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005496B1 - 가설교량의 시공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절곡주형보 - Google Patents

가설교량의 시공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절곡주형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05496B1
KR101005496B1 KR1020060074760A KR20060074760A KR101005496B1 KR 101005496 B1 KR101005496 B1 KR 101005496B1 KR 1020060074760 A KR1020060074760 A KR 1020060074760A KR 20060074760 A KR20060074760 A KR 20060074760A KR 101005496 B1 KR101005496 B1 KR 1010054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mporary bridge
mold beam
construction
bending mold
construction metho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747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13346A (ko
Inventor
이용호
Original Assignee
이용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용호 filed Critical 이용호
Priority to KR10200600747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05496B1/ko
Publication of KR200800133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133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54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5496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5/00Movable or portable bridges; Floating bridges
    • E01D15/12Portable or sectional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00Bridge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of their bearing spanning structur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설교량 시공시 절곡된 주형보를 이용한 시공방법에 의한 효율적 단면을 구성하는 가설교량의 시공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절곡주형보에 관한 것으로서, 임시로 설치되는 가설교량을 설치할 때 지주간격을 좁게 하면 시공성이 저하되어 공사기간과 공사비가 많이 소모되며 유량의 증가에 의한 부유물이 지주 사이에 걸쳐져 지주의 파손우려가 높으며,반대로 지주간격이 넓으면 사람 또는 차량의 통행에 의하여 지주 사이를 연결하는 주형이 처지는 문제점을 보완하고, 비교적 넓은 지주간격에도 힘을 분산시켜 구조적 안정 속에 주형의 강재량을 최소화 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에 곤한 것이다.
가설교량

Description

가설교량의 시공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절곡주형보{Method of temporary bridge and bending girder beam}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절곡주형보의 1차 강결 조립과정을 나타낸 개념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절곡주형보의 2차 강결 조립과정을 나타낸 개념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완성된 교량을 나타낸 개념도
도 5는 본 발명의 절곡주형보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면 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1a, 1b : 지주 2 : 절곡주형보
3 : 지주시공과정 4 : 1차 강결조립과정
5 : 2차 강결조립과정 6 : 복공판
본 발명은 가설교량 시공시 절곡주형보의 1차, 2차에 걸친 시공방법에 의한 효율적 단면을 구성하는 가설교량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가설교량의 지주간격을 넓게 할 수 있어 공사비용을 절감하면서 내구성을 가진 가설교량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설교량은 영구적인 교량을 설치하기 위하여 그 주변에 차량 또는 사람이 통행할 수 있도록 임시로 지어지는 교량을 말하며, 이의 시공은 일정 간격으로 하상에서 수직으로 지주를 설치하고 지주 사이에 주형보를 설치한 후 주형보의 상면에 복공판 등을 배치함으로 완성된다.
이들 공정 중에 지주를 하상에 설치하는 공정이 가설교량 공사의 대부분의 기간과 비용이 소요되는 작업이다.
따라서 지주간의 거리가 좁으면 시공성이 저하되어 공사기간과 공사비용이 증가하게 되는 것이며, 특히 장마와 같은 비가 많이 왔을 때 유량의 증가로 인하여 각종 부유물이 지주 사이에 걸쳐지게 되어 가설교량의 붕괴 또는 인근의 하천 범람의 원인이 될 가능성이 증가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지주간의 거리를 크게 하기 위하여 강선을 넣어 응력을 주는 프리스트레싱(Prestreesing) 공법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으나 이러한 공법은 사용되는 재료가 고가이고 시공이 복잡하여 공사기간이 긴 단점을 가지고 있어, 단지 지주간의 거리를 크게 한 장점만을 위한 것이라 할 수 있다.
또한 지점부의 단면을 키워 강성을 확보하는 장지간 공법도 있으나 이 공법은 주형의 처짐이 크며 각각의 지점부 마다 단면이 커지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지주간의 간격을 크게 하는 절곡주형보를 이용한 간단한 시공방법에 의한 효율적 단면을 구성하는 가설교량의 시공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절곡주형보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가설 교량에 작용하는 각종 힘을 효과적으로 분산하여 주형보의 단면을 구조적 안정속에 최소화하여 하천통과시 통수 단면 확보 및 도로 통과시 형하공간 확보에 유리한 가설교량의 효율적 단면 구성방법을 제공하는 가설교량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수직으로 입설되는 지주와 상기 지주 사이를 연결하는 주형보로 이루어지는 가설교량의 시공방법에 있어서;
일정 간격으로 지주를 형성하는 지주시공과정과;
인접한 양측 지주를 사이에 둔 가운데 지주의 상단에 양측 지주의 방향으로 상향 기울기를 가진 주형보를 제작하여 거치한 다음 가운데 지주 하단의 면을 가운데 지주 상단에 조립하는 과정과;
조립된 주형보를 가운데 지주에 강결 조립하되 양측 지주에는 조립을 하지 않고 거치된 상태로 하는 1차 강결 조립과정과;
상기 양측의 지주와 주형보를 조립하는 2차 강결 조립과정과;
주형보의 상면에 복공판을 설치하는 복공판 장착과정의 일련의 과정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가설교량 시공시 절곡주형보의 1차, 2차에 걸친 시공방법에 의한 효율적 단면을 구성하는 가설교량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블록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절곡주형보의 1차 강결 조립과정을 나타낸 개념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절곡주형보의 2차 강결 조립과정을 나타낸 개념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완성된 교량을 나타낸 개념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절곡주형보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이다.
본 발명은 지주(1)간의 거리를 충분히 넓히면서 각종 발생하는 모멘트를 효과적으로 분산하고 처짐 현상을 완화하도록 한 것으로서, 주형(2)을 지주(1)에 강결 조립시 절곡주형의 1차, 2차 강결에 의한 간단한 시공방법으로 모멘트에 대한 분배효과가 크다는 것에 착안한 것이다.
상기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에 의한 가설교량의 시공방법은 수직으로 입설되는 지주(1)와 상기 지주(1) 사이를 연결하는 주형보(2)로 이루어지는 가설교량의 시공방법에 있어서;
일정 간격으로 지주(1)를 형성하는 지주시공과정(3)과;
인접한 양측 지주(1a)를 사이에 둔 가운데 지주(1b)의 상단에 양측 지주(1a)의 방향으로 상향 기울기를 가진 절곡주형보(2)를 거치한 다음 절곡주형보(2)의 하단을 가운데 지주(1b) 상단에 체결하되, 양측 지주(1a)에는 상기 절곡주형보(2)를 체결하지 않고 거치된 상태로 하는 1차 강결 조립과정(4)과;
삭제
상기 양측의 지주(1a)와 절곡주형보(2)를 체결하는 2차 강결 조립과정(5)과;
절곡주형보(2)의 상면에 복공판(6)을 설치하는 복공판 장착과정(6)을 포함하여 상기의 과정(3,4,5,6)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즉 상기 절곡주형보(2)에 의하여 중앙의 지주(1b) 부분에 1차 강결 조립(4)을 한 다음 인위적으로 양측의 지주(1a)부분 위에 떠있는 절곡주형보(2)에 하중을 주어 억지로 양측의 지주(1a)와 2차 강결 조립(5)을 하면 상기 절곡주형보는 상 방향으로의 힘이 지속적으로 작용하는 상태가 되어, 차량이나 사람의 통행에 의한 주로 수직 아래부분으로 발생하는 힘에 대한 저항력이 발생하여 안정적이고 효율적인 단면 구성을 할 수 있어 강재량을 최소화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구조는 절곡주형보(2)에서 발생하는 각종 모멘트가 지주(1)로 효과적 으로 분산됨으로서 보다 확실한 모멘트 분배의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시공방법은 또한 부재의 효율을 최대한 증대시키는 것으로서 신축적으로 부재를 사용하여 지주(1) 사이의 간격을 넓히는데 내구성에 아무런 문제가 없게 되며 시공 또한 비교적 간단하여 공사비와 공사기간을 단축시키는 효과가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가설교량의 지주간의 간격을 효과적으로 넓힐 수 있는 시공방법을 제공함으로써 공사기간과 공사비를 획기적으로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주형보의 처짐을 완화하고 모멘트를 효과적으로 분배하여 보다 내구성이 우수한 가설교량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수직으로 입설되는 지주(1)와 상기 지주(1) 사이를 연결하는 절곡주형보(2)를 이용하여 이루어지는 가설교량의 시공방법에 있어서;
    일정 간격으로 지주(1)를 형성하는 지주시공과정(3)과;
    인접한 양측 지주(1a)를 사이에 둔 가운데 지주(1b)의 상단에 양측 지주(1a)의 방향으로 상향 기울기를 가진 절곡주형보(2)를 거치한 다음 절곡주형보(2)의 하단을 가운데 지주(1b) 상단에 체결하되, 양측 지주(1a)에는 상기 절곡주형보(2)를 체결하지 않고 거치된 상태로 하는 1차 강결 조립과정(4)과;
    상기 양측의 지주(1a)와 절곡주형보(2)를 체결하는 2차 강결 조립과정(5)과;
    절곡주형보(2)의 상면에 복공판(6)을 설치하는 복공판 장착과정(6)을 포함하여 상기의 과정(3,4,5,6)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가설교량의 시공방법.
  2. 삭제
KR1020060074760A 2006-08-08 2006-08-08 가설교량의 시공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절곡주형보 Expired - Fee Related KR1010054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4760A KR101005496B1 (ko) 2006-08-08 2006-08-08 가설교량의 시공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절곡주형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4760A KR101005496B1 (ko) 2006-08-08 2006-08-08 가설교량의 시공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절곡주형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3346A KR20080013346A (ko) 2008-02-13
KR101005496B1 true KR101005496B1 (ko) 2011-01-04

Family

ID=393411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74760A Expired - Fee Related KR101005496B1 (ko) 2006-08-08 2006-08-08 가설교량의 시공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절곡주형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05496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2383A (ko) * 2002-06-14 2004-03-12 가시오게산키 가부시키가이샤 반도체장치 및 그 제조방법
JP2004100382A (ja) 2002-09-12 2004-04-02 Mitsubishi Heavy Ind Ltd 橋梁桁架設工法
KR20040029686A (ko) * 2002-10-02 2004-04-08 대우종합기계 주식회사 직렬연결용 스핀들 모터가 장착되는 램타입 머시닝 센터의헤드장치
KR20060046873A (ko) * 2004-11-12 2006-05-18 천진욱 프리플렉스 연속 합성형교 및 그 시공방법
KR200422383Y1 (ko) 2006-05-17 2006-07-26 이용호 가설교량의 시공방법에 사용되는 플레이트
KR200429686Y1 (ko) 2006-08-08 2006-10-25 이용호 가설교량의 시공방법에 사용되는 절곡주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2383A (ko) * 2002-06-14 2004-03-12 가시오게산키 가부시키가이샤 반도체장치 및 그 제조방법
JP2004100382A (ja) 2002-09-12 2004-04-02 Mitsubishi Heavy Ind Ltd 橋梁桁架設工法
KR20040029686A (ko) * 2002-10-02 2004-04-08 대우종합기계 주식회사 직렬연결용 스핀들 모터가 장착되는 램타입 머시닝 센터의헤드장치
KR20060046873A (ko) * 2004-11-12 2006-05-18 천진욱 프리플렉스 연속 합성형교 및 그 시공방법
KR200422383Y1 (ko) 2006-05-17 2006-07-26 이용호 가설교량의 시공방법에 사용되는 플레이트
KR200429686Y1 (ko) 2006-08-08 2006-10-25 이용호 가설교량의 시공방법에 사용되는 절곡주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3346A (ko) 2008-0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79664B1 (ko) 철골뼈대 거더교 설치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100891924B1 (ko) 가설교량용 변단면 유타입 지점부 주형보
CN105970800B (zh) 整体式组合梁无缝桥的桥台连接构造及其施工方法
CN206034289U (zh) 用于在通航河道上安装钢拱桥的支架结构
CN108149577B (zh) 一种钢支架体系及其安装方法
KR100931317B1 (ko) 스트럿 및 타이부재를 이용한 교량 및 그 시공방법
JPH02503099A (ja) ケーブル支持橋及び構成方法
KR200449689Y1 (ko) 복합식 사방댐
KR101005496B1 (ko) 가설교량의 시공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절곡주형보
KR200422383Y1 (ko) 가설교량의 시공방법에 사용되는 플레이트
KR200429686Y1 (ko) 가설교량의 시공방법에 사용되는 절곡주형
KR20100026510A (ko) Pc 보 연결 부재, 상기 pc 보 연결 부재를 구비한 콘크리트 구조, 상기 콘크리트 구조 형성에 사용되는 고정 부재, 및 상기 콘크리트 구조의 형성 방법
KR101492077B1 (ko) 횡방향 프리스트레스트 거더부재를 이용한 케이블교의 시공방법
KR100653883B1 (ko) 가설교량의 시공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플레이트
KR100579597B1 (ko) 가시설 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
CN211057597U (zh) 一种结构牢靠的预制桥梁承载盖梁
KR101045210B1 (ko) 교량 슬래브 경사조절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교량시공방법
KR20050118111A (ko) 가설 교량
KR100609825B1 (ko) 프리플렉스합성빔과 연결 기둥부재의 수평부재 단부에형성된 사선을 서로 연결한 후에 수직부재에 하중을작용시켜 제작된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된 상부 구조물을이용하여 설치한 프리플렉스 라멘 교량 및 이의 시공방법
KR100844952B1 (ko) 형강과 콘크리트의 합성구조물을 사용한 교량 및 그합성구조물의 제조 방법
WO2006075863A1 (en) Long-span temporary bridge using cross beam having through-holes
KR200381696Y1 (ko) 관통공이 형성된 가로보를 이용한 장지간 가설교량
KR101290605B1 (ko) 가설 교량
KR20210110038A (ko) 상부돌출 리브를 갖는 하프 pc 슬래브 및 이의 시공방법
KR200406524Y1 (ko) 가시설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60808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70913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60808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908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0040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0100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0122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0122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