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16079B1 - Elevator safety device - Google Patents
Elevator safety devic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016079B1 KR101016079B1 KR1020087014029A KR20087014029A KR101016079B1 KR 101016079 B1 KR101016079 B1 KR 101016079B1 KR 1020087014029 A KR1020087014029 A KR 1020087014029A KR 20087014029 A KR20087014029 A KR 20087014029A KR 101016079 B1 KR101016079 B1 KR 10101607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uxiliary brake
- rope
- car
- governor
- braking force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3028 elev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
- 230000002159 abnorm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06073 displacement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0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065—Roping
- B66B11/008—Roping with hoisting rope or cable operated by frictional engagement with a winding drum or sheave
- B66B11/009—Roping with hoisting rope or cable operated by frictional engagement with a winding drum or sheave with separate traction and suspension rop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16—Braking or catch devices operating between cars, cages, or skips and fixed guide elements or surfaces in hoistway or well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7/00—Other common features of elevators
- B66B7/06—Arrangements of ropes or cab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aintenance And Inspection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 Cage And Drive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엘리베이터는 승강로 내를 승강 가능한 엘리베이터 칸과, 엘리베이터 칸을 매다는 메인 로프와, 메인 로프가 감겨진 구동 쉬브를 포함하고 구동 쉬브의 회전에 의해 엘리베이터 칸을 승강시키는 권상기를 가지고 있다. 엘리베이터의 안전장치는 구동 쉬브의 회전을 제동하여 메인 로프에 제동력을 부여하기 위한 권상기 브레이크 장치, 엘리베이터 칸에 접속되어 메인 로프와 별체로 이루어진 보조 브레이크용 로프, 승강로의 상부에 설치되어 보조 브레이크용 로프가 감겨진 보조 브레이크용 풀리 및 보조 브레이크용 로프에 제동력을 부여하기 위한 보조 브레이크 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엘리베이터 칸은 권상기 브레이크 장치 및 보조 브레이크 장치의 각각의 동작에 의해, 메인 로프 및 보조 브레이크용 로프의 각각으로부터 제동력을 받고, 받은 제동력에 의해 제동된다.The elevator includes a hoist capable of elevating the inside of the hoistway, a main rope which suspends the car, and a drive sheave wound around the main rope, and has a hoist for lifting the car by the rotation of the drive sheave. An elevator safety device is a hoisting brake device for braking the rotation of the drive sheave to give a braking force to the main rope, an auxiliary brake rope connected to the elevator car, which is separate from the main rope, and installed at the upper part of the hoistway. And an auxiliary brake device for applying braking force to the auxiliary brake pulley and the auxiliary brake rope. The car receives the braking force from each of the main rope and the auxiliary brake rope by the respective operations of the hoisting brake device and the auxiliary brake device, and is braked by the received braking force.
Description
본 발명은 예를 들면 비상시에서의 엘리베이터 칸의 제동이나 엘리베이터 칸의 정지유지 등을 행하기 위한 엘리베이터의 안전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for example, an elevator safety device for braking a car or holding a car stopped in an emergency.
종래, 엘리베이터 칸을 매다는 메인 로프의 색인력(索引力 : rope traction)을 늘리기 위해서, 보조 브레이크를 디플렉션 쉬브에 설치한 엘리베이터가 제안되고 있다. 보조 브레이크는 권상기의 구동 쉬브에 장착된 브레이크에 연동한다(특허 문헌 1 참조).Conventionally, in order to increase the rope traction of the main rope which hangs a car, the elevator which provided the auxiliary brake to the deflection sheave is proposed. The auxiliary brakes interlock with the brakes mounted on the drive sheaves of the hoist (see Patent Document 1).
특허 문헌 1 : 일본국 특개평4-129988호 공보Patent Document 1: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4-129988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Problems to be Solved by the Invention
그러나, 디플렉션 쉬브에 대한 메인 로프의 접촉각은 구동 쉬브에 대한 메인 로프의 접촉각에 비해 작으므로, 보조 브레이크에 의한 메인 로프의 색인력의 증가는 작다. 따라서, 권상기의 브레이크나 보조 브레이크를 동작시켜 엘리베이터 칸을 정지시킬 때에 엘리베이터 칸의 적재 중량에 따라서는 메인 로프가 구동 쉬브나 디플렉션 쉬브에 대해서 미끄러져 버려, 엘리베이터 칸에 제동력이 확실히 전해지지 않는 일이 있다.However, since the contact angle of the main rope to the deflection sheave is small compared to the contact angle of the main rope to the drive sheave, the increase in the indexing force of the main rope by the auxiliary brake is small. Therefore, when the brake of the hoisting machine or the auxiliary brake is operated to stop the car, the main rope slides with respect to the driving sheave or the deflection sheave depending on the loading weight of the car, and the braking force is not transmitted to the car firmly. There is this.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엘리베이터 칸에 제동력을 보다 확실히 부여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의 안전장치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is invention is made | formed in order to solve the above subjects, and an object of this invention is to obtain the safety device of the elevator which can provide a braking force to a car more reliably.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Means for solving the problem
본 발명에 관한 엘리베이터의 안전장치는 승강로 내를 승강 가능한 엘리베이터 칸과, 엘리베이터 칸을 매다는 메인 로프와, 메인 로프가 감겨진 구동 쉬브를 포함하여 구동 쉬브의 회전에 의해 엘리베이터 칸을 승강시키는 권상기를 가지는 엘리베이터에 설치된 엘리베이터의 안전장치로서, 구동 쉬브의 회전을 제동하여 메인 로프에 제동력을 부여하기 위한 권상기 브레이크 장치, 엘리베이터 칸에 접속되고, 메인 로프와 별체로 이루어진 보조 브레이크용 로프, 승강로의 상부에 설치되고, 보조 브레이크용 로프가 감겨진 보조 브레이크용 풀리 및 보조 브레이크용 로프에 제동력을 부여하기 위한 보조 브레이크 장치를 구비하고, 엘리베이터 칸은 권상기 브레이크 장치 및 보조 브레이크 장치의 각각의 동작에 의해 메인 로프 및 보조 브레이크용 로프의 각각으로부터 제동력을 받으며, 받은 제동력에 의해 직접 제동된다.The safety device of an elev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ist capable of elevating an elevator car by rotation of a drive sheave including an elevator car capable of elevating the hoistway, a main rope for hanging the car, and a drive sheave wound with the main rope. An elevator safety device installed in an elevator, including a hoisting brake device for braking rotation of a drive sheave to give a braking force to a main rope, an auxiliary brake rope formed separately from the main rope, and an upper part of a hoistway. And an auxiliary brake device for imparting braking force to the auxiliary brake pulley on which the auxiliary brake rope is wound and the auxiliary brake rope, wherein the car is provided with the main rope and the respective by the operation of the hoisting brake device and the auxiliary brake device. Auxiliary brake rope It receives the braking force from each of and is directly braked by the braking force receive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의한 엘리베이터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1 is a side view showing an elevator according to
도 2는 도 1의 보조 브레이크 장치를 나타내는 확대도이다.FIG. 2 is an enlarged view illustrating the auxiliary brake device of FIG. 1. FIG.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의한 엘리베이터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It is a side view which shows the elevator by Embodiment 2 of this invention.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형태>BEST MODE FOR CARRYING OUT THE INVENTION [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EMBODIMENT OF THE INVENTION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i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drawings.
실시 형태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의한 엘리베이터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에 있어서, 승강로(1) 내에는 한 쌍의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 및 한 쌍의 균형추 가이드 레일(3)이 각각 설치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칸(4)은 각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에 안내되면서 승강로(1) 내를 승강한다. 균형추(5)는 각 균형추 가이드 레일(3)에 안내되면서 승강로(1) 내를 승강한다.1 is a side view showing an elevator according to
승강로(1)의 상부에는 기계실(6)이 설치되어 있다. 기계실(6) 내에는 엘리베이터 칸(4) 및 균형추(5)를 승강시키기 위한 권상기(구동장치)(7)와 디플렉션 쉬브(8)가 설치되어 있다. 권상기(7)는 모터를 포함한 권상기 본체(9)와, 권상기 본체(9)에 의해 회전되는 구동 쉬브(10)를 가지고 있다.The
구동 쉬브(10) 및 디플렉션 쉬브(8)에는 복수 개의 메인 로프(11)가 감겨져 있다. 각 메인 로프(11)의 일단부는 엘리베이터 칸(4)에 접속되고, 각 메인 로프(11)의 타단부는 균형추(5)에 접속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칸(4) 및 균형추(5)는 각 메인 로프(11)에 의해 매달려 있다. 엘리베이터 칸(4) 및 균형추(5)는 구동 쉬브(10)의 회전에 의해 승강된다.A plurality of
권상기(7)에는 구동 쉬브(10)의 회전을 제동하기 위한 권상기 브레이크 장치(12)가 설치되어 있다. 권상기 브레이크 장치(12)는 구동 쉬브(10)와 일체로 회전되는 회전체와, 회전체에 접리(接離) 가능한 제동체와, 회전체에 접리하는 방향 으로 제동체를 변위시키는 브레이크 구동부를 가지고 있다(모두 도시하지 않음). 구동 쉬브(10)의 회전은 제동체가 회전체에 접촉하는 것에 의해 제동된다. 메인 로프(11)에는 구동 쉬브(10)의 회전이 제동되는 것에 의해 제동력이 부여된다. 또, 권상기 브레이크 장치(12)에 의해 구동 쉬브(10)에 부여되는 제동력은 제동체가 회전체로부터 떨어지는 것에 의해 해제된다.The
엘리베이터 칸(4)은 엘리베이터 칸 출입구(13)가 설치된 엘리베이터 칸 실(14)과 엘리베이터 칸 실(14)을 둘러싸는 엘리베이터 칸 프레임(15)을 가지고 있다. 엘리베이터 칸 프레임(15)은 엘리베이터 칸 실(14)이 실린 하부 프레임(16)과, 엘리베이터 칸 실(14)의 위쪽에 배치된 상부 프레임(17)과, 하부 프레임(16) 및 상부 프레임(17)의 양단부문을 잇는 한 쌍의 세로 프레임(18)을 가지고 있다. 각 메인 로프(11)의 일단부는 상부 프레임(17)에 접속되어 있다.The
하부 프레임(16)(즉, 엘리베이터 칸(4)의 하부)에는 엘리베이터 칸(4)의 낙하를 저지하기 위한 비상 멈춤 장치(19)가 설치되어 있다. 비상 멈춤 장치(19)는 하부 프레임(16)에 고정된 그리퍼(gripper)와, 그리퍼에 대해서 변위 가능한 쐐기를 가지고 있다(모두 도시하지 않음). 비상 멈춤 장치(19)는 쐐기가 그리퍼와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과의 사이에 물려 들어가는 것에 의해 동작된다. 엘리베이터 칸(4)의 낙하는 비상 멈춤 장치(19)의 동작에 의해 저지된다.In the lower frame 16 (that is, the lower part of the car 4), an
기계실(6) 내에는 엘리베이터 칸(4)의 속도가 비정상으로 되었을 때에 비상 멈춤 장치(19)를 동작시키기 위한 조속기(調速機)(도시하지 않음)가 설치되어 있다. 조속기는 엘리베이터 칸(4)과 함께 이동되는 조속기 로프(도시하지 않음)가 감 겨진 조속기 풀리(도시하지 않음)를 가지고 있다. 조속기 풀리는 엘리베이터 칸(4)의 이동에 따른 속도로 회전된다.In the
조속기 로프는 비상 멈춤 장치(19)에 설치된 조작 레버(도시하지 않음)에 접속되어 있다. 즉, 조속기 로프는 조작 레버(도시하지 않음)를 통하여 비상 멈춤 장치(19)에 연결되어 있다. 또, 조속기 로프는 엘리베이터 칸(4)의 속도가 비정상으로 되었을 때에 조속기에 의해 파지된다. 조속기에 의한 조속기 로프의 파지에 의해 조작 레버가 조작되어 비상 멈춤 장치(19)가 동작된다.The governor rope is connected to an operation lever (not shown) provided in the
또, 기계실(6) 내에는 수평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보조 브레이크용 풀리(상부 풀리)(20)가 설치되어 있다. 디플렉션 쉬브(8), 구동 쉬브(10) 및 보조 브레이크용 풀리(20)는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또, 권상기(7), 디플렉션 쉬브(8) 및 보조 브레이크용 풀리(20)는 기계실(6) 내에 고정된 공통의 기계대(21)에 지지되어 있다.Moreover, in the
보조 브레이크용 풀리(20)에는 엘리베이터 칸(4)과 함께 이동되는 보조 브레이크용 로프(22)가 감겨져 있다. 이것에 의해, 보조 브레이크용 풀리(20)는 엘리베이터 칸(4)의 이동에 따른 속도로 회전된다. 보조 브레이크용 로프(22)는 각 메인 로프(11)와는 별체로 되어 있다.The
승강로(1) 내의 하부에는 보조 브레이크용 로프(22)에 장력을 부여하기 위한 보조 브레이크용 텐션 쉬브(하부 풀리)(23)가 설치되어 있다. 보조 브레이크용 텐션 쉬브(23)는 수평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 보조 브레이크용 텐션 쉬브(23)는 한쪽의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에 대해서 회동 가능한 회동 암(24)의 선단부에 설치되어 있다. 보조 브레이크용 텐션 쉬브(23)는 회동 암(24)의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에 대한 회동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변위된다.An auxiliary brake tension sheave (lower pulley) 23 is provided at the lower part of the
보조 브레이크용 로프(22)의 일단부(22a) 및 타단부(22b)는 상부 프레임(17)에 직접 접속되어 있다. 즉, 보조 브레이크용 로프(22)는 비상 멈춤 장치(19)를 피하여 엘리베이터 칸(4)에 접속되어 있다. 보조 브레이크용 로프(22)는 일단부(22a)로부터 보조 브레이크용 풀리(20) 및 보조 브레이크용 텐션 쉬브(23)의 순서로 감겨져 타단부(22b)에 이르러 있다.One
또, 기계대(21)에는 보조 브레이크용 로프(22)에 제동력을 부여하기 위한 보조 브레이크 장치(25)가 지지되어 있다. 이 예에서는, 보조 브레이크 장치(25)는 보조 브레이크용 로프(22)의 보조 브레이크용 풀리(20)와 일단부(22a)와의 사이의 부분에 배치되어 있다.The machine table 21 is supported with an
또한, 엘리베이터의 운전은 도시하지 않은 제어장치에 의해 제어된다. 권상기 브레이크 장치(12) 및 보조 브레이크 장치(25)는 제어장치의 제어에 의해 서로 연동하여 동작된다. 제어장치는 통상의 정지 위치에 엘리베이터 칸(4)을 유지할(엘리베이터 칸(4)의 정지유지를 행한다) 때나 엘리베이터 칸(4)을 비상 정지시키는(비상시에서의 엘리베이터 칸(4)의 제동을 행한다) 때에 권상기 브레이크 장치(12) 및 보조 브레이크 장치(25)를 동작시켜 엘리베이터 칸(4)에 제동력을 부여한다. 즉, 엘리베이터 칸(4)은 권상기 브레이크 장치(12) 및 보조 브레이크 장치(25)의 각각의 동작에 의해, 각 메인 로프(11) 및 보조 브레이크용 로프(22)의 각각으로부터 제동력을 받고, 받은 제동력에 의해 직접 제동된다.In addition, operation of an elevator is controlled by the control apparatus which is not shown in figure. The hoisting
도 2는 도 1의 보조 브레이크 장치(25)를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도에 있어서, 보조 브레이크 장치(25)는 보조 브레이크용 로프(22)를 파지하기 위한 로프 파지부(26)와, 로프 파지부(26)를 동작시키는 파지부 구동부(27)를 가지고 있다.FIG. 2 is an enlarged view illustrating the
로프 파지부(26)는 기계대(21)에 대해서 고정된 받이부(28)와, 받이부(28)에 대해서 변위 가능한 변위부(29)를 가지고 있다. 변위부(29)는 받이부(28)와의 사이에서 보조 브레이크용 로프(22)를 파지하는 파지 위치와, 파지 위치보다 받이부(28)로부터 떨어진 해제 위치와의 사이에 변위 가능하게 되어 있다. 보조 브레이크용 로프(22)에는 변위부(29)가 파지 위치로 변위되는 것에 의해 제동력이 부여된다. 또, 보조 브레이크용 로프(22)에 부여되는 제동력은 변위부(29)가 파지 위치로부터 어긋나는 것에 의해 해제된다.The
변위부(29)는 회동체(30)를 통하여 파지부 구동부(27)에 설치되어 있다. 회동체(30)는 파지부 구동부(27)에 의해 회동된다. 변위부(29)는 파지부 구동부(27)에 의한 회동체(30)의 회동에 의해, 파지 위치와 해제 위치와의 사이가 변위된다. 또한, 받이부(28)에는 변위부(29)를 파지 위치로 유지하기 위한 규제부(31)가 설치되어 있다.The
파지부 구동부(27)는 변위부(29)가 해제 위치로부터 파지 위치로 변위되는 방향으로 회동체(30)를 가압하는 가압 스프링(가압체)과, 가압 스프링의 가압에 반하여, 변위부(29)가 파지 위치로부터 해제 위치로 변위되는 방향으로 회동체(30)를 회동시키는 해제 장치를 가지고 있다(모두 도시하지 않음). 해제 장치로서는 예를 들면 전자 마그넷이나 유압 장치 등이 이용된다.The holding
다음에,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엘리베이터의 통상 운전에 의해 엘리베이터 칸(4)이 승강로(1) 내를 승강하고 있을 때에는 구동 쉬브(10) 및 보조 브레이크용 로프(22)의 각각에 부여되는 제동력은 제어장치의 제어에 의해 해제되고 있다.Next, the operation will be described. When the
엘리베이터 칸(4)이 층 바닥에 통상 정지되면, 권상기 브레이크 장치(12) 및 보조 브레이크 장치(25)의 각각이 제어장치의 제어에 의해 동작되고, 메인 로프(11) 및 보조 브레이크용 로프(22)의 각각에 제동력이 부여된다. 이것에 의해, 엘리베이터 칸(4)이 정지유지된다.When the
엘리베이터 칸(4)의 이동이 개시될 때에는 제어장치에 의한 권상기 브레이크 장치(12) 및 보조 브레이크 장치(25)의 제어에 의해 메인 로프(11) 및 보조 브레이크용 로프(22)의 각각에 부여되는 제동력이 해제된다.When movement of the cage | basket |
예를 들면, 어떠한 원인으로 엘리베이터 칸(4)의 속도가 비정상으로 되어 미리 설정된 제1 설정과속도에 이르른 경우에는 권상기(7)로의 전력 공급이 정지됨과 동시에 권상기 브레이크 장치(12) 및 보조 브레이크 장치(25)의 각각이 제어장치의 제어에 의해 동작된다. 이것에 의해, 메인 로프(11) 및 보조 브레이크용 로프(22)의 각각으로부터 엘리베이터 칸(4)에 제동력이 부여되어 엘리베이터 칸(4)이 비상 정지된다.For example, when the speed of the
또, 예를 들면 메인 로프(11)가 파단한 경우 등과 같이, 권상기 브레이크 장치(12) 및 보조 브레이크 장치(25)가 동작하여도 엘리베이터 칸(4)이 정지하지 않고, 엘리베이터 칸(4)의 속도가 제1 설정과속도보다 큰 제2 설정과속도에 이르른 경우에는 조속기 로프가 조속기에 의해 파지되어 비상 멈춤 장치(19)가 동작된다. 이것에 의해, 엘리베이터 칸(4)에 제동력이 부여되고, 엘리베이터 칸(4)이 비상 정지된다.In addition, for example, when the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의 안전장치에서는 권상기 브레이크 장치(12) 및 보조 브레이크 장치(25)의 각각의 동작에 의해, 엘리베이터 칸(4)이 각 메인 로프(11) 및 보조 브레이크용 로프(22)의 각각으로부터 제동력을 받으므로, 권상기 브레이크 장치(12) 및 보조 브레이크 장치(25)의 각각이 분담하여 엘리베이터 칸(4)에 제동력을 부여할 수 있다. 또, 보조 브레이크 장치(25)가 메인 로프(11)와는 별개의 보조 브레이크용 로프(22)를 제동하므로, 보조 브레이크 장치(25)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음과 동시에 메인 로프(11) 및 보조 브레이크용 로프(22)를 각각 독립하여 제동할 수 있다. 따라서, 디플렉션 쉬브(8)을 제동하는 경우보다 권상기 브레이크 장치(12)에 의한 부담을 경감할 수 있어 각 메인 로프(11)의 구동 쉬브(10)에 대한 미끄러짐의 방지를 도모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엘리베이터 칸(4)에 제동력을 보다 확실히 부여할 수 있다.In the safety device of such an elevator, the
또, 보조 브레이크용 로프(22)는 로프 파지부(26)에 의한 보조 브레이크용 로프(22)의 파지에 의해 제동되므로, 보조 브레이크용 로프(22)를 직접적으로 제동할 수 있어 엘리베이터 칸(4)에 제동력을 더욱 확실히 부여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또한, 상기의 예에서는 보조 브레이크 장치(25)가 보조 브레이크용 로프(22)를 파지하는 것에 의해, 보조 브레이크용 로프(22)를 제동하게 되어 있지만, 보조 브레이크 장치가 보조 브레이크용 풀리(20)의 회전을 제동하는 것에 의해, 보조 브레이크용 로프(22)를 제동하도록 하여도 좋다.In the above example, the
이 경우, 보조 브레이크 장치는 보조 브레이크용 풀리(20)와 일체로 회전되는 회전체와, 회전체에 접리 가능한 제동체를 가진다. 보조 브레이크용 풀리(20)의 회전은 제동체가 회전체에 접촉하는 것에 의해 제동된다. 또, 보조 브레이크용 풀리(20)에 부여되는 제동력은 제동체가 회전체로부터 떨어지는 것에 의해 해제된다. 이와 같이 하여도 보조 브레이크용 로프(22)의 보조 브레이크용 풀리(20)에 대한 접촉각을 메인 로프(11)의 디플렉션 쉬브(8)에 대하는 접촉각보다 크게 할 수 있으므로, 디플렉션 쉬브(8)의 회전을 제동하는 경우보다 권상기 브레이크 장치(12)의 부담을 경감할 수 있다. 따라서, 각 메인 로프(11)의 구동 쉬브(10)에 대한 미끄러짐의 방지를 도모할 수 있어 엘리베이터 칸(4)에 제동력을 보다 확실히 부여할 수 있다. 또한, 보조 브레이크용 로프(22)의 보조 브레이크용 풀리(20)에 대한 마찰력을 향상시키기 때문에, 보조 브레이크용 풀리(20)의 보조 브레이크용 로프(22)가 삽입되는 홈의 단면 형상을 V형상(V 홈)으로 하여도 좋다.In this case, the auxiliary brake device has a rotating body that is integrally rotated with the
또, 상기의 예에서는, 권상기 브레이크 장치(12) 및 보조 브레이크 장치(25)의 각각이 연동해 동작되게 되어 있지만, 권상기 브레이크 장치(12) 및 보조 브레이크 장치(25)의 각 동작을 선택적으로 실시하도록 하여도 좋다.예를 들면, 엘리베이터 칸(4)의 속도가 비정상으로 되었을 때에는, 권상기 브레이크 장치(12) 및 보조 브레이크 장치(25)를 모두 동작시켜, 엘리베이터 칸(4)의 정지유지를 실시할 때는, 권상기 브레이크 장치(12)만을 동작시키도록 하여도 좋다.In the above example, each of the hoisting
실시 형태 2.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의한 엘리베이터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에 있어서, 비상 멈춤 장치(19)에는 조작 레버(인상봉(引上棒 : lifting bar))(41)가 설치되어 있다. 비상 멈춤 장치(19)는 조작 레버(41)의 조작에 의해 동작된다. 기계실(6) 내에는 엘리베이터 칸(4)의 속도가 비정상으로 되었을 때(본 예에서는 엘리베이터 칸(4)의 속도가 제2 설정과속도가 되었을 때)에 비상 멈춤 장치(19)를 동작시키기 위한 조속기(42)가 설치되어 있다.It is a side view which shows the elevator by
조속기(42)는 조속기 본체(43)와, 조속기 본체(43)에 대해 회전 가능한 조속기 풀리(44)를 가지고 있다. 조속기 풀리(44)는 보조 브레이크용 풀리(20)와 동축(同軸)에 설치되어 있다. 또, 조속기 풀리(44) 및 보조 브레이크용 풀리(20)는 일체로 회전된다.The
조속기 풀리(44)에는 조작 레버(41)에 접속된 조속기 로프(45)가 감겨져 있다. 즉, 조속기 풀리(44)에는 조작 레버(41)를 통하여 비상 멈춤 장치(19)에 연결된 조속기 로프(45)가 감겨져 있다. 이것에 의해, 조속기 풀리(44)는 엘리베이터 칸(4)의 이동에 따른 속도로 회전된다.The
승강로(1) 내의 하부에는 조속기 로프(45)에 장력을 부여하기 위한 조속기용 텐션 쉬브(46)가 설치되어 있다. 조속기용 텐션 쉬브(46)는 보조 브레이크용 텐션 쉬브(23)와 동축에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조속기용 텐션 쉬브(46)는 회동 암(24)의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에 대한 회동에 의해 보조 브레이크용 텐션 쉬브(23)와 함께 상하 방향으로 변위된다. 또, 조속기용 텐션 쉬브(46) 및 보조 브레이크용 텐션 쉬브(23)는 일체로 회전된다.In the lower part of the
조속기 로프(45)의 일단부(45a) 및 타단부(45b)는 조작 레버(41)에 각각 접 속되어 있다. 조속기 로프(45)는 일단부(45a)로부터 조속기 풀리(44) 및 조속기용 텐션 쉬브(46)의 순서로 감겨져 타단부(45b)에 이르러 있다.One
조속기 본체(43)는 조속기 풀리(44)의 회전 속도가 소정의 과속도에 이르른 때에 조속기 로프(45)를 파지한다. 엘리베이터 칸(4)은 조속기 본체(43)에 의한 조속기 로프(45)의 파지에 의해, 조속기 로프(45)에 대해 변위된다. 이것에 의해, 조작 레버(41)가 조작되어 비상 멈춤 장치(19)가 동작된다. 다른 구성 및 동작은 실시 형태 1과 동일하다.The
다음으로,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엘리베이터의 통상 운전에 의해 엘리베이터 칸(4)이 승강로(1) 내를 승강하고 있을 때에는 구동 쉬브(10) 및 보조 브레이크용 로프(22)의 각각에 부여되는 제어력은 제어장치의 제어에 의해 해제되어 있다. 이 때, 보조 브레이크용 풀리(20) 및 조속기 풀리(44)는 일체로 회전된다.Next, the operation will be described. When the
엘리베이터 칸(4)이 제어장치의 제어에 의해 계상에 통상 정지되면, 권상기 브레이크 장치(12) 및 보조 브레이크 장치(25)의 각각이 제어장치의 제어에 의해 동작되어 메인 로프(11) 및 보조 브레이크용 로프(22)의 각각에 제동력이 부여된다. 이것에 의해 엘리베이터 칸(4)이 정지유지된다.When the
엘리베이터 칸(4)의 이동이 개시될 때에는 제어장치에 의한 권상기 브레이크 장치(12) 및 보조 브레이크 장치(25)의 제어에 의해, 메인 로프(11) 및 보조 브레이크용 로프(22)의 각각에 부여되는 제동력이 해제된다.When the movement of the cage | basket |
예를 들면, 어떠한 원인으로 엘리베이터 칸(4)의 속도가 비정상으로 되어 미리 설정된 제1 설정과속도에 이르른 경우에는 권상기(7)로의 전력 공급이 정지됨과 동시에 권상기 브레이크 장치(12) 및 보조 브레이크 장치(25)의 각각이 제어장치의 제어에 의해 동작된다. 이것에 의해, 메인 로프(11) 및 보조 브레이크용 로프(22)의 각각으로부터 엘리베이터 칸(4)에 제동력이 부여되어 엘리베이터 칸(4)이 비상 정지된다.For example, when the speed of the
또, 예를 들면 메인 로프(11)가 파단한 경우 등과 같이, 권상기 브레이크 장치(12) 및 보조 브레이크 장치(25)가 동작하여도 엘리베이터 칸(4)이 정지하지 않고, 엘리베이터 칸(4)의 속도가 제1 설정과속도보다 큰 제2 설정과속도에 이르른 경우에는 조속기 로프(45)가 조속기 본체(43)에 의해 파지되어 비상 멈춤 장치(19)가 동작된다. 이것에 의해, 엘리베이터 칸(4)에 제동력이 부여되어 엘리베이터 칸(4)이 비상 정지된다.In addition, for example, when the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의 안전장치에서는 보조 브레이크용 풀리(20) 및 조속기 풀리(44)가 동축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보조 브레이크용 풀리(20) 및 조속기 풀리(44)를 공통의 축을 중심으로 회전시킬 수 있어 보조 브레이크용 풀리(20) 및 조속기 풀리(44)의 설치 스페이스의 축소화를 도모할 수 있다.In the safety device of such an elevator, since the
또한, 상기의 예에서는 보조 브레이크용 풀리(20) 및 조속기 풀리(44)가 일체로 되어 있고, 보조 브레이크용 텐션 쉬브(23) 및 조속기용 텐션 쉬브(46)가 일체로 되어 있지만, 보조 브레이크용 풀리(20) 및 조속기 풀리(44)의 각각을 서로 독립하여 회전 가능하게 하고, 보조 브레이크용 텐션 쉬브(23) 및 조속기용 텐션 쉬브(46)의 각각을 서로 독립하여 회전 가능하게 하여도 좋다. 이와 같이 하면, 보조 브레이크용 로프(22)와 조속기 로프(45)와의 사이에서 제동력이 전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예를 들면, 보조 브레이크용 로프(22)에 부여되는 제동력이 조속기 풀리(44)의 회전을 방해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보조 브레이크 장치(25) 및 조속기(42)의 각각의 기능을 보다 확실히 발휘시킬 수 있다.In the above example, the
또, 상기의 예에서는ㄴ 보조 브레이크용 텐션 쉬브(23) 및 조속기용 텐션 쉬브(46)가 동축에 설치되어 있지만, 보조 브레이크용 텐션 쉬브(23)가 조속기용 텐션 쉬브(46)에 대해 상하 방향으로 변위 가능하게 되어 있어도 좋다. 보조 브레이크용 텐션 쉬브(23)를 조속기용 텐션 쉬브(46)에 대해 상하 방향으로 변위 가능하게 하는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보조 브레이크용 텐션 쉬브(23) 및 조속기용 텐션 쉬브(46)를 서로 독립하여 회동하는 2개의 회동 암의 각각에 설치하는 방법이나, 보조 브레이크용 텐션 쉬브(23)의 축을 조속기용 텐션 쉬브(46)의 축으로 대하여 레일에 의해 안내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면, 보조 브레이크용 로프(22) 및 조속기 로프(45)의 각각의 경년적(經年的)인 성장량이 서로 다른 경우에 있어서도 보조 브레이크용 로프(22) 및 조속기 로프(45)의 각각에 부여되는 장력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although the auxiliary
또, 상기의 예에서는 보조 브레이크 장치(25)가 기계실(6) 내에 배치되어 있지만, 승강로(1)의 내벽면과 엘리베이터 칸(4)과의 사이의 틈새에 보조 브레이크 장치(25)를 배치하여도 좋다. 이와 같이 하면, 승강로(1) 내의 스페이스를 유효하게 활용할 수 있다.In addition, although the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예를 들면 비상시에서의 엘리베이터 칸의 제동이나 엘 리베이터 칸의 정지유지 등을 행하기 위한 엘리베이터의 안전장치에 이용 가능하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for example, in an elevator safety device for braking an elevator car or stopping a elevator car in an emergency.
Claims (7)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PCT/JP2006/309393 WO2007129408A1 (en) | 2006-05-10 | 2006-05-10 | Safety device for elevator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80064906A KR20080064906A (en) | 2008-07-09 |
KR101016079B1 true KR101016079B1 (en) | 2011-02-17 |
Family
ID=386675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87014029A KR101016079B1 (en) | 2006-05-10 | 2006-05-10 | Elevator safety device |
Country Status (5)
Country | Link |
---|---|
EP (1) | EP2017213B1 (en) |
JP (1) | JP5073483B2 (en) |
KR (1) | KR101016079B1 (en) |
CN (1) | CN101356109B (en) |
WO (1) | WO2007129408A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99046B1 (en) | 2008-04-08 | 2012-11-07 |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 Elevator device and method of testing the same |
JP2010095355A (en) * | 2008-10-17 | 2010-04-30 | Kuma Lift Gijutsu Kenkyusho:Kk | Elevator safety device |
KR100970393B1 (en) * | 2009-07-10 | 2010-07-15 | 이현구 | Wind power generator for ascent and descent elevator structure |
KR101011024B1 (en) * | 2010-08-17 | 2011-01-26 | 배후근 | Rope Braking System |
DE112019007977T5 (en) * | 2019-12-18 | 2022-09-29 |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 ELEVATOR |
CN114455428B (en) * | 2022-01-27 | 2024-08-02 | 西子电梯科技有限公司 | Elevator cable anti-breaking device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6027784A (en) * | 2004-07-14 | 2006-02-02 | Hitachi Ltd | Elevator device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5145984A (en) * | 1979-04-25 | 1980-11-13 | Hitachi Ltd | Drive gear for low floor elevator |
JPS5974875A (en) * | 1982-10-15 | 1984-04-27 | 三菱電機株式会社 | Traction type elevator |
JP3225960B2 (en) * | 1995-11-06 | 2001-11-05 | 三菱電機株式会社 | Elevator hoisting device |
DE60142257D1 (en) * | 2001-03-08 | 2010-07-08 | Mitsubishi Electric Corp | LIFT |
-
2006
- 2006-05-10 JP JP2007513530A patent/JP5073483B2/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6-05-10 EP EP06746207.7A patent/EP2017213B1/en not_active Ceased
- 2006-05-10 KR KR1020087014029A patent/KR101016079B1/en active IP Right Grant
- 2006-05-10 CN CN2006800507433A patent/CN101356109B/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6-05-10 WO PCT/JP2006/309393 patent/WO2007129408A1/en active Application Filing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6027784A (en) * | 2004-07-14 | 2006-02-02 | Hitachi Ltd | Elevator devic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01356109B (en) | 2012-01-04 |
EP2017213A1 (en) | 2009-01-21 |
KR20080064906A (en) | 2008-07-09 |
EP2017213B1 (en) | 2014-08-20 |
CN101356109A (en) | 2009-01-28 |
EP2017213A4 (en) | 2013-10-02 |
WO2007129408A1 (en) | 2007-11-15 |
JPWO2007129408A1 (en) | 2009-09-17 |
JP5073483B2 (en) | 2012-11-1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0090114487A1 (en) | Elevator arrangement | |
KR101016079B1 (en) | Elevator safety device | |
JPWO2011052053A1 (en) | Elevator emergency stop device | |
JP6203427B2 (en) | Elevator equipment | |
JPWO2002072461A1 (en) | Elevator equipment | |
JP2011006218A (en) | Elevator passenger rescue apparatus | |
KR101470271B1 (en) | Double-deck elevator | |
JP5693723B2 (en) | Double deck elevator | |
JPWO2007004293A1 (en) | Elevator governor rope tensioner | |
JP5163455B2 (en) | Elevator passenger rescue device | |
JP2004238151A (en) | Installation method for elevator | |
JP2004250186A (en) | Elevator and its operating method at failure time | |
JP2011111283A (en) | Confinement rescue method of elevator | |
JP6336225B2 (en) | Elevator equipment | |
JP2012091938A (en) | Safety device of elevator | |
CN109952262B (en) | Method for inspecting emergency stop device of elevator | |
JP2010095355A (en) | Elevator safety device | |
JP4389151B2 (en) | Elevator equipment | |
JP7436126B1 (en) | Elevator gondola installation method and gondola device | |
JP7600739B2 (en) | Governor rope replacement auxiliary device and governor rope replacement method | |
WO2006043317A1 (en) | Elevator apparatus | |
KR100777513B1 (en) | Brake device of elevator | |
JPWO2004108577A1 (en) | Machine room-less elevator | |
KR100544989B1 (en) | Elevator device | |
JP2007302411A (en) | Elevator governor equipment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5 | International application |
Patent event date: 20080611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9071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091224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090710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
|
J201 |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 ||
PJ0201 |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
Patent event date: 20100126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code: PJ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91224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J02011S01I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Decision date: 20101130 Appeal identifier: 2010101000566 Request date: 20100126 |
|
J301 | Trial decision |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00126 Effective date: 20101130 |
|
PJ1301 | Trial decision |
Patent event code: PJ13011S01D Patent event date: 20101130 Comment text: Trial Decision on Objection to Decision on Refusal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 date: 20100126 Decision date: 20101130 Appeal identifier: 2010101000566 |
|
PS0901 |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 ||
S901 |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 ||
GRNO |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 ||
PS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mand of revocation |
Patent event date: 20101213 Patent event code: PS07012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01202 Patent event code: PS07011S01I Comment text: Notice of Trial Decision (Remand of Revoc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1021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1021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117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011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119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011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119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11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119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11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119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119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011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