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006758B1 - 복합식 척추보호대 - Google Patents

복합식 척추보호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06758B1
KR101006758B1 KR1020080058286A KR20080058286A KR101006758B1 KR 101006758 B1 KR101006758 B1 KR 101006758B1 KR 1020080058286 A KR1020080058286 A KR 1020080058286A KR 20080058286 A KR20080058286 A KR 20080058286A KR 101006758 B1 KR101006758 B1 KR 1010067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ine
waist
protector
plate
suppor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582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32163A (ko
Inventor
유실근
Original Assignee
유실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실근 filed Critical 유실근
Priority to KR10200800582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06758B1/ko
Publication of KR200901321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321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67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6758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long-term immobilising or pressure directing devices for treating broken or deformed bones such as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2Orthopaedic corse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long-term immobilising or pressure directing devices for treating broken or deformed bones such as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2Orthopaedic corsets
    • A61F5/022Orthopaedic corsets consisting of one or more shel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long-term immobilising or pressure directing devices for treating broken or deformed bones such as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2Orthopaedic corsets
    • A61F5/028Braces for providing support to the lower back, e.g. lumbo sacral suppor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long-term immobilising or pressure directing devices for treating broken or deformed bones such as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3Corsets or bandages for abdomen, teat or breast support, with or without pa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rs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합식 척추보호대에 관한 것으로, 요.천추를 보호하는 허리보호대와 허리보호대로 탈착이 가능하도록 흉.요.천추를 지지하는 1.2척추보강판과, 복부와 가슴을 지지할 수 있는 복강판을 별도로 구성하여 척추와 근육의 손상에 따라 일체로 결합하여 착용시에 가슴, 복부, 허리, 등을 감싸며 척추 전체를 지지하는 척추보조기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고,
회복되는 부위와 정도에 맞추어 척추를 지지하던 별도의 구성품을 하나씩 제거하며 사용할 수 있어 간편한 보호대의 기능을 복합적으로 제공할 수 있게 되고 이에 따라 근육의 운동성을 보전시켜 근육과 연부조직의 2차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식 척추보호대에 관한 것이다.
척추보조기, 허리보호대, 허리교정기,

Description

복합식 척추보호대{composite type a belt for protecting backbone}
본 발명은 복합식 척추보호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허리보호대와 허리보호대로 탈착이 가능한 1.2척추보강판과 복강판을 별도로 구성하여 근육과 척추의 손상 정도에 따라 일체가 되게 서로 부착하여 사용시 보조기로서의 기능을 수행하며, 회복되는 정도와 부위에 따라 하나씩 분리시키며 사용시 간편한 보호대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어 근육이나 척추관절의 손상 및 회복 정도에 따라 보조기 및 보호대의 기능을 복합적으로 제공하여 사용자의 편리성을 극대화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식 척추보호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보조기는 골절, 말초신경 마비, 중추신경 마비, 선천적 기형 등으로 인한 기능의 불능이나 장애가 있을 때 사용되며, 기본적인 목적은 장애요인을 최소화하여 정상에 가깝게 또는 정상적으로 불구의 기능이나 잔여기능을 극대화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종래의 흉.요.천추(등, 허리, 엉치뼈)로 이루어진 척추를 보호하기 위한 보조기는
흉.요.천추(TLSO(ThoracoLumboSacral Orthoses)보조기와 요.천추 (LSO(ThoracoLumboSacral Orthoses))보조기로 나눠져서 사용자의 움직임으로 인한 손상부위의 재발을 방지하기 위해 플라스틱을 소재로 하여 인체의 등,허리,복부를 감싸며 착용할 수 있도록 일체로 형성하고 밴드로 고정시켜 압박하는 식으로 구성되어 손상부분의 통증을 경감시키고 손상된 근육이나 척추관절을 보호하며, 기형을 교정하는 목적으로 사용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보조기는 일체로 구성되어 척추를 고정시킴에 따라 장기간 착용시에 회복되어지는 부위의 운동성까지 저하시켜 근육의 위축은 물론 근육, 근막, 인대 등의 연부조직이 장기간 고정됨으로 인한 연축이 발생되면, 만성질환의 원인이 되고, 재활치료가 힘들어 회복속도가 늦어지는 문제점이 발생되었으며,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해 회복되는 정도에 따라 필요부위만을 보호하기 위해서는 해당부위만을 보조하거나 지지해줄 수 있는 별도의 보조기 또는 보호대를 재구매해야 하는 경제적인 부담이 가중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요.천추를 보호하는 허리보호대와 허리보호대로 탈착이 가능하도록 흉.요.천추를 지지하는 1.2척추보강판과, 복부와 가슴을 지지할 수 있는 복강판을 별도로 구성하여 척추와 근육의 손상에 따라 일체로 결합하여 착용시에 가슴, 복부, 허리, 등을 감싸며 척추 전체를 지지하는 척추보조기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고,
회복되는 부위와 정도에 맞추어 척추를 지지하던 별도의 구성품을 하나씩 제거하며 사용할 수 있어 간편한 보호대의 기능을 복합적으로 제공할 수 있게 되고 이에 따라 근육의 운동성을 보전시켜 근육과 연부조직의 2차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복합식 척추보호대를 구성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하면,
허리를 감싸는 밴드부가 좌.우측으로 서로 대응되게 형성되고, 중앙부위에서 서로 대응되는 밴드부의 끝단에 수개의 조임끈이 크로스되게 형성되며, 크로스된 조임끈의 끝단으로 결속고리를 포함한 연결부가 결합되고, 결속고리로 조임밴드 가 연결되어 마련되며, 밴드부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하나 이상의 지지대를 수용하는 지지부가 형성된 허리보호대(10)와,
등부와 허리 및 엉치부위를 감싸도록 형성된 제1척추보강판과,
제1척추보강판으로 결착되어 허리, 엉치부위를 지지하도록 형성된 제2척추보강판과,
복부 형상에 따라 형성된 복부보강심재가 구비되고, 높낮이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높이조절바에 의해서 지지되며 일측면에 하나 이상의 결착고리가 결합된 가슴지지대가 복부보강심재의 상부측으로 결합되어 형성된 복강판으로 이루어진 복합식 척추보호대를 구성하여 척추와 근육의 손상에 따라 일체로 결합하여 착용시에 가슴, 복부, 허리, 등을 감싸며 척추 전체를 지지하는 척추보조기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고, 회복되는 부위와 정도에 맞추어 척추를 지지하던 별도의 구성품을 하나씩 제거하며 사용할 수 있어 간편한 보호대의 기능을 복합적으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의한 복합식 척추보조기에 의하면, 허리보호대와 허리보호대로 탈착이 가능하도록 흉.요.천추를 지지하는 별도의 구성을 통해 환자의 근육 또는 척추관절의 손상 정도나 회복의 정도에 맞추어 척추보조기로서의 기능과 간편한 보호대로서의 기능을 복합적으로 제공할 수 있어 근육의 운동성을 보존시켜 근육과 연부조직의 2차 손상을 막을 수 있으며, 회복에 따라 별도의 보호대가 필요치 않음으로 인해 경제적인 비용을 절감시켜 환자의 부담을 줄일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해 형성되는 복합식 척추보호대의 구성 및 작동상태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체 구성을 보인 분리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복합식 척추보호대의 전체 착용상태를 보인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복합식 척추보호대의 전체 착용상태를 보인 배면도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따른 복합식 척추보호대의 또 다른 착용상태를 보인 정면도이며, 또 5는 본 발명의 따른 복합식 척추보호대의 또 다른 착용상태를 보인 배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따른 복합식 척추보호대의 또 다른 전체 착용상태를 보인 정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따른 복합식 척추보호대의 또 다른 전체 착용상태를 보인 배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은 허리를 감싸는 밴드부(11,11a)가 좌.우측으로 서로 대응되게 형성되고, 중앙부위에서 서로 대응되는 밴드부(11,11a)의 끝단에 수개의 조임끈(16)이 크로스되게 형성되며, 크로스된 조임끈(16)의 끝단으로 결속고리(13)를 포함한 연결부(12)가 결합되고, 결속고리(13)로 조임밴드(14)가 연결되어 마련되며, 밴드부(11,11a)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하나 이상의 지지대(15a)를 수용하는 지지부(15)가 형성된 허리보호대(10)와,
상부측으로 벨크로테이프(23a)를 포함한 어깨끈(23)이 마련된 제1커버(22)로 인체의 등부 형상에 따라 형성된 제1보강심재(21)를 개재시켜 등부와 허리 및 엉치부위를 감싸도록 형성된 제1척추보강판(20)과,
상부 양측면에 벨크로테이프(33a)를 포함한 결합부(33)가 날개형상으로 마련 된 제2커버(32)로 인체의 등부 형상에 따라 형성된 제2보강심재(31)를 개재시켜 허리, 엉치부위를 지지하도록 형성된 제2척추보강판(30)과,
복부 형상에 따라 형성된 복부보강심재(42)가 구비되고, 높낮이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높이조절바(43)에 의해서 지지되며 일측면에 하나 이상의 결착고리(41a)가 결합된 가슴지지대(41)가 복부보강심재(42)의 상부측으로 결합되어 형성된 복강판(40)으로 복합식 척추보호대(100)를 구성한 것에 특징이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복합식 척추보호대(100)는 허리를 압박하게 되는 허리보호대(10)로 착탈 가능하게 등부와 허리 부위의 형상에 따라 형성된 보강심재(21,31)가 개재된 제1.2척추보강판(20,30)과, 복부와 가슴을 지지하게 되는 복강판(40)을 별도로 구성하고, 일체로 결합하여 사용시 손상된 근육이나 척추관절을 보호 및 교정의 목적으로 사용되는 척추보조기의 역할을 완벽히 수행하고, 손상부위의 회복되는 부위나 정도에 따라 별도의 부재를 하나씩 제거하며 사용시 간편한 보호대의 기능으로 또한 복합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에 그 기술적 특징이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복합식 척추보호대(100)는 일반적인 허리보호대의 기능은 물론 별도로 분리되어 구성되는 부재를 사용하여 손상된 부위에 따라 허리보호대(10)와 결속하여 사용할 수 있어 손상부위만을 집중하여 효과적으로 지지 및 보호할 수 있게 된다.
한편, 각 도면 및 상세한 설명에서 일반적인 척추보호대로부터 이 분야의 종사자들이 용이하게 알 수 있는 구성 및 작용에 대한 도시 및 언급은 간략히 하거나 생략하엿다. 특히 도면의 도시 및 상세한 설명에 있어서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과 직접적으로 연관되지 않는 요소의 구체적인 기술적 구성 및 작용에 대한 상세한 설명 및 도시는 생략하고, 본 발명과 관련되는 기술적 구성만을 간략하게 도시하거나 설명하였다. 그리고 도면의 도시에 있어서 요소들 사이의 크기 비가 다소 상이하게 표현되거나 서로 결합되는 부품들 사이의 크기가 상이하게 표현된 부분도 있으나, 이와 같은 도면의 표현 차이는 이 분야의 종사자들이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는 부분들이므로 별도의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고정수단으로 사용되는 벨크로 테이프는 이 분야의 종사자들이 통상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서 상세한 설명 및 구체적인 도면에 도시는 생략하였음을 밝혀두는 바이다.
본 발명에 의한 복합식 척추보호대(100)의 구성을 착용상태에 따라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허리보호대(10)는 도 2 내지 도 3에 보인 바와 같이 착용자 혼자서도 스스로 착용을 실시할 수 있는 것인데, 착용을 도와줄 수 있는 경우라면 보다 수월한 착용이 가능할 것이다.
착용 전 제1.2척추보강판(20,30)을 구성하는 제1.2보강심재(21,31)는 각 제1.2커버(22,32) 내부로 개재시켜 일체가 되게 결합되어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며, 제1.2보강심재(21,31)는 인체에 무리한 힘이 전달되지 않고, 착용시 착용되는 인체부위로 통풍을 위해 중앙에 관통공(21a,31a)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복강판(40)을 구성하는 복부보강심재(42) 또한 관통공(42a)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한 제1.2보강심재(21,31)는 강성을 가지는 합성수지재 또는 금속재의 판으로 인체의 등 형상을 따라서 상기 제1.2 덮개에 수용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된다.
특히, 인체의 등부 굴곡형상을 따라 등부 보강심재(21,31)의 측면현상은 절곡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복강판(40)을 구성하는 복부보강심재(42) 또한 복부형상에 따라 굴곡되는 구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2보강심재(21,31)를 수용하게 되는 제1.2커버(22,32) 내측으로는 쿠션재(미도시)를 구성하여 등부와 허리를 탄력 있게 지지하도록 하였으며, 상기 제1척추보호대(20)는 흉추와 요추부분 즉 척추의 중추적인 부분을 적극적으로 지지해주게 되며, 제2척추보강판(30)는 제1척추보강판(20)와 이중구조를 형성하여 요추, 천추 부위로 더욱 긴밀하게 밀착되어 요추, 천추를 효과적으로 지지하며 착용시 허리의 움직임을 저지시켜 척추를 보호하게 된다.
상기 복강판(40)은 흉추 즉 등부척추의 손상으로 인해 등부로 제1척추보강판(20)를 착용시, 인체의 복부와 가슴측에서도 척추의 굽혀짐을 방지하기 위해 제1척추보강판(20)와 함께 착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으로서,
이하, 착용과정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허리보호대(10)를 착용하기 전 제1.2척추보강판(20,30)을 결착하되, 제1척추보강판(20)에 형성된 벨크로테이프부(24)로 제2척추보강판(30)의 벨크로테이프(33a)가 포함된 날개형상의 결합부(33)를 붙이는 식으로 결착하여 인체의 허리와 등부로 거치시키면서 허리보호대(10) 크 로스되어진 조임끈(16)이 제1척추보강판(20)의 중앙 부위로 위치하도록 하여 제1척추보강판(20)을 감싸며 좌.우측 밴드부(11,11a)의 끝단부가 복부에서 겹쳐지며 벨크로 테이프(미도시)에 의해 허리 둘레에서 고정되게 된다.
여기서, 중앙부위에서 크로스되며 끝단으로 연결부가 결합되는 조임끈(16)은 코르셋과 동일한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연결부(12)의 결속고리(13)로 결합되는 조임밴드(14)를 당겨 압박을 가할 시에 요추 및 천추 부위로 더욱 조밀하게 압박하며 밀착시켜 우수한 압박기능을 제공할 수 있게 되며, 밴드부(11,11a)에 소정의 간격마다 지지대(15a)가 수용된 지지부(15)로 인해 허리둘레 전체를 지지해 주게 된다.
상기 허리보호대(10)의 조임밴드(14)가 형성된 반대편 즉 체부와 맞닿이는 좌.우측 밴드부(11,11a) 일단은 통기성이 우수한 섬유재질을 소재로 하여 구성되어 있으며, 일측 밴드부(11,11a)의 일측 끝단 부위로 벨크로 테이프(미도시)가 형성되어 허리부위를 감싸며 고정시키게 된다.
등부와 허리를 감싸며 좌.우측 밴드부의 의해 복부에서 고정이 완료되면, 크로스된 조임끈(16)의 끝단으로 결합된 연결부(12)의 결착고리(13)로 결합된 조임밴드(14)를 복부쪽으로 당겨서 크로스되어진 조임끈(16)이 당겨짐과 동시에 허리로 더욱 압박을 가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허리보호대(10)에 의해 등부와 허리부위로 제1.2척추보강대(20,30)의 착용이 되면, 가슴지지대(41)와 복부보강심재(42)가 높이조절바(43)에 의해 결합되어 형성된 복강판(40)을 복부와 가슴 부위로 착용하되, 복강 판(40)의 착용 전, 별도로 구비되는 복부보강심재덮개(44)에 복부보강심재(42)를 수용시키고, 복부보강심재(42)를 복부로 결합된 허리보호대(10)의 밴드부(11,11a) 내측으로 끼움식으로 끼움하거나, 벨크로테이프에 의해 결착된 좌.우측 밴드부(11,11a)를 풀어서 재결속하는 식의 방법을 통해 복부에 복강판(40)을 고정시키게 된다. 상기 복강판(40)의 착용방법은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실시하여도 무방하다.
한편, 복부에 복강판(40)을 고정하기 전, 높이조절바(43)를 통해 가슴지지대(41)를 신체에 따라 조절하여 가슴을 받쳐줄 수 있게 되며, 높이조절바(43)는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상부바(43a)와 하부바(43b)가 조립형성되는 것으로, 상부바(43a) 및 하부바(43b)에는 장공(43c)이 형성되고 상기 장공간에는 조절너트가 마련되어 허리보호대를 착용하는 사람의 체형에 따라서 적당히 그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허리보호대(10)의 밴드부(11,11a) 내측 복부 부위로 복강판(40)의 복부보강심재(42)가 끼움식으로 고정이 되면, 더욱 안정적인 결속과 효과적인 척추고정을 유도하기 위해 제1덮개부(22)의 상부측에 형성된 어깨끈(23)을 등부에서 어깨너머로 넘기어 가슴지지대(41)로 마련된 하나 이상의 결착고리(41a)로 각 어깨끈(23)을 끼움식으로 연결하여 다시 어깨끈(23)을 어깨너머 등부방향으로 넘겨서 어깨끈(23)에 형성된 벨크로 테이프(23a)에 의해 결속시키되, 크로스 형상이 되게 결속시켜 가슴지지대(41)가 인체의 가슴부분에 밀착된 상태가 되도록 한다. 이 때에 어깨끈(23)이 도 3에 보인바와 같이 크로스 형상이 되게 결속함은 가슴지지대(41)가 가슴부분에 밀착시에 더욱 안정적인 밀착을 유지할 수 있음은 물론 제1척추보강판(20)과 제1척추보강판(20)의 내측으로 포함되는 제2척추보강판(30)이 등부와 허리로 더욱 긴밀하게 밀착되어 척추를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어깨끈(23)에 의해 장시간 착용하고 움직여도 제1척추보강판(20),복강판(40)이 흘러내리지 않게 되며, 보다 더 착용자의 상체에 안정된 상태로 고정할 수 있다.
상기 어깨끈(23)은 어깨끈(23)으로 포함된 벨크로테이프(23a)에 의해 허리보호대(10) 어느부위에나 부착이 가능한 섬유재질로서 허리보호대(10)를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4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의한 복강판(40)이 제거된 다른 착용상태를 보인 것으로, 손상된 부위의 회복으로 회복된 부위의 운동성이 저하되어 근육의 위축을 방지하기 위해 복강판(40)을 제거한 후, 제1척추보강판(20)을 착용시에는 제1척추보강판(20)의 마련된 어깨끈(23)을 등부에서 어깨너머로 넘기어 각 어깨끈(23)이 넘겨지는 어깨의 겨드랑이 사이를 지나게 하되, 어깨와 겨드랑이 사이를 감싸면서 등 부위에서 서로 크로스 되게 결속하여 제1척추보강판(20)과 제1척추보강판(20)의 내측으로 포함되는 제2척추보강판(30)이 등부와 허리로 더욱 긴밀하게 밀착되어 척추를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이는 복강판(40)을 제거시킨 후 착용상태에 대해서만 설명한 것이며, 척추가 손상된 부위의 회복 정도에 따라 별도로 구성된 제1,2척추보강판(20,30) 또한 하나씩 제거해 가며 간편하고 단순 허리보호대의 기능으로도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별도로 분리 구성되는 제1.2척추보강판(20,30)과 복강판(40)을 허리보호대(10)와 함께 일체로 착용할 수 있도록 구성함에 따라 착용자의 허리부의 고정상태가 보다 효과적으로 유지되어 허리의 사용을 억제하여야 하는 환자의 경우에 보다 효과적인 치료가 가능하도록 척추보조기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허리의 자세교정을 위한 착용자의 경우에는 제1.2척추보강판(20,30)에 의해서 자세가 고정되므로서 교정의 효과가 향상되며, 간편한 보호대로서의 사용 기능 또한 충분하게 제공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6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복강판(40)과 제1척추보강판과의 다른 연결구성에 의한 착용상태를 보인 것으로, 제1척추보강판(20)의 상부측으로 복강판(40)의 가슴지지대(41)에 결착고리(41a)가 마련된 것과 같이 제1척추보강판(20)을 구성하는 제1커버(22)의 상부측으로 어깨끈(23)이 제거되고, 도 7에 보인 것과 같이 하나 이상의 결합고리(25)를 구성하고 별도로 마련되는 밸크로테이프가 포함된 연결끈(50)을 사용하여 착용시 제1척추보강판(20)의 결합고리(25)측에서 먼저 연결끈(50)을 결착시키되, 연결끈(50)을 결합고리(25)의 고리로 끼우고, 끼워진 연결끈(50) 부위를 다시 접어서 연결끈(50) 부위로 부착시켜 결착시키고, 반대방향 연결끈(50) 부위를 어깨너머로 넘겨서 가슴지지대(41)의 결착고리(41a)로 끼우고 연결끈(50)을 당겨 복강판(40)과 제1척추보강판(20)이 인체를 압박하며 밀착되게 하여 당겨진 연결끈(50)의 끝단부를 접으면서 연결끈(50)으로 부착하여 고정시킴에 따라 쉽고 간편하게 착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제1커버(22)로 구성되는 결합고리(25)를 제1보강심재(21)의 상부측으 로 구성하여 1덮개(22)가 필요없이 제1보강심재(21) 자체와 복강판(40)을 연결끈(50)에 의해 결착시켜 사용함으로서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합식 척추보호대(100)를 상기한 설명 및 도면에 따라 도시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 분야의 통상적인 기술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체 구성을 보인 분리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복합식 척추보호대의 전체 착용상태를 보인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복합식 척추보호대의 전체 착용상태를 보인 배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따른 복합식 척추보호대의 다른 착용상태를 보인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따른 복합식 척추보호대의 다른 착용상태를 보인 배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따른 복합식 척추보호대의 또 다른 전체 착용상태를 보인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따른 복합식 척추보호대의 또 다른 전체 착용상태를 보인 배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복합식 척추보호대
10 : 허리보호대 11 : 밴드부 12 : 연결부 13 : 결착고리 14 : 조임밴드 15 : 지지부 16 : 조임끈
20 : 제1척추보강판 21 : 제1보강심재 22 : 제1덮개 23 : 어깨끈
30 : 제2척추보강판 31 : 제2보강심재 32 : 제2덮개 33 : 결합부
40 : 복강판 41 : 가슴지지대 42 : 복부보강심재 43 : 높이조절바
44 : 복부보강심재덮개

Claims (5)

  1. 인체의 흉추, 요추, 천추로 이루어진 척추부위를 고정하여 교정 및 보호하게 되는 척추보호대에 있어서,
    허리를 감싸는 밴드부(11,11a)가 좌.우측으로 서로 대응되게 형성되고, 중앙부위에서 서로 대응되는 밴드부(11,11a)의 끝단에 수개의 조임끈(16)이 크로스되게 형성되며, 크로스된 조임끈(16)의 끝단으로 결속고리(13)를 포함한 연결부(12)가 결합되고, 결속고리(13)로 조임밴드(14)가 연결되어 마련되며, 밴드부(11,11a)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하나 이상의 지지대(15a)를 수용하는 지지부(15)가 형성된
    허리보호대(10)와,
    등부와 허리 및 엉치부위를 감싸도록 형성된 제1척추보강판(20)과,
    제1척추보강판으로 결착되어 허리, 엉치부위를 지지하도록 형성된 제2척추보강판(30)과,
    복부 형상에 따라 형성된 복부보강심재(42)가 구비되고, 높낮이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높이조절바(43)에 의해서 지지되며 일측면에 하나 이상의 결착고리(41a)가 결합된 가슴지지대(41)가 복부보강심재(42)의 상부측으로 결합되어 형성된 복강판(4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식 척추보호대(100).
  2. 제 1항에 있어서, 등부와 허리 및 엉치부위를 감싸도록 형성된 제1척추보강 판(20)은 상부측으로 벨크로테이프(23a)를 포함한 어깨끈(23)이 마련된 제1커버(22)가 구비되고, 제1커버(22) 내부에 인체의 등부 형상에 따라 형성된 제1보강심재(21)를 개재시켜 일체로 구성하여 허리보호대(10)와 함께 착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식 척추보호대(100).
  3. 제 2항에 있어서, 제 1척추보강판(20)을 구성하는 제1커버(22)의 상부측으로는 어깨끈(23)을 제거하고 하나 이상의 결합고리(25)를 마련하여 별도로 구비되는 연결끈(50)을 통해 복강판(40)의 가슴지지대(41) 상부측 결착고리(41a)와 결착시켜 착용할 수 있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식 척추보호대(100).
  4. 제 1항에 있어서, 허리 및 엉치부위를 감싸도록 형성된 제2척추보강판(30)은상부 양측면에 벨크로테이프(33a)를 포함한 결합부(33)가 날개형상으로 마련된 제2커버(32)로 인체의 등부 형상에 따라 형성된 제2보강심재(31)를 개재시켜 일체로 구성하여 제1척추보강판(20)의 벨크로테이프부(24)로 날개형상의 결합부(33)를 결착시켜 이중구조를 형성하며 허리, 엉치부위로 밀착되고 압박하며 지지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식 척추보호대(100).
  5. 제 2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제1.2척추보강판(30)은 척추의 손상 및 회복부위와 정도에 따라 선택적으로 허리보호대(10)와 함께 착탈하며 사용할 수 있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식 척추보호대(100).
KR1020080058286A 2008-06-20 2008-06-20 복합식 척추보호대 Active KR1010067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8286A KR101006758B1 (ko) 2008-06-20 2008-06-20 복합식 척추보호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8286A KR101006758B1 (ko) 2008-06-20 2008-06-20 복합식 척추보호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32163A KR20090132163A (ko) 2009-12-30
KR101006758B1 true KR101006758B1 (ko) 2011-01-10

Family

ID=416912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58286A Active KR101006758B1 (ko) 2008-06-20 2008-06-20 복합식 척추보호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0675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0223B1 (ko) 2013-10-18 2015-09-04 전대일 요대
CN106659578A (zh) * 2014-07-01 2017-05-10 兴和株式会社 护具
KR102139734B1 (ko) 2020-03-24 2020-07-30 주식회사이지무브 이지 파워 슈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1760B1 (ko) * 2013-10-21 2015-06-25 장호석 이중 허리 보호대
KR101752047B1 (ko) 2015-02-26 2017-06-29 광주보건대학산학협력단 분리형 척추 보호대
CN115006112B (zh) * 2022-05-23 2023-04-25 重庆市长寿区妇幼保健院 一种妇产科剖宫产后康复护理带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53266B1 (ko) 2000-03-03 2002-09-19 김영배 척추 보조기
KR20030050514A (ko) * 2001-12-18 2003-06-25 주식회사 포스코 용강 유출 차단장치
KR20040034837A (ko) * 2002-10-17 2004-04-2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현가장치의 트레일링암 지지구조
KR200350514Y1 (ko) 2004-02-12 2004-05-17 류실근 허리보호대
KR200434837Y1 (ko) 2006-08-22 2006-12-28 류실근 허리 보호대
KR100830182B1 (ko) 2007-05-10 2008-05-20 강욱 의료용보호대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53266B1 (ko) 2000-03-03 2002-09-19 김영배 척추 보조기
KR20030050514A (ko) * 2001-12-18 2003-06-25 주식회사 포스코 용강 유출 차단장치
KR20040034837A (ko) * 2002-10-17 2004-04-2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현가장치의 트레일링암 지지구조
KR200350514Y1 (ko) 2004-02-12 2004-05-17 류실근 허리보호대
KR200434837Y1 (ko) 2006-08-22 2006-12-28 류실근 허리 보호대
KR100830182B1 (ko) 2007-05-10 2008-05-20 강욱 의료용보호대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0223B1 (ko) 2013-10-18 2015-09-04 전대일 요대
CN106659578A (zh) * 2014-07-01 2017-05-10 兴和株式会社 护具
KR102139734B1 (ko) 2020-03-24 2020-07-30 주식회사이지무브 이지 파워 슈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32163A (ko) 2009-12-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49021B2 (en) Orthopedic back support or vertebral column brace
US7959590B2 (e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patella support
EP2200545B1 (en) Adjustable posterior spinal orthosis
US10406014B2 (en) Low-profile, postural corrective garment for therapeutic relief of low back pain and mechanical lumbar disorders
US8864695B2 (en) Adjustable brace apparatus
KR101006758B1 (ko) 복합식 척추보호대
KR101584194B1 (ko) 척추 보호 및 보정 용구
US9522077B1 (en) Adjustable dual function spinal exoskeleton active spinal orthosis
US8007454B1 (en) Ankle support assembly and method of supporting an ankle
KR101769288B1 (ko) 척추측만증 환자용 비대칭 척추보조기구
US20150133842A1 (en) Tensioning system for dorsal orthopedic supports for the vertebral column
KR102139734B1 (ko) 이지 파워 슈트
CN103096846A (zh) 矫形装置
US9504596B1 (en) Convertible orthotic brace
KR101369164B1 (ko) 자세교정용 보조기
JP6357631B2 (ja) 椎体疾患用装具
US9615956B2 (en) Orthopedic clavicle brace
KR102678445B1 (ko) 척추측만증 교정을 위한 기능성 보조기
KR20190093057A (ko) 척추측만증 환자용 비대칭 척추보조기구
CN206138255U (zh) 肩关节半脱位保护器
KR102017525B1 (ko) 요천추 척추 보조기
RU2675741C2 (ru) Усовершенствованный поясничный корсет
US12036142B1 (en) Body brace and method of use
KR102190685B1 (ko) 척추 교정벨트
JP2017158941A (ja) ハイブリッド型体幹装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8062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006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01202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0123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0123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31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103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2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110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3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103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6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1126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2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1112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1125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1222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1218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1111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