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17251B1 - Shoelace Fasteners - Google Patents
Shoelace Fastener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017251B1 KR101017251B1 KR1020090006927A KR20090006927A KR101017251B1 KR 101017251 B1 KR101017251 B1 KR 101017251B1 KR 1020090006927 A KR1020090006927 A KR 1020090006927A KR 20090006927 A KR20090006927 A KR 20090006927A KR 101017251 B1 KR101017251 B1 KR 10101725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hoelace
- opening
- tightening
- handle
- movable body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0000000452 restrain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10000003423 ankle Anatomy 0.000 description 8
- 210000002683 foot Anatomy 0.000 description 6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904 shorte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125000000020 sulfo group Chemical group O=S(=O)([*])O[H]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11/00—Other fastenings specially adapted for shoes
- A43C11/14—Clamp fastenings, e.g. strap fastenings; Clamp-buckle fastenings; Fastenings with toggle levers
-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1/00—Shoe lacing fastenings
-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11/00—Other fastenings specially adapted for shoes
- A43C11/20—Fastenings with tightening devices mounted on the tongue
Landscapes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발끈 조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신발끈 조임장치는 일측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 내측을 마감하는 설포가 배치된 신발몸체;와, 상기 설포에 이동가능하게 배치되는 이동체와, 상기 설포와 이동체의 사이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이동체를 개구부의 개구방향을 따라 이동시키는 레버가 형성된 조임수단; 및, 상기 신발몸체의 개구부 양측과 상기 조임수단의 이동체를 연결하는 신발끈;을 포함하며, 상기 레버의 조작에 의해 이동체가 이동하면서 상기 신발몸체의 개구부 양측을 연결하는 신발끈이 한번에 조임 또는 조임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hoelace tightening device, the shoelace tighten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with an opening on one side, the shoe body is disposed in the tongue to close the inside of the opening; And, the tongue is movable Tightening means provided with a movable body and a lever rotatably provided between the tongue and the movable body to move the movable body along the opening direction of the opening; And shoelaces for connecting the both sides of the opening of the shoe body and the moving body of the tightening means, wherein the shoelace connecting the both sides of the opening of the shoe body is moved or moved by the operation of the lever.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release.
신발, 조임, 신발끈, 레버, Shoes, fasteners, shoelaces, levers,
Description
본 발명은 신발끈 조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레버의 조작을 통해 신발끈을 한번에 조임 또는 조임해제시킬 수 있는 신발끈 조임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hoelace tightening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shoelace tightening device that can tighten or release the shoelaces at a time through the operation of the lever.
일반적인 신발의 조임구조로서는, 신발몸체의 발등부분으로부터 신발의 입구에 걸쳐 형성되는 개구부의 양측에 다수개의 구멍을 천공하고, 이 구멍에 신발끈을 교차로 통과시키면서 서로 엇갈리도록 하는 것을 반복하여 연결한 뒤, 신발 착용자의 발에 맞추어 신발끈을 적당히 당겨 조인 후 신발끈의 말단부를 매듭지어 신발을 착용하는 구조가 알려져 있다. As a general shoe tightening structure, a plurality of holes are drilled on both sides of an opening formed from the instep of the shoe body to the inlet of the shoe, and then the connections are made to cross each other while passing the shoelace through the holes. It is known to have a structure in which shoes are worn by knotting the shoelaces appropriately according to the foot of a shoe wearer and then knotting the end of the shoelace.
이러한 신발의 조임구조는 발목의 길이여부와 상관없이 발목의 길이가 짧거나 없는 운동화나 등산화, 그리고 발목의 길이가 긴 부츠나 군화 등에 이르기까지 신발끈에 의한 조임구조는 대부분의 신발에 채용되고 있다. Tightening structure by shoelace is adopted for most shoes, such as sneakers or hiking boots with short or no ankle length and boots or boots with long ankle length regardless of length of ankle. .
그런데, 이러한 조임구조는 발등부분으로부터 순서대로 조여가지만, 스노우보드용 부츠와 같이 발목 위쪽의 길이가 정강이부분에 까지 이르는 신발에 있어서는 발등으로부터 정강이부분까지 조여가는 것에 강한 힘이 필요한 뿐만 아니라, 착 용에 필요한 시간도 오려 걸리며, 정강이부분까지 신발끈을 조여가는 과정에서 발등부분이 느슨해져버리는 등의 불편함이 있었다. By the way, the tightening structure is tightened in order from the instep, but in shoes where the length of the upper ankle reaches the shin area, such as snowboard boots, not only strong force is required to tighten from the instep to the shin area, but also wear It also took time to cut off, and in the process of tightening the shoelaces to the shin area, there was an inconvenience such as loosening of the instep.
또한, 신발을 착용하고 이동하는 과정에서 매듭이 저절로 풀어지는 폐단이 발생하는 단점과, 신발을 벗거나 신을 경우 반드시 끈이 끼워진 상태에서 교차된 끈을 반복하여 동시에 당겨서 조이거나 풀어야 하는 불편함도 있었다. In addition, there are disadvantages in that the knot is unwound by itself during the process of wearing and moving the shoes, and the inconvenience of having to pull and tighten at the same time by repeatedly crossing the straps while the shoes are inserted or worn when taking off or wearing the shoes. .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한번의 조작을 통해 신발끈의 조임 또는 조임해제 작용을 수행할 수 있는 신발끈 조임장치을 제공함에 있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such a conventional problem, to provide a shoelace tightening device that can perform the tightening or de-tightening action of the shoelace through a single operation.
또한, 조임해제시 개구부의 상단으로부터 하단에 이르기까지 신발끈이 균등하게 풀어지도록 함으로써 신발을 간편하게 벗을 수 있도록 하는 신발끈 조임장치를 제공함에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hoelace tightening device that allows the shoelaces to be removed evenly from the upper end to the lower end of the opening when released.
또한, 이동체의 양측에서 신발끈을 각각 잡아당기게 되므로 우수한 조임력을 확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동체의 이동거리를 짧게 설계할 수 있는 신발끈 조임장치를 제공함에 있다.In addition, since the shoelaces are respectively pulled from both sides of the moving body to provide an excellent tightening force, as well as to provide a shoelace tightening device that can design a short moving distance of the moving body.
또한, 레버의 손잡이가 조임방향으로 회동한 상태에서 임의해제되는 것이 방지되는 신발끈 조임장치를 제공함에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hoelace tightening device which can be prevented from being released in a state where the handle of the lever is rotated in the tightening direction.
또한, 손잡이를 조임방향으로 회동하는 경우 손잡이의 길이를 연장시킨 상태에서 회동시킬 수 있으므로 지렛대 효과에 의해 작은 힘으로 레버의 손잡이를 조작할 수 있는 신발끈 조임장치를 제공함에 있다.In addition, when rotating the handle in the tightening direction can be rotated in the state extending the length of the handle to provide a shoelace tightening device that can operate the handle of the lever with a small force by the leverage effect.
또한, 손잡이가 조임해제 방향으로 회동한 상태에서 손잡이의 길이가 자동으로 연장되고, 손잡이가 조임방향으로 회동한 상태에서는 손잡이의 길이가 자동으로 수축되도록 하는 신발끈 조임장치를 제공함에 있다.In addition, the length of the handle is automatically extended in a state in which the handle is rotated in the tightening release direction, and in the state in which the handle is rotated in the tightening direction to provide a shoelace tightening device to automatically shrink the length of the handle.
또한, 이동체의 상부영역을 양측으로 분기시켜 "Y"자의 형태로 구성하고, 이 동체의 양측에 제1가이드를 인접배치하고, 분기된 이동체의 사이영역에 제2가이드를 추가로 배치함으로써 신발끈의 조임효과를 극대화 시킬 수 있는 신발끈 조임장치를 제공함에 있다.Further, the upper region of the movable body is branched to both sides to form a "Y" shape, the first guides are arranged adjacent to both sides of the movable body, and the second guide is further disposed in the interregion of the branched movable body. It is to provide a shoelace tightening device that can maximize the tightening effect.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일측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 내측을 마감하는 설포가 배치된 신발몸체;와, 상기 설포에 이동가능하게 배치되는 이동체와, 상기 설포와 이동체의 사이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이동체를 개구부의 개구방향을 따라 이동시키는 레버가 형성된 조임수단; 및, 상기 신발몸체의 개구부 양측과 상기 조임수단의 이동체를 연결하는 신발끈;을 포함하며, 상기 레버의 조작에 의해 이동체가 이동하면서 상기 신발몸체의 개구부 양측을 연결하는 신발끈이 한번에 조임 또는 조임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끈 조임장치에 의해 달성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 opening is formed on one side, the shoe body is provided with a tongue that closes the inside of the opening; and a movable body disposed to be movable on the tongue, and the tongue and the movable body rotated between the tongue. Tightening means formed so as to be capable of moving the movable body along the opening direction of the opening; And shoelaces for connecting the both sides of the opening of the shoe body and the moving body of the tightening means, wherein the shoelace connecting the both sides of the opening of the shoe body is moved or moved by the operation of the lever. It is achieved by a shoelace tighten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release.
여기서, 상기 조임수단은 상기 이동체의 양측에 각각 인접배치되도록 상기 설포에 고정되며, 신발몸체의 개구부 양측과 이동체를 연결하는 와이어가 관통하는 가이드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fastening means is preferably fixed to the tongue to be disposed adjacent to both sides of the moving body, it is preferable to further include a guide through which the wire connecting the opening and the side of the opening of the shoe body and the moving body.
또한, 상기 이동체는 상단부가 분기(分岐)되어 "Y"자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가이드는 상기 이동체의 양측에 인접배치되는 제1가이드와, 상기 이동체의 분기된 상단부의 사이영역에 배치되는 제2가이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movable body has an upper end branched to form a “Y” shape, and the guide is disposed between a first guide disposed adjacent to both sides of the movable body and a branched upper end portion of the movable body. It is preferable to consist of two guides.
또한, 상기 신발끈은 개구부의 일측으로부터 상기 조임수단의 가이드와 이동체를 관통하여 개구부의 타측으로 연결되며, 개구부의 개구방향을 따라 다수 연결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shoelace is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opening through the guide and the moving body of the tightening means from one side of the opening, it is preferable to be connected in plurality along the opening direction of the opening.
또한, 상기 레버는 상기 설포에 고정되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손잡이와, 상기 손잡이와 이동체를 연결하는 연결부재로 구성되며, 상기 손잡이의 회동에 의해 상기 이동체가 개구부의 개구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lever may include a base fixed to the tongue, a handle rotatably installed on the base, and a connecting member connecting the handle and the movable body, and the movable body moves in the opening direction of the opening by rotating the handle. It is desirable to move along.
또한, 상기 손잡이는 상기 베이스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회동부재와, 상기 회동부재로부터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며 신축되는 슬라이딩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handle is preferably made of a rotating member rotatably installed on the base, and a sliding member that mov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from the rotating member and stretched.
또한, 상기 레버는 상기 손잡이가 조임방향으로 회동한 상태에서 상기 손잡이를 구속하는 스토퍼가 상기 베이스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lever is preferably formed with a stopper on the base that restrains the handle in a state in which the handle is rotated in the tightening direction.
또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손잡이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는 제1고정부와, 상기 가이드에 고정되는 제2고정부 및, 양단이 상기 제1고정부와 제2고정부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고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connecting member may include a first fixing part rotatably fixed to the handle, a second fixing part fixed to the guide, and both ends of the connecting member being rotatably connected to the first fixing part and the second fixing part. It is preferable that it consists of a ring.
또한, 상기 신발끈은 조임수단의 가이드와 이동체를 관통하면서 상기 개구부의 양측을 지그재그 형태로 개구부의 개구방향을 따라 다수 연결되며, 일단부에 신발끈의 길이를 조절하는 길이조절수단이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shoelace is connected to the both sides of the opening in a zigzag form along the opening direction of the opening while passing through the guide and the moving body of the tightening means, the length adjustment means for adjusting the length of the shoelace is provided at one end desirable.
또한, 상기 길이조절수단은 상기 신발끈의 외측을 파지하여 신발끈을 구속하는 조절몸체와, 상기 조절몸체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신발끈의 구속 및 구속해제를 선택하는 캡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length adjustment means preferably comprises a control body for holding the shoelaces to restrain the shoelace, and a cap coupled to the control body to select the restraint and release of the shoelace.
또한, 상기 신발끈은 말단부에 구(球)형의 신발끈손잡이가 형성되는 것이 바 람직하다.In addition, the shoelace is preferably a spherical shoelace handle is formed in the distal end.
또한, 상기 신발몸체는 개구부의 양측에 신발끈이 연결되는 다수의 통공이 각각 마련되며, 인접한 한 쌍의 통공은 중공의 튜브로 서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shoe body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each connected to the shoelace on both sides of the opening, it is preferable that a pair of adjacent through hole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hollow tube.
본 발명에 따르면, 한번의 조작을 통해 조임 또는 조임해제의 작용을 수행할 수 있는 신발끈 조임장치가 제공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hoelace tightening device that can perform the action of tightening or releasing through a single operation.
또한, 조임해제시 개구부의 상단으로부터 하단에 이르기까지 신발끈이 균등하게 풀어지도록 함으로써 신발을 간편하게 벗을 수 있도록 하는 신발끈 조임장치가 제공된다.In addition, there is provided a shoelace tightening device that allows the shoelaces to be removed evenly from the upper end to the lower end of the opening when released.
또한, 이동체의 양측에서 신발끈을 각각 잡아당기게 되므로 우수한 조임력을 확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동체의 이동거리를 짧게 설계할 수 있는 신발끈 조임장치가 제공된다.In addition, since the shoelaces are respectively pulled from both sides of the moving body, not only the excellent tightening force can be secured, but also a shoelace tightening device capable of designing a short moving distance of the moving body is provided.
또한, 레버의 손잡이가 조임방향으로 회동한 상태에서 임의해제되는 것이 방지되는 신발끈 조임장치가 제공된다.In addition, there is provided a shoelace tightening device which is prevented from being released in the state in which the handle of the lever is rotated in the tightening direction.
또한, 손잡이를 조임방향으로 회동하는 경우 손잡이의 길이를 연장시킨 상태에서 회동시킬 수 있으므로 지렛대 효과에 의해 작은 힘으로 레버의 손잡이를 조작할 수 있는 신발끈 조임장치가 제공된다.In addition, when the handle is rotated in the tightening direction can be rotated in a state in which the length of the handle is extended so that the shoelace tightening device that can operate the handle of the lever with a small force by the lever effect.
또한, 손잡이가 조임해제 방향으로 회동한 상태에서 손잡이의 길이가 자동으로 연장되고, 손잡이가 조임방향으로 회동한 상태에서는 손잡이의 길이가 자동으로 수축되도록 하는 신발끈 조임장치가 제공된다.In addition, a shoelace tightening device is provided so that the length of the handle is automatically extended in a state where the handle is rotated in the tightening release direction, and the length of the handle is automatically shrunk when the handle is rotated in the tightening direction.
또한, 이동체의 상부영역을 양측으로 분기시켜 "Y"자의 형태로 구성하고, 이동체의 양측에 제1가이드를 인접배치하고, 분기된 이동체의 사이영역에 제2가이드를 추가로 배치함으로써 신발끈의 조임효과를 극대화 시킬 수 있는 신발끈 조임장치가 제공된다.Further, the upper region of the movable body is branched to both sides to form a "Y" shape, the first guides are disposed adjacent to both sides of the movable body, and the second guide is further disposed in the region between the branched movable bodies. Shoelace tightening device is provided to maximize the tightening effect.
설명에 앞서, 여러 실시예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대표적으로 제1실시예에서 설명하고, 그 외의 실시예에서는 제1실시예와 다른 구성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Prior to the description, in the various embodiments, components having the same configuration will be representatively described in the first embodiment using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in other embodiments, different configurations from the firs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do.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신발끈 조임장치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a shoelace tightening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첨부도면 중 도 1은 본 발명 신발끈 조임장치의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 신발끈 조임장치의 측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조임수단의 발췌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조임수단의 분해사시도이다.1 is a front view of the shoelace tighten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side view of the shoelace tighten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tightening mea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tightening means.
상기 도면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은 본 발명 신발끈 조임장치는 신발몸체(110)와, 설포(120)와, 신발끈(130)과, 조임수단(1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shoelace tighten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the drawings comprises a
상기 신발몸체(110)는 내부로 발을 넣거나 빼기 용이하도록 일측에 개구부(111)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111)의 양측에 신발끈(130)이 연결되는 다수의 통공(112)이 각각 형성되며, 상단 일측부에는 후술하는 신발끈(130)의 길이조절수단(131) 및 신발끈손잡이(132)가 수용되는 수용홈(114)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통공(112)은 서로 인접한 한 쌍의 통공(112)들이 중공의 튜브(113)로 연결되며, 상기 튜브(113)를 통과하는 신발끈(130)이 지그재그 형태로 개구부(111)의 양측을 수회 연결할 수 있도록 대향측의 튜브(113)와 서로 교호배치된다.The
상기 설포(Tungue, 120)는 상기 신발몸체(110)의 개구부(111) 내측에 배치되어 상기 개구부(111)를 마감하는 것으로, 하단부가 상기 개구부(111)의 하단부 내측에 고정된다. The
상기 조임수단(140)은 상기 신발몸체(110)의 개구부(111) 양측을 연결하는 신발끈(130)이 관통하는 제1통공(142a)들이 다수 형성되어 상기 설포(120)상에서 개구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배치되는 이동체(142)와, 상기 신발몸체(110)의 개구부(111) 양측을 연결하는 신발끈(130)이 관통하는 제2통공(141a)들이 다수 형성되어 상기 이동체(142)의 양측에 각각 인접배치되는 가이드(141)와, 중앙에 상기 이동체(142)의 이동방향을 따라 개구공(143a)이 형성되고 양단이 상기 가이드(141)에 고정되는 커버(143)와, 일단이 상기 설포(120)측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커버(143)의 개구공(143a)을 통해 노출된 상기 이동체(142)에 고정되는 레버(1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The fastening means 140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first through-holes (142a) through which the
여기서, 상기 레버(150)는 상기 커버(143)에 고정되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손잡이(152)와, 상기 손잡이(152)와 이동체(142)를 연결하는 연결부재(153) 및, 상기 손잡이(152)가 조임방향으로 회동한 상태에서 상기 손잡이(152)를 구속하는 스토퍼(154)로 구성된다. Here, the
한편, 상기 손잡이(152)는 상기 베이스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스토 퍼에 걸려지는 걸림턱(미도시)이 일측에 돌출되고 길이방향으로 장공(152c)이 형성된 회동부재(152a)와, 상기 회동부재(152a)의 외측을 감싸며 상기 장공(152c)으로 삽입되는 삽입축(152e)이 형성되어 회동부재(152a)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며 신축되는 슬라이딩부재(152d)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연결부재(153)는 상기 손잡이(152)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는 제1고정부(153a)와, 상기 가이드(141)에 고정되는 제2고정부(153b) 및, 양단이 상기 제1고정부(153a)와 제2고정부(153b)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고리(153c)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스토퍼(154)는 탄성부재(미도시)에 의해 손잡이(152)를 구속하는 방향을 향해 베이스로부터 탄성지지된다.On the other hand, the
또한, 상기 이동체(142)는 발등부분으로부터 발목 또는 정강이 부분에 이르는 곡선의 형태를 따라 이동하면서 변형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구부러지기 쉬운 재질로 이루어지거나, 구부러지는 방향에 대하여 내측에 다수의 홈이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상기 신발끈(Shoelace, 130)은 일단이 개구부(111)의 일측 하단부에 형성된 통공(112)에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조임수단(140)의 가이드(141)의 제2통공(141a)과 이동체(142)의 제1통공(142a)을 관통하여 대향측의 통공(112)으로 삽입된 뒤, 튜브(113)를 통해 연통되는 인접한 통공(112)으로 빠져나와 다시 상기 조임수단(140)의 가이드(141)의 제2통공(141a)과 이동체(142)의 제1통공(142a)을 관통하여 대향측의 통공(112)으로 삽입되는 것을 반복하면서 개구부(111)의 양측을 지그재그형태로 연결한 뒤, 개구부(111)의 상단부에 마련된 통공(112)으로 삽입된 타단 부가 신발몸체(110)의 상단부 내측으로 노출되며, 노출된 타단부에는 구(球)형의 신발끈손잡이(132)가 형성되고, 상기 신발끈손잡이(132)와 통공(112) 사이에는 신발끈(130)의 길이를 조절하는 길이조절수단(131)이 마련된다.The shoelace (Shoelace, 130) is a
여기서, 상기 길이조절수단(131)은 상기 신발끈(130)의 외측을 파지하여 신발끈(130)을 구속하는 조절몸체(131a)와, 상기 조절몸체(131a)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신발끈(130)의 구속 및 구속해제를 선택하는 캡(131b)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Here, the length adjusting means 131 is screwed to the
지금부터는 상술한 신발끈 조임장치의 제1실시예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The operation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shoelace tightening device described above will now be described.
첨부도면 중 도 5는 본 발명 신발끈 조임장치의 조임해제상태의 측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 신발끈 조임장치의 조임해제상태의 정면도이고,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 신발끈 조임장치의 측면 작용단면도들이고, 도 10은 본 발명 신발끈 조임장치의 조임상태의 정면도이다.5 is a side view of the tightening state of the shoelace tighten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front view of the tightening state of the shoelace tighten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to Figure 9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is a front view of the tightening state of the shoelace tighten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도 5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조임수단(140)이 신발몸체(110)의 개구부(111) 내측에 배치된 설포(120)의 전면에 설치되고, 상기 조임수단(140)의 레버(150)가 조임해제 방향으로 회동한 상태에서는 신발몸체(110)의 개구부(111) 양측이 벌어지게 되고, 상기 설포(120)가 신발몸체(110)의 개구부(111)로부터 외측방향으로 돌출되면서 신발몸체(110)의 내측으로 발을 넣기가 용이한 상태가 된다. First, as shown in FIG. 5, the tightening means 140 is install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즉, 도 6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신발끈(130)은 일단부가 개구부(111)의 일측 하단부에 형성된 통공(112)에 지지된 상태에서 가이드(141)의 제2통공(141a)과 이동체(142)의 제1통공(142a)을 관통하여 대향측 통공(112)으로 삽입된 뒤, 튜 브(113)를 통해 연통되는 인접한 통공(112)으로 빠져나와 다시 가이드(141)의 제2통공(141a)과 이동체(142)의 제1통공(142a)을 관통하여 대향측의 통공(112)으로 삽입되는 것을 반복하면서 개구부(111)의 양측을 대략 평행하게 지그재그형태로 연결한 뒤, 개구부(111)의 상단부에 마련된 통공(112)으로 삽입된 타단부가 신발몸체(110)의 상측으로 노출된다.That is, as shown in FIG. 6, the
신발몸체(110)의 상단부 통공(112)을 통해 외부로 노출된 신발끈(130)의 말단부에는 구형의 신발끈손잡이(132)가 고정되어 신발끈(130)을 잡아당기기 용이하게 된다.A
이때, 상기 신발끈은 개구부의 양측에 마련된 각 통공들을 연결하는 튜브에 삽입된 상태에서 신발끈의 이동에 대하여 마찰력이 거의 작용하지 않게 되므로, 개구부 사이를 연결하는 신발끈의 길이를 쉽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At this time, since the shoelaces have little frictional force acting on the movement of the shoelace in the state of being inserted into the tube connecting the through holes provided at both sides of the opening, so that the length of the shoelace connecting the openings can be easily adjusted. do.
또한, 신발끈손잡이(132)와 개구부(111)의 상단부 통공(112)의 사이에는 마련된 길이조절수단(131)에 의해 하단부 일측 통공(112)과 상단부 통공(112)까지의 연결길이가 조절되어 사용자의 발크기에 맞게 조절된 신발끈(130)의 길이를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between the
즉, 길이조절수단(131)의 조절몸체(131a)가 신발끈(130)의 외측을 파지하여 신발끈(130)의 외측에 고정되며, 상기 조절몸체(131a)의 일단부에 나사결합된 캡(131b)의 회전방향에 따라 신발끈(130)의 고정 또는 고정해제가 선택적으로 이루어지면서 신발끈(13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신발 착용자는 자신의 발에 맞추어 조임해제가 된 상태의 개구부(111)의 폭을 설정하거나 조임상태에 서의 신발끈(130)에 의한 조임정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That is, the adjusting
아울러, 개구부(111)의 사이를 연결하는 신발끈(130)의 길이를 늘이기 위해 상기 길이조절수단(131)를 고정해제시킨 상태에서 개구부(111)의 양측을 벌리면, 신발끈(130)이 개구부(111) 양측의 통공(112)에 마련된 튜브(113)에 삽입되어 신발끈(130)과의 마찰력이 거의 발생되지 않으므로 용이하게 개구부(111) 사이를 연결하는 신발끈(130)의 길이를 늘릴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when opening both sides of the
한편, 설포(120)에 고정된 조임수단(140)의 양측 가이드(141) 사이에 위치한 이동체(142)는 레버(150)가 조임해제 방향으로 회동한 상태에서 도면에서와 같이 개구부(111)의 하측에 위치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이러한 상태에서 양측 가이드(141)의 제2통공(141a)과 이동체(142)의 제1통공(142a)을 연결하는 신발끈(130)은 평행한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이로인해 가이드(141)의 제2통공(141a)과 신발몸체(110)의 개구부(111) 양측에 형성된 통공(112)의 사이에 위치한 신발끈(130)은 느슨한 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신발몸체(110)의 개구부(111) 양측이 발을 넣기 용이한 상태로 벌어지게 된다. In this state, the
상기와 같이 조임해제된 상태에서 조임방향으로 조임수단(140)의 레버(150)를 작용시키는 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Looking at the state in which the
도 7은 조임수단(140)의 레버(150)가 조임해제 방향으로 회동한 상태를 나타내는 정단면도로서, 도면에서와 같이 설포(120)의 전면에 가이드(141)가 고정되고, 상기 가이드(141)의 전면에 커버(143)가 고정된 상태에서 커버(143)의 내측으로는 가이드(141)의 사이공간 하부에 이동체(142)가 위치하게 된다.7 is a front 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또한, 상기 커버(143)의 상단부 외측에는 레버(150)의 고정판(151)이 고정되고, 상기 고정판(151)에 손잡이(152)의 일단부가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커버(143)의 중앙에 마련된 개구공(143a)을 통해 노출된 이동체(142)가 연결부재(153)에 의해 상기 손잡이(152)와 연결된다. In addition, the fixing
여기서, 상기 손잡이(152)는 상기 고정판(151)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는 회동부재(152a)의 외측을 감싸는 슬라이딩부재(152d)가 회동부재(152a)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되면서 손잡이(152)의 전체길이가 연장 되며, 회동부재(152a)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장공(152c)에 슬라이딩부재(152d)의 내측에 마련된 삽입축(152e)이 삽입되면서 슬라이딩부재(152d)의 이동을 안내하는 것과 동시에 슬라이딩부재(152d)의 이탈을 방지하게 된다. Here, the
특히, 도면에서와 같이 회동부재(152a)가 고정해제 방향으로 회동된 상태, 즉 하측방향으로 기울어진 상태에서는 회동부재(152a)의 외측을 감싸는 슬라이딩부재(152d)가 중력에 의해 하측방향으로 슬라이딩되면서 회동부재(152a)의 회동중심으로부터 외측방향으로 이동하게되며, 이로인해 손잡이(152)의 전체 길이가 늘어나게 되므로 지렛대의 원리에 의해 작은 힘으로 손잡이(152)를 회동시킬 수 있게 된다. In particular, in the state in which the rotating
한편, 상기 연결부재(153)는 제1고정부(153a)가 상기 손잡이(152)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제2고정부(153b)가 커버(143)의 개구공(143a)을 통해 노출된 이동체(142)의 전면에 고정된 상태에서 연결고리(153c)에 의해 상기 제1고정부(153a)와 제2고정부(153b)가 연결된다.On the other hand, the connecting
도 8은 조임수단(140)의 레버(150)가 조임 방향으로 회동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로서, 도면에서와 같이 고정판(151)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손잡이(152)를 조임방향으로 회동시키면, 연결부재(153)에 의해 손잡이(152)와 연결된 이동체(142)가 가이드(141)의 사이공간에서 커버(143)에 의해 이동이 안내되면서 상측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8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이때, 상기 손잡이(152)의 회동부재(152a)가 고정판(151)에 설치된 스토퍼(154)의 걸림턱(152b)에 접촉하는 순간 스토퍼(154)가 하측방향으로 탄력적으로 이동하였다가 회동부재(152a)가 완전히 회동하게 되면 탄성부재(미도시)의 탄성력에 의해 다시 원래의 위치로 이동하여 걸림턱(152b)에 걸려지면서 회동부재(152a)의 회동위치를 구속하게 되므로, 상기 손잡이(152)가 조임방향으로 회동한 상태에서 임의로 조임해제되는 것이 방지된다. At this time, when the
또한, 상기 회동부재(152a)의 외측을 감싸는 슬라이딩부재(152d)는 손잡이(152)가 도면에서와 같이 고정해제 상태로 회동한 상태에서는 상측방향을 향해 경사지게 배치된다. 이때, 상기 슬라이딩부재(152d)는 중력에 의해 회동부재(152a)의 외측에서 하측방향으로 슬라이딩되면서 손잡이(152)의 전체길이가 자동으로 줄어들게 되므로 착용자의 발목 앞부분 또는 정강이 앞부분에 걸리적거리지 않게 된다.In addition, the sliding
한편, 상기 연결부재(153)의 제2고정부(153b)는, 제2고정부(153b)를 관통한 체결부재(S)에 의해 이동체(142)에 고정되어 손잡이(152)의 회동에 따라 이동체(142)를 이동시키게 되는데, 상기 이동체(142)에는 상기 제2고정부(153b)를 관통 한 체결부재(S)가 체결되는 체결공(142b)이 길이방향으로 소정간격 이격되게 다수 마련된다. On the other hand, the
따라서, 이동체(142)에 고정되는 제2고정부(153b)의 고정위치에 따라 이동체(142)의 이동에 대하여 신발끈(130)의 조임정도가 조절되므로 신발끈(130)의 전체길이를 조절하지 않고서도 사용자의 발 크기에 따라 조임정도를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Therefore, the tightening degree of the
도 9는 상기와 같이 조임수단(140)의 레버가 조임 방향으로 회동한 상태에서 이동체의 위치를 나타내는 정단면도로서, 레버의 회동에 의해 도면에서와 같이 설포(120)의 전면 양측에 배치된 가이드(141)의 사이에서 이동체(142)가 상측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FIG. 9 is a front sectional view showing the position of the movable body in a state in which the lever of the tightening means 140 is rotated in the tightening direction as described above. The moving
이때, 신발끈(130)이 양측 가이드(141)의 제2통공(141a)과 이동체(142)의 제1통공(142a)을 대략 수평한 상태로 연결된 상태로부터 이동체(142)가 상측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양측 가이드(141)의 사이공간에서 신발끈(130)을 상측방향으로 잡아당기게 되므로, 가이드(141)의 제2통공(141a)과 이동체(142)의 제1통공(142a)사이의 늘어난 거리에 비례하여 가이드(141)의 제2통공(141a)과 신발몸체(110)의 개구부(111) 양측 통공(112)사이의 거리가 좁아지면서 개구부(111)의 양측이 조여지게 된다. At this time, the moving
특히, 신발끈(130)이 신발몸체(110)의 개구부(111)의 하단부로부터 상단부측까지 양측 통공(112)을 지그재그 형태로 번갈아가며 수회 반복하여 연결한 상태에서 신발끈(130)의 중앙부분이 연결된 이동체(142)가 이동하는 것이므로, 신발 끈(130)을 한번에 조이는 것이 가능하게 되는 것은 물론, 개구부(111)의 양측을 잡아당기게 되는 힘이 개구부(111)의 하단부로부터 상단부까지 균등하게 작용하게 된다. In particular, the
또한, 이동체(142)를 중심으로 양측에 가이드(141)가 인접배치되어 이동체(142)의 이동에 대하여 양측에서 신발끈(130)을 잡아당기게 되며, 개구부(111)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의 개소에서 신발끈(130)의 조임력이 작용하게 되므로 이동체(142)의 이동거리를 짧게 설계하는것이 가능하게 된다. In addition, the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조임방향으로의 작용에 대하여 조임해제의 작용은 조임방향으로의 작용에 대하여 역순으로 진행되며, 도 8의 확대도에서와 같이 스토퍼(154)를 고정해제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스토퍼(154)가 회동부재(152a)의 걸림턱(152b)으로부터 이탈하게 되어 레버(150)의 손잡이(152)가 조임해제 방향으로 회동할 수 있는 상태가 되며, 조임상태에서 신발끈(130)이 당겨진 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상기와 같이 스토퍼(154)를 조임해제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신발끈(130)의 견인력에 의해 손잡이(152)가 자동으로 조임해제 방향으로 회동하게 된다. On the other hand, the action of the tightening release with respect to the action in the tightening direction as described above proceeds in the reverse order with respect to the action in the tightening direction, if moving the
특히, 조임해제의 경우에도 조임과 마찬가지로 신발몸체(110)의 개구부(111) 상단부로부터 하단부에 이르기 까지 이동체(142)의 이동에 의해 신발끈(130)이 균등하게 풀어지게 되므로 신발몸체(110)로부터 발을 꺼내는 것이 매우 용이하게 된다. Particularly, in the case of releasing the shoes, the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신발끈 조임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Next, a shoelace tightening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첨부도면 중 도 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신발끈 조임장치의 조임해제 상태를 나타내는 정단면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다른 신발끈 조임장치의 조임상태를 나타내는 정단면도이다.10 is a front sectional view showing a tightening state of a shoelace tightening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1 shows a tightening state of a shoelace tightening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ront section view.
먼저, 도 10에서와 같이 이동체(142')는 상측이 분기(分岐)되어 대략 "Y"자의 형태로 이루어져 신발몸체(110)의 개구부(111) 사이에 마련되는 설포(120)의 전면 중앙에 배치되고, 가이드(145)는 상기 이동체(142')의 양측에 인접배치되는 제1가이드(145a)와, 상기 이동체(142')의 분기된 상단부의 사이영역에 배치되는 제2가이드(145c)로 구성되며, 상기 제2가이드(145c)는 이동체(142')의 이동구간에 간섭되지 않도록 이동체(142')의 분기지점으로부터 상측으로 소정간격 이격배치된다. First, as shown in FIG. 10, the
상기와 같은 이동체(142')와 제1가이드(145a) 및 제2가이드(145c)에는 상술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개구부(111) 양측의 통공(112)을 연결하는 신발끈(130)이 대략 수평방향으로 관통되도록 제2통공(145b) 및 제3통공(145d)이 다수 형성되고, 이동체(142')에는 제1통공(142a)이 다수 형성된다.The
한편, 상기와 같은 이동체(142')는 레버의 조작에 의해 가이드(145)의 사이공간에서 수직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으로서, 상기 이동체(142')와 가이드(145)의 구성외에는 상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을 가지므로 동일한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On the other hand, the movable body 142 'is to move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the space between the
상기와 같이 조임해제된 상태로부터 레버의 조작에 의해 도 11과 같이 상기 이동체(142')가 조임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면, 이동체(142')의 하부영역에서는 이동 체(142')의 제1통공(142a)과 이동체(142')의 양측에 인접배치된 제1가이드(145a)의 제2통공(145b)과의 거리가 멀어지게 되면서 신발끈(130)이 잡아당겨지므로 신발몸체(110)의 개구부(111) 하부 양측이 중앙을 향해 조여지게 된다. When the movable body 142 'is moved in the tightening direction as shown in FIG. 11 by the operation of the lever from the state in which the tightening is released as described above, the first through hole of the movable body 142' is provided in the lower region of the movable body 142 '. Since the
또한, 상기 이동체(142')의 상부영역에서는 "Y"자 형태로 분기된 이동체(142')의 양측에 제1가이드(145a)가 인접 배치되고 분기된 이동체(142')의 사이영역에는 제2가이드(145c)가 배치된 상태에서 이동체(142')가 상측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이동체(142')의 제1통공(142a)과 제1가이드(145a)의 제2통공(145b) 및 제2가이드(145c)의 제3통공(145d)사이의 거리가 멀어지게 되면서 신발끈(130)이 잡아당겨지게 되므로 신발몸체(110)의 개구부(111) 상부 양측이 중앙을 향해 조여지게 된다. In addition, in the upper region of the movable body 142 ', the
여기서, 상기와 같이 이동체(142')의 분기된 상부영역에서는 하부영역에 비해 이동체(142')가 2개로 분기되어 각각의 분기된 이동체(142')가 제1가이드(145a)와 제2가이드(145c)의 사이에서 각각 신발끈(130)을 잡아당기게 되므로 이동체(142')의 하부영역보다 2배만큼 신발끈(130)을 잡아당기게 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Here, as described above, the branched upper region of the movable body 142 'is divided into two movable bodies 142' compared to the lower region, so that each branched movable body 142 'is divided into a
따라서, 부츠나 군화와 같이 발목이 긴 신발에서는 조임력을 증대시킬 수 있게 되고, 등산화나 운동화 같이 발목이 짧거나 없는 신발에서는 이동체(142')의 이동거리를 짧게 하는 대신 우수한 조임력을 확보할 수 있는 잇점을 제공하게 된다.Therefore,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tightening force in shoes with long ankles, such as boots or boots, and to secure excellent tightening force instead of shortening the moving distance of the moving object 142 'in shoes having short or no ankles, such as hiking boots or sneakers. It provides an advantage.
한편, 상술한 실시예들에서는 하나의 신발끈이 개구부의 양측을 지그재그 형 태로 연결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2개의 신발끈을 통해 개구부의 양측으로부터 인접한 가이드를 관통하여 이동체의 측면을 연결하며, 이동체를 중심으로 양측에서 지그재그 형태로 개구부의 개구방향을 따라 각각 다수회 연결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Meanwhile,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one shoelace is described as connecting the both sides of the opening in a zigzag form, but through the two shoelaces through the adjacent guides from both sides of the opening to connect the side of the moving body, It may be possible to connect a plurality of times in the zigzag form at both sides along the opening direction of the opening.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변형 가능한 다양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본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but may be embodied in various forms of embodiments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invention claimed in the claims, it is intended that any person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falls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described herein to various extents that can be modified.
도 1은 본 발명 신발끈 조임장치의 정면도, 1 is a front view of the shoelace tighten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 신발끈 조임장치의 측면도, Figure 2 is a side view of the shoelace tighten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조임수단의 발췌사시도,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tightening mea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조임수단의 분해사시도,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tightening mea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 신발끈 조임장치의 조임해제상태의 측면도, Figure 5 is a side view of the tightening state of the shoelace tighten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 신발끈 조임장치의 조임해제상태의 정면도, Figure 6 is a front view of the tightening state of the shoelace tighten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 신발끈 조임장치의 측면 작용단면도들, 7 to 9 are side cross-sectional views of the shoelace tighten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은 본 발명 신발끈 조임장치의 조임상태의 정면도,10 is a front view of the tightening state of the shoelace tighten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은 본 발명 신발끈 조임장치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정면작용도이다.11 is a front action diagram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shoelace tighten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10:신발몸체, 111:개구부, 112:통공, 113:튜브, 120:설포, 130:신발끈, 110: shoe body, 111: opening, 112: through-hole, 113: tube, 120: sulfo, 130: shoelaces,
131:길이조절수단, 131a:조절몸체, 131b:캡, 132:신발끈손잡이, 131: length adjusting means, 131a: adjusting body, 131b: cap, 132: shoelace handle,
140:조임수단, 141:가이드, 141a:제2통공, 142:이동체, 142a:제1통공, 140: tightening means, 141: guide, 141a: second through hole, 142: moving body, 142a: first through,
142b:체결공, 143:커버, 143a:개구공, 150:레버, 151:고정판, 152:손잡이, 142b: fastener, 143: cover, 143a: opening, 150: lever, 151: fixed plate, 152: handle,
152a:회동부재, 152b:걸림턱, 152c:장공, 152d:슬라이딩부재, 152a: rotating member, 152b: locking jaw, 152c: long hole, 152d: sliding member,
152e:삽입축, 153:연결부재, 153a:제1고정부, 153b:제2고정부, 152e: insertion shaft, 153: connecting member, 153a: first fixing part, 153b: second fixing part,
153c:연결고리, 154:스토퍼153c: link, 154: stopper
Claims (12)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06927A KR101017251B1 (en) | 2009-01-29 | 2009-01-29 | Shoelace Fasteners |
PCT/KR2009/000440 WO2010087534A1 (en) | 2009-01-29 | 2009-01-29 | Device for tightening shoelac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06927A KR101017251B1 (en) | 2009-01-29 | 2009-01-29 | Shoelace Fasteners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087884A KR20100087884A (en) | 2010-08-06 |
KR101017251B1 true KR101017251B1 (en) | 2011-02-28 |
Family
ID=423957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90006927A Expired - Fee Related KR101017251B1 (en) | 2009-01-29 | 2009-01-29 | Shoelace Fasteners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101017251B1 (en) |
WO (1) | WO2010087534A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9241539B1 (en) | 2012-06-29 | 2016-01-26 | Jeffrey Keswin | Shoelace tightening method and apparatus |
SK6953Y1 (en) * | 2013-02-19 | 2014-11-04 | Ivan Kolka | Lace mechanical tightening system |
CN107157018B (en) * | 2017-06-28 | 2024-07-09 | 义乌威思得进出口有限公司 | Shoelace tightening buckle |
KR102212834B1 (en) | 2019-12-30 | 2021-02-04 | 강하늘 | Safety display for automobiles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4157622A (en) * | 1977-09-26 | 1979-06-12 | Carlyle Lance J | Fastener for footwear |
US5572777A (en) * | 1994-06-21 | 1996-11-12 | Shelton; Billy R. | Shoe lace tightening device |
KR200158943Y1 (en) * | 1997-06-23 | 1999-10-15 | 유부열 | Shoes with shoelace fasteners |
KR200184587Y1 (en) * | 1999-12-30 | 2000-06-01 | 백수호 | Quick tie footwear for footwear string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129130A (en) * | 1991-05-20 | 1992-07-14 | Jacques Lecouturier | Shoe lace arrangement with fastener |
US5157813A (en) * | 1991-10-31 | 1992-10-27 | William Carroll | Shoelace tensioning device |
IT1306678B1 (en) * | 1999-06-29 | 2001-10-02 | Bauer Italia Spa | TENSIONING DEVICE FOR STRING LACES, IN PARTICULAR FOR SPORTS FOOTWEAR. |
-
2009
- 2009-01-29 WO PCT/KR2009/000440 patent/WO2010087534A1/en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09-01-29 KR KR1020090006927A patent/KR101017251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4157622A (en) * | 1977-09-26 | 1979-06-12 | Carlyle Lance J | Fastener for footwear |
US5572777A (en) * | 1994-06-21 | 1996-11-12 | Shelton; Billy R. | Shoe lace tightening device |
KR200158943Y1 (en) * | 1997-06-23 | 1999-10-15 | 유부열 | Shoes with shoelace fasteners |
KR200184587Y1 (en) * | 1999-12-30 | 2000-06-01 | 백수호 | Quick tie footwear for footwear string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10087534A9 (en) | 2010-09-23 |
WO2010087534A1 (en) | 2010-08-05 |
KR20100087884A (en) | 2010-08-0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6324774B1 (en) | Shoelace retaining clip and footwear closure means using same | |
US7360282B2 (en) | Lace blocking device | |
US5996256A (en) | Footwear construction with improved closure means | |
KR101506676B1 (en) | apparatus for fastening wire and method for mounting thereof | |
US20110099843A1 (en) | Device for Tightening Shoelace | |
US7073279B2 (en) | Shoelace tightening structure | |
KR200272073Y1 (en) | shoe lace tightening device | |
US6735829B2 (en) | U-shaped lace buckle | |
EP3005895B1 (en) | Footwear | |
US20100269373A1 (en) | Shoe tying aid and method | |
US20170354204A1 (en) | Footwear and method of using such footwear | |
JP2010516310A (en) | Boots, especially ski or snowboard boots | |
JP2008029826A (en) | Snowboard boot | |
KR101017251B1 (en) | Shoelace Fasteners | |
KR200171552Y1 (en) | Shoe lace binder | |
KR101570811B1 (en) | Device for tightenning up a shoelace with locking lever | |
US20150059136A1 (en) | Shoestring Lock | |
KR200467145Y1 (en) | Shoes with shoelace fasteners | |
KR100765244B1 (en) | Shoelace ties | |
KR101003138B1 (en) | Shoelace ties | |
KR101157543B1 (en) | Shoestring tension controlling structure shoes | |
KR200369624Y1 (en) | Shoelace tightening device | |
KR101973963B1 (en) | Shoes for tongue fixing | |
KR200246554Y1 (en) | A binding device of shoe-string which is fastened with one pulling | |
KR200273526Y1 (en) | Apparatus for binding a shoes string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0129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Patent event date: 20090331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01118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1021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1021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501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