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19608B1 - Car collision warning - Google Patents
Car collision warning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019608B1 KR101019608B1 KR1020080059619A KR20080059619A KR101019608B1 KR 101019608 B1 KR101019608 B1 KR 101019608B1 KR 1020080059619 A KR1020080059619 A KR 1020080059619A KR 20080059619 A KR20080059619 A KR 20080059619A KR 101019608 B1 KR101019608 B1 KR 10101960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obstacle
- vehicle
- sound signal
- sound
- speake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30000005236 sound signal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1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8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8
- 230000003321 ampl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3199 nucleic acid amplific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72 improv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939 indu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9/00—Arrangement or adaptation of signal devices not provided for in one of main groups B60Q1/00 - B60Q7/00, e.g. haptic signalling
- B60Q9/008—Arrangement or adaptation of signal devices not provided for in one of main groups B60Q1/00 - B60Q7/00, e.g. haptic signalling for anti-collision purpos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B60Y2400/301—Sensors for position or displac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 Measurement Of Velocity Or Position Using Acoustic Or Ultrasonic Waves (AREA)
Abstract
자동차의 충돌 경고장치 및 방법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자동차의 충돌 경고장치는 자동차의 외면에 장착되어 외부 장애물을 감지하는 다수개의 센싱부재와, 센싱부재로부터 전달된 신호에 의해 자동차와 장애물간의 거리 및 장애물의 방향을 연산하고, 연산된 방향 및 거리에 해당하는 음향신호를 메모리 내에서 선택하는 제어부 및 제어부에 의해 선택된 음향신호를 자동차의 내부로 전달하는 스피커를 포함한다.Disclosed is a collision warning apparatus and method for a motor vehicle. The disclosed collision warning device of the vehicle is mount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vehicle to detect a plurality of sensing members and the external obstacle, the distance between the vehicle and the obstacle and the direction of the obstacle by th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sensing member, the calculated direction and distance And a speaker for transmitting the sound signal corresponding to the sound signal selected by the controller to the inside of the vehicle.
또한, 자동차의 충돌 경고방법은 자동차의 외곽둘레에 구비된 센서부재가 외부 장애물을 감지하는 감지단계와, 센서부재에서 감지된 장애물의 감지신호를 전달받아 자동차와 장애물의 거리 및 장애물의 위치를 연산하는 연산단계와, 연산단계 이후 센서부재에서 감지된 장애물의 감지신호에 의해 장애물의 크기 및 형태를 판단하는 장애물 판단단계와, 연산단계와 분석단계에서 판단된 장애물의 방향, 거리, 크기 및 형태에 해당하는 음향신호를 메모리로부터 선택하는 음향신호 선택단계 및 음향신호 선택단계에서 선택된 음향신호를 자동차의 내부의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는 음향출력단계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collision warning method of the vehicle calculates the detection step of the sensor member provid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vehicle to detect the external obstacle, and receives the detection signal of the obstacle detected by the sensor member to calculate the distance between the vehicle and the obstacle and the position of the obstacle An obstacle determination step for determining the size and shape of the obstacle by the detection signal of the obstacle detected by the sensor member after the calculation step, and the direction, distance, size and shape of the obstacle determined in the calculation step and the analysis step. A sound signal selection step of selecting a corresponding sound signal from the memory and a sound output step of outputting the sound signal selected in the sound signal selection step through a speaker inside the vehicle.
자동차, 센서부재, 스피커 Automobile, sensor member, speaker
Description
본 발명은 자동차의 충돌 경고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차의 외곽 둘레에 센서부재를 장착하여 외부 장애물을 감지하고 장애물의 거리 및 방향을 연산하여 장애물의 위치 및 충돌 위험성을 음향으로 운전자에게 알려주는 자동차의 충돌 경고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llision warning device and a method of a vehicle, and more particularly, by mounting a sensor member around an outer periphery of a vehicle to detect external obstacles and calculating the distance and direction of the obstacles to acoustically detect the position and collision risk of the obstacl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llision warning device and a method of informing a driver.
도 1은 종래 자동차와 시야와의 관계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2는 종래 자동차에 장착된 센서들을 나타낸 평면도이다.1 is a plan view illustrating a relationship between a conventional vehicle and a field of view, and FIG. 2 is a plan view illustrating sensors mounted in a conventional vehicle.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따르면 자동차(10)를 운전하는 운전자가 사방의 시야를 확보하려면 시각에만 전적으로 의지하며, 사이드미러(12,13)와 룸 미러(14)에 의해 측후방 시야가 확보되고 있다.As shown in Figs. 1 and 2, according to the prior art, the driver who drives the
한편, 후방의 시야를 확보하는데 도움을 주는 후방경고시스템(BWS:Back Warning System)이 개발되어 있다. On the other hand, a Back Warning System (BWS) has been developed to help secure the rear view.
이에 따르면, 차량을 후진할 때 뒤쪽에 장애물이 있다는 것을 미리 알려줌으로써 충돌사고를 방지할 목적으로 차량에 다는 장치다.According to this, the device is attached to the vehicle for the purpose of preventing a collision accident by notifying in advance that there is an obstacle behind the vehicle when reversing.
일명 후방감지시스템 혹은 후방경고시스템이라고 한다.It is also known as rear detection system or rear warning system.
주차보조시스템(parking aid system)도 같은 개념인데, 주차 또는 다른 이유로 후진할 경우, 운전자는 뒤쪽에 장애물이 있는지 없는지 제대로 알기가 어려우므로, 이때 장애물을 자동으로 알아내는 시스템을 말한다.Parking aid system is the same concept, it is a system that automatically detects obstacles at this time because it is difficult for the driver to know whether there is an obstacle in the back when parking or other reasons.
여기서 장애물은 초음파 센서(22)가 감지하는데, 대부분 차량(20) 뒤쪽 범퍼에 장착되어 있다.The obstacle is detected by the
센서(22)는 후진 기어를 넣자마자 작동하기 시작하고, 차량과 장애물 사이가 가까워질수록 더 빠른 경보음을 낸다. 지금은 소리의 간격을 다르게 해서 장애물과 거리를 알려주는 경보형 외에 디지털 방식으로 후방 장애물까지의 거리를 표시해 주는 방식, 참단 차량시스템을 이용해 감시카메라로 보여주는 방식 등 다양한 백워닝 시스템이 출시되고 있다.The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시스템의 시야확보를 위해서는 시각에만 의존하기 때문에 실외기후가 악화(눈, 비, 안개 등)되거나 야간에는 시야의 확보에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as described above, the outdoor climate is deteriorated (snow, rain, fog, etc.) because it depends only on the time of day to secure the field of view, or it is difficult to secure the view at night.
또한, 측방 및 후방의 시야를 확보하기 위해서 양 사이드 미러를 보거나 좌 측 및 우측으로 고개를 180도 돌려야 하므로 가장 중요한 전방 시야를 확보하는데 어려움이 있어 사고의 위험이 큰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in order to secure the side and rear view, both side mirrors must be viewed or the head must be turned 180 degrees to the left and right sides, so it is difficult to secure the most important front view, which has a great problem of accident.
또한, 종래의 백워닝 시스템은 후방 장애물만을 감지해 주므로 측방 및 사각지대의 시야확보가 필요한 실정이다.In addition, the conventional backwarning system detects only the rear obstacles, it is necessary to secure the visibility of the side and blind spots.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improvement.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의해 창출된 것으로서, 자동차의 외곽 둘레에 센서부재를 장착하여 자동차와 장애물의 거리 및 장애물의 방향을 스피커를 통해 운전자에게 전달하여 운전자는 주행 시야를 뺏기지 않은 상태로 충돌을 방지할 수 있는 자동차의 충돌 경고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created by the necessity as described above, the sensor member is mounted around the outer periphery of the vehicle to convey the distance between the vehicle and the obstacle and the direction of the obstacle to the driver through the speaker, the driver collisions without losing the driving visibilit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llision warning device and method for preventing a vehicle.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충돌 경고장치는 자동차의 외면에 장착되어 외부 장애물을 감지하는 다수개의 센싱부재와, 상기 센싱부재로부터 전달된 신호에 의해 자동차와 장애물간의 거리 및 장애물의 방향을 연산하고, 연산된 방향 및 거리에 해당하는 음향신호를 메모리 내에서 선택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에 의해 선택된 음향신호를 자동차의 내부로 전달하는 스피커를 포함하는 자동차 주변장애물 알림장치를 제공한다.The collision warning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lculates the distance between the vehicle and the obstacle and the direction of the obstacle by a plurality of sensing members mount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vehicle and detecting an external obstacle, and 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sensing member, It provides a vehicle peripheral obstacle notification device including a control unit for selecting a sound signal corresponding to the direction and distance in the memory and a speaker for transmitting the sound signal selected by the control unit to the interior of the vehicle.
또한, 상기 센싱부재는 자동차의 둘레면에 형성된 초음파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sensing member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ultrasonic sensor formed o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vehicle.
또한, 상기 제어부와 스피커 사이에는 상기 메모리에서 선택된 음향신호를 자동차와 장애물간의 충돌 위험성에 따라 증폭시키는 증폭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controller and the speaker further comprises an amplifier for amplifying the sound signal selected in the memory according to the risk of collision between the vehicle and the obstacle.
또한, 상기 스피커는 운전자를 향한 자동차 내부의 각 모서리 부분에 형성되고, 상기 센싱부재는 자동차의 외면을 따라 복수로 구획으로 구분되어 각 구획과 각 스피커가 서로 대응되어 자동차 내부로 음향이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speaker is formed in each corner portion of the interior of the car facing the driver, the sensing member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compartments along the outer surface of the vehicle is that each compartment and each speaker correspond to each other that the sound is transmitted to the interior of the vehicle It features.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충돌 경고방법은 자동차의 외곽둘레에 구비된 센서부재가 외부 장애물을 감지하는 감지단계와, 상기 센서부재에서 감지된 장애물의 감지신호를 전달받아 자동차와 장애물의 거리 및 장애물의 위치를 연산하는 연산단계와, 상기 연산단계 이후 상기 센서부재에서 감지된 장애물의 감지신호에 의해 장애물의 크기 및 형태를 판단하는 장애물 판단단계와, 상기 연산단계와 장애물 판단단계에서 판단된 장애물의 방향, 거리, 크기 및 형태에 해당하는 음향신호를 메모리로부터 선택하는 음향신호 선택단계 및 상기 음향신호 선택단계에서 선택된 음향신호를 자동차의 내부의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는 음향출력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On the other hand, the collision warning method of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ensing step of detecting the external obstacle by the sensor member provid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vehicle, receiving the detection signal of the obstacle detected by the sensor member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vehicle and the obstacle and An operation step of calculating the position of the obstacle, an obstacle determination step of determining the size and shape of the obstacle by the detection signal of the obstacle detected by the sensor member after the operation step, the obstacle determined in the operation step and the obstacle determination step And a sound signal selecting step of selecting a sound signal corresponding to a direction, a distance, a size, and a shape from a memory, and a sound output step of outputting the sound signal selected in the sound signal selection step through a speaker inside the vehicle. It is done.
또한, 상기 음향신호 선택단계 이후 선택된 음향신호를 자동차와 장애물간의 충돌 위험성에 따라 증폭시키는 증폭단계를 더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an amplifying step of amplifying the selected sound signal according to the risk of collision between the vehicle and the obstacle after the sound signal selection step.
또한, 상기 음향출력단계는 자동차의 외부 장애물의 위치와 인접한 스피커에서 음향이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sound output step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ound is output from the speaker adjacent to the position of the external obstacle of the vehicle.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충돌 경고장치 및 방법은 종래 발명과 달리 센서부재에 의한 장애물 감지신호를 자동차 내부의 스피커를 통해 전달함으로써, 운전자가 주행시야를 뺏기지 않고 인지할 수 있어 안전운전을 유도할 수 있는 장점을 지닌다.As described above, the collision warning device and method of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unlike the conventional invention by transmitting the obstacle detection signal by the sensor member through the speaker inside the vehicle, the driver can recognize without losing the driving field It has the advantage of inducing safe driving.
또한, 센싱부재에 의해 감지된 감지신호에 의해 장애물의 거리, 방향 뿐만 아니라 크기, 형태에 맞는 음향을 제공함으로써, 운전자에서 보다 정확하고 세부적인 정보를 제공하는 장점을 지닌다.In addition, by providing a sound in accordance with the size, shape, as well as the distance, direction of the obstacle by the sensing signal sensed by the sensing member, the driver has the advantage of providing more accurate and detailed information.
또한, 증폭부에 의해 음향이 조절됨에 따라 충돌위험성에 따라 그 크기를 달리 하여 충돌위험성의 수위를 운전자에게 전달할 수 있는 장점을 지닌다.In addition, as the sound is adjusted by the amplification unit, the magnitude of the collision risk is varied according to the collision risk, and thus the advantage of delivering the level of the collision risk to the driver.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충돌 경고장치 및 방법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vehicle collision warning device and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is process, the thickness of the lines or the size of the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and convenience of description. In addition, the terms described below are defined in consideration of the func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depending on the intention or custom of the user, the operator. Therefore, definitions of these terms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충돌 경고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충돌 경고장치를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충돌 경고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Figure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llision warning device of a vehicle according to the invention, Figure 4 is a plan view showing a collision warning device of a vehicle according to the invention, Figure 5 is a flow chart showing a collision warning method of a vehicle according to the invention. to be.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충돌 경고장치(100)는 센싱부재(110), 제어부(120), 스피커(1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As illustrated, the
센싱부재(110)는 자동차(50)의 외면에 장착되어 외부 장애물(70)을 감지한다.The
그리고, 센싱부재(110)는 자동차(50)의 둘레면에 형성된 초음파센서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초음파센서 뿐만 아니라 CCR카메라, 광센서, 레이저센서 등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다.In addition, the
즉, 센싱부재(110)는 종래와 다르게 자동차(50)의 뒤쪽 범퍼 뿐만 아니라 측면과 둘레 전체면에 장착된다. 이때, 센싱부재(110)들 간의 간격은 제한되지 않는다.That is, the
제어부(120)는 센싱부재(110)로부터 전달된 신호에 의해 자동차(50)와 장애물(70)간의 거리 및 장애물(70)의 방향을 연산하고, 장애물(70)의 크기 및 형태를 판단하여 장애물의 방향, 거리, 크기 및 형태에 해당하는 음향신호를 메모리(125) 내에서 선택한다.The
메모리(125)는 제어부(120)에 마련되어 자동차(50)의 외부에 있는 장애물(70)의 방향, 거리, 크기 및 형태에 상응하는 다양한 음향신호가 저장되어 있다.The
스피커(140)는 제어부(120)에 의해 선택된 음향신호를 자동차(50)의 내부로 전달하게 된다.The
그리고,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스피커(140)는 운전자를 향한 자동 차(50) 내부의 각 모서리 부분에 형성된다.As shown in FIG. 4, the
또한, 센싱부재(110)는 자동차(50)의 외면을 따라 복수로 구획되어 각 구획과 각 스피커(140)가 서로 대응되어 자동차 내부로 음향이 전달된다.In addition, the
즉,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센싱부재(110)는 섹션별로 구획되는데, 자동차(50)의 외부 각 모서리를 중심으로 하여 사방으로 섹션1, 섹션2, 섹션3, 섹션4로 나누어지고 자동차(50)의 내부의 스피커(140)는 각 모서리에 구비되어 제1스피커(140a), 제2스피커(140b), 제3스피커(140c), 제4스피커(140d)로 이루어져, 섹션1에서 감지된 감지신호는 제어부(120)를 통해 제1스피커(140a)으로 전달되어 출력되는 것이다.That is, as shown in FIG. 4, the
만약, 섹션2의 영역에 있는 센서부재(110)가 장애물을 감지하게 되면 제2스피커(140b)에서 출력되는 것이다.If the
제어부(120)와 스피커(140) 사이에는 메모리(125)에서 선택된 음향신호를 자동차(50)와 장애물(70)간의 충돌위험성에 따라 증폭시키는 증폭부(130)를 더 구비한다.Between the
증폭부(130)는 제어부(120)에 의해 선택된 음향신호를 스피커(140)로 음향을 키워 전달함으로써, 운전자에게 장애물(70)에 대한 경각심을 부각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The
충돌위험성은 자동차(50)의 속도나, 장애물(70)의 속도, 자동차(50)와 장애물(70)의 거리 등 충돌긴박성에 기인한다.The collision risk is due to the collision urgency, such as the speed of the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충돌 경고방법은 자동차(50)의 외곽둘레에 구비된 센서부재(110)가 외부 장애물(70)을 감지하는 감지단계(S10)와, 센서부재(110)에서 감지된 장애물(70)의 감지신호를 전달받아 자동차(50)와 장애물(70)의 거리 및 장애물(70)의 방향을 연산하는 연산단계(S20)와, 상기 연산단계(S20) 이후 센서부재(110)에서 감지된 장애물(70)의 감지신호에 의해 장애물의 크기 및 형태를 판단하는 장애물 판단단계(S30)와, 연산단계(S20)와 장애물 판단단계(S30)에서 판단된 장애물의 방향, 거리, 크기 및 형태에 해당하는 음향신호를 메모리(125)로부터 선택하는 음향신호 선택단계(S40) 및 음향신호 선택단계(S40)에서 선택된 음향신호를 자동차(50)의 스피커(140)를 통해 출력하는 음향출력단계(S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On the other hand, the collision warning method of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ensing step (S10) and the
음향신호 선택단계(S40) 이후 선택된 음향신호를 자동차(50)와 장애물(70)간의 충돌 위험성에 따라 증폭시키는 증폭단계(S50)를 더 수행한다.After the sound signal selection step S40, the amplification step S50 of amplifying the selected sound signal according to the collision risk between the
그리고, 음향출력단계(S60)는 자동차(50)의 외부 장애물(70)의 위치와 인접한 스피커(140)에서 음향이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the sound output step (S60)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ound is output from the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충돌 경고장치 및 방법에 대한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will be described the actions and effects on the collision warning device and method of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자동차(50)의 외곽둘레에 구비된 센서부재(110)가 외부 장애물(70)을 감지하는 감지단계(S10)를 수행한다.First, the
즉, 자동차(50)의 시동과 함께 혹은 입력스위치에 의해 선택적으로 작동하는 센서부재(110)로부터 장애물(70) 감지 신호가 제어부(120)에 전달된다.That is, the
그리고, 제어부(120)에서는 센서부재(110)에서 감지된 장애물(70)의 감지신 호를 전달받아 자동차(50)와 장애물(70)의 거리 및 장애물의 방향을 연산하는 연산단계(S20)를 수행한다.In addition, the
이때, 제어부(120)는 자동차의 제어부(ECU)에 함께 구성될 수도 있고, 별도의 제어장치가 구비될 수도 있다.At this time, the
연산단계(S20) 이후 센서부재(110)에서 감지된 장애물(70)의 감지신호에 의해 장애물(70)의 크기 및 형태를 판단하는 장애물 판단단계(S30)를 수행한다.After the calculation step S20, the obstacle determination step S30 is performed to determine the size and shape of the
장애물 판단단계(S30)에서는 자동차(50)의 외곽에 다수개 구비되는 센싱부재(110)에 의해 각각의 감지신호를 제어부(120)에서 수집하여 장애물(70)의 윤곽을 감지함으로써, 그 크기 및 형태를 파악하는 것이다.In the obstacle determination step (S30) by detecting the contour of the
따라서, 큰 장애물일 경우 많은 센싱부재(110)들이 감지하여 제어부(120)에 감지신호를 전달하고, 작은 장애물일 경우 적은 센싱부재(110)들이 감지하여 제어부(120)에 감지신호를 전달하는 것이다. Therefore, in the case of a large obstacle, many sensing
연산단계(S20)와 판단단계(S30)에서 판단된 장애물의 방향, 거리, 크기 및 형태에 해당하는 음향신호를 메모리(125)로부터 선택하는 음향신호 선택단계(S40)를 수행한다.The sound signal selection step S40 of selecting the sound signal corresponding to the direction, the distance, the size, and the shape of the obstacle determined in the operation step S20 and the determination step S30 from the
제어부(120)에는 메모리(125)가 구비되며, 메모리(125)에는 거리, 방향, 크기 및 형태에 나타내는 음향신호가 저장되어 있다.The
이후, 제어부(120)에 의해 선택된 음향신호를 자동차(50)와 장애물(70)간의 충돌위험성에 따라 음향신호를 증폭부(130)에서 증폭시키는 증폭단계(S50)를 수행한다.Thereafter, the amplifying step S50 of amplifying the sound signal selected by the
즉, 자동차의 속도, 장애물과의 거리, 진행방향 등을 제어부(120)에서 연산하여 증폭부(130)를 제어함으로써 음향신호의 크기를 조절하게 되는 것이다.That is, the speed of the vehicle, the distance from the obstacle, the moving direction, etc. are calculated by the
증폭부(130)에 의해 음향신호의 크기가 조절되면 음향신호를 자동차(50)의 스피커(140)를 통해 출력하는 음향출력단계(S60)를 수행한다.When the amplitude of the sound signal is adjusted by the amplifying
이때, 음향출력단계(S60)에서는 외부 장애물(70)의 위치와 인접한 스피커(140)에서 음향이 출력되는데, 이는 자동차의 외곽 둘레에 구비된 센서부재(110)가 각각 구획되어 하나의 섹션을 이루어 그 섹션과 대응되는 스피커(140)에서 음향이 출력됨으로 운전자는 장애물의 위치를 바로 알아낼 수 있는 장점을 지닌다.At this time, in the sound output step (S60), the sound is output from the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drawings, this is merely exemplary,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art belongs can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other equivalent embodiments therefrom. I will understand.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fined by the claims.
도 1은 종래 자동차와 시야와의 관계를 나타낸 평면도.1 is a plan view showing a relationship between a conventional vehicle and a field of view.
도 2는 종래 자동차에 장착된 센서들을 나타낸 평면도.Figure 2 is a plan view showing the sensors mounted on a conventional vehicle.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주변위험물 알림장치를 나타낸 블록도.Figure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peripheral dangerous goods notification device of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주변위험물 알림장치를 나타낸 평면도.Figure 4 is a plan view showing a peripheral dangerous goods notification device of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주변위험물 알림방법을 나타낸 순서도.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notifying the surrounding dangerous goods of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Drawings>
50 : 자동차 70 : 장애물50: Car 70: Obstacle
100 : 알림장치 110 : 센싱부재100: notification device 110: sensing member
120 : 제어부 125 : 메모리120: control unit 125: memory
130 : 증폭부 140 : 스피커130: amplifier 140: speaker
Claims (7)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059619A KR101019608B1 (en) | 2008-06-24 | 2008-06-24 | Car collision warning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059619A KR101019608B1 (en) | 2008-06-24 | 2008-06-24 | Car collision warning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000209A KR20100000209A (en) | 2010-01-06 |
KR101019608B1 true KR101019608B1 (en) | 2011-03-07 |
Family
ID=418106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80059619A Expired - Fee Related KR101019608B1 (en) | 2008-06-24 | 2008-06-24 | Car collision warning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019608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3332144A (en) * | 2013-06-18 | 2013-10-02 | 合肥工业大学 | Pure electric vehicle and pedestrian monitoring and reminding method and system based on multi-sensor combinatio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2582523A (en) * | 2012-03-09 | 2012-07-18 | 深圳市领华卫通数码科技有限公司 | Interior rearview mirror with voice recognition function and voice recognition method |
CN108146367A (en) * | 2016-12-02 | 2018-06-12 | 王国超 | Vehicle blind zone sound to positioning warning system |
KR102635918B1 (en) * | 2016-12-08 | 2024-02-13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Controlling method for tail gate of vehicles |
CN107097720A (en) * | 2017-06-22 | 2017-08-29 | 厦门澳仕达电子有限公司 | A kind of vehicle blind zone monitoring, alarming reminding method and system |
KR102311254B1 (en) * | 2021-04-14 | 2021-10-13 | 강무길 | Warning device for vehicle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1001851A (en) * | 1999-06-16 | 2001-01-09 | Honda Motor Co Ltd | Vehicle alarm system |
KR20030010892A (en) * | 2001-07-27 | 2003-02-06 | 주식회사 현대오토넷 | A warning system for automobile |
KR20050002288A (en) * | 2003-06-30 | 2005-01-07 | 주식회사 현대오토넷 | Control method for dispersion warning sound and device thereof |
-
2008
- 2008-06-24 KR KR1020080059619A patent/KR101019608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1001851A (en) * | 1999-06-16 | 2001-01-09 | Honda Motor Co Ltd | Vehicle alarm system |
KR20030010892A (en) * | 2001-07-27 | 2003-02-06 | 주식회사 현대오토넷 | A warning system for automobile |
KR20050002288A (en) * | 2003-06-30 | 2005-01-07 | 주식회사 현대오토넷 | Control method for dispersion warning sound and device thereof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3332144A (en) * | 2013-06-18 | 2013-10-02 | 合肥工业大学 | Pure electric vehicle and pedestrian monitoring and reminding method and system based on multi-sensor combination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000209A (en) | 2010-01-0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289018B2 (en) | Method for distance alert and distance alerting unit | |
US7830243B2 (en) | Dual mode vehicle blind spot system | |
US9035760B2 (en) | Method and device for assisting a driver of a motor vehicle when he is removing his vehicle from a parking space, and motor vehicle | |
KR101019608B1 (en) | Car collision warning | |
KR102106347B1 (en) | Rear side alarm device and rear side alarm method thereof | |
CN104859541A (en) | Systems and methods to indicate clearance for vehicle door | |
JP2008221906A (en) | Damage part informing system for vehicle | |
KR100771276B1 (en) | Vehicle side distance sensing system and tires, tire wheels or wheel covers used in the system | |
KR101698586B1 (en) | Risk notification device when getting off of a car and method the same | |
KR20140078872A (en) | The integrated controlling method and device for blind spot warning and parking assistance | |
KR20150087737A (en) | Vehicular Danger Detecting System | |
JP2009059258A (en) | Obstacle approach warning apparatus | |
JP4108592B2 (en) | Vehicle periphery monitoring device | |
KR20180039838A (en) | Alarm controlling device of vehicle and method thereof | |
KR20120022185A (en) | The method for controling alarm of parking assist system using audio video navigation | |
KR100716116B1 (en) | Car Position Monitoring System with Sensor | |
KR100543243B1 (en) | Vehicle side obstacle warning system and how it works | |
KR20110046950A (en) | Vehicle rear and rear distance sensing device | |
JP6686327B2 (en) | Driving support device | |
KR101212342B1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alerting collision | |
JP2004355533A (en) | Car audio system with collision warning function | |
KR100571042B1 (en) | Reverse control device of vehicle using telematics and its control method | |
JP4911051B2 (en) | Vehicle periphery monitoring device | |
KR100611920B1 (en) | Rear alarm system with alarm control function and its alarm control method | |
KR20180129580A (en) |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collision of vehicl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80624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006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01230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1022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1022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108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010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115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011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203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203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712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