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016549B1 - 복수의 만곡부를 포함하는 스트레이너 벽 구조체 및 그 스트레이너 벽 구조체의 제조방법 및 그 스트레이너 벽 구조체를 이용한 여과방법 - Google Patents

복수의 만곡부를 포함하는 스트레이너 벽 구조체 및 그 스트레이너 벽 구조체의 제조방법 및 그 스트레이너 벽 구조체를 이용한 여과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16549B1
KR101016549B1 KR1020100077639A KR20100077639A KR101016549B1 KR 101016549 B1 KR101016549 B1 KR 101016549B1 KR 1020100077639 A KR1020100077639 A KR 1020100077639A KR 20100077639 A KR20100077639 A KR 20100077639A KR 101016549 B1 KR101016549 B1 KR 1010165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filtration
wall structure
discharge
cooling wat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776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상열
김형택
김창현
이상원
우종인
Original Assignee
비에이치아이 주식회사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비에이치아이 주식회사,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비에이치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776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16549B1/ko
Priority to PCT/KR2010/005664 priority patent/WO2012020874A1/ko
Priority to JP2010195367A priority patent/JP5345112B2/ja
Priority to US12/875,182 priority patent/US8663469B2/en
Priority to CN2010102917676A priority patent/CN102371090A/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65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6549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01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with flat filtering elements
    • B01D29/03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with flat filtering elements self-supporting
    • B01D29/031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with flat filtering elements self-supporting with corrugated, folded filtering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5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with multiple filter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mutual disposition
    • B01D29/52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with multiple filter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mutual disposition in parallel connec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Structure Of Emergency Protection For Nuclear Reactors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동일한 길이 및 폭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더 큰 유효여과면적을 가질 수 있고, 흡입표면을 덮는 이물질 및 이물질의 통과 흐름저항을 실질적으로 더 낮출 수 있으며, 이와 상응하여 냉각수 통과 전후의 압력강하를 감소시킬 수 있는 복수의 만곡부를 포함하는 스트레이너 벽 구조체 및 그 스트레이너 벽 구조체의 제조방법 및 그 스트레이너 벽 구조체를 이용한 여과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복수의 만곡부를 포함하는 스트레이너 벽 구조체는, 냉각수가 유입되는 유입측과 여과된 냉각수가 배출되는 배출측을 구비하는 스트레이너 벽 구조체에 있어서, 상기 유입측과 배출측 방향은 개방부로 구비되는 몸체; 및 상기 몸체의 내부로 삽입되어지고, 복수의 여과구멍을 구비한 제1타공판을 엇갈리게 소정 간격마다 서로 반대방향으로 만곡하여 복수의 만곡부를 구비하는 제1여과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복수의 만곡부를 포함하는 스트레이너 벽 구조체 및 그 스트레이너 벽 구조체의 제조방법 및 그 스트레이너 벽 구조체를 이용한 여과방법{Strainer Wall Structure including Curved Sections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the Strainer Wall Structure and Filtering Method using the Strainer Wall Structure}
본 발명은 물이 순환되는 시스템이 필요한 장치에서, 장치의 고장이나 사고 발생 시에 발생하게 되는 이물질, 찌꺼기 등을 여과하기 위한 스트레이너 벽 구조체(일명 피동여과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원자력발전소에서 배관 파단 사고 발생 시에 비상노심냉각시스템(Emergency Core Cooling System : ECCS)의 동작으로 재순환펌프 가동 시 배관 및 재순환펌프 내로 흡입되는 유체에서 이물질을 제거하는데 사용되는 복수의 만곡부를 포함하는 스트레이너 벽 구조체 및 그 스트레이너 벽 구조체의 제조방법 및 그 스트레이너 벽 구조체를 이용한 여과방법에 관한 것이다.
원자력발전소의 원자로는 콘크리트 및 강철로 된 안전용기, 이른바 격납건물(Containment)로 둘러싸여 있으며, 냉각재가 순환하여 적정한 온도를 유지하도록 운영되고 있다. 또한 원자로에는 고장이나 사고 발생 시 원자로를 냉각하기 위한 비상노심냉각시스템이 구비되어 있다.
비상노심냉각시스템은 냉각재상실사고 등의 사고 발생 시 가동되어 원자로를 30일간 외부의 간섭 없이 냉각시키는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 비상노심냉각시스템은 배관 파단 사고 시 방출된 냉각재 및 살수된 물이 격납건물 내 최하부에 위치한 집수조(Sump)에 모이면 이 물을 재순환펌프를 이용해 격납건물 상부에서 살수하여 격납건물을 냉각시키고 일부는 잔열제거 펌프를 통해 원자로의 잔열을 제거하기 위해 원자로냉각계통으로 순환시키는 시스템이다.
원자력발전소 1차 계통에서 배관 등의 파손으로 냉각재상실사고가 발생하게 되면 냉각재 방출로 인해 보온재, 도장재 및 잠복이물질 등의 이물질이 발생한다. 또한 방출된 냉각재와 격납건물 살수시스템에서 살수되는 물이 전체 이물질을 원자로 격납건물 하단부에 위치한 재순환집수조로 이동시킨다. 따라서 이물질이 비상냉각시스템의 성능을 저해시키지 않도록, 이른바 여과장치가 비상냉각펌프로 안내되는 흡입관의 유입부 전방에 제공되게 된다.
고온, 고압의 배관 파단 시에는 보온재 및 도장재 파편 등의 이물질이 발생되어 집수조로 이동하게 되는데, 상기 여과장치는 집수조로 이동하는 이러한 이물질을 여과하여 재순환펌프에 여과된 물을 공급하고, 재순환펌프의 동작을 방해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여과장치는 사고로 인해 생긴 이물질이 걸러지도록 하는 동시에 물이 적당하게 통과될 수 있도록 보장한다. 이러한 경우 이물질로 인한 압력강하는 허용 가능한 임계값을 초과하지 않도록 보장되어야 한다.
가압경수로(Pressurized Water Reactor : PWR)형 원자력발전소에서 사용되는 종래의 여과스크린은, 단지 소형 스크린 표면만을 갖고 있고, 그 스크린 표면은 주로 편평한 그리드 세그먼트로 형성되어 있어, 섬유질 찌꺼기로 오염된 경우에 스크린 전후의 압력강하가 허용될 수 없을 정도로 크게 상승하게 된다.
그러나 단일면으로 된 여과장치는 강한 압력에 변형되기 쉽고, 단위부피당 유효여과면적이 작아 여과 효율이 좋지 않은 문제가 있다. 따라서 여과장치의 수를 늘려 사용할 수도 있으나 이를 설치하는 비용이 고가이므로 경제적이지 못한 문제가 있다. 따라서 단위부피당 여과면적을 증대할 수 있는 여과장치가 요구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동일한 길이 및 폭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더 큰 유효여과면적을 가질 수 있고, 흡입표면을 덮는 이물질 및 이물질의 통과 흐름저항을 실질적으로 더 낮출 수 있으며, 이와 상응하여 냉각수 통과 전후의 압력강하를 감소시킬 수 있는 복수의 만곡부를 포함하는 스트레이너 벽 구조체 및 그 스트레이너 벽 구조체의 제조방법 및 그 스트레이너 벽 구조체를 이용한 여과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작 및 설치 비용이 절감되어 여과장치 교체 설치 시 경제적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복수의 만곡부를 포함하는 스트레이너 벽 구조체 및 그 스트레이너 벽 구조체의 제조방법 및 그 스트레이너 벽 구조체를 이용한 여과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복수의 만곡부를 포함하는 스트레이너 벽 구조체는, 냉각수가 유입되는 유입측과 여과된 냉각수가 배출되는 배출측을 구비하는 스트레이너 벽 구조체에 있어서, 상기 유입측과 배출측 방향은 개방부로 구비되는 몸체; 및 상기 몸체의 내부로 삽입되어지고, 복수의 여과구멍을 구비한 제1타공판을 엇갈리게 소정 간격마다 서로 반대방향으로 만곡하여 복수의 만곡부를 구비하는 제1여과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여과판은, 상기 소정 간격마다 지그재그로 만곡되어, 유입측 방향으로 볼록하게 형성된 상기 만곡부와 배출측 방향으로 볼록하게 형성된 상기 만곡부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엇갈리게 형성되고, 상기 냉각수가 유입되는 유입공간과 여과된 상기 냉각수가 배출되는 배출공간이 서로 엇갈리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여과판은 복수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여과판들 사이 각각에 결합되고, 복수의 여과구멍을 구비한 제2타공판을 2단 절곡하여 형성된 제2여과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여과판과 상기 제2여과판으로 둘러싸인 공간은 상기 냉각수가 유입되는 흡입포켓과 여과된 상기 냉각수가 배출되는 배출포켓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여과판은 이중벽 구조로 구비되어 내부에 배출캠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흡입포켓에 상기 냉각수가 흡입되는 경우, 상기 냉각수를 5면이 둘러싸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여과구멍의 직경은 1~3mm 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몸체는, 측면에 구비되는 폐쇄면과 상부에 조립식으로 결합되는 상부판과 하부에 조립식으로 결합되는 하부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부판은 돌출부를 구비하여 상기 제2여과판 상단 각각과 형상맞춤되어 상부에 조립되고, 상기 하부판은 돌출부를 구비하여 상기 제2여과판 하단 각각과 형상맞춤되어 하부에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부판과 상기 하부판 각각을 상기 폐쇄면에 결합시켜 상기 제1여과판과 상기 제2여과판을 상기 몸체 내부에 고정시키는 결합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스트레이너 벽 구조체의 제조방법은, 소정 폭과 소정 길이를 갖고 복수의 여과구멍을 구비하는 제1타공판을 형성하고, 소정 간격마다 반대방향으로 엇갈리게 만곡하여 복수의 만곡부를 구비하는 제1여과판을 형성하는 단계; 냉각수의 유입측과 배출측이 개방부로 구비된 몸체 내부에 상기 제1여과판을 삽입하는 단계; 및 결합부재에 의해 상기 제1여과판을 상기 몸체 내부에 고정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여과판 형성단계에서, 상기 제1여과판을 상기 소정 간격마다 180°로 반대방향으로 만곡하여, 상기 유입측 방향으로 볼록하게 형성된 상기 만곡부와 상기 배출측 방향으로 볼록하게 형성된 상기 만곡부를 서로 엇갈리게 형성시키고, 상기 삽입단계에서, 상기 제1여과판은 상기 냉각수가 유입되는 유입공간과 여과된 상기 냉각수가 배출되는 배출공간이 서로 엇갈리게 상기 몸체 내부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여과판 형성단계에서, 상기 제1여과판은 복수로 형성되고, 상기 제1여과판 형성단계와 동시에 또는 형성단계 전 또는 후에, 복수의 여과구멍을 갖는 제2타공판을 2단 절곡하여 이중벽 구조를 갖고 내부에 배출캠을 갖는 제2여과판을 복수로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제1여과판 사이에 상기 제2여과판을 결합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삽입단계에서, 결합된 상기 제1여과판과 상기 제2여과판을 삽입하고, 상기 고정단계에서, 삽입된 상기 제1여과판과 상기 제2여과판을 상기 몸체 내부에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단계는, 상기 제2여과판과 결합한 제1여과판의 측면 각각에 폐쇄면을 결합하고, 상부판을 상기 제2여과판 상단 각각에 형상맞춤시켜 상부에 조립하고, 하부판을 상기 제2여과판 하단 각각에 형상맞춤시켜 하부에 조립시키는 단계; 및 상기 결합부재로 상기 상부판과 상기 하부판 각각을 상기 폐쇄면과 결합시켜 상기 몸체 내부에 상기 제1여과판과 상기 제2여과판을 고정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스트레이너 벽 구조체를 이용한 여과방법은, 상기 스트레이너 벽 구조체를 냉각수가 흐르는 통로에 설치하는 단계; 상기 냉각수가 유입측으로 유입되는 단계; 상기 냉각수가 제1여과판의 흡입포켓으로 유입되고, 상기 제1여과판의 상기 유입측 방향으로 볼록한 만곡부에 접하게 되고, 상기 제2여과판의 절곡면에 접하게 되는 단계; 및 상기 냉각수가 상기 제1여과판의 타공면과 상기 제2여과판의 이중벽에 의해 여과되어 배출측으로 배출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접하게 되는 단계에서, 상기 제1여과판의 흡입포켓으로 유입되는 냉각수는 상기 제1여과판의 타공면과 제2여과판의 상기 이중벽에 접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배출단계에서, 상기 제1여과판의 타공면에 접한 냉각수는 여과되어 배출측으로 배출되고, 상기 제2여과판의 이중벽에 접한 냉각수는 상기 제2여과판의 배출캠 내부로 여과되어 상기 배출측으로 배출되며, 상기 유입측 방향으로 볼록한 상기 만곡부에 접촉한 상기 냉각수는 배출포켓 내부로 여과되어 상기 배출측으로 배출되고, 상기 제2여과판의 상기 절곡면에 접촉한 상기 냉각수는 상기 배출캠 내부로 여과되어 상기 배출측으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스트레이너 벽 구조체에 의하면, 동일한 길이 및 폭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더 큰 유효여과면적을 가지게 된다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흡입표면을 덮는 찌꺼기 및 이물질의 통과 흐름저항을 실질적으로 더 낮추게 되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이에 상응하여 본 발명의 스트레이너 벽 구조체에 걸쳐 발생되는 압력강하가 이에 상응하여 감소되는 효과 또한 가지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타공판으로 이루어진 제1여과판, 제2여과판, 상부판, 하부판 및 폐쇄면들이 용접이 아닌 조립에 의해 형성되므로 유지 보수, 설치 작업이 쉽다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은 수개의 제1여과판이 서로 반대방향으로 볼록한 만곡부를 갖고, 이중벽 구조의 제2여과판이 결합되어 있어 로드되는 압력이 분산될 뿐만 아니라, 구조적 안정성이 높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조는 비교적 단순하고, 한 번의 공정으로 복수의 제1여과판을 동시에 생산할 수 있어 경제적이고, 단위시간당 유효여과면적을 증가할 수 있는 스트레이너 벽 구조체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트레이너 벽 구조체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트레이너 벽 구조체의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트레이너 벽 구조체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여과판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여과판의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2여과판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2개의 제1여과판과 1개의 제2여과판이 결합된 스트레이너 여과장치의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트레이너 벽 구조체의 제조방법을 보여주는 흐름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트레이너 벽 구조체를 이용한 냉각수 여과방법의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쉽게 실시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한다.
< 스트레이너 벽 구조체의 구성 및 구조>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트레이너 벽 구조체(10)의 구성 및 구조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트레이너 벽 구조체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트레이너 벽 구조체의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트레이너 벽 구조체의 분해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트레이너 벽 구조체(10)는 냉각수가 흐르는 통로에 설치되게 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트레이너 벽 구조체(10)는 냉각수가 유입되는 유입측(100)과 냉각수가 여과되어 배출되는 배출측(200)은 개방부로 구비되고, 측면에 결합되는 폐쇄면(320), 상부에 상부판(330), 하부에 하부판(340)을 구비하는 몸체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몸체 내부에는 제1여과판(400)과 제2여과판(500)을 포함하고 있다.
상부판(330)은 상부측으로 돌출된 돌출부(350)를 구비한다. 돌출부(350)의 폭은 제2여과판(500)의 폭과 일치한다. 그리고 상부판(330)에 형성된 돌출부(350)의 개수는 제2여과판(500)의 개수와 일치한다. 따라서 상부판(330)은 스트레이너 여과장치(600)의 제2여과판(500)에 형상 끼워맞춤이 가능한 구조를 갖고 있다.
하부판(340) 또한 상부판(330)과 동일한 구조로 형성되어 제2여과판(500)과 형상 끼워맞춤이 가능한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결합부재(700)는 상부판(330)을 측면에 구비된 폐쇄면(320)과 결합시키고, 하부판(340)을 폐쇄면(320)에 결합시키게 된다. 구체적 실시예에서 결합부재(700)는 양쪽 끝단에 나사가 형성된 고정핀(710)과 너트 등의 결합부재(720)로 구성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여과판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여과판의 측면도이다.
제1여과판(400)은 복수의 여과구멍(20)이 형성된 제1타공판을 만곡하여 형성된다. 소정의 폭(예에서는 80mm)과 길이를 갖는 제1타공판을 소정 간격(예에서는 300mm)마다 서로 엇갈리게 만곡하여 형성한다.
제1여과판(400)에 형성된 여과구멍(20)의 직경은 약 1~3mm 정도이고, 바람직하게는 2~2.5mm(구체적 실시예에서는 2.5mm)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 간격마다 지그재그로 서로 엇갈리게 만곡하여 복수의 만곡부(430,440)를 구비하게 된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화살표는 냉각수의 흐름방향을 나타낸 것이다.
제1여과판(400)은 서로 반대방향으로, 유입측 방향으로 볼록한 만곡부(430)와 배출측 방향으로 볼록한 만곡부(440)가 서로 엇갈리게 형성되어 있다.
유입측(100)에서 유입되는 냉각수는 유입공간(410)으로 유입되어 여과된 후, 배출측(200)으로 배출된다.
그리고 유입측(100) 방향으로 볼록한 만곡부(430)에 접한 냉각수는 제1여과판(400)에 의해 여과되어 배출공간(200)으로 유입되어 배출측(200)으로 배출될 수 있는 구조를 갖고 있다. 즉, 유입공간(410)과 배출공간(420)이 서로 엇갈려 형성되어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2여과판의 사시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 폭(구체적 실시예에서는 680mm)과 높이(구체적 실시예에서는 1060mm)를 갖고, 복수의 여과구멍(20)을 구비한 제2타공판을 2단 절곡하여 절곡면(530)과 이중벽(520)으로 구비된다. 즉, 제2여과판(500)은 이중벽(520) 구조로 형성된다.
냉각수는 제2여과판(500)의 절곡면(530)에 접하여 여과구멍(20)에 의해 여과되어 배출캠(510)으로 유입되어 배출측(200)으로 배출되게 된다. 제2여과판(500)에 형성된 여과구멍(20)의 직경은 약 1~3mm 정도이고, 바람직하게는 2~2.5mm(구체적 실시예에서는 2.5mm)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2개의 제1여과판과 1개의 제2여과판이 결합된 스트레이너 여과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여과판(500)의 이중벽(520) 측면 각각에 제1여과판(400)이 결합된다. 제1여과판(400)과 제2여과판(500)은 용접 또는 본딩 등에 의해 결합된다. 또는 끼워맞춤으로 결합될 수 있다.
제1여과판(400)과 제2여과판(500)이 결합된 구조는 제2여과판(500)의 양측에 냉각수가 유입되는 흡입포켓(610)과 여과된 냉각수가 배출되는 배출포켓(620)이 엇갈려 구비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흡입포켓(610)은 제1여과판(400)의 유입공간(410)과 제2여과판(500)의 이중벽(520)으로 둘러싸여 있다.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여과판(400)과 제2여과판(500)이 결합된 스트레이너 여과장치(600)는 몸체 내부로 삽입된다. 스트레이너 여과장치(600)를 구성하는 제1여과판(400)과 제2여과판(500)의 개수는 한정되지 않는다. 다만, 스트레이너 여과장치(600)의 제1여과판(400)이 n개로 구성되는 경우, 제2여과판(500)은 n-1개로 구성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체적 실시예에서는 4개의 제1여과판(400)과 3개의 제2여과판(500)을 포함한다. 스트레이너 벽 구조체(10)는 냉각수가 유입되는 흡입포켓(610)과 여과된 냉각수가 배출되는 배출포켓(620)이 엇갈려서 구비되어 있다. 흡입포켓(610)은 도 1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여과판(400)의 유입공간(410)과 제2여과판(500)의 이중벽(520)으로 둘러싸여 유입된 냉각수가 5면에 첩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또한 배출포켓(620)은 제1여과판(400)의 배출공간(420)과 제2여과판(500)의 이중벽(520)으로 둘러싸인 구조로 구비된다.
< 스트레이너 벽 구조체의 제조방법>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트레이너 벽 구조체(10)의 제조방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트레이너 벽 구조체의 제조방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기초판(구체적 실시예에서 두께는 3.2mm)을 레이저 빔 또는 드릴 등으로 타공하여, 복수의 여과구멍(20)(직경은 약 2~2.5mm)을 갖는 제1타공판을 제작하게 된다(S 10). 제1타공판을 소정 구간마다 절삭하여 소정의 폭(구체적 실시예에서 80mm)과 폭 길이보다 긴 길이를 갖는 복수의 제1타공판을 제작한다.
그리고 제1타공판에서 길이방향으로 소정 간격(구체적 실시예에서는 300mm)마다 지그재그로 엇갈리게 만곡하여 복수의 만곡부(430,440)를 구비한 제1여과판(400)을 형성하게 된다(S 20). 제작된 제1여과판(400)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유입측(100) 방향으로 볼록한 만곡부(430)와 배출측(200) 방향으로 볼록한 만곡부(440)가 서로 엇갈려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냉각수가 유입되는 유입공간(410)과 배출되는 배출공간(420)이 엇갈려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형성된 제1여과판(400)의 높이와 동일한 높이를 갖는 기초판을 준비하고, 기초판을 타공하여(여과구멍(20)의 직경은 약 2~2.5mm) 복수의 여과구멍(20)을 갖는 제2타공판을 제작한다. 제2타공판을 2단 절곡하여 이중벽(520)과 절곡면(530)을 갖는 제2여과판(500)을 형성하게 된다(S 30).
그리고 제2여과판(500)과 제1여과판(400)을 본딩이나 용접 또는 끼워맞춤에 의해 결합시켜 스트레이너 여과장치(600)를 제작하게 된다(S 40). 스트레이너 여과장치(600)는 제1여과판(400)과 제2여과판(500)이 엇갈려 결합된다. 제조된 스트레이너 여과장치(600)를 몸체에 삽입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트레이너 벽 구조체(10)를 완성하게 된다.
몸체는 측면에 구비되는 폐쇄면(320)과 상부판(330) 및 하부판(340)으로 구비되고, 조립식으로 결합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상부판(330)은 돌출부(350)를 구비하여 스트레이너 여과장치(600)의 제2여과판(500)의 상단과 형상 끼워맞춤에 의해 상부에 결합된다. 그리고 하부판(340) 역시 돌출부(350)를 구비하여 스트레이너 여과장치(600)의 제2여과판(500)의 하단과 형상 끼워맞춤에 의해 하부에 결합된다.
따라서 돌출부(350)의 폭과 제2여과판(500)의 폭은 일치하고, 상단부 및 하단부에 형성된 돌출부(350)의 개수는 스트레이너 여과장치(600)에 구비된 제2여과판(500)의 개수와 일치한다.
그리고 양쪽 측면에 폐쇄면(320)이 결합된다. 양측면 각각에 결합된 폐쇄면(320)은 상부판(330), 하부판(340) 각각과 결합부재(700)에 의해 결합된다. 결합부재(700)에 의해 폐쇄면(320)이 상부판(330)과 하부판(340)에 결합됨으로써 몸체 내부에 스트레이너 여과장치(600)가 고정되게 된다(S 50). 즉, 양끝단에 나사가 형성된 고정핀(710)이 폐쇄면(320) 일측과 상부판(330) 일측에 형성된 고정 홀에 삽입되고, 너트 등의 체결부재(720)에 의해 결합되게 된다. 또한 고정핀(710)이 폐쇄면(320) 일측과 하부판(340) 일측에 형성된 고정 홀에 삽입되어 체결부재(720)에 의해 결합되게 된다.
< 스트레이너 벽 구조체를 이용한 냉각수 여과방법>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트레이너 벽 구조체(10)를 이용한 냉각수 여과방법을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트레이너 벽 구조체를 이용한 냉각수 여과방법의 흐름도이다.
먼저, 앞서 설명한 구성을 갖고, 앞서 설명한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스트레이너 벽 구조체(10)를 냉각수가 흐르는 통로에 설치하게 된다(S 100).
유입측(100)에서 냉각수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트레이너 벽 구조체(10)로 유입되게 된다(S 200).
그리고 유입된 냉각수는 스트레이너 여과장치(600)의 흡입포켓(610)으로 유입된다. 흡입포켓(610)은 제1여과판(400)의 유입공간(410)과 제2여과판(500)의 이중벽(520)으로 둘러싸여 있다. 흡입포켓(610)으로 유입된 냉각수는 5면에 접하게 된다(S 300).
그리고 제1여과판(400)의 타공면에 의해 여과되어 배출측(200)으로 배출된다. 또는 흡입포켓(610)의 측면에 구비되는 제2여과판(500)의 이중벽(520)에 의해 여과되어 제2여과판(500)의 배출캠(510)으로 유입되어 배출될 수도 있다(S 400).
또는 유입측(100)으로 유입된 냉각수는 제1여과판(400)의 유입측 방향으로 볼록한 만곡부(430)에 접하게 된다. 유입측으로 볼록한 만곡부(430)에 접하게 된 냉각수는 타공면에 의해 여과되어 제1여과판(400)의 배출공간(420)으로 유입되어 배출측(200)으로 배출된다.
또는 유입측(100)으로 유입된 냉각수는 제2여과판(500)의 절곡면(530)에 접하게 된다. 제2여과판(500)의 절곡면(530)에 접하게 된 냉각수는 여과구멍(20)에 의해 여과되어 제2여과판(500)의 배출캠(510)으로 유입되어 배출측(200)으로 배출되게 된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에서 언급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 졌지만, 본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한 것은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수정 및 변형은 모두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자명하다.
10 : 스트레이너 벽 구조체 20 : 여과구멍
100 : 유입측 200 : 배출측
320 : 폐쇄면 330 : 상부판
340 : 하부판 350 : 돌출부
400 : 제1여과판 410 : 유입공간
420 : 배출공간 430 : 유입측 방향으로 볼록한 만곡부
440 : 배출측 방향으로 볼록한 만곡부 500 : 제2여과판
510 : 배출캠 520 : 이중벽
530 : 절곡면 600 : 스트레이너 여과장치
610 : 흡입포켓 620 : 배출포켓
700 : 결합부재 710 : 고정핀
720 : 체결부재

Claims (18)

  1. 냉각수가 유입되는 유입측과 여과된 냉각수가 배출되는 배출측을 구비하는 스트레이너 벽 구조체에 있어서,
    상기 유입측과 배출측 방향은 개방부로 구비되는 몸체;
    상기 몸체의 내부로 삽입되어지고, 복수의 여과구멍을 구비한 제1타공판이 소정 간격마다 지그재그로 만곡되어, 상기 유입측 방향으로 볼록하게 형성된 만곡부와 상기 배출측 방향으로 볼록하게 형성된 만곡부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엇갈리게 형성되고, 상기 냉각수가 유입되는 유입공간과 여과된 냉각수가 배출되는 배출공간이 서로 엇갈리게 구비되는 복수의 제1여과판; 및
    상기 복수의 제1여과판 사이 각각에 결합되고, 복수의 여과구멍을 구비한 제2타공판을 2단 절곡하여 형성된 제2여과판;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만곡부를 포함하는 스트레이너 벽 구조체.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여과판과 상기 제2여과판으로 둘러싸인 공간은 상기 냉각수가 유입되는 흡입포켓과 여과된 상기 냉각수가 배출되는 배출포켓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만곡부를 포함하는 스트레이너 벽 구조체.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여과판은 이중벽 구조로 구비되어 내부에 배출캠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만곡부를 포함하는 스트레이너 벽 구조체.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포켓에 상기 냉각수가 흡입되는 경우,
    상기 냉각수를 5면이 둘러싸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만곡부를 포함하는 스트레이너 벽 구조체.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구멍의 직경은 1~3mm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만곡부를 포함하는 스트레이너 벽 구조체.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측면에 구비되는 폐쇄면과 상부에 조립식으로 결합되는 상부판과 하부에 조립식으로 결합되는 하부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만곡부를 포함하는 스트레이너 벽 구조체.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판은 돌출부를 구비하여 상기 제2여과판 상단 각각과 형상맞춤되어 상부에 조립되고, 상기 하부판은 돌출부를 구비하여 상기 제2여과판 하단 각각과 형상맞춤되어 하부에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만곡부를 포함하는 스트레이너 벽 구조체.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판과 상기 하부판 각각을 상기 폐쇄면에 결합시켜 상기 제1여과판과 상기 제2여과판을 상기 몸체 내부에 고정시키는 결합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만곡부를 포함하는 스트레이너 벽 구조체.
  12. 소정 폭과 소정 길이를 갖고 복수의 여과구멍을 구비하는 제1타공판을 형성하고, 상기 제1타공판을 소정 간격마다 180°로 반대방향으로 만곡하여, 냉각수의 유입측 방향으로 볼록하게 형성된 복수의 만곡부와 상기 냉각수의 배출측 방향으로 볼록하게 형성된 복수의 만곡부가 서로 엇갈리게 형성된 제1여과판을 복수로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여과판 형성단계와 동시에 또는 형성단계 전 또는 후에, 복수의 여과구멍을 갖는 제2타공판을 2단 절곡하여 이중벽 구조를 갖고 내부에 배출캠을 갖는 제2여과판을 복수로 형성하는 단계;
    상기 냉각수의 유입측과 배출측이 개방부로 구비된 몸체 내부에 상기 냉각수가 유입되는 유입공간과 여과된 상기 냉각수가 배출되는 배출공간이 서로 엇갈리게 상기 제1여과판과 상기 제2여과판을 삽입하는 단계;
    상기 제1여과판과 상기 제2여과판을 결합부재에 의해 상기 몸체 내부에 고정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레이너 벽 구조체의 제조방법.
  13. 삭제
  14. 삭제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단계는,
    상기 제2여과판과 결합한 제1여과판의 측면 각각에 폐쇄면을 결합하고, 상부판을 상기 제2여과판 상단 각각에 형상맞춤시켜 상부에 조립하고, 하부판을 상기 제2여과판 하단 각각에 형상맞춤시켜 하부에 조립시키는 단계; 및
    상기 결합부재로 상기 상부판과 상기 하부판 각각을 상기 폐쇄면과 결합시켜 상기 몸체 내부에 상기 제1여과판과 상기 제2여과판을 고정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레이너 벽 구조체의 제조방법.
  16. 스트레이너 벽 구조체를 이용한 냉각수 여과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6항의 스트레이너 벽 구조체를 냉각수가 흐르는 통로에 설치하는 단계;
    상기 냉각수가 유입측으로 유입되는 단계;
    상기 냉각수가 제1여과판의 흡입포켓으로 유입되고, 상기 제1여과판의 상기 유입측 방향으로 볼록한 만곡부에 접하게 되고, 상기 제2여과판의 절곡면에 접하게 되는 단계; 및
    상기 냉각수가 상기 제1여과판의 타공면과 상기 제2여과판의 이중벽에 의해 여과되어 배출측으로 배출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레이너 벽 구조체를 이용한 여과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접하게 되는 단계에서,
    상기 제1여과판의 흡입포켓으로 유입되는 냉각수는 상기 제1여과판의 타공면과 제2여과판의 상기 이중벽에 접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레이너 벽 구조체를 이용한 여과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단계에서,
    상기 제1여과판의 타공면에 접한 냉각수는 여과되어 배출측으로 배출되고, 상기 제2여과판의 이중벽에 접한 냉각수는 상기 제2여과판의 배출캠 내부로 여과되어 상기 배출측으로 배출되며,
    상기 유입측 방향으로 볼록한 상기 만곡부에 접촉한 상기 냉각수는 배출포켓 내부로 여과되어 상기 배출측으로 배출되고, 상기 제2여과판의 상기 절곡면에 접촉한 상기 냉각수는 상기 배출캠 내부로 여과되어 상기 배출측으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레이너 벽 구조체를 이용한 여과방법.
KR1020100077639A 2010-08-12 2010-08-12 복수의 만곡부를 포함하는 스트레이너 벽 구조체 및 그 스트레이너 벽 구조체의 제조방법 및 그 스트레이너 벽 구조체를 이용한 여과방법 Expired - Fee Related KR1010165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7639A KR101016549B1 (ko) 2010-08-12 2010-08-12 복수의 만곡부를 포함하는 스트레이너 벽 구조체 및 그 스트레이너 벽 구조체의 제조방법 및 그 스트레이너 벽 구조체를 이용한 여과방법
PCT/KR2010/005664 WO2012020874A1 (ko) 2010-08-12 2010-08-24 복수의 만곡부를 포함하는 스트레이너 벽 구조체 및 그 스트레이너 벽 구조체의 제조방법 및 그 스트레이너 벽 구조체를 이용한 여과방법
JP2010195367A JP5345112B2 (ja) 2010-08-12 2010-09-01 複数の湾曲部を含むストレーナ壁構造体及びそのストレーナ壁構造体の製造方法並びにそのストレーナ壁構造体を利用した濾過方法
US12/875,182 US8663469B2 (en) 2010-08-12 2010-09-03 Strainer wall structure including curved sections
CN2010102917676A CN102371090A (zh) 2010-08-12 2010-09-26 过滤器壁结构及其制造方法和使用该结构的过滤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7639A KR101016549B1 (ko) 2010-08-12 2010-08-12 복수의 만곡부를 포함하는 스트레이너 벽 구조체 및 그 스트레이너 벽 구조체의 제조방법 및 그 스트레이너 벽 구조체를 이용한 여과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16549B1 true KR101016549B1 (ko) 2011-02-24

Family

ID=437777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77639A Expired - Fee Related KR101016549B1 (ko) 2010-08-12 2010-08-12 복수의 만곡부를 포함하는 스트레이너 벽 구조체 및 그 스트레이너 벽 구조체의 제조방법 및 그 스트레이너 벽 구조체를 이용한 여과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663469B2 (ko)
JP (1) JP5345112B2 (ko)
KR (1) KR101016549B1 (ko)
CN (1) CN102371090A (ko)
WO (1) WO201202087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0897B1 (ko) * 2010-06-07 2010-12-13 비에이치아이 주식회사 스트레이너 벽 구조체 및 그 스트레이너 벽 구조체를 이용한 여과방법 및 그 스트레이너 벽 구조체의 제조방법
KR101016549B1 (ko) * 2010-08-12 2011-02-24 비에이치아이 주식회사 복수의 만곡부를 포함하는 스트레이너 벽 구조체 및 그 스트레이너 벽 구조체의 제조방법 및 그 스트레이너 벽 구조체를 이용한 여과방법
KR101719863B1 (ko) * 2011-06-01 2017-04-04 트랜스코 프로덕츠 인코포레이티드 핵발전소의 비상 코어 냉각 시스템용 고성능 흡입 스트레이너
US8771509B2 (en) * 2012-04-03 2014-07-08 Institute Of Nuclear Energy Research Purifying device for sludge under water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CN103489491A (zh) * 2012-06-12 2014-01-01 中科华核电技术研究院有限公司 一种改变地坑碎片传输的装置
US9561454B2 (en) * 2012-10-09 2017-02-07 Ovivo Inc. Debris filter with splitter bar
CN105927321A (zh) * 2016-04-21 2016-09-07 北京高鑫伟业滤清器有限责任公司 过滤器
WO2018058152A2 (en) 2016-09-20 2018-03-29 Continuum Dynamic, Inc. Nuclear reactor using controlled debris to mitigate eccs strainer pressure head loss
AR113747A1 (es) * 2017-10-06 2020-06-10 Candu Energy Inc Método y aparato para filtrar fluidos en la generación de energía nuclear
CN108159756B (zh) * 2017-12-27 2021-06-08 中广核研究院有限公司 滞留篮及其过滤盘
US12320087B2 (en) * 2021-07-14 2025-06-03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Agriculture Submerged liquid intake strainer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0383B1 (ko) * 2006-05-02 2007-03-28 박병근 유체용 필터
KR100891702B1 (ko) * 2009-01-09 2009-04-03 선보공업주식회사 선박용 유체 여과 필터

Family Cites Families (4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751640C2 (de) * 1977-11-17 1987-04-02 Delbag-Luftfilter Gmbh, 1000 Berlin Austauschbares Filterelement zur Reinigung von mit toxischen oder radioaktiven Bestandteilen beladenen Luft- oder Gasströmen in kerntechnischen Anlagen und Verfahren zum Austausch und zur Beseitigung von volumenverringerbaren verseuchten Filterelementen in Abfallbehälter
US4376091A (en) * 1979-04-02 1983-03-08 Zurn Industries, Inc. Mechanical strainer unit
FR2488033A1 (fr) * 1980-07-31 1982-02-05 Framatome Sa Dispositif de protection des mecanismes de commande des grappes de controle pendant les essais d'un reacteur nucleaire
JPS5982984A (ja) * 1982-11-05 1984-05-14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復水器循環水系異物除去装置
FR2577345B1 (fr) * 1985-02-08 1989-09-22 Framatome Sa Dispositif de filtration d'un liquide en circulation dans le circuit de refroidissement d'un reacteur nucleaire et procede de fabrication de ce dispositif
US5080699A (en) * 1990-11-20 1992-01-14 Trion, Inc. Filter apparatus
SE501431C2 (sv) * 1992-12-04 1995-02-13 Vattenfall Utveckling Ab Sildon för filtrering av vatten till nödkylsystem i kärnkraftverk
US5483564A (en) * 1993-04-12 1996-01-09 General Electric Company Lower tie plate strainers including double corrugated strainers for boiling water reactors
US5390221A (en) * 1993-08-23 1995-02-14 General Electric Company Debris filters with flow bypass for boiling water reactors
US5345483A (en) * 1993-12-02 1994-09-06 General Electric Company Lower tie plate strainers having double plate with offset holes for boiling water reactors
JP2980224B2 (ja) * 1993-12-14 1999-11-22 宇部興産株式会社 除塵装置
SE502695C2 (sv) * 1994-04-20 1995-12-11 Vattenfall Utveckling Ab Silanordning för filtrering av vatten till nödkylsystem i kärnkraftverk
SE502761C2 (sv) * 1994-05-20 1996-01-08 Vattenfall Utveckling Ab Anordning för filtreting av vatten till nödkylsystem i kärnkraftverk
US5478469A (en) * 1994-08-08 1995-12-26 B & W Nuclear Technologies Filter assembly for cooling water in a nuclear reactor
US5696801A (en) * 1995-08-24 1997-12-09 Performance Contracting, Inc. Suction strainer with a internal core tube
US5688402A (en) * 1995-12-15 1997-11-18 General Electric Company Self-cleaning strainer
US5759399A (en) * 1997-01-08 1998-06-02 Continuum Dynamics, Inc. High capacity, low head loss, suction strainer for nuclear reactors
DE59609126D1 (de) * 1996-07-12 2002-05-29 Cci Ag Winterthur Saugsieb zum Abschirmen einer Eintrittsöffnung einer Saugleitung einer Pumpe
US5705054A (en) * 1996-08-08 1998-01-06 Imatran Voima Oy Filtering system
US5935439A (en) * 1997-02-19 1999-08-10 Performance Contracting, Inc. Suction system with end supported internal core tube suction strainers
US5815544A (en) * 1997-02-20 1998-09-29 Lefter; Jan D. Self-cleaning strainer
US5835549A (en) * 1997-03-06 1998-11-10 Combustion Engineering, Inc. BWR emergency core cooling system strainer
US6477220B1 (en) * 1998-02-10 2002-11-05 Westinghouse Electric Co. Llc Flexible penetration attachment for strainers
DE10123969C1 (de) * 2001-05-17 2002-11-07 Freudenberg Carl Kg Filteranordnung
US7282142B2 (en) * 2002-04-22 2007-10-16 Kraft Wayne J Fluid strainer assembly
EP1521625B1 (en) * 2002-07-11 2009-03-11 GEA BGR Energy System India Ltd. A debris filter with a rotating debris extractor
US20040206679A1 (en) * 2002-11-25 2004-10-21 Bleigh James M Strainer assembly
KR20060006838A (ko) * 2003-05-15 2006-01-19 콘티늄 다이나믹스 인코포레이션 개선된 자체-세정 스트레이너
ATE316413T1 (de) * 2004-01-29 2006-02-15 Cci Ag Schutzsieb zum abschirmen eines saugraums
EP1559468B1 (de) * 2004-01-29 2008-03-12 Cci Ag Siebwand zum Abschirmen eines Saugraums
JP2007537444A (ja) * 2004-05-14 2007-12-20 コンティニューム ダイナミクス,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輪郭付け構造の面を有する低水頭損失のモジュール式吸込ストレーナ
US7788867B2 (en) * 2004-10-13 2010-09-07 General Electric Company Floor tile debris interceptor and transition plenum in a nuclear power plant
US9672947B2 (en) * 2004-11-15 2017-06-06 Atomic Energy Of Canada Limited Finned strainer
US20070045166A1 (en) * 2005-08-26 2007-03-01 General Electric Company Compliant connector for ECCS strainer modules
US20070084782A1 (en) * 2005-10-05 2007-04-19 Enercon Services, Inc. Filter medium for strainers used in nuclear reactor emergency core cooling systems
US8054932B2 (en) * 2005-10-05 2011-11-08 Enercon Services, Inc. Filter medium for strainers used in nuclear reactor emergency core cooling systems
CN102861483B (zh) * 2007-02-26 2015-08-19 唐纳森公司 空气过滤装置;空气滤清器组件和方法
US7488426B1 (en) * 2008-01-23 2009-02-10 Sohail Zaiter Scalable immersed-filtration method and apparatus
KR20120107453A (ko) * 2009-06-23 2012-10-02 아토믹 에너지 오브 캐나다 리미티드 날개식 여과 요소
US9233324B2 (en) * 2009-10-13 2016-01-12 Control Components, Inc. Increased efficiency strainer system
KR101000897B1 (ko) * 2010-06-07 2010-12-13 비에이치아이 주식회사 스트레이너 벽 구조체 및 그 스트레이너 벽 구조체를 이용한 여과방법 및 그 스트레이너 벽 구조체의 제조방법
KR101025706B1 (ko) * 2010-08-12 2011-03-30 비에이치아이 주식회사 여과관을 포함하는 스트레이너 여과장치
KR101016549B1 (ko) * 2010-08-12 2011-02-24 비에이치아이 주식회사 복수의 만곡부를 포함하는 스트레이너 벽 구조체 및 그 스트레이너 벽 구조체의 제조방법 및 그 스트레이너 벽 구조체를 이용한 여과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0383B1 (ko) * 2006-05-02 2007-03-28 박병근 유체용 필터
KR100891702B1 (ko) * 2009-01-09 2009-04-03 선보공업주식회사 선박용 유체 여과 필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2040540A (ja) 2012-03-01
US20120037572A1 (en) 2012-02-16
US8663469B2 (en) 2014-03-04
JP5345112B2 (ja) 2013-11-20
WO2012020874A1 (ko) 2012-02-16
CN102371090A (zh) 2012-03-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16549B1 (ko) 복수의 만곡부를 포함하는 스트레이너 벽 구조체 및 그 스트레이너 벽 구조체의 제조방법 및 그 스트레이너 벽 구조체를 이용한 여과방법
KR101000897B1 (ko) 스트레이너 벽 구조체 및 그 스트레이너 벽 구조체를 이용한 여과방법 및 그 스트레이너 벽 구조체의 제조방법
KR101025706B1 (ko) 여과관을 포함하는 스트레이너 여과장치
JP5739489B2 (ja) 輪郭付け構造の面を有する低水頭損失のモジュール式吸込ストレーナ
EP2031599B1 (en) Debris shield for upper tie plate in a nuclear fuel bundle and method for filtering debris
TWI624841B (zh) 用於核能發電廠內緊急爐心冷卻系統之高容量吸濾器
US20070084782A1 (en) Filter medium for strainers used in nuclear reactor emergency core cooling systems
KR101910001B1 (ko) 날개식 여과 요소
US20110215059A1 (en) Filter medium for strainers used in nuclear reactor emergency core cooling systems
KR100707410B1 (ko) 흡입 공간을 차폐하는 스트레이너 벽 구조체
WO2012145020A1 (en) Multimodal debris trap
KR100684820B1 (ko) 흡입 공간을 차단하는 방호 스크린
CN201776019U (zh) 安全壳地坑过滤器的汇流槽结构及该安全壳地坑过滤器
JP2000284080A (ja) 沸騰水型原子炉用燃料集合体
RU2831044C1 (ru) Фильтру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защиты от мусора системы аварийного охлаждения водо-водяного ядерного реактора
CN210674453U (zh) 一种核电站专设安全系统盒式滤芯结构
KR101165383B1 (ko) 격자 조립체로 이루어진 여과장치
KR101165384B1 (ko) 격자 조립체로 이루어진 여과장치 및 그 조립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0812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00915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00812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011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1021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1021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1021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8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12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2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20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701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