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10667B1 - Probe bonding unit, method for manufacturing probe bonding unit and probe bonding method using probe bonding unit - Google Patents
Probe bonding unit, method for manufacturing probe bonding unit and probe bonding method using probe bonding unit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010667B1 KR101010667B1 KR1020080126089A KR20080126089A KR101010667B1 KR 101010667 B1 KR101010667 B1 KR 101010667B1 KR 1020080126089 A KR1020080126089 A KR 1020080126089A KR 20080126089 A KR20080126089 A KR 20080126089A KR 101010667 B1 KR101010667 B1 KR 10101066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robe
- forming
- contact
- extending
- extension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39000000523 sample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1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99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48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66
- 239000004020 conducto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4
- 229920002120 photoresistant polymer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41
- 239000010409 thin film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1
- 238000001312 dry etch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5000012431 wafer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3
- 238000007689 insp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5530 etc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7747 pla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4528 spin coa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6
- PXHVJJICTQNCMI-UHFFFAOYSA-N Nickel Chemical compound [Ni] PXHVJJICTQNCM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5
- 239000004065 semi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0576 coa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7796 convention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7517 polish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1039 wet etc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29910000990 Ni alloy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9713 electropla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0206 photolithography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4544 sputter depos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547 de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1161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667 floa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810 insulating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678 irradi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59 nick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498 polis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XUIMIQQOPSSXEZ-UHFFFAOYSA-N Silicon Chemical compound [Si] XUIMIQQOPSSXE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380 as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919 ceram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408 fil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590 oxid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192 part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650 screen-prin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10 silic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703 silic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360 tes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sting Or Measuring Of Semiconductors Or The Like (AREA)
- Measuring Leads Or Probes (AREA)
- Geome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Abstract
프로브 본딩용 유닛은 제 1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빔부 및 상기 빔부의 일 단부로부터 제 2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접촉부를 포함하는 프로브 및 상기 접촉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빔부와 이격되어 있는 판부, 상기 판부로부터 상기 접촉부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접촉부를 감싸는 접촉부 형성부, 상기 판부로부터 상기 빔부의 타 단부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빔부를 지지하는 빔부 지지부 및 상기 빔부, 상기 판부, 상기 접촉부 형성부 및 상기 빔부 지지부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부를 포함하는 프로브 형성판을 포함한다.The probe bonding unit includes a probe including a beam portion extending in a first direction and a contact portion extending in a second direction from one end of the beam portion, and a plate portion spaced apart from the beam portion with the contact portion therebetween, from the plate portion. A contact part forming part extending in the direction of the contact part to surround the contact part, the beam part supporting part extending from the plate part toward the other end of the beam part to support the beam part, and the beam part, the plate part, the contact part forming part, and the beam part supporting part And a probe forming plate including a space portion to be formed.
프로브, 공간부 Probe, space part
Description
본 발명은 프로브 본딩용 유닛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반도체 웨이퍼 등의 피검사체를 검사하는 프로브 카드의 제조를 위한 프로브 본딩용 유닛, 프로브 본딩용 유닛의 제조 방법 및 프로브 본딩용 유닛을 이용한 프로브 본딩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obe bonding unit, and more particularly, a probe bonding unit for manufacturing a probe card for inspecting a test object such as a semiconductor wafer,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probe bonding unit, and a probe using a probe bonding unit. It relates to a bonding method.
일반적으로 반도체 디바이스는 웨이퍼(wafer) 상에 회로 패턴 및 검사를 위한 접촉 패드를 형성하는 패브리케이션(fabrication) 공정과 회로 패턴 및 접촉 패드가 형성된 웨이퍼를 각각의 반도체 칩으로 조립하는 어셈블리(assembly) 공정을 통해서 제조된다.In general, semiconductor devices have a fabrication process of forming contact pads for circuit patterns and inspections on a wafer, and an assembly process of assembling wafers having circuit patterns and contact pads into respective semiconductor chips. It is manufactured through.
패브리케이션 공정과 어셈블리 공정 사이에는 웨이퍼 상에 형성된 접촉 패드에 전기 신호를 인가하여 웨이퍼의 전기적 특성을 검사하는 검사 공정이 수행된다. 이 검사 공정은 웨이퍼의 불량을 검사하여 어셈블리 공정 시 불량이 발생한 웨이퍼의 일 부분을 제거하기 위해 수행하는 공정이다.An inspection process is performed between the fabrication process and the assembly process to inspect the electrical characteristics of the wafer by applying an electrical signal to the contact pads formed on the wafer. This inspection process is performed to inspect a defect of a wafer and to remove a portion of a wafer in which a defect occurs during an assembly process.
검사 공정 시에는 웨이퍼에 전기적 신호를 인가하는 테스터라고 하는 검사 장비와 웨이퍼와 테스터 사이의 인터페이스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브 카드라는 검사 장비가 주로 이용된다. 이 중에서 프로브 카드는 테스터로부터 인가되는 전기 신호를 수신하는 인쇄 회로 기판 및 웨이퍼 상에 형성된 접촉 패드와 접촉하는 복수의 프로브를 포함한다.In the inspection process, inspection equipment called a tester for applying an electrical signal to a wafer and probe equipment for performing an interface function between the wafer and the tester are mainly used. Among them, the probe card includes a printed circuit board that receives an electrical signal applied from a tester and a plurality of probes in contact with contact pads formed on the wafer.
최근에, 고 집적 칩의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서, 패브리케이션 공정에 의해 웨이퍼에 형성되는 회로 패턴 및 회로 패턴과 연결된 접촉 패드가 고 집적으로 형성된다. 즉, 이웃하는 접촉 패드간의 간격이 매우 좁고, 접촉 패드 자체의 크기도 미세하게 형성된다. 이에 의해, 검사 공정 시 사용하는 프로브 카드의 프로브는 접촉 패드와 접촉해야 하기 때문에 접촉 패드에 대응하여 이웃하는 프로브간의 간격이 매우 좁게 형성되어야 하며, 프로브 자체의 크기도 미세하게 형성되어야 한다.In recent years, as the demand for high integrated chips increases, circuit patterns formed on the wafer by the fabrication process and contact pads connected with the circuit patterns are highly integrated. That is, the spacing between neighboring contact pads is very narrow, and the size of the contact pad itself is also finely formed. As a result, since the probe of the probe card used in the inspection process must be in contact with the contact pad, the distance between neighboring probes corresponding to the contact pad must be formed very narrowly, and the size of the probe itself must also be finely formed.
이하,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종래의 프로브 카드의 제조 방법에 대하여 살펴본다.Hereinafter, a method of manufacturing a conventional probe card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3.
도 1 내지 도 3은 종래의 프로브 카드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1 to 3 are cross-sectional views for explain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a conventional probe card.
우선,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희생 기판(10)에 포토리소그래피(photolithography) 기술을 이용해 개구(11)를 형성하고, 상기 개구(11)에 도전성 물질을 채워 프로브(20)를 형성한다.First, as shown in FIG. 1, an
다음,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프로브(20)를 인쇄 회로 기판(30)의 기판 패드(31) 상에 형성된 상호 접속 요소(40)에 레이저 등의 본딩용 툴을 이용하 여 본딩함으로써 프로브 카드가 완성된다.Next, as shown in FIG. 2, each
이상과 같은 종래의 프로브 카드의 제조 방법은 각각의 프로브(20)를 기판(30)에 형성된 회로 패턴(31)에 각각 본딩하기 때문에, 각각의 프로브(20)를 본딩하는 시간이 증가하게 된다. 이는 제조 시간 및 제조 비용을 증가하는 요인으로 작용한다.In the conventional method of manufacturing a probe card as described above, the
이하,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다른 종래의 프로브 카드의 제조 방법을 설명한다.Hereinafter, another conventional method of manufacturing a probe card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will be described.
우선,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희생 기판(10)에 포토리소그래피(photolithography) 기술을 이용해 개구(11)를 형성하고, 상기 개구(11)에 도전성 물질을 채워 프로브(20)를 형성한다.First, as shown in FIG. 1, an
다음,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희생 기판(10)에 형성된 프로브(20)를 인쇄 회로 기판(30)의 회로 패턴(31) 상에 형성되어 있는 상호 접속 요소(40)에 본딩한다.Next, as shown in FIG. 3, the
다음,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희생 기판(10)을 프로브(20)로부터 분리함으로써 프로브 카드가 완성된다.Next, as shown in FIG. 2, the probe card is completed by separating the
이상과 같은, 다른 종래의 프로브 카드의 제조 방법은 반도체의 패턴 형성에 사용되는 포토리소그래피 기술을 이용하기 때문에 프로브(20) 자체의 크기를 미세하게 형성할 수 있으며, 이웃하는 프로브(20)간의 간격도 매우 좁게 인쇄 회로 기판(30)에 형성시킬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nother conventional method of manufacturing a probe card uses a photolithography technique used to form a pattern of a semiconductor, so that the size of the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프로브 카드의 제조 방법 및 다른 종래의 프로 브 카드의 제조 방법은 프로브(20)가 일 방향으로 연장된 빔부(21) 및 절두형 피라미드 형태의 접촉부(22)를 포함하는 컨틸레버(Cantilever)형이기 때문에, 프로브(20)가 형성되는 개구(11)를 형성하기 위해 희생 기판(10)에 3번 이상의 식각 공정을 수행해야 한다. 이는 제조 시간 및 제조 비용의 증가의 요인으로서 작용한다.However,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conventional probe card as described above and the manufacturing method of another conventional probe card include a
또한, 종래의 프로브 카드의 제조 방법 및 다른 종래의 프로브 카드의 제조 방법은 희생 기판(10)에 프로브(20)를 형성하는 공정으로부터 프로브(20)로부터 희생 기판(10)을 분리하는 공정까지 열을 필수적으로 사용해야 하는데, 이 열 및 희생 기판(10)과 프로브(20)간의 열팽창 계수의 차이로 인해 공정 중에 프로브(20)가 뒤틀리는 등의 변형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프로브(20) 중 일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빔부(21)에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이 주로 발생하였다.In addition,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conventional probe card and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other conventional probe card are heat from the process of forming the
또한, 종래의 프로브 카드의 제조 방법 및 다른 종래의 프로브 카드의 제조 방법은 프로브(20)로부터 희생 기판(10)을 분리할 때, 프로브(20)의 빔부(21) 및 접촉부(22)의 하측 전체가 희생 기판(10)과 접하고 있기 때문에 프로브(20)로부터 희생 기판(10)을 분리하는 공정 시간이 오래 걸리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a conventional method of manufacturing a probe card and another method of manufacturing a conventional probe card, when separating the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써, 희생 기판에 대한 식각 공정의 수를 줄여 제조 시간 및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프로브 본딩용 유닛, 프로브 본딩용 유닛의 제조 방법 및 프로브 본딩용 유닛을 이용한 프로브 본딩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a method of manufacturing a probe bonding unit, a probe bonding unit that can reduce the number of etching process for the sacrificial substrate to reduce the manufacturing time and manufacturing cost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robe bonding method using a probe bonding unit.
또한, 공정 중 열로 인한 프로브의 변형을 억제할 수 있는 프로브 본딩용 유닛, 프로브 본딩용 유닛의 제조 방법 및 프로브 본딩용 유닛을 이용한 프로브 본딩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robe bonding unit capable of suppressing deformation of a probe due to heat during a process, a method of manufacturing a probe bonding unit, and a probe bonding method using a probe bonding unit.
또한, 프로브로부터 희생 기판을 분리하는 공정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프로브 본딩용 유닛, 프로브 본딩용 유닛의 제조 방법 및 프로브 본딩용 유닛을 이용한 프로브 본딩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robe bonding unit, a method of manufacturing a probe bonding unit, and a probe bonding method using a probe bonding unit, which can shorten a process time for separating a sacrificial substrate from a probe.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제 1 측면은 프로브 본딩용 유닛에 있어서, 제 1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빔부 및 상기 빔부의 일 단부로부터 제 2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접촉부를 포함하는 프로브 및 상기 접촉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빔부와 이격되어 있는 판부, 상기 판부로부터 상기 접촉부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접촉부를 감싸는 접촉부 형성부, 상기 판부로부터 상기 빔부의 타 단부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빔부를 지지하는 빔부 지지부 및 상기 빔부, 상기 판부, 상기 접촉부 형성부 및 상기 빔부 지지부에 의해 형성되는 공 간부를 포함하는 프로브 형성판을 포함하는 프로브 본딩용 유닛을 제공한다.As a technical means for achieving the above technical problem, the 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probe bonding unit, the beam portion extending in the first direction and the contact portion extending in the second direction from one end of the beam portion A plate portion spaced apart from the beam portion with the probe and the contact portion interposed therebetween, a contact portion forming portion extending from the plate portion toward the contact portion to surround the contact portion, and extending from the plate portion toward the other end direction of the beam portion; Provided is a probe bonding unit comprising a probe forming plate including a beam portion support portion to support and the space formed by the beam portion, the plate portion, the contact portion forming portion, and the beam portion support portion.
상기 접촉부는 상기 빔부의 상기 일 단부로부터 연장되어 제 1 너비를 가진 제 1 연장부, 상기 제 1 연장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 1 너비보다 좁은 제 2 너비를 가진 제 2 연장부 및 상기 제 2 연장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 2 너비보다 좁은 제 3 너비를 가진 팁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ntact portion extends from the one end of the beam portion to have a first extension having a first width, a second extension extending from the first extension and having a second width narrower than the first width, and the second extension It may include a tip portion extending from the portion having a third width narrower than the second width.
상기 접촉부 형성부는 상기 팁부와 대응하는 팁부 형성부, 상기 제 2 연장부와 대응하는 제 2 연장부 형성부 및 상기 제 1 연장부와 대응하는 제 1 연장부 형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ntact part forming part may include a tip part forming part corresponding to the tip part, a second extension part forming part corresponding to the second extension part, and a first extension part forming part corresponding to the first extension part.
상기 빔부는 상기 타 단부로부터 상기 일 단부로 갈수록 너비가 좁아질 수 있다.The beam portion may be narrower in width from the other end toward the one end.
상기 공간부의 너비는 상기 빔부의 너비보다 넓을 수 있다.The width of the space portion may be wider than the width of the beam portion.
상기 프로브는 상기 빔부의 상기 타 단부로부터 상기 접촉부와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연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probe may further include a connection part extending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contact part from the other end of the beam part.
상기 프로브는 상기 빔부와 대향하는 상기 연결부의 단부에 위치하는 페이스트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probe may further include a paste part disposed at an end portion of the connection part facing the beam part.
또한, 본 발명의 제 2 측면은 제 1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빔부 및 상기 빔부의 일 단부로부터 제 2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접촉부를 가지는 프로브를 포함하는 프로브 본딩용 유닛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a) 기판을 마련하는 단계, (b) 상기 빔부와 대응하여 상기 기판의 표면으로부터 함몰되어 있는 판부, 상기 판부로부터 상기 기판의 표면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빔부 지지부 및 상기 판부 및 상기 빔부 지지부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부를 형성하는 단계, (c) 상기 공간부에 제 1 도전성 물질을 채우는 단계, (d) 상기 접촉부와 대응하여 상기 공간부와 이웃하는 상기 기판의 표면으로부터 함몰되어 있는 접촉부 형성부를 형성하여 상기 판부, 상기 빔부 지지부, 상기 공간부 및 상기 접촉부 형성부를 포함하는 프로브 형성판을 형성하는 단계, (e) 상기 프로브 형성판 상에 상기 빔부와 대응하는 빔부 개구부를 포함하는 빔부 포토레지스트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f) 상기 빔부 개구부 및 상기 접촉부 형성부에 제 2 도전성 물질을 채워 상기 빔부 및 상기 접촉부를 형성하는 단계 및 (g) 상기 제 1 도전성 물질을 상기 공간부로부터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프로브 본딩용 유닛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In addition, the secon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method of manufacturing a probe bonding unit comprising a probe having a beam portion extending in a first direction and a contact portion extending in a second direction from one end of the beam portion, (a (B) a plate portion recessed from the surface of the substrate corresponding to the beam portion, a beam portion support portion extending from the plate portion in the direction of the surface of the substrate, and formed by the plate portion and the beam portion support portion. Forming a space portion, (c) filling a first conductive material in the space portion, (d) forming a contact portion formation portion recessed from a surface of the substrate adjacent to the space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contact portion to form the plate portion And forming a probe forming plate including the beam part support part, the space part and the contact part forming part, (e) the pro Forming a beam part photoresist pattern including a beam part opening corresponding to the beam part on the groove forming plate; (f) filling the beam part opening part and the contact part forming part with a second conductive material to form the beam part and the contact part; And (g) removing the first conductive material from the space part.
상기 접촉부는 상기 빔부의 상기 일 단부로부터 연장되어 제 1 너비를 가진 제 1 연장부, 상기 제 1 연장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 1 너비보다 좁은 제 2 너비를 가진 제 2 연장부 및 상기 제 2 연장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 2 너비보다 좁은 제 3 너비를 가진 팁부를 포함하며, 상기 (d)단계는 상기 기판 상에 상기 팁부와 대응하여 상기 제 3 너비를 가진 제 1 개구부를 포함하는 제 1 박막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 1 박막 패턴 상에 상기 제 2 연장부와 대응하여 상기 제 2 너비를 가진 제 2 개구부를 포함하는 제 2 박막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 2 박막 패턴 상에 상기 제 1 연장부와 대응하여 상기 제 1 너비를 가진 제 3 개구부를 포함하는 제 3 박막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박막 패턴, 상기 제 2 박막 패턴 및 상기 제 3 박막 패턴의 형태에 따라 상기 기판을 건식 식각하여 상기 팁부와 대응하는 팁부 형성부, 상기 제 2 연장부와 대응하는 제 2 연장부 형성부 및 상기 제 1 연장부와 대응하는 제 1 연장부 형성부를 포함하는 상기 접촉부 형성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ntact portion extends from the one end of the beam portion to have a first extension having a first width, a second extension extending from the first extension and having a second width narrower than the first width, and the second extension And a tip portion extending from the portion and having a third width narrower than the second width, wherein step (d) includes a first thin film including a first opening portion having the third width corresponding to the tip portion on the substrate. Forming a pattern, forming a second thin film pattern on the first thin film pattern, the second thin film pattern including a second opening having the second width corresponding to the second extension part; Forming a third thin film pattern including a third opening having a first width corresponding to a first extension and in the form of the first thin film pattern, the second thin film pattern and the third thin film pattern And forming a contact portion including a tip portion forming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tip portion, a second extension portion forming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second extension portion, and a first extension portion forming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extension portion by dry etching the substrate. Forming a portion.
상기 (e)단계는 상기 빔부 개구부가 상기 빔부의 타 단부와 대응하는 일 부분으로부터 상기 빔부의 상기 일 단부와 대응하는 타 부분으로 갈수록 너비가 좁아지게 형성되도록 수행할 수 있다.The step (e) may be performed such that the width of the beam opening becomes narrower from one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other end of the beam portion to the other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one end of the beam portion.
상기 (e)단계는 상기 빔부 개구부의 너비가 상기 공간부의 너비보다 좁게 형성되도록 수행할 수 있다.The step (e) may be performed such that the width of the opening of the beam part is smaller than the width of the space part.
상기 프로브는 상기 빔부의 타 단부로부터 상기 접촉부와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연결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빔부 상에 상기 연결부와 대응하는 연결부 개구부를 포함하는 연결부 포토레지스트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연결부 개구부에 제 3 도전성 물질을 채워 상기 연결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probe further comprises a connecting portion extending from the other end of the beam portion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contact portion, forming a connecting portion photoresist pattern including a connecting portion opening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connecting portion on the beam portion and the connecting portion opening portion.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filling the third conductive material into the connection part.
상기 연결부 상에 페이스트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forming a paste part on the connection part.
또한, 본 발명의 제 3 측면은 프로브 본딩용 유닛을 이용한 프로브 본딩 방법에 있어서, (a) 기판 패드가 형성되어 있는 인쇄 회로 기판을 마련하는 단계, (b) 제 1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빔부 및 상기 빔부의 일 단부로부터 제 2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접촉부를 포함하는 프로브 및 상기 접촉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빔부와 이격되어 있는 판부, 상기 판부로부터 상기 접촉부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접촉부를 감싸는 접촉부 형성부, 상기 판부로부터 상기 빔부의 타 단부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빔부를 지지하는 빔부 지지부 및 상기 빔부, 상기 판부, 상기 접촉 부 형성부 및 상기 빔부 지지부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부를 포함하는 프로브 형성판을 포함하는 프로브 본딩용 유닛을 제조하는 단계, (c) 상기 프로브를 인쇄 회로 기판의 상기 기판 패드에 접속하는 단계 및 (d) 상기 프로브 형성판을 상기 프로브로부터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프로브 본딩 방법을 제공한다.According to a thir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probe bonding method using a probe bonding unit, comprising: (a) providing a printed circuit board on which a substrate pad is formed, (b) a beam portion extending in a first direction; A probe including a contact portion extending from one end of the beam portion in a second direction and a plate portion spaced apart from the beam portion with the contact portion therebetween, a contact portion forming portion extending from the plate portion in the direction of the contact portion to surround the contact portion; And a probe forming plate including a beam part support part extending from the plate part toward the other end of the beam part to support the beam part, and a space part formed by the beam part, the plate part, the contact part forming part, and the beam part support part. Manufacturing a bonding unit, (c) connecting the probe to the substrate pad of a printed circuit board Step and (d) a probe bonding method comprising the step of separating the probe from the formation plate probe.
상기 프로브는 상기 빔부의 상기 타 단부로부터 상기 접촉부와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연결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c)단계는 상기 연결부를 상기 기판 패드에 대응시켜 수행할 수 있다.The probe may further include a connection part extending from the other end of the beam part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contact part, and step (c) may be performed by corresponding the connection part to the substrate pad.
상기 프로브는 상기 빔부와 대향하는 상기 연결부의 단부에 위치하는 페이스트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c)단계는 상기 페이스트부에 열 또는 레이저를 가하여 수행할 수 있다.The probe may further include a paste part positioned at an end portion of the connection part facing the beam part, and step (c) may be performed by applying heat or laser to the paste part.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하나에 의하면, 복수개의 박막 패턴을 이용하여 접촉부 형성부를 형성함으로써, 기판에 대한 식각 공정의 수를 줄여 제조 시간 및 제조 비용이 절감되는 기술적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one of the above-described problem solving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by forming a contact forming portion using a plurality of thin film patterns, there is a technical effect that the manufacturing time and manufacturing cost is reduced by reducing the number of etching process for the substrate.
또한, 프로브 본딩용 유닛이 공간부를 포함함으로써, 공정 중 열로 인한 프로브의 변형이 억제되는 기술적 효과가 있다.In addition, since the probe bonding unit includes a space portion, there is a technical effect that deformation of the probe due to heat during the process is suppressed.
또한, 프로브 본딩용 유닛이 공간부를 포함함으로써, 프로브로부터 프로브 형성판을 분리하는 공정 시간이 단축되는 기술적 효과가 있다.In addition, since the probe bonding unit includes a space portion, there is a technical effect that the process time for separating the probe forming plate from the probe is shortened.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DETAILED DESCRIPTION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easil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와 “상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member is located “on” another member, this includes not only when one member is in contact with another member but also when another member exists between the two members. In addition, when a part is said to "include" a certain component, it means that it can further include other components, without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otherwise stated.
이하,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브 본딩용 유닛을 설명한다.Hereinafter, a probe bond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4 to 6.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브 본딩용 유닛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브 본딩용 유닛의 평면도이며, 도 6은 도 4 및 도 5의 Ⅵ-Ⅵ을 따른 단면도이다.4 is a perspective view of a probe bond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plan view of a probe bond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is VI-VI of FIGS. 4 and 5. The cross section along the.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브 본딩용 유닛(1000)은 프로브(100) 및 프로브 형성판(200)을 포함한다.4 to 6, the
프로브(100)는 빔부(110), 접촉부(120), 연결부(130) 및 페이스트부(140)를 포함한다.The
빔부(110)는 제 1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일 단부(111) 및 타 단부(112)를 포함한다. 빔부(110)는 타 단부(112)로부터 일 단부(111)로 갈수록 너비가 좁아지는 형태로 이루어져 있다. 빔부(110)의 일 단부(111)에는 접촉부(120)가 제 2 방 향인 프로브 형성판(200) 방향으로 빔부(110)의 일 단부(111)로부터 연장되어 있으며, 빔부(110)의 타 단부(112)에는 연결부(130)가 접촉부(120)의 연장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빔부(110)의 타 단부(112)로부터 연장되어 있다. 제 1 방향의 연장 방향과 제 2 방향의 연장 방향은 서로 교차하는 방향이다.The
접촉부(120)는 빔부(110)의 일 단부(111)로부터 연장되어 있으며, 제 1 연장부(121), 제 2 연장부(122) 및 팁부(123)를 포함한다. 접촉부(120)는 검사 공정 시 반도체 웨이퍼 등의 피검사체에 형성되어 있는 접촉 패드와 접촉하는 역할을 한다.The
제 1 연장부(121)는 빔부(110)의 일 단부(111)로부터 연장되어 있으며, 제 1 너비(W₁)를 가지고 있다. 제 2 연장부(122)는 제 1 연장부(121)로부터 연장되어 있으며, 제 1 연장부(121)의 제 1 너비(W₁)보다 좁은 제 2 너비(W₂)를 가지고 있다. 팁부(123)는 제 2 연장부(122)로부터 연장되어 있으며, 제 2 연장부(122)의 제 2 너비(W₂)보다 좁은 제 3 너비(W₃)를 가지고 있다. 즉, 접촉부(120)는 제 1 연장부(121)로부터 팁부(123)까지 단계적으로 너비가 좁아지는 형태로 이루어져 있다.The
다른 실시예에서, 접촉부(120)는 제 3 연장부 내지 제 N 연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the
빔부(110)와 접촉부(120)는 니켈(Ni) 또는 니켈 합금(Ni alloy) 등의 탄성을 가지는 제 2 도전성 물질을 포함한다.The
연결부(130)는 빔부(110)의 타 단부(112)로부터 접촉부(120)의 연장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연결부(130)는 니켈 또는 니켈 합금 등의 탄성을 가 지는 제 3 도전성 물질을 포함한다. 빔부(110)와 접촉부(120)를 이루는 제 2 도전성 물질과 연결부(130)를 이루는 제 3 도전성 물질을 동일한 도전성 물질이거나 또는 서로 다른 도전성 물질일 수 있다. 연결부(130)의 단부에는 페이스트부(140)가 위치하고 있다.The
페이스트부(140)는 연결부(130)를 사이에 두고 빔부(110)의 타 단부(112)와 대향하여 연결부(130)의 단부 상에 위치하고 있다. 페이스트부(140)는 도전성 페이스트로 이루어진다.The
프로브 형성판(200)은 프로브(100)를 지지하고 있으며, 판부(210), 접촉부 형성부(220), 빔부 지지부(230) 및 공간부(240)를 포함한다.The
판부(210)는 접촉부(120)를 사이에 두고 빔부(110)와 이격되어 있으며, 빔부(110)의 연장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판 형태로 연장되어 있다. 판부(210)로부터 접촉부(120) 방향으로 접촉부 형성부(220)가 연장되어 있다.The
접촉부 형성부(220)는 접촉부(120)를 감싸고 있으며, 팁부 형성부(221), 제 2 연장부 형성부(222) 및 제 1 연장부 형성부(223)를 포함한다. 팁부 형성부(221)는 팁부(123)와 대응하는 형태로 형성되어 있고, 제 2 연장부 형성부(222)는 제 2 연장부(122)와 대응하는 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며, 제 1 연장부 형성부(223)는 제 1 연장부(121)와 대응하는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즉, 팁부 형성부(221) 내지 제 1 연장부 형성부(223)에서 접촉부(120)가 형성되며, 팁부 형성부(221) 내지 제 1 연장부 형성부(223)의 형태에 따라 접촉부(120)의 형태가 결정된다.The contact
다른 실시예에서, 접촉부(120)가 제 3 연장부 내지 제 N 연장부를 포함할 경 우, 접촉부 형성부(220)는 제 3 연장부 형성부 내지 제 N 연장부 형성부를 포함한다.In another embodiment, when the
빔부 지지부(230)는 공간부(240)를 사이에 두고 접촉부 형성부(220)와 이격되어 있으며, 판부(210)로부터 빔부(110)의 타 단부(112) 방향으로 연장되어 빔부(110)를 지지하고 있다. 빔부(110)은 판부(210)로부터 연장되어 있는 격벽 형태이다.The
공간부(240)는 빔부(110), 판부(210), 접촉부 형성부(220) 및 빔부 지지부(230)에 둘러 싸이는 동시에 빔부(110), 판부(210), 접촉부 형성부(220) 및 빔부 지지부(230)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이다. 공간부(240)의 너비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빔부(110)의 너비보다 넓게 형성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공간부(240)에 대응하는 빔부(110)는 플로팅(floating)되어 있다.The
이하,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브 본딩용 유닛을 이용한 프로브 본딩 방법을 설명한다.Hereinafter, a probe bonding method using a probe bonding unit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7 to 9.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브 본딩용 유닛을 이용한 프로브 본딩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며,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브 본딩용 유닛을 이용한 프로브 본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be bonding method using a probe bond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8 and 9 illustrate a probe bonding method using a probe bond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sectional drawing for doing.
우선,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쇄 회로 기판(2000)을 마련한다(S100).First, as shown in FIGS. 7 and 8, a printed
구체적으로, 기판 패드(2100)를 포함하는 인쇄 회로 기판(2000)을 형성한다. 인쇄 회로 기판(2000)은 프로브 회로 패턴(미도시)이 형성되어 있는 프로브 기판이 거나 또는 피치(pitch) 변환 기능을 수행하는 다층 세라믹 기판(MLC, multi layer ceramic substrate)을 포함하는 공간 변환기(space transformer)일 수 있다.Specifically, the printed
다음, 프로브 본딩용 유닛(1000)을 제조 한다(S200).Next, a
구체적으로, 프로브(100) 및 프로브 형성판(200)을 포함하는 프로브 본딩용 유닛(1000)을 제조한다. 보다 구체적인 프로브 본딩용 유닛(1000)의 제조 방법은 후술한다.Specifically, the
다음, 프로브(100)를 인쇄 회로 기판(2000)에 접속한다(S300).Next, the
구체적으로, 인쇄 회로 기판(2000)의 기판 패드(2100) 상에 프로브 본딩용 유닛(1000)의 프로브(100)의 연결부(130)를 정렬한 후, 기판 패드(2100)와 연결부(130) 사이에 위치하는 페이스트부(140)에 레이저 또는 열을 가하여 기판 패드(2100)에 연결부(130)를 접속한다.Specifically, the
페이스트부(140)에 열을 가하여 기판 패드(2100)에 연결부(130)를 접속할 경우, 공간부(240)에 대응하는 빔부(110)가 플로팅되어 있기 때문에, 열 및 프로브 형성판(200)과 프로브(100)간의 열팽창 계수의 차이로 인해 공정 중에 프로브(100)가 뒤틀리는 등의 변형이 발생하지 않는다. When the
다음,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브 형성판(200)을 프로브(100)로부터 분리한다(S400).Next, as shown in FIG. 9, the
구체적으로, 습식 식각 공정을 이용하여, 프로브(100)로부터 프로브 형성판(200)을 분리한다.Specifically, the
프로브(100)로부터 프로브 형성판(200)을 분리할 때, 프로브 형성판(200)이 프로브(100)의 접촉부(120) 및 프로브(100)의 타 단부(112)만을 접하여 지지하고 있기 때문에, 프로브(100)의 하측 전체가 희생 기판과 접하고 있는 경우에 비해, 프로브(100)로부터 프로브 형성판(200)을 분리하는 공정 시간이 단축된다.When the
이상과 같은 공정에 의해 인쇄 회로 기판(2000)에 프로브(100)가 접속한다.The
이하, 도 10 내지 도 2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브 본딩용 유닛의 제조 방법을 설명한다.Hereinafter, a method of manufacturing a probe bond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0 to 20.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따른 프로브 본딩용 유닛의 제조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며, 도 11 내지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브 본딩용 유닛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10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a probe bond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11 to 20 are views illustrat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a probe bond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우선,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판(610)을 마련한다(S210).First, as shown in FIGS. 10 and 11, a
구체적으로, 실리콘 웨이퍼 등의 판 형상의 절연성 물질로 이루어진 기판(610)을 마련한다. 기판(610)은 상면 및 하면은 기계적 또는 화학적 연마 공정을 이용하여 평탄하게 형성될 수 있다.Specifically, a
다음,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부(210), 빔부 지지부(230) 및 공간부(240)를 형성한다(S220).Next, as shown in FIGS. 11 and 12, the
구체적으로, 우선,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판(610) 상에 스핀 코팅(spin coating) 공정 또는 도포 공정 등을 이용하여 빛을 받으면 현상 공정 시 현상액에 녹는 포지티브 타입이거나 또는 빛을 받지 않으면 현상 공정 시 현상액에 녹는 네거티브 타입의 포토레지스트(photoresist) 물질로 이루어진 기판 포토레지스트층을 형성한다.Specifically, as shown in FIG. 11, when light is received on the
다음, 기판 포토레지스트층 상에 후에 형성될 공간부(240) 및 빔부 지지부(230)와 대응하는 이미지를 가진 마스크를 정렬하고, 상기 마스크를 통해 기판 포토레지스트층에 자외선 등을 조사하여 기판 포토레지스트층을 노광한 후, 현상액을 이용하여 노광된 기판 포토레지스트층을 현상하여 공간부(240)가 제조될 부분이 개구되어 있는 공간부 개구부(621)를 가지는 기판 포토레지스트 패턴(620)을 형성한다.Next, the mask having the image corresponding to the
다음,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판 포토레지스트 패턴(620)을 마스크로서 사용한 건식 식각 공정 또는 습식 식각 공정을 이용하여 기판(610)을 식각한다. 기판(610)의 식각에 의해 후에 형성될 프로브(100)의 빔부(110)와 대응하여 기판(610)의 표면으로부터 함몰되어 있는 판부(210), 판부(210)로부터 기판(610)의 표면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빔부 지지부(230) 및 판부(210) 및 빔부 지지부(230)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부(240)가 형성된다. Next, as shown in FIG. 12, the
다음,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간부(240)에 제 1 도전성 물질(630)을 채운다(S230).Next, as shown in FIG. 13, the first
구체적으로, 외부로 노출된 기판(610) 상에 도전층을 형성하고, 형성된 도전층을 이용한 전해 도금 공정등의 도금 공정을 이용하거나 또는 공간부(240)에 대응하는 오픈 패턴을 가진 오픈 마스크를 이용한 스퍼터링(sputtering) 공정을 이용하여 공간부(240)에 제 1 도전성 물질(630)을 채운다. 도전층을 이용하여 공간부(240)에 제 1 도전성 물질(630)을 채울 경우, 도금 공정으로 인해 기판(610) 상으로 제 1 도전성 물질(630)이 돌출될 경우, 기판(610) 상으로 돌출된 제 1 도전성 물질(630)을 화학적 또는 물리적 연마 공정을 이용해 연마한다.In detail, a conductive layer is formed on the
다음, 도 14 및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촉부 형성부(220)를 형성하여 프로브 형성판(200)을 형성한다(S240).Next, as illustrated in FIGS. 14 and 15, the
구체적으로, 우선,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핀 코팅 또는 스퍼터링 공정을 이용하여 기판(610) 상에 제 1 박막을 형성한 후, 제 1 박막 상에 후에 형성될 제 1 개구부(641)와 대응하는 이미지를 가진 마스크를 정렬하고, 상기 마스크를 이용해 제 1 박막을 식각하여 제 3 너비(W₃)를 가진 제 1 개구부(641)를 포함하는 제 1 박막 패턴(640)을 형성한다.Specifically, as shown in FIG. 14, first, a first thin film is formed on the
다음, 제 1 박막 패턴(640) 상에 스핀 코팅 또는 스퍼터링 공정을 이용하거나 또는 제 1 박막 패턴(640)의 일부를 산화시켜 제 2 박막을 형성한 후, 제 2 박막 상에 후에 형성될 제 2 개구부(651)와 대응하는 이미지를 가진 마스크를 정렬하고, 상기 마스크를 이용해 제 2 박막을 식각하여 제 2 너비(W₂)를 가진 제 2 개구부(651)를 포함하는 제 2 박막 패턴(650)을 형성한다.Next, after forming a second thin film by using a spin coating or sputtering process on the first
다음, 제 2 박막 패턴(650) 상에 스핀 코팅 또는 도포 공정을 이용하여 제 3 박막 포토레지스트층을 형성한 후, 제 3 박막 포토레지스트층 상에 제 3 개구부(661)와 대응하는 이미지를 가진 마스크를 정렬하고 제 3 박막 포토레지스트층을 노광 및 현상하여 제 1 너비(W₁)를 가진 제 3 개구부(661)를 포함하는 제 3 박막 패턴(660)을 형성한다.Next, after forming the third thin film photoresist layer on the second
다음,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식 식각 공정을 이용하여 제 3 박막 패턴(660), 제 2 박막 패턴(650) 및 제 3 박막 패턴(660)의 형태에 따라 기판(610)을 식각하여 제 3 개구부(661), 제 2 개구부(651) 및 제 1 개구부(641) 각각과 대응하는 제 1 연장부 형성부(223), 제 2 연장부 형성부(222) 및 팁부 형성부(221)를 포함하는 접촉부 형성부(220)를 형성한다. 이에 의해, 판부(210), 접촉부 형성부(220), 빔부 지지부(230) 및 공간부(240)를 포함하는 프로브 형성판(200)이 형성된다.Next, as shown in FIG. 15, the
다른 실시예에서, 기판(610) 상에 포토레지스트층을 형성한 후, 포토레지스트층 상에 후에 형성될 제 1 개구부(641), 제 2 개구부(651) 및 제 3 개구부(661)에 대응하는 이미지를 가진 슬릿(slit) 마스크 또는 반투명 마스크를 정렬한 후, 상기 마스크를 통해 포토레지스트층에 자외선 등을 조사하여 포토레지스트층을 노광한 후, 현상액을 이용해 포토레지스트층을 현상하면 제 1 개구부(641), 제 2 개구부(651) 및 제 3 개구부(661)를 포함하는 포토레지스트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이 후, 포토레지스트 패턴의 형태에 따라 기판(610)을 식각하여 제 1 연장부 형성부(223), 제 2 연장부 형성부(222) 및 팁부 형성부(221)를 포함하는 접촉부 형성부(220)를 형성한다.In another embodiment, after forming a photoresist layer on the
다음, 도 16 및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빔부 포토레지스트 패턴(680)을 형성한다(S250).Next, as shown in FIGS. 16 and 17, the beam
도 17은 도 16의 평면도이다.17 is a plan view of FIG. 16.
구체적으로, 프로브 형성판(200) 상에 빔부 도전층(670)을 형성한 후, 빔부 도전층(670) 상에 스핀 코팅 또는 도포 공정을 이용하여 빔부 포토레지스트층을 형성하고 빔부 포토레지스트층 상에 후에 형성될 빔부(110)와 대응하는 이미지를 가 진 마스크를 정렬한 후, 상기 마스크를 통해 빔부 포토레지스트층에 자외선 등을 조사하여 빔부 포토레지스트층을 노광하고 현상액을 이용하여 노광된 빔부 포토레지스트층을 현상하여 접촉부(120) 및 빔부(110)가 제조될 부분이 개구되어 있는 빔부 개구부(681)를 포함하는 빔부 포토레지스트 패턴(680)을 형성한다.Specifically, after the beam portion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빔부 포토레지스트 패턴(680)의 빔부 개구부(681)는 후에 형성될 빔부(110)의 타 단부(112)와 대응하는 일 부분인 빔부 지지부(230)에 대응하는 부분으로부터 빔부(110)의 일 단부(111)와 대응하는 타 부분인 접촉부 형성부(220)에 대응하는 부분으로 갈수록 너비가 좁아지게 형성된다. 또한, 빔부 개구부(681)의 너비는 공간부(240)의 너비보다 좁게 형성된다. 즉, 빔부 개구부(681)는 공간부(240)의 너비보다 좁게 형성되는 동시에 일 부분으로부터 타 부분으로 갈수록 너비가 좁아직게 형성된다.As shown in FIG. 17, the
다음,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빔부(110) 및 접촉부(120)를 형성한다(S260).Next, as shown in FIG. 18, the
구체적으로, 빔부 도전층(670)을 이용한 전해 도금 공정 등의 도금 공정을 이용하여 빔부 개구부(681) 및 접촉부 형성부(220)에 제 2 도전성 물질(690)을 채운다. 도금 공정으로 인해 빔부 포토레지스트 패턴(680) 상으로 제 2 도전성 물질(690)이 돌출될 경우, 빔부 포토레지스트 패턴(680) 상으로 돌출된 제 2 도전성 물질(690)을 화학적 또는 물리적 연마 공정을 이용해 연마하여 빔부(110) 및 접촉부(120)를 형성한다.Specifically, the second
빔부(110)가 형성될 때, 제 2 도전성 물질(690)로 이루어지는 빔부(110)가 공간부(240)에 채워져 있는 제 1 도전성 물질(630) 상에서 형성된다. 제 1 도전성 물질(630)과 제 2 도전성 물질(690)간의 열팽창 계수의 차이는 도전성 물질과 절연성 물질간의 열팽창 계수의 차이보다 작기 때문에, 빔부(110)를 형성하는 공정 시 사용될 수 있는 열 및 제 1 도전성 물질(630)과 제 2 도전성 물질(690)간의 열팽창 계수의 차이로 인해 공정 중에 빔부(110)가 뒤틀리는 등의 변형이 발생하지 않는다.When the
다음,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 포토레지스트 패턴(710)을 형성한다(S270).Next, as shown in FIG. 19, the connection
구체적으로, 빔부(110) 상에 스핀 코팅 또는 도포 공정을 이용하여 연결부 포토레지스트층을 형성하고 연결부 포토레지스트층 상에 후에 형성될 연결부(130)와 대응하는 이미지를 가진 마스크를 정렬한 후, 상기 마스크를 통해 연결부 포토레지스트층에 자외선 등을 조사하여 연결부 포토레지스트층을 노광하고 현상액을 이용하여 노광된 연결부 포토레지스트층을 현상하여 연결부(130)가 제조될 부분이 개구되어 있는 연결부 개구부(711)를 포함하는 연결부 포토레지스트 패턴(710)을 형성한다.Specifically, after forming the connecting portion photoresist layer on the
다음, 연결부(130)를 형성한다(S280).Next, the connecting
구체적으로, 빔부 도전층(670), 접촉부(120) 및 빔부(110)를 이용한 전해 도금 공정 등의 도금 공정을 이용하여 연결부 개구부(711) 제 3 도전성 물질(720)을 채운다. 도금 공정으로 인해 연결부 포토레지스트 패턴(710) 상으로 제 3 도전성 물질(720)이 돌출될 경우, 연결부 포토레지스트 패턴(710) 상으로 돌출된 제 3 도 전성 물질(720)을 화학적 또는 물리적 연마 공정을 이용해 연마하여 연결부(130)를 형성한다.Specifically, the
다음, 페이스트부(140)를 형성한다(S290).Next, the
구체적으로, 스크린 프린팅(screen printing) 공정을 등을 이용하여 연결부(130)의 단부에 도전성 페이스트 물질로 이루어진 페이스트부(140)를 형성한다.Specifically, the
다음,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도전성 물질(630)을 공간부로부터 제거한다(S295).Next, as shown in FIG. 20, the first
구체적으로, 연결부 포토레지스트 패턴(710) 및 빔부 포토레지스트 패턴(680)을 에슁(ashing) 공정 또는 리프트 오프(lift off) 공정 등을 이용하여 프로브(100)로부터 제거하게 되면, 프로브(100) 및 빔부 도전층(670)이 외부로 노출되게 된다. 외부로 노출된 빔부 도전층(670)을 습식 식각 공정을 이용하여 프로브 형성판(200)으로부터 제거하면 공간부(240)가 빔부(110)보다 너비가 넓기 때문에 공간부(240)에 위치하는 제 1 도전성 물질(630)의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게 된다. 이 후, 습식 식각 공정을 수행하면, 공간부(240)에 위치하는 제 1 도전성 물질(630)의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공간부(240)로부터 제 1 도전성 물질(630)이 제거되며, 공간부(240)는 판부(210), 빔부(110), 접촉부 형성부(220) 및 빔부 지지부(230)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으로서 남게된다.Specifically, when the connection
이상과 같은 공정에 의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브 본딩용 유닛(1000)이 제조된다.By the above process, the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브 본딩용 유닛, 프로브 본딩용 유닛의 제조 방법 및 프로브 본딩용 유닛을 이용한 프로브 본딩 방법은 제 1 박막 패턴(640), 제 2 박막 패턴(650) 및 제 3 박막 패턴(660)을 이용하여 한 번의 건식 식각 공정을 이용하여 접촉부 형성부(220)를 형성함으로써, 기판(610)에 대한 식각 공정의 개수를 줄일 수 있다.As such, the probe bonding unit, the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probe bonding unit, and the probe bonding method using the probe bonding uni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the first
또한, 프로브 본딩용 유닛(1000)이 공간부(240)를 포함함으로써, 프로브(100)로부터 프로브 형성판(200)을 분리할 때, 프로브 형성판(200)이 프로브(100)의 접촉부(120) 및 프로브(100)의 타 단부(112)만을 접하여 지지하고 있기 때문에, 프로브(100)의 하측 전체가 희생 기판과 접하고 있는 경우에 비해, 프로브(100)로부터 프로브 형성판(200)을 분리하는 공정 시간이 단축된다.In addition, when the
즉,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브 본딩용 유닛, 프로브 본딩용 유닛의 제조 방법 및 프로브 본딩용 유닛을 이용한 프로브 본딩 방법은 프로브 카드의 제조 시간 및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That is, the probe bonding unit, the probe bonding unit manufacturing method, and the probe bonding method using the probe bonding unit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may reduce the manufacturing time and manufacturing cost of the probe card.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브 본딩용 유닛, 프로브 본딩용 유닛의 제조 방법 및 프로브 본딩용 유닛을 이용한 프로브 본딩 방법은 빔부(110)가 형성될 때, 제 2 도전성 물질(690)로 이루어지는 빔부(110)가, 공간부(240)에 채워져 있으며 제 2 도전성 물질(690)과 열팽창 계수의 차이가 작은 제 1 도전성 물질(630) 상에서 형성된다. 이에 의해, 빔부(110)를 형성하는 공정 시 사용될 수 있는 열 및 제 1 도전성 물질(630)과 제 2 도전성 물질(690)간의 열팽창 계수의 작은 차이로 인해 공정 중에 빔부(110)가 뒤틀리는 등의 변형이 발생하지 않는다.In addition, the probe bonding unit, th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probe bonding unit, and the probe bonding method using the probe bonding uni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ormed of the second
또한, 페이스트부(140)에 열을 가하여 기판 패드(2100)에 연결부(130)를 접 속할 경우, 공간부(240)에 대응하는 빔부(110)가 플로팅되어 있기 때문에, 열 및 프로브 형성판(200)과 프로브(100)간의 열팽창 계수의 차이로 인해 공정 중에 프로브(100)가 뒤틀리는 등의 변형이 발생하지 않는다.In addition, when the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브 본딩용 유닛, 프로브 본딩용 유닛의 제조 방법 및 프로브 본딩용 유닛을 이용한 프로브 본딩 방법은 프로브 본딩용 유닛(1000)이 공간부(240)를 포함함으로써, 공정 중 열로 인한 프로브의 변형이 억제된다.That is, in the probe bonding unit, the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probe bonding unit, and the probe bonding method using the probe bonding unit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The forego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for illustration, and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asily modif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It is therefore to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in all aspects and not restrictive. For example, each component described as a single type may be implemented in a distributed manner, and similarly, components described as distributed may be implemented in a combined form.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by the following claims rather than the above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o.
도 1 내지 도 3은 종래의 프로브 카드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고,1 to 3 are cross-sectional views for explain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a conventional probe card,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브 본딩용 유닛의 사시도이고,4 is a perspective view of a probe bond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브 본딩용 유닛의 평면도이고,5 is a plan view of a probe bond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도 4 및 도 5의 Ⅵ-Ⅵ을 따른 단면도이고,6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VI-VI of FIGS. 4 and 5;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브 본딩용 유닛을 이용한 프로브 본딩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고,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be bonding method using a probe bonding unit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브 본딩용 유닛을 이용한 프로브 본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고,8 and 9 are cross-sectional views for explaining a probe bonding method using a probe bond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브 본딩용 유닛의 제조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며,10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a probe bond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 내지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브 본딩용 유닛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11 to 20 are views for explaining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probe bond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16)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126089A KR101010667B1 (en) | 2008-12-11 | 2008-12-11 | Probe bonding unit, method for manufacturing probe bonding unit and probe bonding method using probe bonding unit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126089A KR101010667B1 (en) | 2008-12-11 | 2008-12-11 | Probe bonding unit, method for manufacturing probe bonding unit and probe bonding method using probe bonding unit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067506A KR20100067506A (en) | 2010-06-21 |
KR101010667B1 true KR101010667B1 (en) | 2011-01-24 |
Family
ID=423661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80126089A Expired - Fee Related KR101010667B1 (en) | 2008-12-11 | 2008-12-11 | Probe bonding unit, method for manufacturing probe bonding unit and probe bonding method using probe bonding unit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010667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27260B1 (en) * | 2012-05-15 | 2013-11-11 | 주식회사 엔에스티 | Method for forming bump supporter in film type probe block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7218514A (en) * | 1994-02-07 | 1995-08-18 | Hitachi Ltd | Method for manufacturing probe for surface observation apparatus |
KR20060072916A (en) * | 2004-12-24 | 2006-06-28 | 주식회사 파이컴 | Probe card manufacturing method including probe for detection and probe card, probe card inspection system |
KR100748023B1 (en) * | 2006-06-16 | 2007-08-09 | 주식회사 유니테스트 | Method for manufacturing probe structure of probe card |
KR100840765B1 (en) * | 2007-01-09 | 2008-06-24 | 김복곤 | Cantilever type probe manufacturing method |
-
2008
- 2008-12-11 KR KR1020080126089A patent/KR101010667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7218514A (en) * | 1994-02-07 | 1995-08-18 | Hitachi Ltd | Method for manufacturing probe for surface observation apparatus |
KR20060072916A (en) * | 2004-12-24 | 2006-06-28 | 주식회사 파이컴 | Probe card manufacturing method including probe for detection and probe card, probe card inspection system |
KR100748023B1 (en) * | 2006-06-16 | 2007-08-09 | 주식회사 유니테스트 | Method for manufacturing probe structure of probe card |
KR100840765B1 (en) * | 2007-01-09 | 2008-06-24 | 김복곤 | Cantilever type probe manufacturing method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067506A (en) | 2010-06-2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WO2019216503A1 (en) | Semiconductor device test socket | |
KR101051136B1 (en) | Space transducer, probe card including space transduce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pace transducer | |
JP2000241457A (en) | Probing card | |
TW201901157A (en) | Multilayer manufacturing method of probe card of test device of electronic device | |
KR200454211Y1 (en) | Probe Assembly with Guide Structure | |
KR101010667B1 (en) | Probe bonding unit, method for manufacturing probe bonding unit and probe bonding method using probe bonding unit | |
KR100961454B1 (en) | Probe substrat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probe substrate | |
KR100961457B1 (en) | Probe substrat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probe substrate | |
KR100977207B1 (en) | Method of manufacturing probes and probe cards | |
KR100827994B1 (en) | Hybrid and high strength tip structures by using binding method of different kinds of electroplating material and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
KR100997179B1 (en) | Method of manufacturing probes and probe cards | |
KR100977209B1 (en) | Space transducer, probe card including space transduce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pace transducer | |
KR101010671B1 (en) | Probe and Probe Manufacturing Method | |
KR100977213B1 (en) | Manufacturing method of probe unit for probe bonding | |
KR100959797B1 (en) | Method of manufacturing the contact structure | |
KR100996926B1 (en) | Method of manufacturing probes and probe cards | |
KR100943724B1 (en) | Probe card | |
KR20100027738A (en) | Method for manufacturing probe and probe card | |
KR101347875B1 (en) | Method for manufacturing touching structure for testing semiconductor package, touching structure for testing semiconductor package and socket for testing semiconductor package including the same | |
KR101058513B1 (en) | Manufacturing method of probe card | |
KR101024098B1 (en) | Probe Bonding Method | |
KR20120079649A (en) | Probe structur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 |
KR20090084037A (en) | Method of manufacturing the contact structure | |
KR20100046981A (en) | Method for manufacturing contact structure | |
KR100977204B1 (en) | Probe card and manufacturing method of probe card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81211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0082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01103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1011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1011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