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004773B1 - 촬상장치 - Google Patents

촬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04773B1
KR101004773B1 KR1020047014484A KR20047014484A KR101004773B1 KR 101004773 B1 KR101004773 B1 KR 101004773B1 KR 1020047014484 A KR1020047014484 A KR 1020047014484A KR 20047014484 A KR20047014484 A KR 20047014484A KR 101004773 B1 KR101004773 B1 KR 1010047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signal
generation area
enlarged
mod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144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94336A (ko
Inventor
진요 구마키
Original Assignee
소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소니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0500943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943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47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4773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 H04N23/631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image capture or setting capture parame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7Focus control based on electronic image sensor signals
    • H04N23/673Focus control based on electronic image sensor signals based on contrast or high frequency components of image signals, e.g. hill climbing metho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7Focus control based on electronic image sensor signals
    • H04N23/675Focus control based on electronic image sensor signals comprising setting of focusing reg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8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for stable pick-up of the scene, e.g. compensating for camera body vibr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8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for stable pick-up of the scene, e.g. compensating for camera body vibrations
    • H04N23/681Motion detection
    • H04N23/6812Motion detection based on additional sensors, e.g. acceleration sens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8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for stable pick-up of the scene, e.g. compensating for camera body vibrations
    • H04N23/682Vibration or motion blur correction
    • H04N23/684Vibration or motion blur correction performed by controlling the image sensor readout, e.g. by controlling the integration time
    • H04N23/6842Vibration or motion blur correction performed by controlling the image sensor readout, e.g. by controlling the integration time by controlling the scanning position, e.g. window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9Control of means for changing angle of the field of view, e.g. optical zoom objectives or electronic zoom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tudio Devices (AREA)
  • Automatic Focus Adjustment (AREA)
  • Adjustment Of Camera Lenses (AREA)
  • Exposure Control For Cameras (AREA)
  • Lens Barrels (AREA)

Abstract

수동초점 제어모드이며 또한 보조기능을 행하는 설정으로 되어 있을 때에는, 마이크로컴퓨터(14)가 화상생성영역의 내부에 확대화상생성영역을 설정하고, 신호처리부(5)가 확대화상생성영역의 화상신호에 처리를 행하며, 표시처리부(7)가 신호처리부(5)에 의해 처리된 화상신호로부터 소정의 크기로 확대된 화상을 생성하여 표시부(8)에 표시한다. 마이크로컴퓨터(14)는, 확대화상생성영역을 소정의 위치로부터 손떨림 양만큼 이동시킨 위치로 설정한다.

Description

촬상장치{Image pickup device}
본 발명은, 비디오 카메라나 스틸 카메라 등의 촬상(撮像)장치에 관한 것이며, 더 자세하게는, 촬상된 화상을 표시부에 표시할 수 있는 촬상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출원은, 일본국에서 2003년 1월 23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번호 2003-015165를 기초로 하여 우선권을 주장하는 것이며, 이 출원은 참조함으로써 본 출원에 원용된다.
종래, 경량으로 휴대가 간단하고 쉬운 디지털 스틸 카메라나 카메라 일체형 비디오 카메라 등의 소형 촬상장치가 보급되어 있다. 이 소형 촬상장치는, 소형이고 또한 경량이므로 안정성이 나쁘고, 촬상시에 손떨림이 생기기 쉽다.
그래서, 이 손떨림을 보정할 수 있는 소형 촬상장치가 이용되고 있다. 손떨림 보정은, 손떨림의 방향이나 크기를 나타내는 손떨림 양을 검출한 후에, 손떨림 양에 의거하여 화상떨림을 보정함으로써 행해진다.
손떨림 양을 검출하는 방법으로서는, 소형 촬상장치에 수직방향의 각속도를 검출하는 각속도 센서와 수평방향의 각속도를 검출하는 각속도 센서를 비치하고, 각 각속도 센서에 의해서 검출된 각속도를 검출하고 적분하는 것으로 검출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또, 촬상소자로부터 출력된 전 프레임의 화상신호와 현 프레임의 화상신호로부터 손떨림 양의 검출에 필요한 성분을 추출하고, 대표점 매칭법에 의해 검출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화상떨림을 보정하는 방법으로서는, 소형 촬상장치에 배리앵글프리즘(이하, VAP라고 한다.)을 비치하여, 검출된 손떨림 양에 따라 광축을 변화시키는 방법을 들 수 있다. 그러나, 촬상장치는, VAP를 갖추면, 렌즈부가 커지기 때문에 소형화에 불리하게 된다.
한편, 촬상장치의 소형화에 유리한 방법으로서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최종적으로 화상이 되는 화상신호를 출력하는 화상생성영역(Ⅹ)의 면적보다도, 유효화소에 의해 구성되는 영역(이하, 유효화소영역이라고 한다.)(Y)의 면적이 넓은 CCD(Charge Coupled Device)(200)를 갖추고, 유효화소영역(Y)으로 설정되는 화상생성영역(Ⅹ)의 위치를 이동시킴으로써 화상떨림을, 손떨림 양에 상당하는 만큼 보정하는 이른바 전자식 손떨림 보정방식을 들 수 있다. 전자식 손떨림 보정방식에서는, 각 프레임 화상에 비추어지는 공간이 손떨림의 영향으로 어긋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손떨림을 보정한 화상을 생성한다.
그런데, 소형 촬상장치에서는, 동화상과 정지화상과의 양쪽 모두를 촬상할 수 있는 것이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촬상장치에 의해서 촬상된 정지화상은, 노광(露光) 시간내에 손떨림이 생겼을 때에 촬상소자로부터 손떨림의 영향을 받은 화상신호가 출력되는 것으로, 화상떨림이 생긴다.
그러나, 전자식 손떨림 보정방식에서는, 노광중의 손떨림의 영향을 보정할 수 없다. 즉, 소형화를 도모하기 위해서 전자식 손떨림 보정방식을 채용한 소형 촬상장치에서는, 정지화상의 손떨림을 충분히 보정할 수 없다.
그래서, 전자식 손떨림 보정방식을 채용한 촬상장치는, 정지화상을 촬상할 때에는 손떨림 보정을 행하는 것보다 화상의 화질을 올리는 것을 우선하고, 유효화소영역(Y) 전부를 화상생성영역(Ⅹ)으로 설정하여 유효화소 전부의 화상신호로부터 화상을 생성하는 것으로, 해상도가 높은 정지화상을 생성하고 있다.
또, 촬상장치에는, 전자식 손떨림 보정기능과 함께 수동으로 초점을 제어하는 수동초점 제어기능이 갖추어지는 경우가 있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자식 손떨림 보정기능과 함께 수동초점 제어기능이 갖추어지는 촬상장치(201)에서 정지화상을 촬상할 때에는, 먼저, CCD(200)가 렌즈부(211)를 통과한 피사체의 광학상을 화상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다음에, CCD(200)로부터 출력된 화상신호는, 아날로그 프런트엔드(analogue frontend)(212)에 의해서 디지털신호로 변환된다. 그리고, 화상신호처리부(213)가, 아날로그 프런트엔드(212)로부터 출력된 화상신호에 처리를 행한다. 화상신호처리부(213)에 의해서 처리된 화상신호는, 메모리(214)에 한 번 기록된 후에, 표시 제어부(215)의 제어에 의하여 화상으로서 표시부(216)에 표시된다. 사용자는, 표시부(216)에 표시된 화상을 직접 보고 확인하면서 수동초점 제어부(217)를 조작함으로써 수동으로 초점을 제어한다.
또, 촬상장치(201)는, 초점을 제어할 경우에 표시부(216)에 표시되는 화상을 확대하는 보조기능을 갖추는 일이 있다. 보조기능에 의해 화상을 확대할 때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먼저, 마이크로 컴퓨터(이하, 마이컴이라고 한다.)(218)가, 화상생성영역(Ⅹ)의 내부에 확대화상생성영역(W)을 설정한다. 그리고, 마이컴(218)이, 타이밍 제네레이터(이하, TG라고 한다.)(219)를 제어하는 것으로 CCD(200)로부터의 화상신호의 출력을 제어하거나 메모리(214)로부터의 화상신호의 독출을 제어함으로써, 확대화상생성영역(W)의 화상신호를 표시제어부(215)에 공급한다. 표시제어부(215)는, 공급된 화상신호로부터 소정의 크기로 확대된 화상을 작성하고, 표시부(216)에 표시한다. 수동초점제어를 행하고 있을 때에 표시부(216)에 확대한 화상이 표시되면, 사용자는 화상을 직접 보고 확인하기 쉬워 지고, 임의의 초점 제어를 행하기 쉬워진다.
그렇지만, 표시부(216)에 표시되는 동화상은, 확대되는 만큼 손떨림의 영향을 받기 쉬워지고, 화상떨림이 크게 된다. 또, 정지화상을 촬상할 때는 손떨림 보정이 행해지지 않기 때문에, 확대화상 생성영역(W)은, 손떨림이 생겨도 일정 위치에 설정되어 있다. 즉, 확대되어 표시부(216)에 표시된 화상은 화상떨림이 크기 때문에, 사용자는, 표시부(216)에 표시된 화상을 직접 보고 확인하여 임의의 초점 제어를 행하는 것이 곤란해진다. 즉, 초점제어를 행하기 쉽게 하기 위해서 표시부(216)에 대해서 확대한 화상을 표시했음에도 불구하고, 사용자는 임의의 초점제어를 행하는 것이 곤란하게 된다.
게다가 촬상장치(201)에서는, CCD(200)의 수광면에 설정된 소정의 범위(이하, 제어신호 생성영역이라고 한다.)(Z)의 화상신호에 의거하여, 초점제어, 화이트 밸런스(white balance)제어, 노광 제어 등의 화상제어를 행하고 있다. 제어신호 생성영역(Z)은, 화상생성영역(Ⅹ)의 이동에 따라 화상생성영역(Ⅹ)과 같은 방향으로 같은 거리 이동한다. 제어신호 생성영역(Z)이 화상생성영역(Ⅹ)과 같은 방향으로 같은 거리 이동함으로써, 제어신호 생성영역(Z)의 화상신호도 손떨림의 영향이 작은 것으로 된다. 즉, 손떨림 양에 따라 제어신호 생성영역(Z)의 위치를 이동시켜 화상떨림을 보정함으로써, 촬상장치(201)에서는, 손떨림의 영향이 적은 화상신호에 의거하여, 초점제어, 화이트 밸런스 제어, 노광 제어 등을 적절히 행할 수 있다.
그렇지만, 촬상장치(201)에서는, 정지화상을 촬상하고 있을 때는 손떨림 보정이 행해지지 않기 때문에, 화상생성영역(Ⅹ)은 이동하지 않는다. 즉, 제어신호 생성영역(Z)도 이동하지 않는다.
따라서, 제어신호 생성영역(Z)으로부터 출력되는 화상신호는, 손떨림의 영향을 받은 신호로 된다. 즉, 촬상장치(201)에서는, 손떨림의 영향을 받은 화상신호에 의거하여, 화이트 밸런스 제어, 노광 제어 등을 행하는 것으로 되기 때문에, 화이트 밸런스제어, 노광 제어 등을 적절히 행하는 것이 곤란해진다. 따라서, 촬상장치(201)에 의해 얻어진 정지화상은, 손떨림이 보정되어 있지 않을 뿐만 아니라, 화이트 밸런스 제어나 노광 제어 등의 화상제어도 적절히 행해져 있지 않은 것으로 된다.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은 종래의 실상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이며, 손떨림 양에 따라 화상생성영역을 이동시키는 것으로 손떨림 보정을 행하는 촬상장치에 있어서, 손떨림 보정을 행하지 않을 때에, 수동으로 임의의 초점제어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는 동시에, 화이트 밸런스 제어, 노광 제어 등의 화상제어가 적절하게 행해진 화상을 촬상하는 것이 가능한 촬상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정지화상 촬상모드와 동화상 촬상모드를 구비한 촬상장치에 있어서, 피사체의 광학상을, 화상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촬상소자와, 손떨림 양을 검출하는 손떨림 검출수단과, 상기 촬상 소자의 전유효화소영역내에, 화상신호 생성영역을 설정하는 화상신호 생성영역 설정수단과, 상기 촬상 소자의 전유효화소영역내에, 상기 화상신호 생성영역보다 작은 확대화상 생성영역을 설정하는 확대화상 생성영역 설정수단과, 상기 동화상 촬상모드에 있어서, 수동초점 조정모드의 때에는 상기 확대화상 생성영역의 화상신호로부터, 상기 수동초점 조정모드의 때 이외에는, 상기 화상신호 생성영역의 화상신호로부터, 표시용 화상 사이즈의 화상을 생성하고, 또한, 상기 정지화상 촬상모드에 있어서 상기 화상신호 생성영역의 화상신호로부터, 표시용 화상 사이즈의 화상을 생성하고, 표시부에 표시하는 표시화상 생성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표시화상 생성수단은, 적어도, 상기 정지화상 촬상모드이고, 또한 정지화를 기록하고 있지 않는 경우에는, 수동초점 제어조작이 이루어지지 않는 동안에, 상기 확대화상 생성영역의 화상신호로부터 표시용 화상 사이즈의 화상을 생성하고, 상기 표시부에 표시함과 동시에, 상기 확대화상 생성영역 설정수단은, 상기 손떨림 양에 따라 상기 확대화상 생성영역의 설정 위치를, 표시부의 한 위치로부터 이동된 위치에 설정함과 동시에, 상기 수동초점조작의 개시후에, 상기 확대화상 생성영역의 면적 또는 확대율을 시간의 경과에 따라 변화하도록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관계되는 촬상장치에서는, 화상생성영역 설정수단에 의해서 화상생성영역을 손떨림 양만큼 이동한 위치로 설정하는 것으로 손떨림 보정을 행함에도 불구하고, 화상생성영역 설정수단이 화상생성영역을 소정의 영역으로 설정하고 또한 표시부에 대해서 확대한 화상을 표시할 때에, 표시부에 대해서, 확대되어 있고 동시에 손떨림 보정이 된 화상을 표시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촬상장치에 있어서의 화상생성영역의 설정과 제어신호 생성영역의 설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종래의 촬상장치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을 적용한 촬상장치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4는, 촬상장치에 갖춰져 있는 CCD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5는, 정지화상 촬상모드이며 또한 자동초점 제어모드일 때의 화상생성영역 및 제어신호 생성영역의 설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동화상 촬상모드이며 또한 자동초점 제어모드일 때의 화상생성영역 및 확대화상생성영역의 설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정지화상 촬상모드이며 또한 수동초점 제어모드일 때의 화상생성영역 및 제어신호 생성영역의 설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동화상 촬상모드이며 또한 수동초점 제어모드일 때의 화상생성영역 및 확대화상생성영역의 설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줌 조정부에서 사용되는 게인 테이블의 이득 특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화상생성영역을 설정했을 때에, CCD로부터 출력이 제어됨으로써 제거되는 화상신호와, 메모리로부터의 독출이 제어됨으로써 제거되는 화상신호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확대화상생성영역을 설정했을 때에 CCD로부터 출력되는 화상신호와 메모리로부터 독출되는 화상신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표시부에 화상을 확대하여 표시하고 있을 때, 표시부에 아이콘을 표시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a 및 도 13b는, 시간의 경과에 따라, 확대화상생성영역의 면적이 서서히 좁아져, 표시부에 표시되는 화상의 배율이 서서히 올라가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a 및 도 14b는, 시간의 경과에 따라, 확대화상생성영역의 면적이 이산적(離散的)으로 좁아지고, 표시부에 표시되는 화상의 배율이 이산적으로 올라가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는, 화상생성영역을 설정했을 때에, CCD로부터 출력이 제어됨으로써 제거되는 화상신호와, 메모리로부터의 독출이 제어됨으로써 제거되는 화상신호와의 다른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을 적용한 촬상장치가 확대 표시 플래그를 온으로 할 때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17은, 확대 표시 플래그가 온일 때, 본 발명을 적용한 촬상장치가 손떨림 보정을 행할 때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18은, 본 발명을 적용한 촬상장치가 정지화상 촬상모드이며 자동 초점 제어모드일 때에 초점제어, 노광 제어, 화이트 밸런스 제어를 행할 때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을 적용한 촬상장치(1)는, 피사체로부터의 촬상광을 집광하는 렌즈부(2)와, 렌즈부(2)에 의하여 집광된 촬상광을 수광하여 화상신호로 변환하고, 변환한 화상신호를 출력하는 CCD(Charge Coupled Device)(3)와, CCD(3)에 의해 출력된 화상신호를 디지털신호로 변환하는 아날로그 프런트엔드(4)와 아날로그 프런트엔드(4)로부터 출력된 화상신호를 처리하는 화상신호 처리부(5)와 화상신호 처리부(5)로부터 공급된 신호를 기억하는 메모리(6)와 메모리(6)로부터 독출된 화상신호가 공급되는 표시제어부(7)와, 표시제어부(7)에 의한 제어에 의거하여 화상이 표시되는 표시부(8)를 갖춘다.
또, 촬상장치(1)는, 렌즈부(2)에 갖추어진 포커스렌즈(21), 줌 렌즈(22), 조리개(23)를 구동하는 구동부(9)와, 촬상장치(1)에 손떨림이 생겼을 때의 각속도를 검출하여 각속도 신호를 출력하는 각속도 검출부(10)와, 각속도 검출부(10)로부터 출력된 각속도 신호에 처리를 행하는 각속도 신호처리부(11)와, CCD(3)로부터의 화상신호의 출력을 제어하는 타이밍 제네레이터(이하, TG라고 한다.)(12)와, 사용자에 의해 정보가 입력되는 입력부(13)와, 화상신호처리부(5), 각속도 신호처리부(11), 입력부(13)로부터의 신호에 의거하여 각부를 제어하는 마이크로 컴퓨터(이하, 마이컴이라고 한다.)(14)를 갖춘다.
렌즈부(2)는, 위치가 변화함으로써 초점을 제어 가능한 포커스 렌즈(21)와 위치가 변화함으로써 결상 위치를 바꾸지 않고 화상의 배율을 제어 가능한 줌 렌즈(22)와, 크기가 가변인 개구부(23a)가 설치되어 있고, 개구부(23a)의 크기가 변화함으로써 렌즈부(2)로부터 출력되는 빛의 양을 제어 가능한 조리개(23)와, 수동으로 회전시킴으로써 포커스 렌즈(21)의 위치를 이동시키는 링(24)을 갖춘다.
포커스렌즈(21)는, 자동적으로 초점을 제어하는 자동 초점 제어 모드일 때는, 후술하는 초점검출신호(Sl)로부터 생성된 초점제어신호(S4)에 의거하여, 구동부(9)에 의해 작동된다. 또, 수동으로 초점을 제어하는 수동 초점 제어 모드일 때는, 링(24)을 회전시킴으로써, 예를 들면 링크나 기어 등을 통하여 기구적으로 작동되거나, 엔코더 등의 센서를 이용하여 전기적으로 검출된 링(24)의 회전에 의거하여 구동부(9)에 의해 작동되거나 한다. 또, 줌 렌즈(22)는, 광학줌을 행할 때에 구동부(9)에 의해 작동된다. 조리개(23)는, 구동부(9)에 의해 개구부(23a)의 크기가 제어된다.
또한, 촬상장치(1)는, 줌 렌즈(22)를 수동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수동으로 줌을 행할 수 있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예를 들면, 링(24)을 회전시킴으로써 이동시키는 렌즈를 포커스 렌즈(21) 또는 줌 렌즈(22)의 어느 쪽인가로 전환하는 전환부를 갖춘다. 그리고, 줌 렌즈(22)를 수동으로 이동시킬 때는, 전환부를 조작하여 링(24)의 회전에 의해 이동하는 렌즈를 줌 렌즈(22)로 설정하고 나서 링(24)을 회전시킴으로써, 줌 렌즈(22)를 이동시킨다. 또한, 마이컴(14)은 줌 렌즈(22)의 위치에 의거하여 연산을 행하므로, 줌 렌즈(22)를 수동으로 이동시킬 때는, 줌 렌즈(22)의 위치를 나타내는 신호를 마이컴(14)에 공급한다.
CCD(3)로서는, 예를 들면,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인터라인트랜스퍼(interline transfer) 형의 것이 사용된다. CCD(3)는, 수광한 촬상광을 전하로 변환하여 축적하는 포토 다이오드(photo diode)(31)와, 각 포토 다이오드(31)에 축적된 전하가 독출되는 독출게이트(32)와, 독출된 전하를 도면중 화살표(Ⅴ)로 나타내는 수직방향으로 전송하는(이하, 수직전송이라고 한다.) 수직 전송로(33)와, 수직 전송된 전하를 도면중 화살표(H)로 나타내는 수평방향으로 전송하는(이하, 수평전송이라고 한다.) 수평 전송로(34)와, 수평 전송된 전하의 증폭 등을 행하는 데이터 출력부(35)와, 접지하고 있는 저항(36)과, 데이터 출력부(35)와 저항(36)의 사이에 설치되는 스위치(37)를 갖춘다. 즉, 스위치(37)가 온이 되었을 때에는, 데이터 출력부(35)는 저항(36)을 통하여 접지되고, 전하를 출력하지 않는다. 또, 스위치(37)가 오프가 되었을 때에는, 데이터 출력부(35)는 전하를 출력한다. 따라서, 스위치(37)가 온으로 되었을 때는 CCD(3)로부터 화상신호가 출력되며, 스위치(37)가 오프로 되었을 때에는 CCD(3)로부터 화상신호가 출력되지 않는다. 각 포토다이오드(31)에 축적된 전하의 독출, 수직전송, 수평전송, 스위치(37)의 온 및 오프는, TG(12)로부터 공급되는 신호에 의거하여 행해진다.
화상신호처리부(5)는, 아날로그 프런트엔드(4)로부터 공급된 화상신호를 휘도신호와 R신호, G신호, B신호(이하, 합쳐서 색신호라고 한다.)로 분리하는 신호분리부(51)과 마이크로컴퓨터(14)에 의한 제어에 따라 휘도신호로부터 렌즈부(2)의 합초도(合焦度:초점이 맞추어진 정도)를 검출하는 합초검출부(合焦檢出部)(52)와 마이컴(14)에 의한 제어에 따라 휘도신호로부터 피사체의 밝기를 검출하는 노광검출부(露光檢出部)(53)와 마이컴(14)에 의한 제어에 따라 색신호로부터 피사체의 색온도를 검출하는 화이트 밸런스 검출부(54)를 갖춘다.
합초검출부(52)는, 자동 초점 제어 모드일 때, 마이컴(14)의 제어에 의해, 예를 들면 도 5 및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CCD(3)의 수광면으로 설정된 제어 신호 생성 영역(A)으로부터 출력되는 화상신호에서 분리된 휘도신호의 고주파 성분을 적분하여, 렌즈부(2)의 합초도를 나타내는 초점 검출 신호(Sl)를 생성한다. 초점 검출 신호(Sl)는, 마이컴(14)으로 공급된다. 렌즈부(2)의 초점이 맞는 만큼 휘도신호의 고주파 성분이 증대하기 때문에, 초점 검출 신호(Sl)는 증대한다. 휘도신호의 고주파 성분은, 예를 들면 휘도신호를 하이 패스 필터나 밴드 패스 필터에 통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또한 제어신호 생성영역(A)은 마이컴(14)에 의해 CCD(3)의 수광면으로 설정된다. 마이컴(14)에 의한 제어신호 생성영역(A)의 설정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노광 검출부(53)는, 자동 초점 제어 모드일 때, 마이컴(14)의 제어에 의해, 제어신호 생성영역(A)으로부터 출력되는 화상신호에서 분리된 휘도신호를 적분하여, 피사체의 밝기를 나타내는 노광검출신호(S2)를 생성한다. 또, 수동 초점 제어 모드 때에, 마이컴(14)의 제어에 의해, 예를 들면 도 7 및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CCD(3)의 수광면에 설정된 확대화상생성영역(E)으로부터 출력되는 화상신호에서 분리된 휘도신호를 적분하여, 노광검출신호(S2)를 생성한다. 노광검출신호(S2)는, 마이컴(14)으로 공급된다. 피사체가 밝은 만큼 휘도신호는 증대하기 때문에, 노광검출신호(S2)도 증대한다. 또한 확대화상생성영역(E)은, 마이컴(14)에 의해 CCD(3)의 수광면으로 설정된다. 마이컴(14)에 의한 확대화상생성영역(E)의 설정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화이트 밸런스 검출부(54)는, 자동초점제어모드일 때, 마이컴(14)의 제어에 의해, 제어신호 생성영역(A)으로부터 출력되는 화상신호에서 분리된 색신호에 의거하여, 피사체의 색온도를 나타내는 화이트 밸런스 검출신호(S3)를 생성한다. 또, 수동 초점 제어 모드일 때, 마이컴(14)의 제어에 의해, 확대화상생성영역(E)으로부터 출력되는 화상신호에서 화이트 밸런스 검출신호(S3)를 생성한다. 화이트 밸런스 검출신호(S3)는, 마이컴(14)으로 공급된다. 화이트 밸런스 검출신호(S3)는, R신호, B신호의 색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적분함으로써 생성된다.
표시제어부(7)는, 메모리(6)로부터 독출된 화상신호를 표시부(8)가 화상으로서 표시할 수 있는 데이터열로 변환하여, 표시부(8)에 화상을 표시한다. 또, 예를 들면 수동 초점 제어 모드이며 또한 보조기능을 사용하는 설정이 되어 있을 때 등, CCD(3)의 유효화소의 일부로부터 출력되는 화상신호가 메모리(6)로부터 공급되고, 표시부(8)에 확대한 화상을 표시하는 설정으로 되어 있을 때는, 메모리(6)로부터 독출된 화상신호를, 표시부(8)가 소정의 사이즈의 화상으로서 표시할 수 있는 데이터열로 변환하여, 표시부(8)에 확대된 화상을 표시한다.
예를 들면, 수동 초점 제어 모드이며 또한 표시부(8)에 확대된 화상을 표시하는 보조기능을 사용하는 설정이 되어 있을 때에는, 메모리(6)로부터는, 확대화상생성영역(E)의 화상신호가 독출된다. 표시제어부(7)는, 확대화상생성영역(E)의 화상신호를, 표시부(8)가 소정의 사이즈의 화상으로서 표시할 수 있는 데이터열로 변환하여, 표시부(8)에 확대된 화상을 표시한다.
표시부(8)는, 표시제어부(7)로부터의 제어에 따라서, 화상을 표시한다. 예를 들면 자동 초점 조절 모드일 때는, 화상생성영역(B)에서 출력된 화상신호로부터 생성된 화상을 표시한다. 또, 수동 초점 제어 모드이며 또한 보조기능을 사용하는 설정으로 되어 있고, 초점 제어를 행하고 있을 때는, 확대화상생성영역(E)에서 출력된 화상신호로부터 생성된 화상을 표시한다.
구동부(9)는, 자동 초점 제어 모드 때에, 마이컴(14)으로부터 공급되는 초점제어신호(S4)에 의거하여 포커스 렌즈(21)를 이동시키고, 화상의 초점을 제어한다. 또, 광학줌을 행할 때에는, 마이컴(14)으로부터 공급되는 배율제어신호에 의거하여 줌 렌즈(22)를 이동시키고, 화상의 배율을 조정한다. 게다가 마이컴(14)으로부터 공급되는 노광제어신호(S5)에 의거하여 조리개(23)에 갖추어진 개구부(23a)의 크기를 변화시키고, 렌즈부(2)가 출력하는 빛의 양을 조정한다.
각속도 검출부(10)는, 촬상장치(1)에 손떨림이 생겼을 때에 각속도를 검출한다. 각속도 검출부(10)는, 수직방향의 각속도를 검출하여 Ⅴ각속도 신호를 출력하는 Ⅴ방향 각속도 센서(101a)와, 수평방향의 각속도를 검출하여 H각속도 신호를 출력하는 H방향 각속도 센서(101b)를 갖춘다.
각속도 신호처리부(11)는, 각속도 검출부(10)에 의해서 출력된 Ⅴ각속도 신호, H각속도 신호로부터 고주파 성분을 제거하는 로패스필터(111a, 111b)와, 로패스필터(111a, 111b)에 의하여 출력된 신호를 증폭하는 앰프(112a, 112b)와, 앰프(112a, 112b)에 의해서 출력된 신호로부터 저주파 성분을 제거하는 하이 패스 필터(113a, 113b)를 갖춘다. 즉, 각속도 신호처리부(11)는, H각속도신호 및 Ⅴ각속도 신호의 대역제한 및 증폭을 행한다.
TG(12)는, CCD(3)에 신호를 공급하고, CCD(3)로부터의 화상신호의 출력을 제어한다. 상술하면, TG(12)는, 각 포토 다이오드(31)에 축적된 전하를 독출하는 독출신호(VT), 독출된 신호를 통상의 속도(주파수)로 수직전송하는 통상수직전송신호(VLC), 독출된 신호를 고속으로 수직전송하는 고속수직전송신호(VHC), 수직전송된 신호를 통상의 속도로 수평전송 하는 통상수평전송신호(HLC), 수직전송된 신호를 고속으로 수평전송하는 고속수평전송신호(HHC), 스위치(37)를 온으로 하는 스위치신호(SP)를, CCD(3)에 대하여 공급한다.
TG(12)가 CCD(3)에 대하여 독출신호(VT)를 공급한 후에, 통상수직전송신호(VLC)와 통상수평전송신호(HLC)를 공급함으로써, CCD(3)로부터는 화상신호가 출력된다. 한편, TG(12)가 CCD(3)에 대하여 독출신호(VT)를 공급한 후에, 고속수직전송신호(VHC)와 고속수평전송신호(HHC)와 스위치신호(SP)를 공급하면, 각 포토 다이오드(31)에 축적된 전하는 고속수직전송된 후에 고속수평전송되어 데이터 출력부(35)로 공급된다. 또, 스위치(37)는 온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데이터 출력부(35)는 저항(36)을 통하여 접지되고, 고속전송된 전하는 데이터 출력부(35)로부터 출력되지 않는다. 즉, CCD(3)로부터는 화상신호가 출력되지 않는다.
입력부(13)는, 모드 전환 다이얼, 줌 버튼, 캡쳐 버튼 등으로 구성된다. 사용자가 입력부(13)를 조작함으로써, 정지화상 촬상 모드와 동화상 촬상 모드와의 전환, 화상의 배율, 수동초점 제어모드와 자동초점 제어모드와의 전환, 보조기능을 사용하는 설정 등이 행해진다.
캡쳐 버튼은, 2 단계로 밀어넣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캡쳐 버튼을 가볍게 눌러 저항을 느끼는 위치까지 밀어넣은 상태를 반(半)밀기라고 하고, 반밀기에서 더 밀어넣은 상태를 전(全)밀기라고 한다. 캡쳐 버튼이 반밀기로 됨으로써 표시부(8)에 표시되어 있는 화상은 정지하고, 캡쳐 버튼이 전밀기로 됨으로써 표시부(8)에 표시되어 있는 화상이 정지화상으로서 촬상되며, 도시하지 않은 기록부에 기록된다.
수동 초점제어모드일 때에 보조기능을 사용하는 설정으로 함으로써, 사용자가 링(24)을 회전시키고 있을 때에는, 표시부(8)에 확대된 화상이 표시된다. 즉, 사용자는, 수동으로 초점을 제어할 때에, 표시부(8)에 표시되어 있는 확대된 화상을 직접 보고 확인하면서 초점제어를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촬상장치(1)에서는, 수동초점 제어모드이며 또한 보조기능을 사용하는 설정으로 되어 있고, 초점제어가 행해지고 있을 때에, 표시부(8)에, 확대되어 있고 또한 손떨림 보정된 화상을 표시한다.
또한, 수동 초점제어모드일 때에는, 링(24)의 회전이 정지하고 나서 소정의 시간(t)이 경과하면, 확대된 화상의 표시가 종료한다. 시간(t)은, 마이컴에 갖추어진 카운터(도시하지 않음.)에 의하여 계측된다. 또한, 수동초점 제어모드이며, 사용자가 링(24)을 회전시키고 있을 때에도, 보조기능을 사용하지 않는 설정으로 되어 있을 때에는, 표시부(8)에는 확대되지 않는 통상의 화상이 표시된다.
마이컴(14)은 모드전환부(141)를 갖추고, 입력부(13)에 의하여 정지화상을 촬상하는 설정이 되었을 때에는 정지화상 촬상모드로 되며, 동화상을 촬상하는 설정이 되었을 때에는 동화상 촬상모드로 된다. 또, 입력부(13)에 의하여 수동으로 초점을 제어하는 설정이 되었을 때에는 수동초점 제어모드로 되고, 자동적으로 초점을 제어하는 설정이 되었을 때에는 자동초점 제어모드로 된다.
마이컴(14)은, 촬상장치(1)에 손떨림이 생겼을 때에, 손떨림의 방향이나 크기를 나타내는 손떨림 양을 구하는 손떨림 양 산출부(142)를 갖춘다. 손떨림 양 산출부(142)는, 각속도 신호처리부(11)로부터 출력된 Ⅴ각속도 신호가 공급되는 하이 패스 필터(HPF)(143a)와, 하이 패스 필터(143a)로부터 출력된 신호가 공급되는 감도조정부(144a)와, 감도조정부(144a)로부터 출력된 신호가 공급되는 줌 조정부(145a)와, 줌 조정부(145a)로부터 출력된 신호가 공급되는 적분회로(146a)를 갖춘다. 또, 손떨림 양 산출부(142)는, 각속도 신호처리부(11)로부터 출력된 H각속도 신호가 공급되는 하이패스필터(HPF)(143b)와, 하이패스필터(143b)로부터 출력된 신호가 공급되는 감도조정부(144b)와, 감도조정부(144b)로부터 출력된 신호가 공급되는 줌 조정부(145b)와, 줌 조정부(145b)로부터 출력된 신호가 공급되는 적분회로(146b)를 갖춘다.
하이패스필터(143a, 143b)는, 각각 각속도 신호처리부(11)로부터 공급된 Ⅴ각속도신호, H각속도 신호에 포함되는 저주파 성분을 제거하는 것으로, 손떨림 산출부(142)에 의하여 산출되는 손떨림 양에 패닝(panning)이나 틸팅(tilting)에 의한 촬상장치(1)의 움직임이 포함되어, 틀린 손떨림 보정이 되는 것을 회피한다.
감도조정부(144a, 144b)는, 하이패스필터(143a, 143b)로부터 출력된 신호에 대해서, 개개의 촬상장치(1)에 갖추어진 H각속도 센서(101a), Ⅴ각속도 센서(102b)의 감도의 불균일을 줄이기 위한 연산을 행한다.
줌 조정부(145a, 145b)는, 감도조정부(144a, 144b)로부터 출력된 신호에 대해서, 줌 렌즈(22)의 위치에 따른 보정을 행한다. 촬상장치(1)에서는, 줌 렌즈(22)의 위치를 바꾸어 화상의 배율을 변화시키면, 같은 손떨림이 생겼을 때에도 화상떨림이 변화하므로, 예를 들면 도 9에 나타내는 게인 테이블을 사용하여 줌 렌즈(22)의 위치로부터 줌 게인을 구하고, 줌 게인을 감도조정부(144a, 144b)로부터 공급되는 신호에 적산(積算)하는 것으로 보정을 행한다. 도 9에서는, 횡축은 줌 렌즈(22)의 위치를 나타내고 있고, 종축이 줌 게인을 나타내고 있다. 줌 게인은, 줌 렌즈(22)의 위치가 Wide단에서 Tele단으로 이동함에 따라 커진다.
적분회로(146a, 146b)는, 줌 조정부(145a, 145b)로부터 출력된 신호에 대하여 적분을 행하는 것으로 각도를 산출한다. 적분회로(146a, 146b)에 의해 산출된 각도로부터, 손떨림 양이 산출된다.
마이컴(14)은, 노광검출부(53)로부터 공급된 노광검출신호(S2)에 의거해서 노광제어신호(S5)를 생성하여 구동부(9)로 공급한다. 또, 화이트 밸런스 검출부(54)로부터 공급된 화이트 밸런스 검출신호(S3)에 의거해서 화이트 밸런스 앰프 제어신호(S6)를 생성하여, 색신호를 소정의 값으로 증폭 또는 감쇠하는 화이트 밸런스 앰프(도시하지 않음)에 공급한다.
마이컴(14)은, 자동초점 제어모드일 때에는, 합초검출부(52)로부터 공급된 초점검출신호(Sl)에 의거해서 초점제어신호(S4)를 생성하여 구동부(9)로 공급한다.
마이컴(14)은, 동화상 촬상모드일 때에는, 도 6 및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CCD(3)의 모든 유효화소에 의하여 구성되는 영역(이하, 유효 화소 영역이라고 한다.)(D)의 내부에 화상생성영역(B)을 설정한다. 마이컴(14)은, 화상생성영역(B)의 설정위치를 손떨림 양에 따라 이동시키는 것으로, 표시부(8)에 표시되는 화상의 손떨림 보정을 행한다. 마이컴(14)은, 동화상 촬상모드이며 또한 손떨림 양이 0일 때에는, 화상생성영역(B)을, 예를 들면 도 6 및 도 8중 B로 나타내는 소정의 위치로 설정한다. 그리고, 예를 들면 도면중 화살표(M)로 나타내는 손떨림 양이 검출되었을 때에는, 소정의 위치(B)로부터 손떨림 양에 상당하는 만큼 이동한 위치(B')로 설정한다.
즉, 촬상장치(1)는, 손떨림 양에 상당하는 만큼 유효화소영역(D)으로 설정되는 화상생성영역(B)의 위치를 이동시킴으로써 화상떨림을 보정하는, 이른바 전자식 손떨림 보정방식에 의해 손떨림 보정을 행한다.
또, 마이컴(14)은, 정지화상 촬상모드일 때에는, 도 5 및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손떨림 양에 관계없이 화상생성영역(B)을 소정의 위치로 설정한다.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CCD(3)의 유효화소영역(D) 전체를 화상생성영역(B)으로 설정한다.
마이컴(14)은, 수동초점 제어모드일 때에는, 도 7 및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화상생성영역(B)의 내부에 확대화상생성영역(E)을 설정한다. 마이컴(14)은, 확대화상생성영역(E)의 설정위치를 손떨림 양에 따라 이동시키는 것으로, 표시부(8)에 확대하여 표시되는 화상의 손떨림 보정을 행한다. 확대화상생성영역(E)은, 손떨림 양이 0일 때에는, 예를 들면 도 7 및 도 8중 E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소정의 위치로 설정된다. 그리고, 예를 들면 도면중 화살표(M)로 나타내는 바와 같은 손떨림 양이 검출되었을 때에, 소정의 위치(E)로부터 손떨림 양에 상당하는 만큼 이동한 위치(E')로 설정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확대화상생성영역(E)을 설정함으로써, 수동초점 제어모드일 때에는, 확대되어 있고 또한 손떨림이 보정된 화상이 표시부(8)에 표시되어 있게 된다. 따라서, 촬상장치(1)에 의하면, 사용자는, 임의의 초점 제어를 행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또, 촬상된 화상은, 손떨림의 영향이 적은 화상신호에 의거하여, 자동초점제어, 노광제어, 화이트 밸런스 제어가 행해진 것으로 된다. 즉, 촬상장치(1)는, 노광이나 화이트 밸런스 등이 적절히 행해진 정지화상을 촬상할 수 있다.
마이컴(14)은, 자동초점 제어모드일 때에는, 도 5 및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화상생성영역(B)의 내부에 제어신호 생성영역(A)을 설정한다. 마이컴(14)이 제어신호 생성영역(A)의 설정 위치를 손떨림 양에 따라 이동시키는 것으로, 제어신호 생성영역(A)으로부터 출력되는 화상신호는, 손떨림 보정된 것으로 된다. 제어신호 생성영역(A)은, 손떨림 양이 0일 때에는, 예를 들면 도면 5중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소정의 위치로 설정된다. 그리고, 예를 들면 도면 중 화살표(M)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은 손떨림 양이 검출되었을 때에, 소정의 위치(A)로부터 손떨림 양에 상당하는 만큼 이동한 위치(A')로 설정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손떨림 양에 의거하여 제어신호 생성영역(A)을 설정함으로써, 자동초점 제어모드이며 또한 표시부(8)에 표시하는 화상에 손떨림 보정을 행하지 않을 때에도, 촬상된 화상은, 손떨림의 영향이 적은 화상신호에 의거하여, 자동초점제어, 노광제어, 화이트 밸런스 제어가 행해진 것으로 된다. 즉, 촬상장치(1)는, 노광이나 화이트 밸런스 등이 적절히 행해진 정지화상을 촬상할 수 있다.
마이컴(14)은, TG(12)를 제어하고, CCD(3)로부터, 수직방향의 양단 측에 위치하는 잉여 화소로부터 출력되는 화상신호를 제거한 화상신호를 출력시킨다. 또, 마이컴(14)은, 메모리(6)로부터 독출하는 화상신호의 주소를 제어하고, 메모리(6)로부터, 수평방향의 양단 측에 위치하는 잉여 화소로부터 출력되는 화상신호를 제거한 화상신호를 독출한다.
예를 들면, 동화상 촬상 모드일 때에, 화상생성영역(B)을 도 10 중 사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설정했을 때에는, 마이컴(14)은, Cl 및 C2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은 수직방향의 양단 측에 위치하는 잉여의 포토 다이오드(31)에 축적한 전하를, 고속수직전송신호(VHC)와 고속수평전송신호(HHC)와 스위치신호(SP)를 공급함으로써, 데이터 출력부(35)로부터 출력시키지 않도록 한다. 한편, Cl 및 C2를 제거한 범위에 있는 포토 다이오드(31)에 축적한 전하를, 통상수직전송신호(VLC)와 통상수평전송신호(HLC)를 공급함으로써, 데이터 출력부(35)로부터 출력시킨다. 따라서, CCD(3)로부터는, Cl 및 C2를 제거한 범위의 화상신호가 출력된다. CCD(3)로부터 출력된 화상신호는, 화상신호처리부(5)에 의해서 처리된 후에 메모리(6)에 기록된다. 다음에, 마이컴(14)은, 손떨림 양에 의거하여 메모리(6)로부터 독출하는 화상신호의 주소를 제어하고, C3 및 C4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은 수평방향의 양단측에 위치하는 잉여 화소로부터 출력되는 화상신호를 제거한 화상신호를 메모리(6)로부터 독출하고, 표시제어부(7)에 공급한다. 즉, 동화상 촬상 모드일 때에, 마이컴(14)은, C3 및 C4로 나타내어지는 범위의 화상신호를 메모리(6)로부터 독출하지 않고 , 화상생성영역(B)의 범위의 화상신호를 메모리(6)로부터 독출하고, 표시제어부(7)에 공급한다.
한편, 정지화상촬상 모드이며 또한 자동초점 제어모드일 때는, 마이컴(14)은, TG(12)를 제어하고, 유효화소영역(D)의 포토 다이오드에 축적된 전하를, 통상수직전송신호(VLC)와 통상수평전송신호(HLC)를 공급함으로써 데이터 출력부(35)로부터 출력시킨다. 따라서, CCD(3)로부터는, 유효화소영역(D)의 화상신호가 출력된다. CCD(3)로부터 출력된 화상신호는, 화상신호처리부(5)에 의해 처리된 후에 메모리(6)에 기록된다. 그리고, 마이컴(14)은, 메모리(6)에 기록된 화상신호를 모두 독출하여, 표시제어부(7)에 공급한다.
또, 수동 초점 조정 모드일 때, 확대화상생성영역(E)을 도 11중 사선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설정했을 때에는, 마이컴(14)은, Fl 및 F2로 나타내는 바와 같은 수직방향의 양단 측에 위치하는 잉여의 포토 다이오드(31)에 축적한 전하를, 고속수직전송신호(VHC)와 고속수평전송신호(HHC)와 스위치신호(SP)를 공급함으로써, 데이터 출력부(35)로부터 출력시키지 않도록 한다. 한편, Fl 및 F2를 제거한 범위에 있는 포토 다이오드(31)에 축적한 전하를, 통상수직전송신호(VLC)와 통상수평전송신호(HLC)를 공급함으로써, 데이터 출력부(35)로부터 출력시킨다. 따라서, CCD(3)로부터는 Fl 및 F2를 제거한 범위의 화상신호가 출력된다. CCD(3)로부터 출력된 화상신호는, 화상신호처리부(5)에 의해 처리된 후에, 메모리(6)에 대해서 기록된다. 다음에, 마이컴(14)은, 손떨림 양에 의거하여 메모리(6)로부터 독출하는 화상신호의 주소를 제어하고, F3 및 F4로 나타내는 바와 같은 수평방향의 양단 측에 위치하는 잉여 화소로부터 출력되는 화상신호를 제거한 화상신호를 메모리(6)로부터 독출한다. 즉, 마이컴(14)은, F3 및 F4로 나타내어지는 범위의 화상신호를 메모리(6)로부터 독출하지 않고, 확대화상생성영역(E)의 범위의 화상신호를 메모리(6)로부터 독출하고, 표시제어부(7)에 공급한다.
즉, 마이컴(14)은, 동화상 촬상 모드이며 또한 자동초점 제어모드일 때에는,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어신호생성영역(A)과 화상생성영역(B)을, 화살표(M)로 나타내는 손떨림 양에 상당하는 만큼 이동시킨다. 또, 마이컴(14)은, 정지화상 촬상 모드이며 또한 자동초점 제어 모드 때일 때에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화상생성영역(B)을 모든 유효화소로 설정하여, 제어신호 생성영역(A)을 화살표(M)로 나타내는 손떨림 양에 상당하는 만큼 이동시킨다. 또, 마이컴(14)은, 동화상 촬상 모드이며 또한 수동 초점 조정 모드일 때에는,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화상생성영역(B) 및 확대화상생성영역(E)을, 화살표(M)로 나타내는 손떨림 양에 상당하는 만큼 이동시킨다. 또, 마이컴(14)은, 정지화상 촬상 모드이며 또한 수동초점 구동모드일 때에는,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화상생성영역(B)을 모든 유효 화소로 설정하여, 확대화상생성영역(E)을, 화살표(M)로 나타내는 손떨림 양에 상당하는 만큼 이동시킨다.
마이컴(14)은, 수동초점 조정모드이며 또한 보조기능을 사용하는 설정으로 되어 있을 때에는, 확대화상생성영역(E)의 화상신호를 표시제어부(7)에 공급한다. 표시제어부(7)는, 확대화상생성영역(E)의 화상신호로부터 소정의 크기로 확대된 화상을 생성한다. 즉, 수동초점 조정모드이며 또한 보조기능을 사용하는 설정으로 되어 있을 때는, 표시부(8)에 확대되어 있고 또한 손떨림 보정이 된 화상이 표시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확대되어 있고 또한 손떨림 보정이 된 화상을 직접 보고 확인하면서 수동으로 초점제어를 행하는 것이 가능해지기 때문에, 임의의 초점제어를 행하는 것이 용이하게 된다.
또, 마이컴(14)은, 확대화상생성영역(E)의 화상신호에 의거하여 생성되어 확대된 화상이 표시부(8)에 표시되어 있을 때에는, 확대된 화상이 표시되어 있는 취지를 나타내는 플래그(이하, 확대 표시플래그라고 한다.)를 온으로 한다. 마이컴(14)은, 확대표시플래그가 온으로 되어 있을 때에, 확대화상생성영역(E)의 위치를 손떨림 양만큼 이동시키고, 표시부(8)에 확대되어 있고 또한 손떨림 보정된 화상을 표시한다.
또한, 수동초점 모드이며 또한 표시부(8)에 확대된 화상이 표시되어 있을 때에는, 화상이 확대되는 순간을 간과하면, 표시되어 있는 화상이 확대되어 있는지 아닌지를 판단하는 것이 곤란하게 된다.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확대되어 있는 화상을 표시부(8)에 표시하고 있을 때, 아이콘(150)이나 문자(151)를 표시함으로써 확대된 화상이 표시되어 있는 취지를 판단하는 방법도 생각할 수 있지만, 이러한 방법을 채용했을 때에는, 아이콘(150)이나 문자(151)의 표시에 의해 화상의 일부가 숨는 것으로 되며, 사용자가 수동으로 초점을 제어할 경우에 화상을 직접 보고 확인하는 것을 방해하게 된다.
그래서, 마이컴(14)에서는, 표시부(8)에 표시되어 있는 화상을 확대할 때, 확대화상생성영역(E)을, 예를 들면 도 13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시간의 경과에 따라 면적이 서서히 좁게 되도록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시간의 경과에 따라 확대화상생성영역(E)의 면적을 서서히 좁게 함으로써, 표시부(8)에 표시되는 화상의 확대율은, 예를 들면 도 13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시간의 경과에 따라 서서히 올라간다. 확대율을 서서히 올리면서 표시부(8)에 화상을 표시하는 것으로, 사용자는, 표시부(8)에 확대된 화상이 표시되어 있는 취지를 인식하는 것이 용이하게 된다.
또, 수동초점 제어모드일 때에 확대율을 서서히 올리면서 표시부(8)에 화상을 표시하면, 줌 조작에 의해 확대된 화상을 표시부(8)에 표시하고 있을 때와의 구별이 곤란하게 된다. 그래서, 마이컴(14)에서는, 수동초점 제어모드일 때에는, 예를 들면 도 14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확대화상생성영역(E)의 면적을, 시간 경과에 따라 이산적으로 작아지도록 설정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확대화상생성영역(E)의 면적이 시간의 경과에 따라 이산적으로 작아지도록 설정하면, 표시부(8)에 표시되는 화상의 확대율은, 예를 들면 도 14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시간의 경과에 따라 이산적으로 올라간다. 화상의 확대율을 시간의 경과에 따라 이산적으로 올림으로써, 사용자는, 수동초점 제어모드이기 때문에 표시부(8)에 확대한 화상이 표시되어 있는 것을 판단할 수 있다. 또한, 화상의 확대율을 이산적으로 올릴 때에는, 화상의 확대율이 변화할 때마다 확대화상생성영역(E)의 중심위치를 변화시켜도 좋다.
시간의 경과에 따라 확대화상생성영역(E)의 면적을 작게 하는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시간과 확대화상생성영역(E)의 면적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테이블이나 함수를 도시하지 아니하는 기억부에 기억시켜 두고, 마이컴(14)이 테이블을 참조하거나 연산을 행함으로써, 확대화상생성영역(E)의 면적을 결정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마이컴(14)이 TG(12)를 제어함으로써 수직방향의 양단측에 위치하는 잉여 화소로부터 출력되는 화상신호를 제거하는 동시에, 메모리(6)로부터 독출하는 화상신호의 주소를 제어함으로써 수평방향의 양단 측에 위치하는 잉여 화소로부터 출력되는 화상신호를 제거함으로써, 확대화상생성영역(E)의 화상신호를 표시제어부(7)에 공급하고 있지만, 다른 방법에 의하여 확대화상생성영역(E)의 화상신호를 표시제어부(7)에 공급해도 좋다. 예를 들면,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마이컴(14)이 TG(12)를 제어함으로써, 도면 중 Gl로 나타내는 상단 측에 위치하는 잉여 화소 중, 단부측의 반의 영역에 있는 잉여 화소로부터 출력되는 화상신호와, 도면 중 G2로 나타내는 하단측의 잉여 화소 중, 단부측의 반의 영역에 있는 잉여 화소로부터 출력되는 화상신호를 제거하는 동시에, 마이컴(14)이 메모리(6)로부터 독출하는 화상신호의 주소를 제어함으로써, 도면 중 G3으로 나타내는 수직방향에 위치하는 나머지의 잉여 화소로부터 출력되는 화상신호와 수평방향에 위치하는 잉여 화소로부터 출력되는 화상신호를 제거해도 좋다.
또한, 촬상장치(1)는, 전자 줌이 행해지고 있을 때, 표시부(8)에 대하여 손떨림 보정이 행해지고 있고 또한 확대되어 있는 화상을 표시할 수 있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다음에, 정지화면 촬상모드이며, 수동초점 제어모드이고 또한 보조기능을 사용하는 설정으로 되어 있을 때, 표시부(8)에 대하여, 확대되어 있고 또한 손떨림 보정이 되어 있는 화상을 표시할 때의 촬상장치(1)의 동작에 대하여, 도 16 및 도 17에 나타내는 플로차트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또한, 도 16 및 도 17에 나타내어지는 처리는, 촬상장치(1)의 전원이 넣어진 후마다 필드호출되는 처리이다.
표시부(8)에 대하여, 확대되어 있고 또한 손떨림 보정이 되어 있는 화상을 표시할 때에는, 최초로 확대 표시 플래그를 온으로 하고 나서, 손떨림 보정을 행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16의 플로차트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먼저, 스텝(STl)에 있어서, 마이컴(14)은, 표시부(8)에 확대되어 있는 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조건이 만족되어 있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상술하면, 마이컴(14)은, 수동초점 제어 모드인 것, 보조기능을 사용하는 설정으로 되어 있는 것, 캡쳐 버튼이 깊이밀기 또는 반밀기로 되어 있지 않은 것, 동화상을 한창 기록하고 있지 않은 것, 정지화상을 한창 기록하고 있지 않은 것을 확인하고, 조건이 만족되지 않을 때에는 스텝(ST2)으로 진행하고, 조건이 만족되어 있을 때에는 스텝(ST4)으로 진행한다.
스텝(ST2)에 있어서, 마이컴(14)은, 확대 표시 플래그를 오프로 하고, 스텝(ST3)으로 진행한다.
다음에, 스텝(ST3)에 있어서, 마이컴(14)은, 카운터를 클리어하여 종료한다.
또, 스텝(ST4)에 있어서, 마이컴(14)은, 링(24)이 회전하고 있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링(24)이 회전하고 있을 때는 스텝(ST5)으로 진행하고, 회전하고 있지 않을 때에는 스텝(ST6)으로 진행한다.
스텝(ST5)에 있어서, 마이컴(14)은, 카운터를 소정의 값으로 설정하여, 스텝(ST6)으로 진행한다.
다음에, 스텝(ST6)에 있어서, 마이컴(14)은, 카운터가 0인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카운터가 0일 때는 스텝(ST7)으로 진행하고, 카운터가 0이 아닐 때에는 스텝(ST8)으로 진행한다.
스텝(ST7)에 있어서, 마이컴(14)은, 확대표시플래그를 오프로 하여 종료한다.
또, 스텝(ST8)에 있어서, 마이컴(14)은, 확대화상생성영역(E)을 설정하여 표시부(8)에 표시되는 화상을 확대하고, 확대표시플래그를 온으로 하여 스텝(ST9)으로 진행한다.
다음에, 스텝(ST9)에 있어서 카운터의 감소를 행하고, 종료한다.
이상의 동작을 행함으로써, 확대표시플래그가 온 또는 오프로 된다. 그리고, 마이컴(14)은, 확대표시플래그가 온일 때, 표시부(8)에 확대하여 표시되는 화상의 손떨림 보정을 행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17의 플로차트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먼저, 스텝(S30)에 있어서, 마이컴(14)은, 정지화상 촬상모드인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정지화상 촬상모드일 때는 스텝(ST31)으로 진행하고, 동화상 촬상모드일 때는, 스텝(ST35)으로 진행한다.
다음에, 스텝(ST31)에 있어서, 마이컴(14)은, 수동초점 제어모드이며 또한 보조기능을 사용하는 설정으로 되어 있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수동초점 제어모드이며 또한 보조기능을 사용하는 설정으로 되어 있을 때에는 스텝(ST32)으로 진행하고, 수동 초점 제어모드가 아니고 또한 보조기능을 사용하는 설정으로 되어 있지 않을 때에는 종료한다.
다음에, 스텝(ST32)에 있어서, 마이컴(14)은, 손떨림 양의 산출을 행한다.
다음에, 스텝(ST33)에 있어서, 마이크로컴퓨터(14)는, 표시부(8)에 확대된 화상이 표시되어 있는 취지를 나타내는 플래그가 온인지 오프인지를 판단한다. 온일 때는 스텝(ST34)으로 진행하고, 오프일 때는 종료한다.
다음에, 스텝(ST34)에 있어서, 마이컴(14)은, 표시부(8)에 표시되어 있는 확대된 화상의 손떨림 보정을 행한다. 즉, 확대화상생성영역(E)을, 소정의 위치로부터 손떨림 양만큼 이동한 위치에 설정한다. 그리고, TG(12) 및 메모리(6)를 제어하여, 확대화상생성영역(E)의 화상신호를, 표시제어부(7)에 공급한다.
또한, 스텝(ST30)에 있어서 동화상 촬상 모드라고 판단되었을 때에는, 스텝(ST35)에 있어서, 마이컴(14)은, 손떨림 보정을 행하는 설정으로 되어 있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손떨림 보정을 행하는 설정으로 되어 있을 때는 스텝(ST36)으로 진행하고, 손떨림 보정을 행하지 않는 설정으로 되어 있을 때는 종료한다.
그리고, 스텝(ST36)에 있어서, 마이컴(14)은 손떨림 양을 산출하고, 스텝(ST34)으로 진행한다.
다음에, 자동초점 제어모드일 때, 자동초점 제어, 조리개 양 제어, 화이트 밸런스 제어를 행할 때의 촬상장치(1)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촬상장치(1)에 손떨림이 생기면, 각속도 검출부(10)에 의하여 각속도가 검출되며, Ⅴ각속도신호 및 H각속도신호가 출력되어 각속도 신호처리부(11)로 공급된다. 각속도 신호처리부(11)는, Ⅴ각속도신호 및 H각속도신호에 대하여 대역제한 및 증폭을 행한다. 대역제한 및 증폭이 행해진 Ⅴ각속도 신호 및 H각속도신호는, 마이컴(14)으로 공급된다.
다음에, 도 18의 플로차트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텝(ST51)에 있어서, 손떨림 양 산출부(142)가, 각속도 신호처리부(11)로부터 공급된 Ⅴ각속도신호 및 H각속도신호로부터 손떨림 양을 산출한다.
다음에, 스텝(ST52)에 있어서, 마이컴(14)은, 스텝(ST51)에서 산출된 손떨림 양에 상당하는 만큼, 제어신호생성영역(A)의 위치를 소정의 위치로부터 이동시켜 설정한다.
다음에, 스텝(ST53)에 있어서, 마이컴(14)은, 스텝(ST52)에서 설정된 제어신호생성영역(A)의 위치에 의거하여, 합초검출부(52)와 노광 검출부(53)와 화이트 밸런스 검출부(54)를 제어한다. 합초검출부(52)는, 제어신호생성영역(A)에서 출력된 화상신호로부터 초점검출신호(Sl)를 생성하여 마이컴(14)에 공급한다. 노광 검출부(53)는, 제어신호 생성영역(A)에서 출력된 화상신호로부터 노광검출신호(S2)를 생성하여 마이컴(14)으로 공급한다. 화이트 밸런스 검출부(54)는, 제어신호 생성영역(A)에서 출력된 화상신호로부터 화이트 밸런스 검출신호(S3)를 생성하여 마이컴(14)에 공급한다.
다음에, 스텝(ST54)에 있어서, 마이컴(14)은, 초점검출신호(Sl)에 의거하여 초점제어신호(S4)를 생성하는 동시에, 노광검출신호(S2)에 의거해서 노광제어신호(S5)를 생성하여, 구동부(9)에 공급한다. 또, 마이컴(14)은, 화이트 밸런스 검출신호(S3)에 의거하여 화이트 밸런스 제어신호(S6)를 생성하고, 화이트 밸런스 앰프에 공급한다.
구동부(9)는, 초점제어신호(S4)에 의거하여 포커스 렌즈(21)를 이동시켜 초점 제어를 행하는 동시에, 노광제어신호(S5)에 의거하여 개구부(23a)의 크기를 변화시켜 렌즈부(2)로부터 출력되는 빛의 양을 제어한다. 또, 화이트 밸런스 앰프는, 화이트 밸런스 앰프 제어신호(S6)에 의거하여, 색신호를 소정의 값으로 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을 적용한 촬상장치(1)에 의하면, 수동초점 제어모드이며 또한 보조기능을 사용하는 설정으로 되어 있을 때에는, 먼저, 마이컴(14)이 화상생성영역(B)의 내부에 있어서의 소정의 위치로부터 손떨림 양만큼 이동한 위치에 확대화상생성영역(E)을 설정한다. 그리고, 표시처리부(7)가 확대화상생성영역(E)의 화상신호로부터 소정의 크기로 확대한 화상을 생성하여 표시부(8)에 표시한다.
따라서, 본 발명을 적용한 촬상장치(1)는, 전자식 손떨림 보정방식임에도 불구하고, 수동초점 제어모드이며 또한 보조기능을 사용하는 설정으로 되어 있을 때, 표시부(8)에 대하여, 확대되어 있고 또한 손떨림 보정이 된 화상이 표시된다. 즉, 본 발명을 적용한 촬상장치(1)는, 소형화에 유리함과 동시에, 사용자가 표시부(8)에 표시된 화상을 직접 보고 확인하는 것으로 확대되어 있고 또한 손떨림 보정이 된 화상을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기 때문에, 수동으로 적절한 초점제어를 행하는 것이 용이한 것으로 된다.
또, 본 발명을 적용한 촬상장치(1)에서는, 수동초점 제어모드일 때는, 확대화상생성영역(E)의 화상신호에 의거하여, 노광검출부(53)가 노광검출신호(S2)를 생성하고, 화이트 밸런스 검출부(54)가 화이트 밸런스 검출신호(S3)를 생성하고 있다. 그리고, 마이컴(14)이, 노광검출신호(S2)에 의거하여 노광제어신호(S5)를 생성하고, 화이트 밸런스 검출신호(S3)에 의거하여 화이트 밸런스 제어신호(S6)를 생성하고 있다.
또, 본 발명을 적용한 촬상장치(1)는, 자동초점 제어모드일 때는, 제어신호 생성영역(A)의 화상신호에 의거하여, 합초검출부(52)가 초점검출신호(Sl)를 생성하고, 노광검출부(53)가 노광검출신호(S2)를 생성하며, 화이트 밸런스 검출부(54)가 화이트 밸런스 검출신호(S3)를 생성하고 있다. 그리고, 마이컴(14)이, 초점검출신호(Sl)에 의거하여 초점제어신호(S4)를 생성하고, 노광검출신호(S2)에 의거하여 노광제어신호(S5)를 생성하며, 화이트 밸런스 검출신호(S3)에 의거하여 화이트 밸런스 제어신호(S6)를 생성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을 적용한 촬상장치(1)는, 손떨림 보정이 되어 있지 않을 때에도, 손떨림의 영향이 적은 화상신호에 의거하여, 노광제어, 화이트 밸런스 제어를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즉, 본 발명을 적용한 촬상장치(1)는, 소형화에 유리함과 동시에, 손떨림 보정이 되지 않는 정지화상 촬상모드 일 때에도, 초점, 노광, 화이트 밸런스가 적절히 제어된 화상을, 표시부(8)에 표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 상술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의 청구의 범위 및 그 주지를 일탈하지 않고, 여러 가지 변경, 치환 또는 그 동등의 것을 행할 수 있는 것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분명하다.
본 발명에 관계되는 촬상장치는, 소형화했을 때에도, 표시부에 확대되어 있고 또한 손떨림 보정된 화상을 표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즉, 사용자는, 표시부에 표시된 화상을 직접 보고 확인하면서, 정밀도 좋은 화상을 촬상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Claims (13)

  1. 정지화상 촬상모드와 동화상 촬상모드를 구비한 촬상장치에 있어서,
    피사체의 광학상을, 화상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촬상소자와,
    손떨림 양을 검출하는 손떨림 검출수단과,
    상기 촬상소자의 전유효화소영역내에, 화상신호 생성영역을 설정하는 화상신호 생성영역 설정수단과,
    상기 촬상소자의 전유효화소영역내에, 상기 화상신호 생성영역보다 작은 확대화상 생성영역을 설정하는 확대화상 생성영역 설정수단과,
    상기 동화상 촬상모드에 있어서, 수동초점 조정모드의 때에는 상기 확대화상 생성영역의 화상신호로부터, 상기 수동초점 조정모드의 때 이외에는, 상기 화상신호 생성영역의 화상신호로부터, 표시용 화상 사이즈의 화상을 생성하고, 또한, 상기 정지화상 촬상모드에 있어서 상기 화상신호 생성영역의 화상신호로부터, 표시용 화상 사이즈의 화상을 생성하고, 표시부에 표시하는 표시화상 생성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표시화상 생성수단은, 적어도, 상기 정지화상 촬상모드이고, 또한 정지화를 기록하고 있지 않는 경우에는, 수동초점 제어조작이 이루어지지 않는 동안에, 상기 확대화상 생성영역의 화상신호로부터 표시용 화상 사이즈의 화상을 생성하고, 상기 표시부에 표시함과 동시에,
    상기 확대화상 생성영역 설정수단은, 상기 손떨림 양에 따라 상기 확대화상 생성영역의 설정 위치를, 상기 표시부의 한 위치로부터 이동된 위치에 설정함과 동시에, 상기 수동초점 제어조작의 개시후에, 상기 확대화상 생성영역의 면적 또는 확대율을 시간의 경과에 따라 변화하도록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정지화상 촬상모드시에, 상기 화상신호 생성영역 설정수단은, 상기 화상신호 생성영역을 상기 전유효화소영역과 동등한 사이즈의 영역에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촬상소자에서 출력된 화상신호로부터, 노광제어신호, 화이트 밸런스 제어신호, 초점제어신호 중에서 적어도 한 개의 화상제어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촬상소자에, 상기 확대화상 생성영역과는 다른 제어신호 생성영역을 설정하는 제어신호 생성영역 설정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제어신호 생성영역 설정수단은, 상기 제어신호 생성영역의 설정위치를, 상기 손떨림 양에 따라 어느 한 위치로부터 이동된 위치에 설정하고,
    상기 제어신호 생성수단은, 자동초점 제어모드시에, 상기 제어신호 생성영역의 화상신호로부터 상기 화상제어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장치.
  5. 제 1항 내지 제 4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신호 생성영역 설정수단과, 정지화상 촬상모드시에는 상기 화상신호 생성영역의 설정 위치를, 상기 촬상소자의 전유효화소영역내의 한 위치에 설정하고, 동화상 촬상모드시에는, 상기 화상신호 생성영역의 설정 위치를, 상기 손떨림 양에 따라 초기 위치로부터 이동된 위치에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장치.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KR1020047014484A 2003-01-23 2003-12-10 촬상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10100477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3-00015165 2003-01-23
JP2003015165A JP2004229002A (ja) 2003-01-23 2003-01-23 撮像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4336A KR20050094336A (ko) 2005-09-27
KR101004773B1 true KR101004773B1 (ko) 2011-01-04

Family

ID=327674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14484A Expired - Fee Related KR101004773B1 (ko) 2003-01-23 2003-12-10 촬상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508416B2 (ko)
EP (1) EP1587307A4 (ko)
JP (1) JP2004229002A (ko)
KR (1) KR101004773B1 (ko)
CN (2) CN100391236C (ko)
WO (1) WO200406661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593140B2 (en) * 2005-01-07 2009-09-22 Avego Technologies General Ip (Singapore) Pte. Ltd.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dynamically modifiable timing control signals
KR100739777B1 (ko) * 2005-08-11 2007-07-13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 보정 각도 생성 회로 및 이를 이용한 화상 보정 장치
KR100758632B1 (ko) 2006-03-29 2007-09-14 삼성전자주식회사 파노라마 사진촬영 장치 및 방법
US7634187B2 (en) * 2007-01-04 2009-12-15 Qualcomm Incorporated Dynamic auto-focus window selection that compensates for hand jitter
JP5159189B2 (ja) * 2007-06-29 2013-03-06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撮像装置、画像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4959535B2 (ja) 2007-12-13 2012-06-27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撮像装置
JPWO2010004764A1 (ja) * 2008-07-10 2011-12-22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撮像装置
JP2011130169A (ja) * 2009-12-17 2011-06-30 Sanyo Electric Co Ltd 画像処理装置及び撮影装置
JP5218388B2 (ja) * 2009-12-25 2013-06-26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撮像装置、撮像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5722134B2 (ja) * 2011-06-23 2015-05-20 オリンパスイメージング株式会社 光学機器
US9137444B2 (en) 2011-09-26 2015-09-15 Sony Corporation Image photography apparatus for clipping an image region
JP5861395B2 (ja) * 2011-11-02 2016-02-16 リコーイメージング株式会社 携帯機器
JP2016082420A (ja) * 2014-10-17 2016-05-16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システム
US10330292B2 (en) 2015-07-08 2019-06-25 Production Resource Group Llc Device for controlling a remotely located luminaire
US11301964B2 (en) 2016-03-29 2022-04-12 Sony Corporation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method, and medical system to correct blurring without removing a screen motion caused by a biological body motio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46309A (ja) * 1992-02-27 1994-02-18 Sanyo Electric Co Ltd ビデオカメラ
JPH11196301A (ja) * 1997-12-26 1999-07-21 Casio Comput Co Ltd 電子カメラ装置
KR100312139B1 (ko) * 1993-02-12 2001-12-28 이데이 노부유끼 비디오카메라및비디오신호재생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60074A (en) * 1989-10-18 1991-10-22 Hitachi, Ltd. Video imaging apparatus
US5345264A (en) * 1992-02-27 1994-09-06 Sanyo Electric Co., Ltd. Video signal processing circuit for a video camera using a luminance signal
US5835641A (en) * 1992-10-14 1998-11-10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Image pick-up apparatus for detecting and enlarging registered objects
KR960014831B1 (ko) * 1992-12-21 1996-10-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캠코더의 자동영상 안정화 장치
KR0157459B1 (ko) * 1993-02-04 1998-11-16 김광호 렌즈초점제어장치
JP3277051B2 (ja) * 1993-11-18 2002-04-22 富士写真フイルム株式会社 デジタルカメラの自動制御装置
JPH095867A (ja) * 1995-06-21 1997-01-10 Minolta Co Ltd 画像撮影装置
JPH10322591A (ja) * 1997-05-20 1998-12-04 Canon Inc 撮像装置、撮像システム、及び記憶媒体
JP2000032331A (ja) * 1998-07-13 2000-01-28 Kawasaki Steel Corp 自動露光制御装置
JP2000162504A (ja) * 1998-11-26 2000-06-16 Sony Corp 拡大観察装置
JP2000224470A (ja) * 1999-02-02 2000-08-11 Minolta Co Ltd カメラシステム
JP4473363B2 (ja) 1999-05-26 2010-06-02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手振れ補正装置およびその補正方法
JP4190094B2 (ja) * 1999-07-22 2008-12-03 オリンパス株式会社 電子的撮像装置
JP2001100264A (ja) * 1999-09-29 2001-04-13 Canon Inc カメラ
JP4274665B2 (ja) * 2000-03-03 2009-06-10 オリンパス株式会社 電子ビューファインダ付き電子カメラ
JP2002131799A (ja) * 2000-10-20 2002-05-09 Olympus Optical Co Ltd 電子カメラ、画像撮像装置および手ぶれ補正機能制御方法
JP3480446B2 (ja) * 2001-01-11 2003-12-22 ミノルタ株式会社 デジタルカメラ
JP2003015165A (ja) 2001-06-29 2003-01-15 Canon Inc 電気泳動表示装置用分散液、及び該分散液を用いた電気泳動表示装置
JP2005215388A (ja) * 2004-01-30 2005-08-11 Canon Inc 交換レンズ及びそれを用いたカメラシステム
JP4873523B2 (ja) * 2005-05-16 2012-02-08 ソニー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46309A (ja) * 1992-02-27 1994-02-18 Sanyo Electric Co Ltd ビデオカメラ
KR100312139B1 (ko) * 1993-02-12 2001-12-28 이데이 노부유끼 비디오카메라및비디오신호재생장치
JPH11196301A (ja) * 1997-12-26 1999-07-21 Casio Comput Co Ltd 電子カメラ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692632A (zh) 2005-11-02
CN100391236C (zh) 2008-05-28
CN100574382C (zh) 2009-12-23
EP1587307A4 (en) 2009-09-02
EP1587307A1 (en) 2005-10-19
US7508416B2 (en) 2009-03-24
JP2004229002A (ja) 2004-08-12
WO2004066618A1 (ja) 2004-08-05
KR20050094336A (ko) 2005-09-27
US20050122402A1 (en) 2005-06-09
CN101137015A (zh) 2008-03-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04773B1 (ko) 촬상장치
JP3634232B2 (ja) デジタルスチルカメラ
US7385632B2 (en) Lens, camera body and camera system
US7724297B2 (en) Imaging device having a display to display images captured by a plurality of image sensors with different display regions
US8497919B2 (en) Imag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for controlling a display of an image and an imaging condition
JP4264554B2 (ja) 撮像装置
JP2011217333A (ja) 撮像装置および撮像装置の制御方法
JP4565370B2 (ja) 電子カメラ及びオートフォーカス制御方法
JP2011217334A (ja) 撮像装置および撮像装置の制御方法
JP4046276B2 (ja) デジタルカメラ
JP2005303933A (ja) 撮像装置
JP2000125204A (ja) 電子カメラ
JP2004159051A (ja) 手ぶれ補正装置及び撮像装置
JP2011071712A (ja) 立体撮像装置及び立体撮像方法
JP5597942B2 (ja) 電子カメラ
JPH0214675A (ja) 電子撮像装置
JP5377179B2 (ja) 撮像装置及び撮像装置の制御方法
JPH095609A (ja) カメラシステム
JP2010204303A (ja) 撮像装置
JP3441882B2 (ja) 撮像装置
JP2001128060A (ja) 電子カメラ
JP5530569B2 (ja) 撮影装置及びファインダの表示方法
JP2003070006A (ja) 電子カメラ
JP2011180545A (ja) 撮像装置
JP2004229001A (ja) 撮像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40914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81114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0031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007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0102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0122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0122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