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004919B1 - Cooker - Google Patents

Cook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04919B1
KR101004919B1 KR1020080051501A KR20080051501A KR101004919B1 KR 101004919 B1 KR101004919 B1 KR 101004919B1 KR 1020080051501 A KR1020080051501 A KR 1020080051501A KR 20080051501 A KR20080051501 A KR 20080051501A KR 101004919 B1 KR101004919 B1 KR 1010049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cooking
cavity
door
ven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5150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90125404A (en
Inventor
김기영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515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04919B1/en
Publication of KR200901254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2540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49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4919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02Doors specially adapted for stoves or ran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32Arrangements of ducts for hot gases, e.g. in or around baking ove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8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6414Aspects relating to the door of the microwave heating apparat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lectric Ovens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리기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조리실이 차폐된 상태에서, 도어와 전후방향으로 중첩되는 프론트플레이트에 통기구가 형성되고, 통기구를 통하여 토출되는 에어플로에 의해, 조리과정에서 발생되는 고온의 공기가 조리기기의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 방지된다. 따라서, 고온의 공기에 의한 사용자의 부상이 예방될 수 있고, 음식물의 조리과정에서 음식물 냄새가 확산되는 현상이 방지되며, 음식물의 수분이 보존될 수 있어, 음식물의 맛이 유지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oking applianc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ventilation chamber is formed in the front plate overlapping the door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in a state in which the cooking chamber is shielded, by the air flow discharged through the vent, hot air generated in the cooking process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cooking apparatus Is prevented. Therefore, the injury of the user due to the high temperature air can be prevented, the phenomenon that the food odor is spread in the cooking process of the food is prevented, the moisture of the food can be preserved, the food taste is maintained.

조리기기, 프론트플레이트, 통기구, 팬 Cooker, Front Plate, Vent, Pan

Description

조리기기{A cooker}Cooker {A cooker}

본 발명은 조리기기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마이크로웨이브 및/또는 히터열에 의해 음식물을 조리하는 조리기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oking appliance.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oking appliance for cooking food by microwave and / or heater heat.

조리기기는 마이크로웨이브 및/또는 히터열에 의해 음식물을 조리하는 장치이다. 조리기기 본체의 내부에는 음식물이 조리되는 조리실이 구비된다. 상기 본체의 전면에는 상기 본체의 전면 외관을 형성하는 프론트플레이트가 구비된다. 상기 본체의 일측에는 상기 조리실을 개폐하는 도어가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도, 상기 프론트플레이트와 상기 도어 사이에는, 제조상 작업 오차로 인해, 미세한 틈새가 발생될 수 있다.The cooking appliance is a device for cooking food by microwave and / or heater heat. A cooking compartment for cooking food is provided inside the cooking appliance main body. The front surface of the main body is provided with a front plate forming a front appearance of the main body. One side of the main body is provided with a door for opening and closing the cooking chamber. Here, even when the door is closed, a minute gap may be generated between the front plate and the door due to manufacturing errors.

상술한 종래기술에 의한 조리기기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발생된다.The following problems occur in the cook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ior art described above.

음식물을 마이크로웨이브 및/또는 히터열로써 가열하면, 음식물에 함유되어 있던 수분이 증발되어 고온의 공기가 발생된다. 이때, 상기 고온의 공기에 의해, 사용자가 부상을 입을 위험이 있다.When food is heated by microwave and / or heater heat, the moisture contained in the food evaporates and hot air is generated. At this time, the user may be injured by the hot air.

또한, 증발되는 수분과 함께 음식물에 포함된 다양한 성분들로 인해 음식물 냄새가 확산된다. 수증기와 음식물 냄새는 상기 프론트플레이트와 도어 사이의 틈 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또한, 음식물이 건조해져 본래의 맛을 잃게 되므로, 사용자는 불쾌감을 느끼게 된다.In addition, the food odor spreads due to the various components contained in the food together with the water evaporated. Water vapor and food odors are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gap between the front plate and the door. In addition, since the food is dried and loses its original taste, the user feels uncomfortable.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조리과정에서 발생되는 고온의 공기에 의한 사용자의 부상을 방지하는 조리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oking apparatus for preventing the injury of the user by the hot air generated in the cooking process.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음식물의 조리과정에서 음식물 냄새가 확산되는 현상을 방지하는 조리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oking apparatus that prevents a phenomenon in which a food smell spreads in a food cooking process.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음식물의 수분을 보존하여 본래의 맛을 유지하는 조리기기을 제공하는 것이다.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oking apparatus that preserves moisture of food and maintains its original taste.

상기한 바와 같이 제안되는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의 일 실시예에는, 조리실이 구비되는 캐비티; 상기 조리실을 선택적으로 개폐하고, 상기 조리실이 차폐된 상태에서 그 이면이 상기 캐비티의 전면에 밀착되는 도어; 및 상기 조리실이 차폐된 상태에서 상기 도어의 이면이 밀착되는 상기 캐비티의 전면 일측에 구비되고, 상기 캐비티의 전면과 상기 도어의 이면 사이의 틈새로 공기를 토출하는 통기구;를 포함한다.One embodiment of the cooking applian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d as described above, the cavity is provided with a cooking chamber; A door that selectively opens and closes the cooking chamber and whose rear surface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front surface of the cavity while the cooking chamber is shielded; And an air vent provided at one side of the front surface of the cavity in which the rear surface of the door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cooking chamber in a shielded state and discharging air into a gap between the front surface of the cavity and the rear surface of the door.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에 의하면, 음식물의 조리과정에서 발생되는 고온의 공기에 의해 사용자가 부상을 입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cook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phenomenon in which a user is injured by hot air generated in a food cooking process can be prevented.

그리고, 음식물의 조리과정에서 발생되는 음식물 냄새의 원인이 되는 물질들 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 방지되므로, 사용자에게 쾌적한 조리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substances causing the food odor generated in the cooking process of the food are prevented from being discharged to the outside, a comfortable cooking environment may be provided to the user.

또한, 음식물이 가열될 때 발생하는 수증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음식물에 함유된 수분이 보존되어, 음식물 본래의 맛이 유지될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water vapor generated when the food is heated can be prevented from being discharged to the outside, moisture contained in the food can be preserved, and the original taste of the food can be maintained.

그리고, 수증기가 도어와 프론트플레이트 사이 틈을 통해 배출될 때, 도어 및/또는 프론트플레이트의 표면에 수증기가 응축되어 물방울이 맺히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When the water vapor is discharged through the gap between the door and the front plate, water condensation may be prevented by condensation of water vapor on the surface of the door and / or the front plate.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의 제1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a first embodiment of a cooking applian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의 제1실시예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의 제1실시예을 보인 종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의 제1실시예를 보인 횡단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rst embodiment of a cooking applian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howing a first embodiment of the cooking applian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first view of a cooking applian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mbodiment.

도 1 및 도 2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의 캐비티(100)의 상면, 바닥면 및 양측면을 각각 어퍼플레이트(101), 바텀플레이트(102), 사이드플레이트(104)가 형성한다. 1 and 2, the upper plate 101, the bottom plate 102, and the side plate 104 are respectively formed on the top, bottom, and both sides of the cavity 100 of the cooking applian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그리고, 상기 캐비티(100)의 전후단에는 각각 프론트플레이트(106)와 리어플레이트(107)가 결합된다. 상기 프론트플레이트(106)는 실질적으로 조리기기의 전면 외관을 형성한다. 또한, 상기 사이드플레이트(104)와 리어플레이트(107)는, 하나의 플레이트가 전방으로 개구되는 'ㄷ'자형상으로 밴딩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프론트플레이트(106)와 리어플레이트(107)는 각각 상기 어퍼플레이트(101)의 상면과 상기 바텀플레이트(102)의 저면 및 상기 사이드플레이트(104)의 외측으로 연장되는 장방형의 판상으로 형성된다.In addition, the front plate 106 and the rear plate 107 are coupled to the front and rear ends of the cavity 100, respectively. The front plate 106 substantially forms the front appearance of the cooking appliance. In addition, the side plate 104 and the rear plate 107 may be formed by bending in a 'c' shape in which one plate is opened forward. The front plate 106 and the rear plate 107 are formed in a rectangular plate shape extending outwardly from the top surface of the upper plate 101, the bottom surface of the bottom plate 102, and the side plate 104, respectively.

또한, 상기 캐비티(100)의 하부에는 베이스플레이트(112)가 결합된다.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12)의 전후단부는, 상기 프론트플레이트(106)의 하단 및 후술할 백플레이트(117)의 하단에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12)는, 상기 캐비티(100)의 하부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바텀플레이트(102)로부터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된다. 또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12)에는, 음식물을 조리하기 각종부품을 냉각시키는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기 위한 배기구(130)가 형성된다.In addition, the base plate 112 is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cavity 100. The front and rear ends of the base plate 112 are fixed to the lower end of the front plate 106 and the lower end of the back plate 117 to be described later. In addition, the base plate 112 is spaced apart from the bottom plate 102 by a predetermined distance in a state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cavity 100. In addition, the base plate 112 is provided with an exhaust port 130 through which air for cooling various parts for cooking food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상기 캐비티(100)의 상부 및 양측에는 아웃케이스(200)가 결합된다. 상기 아웃케이스(200)는 상면부와 한쌍의 측면부를 포함하고, 전체적으로 하방으로 개구되는 'ㄷ'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아웃케이스(200)가 상기 캐비티(100)의 상부 및 양측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아웃케이스(200)의 상면부와 측면부는 각각 상기 어퍼플레이트(101)와 사이드플레이트(104)로부터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된다.The outer case 200 is coupled to the upper and both sides of the cavity 100. The outer case 200 includes an upper surface portion and a pair of side portions, and is formed in a 'c' shape which is opened downward. And, in the state in which the outer case 200 is coupled to the upper and both sides of the cavity 100, the upper and side portions of the outer case 200 from the upper plate 101 and side plate 104, respectively Spaced by a predetermined distance.

상기 캐비티(100)의 후면에는 백플레이트(117)가 결합된다. 상기 백플레이트(117)의 상측과 양측은 상기 아웃케이스(200)와 결합되고, 상기 백플레이트(117)의 하측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12)와 결합된다. 또한, 상기 백플레이트(117)의 후면에는 백커버(127)가 결합된다. 상기 백커버(127)는 실질적으로 조리기기의 후 면 외관을 형성한다.The back plate 117 is coupl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cavity 100. The upper side and both sides of the back plate 117 are coupled to the outer case 200, and the lower side of the back plate 117 is coupled to the base plate 112. In addition, the back cover 127 is coupl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back plate 117. The back cover 127 substantially forms the rear appearance of the cooking appliance.

여기서, 상기 백플레이트(117)에는, 상기 백커버(127)와 백플레이트(117) 사이 공간 및 상기 사이드플레이트(104)와 아웃케이스(200)의 측면 사이 공간이 바로 연통될 수 있도록, 제1연통개구(132)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백플레이트(117)에는, 상기 백커버(127)와 백플레이트(117) 사이 공간 및 상기 어퍼플레이트(101)와 아웃케이스(200)의 상면 사이 공간이 바로 연통될 수 있도록, 제2연통개구(134)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백커버(127)의 하부에는, 외부공기가 상기 백커버(127)와 백플레이트(117) 사이 공간으로 흡입될 수 있도록, 흡기구(136)가 형성된다.Here, the back plate 117, the space between the back cover 127 and the back plate 117, and the space between the side plate 104 and the side of the outer case 200 can be directly communicated with, the first The communication opening 132 is formed. In addition, a second space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back plate 117 such that a space between the back cover 127 and the back plate 117 and a space between the upper plate 101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outer case 200 are directly communicated with each other. The communication opening 134 is formed. In addition, an inlet 136 is formed under the back cover 127 so that external air can be sucked into the space between the back cover 127 and the back plate 117.

한편, 상기 캐비티(100)의 내부에는 조리실(140)이 구비된다. 실질적으로 상기 조리실(140)의 천장면, 바닥면, 후면 및 양측면을 각각 어퍼플레이트(101), 바텀플레이트(102), 리어플레이트(107) 및 사이드플레이트(104)가 형성한다. 상기 조리실(140)은 마이크로웨이브 또는/및 히터열에 의한 음식물의 조리가 이루어지는 곳이다. Meanwhile, the cooking chamber 140 is provided inside the cavity 100. The upper plate 101, the bottom plate 102, the rear plate 107 and the side plate 104 respectively form the ceiling surface, the bottom surface, the rear surface and both sides of the cooking chamber 140. The cooking chamber 140 is a place where food is cooked by microwaves and / or heater heat.

그리고, 상기 캐비티(100)에는, 상기 조리실(140)을 개폐하는 도어(300)가 결합된다. 또한, 상기 조리실(140)이 차폐된 상태에서, 상기 도어(300) 이면과 상기 캐비티(100)의 전면이 서로 밀착되도록 형성된다. In addition, a door 300 for opening and closing the cooking chamber 140 is coupled to the cavity 100. In addition, while the cooking chamber 140 is shielded, the rear surface of the door 300 and the front surface of the cavity 100 are formed to b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상기 어퍼플레이트(101)와 상기 아웃케이스(200)의 상면부 사이의 공간 또는, 상기 백플레이트(117)와 상기 백커버(127) 사이 공간의 일측에는, 전장실이 구비된다. 상기 전장실에는 마이크로웨이브를 발생시키기 위한 전장부품(미도시)과 히터열을 발생시키기 위한 상부 히터어셈블리(미도시) 및 상기 전장부품 및 상부 히터어셈블리를 냉각시키기 위한 냉각팬(145)이 설치된다. 상기 전장부품은 마그네트론과 고압트랜스를 포함한다.An electrical equipment room is provided at one side of the space between the upper plate 101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outer case 200 or the space between the back plate 117 and the back cover 127. The electric compartment is provided with an electric component (not shown) for generating microwaves, an upper heater assembly (not shown) for generating heater heat, and a cooling fan 145 for cooling the electric component and the upper heater assembly. . The electric component includes a magnetron and a high voltage transformer.

한편,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조리실(140)이 차폐된 상태에서, 상기 도어(300)의 이면이 밀착되는 상기 캐비티(100)의 전면 일측에는, 상기 사이드플레이트(104)와 아웃케이스(200) 측면 사이 공간으로부터, 상기 캐비티(100)의 전면과 상기 도어(300)의 이면 사이의 틈새로, 상기 전장부품 및 상부 히터어셈블리를 냉각시키는 공기 중 일부가 토출되기 위한 통기구(150)가 형성된다. 상기 통기구(150)의 위치는, 상기 캐비티(100)에 대하여, 상기 도어(300)가 회동하는 방법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캐비티(100)에 그 일단을 중심으로 선단이 회동 가능하게 상기 도어(300)가 설치되는 경우에는, 상기 도어(300)의 선단에 대응하는 상기 캐비티(100)의 전면 일측에 형성될 수도 있다.Meanwhile, referring to FIGS. 1 and 3, in the state in which the cooking chamber 140 is shielded, one side of the front surface of the cavity 100 in which the rear surface of the door 30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side plate 104 is out. A vent 150 for discharging a part of air for cooling the electric component and the upper heater assembly from a space between side surfaces of the case 200 to a gap between the front surface of the cavity 100 and the rear surface of the door 300. Is formed. The position of the vent 150 may be changed depending on how the door 300 rotates with respect to the cavity 100. For example, when the door 300 is installed so that the front end of the cavity 100 can be rotated around the one end thereof, the front side of the cavity 100 corresponding to the front end of the door 300 is provided. It may be formed.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의 제1실시예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cooking applian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먼저, 상기 조리실(140)에 음식물이 수용되고, 사용자에 의해 조작신호가 입력되어, 조리기기가 작동되면, 마이크로웨이브가 발진되어 음식물을 가열한다. 상기 음식물이 가열되는 과정에서, 상기 조리실(140) 내부에는 고온의 공기가 발생된다. 고온의 공기는 상기 도어(300)와 프론트플레이트(106) 사이 틈새로 배출되려는 경향을 가진다.First, when food is accommodated in the cooking chamber 140 and an operation signal is input by a user, and the cooking apparatus is operated, microwaves are oscillated to heat food. In the process of heating the food, hot air is generated inside the cooking chamber 140. Hot air has a tendency to be discharged into the gap between the door 300 and the front plate 106.

한편, 상기 조리기기가 작동되면, 상기 냉각팬(145)의 구동에 의해, 외부공기가 상기 흡기구(136)를 통하여 상기 백커버(127)의 내부로 유입된다. 그리고, 백 커버(127)의 내부로 흡입된 공기는 상기 백플레이트(117)와 백커버(127) 사이 공간을 따라 유동된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cooking appliance is operated, external air is introduced into the back cover 127 through the inlet 136 by driving of the cooling fan 145. In addition, the air sucked into the back cover 127 flows along the space between the back plate 117 and the back cover 127.

상기 백플레이트(117)와 백커버(127) 사이 공간을 유동하는 공기 중 일부는, 상기 제1연통개구(132)를 통해 상기 사이드플레이트(104)와 아웃케이스(200) 양측면 사이에 해당하는 공간을 따라 유동된다. 그리고, 나머지는, 상기 제2연통개구(134)를 통해 상기 어퍼플레이트(101)와 아웃케이스(200) 상면 사이에 해당하는 공간을 따라 유동된다. 이때, 유동되는 공기에 의해, 상기 전장부품 및 히터어셈블리가 냉각된다.Some of the air flowing in the space between the back plate 117 and the back cover 127 is a space corresponding to both sides of the side plate 104 and the outer case 200 through the first communication opening 132. Flows along. And, the rest flows along a space corresponding to the upper plate 101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outer case 200 through the second communication opening 134. At this time, the electric component and the heater assembly are cooled by the air flowing.

또한, 상기 어퍼플레이트(101)와 아웃케이스(200) 상면 사이에 해당하는 공간을 통과한 공기는 두 개의 에어플로로 분리되어, 상기 사이드플레이트(104)와 아웃케이스(200) 양측면 사이에 해당하는 공간을 따라 유동된다. 그리고, 상기 사이드플레이트(104)와 아웃케이스(200) 양측면 사이에 해당하는 공간을 따라 유동되는 공기는, 상기 제1연통개구(132)를 통해 상기 사이드플레이트(104)와 아웃케이스(200) 양측면 사이에 해당하는 공간으로 유입되는 공기와 합쳐진다.In addition, the air passing through the space corresponding to the upper plate 101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outer case 200 is separated into two airflows, corresponding to the side plate 104 and the outer case 200 both sides. Flow along the space. In addition, air flowing along a space corresponding to both side surfaces of the side plate 104 and the outer case 200 i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side plate 104 and the outer case 200 through the first communication opening 132. It merges with the air entering the space between them.

다음으로, 상기 사이드플레이트(104)와 아웃케이스(200) 양측면 사이에 해당하는 공간을 따라 유동되는 공기는, 상기 바텀플레이트(102)와 베이스플레이트(112) 사이 공간을 따라 유동된다.Next, air flowing along a space corresponding to both sides of the side plate 104 and the outer case 200 flows along the space between the bottom plate 102 and the base plate 112.

상기 바텀플레이트(102)와 베이스플레이트(112) 사이 공간을 따라 유동되는 공기는, 상기 배기구(130)를 통해 다시 외부로 배출된다. The air flowing along the space between the bottom plate 102 and the base plate 112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exhaust port 130 again.

여기서, 상기 사이드플레이트(104)와 아웃케이스(200) 양측면 사이에 해당하 는 공간을 따라 유동되는 공기 중 일부는, 상기 통기구(150)를 통하여 상기 도어(300)와 프론트플레이트(106) 사이 틈새로 토출된다. 상기 통기구(150)를 통해, 상기 도어(300) 이면에 대하여, 대략 수직되는 방향으로 토출되는 공기는, 상기 도어(300) 이면에 부딪힌다. 상기 도어(300) 이면에 부딪힌 공기는 상기 도어(300) 이면과 대략 평행한 방향으로 유동 방향이 바뀌게 된다. 그리고, 상기 도어(300)와 프론트플레이트(106) 사이 틈새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Here, some of the air flowing along the space corresponding to both sides of the side plate 104 and the outer case 200, the gap between the door 300 and the front plate 106 through the vent 150. Discharged. Air discharged in a direction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back surface of the door 300 through the vent 150 impinges on the back surface of the door 300. Air hitting the rear surface of the door 300 is changed in the flow direction in a direction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rear surface of the door 300. Then, through the gap between the door 300 and the front plate 106, it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이때, 상기 도어(300)와 프론트플레이트(106) 사이 틈새을 따라 유동되는 공기에 의해, 음식물의 조리과정에서 발생되는 상기 조리실(140) 내부의 고온의 공기가 상기 조리실(140)의 외부로 배출되는 현상이 방지된다. 이는, 상기 통기구(150)를 통하여 토출되는 공기의 유동에 의해 형성되는 에어플로가 일종의 에어커튼 또는 에어월의 역할을 하여, 상기 조리실(140) 내부의 공기가 상기 도어(300)와 프론트플레이트(106) 사이 공간을 통해, 외부로 유동되지 못하도록 차단하기 때문이다.At this time, by the air flowing along the gap between the door 300 and the front plate 106, the hot air inside the cooking chamber 140 generated in the cooking process of the food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cooking chamber 140 The phenomenon is prevented. This is because the air flow formed by the flow of air discharged through the vent 150 serves as a kind of air curtain or air wall, the air inside the cooking chamber 140 is the door 300 and the front plate ( 106) through the space between the blocks to prevent flow to the outside.

따라서, 음식물의 조리과정에서 발생되는 고온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지 않으므로, 고온의 공기로 인한 사용자의 부상을 예방할 수 있다. 그리고, 음식물 냄새의 원인물질이 배출되는 현상이 방지되므로, 사용자는 더욱 쾌적한 조건에서 음식물의 조리가 가능하다. 또한, 음식물의 수분이 증발하여 외부로 배출되는 현상이 방지되므로, 수분이 보존되어 음식물의 고유한 맛이 유지될 수 있다. 더불어, 도어(300) 및/또는 프론트플레이트(106)의 표면에 수증기가 응축되어 물방울이 맺히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Therefore, the hot air generated in the cooking process of the food is not discharged to the outside, thereby preventing the injury of the user due to the hot air. In addition, since a phenomenon in which the substance causing the smell of food is discharged is prevented, the user may cook the food under more comfortable conditions. In addition, since a phenomenon in which the water of the food is evaporated and discharged to the outside is prevented, the water may be preserved to maintain a unique taste of the food. In addition, condensation of water vapor on the surfaces of the door 300 and / or the front plate 106 may prevent water droplets from forming.

도 4은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의 제2실시예를 보인 횡단면도이다.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econd embodiment of a cooking applian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의 제2실시예에서는, 에어가이드(700)가 더 포함된다. 상기 에어가이드(700)는, 통기구(450)가 구비되는 프론트플레이트(406)의 이면에, 그 전단은 상기 통기구(450)를 상방으로 개구되는 'ㄷ'자 형상으로 둘러싸고, 그 상단 및 후단은 개구되도록 설치된다. 또한, 상기 에어가이드(700)는, 상기 통기구(450)를 통하여 공기가 토출되는 방향으로, 상류측으로부터 하류측으로 갈수록, 유동단면적이 점점 감소되도록 형성된다. Referring to FIG. 4, in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cooking applian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 air guide 700 is further included. The air guide 700, the front surface of the front plate 406 is provided with a vent 450, the front end surrounds the '450' shape opening the upper vent 450, the upper and rear ends It is installed to be open. In addition, the air guide 700 is formed such that the flow cross-sectional area gradually decreases from the upstream side to the downstream side in the direction in which air is discharged through the vent hole 450.

한편, 제2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에어가이드(700)에 의해, 냉각팬(미도시)에 의해 유동되는 공기 중 일부가, 상기 통기구(450)를 통하여, 상기 캐비티의 전면과 상기 도어의 이면 사이의 틈새로 토출되도록 안내된다. 또한, 상기 에어가이드(700)의 상류측에서 하류측으로 갈수록 유동단면적이 감소됨에 따라, 에어가이드(700)를 통과하는 공기의 속도가 더욱 증가하여, 상기 통기구(450)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는, 상기 에어가이드(700)가 없는 경우에 비해 더 높은 속도로 토출된다. 즉, 상기 에어가이드(700)가 없는 경우에 비해, 더 많은 공기가 상기 통기구(450)를 통하여 토출될 수 있으므로, 조리실(440)의 고온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지 않도록 하는, 일종의 에어커튼 또는 에어월로서의 효과가 더욱 증대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the air guide 700, a part of the air flowing by the cooling fan (not shown), through the vent 450, the front of the cavity and the back of the door Guided to be discharged into the gap between. In addition, as the flow cross-sectional area decreases from the upstream side to the downstream side of the air guide 700, the speed of the air passing through the air guide 700 is further increased, so that the air discharged through the vent 450 is The air guide 700 is discharged at a higher speed than when there is no air guide 700. That is, since there is more air can be discharged through the vent 450, compared to the case without the air guide 700, a kind of air curtain to prevent the hot air of the cooking chamber 440 to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The effect as an air wall can be further increased.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통기구(450)를 통하여 토출되는 공기는, 상기 에어가이드(700)에 의해, 상기 도어(600) 이면에 직교되는 방향으로 토출된다. 다만,상기 통기구(450)를 통하여 토출되는 공기의 방향과 상기 도어(600) 이면이 이루는 각도는, 상기 에어가이드(700)의 형상을 변경함으로써, 용이하게 설계 변경 가능하다.In this embodiment, the air discharged through the vent 450 is discharged by the air guide 700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rear surface of the door 600. However, the angle formed between the direction of the air discharged through the vent 450 and the rear surface of the door 600 may be easily changed by changing the shape of the air guide 700.

이와 같이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첨부한 특허청구범위에 기초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As such, within the scope of the basic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many modifications are possible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based on the appended claims. will be.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의 제1실시예를 보인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rst embodiment of a cooking applian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의 제1실시예을 보인 종단면도.Figure 2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howing a first embodiment of a cooking applian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의 제1실시예를 보인 횡단면도.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first embodiment of a cooking applian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은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의 제2실시예를 보인 횡단면도.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econd embodiment of the cooking applian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8)

조리실이 구비되는 캐비티;Cavity is provided with a cooking chamber; 상기 조리실을 선택적으로 개폐하고, 상기 조리실이 차폐된 상태에서 그 이면이 상기 캐비티의 전면에 밀착되는 도어; 및A door that selectively opens and closes the cooking chamber and whose rear surface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front surface of the cavity while the cooking chamber is shielded; And 상기 조리실이 차폐된 상태에서 상기 도어의 이면이 밀착되는 상기 캐비티의 전면 일측에 구비되고, 상기 캐비티의 전면과 상기 도어의 이면 사이의 틈새로 공기를 토출하는 통기구;를 포함하는 조리기기.And an air vent provided on one side of the front surface of the cavity in which the rear surface of the door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cooking chamber and shielding the cooking chamber and discharging air into a gap between the front surface of the cavity and the rear surface of the door.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통기구를 통하여 토출되는 공기의 유동방향은, 상기 캐비티의 전면과 상기 도어의 이면 사이의 틈새를 통하여 상기 조리실의 내부의 공기가 누설되는 방향과 서로 교차하는 조리기기.And a flow direction of air discharged through the air vent crosses a direction in which air inside the cooking chamber leaks through a gap between a front surface of the cavity and a rear surface of the door.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통기구를 통한 공기의 토출은, 상기 캐비티의 일측에 설치되는 냉각팬의 구동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조리기기.Discharge of the air through the vent, the cooking apparatus is made by the drive of the cooling fan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cavity. 제 3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상기 냉각팬은, 적어도 상기 조리실의 내부에서 음식물을 조리하기 위한 열 을 제공하는 가열원 중 어느 하나를 냉각하는 조리기기.The cooling fan is a cooking apparatus for cooling any one of the heating source for providing heat for cooking food at least inside the cooking chamber.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통기구를 통하여 토출되는 공기를 안내하는 에어가이드를 더 포함하는 조리기기.Cooking apparatus further comprises an air guide for guiding the air discharged through the vent. 제 5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상기 에어가이드는, 상기 캐비티의 전면을 형성하는 프론트플레이트의 이면에 설치되는 조리기기.The air guide is a cooking device install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front plate forming the front of the cavity. 제 5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상기 에어가이드는, 상기 통기구를 통하여 공기가 토출되는 방향을 기준으로 상류측에 비하여 하류측의 유동단면적이 감소되는 조리기기.The air guide is a cooking appliance in which the flow cross-sectional area of the downstream side is reduced compared to the upstream side based on the direction in which air is discharged through the vent.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통기구는, 상기 캐비티에 그 일단을 중심으로 선단이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상기 도어의 선단에 대응하는 상기 캐비티의 전면 일측에 형성되는 조리기기.The vent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front surface of the cavity corresponding to the front end of the door in which the front end is rotatably installed around the end of the cavity.
KR1020080051501A 2008-06-02 2008-06-02 Cooker Active KR10100491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1501A KR101004919B1 (en) 2008-06-02 2008-06-02 Cook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1501A KR101004919B1 (en) 2008-06-02 2008-06-02 Cook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5404A KR20090125404A (en) 2009-12-07
KR101004919B1 true KR101004919B1 (en) 2010-12-28

Family

ID=416869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51501A Active KR101004919B1 (en) 2008-06-02 2008-06-02 Cook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04919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64332A (en) 1998-11-24 2000-06-1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Cooking device
KR200422400Y1 (en) 2006-05-18 2006-07-26 동양매직 주식회사 Cooling structure of electric oven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64332A (en) 1998-11-24 2000-06-1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Cooking device
KR200422400Y1 (en) 2006-05-18 2006-07-26 동양매직 주식회사 Cooling structure of electric ov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5404A (en) 2009-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50879B1 (en) A vent grill
RU2313035C2 (en) Oven (modifications), method for cooling of oven door, air control assembly and oven assembly
KR101263519B1 (en) Microwave range having hood
WO2010126037A1 (en) Cooking device
KR20200072702A (en) Cooking appliance having cooling system
KR101304691B1 (en) Microwave range having hood
US6965101B2 (en) Cooling structure for oven door of microwave oven usable as pizza oven
KR20050100243A (en) Heater cover for microwave oven
KR20220136027A (en) Qooking apparatus
US7375310B2 (en) Air flow system for circulating air in a microwave oven
KR101004919B1 (en) Cooker
KR20050100245A (en) Microwave oven
KR100402578B1 (en) An air flow system for micro wave oven
CN110840233A (en) Evaporate little all-in-one
KR20020057155A (en) Air flow system for microwave oven
JP2004093048A (en) Heating cookware
KR101453273B1 (en) Convection type microwave oven
KR100643883B1 (en) Pizza oven
JP6298652B2 (en) Cooker
JP6298653B2 (en) Cooker
KR20070008045A (en) Microwave oven exhaust
KR100735973B1 (en) Cooker
KR200189531Y1 (en) Microwave oven
KR20050100246A (en) Microwave oven
KR20050062794A (en) Microwave oven having a pizza ove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80602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005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01124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0122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0122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2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112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4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112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4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112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4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1114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4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1114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4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1114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4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1114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1109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1109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1109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