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014323B1 - 광케이블 커넥터 - Google Patents

광케이블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14323B1
KR101014323B1 KR1020090032371A KR20090032371A KR101014323B1 KR 101014323 B1 KR101014323 B1 KR 101014323B1 KR 1020090032371 A KR1020090032371 A KR 1020090032371A KR 20090032371 A KR20090032371 A KR 20090032371A KR 101014323 B1 KR101014323 B1 KR 1010143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cable
fixing
locking
forms
hol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323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13849A (ko
Inventor
안경준
이재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텔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텔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텔콘
Priority to KR10200900323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14323B1/ko
Publication of KR201001138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138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43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4323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33Details of mounting fibres in ferrules; Assembly methods; Manufacture
    • G02B6/3855Details of mounting fibres in ferrules; Assembly methods; Manufacture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anchoring or fixing the fibre within the ferrule
    • G02B6/3858Clamping, i.e. with only elastic deforma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245Removing protective coverings of light guides before coupling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33Details of mounting fibres in ferrules; Assembly methods; Manufacture
    • G02B6/3834Means for centering or aligning the light guide within the ferrule
    • G02B6/3838Means for centering or aligning the light guide within the ferrule using grooves for light guid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73Connectors using guide surfaces for aligning ferrule ends, e.g. tubes, sleeves, V-grooves, rods, pins, balls
    • G02B6/3874Connectors using guide surfaces for aligning ferrule ends, e.g. tubes, sleeves, V-grooves, rods, pins, balls using tubes, sleeves to align ferrul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9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fastening connecting plugs and sockets, e.g. screw- or nut-lock, snap-in, bayonet type
    • G02B6/3894Screw-lock typ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echanical Coupling Of Light Guid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케이블의 광학적 및 기계적인 상호 연결을 매개하면서, 상기 연결의 탈부착이 용이토록 된 광케이블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양단이 개구된 내설공(111a)을 형성한 탑재부(111)와, 내설공(111a)의 일단과 연통하고 내면에 걸림턱(112b)이 형성된 인입홈(112a)을 형성한 고정부(112)와, 내설공(111a)의 타단과 연통하는 맞물림홈(113a)을 형성한 연결부(113)로 된 본체(110); 양단이 개구된 중공을 갖는 관 형상을 이루고 걸림면(121a)을 형성한 수용부(121)와, 수용부(121)와 일렬로 연통하는 관통부(122)로 구성되고, 내설공(111a) 및 인입홈(112a)에 삽입되는 연결관(120); 연결관(120)과 일렬로 연통하는 관 형상을 이루고, 수용부(121)에 삽입되어 스프링(130)을 매개로 연결관(120)과 탄발하는 삽입대(140); 말단이 맞물림홈(113a)으로 인출되도록, 삽입대(140)에 고정되는 페롤(150); 관통부(122)가 관통하는 구멍(161)을 형성하고, 걸림턱(112b)과 걸림면(121a) 사이에 고정 배치되어 연결관(120)의 이탈을 방지하는 고정대(160); 일단이 인입홈(112a)에 삽입되어 고정대(160)를 가압하고, 외면에 걸림돌부(171)가 형성된 보호관(170); 및 내면에 걸림돌부(171)와 맞물리는 가압턱(181)을 형성하고, 고정부(112)의 외면과 나사산 결합하는 고정너트(180)를 포함하는 것이다.

Description

광케이블 커넥터{Optical cable connector}
본 발명은 광케이블의 광학적 및 기계적인 상호 연결을 매개하면서, 상기 연결의 탈부착이 용이토록 된 광케이블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광케이블은 광신호를 전송하는 매개체로서, 통신장비의 일구성으로 널리 활용되고 있다.
광케이블은 통신중개기, 통신단말기 및 다른 광케이블과의 광학적인 연결을 위해 말단에 광케이블 커넥터가 연결되는데, 광신호의 전송을 매개한다는 기능적인 특성상 광케이블 커넥터는 광케이블 간의 정밀하면서 긴밀한 연결을 담보하는 구조를 이루어야 한다.
도 1은 종래 광케이블 커넥터의 모습을 분해 도시한 사시도인 바, 이를 참조해 설명한다.
커넥터(10)는, 광케이블(20)의 클래드(22) 및 재킷(23)이 탈피된 코어(21)를 보호하면서 커넥터(10)의 외형을 이루는 하우징(11)과, 재킷(23)이 탈피된 클래드(22)를 감싸 보호하면서 코어(21)의 휨을 방지하는 연결대(12)와, 재킷(23)이 탈 피된 클래드(22)의 말단을 보호하면서 스프링(13)에 의해 하우징(11)의 내측 말단으로 밀착되는 삽입대(14)와, 삽입대(14)의 말단에 내장되며 클래드(22)가 탈피된 코어(21)가 삽입되는 페롤(15)로 이루어진다. 또한, 하우징(11)으로부터 인출된 광케이블(20)을 감싸 보호하면서 커넥터(10)와 광케이블(20)의 경계를 덮는 슬리브(16)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커넥터(10)의 각 구성을 설명하면, 하우징(11)은 커넥터(10)의 기본적인 외형을 이루면서 광케이블(20)을 보호하는 것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중공을 갖는 관 형상을 이룬다. 이때, 커넥터(10)의 일단은 광케이블(20)이 인입되고, 타단은 광케이블(20)과 광학적으로 연결된 페롤(15)이 인출되므로, 하우징(11)의 양단으로 중공이 개구된다.
연결대(12)는 재킷(23)이 탈피된 클래드(22)를 감싸 보호하면서 외력에 의한 절곡을 방지하는 것으로, 하우징(11)과 기계적으로 긴밀히 맞물려 연결 고정된다. 이를 위해 연결대(12)는 일단이 하우징(11)의 중공으로 삽입되면서 관통공(11a)에 끼워지고, 둘레면을 따라 돌출된 걸림편(12a)의 가장자리는 연결대(12)의 중공 내면에 형성된 걸림홈(11b)과 강제로 맞물리면서 결속된다. 즉, 연결대(12)와 하우징(11)의 결속은 걸림홈(11b)에 맞물리는 걸림편(12a)이 매개하는 것이다.
그런데, 전술한 바와 같이 연결대(12)는 재킷(23)이 탈피된 클래드(22)가 삽입되므로, 클래드(22)와 연결대(12) 간의 직접적인 접촉은 피할 수 없다. 한편, 연결대(12)는 하우징(11)과 광케이블(20)를 기계적으로 상호 연결하고 외력으로부터 클래드(22)로만 보호되는 코어(21)를 안전하게 보호해야 하므로, 단단한 재질로 제작될 수밖에 없다. 결국, 단단한 재질의 연결대(12)와 접촉하는 클래드(22)는 외력 발생시 연결대(12)의 내면과 직접 충돌하면서 완충없는 충격을 받게 되므로, 코어(21)의 파손가능성이 증가할 수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연결대(12)를 탄성재질로 제작하거나, 연결대(12) 내면을 별도의 탄성 재질로 도포해서 외력 발생시 코어(21)가 받는 충격을 최소화할 수도 있는 구조가 제안되었다.
그러나, 연결대(12)를 탄성 재질로 제작할 경우 외력 발생시 코어(21)를 충분히 보호하지 못할 수 없고, 연결대(12) 내면에 별도의 탄성 재질을 도포할 경우 소형의 연결대(12)를 제작함에 있어 적지않은 제작비용과 수고가 요구되므로, 제안된 상기 구조는 상술한 문제점의 충분한 해결수단이 될 수 없었다.
계속해서, 삽입대(14)는 페롤(15)을 견고히 고정지지하면서 재킷(23)이 탈피된 클래드(22)를 보호하고 연결대(12)와 대향하도록 하우징(11)에 내설 고정된다.
이때, 삽입대(14)는 연결대(12)와 일렬로 연통되어 클래드(22)가 직선으로 끼워지되, 상기 삽입대(14)가 하우징(11)에 긴밀히 맞물리도록 스프링(13)에 의해 탄발지지된다. 즉, 상기 스프링(13)은 일단이 하우징(11)에 접하고 타단이 삽입대(14)에 접하면서 삽입대(14)를 밀어 지지하는 것이다.
페롤(15)은 클래드(22)가 탈피된 코어(21)를 감싸 보호하면서 다른 커넥터의 페롤과 긴밀히 접하도록 된 것이다.
한편, 상술한 구성을 갖는 종래 광케이블 커넥터(10)는 다른 커넥터와의 광학적,기계적 연결을 위해 별도의 어댑터(미도시함)를 필요로 한다. 이는, 상기 커 넥터(10)가 다른 커넥터와의 기계적 연결을 위한 연결수단을 구비하지 않기 때문이다.
결국, 종래 커넥터(10)는 광케이블(20) 보호에 미흡하고, 다른 커넥터와의 연결을 위해서는 별도의 어댑터가 반드시 요구되므로, 이러한 종래 커넥터(10)의 문제점 보완이 시급히 요구되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광케이블을 효과적으로 보호하면서도 견고한 결속구조를 이룰 수 있고, 다른 커넥터와의 연결에도 별도의 어댑터가 요구되지 않는 광케이블 커넥터의 제공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양단이 개구된 내설공을 형성한 탑재부와, 내설공의 일단과 연통하고 내면에 걸림턱이 형성된 인입홈을 형성한 고정부와, 내설공의 타단과 연통하는 맞물림홈을 형성한 연결부로 된 본체;
양단이 개구된 중공을 갖는 관 형상을 이루고 걸림면을 형성한 수용부와, 수용부와 일렬로 연통하는 관통부로 구성되고, 내설공 및 인입홈에 삽입되는 연결관;
연결관과 일렬로 연통하는 관 형상을 이루고, 수용부에 삽입되어 스프링을 매개로 연결관과 탄발하는 삽입대;
말단이 맞물림홈으로 인출되도록, 삽입대에 고정되는 페롤;
관통부가 관통하는 구멍을 형성하고, 걸림턱과 걸림면 사이에 고정 배치되어 연결관의 이탈을 방지하는 고정대;
일단이 인입홈에 삽입되어 고정대를 가압하고, 외면에 걸림돌부가 형성된 보호관; 및
내면에 걸림돌부와 맞물리는 가압턱을 형성하고, 고정부의 외면과 나사산 결합하는 고정너트;
를 포함하는 광케이블 커넥터이다.
상기의 본 발명은, 광케이블을 안정하게 수용 및 결속하면서도 기계적인 연결이 견고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이를 위한 광케이블 커넥터의 제작공정 및 비용이 경제적이며, 커넥터 간의 직접적인 연결이 가능하므로 연결을 매개하는 별도의 구성품이 요구되지 않아 그 활용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광케이블 커넥터의 모습을 분해 도시한 단면도인 바, 이를 참조해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100)는, 본체(110)와, 본체(110)의 중공에 삽입되는 연결관(120)ㆍ스프링(130)ㆍ삽입대(140)ㆍ페롤(150)과, 연결관(120)ㆍ스프링(130)ㆍ삽입대(140)ㆍ페롤(150)을 본체(110)의 중공에 고정하는 고정대(160)와, 본체(110)와 연통하는 보호관(170)과, 보호관(170)을 고정 연결하는 고정너트(180)를 포함한다.
본체(110)는, 양단이 개구된 내설공(111a)을 구비한 탑재부(111)와, 탑재부(111)의 일단에 연장되고 내설공(111a)과 연통하는 인입홈(112a)을 구비한 고정부(112)와, 탑재부(111)의 타단에 연장되고 내설공(111a)과 연통하는 맞물림 홈(113a)을 구비한 연결부(113)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연결관(120)ㆍ스프링(130)ㆍ삽입대(140)ㆍ페롤(150)은 인입홈(112a)으로 인입되어 내설공(111a)으로 삽입되고, 최소한 페롤(150)은 맞물림홈(113a)으로 돌출된다. 이때, 내설공(111a)과 맞물림홈(113a)의 경계는 연결관(120)ㆍ스프링(130)ㆍ삽입대(140)ㆍ페롤(150)이 맞물림홈(113a)을 통해 인출되지 않도록 좁게 형성된 관통구멍(111b)에 의해, 최소한 페롤(150)은 맞물림홈(113a)으로 인출되되 외력에 의해 이탈분리되지 않는다.
한편, 내설공(111a)과 인입홈(112a)의 경계는 인입홈(112a)의 직경보다 확장 형성된 걸림턱(112b)이 형성된다. 걸림턱(112b)은 연결관(120)ㆍ스프링(130)ㆍ삽입대(140)ㆍ페롤(150)이 인입홈(112a)을 통해 인출되지 않도록 지지하는 고정대(160)가 위치하는 것으로, 이에 대한 설명은 아래에서 상세히 기술한다.
계속해서, 고정부(112)와 연결부(113)의 각 외면에는 나사산(112c, 113b)이 형성된다. 이는 각각 고정너트(180)과 다른 커넥터(100')와의 기계적 결속을 위한 것으로, 이에 대한 설명 또한 아래에서 상세히 기술한다.
연결관(120)은 삽입대(140)가 삽입돼 맞물리는 수용부(121)와, 고정대(160)의 구멍(161)을 관통해 인출되며 재킷(23)이 탈피된 클래드(22)를 감싸는 관통부(122)로 이루어진다. 이때, 수용부(121)는 클래드(22)에 비해 상대적으로 큰 직경을 갖는 삽입대(140)를 수용하므로, 관통부(122)에 비해 확장된 폭을 이루고, 이를 통해 걸림면(121a)이 형성된다. 참고로, 연결관(120)은 코어(21)와 직접 접하므로 고정대(160)의 재질과는 무관하게 완충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삽입대(140)는 연결관(120)을 관통한 클래드(22)를 감싸 보호하고, 말단에서 페롤(150)을 기계적으로 고정한다. 결국, 연결관(120)을 관통한 클래드(22)는 삽입대(140)로 인입되고, 상기 클래드(22)의 말단은 탈피되어 코어(21)가 페롤(150)에 삽입 연결된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광케이블 커넥터의 조립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인 바, 이를 참조해 설명한다.
전술한 과정을 통해 연결관(120)ㆍ스프링(130)ㆍ삽입대(140)ㆍ페롤(150)이 본체(110)에 삽입되면, 연결관(120)ㆍ스프링(130)ㆍ삽입대(140)ㆍ페롤(150)이 인입홈(112a)을 따라 이탈하지 않도록 고정대(160)를 인입홈(112a)에 끼운다.
이때, 고정대(160)의 직경은 인입홈(112a)의 직경에 비해 다소 크므로, 도 3(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강제 삽입과정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이러한 강제 삽입과정을 통해 인입홈(112a)에 삽입된 고정대(160)는 지속적인 압입으로 밀려 걸림턱(112b)까지 이동하고, 도 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대적으로 확장 형성된 걸림턱(112b)에서 긴밀히 맞물려 안착된다. 한편, 고정대(160)의 구멍(161)으로 연결관(120)의 관통부(122)가 삽입돼 끼워지면서 수용부(121)의 걸림면(121a)에 접합되어, 연결관(120)은 인입홈(112a)을 통한 이탈이 불가능하게 된다.
참고로, 인입홈(112a) 및 고정대(160)는 원형으로 형성되어서, 인입홈(112a)에 비해 직경이 상대적으로 큰 고정대(160)를 인입홈(112a)의 횡 방향으로 배치해서 강제 삽입할 수 있을 것이다.
결국, 고정대(160)는 걸림턱(112b)으로부터 용이하게 재이탈하지 못하고 견고히 결속되고, 연결관(120)ㆍ스프링(130)ㆍ삽입대(140)ㆍ페롤(150)은 그 양단이 각각 관통구멍(111b)과 고정대(160)에 의해 단단히 지지되어 내설공(111a)에 내설된다. 또한, 스프링(130)은 광케이블(20)이 받는 장력과 커넥터(100)가 받는 외력에 상관없이 페롤(150)을 관통구멍(111b)에 항시 밀착시키므로, 외력에 의한 페롤(150)의 위치변화를 최소화한다.
계속해서, 고정대(160)가 걸림턱(112b)에 안착되면 고정대(160)의 재이탈을 방지하면서 고정성을 보강하기 위한 보호관(170)이 인입홈(112a)에 삽입된다.
보호관(170)은 페롤(150)과 연결된 광케이블(20)의 말단으로부터 일정 길이만큼을 감싸 보호하면서, 횡 방향으로 가해지는 외력에 의한 간섭이 광케이블의 말단까지 영향을 미치는 것을 최소화한다.
한편, 인입홈(112a)에 삽입된 보호관(170)은 고정너트(180)에 가압되어 본체(110)에 밀착 고정된다. 이를 위해 보호관(170)의 외면에는 걸림돌부(171)가 형성되고, 고정너트(180)의 내면에는 걸림돌부(171)와 맞물리는 가압턱(181)이 형성되어서, 고정너트(180)가 본체(110)와 밀착될수록 가압턱(181)이 걸림돌부(171)를 본체(110) 쪽으로 밀게 되므로, 보호관(170)은 본체(110)에 단단히 결속된다.
계속해서, 본체(110)와 고정너트(180)의 상호 결속을 위해 본체(110)의 고정부(112) 외면에는 나사산(112c)이 형성되고, 이에 상응하는 고정너트(180)의 내면에는 나사산(182)이 형성되어서, 상기 나사산(112c, 182) 간의 맞물림을 통해 본체(110)와 고정너트(180)는 기계적으로 단단히 결속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광케이블 커넥터의 상호 결속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인 바, 이를 참조해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광케이블 커넥터(100, 100')는 속칭 수 커넥터(100)와 암 커넥터(100')가 짝을 이뤄 구성된다.
즉, 상기 암,수 커넥터(100, 100')가 광학적,기계적으로 상호 연결되면서 광케이블의 광학적,기계적 연결을 매개하는 것이다.
따라서, 수 커넥터(100)의 본체(110)는 암 커넥터(100')의 본체(110')가 삽입돼 맞물릴 수 있는 연결부(113)의 맞물림홈(113a)을 갖춘다. 한편, 암 커넥터(100')의 연결부(113')는 수 커넥터(100)의 연결부(113)에 삽입돼 맞물리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연결부(113')에 형성되는 맞물림홈(113a')은 수 커넥터(100)의 돌출된 페롤(150)이 긴밀하게 삽입되도록 된다. 물론, 맞물림홈(113a')의 내측에는 암 커넥터(100')의 페롤(150')이 내설되고, 맞물림홈(113a')에 삽입된 수 커넥터(100)의 페롤(150)은 암 커넥터(100')의 맞물림홈(113a')에 내설된 페롤(150')에 밀착된다.
계속해서, 암 커넥터(100')는 본체(110')의 외면을 감싸면서 공 회전하게 결합되는 관 형상의 결속너트(190)를 더 포함한다. 이를 위해 본체(110')의 외면에는 돌기(115)가 형성되고, 결속너트(190)는 돌기(115)에 상응하는 걸림대(191)가 형성되어서, 결속너트(190)는 본체(110')를 중심으로 상호 이탈 없이 회전 가능하게 된다.
한편, 결속너트(190)의 내면에는 나사산(192)이 형성된다. 상기 나사산(192)은 결속너트(190)와 본체(110') 간의 이격 공간으로 삽입되는 수 커넥터(100)의 연결부(113)와 결속되기 위한 것으로, 연결부(113)는 결속너트(190)의 나사산(192)에 상응하는 나사산(113b)이 외면에 형성된다.
결국, 수 커넥터(100)의 페롤(150)이 암 커넥터(100')의 맞물림홈(113a')으로 삽입된 상태에서 결속너트(190)를 수 커넥터(100)의 본체(110)에 결속함으로서, 암,수 커넥터(100, 100')는 상호 간의 기계적 연결을 이루게 된다. 물론, 수 커넥터(100)의 페롤(150)은 암 커넥터(100')의 맞물림홈(113a')에 삽입된 후 맞물림홈(113a')에 내설된 암 커넥터(100')의 페롤(150')과 긴밀히 접하므로, 암,수 커넥터(100, 100')의 광학적 연결 또한 이루어진다.
도 1은 종래 광케이블 커넥터의 모습을 분해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광케이블 커넥터의 모습을 분해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광케이블 커넥터의 조립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광케이블 커넥터의 상호 결속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 첨부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용어설명 -
100, 100'; 암,수 커넥터 110, 110'; 본체
120, 120'; 연결관 130, 130'; 스프링
140, 140'; 삽입대 150, 150'; 페롤
160, 160'; 고정대 170, 170'; 보호관
180; 고정너트 190; 결속너트

Claims (3)

  1. 양단이 개구된 내설공(111a)을 형성한 탑재부(111)와, 내설공(111a)의 일단과 연통하고 내면에 걸림턱(112b)이 형성된 인입홈(112a)을 형성한 고정부(112)와, 내설공(111a)의 타단과 연통하는 맞물림홈(113a)을 형성한 연결부(113)로 된 본체(110);
    양단이 개구된 중공을 갖는 관 형상을 이루고 걸림면(121a)을 형성한 수용부(121)와, 수용부(121)와 일렬로 연통하는 관통부(122)로 구성되고, 내설공(111a) 및 인입홈(112a)에 삽입되는 연결관(120);
    연결관(120)과 일렬로 연통하는 관 형상을 이루고, 수용부(121)에 삽입되어 스프링(130)을 매개로 연결관(120)과 탄발하는 삽입대(140);
    말단이 맞물림홈(113a)으로 인출되도록, 삽입대(140)에 고정되는 페롤(150);
    관통부(122)가 관통하는 구멍(161)을 형성하고, 걸림턱(112b)과 걸림면(121a) 사이에 고정 배치되어 연결관(120)의 이탈을 방지하는 고정대(160);
    일단이 인입홈(112a)에 삽입되어 고정대(160)를 가압하고, 외면에 걸림돌부(171)가 형성된 보호관(170); 및
    내면에 걸림돌부(171)와 맞물리는 가압턱(181)을 형성하고, 고정부(112)의 외면과 나사산 결합하는 고정너트(18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케이블 커넥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10)를 이격되게 감싸면서 본체(110)와 회전가능하게 고정되고, 내면에는 나사산(192)이 형성된 결속너트(19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케이블 커넥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113)의 외면에 나사산(113b)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케이블 커넥터.
KR1020090032371A 2009-04-14 2009-04-14 광케이블 커넥터 Expired - Fee Related KR1010143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2371A KR101014323B1 (ko) 2009-04-14 2009-04-14 광케이블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2371A KR101014323B1 (ko) 2009-04-14 2009-04-14 광케이블 커넥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3849A KR20100113849A (ko) 2010-10-22
KR101014323B1 true KR101014323B1 (ko) 2011-02-14

Family

ID=431332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2371A Expired - Fee Related KR101014323B1 (ko) 2009-04-14 2009-04-14 광케이블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1432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4254B1 (ko) * 2016-12-20 2018-06-04 한국산업기술시험원 커넥터 테스트 장치
KR102637359B1 (ko) * 2022-03-08 2024-02-19 명보 주식회사 접속력이 향상된 다심 광커넥터 조립체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40212A (ja) * 1991-08-06 1993-02-19 Nkk Corp 光フアイバコネクタ
JPH0538608A (ja) * 1991-07-31 1993-02-19 Hitachi Koki Co Ltd チヤツク
JPH05127046A (ja) * 1991-11-01 1993-05-25 Nitsupatsu Seimitsu Kogyo Kk 光フアイバコネクタ
JPH05303026A (ja) * 1992-04-24 1993-11-16 Nkk Corp 光ファイバコネクタ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8608A (ja) * 1991-07-31 1993-02-19 Hitachi Koki Co Ltd チヤツク
JPH0540212A (ja) * 1991-08-06 1993-02-19 Nkk Corp 光フアイバコネクタ
JPH05127046A (ja) * 1991-11-01 1993-05-25 Nitsupatsu Seimitsu Kogyo Kk 光フアイバコネクタ
JPH05303026A (ja) * 1992-04-24 1993-11-16 Nkk Corp 光ファイバコネク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3849A (ko) 2010-10-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34877B2 (en) Fiber optic industrial connector
EP2440960B1 (en) Pre-connectorized optical fibre cable, and kit for the deployment thereof
US20020164130A1 (en) Fiber optic module attachment including a fiber locating connector
JP5108907B2 (ja) 光導波体用コネクタ
CN101641627A (zh) 装有光纤连接器的光缆及该光缆的穿线方法、该穿线方法中使用的牵引部件和光纤连接器
WO2004092633A3 (en) Spoolable composite coiled tubing connector
KR20010087192A (ko) 광섬유 커넥터 조립체 및 조립 방법
JP5093919B2 (ja) 光コネクタ用固定部材及び光コネクタの取付方法
US20070211998A1 (en) Inner Housing For A Fibre-Optic Plug Connector
JP2009282177A (ja) 光コネクタ用曲がりブーツ
KR101014323B1 (ko) 광케이블 커넥터
JP5621580B2 (ja) 光ケーブルコネクタおよび光ケーブルコネクタと光ケーブルの組立方法
JP5898510B2 (ja) 光コネクタ
JP2016164600A (ja) プラグ側光コネクタ、光コネクタシステム及びコネクタ付き光ケーブル
JP5504639B2 (ja) ケーブルコネクタ用の固定部材、ケーブルコネクタ、ケーブルコネクタ付きケーブル、光ケーブルコネクタ
US9250394B2 (en) Connector for ribbon optical fiber
KR101180962B1 (ko) 현장 접속형 광섬유 커넥터
KR100905326B1 (ko) 광커넥터
KR20160011739A (ko) 이중 구조를 갖는 현장 조립형 광커넥터
FR2837289A1 (fr) Systeme de connecteur pour fibre optique
JP2020056911A (ja) 光コネクタユニット
JP4764262B2 (ja) 光ファイバコード牽引治具
US10359581B2 (en) Clamp member, optical connector, and manufacturing method of optical connector
JPH082643Y2 (ja) 光ファイバ用コネクタ
JP4090063B2 (ja) 光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0414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1011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1020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1020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05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20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5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20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3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203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5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205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4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124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011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