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007709B1 - 압인자기를 구비한 자동수표분류 스탬핑기 - Google Patents

압인자기를 구비한 자동수표분류 스탬핑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07709B1
KR101007709B1 KR1020100083524A KR20100083524A KR101007709B1 KR 101007709 B1 KR101007709 B1 KR 101007709B1 KR 1020100083524 A KR1020100083524 A KR 1020100083524A KR 20100083524 A KR20100083524 A KR 20100083524A KR 101007709 B1 KR101007709 B1 KR 1010077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eck
unit
stack
transfer unit
stamp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835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승철
Original Assignee
이승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승철 filed Critical 이승철
Priority to KR10201000835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0770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77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7709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BTICKET-ISSUING APPARATUS; FARE-REGISTERING APPARATUS; FRANKING APPARATUS
    • G07B1/00Machines for printing and issuing tickets
    • G07B1/06Machines for printing and issuing tickets without selectable printing pl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3/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or mar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constructed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7/00Testing specially adapted to determine the identity or genuineness of valuable papers or for segregating those which are unacceptable, e.g. banknotes that are alien to a currency
    • G07D7/01Testing electronic circuits therein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7/00Testing specially adapted to determine the identity or genuineness of valuable papers or for segregating those which are unacceptable, e.g. banknotes that are alien to a currency
    • G07D7/20Testing patterns there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압인자기를 구비한 자동수표분류 스탬핑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입금된 수표를 판독, 분류 및 스탬핑하는 수표분류장치에 인자기를 구비하여 수표의 발행까지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압인자기를 구비한 자동수표분류 스탬핑기에 관한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써 본 발명은, 본체; 회수된 수표 또는 발행될 수표용지(이하'수표'라 한다)를 수납하는 호퍼부; 일측이 상기 호퍼부에 접촉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호퍼부에 수납된 수표를 공급하는 수표공급부; 일측이 상기 수표공급부의 타측에 연결되어 상기 수표공급부로부터 공급된 수표를 이송하는 수표이송부; 상기 수표이송부 상의 선택된 어느 한 부분에 구비되며, 상기 수표이송부의 일측면에는 프린터휠(Printer Wheel)에 인자리본(MICR ribbon)이 감겨져 있는 인자카트리지가 구비되고 상기 수표이송부의 타측면에는 수표에 암호화된 코드번호를 인자하는 솔레노이드햄머가 구비되어 상기 수표이송부에 의하여 이송된 수표에 발행정보를 인자하는 인자부; 상기 수표이송부 상의 선택된 어느 한 부분으로, 상기 인자부의 타측에 구비되어 수표정보를 압인하는 압인부; 상기 수표이송부 상의 선택된 어느 한 부분에 구비되며, 자기문자를 인식하여 판별하는 자기문자판독부(MICR reader)를 구비하여 상기 수표이송부에 의하여 이송된 수표에 표시된 자기문자(MICR)를 판독하는 수표인식부; 상기 수표이송부 상의 선택된 어느 한 부분으로, 상기 수표인식부의 타측에 구비되어 상기 수표인식부에 의하여 판독된 결과에 따라 상기 수표상에 문자 또는 기호를 스탬핑 또는 프린팅하는 스탬프부; 상기 수표이송부의 타측에 구비되며, 이송되는 수표를 안내하는 스태크가이드와, 상기 수표인식부에 의하여 인식된 내용에 따라 분류된 수표를 수납하는 제1 스태크와 제2 스태크 및 제3 스태크와, 상기 스태크가이드의 일측가이드와 상기 제1 스태크 및 제2 스태크의 연결통로에 각각 구비되는 스토퍼로 구성되어 상기 스탬프부에 의해 스탬핑 또는 프린팅된 수표를 분류하여 수납하는 스태커부; 상기 본체에 구비되어 사용자의 조작정보를 입력받고 업무처리 과정을 보여주는 입출력부;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Description

압인자기를 구비한 자동수표분류 스탬핑기{CHECK CLASSIFICATION SYSTEM HAVING CHECK ROLLING PRINTER AND STAMPER}
본 발명은 압인자기를 구비한 자동수표분류 스탬핑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입금된 수표를 판독, 분류 및 스탬핑하는 수표분류장치에 인자기를 구비하여 수표의 발행까지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압인자기를 구비한 자동수표분류 스탬핑기에 관한 것이다.
수표는 발행인이 지급인(금융기관)에 대하여, 수령인 기타 정당한 소지인에게 일정한 금액의 지급을 위탁하는 유가증권의 일종이다. 수표는 정형화된 화폐와는 달리 금액을 자유로이 정할 수 있으며, 특히 금융기관이 발행하는 수표는 화폐에 준하는 안전성으로 인해 널리 사용되고 있다.
특히, 우리나라는 경제규모에 비하여 고액권 지폐의 액면가가 낮아 금융기관이 발행하는 자기앞수표가 준 화폐로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또한, 최근에는 금융자동화기기의 발달에 따라 은행이나 공공장소 등에 설치된 ATM(Automated Teller Machine)기기를 이용하여 입출금을 수행하는 것이 일반화되었으며, 최근에는 수표를 취급하는 금융자동화기기도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수표는 화폐와 마찬가지로 전전유통이 가능하지만 일단 지급인에게 회수된 수표는 일정한 기록을 남긴 후에 보존되거나 일정기간 보존 후 폐기되는 것이 원칙이다. 따라서 회수된 수표에는 기록을 위해 입금된 창구번호와 지급은행, 처리결과 등과 같은 표시를 하게 된다.
종래에는 상기의 창구표시나 수표분류 및 스탬핑 또는 프린팅 작업을 은행직원일 일일이 수작업으로 하였다. 즉, 은행에 구비된 ATM 기기를 통하여 입금되거나 은행창구를 통해 입금된 수표에 창구번호나 ATM기기 입급여부를 식별하는 문자 등이 각인된 스탬프(stamp)를 날인하고, 자행권과 타행권을 분류 및 정렬한 다음, 수표의 전면에 "지급필" 또는 "○○은행 XX지점 지급필" 등과 같은 처리결과를 스탬핑하였다.
그러나 종래와 같이 사람이 수작업으로 마감작업을 하는 경우에는 작업시간이 오래 걸리고 업무효율이 떨어질 뿐만 아니라, 스탬핑을 잘못하거나 누락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회수된 수표에 입금된 창구나 회수된 ATM기기를 식별하는 표시를 스탬핑하고, 회수된 수표를 자행권과 타행권 및 판독불가수표로 분류한 다음, 수표의 처리결과를 스탬핑하는 수표분류기에, 불변잉크를 사용하여 스탬핑하고 발행은행명과 지급명 등을 나타내는 암호화된 정보를 표시하는 압인기를 구비하여 수표의 분류 및 처리는 물론 수표의 발행까지 가능한 압인자기를 구비한 자동수표분류 스탬핑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써 본 발명은, 본체; 회수된 수표 또는 발행될 수표용지(이하'수표'라 한다)를 수납하는 호퍼부; 일측이 상기 호퍼부에 접촉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호퍼부에 수납된 수표를 공급하는 수표공급부; 일측이 상기 수표공급부의 타측에 연결되어 상기 수표공급부로부터 공급된 수표를 이송하는 수표이송부; 상기 수표이송부 상의 선택된 어느 한 부분에 구비되며, 상기 수표이송부의 일측면에는 프린터휠(Printer Wheel)에 인자리본(MICR ribbon)이 감겨져 있는 인자카트리지가 구비되고 상기 수표이송부의 타측면에는 수표에 암호화된 코드번호를 인자하는 솔레노이드햄머가 구비되어 상기 수표이송부에 의하여 이송된 수표에 발행정보를 인자하는 인자부; 상기 수표이송부 상의 선택된 어느 한 부분으로, 상기 인자부의 타측에 구비되어 수표정보를 압인하는 압인부; 상기 수표이송부 상의 선택된 어느 한 부분에 구비되며, 자기문자를 인식하여 판별하는 자기문자판독부(MICR reader)를 구비하여 상기 수표이송부에 의하여 이송된 수표에 표시된 자기문자(MICR)를 판독하는 수표인식부; 상기 수표이송부 상의 선택된 어느 한 부분으로, 상기 수표인식부의 타측에 구비되어 상기 수표인식부에 의하여 판독된 결과에 따라 상기 수표상에 문자 또는 기호를 스탬핑 또는 프린팅하는 스탬프부; 상기 수표이송부의 타측에 구비되며, 이송되는 수표를 안내하는 스태크가이드와, 상기 수표인식부에 의하여 인식된 내용에 따라 분류된 수표를 수납하는 제1 스태크와 제2 스태크 및 제3 스태크와, 상기 스태크가이드의 일측가이드와 상기 제1 스태크 및 제2 스태크의 연결통로에 각각 구비되는 스토퍼로 구성되어 상기 스탬프부에 의해 스탬핑 또는 프린팅된 수표를 분류하여 수납하는 스태커부; 상기 본체에 구비되어 사용자의 조작정보를 입력받고 업무처리 과정을 보여주는 입출력부;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압인자기를 구비한 자동수표분류 스탬핑기에 의하면, 하나의 자동수표분류 스탬핑기를 이용하여 회수된 수표의 마감작업은 물론 수표의 발행작업까지 처리할 수 있어서 작업시간이 단축됨은 물론 업무의 정확도까지 보장되어 업무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압인자기를 구비한 자동수표분류 스탬핑기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압인자기를 구비한 자동수표분류 스탬핑기의 구성을 보여주는 평면도.
도 3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호퍼부와 수표공급부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압인자기를 구비한 자동수표분류 스탬핑기의 수표이송부의 전면을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압인자기를 구비한 자동수표분류 스탬핑기의 수표이송부의 후면을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압인자기를 구비한 자동수표분류 스탬핑기의 스태크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7는 본 발명에 따른 압인자기를 구비한 자동수표분류 스탬핑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압인자기를 구비한 자동수표분류 스탬핑기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압인자기를 구비한 자동수표분류 스탬핑기의 구성을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압인자기를 구비한 자동수표분류 스탬핑기는, 본체(10); 회수된 수표 또는 발행될 수표용지(이하'수표'라 한다)를 수납하는 호퍼부(100); 일측이 상기 호퍼부(100)에 접촉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호퍼부(100)에 수납된 수표를 공급하는 수표공급부(200); 일측이 상기 수표공급부(200)의 타측에 연결되어 상기 수표공급부(200)로부터 공급된 수표를 이송하는 수표이송부(300); 상기 수표이송부(300) 상의 선택된 어느 한 부분에 구비되어 상기 수표이송부(300)에 의하여 이송된 수표에 코드번호를 인자하는 인자부(400); 상기 수표이송부(300) 상의 선택된 어느 한 부분으로, 상기 인자부(400)의 타측에 구비되어 수표정보를 압인하는 압인부(450); 상기 수표이송부(300) 상의 선택된 어느 한 부분에 구비되어 상기 수표이송부(300)에 의하여 이송된 수표에 표시된 수표정보를 판독하는 수표인식부(430); 상기 수표이송부(300) 상의 선택된 어느 한 부분으로, 상기 수표인식부(430)의 타측에 구비되어 상기 수표인식부(430)에 의하여 판독된 결과에 따라 상기 수표상에 문자 또는 기호를 스탬핑 또는 프린팅하는 스탬프부(450); 상기 수표이송부(300)의 타측에 구비되어 상기 스탬프부(470)에 의해 스탬핑 또는 프린팅된 수표를 분류하여 수납하는 스태커부(500); 상기 본체(10)에 구비되어 사용자의 조작정보를 입력받고 업무처리 과정을 보여주는 입출력부(5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3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호퍼부와 수표공급부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호퍼부(100)는 본체의 일측에 구비되어 회수된 수표 또는 발행될 수표용지가 수납되는 것으로, 본체(10)에 대하여 수직으로 구비된 호퍼가이드(130)와, 상기 호퍼가이드(130)의 타측면에 평행하게 구비된 수표압착판(150)과, 상기 수표압착판(150)에 탄성력을 부가하는 탄성수단(미도시) 및 상기 수표압착판(150)을 지지하는 지지축(미도시)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호퍼부(100)는, 수표압착판(150)을 이격시킨 후, 호퍼가이드(130)와 수표압착판(150) 사이에 수표를 수납한 다음 수표압착판(150)에 가해진 외력을 제거하면, 상기 수표압착판(150)이 탄성력에 의하여 상기 수표를 밀착 수납하게 된다. 호퍼부(100)는 공지의 구성요소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수표공급부(200)는 일측이 호퍼부(100)에 접촉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호퍼부(100)에 수납된 수표를 수표이송부(300)로 공급하는 것으로, 상기 수표에 최초 이송력을 부가하는 공급롤러(230)와, 상기 공급롤러(230)에 의하여 움직이기 시작한 수표가 기울어지거나 쓰러지지 않도록 지지 및 안내하는 수표공급가이드(250) 및 상기 수표가 여러 장이 중첩되어 이송하는 것을 방지하는 수표선별부(2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공급롤러(230)는 몸체의 일부가 호퍼가이드(130)를 관통하여 상기 공급롤러(230)의 외주면의 일부가 수표면에 접촉하도록 구비되며, 전동모터(미도시)에 의하여 회전된다. 공급롤러(230)의 외주면은 수표면의 이송을 원활히 할 수 있도록 밀착돌기(235)가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표공급가이드(250)는 전술한 호퍼가이드(130)에 나란하게 배열되어, 공급롤러(230)에 의하여 공급된 수표가 기울어지거나 쓰러지는 것을 방지한다. 수표공급가이드(25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의 판이 평행하게 나란히 배열되어 상기 판 사이를 수표가 지나갈 수 있도록 구성된다. 다만, 이는 수표공급가이드의 일예를 나타내는 것일 뿐 수직으로 세워진 수표가 양 측면이 지지 되면서 통과할 수 있는 다양한 공지의 형상이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수표선별부(270)는 공급롤러(230)의 타측에 구비되어 상기 공급롤러(230)에 의하여 공급된 수표가 여러 장 겹쳐져서 수표이송부(300)로 공급되는 것을 방지한다.
수표선별부(270)는 공급롤러(230)에 의하여 공급된 수표를 수표이송부(300)로 이송하는 선별피드롤러(273)와, 중첩된 수표 중 한 장만 통과되도록 하고 나머지는 통과하지 못하도록 하는 역회전롤러(275) 및 상기 선별피드롤러(273)와 역회전롤러(275)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간격조절부(277)로 구성된다.
선별피드롤러(273)와 역회전롤러(275)는 전술한 수표공급가이드(250)의 양측면에 서로 마주보도록 구비된다. 선별피드롤러(273)는 전동모터(미도시)에 의하여 회전하면서 공급롤러(230)에 의하여 공급된 수표를 수표이송부(300)로 이송하고, 역회전롤러(275)는 전동모터(미도시)에 의하여 역회전하면서 공급롤러(230)에서 여러 장의 수표가 겹쳐서 이송되는 것을 방지한다.
역회전롤러(275)는 일단에 절곡부가 형성된 플레이트(271)에 설치되고, 상기 플레이트(271)의 일측에는 플레이트탄성수단(279)이 연결되어 후술하여 설명할 간격조절부(277)에 의해 플레이트(271)가 이동가능하도록 지지된다. 이때 선별피드롤러(273)와 역회전롤러(275) 사이의 간격은 상기 역회전롤러(275)의 후방에 구비되어 상기 역회전롤러(275)의 위치를 나사조절하는 간격조절부(277)에 의하여 조절된다. 간격조절부(277)는 본체(10)에 역회전롤러(275)와 이격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롤러와 수표 사이의 마찰력은 크고, 수표와 수표사이의 마찰력은 작으며, 수표공급가이드(250)의 폭은 좁기 때문에 여러 장의 수표가 동시에 이송되는 경우는 흔치 않다. 그러나 수표의 표면에 이물질이 있거나 습기가 많은 경우 여러 장의 수표가 겹쳐져서 이동하는 경우가 발생하는데, 이러한 경우에 역회전롤러(275)가 겹쳐진 수표 중 한 장을 제외한 나머지를 제자리에 정지시키거나 수표공급부(200)쪽으로 복귀시키는 역할을 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압인자기를 구비한 자동수표분류 스탬핑기의 수표이송부의 전면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압인자기를 구비한 자동수표분류 스탬핑기의 수표이송부의 후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도 2,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수표이송부(300)는 일측이 전술한 수표공급부(200)의 타측과 연결되고, 타측에는 후술하여 설명할 스태크부(500)가 구비되어, 상기 수표공급부(200)에서 공급된 수표를 상기 스태크부(500)로 이송한다.
수표이송부(300)는 수표의 이송을 안내하는 가이드레일(330)과, 상기 가이드레일(330) 상에 일정한 간격으로 구비되어 전동모터에 의하여 회전하면서 수표를 이송하는 다수개의 이송롤러(350)로 구비되며, 상기 수표이송부(300) 상에는 후술하여 설명할 인자부(400), 수표인식부(430), 압인부(450) 스탬프부(470)가 구비된다.
가이드레일(330)은 2개의 평판이 본체(10)에 대하여 수직으로 서로 마주보도록 평행하게 구비되며, 상기 가이드레일(330) 사이에는 수표이송로(335)가 형성된다. 가이드레일(330)의 측면에는 다수개의 관통구(370)가 형성되어 이송롤러(350), 인자부(400), 수표인식부(430), 스탬프부(450) 등이 수표와 대면할 수 있게 된다.
이송롤러(350)는 가이드레일(330) 상에 일정한 간격으로 구비되며, 상기 가이드레일(330)에 형성된 관통구(370)에 일부가 삽입되어 수표와 접촉하면서 수표를 이송한다. 이송롤러(350) 사이의 간격은 수표의 길이 보다는 짧도록 하여 가이드레일(330)을 지나는 수표가 최소한 하나 이상의 이송롤러(350)와 항상 접촉하고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표이송부(300)는 직선형으로 구비되는 것이 일반적이나, 필요에 따라서는 U자 형상을 포함한 다양한 형상의 곡선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인자부(400)는 수표이송부(300) 상의 선택된 어느 한 부분에 구비되어 상기 수표이송부(300)에 의하여 이송된 수표용지에 발행정보를 인자하는 장치로, 수표이송부(300)의 일측면에는 프린터휠(Printer Wheel)에 인자리본(MICR ribbon)이 감겨져 있는 인자카트리지(410)가 구비되고, 수표이송부(300)의 타측면에는 수표에 암호화된 코드번호를 인자하는 솔레노이드햄머(415, solenoid hammer)가 구비되어 있다.
인자부(400)는 수표를 발행하는 경우에 사용되는 것으로, 수표용지가 이송롤러(350)에 의하여 인자부(400)로 이송되면 상기 수표용지에 암호화된 코드번호로 찍어 넣어 입력한다.
수표인식부(430)는 수표이송부(300) 상의 선택된 어느 한 부분에 구비되어 상기 수표이송부(300)에 의하여 이송된 수표에 표시된 수표정보를 판독한다. 수표인식부(430)는 수표이송부(300)의 일측면 또는 타측면 중 선택된 어느 한 부분에 구비된다.
전술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모든 수표는 발행과정에서 압인자기를 이용하여 수표발행정보를 자기문자(MICR, Magnetic Ink Character Recognition)로 인자 된다. 즉, 수표를 발급하는 은행코드, 지점코드, 계좌번호, 수표금액, 일련번호 등의 정보가 자기잉크로 인쇄되어 금융자동화기기에 의한 처리 및 수표의 진위여부를 판별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수표인식부(430)에는 전술한 자기문자를 인식하여 판별하는 자기문자판독부(MICR reader)를 구비하여 수표의 표면에 인자된 정보를 인식하여 자동으로 수표를 분류 및 기록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로, 전술한 수표인식부(430)는 자기문자판독부 대신 영상판독부가 이용될 수도 있다. 영상판독부는 수표의 이미지를 스캔하여 스캔된 이미지로부터 필요한 정보를 판독한다.
이때 영상판독부를 이용하여 수표정보를 인식하는 경우에는 별도의 저장장치를 더 구비하여 스캔된 수표이미지를 기록자료로 보존할 수 있다.
자기문자판독부와 영상판독부를 이용한 수표정보 인식은 공지의 기술로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압인부(450)는 수표이송부(300) 상의 선택된 어느 한 부분으로, 인자부(400)의 타측에 구비되어 수표정보를 압인한다.
압인부(450)는 수표이송부(300)를 통하여 이송된 수표에 소정 문자를 압인하는 것으로, 수표에 압인될 문자가 각인된 압인롤러(450)와, 상기 압인롤러(450)에 잉크를 공급하는 압인잉크공급롤러(455)로 구성된다.
수표이송부(300)를 통하여 압인부(450)에 이송된 수표는 압인롤러(450)가 수표면을 압착 회전하면서 수표면에 수표정보를 표시한다. 이때 압인에 필요한 잉크는 압인롤러(450)와 접촉되도록 구비된 압인잉크공급롤러(455)에 의하여 공급된다.
스탬프부(470)는 수표이송부(300) 상의 선택된 어느 한 부분으로, 수표인식부(430)의 타측에 구비되어 상기 수표인식부(430)에 의하여 판독된 수표정보에 따라 수표에 문자 또는 기호를 스탬핑한다.
스탬프부(470)는 롤러형상의 몸체 외주면에 스탬핑할 문자가 각인되어 있는 스탬프롤러(473)와 상기 스탬프롤러(473)에 스탬프잉크를 공급하는 잉크공급롤러(475)로 구성된다. 스탬프롤러(473)는 수표분류 기준에 따라 다수 개가 구비될 수 있으며, 전동모터에 의하여 회전하면서 문자 등을 스탬핑 한다.
수표는 수표인식부(430)를 지나면서 인식된 정보에 따라 분류되며, 상기 분류된 수표는 스탬프부(470)를 지나면서 스탬프롤러(473)가 압착 회전하면서 수표표면에 처리결과를 스탬핑한다. 예를 들어, 수표인식부(430)에서 인식된 수표가 자행권 수표인 경우에는 스탬프부(470)에서 "지급필" 날인을 하고, 타행권 수표인 경우에는 "OO은행 XX지점 지급필"을 인쇄하며, 인식불가 수표이거나 위조수표 등 불량수표인 경우에는 별도의 인식표시를 하거나 아무런 표시를 하지 않고 스태커부(500)로 이송하여 별도로 분류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수표이송부(300)에는 상기 수표공급부(200)를 통과한 수표가 한 장인지 여부를 검사하고, 상기 수표공급부(200)를 지나는 수표가 여러 장인 경우에 기기의 작동을 멈추고 작업자에게 경고음 등을 통하여 알려주는 더블쎈스(미도시)를 더 구비한다. 더블쎈스는 전술하여 설명한 인자부(400)의 일측에 구비되도록 하여 수표발행 및 검사의 초기단계에서 수표가 한 장인지 여부를 검사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블센서는 용지두께검출장치로, 수표가 지나가는 통로에 검지롤러를 구비하여 롤러의 변위량을 측정함으로써 현재 지나가고 있는 수표가 한 장인지 또는 여러 장인지 여부를 검출하는 장치이다. 더블센서는 공지의 기술로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압인자기를 구비한 자동수표분류 스탬핑기의 스태크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 및 도 6을 참조하면, 스태크부(500)는 전술한 수표이송부(300)의 타측에 구비되어 스탬프부(470)에 의해 스탬핑된 수표를 수납하는 것으로, 스태크부(500)로 이송되는 수표를 안내하는 스태크가이드(510)와, 상기 스태크가이드(510)를 통해 이송되는 수표를 분류하는 스토퍼(515) 및 상기 스토퍼(515)에 의하여 분류된 수표를 수납하는 스태크(5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스태크가이드(510)는 수표이송부(300)의 타측과 나란하게 배열되며, 일측가이드(511)는 각 스태크(520)의 폭에 대응하는 길이로 일단이 상기 스태크(520) 방향으로 굴곡되어 있고, 타측가이드(513)는 일체로 구성된다.
스토퍼(515)는 일측가이드(511)와 스태크(520)의 연결통로에 구비되어 스태크가이드(510)를 통과하는 수표를 선택적으로 각 스태크(520)에 수납되도록 한다. 스토퍼(515)의 일단은 수납부의 연결통로에 회동가능하게 힌지 고정되고, 타단은 판상의 구조로 일측가이드(511)와 일치하도록 구성된다.
스토퍼(515)는 제1 스태크(521)와 제2 스태크(523)에 구비되며, 제3 스태크(525)에는 스태크가이드(510)가 스태크 방향으로 굴곡되어 상기 제3 스태크(525)까지 도달한 수표는 곧바로 상기 제3 스태크(525)에 수납된다.
스토퍼(515)는 전자장치에 의하여 제어되는 전동수단에 의하여 회동된다.
회수된 수표를 처리하는 과정을 일례로 들면, 수표인식부(430)에서 인식된 수표가 자행권 수표인 경우에는 제1 스토퍼(516)의 타단이 타측가이드(513)와 밀착되어 수표는 제1 스태크(521)에 수납되고, 상기 수표인식부(430)에서 인식된 수표가 타행권 또는 불량수표인 경우에는 제1 스토퍼(516)의 타단이 일측가이드(511)에 밀착되어 수표는 제1 스태크(521)를 그대로 통과하여 제2 스태크(523) 쪽으로 이동한다.
또한, 제2 스태크(523)에서는 수표인식부(430)에서 인식된 수표가 타행권인 경우에 전술한 제1 스토퍼(516)와 동일한 방법으로 수표를 제2 스태크(523)에 수납하고, 인식된 수표가 불량수표인 경우에는 그대로 통과시켜 제3 스태크(525)에 수납되도록 한다.
스태크(520)는 수납되는 수표의 일측을 지지하는 고정판(530)과 수납되는 수표의 타측을 지지하면서 수납되는 수표의 양이 증가함에 따라 전후방향으로 이동하는 이동판(미도시)으로 구성된다. 수표가 분류되어 수납됨에 따라 이동판이 전후방향으로 이동되는 방법은 공지의 기술로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입출력부(550)는 본 발명에 따른 압인자기를 구비한 자동수표분류 스탬핑기를 작동시키기 위한 조작정보를 입력하는 입력장치와, 수표처리 결과를 보여주는 출력장치로 구성된다.
입력장치는 시작스위치, 멈춤스위치 뿐만 아니라 숫자나 문자를 입력하는 자판을 포함한 공지의 다양한 입력수단이 사용될 수 있으며, 출력장치는 프린터장치 또는 디스플레이장치 등 공지의 다양한 종류의 출력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도 7는 본 발명에 따른 압인자기를 구비한 자동수표분류 스탬핑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압인자기를 구비한 자동수표분류 스탬핑기는 회수된 수표의 처리와 분류 뿐만 아니라 수표발행을 하는 용도로도 사용된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도면과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압인자기를 구비한 자동수표분류 스탬핑기의 동작상태를 살펴보면, 먼저 수표를 발행하는 과정은, 호퍼부(100)에 수표용지를 수납하고 기기를 작동시며, 수표공급부(200)에서 수표이송부(300)로 수표용지를 공급한다.
이때 수표공급부(200)의 공급롤러(230)가 회전하면서 수표를 공급하며, 수표공급가이드(250)를 따라 수표용지가 수표이송부(300) 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수표선별부(270)가 여러 장의 수표용지가 겹쳐져서 공급되는 것을 방지한다.
수표이송부(300)로 공급된 수표용지는 더블쎈스를 통하여 다시 한번 이송되는 수표용지가 한 장인지 또는 여러 장인지를 검사하게 된다. 이때 여러 장의 수표용지가 공급된 경우에는 기기의 작동은 멈추고 작업자에게 경고음 등을 통하여 이상을 알린다.
한 장의 수표용지가 정상적으로 공급된 경우에는 수표이송부(300) 상에 구비된 인자부(400)가 수표용지의 표면에 코드번호를 인자한다. 인자부(400)에서 코드번호가 인자된 스표용지가 압인부(450)에 도달하면 상기 압인부(450)에서 수표의 표면에 발행은행, 액면가 등과 같은 수표정보를 압인한다. 수표정보가 압인된 수표는 수표이송부(300)를 그대로 통과하여 스태크부(500)에 수납된다.
회수된 수표를 처리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수표를 호퍼부(100)에 수납하고 기기를 작동하면 수표공급부(200)에 의하여 회수된 수표가 수표이송부(300)로 공급된다. 이때 수표발행과정과 동일하게 수표가 한 장씩 공급되도록 제어된다.
한편, 인자부(400)와 압인부(450)는 수표를 발행하는 과정에만 사용되는 것이므로, 회수된 수표를 처리하는 과정에서는 작동을 중단한 채로 멈추게 되며, 수표는 상기 인자부(400)와 압인부(450)를 그대로 통과하게 된다.
수표가 수표인식부(430)에 도달하면 상기 수표인식부(430)에서 수표정보를 읽어들인다. 수표인식부(430)에서 수표정보를 인식하는 방법은 전술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자기문자판독방식 또는 영상판독방식이 사용된다.
수표인식부(430)에서 수표정보가 인식된 수표가 수표이송부(300)를 따라 이송되어 스탬프부(470)에 도달하면 상기 스탬프부(470)에서 인식된 정보내용에 따라 "지급필" 또는 "OO은행 XX지점 지급필" 등과 같은 처리결과를 인쇄하며, 불량수표인 경우에는 별도의 인식표시를 하거나 아무런 표시를 하지 않고 스태크부(500)로 이송시킨다.
스태크부(500)로 이송된 수표는 수표인식부(430)에서 인식된 내용에 따라 자행수표는 제1 스태크에, 타행수표는 제2 스태크에, 불량수표는 제3 스태크에 수납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호퍼부 130: 호퍼가이드
150: 수표압착판 200: 수표공급부
230: 공급롤러 250: 수표공급가이드
270: 수표선별부 273: 선별피드롤러
275: 역회전롤러 277: 간격조절부
300: 수표이송부 330: 가이드레일
335: 수표이송로 350: 이송롤러
370: 관통부 400: 인자부
410: 인자카트리지 415: 쏠레노이드햄머
430: 수표인식부 450: 압인부
453: 압인롤러 455: 압인잉크공급롤러
470: 스탬프부 473: 스탬프롤러
475: 스탬프잉크공급롤러 500: 스태크부
510: 스태크가이드 511: 일측가이드
513: 타측가이드 515: 스토퍼
520: 스태크 521: 제1 스태크
523: 제2 스태크 525: 제3 스태크

Claims (5)

  1. 본체;
    회수된 수표 또는 발행될 수표용지(이하'수표'라 한다)를 수납하는 호퍼부;
    일측이 상기 호퍼부에 접촉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호퍼부에 수납된 수표를 공급하는 수표공급부;
    일측이 상기 수표공급부의 타측에 연결되어 상기 수표공급부로부터 공급된 수표를 이송하는 수표이송부;
    상기 수표이송부 상의 선택된 어느 한 부분에 구비되며, 상기 수표이송부의 일측면에는 프린터휠(Printer Wheel)에 인자리본(MICR ribbon)이 감겨져 있는 인자카트리지가 구비되고 상기 수표이송부의 타측면에는 수표에 암호화된 코드번호를 인자하는 솔레노이드햄머가 구비되어 상기 수표이송부에 의하여 이송된 수표에 발행정보를 인자하는 인자부;
    상기 수표이송부 상의 선택된 어느 한 부분으로, 상기 인자부의 타측에 구비되어 수표정보를 압인하는 압인부;
    상기 수표이송부 상의 선택된 어느 한 부분에 구비되며, 자기문자를 인식하여 판별하는 자기문자판독부(MICR reader)를 구비하여 상기 수표이송부에 의하여 이송된 수표에 표시된 자기문자(MICR)를 판독하는 수표인식부;
    상기 수표이송부 상의 선택된 어느 한 부분으로, 상기 수표인식부의 타측에 구비되어 상기 수표인식부에 의하여 판독된 결과에 따라 상기 수표상에 문자 또는 기호를 스탬핑 또는 프린팅하는 스탬프부;
    상기 수표이송부의 타측에 구비되며, 이송되는 수표를 안내하는 스태크가이드와, 상기 수표인식부에 의하여 인식된 내용에 따라 분류된 수표를 수납하는 제1 스태크와 제2 스태크 및 제3 스태크와, 상기 스태크가이드의 일측가이드와 상기 제1 스태크 및 제2 스태크의 연결통로에 각각 구비되는 스토퍼로 구성되어 상기 스탬프부에 의해 스탬핑 또는 프린팅된 수표를 분류하여 수납하는 스태커부;
    상기 본체에 구비되어 사용자의 조작정보를 입력받고 업무처리 과정을 보여주는 입출력부;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인자기를 구비한 자동수표분류 스탬핑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표인식부는,
    수표에 인자된 자기문자를 인식하여 판별하는 자기문자판독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인자기를 구비한 자동수표분류 스탬핑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표인식부는,
    수표의 이미지를 스캔하여 스캔된 이미지로부터 필요한 정보를 판독하는 영상판독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인자기를 구비한 자동수표분류 스탬핑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표이송부에는,
    상기 수표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수표가 한 장인지 여부를 검사하는 더블쎈스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인자기를 구비한 자동수표분류 스탬핑기.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압인자기를 구비한 자동수표분류 스탬핑기에는,
    스캔된 수표의 이미지를 저장하는 저장장치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인자기를 구비한 자동수표분류 스탬핑기.
KR1020100083524A 2010-08-27 2010-08-27 압인자기를 구비한 자동수표분류 스탬핑기 Expired - Fee Related KR1010077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3524A KR101007709B1 (ko) 2010-08-27 2010-08-27 압인자기를 구비한 자동수표분류 스탬핑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3524A KR101007709B1 (ko) 2010-08-27 2010-08-27 압인자기를 구비한 자동수표분류 스탬핑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07709B1 true KR101007709B1 (ko) 2011-01-13

Family

ID=436161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83524A Expired - Fee Related KR101007709B1 (ko) 2010-08-27 2010-08-27 압인자기를 구비한 자동수표분류 스탬핑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0770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7031B1 (ko) * 2013-11-15 2015-03-03 보임테크놀러지 주식회사 수표 압인자기
KR200476422Y1 (ko) * 2013-11-15 2015-03-05 보임테크놀러지 주식회사 수표 압인자기용 리본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16456A (ko) * 2000-12-12 2001-03-05 박용호 인터넷 폰 셋톱박스 및 이를 이용한 인터넷 폰 통신방식
KR20040020760A (ko) * 2002-09-03 2004-03-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인버터공기조화기의 역률보상컨버터회로
KR200420760Y1 (ko) * 2006-04-27 2006-07-04 주식회사 유니크톱 수표압인자기
KR20070047025A (ko) * 2005-11-01 2007-05-04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단일 운송로를 가진 금융자동화기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16456A (ko) * 2000-12-12 2001-03-05 박용호 인터넷 폰 셋톱박스 및 이를 이용한 인터넷 폰 통신방식
KR20040020760A (ko) * 2002-09-03 2004-03-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인버터공기조화기의 역률보상컨버터회로
KR20070047025A (ko) * 2005-11-01 2007-05-04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단일 운송로를 가진 금융자동화기기
KR200420760Y1 (ko) * 2006-04-27 2006-07-04 주식회사 유니크톱 수표압인자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7031B1 (ko) * 2013-11-15 2015-03-03 보임테크놀러지 주식회사 수표 압인자기
KR200476422Y1 (ko) * 2013-11-15 2015-03-05 보임테크놀러지 주식회사 수표 압인자기용 리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28888B2 (en) Automated banking machine currency tracking system
US7806317B2 (en) Automated banking machine controlled responsive to data bearing records with currency tracking
US6749111B2 (en) Automated banking machine
EP1808828A2 (en) Method of operating a check depositing terminal and an apparatus therefor
US20020036159A1 (en) Automated banking machine
CA2465116C (en) Automated banking machine currency tracking system and method
WO2014024613A1 (ja) 貨幣処理機、貨幣処理システムおよび貨幣処理方法
US7133741B2 (en) Method and device for accepting articles in the form of sheet-type material
US9852471B2 (en) Systems, methods, and computer-readable media for electronic report tracking
KR101112445B1 (ko) 수표 인식 장치 및 방법
RU2273052C2 (ru) Система и способ для отслеживания денежных знаков посредством автоматизированной банковской машины
KR101007709B1 (ko) 압인자기를 구비한 자동수표분류 스탬핑기
EP2674923B1 (en) Item validation
JP2759379B2 (ja) 有価証券の印字装置
US11410134B2 (en) Systems, methods, and computer-readable media for reconciling deposits
KR101076617B1 (ko) 유가증권 자동 분류장치
KR101262930B1 (ko) 압인자기를 구비한 자동수표분류 스탬핑기를 이용한 발행 또는 회수 수표 자동 분류 방법
KR200374272Y1 (ko) 금융 자동화기기의 출금장치
KR100526580B1 (ko) 지폐류 입출금기의 일시저장장치
KR20110079348A (ko) 자동수표분류기
KR20070096339A (ko) 단일 투입부를 구비한 금융자동화기기
WO2016139779A1 (ja) 紙葉類処理装置、紙葉類処理システムおよび紙葉類処理方法
KR20060042594A (ko) 금융 자동화기기의 출금장치
JP2002321864A (ja) 紙葉類集積処理装置、紙葉類集積処理方法及び紙葉類集積処理用プログラム
ZA200402990B (en) Automated banking machine currency tracking system and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082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00907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00827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0111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10104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1010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1010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7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10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5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11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03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503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710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