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019083B1 - 육류 슬라이서 - Google Patents

육류 슬라이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19083B1
KR101019083B1 KR1020080045508A KR20080045508A KR101019083B1 KR 101019083 B1 KR101019083 B1 KR 101019083B1 KR 1020080045508 A KR1020080045508 A KR 1020080045508A KR 20080045508 A KR20080045508 A KR 20080045508A KR 101019083 B1 KR101019083 B1 KR 1010190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at
cutter
delete delete
coupled
plat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455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19451A (ko
Inventor
김수권
Original Assignee
김수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수권 filed Critical 김수권
Priority to KR10200800455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19083B1/ko
Publication of KR200901194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194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90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9083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2BUTCHERING; MEAT TREATMENT; PROCESSING POULTRY OR FISH
    • A22CPROCESSING MEAT, POULTRY, OR FISH
    • A22C17/00Other devices for processing meat or bones
    • A22C17/0006Cutting or shaping meat
    • A22C17/0033Cutting slices out of a piece of meat
    • AHUMAN NECESSITIES
    • A22BUTCHERING; MEAT TREATMENT; PROCESSING POULTRY OR FISH
    • A22CPROCESSING MEAT, POULTRY, OR FISH
    • A22C17/00Other devices for processing meat or bones
    • A22C17/0006Cutting or shaping meat
    • A22C17/002Producing portions of meat with predetermined characteristics, e.g. weight or particular dimensions
    • AHUMAN NECESSITIES
    • A22BUTCHERING; MEAT TREATMENT; PROCESSING POULTRY OR FISH
    • A22CPROCESSING MEAT, POULTRY, OR FISH
    • A22C17/00Other devices for processing meat or bones
    • A22C17/02Apparatus for holding meat or bones while cutt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rocessing Of Meat And F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육류 슬라이서에 관한 것으로, 작업대(100)의 하부에 설치된 구동모터(2)와; 상기 구동모터(2)의 동력에 의해 회전되며 작업대(100)에 수직되게 설치된 회전축(3)과; 상기 회전축(3)의 상부에 수평으로 설치되어 회전되는 커터(4)와; 상기 커터(4)의 상부에 설치되며, 고기덩어리가 수납되는 적재함(5)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수평방식으로 고기덩어리를 절단함으로써, 장치의 부피를 줄일 수 있어 공간효율이 향상될 수 있고, 작업자의 위험성을 현저히 절감시킬 수 있다.
육류, 절단, 커터, 수평

Description

육류 슬라이서{COLD OF MEET'S SLICER}
본 발명은 육류 슬라이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자중에 의해 하강하는 육류를 수평설치된 커터로 절단할 수 있도록 한 육류 슬라이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육류 슬라이서는 냉동육이나 냉장육의 고기덩어리를 일정 두께로 연속 절단하기 위한 장치이다.
이러한 종래의 고기절단장치들은 고기덩어리를 절단하는 절단칼 장치와, 고기를 적재하여 좌우연동과 함께 적재된 고기를 이송시켜 절단칼로 공급함으로 절단칼에 의한 절단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고기적재부, 그리고 절단칼과 이격된 거리를 유지하여 공급되는 고기의 절단두께를 설정하는 두께조절판으로 구성되고 절단된 고기절단편은 이송컨베이어로 배출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상기한 종래의 슬라이서에 대하여, 도 1a 및 도 1b와 도 2에 나타내었다.
첨부된 도 1a 및 도 1b는 종래 슬라이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종래 슬라이서의 좌우 왕복운동을 설명한 평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슬라이서는 고기덩어리(6)를 적재부에 적재하여 상 부의 이송롤과 하부이송컨베이어의 이송으로 적재된 고기덩어리(6)를 고속회전하는 절단칼(30)로 이송함과 함께 기체 내의 연동장치에 의해 상기 적재부는 좌우로 왕복운동하게 된다.
이때에 절단칼(30)과 두께조절판(31)은 절단두께의 폭으로 조절된 이격된 거리를 구성하고 상기에서 공급되는 절단할 고깃덩어리는 두께조절판(31)과의 밀착되어 적재부의 좌우이동으로 상기 절단칼과 교차되면서 이들의 이격된 간격 즉, 두께로 고깃덩어리(6)가 절단되며 이러한 장치의 일부 부대장치를 변경하여 냉동육이나 생육용으로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슬라이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고깃덩어리를 적재한 적재부가 좌우연동장치에 의한 좌우로 왕복운동을 하게 됨으로 그 왕복이동거리가 크고 넓어 기체의 대형화와 함께, 상기 운동거리 내에서 안전사고가 많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원형 절단칼에 의하여 절단고기가 커터 측면에서부터 높이방향으로 상하로 길게 절단작업이 이루어짐에 따라 상부의 절단편부터 하강되면서 하강도중 접혀지는 폐단으로 인하여 절단편이 구김 및 뭉치게 되는 폐단이 발생되어 상품성을 저하시키게 된다.
뿐만 아니라 고속회전하는 절단칼은 위협적이고 또한 매우 위험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작업자에 상당한 위해성을 증가시켜 작업능률의 저하와 함께 안전사고가 많이 발생되고 있는 것이다.
또한, 종래 기술은 고기덩어리를 일정한 힘으로 공급하기 위한 공급장치가 별도로 구비되어야 하므로 구조가 복잡해지고 부피가 커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커터를 수평으로 설치하여 수평회전되도록 하고, 그 상부에 고기덩어리를 적재하여 자중에 의해 하강하는 고기덩어리를 절단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그 장치의 부피를 줄일 수 있어 공간효율이 향상될 수 있고, 작업자의 위험성을 현저히 절감시킬 수 있도록 한 육류 슬라이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은,
작업대의 하부에 설치된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의 동력에 의해 회전되며 작업대에 수직되게 설치된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의 상부에 수평으로 설치되어 회전되는 커터와, 상기 커터의 상부에 설치되며, 고기덩어리가 수납되는 적재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커터는 두께조절판의 중심부에 형성된 통공 내에 설치되며 두께조절판과 동일한 평면상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두께조절판은 높이조절장치에 의해 높이가 조절됨으로써 절단되는 고기의 두께를 변경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높이조절장치는, 상기 두께조절판의 하부에 설치된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의 상면과 두께조절판의 저면 사이에 설치된 수직부재와, 상기 지지판의 하부 에 형성된 수직관과, 상기 수직관의 하부에 지지된 캠과, 상기 캠에 일단이 연결된 아암과, 상기 아암의 타단에 연결된 서보모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직부재는 상단에 롤러가 설치된 로드와, 상기 로드가 탄력적으로 결합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에 수용된 탄성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캠은 상부에 경사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직관의 하단은 상기 캠의 경사면과 접촉되는 경사단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적재함은 커터 및 두께조절판의 상부에 설치된 상판에 설치되며, 하부는 개구되고, 일측에 고정장치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장치는 유압실린더 또는 공압실린더로 이루어진 것이며, 상기 유압실린더 또는 공압실린더의 로드가 적재함의 측면에 밀착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지판의 상부에는 커팅된 고기를 이송하는 컨베어장치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수평방식으로 고기덩어리를 절단함으로써, 장치의 부피를 줄일 수 있어 공간효율이 향상될 수 있고, 작업자의 위험성을 현저히 절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잔육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그리고 1회의 커터회전으로 양쪽 육류를 절단할 수 있어 작업시간이 절약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커터의 회전작동시 시작 및 종료시점의 속도가 점진적으로 제어되도록 함으로써 급격한 온/오프작동을 방지하여 충격을 완화시켜 보다 안정적이며, 장치의 수명이 길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육류 슬라이서에 대한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육류 슬라이서에 대한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육류 슬라이서에서 "하판"과 "캠"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육류 슬라이서(A)는, 작업대(100)의 하부에 설치된 구동모터(2)와; 상기 구동모터(2)의 동력에 의해 회전되며 작업대(100)에 수직되게 설치된 회전축(3)과; 상기 회전축(3)의 상부에 수평으로 설치되어 회전되는 커터(4)와; 상기 커터(4)의 상부에 설치된 적재함 고정부(52)에 부착되며, 고기덩어리가 수납되는 적재함(5)으로 구성된다.
각 구성요소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기 작업대(100)는, 하부에 바퀴(110)가 설치되고, 다수개의 프레임을 연결하여 장방형으로 형성된 것으로, 하부의 하부프레임(120)에 구동모터(2)가 설치된다. 상기 구동모터(2)는 제어부(200)의 조작에 의해 구동이 제어된다.
상기 하부프레임(120)에 설치된 하판(130)의 중앙에는 회전축(3)이 수직되게 설치되고, 상기 회전축(3)의 하단에는 풀리(32)가 설치되며, 상기 풀리(32)에는 상기 구동모터(2)의 타이밍벨트(37)에 연결된다.
상기 회전축(3)의 중간부위는 하판의 상부에 설치된 지지판을 관통하여 설치되며, 그 외측에는 축하우징(945)이 설치된 것으로, 회전축(3)의 상부에는 단턱 및 돌기가 형성된다.
따라서, 커터(4)의 중앙에 형성된 끼움공이 상기 회전축(3)의 돌기에 끼워져 단턱에 안착된 후 캡형태의 결합구(34)가 씌워진 다음 상기 결합구(34)의 하단에 형성된 플랜지에 다수의 볼트를 체결하여 커터(4)와 결합시켜 수평상태로 설치된다.
상기 결합구(34)의 외측에 원통캡 형상의 하우징(33)이 씌워져 결합되며, 상기 하우징(33)의 하단 플랜지가 두께조절판(6)에 볼트 체결로 결합된다.
이때, 상기 하우징(33)은 상기 결합구(34)와 일체로 결합되어 회전축(3)에서 전달되는 회전력에 의해 두께조절판(6)이 동반회전될 수 있도록 하고, 아울러 두께조절판(6)의 승강작동이 용이하도록 상기 회전축(3)과 스플라인(spline) 결합방식으로 결합된다.
즉, 회전축(3)에 결합된 결합구(34)의 외주면에 종방향으로 다수개의 키홈이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33)의 내측에는 상기 결합구(34)의 키홈에 끼워지도록 다수개의 키가 형성된 체결구(332)가 설치되는 것이다.
상기 커터(4)는 고기를 자르기 위한 커터로써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을 것이며 본 실시예에서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원형이며 회전축(3)과 편심결 합된다.
상기 커터(4)는 두께조절판(6)의 중심부에 형성된 통공(60) 내에 설치되며 두께조절판(6)과 동일한 평면상에 설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두께조절판(6)의 통공(60)과 상기 커터(4)의 형상은 동일하게 형성됨으로써 커터(4)가 통공(60) 내에 삽입될 수 있다.
한편, 도면으로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상기 구동모터(2)의 회전속도를 점진적으로 가속 및 감속시킬 수 있도록 인버터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인버터는 구동모터(2)의 회전작동의 시작 및 종료시점의 동작을 점진적으로 완만하게 수행되도록 함으로써 충격을 최소화하고 파손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설치된다.
즉, 본 발명의 메인스위치를 온시키면 구동모터(2)의 회전이 시작되는데 상기 인버터에 의해 구동모터(2)의 회전속도가 서서히 가속되도록 한다.
이후 정상 회전속도에 도달하면 상기 서보모터(91)의 작동에 의해 두께조절판(6)이 내려가게 되어 커팅두께가 설정된다.
역으로, 메인스위치를 오프시키면 구동모터(6)의 회전속도가 인버터에 의해 서서히 감속되면서 완전히 정지된 후 서보모터(91)의 작동에 의해 두께조절판(6)이 상승하여 커터(4)와 동일 높이에 도달하여 원위치된다.
따라서, 구동모터(6)의 급속한 회전동작을 완화시켜 충격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어 보다 안정적이며, 타이밍벨트(37) 및 기타 구동부의 부품수명이 보호될 수 있다.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두께조절판(6)은 높이조절장치에 의해 높이가 조절됨으로써 절단되는 고기의 두께를 변경시킬 수 있다.
상기 높이조절장치는, 도 3 및 도 5를 참조하면, 원형의 하판(130)과, 상기 하판(130)과 상기 두께조절판(6)의 저면 사이에 설치된 수직부재(8)와, 상기 수직부재(8)의 하단에 지지되며 상기 하판의 상면에 설치된 캠(93)과, 상기 하판의 일측 하부에 일단이 힌지 결합된 아암(92)과, 상기 아암(92)의 타단에 연결된 서보모터(9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수직부재(8)는 상단에 롤러(81)가 설치된 로드(82)와, 상기 로드(82)가 삽입되며 하단에는 경사단면(835)을 갖는 관체(83)로 구성된다.
상기 캠(93)은 하판(130)의 상부에 90°간격으로 설치된 4개의 직육면체 블럭이며, 상부에는 요입홈(934)이 형성되고, 상기 요입홈(934)의 양측면에는 경사면(932)이 형성된다.
상기 작업대(100)의 상부에는 적재함(5)을 설치하기 위한 적재함 고정부(52)가 설치된다.
상기 적재함 고정부(52)는, 작업대(100)의 프레임 중앙에 베어링 결합된 상부축(53)과, 상기 상부축(53)의 하단에 설치된 기대(54)와, 상기 기대(54)의 측면에 상호 대향되게 배치되어 볼트로 결합되는 적재함(5)으로 구성된다.
상기 적재함(5)은, 커터(4) 및 두께조절판(6)의 상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하부가 개구된 사각통체로써, 일측에는 커팅시 커터(4)의 충격력에 의해 동반회전되는 폐단을 방지하고자 고정장치(7)가 설치된다.
즉,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고정장치(7)는 유압실린더 또는 공압실린더로 이루어진 것이며, 상기 유압실린더 또는 공압실린더의 로드(72) 선단이 적재함(5)의 측면에 밀착된다.
즉, 고기덩어리를 적재함(5)에 수납할때는 유압실린더 또는 공압실린더의 로드(72)를 인입시켜 고정상태를 해제시켜 적재함(5)이 안착된 상판(130)을 회전시킬 수 있어 적재작업이 용이하도록 하고, 적재가 완료된 후에는 로드(72)가 인출되어 적재함(5)에 밀착됨으로써 고정시키게 된다.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작업대(100)의 내측에는 커터(4)와 하판(130) 사이에 지지판(140)이 설치되고, 지지판(140)의 상부에는 커팅된 고기를 이송하는 컨베어장치(10)가 설치되는데, 상기 컨베어장치(10)는 적재함(5)의 하부에 대응되도록 각기 설치된다.
상기 컨베어장치(10)는 통상의 이송수단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작동관계를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적재함(5) 내에 고기덩어리를 수납한다. 이때 고기덩어리는 적재함(5)의 내벽면에 밀착된 상태가 되도록 되며, 고기덩어리의 하단은 두께조절판(6)의 상면에 접촉된 상태가 된다.
이때, 고정장치(7)는 해제된 상태, 즉 로드(72)의 선단이 인입되어 적재함과 닿지않도록 한 상태이므로 작업자는 한장소에서 적재함(5) 및 적재함 고정부(52)를 손으로 회전시키면서 두개의 적재함(5)에 고기덩어리를 수납할 수 있다.
이후, 고정장치(7)의 로드(72)를 인출시켜 그 선단이 적재함(5)에 밀착되도록 하여 적재함(5)이 고정되도록 한다.
이후, 제어부에서 시작 스위치를 온시키게 되면, 구동모터(6)가 회전하기 시작하며 인버터에 의해 서서히 회전속도가 증가된 후 일정 속도에 도달하면 상기 높이조절장치가 작동되어 커팅두께가 설정된다.
즉, 제어부의 신호에 따라 서보모터(91)가 일정 각도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 구동되고, 이에 연동하여 아암(92)이 회전하면서 하판을 일정 각도로 회전시키게 되고, 상기 하판의 회전에 종동되어 캠(93)이 일정 각도로 회전된다.
따라서, 관체(83)의 하단 경사단면(835)이 캠의 요입홈(934)에 형성된 경사면(932)에 밀리게 됨으로써 수직부재(8)가 하강하게 된다.
따라서, 수직부재(8)의 롤러(81)에 지지된 두께조절판(6)이 하강하게 된다.
즉, 두께조절판(6)이 하강하면 커터(4)와 간격이 증가되고, 아울러 두께조절판(6)의 상면에 그 하단이 지지되어 있던 고기덩어리가 더 많이 내려오게 됨으로써 고기의 커팅 두께가 두꺼워질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상기 서보모터(91) 및 캠(93)의 시계방향의 회전에 의해 수직부재(8)가 상승하게 되고, 이에 따라 두께조절판(6)이 상승하게 됨으로써 커팅두께가 얇아지게 된다.
참고로, 두께조절판(6)이 최고로 상승될 수 있는 높이는 커터(4)와 동일한 높이가 될때까지로 한정시킴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구동모터(2)가 구동되고, 이에 종동되어 회전축(3)에 연결된 커터(4)와 두께조절판(6)이 동반하여 고속으로 회전되면서 고기덩어리의 커팅이 시작된다.
이렇게 커팅된 고기 조각은 커터(4)와 두께조절판(6) 사이의 통공(60)을 통해 하부로 낙하하여 컨베어장치(10)에 안착된 후 외부로 배출된다.
고기덩어리는 커팅과 동시에 자중에 의해 하부로 점차 내려오므로 별도의 가압수단은 필요없게 된다.
커팅작업이 완료되면 구동모터(2)가 정지하게 되는데 인버터에 의해 회전속도가 서서히 감속되면서 최종에는 정지하게 된다.
이후, 서보모터(91)가 역회전하면서 두께조절판(6)이 상승하여 커터(4)와 동일한 높이에 도달하여 원위치로 복귀된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한 것은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변경 및 수정은 모두 첨부된 청구의 범위에 속함은 자명하다.
도 1a 및 도 1b는 종래 슬라이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 슬라이서의 좌우 왕복운동을 설명한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육류 슬라이서에 대한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육류 슬라이서에 대한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육류 슬라이서에서 "하판"과 "캠"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 : 구동모터 3 : 회전축
4 : 커터 5 : 적재함
6 : 두께조절판 7 : 고정장치
8 : 수직부재 10 : 컨베어장치

Claims (11)

  1. 작업대(100)의 하부에 설치된 구동모터(2)와, 상기 구동모터(2)의 동력에 의해 회전되며 작업대(100)에 수직되게 설치된 회전축(3)과, 상기 회전축(3)의 상부에 수평으로 설치되어 회전되는 커터(4)와, 상기 커터(4)의 상부에 설치된 적재함 고정부(52)에 부착되며, 고기덩어리가 수납되는 적재함(5)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육류 슬라이서에 있어서,
    상기 커터(4)는 상기 회전축(3)에 결합된 두께조절판(6)의 내부에 형성된 통공(60) 내에 편심되게 결합되고,
    상기 두께조절판(6)은 상기 회전축(3)의 상부에 결합된 하우징(33)에 결합되어 동반 회전될 수 있고, 승강작동이 수행되도록 스플라인 결합되며, 높이조절장치에 의해 높이가 조절됨으로써 절단되는 고기의 두께를 변경시킬 수 있도록 하되,
    상기 높이조절장치는,
    원형의 하판(130)과, 상기 하판(130)과 상기 두께조절판(6)의 저면 사이에 설치되며, 상단에 롤러(81)가 설치된 로드(82)와, 상기 로드(82)가 삽입되며 하단에는 경사단면(835)을 갖는 관체(83)로 구성된 수직부재(8)와, 상기 수직부재(8)의 하단에 지지되며 상기 하판(130)의 상면에 설치된 캠(93)과, 상기 하판(130)의 일측 하부에 일단이 힌지 결합된 아암(92)과, 상기 아암(92)의 타단에 연결된 서보모터(91)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캠(93)은, 상부에는 요입홈(934)이 형성되고, 상기 요입홈(934)의 양측면에는 상기 수직부재(8)의 경사단면(835)이 접촉되는 경사면(932)이 형성되며,
    상기 적재함 고정부(52)는,
    상기 작업대(100)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상부축(53)과, 상기 상부축(53)의 하단에 설치되며 측면에 상기 적재함(5)이 설치되는 기대(54)를 포함하되,
    상기 적재함(5)은 하부는 개구되고 일측에는 고정장치(7)가 설치되고,
    상기 고정장치(7)는 유압실린더 또는 공압실린더로 이루어지며, 상기 유압실린더 또는 공압실린더의 로드(72)가 상기 적재함(5)의 측면에 밀착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류 슬라이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커터(4)의 하부에는 커팅된 고기를 이송하는 컨베어장치(10)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류 슬라이서.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모터(2)에는 회전속도를 점진적으로 가속 및 감속시킬 수 있도록 인버터가 더 설치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류 슬라이서.
KR1020080045508A 2008-05-16 2008-05-16 육류 슬라이서 Active KR1010190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5508A KR101019083B1 (ko) 2008-05-16 2008-05-16 육류 슬라이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5508A KR101019083B1 (ko) 2008-05-16 2008-05-16 육류 슬라이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9451A KR20090119451A (ko) 2009-11-19
KR101019083B1 true KR101019083B1 (ko) 2011-03-07

Family

ID=416031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45508A Active KR101019083B1 (ko) 2008-05-16 2008-05-16 육류 슬라이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1908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4418B1 (ko) 2013-03-06 2014-06-17 이동 계육 수평 절단가공장치
KR20160006612A (ko) * 2014-07-09 2016-01-19 마인 푸드 프로세싱 테크노로지 비. 브이. 도살된 가금류의 내부 목 피부에 적용된 세정 작업을 실행하기 위한 장치
KR20160006613A (ko) * 2014-07-09 2016-01-19 마인 푸드 프로세싱 테크노로지 비. 브이. 도살된 가금류에서 작업을 실행하기 위한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144771A (en) * 1975-05-30 1976-12-13 Ross Henry M Thinly slicing machine for meat
JPH0537495U (ja) * 1992-06-03 1993-05-21 ワタナベフーマツク株式会社 食品スライサ
JPH1029195A (ja) 1996-07-12 1998-02-03 Chubu Corp:Kk 棒状食材の切断方法及びその装置
JP2007118091A (ja) * 2005-10-24 2007-05-17 Watanabe Foodmach Co Ltd 食品スライサ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144771A (en) * 1975-05-30 1976-12-13 Ross Henry M Thinly slicing machine for meat
JPH0537495U (ja) * 1992-06-03 1993-05-21 ワタナベフーマツク株式会社 食品スライサ
JPH1029195A (ja) 1996-07-12 1998-02-03 Chubu Corp:Kk 棒状食材の切断方法及びその装置
JP2007118091A (ja) * 2005-10-24 2007-05-17 Watanabe Foodmach Co Ltd 食品スライサ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4418B1 (ko) 2013-03-06 2014-06-17 이동 계육 수평 절단가공장치
KR20160006612A (ko) * 2014-07-09 2016-01-19 마인 푸드 프로세싱 테크노로지 비. 브이. 도살된 가금류의 내부 목 피부에 적용된 세정 작업을 실행하기 위한 장치
KR20160006613A (ko) * 2014-07-09 2016-01-19 마인 푸드 프로세싱 테크노로지 비. 브이. 도살된 가금류에서 작업을 실행하기 위한 장치
KR101708614B1 (ko) 2014-07-09 2017-02-21 마인 푸드 프로세싱 테크노로지 비. 브이. 도살된 가금류의 내부 목 피부에 적용된 세정 작업을 실행하기 위한 장치
KR101723392B1 (ko) 2014-07-09 2017-04-05 마인 푸드 프로세싱 테크노로지 비. 브이. 도살된 가금류에서 작업을 실행하기 위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9451A (ko) 2009-1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18054B2 (en) System, machine and method for reducing size or volume of objects
KR101019083B1 (ko) 육류 슬라이서
CN109197187B (zh) 一种高效秸秆粉碎机
CN108557503B (zh) 翻转式料盒自动卸料设备及其卸料方法
KR20010003156A (ko) 적재부 상, 하 연동형 식품슬라이서
CN206254553U (zh) 一种新型纸箱切割装置
KR102107467B1 (ko) 냉장 냉동 겸용 육류 커팅 보드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 냉동 겸용 육류 슬라이스 절단기
KR20070077054A (ko) 식육 슬라이서
CN119100053A (zh) 一种智能物流运输装置及其方法
KR100648911B1 (ko) 자동 육절기.
CN109955298A (zh) 一种用于瓦楞纸生产线的新型切割装置
CN115818326B (zh) 一种用于包装印刷的模切机的下料机构
CN115848683B (zh) 一种自动化粉末真空包装机
CN217674955U (zh) 一种节能型物料输送设备
JP2017105480A (ja) ダンボール箱の解体装置及び解体方法
CN209986993U (zh) 一种橡胶制品用剪切装置
CN207982420U (zh) 一种剪板机的防磨结构
CN222240573U (zh) 一种食用菌加工用破碎装置
CN219005410U (zh) 一种切割机床的进料装置
CN215047203U (zh) 瓦楞纸板运输装置
CN219215714U (zh) 一种包装袋割袋装置
CN219766905U (zh) 一种适用范围广的圆盘刀
CN214265827U (zh) 一种纸板印刷用防偏移校正机构
CN214191793U (zh) 一种方便面盒用高效生产线
CN219926211U (zh) 一种腊肠切割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8051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007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1012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1022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1022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0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22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3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22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5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225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9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122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3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103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0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210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223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307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104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