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005615B1 - 입체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입체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05615B1
KR101005615B1 KR1020090005162A KR20090005162A KR101005615B1 KR 101005615 B1 KR101005615 B1 KR 101005615B1 KR 1020090005162 A KR1020090005162 A KR 1020090005162A KR 20090005162 A KR20090005162 A KR 20090005162A KR 101005615 B1 KR101005615 B1 KR 1010056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ase
region
light
wavelength
phase delay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051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85729A (ko
Inventor
이만환
하경수
Original Assignee
잘만쓰리디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잘만쓰리디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잘만쓰리디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051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05615B1/ko
Priority to EP10733621A priority patent/EP2391143A4/en
Priority to PCT/KR2010/000288 priority patent/WO2010085068A2/ko
Publication of KR201000857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857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56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5615B1/ko
Priority to US13/188,273 priority patent/US20120019525A1/en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 G02B30/2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 G02B30/22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of the stereoscopic type
    • G02B30/25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of the stereoscopic type using polarisation techniqu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83Birefringent or phase retarding el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32Displays for viewing with the aid of special glasses or head-mounted displays [HMD]
    • H04N13/337Displays for viewing with the aid of special glasses or head-mounted displays [HMD] using polarisation multiplex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ereoscopic And Panoramic Photograph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되는 입체 이미지의 왜곡을 줄일 수 있는 입체 디스플레이 장치를 위하여, 일 방향으로 선편광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디스플레이부에서 방출되는 광이 통과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 전방에 배치되고 파장 λG의 광을 λG/4 위상지연시킬 수 있되 위상지연축이 상호 교차하는 제1영역과 제2영역을 갖는 입체필터와, 상기 디스플레이부에서 방출되는 광이 통과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 전방에 배치되고 상기 파장 λG의 광을 λG/4 위상지연시킬 수 있는 위상보정판을 구비하며, 상기 입체필터와 상기 위상보정판은, 상기 파장 λG 외의 파장 λ의 광에 대해 위상지연량이 λ/4를 기준으로 상호 반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입체 디스플레이 장치{Stereoscopic display apparatus}
본 발명은 입체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디스플레이되는 입체 이미지의 왜곡을 줄일 수 있는 입체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입체 디스플레이 장치는 좌안용 이미지와 우안용 이미지를 동시에 디스플레이하되, 시청자의 좌안은 좌안용 이미지만 인식하고 우안은 우안용 이미지만을 인식하도록 함으로서 시청자가 입체 이미지를 느끼도록 한다.
도 1은 종래의 입체 디스플레이 장치(10)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개념도이다. 입체 디스플레이 장치(10)는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입체용 안경(20)을 포함하여 언급될 수도 있고, 입체용 안경(20)을 제외하고 언급될 수도 있다. 종래의 입체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부(11)와 입체필터(12)를 구비한다. 디스플레이부(11)는 좌안용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좌안용 이미지 영역(11')과 우안용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우안용 이미지 영역(11")을 가지며, 일 방향으로 선편광된 광을 방출한다. 입체필터(12)는 좌안용 이미지 영역(11')에 대응하는 제1영역(12')과 우안용 이미지 영역(11")에 대응하는 제2영역(12")을 갖는다. 제1영역(12')은 통과하는 광을 상기 일 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 편광시키며, 제2영역(12")은 상기 일 방향으로 편광된 상태로 광을 통과시킨다. 즉 제1영역(12')은 통과하는 광의 위상을 λ/2만큼 지연시킨다. 입체용 안경(20)의 좌안용 선편광판(2L)은 제1영역(12')을 통과한 좌안용 이미지 영역(11')에서 방출된 광만이 통과되어 시청자의 좌안에서 인식되고, 입체용 안경(20)의 우안용 선편광판(2R)은 제2영역(12")을 통과한 우안용 이미지 영역(11")에서 방출된 광만이 통과되어 시청자의 우안에서 인식되도록 함으로써, 시청자가 입체 이미지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
입체필터(12)의 제1영역(12')은 통과하는 광의 위상을 λ/2만큼 지연시켜 상기 일 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 편광시키며, 제2영역(12")은 상기 일 방향으로 편광된 상태로 통과시킴으로써, 제1영역(12')과 제2영역(12") 각각을 통과하는 광의 편광상태를 상이하게 만든다. 그러나 파장에 따른 위상지연정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그래프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상지연정도는 이상적으로는 파장에 관계없이 모든 파장 대역에 있어서 일정해야 하지만(즉, 도 2에서 가로축에 수평인 좌우로 연장되는 직선이 되어야 함), 실제로는 파장에 따라 위상지연정도가 상이하게 된다. 즉, 550nm 파장의 광의 위상을 지연시키는 정도를 R(550)이라 하고 파장 λ의 광의 위상을 지연시키는 정도를 R(λ)라 할 시, 550nm보다 짧은 파장의 광은 550nm 파장의 광보다 더 많이 위상이 지연되고, 550nm보다 긴 파장의 광은 550nm 파장의 광보다 더 적게 위상이 지연된다.
이에 따라 입체필터(12)의 제1영역(12')을 통과하는 광이 특정 파장(예컨대 550nm가 아닌 파장)에서는 의도했던 바와는 상이한 편광상태가 되어, 좌안용 이미지 영역(11')에서 방출된 광이 입체용 안경(20)의 우안용 선편광판(2R)을 통과하여 시청자의 우안에서 인식될 수 있어, 결과적으로 시청자가 인식하는 입체 이미지의 품질이 저하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포함하여 여러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디스플레이되는 입체 이미지의 왜곡을 줄일 수 있는 입체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일 방향으로 선편광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디스플레이부에서 방출되는 광이 통과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 전방에 배치되고 파장 λG의 광을 λG/4 위상지연시킬 수 있되 위상지연축이 상호 교차하는 제1영역과 제2영역을 갖는 입체필터와, 상기 디스플레이부에서 방출되는 광이 통과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 전방에 배치되고 상기 파장 λG의 광을 λG/4 위상지연시킬 수 있는 위상보정판을 구비하며, 상기 입체필터와 상기 위상보정판은, 상기 파장 λG 외의 파장 λ의 광에 대해 위상지연량이 λ/4를 기준으로 상호 반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입체필터의 상기 제1영역의 위상지연축과 상기 일 방향은 45°를 이루는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위상보정판의 위상지연축은 상기 입체필터의 상기 제1영역의 위상지연축과 평행한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에서 방출되어 상기 입 체필터의 상기 제1영역과 상기 위상보정판을 통과한 광은 상기 일 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선편광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입체필터의 상기 제1영역의 위상지연축과 상기 제2영역의 위상지연축은 상호 수직인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에서 방출되어 상기 입체필터의 상기 제2영역과 상기 위상보정판을 통과한 광은 상기 일 방향에 평행한 방향으로 선편광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파장 λG 외의 파장 λ의 광에 대해, 상기 입체필터의 위상지연량이 λ/4보다 크다면 상기 위상보정판의 위상지연량은 λ/4보다 작고, 상기 입체필터의 위상지연량이 λ/4보다 작다면 상기 위상보정판의 위상지연량은 λ/4보다 큰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일 방향으로 선편광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디스플레이부에서 방출되는 광이 통과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 전방에 배치되고 파장 λG의 광을 제2위상지연량만큼 위상지연시킬 수 있되 위상지연축이 상호 교차하는 제1영역과 제2영역을 갖는 입체필터와, 상기 디스플레이부에서 방출되는 광이 통과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 전방에 배치되고 상기 파장 λG의 광을 제1위상지연량만큼 위상지연시킬 수 있는 위상보정판을 구비하며, 상기 파장 λG 외의 파장 λ의 광에 대해, 상기 위상보정판의 위상지연량이 상기 입체필터의 위상지연량보다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입체필터의 상기 제1영역의 위상지연축과 상기 일 방향은 45°를 이루는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위상보정판의 위상지연축은 상기 입체필터의 상기 제1영역의 위상지연축과 평행한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에서 방출되어 상기 입체필터의 상기 제1영역과 상기 위상보정판을 통과한 상기 파장 λG의 광은 상기 일 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선편광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입체필터의 상기 제1영역의 위상지연축과 상기 제2영역의 위상지연축은 상호 수직인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에서 방출되어 상기 입체필터의 상기 제2영역과 상기 위상보정판을 통과한 상기 파장 λG의 광은 상기 일 방향에 평행한 방향으로 선편광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사용자가 착용할 입체용 안경을 더 포함하며, 상기 입체용 안경의 좌안렌즈와 우안렌즈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일 방향으로 선편광된 광을 통과시키고, 다른 하나는 상기 일 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선편광된 광을 통과시키는 것으로 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입체 디스플레이 장치에 따르면, 디스플레이되는 입체 이미지의 왜곡을 줄일 수 있는 입체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현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체 디스플레이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개념도이고, 도 4는 도 3의 입체 디스플레이 장치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광의 편광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개념도이며, 도 5는 도 3의 입체 디스플레이 장치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광의 파장에 따른 위상지연정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그래프이다.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입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부(110), 입체필터(120) 및 위상보정판(130)을 구비한다. 도 3에서는 입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디스플레이부(110), 입체필터(120) 및 위상보정판(130)이 상호 이격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편의상 그와 같이 도시한 것일 뿐이며, 상호 인접하여 배치되거나 상호 컨택하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입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디스플레이부(110), 입체필터(120) 및 위상보정판(130)을 포함하는 구성요소를 참조번호 100으로서 입체 디스플레이 장치라 할 수 있다. 물론 도 3에는 시청자가 착용할 입체용 안경(200)도 도시하고 있는 바, 도 3에 도시된 디스플레이부(110), 입체필터(120), 위상보정판(130) 및 입체용 안경(200)까지 포함하는 구성요소를 입체 디스플레이 장치라고 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의 설명에 있어서는 편의상 디스플레이부(110), 입체필터(120) 및 위상보정 판(130)을 포함하는 구성요소를 참조번호 100으로서 입체 디스플레이 장치라 한다.
디스플레이부(110)는 일 방향으로 선편광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일 방향으로 선편광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하여, 디스플레이부(110)는 선편광판(미도시)을 구비할 수도 있다. 물론 디스플레이부(110)가 백라이트(미도시)를 포함한다면, 이 백라이트가 일 방향으로 선편광된 광을 방출함으로써 자연스럽게 디스플레이부(110)가 일 방향으로 선편광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이미지는 스틸 이미지일 수도 있고 영화 등과 같은 동영상일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110)는 시청자의 좌안에서 인식될 좌안용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좌안용 이미지 영역(112)과, 시청자의 우안에서 인식될 우안용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우안용 이미지 영역(114)을 갖는다. 도 3에서는 좌안용 이미지 영역(112)과 우안용 이미지 영역(114)이 스트라이프 패턴을 갖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편의상 그와 같이 도시한 것으로서 이와 상이한 다양한 패턴을 가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입체필터(120)는 디스플레이부(110)의 전면(全面)에 대응하도록 디스플레이부(110) 전방에 배치되어, 디스플레이부(110)에서 방출되는 광이 통과하도록 한다. 여기서 디스플레이부(110)의 전면이라 함은 디스플레이부(110)에서 광이 방출되는 영역 또는 그러한 영역을 포함하는 영역을 의미한다. 이러한 입체필터(120)는 제1영역(122)과 제2영역(124)을 갖는다. 제1영역(122)은 디스플레이부(110)의 좌안용 이미지 영역(112)에 대응하며, 제2영역(124)은 디스플레이부(110)의 우안용 이미지 영역(114)에 대응한다. 물론 이와 달리 제1영역(122)이 디스플레이부(110)의 우안 용 이미지 영역(112)에 대응하고 제2영역(124)이 디스플레이부(110)의 좌안용 이미지 영역(114)에 대응할 수도 있는 바, 본 실시예 및 후술하는 실시예들 및 변형예들에서는 편의상 제1영역(122)이 디스플레이부(110)의 좌안용 이미지 영역(112)에 대응하고 제2영역(124)이 디스플레이부(110)의 우안용 이미지 영역(114)에 대응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입체필터(120)의 제1영역(122)과 제2영역(124)은 위상지연축이 상호 교차한다. 즉, 입체필터(120)의 제1영역(122)과 제2영역(124)은 특정 파장 λG의 광을 λG/4 위상지연시킬 수 있되 위상지연축이 상호 교차한다. 여기서 상기 파장 λG의 광은 예컨대 λG=550nm인 녹색광이 될 수 있다.
위상보정판(130)은 디스플레이부(110)에서 방출되는 광이 통과하도록 디스플레이부(110) 전방에 배치된다. 도 3에서는 디스플레이부(110)에서 방출되어 입체필름(120)을 통과한 광이 위상보정판(130)을 통과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위상보정판(130)은 상기 파장 λG의 광을 λG/4 위상지연시킬 수 있는데, 위상보정판(130)은 나아가 입체필터(120)를 통과한 광의 위상을 보정하는 역할도 한다.
이러한 입체필터(120)와 위상보정판(130)은, 상기 파장 λG 외의 파장 λ의 광에 대해 위상지연량이 λ/4를 기준으로 상호 반대이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입체용 안경(200)은 좌안렌즈와 우안렌즈를 갖는데, 좌안렌즈는 좌안용 선편광판(220L)이고 우안렌즈는 우안용 선편광판(220R)일 수 있다. 입체용 안경(200)의 좌안렌즈와 우안렌즈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일 방향으로 선편광된 광을 통과시키고, 다른 하나는 상기 일 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선편광된 광을 통과시킨다. 전술한 바와 같이 편의상 제1영역(122)이 디스플레이부(110)의 좌안용 이미지 영역(112)에 대응하고 제2영역(124)이 디스플레이부(110)의 우안용 이미지 영역(114)에 대응한다고 하였는 바, 이에 따라 입체용 안경(200)의 좌안용 선편광판(220L)은 제1영역(122)을 통과한 광을 투과시켜 시청자의 좌안에 입사하도록 하고 입체용 안경(200)의 우안용 선편광판(220R)은 제2영역(124)을 통과한 광을 투과시켜 시청자의 우안에 입사하도록 한다.
도 4를 참조하여 도 3의 입체 디스플레이 장치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디스플레이부(110)에서는 일 방향으로 선편광된 광(ℓ1)으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한다. 도 4에서는 x축과 45°를 이루는 방향으로 선편광된 것으로 도시하고 있다. 이 광(ℓ1)은 디스플레이부(110)에서 방출된 후 입체필터(120)를 통과한다.
좌안용 이미지의 광은 입체필터(120)의 제1영역(122)을 통과하게 되는데,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입체필터(120)의 제1영역(122)의 위상지연축(PRAL2)과 상기 일 방향은 45°를 이룰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입체필터(120)의 제1영역(122)은 특정 파장 λG의 광을 λG/4 위상지연시킬 수 있는 바, 이에 따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체필터(120)의 제1영역(122)을 통과한 광은 (디스플레이부(110)에서 시청자 방향으로 바라보았을 시) 우원편광의 광(ℓL2)이 된다.
우안용 이미지의 광은 입체필터(120)의 제2영역(124)을 통과한다.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입체필터(120)의 제2영역(124)의 위상지연축(PRAR2)은 입체필터(120)의 제1영역(122)의 위상지연축(PRAL2)과 교차하는데, 구체적으로는 입체필터(120)의 제2영역(124)의 위상지연축(PRAR2)은 제1영역(122)의 위상지연축(PRAL2)과 대략 상호 수직일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입체필터(120)의 제2영역(124)은 특정 파장 λG의 광을 λG/4 위상지연시킬 수 있는 바, 이에 따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체필터(120)의 제2영역(124)을 통과한 광은 (디스플레이부(110)에서 시청자 방향으로 바라보았을 시) 좌원편광의 광(ℓR2)이 된다.
입체필터(120)의 제1영역(122)을 통과한 좌안용 이미지의 광(ℓL2)은 위상보정판(130)을 통과하게 된다. 위상보정판(130)의 위상지연축(PRA3)은 입체필터(120)의 제1영역(122)의 위상지연축(PRAL2)과 대략 평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입체필터(120)의 제1영역(122)을 통과하여 우원편광된 좌안용 이미지의 광(ℓL2)은 위상보정판(130)을 통과하면 다시 선편광된 광(ℓL3)이 된다. 이때 그 선편광 방향은 디스플레이부(110)에서 방출된 광(ℓ1)의 선편광 방향과 수직이다. 즉, 디스플레이부(110)에서 방출되어 입체필터(120)의 제1영역(122)과 위상보정판(130)을 통과한 광(ℓL3)은 상기 일 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선편광된다.
입체용 안경(200)의 좌안용 선편광판(220L)은 디스플레이부(110)에서 방출되어 입체필터(120)의 제1영역(122)과 위상보정판(130)을 통과한 광(ℓL3)이 투과할 수 있도록 하는 투과축(TAL)을 갖는다. 입체용 안경(200)의 우안용 선편광판(220R)은 좌안용 선편광판(220L)의 투과축(TAL)과 수직인 투과축(TAR)을 가져, 디스플레이부(110)에서 방출되어 입체필터(120)의 제1영역(122)과 위상보정판(130)을 통과한 광(ℓL3)이 투과하지 못하도록 한다.
한편, 입체필터(120)의 제2영역(124)을 통과한 좌안용 이미지의 광(ℓR2)도 위상보정판(130)을 통과하게 된다. 위상보정판(130)의 위상지연축(PRA3)은 입체필터(120)의 제1영역(122)의 위상지연축(PRAL2)과 대략 평행하고 입체필터(120)의 제2영역(124)의 위상지연축(PRAR2)과는 대략 수직이므로, 입체필터(120)의 제2영역(124)을 통과하여 좌원편광된 우안용 이미지의 광(ℓR2)은 위상보정판(130)을 통과하면 다시 선편광된 광(ℓR3)이 된다. 이때 그 선편광 방향은 디스플레이부(110)에서 방출된 광(ℓ1)의 선편광 방향과 평행하다. 즉, 디스플레이부(110)에서 방출되어 입체필터(120)의 제2영역(124)과 위상보정판(130)을 통과한 광(ℓR3)은 상기 일 방향에 평행한 방향으로 선편광된다.
입체용 안경(200)의 우안용 선편광판(220R)은 디스플레이부(110)에서 방출되 어 입체필터(120)의 제2영역(124)과 위상보정판(130)을 통과한 광(ℓR3)이 투과할 수 있도록 하는 투과축(TAR)을 갖는다. 입체용 안경(200)의 좌안용 선편광판(220L)은 우안용 선편광판(220R)의 투과축(TAR)과 수직인 투과축(TAL)을 가져, 디스플레이부(110)에서 방출되어 입체필터(120)의 제2영역(124)과 위상보정판(130)을 통과한 광(ℓR3)이 투과하지 못하도록 한다.
이와 같은 방식을 통해, 디스플레이부(110)의 좌안용 이미지 영역(112)에서 방출된 광은 시청자의 좌안(LE)에서만 인식되고, 디스플레이부(110)의 우안용 이미지 영역(114)에서 방출된 광은 시청자의 우안(RE)에서만 인식되어, 시청자는 입체 이미지를 인식하게 된다. 이와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른 입체 디스플레이 장치는 종래의 입체 이미지 디스플레이 장치와 달리 좌안용 이미지가 시청자의 우안(RE)에서 인식되는 정도를 획기적으로 낮추고 우안용 이미지가 시청자의 좌안(LE)에서 인식되는 정도를 획기적으로 낮춤으로써, 시청자가 우수한 품질의 입체 이미지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전술한 바와 같이 파장에 따른 위상지연정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그래프이다. 구체적으로, 550nm 파장의 광의 위상을 지연시키는 정도를 R(550)이라 하고 파장 λ의 광의 위상을 지연시키는 정도를 R(λ)라 할 시, 파장에 따른 위상지연정도를 나타낸다. 도 2를 참조하면, 550nm보다 짧은 파장의 광은 550nm 파장의 광보다 더 많이 위상이 지연되고, 550nm보다 긴 파장의 광은 550nm 파장의 광보다 더 적게 위상이 지연된다.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입체 디스플레이 장치의 입체필터(120)와 위상보정판(130)에서의 위상지연 정도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5에서 참조번호 (1)은 파장에 따라 입체필터(120)에 의해 위상지연되는 정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참조번호 (2)는 파장에 따라 위상보정판(130)에 의해 위상지연되는 정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입체 디스플레이 장치의 입체필터(120)와 위상보정판(130)은 파장 λG(예컨대 550nm)외의 파장 λ의 광에 대해 위상지연량이 λ/4를 기준으로 상호 반대이다. 즉, 상기 파장 λG 외의 파장 λ의 광에 대해, 입체필터(120)의 위상지연량이 λ/4보다 크다면 위상보정판(130)의 위상지연량은 λ/4보다 작고, 입체필터(120)의 위상지연량이 λ/4보다 작다면 위상보정판(130)의 위상지연량은 λ/4보다 크다.
입체필터(120)와 위상보정판(130)은 각각 통과하는 특정 파장 λG의 광을 λG/4 위상지연시킬 수 있으므로, 결국 본 실시예에 따른 입체 디스플레이 장치의 입체필터(120)와 위상보정판(130)을 모두 통과한 광에 있어서 파장에 따른 위상지연 정도 차이가 상쇄된다. 이에 따라 좌안용 이미지가 우안에 인식되거나 우안용 이미지가 좌안에서 인식되는 비율을 획기적으로 낮출 수 있다.
물론 도 5에서는 참조번호 (1)이 입체필터(120)의 파장에 따른 위상지연 정도를 나타내고 참조번호 (2)가 위상보정판(130)의 파장에 따른 위상지연 정도를 나타내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상호 바뀔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입체필 터(120)와 위상보정판(130)은 파장 λG(예컨대 550nm)외의 파장 λ의 광에 대해 위상지연량이 λ/4를 기준으로 상호 반대인 바, 이는 제조 시 첨가하는 분산제어첨가제를 통해 제어할 수 있다. 파장에 따른 위상지연량의 분산 제어와 관련해서는 예컨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1-33765호 등에 개시되어 있으며, 이는 본원에 참조로서 포함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입체 디스플레이 장치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광의 파장에 따른 위상지연정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그래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입체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조는 도 3에 도시된 것과 구조는 동일하다. 다만 입체필터(120)와 위상보정판(130)의 위상지연 정도가 상이하다.
본 실시예에 따른 입체필터(120)는 역시 제1영역(122)과 제2영역(124)을 갖는데, 제1영역(122)과 제2영역(124)의 위상지연축은 상호 교차하며 바람직하게는 상호 대략 수직이다. 이러한 입체필터(120)는 파장 λG(예컨대 550nm)의 광을 제2위상지연량만큼 위상지연시킬 수 있다. 위상보정판(130)은 파장 λG의 광을 제1위상지연량만큼 위상지연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파장 λG 외의 파장 λ의 광에 대해, 위상보정판(130)의 위상지연량보다 입체필터(120)의 위상지연량이 더 크다.
전술한 바와 같이 입체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부(110)는 시청자의 좌안에서 인식될 좌안용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좌안용 이미지 영역(112)과, 시청자의 우안에서 인식될 우안용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우안용 이미지 영역(114)을 갖는다. 입체필터(120)는 좌안용 이미지 영역(112)과 우안용 이미지 영역(114)에 각각 대응하도록 제1영역(122)과 제2영역(124)을 갖는다. 즉 입체필터(120)는 제1영역(122)과 제2영역(124)으로 패터닝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액정을 이용하여 입체필터(120)를 형성할 수 있는데, 폴리 메타아크릴 또는 폴리이미드 계열의 유기물을 이용하여 형성하는 배향막을 노광을 통해 제1영역(122)에 대응하는 부분과 제2영역(124)에 대응하는 부분에서 상이한 방향으로 배향시키고 그 상부에 액정을 배치시킴으로써 입체필름(120)의 제1영역(122)과 제2영역(124)을 형성할 수 있다. 위상을 지연시키는 위상보정판(130)은 디스플레이부(110) 전면(全面)에 대응하는 것으로 패터닝이 필요 없기 때문에 연신필름을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반대로 설명하자면 연신필름을 이용할 경우에는 패터닝이 필요한 입체필름(120)을 형성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다.
이와 같이 입체필터(120)와 위상보정판(130)은 패터닝의 필요여부에 따라 상이한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는데, 이와 같이 형성된 입체필터(120)와 위상보정판(130)에 있어서의 파장에 따른 위상지연정도는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이하게 나타난다. 즉, 참조번호 (1)은 입체필터(120)의 파장에 따른 위상지연정도를 나타내고 참조번호 (2)는 위상보정판(130)의 파장에 따른 위상지연정도를 나타내는 바, 입체필터(120)의 파장에 따른 위사지연정도의 분산이 위상보정판(130)의 파장에 따른 위상지연정도의 분산보다 크게 나타난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입체필터(120)의 제1영역(122)의 위상지연축과 상기 일 방향은 대략 45°를 이루며, 위상보정판(130)의 위상지연축은 입체필터(120)의 제1영역(122)의 위상지연축과 평행하여, 디스플레이부(110)에 서 방출되어 입체필터(120)의 제1영역(122)과 위상보정판(130)을 통과한 파장 λG(예컨대 550nm 파장)의 광은 상기 일 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선편광된다. 즉, 디스플레이부(110)에서 방출되어 입체필터(120)의 제1영역(122)과 위상보정판(130)을 통과한 파장 λG(예컨대 550nm 파장)의 광은 반파장 위상지연된다. 파장 λG 외의 파장의 광에 대한 위상지연정도는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파장 λG의 광에 대한 위상지연정도와는 상이하게 되어, 파장 λG 외의 파장의 광은 디스플레이부(110)에서 방출되어 입체필터(120)의 제1영역(122)과 위상보정판(130)을 통과할 시 상기 일 방향에 정확하게 수직이 되지는 않는다. 그러나 수직에 가깝게 되도록 하기 위하여, 파장 λG 외의 파장의 광이 입체필터(120)의 제1영역(122)과 위상보정판(130)을 통과할 시 가급적이면 파장 λG의 광과 유사하게 위상지연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파장 λG 외의 파장 λ의 광에 대해, 위상보정판(130)의 위상지연량이 입체필터(120)의 위상지연량보다 더 크도록 한다.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파장 λG 외의 파장 λ의 광에 대해, 위상보정판(130)의 위상지연량 분산이 입체필터(120)의 위상지연량 분산보다 더 작다. 따라서 위상보정판(130)의 위상지연량이 입체필터(120)의 위상지연량보다 더 크도록 하면, 입체필터(120)의 위상지연량이 위상보정판(130)의 위상지연량보다 더 크도록 하는 경우에 비해 파장에 따른 위상지연량 분산을 더 작게 하여, 입체필터(120)와 위상보정판(130)을 모두 통과한 광의 파장에 따른 위상지연량 분산을 이상적인 경 우에 더 가깝게 할 수 있다.
예컨대 디스플레이부(110)에서 방출되어 입체필터(120)의 제1영역(122)과 위상보정판(130)을 통과한 파장 λG(예컨대 550nm 파장)의 광은 반파장 위상지연되도록 하는 바, 입체필터(120)의 제1영역(122)에서는 통과하는 광을 1/4 파장보다 적게 위상지연시키고 위상보정판(130)은 1/4 파장보다 많이 위상지연시킴으로써, 디스플레이부(110)에서 방출되어 입체필터(120)의 제1영역(122)과 위상보정판(130)을 통과한 파장 λG(예컨대 550nm 파장)의 광은 총 반파장 위상지연되도록 한다. 이를 통해 입체필터(120)와 위상보정판(130)을 모두 통과한 광의 파장에 따른 위상지연량 분산을 이상적인 경우에 더 가깝게 할 수 있다.
한편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전술한 입체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입체 디스플레이 장치에서도 입체필터(120)의 제1영역(122)의 위상지연축과 제2영역(124)의 위상지연축은 상호 대략 수직이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부(110)에서 방출되어 입체필터(120)의 제2영역(124)과 위상보정판(130)을 통과한 상기 파장 λG의 광은 상기 일 방향에 대략 평행한 방향으로 선편광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입체 디스플레이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개념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입체 디스플레이 장치가 전술한 실시예들에 따른 입체 디스플레이 장치들과 상이한 것은, 디스플레이부(110)에서 방출된 광이 입체필름(120)을 통과한 후 위상보정판(130)을 통과하는 것이 아니라, 위 상보정판(130)을 통과한 후 입체필름(120)을 통과한다는 것이다. 이와 같이 입체필름(120)과 위상보정판(130)의 위치를 바꾼 경우에도 전술한 실시예들에서 설명한 내용이 모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입체 디스플레이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개념도이다.
도 2는 파장에 따른 위상지연정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그래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체 디스플레이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개념도이다.
도 4는 도 3의 입체 디스플레이 장치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광의 편광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개념도이다.
도 5는 도 3의 입체 디스플레이 장치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광의 파장에 따른 위상지연정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그래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입체 디스플레이 장치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광의 파장에 따른 위상지연정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그래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입체 디스플레이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개념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디스플레이부 112: 좌안용 이미지
114: 우안용 이미지 120: 입체필터
122: 제1영역 124: 제2영역
130: 위상보정판 200: 입체용 안경
220L: 좌안용 선편광판 220R: 우안용 선편광판

Claims (14)

  1. 일 방향으로 선편광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디스플레이부에서 방출되는 광이 통과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 전방에 배치되고, 파장 λG의 광을 λG/4 위상지연시킬 수 있되 위상지연축이 상호 교차하는 제1영역과 제2영역을 갖는 입체필터;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에서 방출되는 광이 통과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 전방에 배치되고, 상기 파장 λG의 광을 λG/4 위상지연시킬 수 있는 위상보정판;을 구비하며,
    상기 파장 λG 이외의 파장 λ의 광에 대해, 상기 입체필터의 위상지연량과 상기 위상보정판의 위상지연량은 λ/4를 기준으로 상호 반대로써,
    상기 입체필터의 위상지연량이 λ/4보다 크다면 상기 위상보정판의 위상지연량은 λ/4보다 작고, 상기 입체필터의 위상지연량이 λ/4보다 작다면 상기 위상보정판의 위상지연량은 λ/4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디스플레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체필터의 상기 제1영역의 위상지연축과 상기 일 방향은 45°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디스플레이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상보정판의 위상지연축은 상기 입체필터의 상기 제1영역의 위상지연 축과 평행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디스플레이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에서 방출되어 상기 입체필터의 상기 제1영역과 상기 위상보정판을 통과한 광은 상기 일 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선편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디스플레이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입체필터의 상기 제1영역의 위상지연축과 상기 제2영역의 위상지연축은 상호 수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디스플레이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에서 방출되어 상기 입체필터의 상기 제2영역과 상기 위상보정판을 통과한 광은 상기 일 방향에 평행한 방향으로 선편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디스플레이 장치.
  7. 삭제
  8. 일 방향으로 선편광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디스플레이부에서 방출되는 광이 통과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 전방에 배치되고, 파장 λG의 광을 제2위상지연량만큼 위상지연시킬 수 있되 위상지연축이 상호 교차하는 제1영역과 제2영역을 갖는 입체필터;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에서 방출되는 광이 통과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 전방에 배치되고, 상기 파장 λG의 광을 제1위상지연량만큼 위상지연시킬 수 있는 위상보정판;을 구비하며,
    상기 파장 λG 이외의 파장 λ의 광에 대해, 상기 위상보정판의 위상지연량이 상기 입체필터의 위상지연량보다 더 크고,
    상기 입체필터의 상기 제1영역의 위상지연축과 상기 일 방향은 45°를 이루고,
    상기 위상보정판의 위상지연축은 상기 입체필터의 상기 제1영역의 위상지연축과 평행하며,
    상기 디스플레이부에서 방출되어 상기 입체필터의 상기 제1영역과 상기 위상보정판을 통과한 상기 파장 λG의 광은 상기 일 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선편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디스플레이 장치.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입체필터의 상기 제1영역의 위상지연축과 상기 제2영역의 위상지연축은 상호 수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디스플레이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에서 방출되어 상기 입체필터의 상기 제2영역과 상기 위상보정판을 통과한 상기 파장 λG의 광은 상기 일 방향에 평행한 방향으로 선편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디스플레이 장치.
  14. 제1항 내지 제6항, 제8항 및 제12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사용자가 착용할 입체용 안경을 더 포함하며,
    상기 입체용 안경의 좌안렌즈와 우안렌즈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일 방향으로 선편광된 광을 통과시키고, 다른 하나는 상기 일 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선편광된 광을 통과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090005162A 2009-01-21 2009-01-21 입체 디스플레이 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1010056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5162A KR101005615B1 (ko) 2009-01-21 2009-01-21 입체 디스플레이 장치
EP10733621A EP2391143A4 (en) 2009-01-21 2010-01-18 STEREOSCOPIC DISPLAY DEVICE
PCT/KR2010/000288 WO2010085068A2 (ko) 2009-01-21 2010-01-18 입체 디스플레이 장치
US13/188,273 US20120019525A1 (en) 2009-01-21 2011-07-21 Stereoscopic Display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5162A KR101005615B1 (ko) 2009-01-21 2009-01-21 입체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5729A KR20100085729A (ko) 2010-07-29
KR101005615B1 true KR101005615B1 (ko) 2011-01-05

Family

ID=423563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5162A Expired - Fee Related KR101005615B1 (ko) 2009-01-21 2009-01-21 입체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120019525A1 (ko)
EP (1) EP2391143A4 (ko)
KR (1) KR101005615B1 (ko)
WO (1) WO2010085068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78471A2 (en) * 2009-12-22 2011-06-30 Lg Chem, Ltd. 3d glasses for stereoscopic display device and stereoscopic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WO2016154386A1 (en) * 2015-03-24 2016-09-29 One Media Llc High priority notification system and method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52118A (en) * 1987-08-24 1989-02-28 Sharp Kk Stereoscopic viewer device
KR20060105350A (ko) * 2005-04-04 2006-10-11 삼성전자주식회사 2차원/3차원 영상 호환용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KR20070006116A (ko) * 2005-07-07 2007-01-11 삼성전자주식회사 2차원/3차원 영상 호환용 완전시차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장치
KR100781923B1 (ko) 2006-03-20 2007-12-04 (주)비노시스 화면 동기식 고해상도 광시야각 3d 디스플레이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02518A (en) * 1990-06-11 1999-12-14 Reveo, Inc. Phase-retardation based system for stereoscopic viewing micropolarized spatially-multiplexed images substantially free of visual-channel cross-talk and asymmetric image distortion
JPH0527118A (ja) * 1991-07-17 1993-02-05 Nitto Denko Corp 位相差板及び円偏光板
US6380997B1 (en) * 1995-04-07 2002-04-30 Colorlink, Inc. Achromatic polarization inverters for displaying inverse frames in DC balanced liquid crystal displays
KR100603455B1 (ko) * 2000-12-30 2006-07-20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편광 입체 표시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0412491B1 (ko) * 2001-10-10 2003-12-31 삼성전자주식회사 반사형 강유전성 액정 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JP3979239B2 (ja) * 2002-09-06 2007-09-19 ソニー株式会社 偏光メガネ
JP4655467B2 (ja) * 2003-10-10 2011-03-23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投射型表示装置及び投射型表示方法
KR20060009731A (ko) * 2004-07-26 2006-02-01 삼성전자주식회사 광변환 방법과, 이를 수행하기 위한 광학필름과, 이를갖는 표시장치
TW200821691A (en) * 2006-07-26 2008-05-16 Toshiba Matsushita Display Tec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20080297897A1 (en) * 2007-05-31 2008-12-04 Arisawa Mfg. Co., Ltd. Stereoscopic display and phase different plat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52118A (en) * 1987-08-24 1989-02-28 Sharp Kk Stereoscopic viewer device
KR20060105350A (ko) * 2005-04-04 2006-10-11 삼성전자주식회사 2차원/3차원 영상 호환용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KR20070006116A (ko) * 2005-07-07 2007-01-11 삼성전자주식회사 2차원/3차원 영상 호환용 완전시차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장치
KR100781923B1 (ko) 2006-03-20 2007-12-04 (주)비노시스 화면 동기식 고해상도 광시야각 3d 디스플레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0085068A2 (ko) 2010-07-29
WO2010085068A3 (ko) 2010-10-21
KR20100085729A (ko) 2010-07-29
EP2391143A2 (en) 2011-11-30
EP2391143A4 (en) 2012-12-05
US20120019525A1 (en) 2012-0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899099B2 (ja) ディスプレイデバイス
TWI494605B (zh) 立體圖像顯示裝置、光學濾光片、偏振眼鏡以及改善立體圖像顯示品質之方法
US20110254834A1 (en) Stereoscopic image display device
KR101298874B1 (ko) 편광 안경
KR101333681B1 (ko) 편광의 위상지연 특성을 조절할 수 있는 고분자 분산형 액정 필름
TW201334510A (zh) 裸眼與眼鏡可切換式立體顯示裝置
KR101005615B1 (ko) 입체 디스플레이 장치
KR101556817B1 (ko) 입체 영상 표시 장치
KR101879717B1 (ko) 입체 영상 표시 장치
KR101682680B1 (ko) 셔터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입체 영상 표시 장치
KR20150004028A (ko) 입체 영상 표시장치
KR101940763B1 (ko) 하이브리드 입체 영상 표시장치
TWI490548B (zh) 顯示裝置與顯示影像的方法
KR101266218B1 (ko) 입체 영상 표시 장치
KR101702078B1 (ko) 3디 영상 구현 시스템
KR101781504B1 (ko) 3차원 영상 표시 장치
KR101631619B1 (ko) 3d 디스플레이 및 디스플레이 구동방법
KR20120013520A (ko) 3디 영상 구현 시스템
KR102003515B1 (ko) 무색의 패터닝 반파장 위상차판을 갖는 선편광 입체 표시 장치
KR101799935B1 (ko) 3디 영상 구현 시스템
KR20140055532A (ko) 3차원 영상 표시장치의 구동방법
KR20180117006A (ko) 배리어 패널을 포함하는 입체 영상 표시 장치
KR101611561B1 (ko) 광변조 유닛 및 이를 구비하는 입체 디스플레이장치
KR101299184B1 (ko) 3차원 영상 구현 시스템
KR20130113813A (ko) 입체 영상 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012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003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00920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00329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PJ0201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Patent event date: 20101020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code: PJ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00920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J02011S01I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Decision date: 20101206

Appeal identifier: 2010101008082

Request date: 20101020

PB0901 Examination by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101020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01020

Patent event code: PB09011R01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100531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B701 Decision to grant
PB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Patent event date: 20101206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B07012S01D

Patent event date: 20101120

Comment text: Transfer of Trial File fo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Patent event code: PB07011S01I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0122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0122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1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111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511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