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010575B1 - 감식초가 함유된 아토피성 피부질환 개선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감식초가 함유된 아토피성 피부질환 개선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10575B1
KR101010575B1 KR1020080068864A KR20080068864A KR101010575B1 KR 101010575 B1 KR101010575 B1 KR 101010575B1 KR 1020080068864 A KR1020080068864 A KR 1020080068864A KR 20080068864 A KR20080068864 A KR 20080068864A KR 101010575 B1 KR101010575 B1 KR 1010105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oil
weight
wax
atopic dermatiti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688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08400A (ko
Inventor
이윤희
장길자
Original Assignee
장길자
이윤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길자, 이윤희 filed Critical 장길자
Priority to KR10200800688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10575B1/ko
Publication of KR201000084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84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05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05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4Ebenaceae (Ebony family), e.g. persimm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Epidem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otan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yc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감식초가 함유된 아토피성 피부질환 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전체 조성물의 중량대비 감식초 10 ~ 40 중량%, 달맞이꽃종자유 40 ~ 80 중량%, 천연왁스 1 ~ 20 중량%, 타닌 1 ~ 10 중량%, 아스코르브산 1 ~ 10 중량%, 천연오일 0.01 ~ 0.5 중량%가 함유되어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해, 아토피성 피부질환에 대해 뛰어난 개선효과를 나타내는 조성물이 제공된다.
감식초, 아토피성, 피부질환, 개선용, 조성물

Description

감식초가 함유된 아토피성 피부질환 개선용 조성물{THE COMPOSITION FOR THE ATOPIC DERMATITIS IMPROVING WITH VINEGAR}
본 발명은 감식초와 천연왁스 등 천연재료를 이용하여 제조된 아토피성 피부질환 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아토피(atopic)는 알레르기 반응을 일으키게 하는 면역물질(면역 글로불린-E)을 쉽게 형성하는 것으로써 천식, 고초열, 알레르기성 비염, 아토피성 피부염 등을 일으키는 요소 중에 하나이다.
그 중 아토피성 피부염은 흔한 피부병으로서 어린이의 약 10 ~ 15 %가 아토피 피부염을 가지고 있으며 75 %의 환자가 1세 이전에 발생된다.
태열은 한살 미만 아기의 아토피성 피부염을 말하는데 보통 걸어다닐 때가 되면 사라지고 습진도 얼굴과 목에 국한된다.
그러나 한살이 지나도 증상이 호전되지 않고 습진이 얼굴, 목에서 몸통, 사지로 퍼지면 아토피성 피부염이 되는 것이다.
즉, 약 90%의 어린이 환자가 5년 내 저절로 호전되며 약 5% 환자가 어른이 되어도 지속된다고 알려져 있다.
아토피성 피부염의 치료는 가려움, 발진 등을 감소시키고 발작의 정도와 재발을 조절하며 자기 스스로 관리하는 기술을 교육하는 등 다양한 면에 목적을 두고 있다.
일반적으로 증상에 따른 외용제나 보습제를 이용하여 치료하고 있지만 최근에는 새로운 면역억제제나 조절제 치료가 이용되고 있다.
현재 아토피성 피부염의 치료용으로 쓰이는 국소 항염증제인 스테로이드나 항히스타민제 등은 강한 면역 억제 효능을 발휘하기 때문에 현재 알러지성 질환에 가장 효과적인 약물로 많이 사용되고 있으나 스테로이드제를 장기간 사용할 경우 오히려 혈관 수축, 성장 장애, 불면증 등의 증상을 일으키며, 항히스타민제의 경우도 위장관 자극, 두통, 시야가 흐려지는 등의 부작용으로 인해 제한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스테로이드제제의 부작용이 널리 알려지면서 이를 대체하기 위한 치료제가 개발되고 있는데, 현재 시판되고 있는 타크롤리무스(Tacrolimus)와 피메클로리무스(Pimerolimus)는 심각한 부작용 없이 피부에 도포할 수 있는 제제로 초기에는 매우 효과가 좋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갑자기 심해진 아토피 피부염에는 스테로이드제제보다 효과가 좋지 않다는 단점이 있으며, 전신적으로 아토피 피부염이 심한경우 사용되는 자외선 요법은 약물의 전신적 투여가 힘들거나 부작용이 심한 경우 다른 요법과 병행하여 이용되고 있으나 이 또한, 장기간 이용 시 화상, 가려움증 유발, 색소 침착 등의 피부 조기 노화와 암의 위험이 높아진다.
따라서, 새로운 아토피성 피부염 치료제의 개발이 절실한 실정이며, 이러한 아토피성 피부염증에 대한 예방 및 치료를 목적으로 여러 천연물질을 이용하여 아래와 같이 많은 연구가 시행되고 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0597202호 “무좀 및 아토피성 피부질환 개선용 조성물, 화장수 및 음료”에는, 목초액, 알로에, 오이액즙을 함유하는 것으로써 무좀 및 아토피성 피부염 등의 피부질환의 개선에 효과를 나타내는 조성물에 대해 공개되어 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0454752호 “아토피성 피부염 치료용 기능성 식품”에는, 청자소엽과 적자소엽의 물추출액과 소금을 포함하는 것이 특징인 아토피성 피부염 치료 식품에 대해 공개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아토피성 피부염에 대한 예방 및 치료를 목적으로 여러 천연물질을 이용하여 연구된 바 있으나, 감식초가 함유된 아토피성 피부염 개선용 조성물에 대해서는 현재까지 연구된 바 없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피부트러블이 생기지 않으면서 아토피성 피부질환에 대해 뛰어난 개선효과를 나타내는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감식초가 함유된 아토피성 피부질환 개선용 조성물은, 전체 조성물의 중량대비 감식초 10 ~ 40 중량%, 달맞이꽃종자유 40 ~ 80 중량%, 천연왁스 1 ~ 20 중량%, 타닌 1 ~ 10 중량%, 아스코르브산 1 ~ 10 중량%, 천연오일 0.01 ~ 0.5 중량%가 함유되어 구성된다.
본 발명의 발명자는 피부 트러블이 생성되지 않으면서, 아토피성 피부질환에 대해 뛰어난 개선효과를 가지는 조성물을 발명하기 위하여 수많은 시행착오를 겪으며 오랫동안 연구한 끝에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에 이용된 주재료인 감식초(Vinegar)는 감을 숙성시켜 만든 식초로써, 타닌과 아스코르브산(비타민 C)이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어 음식물의 산성농도를 저하시켜 보존력을 높이고, 신맛을 통해 소화액의 분비를 자극시켜 입맛을 돋우며, 인체의 에너지 대사에 관여하여 피로를 빠르게 회복시켜 주는 특징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본 발명에 이용된 또 다른 재료인 달맞이꽃종자유는 바늘꽃과의 식물에 속하는 달맞이꽃(Oenothera odorata)의 씨앗에서 얻은 유지를 의미하는 것으로써, 이 달맞이꽃 종자유에는 67.5%의 리놀레산, 7.5%의 감마리놀렌산 7.5% 그 밖의 지방산으로 이루어져 있다.
특히, 이 달맞이꽃종자유에 함유되어있는 감마리놀렌산은 일반 음식에서 섭취되는 리놀레산이 특정효소에 의해 전환되는 물질인데, 현대인들은 가공식품의 섭취, 폭식, 흡연, 과음 등의 잘못된 식습관으로 인해 전환이 원활치 못하여 생리활성작용의 균형이 깨어지고 여러 질병의 원인이 되므로 반드시 감마리놀렌산을 직접 섭취해야 한다.
이러한 달맞이꽃종자유는 여성건강과 관련된 PMS(생리전 증후군)를 완화시켜주며, 아토피성 피부습진 및 피부건강 유지해주면서, 생리 활성화 물질도 함유되어 있으며, 콜레스테롤 개선 및 혈액개선에 도움을 준다고 알려져 있다.
본 발명에서는 아토피성 피부질환에 대해 뛰어난 개선효과를 나타내는 물질을 생성하기 위해 수차례 실험한 결과, 상기와 같은 효능을 갖는 달맞이꽃종자유에 감식초를 함께 혼합하여 아토피성 피부질환에 이용할 시 높은 개선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하게 된 것이다.
이때, 감식초는 조성물 전체중량대비 10 ~ 40 중량%, 달맞이꽃종자유는 조성물 전체중량대비 40 ~ 80 중량%를 넣고 혼합할 시 경제적으로 가장 적합하면서, 아토피성 피부질환에 높은 개선효과를 나타낸다.
한편, 본 발명의 발명자는 상기와 같이 아토피성 피부질환에 대해 높은 효과 를 나타내는 감식초와 달맞이꽃종자유만을 사용하여 아토피성 피부질환에 사용할 시, 높은 개선효과는 나타내었으나, 피부트러블이 생성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이를 해소하기위해 여러 천연재료들을 가지고 수차례 연구한 결과, 천연왁스 및 천연오일, 타닌, 아스코르브산을 감식초와 달맞이꽃종자유와 함께 사용하여 조성물을 제조할 시, 피부트러블도 생성되지 않으면서 아토피성 피부질환에 대해 높은 개선효과를 나타내는 조성물을 생성할 수 있음을 알아낸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천연왁스로 밀납왁스, 카렌듈라왁스, 올리브유화왁스 중 선택된 1 종이상을 사용한다.
밀납왁스(Beeswax)은 제과점의 박리제와 피막제로 주로 쓰이는 재료로써, 꿀벌이 복부 납선에서 밀납을 분비하여 육각의 대롱모양의 배열된 집을 만드는데, 이 집안에 꽃에서 채취한 벌꿀을 저장하며, 이 벌집에 들어있는 꿀을 짜낸 다음 남은 거친 밀납을 정제한 것을 밀납왁스라고 한다.
밀납왁스는 츄잉껌 베이스의 가소제로서도 효과가 있고, 츄잉껌에 유연성이 있는 조직감을 부여하며, 광택성 및 균일한 피막을 형성하는 효과도 나타내며, 과자, 당의식품 등의 코팅제로도 사용되며, 과자에 직접 밀납을 씌우는 용도로도 사용한다고 알려져 있다.
카렌듈라 왁스(Calendula infused Wax)는 유기농 카렌듈라 꽃잎을 해바라기씨유에서 인퓨전하여 만든오일로, 손상피부회복, 상처치유능력, 보습작용, 다양한 피부질환완화 등의 효과가 있으며, 특히 아토피성 피부염에 대해 효과가 있는 것으 로 알려져 있다.
올리브유화왁스(sorbitan olivate)는 올리브오일을 에스테르화하여 만들어진 유화제로서, 보습유지에 탁월하며, 퍼짐성과 침투성이 좋은 에몰리언트(피부유연)역할을 해주는 왁스로, 알레르기를 일으키지않는 안정된 유화제로서 아토피 민감한 피부를 위한 유화제로 사용하는 것이 좋다고 알려져 있다.
타닌(tannin)은 짐승의 가죽을 무두질하는 유피작용을 가지는 수렴성(收斂性) 식물 성분을 추출하여 만든 백색 또는 담갈색의 분말형태의 화합물로써, 덜 익은 과일이나 종자에 많이 분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는 유피제로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어망용 염료나 잉크 제조, 의약품으로도 사용되고 있는 재료이다.
아스코르브산은 콜라겐합성, 항산화제로의 작용, 소장에서 철분의 흡수를 돕고 카르니틴의 생합성 및 면역기능에 관여하는 식품의 비타민 강화제로서, 분유 및 식품의 산화방지, 신선도 유지, 발색보조제, 변색방지에도 효과가 있어 과일쥬스, 과일통조림, 잼에 이용하며 맥주의 산화방지제 및 원료육의 변색방지에 주로 이용한다.
비타민 C라는 명칭도 가지고 있으며, 환원제 역할을 하고 콜라겐합성, 항산화제로의 작용, 소장에서 철분의 흡수를 돕고 카르니틴의 생합성 및 면역기능에 관여하는 것이 특징이다.
본 발명에는 상기와 같은 효능을 나타내는 천연재료들을 감식초와 달맞이꽃종자유와 함께 조성물을 제조하게 되는데, 이때 천연왁스는 조성물 전체중량대비 1 ~ 20 중량%, 타닌은 조성물 전체중량대비 1 ~ 10 중량%, 아스코르브산은 조성물 전체중량대비 1 ~ 10 중량%를 첨가하여 제조하는 것이 경제적으로 적합하며, 그 효능 또한 잘 나타낸다.
또, 본 발명에서는 천연오일도 함께 사용되는데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천연오일로는 라벤더 오일, 미강유, 캐롯오일 중 선택된 1종 이상이 사용된다.
이때, 천연오일은 전체 조성물의 중량대비 0.01 ~ 0.5 중량%를 첨가하여 사용한다.
라벤더 오일은 주성분인 리날몰의 진정작용과 항박테리아 작용을 하며, 불면증과 긴장완화뿐만 아니라, 염증, 여드름, 상처 등 피부감염치료에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미강유(쌀겨유)는 비타민E와 미네랄을 풍부하게 포함하고 있으며, 보습효과 및 미백효과가 뛰어나다고 알려져 있다.
캐롯오일은 오렌지색을 뛰며 베타카로틴과 비타민A, B, C, D, E 그리고 지방산을 함유해 활력 작용과 노화 방지 작용을 한다고 알려져 있다.
상기와 같이 자극이 거의 없는 천연물질만을 이용하기 때문에 피부에 사용할 시 일어날 수 있는 가려움증 등 피부 트러블을 완화시킬 수 있으면서, 아토피성 피부질환에도 뛰어난 개선효과를 나타낸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상기와 같이 뛰어난 아토피성 피부염 개선용 조성물을 식품첨가제, 음료조성물에 매우 유용하게 이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의해, 피부트러블이 생기지 않으면서, 아토피성 피부질환에 대해 뛰어난 개선효과를 나타내는 조성물이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의 감식초가 함유된 아토피성 피부질환 개선용 조성물에 대하여 실시예 및 실험예를 통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나, 이들이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본 발명의 감식초가 함유된 아토피성 피부질환 개선용 조성물 제조 1
감식초, 달맞이꽃종자유, 밀납왁스, 카렌듈라왁스, 올리브유화왁스, 타닌, 아스코르브산, 라벤더오일을 시중에서 각각 구입하였다.
준비한 재료들 중 감식초 25 g, 달맞이꽃종자유 50 g, 밀납왁스 2 g, 카렌듈라왁스 2 g, 올리브유화왁스 2 g, 타닌 9.25 g, 아스코르브산 9.25 g, 라벤더오일 0.5 g을 혼합하여 아토피성 피부질환 개선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실시예 4> 본 발명의 감식초가 함유된 아토피성 피부질환 개선용 조성물 제조 4
감식초, 달맞이꽃종자유, 밀납왁스, 카렌듈라왁스, 올리브유화왁스, 타닌, 아스코르브산, 라벤더오일, 라벤더오일, 미강류, 캐롯오일을 시중에서 각각 구입하였다.
준비한 재료들 중 감식초 10 g, 달맞이꽃종자유 65 g, 밀납왁스 2 g, 카렌듈라왁스 2 g 올리브유화왁스 2 g, 타닌 9.25 g, 아스코르브산 9.25 g, 라벤더오일 0.2 g, 미강류 0.1 g, 캐롯오일 0.1 g을 혼합하여 아토피성 피부질환 개선용 조성 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5> 본 발명의 아토피성 피부질환 개선용 조성물을 이용한 캅셀제의 제조
실시예 1의 아토피성 피부질환 개선용 조성물 300 mg
결정성 셀룰로오스 3 mg
락토오스 14.8 mg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0.2 mg
통상의 캅셀제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하고 젤라틴 캡슐에 충전하여 캅셀제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6> 본 발명의 아토피성 피부질환 개선용 조성물을 이용한 액제의 제조
실시예 1의 아토피성 피부질환 개선용 조성물 300 mg
이성화당 10 g
만니톨 5 g
정제수 적량
통상의 액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정제수에 각각의 성분을 가하여 용해시키고 레몬향을 적량 가한 다음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를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 100 ㎖로 조절한 후 갈색 병에 충진하여 멸균시켜 액제를 제조하 였다.
<실시예 7> 본 발명의 아토피성 피부질환 개선용 조성물을 이용한 건강 식품의 제조
실시예 1의 아토피성 피부질환 개선용 조성물 1000 mg
비타민 혼합물 적량
비타민 A 아세테이트 70 ㎍
비타민 E 1.0 ㎎
비타민 B1 0.13 ㎎
비타민 B2 0.15 ㎎
비타민 B6 0.5 ㎎
비타민 B12 0.2 ㎍
비타민 C 10 ㎎
비오틴 10 ㎍
니코틴산아미드 1.7 ㎎
엽산 50 ㎍
판토텐산 칼슘 0.5 ㎎
무기질 혼합물 적량
황산제1철 1.75 ㎎
산화아연 0.82 ㎎
탄산마그네슘 25.3 ㎎
제1인산칼륨 15 ㎎
제2인산칼슘 55 ㎎
구연산칼륨 90 ㎎
탄산칼슘 100 ㎎
염화마그네슘 24.8 ㎎
상기의 비타민 및 미네랄 혼합물의 조성비는 비교적 건강식품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며, 통상의 건강식품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과립을 제조하고, 통상의 방법에 따라 건강식품 조성물 제조하였다.
<실시예 8> 본 발명의 아토피성 피부질환 개선용 조성물을 이용한 건강음료의 제조
실시예 1의 아토피성 피부질환 개선용 조성물 1000 ㎎
구연산 1000 ㎎
올리고당 100 g
매실농축액 2 g
타우린 1 g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 900 ㎖
통상의 건강음료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약 1 시간동 안 85 ℃에서 교반 가열한 후, 만들어진 용액을 여과하여 멸균된 2 ℓ 용기에 취득하여 밀봉, 멸균한 뒤 냉장 보관한 다음 본 발명의 건강음료 조성물 제조하였다.
상기 조성비는 비교적 기호음료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수요계층이나, 수요국가, 사용용도 등 지역적, 민족적 기호도에 따라서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다.
<비교예 1> 아토피성 피부질환용 조성물1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제조하되, 감식초를 첨가하지 않고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즉, 달맞이꽃종자유 75 g, 밀납왁스 2 g, 카렌듈라왁스 2 g, 올리브유화왁스 g, 타닌 9.25 g, 아스코르브산 9.25 g, 라벤더오일 0.5 g을 혼합하여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 아토피성 피부질환용 조성물2
감식초 25 g과 달맞이꽃종자유 75 g만을 혼합하여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1> 피부상태 변화측정 실험
본 발명의 실시예 1,4와 비교예 1,2의 조성물들을 준비하였다.
아토피성 피부염을 60 %정도 앓고 있는 사람 40 명씩을 대상으로 본 발명인 실시예 1 내지 4의 조성물 및 비교예 1 내지 2의 조성물을 매일 10 g씩 3 회, 아토 피성 피부염 부위에 발랐다.
1 개월 후, 아토피 피부 개선정도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를 아래의 표 1에 나타내었다.
기간 실시예 1 실시예 4 비교예 1 비교예 2
0 일 0 % 0 % 0 % 0 %
1주 후 25 % 31 % 6 % 20 %
2주 후 44 % 55 % 10 % 45 %
4주 후 80 % 85 % 40 % 80 %
피부트러블 생성안함 생성안함 생성안함 생성
상기 표 1에 나타나 있듯이, 본 발명인 실시예 1 내지 4의 조성물을 바른 지 일주일 정도가 지나면 아토피 피부염 부위가 서서히 사라짐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었으며, 피부트러블도 생성되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도 1,2).
4 주가 지나면 본 발명의 조성물을 바른 사람한테는 모두 80 % 이상의 아토피 피부염증에 대해 개선효과를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비교예 1의 조성물을 바른 사람들은 40 % 정도밖에 개선효과를 얻지못하였으며, 비교예 2의 조성물에는 개선효과는 높게 나타났으나 따갑고, 피부트러블이 생성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1은 본 발명인 실시예 1의 조성물을 1 주간 바른 후 아토피성 피부질환의 상태를 나타낸 사진.
A : 바르기 전 팔부분
B : 1 주간 바른 후 팔부분
도 2는 본 발명인 실시예 1의 조성물을 4 주간 바른 후 아토피성 피부질환의 상태를 나타낸 사진.
A : 바르기 전 다리부분
B : 2 주간 바른후 다리 부분
C : 4 주간 바른후 다리 부분

Claims (3)

  1. 전체 조성물의 중량대비 감식초 10 ~ 40 중량%, 달맞이꽃종자유 40 ~ 80 중량%, 천연왁스 1 ~ 20 중량%, 타닌 1 ~ 10 중량%, 아스코르브산 1 ~ 10 중량%, 천연오일 0.01 ~ 0.5 중량%가 함유되어 구성된 조성물로서,
    아토피성 피부염 부위에 바르는 아토피성 피부질환 치료용 약학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천연왁스는 밀납왁스, 카렌듈라왁스, 올리브유화왁스 중 선택된 1 종 이상으로 구성된 것이 특징인,
    아토피성 피부염 부위에 바르는 아토피성 피부질환 치료용 약학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천연오일은 라벤다 오일, 미강유, 캐롯오일 중 선택된 1 종 이상으로 구성된 것이 특징인,
    아토피성 피부염 부위에 바르는 아토피성 피부질환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1020080068864A 2008-07-16 2008-07-16 감식초가 함유된 아토피성 피부질환 개선용 조성물 KR1010105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8864A KR101010575B1 (ko) 2008-07-16 2008-07-16 감식초가 함유된 아토피성 피부질환 개선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8864A KR101010575B1 (ko) 2008-07-16 2008-07-16 감식초가 함유된 아토피성 피부질환 개선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8400A KR20100008400A (ko) 2010-01-26
KR101010575B1 true KR101010575B1 (ko) 2011-01-24

Family

ID=418170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68864A KR101010575B1 (ko) 2008-07-16 2008-07-16 감식초가 함유된 아토피성 피부질환 개선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1057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212078A1 (ko) * 2018-05-03 2019-11-07 Lee Yun Hee 피부 보습 및 아토피성 피부용 화장료 조성물
KR20200013946A (ko) 2018-07-31 2020-02-10 씨앤에스(주) 감을 이용하여 항산화 효능을 갖는 저산도 초산 발효음료를 제조하는 방법 및 항산화 효능을 갖는 저산도 초산 발효음료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8115270B4 (de) 2018-06-26 2022-07-14 Vinederm GmbH Zubereitung als Gel und Pflaster zur topischen Behandlung von Haut- und/oder Nagelerkrankung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92440A (ja) 2002-03-29 2003-10-15 Tomoji Oikawa アトピー性皮フ炎の治療薬
WO2006085302A2 (en) 2005-02-08 2006-08-17 Bmz Diagnosis (2004) Ltd. Composition for treatment of skin disorders
JP2006282650A (ja) 2005-03-31 2006-10-19 Sunstar Inc 皮膚化粧料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92440A (ja) 2002-03-29 2003-10-15 Tomoji Oikawa アトピー性皮フ炎の治療薬
WO2006085302A2 (en) 2005-02-08 2006-08-17 Bmz Diagnosis (2004) Ltd. Composition for treatment of skin disorders
JP2006282650A (ja) 2005-03-31 2006-10-19 Sunstar Inc 皮膚化粧料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논문:대한피부과학회 초록집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212078A1 (ko) * 2018-05-03 2019-11-07 Lee Yun Hee 피부 보습 및 아토피성 피부용 화장료 조성물
KR20200013946A (ko) 2018-07-31 2020-02-10 씨앤에스(주) 감을 이용하여 항산화 효능을 갖는 저산도 초산 발효음료를 제조하는 방법 및 항산화 효능을 갖는 저산도 초산 발효음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8400A (ko) 2010-0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27208B2 (en) Antioxidant dietary supplement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maintaining healthy skin
US20090110674A1 (en) Health supplement
US20050266018A1 (en) Nutraceutical compositions with mangosteen
US20070292493A1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and method for the transdermal delivery of calcium
MXPA06012501A (es) Composicion nutricional que promueve la perdida de peso, quema calorias, aumenta la termogenesis, sustenta el metabolismo de la energia y/o suprime el apetito.
US20090269424A1 (en) Peripheral blood flow-improving composition
KR101010575B1 (ko) 감식초가 함유된 아토피성 피부질환 개선용 조성물
RU2178660C2 (ru) Лечебно-оздоровительная биологически активная добавка к пище &#34;милона&#34; и способ ее получения
Saad Greco-Arab and Islamic diet therapy: Tradition, research and practice
CN105249440A (zh) 一种阿胶糕
KR20150083638A (ko) 성장촉진 조성물
CN102763845A (zh) 一种沙棘油蜂胶软胶囊
KR101227063B1 (ko) 혈액순환 개선용 식품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90012943A (ko) 구강작열감 증후군과 구내염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KR101695299B1 (ko) 필발 추출물, 이소플라본을 함유하는 대두 추출물 및 l-카르니틴을 함유하는 비만 또는 고지혈증 예방용 또는 개선용 조성물
JP2002238496A (ja) 医療保健食品
JP6698034B2 (ja) 冷え症等の全身症状改善用経口組成物
CN109954052A (zh) 一种具有抗氧化活性的组合物
KR20010079227A (ko) 키토산과 비타민을 이용한 건강보조식품 제조방법
KR102465347B1 (ko) 구절초 잎줄기 열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증 조성물
RU2765266C1 (ru) Состав для производства натуральной леденцовой карамели
RU2270583C2 (ru) Биологически активная добавка к пище для профилактики нарушений и коррекции зрения
KR20030087762A (ko) 여성의 활력 증진을 위한 건강보조식품 및 그 조성물
RU2625677C1 (ru) Функциональная питьевая вода
US20220168374A1 (en) Food supplement composition with functional actives in the form of a lipstic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8071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007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01124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00726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PJ0201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Patent event date: 20101208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code: PJ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01124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J02011S01I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Decision date: 20110112

Appeal identifier: 2010101009441

Request date: 20101208

AMND Amendment
PB0901 Examination by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101229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01208

Patent event code: PB09011R01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100917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B701 Decision to grant
PB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Patent event date: 20110112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B07012S01D

Patent event date: 20110110

Comment text: Transfer of Trial File fo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Patent event code: PB07011S01I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1011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1011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15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11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4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11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8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11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7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117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5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105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31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1231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4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114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1229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112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1220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1209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