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017495B1 - 전자파 환경 평가용 플랫 타입 핸드팬텀 - Google Patents

전자파 환경 평가용 플랫 타입 핸드팬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17495B1
KR101017495B1 KR1020080124673A KR20080124673A KR101017495B1 KR 101017495 B1 KR101017495 B1 KR 101017495B1 KR 1020080124673 A KR1020080124673 A KR 1020080124673A KR 20080124673 A KR20080124673 A KR 20080124673A KR 101017495 B1 KR101017495 B1 KR 1010174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dielectric fluid
dielectric
human body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246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66041A (ko
Inventor
김승규
조성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0801246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17495B1/ko
Publication of KR201000660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660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74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7495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or indicating electric quantities not covered by groups G01R19/00 - G01R27/00
    • G01R29/08Measuring electromagnetic field characteristics
    • G01R29/0807Measuring electromagnetic field characteristics characterised by the application
    • G01R29/0814Field measurements related to measuring influence on or from apparatus, components or humans, e.g. in ESD, EMI, EMC, EMP testing, measuring radiation leakage; detecting presence of micro- or radiowave emitters; dosimetry; testing shielding; measurements related to lightn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or indicating electric quantities not covered by groups G01R19/00 - G01R27/00
    • G01R29/08Measuring electromagnetic field characteristics
    • G01R29/0807Measuring electromagnetic field characteristics characterised by the application
    • G01R29/0814Field measurements related to measuring influence on or from apparatus, components or humans, e.g. in ESD, EMI, EMC, EMP testing, measuring radiation leakage; detecting presence of micro- or radiowave emitters; dosimetry; testing shielding; measurements related to lightning
    • G01R29/0835Testing shielding, e.g. for efficienc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or indicating electric quantities not covered by groups G01R19/00 - G01R27/00
    • G01R29/08Measuring electromagnetic field characteristics
    • G01R29/0864Measuring electromagnetic field characteristic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or functional features
    • G01R29/0871Complete apparatus or systems; circuits, e.g. receivers or amplifi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체의 손바닥 부분에 대응하고, 이동통신단말기의 전면 혹은 배면과 대향하도록 배치되며, 내부에 유전액이 주입되는 제1 유전액통; 인체의 엄지손가락 부분에 대응하고,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한쪽 측면과 대향하도록 배치되며, 내부에 유전액이 주입되는 제2 유전액통; 및 인체에 있어 상기 엄지손가락을 제외한 나머지 손가락 부분에 대응하고,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반대쪽 측면과 대향하도록 배치되며, 내부에 유전액이 주입되는 제3 유전액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 타입 핸드팬텀을 개시한다.
핸드팬텀, TRP, TIS, 유전액, 절단율, 산점도 행렬, 상관계수

Description

전자파 환경 평가용 플랫 타입 핸드팬텀{FLAT TYPE HAND PHANTOM FOR ESTIMATING OVER THE AIR PERFORMANCE}
본 발명은 전자파 환경 평가를 위한 핸드팬텀(Hand Phantom)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이동통신단말기의 거치가 용이하고 간소화된 구조를 가진 플랫 타입 핸드팬텀에 관한 것이다.
휴대전화 등 이동통신단말기의 사용이 보편화되면서 전자파 환경이 인체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으며, 이와 더불어 인체에 대한 전자파 흡수율 기준을 만족하면서 양질의 통신품질을 제공하기 위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이동통신단말기의 전자파 환경 평가를 위해서는 인체에 대한 전자파의 비흡수율(SAR:Specific Absorption Rate)을 측정하는 것이 중요하며, 이를 위하여 다양한 유전체 물질로 인체와 유사한 팬텀 모델을 만들어 생체조직의 전자파 분포나 전기적 특성을 추정하는 방법이 개발되고 있다. 팬텀과 관련된 특허기술로는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490246호, 특허등록 제332869호, 특허공개 제2000-15490호, 특허공개 제2006-23422호 등을 들 수 있다.
특허등록 제4490246호는 경화속도가 매우 느린 에폭시 경화시스템으로 이루어진 유기바인더와, 메틸 에틸 케톤(MEK), 톨루엔 및 아세트산 에틸 혼합액으로 이루어진 유기용매와, 스테아린산과 소포제로 이루어진 내부 이형제 등을 포함하는 구성을 통해 보이드(Void)나 크랙, 에어갭(Air Gap) 등의 발생을 방지하는 전자파 비흡수율 측정 시스템용 팬텀을 개시하고 있다.
특허등록 제332869호는 인체 두부에 기준 라인, 포지셔닝 그리드, 거치부 등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이동통신단말기 안테나의 방사패턴 측정용 인체두부 팬텀을 개시하고 있다. 이 특허문헌에는 방사패턴 측정용 혼 안테나의 수직위치와 동일선상에 이동통신단말기의 안테나를 정렬시킴으로써 실제 사용환경과 동일한 환경에서 이동통신단말기 안테나의 방사패턴을 측정할 수 있는 것으로 기재되어 있다.
특허공개 제2000-15490호는 형상기억 고분자를 기저재료로 하여 유전체 재료 및 도전체 재료가 혼합된 인체팬텀 쉘을 개시하고 있다. 이 특허문헌에는 액체나 준액체 형태의 인체 팬텀이 갖는 문제점인 팬텀 표면에 대한 비흡수율 측정 곤란성 문제와 일정시간 경과후의 재현성 문제를 극복하고, 고체 형태의 팬텀이 갖는 에어 갭 문제를 극복할 수 있는 것으로 기재되어 있다.
특허공개 제2006-23422호는 무선 단말기나 두상 팬텀을 정확한 위치에 고정하도록 로테이트 플레이트, 플레이트 모터, 커넥팅 로드, 베이스 플레이트, 가이드 롤러, 메인 링, 서브 링, 서브 로드, 서프트 플레이트, 링 롤러 샤프트, 메인 링 롤러, 서브 링 롤러, 롤러 모터 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단말기 안 테나 테스트용 고정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이 특허문헌에는 베이스 플레이트, 메인 링 및 서브 링이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므로 이들의 회전방향과 정도를 조합하여 무선 단말기나 두상 팬텀의 측정 위치를 조정할 수 있는 것으로 기재되어 있다.
한편, 인체의 손(Hand) 부분에 대한 호 절단율(이하, '절단율'이라 함) 특성 등을 평가하기 위해 널리 사용되는 핸드팬텀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을 그대로 모방한 형태로 제공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핸드팬텀(10)과 이동통신단말기(1) 간에 일정 갭(Gap)을 유지하기 위해 핸드팬텀(10)의 손바닥 부분에는 갭 수단(11)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핸드팬텀은 인체조직과 유사한 유전율과 도전율 특성을 만족하는 재료에 의해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인체와 유사한 유전율과 도전율 특성을 만족하지 않는 경우에도 상대적인 변화는 측정해 낼 수 있다.
그런데, 종래의 핸드팬텀은 인체의 손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상으로 성형됨으로 인해 가격이 고가인 단점이 있으며, 손 형태에 걸맞게 불규칙적인 형상을 갖는 관계로 이동통신단말기의 거치가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없고, 이로 인해 OTAP(Over The Air Performance, CTIA TEST PLAN)인 TRP(Total Radiated Power)나 TIS(Total Isotropic Sensitivity) 측정작업을 실시함에 있어 재현성과 반복성이 좋지 않은 취약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인체의 손 형태에 있어 전자파 흡수 특성에 주요한 영향을 미치는 부분에 대한 모델링을 통해 단순화된 구조로 제작될 수 있는 플랫 타입 핸드팬텀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이동통신단말기의 사용 시 파지에 관여하는 손의 주요 세 부위가 모델화된 구조를 갖는 플랫 타입 핸드팬텀을 개시한다.
즉,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랫 타입 핸드팬텀은, 이동통신단말기의 전면 혹은 배면과 대향하도록 배치되며, 내부에 유전액이 주입되는 제1 유전액통; 인체의 엄지손가락 부분에 대응하고,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한쪽 측면과 대향하도록 배치되며, 내부에 유전액이 주입되는 제2 유전액통; 및 인체에 있어 상기 엄지손가락을 제외한 나머지 손가락 부분에 대응하고,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반대쪽 측면과 대향하도록 배치되며, 내부에 유전액이 주입되는 제3 유전액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 유전액통, 제2 유전액통 및 제3 유전액통은 사각관 형태를 가지며, 상기 제2 유전액통과 제3 유전액통은 상기 제1 유전액통의 한쪽 플랫면 상에서 상호 이격되게 나란히 배치될 수 있다.
플랫 타입 핸드팬텀에는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저면을 지지하도록 배치된 베이스 블록;이 더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인체의 손바닥 부분에 대응하고, 이동통신단말기의 전면 혹은 배면과 대향하도록 배치되는 제1면과, 인체의 엄지손가락 부분에 대응하고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한쪽 측면과 대향하도록 배치되는 제2면과, 인체에 있어 상기 엄지손가락을 제외한 나머지 손가락 부분에 대응하고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반대쪽 측면과 대향하도록 배치되는 제3면을 포함하는 유전체 테이핑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 타입 핸드팬텀이 제공된다.
상기 유전체 테이핑부와 이동통신단말기 사이에는 갭(Gap)을 유지하도록 스페이서(Spacer)가 개재될 수 있다.
다른 구성으로서, 상기 유전체 테이핑부는 이동통신단말기의 거치 시 상기 유전체 테이핑부와 이동통신단말기 사이에 에어갭(Air Gap)을 유지하는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핸드팬텀은 유전액통이나 유전체 테이핑에 의해 플랫면을 갖는 형태로 손의 형상이 단순화되므로 저가로 제작될 수 있으며, 이동통신단말기를 안정적으로 거치할 수 있고 TRP/TIS 측정의 재현성과 반복성이 좋은 이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핸드팬텀의 사용 시 저렴한 비용으로 이동통신단말기에 대한 안테나 방사패턴이나 전자파 흡수율 측정을 실시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 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랫 타입 핸드팬텀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동통신단말기(1)의 사용 시 파지에 관여하는 손의 주요 부위는 크게 손바닥, 엄지손가락 및 상기 엄지손가락을 제외한 나머지 손가락들로 구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플랫 타입 핸드팬텀은 이동통신단말기(1)의 파지 시 관여하는 상기 세 부위가 모델화된 구조를 갖는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랫 타입 핸드팬텀은 제1 유전액통(100), 제2 유전액통(101) 및 제3 유전액통(102)이 조합되어 전체적으로 실질적인 손의 형상을 이루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플랫 타입 핸드팬텀은 인체의 손바닥에 대응하는 부분인 제1 유전액통(100)과, 인체의 엄지손가락에 대응하는 부분인 제2 유전액통(101)과, 상기 엄지손가락을 제외한 나머지 손가락들에 대응하는 부분인 제3 유전액통(102)을 포함한다. 플랫 타입 핸드팬텀은 제1 유전액통(100), 제2 유전액통(101) 및 제3 유전액통(102)이 각각 실질적인 사각통 형태를 갖도록 구성됨으로서 조립성이 좋으 며 전체적으로 구조가 단순화될 수 있다.
이동통신단말기(1)의 거치 시 제1 유전액통(100)의 한 쪽 플랫면(Flat surface)은 이동통신단말기(1)의 배면과 대향하게 된다. 비록 도면에는 미도시되었으나, 상기 제1 유전액통(100)의 한 쪽 플랫면(Flat surface)은 이동통신단말기(1)의 전면과 대향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동통신단말기(1)와 제1 유전액통(100) 사이에는, 이동통신단말기(1) 사용 시 플랫 타입 핸드팬텀과 절단율 간의 상관계수(Correlation Coefficient)를 높이도록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갭(G)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 갭(G)은 5mm~1㎝의 범위 내로 설계된다.
제2 유전액통(101)은 그 한쪽 측면이 이동통신단말기(1)의 한쪽 측면을 지지하도록 대향 배치되고, 제3 유전액통(102)은 그 한쪽 측면이 이동통신단말기(1)의 반대쪽 측면을 지지하도록 대향 배치된다.
제2 유전액통(101)과 제3 유전액통(102)은 상호 이격되게 나란히 배치되고, 각각의 배면이 제1 유전액통(100)의 플랫면 상에 놓이도록 설치된다.
플랫 타입 핸드팬텀과 절단율 간의 상관계수를 더욱 높이기 위해서는 제2 유전액통(101)과 제3 유전액통(102) 사이에 이동통신단말기(1)의 저면을 지지하는 베이스 블록(103)을 추가로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유전액통(100), 제2 유전액통(101) 및 제3 유전액통(102)에 주입되는 유전액은 유전율이 20~40, 전도율이 0.09S/m 이하인 물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러한 예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상기 수치조건의 적용 시 TRP(Total Radiated Power)나 TIS(Total Isotropic Sensitivity) 측정을 통해 이동통신단말기(1)의 파워나 감도 특성 검출이 용이하며, 인체의 손에 대한 전자파 비흡수율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유사한 흡수 특성을 얻을 수 있다.
도 4에는 절단율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공되는 플랫 타입 핸드팬텀(LL0811)과, 본 발명의 비교예에 따라 제공되는 실리콘이 부착된 실제 손 형상의 핸드팬텀(Sil1,KSil,LG_Sil1)에 대한 산점도(Scatter plot) 행렬이 도시되어 있다. 도 4를 참조하여 상관 분석을 실시해 보면, 절단율과 플랫 타입 핸드팬텀(LL0811) 간의 상관계수는 거의 0.8에 이르는 수준으로 나타나며, 이러한 결과는 상관계수가 0.8 정도인 핸드팬텀(Sil1)과 비교할 때 핸드팬텀의 성능에 손색이 없음을 알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이동통신단말기(1)의 파지 시 관여하는 손의 주요 부위가 제1 유전액통(100), 제2 유전액통(101) 및 제3 유전액통(102)의 세 부분에 의해 단순화된 플랫 타입 핸드팬텀을 제공한다. 플랫 타입 핸드팬텀은 무반사실 내에 설치가 되며, 각각의 유전액통에 유전액이 주입된 후 제1 유전액통(100), 제2 유전액통(101) 및 제3 유전액통(102)에 의해 둘러싸이도록 이동통신단말기(1)가 안정적으로 거치될 수 있다. 플랫 타입 핸드팬텀에 이동통신단말기(1)를 거치한 후에는 예컨대, TRP/TIS 측정과 같은 테스트를 실시하여 전자파의 파워나 감도 특성을 얻을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플랫 타입 핸드팬텀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5의 평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플랫 타입 핸드팬텀은 측정 대상이 되는 이동통신단말기(1)의 배면과 대향하는 제1면(201a)과, 이동통신단말기(1)의 한쪽 측면과 대향하는 제2면(201b)과, 이동통신단말기(1)의 반대쪽 측면과 대향하는 제3면(201c)을 포함하는 유전체 테이핑부(201)를 구비한다. 비록 도면에는 미도시되었으나, 유전체 테이핑부(201)의 제1면(201a)은 이동통신단말기(1)의 전면과 대향하는 것도 가능하다.
전술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본 실시예에 따른 플랫 타입 핸드팬텀은 이동통신단말기(1)의 파지 시 관여하는 주요 부위인 손바닥, 엄지손가락 및 상기 엄지손가락을 제외한 나머지 손가락들이 모델화된 구조를 갖는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플랫 타입 핸드팬텀은 이동통신단말기(1)의 좌,우 측면과 배면을 둘러싸는 유전체 테이핑부(201)에 의해 전체적으로 실질적인 손의 형상을 이루게 된다.
유전체 테이핑부(201)에 있어서 제1면(201a)은 인체의 손바닥 부분에 대응하며, 제2면(201b)은 인체의 엄지손가락 부분에 대응하고, 제3면(201c)은 엄지손가락을 제외한 나머지 손가락 부분에 대응한다. 플랫 타입 핸드팬텀과 절단율 간의 상관계수를 더욱 높이기 위해 유전체 테이핑부(201)의 제2면(201b)과 제3면(201c) 사이에는 이동통신단말기(1)의 저면에 대향하는 면을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전체 테이핑부(201)는 유전체 물질로 이루어진 테이프에 의해 형성된다. 유전체 테이핑부(201)는 바람직하게 유전율이 20~40이고, 전도율이 0.09S/m 이하인 물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러한 예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상기와 같은 수치조건의 적용 시 TRP나 TIS 측정을 통해 이동통신단말기(1)의 파워나 감도 특성 검출이 용이하며, 인체의 손에 대한 전자파 비흡수율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유사한 흡수 특성을 얻을 수 있다.
유전체 테이핑부(201)의 제1면(201a)과 이동통신단말기(1)의 배면 사이에는 이동통신단말기(1)와 유전체 테이핑부(201) 사이를 이격시켜 갭(G)을 유지하기 위한 스페이서(Spacer)(200)가 개재된다. 이 경우 유전체 테이핑부(201)의 제1면(201a)은 스페이서(200)의 배면에 부착되는 구조를 갖게 된다.
스페이서(200)는 스티로폼이나, 나무, PC(Polycarbonate) 등에 의해 플레이트(Plate) 형태로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거치되는 이동통신단말기(1)의 배면에 밀착되게 스페이서(200)가 배치되는 경우 스페이서(200)의 두께만큼 이동통신단말기(1)의 배면과 유전체 테이핑부(201)의 제1면(201a) 간에 갭(G)이 형성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페이서(200)는 그 하단이 꺾인 구조를 갖도록 제공될 수 있다. 이 경우 꺾인 부분 위에 이동통신단말기(1)를 올려 놓음으로써 보다 안정적인 거치가 가능하다.
유전체 테이핑부(201)의 내, 외부면이나 스페이서(200)에는 이동통신단말기(1)의 거치 시 정렬 위치를 안내하기 위한 눈금 표시부(202)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전체 테이핑부(201)의 제2면(201b) 및 제3면(201c)과 이동통신단말기(1)의 양측면 사이는 에어갭(Air Gap)(GA)이 형성된다. 비록 도면에는 미도시되었으나, 유 전체 테이핑부(201)의 제2면(201b) 및 제3면(201c)과 이동통신단말기(1) 사이에는 플레이트(Plate)나 충진재에 의해 스페이서 구조가 개재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랫 타입 핸드팬텀은 유전체 테이핑부(201)의 제1면(201a), 제2면(201b) 및 제3면(201c)과 이동통신단말기(1) 사이에 에어갭(Air Gap)(GA)을 형성한 구조로 제공될 수도 있다.
유전체 테이핑부(201)와 이동통신단말기(1) 사이에 에어갭(GA)을 형성하는 경우 유전체 테이핑부(201)는 형상 유지가 가능하도록 적절한 굽힘강도를 갖는 소재에 의해 제조되거나, 소정의 보강 플레이트 혹은 지지 구조물에 부착된 구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이동통신단말기(1)와 유전체 테이핑부(201) 사이에 갭(G)을 형성하게 되면 플랫 타입 핸드팬텀과 절단율 간의 상관계수를 높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 스페이서(200)의 두께는 5mm~1㎝의 범위 내로 설계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이동통신단말기(1)의 파지 시 관여하는 손의 주요 부위가 유전체 테이핑부(201)에 의해 단순화된 플랫 타입 핸드팬텀을 제공한다. 플랫 타입 핸드팬텀은 무반사실 내에 설치가 되며, 이동통신단말기(1)의 양측면과 배면(혹은 전면)을 둘러싸도록 유전체 테이프에 의해 테이핑됨으로써 이동통신단말기(1)를 안정적으로 거치할 수 있다. 플랫 타입 핸드팬텀에 이동통신단말기(1)를 거치한 후에는 예컨대, TRP/TIS 측정과 같은 테스트를 실시하여 전자파의 파워나 감도 특성을 얻을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상술한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핸드팬텀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랫 타입 핸드팬텀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와 비교예에 따른 핸드팬텀과 절단율의 산점도 행렬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플랫 타입 핸드팬텀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5에서 스페이서의 변형예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8은 도 6의 변형예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참조 부호에 대한 설명>
1: 이동통신단말기 100: 제1 유전액통
101: 제2 유전액통 102: 제3 유전액통
103: 베이스 블록 200: 스페이서
201: 유전체 테이핑부

Claims (6)

  1. 이동통신단말기가 거치되는 핸드팬텀에 있어서,
    인체의 손바닥 부분에 대응하고, 이동통신단말기의 전면 혹은 배면과 대향하도록 배치되며, 내부에 유전액이 주입되는 제1 유전액통;
    인체의 엄지손가락 부분에 대응하고,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한쪽 측면과 대향하도록 배치되며, 내부에 유전액이 주입되는 제2 유전액통; 및
    인체에 있어 상기 엄지손가락을 제외한 나머지 손가락 부분에 대응하고,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반대쪽 측면과 대향하도록 배치되며, 내부에 유전액이 주입되는 제3 유전액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 타입 핸드팬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전액통, 제2 유전액통 및 제3 유전액통은 사각통 형태를 가지며,
    상기 제2 유전액통과 제3 유전액통이 상기 제1 유전액통의 한쪽 플랫면 상에서 상호 이격되게 나란히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 타입 핸드팬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저면을 지지하도록 배치된 베이스 블록;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 타입 핸드팬텀.
  4. 이동통신단말기가 거치되는 핸드팬텀에 있어서,
    인체의 손바닥 부분에 대응하고, 이동통신단말기의 전면 혹은 배면과 대향하도록 배치되는 제1면과, 인체의 엄지손가락 부분에 대응하고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한쪽 측면과 대향하도록 배치되는 제2면과, 인체에 있어 상기 엄지손가락을 제외한 나머지 손가락 부분에 대응하고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반대쪽 측면과 대향하도록 배치되는 제3면을 포함하는 유전체 테이핑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 타입 핸드팬텀.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유전체 테이핑부와 이동통신단말기 사이에 개재되어 갭(Gap)을 유지하는 스페이서(Spacer);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 타입 핸드팬텀.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유전체 테이핑부는 이동통신단말기의 거치 시 상기 유전체 테이핑부와 이동통신단말기 사이에 에어갭(Air Gap)을 유지하는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 타입 핸드팬텀.
KR1020080124673A 2008-12-09 2008-12-09 전자파 환경 평가용 플랫 타입 핸드팬텀 Expired - Fee Related KR1010174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4673A KR101017495B1 (ko) 2008-12-09 2008-12-09 전자파 환경 평가용 플랫 타입 핸드팬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4673A KR101017495B1 (ko) 2008-12-09 2008-12-09 전자파 환경 평가용 플랫 타입 핸드팬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6041A KR20100066041A (ko) 2010-06-17
KR101017495B1 true KR101017495B1 (ko) 2011-02-25

Family

ID=423651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24673A Expired - Fee Related KR101017495B1 (ko) 2008-12-09 2008-12-09 전자파 환경 평가용 플랫 타입 핸드팬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1749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3434A (ko) * 1997-10-24 1999-05-15 정선종 전자파 환경 평가용 형상기억 인체팬텀의 제조 방법
JPH11142351A (ja) 1997-11-13 1999-05-28 Nec Corp Sar測定装置
KR100288717B1 (ko) 1998-08-29 2001-05-02 정선종 전자파환경평가용뇌,두개골및근육조직의인체팬텀및인체팬텀쉘
JP2002277497A (ja) 2001-03-15 2002-09-25 Kenwood Corp 近接電界強度測定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3434A (ko) * 1997-10-24 1999-05-15 정선종 전자파 환경 평가용 형상기억 인체팬텀의 제조 방법
JPH11142351A (ja) 1997-11-13 1999-05-28 Nec Corp Sar測定装置
KR100288717B1 (ko) 1998-08-29 2001-05-02 정선종 전자파환경평가용뇌,두개골및근육조직의인체팬텀및인체팬텀쉘
JP2002277497A (ja) 2001-03-15 2002-09-25 Kenwood Corp 近接電界強度測定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6041A (ko) 2010-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8134218A (ja) 比吸収率を測定する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Li et al. Influence of the hand on the specific absorption rate in the head
US20080261584A1 (en) Method and system for conducting specific absorption rate testing of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WO2012097573A1 (zh) 一种无线通信终端的测试装置及方法
KR101017495B1 (ko) 전자파 환경 평가용 플랫 타입 핸드팬텀
Lin Specific absorption rates (SARs) induced in head tissues by microwave radiation from cell phones
Wang et al. Review of SAR Measurement Methods in Relation to Wearable Devices.
WO2013158004A1 (en) Efficient whole-body sar estimation
JP2002526949A (ja) 比吸収率を測定するための装置
Ali et al. FDTD analysis of dipole antenna as EMI sensor
KR200451401Y1 (ko) 핸드 팬텀
Pérez et al. Validated e-field measurement setup for sar estimation in human phantom model
CN209841960U (zh) 一种手持式微波功率计
CN208606880U (zh) 一种身高体重测量设备
CN204269566U (zh) 一种便携式吸波涂层反射率自校准测试探头
KR100243702B1 (ko) 전자파 근역장 측정용 공간위치 조절장치
JP2002107396A (ja) 疑似人体とそれを用いた測定方法
Bahr et al. Comparison between numerical and experimental near‐field evaluation of a DCS1800 mobile telephone
Okano et al. A specific absorption rate measurement method using fiber optic thermal sensors
CN115102635B (zh) 一种空口测试系统及方法
CN205120026U (zh) 铁基彩屏涂层测厚仪
Manteuffel et al. Fundamental aspects for the design of low-SAR mobile phones
CN205120025U (zh) 非铁基彩屏涂层测厚仪
Douglas et al. Comprehensive validation and uncertainty evaluation of new SAR measurement technologies
GB2513091A (en) Radiation shiel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1-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3-asn-PN2301

R17-X000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1-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3-asn-PN2301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D13-X000 Search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D14-X000 Search report comple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Fee payment year number: 1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05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Fee payment year number: 4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5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Fee payment year number: 5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3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Fee payment year number: 6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3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Fee payment year number: 7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Not in force date: 20180218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PC1903 Unpaid annual fee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180218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