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12074B1 - Sticky note paper for printer output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 Google Patents
Sticky note paper for printer output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012074B1 KR101012074B1 KR1020080089499A KR20080089499A KR101012074B1 KR 101012074 B1 KR101012074 B1 KR 101012074B1 KR 1020080089499 A KR1020080089499 A KR 1020080089499A KR 20080089499 A KR20080089499 A KR 20080089499A KR 101012074 B1 KR101012074 B1 KR 10101207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aper
- adhesive
- adhesive layer
- pressure
- sensitive adhesiv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7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5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2
- 239000004820 Pressure-sensitive adhesiv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0
- 239000010410 layer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6
- 239000012790 adhesive layer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4
- 239000011248 coating agent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4
- 238000000576 coating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4
- 235000010724 Wisteria floribunda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39000004744 fabric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9000011347 resi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29920005989 resin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10030 laminat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2939 laminating adhe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296 polysiloxa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15/00—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2D15/0073—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hape or material of the sheets
- B42D15/0086—Sheet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1/00—Books or other bound products
- B42D1/003—Books or other bound products characterised by shape or material of the sheets
- B42D1/007—Sheets or sheet block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1/00—Books or other bound products
- B42D1/10—Files with adhesive strips for mounting paper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Making Paper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프린터 출력용 점착메모지(2)에 관한 것으로, 인쇄출력 가능한 사이즈를 갖는 이형지인 후지(4)와 표면지(6)를 합지하여 구성하되, 표면지(6)의 후면에는 둘 이상의 점착제층(8)들이 상하 간격으로 폭 넓이를 가지며 가로 도포형성되게 구성하고, 표면지(6)는 상하분할 재단되어져 각 상부에 점착제층(8)이 위치된 다수의 점착라벨시트(10)들을 포함하되 외곽부의 비점착영역부(12)와 하측 점착제층(8)에 인접한 점착라벨시트(10)의 하연 비점착 영역부(14)가 제거되어서 구성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dhesive memo paper (2) for printer output, comprising a laminated paper (4) and a surface paper (6) which is a release paper having a printable size, two or mor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on the back of the surface paper (6) (8) is configured to have a width and a horizontal coating formed at intervals up and down, and the surface paper 6 is divided up and down to include a plurality of adhesive label sheets (10) in which an adhesive layer (8) is positioned on each upper portion. The lower edge non-adhesion region portion 14 of the adhesive label sheet 10 adjacent to the non-adhesion region portion 12 and the lower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8 of the outer portion is configured to be removed.
점착메모지, 재단, 비점착영역부 Sticky Note, Cut, Non-Adhesive Area
Description
본 발명은 메모지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일반 프린터를 이용하여서도 출력가능한 점착 메모지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mo pap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sticky note paper that can be output using a general printer and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기존 점착 메모지는 바탕지상에 후면 상단부에 점착제가 도포된 점착시트들이 적층되어서 이루어진 것으로, 사용자에게 수기용으로만 제공되고 있다. 수기용으로 제공되는 기존 점착 메모지는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A4,A3 등과 같은 인쇄용지보다 훨씬 작은 사이즈로서 손가락 면적만한 사이즈로부터 손바닥면적만한 사이즈까지 등으로 다양하다. Existing sticky notes are made by laminating adhesive sheets coated with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on the back of the base paper, it is provided only for handwriting to the user. Existing sticky note paper provided for handwriting is much smaller than printing paper such as A4 and A3 for the convenience of the user, and varies from the size of a finger area to the size of a palm area.
하지만 이러한 기존 점착 메모지는 수기용으로만 제공되기 때문에 점착 메모지상에 사진과 같은 이미지나 텍스화된 문자나 도형 등을 형성할 수가 없었다. However, since the existing sticky note paper is provided only for handwriting, it was not possible to form an image such as a photograph or textual characters or shapes on the sticky note paper.
만일 기존 점착 메모지상에 일반 프린터를 이용해서 사진과 같은 이미지나 텍스화된 문자나 도형 등을 인쇄출력하여 형성할 수 있다면 사용자들에게 큰 호응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If the existing sticky note paper can be printed and formed by using an ordinary printer such as a photographic image or textured text or figure, it will be greatly appreciated by users.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일반 프린터로도 출력가능하며 프린터 출력시 걸림현상이 최소화될 수 있는 프린터 출력용 점착메모지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rinter output adhesive memo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which can be output to a general printer and can minimize the phenomenon of the printer output.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일반 프린터로도 출력가능함은 물론이고 프린터 출력시 걸림현상은 최소화되고 인쇄출력후 라벨시트를 떼어내기도 쉽도록 해주는 프린터 출력용 점착메모지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rinter output adhesive note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which can be output by a general printer as well as minimizes a jam phenomenon during printing and easily removes a label sheet after printing.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점착 메모지에 있어서, 인쇄출력 가능한 사이즈를 갖는 이형지인 후지와 표면지를 합지하여 구성하되, 상기 표면지의 후면에는 둘 이상의 점착제층들이 상하 간격으로 폭 넓이를 가지며 가로 도포형성되게 구성하고, 상기 표면지는 상하분할 재단되어져 각 상부에 상기 점착제층이 위치된 다수의 점착라벨시트들을 포함하되 외곽부의 비점착영역부와 하측 점착제층에 인접한 점착라벨시트의 하연 비점착 영역부가 제거되어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sticky note paper, is composed by laminating the Fuji and the surface paper which is a release paper having a printable size, at the back of the surface paper has two or mor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has a width in the vertical interval It is configured to be formed horizontally coated, the surface paper is divided into upper and lower cut, including a plurality of adhesive label sheets in which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is located on each top, but the non-adhesive non-adhesion of the adhesive label sheet adjacent to the non-adhesive region of the outer portion and the lower adhesive layer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area portion is removed and constituted.
또한 본 발명은, 표면지원단의 하면상에 폭넓이를 갖는 점착제층을 상하 간격으로 도포형성한 후, 상면에 수지막을 갖는 후지원단과 상기 점착제층 형성된 표면지원단을 합지하여 합지된 점착메모지 원단을 얻고, 상기 점착메모지 원단을 인 쇄용지 길이사이즈로 롤 재단하되 재단선이 인쇄용지의 첫번째 점착제층의 폭넓이내에 형성되게 하고, 롤 재단된 점착메모지 원단을 톰슨가공으로 완칼선과 반칼선을 함께 넣어 인쇄용지 사이즈의 점착메모지를 형성함과 동시에 표면지에 다수의 점착라벨시트들이 형성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터 출력용 점착메모지 제조방법이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after forming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having a wide area on the lower surface of the surface support end at an interval between the upper and lower sides, and laminating the back support end having a resin film on the upper surface and the surface support end formed with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to obtain a laminated adhesive memo fabric Roll-cut the adhesive memo paper to the size of the printing paper, but allow the cutting line to be formed within the width of the first adhesive layer of the printing paper, and insert the roll-cut adhesive memo fabric to the Thomson processing together with the complete cut and half cut lines.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paper for producing a printer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bel sheets are formed on the surface paper at the same time forming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paper of the paper size.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표면지의 외곽부 비점착부분과 표면지의 점착제층에 인접한 비점착 부분이 제거되게 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In another aspect,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step of removing the non-adhesive portion adjacent to the outer portion of the surface paper and the non-adhesive portion adjacent to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of the surface paper.
본 발명은 일반 프린터로도 출력가능하면서도 프린터 출력시 걸림현상이 최소화될 수 있으며, 인쇄출력후 인쇄된 라벨시트를 떼어내기도 아주 쉽도록 해주는 효과가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can also be output to a general printer while minimizing the jamming phenomenon when printing the printer, it is also very easy to remove the printed label sheet after printing.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점착 메모지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리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평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sticky note pap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1, and FIG. 3 is a plan view of FIG. 1.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점착 메모지(2)는 예컨대 A4,B5 사이즈와 같이 일반 프린터 등으로 인쇄출력 가능한 사이즈를 갖는 후지(4)와 표면지(6)를 합지하여 서 구성한 것이다. 후지(4)는 이형지로서 박리가 용이하도록 표면에 실리콘 이형층이 형성되며 또 본 발명에 따라 PE수지코팅막도 함께 그 위에 도포형성된다. PE수지코팅막은 후지(4)가 대기중 수분을 흡수하여 표면 요철되거나 눅눅하게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The
후지(4)상에 점착되는 표면지(6)는 수기나 인쇄출력 등에 의해서 화상이 형성되는 종이재질로서 표면지(6)의 인쇄면은 잉크젯 프린터뿐만 아니라 레이저 프린터로도 화상인쇄가 가능하게 형성된다. The
또한 본 발명의 표면지(6)는 톰슨가공으로 재단되어서 상하좌우 배열된 다수의 점착라벨시트(10)들을 포함하며, 점착라벨시트(10)들의 각 후면 상부에는 점착제층(8)이 도포형성된다. 점착라벨시트(10)들 각각은 절취선의 형태가 아니라 모두 재단되어 있으므로 인쇄출력후 사용자가 인접 점착라벨시트(10)의 간섭없이 후지(4)로부터 떼어내기가 아주 쉽다.In addition, the
점착제층(8)은 표면지(6)의 후면에 둘 이상으로 배열 도포되는데, 상하 방향으로 소정 간격으로 형성하되 소정 폭 넓이로 가로방향으로 도포형성된다. 점착제층(8)의 두께는 8~15㎛가 바람직하며, 만일 15㎛를 초과하면 레이저프린터 등으로 인쇄출력시 점착액이 외부로 삐져나오는 문제와 아울러 점착력이 너무 강해서 점착라벨시트(10)를 떼어내기가 힘들게 된다. 또 점착제층(8)의 두께가 8㎛미만이면 점착력이 너무 약해서 점착라벨시트(10)가 잘 붙어있지 않게 된다. The pressure-sensitive
표면지(16)의 후면에 다수 이격 형성되는 점착제층(8)이 도포되는 폭(x)은 한장의 점착라벨시트(10)를 형성하기 위한 라벨형성 상하폭(y)의 30 ~ 50%가 바람직하다. 점착제층(8)의 폭(x)이 상기 라벨형성 상하폭(y)의 30%미만이면 점착라벨시트(10)의 비점착부분이 들뜸으로 인해 인쇄출력시 걸림현상이 발생할 수 있고, 상기 라벨형성 상하폭(y)의 50%를 초과하게 되면 점착라벨시트(10)가 잘 떼어지지 않는다. The width (x) to which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8), which is formed on the back of the surface paper (16), is spaced apart, is 30 to 50% of the upper and lower widths of the label formation (y) for forming a single adhesive label sheet (10). desirable. If the width (x) of the pressure-sensitive
또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표면지(6)는 프린터 출력시 걸림현상을 최소화하기 위해서 표면지(6) 외곽부의 비점착영역부(12)와 함께 하측 점착제층(8)에 인접한 상방의 점착라벨시트(10)의 하연 비점착 영역부(14)가 제거되어져 표면지 제거영역부를 형성한다. 비점착영역부(12)(14)로 된 표면지 제거영역부를 형성됨에 따라 표면지(6)의 좌우 외곽부내 점착제층(8) 부분에는 후지(2)에 점착되어진 일부 표면지가 잔류 여백부(11)로서 남게 된다. In addition, the
표면지 제거 영역부 중 표면지(6)의 좌우 외곽부의 비점착 영역부(12)는 프린터로 인쇄 출력시 최외곽 비인쇄영역이 포함되며 인쇄출력시 걸림현상의 발생이 거의 없도록 해주기 위해 제거되는 것이다. 상기 비점착 영역부(12)의 폭(b)는 점착라벨시트(10) 한 장의 상하폭인 라벨형성 상하폭(y)의 4~6%가 바람직하다. 이때 표면지(6)의 좌우 외곽부의 비점착 영역부(14)가 아닌 점착영역부 즉 점착제층(8)내 좌우측단에 의해서 후지(2)에 점착되어져 남아 있는 표면지(6)의 잔류 여백부(11)도 인쇄출력시 걸림현상의 발생이 거의 없도록 해주는 것이다. The
또 표면지 제거영역부 중에는 하측 점착제층(8)에 인접한 상방의 점착라벨시트(10)의 하연 비점착 영역부(14)가 있는데, 상기 하연 비점착 영역부(14)가 비제거 시에는 그 하측 점착제층(8)에 상측 점착라벨시트(10)가 붙을 수 있는데 이럴 경우에 점착라벨시트(10)의 상하연이 모두 점착되므로 인해 그 시트 중간부가 후지(4)로부터 활모양처럼 들뜨는 현상이 발생 된다. 점착라벨시트(10)의 중간부가 들뜨게 되면 인쇄출력시 걸림 현상이나 표면 쭈그러짐 현상이 야기될 수 있다. 상기 하연 비점착 영역부(14)의 폭(a)은 인쇄용지 길이사이즈(ℓ)의 2~4%가 바람직하다.In addition, among the surface paper removal area portions, there is a lower edge
본 발명에서 점착 메모지(2)는 인쇄출력이 허용될 수 있도록 150㎛두께를 표준으로 하는 것이 좋으며, 후지(4)와 표면지(6)의 두께비율은 50:30~30:70이 바람 직하다. 즉 후지(4)와 표면지(6)의 두께가 비슷하거나 표면지(6)가 후지(4)보다 좀더 두꺼운 것이 좋다. 이는 표면지(6)의 두께가 너무 얇으면 글자의 비췸현상이나 점착라벨시트(10)의 말림현상이 발생할 수 있고, 표면지(6)의 두께가 너무 두꺼우면 인쇄출력 가능한 점착메모지(2)의 허용 두께가 있으므로 그로 인해 후지(4)의 두께는 상대적으로 너무 얇게 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도 4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프린터 출력용 점착메모지(2)를 제조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4 to 8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process of manufacturing the adhesive memo paper (2) for printing the prin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조자는 표면지(6)를 얻기 위한 표면지원단(20)과 후지(4)를 얻기 위한 후지원단(30)을 각각 마련한다. 표면지원단(20) 및 후지원단(30)의 폭은 일천 수백밀리가 되도록 가공된 것이며, 표면지 원단(20)의 후면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점착제층(8) 라인들이 정해진 점착 간격에 따라 소정 도포 폭(x)을 가지며 도포형성된다. The manufacturer provides a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면지 원단(20)의 후면에 형성되는 점착제층(8) 라인은 인쇄용지 길이사이즈(ℓ)로 구분되어 반복되며, 하나의 인쇄용지 길이사이즈(ℓ)에는 다수의 점착제층(8) 라인들이 미리 정해진 도포 폭(x)을 가지며 형성된다. As illustrated in FIG. 5, the lines of the pressure-sensitive
점착제층(8)의 라인들에서 첫번째 점착제층(8)의 라인은 다른 점착제층(8)의 라인에 비해서 추가폭(c)만큼을 더 가지며, 이후 표면지 원단(20)이 인쇄용지 길이사이즈(ℓ)로 재단될 때 첫번째 점착제층(8)의 라인의 추가폭(c)을 따라가며 재단선(CL)이 형성된다. 첫번째 점착제층(8)의 라인에 추가폭(c)을 두는 이유는 인쇄용지 길이사이즈(ℓ)된 점착메모지(2)가 피딩(feeding)되는 부분에 점착제층(8)이 온전히 형성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점착제층(8)의 도포형성되는 라인이 정해진 도포라인에서 약간 어긋나더라도 추가폭(c)만큼 들어간 재단선(CL)으로 재단되므로 재단선(CL)이하에는 점착제층(8)이 온전히 형성되는 것이다. 추가폭(c)만큼이 재단되어지면 모든 점착제층(8)의 도포 폭(x)는 동일하게 된다. 상기 추가폭(c)는 첫번째 점착제층(8)의 도포 폭(x)의 1/6~1/7이 바람직하다. In the lines of the pressure-sensitive
상기와 같이 후면에 다수의 점작체층(8)의 라인들이 형성된 표면지 원단(20)은 도 6에서와 같이 상면 PE수지코팅막을 갖는 후지원단(30)과 점착 합지되어서 점착메모지 원단(40)을 얻게 된다. As described above, the
그후에는 상기 점착메모지 원단(40)을 인쇄용지 길이사이즈(ℓ)로 도 7과 같이 롤 재단(roll sliting)하되 재단선(CL)이 첫번째 점착제층(8)의 도포 폭(x)내에 형성되게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재단선(CL)은 첫번째 점착제층(8)의 도포 폭(x)에서 추가폭(c)만큼 더 들어간 라인을 따라가며 형성된다. Thereafter, the adhesive
상기와 같이 롤 재단된 점착메모지 원단(50)은 프린트 규격에 맞게 톰슨가공을 함으로써 도 1 내지 도 3에서와 같은 점착메모지(2)가 얻어진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재단된 점착메모지 원단(50)을 톰슨가공을 하되 완칼선과 반칼선을 함께 넣는다. 완칼선은 인쇄용지 사이즈의 프린터 출력용 점착메모지(2)가 형성되게 하기 위함이고, 반칼선은 합지된 점착메모지(2)에서 상부로 노출된 표면지(6)에만 상하좌우 분할 재단되어서 다수의 점착라벨시트(10)들이 형성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재단되어진 점착라벨시트(10)들은 사용자가 떼기에 아주 편리한 구조 이다. The adhesive
톰슨가공까지 완료된 점착메모지(2)는 도 8과 같다. The
본 발명에서는 톰슨가공을 완료한 후 도 8과 같은 점착메모지(2)에서, 표면지(6)의 외곽부 비점착 영역부(12)와 함께 표면지(6)의 상측 점착제층(8)에 인접한 비점착 영역부(14)를 제거함으로써 도 1 내지 도 3과 같이 표면지 제거영역부를 갖는 출력용 점착메모지(2)가 완성되게 한다. 상기 비점착영역부(12)(14)의 제거작업은 점착 메모지(2)의 프린터 출력시 걸림현상을 최소화하기 위함이다. In the present invention, after the Thomson processing is completed in the adhesive memo (2) as shown in Fig. 8, the outer
도 1 내지 도 3의 프린터 출력용 점착메모지(2)에서, 표면지(6)내 점착라벨시트(10)들 이외의 여백부분 즉, 표면지(6)의 상단라인여백이나 각 점착라벨시트(10) 행들의 상측좌우 여백에는 제조사의 브랜드명을 기입하여 브랜드 인지도를 높이는데에 활용할 수도 있다.1 to 3, the margins other than the
또한 프린터 출력용 점착메모지(2)의 인쇄출력을 위해 개인용 컴퓨터에 점착메모지(2)용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설치하게 되면 해당 프로그램의 지원 하에 메모한 내용의 보관이나 사후관리가 가능하며, 날짜정보가 함께 자동기입되게 해주면 스케쥴관리까지도 가능해진다. 또 필요한 경우에는 기존 프린트한 메모내용을 재차 프린트출력하여서 사용자가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벽 등에 붙혀 놓을 수도 있다. In addition, if the software program for the sticky note (2) is installed on a personal computer for printing of the sticky note (2) for printer output, it is possible to store or follow-up the notes with the support of the corresponding program, and the date information is automatically This allows even schedule management. If necessary, the existing printed memo can be printed out and attached to a wall for easy checking by the user.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특허청구범위의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해 져야 한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what is presently considered to be practical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defined by the 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termined by the equivalent of claims and claims.
본 발명은 라벨지를 프린트 출력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to print out label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점착 메모지의 사시도,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sticky note pap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의 분리 사시도,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1;
도 3은 도 1의 평면도,3 is a plan view of FIG.
도 4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점착 메모지를 제조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4 to 8 are views for explaining a process of manufacturing a sticky note pap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2)-- 프린터 출력용 점착메모지 (4)-- 후지(2)-Sticky Note for Printer Output (4)-Fuji
(6)-- 표면지 (8)-- 점착제층(6)-Surface Paper (8)-Adhesive Layer
(10)-- 점착라벨시트 (12)(14)-- 비점착영역부(10)-Adhesive label sheet (12) (14)-Non-adhesive area
(20)-- 표면지 원단 (30)-- 후지원단(20)-Surface Paper Fabric (30)-Back Support
Claims (6)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089499A KR101012074B1 (en) | 2008-09-10 | 2008-09-10 | Sticky note paper for printer output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089499A KR101012074B1 (en) | 2008-09-10 | 2008-09-10 | Sticky note paper for printer output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030519A KR20100030519A (en) | 2010-03-18 |
KR101012074B1 true KR101012074B1 (en) | 2011-02-07 |
Family
ID=421804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80089499A Expired - Fee Related KR101012074B1 (en) | 2008-09-10 | 2008-09-10 | Sticky note paper for printer output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012074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725319B1 (en) * | 2016-11-16 | 2017-04-11 | 망고슬래브 주식회사 | Printer system for printing a repositionable note |
KR102297676B1 (en) * | 2019-11-05 | 2021-09-02 | 이승현 | System for balancing print of sheet by allocating variable area of print |
KR102172457B1 (en) * | 2020-06-15 | 2020-10-30 | 박준혁 | Baseless double-sided tape for envelopes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7271306A (en) * | 1994-03-30 | 1995-10-20 | Data Business Supply:Kk | Easily peelable label with base sheet |
KR200231246Y1 (en) | 2001-02-12 | 2001-07-19 | 도영일 | Memo sheet |
KR20020031246A (en) * | 2000-10-23 | 2002-05-01 | 구본준, 론 위라하디락사 | method of image sticking measurement of liquid crystal display |
KR20040024826A (en) * | 2002-09-16 | 2004-03-22 | 최준현 | Production Treatment Oil |
KR200424826Y1 (en) * | 2006-05-30 | 2006-08-25 | 이규진 | Sticky Notes Printing Paper |
-
2008
- 2008-09-10 KR KR1020080089499A patent/KR101012074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7271306A (en) * | 1994-03-30 | 1995-10-20 | Data Business Supply:Kk | Easily peelable label with base sheet |
KR20020031246A (en) * | 2000-10-23 | 2002-05-01 | 구본준, 론 위라하디락사 | method of image sticking measurement of liquid crystal display |
KR200231246Y1 (en) | 2001-02-12 | 2001-07-19 | 도영일 | Memo sheet |
KR20040024826A (en) * | 2002-09-16 | 2004-03-22 | 최준현 | Production Treatment Oil |
KR200424826Y1 (en) * | 2006-05-30 | 2006-08-25 | 이규진 | Sticky Notes Printing Paper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030519A (en) | 2010-03-1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273436B2 (en) | Separatable label assembly | |
US8333408B2 (en) | Label assembly for applying a label to electronic devices | |
US11176850B2 (en) | Method for separating label assembly | |
US7857353B2 (en) | Index label assembly | |
CA2410996A1 (en) | Business card sheet construction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same | |
US7959187B2 (en) | Label assembly for applying a label to an object | |
US20140106132A1 (en) | Sheet construction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the same | |
JP5400959B2 (en) | Label assembly and method of use | |
CA2908546C (en) | Label sheet assembly with adhesive labels | |
KR101012074B1 (en) | Sticky note paper for printer output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 |
JP6195575B2 (en) | Label assembly and method of use | |
JP2016153857A (en) | Label sheet | |
US8360290B2 (en) | Method for separating label assembly | |
JP5565167B2 (en) | Continuous slip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 |
JP6739791B2 (en) | Manufacturing method of information printed label | |
JP4279755B2 (en) | Lamination label paper and label lamination method | |
JP4675079B2 (en) | Partial tack sheet for printing | |
US20080145575A1 (en) | Composite sheet of printable individual media cards | |
JP3059623U (en) | Paper | |
JP4887953B2 (en) | Card printing substrate | |
US7910189B2 (en) | Photo sheet assembly with removable adhesive portions | |
US20130320660A1 (en) | Flyer assembly and related methods | |
US11373556B1 (en) | Shipping label with perimeter adhesive | |
KR101192247B1 (en) | Label sheet for printing | |
WO2010104649A2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separating label assembly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80910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006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10118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1012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1012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122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012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126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012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125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125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125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125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125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125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107 Year of fee payment: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107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011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