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011816B1 - 음료 포장용 상자 - Google Patents

음료 포장용 상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11816B1
KR101011816B1 KR1020080106541A KR20080106541A KR101011816B1 KR 101011816 B1 KR101011816 B1 KR 101011816B1 KR 1020080106541 A KR1020080106541 A KR 1020080106541A KR 20080106541 A KR20080106541 A KR 20080106541A KR 101011816 B1 KR101011816 B1 KR 1010118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de member
line
fold line
binding
packaging bo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065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47583A (ko
Inventor
전상광
우경학
Original Assignee
일원판지(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일원판지(주) filed Critical 일원판지(주)
Priority to KR10200801065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11816B1/ko
Publication of KR201000475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475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18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18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64Lids
    • B65D5/66Hinged lids
    • B65D5/6602Hinged lids formed by folding one or more extensions hinged to the upper edge of a tubular container body
    • B65D5/6605Hinged lids formed by folding one or more extensions hinged to the upper edge of a tubular container body the lid being formed by two mating halves joined to opposite edges of the container bod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36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specially constructed to allow collapsing and re-erecting without disengagement of side or bottom connections
    • B65D5/3607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specially constructed to allow collapsing and re-erecting without disengagement of side or bottom connection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a single blank
    • B65D5/3614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specially constructed to allow collapsing and re-erecting without disengagement of side or bottom connection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a single blank to form a tubular body, at least one of the ends of the body remaining connected
    • B65D5/3621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specially constructed to allow collapsing and re-erecting without disengagement of side or bottom connection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a single blank to form a tubular body, at least one of the ends of the body remaining connected collapsed along two fold lines of the tubular bod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44Integral, inserted or attached portions forming internal or external fittings
    • B65D5/46Handles
    • B65D5/46008Handles formed separately from the container body
    • B65D5/46056Handles formed separately from the container body made of cor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rt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면 부재, 배면 부재, 좌측면 부재 및 우측면 부재가 상호 경계하게 되는 각 코너 경계선의 상단으로부터 일정 간격 떨어진 선상의 한 점을 꼭지점으로 하여 좌측면 부재 및 우측면 부재의 상단을 향해서 일정 각도 간격을 두고 제1 대각방향 접는선과 제2 대각방향 접는선이 차례로 형성되어 정면 부재 및 배면 부재의 상부 일정 구간이 수납공간을 향해 일정 각도 경사지게 접히는 것이 허용되게 하는 코너 폴딩부; 정면 부재 및 배면 부재 상에 코너 폴딩부의 꼭지점 사이를 연결하여 정면 부재 및 배면 부재의 상부 일정 구간이 수납공간의 내측을 향해 경사지게 접히게 하는 경사면 경계선; 좌측면 부재 및 우측면 부재의 폭보다 좁은 폭으로 좌측면 부재 및 우측면 부재의 상단에 접는 선을 경계로 하여 일정 길이 연장 형성되되 수납공간의 내측을 향해 일정 구간 하향 설치되게 좌측면 부재 및 우측면 부재의 상단과 일정 간격 떨어진 선 상에 시트면 접는선이 형성된 상면 조립용 시트 부재; 각 상면 조립용 시트 부재 상에 좌측면 부재 및 우측면 부재의 상단 중간으로부터 시트면 접는선을 지나는 일정 구간에 걸쳐 관통 형성된 결속홈; 정면 부재 및 배면 부재의 각 상단으로부터 접는 선을 경계로 하여 제2 대각방향 접는선의 상부 끝부터 결속홈에 이르는 길이에 대응하는 길이로 연장 형성되는 상면 조립부재; 및 각 상면 조립부재의 끝단에 접는 선을 경계로 하여 일정 길이 연장형성되어 결속홈에 끼워 조립되는 결속날개; 를 포함하여 구성이 이루어진다.
포장용 상자, 음료, 폴딩, 결속홈, 결속날개

Description

음료 포장용 상자{The carrier package}
본 발명은 음료 포장용 상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음료가 담긴 병이나 캔 등을 일정 개수 단위로 포장하되 양측의 상면이 닫힌 상태가 유지되게 하기 위한 조립구조를 개선하여 측면의 디자인이 더욱 우수하게 할 뿐만 아니라 그 결합 고정된 부분이 외부에 노출되지 않게 하여 운반 중 상자의 상면이 쉽게 개방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한 음료 포장용 상자에 관한 것이다.
대량 생산되는 음료는 일정 단위의 병이나 캔 등에 담겨 유통이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특히, 선물용으로 유통되는 음료의 경우에는 여러 개가 하나의 음료 포장용 상자에 담긴 채로 유통이 이루어진다. 한편, 음료를 담기 위한 포장용 상자는 포장 대상물의 크기, 무게 및 재질 등뿐만 아니라 제품을 생산 및 공급하는 업체의 마케팅 전략상 다양한 형태로 제작 및 사용되고 있다.
도 1 및 도 2 는 종래 한 형태의 음료 포장용 상자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은 음료 포장용 상자(10)는 종이 원단을 특정의 전개도 상태로 프레스 가공하여 제작된 음료 포장용 상자 대지의 양단을 접착제 등의 접착수단으로 붙인 후, 사각의 박스 형태로 접어 형상이 유지될 수 있게 구성된 다.
한편, 전개도 상태의 음료 포장용 상자 대지에는 상자의 정면, 배면, 좌측면 및 우측면의 4면을 이루는 부분이 형성되고, 하부의 접는 선을 경계로 정면, 배면, 좌측면 및 우측면의 아래쪽 각각에 연장 형성되어 상자의 하면을 이루는 부분이 형성되는 한편 상부의 접는 선을 기준으로 정면, 배면, 좌측면 및 우측면의 위쪽 각각에 상자의 상면을 이루는 부분이 형성된다.
특히, 종래의 음료 포장용 상자(10)의 경우에는 상자의 상부가 위쪽으로 향할수록 점차 폭이 좁아지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를 위해서 상면 조립부재(12)의 중간 부분에는 각각 상자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경사면 접는 선(12a)이 형성된다. 따라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면 조립부재(12)의 양측은 각각 소정의 각도로 경사진 형태를 이루게 된다.
그리고,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은 음료 포장용 상자(10)의 경우에 상면이 닫힌 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수평 상의 상면 조립부재(12) 일부가 수직 상으로 접혀 세워지는 결속날개(14)가 형성된다. 또한, 좌측면 부재 및 우측면 부재의 상측에 연장 형성된 측면 상부날개(16) 상에는 결속날개(14)의 하단 일부가 끼워지기 위한 결속홈(18)이 형성된다. 특히, 결속날개(14)가 더욱 안정된 상태로 조립될 수 있게 하기 위해서 결속홈(18)이 형성된 구간의 측면 상부날개(16) 상에는 결속홈 접는선(16a)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면 조립부재(12)의 상부에 마련된 결속날개(14)는 측면 상부날개(16) 상에 마련된 결속홈(18)에 끼워진 상태가 유지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음료 포장용 상자(10)의 상면 상에는 손잡이용 끈(20)이 장착되어 소비자로 하여금 더욱 용이한 휴대가 가능하게 구성된다.
그런데, 종래의 음료 포장용 상자의 경우에는 상자의 좌측면 부재 및 우측면 부재의 상측의 결속홈에 조립된 결속날개의 양쪽 끝이 노출되게 구성됨에 따라서 소비자가 휴대하는 중에 결속날개 부분이 건드려져 결속홈으로부터 분리되게 되는 현상이 종종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음료 포장용 상자의 경우에는 좌측면 및 우측면의 상부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움푹 파인 구조로 이루어짐에 따라서 소비자로 하여금 상자 내부가 가득 차지 않은 것으로 오인할 수 있게 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제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서 창안된 것으로서, 음료가 담긴 병이나 캔 등을 일정 개수 단위로 포장하되 양측의 상면이 닫힌 상태가 유지되게 하기 위한 조립구조를 개선하여 측면의 디자인이 더욱 우수해질 수 있게 한 음료 포장용 상자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자의 상면이 닫힌 상태가 유지되게 하기 위해 결합 고정된 부분이 외부에 노출되지 않게 하여 운반 중 상자의 상면이 쉽게 개방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하는 음료 포장용 상자를 제공하는 데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구성되는 본 발명은 다음과 같다. 즉, 본 발 명은 음료가 담긴 병 또는 캔이 일정 단위로 수납공간에 수납될 수 있게 정면 부재, 배면 부재, 좌측면 부재, 우측면 부재 및 하면 조립부재가 박스 형태가 되게 구성되는 음료 포장용 상자에 있어서, 정면 부재, 배면 부재, 좌측면 부재 및 우측면 부재가 상호 경계하게 되는 각 코너 경계선의 상단으로부터 일정 간격 떨어진 선상의 한 점을 꼭지점으로 하여 좌측면 부재 및 우측면 부재의 상단을 향해서 일정 각도 간격을 두고 제1 대각방향 접는선과 제2 대각방향 접는선이 차례로 형성되어 정면 부재 및 배면 부재의 상부 일정 구간이 수납공간을 향해 일정 각도 경사지게 접히는 것이 허용되게 하는 코너 폴딩부; 정면 부재 및 배면 부재 상에 코너 폴딩부의 꼭지점 사이를 연결하여 정면 부재 및 배면 부재의 상부 일정 구간이 수납공간의 내측을 향해 경사지게 접히게 하는 경사면 경계선; 좌측면 부재 및 우측면 부재의 폭보다 좁은 폭으로 좌측면 부재 및 우측면 부재의 상단에 접는 선을 경계로 하여 일정 길이 연장 형성되되 수납공간의 내측을 향해 일정 구간 하향 설치되게 좌측면 부재 및 우측면 부재의 상단과 일정 간격 떨어진 선 상에 시트면 접는선이 형성된 상면 조립용 시트 부재; 각 상면 조립용 시트 부재 상에 좌측면 부재 및 우측면 부재의 상단 중간으로부터 시트면 접는선을 지나는 일정 구간에 걸쳐 관통 형성된 결속홈; 정면 부재 및 배면 부재의 각 상단으로부터 접는 선을 경계로 하여 제2 대각방향 접는선의 상부 끝부터 결속홈에 이르는 길이에 대응하는 길이로 연장 형성되는 상면 조립부재; 및 각 상면 조립부재의 끝단에 접는 선을 경계로 하여 일정 길이 연장형성되어 결속홈에 끼워 조립되는 결속날개; 를 포함하여 구성이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음료 포장용 상자에서 경사면 경계선이 위치된 상측의 정면 부재 및 배면 부재 상에는 손잡이용 끈의 장착을 위한 손잡이 장착공이 더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음료 포장용 상자는 상면이 닫힌 상태가 유지되게 하기 위해 결속홈에 조립된 결속날개 부분이 외부에 노출되지 않게 됨에 따라서 운반 중 결속날개가 결속홈에서 빠지는 현상 등이 방지되는 커다란 장점이 있는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음료 포장용 상자는 정면 부재 및 배면 부재의 상부 일정 구간은 경사지게 형성되더라도 좌측면 부재 및 우측면 부재는 수직 형태로 이루어짐에 따라서 소비자로 하여금 상자의 내부가 가득 찬 느낌을 줄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음료 포장용 상자의 구성 및 사용 상태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음료 포장용 상자의 개방상태 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음료 포장용 상자의 닫힌 상태 사시도, 도 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음료 포장용 상자의 단면도, 도 6 은 도 5 에 표시된 A-A선 단면도, 도 7 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음료 포장용 상자의 제작을 위한 전개도이다. 도면 중에 표시되는 도면부호 100은 본 발명에 따른 음료 포장용 상자를 지시하는 것이다.
도 3 내지 도 6 에 도시된 음료 포장용 상자(100)는 그 수납공간(102)에 음료가 담긴 병 또는 캔을 일정 단위(예를 들어, 10개들이 등)로 포장하기 위한 것이다. 수납공간(102)의 형성을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음료 포장용 상자(10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면 부재(110), 배면 부재(112), 좌측면 부재(114), 우측면 부재(116) 및 하면 조립부재(120)를 포함하여 구성이 이루어진다.
물론, 본 발명에 따른 음료 포장용 상자(100)에도 수납공간(102)에 내용물이 수납된 상태에서 상자의 상부를 덮기 위한 상면 조립부재(130)가 포함됨은 당연한 것이다. 즉,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면 부재(110) 및 배면 부재(112)의 상측에는 접는 선을 경계로 하여 일정 길이 연장되는 상면 조립부재(130)가 형성되는데,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뒤에서 다시 하기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음료 포장용 상자(100)는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전개도 상으로 프레스 가공된 음료 포장용 상자 대지(100A)의 조립을 통해서 이루어질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에 따른 음료 포장용 상자(100)의 구성을 위해서 음료 포장용 상자 대지(100A)가 반드시 도 7 에 도시된 전개도 상으로 제작될 필요는 없는 것이다. 즉, 도 7 에 전개도 상으로 도시된 음료 포장용 상자 대지(100A)는 본 발명에 따른 음료 포장용 상자(100)가 구성되는 한 예에 불과한 것이다. 하지만, 본 발명을 설명하는 과정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음료 포장용 상자(100)의 각 부분 명칭과 음료 포장용 상자 대지(100A)의 각 부분 명칭을 동일시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음료 포장용 상자 대지(100A)의 좌측면 부 재(114)의 한쪽 끝에는 정면 부재(110), 배면 부재(112), 좌측면 부재(114) 및 우측면 부재(116)가 사각의 테두리 형태로 유지될 수 있게 하기 위한 조립날개(118)가 형성된다. 이 조립날개(118)는 접착제 등의 접착수단에 의해서 배면 부재(112)의 내면에 접합이 이루어진다.
우선, 본 발명에 따른 포장용 상자(100)의 정면 부재(110) 및 배면 부재(112)의 상단으로부터 하측으로 일정 간격 떨어진 위치상에는 길이방향으로 길게 경사면 경계선(140)이 접는 선의 형태로 형성된다. 이 경사면 경계선(140)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면 부재(110) 및 배면 부재(112)의 상부 일정 구간이 수납공간(102)을 향하여 경사진 구조로 될 수 있도록 하는 데 필요한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음료 포장용 상자(100)의 정면 부재(110), 배면 부재(112), 좌측면 부재(114) 및 우측면 부재(116)가 상호 경계하게 되는 각 코너 경계선(104)의 상단으로부터 일정 간격 떨어진 위치, 즉 전술한 경사면 경계선(140)의 양쪽 끝단이 각각 위치되는 위치의 한 점을 꼭지점(P)으로 하여 좌측면 부재(114) 및 우측면 부재(116)의 상단을 향해서 일정 각도 간격을 두고 두 개의 접는 선이 형성되어 정면 부재(110) 및 배면 부재(112)의 상부 일정 구간이 수납공간(102)을 향해 일정 각도 경사지게 접히는 것이 허용되게 하는 코너 폴딩부(150)가 마련된다. 코너 폴딩부(150)의 두 개의 접는 선 중에서 코너 경계선(104)에 가깝게 위치된 접는 선은 제1 대각방향 접는선(152)이며, 다른 하나의 접는 선은 제2 대각방향 접는선(154)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각 코너 경계선(104)의 상측에 코너 폴딩부(150)가 형성됨 에 따라서 상면 조립부재(130)가 완전히 닫힌 상태가 되도록 하면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대각방향 접는선(152)과 제2 대각방향 접는선(154)이 각각 해당방향으로 접히게 되어 정면 부재(110) 및 배면 부재(112)의 상부가 일정 각도 경사진 상태가 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음료 포장용 상자(100)의 좌측면 부재(114) 및 우측면 부재(116)의 상측에는 접는 선을 경계로 하여 일정 길이 더 연장된 상면 조립용 시트 부재(160)가 형성된다. 상면 조립용 시트 부재(160)는 좌측면 부재(114) 및 우측면 부재(116)의 폭보다 좁은 폭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상면 조립용 시트 부재(160)의 폭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면 부재(114) 및 우측면 부재(116)의 상단과 접하게 되는 제2 대각방향 접는선(154)의 상단 사이의 길이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좌측면 부재(114) 및 우측면 부재(116)의 상단으로부터 일정 간격 떨어진 위치의 상면 조립용 시트 부재(160) 상에는 시트면 접는선(162)이 형성된다. 이 시트면 접는선(162)을 기준으로 그 하측 부분은 수평 상으로 설치되는 한편 그 상측 부분은 수납공간(102)의 내측을 향해 일정 구간 하향 설치된다. 상면 조립용 시트 부재(160)의 수평 구간 영역은 정면 부재(110) 및 배면 부재(112)의 상측에 각각 연장 형성된 상면 조립부재(130)의 양쪽 끝단이 각각 지탱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특히, 상면 조립용 시트 부재(160) 상에는 상면 조립부재(130)가 닫힌 상태가 유지될 수 있게 하기 위한 구성요소의 하나로 결속홈(164)이 형성된다. 이 결 속홈(164)은 좌측면 부재(114) 및 우측면 부재(116)의 상단 중간으로부터 시트면 접는선(162)을 지나는 일정 구간에 걸쳐 형성된다.
그리고, 상면 조립부재(130)가 닫힌 상태가 유지될 수 있게 하기 위한 구성요소의 다른 하나로 상면 조립부재(130)의 상부에 접는 선을 경계로 하여 일정 길이 연장된 결속날개(170)가 형성된다. 결속날개(170)는 전술한 결속홈(164)에 끼워지기 위한 것으로 상면 조립부재(130)의 폭보다 좁거나 그에 근사한 폭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음료 포장용 상자(100)의 상면이 상면 조립부재(130)에 의해서 닫힌 상태에서는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속홈(164)에 결합된 결속날개(170)가 좌측면 부재(114) 및 우측면 부재(116)의 상단에 가려진 상태가 된다. 따라서, 소비자가 본 발명에 따른 음료 포장용 상자(100)를 휴대하는 과정에서 주변의 다른 물품들에 의해서 그 결속 부분이 걸리게 되거나 결속상태가 해제되는 등의 현상이 방지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음료 포장용 상자(100)는 그 좌측면 부재(114) 및 우측면 부재(116)의 상단에 상면 조립부재(130)의 양쪽 끝 부분이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호 밀착된 상태가 됨에 따라서 소비자로 하여금 상자의 내부가 가득 찬 듯한 인상을 줄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음료 포장용 상자(100)는 소비자로 하여금 더욱 휴대하기가 간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정면 부재(110) 및 배면 부재(112)의 상부에는 손잡이용 끈(182)의 장착을 위한 손잡이 장착공(180)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손잡이 장착공(180)의 바람직한 설치위치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면 경계선(140)으로부터 상측으로 일정 간격 떨어진 위치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정면 부재(110) 및 배면 부재(112)의 상부에 손잡이용 끈(182)을 설치하게 되면 음료 포장용 상자(100)의 하중이 손잡이용 끈(182)이 연결된 부분에 집중하게 됨에 따라서 상면 조립부재(130)의 닫힌 상태는 더욱 견고히 유지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 예에 국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가 있다.
도 1 은 종래의 음료 포장용 상자의 사시도.
도 2 는 종래의 음료 포장용 상자의 단면도.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음료 포장용 상자의 개방상태 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음료 포장용 상자의 닫힌 상태 사시도.
도 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음료 포장용 상자의 단면도.
도 6 은 도 5 에 표시된 A-A선 단면도.
도 7 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음료 포장용 상자의 제작을 위한 전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음료 포장용 상자 100A. 음료 포장용 상자 대지
102. 수납공간 104. 코너 경계선
110. 정면 부재 112. 배면 부재
114. 좌측면 부재 116. 우측면 부재
118. 조립날개 120. 하면 조립부재
130. 상면 조립부재 140. 경사면 경계선
150. 코너 폴딩부 152. 제1 대각방향 접는선
154. 제2 대각방향 접는선 160. 상면 조립용 시트 부재
162. 시트면 접는선 164. 결속홈
170. 결속날개 180. 손잡이 장착공
182. 손잡이용 끈 P. 코너 폴딩부의 꼭지점

Claims (2)

  1. 음료가 담긴 병 또는 캔이 일정 단위로 수납공간에 수납될 수 있게 정면 부재, 배면 부재, 좌측면 부재, 우측면 부재 및 하면 조립부재가 박스 형태가 되게 구성되는 음료 포장용 상자에 있어서,
    상기 정면 부재, 배면 부재, 좌측면 부재 및 우측면 부재가 상호 경계하게 되는 각 코너 경계선의 상단으로부터 일정 간격 떨어진 선상의 한 점을 꼭지점으로 하여 상기 좌측면 부재 및 우측면 부재의 상단을 향해서 일정 각도 간격을 두고 제1 대각방향 접는선과 제2 대각방향 접는선이 차례로 형성되어 상기 정면 부재 및 배면 부재의 상부 일정 구간이 수납공간을 향해 일정 각도 경사지게 접히는 것이 허용되게 하는 코너 폴딩부;
    상기 정면 부재 및 배면 부재 상에 상기 코너 폴딩부의 꼭지점 사이를 연결하여 상기 정면 부재 및 배면 부재의 상부 일정 구간이 수납공간의 내측을 향해 경사지게 접히게 하는 경사면 경계선;
    상기 좌측면 부재 및 우측면 부재의 폭보다 좁은 폭으로 상기 좌측면 부재 및 우측면 부재의 상단에 접는 선을 경계로 하여 일정 길이 연장 형성되되 상기 수납공간의 내측을 향해 일정 구간 하향 설치되게 상기 좌측면 부재 및 우측면 부재의 상단과 일정 간격 떨어진 선 상에 시트면 접는선이 형성된 상면 조립용 시트 부재;
    상기 각 상면 조립용 시트 부재 상에 상기 좌측면 부재 및 우측면 부재의 상 단 중간으로부터 상기 시트면 접는선을 지나는 일정 구간에 걸쳐 관통 형성된 결속홈;
    상기 정면 부재 및 배면 부재의 각 상단으로부터 접는 선을 경계로 하여 상기 제2 대각방향 접는선의 상부 끝부터 상기 결속홈에 이르는 길이에 대응하는 길이로 연장 형성되는 상면 조립부재; 및
    상기 각 상면 조립부재의 끝단에 접는 선을 경계로 하여 일정 길이 연장형성되어 상기 결속홈에 끼워 조립되는 결속날개;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포장용 상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면 경계선이 위치된 상측의 상기 정면 부재 및 배면 부재 상에는 손잡이용 끈의 장착을 위한 손잡이 장착공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포장용 상자.
KR1020080106541A 2008-10-29 2008-10-29 음료 포장용 상자 KR1010118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6541A KR101011816B1 (ko) 2008-10-29 2008-10-29 음료 포장용 상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6541A KR101011816B1 (ko) 2008-10-29 2008-10-29 음료 포장용 상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7583A KR20100047583A (ko) 2010-05-10
KR101011816B1 true KR101011816B1 (ko) 2011-02-07

Family

ID=422745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06541A KR101011816B1 (ko) 2008-10-29 2008-10-29 음료 포장용 상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1181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455005B (zh) * 2018-02-27 2023-07-04 中国地质大学(武汉) 一种便携式快递盒
KR102120294B1 (ko) * 2019-09-24 2020-06-08 박홍순 포장용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0178A (ko) * 2001-10-09 2003-04-18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자동판매기의 결로수 처리장치
KR200330178Y1 (ko) 2003-07-07 2003-10-17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세트 포장용 접은 종이상자
KR20040029253A (ko) * 2002-09-30 2004-04-06 삼성전자주식회사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방식을 사용하는 통신시스템에서프리앰블 시퀀스 생성 장치 및 방법
KR200429253Y1 (ko) 2006-07-19 2006-10-19 (주)아모레퍼시픽 포장상자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0178A (ko) * 2001-10-09 2003-04-18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자동판매기의 결로수 처리장치
KR20040029253A (ko) * 2002-09-30 2004-04-06 삼성전자주식회사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방식을 사용하는 통신시스템에서프리앰블 시퀀스 생성 장치 및 방법
KR200330178Y1 (ko) 2003-07-07 2003-10-17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세트 포장용 접은 종이상자
KR200429253Y1 (ko) 2006-07-19 2006-10-19 (주)아모레퍼시픽 포장상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7583A (ko) 2010-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175003U (ja) ラップアラウンドキャリヤ及びブランク
CN101472807B (zh) 篮子
JP2009523670A (ja) 容器のためのパッケージ
JP2011528307A (ja) ハンドルを有するカートン
EP3248896B1 (en) Packaging for the containment of objects, particularly bottles
EA038735B1 (ru) Складная заготовка и сложенная из нее транспортная картонная тара
KR101011816B1 (ko) 음료 포장용 상자
KR101268418B1 (ko) 싸바리 포장박스 및 포장박스 제작방법
WO2014190122A1 (en) Cigarette package
KR102156560B1 (ko) 통합형 플랫폼 및 절첩식 카턴 트레이
US7581673B2 (en) Container with reclosable pour spout
KR20100098783A (ko) 단판 이중 포장박스
WO2015015399A1 (en) Packet for smoker's articles, in particular cigarettes.
CA2613633C (en) Apparatus and method for handles integrated with product containers
JP3180498U (ja) 卵パック
KR20130100644A (ko) 자동화 공정이 가능한 포장 상자
CN215285672U (zh) 通用型02纸箱裁片、圆柱形内容物的限位件裁片及设有限位件的02纸箱
KR20080006509U (ko) 간지 일체형 포장상자
KR200492463Y1 (ko) 지함
KR20060038084A (ko) 절첩구조를 갖는 싸바리 박스
JP6011236B2 (ja) 切妻屋根型紙容器用付属紙箱
CN209480195U (zh) 被包装物的包装体
KR20080004312U (ko) 제품용기 포장상자
KR20170009600A (ko) 포장상자
KR200406280Y1 (ko) 포장박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8102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100308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01022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1012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1012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412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