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018808B1 - 카메라모듈 - Google Patents

카메라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18808B1
KR101018808B1 KR1020090072469A KR20090072469A KR101018808B1 KR 101018808 B1 KR101018808 B1 KR 101018808B1 KR 1020090072469 A KR1020090072469 A KR 1020090072469A KR 20090072469 A KR20090072469 A KR 20090072469A KR 101018808 B1 KR101018808 B1 KR 1010188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barrel
camera module
housing
support
hollow port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724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14881A (ko
Inventor
김덕훈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724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18808B1/ko
Publication of KR201100148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48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88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8808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7Mechanical or electrical details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1Housing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4Mounting of pick-up tubes, electronic image sensors, deviation or focusing co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5Optical part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image sensors; Mounting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Lens Barrels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카메라모듈이 개시된다. 이미지센서, 내부에 이미지센서가 배치되는 중공부 및 중공부의 내부에 광축방향으로 경사진 지지부가 형성된 하우징, 렌즈를 지지하고 있으며 지지부에 지지된 슬라이딩부가 형성된 렌즈배럴을 포함하는 카메라모듈은, 카메라모듈의 제조 시에 초점맞춤 작업을 용이하게 한다.
카메라, 초점, 하우징, 렌즈배럴

Description

카메라모듈{Camera module}
본 발명은 카메라모듈에 관한 것이다.
휴대폰, PDA, 휴대용 PC 등과 같은 휴대 통신단말기는 최근 문자 또는 음성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뿐만 아니라 사진촬영과 화상 데이터 전송까지 수행하는 것이 일반화되어 가고 있다. 이러한 추세에 부응하여, 사진을 촬영하고 화상 데이터 전송, 화상 채팅을 할 수 있기 위해서 최근에 휴대 통신단말기에 카메라모듈이 기본적으로 설치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휴대폰과 같은 소형기기에 장착되는 소형 카메라모듈은 렌즈와 이미지센서 사이의 초점이 고정된 구조이다. 따라서, 소형 카메라모듈의 제조 시에는 최적의 초점을 맞추어 렌즈배럴을 하우징에 결합하는 작업이 중요하다.
이를 위해, 종래에는 렌즈배럴과 하우징을 나사체결방식으로 초점을 맞추어 결합하였다.
그런데, 나사체결방식은 나사부의 이물질 발생으로 인한 체결불량이 자주 발 생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렌즈배럴과 하우징의 결합 시에 나사결합에 필요한 토크를 관리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다.
또한, 나사결합된 카메라모듈에서 정확한 광축이 형성되기 위해서는 정밀한 나사형상이 요구되므로, 렌즈배럴과 하우징의 제조에 정밀한 금형이 필요로 하는 어려움이 있다. 그리고, 나사 불량에 의한 초점불량이 발생으로 카메라모듈 불량이 자주 발생하는 문제도 있다.
본 발명은 제조 시에 초점맞춤 작업을 용이하게 하는 카메라모듈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초점의 불일치로 인한 불량을 최소화하는 카메라모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이미지센서, 내부에 상기 이미지센서가 배치되는 중공부 및 상기 중공부의 내부에 광축방향으로 경사진 지지부가 형성된 하우징, 렌즈를 지지하고 있으며, 상기 지지부에 지지된 슬라이딩부가 형성된 렌즈배럴을 포함하는 카메라모듈이 제공된다.
상기 지지부는, 상기 중공부의 내벽을 따라 나선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중공부에 삽입된 상기 렌즈배럴의 단부는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슬라이딩부는, 상기 렌즈배럴의 회전 시에 상기 나선형의 지지부를 따라 슬라이딩되어 광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딩부는, 상기 지지부에 면접되어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상기 지지부에 상응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은, 복수의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중공부의 내벽을 따라 상기 복수의 지지부가 연속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은, 인접하는 지지부를 연결하는 단차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렌즈배럴은, 상기 하우징에 상기 렌즈배럴을 고정시키는 결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합부는, 상기 중공부의 내벽을 가압하는 가압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합부는, 상기 중공부의 내벽을 가압하도록, 상기 렌즈배럴의 외주면에 형성된 언더컷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렌즈배럴과 상기 하우징을 결합시키는 결합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렌즈배럴과 상기 하우징 상이에 개재되는 접착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카메라모듈의 제조 시에 초점맞춤 작업이 용이해 질 수 있다.
또한, 초점맞춤에 필요한 카메라모듈의 구조가 단순화되어, 초점불량으로 인한 카메라모듈의 불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모듈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모듈의 하우징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모듈의 렌즈배럴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모듈은, 이미지센서(2), 하우징(10) 및 렌즈배럴(20)을 포함한다.
이미지센서(2)는 렌즈배럴(20)의 렌즈(3)를 통해 입사된 빛이 결상되는 촬상소자로서, 빛의 이동경로인 광축(5) 상에 배치된다. 여기서, 렌즈(3)를 통하여 입사된 빛 이외의 다른 빛은 이미지센서(2)에 유입되지 않도록, 이미지센서(2)는 후술하는 하우징(10)에 둘러 쌓인다.
본 실시예에는 기판(1)에 실장된 이미지센서(2)가 하우징(10)의 중공부(12) 내부에 배치된다. 그러나, 이미지센서(2)의 배치구조가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하우징(10)에 직접 장착되거나 기판(1)의 관통홀 뒤에 배치되는 등과 같이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하우징(10)은 카메라모듈의 부품이 장착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부분으로, 하우징(10)에는 후술하는 렌즈배럴(20)이 장착될 수 있도록 중공부(12)가 형성되어 있다. 특히, 본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10)의 중공부(12) 내부에는 렌즈배럴(20)의 높낮이를 조절하여 지지할 수 있는 경사진 지지부(14)가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중공부(12) 내부에 배치된 하우징(10)의 지지부(14)는 광축(5)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다. 즉, 지지부(14)는 이미지센서(2) 측으로부터 렌즈(3) 측으로 상향경사진 경사면을 가지고 있다. 이에 따라, 경사진 지지부(14)에 지지되는 렌즈배럴(20)과 이미지센서(2)의 거리가 조절될 수 있다.
렌즈배럴(20)은 렌즈(3)가 소정의 위치에 배치되도록 렌즈(3)를 지지하는 부분으로, 렌즈(3)와 이미지센서(2)의 거리가 렌즈(3)의 초점거리와 일치되도록 하우징(10)에 결합된다. 특히, 본 실시예의 렌즈배럴(20)은, 하우징(10)의 경사진 지지부(14)에 지지되므로 이미지센서(2)로부터의 높이가 조절되어 지지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렌즈배럴(20)에는 하우징(10)의 경사진 지지부(14)에 의해 지지된 슬라이딩부(22)가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렌즈배럴(20)의 슬라이딩부(22)는 경사진 지지부(14)의 경사면을 따라 슬라이딩되면서, 이미지센서(2)에 대한 렌즈배럴(20)의 거리가 조절될 수 있다. 즉, 렌즈배럴(20)의 렌즈(3)와 이미지센서(2) 간의 거리조절이 가능하여 초점맞춤이 가능해 진다.
여기서,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하우징(10)의 지지부(14)는 중공부(12)의 내벽을 따라 나선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렌즈배럴(20)의 슬라이딩부(22)를 지지부(14)에 연속적으로 슬라이딩시켜서, 초점맞춤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특히, 렌즈배럴(20)의 단부가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원통형 단부의 외주에 슬라이딩부(22)를 형성됨으로써, 렌즈배럴(20)의 회전 시에 슬라이딩부(22)가 나선형의 지지부(14)를 따라 연속적으로 슬라이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렌즈배럴(20)의 회전에 따라 렌즈배럴(20)이 광축(5)방향으로 이동하게 되어 초점맞춤이 더욱 용이해 진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렌즈배럴(20)이 하우징(10)에 용이하게 슬라이딩되면서도 안전하게 지지되도록, 슬라이딩부(22)는 지지부(14)에 상응하여 형성된다. 이에 따라,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지지부(14)에 상응하여 형성된 슬라이딩부(22)는, 지지부(14)에 매끄럽게 슬라이딩되면서도 지지부(14)에 면접되어 안정적으로 지지된다.
또한, 하우징(10)에는 복수의 지지부(14)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각 지지부(14) 별로 초점맞춤이 가능하므로, 하나의 카메라 모듈에서도 여러 지점에서 초점을 맞출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복수의 지지부(14) 중에서 어느 하나의 지지 부(14)에서만 초점이 일치하여도, 정상제품으로 사용이 가능하므로 불량을 최소화할 수 있다.
특히, 복수의 지지부(14)가 중공부(12)의 내벽을 따라 연속적으로 배치됨으로써, 초점맞춤 작업이 더욱 용이해질 수 있다. 즉, 슬라이딩부(22)가 복수의 지지부(14)에 차례로 슬라이딩되면서 각 지지부(14)에서 최적의 초점을 찾는 작업이 연속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여기서, 인접된 지지부(14)를 연결하기 위하여 단차부(15)가 추가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인접된 지지부(14)에서 넘어온 슬라이딩부(22)가 새로운 지지부(14)에서도 연속적으로 슬라이딩될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지지부(14)에 대한 초점맞춤 작업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렌즈배럴(20)에는 초점맞춤 작업 후에서 렌즈배럴(20)의 위치가 바로 고정될 수 있도록, 렌즈배럴(20)에는 하우징(10)에 렌즈배럴(20)을 고정시키는 결합부(24)가 추가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초점맞춤 작업에서 초점이 일치되는 자리에 렌즈배럴(20)이 위치되면, 렌즈배럴(20)의 슬라이딩 작업을 멈추고 하우징(10)에 대한 렌즈배럴(20)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중공부(12)의 내벽을 가압하는 가압돌기가 렌즈배럴(20)에 형성된다. 이에 따라, 가압돌기에 의해 렌즈배럴(20)은 하우징(10)에 억지끼움으로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중공부(12)의 내벽을 가압하도록, 렌즈배럴(20)의 외주면에 언더컷을 형성함으로써, 렌즈배럴(20)을 하우징(10)에 억지끼움으로 결합시키는 결합부(24)를 형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렌즈배럴(20)과 하우징(10)을 결합시키는 결합부재를 추가하여 하우징(10)에 대한 렌즈배럴(20)의 위치를 고정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렌즈배럴(20)과 하우징(10) 사이에 접착제를 개재하고, 초점맞춤 작업 후에 접착제를 경화하여 렌즈배럴(20)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실시예 외의 많은 실시예들이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 내에 존재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모듈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모듈의 하우징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모듈의 렌즈배럴을 나타낸 사시도.
도 4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모듈의 초점맞춤을 나타낸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기판 2: 이미지센서
3: 렌즈 5: 광축
10: 하우징 12: 중공부
14: 지지부 15: 단차부
20: 렌즈배럴 22: 슬라이딩부
24: 결합부

Claims (12)

  1. 이미지센서;
    내부에 상기 이미지센서가 배치되는 중공부 및 상기 중공부의 내부에 광축방향으로 경사진 지지부가 형성된 하우징; 및
    렌즈를 지지하고 있으며, 상기 지지부에 지지된 슬라이딩부가 형성된 렌즈배럴을 포함하고,
    상기 렌즈배럴은, 상기 중공부의 내벽을 가압하는 가압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중공부의 내벽을 따라 나선형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모듈.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부에 삽입된 상기 렌즈배럴의 단부는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슬라이딩부는, 상기 렌즈배럴의 회전 시에 상기 나선형의 지지부를 따라 슬라이딩되어 광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모듈.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부는,
    상기 지지부에 면접되어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상기 지지부에 상응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모듈.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복수의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모듈.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부의 내벽을 따라 상기 복수의 지지부가 연속적으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모듈.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인접하는 지지부를 연결하는 단차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모듈.
  8. 삭제
  9. 삭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배럴의 외주면에는,
    상기 중공부의 내벽을 가압하는 언더컷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11.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배럴과 상기 하우징을 결합시키는 결합부재를 더 포함하는 카메라모듈.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렌즈배럴과 상기 하우징 사이에 개재되는 접착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모듈.
KR1020090072469A 2009-08-06 2009-08-06 카메라모듈 Expired - Fee Related KR1010188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2469A KR101018808B1 (ko) 2009-08-06 2009-08-06 카메라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2469A KR101018808B1 (ko) 2009-08-06 2009-08-06 카메라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4881A KR20110014881A (ko) 2011-02-14
KR101018808B1 true KR101018808B1 (ko) 2011-03-03

Family

ID=437738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2469A Expired - Fee Related KR101018808B1 (ko) 2009-08-06 2009-08-06 카메라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1880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77312A (ko) 2012-12-14 2014-06-24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5833B1 (ko) * 2015-08-05 2017-01-24 주식회사 앤비젼 이미지센서 정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7855B1 (ko) * 2000-07-17 2004-07-02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광학 렌즈의 초점 위치 조정 기구를 갖는 광학 렌즈 유닛
KR20070039680A (ko) * 2005-10-10 2007-04-13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의 치합 구조
KR20070094080A (ko) * 2006-03-16 2007-09-20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7855B1 (ko) * 2000-07-17 2004-07-02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광학 렌즈의 초점 위치 조정 기구를 갖는 광학 렌즈 유닛
KR20070039680A (ko) * 2005-10-10 2007-04-13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의 치합 구조
KR20070094080A (ko) * 2006-03-16 2007-09-20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77312A (ko) 2012-12-14 2014-06-24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4881A (ko) 2011-0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09322B2 (en) Imaging apparatus
CN100592126C (zh) 镜头模组及相机模组
US7929231B2 (en) Lens module and camera module having same
US11604325B2 (en) Imaging lens module with plastic barrel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same module
US9817205B2 (en) Lens module
US7679670B2 (en) Digital camera module with manual focusing function
US20080151098A1 (en) Camera module
US20170139174A1 (en) Lens Module
US20090322931A1 (en) Digital camera module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20170139173A1 (en) Lens Module
JP2007178541A (ja) 撮像レンズ構成体、光学モジュール及び携帯端末、並びにこれらの組込み、製造方法
KR101018808B1 (ko) 카메라모듈
KR20130076287A (ko) 카메라 모듈
US7746582B2 (en) Lens module
US9329394B2 (en) Lens module and assembling method thereof
US20050018068A1 (en) Digital camera assembly with spacer
JP5193741B2 (ja) 撮像レンズユニット
US8792043B2 (en) Focus-fixed camera module
KR101061249B1 (ko) 카메라 모듈
KR101298454B1 (ko) 카메라 모듈
JP2010134286A (ja) 組合せレンズ、撮像装置および電子機器
TWI453494B (zh) 鏡頭模組及包括該鏡頭模組之相機模組
KR20140084973A (ko) 차량용 카메라 모듈
US20170299946A1 (en) Lens module and assembling method thereof
KR102149378B1 (ko) 카메라 모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080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011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10222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1022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1022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4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122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2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20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1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11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2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102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2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102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3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103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102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112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