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07878B1 - Block type flat sheet module - Google Patents
Block type flat sheet modul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007878B1 KR101007878B1 KR1020100066256A KR20100066256A KR101007878B1 KR 101007878 B1 KR101007878 B1 KR 101007878B1 KR 1020100066256 A KR1020100066256 A KR 1020100066256A KR 20100066256 A KR20100066256 A KR 20100066256A KR 101007878 B1 KR101007878 B1 KR 10100787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ilter medium
- water
- membrane
- housing
- pai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39000012528 membran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5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5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2
- 238000005086 pump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9
- 239000011148 porous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9
- 229920000122 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02844 melt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0000008018 melt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04078 waterproof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04927 fusion Effects 0.000 claims 1
- 230000002787 reinforcement Effects 0.000 claims 1
- 230000010354 integration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38000011001 backwas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9000010865 sewag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0746 pur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3795 chemical substances by applica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7500 overflow downdraw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
- -1 polytetrafluoroeth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229920001343 polytetrafluoroeth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4810 polytetrafluoroeth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QQONPFPTGQHPMA-UHFFFAOYSA-N propylene Natural products CC=C QQONPFPTGQHPMA-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YCKRFDGAMUMZLT-UHFFFAOYSA-N Fluorine atom Chemical compound [F] YCKRFDGAMUMZL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033 PVDF bind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952 Polyam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2301 cellulose acet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5000020188 drinking water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651 drinking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31 fluorin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737 fluori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3023 plastic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033 plast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2492 poly(sulfon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2647 polyam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2981 polyvinylidene fluor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8213 purified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940 repellen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5871 repell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OKTJSMMVPCPJKN-UHFFFAOYSA-N Carbon Chemical compound [C] OKTJSMMVPCPJK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698 Polyeth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743 Polyprop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XECAHXYUAAWDEL-UHFFFAOYSA-N 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Chemical compound C=CC=C.C=CC#N.C=CC1=CC=CC=C1 XECAHXYUAAWDEL-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676 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99 carb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1875 compoun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622 drink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30 finish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667 floa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654 immer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13 ins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55 mel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245 partic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573 polyeth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155 polyprop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203 pre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125000004805 propylene group Chemical group [H]C([H])([H])C([H])([*:1])C([H])([H])[*:2] 0.000 description 1
- 229920005989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347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223 reverse osmosi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565 seal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961 swel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399 tap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0679 tap water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065 wastewater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3/00—Apparatus in general for separation processes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 B01D63/08—Flat membrane modules
- B01D63/082—Flat membrane modules comprising a stack of flat membranes
- B01D63/0821—Membrane plate arrangements for submerged operat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13/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modules or apparatus
- B01D2313/06—External membrane module supporting or fixing mea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13/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modules or apparatus
- B01D2313/14—Specific spacers
- B01D2313/146—Specific spacers on the permeate sid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13/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modules or apparatus
- B01D2313/20—Specific housing
- B01D2313/205—Specific housing characterised by the shap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블록형 평막모듈에 관한 것으로, 한 쌍의 멤브레인과 상기 한 쌍의 멤브레인 사이에 접합되며, 상기 멤브레인을 통해 여과된 물의 유로 기능을 수행하도록 내부에 다수의 기공이 형성된 내부재를 구비하고, 다수가 상하 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열되는 여과재 및 박스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다수의 여과재 양측에 장착되고, 박스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다수의 여과재 양측에 장착되고, 펌프의 펌핑 압력에 의해 오염된 물을 상기 여과재를 통해 강제적으로 여과한 후 외부로 배출하는 한 쌍의 하우징을 포함하는 구성을 마련한다.
상기와 같은 블록형 평막모듈을 이용하는 것에 의해, 한 쌍의 멤브레인 사이에 내부재를 접합하여 여과재를 제작하므로, 여과재의 두께를 감소시키고 변형을 방지할 수 있고, 다수의 여과재를 일정 간격으로 집적시킴으로써 블록형 평막모듈에 적용되는 여과재의 집적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lock-type flat membrane module, and is bonded between a pair of membranes and the pair of membranes, and includes an inner material having a plurality of pores formed therein to perform a flow path function of water filtered through the membrane. A plurality of filters are formed in a box shape and arranged side by side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mounted on both sides of the plurality of filter media, and are formed in a box shape and mounted on both sides of the plurality of filter media and contaminated by pumping pressure of a pump. It provides a configuration comprising a pair of housings forcibly filtered through the filter medium and discharged to the outside.
By using the block-type flat membrane module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inner material is bonded between a pair of membranes to produce a filter material,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thickness of the filter medium and to prevent deformation, and to integrate a plurality of filter media at regular intervals.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degree of integration of the filter medium applied to the block-type flat membrane module.
Description
본 발명은 평막모듈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하수처리, 오수처리, 폐수처리, 정수처리, 역삼투(Reverse Osmosis) 장치의 전처리 및 후처리에 사용되는 멤브레인 필터를 적용한 블록형 평막모듈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lat membrane module, and more particularly, to a block-type flat membrane module to which a membrane filter used for pre-treatment and post-treatment of sewage treatment, sewage treatment, wastewater treatment, water purification treatment, reverse osmosis apparatus is applied. will be.
일반적으로 정수(淨水)는 혼탁한 물은 자정작용 또는 대지의 정화작용, 그 밖의 인위적 처리를 통해 음용(飮用), 공업용 또는 농업용 등의 용도에 맞도록 처리(정화)하는 과정을 말한다.In general, purified water refers to a process in which turbid water is treated (purified) for drinking, industrial, or agricultural use through self-cleaning or purification of the earth, and other artificial treatment.
예를 들어, 상수도는 믿고 마실 수 있는 물을 수도 파이프를 통하여 공급하는 시스템을 말하는 데, 수도 파이프를 통하여 최종적으로 사용자에게 공급되는 식수는 수질기준에 적합하게 정수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목표수질에 근접한 양질의 원수(原水)를 얻을 수 있는 경우에는 간단한 정수처리로 충분하겠지만, 도시나 공장 또는 농지를 많이 끼고 있는 대하천의 하류부에서는 정수처리가 쉽지않아 별도의 정수시설을 마련해야만 한다. For example, tap water refers to a system for supplying reliable drinking water through a water pipe, and the drinking water finally supplied to the user through the water pipe must be purified according to water quality standards. Therefore, if it is possible to obtain high quality raw water close to the target water quality, simple water treatment may be sufficient. However, water purification is not easy in the downstream part of a large river, which has many cities, factories, or farmland. Should be.
이러한 정수장치의 일 예가 대한민국 특허등록번호 제10-372829호(2003년 2월 6일자 등록, 이하 '특허문헌 1'이라 함) 등에 개시되어 있다. An example of such a water purifier is disclosed in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372829 (registered on February 6, 2003, hereinafter referred to as 'Patent Document 1').
도 1은 상기의 특허문헌 1에 따른 정수장치의 평면도이고, 도 2a 및 도 2b는 도 1에 도시된 정수장치에 포함된 여과장치의 작용을 예시한 사시도이다. 1 is a plan view of the water purifying apparatus according to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특허문헌 1에 따른 정수장치는 부유물이 함유된 오수를 고압 또는 저압으로 펌핑하는 공급펌프(1), 공급펌프(1)에 의해 펌핑된 오수의 부유물 입자를 포집하는 3개의 필터부(3; 3a, 3b, 3c), 필터부(3)에 의해 여과된 물을 정수파이프(4)를 통해 공급받아 순수한 물과 용해성 물질만을 통과시켜 여과하는 여과장치(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Referring to FIG. 1, the water purifying apparatus according to
이때, 여과장치(5)는 제 1 및 제 2멤브레인(5a, 5b)을 구비하고, 순수한 물과 용해성 물질만을 통과시켜 여과하고, 여과된 물을 환원파이프(6)를 통해 용수탱크(7)에 저장하도록 공급한다. At this time, the
그리고 종래의 정수장치에는 정회전시 용수탱크(7)에서 최종적으로 세정된 물을 배출파이프(7a)를 통하여 외부로 펌핑하고, 역회전시 역공급 파이프(8)를 통하여 용수탱크(7)의 순수한 물을 제 1 및 제 2멤브레인(5a, 5b)에 공급하여 역세척시키는 토출/역세척 펌프(9)가 더 구비된다. In the conventional water purifier, the water finally washed in the
하지만, 상기한 바와 같은 정수장치에 적용되는 특허문헌 1에 따른 여과장치는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막(Flate Membrane)을 사용함에 따라 제 1 및 제 2멤브레인(5a, 5b)이 쉽게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However, in the filtration device according to
즉, 제 1 및 제 2멤브레인(5a, 5b)이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높은 수압에 의해 호리병 형상으로 부풀게 되므로 일부분이 파손될 우려가 있다.That is, since the first and
그리고 특허문헌 1에 따른 여과장치(5)는 여과시 제 1 및 제 2멤브레인(5a, 5b)이 호리병 형상으로 변형됨에 따라 여과되는 부위가 부분적으로 치중되므로, 여과가 제대로 수행되지 못하는 사각지대, 즉 데드 스페이스(dead space)가 발생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And the
아울러 역세척시에는 제 1 및 제 2멤브레인(5a, 5b)이 상호 달라붙어 역세척이 제대로 수행되지 못하는 문제점도 있었다.In addition, when backwashing, the first and
결과적으로, 특허문헌 1에 따른 여과장치는 멤브레인(5a, 5b)이 부풀어오르는 것을 감안해서 각 멤브레인(5a, 5b)의 설치간격을 증가시켜만 했기 때문에, 집적도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As a result, the filtration apparatus according to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여과 과정 및 역세척 과정에서 여과재의 변형 및 파손을 방지하는 블록형 평막모듈을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lock-type flat membrane module that prevents deformation and breakage of the filter medium in the filtration process and backwashing process.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다수의 여과재를 장착하여 블록형 평막모듈의 집적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블록형 평막모듈을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lock-type flat membrane module capable of improving the integration degree of the block-type flat membrane module by mounting a plurality of filter media.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한 쌍의 멤브레인과 상기 한 쌍의 멤브레인 사이에 접합되며, 상기 멤브레인을 통해 여과된 물의 유로 기능을 수행하도록 내부에 다수의 기공이 형성된 내부재를 구비하고, 다수가 상하 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열되는 여과재 및 박스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다수의 여과재 양측에 장착되고, 펌프의 펌핑 압력에 의해 오염된 물을 상기 여과재를 통해 강제적으로 여과한 후 외부로 배출하는 한 쌍의 하우징을 포함한다.According to a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object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bonded between a pair of membranes and the pair of membranes, a plurality of interior therein to perform the function of the flow path of water filtered through the membrane It is provided with an inner material having pores, and formed in a box shape with a plurality of filter media arranged side by side in the vertical direction, mounted on both sides of the plurality of filter media, forcibly water contaminated by the pumping pressure of the pump through the filter media It includes a pair of housings that are filtered and discharged to the outside.
상기 여과재는 상기 여과재의 외곽에 결합되는 마감부재에 의해 마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ilter medium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inished by a closing member coupled to the outside of the filter medium.
상기 마감부재는 에이비에스 수지 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여과재의 상부 및 하부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inishing member is formed of an ABS resin material, characterized in that coupled to the top and bottom of the filter medium.
상기 마감부재는 상기 접합된 멤브레인 및 내부재를 억지끼움 결합하도록 일측이 개구된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inishing member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one side is formed in a shape that is open to forcibly couple the bonded membrane and the inner material.
상기 내부재는 열 융착 방식 또는 접착 방식으로 상기 한 쌍의 멤브레인 사이에 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inner material is bonded between the pair of membranes by a heat fusion method or an adhesive method.
상기 하우징은 일측에 상기 여과재가 장착되도록 관통되어 형성되는 다수의 장착공, 상기 장착공과 연통되게 형성되는 저장공간, 상기 하우징의 일면에 상기 저장공간과 연통되게 형성되는 배출공 및 상기 저장공간에 저장된 물을 외부로 배출하도록 상기 배출공에 결합되는 배출 파이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housing has a plurality of mounting holes formed to be penetrated so that the filter medium is mounted on one side, a storage space formed in communication with the mounting hole, a discharge hole formed in communication with the storage space on one surface of the housing and stored in the storage space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discharge pipe coupled to the discharge hole to discharge the water to the outside.
상기 여과재와 하우징은 상기 여과재가 하우징에 장착된 이후에 접착제 및 방수재를 이용하여 상기 하우징에 실링 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ilter medium and the housing may be sealed to the housing using an adhesive and a waterproofing material after the filter medium is mounted to the housing.
상기 배출 파이프에는 상기 펌프의 펌핑 압력에 의해 외부로 배출되는 물의 압력을 측정하여 표시하는 압력계와 상기 배출 파이프를 통해 배출되는 물을 개폐하는 밸브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discharge pipe is characterized in that a pressure gauge for measuring and displaying the pressure of the water discharged to the outside by the pumping pressure of the pump and a valve for opening and closing the water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pipe.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한 쌍의 멤브레인과 상기 한 쌍의 멤브레인 사이에 접합되며, 상기 멤브레인을 통해 여과된 물의 유로 기능을 수행하도록 내부에 다수의 기공이 형성된 내부재를 구비하는 여과재 및 상기 여과재의 외곽에 결합되고, 펌프의 펌핑 압력에 의해 오염된 물을 상기 여과재를 통해 강제적으로 여과한 후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 파이프에 전달하는 한 쌍의 전달공을 구비한 마감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마감부재는 에이비에스 수지 재질로 형성되며, 직사각형틀을 이루도록 두 쌍으로 구비되어 상기 여과재의 상부, 하부, 좌측부 및 우측부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invention, the invention is bonded between a pair of membranes and the pair of membranes, the inner material having a plurality of pores formed therein to perform the function of the flow path of water filtered through the membrane And a finishing member coupled to the filter medium and the outer periphery of the filter medium and having a pair of transfer holes for forcibly filtering the water contaminated by the pumping pressure of the pump through the filter medium and then delivering the discharge pipe to the discharge pipe. And, the finishing member is formed of ABS resin material, it is provided in two pairs to form a rectangular frame is characterized in that coupled to the upper, lower, left and right parts of the filter medium.
상기 마감부재는 상기 접합된 멤브레인 및 내부재를 억지끼움 결합하도록 일측이 개구된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여과재에 결합된 상태에서 실링 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inishing member is formed in a shape in which one side is opened to forcibly couple the bonded membrane and the inner material, and is sealed in a state in which it is coupled to the filter medium.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한 쌍의 멤브레인 사이에 내부재를 접합하여 여과재를 제작하므로, 여과재의 두께를 감소시키고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to bond the inner material between a pair of membranes to produce a filter medium,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thickness of the filter medium and to prevent deformation.
그리고 본 발명은 다수의 여과재를 일정 간격으로 집적시킴으로써 블록형 평막모듈에 적용되는 여과재의 집적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may improve the degree of integration of the filter medium applied to the block-type flat membrane module by integrating a plurality of filter media at regular intervals.
또한 본 발명은 여과 과정 및 역세척 과정에서 여과재의 변형이 발생되지 않기 때문에, 여과재의 변형으로 인해 여과되는 부위가 치중되어 여과가 제대로 수행되지 않는 데드 스페이스를 제거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deformation of the filter medium does not occur in the filtration process and the backwashing process, the dead space in which the filtration is not performed properly and the filtration is not carried out can be removed.
또한 본 발명은 역세척수를 이용한 역세척 과정 대신에 고압의 공기를 공급하여 여과재의 표면에 고착된 부유물 찌꺼기를 용이하게 제거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asily removed from the suspended matter stuck to the surface of the filter medium by supplying a high-pressure air instead of the backwash process using the backwash water.
도 1은 종래의 정수장치의 평면도.
도 2a 및 도 2b는 도 1에 도시된 정수장치에 포함된 여과장치의 작용을 예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1실시 예에 따른 블록형 평막모듈의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여과재와 하우징의 분리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1실시 예에 따른 블록형 평막모듈의 여과 동작을 설명하는 동작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2실시 예에 따른 블록형 평막모듈의 구성도.1 is a plan view of a conventional water purifier.
Figures 2a and 2b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operation of the filtration device included in the water purifier shown in FIG.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block-type flat membrane modul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filter medium and the housing shown in FIG. 3.
5 is an operational state diagram illustrating the filtration operation of the block-type flat membrane modul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block diagram of a block-type flat membrane modul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블록형 평막모듈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a block-type flat membrane modul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3은 본 발명의 제 1실시 예에 따른 블록형 평막모듈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여과재와 하우징의 분리사시도이다.3 is a perspective view of a block-type flat membrane modul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filter medium and the housing shown in FIG.
본 실시 예에서는 여과하고자 물을 구분하지 않고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상수를 여과하는 정수장치와 하수처리장의 하수를 여과하는 하수 처리장치에 모두 적용될 수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it is described without distinguishing water to be filtered, but it should be noted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both a water purification device for filtering constants and a sewage treatment device for filtering sewage in a sewage treatment plant.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실시 예에 따른 블록형 평막모듈(10)은 정수하고자 하는 대상인 오염된 물을 여과하는 다수의 여과재(20) 및 다수의 여과재(20) 양측에 결합되고, 펌프(40)의 펌핑 압력을 이용해 강제적으로 다수의 여과재(20)를 통해 여과된 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한 쌍의 하우징(30)을 포함한다. As shown in FIG. 3, the block-type
여과재(2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멤브레인(21)과 한 쌍의 멤브레인(21) 사이에 접합되는 내부재(22)를 포함하고, 접합된 멤브레인(21)과 내부재(22)의 외곽은 마감부재(23)에 의해 마감처리되며, 내부재(22)의 양측면은 멤브레인(21)을 통해 여과된 물을 하우징(30)에 전달하는 전달공(24) 역할을 수행한다.As shown in FIG. 4, the
멤브레인(21)은 표면 여과 기능을 수행하는 불소계 수지 중에서 불소와 탄소의 강력한 화학적 결합으로 인해 매우 안정된 화합물인 폴리테트라플루오르에틸렌(polytetrafluoroethylene, 이하 'PTFE'라 함) 멤브레인이나 폴리아미드(PA), 폴리프로필렌(PP),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PVDF), 폴리술폰(PSF), 셀룰로스 아세테이드(CA) 계의 멤브레인을 사용한다. 그 중에서, 상기 PTFE 멤브레인은 거의 완벽한 화학적 비활성, 내열성, 비점착성, 우수한 절연 안정성 및 낮은 마찰계수 등의 특성을 가진다.
멤브레인(21)의 공경(pore size)은 블록형 평막모듈(10)가 적용되는 정수장치의 특성에 따라 수십 ㎛ 내지 0.001 ㎛ 사이의 크기를 갖으며, 멤브레인(21)의 두께는 약 10㎛인 것이 바람직하다. The pore size of the
내부재(22)는 내부의 기공을 통해 멤브레인(21)을 통과하여 여과된 물을 하우징(30)으로 이동시키는 유로 기능과 함께, 여과재(20)의 형상을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지지하는 지지부재의 기능을 한다.The
이를 위하여, 내부재(22)는 플라스틱(Plastic)이나 발포성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또는 발포성 폴리에틸렌(PolyEthylene)과 같은 합성수지 재질로 제작되며, 내부에 다수의 기공이 형성된다. 예컨대, 내부재(22)의 두께는 3 내지 6mm이며, 특히 약 5mm인 것이 바람직하다.To this end, the
내부재(22)의 전면 및 후면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멤브레인(21)에 의해 감싸진다. 내부재(22)의 융점은 약 160℃로 멤브레인(21)의 융점, 약 260℃보다 낮기 때문에, 내부재(22)는 160℃ 이상으로 가열되면 표면이 녹으면서 멤브레인(21)에 융착(lamination)된다.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본 실시 예에서 내부재(22)는 열 융착 방식에 의해 멤브레인(21)에 접합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은 내부재(22)의 외면 또는/및 멤브레인(21)의 내면에 도트 형태 또는 망 형태로 접착제를 도포하여 접착하는 방식에 의해 멤브레인(21)과 내부재(22)를 접합할 수도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한 쌍의 멤브레인(21)과 그 내부에 내부재(22)를 접합시켜 제작된 여과재(20)는 얇은 판 형상으로 형성된다. The
마감부재(23)는 에이비에스 수지(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copolymer, 이하 'ABS 수지'라 함) 재질을 이용하여 일측에 여과재(20)가 끼워지도록 단면이 'ㄷ'자 형상으로 개구되어 길게 연장된 형상으로 사출 성형된다. The closing
즉, 직사각형틀을 이루는 마감부재(23) 두 쌍의 개구된 부분에 각각 한 쌍의 멤브레인(21)과 그 사이에 내부재(22)를 접합하여 제작된 여과재(20)의 상부 및 하부가 억지끼움 결합된다. That is,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한편, 마감부재(23)에 여과재(20)를 결합한 상태에서 마감부재(23)와 여과재(20) 사이 및 각 마감부재(23)가 서로 접촉하는 틈은 오염된 물이 여과재(20)와 마감부재(23) 사이의 틈을 통해 하우징(30)으로 직접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접착제, 방수제, 발수제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실링(sealing) 처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On the other hand, in the state in which the
본 실시 예에서 내부재(22)의 양측면은 마감부재(23)를 이용한 마감처리를 하지 않고 개방된 상태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내부재(22)의 양측면 전체가 멤브레인(21) 및 내부재(22)를 통해 여과된 물을 하우징(30)으로 전달하는 전달공(24) 기능을 수행하여 여과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both side surfaces of the
하지만,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은 여과재(20)의 양측면에도 마감부재(23)를 억지끼움 결합시키고, 여과재(20)의 양측에 결합된 마감부재(23)에 전달공(24)을 관통되게 형성하도록 변경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여과재(20)의 양측면에 결합된 마감부재(23)의 전달공(24)을 이용하여 여과재(20)을 통해 여과된 물을 하우징(30)으로 전달할 수 있다.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odified so as to forcibly couple the finishing
하우징(3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여과재(20) 양측에 결합되도록 플라스틱(plastic) 재질을 이용하여 박스 형상으로 형성된 한 쌍으로 구비된다. As shown in FIG. 4, the
상세하게 설명하면, 하우징(30)은 일측에 다수의 여과재(20)가 장착되는 다수의 장착공(31), 장착공(31)과 연통되게 형성되어 여과재(20)의 전달공(24)을 통해 전달되는 물을 저장하는 저장공간(32) 및 저장공간(32)에 저장된 물을 외부로 배출하도록 관통되어 형성되는 배출공(33)을 구비한다. In detail, the
장착공(31)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과재(20)가 장착될 수 있도록 상하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형성되며, 여과재(20)가 장착된 이후에 여과재(20)와 장착공(31) 사이의 틈을 통해 오염된 물이 저장공간(32)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접착제, 방수제, 발수제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실링 처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As shown in FIG. 4, the mounting
본 발명은 블록형 평막모듈(10)을 적용하고자 하는 정수장치의 설치조건에 따라 장착공(31)의 크기 및 장착공(31)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고, 장착공(31)을 좌우 방향으로 길게 연장시켜 형성하도록 변경될 수도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can adjust the size of the mounting
배출공(33)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하우징(30) 전면 상부에 저장공간(32)과 연통되게 형성되며, 배출공(33)에는 배출 파이프(34)가 결합된다. As shown in FIG. 4, the
배출 파이프(34)는 블록형 평막모듈(10)이 적용되는 조건에 따라 고무 재질의 호스, 금속 재질의 파이프, 또는 이들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The
펌프(40)는 외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내부에 구비된 모터를 구동시켜 배출 파이프(34)를 통해 하우징(30)의 저장공간(32)에 저장된 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펌핑 압력을 발생한다. The
즉, 펌프(40)는 저장공간(32)에 저장된 물을 외부로 펌핑하는 압력을 발생함으로써, 수조의 오염된 물이 펌핑 압력에 의해 강제적으로 여과재(20)를 통해 여과되게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That is, the
그리고 하우징(30)의 배출공(33)과 펌프(40) 사이의 배출 파이프(34)에는 펌프(40)에서 발생된 펌핑 압력에 의해 물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압력을 측정하여 표시하는 압력계(41)와 배출 파이프를 통해 배출되는 물의 양을 조절하도록 개폐되는 밸브(42)가 설치된다. The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압력계(41)에 표시된 압력에 따라 펌프(40)의 펌핑 동작을 제어하여 여과재(20)의 여과 성능을 조절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can control the filtration performance of the
다음, 본 발명의 제 1실시 예에 따른 블록형 평막모듈의 결합관계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Next, the coupling relationship of the block-type flat membrane modul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먼저, 도 4를 참조하여 여과재(20)와 하우징(30)의 결합관계를 설명한다. First, the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the
한 쌍의 멤브레인(21)으로 내부재(22)의 전면 및 후면을 감싸 열 융착 방식으로 접합하여 여과재(20)를 제작한다. The
이어서 제작된 여과재(20)의 상부, 하부, 우측부 및 좌측부를 ABS 수지 재질의 마감부재(23)에 결합시켜 마감처리를 한다. 이때, 마감부재(23)는 일측에 여과재(20)가 끼워지도록 단면이 'ㄷ'자 형상으로 개구되어 길게 연장된 형상으로 형성되고, 멤브레인(21)과 내부재(22)를 접합하여 제작된 여과재(20)를 마감부재(23)의 개구된 부분에 억지끼움 결합한다. 그리고 오염된 물이 마감부재(23)와 여과재(20) 사이의 틈을 통해 여과재(20)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마감부재(23)와 여과재(20) 사이의 틈을 실링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Subsequently, the upper, lower, right and left portions of the manufactured
이와 같이 제작된 다수의 여과재(20) 양측에 한 쌍의 하우징(30)을 결합한다. 이때, 여과재(20)를 하우징(30)의 장착공(31)에 장착한 후, 장착공(31)과 여과재(20) 사이를 실링 처리한다. The pair of
결국, 여과재(20)의 상면 및 하면에는 마감부재(23)가 결합되고, 여과재(20)의 좌측면 및 우측면은 장착공(31)에 장착된 후 실링 처리됨에 따라, 여과재(20)의 멤브레인(21)을 통해 여과된 물이 여과재(20)의 상면, 하면, 좌측면 및 우측면을 통해 여과재(20)의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 방지된다.As a result, the finishing
여과재(20)의 양측면에 형성된 전달공(24)은 여과된 물을 하우징(30)의 저장공간(32)으로 전달한다.Delivery holes 24 formed on both sides of the
한 쌍의 하우징(30) 전면 상부에 각각 형성된 배출공(33)에 배출 파이프(34)를 연결하고, 배출 파이프(34)에 유압계(41) 및 밸브(42)를 설치한다. The
다음, 본 발명의 제 1실시 예에 따른 블록형 평막모듈의 작동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Next, the operation of the block-type flat membrane modul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먼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1실시 예에 따른 블록형 평막모듈의 여과 동작을 설명한다. First, the filtration operation of the block-type flat membrane modul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5.
도 5는 본 발명의 제 1실시 예에 따른 블록형 평막모듈의 여과 동작을 설명하는 동작상태도이다. 5 is an operational state diagram illustrating the filtration operation of the block-type flat membrane modul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다수의 여과재(20)가 상하 방향으로 장착된 블록형 평막모듈(10)을 여과하고자 하는 물이 담긴 수조에 완전히 잠기도록 설치한다. 블록형 평막모듈을 수조에 완전히 감기게 설치하는 이유는 여과재(20)의 멤브레인(21) 일부가 물에 완전히 잠기지 않아 공기 중에 드러나도록 설치되는 경우, 여과재(20)의 수조에 잠지기 않은 부분을 통해 하우징(30)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어 여과 효율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A plurality of
펌프(40)에 전원을 공급하면, 펌프(40) 내부에 구비된 모터가 구동되면서 펌프(40)는 펌핑 압력을 발생시키고, 배출 파이프(34)를 통해 펌핑 압력이 하우징(30)으로 전달된다.When power is supplied to the
그러면 여과재(20)는 도 5에 화살표로 도시된 바와 같이, 오염된 물을 흡입하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멤브레인(21)은 오염된 물을 여과하고, 여과된 물만을 흡입하여 내부의 내부재(22)로 전달한다. Then, the
내부재(22)는 내부에 형성된 기공을 통해 여과된 물을 하우징(30)으로 전달하고, 하우징(30)은 내부의 저장공간(32)에 여과된 물을 저장함과 동시에 배출 파이프(34)를 통해 배출한다. The
이때, 작업자는 배출 파이프(34)에 연결된 압력계(41)에 표시되는 압력을 검사하고, 압력이 미리 설정된 기준압력을 초과하여 상승하지 않도록 펌프(40)의 모터 구동을 제어한다. 이는 펌프(40)의 펌핑 압력이 상기 기준압력을 초과하여 상승하는 경우, 오염된 물이 여과재(20)를 통해 충분히 여과되지 못한 상태에서 펌핑 압력에 의해 여과재(20) 내부로 흡입되어 여과 효율이 저하되기 때문이다. At this time, the operator checks the pressure displayed on the
이어, 본 발명의 제 1실시 예에 따른 블록형 평막모듈의 역세척 동작을 설명한다. Next, the backwash operation of the block-type flat membrane modul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역세척은 여과재(20)의 멤브레인(21) 표면에 고착된 잔여 부유물의 찌꺼기를 제거하기 위해 주기적으로 수행된다. 즉, 펌프(30)를 역회전시켜 배출 파이프(34)를 통해 역세척수를 하우징(30)에 공급하고, 하우징(30)의 저장공간(32) 및 여과재(20)의 전달공(24)은 역세척수를 내부재(22)에 전달한다.Backwashing is performed periodically to remove debris from residual suspended matter that has adhered to the
그러면, 내부재(22)는 역세척수를 멤브레인(21)에 공급하도록 상기 여과 동작시의 역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유로 기능을 수행하고, 여과재(20)의 내부 압력이 여과재(20) 외부의 압력보다 높아짐에 따라 멤브레인(21)은 상기 여과 과정시의 역방향으로 여과동작을 수행하게 된다.Then, the
이에 따라, 내부재(22)에 공급된 역세척수가 멤브레인(21)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멤브레인(21)의 표면에 고착된 부유물 찌꺼기를 멤브레인(21)의 표면에서 떨어지게 할 수 있다.As a result, in the process of passing the backwash water supplied to the
한편, 본 발명은 역세척수를 이용하지 않고, 고압의 공기를 이용하거나 고압의 공기와 역세척수를 함께 이용하여 멤브레인(21)의 역세척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Meanwhile, the present invention may perform the backwash operation of the
다음,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2실시 예에 따른 블록형 평막모듈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Next, the block-type flat membrane modul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6.
도 6은 본 발명의 제 2실시 예에 따른 블록형 평막모듈의 구성도이다.6 is a block diagram of a block-type flat membrane modul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2실시 예에 따른 블록형 평막모듈(10')는 하나의 여과재(20)와 여과재(20)의 외곽에 결합되고, 펌프(40)의 펌핑 압력에 의해 여과재(20)를 통해 여과된 물을 배출 파이프(34)에 전달하는 전달공(24')을 구비한 마감부재(23')를 포함한다. As shown in FIG. 6, the block-type
마감부재(23')는 직사각형틀을 이루도록 두 쌍으로 구비되어 여과재(20)의 상부, 하부, 좌측부 및 우측부에 결합된다.Finishing member 23 'is provided in two pairs to form a rectangular frame is coupled to the upper, lower, left and right portions of the filter medium (20).
즉, 여과하고자 하는 물이 소량이거나 물이 저장된 수조 내부의 공간이 협소하여 다수의 여과재(20) 및 하우징(30)을 포함하는 블록형 평막모듈(10)을 사용할 수 없는 경우, 본 발명의 제 2실시 예에 따른 블록형 평막모듈(10')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오염된 물을 여과할 수 있다.That is, when the amount of water to be filtered is small or the space inside the tank in which the water is stored is narrow and the block type
이와 함께, 본 발명의 제 2실시 예에 따른 블록형 평막모듈(10')는 여과되지 않은 오염된 물이 여과재(20)의 모서리 부분을 통해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여과재(20)의 꼭지점 부분에 몰드 부재(25)를 결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block-type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정을 통하여, 본 발명은 한 쌍의 멤브레인 사이에 내부재를 접합하여 여과재를 제작하므로, 여과재의 두께를 감소시키고 변형을 방지할 수 있으며, 다수의 여과재를 집적시킴으로써 블록형 평막모듈에 적용되는 여과재의 집적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Through the process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bonds the inner material between a pair of membranes to produce a filter medium,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thickness of the filter medium and to prevent deformation, by integrating a plurality of filter media block-type membrane module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degree of integration of the filter medium applied to.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but is defined by the claims, and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can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It is self evident.
상기의 실시 예들에서 여과재는 판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여과재는 한 쌍의 멤브레인 사이에 내부재를 융착시켜 제작함에 따라 유연한 특징이 있다. 따라서 블록형 평막모듈을 원통으로 형성하는 경우, 여과재는 원판 형상이나 나선 형상 등으로 변경될 수 있다.In the above embodiments, the filter medium has been described as being formed in a plate shape,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That is, the filter medium has a flexible feature as the inner material is fused between a pair of membranes. Therefore, when the block-type flat membrane module is formed in a cylinder, the filter medium may be changed into a disc shape or a spiral shape.
그리고 여과재는 한 쌍의 멤브레인과 그 사이의 내부재를 가열해서 융착시켜 제작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은 내부재의 외면 또는/및 멤브레인의 내면에 도트 형태 또는 망 형태로 접착제를 도포하여 접착하는 방식에 의해 멤브레인과 내부재를 접합할 수도 있다.And the filter medium has been described as being produced by heating and fusing a pair of membrane and the inner material therebetwee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For example, the present invention may bond the membrane and the inner material by applying an adhesive in the form of a dot or a net to the outer surface of the inner material and / or the inner surface of the membrane.
또 역세척 동작시 외부의 역세척수를 이용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역세척수와 고압공기를 함께 이용하거나 고압 공기만을 이용하여 여과재를 세척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backwashing operation was described as using an external backwashing water. However, the backwashing water and the high pressure air may be used together or the filter medium may be washed using only the high pressure air.
또한 상기의 실시 예들에서는 여과재의 후단에 펌프를 설치하여 빨아들이는 펌핑 압력을 이용하는 침지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In addition, in the above embodiments, the immersion type using the pumping pressure for sucking by installing a pump at the rear end of the filter medium,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즉, 본 발명은 밀폐된 수조 또는 직접 여과재에 오염된 물을 공급하도록 펌프의 위치를 변경하여 가압형 방식을 적용할 수도 있다. 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may apply the pressure type method by changing the position of the pump to supply the contaminated water to the sealed water tank or the direct filter medium.
10: 블록형 평막모듈 20: 여과재
21: 멤브레인 22: 내부재
23: 마감부재 24: 전달공
30: 하우징 31: 장착공
32: 저장공간 33: 배출공
34: 배출 파이프 40: 펌프
41: 압력계 42: 밸브10: block-type flat membrane module 20: filter medium
21: membrane 22: inner material
23: finishing member 24: transfer hole
30: housing 31: mounting hole
32: storage space 33: discharge hole
34: discharge pipe 40: pump
41: pressure gauge 42: valve
Claims (10)
에이비에스 수지 재질로 상기 융착된 멤브레인 및 내부재를 억지끼움 결합하도록 일측이 개구된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여과재의 상부 및 하부에 결합되는 마감부재 및
박스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다수의 여과재 양측에 장착되고, 펌프의 펌핑 압력에 의해 오염된 물을 상기 여과재를 통해 강제적으로 여과한 후 외부로 배출하는 한 쌍의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융착은 상기 내부재의 융점 온도인 160℃보다 높고 상기 멤브레인의 융점온도인 260℃보다 낮은 온도의 열에 의해 수행되며,
상기 하우징은
일측에 상기 여과재가 장착되도록 관통되어 형성되는 다수의 장착공,
상기 장착공과 연통되게 형성되는 저장공간,
상기 하우징의 일면에 상기 저장공간과 연통되게 형성되는 배출공 및
상기 저장공간에 저장된 물을 외부로 배출하도록 상기 배출공에 결합되는 배출 파이프를 구비하고,
상기 여과재와 하우징은 상기 여과재가 하우징에 장착된 이후에 접착제 및 방수재를 이용하여 상기 하우징에 실링 처리되며,
상기 배출 파이프에는 상기 펌프의 펌핑 압력에 의해 외부로 배출되는 물의 압력을 측정하여 표시하는 압력계와 상기 배출 파이프를 통해 배출되는 물을 개폐하는 밸브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형 평막모듈.
A pair of membranes and heat are fused to the inside of the pair of membranes to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membrane, and to perform a reinforcement function of supporting the flow path function of water filtered through the membrane and maintaining the shape of the membrane uniformly. Filter material having an inner material formed with a plurality of pores therein, the plurality are arranged side by side in the vertical direction,
Finishing member is formed in the shape of the one side is opened so as to fit the fused membrane and the inner material to the ABS resin material coupled to the upper and lower portion of the filter medium and
A pair of housings formed in a box shape and mounted on both sides of the plurality of filter media, forcibly filtering water contaminated by the pumping pressure of a pump through the filter media, and then discharged to the outside;
The fusion is performed by heat at a temperature higher than the melting point temperature of the inner material 160 ° C and lower than the melting point temperature of the membrane 260 ° C,
The housing is
A plurality of mounting holes formed to penetrate so that the filter medium is mounted on one side,
A storage space formed in communication with the mounting hole,
A discharge hole formed in communication with the storage space on one surface of the housing;
A discharge pipe coupled to the discharge hole to discharge the water stored in the storage space to the outside,
The filter medium and the housing are sealed to the housing using an adhesive and a waterproofing material after the filter medium is mounted in the housing,
Block type flat membrane module, characterized in that the discharge pipe is provided with a pressure gauge for measuring and displaying the pressure of the water discharged to the outside by the pumping pressure of the pump and a valve for opening and closing the water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pipe.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66256A KR101007878B1 (en) | 2010-07-09 | 2010-07-09 | Block type flat sheet module |
PCT/KR2011/004091 WO2012005448A2 (en) | 2010-07-09 | 2011-06-03 | Block type flat membrane modul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66256A KR101007878B1 (en) | 2010-07-09 | 2010-07-09 | Block type flat sheet modul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007878B1 true KR101007878B1 (en) | 2011-01-14 |
Family
ID=436162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0066256A Expired - Fee Related KR101007878B1 (en) | 2010-07-09 | 2010-07-09 | Block type flat sheet module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101007878B1 (en) |
WO (1) | WO2012005448A2 (en)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21626B1 (en) * | 2011-08-05 | 2013-10-22 | 김백암 | Water treatment apparatus using the submerged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
KR101634726B1 (en) * | 2015-08-19 | 2016-07-01 | 김재용 | membrane filter |
US12194418B2 (en) | 2017-11-15 | 2025-01-14 | Chang Yong Kim | Bendable flexible flat membrane modul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6319964A (en) * | 1993-05-15 | 1994-11-22 | Nitto Denko Corp | Flat membrane type filter |
JP2000237551A (en) * | 1999-02-16 | 2000-09-05 | Hitachi Plant Eng & Constr Co Ltd | Immersion type flat membrane separation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
KR100722332B1 (en) * | 2006-11-06 | 2007-05-28 | 주식회사 퓨어엔비텍 | Block type flat membrane module frame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621483B1 (en) * | 2004-08-27 | 2006-09-14 | 주식회사 퓨어엔비텍 | Flat membrane module |
-
2010
- 2010-07-09 KR KR1020100066256A patent/KR101007878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11
- 2011-06-03 WO PCT/KR2011/004091 patent/WO2012005448A2/en active Application Filing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6319964A (en) * | 1993-05-15 | 1994-11-22 | Nitto Denko Corp | Flat membrane type filter |
JP2000237551A (en) * | 1999-02-16 | 2000-09-05 | Hitachi Plant Eng & Constr Co Ltd | Immersion type flat membrane separation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
KR100722332B1 (en) * | 2006-11-06 | 2007-05-28 | 주식회사 퓨어엔비텍 | Block type flat membrane module frame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21626B1 (en) * | 2011-08-05 | 2013-10-22 | 김백암 | Water treatment apparatus using the submerged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
KR101634726B1 (en) * | 2015-08-19 | 2016-07-01 | 김재용 | membrane filter |
US12194418B2 (en) | 2017-11-15 | 2025-01-14 | Chang Yong Kim | Bendable flexible flat membrane modul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12005448A2 (en) | 2012-01-12 |
WO2012005448A3 (en) | 2012-05-0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TWI450758B (en) | Flat film element for filtration and flat film filtrating modules | |
EP2473259B1 (en) | Filter membrane with supporting frame and method of production | |
EP2537807A1 (en) | Separation membrane module for processing of oil-containing waste water, method for processing oil-containing waste water,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oil-containing waste water | |
US20110005994A1 (en) | Membrane element and membrane module | |
JP2009101311A (en) | Separation membrane element for filtration, and membrane module for filtration | |
WO2012056812A1 (en) | Hollow fiber membrane filtration device and method for washing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 |
KR20140138808A (en) | Hollow-fiber membrane module, process for producing hollow-fiber membrane module, and hollow-fiber membrane unit equipped with hollow-fiber membrane module | |
EP3508264B1 (en) | Water filter component with double layer pleated media for water purifier cartridge sealed with end cap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 |
MX2014014261A (en) | FILTRATION DEVICE. | |
KR101007878B1 (en) | Block type flat sheet module | |
US20200317554A1 (en) | Purification filter element and water purification cup | |
JP2010253355A (en) | Membrane separation activated sludge treatment equipment | |
US11472718B2 (en) | Adsorption structure, adsorption structure uni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 |
KR101634726B1 (en) | membrane filter | |
KR100970797B1 (en) | Filter media and appartus with the same | |
KR101394872B1 (en) | Flat-membrane cartridge for filtration and flat-membrane filtration module | |
JP2013128892A (en) |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and washing method of the same | |
TWI480231B (en) | Method for processing oil-containing waste | |
JP2011078940A (en) | Air diffuser in immersion type membrane separation apparatus and method of cleaning pipe line continuing to the same | |
JP3603596B2 (en) | Immersion type flat membrane separator | |
JP2008221108A (en) | Liquid separation membrane module | |
JP3418443B2 (en) | Membrane module | |
JPH06277463A (en) | Membrane separation device | |
KR102059012B1 (en) | Water treatment apparatus using flexible membrane module | |
JP2012210553A (en) |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0709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00825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00709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009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01209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Patent event date: 20101224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1010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1010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707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070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512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