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16785B1 - Product access control (or loss prevention) wireless terminal using RFID information - Google Patents
Product access control (or loss prevention) wireless terminal using RFID information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016785B1 KR101016785B1 KR1020030071226A KR20030071226A KR101016785B1 KR 101016785 B1 KR101016785 B1 KR 101016785B1 KR 1020030071226 A KR1020030071226 A KR 1020030071226A KR 20030071226 A KR20030071226 A KR 20030071226A KR 101016785 B1 KR101016785 B1 KR 10101678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fid
- product
- wireless terminal
- information
- rfid informatio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0009—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 G06K7/10297—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arrangements for handling protocols designed for non-contact record carriers such as RFIDs NFCs, e.g. ISO/IEC 14443 and 18092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23—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the record carrier comprising an arrangement for non-contact communication, e.g. wireless communication circuits on transponder cards, non-contact smart cards or RFID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24—Reminder alarms, e.g. anti-loss alar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Toxic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RFID 정보를 이용한 상품 접근제어(또는 분실방지용) 무선 단말기 및 기록매체와 이를 이용한 상품 접근제어(또는 분실방지) 방법에 관한 것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무선 단말기는 사용자가 분실방지 대상 상품으로 등록하고자 하는 상품에 부착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RFID 태그내 저장된 소정의 RFID 정보를 무선 단말기내 메모리부에 등록시키는 RFID 정보 등록부와, 상기 RFID 정보 등록부에 의해 등록되는 상기 분실방지 대상 상품의 RFID 정보를 상기 상품 명칭 또는 상품 코드와 연계 처리하여 저장하는 메모리부와, 상기 무선 단말기가 분실 방지 모드로 전환시, 일정 시간 간격으로 상기 사용자가 분실 방지 대상 상품으로 등록한 상품에 부착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RFID 태그로부터 RFID 정보를 검출하는 RFID 검출 유지부와, 상기 RFID 검출 유지부를 통해 검출된 RFID 정보와 상기 RFID 정보 등록부를 통해 상기 메모리부에 등록 저장된 RFID 정보를 비교하고, 상기 비교 결과 상기 메모리부에 기 등록된 RFID 정보에 대응하는 RFID 정보가 상기 RFID 검출 유지부를 통해 검출되지 않는 경우, 상기 메모리부에 등록된 RFID 정보와 연계 처리된 상기 상품이 분실되었음을 인지하고, 상기 상품의 분실 경고 신호를 생성하는 RFID 감지 판단부 및 상기 RFID 감지 판단부에서 생성된 분실 경고 신호를 근거로 상기 상품의 분실 경고를 상기 사용자에게 출력시키는 출력부를 포함한다. 이를 통해, 사용자의 주요 소지 물품(RFID 상품)에 대한 분실을 미연에 방지하도록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oduct access control (or loss prevention) wireless terminal and recording medium using RFID information and a product access control (or loss prevention) method using the same. An RFID information registration unit for registering predetermined RFID information stored in at least one RFID tag attached to a product to be registered with a memory unit in a wireless terminal, and RFID information of the anti-lost goods registered by the RFID information registration unit. A memory unit for storing the product name or product code in association with the product name, and at least one RFID tag attached to a product registered by the user as a loss prevention target product at a predetermined time interval when the wireless terminal switches to the loss prevention mode. An RFID detection holding unit for detecting RFID information, and the RFID detecting holding unit The RFID information detected through the RFID information is compared with the RFID information stored in the memory unit through the RFID information registration unit. As a result of the comparison, the RFID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RFID information pre-registered in the memory unit is not detected through the RFID detection holding unit. If not, recognizing that the product processed in association with the RFID information registered in the memory unit is lost, based on the RFID detection determination unit for generating a loss warning signal of the product and the loss warning signal generated by the RFID detection determination unit And an output unit configured to output the loss warning of the product to the user. This prevents the loss of the user's primary belongings (RFID goods) in advance.
RFID, 태그, 분실방지, 접근제어RFID, Tag, Loss Prevention, Access Control
Description
도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 단말기의 블록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of a wireless terminal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 단말기를 이용한 상품 분실 방지 과정에 대한 간단한 흐름도이다. 2 is a simple flowchart illustrating a product loss prevention process using a wireless terminal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간단한 개념도이다. 3 is a simplified conceptual diagram of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로써, 무선 단말기를 이용한 상품 접근 제어 과정에 대한 간단한 흐름도이다. 4 is a simple flowchart of a product access control process using a wireless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간단한 개념도이다. 5 is a simplified conceptual diagram of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6은 본 발명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간단한 흐름도이다.
6 is a simplified flow diagram of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설명><Description of main parts of drawing>
100 : 무선 단말기 105 : RFID 정보 등록부 100: wireless terminal 105: RFID information register
110 : RFID 검출 유지부 115 : RFID 감지 판단부110: RFID detection holding unit 115: RFID detection determination unit
120 : 모드 전환부 125 : 키 입력부120: mode switching unit 125: key input unit
130 : 화면 출력부 135 : 메모리부130: screen output unit 135: memory unit
140 : 전송부 145 : 스피커140: transmitter 145: speaker
150 : RFID 수신부 155 : 배터리150: RFID receiver 155: battery
160 : RFID 태그 상품 165 : 서버
160: RFID Tag Item 165: Server
본 발명은 RFID 태그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품으로부터 RFID 정보를 RFID 수신 기능을 구비한 무선 단말기에 저장하고, 상기 무선 단말기의 상품 감지 모드 하에서, 무선 단말기가 상기 RFID 태그 상품으로부터 RFID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저장된 RFID 정보와 비교함으로써, 기 저장된 RFID 정보가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RFID 태그 상품으로부터 검출되지 않는 경우에, 상기 RFID 태그 상품의 감지 실패(예컨대, 분실 등)하였음을 판단하여, 상기 감지 실패에 따른 경고 메시지 제공하거나, 및/또는 상기 감지 실패된 RFID 정보를 네트워크 상의 서버(분실물 관리 서버 등)로 제공하도록 하는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stores RFID information from at least one product including an RFID tag in a wireless terminal having an RFID receiving function, and under the product detection mode of the wireless terminal, the wireless terminal receives the RFID information from the RFID tag product. By comparing with the stored RFID information, when the pre-stored RFID information is not detected from the at least one RFID tag product, it is determined that the detection of the RFID tag product (eg, lost, etc.), and according to the detection failure Provide a warning message and / or provide the failed detection RFID information to a server on the network (such as a lost substance management server).
RFID 기술은 상품에 부착되는 칩(Chip) 형태로 트랜스폰더(Transponder) 역할을 수행하는 태그(Tag)에 해당 상품의 생산, 유통, 보관, 소비의 전 과정에 대한 정보를 담고, RFID 판독기(Transceivers)로 하여금 안테나를 통해서 상기 정보를 읽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를 통해 정보 처리 시스템과 통합하여 정보 처리하는 기술이다.
RFID technology contains information on the entire process of production, distribution, storage, and consumption of a product on a tag, which acts as a transponder in the form of a chip attached to the product, and RFID readers Is a technology that reads the information through an antenna and integrates the information with a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through at least one network.
현재까지 알려진 RFID 시스템에 따르면, RFID 시스템은 기본적으로 칩 형태로 RFID 정보(예컨대, RFID 태그가 부착된 상품에 대한 상품 정보)를 포함하는 트랜스폰더(=외부 신호에 감응하여 자동적으로 특정의 신호를 되돌려 보내는 무선 송수신기의 총칭) 역할을 수행하는 RFID 태그와, 상기 RFID 태그(=트랜스폰더)와 무선 송수신을 수행하는 안테나와, 상기 RFID 태그(=트랜스폰더)에 포함된 RFID 정보를 수신 및 판독하는 RFID 판독기 등으로 구성된 RFID 판독 시스템과, 상기 RFID 판독기가 상기 RFID 태그로부터 수신 및 판독된 RFID 정보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 처리 시스템으로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와, 상기 RFID 판독기로부터 제공된 RFID 정보를 근거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 처리(예컨대, 상품의 입고 및/또는 출고와 같은 물류관리)를 수행하는 정보 처리 시스템 등으로 구성된 RFID 처리 시스템 등이 추가적으로 구성된다.
According to the RFID system known to date, the RFID system basically transmits a specific signal in response to an external signal (= in response to an external signal) including RFID information (for example, product information on a product with an RFID tag) in chip form. Receives and reads an RFID tag serving as a generic name of a wireless transceiver to be returned, an antenna performing wireless transmission and reception with the RFID tag (= transponder), and RFID information included in the RFID tag (= transponder). An RFID reading system comprising an RFID reader, or the like, at least one network for providing the RFID information received and read from the RFID tag to at least one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nd based on the RFID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RFID reader. Perform at least one information processing (e.g., logistics, such as goods receipt and / or goods issue) Include a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such as processing system with RFID is further configured.
한편, 지하철이나 사람이 많은 곳에서 물건을 잃어버리거나 도난 당하는 일이 비일비재하며, 또한, 가정에서 둔 곳을 기억하지 못하여 찾지 못하는 물건들이 종종 있다.
On the other hand, things are lost or stolen in the subway or crowded places, and there are often things that cannot be found because they can't remember where they are at home.
이와 같은 일들은 대체로 사용자의 주의를 요하지 않아 발생하는 경우가 대 체적이나, 상기 전술한 RFID가 점차 상품에 탑재되면서 이런 RFID를 이용하여, 보다 기술적으로 상품 분실 방지나 접근제어를 구현할 필요성이 충분하다.
These things are usually caused by not requiring the user's attention. However, as the above-described RFID is gradually installed in a product, there is a need for more technically preventing product loss or access control using such RFID. .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보완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RFID 정보를 이용한 상품 분실방지용 무선 단말기 및 기록매체와 이를 이용한 상품 분실방지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e above problems is to provide a wireless terminal and recording medium for preventing the loss of goods using RFID information, and a method for preventing the loss of goods using the sam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RFID 정보를 이용한 상품 접근제어용 무선 단말기 및 기록매체와 이를 이용한 상품 접근제어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ireless terminal and recording medium for product access control using RFID information and a product access control method using the same.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정보를 이용한 상품 분실방지용 무선 단말기는 사용자가 분실방지 대상 상품으로 등록하고자 하는 상품에 부착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RFID 태그내 저장된 소정의 RFID 정보를 무선 단말기내 메모리부에 등록시키는 RFID 정보 등록부와, 상기 RFID 정보 등록부에 의해 등록되는 상기 분실방지 대상 상품의 RFID 정보를 상기 상품 명칭 또는 상품 코드와 연계 처리하여 저장하는 메모리부와, 상기 무선 단말기가 분실 방지 모드로 전환시, 일정 시간 간격으로 상기 사용자가 분실 방지 대상 상품으로 등록한 상품에 부착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RFID 태그로부터 RFID 정보를 검출하는 RFID 검출 유지부와, 상기 RFID 검출 유지부를 통해 검출된 RFID 정보와 상기 RFID 정보 등록부를 통해 상기 메모리부에 등록 저장된 RFID 정보를 비교하고, 상기 비교 결과 상기 메모리부에 기 등록된 RFID 정보에 대응하는 RFID 정보가 상기 RFID 검출 유지부를 통해 검출되지 않는 경우, 상기 메모리부에 등록된 RFID 정보와 연계 처리된 상기 상품이 분실되었음을 인지하고, 상기 상품의 분실 경고 신호를 생성하는 RFID 감지 판단부 및 상기 RFID 감지 판단부에서 생성된 분실 경고 신호를 근거로 상기 상품의 분실 경고를 상기 사용자에게 출력시키는 출력부를 구비한다.
The wireless terminal for preventing loss of goods using RFID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achieving the above technical problem wirelessly stores predetermined RFID information stored in at least one RFID tag attached to a product that a user wants to register as a loss prevention target product. An RFID information registration unit for registering the memory unit in the terminal, a memory unit for storing the RFID information of the anti-lost product registered by the RFID information registration unit in association with the product name or product code, and the wireless terminal is lost When switching to the protection mode, the RFID detection holding unit for detecting the RFID information from at least one RFID tag attached to the product registered as the loss prevention target product by the user at regular intervals, RFID information detected through the RFID detection holding unit And register to the memory unit through the RFID information registration unit. Comparing the stored RFID information, and if the RFID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RFID information pre-registered in the memory unit is not detected through the RFID detection holding unit, the product processed in association with the RFID information registered in the memory unit; And an output unit for recognizing the loss of the product and outputting a loss warning of the product to the user based on a loss detection signal generated by the RFID detection determination unit to generate a loss warning signal of the product.
바람직하게, 상기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정보를 이용한 상품 분실방지용 무선 단말기는 무선 단말기의 소정의 모드 전환을 제어하는 모드 전환부와, 유 무선 네트워크 상의 서버와 연동하는 전송부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품 RFID 태그와 연동하는 수신부를 더 구비한다.
Preferably, the wireless terminal for preventing loss of goods using the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information includes a mode switching unit for controlling a predetermined mode switching of the wireless terminal, a transmission unit interworking with a server on a wired and wireless network, and at least one product RFID. The receiver further includes a receiver interworking with the tag.
모드 전환부는 상기 RFID 정보 등록부가 상기 분실 방지 대상 상품으로 등록하고자 하는 상품에 부착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RFID 태그내 저장된 소정의 RFID 정보를 무선 단말기내 메모리부에 등록시키는 과정에서, 상기 무선 단말기를 RFID 상품 정보 등록 모드로 전환시킨다.
The mode switching unit registers the predetermined RFID information stored in at least one RFID tag attached to a product to be registered as the loss prevention target product in a memory unit of the wireless terminal in the RFID information registration unit. Switch to the information registration mode.
또한, 상기 모드 전환부는 상기 RFID 검출 유지부가 일정 시간 간격으로 상기 사용자가 분실 방지 대상 상품으로 등록한 상품에 부착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RFID 태그로부터 RFID 정보를 검출하는 과정에서 상기 무선 단말기를 RFID 상품 분 실 방지 모드로 전환시킨다.
The mode switching unit may prevent the RFID terminal from being lost in the process of detecting the RFID information from at least one RFID tag attached to a product registered by the user as an anti-lost product at regular intervals. Switch to the mode.
전송부는 상기 RFID 감지 판단부에 의해 분실 여부가 판단된 상품을 대상으로, 상기 분실 상품의 RFID 정보와 상기 상품 명칭 또는 상품 코드를 상기 메모리부에서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상기 상품 명칭 또는 상품 코드 및/또는 상기 분실 상품의 소유자 정보(상기 무선 단말기 정보 또는 사용자 정보)를 유 무선 네트워크 상의 서버로 전송하여 분실 상품을 등록시킨다.
The transmitter extracts the RFID information and the product name or the product code of the lost product from the memory unit, targeting the product determined as lost by the RFID detection determination unit, and extracts the extracted product name or product code and And / or the owner information (the wireless terminal information or the user information) of the lost product is transmitted to a server on the wired / wireless network to register the lost product.
수신부는 상기 사용자가 분실 방지 대상 상품으로 등록하고자 하는 상품에 부착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RFID 태그로부터 소정의 RFID 정보를 수신한다.
The receiver receives predetermined RFID information from at least one RFID tag attached to a product that the user intends to register as a loss prevention target product.
한편, 상기 기술적 과제를 구현하기 위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전자 정보 관리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는 무선 단말기에서 사용자가 분실 방지 대상 상품으로 등록하고자 하는 상품에 부착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RFID 태그내 저장된 소정의 RFID 정보를 상기 무선단말기내 소정의 메모리부에 등록시키는 기능과, 상기 무선 단말기에서 일정 시간 간격으로 상기 사용자가 분실 방지 대상 상품으로 등록한 상품에 부착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RFID 태그로부터 RFID 정보를 검출하는 기능과, 상기 무선 단말기에서 상기 검출되는 RFID 정보와 상기 메모리부에 기 등록 저장된 RFID 정보를 비교하는 기능과, 상기 무선 단말기에서 상기 비교 결과 상기 메모리부에 기 등록된 RFID 정보에 대응하는 RFID 정보 검출되지 않는 경우, 상기 메모리부에 등록된 RFID 정보와 연계 처리된 상기 상품 이 분실되었음을 인지하고, 상기 상품의 분실 경고 신호를 생성하는 기능 및 상기 무선 단말기에서 상기 생성된 분실 경고 신호를 근거로 상기 상품의 분실 경고를 상기 사용자에게 출력시키는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전자 정보 관리 프로그램을 기록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implement the above technical problem, a recording medium recording an electronic information management program for realizing at least one or more functions is stored in at least one RFID tag attached to a product to be registered as a loss-proof product by the user in a wireless terminal. RFID information is detected from a function of registering predetermined RFID information in a predetermined memory unit in the wireless terminal, and at least one RFID tag attached to a product registered by the user as an anti-lost product at a predetermined time interval in the wireless terminal. A function of comparing the RFID information detected by the wireless terminal with RFID information pre-stored in the memory unit, and RFID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RFID information pre-registered in the memory unit as a result of the comparison in the wireless terminal. If not detected, the memory section Recognizing that the product processed in association with the registered RFID information is lost, and outputs a loss warning of the product to the user based on the function of generating a loss warning signal of the product and the generated loss warning signal in the wireless terminal And an electronic information management program for realizing the function of making the function.
바람직하게, 상기 기록매체는 상기 분실 방지 대상 상품의 RFID 정보 등록시, 상기 무선 단말기를 RFID 상품 정보 등록 모드로 전환시키는 기능과, 상기 분실 방지 대상 상품으로 등록한 상품에 부착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RFID 태그로부터 RFID 정보를 검출시, 상기 무선 단말기를 RFID 상품 정보 등록 모드로 전환시키는 기능 및, 상기 분실 상품의 RFID 정보와 상기 상품 명칭 또는 상품 코드와 상기 분실 상품의 소유자 정보(상기 무선 단말기 정보 또는 사용자 정보)를 유 무선 네트워크 상의 서버로 전송하는 기능을 더 실현하기 위한 전자 정보 관리 프로그램을 기록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Preferably, the recording medium has a function of switching the wireless terminal to the RFID product information registration mode when registering the RFID information of the anti-lost product, and at least one RFID tag attached to the product registered as the anti-lost product. The function of switching the wireless terminal to the RFID product information registration mode upon detecting the information; and the RFID information of the lost product, the product name or product code, and the owner information of the lost product (the wireless terminal information or the user information). And an electronic information management program for realizing a function of transmitting to a server on a wired / wireless network.
한편, 상기 기술적 과제를 구현하기 위한 무선 단말기를 이용한 상품 분실 방지 방법은 무선 단말기에서 사용자가 분실 방지 대상 상품으로 등록하고자 하는 상품에 부착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RFID 태그내 저장된 소정의 RFID 정보를 상기 무선단말기내 소정의 메모리부에 등록시키는 RFID 정보 등록단계(1)와, 상기 무선 단말기에서 일정 시간 간격으로 상기 사용자가 분실 방지 대상 상품으로 등록한 상품에 부착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RFID 태그로부터 RFID 정보를 검출하는 RFID정보 검출단계(2)와, 상기 무선 단말기에서 상기 검출되는 RFID 정보와 상기 메모리부에 기 등록 저장된 RFID 정보를 비교하는 단계(3)와, 상기 무선 단말기에서 상기 비교 결과 상기 메모리부에 기 등록된 RFID 정보에 대응하는 RFID 정보 검출되지 않는 경우, 상기 메모리부에 등록된 RFID 정보와 연계 처리된 상기 상품이 분실되었음을 인지하고, 상기 상품의 분실 경고 신호를 생성하는 상품 분실 판단단계(4) 및 상기 무선 단말기에서 상기 생성된 분실 경고 신호를 근거로 상기 상품의 분실 경고를 상기 사용자에게 출력시키는 분실 경고 출력단계(5)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On the other hand, the product loss prevention method using a wireless terminal for implementing the technical problem is a wireless terminal in the wireless terminal to the predetermined RFID information stored in at least one RFID tag attached to the product to be registered as a product to prevent loss of the wireless terminal RFID information registration step (1) to register in a predetermined memory unit and RFID for detecting RFID information from at least one RFID tag attached to a product registered by the user as a loss prevention target product at predetermined time intervals in the wireless terminal; An information detecting step (2), a step of comparing the detected RFID information with the RFID information pre-stored in the memory unit (3), and the pre-registered in the memory unit as a result of the comparison in the wireless terminal; If the RFID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RFID information is not detected, the RFID registered in the memory unit Recognizing that the product has been lost in connection with the security, the product loss determination step (4) for generating a loss warning signal of the product and the loss warning of the product based on the generated loss warning signal in the wireless terminal;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loss warning output step (5) to output to the user.
또한, 상기 단계(1)는 상기 무선 단말기를 RFID 상품 정보 등록 모드로 전환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step (1) preferably further comprises the step of switching the wireless terminal to the RFID product information registration mode.
또한, 상기 단계(2)는 상기 무선 단말기를 RFID 상품 정보 등록 모드로 전환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step (2) preferably further comprises the step of switching the wireless terminal to the RFID product information registration mode.
또한, 상기 단계(4)는 상기 분실 상품의 RFID 정보와 상기 상품 명칭 또는 상품 코드를 무선단말기를 상기 메모리부에서 추출하여 유 무선 네트워크 상의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4-1) 및 상기 서버에서 상기 분실 상품의 RFID 정보와 상기 상품 명칭 또는 상품 코드를 연계 처리하여 소정의 저장매체에 분실 상품으로 등록시키는 단계(4-2)를 더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In the step (4), the RFID information of the lost product and the product name or product code are extracted from the memory unit and transmitted to the server on the wired / wireless network (4-1), and the server transmits the RFID information. The method further includes a step (4-2) of registering the lost product as a lost product in a predetermined storage medium by interworking the RFID information of the lost product and the product name or the product code.
또한, 상기 단계(4)는 상기 분실 상품의 RFID 정보와 상기 상품 명칭 또는 상품 코드와 상기 분실 상품의 소유자 정보(상기 무선 단말기 정보 또는 사용자 정 보)를 유 무선 네트워크 상의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4-①) 및 상기 서버에서 상기 분실 상품의 RFID 정보와 상기 상품 명칭 또는 상품 코드와 상기 분실 상품의 소유자 정보(상기 무선 단말기 정보 또는 사용자 정보)를 연계 처리하여 소정의 저장매체에 저장하는 단계(4-②)를 더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step (4) is a step (4) of transmitting the RFID information of the lost product, the product name or product code and the owner information (the wireless terminal information or user information) of the lost product to the server on the wired / wireless network (4). And ① in the server, the RFID information of the lost product, the product name or product code, and the owner information (the wireless terminal information or the user information) of the lost product are interworked and stored in a predetermined storage medium (4). -②) is preferably further included.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대해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로 표기되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구체적인 구성소자 등과 같은 많은 특정사항들이 도시되어 있는데,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이러한 특정 사항들 없이도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음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First,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the elements of each drawing,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elem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much as possible even if they are shown in different drawings. In addition,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in order to expla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specific details such as specific elements are illustrated, which are provided to help a more general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acticed without these specific details.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또한, 본 발명에 보다 더 충실하도록 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취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업자 수준의 변경이나 변형이 있을 수 있음을 명기하는 바이다.
In addition, in order to be more faithful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noted that changes or modifications can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 단말기(100)의 블록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of a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방법을 따르는 도면1을 참조하면, 무선 단말기(100)는 제어부와 화면 출력부(130)와 스피커(145)와 키 입력부(125)와 RFID 수신부(150)과 전송부(140)와 메모리부(135)와 및 전원 공급을 위한 배터리(155)를 구비한다.
Referring to FIG. 1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제어부는 무선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 및 관리하는 단말기 운영 체제 및 단말기 제어 관리 프로그램과 무선 단말기 에이전트(Agent)들을 포함하며,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을 위해 RFID 정보 등록부(105)와, RFID 검출 유지부(110)와, RFID 감지 판단부(115) 및 모드 전환부(120)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한다.
The control unit includes a terminal operating system for controlling and managing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바람직하게, 상기 RFID 정보 등록부(105)와, RFID 검출 유지부(110)와, RFID 감지 판단부(115) 및 모드 전환부(120)는 상기 제어부 내에 소정의 프로그램으로 코딩되어 동작하거나 및/또는 제어부와 연계하는 소정의 모듈로써 존재할 수 있다.
Preferably, the RFID
제어부의 RFID 정보 등록부(105)는 RFID 수신부(150)와 연동함을 특징으로 하며, 무선 단말기(100) 내의 키 입력부(125)와 연동하여 상기 분실 방지 대상 상품(160)으로 등록하고자 하는 상품에 부착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RFID 태그내 저장된 소정의 RFID 정보를 수신한다.
RFID
예컨대, 상기 RFID 정보 등록부(105)는 프로그램화(예를 들어, 메뉴화 또는 메뉴구조) 된 RFID 상품 정보 등록 모드하에서 동작함을 특징으로 한다.
For example, the RFID
바람직하게, RFID 정보 등록부(105)는 유 무선 통신망, 및/또는 유선 케이블, 및/또는 근거리 통신망을 통해 상기 분실 방지 대상 상품(160)으로 등록하고자 하는 상품에 부착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RFID 태그내 저장된 소정의 RFID 정보를 수신하여 등록한다.
Preferably, the RFID
일례로, 무선 단말기 사용자가 본 발명에 따른 무선 단말기(100)를 이용하여, 본인이 평소 자주 소지하고 다니며 또한 분실의 우려가 있는 지갑과 다이어리의 RFID 태그로부터 RFID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무선 단말기(100)에 등록하는 것이다.
For example, a user of a wireless terminal uses the
제어부의 RFID 검출 유지부(110)는 상기 무선 단말기(100)의 분실 방지 모드 하에서 일정 시간 간격으로 상기 사용자가 분실 방지 대상 상품(160)으로 등록한 상품에 부착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RFID 태그로부터 RFID 정보를 검출한다.
The RFID detecting and holding unit 110 of the control unit receives RFID information from at least one RFID tag attached to a product registered by the user as the loss prevention target product 160 at a predetermined time interval under the loss prevention mode of the
상기 RFID 검출 유지부(110)가 분실 방지 모드 하에서 상기 사용자가 분실 방지 대상 상품으로 등록한 상품(160)에 부착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RFID 태그로부터 RFID 정보를 검출하기 위한 소정의 시간 간격은, 예컨대, 상기 상품 감지 모드 하에서 검출 유지부(110)가 검출하고자 하는 해당 RFID 태그 상품(RFID 정보)이 A, B, C, D의 4가지 일 때, 일반적으로 하나의 RFID 수신장치(무선 단말기)와 RFID 태그간의 RFID 통신 세션이 이루어지는 시간(예컨대, 0.01s~0.1s 등)을 고려하여, 상기 검출 유지부(110)가 상기 4가지 상품과의 RFID 통신을 완료하는 시간(예를 들어, 4×(0.01s~0.1s) 등)이상이 되어야 바람직하다.
A predetermined time interval for detecting the RFID information from the at least one RFID tag attached to the product 160 registered by the user as a loss prevention target product in the RFID detection holding unit 110 in the loss prevention mode is, for example, the In the product detection mode, when the corresponding RFID tag product (RFID information) to be detected by the detection holding unit 110 has four types of A, B, C, and D, a single RFID receiver and a RFID tag are generally used. In consideration of the time (eg, 0.01 s to 0.1 s) at which the RFID communication session is established, the time for the detection holding unit 110 to complete the RFID communication with the four products (for example, 4 × (0.01) s ~ 0.1s), etc.) is preferable.
또한, 상기 RFID 검출 유지부(110)가 적어도 하나 이상의 RFID 태그 상품(160)으로부터 RFID 정보를 검출하는 작업은 소정의 전력을 필요로 하며(예컨대, 수동형 태그인 경우), 본 발명을 구현하고자 함에 있어서, 상기 RFID 정보를 검출하는 작업에 소요되는 전력은 무선 단말기(100)의 배터리(155)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operation of detecting the RFID information from the at least one RFID tag product 160 by the RFID detection holding unit 110 requires a certain power (for example, in the case of a passive tag), to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o use the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따른 RFID 검출 유지 과정은 사용자가 감지 모드를 작동할 필요가 없는 장소(집, 사무실 등) 또는 시간(취침 시간, 수업 시간, 업무 시간 등) 등에 효용성 없는 동작으로 인해 소모되는 전력의 낭비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분실 방지 모드 하에서 동작함을 특징으로 한다.
Preferably, the RFID detection maintenance proces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sumed due to ineffective operation in a place (home, office, etc.) or time (bedtime, class time, work time, etc.) where the user does not need to operate the detection mode. In order to prevent waste of power,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operates under the loss prevention mode.
제어부의 RFID 감지 판단부(115)는 상기 RFID 검출 유지부(110)가 검출한 RFID 정보와 상기 무선 단말기 메모리에 기 등록된 RFID 정보를 비교하고, 상기 무선 단말기(100)에 등록된 RFID 정보가 검출되는지 확인하고, 상기 등록된 RFID 정보가 검출되지 않는 경우, 상기 RFID 정보를 갖는 RFID 태그 상품(160)의 감지 실패(예컨대, 분실 등)로 판단하여, 상기 상품의 분실로 판단되는 경우, 상품 분실에 대한 소정의 메시지 및/또는 경고음의 출력 명령을 제어부를 통해 화면 출력부(130) 및/또는 스피커(145)로 인가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The RFID detection determination unit 115 of the control unit compares the RFID information detected by the RFID detection holding unit 110 with the RFID information previously registered in the wireless terminal memory, and the RFID information registered in the
일례로, 상기 RFID 감지 판단부(115)가 등록된 RFID 정보와 동일한 RFID 정보가 검출되지 않아 상기 상품의 분실로 판단하는 경우는, 상기 RFID 태그 상품(160)이 무선 단말기(100)의 RFID 수신부(안테나)(150)와 데이터 통신 범위를 벗어난 경우에 해당하므로, 이는 사용자가 상기 RFID 태그 상품(160)을 이동중에 흘리는 경우 및/또는 탈 것(기차, 버스 등) 등에 놓고 내리는 경우 및/또는 누군가에 의해 도난당하는 경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the RFID detection determiner 115 determines that the product is lost because the same RFID information as the registered RFID information is not detected, the RFID tag product 160 is an RFID receiver of the
따라서, 상기 RFID 감지 판단부(115)는 무선 단말기(100)에 기 등록된 상품을 분실했다고 판단이 되는 즉시, 스피커(145)를 통해 소정의 경고음을 출력하거나 및/또는 무선 단말기 화면 상에 표시한다거나 및/또는 무선 단말기(100)의 계속적인 진동을 유지시킨다거나 하는 등의 메시지를 통해 사용자가 분실을 인지하도록 한다.
Therefore, the RFID detection determination unit 115 outputs a predetermined warning sound through the
제어부의 모드 전환부(120)는 상기 RFID 정보 등록부(105)를 통해 상기 분실 방지 대상 상품(160)으로 등록하고자 하는 상품에 부착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RFID 태그내 저장된 소정의 RFID 정보를 무선 단말기(100)내 메모리부(135)에 등록시키기 위하여, 상기 무선 단말기(100)를 RFID 상품 정보 등록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도록 RFID 상품 정보 등록 모드로 전환한다.
Mode switching unit 120 of the control unit via the RFID
상기 모드 전환부(120)는 상기 RFID 검출 유지부(110)가 일정 시간 간격으로 상기 사용자가 분실 방지 대상 상품(160)으로 등록한 상품에 부착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RFID 태그로부터 RFID 정보를 검출하기 위하여 상기 무선 단말기(100)를 RFID 상품 분실 방지 모드로 전환하도록 한다.
The mode switching unit 120 detects the RFID information from at least one RFID tag attached to a product registered by the user as the loss prevention target product 160 by the RFID detection holding unit 110 at predetermined time intervals. The
무선 단말기(100)의 화면 출력부(130)는 상기 RFID 감지 판단부(115)가 상기 무선 단말기(100)에 등록된 상품(160)의 분실을 인지한 경우, 소정의 상품 분실에 대한 메시지를 출력하도록 하여 상기 무선 단말기 사용자 유관으로 상품의 분실을 인지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The screen output unit 130 of the
일례로, 상기 화면 출력부(130)는 분실 상품의 RFID 정보를 근거로 분실된 상품의 상품 정보를 화면 출력하여, 상기 무선 단말기 사용자에게 해당 상품의 분실 정보를 보다 명확하게 전달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screen output unit 130 may output the product information of the lost product based on the RFID information of the lost product, and more clearly transmit the lost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product to the wireless terminal user.
무선 단말기(100)의 스피커(145)는 상기 RFID 감지 판단부(115)가 무선 단말기(100)에 등록된 상품의 감지 실패를 인지한 경우,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던 소정의 상품 감지 실패 경고음 또는 음성 메시지 등을 출력하도록 하여 상기 무선 단말기 사용자가 상기 경고음을 통해 즉각 상품의 분실 등을 인지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The
일례로, 상기 스피커(145)는 무선 단말기(100)가 상품의 분실을 판단한 경우, “앗, 내 지갑!!!”내지는 “주인님, 뭐 흘린거 없어요?”등의 음성 메시지나, 또는 싸이렌 등의 벨소리를 출력하도록 설정하였다면, 실제로 상기 상품을 분실하였을 때, 상기 음성 메시지 또는 벨소리를 출력함으로써, 사용자가 보다 효과적으로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For example, when the
무선 단말기(100)의 메모리부(135)는 무선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소정의 프로그램 코드와 상기 프로그램 코드에 의한 동작이 수행될 때 입/출력되는 데이터 등이 저장되는 공간 및/또는 저장 영역에 대한 포괄적 개념으로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읽기 전용 메모리(Read Only Memory)와 읽기/쓰기 메모리(예컨대, EEPROM(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등)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무선 단말기(100)와 연동하는 IC칩을 더 포함한다.
The memory unit 135 of the
바람직하게, 상기 메모리부(135)는 상품 분실 방지를 목적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RFID 태그 상품(160)으로부터 등록된 해당 RFID 정보를 저장함에 있어서, 상기 분실 방지 대상 상품의 RFID 정보를 상기 상품 명칭 또는 상기 상품 코드와 연계 처리하여 저장한다.
Preferably, the memory unit 135 stores the RFID information registered from the at least one RFID tag product 160 for the purpose of preventing the loss of the product, and stores the RFID information of the anti-lost object product or the product name. It is stored in association with the product code.
무선 단말기(100)의 키 입력부(125)는 다수의 숫자키(Number Key)와 문자를 입력할 수 있는 문자키(Character Key), 그리고 기능키(Function Key) 등을 구비하 고 있으며, 사용자가 소정의 키를 누를 때 해당되는 키 데이터(Key Data)를 발생하여 상기 제어부로 전달함을 특징으로 한다.
The key input unit 125 of the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분실 감지 모드 전환 작업은 키 입력부(125)로부터 입력되는 소정의 키 데이터(예컨대, 핫 키, 메뉴키 등)를 통해 수행 가능하다.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oss detection mode switching operation may be performed through predetermined key data (eg, a hot key, a menu key, etc.) input from the key input unit 125.
무선 단말기(100)의 RFID 수신부(15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RFID 태그 상품(160)으로부터 RFID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안테나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RFID 정보 등록부(105)와, RFID 검출 유지부(110)와 연동하여, 상기 RFID 태그 상품(160)과 무선 단말기(100) 간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수행한다.
The
무선 단말기(100)의 전송부(140)는 무선 통신을 통해 무선 단말기(100)와 이동 통신망 상의 기지국 사이에 송수신되는 무선 통신 구간의 무선 주파수(Radio Frequency: RF) 신호를 처리하는 기능을 포함한다.
The
바람직하게 상기 전송부(140)는 상기 RFID 감지 판단부(115)에 의해 분실 여부가 판단된 상품을 대상으로, 상기 분실 상품의 RFID 정보와 상기 상품 명칭 또는 상품 코드를 상기 메모리부(135)에서 추출하여 유 무선 네트워크 상의 서버(165)로 전송하거나 및/또는 상기 분실 상품의 소유자 정보(상기 무선 단말기 정보 또는 사용자 정보)를 상기 유 무선 네트워크 상의 서버(165)로 전송하여 상기 분실 상품을 등록시킨다.
Preferably, the
도면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 단말기(100)를 이용한 상품 분실 방지 과정에 대한 간단한 흐름도이다.
2 is a simple flowchart illustrating a product loss prevention process using the
도면2를 참조하면, RFID 태그를 포함하는 분실 방지 상품(160)에 대해, 상기 도면1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무선 단말기(100)를 이용하여 상기 분실 방지 상품(160)의 분실 방지를 목적으로 상기 분실 방지 상품(160)의 RFID 태그로부터 RFID 정보를 수신하여 무선 단말기(100) 내 메모리에 등록하고, 상품 분실 방지 모드 하에서, 상기 분실 방지 상품(160)에 대한 분실 방지 과정을 도시하고 하고 있다.
Referring to FIG. 2, the anti-lost product 160 including the RFID tag is used for the purpose of preventing the loss of the anti-lost product 160 using the
본 도면에 따르면, 분실방지 대상 상품(160)의 등록을 위한 소정의 초기화 작업으로써, 무선 단말기(100) 내의 모드 전환부(120)는 상기 무선 단말기(100)를 RFID 상품 정보 등록 모드로 전환한다(200).
According to this figure, as a predetermined initialization operation for registration of the loss prevention target product 160, the mode switching unit 120 in the
상기 RFID 상품 정보 등록 모드로의 전환은 본 발명에 따라 무선 단말기(100)에 구비된 RFID 수신부(150) 및 RFID 정보 등록부(105)의 기능 수행을 위한 소정의 초기화 작업이며, 무선 단말기(100)의 메모리에 상기 분실방지 대상 상품(160)의 RFID 태그로부터 획득되는 RFID 상품 정보를 저장할 수 있도록 대기하는 것을 의미한다.
The switch to the RFID product information registration mode is a predetermined initialization operation for performing the functions of the
무선 단말기(100)가 RFID 상품 정보를 저장할 수 있도록 RFID 상품 정보 등록 모드로 전환되면, 상기 무선 단말기(100)에 구비된 RFID 수신부(150)는 본 발명에 따른 분실 방지를 목적으로 RFID 태그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분실방지 대상 상품(160)으로부터 RFID 상품 정보를 수신한다(205).
When the
상기 RFID 수신부(150)가 분실방지를 원하는 RFID 태그 상품(분실방지 대상 상품)(160)으로부터 RFID 상품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무선 단말기(100)의 RFID 정보 등록부(105)는 상기 수신된 RFID 상품 정보를 무선 (100)내 소정의 메모리에 저장하여 등록하도록 한다(210).
When the
상기 무선 단말기(100)를 이용한 분실 방지 대상 상품(160)의 RFID 정보 등록 과정은 무선 단말기 메모리 등이 허여하는 한도 내에서 반복하여 다른 분실 방지 대상 상품을 등록할 수 있다(215).
In the RFID information registration process of the loss prevention target product 160 using the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RFID 상품 정보의 등록 과정은, 사용자가 무선 단말기(100)에 등록하기 원하는 RFID 태그 상품(160)을 접근시켜, 상기 무선 단말기(100)가 상기 RFID 태그 상품(160)으로부터 RFID 정보를 검출하여 등록하는 경우와, 사용자의 등록하기 원하는 RFID 태그 상품(160)의 정보(예컨대, 고유 코드 등)를 무선 단말기 키 조작 등을 통해 입력하여 등록하는 경우 및 결제 상품에 대한 정보를 가맹점 단말을 통해 무선 단말기(100)로 제공받거나(예컨 대, 근거리 통신 등을 이용하여), 또는 서버에서 결제 상품 정보를 상기 무선 단말기(100)로 제공하는(무선 인터넷, SMS, MMS 등을 통해) 경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gistration process of the RFID product information, the user wants to register the RFID tag product 160 to register in the
더 등록할 분실방지 대상 상품이 없거나, 또는 분실방지 대상 상품 등록과정을 수행하지 않으려고 한다면(220), 무선 단말기(100)의 메모리부(135)는 상기 수신된 분실방지 대상 상품(160)의 RFID 정보를 상기 상품의 명칭 및/또는 상품 코드와 연계 처리하여 메모리에 저장하고, 상기 무선 단말기(100)의 모드 전환부(120)는 상기 분실방지 대상 상품(160)의 RFID 정보 등록 모드를 종료한다(225).
If there is no loss prevention target product to be registered or if you do not want to perform the loss prevention target product registration process (220), the memory unit 135 of the
이 후, 상기 과정을 통해 무선 단말기(100)에 등록된 분실방지 대상 상품(160)에 대한 분실방지를 위하여, 상기 무선 단말기(100)의 모드 전환부(120)는 무선 단말기(100)의 분실 방지 모드로의 전환을 실시하고(230), 상기 무선 단말기(100)가 분실 방지 모드로 전환되면, 상기 무선 단말기(100)의 검출 유지부(110)는 일정 시간 주기로 상기 메모리에 등록된 분실방지 대상 상품(160)의 RFID 태그로부터 RFID 정보를 검출한다(235).
Thereafter, in order to prevent loss of the loss prevention target product 160 registered in the
상기 검출 유지부(110)를 통해 상기 등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RFID 태그 상품으(160)로부터 RFID 정보가 검출되면, 상기 무선 단말기(100)의 감지 판단부(115)는 상기 검출된 RFID 정보와 상기 등록된 RFID 정보를 비교하여(240), 상기 메모리부(135)에 기 등록된 RFID 정보에 대응하는 RFID 정보가 검출되는지 확인한다(245).
When RFID information is detected from the registered at least one RFID tag product 160 through the detection holding unit 110, the detection determining unit 115 of the
만약, 상기 무선 단말기 메모리부(135)에 기 등록된 RFID 정보들에 대응하는 모든 RFID 정보가 검출되었다면(250), 상기 무선 단말기(100)의 RFID 감지 판단부(115)는 분실된 상품이 없는 것으로 판단하며, 이 과정에서 상품 분실 방지 모드를 종료하지 않는 이상 상기 검출 및 판단 과정은 계속된다(255).
If all the RFID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RFID information pre-registered in the wireless terminal memory unit 135 is detected (250), the RFID detection determination unit 115 of the
반면에, 상품 분실 방지 모드를 사용할 필요가 없는 지역이거나 또는 상품 분실 방지 모드를 사용할 시간이 아니라면(260), 상품 분실방지 모드를 종료하도록 한다(265).
On the other hand, if the area does not need to use the product loss prevention mode or if it is not time to use the product loss prevention mode (260), the product loss prevention mode to end (265).
한편, 상기 RFID 태그 상품(160)들로부터 무선 단말기(100)에 등록된 모든 RFID 정보들 중 그에 대응하는 RFID 정보가 검출되지 않았다면(270), 상기 감지 판단부(115)는 상기 RFID 정보와 연계된 RFID 태그 상품(160)이 분실된 것으로 판단한다(275).
Meanwhile, if no RFID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ll of the RFID information registered in the
또한, 상기 감지 판단부(115)는 상기 상품 감지 실패(분실 등)에 대한 메시지 및/또는 경고음 출력하도록 명령하고(280), 상기 무선 단말기(100)의 화면 출력부(130) 및/또는 스피커(145)는 상기 상품 분실에 따른 분실 메시지 및/또는 경고음 출력함으로써, 해당 상품이 분실되었음을 사용자에게 통보하도록 한다(285).
In addition, the detection determining unit 115 instructs to output a message and / or a warning sound for the failure (such as loss) of the product detection (280), the screen output unit 130 and / or speaker of the
도면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간단한 개념도이다.
3 is a simple conceptual diagram of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도면은 본 발명에 따라 무선 단말기(100)의 상품 분실 방지 모드 하에서, 상기 분실 방지 등을 목적으로 무선 단말기(100)에 등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분실방지 대상 상품(160)에 대한 RFID 정보가 저장된 상기 무선 단말기 메모리와, 해당 RFID 태그 상품(분실방지 대상 상품)을 간단하게 도시함으로써,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간단한 개념을 나타내고 있는 예시도이다.
In the drawings, the RFID information of at least one or more anti-lost goods 160 registered in the
본 도면에 따르면, 무선 단말기 메모리에 상품 분실 방지를 목적으로 “RFID 태그 상품A”로부터 검출된 RFID 정보 “aaa1111”와, “RFID 태그 상품B”로부터 검출된 RFID 정보 “bbb2222”와, “RFID 태그 상품C”로부터 검출된 RFID 정보 “ccc3333”와, “RFID 태그 상품D”로부터 검출된 RFID 정보 “ddd4444” 내지는 “RFID 태그 상품J”로부터 검출된 RFID 정보 “jjj10101010”등이 저장되어 있다.
According to the figure, the RFID information “aaa1111” detected from the “RFID tag product A”, the RFID information “bbb2222” detected from the “RFID tag product B” and the “RFID tag” are detected in the wireless terminal memory to prevent the loss of the product. The RFID information "ccc3333" detected from the article C ", the RFID information" ddd4444 "detected from the" RFID tag article D ", the RFID information" jjj10101010 "detected from the" RFID tag article J ", etc. are stored.
본 발명에 따라, 상품 분실 방지 모드에서는 상기 무선 단말기(100)는 상기 “RFID 태그 상품A”와, “RFID 태그 상품B”와, “RFID 태그 상품C”와, “RFID 태그 상품D”와, ..., “RFID 태그 상품J”로부터 각 해당 RFID 정보를 검출하도록 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product loss prevention mode, the
상기 각 해당 RFID 정보를 검출하는 과정은 사용자가 식별할 수 없을 정도(동시에 일어나듯)의 순차적인 검출을 통해 이루어지며, 만약, 본 도면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RFID 태그 상품C”가 상기 무선 단말기(100)와의 소정의 데이터 통신 범위를 벗어나게 되는 경우, 상기 무선 단말기(100)는 상기 “RFID 태그 상품C”으로부터 RFID 정보(“ccc3333”)를 검출할 수 없게 된다.
The process of detecting each of the corresponding RFID information is performed through sequential detection of a degree that cannot be identified by the user (as occurs at the same time). If, as shown in the figure, "RFID tag product C" If it is out of a predetermined data communication range with the terminal 100, the
이 때, 상기 무선 단말기(100)는 기 등록된 “ccc3333”와 매칭되는 RFID 정보가 검출되지 않음을 확인하고, 이를 상기 “RFID 태그 상품C”의 분실로 판단하게 된다.
At this time, the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대해 상기 도면1의 무선 단말기 구조를 참조하여 기술한다.
Hereinafter,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wireless terminal structure of FIG.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는 RFID 정보를 이용한 상품 접근 제어용 무선 단말기(100)와 상기 무선 단말기(100)를 이용한 상품 접근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oduct access
상기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를 구현하기 위한 상품 접근 제어용 무선 단말기(100)는 사용자가 접근제어 대상 상품(160)으로 등록하고자 하는 상품에 부착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RFID 태그내 저장된 소정의 RFID 정보를 무선 단말기(100)내 메모리부(135)에 등록시키는 RFID 정보 등록부(105)와, 상기 RFID 정보 등록부(105)에 의해 등록되는 상기 접근제어 대상 상품(160)의 RFID 정보를 상기 상품 명칭 또는 상품 코드와 연계 처리하여 저장하는 메모리부(135)와, 상기 무선 단말기(100)가 접근제어 모드로 전환시, 일정 시간 간격으로 상기 사용자가 접근제어 대상 상품(160)으로 등록한 상품에 부착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RFID 태그로부터 RFID 정보를 검출하는 RFID 검출 유지부(110)와, 상기 RFID 검출 유지부(110)를 통해 검출된 RFID 정보와 상기 RFID 정보 등록부(105)를 통해 상기 메모리부(135)에 등록 저장된 RFID 정보를 비교하고, 상기 비교 결과 상기 메모리부(135)에 기 등록된 RFID 정보에 대응하는 RFID 정보가 상기 RFID 검출 유지부(110)를 통해 검출되는 경우, 상기 상품의 접근신호를 생성하는 RFID 감지 판단부(115) 및 상기 RFID 감지 판단부(115)에서 생성된 상품 접근신호를 근거로 상기 상품의 접근정보를 상기 사용자에게 출력시키는 출력부(화면 출력부, 스피커 등)를 구비한다.
The
바람직하게, 상기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정보를 이용한 상품 접근 제어용 무선 단말기(100)는 모드 전환부(120) 및 수신부(150)를 더 구비한다.
Preferably, the product access
모드 전환부(120)는 상기 RFID 정보 등록부(105)가 상기 접근제어 대상 상품(160)으로 등록하고자 하는 상품에 부착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RFID 태그내 저장된 소정의 RFID 정보를 무선 단말기(100)내 메모리부(135)에 등록시키는 과정에서, 상기 무선 단말기(100)를 RFID 상품 정보 등록 모드로 전환시키고, 또한, 상기 RFID 검출 유지부(110)가 일정 시간 간격으로 상기 사용자가 접근제어 대상 상품(160)으로 등록한 상품에 부착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RFID 태그로부터 RFID 정보를 검출하는 과정에서 상기 무선 단말기(100)를 RFID 상품 접근제어 모드로 전환 시킨다.
The mode switching unit 120 stores the predetermined RFID information stored in at least one RFID tag attached to a product to which the RFID
수신부(150)는 상기 무선 단말기 사용자가 접근제어 대상 상품(160)으로 등록하고자 하는 상품에 부착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RFID 태그로부터 소정의 RFID 정보를 수신한다.
The
바람직하게, 상기 무선 단말기(100)의 RFID 정보 등록부(105)는 상기 무선 단말기(100)의 키입력부(125)와 연동하여 상기 접근제어 대상 상품(160)으로 등록하고자 하는 상품에 부착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RFID 태그내 저장된 소정의 RFID 정보를 수신하고, 또한, 유 무선 통신망, 및/또는 유선 케이블, 및/또는 근거리 통신망을 통해 상기 접근제어 대상 상품(160)으로 등록하고자 하는 상품에 부착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RFID 태그내 저장된 소정의 RFID 정보를 수신한다.
Preferably, at least one RFID
바람직하게, 상기 무선 단말기(100)의 메모리부(135)는 IC칩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Preferably, the memory unit 135 of the
바람직하게, 상기 무선 단말기(100)의 출력부는 상기 상품의 접근 정보를 상기 사용자에게 소정의 메시지 또는 음으로 출력시키고, 또한, 상기 상품의 접근 정보를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무선 단말기 화면상에 디스플레이하여 출력시킴을 특징으로 한다.
Preferably, the output unit of the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대한 일례로, 사용자가 부피가 비교적 작은 물건 또는 아끼는 물건의 RFID 정보를 상기 무선 단말기(100)에 등록하였을 때, 그리고, 그 물건들을 어디에 두었는지 모르는 경우, 상기 RFID 검출 유지부(110)는 상기 물건이 RFID 통신 범위 내에 근접하였을 때, 상기 물건으로부터 RFID 정보를 검출하여 사용자에게 알림으로써, 사용자가 손쉽게 물건을 찾을 수 있도록 한다.
As an example of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user registers the RFID information of a relatively small object or a favorite object in the
또한, 상기 RFID 감지 판단부(115)는 사용자가 선택 또는 입력한 특정 상품에 대한 RFID 정보가 검출되는 경우, 상기 검출에 대한 소정의 메시지 및/또는 경고음의 출력 명령을 제어부를 통해 화면 출력부 및/또는 스피커로 인가하도록 하는 기능을 더 포함한다.
In addition, when RFID information regarding a specific product selected or input by a user is detected, the RFID detection determining unit 115 may output a predetermined message and / or a warning command for the detection through a control unit. And / or a function to apply to the speaker.
또한, 상기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라, 잃어버렸거나 보관 장소를 기억하지 못하는 물건의 경우(예컨대, 집안에서), 무선 단말기(100)를 통해 설정해 놓은 RFID 정보가 검출되면, “이런, 여기 있어군”, “찾았다” 등의 음성 메시지 또는 싸이렌 등의 벨소리를 출력함으로써, 사용자가 보다 효과적으로 인지할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case of an item that is lost or does not remember a storage place (for example, in a house), if RFID information set through the
한편, 상기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를 구현하기 위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전자 정보 관리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는 무선 단말기(100)에서 사용자가 접근제어 대상 상품으로 등록하고자 하는 상품에 부착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RFID 태그내 저장된 소정의 RFID 정보를 상기 무선 단 말기(100)내 소정의 메모리부(135)에 등록시키는 기능과, 상기 무선 단말기(100)에서 일정 시간 간격으로 상기 사용자가 접근제어 대상 상품(160)으로 등록한 상품에 부착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RFID 태그로부터 RFID 정보를 검출하는 기능과, 상기 무선 단말기(100)에서 상기 검출되는 RFID 정보와 상기 메모리부9135)에 기 등록 저장된 RFID 정보를 비교하는 기능과, 상기 무선 단말기(100)에서 상기 비교 결과 상기 메모리부(135)에 기 등록된 RFID 정보에 대응하는 RFID 정보 검출되는 경우, 상기 상품의 접근정보를 생성하는 기능 및 상기 무선 단말기(100)에서 상기 생성된 접근 정보를 상기 사용자에게 출력시키는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전자 정보 관리 프로그램을 기록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implement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recording medium recording an electronic information management program for realizing at least one or more functions is stored in a product to which a user wants to register as an access control target product in the
바람직하게, 상기 기록매체는 상기 접근제어 대상 상품(160)의 RFID 정보 등록시, 상기 무선 단말기(100)를 RFID 상품 정보 등록 모드로 전환시키는 기능 및 상기 접근제어 대상 상품(160)으로 등록한 상품에 부착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RFID 태그로부터 RFID 정보를 검출시, 상기 무선 단말기(100)를 RFID 상품 접근제어 모드로 전환시키는 기능을 더 실현하기 위한 전자 정보 관리 프로그램을 기록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Preferably, the recording medium has a function of switching the
한편, 상기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를 구현하기 위한 무선 단말기(100)를 이용한 상품 접근제어 방법은 무선 단말기(100)에서 사용자가 접근제어 대상 상품으로 등록하고자 하는 상품에 부착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RFID 태그내 저장된 소정의 RFID 정보를 상기 무선 단말기(100)내 소정의 메모리부(135)에 등록 시키는 RFID 정보 등록단계(a)와, 상기 무선 단말기(100)에서 일정 시간 간격으로 상기 사용자가 접근제어 대상 상품으로 등록한 상품에 부착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RFID 태그로부터 RFID 정보를 검출하는 RFID정보 검출단계(b)와, 상기 무선 단말기(100)에서 상기 검출되는 RFID 정보와 상기 메모리부(135)에 기 등록 저장된 RFID 정보를 비교하는 단계(c)와, 상기 무선 단말기(100)에서 상기 비교 결과 상기 메모리부(135)에 기 등록된 RFID 정보에 대응하는 RFID 정보 검출되는 경우, 상기 상품의 접근신호를 생성하는 상품 접근신호 생성단계(d) 및 상기 무선 단말기(100)에서 상기 생성된 접근신호를 상기 사용자에게 출력시키는 접근신호 출력단계(e)를 포함한다.
On the other hand, product access control method using a
바람직하게, 상기 단계(a)는 상기 무선 단말기(100)를 RFID 상품 정보 등록 모드로 전환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Preferably, the step (a) further comprises the step of switching the
바람직하게 상기 단계(b)는 상기 무선 단말기(100)를 RFID 상품 접근제어 모드로 전환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Preferably step (b) further comprises the step of switching the
도면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로써, 무선 단말기(100)를 이용한 상품 접근 제어 과정에 대한 간단한 흐름도이다.
4 is a simple flowchart of a product access control process using the
도면4를 참조하면, RFID 태그를 포함하는 접근제어 대상 상품(160)에 대해, 전술한 상품 접근 제어용 무선 단말기(100)를 이용하여 상기 접근제어 대상 상품(160)의 접근제어를 목적으로 상기 접근제어 대상 상품(160)의 RFID 태그로부터 RFID 정보를 수신하여 무선 단말기(100) 내 메모리(135)에 등록하고, 상품 접근 제어 모드 하에서, 상기 접근제어 대상 상품(160)에 대한 접근 제어 과정을 기술한다.
Referring to FIG. 4, the access control target product 160 including the RFID tag is accessed for the purpose of access control of the access control target product 160 using the above-described product access
도면4에 따른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는 무선 단말기(100) 내의 모드 전환부(120)를 통해 상기 무선 단말기가(100) 접근제어 대상 상품(160)의 등록 및 저장을 위한 RFID 상품 정보 등록 모드로 전환함으로 개시한다(400).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Figure 4 is the RFID product information registration for the registration and storage of the access control target product 160 by the
상기 무선 단말기(100)가 접근제어 대상 상품(160)의 RFID 상품 정보를 저장할 수 있도록 RFID 상품 정보 등록 모드로 전환되면, 상기 무선 단말기(100)에 구비된 RFID 수신부(150)는 상기 접근제어 대상 상품(160)의 RFID 태그로부터 RFID 상품 정보를 수신한다(405).
When the
상기 RFID 수신부(150)가 접근제어 대상 상품(160)으로부터 RFID 상품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무선 단말기(100)의 RFID 정보 등록부(105)는 상기 수신된 RFID 상품 정보를 무선 단말기(100) 내 소정의 메모리에 등록하고(410), 무선 단말기(100)의 메모리부(135)는 상기 수신된 접근제어 대상 상품(160)의 RFID 정보를 상기 상품의 명칭 및/또는 상품 코드와 연계 처리하여 메모리에 저장한다(415).
When the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접근제어 대상 상품(160)의 RFID 상품 정보의 등록 과정은, 사용자가 무선 단말기(100)에 접근제어 대상으로 등록하기 원하는 RFID 태그 상품(160)을 접근시켜, 상기 무선 단말기(100)가 상기 RFID 태그 상품(160)으로부터 RFID 정보를 검출하여 등록하는 경우와, 사용자의 등록하기 원하는 RFID 태그 상품(160)의 정보(예컨대, 고유 코드 등)를 무선 단말기 키 조작 등을 통해 입력하여 등록하는 경우 및 결제 상품에 대한 정보를 가맹점 단말을 통해 무선 단말기(100)로 제공받거나(예컨대, 근거리 통신 등을 이용하여), 또는 서버에서 결제 상품 정보를 상기 무선 단말기(100)로 제공하는(무선 인터넷, SMS, MMS 등을 통해) 경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gistration process of the RFID product information of the access control target product 160, the user wants to register the RFID tag product 160 to the
접근제어 상품에 대한 추가 등록이 없다면, 상기 무선 단말기(100)의 모드 전환부(120)는 상기 접근제어 대상 상품(160)의 RFID 정보 등록 모드를 종료한다(420).
If there is no additional registration for the access control product, the mode switching unit 120 of the
이 후, 상기 과정을 통해 무선 단말기(100)에 등록된 접근제어 대상 상품(160)을 분실하였거나 또는 상기 접근제어 대상 상품(160)의 둔 곳을 잊어버렸을 때, 상기 무선 단말기(100)의 모드 전환부(120)는 무선 단말기(100)를 상품 접근제어 모드로 전환하고(425), 상기 무선 단말기(100)의 검출 유지부(110)는 소정의 범위(예컨대, RFID 데이터 통신 범위) 내에서 일정 시간 주기로 임의의 RFID 태그 상품(160)으로부터 RFID 정보를 검출한다(430).
Thereafter, when the access control target product 160 registered in the
상기 검출 유지부(110)를 통해 상기 임의의 상품으로부터 RFID 정보가 검출 되면, 상기 무선 단말기(100)의 감지 판단부(115)는 상기 임의의 상품으로부터 검출된 RFID 정보와 상기 메모리에 기 등록된 접근제어 대상 RFID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메모리부(135)에 기 등록된 RFID 정보에 대응하는 RFID 정보가 검출되는지 확인한다(435).
When RFID information is detected from the arbitrary goods through the detection holding unit 110, the detection determining unit 115 of the
만약, 상기 비교결과, 상기 메모리부(135)에 기 등록된 RFID 정보에 대응하는 RFID 정보가 검출되지 않았다면(440), 상기 무선 단말기(100)는 상품 접근 제어 모드를 해제하지 않는 이상 상기 검출 및 확인 과정을 반복한다(445).
If, as a result of the comparison, the RFID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RFID information previously registered in the memory unit 135 is not detected (440), the
반면에, 상품 접근 제어 모드를 해제하고자 한다면(450), 상기 무선 단말기(100)의 모드 전환부(120)는 상기 상품 접근 제어 모드를 종료한다(455).
On the other hand, if you want to release the product access control mode (450), the mode switching unit 120 of the
한편, 상기 RFID 태그 상품들로부터 무선 단말기(100)에 등록된 모든 RFID 정보들 중 그에 대응하는 RFID 정보가 검출되지 되었다면(460), 상기 감지 판단부(115)는 등록된 RFID 정보에 대응하는 상품의 접근을 알리는 상품 접근신호를 생성하고(465), 무선 단말기(100)의 화면 출력부(130) 및/또는 스피커(145) 등을 통해 상기 상품의 접근을 알리는 접근신호(메시지 및/또는 경고음) 출력함으로써(470), 상기 사용자에게 해당 상품의 접근을 알린다.
On the other hand, if RFID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one of the RFID information registered in the
도면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간단한 개념도이다.
5 is a simple conceptual diagram of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라, 무선 단말기(100)의 상품 접근 제어 모드 하에서, 상품 접근 제어를 목적으로 무선 단말기(100)에 등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접근제어 대상 상품(160)에 대한 RFID 정보가 저장된 상기 무선 단말기 메모리와, 해당 접근제어 대상 RFID 태그 상품을 간단하게 도시하고 있다.
Referring to FIG. 5,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under the product access control mode of the
상기 도면4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무선 단말기 메모리에 상품 접근 제어를 목적으로 “RFID 태그 상품A”로부터 검출된 RFID 정보 “aaa1111”와, “RFID 태그 상품B”로부터 검출된 RFID 정보 “bbb2222”와, “RFID 태그 상품C”로부터 검출된 RFID 정보 “ccc3333”와, “RFID 태그 상품D”로부터 검출된 RFID 정보 “ddd4444” 내지는 “RFID 태그 상품J”로부터 검출된 RFID 정보 “jjj10101010”등이 저장되어 있다.
As described above in FIG. 4, the RFID information “aaa1111” detected from the “RFID tag product A” and the RFID information “bbb2222” detected from the “RFID tag product B” for the purpose of controlling the product access to the wireless terminal memory. RFID information “ccc3333” detected from “RFID tag product C” and RFID information “ddd4444” detected from “RFID tag product D” or RFID information “jjj10101010” detected from “RFID tag product J” are stored. have.
본 도면에 따라, 사용자가 상기 접근제어 대상으로 등록 상품중에 “RFID 태그 상품C”의 보관 장소 등을 기억하지 못하여, 본 발명에 따라 무선 단말기(100)를 이용하여 상기 “RFID 태그 상품C”를 찾고자 한다면, 사용자는 상기 “RFID 태그 상품C”를 상품 감지 모드 적용 상품으로 설정하고, 무선 단말기(100)와의 RFID 통신 범위 내에 상기 “RFID 태그 상품C”이 감지되어 상기 “RFID 태그 상품C”으로부터 RFID 정보(“ccc3333”)가 검출될 때까지 반복적으로 검출을 시도한다.
According to this figure, the user cannot remember the storage place of the "RFID tag product C" among the registered products for the access control object, and thus the "RFID tag product C" using the
따라서, 상기 무선 단말기(100)가 상기 “RFID 태그 상품C”에 근접하였을 때(RFID 통신범위 내로 근접하였을 때), 상기 무선 단말기(100)는 상기 “RFID 태그 상품C”로부터 RFID 정보(“ccc3333”)가 검출되면, 해당 상품의 접근을 알리는 소정의 출력(메시지 또는 벨 등)을 실시함으로써, 사용자가 해당 상품을 쉽게 찾을 수 있도록 한다.
Therefore, when the
도면6은 본 발명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간단한 흐름도이다.
6 is a simplified flowchart of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6을 참조하면, 상기 도면2의 과정을 통해 무선 단말기 메모리에 등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분실방지 대상 상품(160)의 분실방지 과정에 있어서, 해당 상품의 분실이 발생하였을 경우, 상기 무선 단말기(100)와 연동하는 무선 네트워크 상의 서버(165)(예컨대, 분실물 관리 서버 등)를 통해, 상기 분실된 상품(160)의 RFID 정보를 전달하여 상기 무선 단말기 고유 정보와 연계하여 저장하도록 함으로써, 차후 분실된 상품 등에 대한 습득을 용이하게 한다.
Referring to FIG. 6, in the loss prevention process of at least one or more anti-lost products 160 registered in the wireless terminal memory through the process of FIG. 2, when the corresponding product is lost, the
도면6을 참조하면, 상기 무선 단말기(100)의 전송부(140)는 무선 단말기(100)의 RFID 감지 판단부(115)에 의해 분실 여부가 판단된 상품을 대상으로, 상기 분실 상품의 RFID 정보와 상기 상품 명칭 또는 상품 코드를 상기 메모리부(135)에서 추출하여 유 무선 네트워크 상의 서버(165)로 전송하여 분실 상품을 등록시키거나 및/또는 상기 분실 상품의 소유자 정보(상기 무선 단말기 정보 또는 사용자 정보)를 상기 유 무선 네트워크 상의 서버(165)로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Referring to FIG. 6, the
전술한 도면2를 참조하여, 상기 무선 단말기(100)가 RFID 정보 검출 및 비교 등을 통해 해당 상품에 대한 분실여부를 판단하면(600), 상기 무선 단말기(100)는 상기 분실 정보의 제공을 위해 무선 네트워크 상의 분실물 관리 서버(165)와 통신 세션을 형성한다(605).
Referring to FIG. 2, when the
무선 단말기(100)와 상기 서버(165)가 소정의 통신 세션을 형성하면, 상기 무선 단말기(100)는 상기 분실로 판단되는 상품의 RFID 정보를 무선 단말기(100) 내 메모리에서 추출하고(610), 상기 통신 세션을 통해 무선 단말기 고유 정보와 상기 추출된 RFID 정보를 상기 서버(165)로 전송하도록 한다(615).
When the
상기 서버(165)는 무선 단말기(100)로부터 제공받은 상기 무선 단말기 고유 정보와 상기 분실 상품의 RFID 정보를 연계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면(620), 사용자는 상기 무선 단말기(100)를 통해 상기 서버(165)로 분실 상품에 대한 조회를 요청할 수 있으며, 상기 서버(165)는 상기 분실물 습득 시에 습득된 분실물의 RFID 정보를 읽고, 상기 RFID 정보와 연계되는 무선 단말기(100)(사용자)를 확인하여, 상기 무선 단말기(100)로 습득된 분실물에 대한 정보를 제공 가능하다(625).
When the
본 발명에 따르면, RFID 정보를 이용한 상품 분실방지용/접근제어용 무선 단말기 및 기록매체와 이를 이용한 상품 분실방지/접근제어 방법을 통해, 무선 단말 기에 소정의 상품에 대한 RFID 정보를 저장하여, 지하철이나 기타 사람들이 많은 공공장소 등에서, 상기 상품에 대한 분실 및 도난 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using the RFID information to prevent loss of goods / access control wireless terminal and recording medium and the loss of goods / access control method using the same, by storing the RFID information for a predetermined product in the wireless terminal device, subway or other In public places with many people,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loss and theft of the goods can be prevented in advance.
또한, 분실하였거나 찾기 힘든 작은 물건(예컨대, 반지 등)에 대하여, 상기 물건에 포함된 RFID 정보를 무선 단말기에 저장함으로써, 상기 무선 단말기와 상기 물건 간의 RFID 통신을 이용하여 손쉽게 해당 물건 등을 찾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by storing the RFID information included in the object in a wireless terminal for a small object (for example, a ring, etc.) that is lost or hard to find, the object and the like can be easily found by using the RFID communication between the wireless terminal and the object. There is an advantage.
Claims (31)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30071226A KR101016785B1 (en) | 2003-10-13 | 2003-10-13 | Product access control (or loss prevention) wireless terminal using RFID information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30071226A KR101016785B1 (en) | 2003-10-13 | 2003-10-13 | Product access control (or loss prevention) wireless terminal using RFID information |
Related Child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80100281A Division KR101016788B1 (en) | 2008-10-13 | 2008-10-13 | Wireless terminal for product access control using RFID information |
KR1020080100318A Division KR20080093962A (en) | 2008-10-13 | 2008-10-13 | Product access control method using wireless terminal |
KR1020080100304A Division KR101034815B1 (en) | 2008-10-13 | 2008-10-13 | How to prevent product loss using wireless terminal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50035953A KR20050035953A (en) | 2005-04-20 |
KR101016785B1 true KR101016785B1 (en) | 2011-02-25 |
Family
ID=372392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30071226A KR101016785B1 (en) | 2003-10-13 | 2003-10-13 | Product access control (or loss prevention) wireless terminal using RFID information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016785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35347B1 (en) * | 2005-08-17 | 2012-04-17 |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 System for grasping a location of handphone that is based on frequency identification and a method the same |
KR100782502B1 (en) * | 2006-03-09 | 2007-12-05 | 삼성전자주식회사 | Loss prevention method using personal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nd device and shoes with loss prevention function |
KR100734180B1 (en) * | 2006-04-19 | 2007-07-02 | 주식회사 하이온콥 |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goods in radio frequency recognition system |
KR100810623B1 (en) * | 2006-05-19 | 2008-03-12 | 주식회사 골든오일 |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system and program recording medium therefor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10000604A (en) * | 2000-10-09 | 2001-01-05 | 김준모 | Method and system for detecting original owner of an article via network |
KR200295365Y1 (en) * | 2002-08-09 | 2002-11-18 | (주) 세이프텔 | A warning device of the loss of wallet using RF ID |
-
2003
- 2003-10-13 KR KR1020030071226A patent/KR101016785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10000604A (en) * | 2000-10-09 | 2001-01-05 | 김준모 | Method and system for detecting original owner of an article via network |
KR200295365Y1 (en) * | 2002-08-09 | 2002-11-18 | (주) 세이프텔 | A warning device of the loss of wallet using RF ID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50035953A (en) | 2005-04-2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2246187B (en) | Method and system for item level uhf rfid tag with low frequency power assist | |
US8072314B1 (en) | Secondary card reader | |
EP1706841B1 (en) |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automated context information based selective data provision by identification means | |
EP1725977B1 (en) | Detector logic and radio identification device and method for enhancing terminal operations | |
US20140077944A1 (en) | Personal area mapping | |
KR100917718B1 (en) | Access control system and method using smart tag | |
US20070046439A1 (en) |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system with device for protecting privacy and method of operation | |
US20060244566A1 (en) | System for secure RFID transactions | |
US7256681B1 (en) | Asset tracking using wireless LAN infrastructure | |
US7232069B1 (en) | Methods and apparatus for disabling, enabling or setting the range of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devices | |
CN102301402A (en) | Access identification and control device | |
KR101034815B1 (en) | How to prevent product loss using wireless terminal | |
KR100793301B1 (en) | Parcel Delivery and Receipt System and Method using RF ID | |
KR101016785B1 (en) | Product access control (or loss prevention) wireless terminal using RFID information | |
GB2387744A (en) | Transponder alarm system | |
KR101016788B1 (en) | Wireless terminal for product access control using RFID information | |
US8868922B2 (en) | Wireless authorization mechanism for mobile devices and data thereon | |
KR20080093962A (en) | Product access control method using wireless terminal | |
WO2006056657A1 (en) | An anti-theft arrangement, method and program | |
KR20120119582A (en) | System of preventing loss of a thing using rfid and the method thereof | |
JP2006260238A (en) | Portable terminal and electronic tag for preventing reading of electronic tag | |
US20080246611A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the presence of rfid devices and modifying the same | |
JP5971278B2 (en) | Self-sounding product theft prevention system with wireless communication function | |
KR100734210B1 (en) |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with prop management function using RDF tag | |
KR100430475B1 (en) | Borrowing-return system of goods using of mobile phon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31013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7 | Divisional application |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081013 Patent event code: PA01071R01D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81013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31013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0051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01115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1021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1021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218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021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217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021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417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417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200217 Year of fee payment: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217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111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