재가 서로 접철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판재가 접철되면서 양 측면이 개방되는 다각형의 통체를 형성하는 외벽부재와, 상기 외벽부재의 내측에 고정되고 상기 외벽부재가 평면상으로 펼쳐질 때 상기 외벽부재의 내측면에 평면상으로 밀착되며 상기 외벽부재가 접철되어 다각형의 통체로 형성될 때 외벽부재의 내측방으로 돌출되면서 외벽부재의 양 측면 개방부를 폐쇄하는 측벽부재로 구성된 수납 케이스에 있어서, 상기 외벽부재는,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어 각각 접철 가능하게 결합되면서 삼각형의 통 형상을 형성하는 제1,2,3패널로 구성되고, 상기 측벽부재는, 일측변이 상기 제1패널에 고정되는 한 쌍의 제1지지편과, 상기 제1지지편의 타측에 접철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2패널에 고정되어 상기 외벽부재의 양 측면 개방부를 폐쇄하는 제1폐쇄편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1폐쇄편은 상기 제2패널의 높이와 같은 길이의 등변을 갖고 상기 제1패널의 높이와 같은 길이의 밑변을 갖는 이등변삼각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지지편은 상기 제1패널에 부착되어 접철되는 변이 가장 긴 길이를 갖는 빗변으로 형성되고, 타측변이 상기 제1패널의 높이 및 제2패널의 높이와 같은 높이를 갖는 직각삼각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2패널의 높이와 제3패널의 높이가 동일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수납케이스의 상품성이 극대화될 뿐만 아니라, 수납케이스의 상품 보호 능력이 더욱 향상되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포장, 상자, 케이스, 접철

Description

수납 케이스{a case}
본 발명은 수납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보관상태에서 평면으로 펼쳐지면서 사용시에는 외벽을 접는 것 만으로도 내측에 수납공간이 형성되도록 한 수납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물품을 포장 및 보관하는 수납 케이스는 금속재, 목재, 합성수지, 종이 등 다양한 재질로 형성되어 수많은 형태로 제작되어지고 있다.
이러한 수납 케이스는 일반적으로 금속재나 목재, 합성수지재 등의 강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된 경우에는 매장이나 공장 등지에서 다수의 수납 케이스를 보관할 경우에 그 부피가 커 많은 공간을 소요하는 문제점이 있었고, 다수의 수납 케이스를 한꺼번에 운송할 경우에도 그 부피로 인해 운송이 불편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뿐만 아니라, 수납 케이스를 종이로 제작할 경우에는 접은 상태로 보관이 가능하여 수납 케이스가 차지하는 공간이 적은 장점은 있었으나, 그 강도가 약해 쉽게 파손될 뿐만 아니라, 조립 과정이 대체로 복잡해 사용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제1~3패널이 접철되거나 펼쳐지면서 삼각형 단면을 갖는 수납케이스를 형성할 때, 측면에 배치되는 지지편 및 폐쇄편의 주름이 최소화되면서 외부의 이물질의 유입이 차단되는 수납케이스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제1~4패널이 접철되거나 펼쳐지면서 사각형 단면을 갖는 수납케이스를 형성할 때, 측면에 배치되는 지지편 및 폐쇄편의 주름이 최소화되면서 외부의 이물질의 유입이 차단되는 수납케이스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고정패널이 제1패널의 외측면을 완전히 가리도록 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다수의 직사각형 판재가 서로 접철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판재가 접철되면서 양 측면이 개방되는 다각형의 통체를 형성하는 외벽부재와, 상기 외벽부재의 내측에 고정되고 상기 외벽부재가 평면상으로 펼쳐질 때 상기 외벽부재의 내측면에 평면상으로 밀착되며 상기 외벽부재가 접철되어 다각형의 통체로 형성될 때 외벽부재의 내측방으로 돌출되면서 외벽부재의 양 측면 개방부를 폐쇄하는 측벽부재로 구성된 수납 케이스에 있어서, 상기 외벽부재는,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어 각각 접철 가능하게 결합되면서 삼각형의 통 형상을 형성하는 제1,2,3패널로 구성되고, 상기 측벽부재는, 일측변이 상기 제1패 널에 고정되는 한 쌍의 제1지지편과, 상기 제1지지편의 타측에 접철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2패널에 고정되어 상기 외벽부재의 양 측면 개방부를 폐쇄하는 제1폐쇄편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1폐쇄편은 상기 제2패널의 높이와 같은 길이의 등변을 갖고 상기 제1패널의 높이와 같은 길이의 밑변을 갖는 이등변삼각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지지편은 상기 제1패널에 부착되어 접철되는 변이 가장 긴 길이를 갖는 빗변으로 형성되고, 타측변이 상기 제1패널의 높이 및 제2패널의 높이와 같은 높이를 갖는 직각삼각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2패널의 높이와 제3패널의 높이가 동일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수의 직사각형 판재가 서로 접철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판재가 접철되면서 양 측면이 개방되는 다각형의 통체를 형성하는 외벽부재와, 상기 외벽부재의 내측에 고정되고 상기 외벽부재가 평면상으로 펼쳐질 때 상기 외벽부재의 내측면에 평면상으로 밀착되며 상기 외벽부재가 접철되어 다각형의 통체로 형성될 때 외벽부재의 내측방으로 돌출되면서 외벽부재의 양 측면 개방부를 폐쇄하는 측벽부재로 구성된 수납 케이스에 있어서, 상기 외벽부재는,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어 각각 접철 가능하게 결합되면서 사각형의 통 형상을 형성하는 제1,2,3,4패널로 구성되고, 상기 측벽부재는, 일측이 상기 제1패널에 고정되는 한 쌍의 제1지지편과, 상기 지지편의 타측에 접철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2패널에 고정되어 상기 외벽부재의 양 측면 개방부를 폐쇄하는 제1폐쇄편과, 일측이 상기 제3패널에 고정되는 한 쌍의 제2지지편 및 상기 제2지지편의 타측에 접철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4패널에 고정되어 상기 제1폐쇄편과 맞닿으면서 상기 외벽부재의 양 측면 개방부를 폐쇄하는 제 2폐쇄편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1폐쇄편은 상기 제2패널의 높이와 같은 길이의 등변을 갖고 상기 제1패널의 높이와 같은 길이의 밑변을 갖는 이등변삼각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지지편은 상기 제1패널에 부착되어 접철되는 변이 가장 긴 길이를 갖는 빗변으로 형성되고, 타측변이 상기 제1패널의 높이 및 제2패널의 높이와 같은 높이를 갖는 직각삼각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2폐쇄편은 상기 제4패널의 높이와 같은 길이의 등변을 갖고 상기 제3패널의 높이와 같은 길이의 밑변을 갖는 이등변삼각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지지편은 상기 제3패널에 부착되어 접철되는 변이 가장 긴 길이를 갖는 빗변으로 형성되고, 타측변이 상기 제3패널의 높이 및 제4패널의 높이와 같은 높이를 갖는 직각삼각형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3패널 또는 제4패널의 끝단에 접철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제1패널의 외측면에 밀착 고정되며, 상기 제1패널과 같은 면적으로 형성된 고정패널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본 발명은 제1~3패널이 접철되거나 펼쳐지면서 삼각형 단면을 갖는 수납케이스를 형성할 때, 지지편을 직각삼각형으로 형성하고 폐쇄편을 이등변삼각형으로 형성하여 측면에 배치되는 지지편 및 폐쇄편의 주름이 최소화되면서 외부의 이물질의 유입이 차단되는 수납케이스를 제공함으로서, 수납케이스의 상품성이 극대화될 뿐만 아니라, 수납케이스의 상품 보호 능력이 더욱 향상되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제1~4패널이 접철되거나 펼쳐지면서 사각형 단면을 갖는 수납케이스를 형성할 때, 지지편을 각각 직각삼각형으로 형성하고 폐쇄편을 각각 이등변삼각형으로 형성하여 측면에 배치되는 지지편 및 폐쇄편의 주름이 최소화되면서 외부의 이물질의 유입이 차단되는 수납케이스를 제공함으로서, 수납케이스의 상품성이 극대화될 뿐만 아니라, 수납케이스의 상품 보호 능력이 더욱 향상되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고정패널이 제1패널의 외측면을 완전히 가리도록 함으로서, 수납케이스의 상품 수납 상태에서 외관이 더욱 미려해질 뿐만 아니라 고정력이 극대화되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서, 도 1a는 본 발명의 펼침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1b는 본 발명의 제1차 접음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며, 도 1c는 본 발명의 제2차 접음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1d는 본 발명의 사용상태를 보인 사시도로서,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은 다수의 판재가 서로 접철가능하게 결합되되 판재가 접철되면서 양측면이 개방된 통 형상으로 형성되는 외벽부재(10)와, 외벽부재(10)의 양 측면 개방부에 배치되면서, 외벽부재(10)가 평면으로 펼쳐질 때에는 외벽부재(10)의 내측면에 밀착 배치되고, 외벽부재(10)가 통 형상으로 접혀질 때 돌출되면서 외벽부재(10)의 양 측면 개방부를 폐쇄하는 측벽부재(20)로 구성된다.
상기 외벽부재(10)는 양 측면이 개방된 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수납공간부를 형성하는 것으로서, 종이, 금속재, 합성수지재 등의 판재로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되, 각각 접철 가능하게 결합되면서 삼각형의 통 형상을 형성하는 제1,2,3패널(11)(12)(13)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제1,2,3패널(11)(12)(13)은 종이로 형성될 경우에는 접철선을 형성하여 접혀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금속판이나 합성수지판 등의 강성을 갖는 판재로 형성될 경우에는 제1,2,3패널(11)(12)(13)의 연결부에 연성을 갖는 재질을 삽입하여 제1,2,3패널(11)(12)(13)이 각각 접혀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측벽부재(20)는 상술한 외벽부재(10)가 평면으로 펼쳐질 때에는 외벽부재(10)의 내측면에 평면상으로 밀착되고, 외벽부재(10)가 접혀져 삼각형의 통 형상으로 형성될 때에는 외벽부재(10)의 내측으로 돌출되면서 외벽부재(10)의 양 측면 개방부를 폐쇄하도록 한 쌍의 제1지지편(21)과 한쌍의 제1폐쇄편(22)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1지지편(21)은 일측이 상술한 제1패널(11)에 고정되고, 타측은 후술되는 제1폐쇄편(22)과 일체로 접철가능하게 결합되며, 삼각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외벽부재(10)가 평면을 이룰 때에는 외벽부재(10)의 내측면에 평행하게 밀착되고, 외벽부재(10)가 수납공간을 형성할 때에는 제1폐쇄편(22)과 접철 가능하게 결합된 상단이 회전되면서 제1패널(11)의 하방으로 밀려 내려가 제1패널(11)의 내측면을 지지하도록 한다.
상기 제1폐쇄편(22)은 상술한 제1지지편(21)의 상단에 접철 가능하게 일체로 결합되도록 하고, 그 반대측 면은 상술한 제2패널(12)의 양 측 모서리에 고정되도록 하며, 외벽부재(10)에 의해 형성되는 양 측 개방부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도록 하여, 외벽부재(10)가 평면을 이룰 때에는 외벽부재(10)의 내측면에 평행하게 밀착되고, 외벽부재(10)가 수납공간을 형성할 때에는 외벽부재(10)의 내측방으로 돌출되면서 외벽부재(10)의 양 측면 개방부를 폐쇄하도록 한다.
이 때, 상기 제1지지편(21)과 제1폐쇄편(22)을 연결하는 접철선은 제1패널(11)과 제2패널(12)을 연결하는 접철선과 서로 어긋나는 각도로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제1패널(11)과 제2패널(12)이 평면상으로 펼쳐질 때에는 외벽부재(10)의 내측면에 평면상으로 밀착되고, 제1패널(11)과 제2패널(12)이 일정 각도로 접철될 때, 제1지지편(21) 및 제1폐쇄편(22)이 외벽부재(10)의 내측방으로 돌출되면서 외벽부재(10)의 양 측면 개방부를 폐쇄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제1패널(11)과 제2패널(12)을 일정 각도로 접철시켜 제1폐쇄편(22)이 외벽부재(10)와 수직으로 배치된 후에는 제3패널(13)을 접철시켜 제1패널(11)과 제2패널(12)에 의해 형성된 수납공간의 상부 개방부를 폐쇄함으로써 제1,2,3패널(11)(12)(13)을 접어 삼각 통 형상을 형성하는 것 만으로도 간편하게 수납 케이스를 만들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더불어, 상기 제3패널(13)은 제1패널(11)의 끝단에 통상의 접착테이프 등을 이용하여 고정함으로써, 수납 케이스가 개방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하는 것도 무방하나, 제3패널(13)의 끝단으로 상기 제1패널(11)과 맞닿으면서 제1패널(11)의 외측면에 밀착되는 고정패널(30)을 구비함으로써, 제1패널(11)과 제3패널(13) 사이의 틈으로 먼지 등의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수납 케이스에 수납된 각종 물품이 빠져나오는 것이 방지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고정패널(30)은 상기 제1패널(11)의 형상 및 면적과 대응되게 형성되도록 하여 수납 케이스가 조립될 때 고정패널(30)이 제1패널(11)을 완전히 가리도록 함으로써, 수납케이스의 심미감이 극대화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패널(11)과 고정패널(30)의 사이에는 고정패널(30)이 제1패널(11)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부재(40)를 구비하여 수납케이스가 사용자가 원하지 않는 상황에서 열리는 것이 방지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상기 고정부재(40)는 통상의 벨크로테이프나, 똑딱이단추, 끈 등으로 형성하는 것도 무방하나, 제1패널(11)과 고정패널(30)의 내측에 각각 철판(41)과 자성판(42)을 삽입하여 수납 케이스의 외측으로 고정부재(40)가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외관이 더욱 미려해지도록 하면서도, 고정패널(30)과 제1패널(11)이 간편하게 분리 및 고정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수납 케이스만을 별도로 보관할 때에는 외벽부재(10)를 평면으로 펼치면 측벽부재(20)까지 동시에 평면상으로 펼쳐지게 되어 다수의 수납 케이스를 최소의 공간에 보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책꽂이 등에 간편하게 보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수납 케이스에 각종 물품을 수납할 때에는 제1,2,3패널(11)(12)(13)을 접는 것 만으로도 간편하게 수납공간을 형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고정패널(30)이 제1패널(11)에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수납케이스가 불필요하게 열리는 것을 방 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평면도로서, 상술한 제1폐쇄편(22)은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제2패널(12)의 높이(L2)와 같은 길이의 등변(221)을 갖고 상기 제1패널(11)의 높이(L2)와 같은 길이의 밑변(222)을 갖는 이등변삼각형으로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제1지지편(21)은 상기 제1패널(11)에 부착되어 접철되는 변이 가장 긴 길이를 갖는 빗변(211)으로 형성되고 타측변(212)(213)이 상기 제1패널(11)의 높이(L1) 및 제2패널(12)의 높이(L2)와 같은 높이를 갖는 직각삼각형으로 형성되도록 한다.
또한, 상술한 제1패널(11)의 높이(L1)는 제2패널(12)의 높이(L2)보다 낮은 높이로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제2패널(12)의 높이(L2)와 제3패널(13)의 높이(L3)가 동일하게 형성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제1,2,3패널(11)(12)(13)이 완전히 펼쳐질 때에는 제1지지편(21)과 제1폐쇄편(22) 사이에 주름이 발생되지 않으면서 완전한 평면 상태를 유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1,2,3패널(11)(12)(13)이 서로 접철되면서 삼각형의 통 형상으로 형성될 때에는 단면이 제1폐쇄편(22)의 형상과 대응되는 직각삼각형을 형성하게 되어 제1폐쇄편(22)과 제3패널(13) 사이의 틈을 최소화하여 수납 케이스의 내측에 수납된 소품이 빠져나오거나 각종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서, 도 3a는 본 발명의 펼침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3b는 본 발명의 제1차 접음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며, 도 3c는 본 발명의 제2차 접음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3d는 본 발명의 사용상태를 보인 사시도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상술한 제1 실시예의 구성요소를 모두 포함하되, 상술한 외벽부재(10)가 제1,2,3,4패널(11)(12)(13)(14)로 구성되도록 하여 외벽부재(10)가 접히면서 전체적으로 사각 통체를 형성하도록 한다.
이때, 상술한 측벽부재(20)는 상술한 제1 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로 제1,2패널에 각각 고정되는 제1지지편(21) 및 제1폐쇄편(22)이 구비되도록 하고, 제3패널(13)에는 상술한 제1지지편(21)과 동일한 구성의 제2지지편(23)이 고정되도록 하며, 제4패널(14)에는 제1폐쇄편(22)과 동일한 구성의 제2폐쇄편(24)이 구비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1,2폐쇄편(22)(24)은 외벽부재(10)의 접힘 상태에서 사각형의 양 측면 개방부를 폐쇄하도록 서로 대칭되게 배치되는 삼각형 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외벽부재(10)를 사각 통체로 접으면 내측에 직육면체의 수납공간이 형성되어 수납공간의 면적을 극대화시킬 수 있게 되고, 제1,2지지편(21)(23) 및 제1,2폐쇄편(22)(24)이 외벽부재(10)의 양 측면 개방부를 폐쇄하게 되어 수납된 각종 물품이 수납 케이스에서 빠져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상술한 제1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로 제4패널(14)의 외측에는 제1패널(11)에 밀착 고정되는 고정패널(30)을 구비함으로써, 수납 케이스가 더욱 견고하게 폐쇄될 뿐만 아니라, 제1패널(11)과 고정패널(30)의 사이에 철판(41)과 자성판(42)으로 구성된 고정부재(40)를 각각 삽입함으로써, 간편하고 견고하게 고 정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평면도로서, 상술한 제1폐쇄편(22)은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제2패널(12)의 높이(L2)와 같은 길이의 등변(221)을 갖고 상기 제1패널(11)의 높이(L2)와 같은 길이의 밑변(222)을 갖는 이등변삼각형으로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제1지지편(21)은 상기 제1패널(11)에 부착되어 접철되는 변(211)이 가장 긴 길이를 갖는 빗변으로 형성되고 타측변(212)(213)이 상기 제1패널(11)의 높이(L1) 및 제2패널(12)의 높이(L2)와 같은 높이를 갖는 직각삼각형으로 형성되도록 한다.
더불어, 상술한 제2폐쇄편(24)은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제4패널(14)의 높이(L4)와 같은 길이의 등변(241)을 갖고 상기 제3패널(13)의 높이(L3)와 같은 길이의 밑변(242)을 갖는 이등변삼각형으로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제2지지편(23)은 상기 제3패널(13)에 부착되어 접철되는 변(231)이 가장 긴 길이를 갖는 빗변으로 형성되고 타측변(232)(233)이 상기 제3패널(13)의 높이(L3) 및 제4패널(14)의 높이(L4)와 같은 높이를 갖는 직각삼각형으로 형성되도록 한다.
또한, 상술한 제1패널(11)의 높이(L1)는 제2패널(12)의 높이(L2)보다 낮은 높이로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술한 제3패널(13)의 높이(L3)는 제1패널(11)의 높이(L1)와 같게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제4패널(14)의 높이(L4)와 제2패널(12)의 높이(L2)가 동일하게 형성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제1,2,3,4패널(11)(12)(13)(14)이 완전히 펼쳐질 때에는 제1지지편(21)과 제1폐쇄편(22) 및 제2지지편(23)과 제2폐쇄편(24)사이에 주름이 발생되지 않으면서 완전한 평면 상태를 유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1,2,3,4패널(11)(12)(13)(14)이 서로 접철되면서 사각형의 통 형상으로 형성될 때에는 단면이 제1폐쇄편(22)과 제2폐쇄편(24)의 결합에 의해 형성되는 직사각형을 형성하게 되어 제1폐쇄편(22)과 제2폐쇄편(24) 사이의 틈을 최소화하여 수납 케이스의 내측에 수납된 소품이 빠져나오거나 각종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서,
도 1a는 본 발명의 펼침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1b는 본 발명의 제1차 접음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1c는 본 발명의 제2차 접음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1d는 본 발명의 사용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서,
도 3a는 본 발명의 펼침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3b는 본 발명의 제1차 접음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3c는 본 발명의 제2차 접음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3d는 본 발명의 사용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평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외벽부재
11 : 제1패널 12 : 제2패널
13 : 제3패널 14 : 제4패널
20 : 측벽부재
21 : 제1지지편 22 : 제1폐쇄편
23 : 제2지지편 24 : 제2폐쇄편
30 : 고정패널
40 : 고정부재
41 : 철판 42 : 자성판

Claims (3)

  1. 삭제
  2. 다수의 직사각형 판재가 서로 접철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판재가 접철되면서 양 측면이 개방되는 다각형의 통체를 형성하는 외벽부재(10)와, 상기 외벽부재(10)의 내측에 고정되고 상기 외벽부재(10)가 평면상으로 펼쳐질 때 상기 외벽부재(10)의 내측면에 평면상으로 밀착되며 상기 외벽부재(10)가 접철되어 다각형의 통체로 형성될 때 외벽부재(10)의 내측방으로 돌출되면서 외벽부재(10)의 양 측면 개방부를 폐쇄하는 측벽부재(20)로 구성된 수납 케이스에 있어서,
    상기 외벽부재(10)는,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어 각각 접철 가능하게 결합되면서 사각형의 통 형상을 형성하는 제1,2,3,4패널(11)(12)(13)(14)로 구성되고,
    상기 측벽부재(20)는, 일측이 상기 제1패널(11)에 고정되는 한 쌍의 제1지지편(21)과, 상기 지지편의 타측에 접철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2패널(12)에 고정되어 상기 외벽부재(10)의 양 측면 개방부를 폐쇄하는 제1폐쇄편(22)과, 일측이 상기 제3패널(13)에 고정되는 한 쌍의 제2지지편(23) 및 상기 제2지지편(23)의 타측에 접철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4패널(14)에 고정되어 상기 제1폐쇄편(22)과 맞닿으면서 상기 외벽부재(10)의 양 측면 개방부를 폐쇄하는 제2폐쇄편(24)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1폐쇄편(22)은 상기 제2패널(12)의 높이(L2)와 같은 길이의 등 변(221)을 갖고 상기 제1패널(11)의 높이(L1)와 같은 길이의 밑변(222)을 갖는 이등변삼각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지지편(21)은 상기 제1패널(11)에 부착되어 접철되는 변(211)이 가장 긴 길이를 갖는 빗변으로 형성되고, 타측변(212)(213)이 상기 제1패널(11)의 높이(L1) 및 제2패널(12)의 높이(L2)와 같은 높이를 갖는 직각삼각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2폐쇄편(24)은 상기 제4패널(14)의 높이(L4)와 같은 길이의 등변(241)을 갖고 상기 제3패널(13)의 높이(L3)와 같은 길이의 밑변(242)을 갖는 이등변삼각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지지편(23)은 상기 제3패널(13)에 부착되어 접철되는 변(231)이 가장 긴 길이를 갖는 빗변으로 형성되고, 타측변(232)(233)이 상기 제3패널(13)의 높(L3)이 및 제4패널(14)의 높이(L4)와 같은 높이를 갖는 직각삼각형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 케이스.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3패널(13) 또는 제4패널(14)의 끝단에 접철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제1패널(11)의 외측면에 밀착 고정되며, 상기 제1패널(11)과 같은 면적으로 형성된 고정패널(30)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 케이스.
KR1020080070005A 2007-08-14 2008-07-18 수납 케이스 Expired - Fee Related KR10102119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1996 2007-08-14
KR20070081996 2007-08-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7410A KR20090017410A (ko) 2009-02-18
KR101021196B1 true KR101021196B1 (ko) 2011-03-15

Family

ID=403508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70005A Expired - Fee Related KR101021196B1 (ko) 2007-08-14 2008-07-18 수납 케이스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021196B1 (ko)
WO (1) WO2009022763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3407U (ko) 2015-03-25 2016-10-06 민미강 수납 케이스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377106A (zh) * 2018-12-29 2020-07-07 中钞光华印制有限公司 一种三角盒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103648A1 (en) * 2003-11-17 2005-05-19 Issac Karpel Hard case for carrying small articles and method of making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5547Y1 (ko) * 2003-12-26 2004-03-24 하옥자 절곡형 상자
JP4844801B2 (ja) * 2005-03-29 2011-12-28 大日本印刷株式会社 蓋身一体型組立紙函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103648A1 (en) * 2003-11-17 2005-05-19 Issac Karpel Hard case for carrying small articles and method of making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3407U (ko) 2015-03-25 2016-10-06 민미강 수납 케이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9022763A1 (en) 2009-02-19
KR20090017410A (ko) 2009-0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13574B1 (en) Flat lying foldable integrated lid and container
JP5947396B2 (ja) 折り畳み箱
KR20110005544U (ko) 접이식 정리함
KR200452223Y1 (ko) 접이형 상자
KR101021196B1 (ko) 수납 케이스
KR20200075263A (ko) 포장 박스용 포장재 및 그 포장재에 의해 조립된 포장 박스
US1950168A (en) Storage chest
KR20170082257A (ko) 접이 구조의 종이 포장 박스
KR200378562Y1 (ko) 뚜껑이 구비된 절첩식 상자
KR20110121268A (ko) 덮개판이 원터치로 동시에 접혀지는 포장용 박스
KR20130005842U (ko) 조립이 용이한 명품포장박스
KR200384616Y1 (ko) 테두리 코너 힌지형 개폐구조를 갖는 다단식 종이필통
JP3129069U (ja) 折り畳み、組み立て可能な収納箱
KR200430540Y1 (ko) 접이형 포장박스
KR102769611B1 (ko) 접이식 구조를 가지는 휴대용 수납함
KR200480217Y1 (ko) 테이블 겸용 수납박스
KR200217143Y1 (ko) 절첩가능한 다용도 상자
KR101718430B1 (ko) 포장 박스
KR200446480Y1 (ko) 견고한 조립식 포장박스
KR101330655B1 (ko) 고자립성 및 고밀폐성을 갖는 발포수지 재질의 절첩식 상자
KR20200017914A (ko) 포장용 상자
JP2001315761A (ja) 物品保持構造
KR200493751Y1 (ko) 프레임 상자
KR200410505Y1 (ko) 컨테이너 박스 고정용 끼움 부재
KR20130107891A (ko) 일체형 슬라이드 뚜껑을 갖는 포장케이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8071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009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10125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110223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1030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1030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0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22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8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21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712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