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12749B1 - Open Rainwater Treatment Unit - Google Patents
Open Rainwater Treatment Unit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012749B1 KR101012749B1 KR1020080051001A KR20080051001A KR101012749B1 KR 101012749 B1 KR101012749 B1 KR 101012749B1 KR 1020080051001 A KR1020080051001 A KR 1020080051001A KR 20080051001 A KR20080051001 A KR 20080051001A KR 101012749 B1 KR101012749 B1 KR 10101274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ainwater
- ground
- filtration unit
- planting
- lower reservoir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5
- 230000008595 infiltra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1
- 238000001764 infiltr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1
- 239000002689 soi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5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3
- 238000003860 storage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8
- 239000000356 contaminant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6
- 239000004575 ston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7
- 230000001939 inductive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2351 wastewater Substances 0.000 claims 1
- 239000003673 groundwater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8
- 238000000746 purifica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6
- 230000035515 penet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4
- 239000003344 environmental pollut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9
- 231100000719 pollutant Toxicity 0.000 description 9
- 241000196324 Embryophyta Specie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7726 management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9000000919 ceram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3921 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1161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29910001385 heavy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086 pump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5416 organic mat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911 water poll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44000025254 Cannabis sativ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21536 Zeoli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09 air pollut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1100001243 air pollutant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845 anti-microbi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462 bioceram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927 cla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354 decomposi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982 device technolog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HNPSIPDUKPIQMN-UHFFFAOYSA-N dioxosilane;oxo(oxoalumanyloxy)alumane Chemical compound O=[Si]=O.O=[Al]O[Al]=O HNPSIPDUKPIQM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32 germa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GNPVGFCGXDBREM-UHFFFAOYSA-N germanium atom Chemical compound [Ge] GNPVGFCGXDBRE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813 municipal solid was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865 sewag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638 solvent extr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876 topograph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457 zeoli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32—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characterised by the animals or plants used, e.g. algae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001—Runoff or storm water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1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at coastal zones; at river basins
- Y02A10/30—Flood prevention; Flood or storm water management, e.g. using flood barrier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1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otan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Sewage (AREA)
- Treatment Of Biological Wast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로나 주택단지 등에서 발생하는 우수를 처리(배수 및 침투)하는 장치에 관련하여, 초기 우수에 대한 오염물질의 정화능력과 지하수 침투 성능이 우수하고, 장치를 구축하기 위한 공간 확보가 용이한 개방형 우수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우수처리 장치(1)는, 지표면(3)을 흐르는 우수(2)의 유입 및 일시 저수가 가능하도록 지표면(3) 보다 낮게 구획된 저수공간(15)을 구비하고 각종 식물(11)이 식재되는 지상식재부(10); 상기 지상식재부(10)의 식재토양(12)의 아래에 적층되고, 상기 우수(2)가 침투하여 상기 우수(2)중의 오염물질을 여과하는 침투여과부(20); 상기 침투여과부(20)의 아래에 적층되어 상기 침투여과부(20)를 통과한 우수(2)가 저류되고, 저류된 우수(2)를 기존 우수관거(4)로 배출시키는 배출구(31)가 구비된 하부저류부(30); 상기 지표면(3)의 상기 우수(2)를 상기 지상식재부(10)로 유입시키고, 유입된 상기 우수(2)를 상기 침투여과부(20)로 유도하는 우수유입부(40); 및 상기 우수(2)가 상기 지상식재부(10)의 상기 저수공간(15)에 만수위에 이르기 전에 상기 우수(2)를 상기 하부저류부(30)로 유도하는 우수월류부(50); 를 포함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vice for treating (draining and infiltrating) stormwater generated from a road or a housing complex, and has excellent purification ability of contaminants and groundwater infiltration for the initial stormwater, and easy to secure space for constructing the device. An open stormwater treatment apparatus is provided. The stormwater treatment apparatus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torage space 15 partitioned lower than the ground surface 3 so that inflow and temporary storage of the storm water 2 flowing through the ground surface 3 are possible. The ground planting part 10 is planted; An infiltration filtration unit 20 which is stacked below the planting soil 12 of the above-ground planting unit 10 and infiltrates the rainwater 2 to filter contaminants in the rainwater 2; The drain 31 which is stacked below the permeation filtration part 20 and passes through the permeation filtration part 20 is stored, and discharges the stored rainwater 2 to the existing storm drain 4. The lower reservoir 30 is provided; A rainwater inlet 40 for introducing the rainwater 2 of the ground surface 3 into the above-ground planting part 10 and for introducing the rainwater 2 introduced into the permeation filter 20; And the rainwater overflowing part 50 which leads the rainwater 2 to the lower reservoir 30 before the rainwater 2 reaches the full water level in the water storage space 15 of the above-ground planting part 10; It includes.
Description
본 발명은 우수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도로나 주택단지 등에서 발생하는 우수를 처리하는 장치에 관련하여, 초기 우수에 대한 오염물질의 정화능력과 지하수 침투 성능이 우수하고, 장치를 구축하기 위한 공간 확보가 용이한 개방형 우수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ormwater treatment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device for treating stormwater generated in a road or a housing estate, etc., having an excellent ability to purify pollutants and groundwater infiltration for the initial stormwater, and constructing the devic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pen rainwater treatment device that is easy to secure space for.
과밀한 도시개발로 인한 불투수율의 증가와 돌발성 집중호우로 인하여 하수관거와 하천을 통한 홍수대응능력에 한계를 드러내고 있으며, 도시개발에 따른 불투수성 증가는 도시의 사막화를 가속화하고 우수의 지하수로의 침투를 방해하여 토양 생태계에 많은 문제점을 유발하고 있다. Increasing impermeability due to dense urban development and sudden heavy rains are limiting the ability to cope with flooding through sewage pipes and streams.Increasing impermeability due to urban development accelerates the desertification of cities and impedes the penetration of rainwater into groundwater. This causes many problems in the soil ecosystem.
우수는 지표면을 흐르면서 지표면에 침적된 중금속, 유기물, 유분 등의 각종 오염물질(비점오염물질)을 씻어내어 이들 오염물질에 의해 오염된 상태가 되고, 특히 상기 오염물질을 다량 함유하고 있는 초기 우수를 적절한 처리 없이 그대로 하천이나 바다로 방류할 경우에 수질오염의 원인이 되며, 따라서 초기 유수의 오염은 중요 비점오염원의 하나가 되고 있다. Rainwater washes away various contaminants (non-point contaminants) such as heavy metals, organics, and oil deposited on the surface of the earth and becomes contaminated by these pollutants. If it is discharged to a river or the sea without proper treatment, it is the cause of water pollution. Therefore, the initial runoff pollution is one of the important nonpoint sources.
비특정 오염원 또는 면(面)오염원이라고도 하는 '비점오염원'은, 특정한 배 출경로를 가지는 점오염원과는 달리, 강우 등에 의한 도시노면배수와 같이 광범위하고 불특정한 배출경로를 가지는 오염원으로서, 주로 비가 올 때 교통오염물질, 먼지와 쓰레기, 지표면 낙하의 대기오염물질 등의 다양한 종류의 오염물질이 포함된 우수의 형태로 유출되는 바, 이런 오염된 우수는 많은 강우 시에 유출되기 때문에 시간별 배출량의 차이가 크고, 오염의 예측과 정량화가 어려우며, 인위적 조절이 어려운 기상조건, 지질, 및 지형 등에 영향을 많이 받는 특성을 지니고 있으며, 제도적으로 배출기준을 정하기도 어렵다는 특징이 있다. 'Non-point source', also called non-specific source or surface source, is a source of pollution that has a wide and unspecific discharge path, such as urban road drainage by rainfall, unlike point source, which has a specific discharge path. When it comes to rain, it is discharged in the form of rainwater containing various kinds of pollutants such as traffic pollutants, dust and trash, and air pollutants in the surface drop. It is very large, difficult to predict and quantify pollution, and has characteristics that are highly influenced by weather conditions, geology, and topography, which are difficult to control artificially, and it is difficult to systematically set emission standards.
도시발달과 인구증가로 수질오염과 물 부족현상이 세계적인 이슈가 되고 있는 상황에서, 대한민국도 물 부족 국가로서 여름에 강우가 집중적으로 분포하고 있음을 고려할 때, 댐, 빗물펌프장, 조정지, 저수지 등을 이용한 우수관리와 함께 그 지역에서 발생하는 우수를 관리하는 빗물이용, 침투, 저류 등의 다양한 장치를 통해 생태적 토양환경을 확보하고 도시의 사막화를 완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Considering the fact that water pollution and water shortage are becoming global issues due to urban development and population growth, Korea is also a water shortage country, considering that the rainfall is concentrated in summer, dams, rainwater pumping stations, reservoirs, reservoirs, etc. It is necessary to secure ecological soil environment and mitigate urban desertification through various devices such as rainwater use, infiltration, and storage that manage rainwater that occurs in the region along with rainwater management.
일반적인 우수처리 장치는 우수관거를 매설하고 우수관거에 의해 모아진 우수를 하천으로 배출시키기 위하여 유역의 말단부에 유수지를 설치하는 장치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우수관거 장치는 집중 호우시 펌프장이나 그 외의 시설이 집중적으로 부하를 받거나 도심지역 우수에 포함되어 있는 중금속, 유기물, 유분 등의 오염물질이 유수지로 유입되어 그대로 하천으로 유출되어 하천오염을 유발할 수 있다. A general stormwater treatment device is a device for installing an oil reservoir at the end of a basin in order to bury stormwater drainage and discharge rainwater collected by stormwater drainage to a river. However, such a conventional storm water drainage device has a heavy load in a pumping station or other facilities during heavy rains, or contaminants such as heavy metals, organic matter, and oils contained in rainwater in urban areas flow into the reservoir and flow out into rivers. May cause.
이에 따라 우수가 유수지로 유입되기 전에 토양으로 자연 침투시키거나 중간저류 시킴으로써 그 유출량을 감소시키는 친환경적인 우수침투방안이 널리 제안되 고 있다. Accordingly, eco-friendly stormwater penetration measures have been widely proposed to reduce the amount of runoff by naturally penetrating into the soil or storing water before the rainwater enters the reservoir.
우수침투장치는 중앙집중식 빗물관리 문제를 개선하기 위한 보안책으로 시도되고 있으며, 기존시설에 매립하는 형이나 전처리 중점형 등이 있다. 그러나 기존장치는 요소기술이나 장치 기술의 관점에서 완성도와 연계성이 떨어지는 한계가 있고, 생태적 외부 공간 조성을 위한 조경, 토목, 단지계획 등의 기술과 연계되지 못하는 문제가 있으며, 우수량의 변화에 탄력적으로 대처하지 못하고 일시적인 저류 혹은 점적인 침투기능만을 가지고 있다. Rainwater penetration devices are being attempted as a security measure to improve the centralized rainwater management problem, and there are types of landfills or pretreatment-focused types in existing facilities. However, existing devices have limitations in terms of completeness and inferiority from the point of view of element technology or device technology, and they cannot be connected with technologies such as landscaping, civil engineering, and complex planning for ecological external space creation. It does not cope and has only temporary storage or drip penetration.
특히 대한민국의 도시와 같이 부지가 협소하고 토지가격이 높은 환경에서는 공간을 절약할 수 있는 우수처리 장치가 요구되고 있다. In particular, in an environment with a narrow site and high land price, such as a city in South Korea, a storm water treatment device that can save space is required.
본 발명의 목적은, 도로나 주택단지 등에서 발생하는 우수를 처리하는 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으로서, 특히 오염된 초기 우수에 대한 오염물질의 정화능력이 우수하고 우수의 지하수 침투가 양호한 개방형 우수처리 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pparatus for treating rainwater generated in a road or a housing complex, and particularly, an open rainwater treatment device having excellent purification ability of contaminants for contaminated initial rainwater and good groundwater penetration. It is to provid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초기 우수의 오염물질 정화능력과 우수의 지하수 침투가 양호할 뿐만 아니라, 장치 구축을 위한 부지확보가 어려운 조건에서 부지확보에 대한 큰 부담 없이 초기 우수의 오염물질처리, 우수침투 및 저류기능을 통합한 개방형 우수처리 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only a good initial pollutant purification ability and excellent groundwater penetration, but also in the condition that difficult to secure the site for the construction of the device, without the burden of site acquisition, the initial excellent pollutant treatment, excellent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open stormwater treatment device that integrates infiltration and storage functions.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도로변 등에 구축되는 식생시설을 유지한 상태로 설치할 수 있어서 계속적인 도시화에 따라 녹지공간이 잠식당하고 있는 환경에 녹지공간을 확충하는 것이 기어하는 한편, 기존의 우수관거에 연계하여 설치할 수 있는 개방형 우수처리 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nstall the green vegetation facilities built on the roadside, while maintaining the green space in the environment in which the green space is encroached by the continuous urbanization, while connecting to the existing storm water It is to provide an open rainwater treatment device that can be installed by.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소규모 강우로부터 집중호우까지 우수의 부하변동에 대처 할 수 있음으로써 강우량의 편중이 심한 환경에서 적용할 수 있는 개방형 우수처리 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open rainwater treatment apparatus that can be applied in the environment of heavy rainfall rainfall by being able to cope with the load fluctuations of rain from small rainfall to heavy rain.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강우량이나 배수면적 등의 우수처리 환경에 맞게 장치의 단위를 적절히 조절함으로써 배수구역내의 비점오염원을 총체적으로 관리 할 수 있는 개방형 우수처리 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open stormwater treatment apparatus that can collectively manage the non-point source in the drainage area by appropriately adjusting the unit of the device according to the rainwater or drainage area, such as rainwater treatment environment.
본 발명에 따라 개방형 우수처리 장치가 제공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 open stormwater treatment apparatus is provided.
본 발명에 따른 개방형 우수처리 장치는, 지상식재부, 침투여과부, 하부저류부, 우수유입부 및 우수월류부를 포함한다. The open rainwater treatmen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ground planting part, a penetrating filtration part, a lower reservoir part, a rainwater inflow part and a rainwater overflow part.
상기 지상식재부는, 지표면을 흐르는 우수의 유입 및 일시 저수가 가능하도록 지표면 보다 낮게 구획된 저수공간을 구비하고 각종 식물이 식재된다. The above-ground planting part has a storage space partitioned lower than the ground surface to allow the inflow and temporary storage of rainwater flowing through the ground surface, and various plants are planted.
상기 침투여과부는 상기 지상식재부의 식재토양의 아래에 적층되고, 상기 우수가 침투하여 상기 우수 중의 오염물질을 여과한다. The penetrating filtration unit is laminated under the planting soil of the above-ground planting part, and the rainwater penetrates to filter contaminants in the rainwater.
상기 하부저류부는, 상기 침투여과부의 아래에 적층되어 상기 침투여과부를 통과한 우수가 저류되고, 저류된 우수를 기존 우수관거로 배출시키는 배출구가 구비되어 있다. The lower reservoir has a discharge port which is stacked below the infiltration filtration part to store the rainwate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infiltration filtration part and discharges the stored rainwater to an existing storm drain.
상기 우수유입부는 상기 지표면의 상기 우수를 상기 지상식재부로 유입시키고, 유입된 상기 우수를 상기 침투여과부로 유도한다. The rainwater inlet unit introduces the rainwater on the ground surface to the ground planting unit, and induces the rainwater introduced into the penetration filtration unit.
상기 우수월류부는, 상기 우수가 상기 지상식재부의 상기 저수공간에 만수위에 이르기 전에 상기 우수를 상기 하부저류부로 유도한다. The rainwater overflowing section guides the rainwater to the lower reservoir before the rainwater reaches a full water level in the reservoir space of the above-ground planting part.
바람직하게, 상기 지상식재부는 그 둘레가 경계석으로 구획되어 상기 저수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경계석의 하단은 상기 하부저류부의 상부와 일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상기 침투여과부에까지 신장되어 있고, 상기 경계석과 상기 하부저류부 사이는 상기 우수의 일부가 주변의 기반토양으로 침투되도록 하는 통로를 형성한다. Preferably, the above ground planting portion is divided into a boundary stone to form the reservoir space, and the lower end of the boundary stone extends to the penetration filtration unit in a state spaced apart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lower reservoi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the boundary stone and Between the lower reservoirs form a passageway through which a portion of the rainwater penetrates into the surrounding soil.
바람직하게, 상기 침투여과부는 상기 우수의 침투가 가능하고 상기 우수로부터 오염물질을 여과하는 상부의 여과재층과, 상기 여과재층과 상기 하부저류부의 사이에 적층되어 상기 여과재층이 상기 하부저류부로 낙하하는 것을 방지하는 여과매트를 포함한다. Preferably, the permeation filtering part is laminated between an upper filter medium layer capable of penetrating the rainwater and filtering contaminants from the rainwater, and the filter medium layer and the lower reservoir, such that the filter medium layer falls into the lower reservoir. And a filter mat to prevent it.
바람직하게, 상기 우수유입부는, 상기 우수를 상기 지표면으로부터 상기 지상식재부로 유도하는 개폐 및 오물 거름 가능한 유입구와, 상기 유입구로 유입된 상기 우수를 상기 침투여과부로 유도하며 여과재가 충전된 유입통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개방형 우수처리 장치를 새로이 구축되는 신도시가 아닌 기존의 도시에 적용할 경우에, 공간적 제한으로 인하여 상기 하부저류부를 구축하기 어려울 수 있다. 이와 같은 환경에서 본 발명의 우수처리 장치는 상기 하부저류부를 생략하고 상기 침투여과부를 통과한 우수를 바로 기존 우수관거로 유도하여 배출할 수 있다. Preferably, the rainwater inlet may include an inlet capable of opening and closing the rainwater from the ground surface to the ground planting portion, and an inflow tube filled with a filter medium for inducing the rainwater introduced into the inlet to the infiltration portion. do.
When the open stormwater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n existing city instead of a newly constructed new city, it may be difficult to construct the lower reservoir due to spatial limitations. In such an environment, the rainwater treatmen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omit the lower reservoir and directly discharge the rainwate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permeation filter to the existing stormwater drainage.
본 발명에 따른 개방형 우수처리 장치는 아래와 같은 효과가 있다. The open rainwater treat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본 발명의 우수처리 장치는, 도로나 주택단지 등에서 발생하는 우수에 대하여, 초기우수 정화 및 우수침투를 유도하여 초기강우의 비점오염원을 효과적으로 관리함으로써 토양과 하천 및 호수 등의 생태계를 보호할 수 있고, 우수침투로 인한 도시의 열섬효과 완화와 우수의 저류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First, the stormwater treatment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by inducing the initial rainwater purification and stormwater penetration for rainwater generated in the road or residential complex, effectively protect the non-point pollution source of the initial rainfall to protect the ecosystem such as soil, rivers and lakes It can be expected to alleviate the heat island effect of the city due to stormwater penetration and the storage effect of rainwater.
둘째, 본 발명의 우수처리 장치는 장치 구축을 위한 부지확보가 어려운 조건에서 부지확보에 대한 큰 부담 없이 초기 우수의 오염물질처리, 우수침투 및 저류를 통합적으로 실현할 수 있다. Second, the rainwater treatmen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realize the contaminant treatment, rainwater penetration and storage of the initial rainwater without a large burden on the land security under conditions that it is difficult to secure the site for the device construction.
셋째, 본 발명의 우수처리 장치는, 도로변 등에 구축되는 식생시설을 유지한 상태로 개방형으로 설치할 수 있어서 계속적인 도시화에 따라 녹지공간이 잠식당하고 있는 환경에 녹지공간을 확충하는 것이 기어하는 한편, 기존의 우수관거에 연계하여 설치할 수 있다. Third, the rainwater treatmen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nstalled in an open type while maintaining a vegetation facility constructed on a roadside, and thus, it is possible to expand the green space in an environment where green space is encroached by continuous urbanization. It can be installed in conjunction with the storm pipe.
넷째, 본 발명의 우수처리 장치는, 소규모 강우로부터 집중호우까지 우수의 부하변동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음으로써 강우량의 편중이 심한 환경에서 효과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Fourth, the stormwater treatment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ffectively applied to an environment in which rainfall is severely biased by being able to actively cope with load fluctuations of stormwater from small rainfalls to heavy rains.
다섯째, 본 발명의 우수처리 장치는 우수처리 환경에 맞게 장치의 단위를 적절히 조절함으로써 배수구역내의 비점오염원을 총체적으로 관리 할 수 있다. Fifth, the rainwater treatment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collectively manage the non-point source in the drainage area by appropriately adjusting the unit of the rainwater treatment environment.
여섯째, 종래의 우수관리장치는 그 유지관리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는 바, 본 발명에 따른 우수관리 장치는 상대적으로 사후 관리의 필요성이 적으므로, 유지관리가 어려운 도로나 주택지 등에 적용하여 비점오염원을 관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Sixth, the conventional rainwater management device has a problem that its maintenance is difficult, because the rainwater managemen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relatively low need for post management, it is applied to the road or residential area difficult to maintain non-point source management It can work.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개방형 우수처리 장치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구체예는 본 발명에 따른 우수처리 장치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아니한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the open rain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ollowing embodiments are merely illustrative of the stormwater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개방형 우수처리 장치(1)는, 도로변이나 중앙분리대 등에 흔히 설치되는 식생공간을 설치공간으로 이용하여 개방형으로 설치하고, 기존의 우수관거(4)와 연계하여 설치할 수 있는 장치이다. 따라서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장치(1)는 도로 등의 지표면(3)으로부터 우수(2)를 처리하는 기존의 우수관거(4)의 구배에 맞게 설치된다. The open
본 발명에 따른 우수처리 장치(1)는 도로 및 주택지 등에서 발생하는 우수처리를 목적으로 하는 분산식 빗물관리 장치의 하나인 선형침투장치의 일종이라 할 수 있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우수처리 장치(1)는, 지상식재부(10), 침투여과부(20), 하부저류부(30), 우수유입부(40) 및 우수월류부(50)를 기본적으로 포함한다. As shown in Figure 1, the
상기 지상식재부(10)는, 도로 등의 지표면(3)을 흐르는 우수(2)가 유입되도록 하고 상황에 따라 일시 저수가 가능하도록, 지표면(3) 보다 조금 낮게 구획되어 저수공간(15)을 형성한다. 지상식재부(10)에는 관목이나 잔디 등 각종 식물(11)이 식재된다. 예를 들어 지상식재부(10)의 바닥은 지표면(3) 보다 약 20-40cm 정도 낮게 형성하고, 식재된 식물(11)의 원활한 생장을 위한 식재토양(12)이 충전되어 있으며, 그 둘레의 경계는 예를 들어 콘크리트 경계석(13)으로 구획하여 외부 환경과 격리된 저수공간(15)을 형성함으로써 우수(2)의 유입과 일시 저수가 가능하게 된다. The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계석(13)은 오염물질이 덜 여과된 상태의 유 수(2)가 바로 인접 기반토양(5)으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이후에 설명하는 침투여과부(20)에 까지 뻗도록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때 경계석(13)의 하단이 하부저류부(30)와 일정 간격 유지되도록 함으로써 침투여과부(20)의 우수(2)가 주변 기반토양(5)으로 배출되는 통로(14)가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1, the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장치(1)는 그 최상부가 지상식재부(10)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우수처리 장치의 구축에 도로 등에 마련된 기존의 식생공간을 활용할 수 있고, 반대로 본 발명의 우수처리 장치(1)를 식생공간으로 이용할 수 있으므로, 우수처리 장치 구축을 위해 별도의 공간을 확보할 필요 없기 때문에 장치 구축에 필요한 공간을 절약할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녹지공간의 보존과 확충에 기어할 수 있게 된다. Thus, since the uppermost part of the
또한, 본 발명의 장치(1)는 지상식재부(10)를 구성하는 식물(11)과 식재토양(12)의 자연적인 생물학적 분해 작용에 의해 우수(2)의 오염물질을 일부 분해할 수 있으므로 오염물질 정화가 매우 친환경적이다. In addition, the device (1)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artially decompose pollutants of rainwater (2) by the natural biological decomposition of the plant (11) and the planting soil (12) constituting the ground planting portion (10) Pollutant purification is very environmentally friendly.
아울러 본 발명의 장치(1)는 그 외관이 지상식재부(10)의 식물(11)과 경계석(13)으로 조경되므로, 도로 등과 어울리는 친환경적인 공간을 연출할 수 있는 효과도 있으며, 이런 지상식재부(10)의 모양 및 규격은 설치장소에 따라 다양하게 결정할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상기 침투여과부(20)는 지상식재부(10)의 아래에 적층되고, 우수(2)를 침투시키며 침투된 우수(2)에 포함된 각종 오염물질을 여과하는 작용을 한다. The penetrating
우수(2)의 침투와 여과를 위해, 침투여과부(20)에는, 제올라이트, 게르마늄 맥반석, 점토 등의 세라믹과 같이 침투가 가능하고 여과성능을 가지는 것으로 널리 알려진 여과재층(21)이 적층된다. 여과재층(21)으로는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807175호의 '수질정화용 바이오세라믹 및 그 제조방법'(2008. 2. 19. 등록)에 따른 세라믹 등을 적용할 수 있다. In order to penetrate and filter the rainwater (2), the filter medium layer (21) is laminated with a filter material layer (21), which is known to be able to penetrate like ceramics such as zeolite, germanium ganban stone, clay and the like and have filtration performance. As the
바람직하게, 여과재층(21)의 아래에는 여과재층(21)이 그 아래의 하부저류부(30)로 낙하하는 것을 방지하고 우수(2)의 침투와 여과 성능이 있는 예를 들어 전술한 세라믹과 같은 여과재(22a)가 충전된 세라믹매트와 같은 여과매트(22)를 깔 수 있다. Preferably, under the
이와 같이 지상식재부(10)의 하층에 침투여과부(20)를 적층함에 따라, 지상식재부(10)를 통과하면서 식물(11)과 식재토양(12)에 의해 어느 정도 오염물질이 정화된 우수(2)와 후술하는 우수유입부(40)로부터 유입된 우수(2)로부터 유기물, 중금속, 유분 등의 오염물질이 제거된다. In this way, as the
침투여과부(20)의 아래에 위치하는 상기 하부저류부(30)는, 예를 들어 상부가 개방된 조-형상의 콘크리트 구조물(예, 관거형태)로서, 그 상부의 침투여과부(20)와 지상식재부(10)를 지지하는 한편, 침투여과부(20)를 통과한 우수(2)를 일시 저류함으로써 그 유출량을 감소시켜 집중호우시 펌프장을 비롯한 그 외의 시설의 집중적인 부하를 분산시킬 수 있도록 하는 작용을 한다. The
하부저류부(30)는 상부 개방의 조-구조물이므로 그 위에 적층되는 침투여과부(20) 등을 지지할 수 있어야 하는 바, 이를 위해 하부저류부(30)의 개방된 상면을 그릴 형태로 형성하거나 하부저류부(30)의 내부공간에 다수의 기둥구조물을 형성하여 그 위의 여과매트(22)를 받쳐주도록 함으로써 상부의 여과재층(21) 등이 처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하부저류부(30)의 바닥에는 항균성이 있는 전술한 투수 여과성 세라믹매트와 같은 매트(32)를 깔아서 일시 저류하는 우수(2)가 부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Since the
하부저류부(30)의 하류에는 배출구(31)가 형성되어 있으며, 배출구(31)를 통해 하부저류부(30)에 저류된 우수(2)가 기존의 우수관거(4)로 배출된다. A
상기 우수유입부(40)는 우수(2)를 지상식재부(10)로 유도하고 유입된 우수(2)를 침투여과부(20) 등으로 유도하는 구성으로서, 바람직하게 유입구(41)와 유입통(42)으로 구성된다. The
유입구(41)는 지상식재부(10)를 구획하는 경계석(13)에 걸쳐 설치됨으로써, 지표면(3)의 우수(2)를 지상식재부(10) 쪽으로 유도하며, 우수(2)의 유입이 원활하도록 지표면(3)의 구배에 맞게 형성되고, 도2에 예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모양과 배치로 형성할 수 있으며, 하나만 설치하는 것(A)도 가능하고 다수 개를 설치하는 것(B)도 가능하다. The
바람직하게 유입구(41)에는 예를 들어 메시 형태의 개폐 가능한 그릴뚜껑(41a)을 설치함으로써 비교적 큰 이물이 유입통(42)으로 유입되는 것을 걸러내는 한편, 걸러진 이물의 청소나 유입통(42)에의 접근을 위해 개방할 수 있도록 한다. Preferably, the
유입통(42)은 유입구(41)의 바로 아래에 설치되며, 유입구(41)를 통해 유입된 우수(2)가 지상식재부(10)로 유입되지 전에 침투여과부(20)로 유도되게 한다. The
바람직하게 유입통(42)에는 여과재(42a)가 충전되어서 초기 우수(2)에 포함된 오염물질을 제거한다. 상기 여과재(42a)로서는 쇄석이나 세라믹 등의 통상적인 여과 기능이 있는 소재를 충전하여 적용할 수 있다. 아울러 유입통(42)의 여과재(42a)는 그 여과기능이 현저히 감소할 경우 쉽게 분리하여 교체 할 수 있도록 카트리지형태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Preferably, the
우수유입부(40)를 통과한 우수(2)는 침투여과부(20)를 통과하여 일부 인접한 기반토양(5)로 침투되거나 하부저류부(30)를 거처 기존의 우수관거(4)로 배출된다. Rainwater (2) that has passed through the rainwater inlet (40) passes through the infiltration filtration unit (20) to penetrate into some adjacent foundation soil (5) or discharge through the lower reservoir (30) to the existing stormwater drainage (4). do.
우수유입부(40)의 유입구(41)를 통해 유입된 우수(2)는 기본적으로 유입통(42)을 통해 침투여과부(20)로 유입되지만, 유입량이 많아 유입통(42)의 수용능력을 초과한 우수(2)는 지상식재부(10)의 저수공간(15)으로 유입되어 일부 식재토양(12)으로 침투되면서 침투하지 못한 우수(2)는 지상식재부(10)의 저수공간(15)에 일시 저수된다. Rainwater (2) introduced through the inlet (41) of the
그러나 집중호우 등으로 인하여 우수(2)가 저수공간(15)의 만수위에 도달하면 넘치게 될 것인 바, 상기 우수월류부(50)는 우수(2)가 저수공간(15)의 만수위에 이르기 전에 우수(2)를 하부저류부(30)로 유도하는 작용을 한다. However, due to the heavy rain, the rainwater (2) will overflow when it reaches the full water level of the reservoir space (15), the rainwater overflow portion (50) before the rainwater (2) reaches the full water level of the reservoir space (15) Rainfall (2) acts to guide the lower reservoir (30).
이를 위해 우수월류부(50)의 상단은 지상식재부(10)의 경계석(13)의 상단보다 약간 낮은 위치까지 배관하며, 바람직하게 우수월류부(50)의 상단에는 우수 통과 가능하게 뚜껑(51)을 덮어 이물의 유입을 차단한다. To this end, the upper end of the
이와 같이 우수월류부(50)의 구성에 따라 집중호우와 같은 우량 변화에도 대처가 가능하게 된다. In this way, it is possible to cope with a change in rain, such as a heavy rain,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본 발명에 따른 우수처리 장치에 있어서, 지상식재부(10)의 저수공간(15)과 식재토양(12), 침투여과부(20) 및 하부저류부(30)의 크기는 강우유역면적과 강우량, 초기강우의 오염도 등의 여건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동일 면적에 대해 각각의 높이를 저수공간(15)은 35cm, 식재토양(12)은 30cm, 침투여과부(20)는 30cm, 하부저류부(30)는 65cm 등으로 할 수 있고, 이때 하부저류부(30)는 예상되는 저류량이 많을 경우에 지상식재부(10)의 면적을 넘어서 더 넓고 높게 설계할 수 있다. In the rainwater treat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ize of the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우수처리 장치(1)는,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위블록으로 형성하여 도로(6) 등에 설치된 기존의 우수관거(4)에 필요한 만큼 연결하여 설치할 수 있다. 각 단위 우수처리 장치(1)의 크기와 적용하는 개수 등은 강우유역면적과 강우량 등의 우수 조건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으며, 따라서 본 발명의 우수처리 장치는 기존의 우수관거(4)와 연계하여 유역내의 비점오염원을 총체적으로 관리 할 수 있다. The
이하, 도1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우수처리 장치(1)에 있어서 우수의 흐름을 설명한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 1, the flow of rainwater in the
먼저, 강우 등으로 지표면(3)에 우수(2)가 흐르게 되면 그 우수(2)는 지상식재부(10)의 경계석(13)에 설치된 우수유입부(40)의 유입구(41)를 통해 유입통(42)으로 유입되고, 이 과정에서 유입구(41)에서는 비교적 큰 이물이 걸러지고, 유입통(42)에서는 그 여과재(42a)에 의해 오염물질이 1차적으로 걸러진다. First, when the
유입통(42)의 우수(2)는 그 주변의 식재토양(12)을 경유하여 또는 직접 침투여과부(20)로 침투하여 흐르게 되며, 이 과정에서 침투여과부(20)의 여과재층(21)과 여과매트(22)에 의해 2차적으로 오염물질이 제거된다. 이때, 유입통(42)의 일부 우수(2)는 그 주변의 기반토양(5)으로 침투하여 지하수로 유입된다. The
침투여과부(20)를 통과한 우수(2)는 그 하부의 하부저류부(30)로 유입되고, 이때 우수(2)의 일부는 상기 통로(14)를 통해 그 주변의 기반토양(5)으로 침투하여 지하수로 유입된다. Rainwater (2) passing through the
하부저류부(30)의 우수(2)는 그 배출구(31)를 통해 우수관거(4)로 흘러감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우수처리 장치(1)의 기본적인 우수처리가 완료된다. The
우수유입부(40)를 통해 유입되는 우수(2)의 양이 우수유입부(40)의 용량을 초과할 경우, 초과된 우수(2)는 지상식재부(10)의 저수공간(15)에 일시 저류되고, 저류된 저수는 식재토양(12)을 통해 침투되어 침투여과부(20) 및 하부저류부(30)를 통해 우수관거(4)로 배출되고, 강우량이 많아 저수공간(15)의 만수위에 가까워진 우수(2)는 우수월류부(50)를 통해 바로 하부저류부(30)로 흘러 우수관거(4)로 배출된다. 아울러 이런 과정에서 우수(2)의 일부는 경계석(13)과 하부저류부(30) 사이의 개방된 통로(14)를 통해 주변의 기반토양(5)으로 흘러 지하수에 편입된다.
본 발명의 우수처리 장치(1)는, 새로이 구축되는 신도시가 아닌 기존의 도시에 적용하고자 할 경우 그 공간적 제한으로 인하여 하부저류부(30)를 구축하기 어려울 수 있는바, 도시하지는 아니하였지만, 이런 환경에서는 하부저류부(30)를 생략하고 침투여과부(20)을 통과한 우수를 바로 기존 우수관거(4)로 유도하여 배출할 수 있다.
이때, 침투여과부(20)를 통과한 우수(2)는 하부저류부(30)에 저류된 후에 기존 우수관거(4)로 배출되는 것이 아니라 바로 기존 우수관거(4)로 배출된다. 물론 이런 경우에 우수월류부(50)도 저수공간(15)의 만수위에 이르기 전에 우수(2)를 하부저류부(30)로 유도하는 것이 아니라 기존 우수관거(4)로 유도한다. When the amount of rainwater (2) flowing through the rainwater inlet (40) exceeds the capacity of the rainwater inlet (40), the excess rainwater (2) is stored in the
The
At this time, the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예시적인 우수처리 장치의 개략도, 1 is a schematic diagram of an exemplary stormwater treatmen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예시적인 우수처리 장치의 개략 평면도, 2 is a schematic plan view of an exemplary stormwater treatmen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우수처리 장치에 적용된 예시적인 우수유입부의 개략도, Figure 3 is a schematic diagram of an exemplary rainwater inlet applied to the stormwater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우수처리 장치를 도로에 적용한 예의 개념도.Figure 4 is a conceptual diagram of an example of applying the storm water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n the road.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본 발명의 우수처리 장치 2: 우수 1: stormwater treatmen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2: stormwater
3: 지표면 4: 기존 우수관거3: surface 4: existing storm drain
5: 기반토양 6: 도로5: soil 6: road
10: 지상식재부 11: 식물10: Ground Planting Division 11: Plant
12: 식재토양 13: 경계석12: Planting soil 13: Boundary stone
14: 통로 15: 저수공간14: passage 15: reservoir
20: 침투여과부 21: 여과재층 20: penetration filter 21: filter medium layer
22: 여과매트 22a: 여과재 22:
30: 하부저류부 31: 배출구 30: lower reservoir 31: outlet
40: 우수유입부 41: 유입구 40: rainwater inlet 41: inlet
41a: 그릴뚜껑 42: 유입통41a: grill lid 42: inlet
42a: 여과재 50: 우수월류부 42a: filter medium 50: rainwater overflow part
Claims (5)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051001A KR101012749B1 (en) | 2008-05-30 | 2008-05-30 | Open Rainwater Treatment Unit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051001A KR101012749B1 (en) | 2008-05-30 | 2008-05-30 | Open Rainwater Treatment Unit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124660A KR20090124660A (en) | 2009-12-03 |
KR101012749B1 true KR101012749B1 (en) | 2011-02-10 |
Family
ID=416865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80051001A KR101012749B1 (en) | 2008-05-30 | 2008-05-30 | Open Rainwater Treatment Unit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012749B1 (en) |
Cited By (1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70815B1 (en) * | 2011-12-16 | 2012-08-02 | 조영철 | Vegetational apparatus for rainwater retention |
CN102733448A (en) * | 2012-04-05 | 2012-10-17 | 王庆 | Small buried multifunctional rainwater collecting and utilizing device |
KR101296348B1 (en) | 2011-12-19 | 2013-08-14 | 한국건설기술연구원 | A street tree box for capable of free connect and accommodating ground deformation |
KR101343005B1 (en) | 2013-05-16 | 2013-12-18 | 조국희 | Vegetation type rainwater management apparatus for filtering of nonpoint pollution |
KR101352643B1 (en) | 2013-05-21 | 2014-01-24 | 주식회사 지이글로벌 | Rainwater permeating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for enviromental-friendly rainwater circulation |
CN103643612A (en) * | 2013-12-27 | 2014-03-19 | 深圳市建筑科学研究院有限公司 | Shallow grass furrow and manufacturing method of shallow grass furrow |
KR101393021B1 (en) | 2012-03-30 | 2014-05-08 | 주식회사현우그린 | Low Impact Development Type Planting Structure for Street Trees |
CN104313974A (en) * | 2014-10-15 | 2015-01-28 | 上海交通大学 | Ecological grass planting trench for cities with rich water resource |
CN105803892A (en) * | 2016-03-16 | 2016-07-27 | 南京林业大学 | Method capable of being used for rain water seepage-filtering, collection and storage and purification in sponge city |
KR101671768B1 (en) * | 2016-03-21 | 2016-11-03 | 주식회사 에코스타 | Infiltration trench with inner inlet |
KR101728208B1 (en) * | 2014-08-19 | 2017-04-18 |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 Expansion infiltration pot pacility for plant growth by surface detention storage and evaporatio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68550B1 (en) * | 2008-08-25 | 2010-07-08 | 씨앤지환경기술 (주) | Non-point pollutant treatment facility for initial rainwater for smooth land |
KR101362254B1 (en) * | 2011-12-19 | 2014-02-13 | 한국건설기술연구원 | A street tree box having improved non-point pollutant source disposal properties |
KR102086099B1 (en) * | 2012-11-16 | 2020-03-09 | 수생태복원(주) | Water storaging system having water purification funtion |
CN103011513B (en) * | 2012-12-17 | 2014-03-12 | 冯文俊 | Bacteria filter for urban rainwater collecting |
CN103821218B (en) * | 2014-02-17 | 2015-11-25 | 广州市市政工程设计研究总院 | A kind of early-stage rainwater and rain dirt mixing overflow water retain seepage flow facility |
CN104005471B (en) * | 2014-06-10 | 2016-01-20 | 重庆大学 | A kind of rain perforaled strainer being separated early-stage rainwater runoff |
CN105174478A (en) * | 2015-09-29 | 2015-12-23 | 武汉圣禹排水系统有限公司 | Biofilter |
KR101701387B1 (en) * | 2016-06-07 | 2017-02-01 | (주) 일신네이쳐 | Facility for infiltrating rain water |
CN106006966B (en) * | 2016-07-04 | 2019-06-11 | 同济大学 | A bioretention pond for enhanced denitrification |
CN108951829A (en) * | 2018-07-30 | 2018-12-07 | 大江环境股份有限公司 | A kind of rainwater purification ecology tree cell system with laminate filtration construct |
CN110005045A (en) * | 2019-05-09 | 2019-07-12 | 中铁四川生态城投资有限公司 | A rainwater isolation and storage system |
CN110127888B (en) * | 2019-06-18 | 2023-12-29 | 大连地拓环境科技有限公司 | Selective permeation drainage system for mine restoration |
KR102089235B1 (en) * | 2019-09-09 | 2020-03-16 | (주)리드코 | Multifunctional nonpoint pollution reduction structure |
KR102072409B1 (en) * | 2019-09-17 | 2020-02-03 | (주)대일이앤지 | Filering box for tree and drainage system using thereof |
CN111395098B (en) * | 2020-03-02 | 2021-04-16 | 武汉大学 | Water collecting structure of priority flow channel |
WO2022050574A1 (en) * | 2020-09-04 | 2022-03-10 | 이기원 | Water-permeable structure for holding water |
CN112681480B (en) * | 2021-01-07 | 2022-04-12 | 江苏龙腾工程设计股份有限公司 | Annular sponge wetland garden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947779A (en) * | 1995-08-08 | 1997-02-18 | Fujita Corp | Water purifying method and device therefor |
KR100491867B1 (en) * | 2003-07-26 | 2005-05-27 | 주식회사 포모나환경기술 | Non-point source a contaminant purification system of first rain |
-
2008
- 2008-05-30 KR KR1020080051001A patent/KR101012749B1/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947779A (en) * | 1995-08-08 | 1997-02-18 | Fujita Corp | Water purifying method and device therefor |
KR100491867B1 (en) * | 2003-07-26 | 2005-05-27 | 주식회사 포모나환경기술 | Non-point source a contaminant purification system of first rain |
Cited By (1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70815B1 (en) * | 2011-12-16 | 2012-08-02 | 조영철 | Vegetational apparatus for rainwater retention |
KR101296348B1 (en) | 2011-12-19 | 2013-08-14 | 한국건설기술연구원 | A street tree box for capable of free connect and accommodating ground deformation |
KR101393021B1 (en) | 2012-03-30 | 2014-05-08 | 주식회사현우그린 | Low Impact Development Type Planting Structure for Street Trees |
CN102733448A (en) * | 2012-04-05 | 2012-10-17 | 王庆 | Small buried multifunctional rainwater collecting and utilizing device |
KR101343005B1 (en) | 2013-05-16 | 2013-12-18 | 조국희 | Vegetation type rainwater management apparatus for filtering of nonpoint pollution |
KR101352643B1 (en) | 2013-05-21 | 2014-01-24 | 주식회사 지이글로벌 | Rainwater permeating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for enviromental-friendly rainwater circulation |
CN103643612A (en) * | 2013-12-27 | 2014-03-19 | 深圳市建筑科学研究院有限公司 | Shallow grass furrow and manufacturing method of shallow grass furrow |
CN103643612B (en) * | 2013-12-27 | 2016-12-07 | 深圳市建筑科学研究院股份有限公司 | Shallow grass ditch and the manufacture method of shallow grass ditch |
KR101728208B1 (en) * | 2014-08-19 | 2017-04-18 |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 Expansion infiltration pot pacility for plant growth by surface detention storage and evaporation |
CN104313974A (en) * | 2014-10-15 | 2015-01-28 | 上海交通大学 | Ecological grass planting trench for cities with rich water resource |
CN105803892A (en) * | 2016-03-16 | 2016-07-27 | 南京林业大学 | Method capable of being used for rain water seepage-filtering, collection and storage and purification in sponge city |
KR101671768B1 (en) * | 2016-03-21 | 2016-11-03 | 주식회사 에코스타 | Infiltration trench with inner inlet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124660A (en) | 2009-12-0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012749B1 (en) | Open Rainwater Treatment Unit | |
KR100718719B1 (en) | Non-point pollutant purification device for early rainfall runoff | |
JP4836038B2 (en) | Road runoff control drainage works | |
US9359746B1 (en) | Over and under combined sewer overflow/stormwater conveyance chambers | |
KR20060094596A (en) | System to induce stormwater storage and underground penetration | |
KR101701387B1 (en) | Facility for infiltrating rain water | |
KR102089235B1 (en) | Multifunctional nonpoint pollution reduction structure | |
KR101578551B1 (en) | A bioretention for stromwater pollution prevention and building of healthy urban environment | |
CN113818534B (en) | Biological detention facility for sponge urban road | |
US11629085B1 (en) | Stormwater collection, treatment, and aquifer replenishment installations and methods | |
KR100437075B1 (en) | the purificate method of a rainwater in an underflow pond and that equipments | |
KR100879402B1 (en) | Eco-filter pavement technology in parking lots | |
KR102229560B1 (en) | Non-point pollution source treatment system | |
KR102141002B1 (en) | Eco-friendly Rainwater Management System | |
US10865547B1 (en) | Distributed integrated water management system | |
KR101333120B1 (en) | Street tree box and structure for creating street tree space for water circulation environment using the same | |
KR20080101132A (en) | Rainforest reservoir for the green zone | |
KR200287647Y1 (en) | the purificate equipments of a rainwater in an underflow pond | |
KR101332600B1 (en) | Multi tubular type-rainwater storage and infiltration system considering water quality of rainwater runoff on artificial ground and rainwater management method | |
JPH08311938A (en) | Recharge type storage facility | |
US20210131078A1 (en) | Integrated utility distribution system | |
JP2915389B1 (en) | Filtration type water storage tank device | |
KR100930723B1 (en) | Manhole Structure to Groundwater Influent | |
CN111021521A (en) | Processing system of roofing rainwater of sponge type residential district | |
Pradhanang et al. | Structural Stormwater Best Management Practices and Watershed Management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80530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0070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01214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1012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1012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124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012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514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051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127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12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129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129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911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