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04762B1 - 배터리 복원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배터리 복원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004762B1 KR101004762B1 KR20100069591A KR20100069591A KR101004762B1 KR 101004762 B1 KR101004762 B1 KR 101004762B1 KR 20100069591 A KR20100069591 A KR 20100069591A KR 20100069591 A KR20100069591 A KR 20100069591A KR 101004762 B1 KR101004762 B1 KR 10100476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attery
- voltage
- charging
- pulse
- dischargin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42—Regeneration of electrolyte or reactant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8—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 H01M10/488—Cells or batteries combined with indicating means for external visualization of the condition, e.g. by change of colour or of light density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54—Reclaiming serviceable parts of waste accumulator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84—Recycling of batteries or fuel ce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Tests Of Electric Status Of Batteries (AREA)
- Secondary Cells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배터리의 충전, 방전 및, 레스트 사이클 등의 자체적인 시험 시퀀스를 제어토록 하며, 일반차량용 배터리와 딥사이클용 배터리를 구분하여 별도의 제어프로그램으로 충전 제어 또는 방전 제어 또는 펄스 입력 제어를 하는 메인 콘트롤러와; 상기 메인 콘트롤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메인 콘트롤러의 지령에 따라서 배터리의 충방전시키고 아울러 황산염 제거를 위해 펄스파를 제공하며, 문제점 발생시 충방전 및 펄스파 제공이 중단되도록 제어하는 배터리 복원부와; 상기 배터리 복원부에 연결되며 배터리의 충전 및 방전 사이클링 시퀀스에 대한 정보 및 현재 시험 상태를 표시하는 시험 정보 디스플레이 패널로 이루어진 것이 특징이며;
자동차용 배터리와 딥싸이클용 배터리를 충방전 시키고, 아울러 충전전류 및 펄스를 공급하여 원활한 배터리 복원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도 2는 본 발명의 배터리 복원방법 플로우 챠트.
200: 배터리 복원부
300: 시험정보 디스플레이 패널
Claims (3)
- 배터리의 충전, 방전 및, 레스트 사이클 등의 자체적인 시험 시퀀스를 제어토록 하며, 일반차량용 배터리와 딥사이클용 배터리를 구분하여 별도의 제어프로그램으로 충전 제어 또는 방전 제어 또는 펄스 입력 제어를 하는 메인 콘트롤러(100)와;
상기 메인 콘트롤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메인 콘트롤러의 지령에 따라서 배터리의 충방전시키고 아울러 황산염 제거를 위해 펄스파를 제공하며, 문제점 발생시 충방전 및 펄스파 제공이 중단되도록 제어하는 배터리 복원부(200)와;
상기 배터리 복원부에 연결되며 배터리의 충전 및 방전 사이클링 시퀀스에 대한 정보 및 현재 시험 상태를 표시하는 시험 정보 디스플레이 패널(300)로 이루어지고;
상기 메인 콘트롤러(100)는,
배터리의 전압을 확인하며, 배터리의 전압이 10.5V 초과이면 방전회로를 작동시켜 배터리가 10.5V가 되도록 하고, 배터리의 전압이 10.5V 미만이면 충전전류를 공급시켜 배터리가 10.5V가 되도록 하는 프로그램 코드와;
10.5V로 배터리 전압이 충방전되면 배터리 종류를 확인하고 배터리 종류가 차량용인 경우, 충전전류와 펄스를 공급하며, 충전전류가 공급되는 동안 매시간 마다 배터리의 전압을 측정하여 배터리의 전압이 12.5V가 될 때까지 정전류로 충전함과 동시에 펄스를 공급시키고, 측정된 전압이 12.5V 초과이면 본 장치의 충전동작을 중지하고 펄스를 공급시키며, 펄스공급 시간이 12시간이 지나면 펄스 공급을 중단하는 프로그램 코드와;
전압을 체크하여 11.5V 미만으로 전압이 떨어진 경우 배터리는 불량으로 판단하여 복원불가 램프를 표시하고, 체크된 전압값이 11.5V 미만으로 전압이 떨어지지 않은 경우 다시 충전전류와 펄스를 공급하고 매시간 마다 전압을 체크하여 체크된 전압이 13.2V 가 되면 복원을 완료하고, 13.2V가 되면 복원모드를 완료하고 복원완료 램프를 표시하고 복원완료된 배터리의 CCA 값과 내부 저항값을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는 프로그램 코드와;
딥싸이클용 배터리인 경우, 충전 동작일 때 정전류로 충전함과 동시에 펄스를 작동시켜 12.5V가 될때까지 1시간 단위로 충방전을 반복하되, 배터리 용량의 1/10로 30분간 충전 및 펄스 공급을 수행하고 이후 설정된 배터리 용량의 1/20로 30분간 방전 및 펄스 공급하는 동작을 교번으로 수행하는 프로그램 코드와;
배터리의 전압 상태가 12.5V가 되면 충전을 실시하고 동시에 펄스를 가하여 13V가 될때 까지 10시간 동안 충방전을 반복하되 배터리 용량의 1/20으로 10분간 충전을 수행하며, 방전은 배터리 용량의 1/40로 10분간 방전하는 것을 교번으로 수행하고, 10시간 동안 충전과 반복 후에도 배터리의 전압이 13V에 이르지 못하면 배터리 불량으로 판단하여 불량 램프를 표시하는 프로그램 코드와;
배터리의 전압상태가 13V가 되면 충전과 펄스를 동시에 가하여 13.2V가 될 때까지 저전류 충전으로 부동충전을 하고, 이때 10시간 동안 충전시에도 13.2V가 되지 않으면 배터리 불량으로 판단하여 불량 램프를 표시하는 프로그램 코드 및;
13.2V가 되면 복원모드를 완료하고 복원완료 램프를 표시하고 복원완료된 배터리의 CCA(Cold Cranking Ampere: 저온 시동 능력) 값과 내부저항값을 디스플레이장치에 표시하는 프로그램 코드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복원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펄스는 20KHz - 30KHz의 주파수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복원장치. - 배터리의 CCA 값과 내부 저항값, 로드시 전압을 체크하여 기억하고, 배터리의 전압을 확인하는 제 1 단계(S10)와;
배터리의 전압이 10.5V 초과이면 방전회로를 작동시켜 배터리가 10.5V가 되도록 하고, 배터리의 전압이 10.5V 미만이면 충전전류를 공급시켜 배터리가 10.5V가 되도록 하며, 이때 상기 배터리 전압을 체크하여 10.5V가 되도록 충전 또는 방전시 펄스를 연속하여 공급하는 제 2 단계(S20)와;
상기에서 10.5V로 배터리 전압이 충방전되면 배터리 종류를 확인하고, 배터리 종류가 차량용인 경우, 충전전류와 펄스를 동시에 공급하며, 충전 전류가 공급되는 동안 매시간 마다 배터리의 전압을 측정하여 배터리의 전압이 12.5V가 될 때까지 정전류로 충전함과 동시에 펄스를 공급시키고, 측정된 전압이 12.5V 이상이면 충전동작을 중지하고 펄스 공급만 12시간 동작시키는 제 3 단계(S30)와;
상기 제 3 단계에서 전압을 체크하여 11.5V 미만으로 전압이 떨어진 경우 배터리는 불량으로 판단하여 복원불가 램프를 표시하는 제 4 단계(S40)와;
상기 제 3 단계에서 11.5V 이하로 전압이 떨어지지 않은 경우 다시 충전전류와 펄스를 공급하고 매시간 마다 전압을 체크하여 체크된 전압이 13.2V 가 되면 복원을 완료하고, 13.2V가 되면 복원모드를 완료하고 복원완료 램프를 표시하고 복원완료된 배터리의 CCA 값과 내부 저항값을 디스플레이장치에 표시는 제 5 단계(S50)와;
상기 제 3 단계에서 배터리 종류를 확인한 결과 딥싸이클용 배터리인 경우, 충전 동작일 때 정전류로 충전함과 동시에 펄스를 작동시켜 12.5V가 될 때까지 1시간 단위로 충방전을 반복하되, 배터리 용량의 1/10로 30분간 충전 및 펄스 공급을 수행하고 이후 설정된 배터리 용량의 1/20로 30분간 방전 및 펄스 공급하는 동작을 교번으로 수행하는 배터리 내부 극판의 황산염 제거 제 6 단계(S60)와;
배터리의 전압 상태가 12.5V가 되면 충전과 펄스를 동시에 가하여 13V가 될 때까지 10시간 동안 충방전을 반복하되 배터리 용량의 1/20으로 10분간 충전을 수행하며, 방전은 배터리 용량의 1/40로 10분간 방전하는 것을 교번으로 수행하고, 10시간 동안 충전과 방전 반복 후에도 배터리의 전압이 13V에 이르지 못하면 배터리 불량으로 판단하여 불량 램프를 표시하는 제 7 단계(S70)와;
배터리의 전압상태가 13V가 되면 충전과 펄스를 동시에 가하여 13.2V가 될 때까지 저전류 충전으로 부동충전을 하고, 이때 10시간 동안 충전시에도 13.2V가 되지 않으면 배터리 불량으로 판단하여 불량 램프를 표시하는 제 8 단계(S80) 및;
상기 제 8 단계에서 13.2V가 되면 복원모드를 완료하고 복원완료 램프를 표시하고 복원완료된 배터리의 CCA(Cold Cranking Ampere: 저온 시동 능력) 값과 내부저항값을 디스플레이장치에 표시하는 제 9 단계(S90)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복원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00069591A KR101004762B1 (ko) | 2010-07-19 | 2010-07-19 | 배터리 복원장치 및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00069591A KR101004762B1 (ko) | 2010-07-19 | 2010-07-19 | 배터리 복원장치 및 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004762B1 true KR101004762B1 (ko) | 2011-01-04 |
Family
ID=436156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00069591A Active KR101004762B1 (ko) | 2010-07-19 | 2010-07-19 | 배터리 복원장치 및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004762B1 (ko)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78109B1 (ko) | 2011-08-26 | 2012-08-30 | (주) 퓨리켐 | 납축전지 통합관리장치 |
WO2013051894A1 (ko) * | 2011-10-07 | 2013-04-11 | (주)스페이스링크 | 실시간 진단기능을 구비한 배터리 복원시스템 및 구동방법 |
KR101261614B1 (ko) | 2011-12-05 | 2013-05-06 | (주)파워솔루션 | 배터리 재생기의 배터리 진단장치 |
KR101426502B1 (ko) | 2012-04-09 | 2014-08-05 | 최두원 | 배터리 복원시기 안내시스템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0047222A (ko) * | 2002-11-29 | 2004-06-05 | 우경식 | 차량 배터리의 충방전 효율 안정화 장치 및 안정화 방법 |
KR20040058193A (ko) * | 2001-10-03 | 2004-07-03 | 트로얀 배터리 컴파니 | 배터리 충전 시스템 및 방법 |
KR20050046631A (ko) * | 2003-11-14 | 2005-05-18 |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 배터리 팩, 배터리 보호 처리 장치, 및 배터리 보호 처리장치의 기동 제어 방법 |
KR100931510B1 (ko) | 2009-01-12 | 2009-12-11 | (주)마루엠씨에스 | 축전지의 재생 장치 |
-
2010
- 2010-07-19 KR KR20100069591A patent/KR101004762B1/ko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0058193A (ko) * | 2001-10-03 | 2004-07-03 | 트로얀 배터리 컴파니 | 배터리 충전 시스템 및 방법 |
KR20040047222A (ko) * | 2002-11-29 | 2004-06-05 | 우경식 | 차량 배터리의 충방전 효율 안정화 장치 및 안정화 방법 |
KR20050046631A (ko) * | 2003-11-14 | 2005-05-18 |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 배터리 팩, 배터리 보호 처리 장치, 및 배터리 보호 처리장치의 기동 제어 방법 |
KR100931510B1 (ko) | 2009-01-12 | 2009-12-11 | (주)마루엠씨에스 | 축전지의 재생 장치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78109B1 (ko) | 2011-08-26 | 2012-08-30 | (주) 퓨리켐 | 납축전지 통합관리장치 |
WO2013051894A1 (ko) * | 2011-10-07 | 2013-04-11 | (주)스페이스링크 | 실시간 진단기능을 구비한 배터리 복원시스템 및 구동방법 |
KR101258556B1 (ko) | 2011-10-07 | 2013-05-02 | (주)스페이스링크 | 실시간 진단기능을 구비한 배터리 복원시스템 및 구동방법 |
KR101261614B1 (ko) | 2011-12-05 | 2013-05-06 | (주)파워솔루션 | 배터리 재생기의 배터리 진단장치 |
KR101426502B1 (ko) | 2012-04-09 | 2014-08-05 | 최두원 | 배터리 복원시기 안내시스템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2061241B2 (en) | Rechargeable battery short circuit early detection device and rechargeable battery short circuit early detection method | |
US9401530B2 (en) | Storage battery recycling apparatus | |
CN101816092B (zh) | 二次电池的充电控制方法及充电控制电路 | |
US8907674B2 (en) |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degradation of rechargeable lithium ion battery | |
JP5733275B2 (ja) | 組電池の制御装置及び組電池の再利用判定方法 | |
CN1237653C (zh) | 二次电池的更换方法 | |
EP2541265B1 (en) | Abnormality diagnosis device and method of cell balancing circuit | |
CN102056761B (zh) | 充电控制装置和装配有该装置的车辆 | |
CN101765941A (zh) | 电池的内部短路检测装置、方法、电池组件以及电子设备系统 | |
CN109154637B (zh) | 用于运行蓄能器单体的方法和装置、电池模块以及车辆 | |
JP2011112453A (ja) | 蓄電池のセル短絡検知方法及び検知装置 | |
JP4893312B2 (ja) | 鉛蓄電池の良否判定方法及び良否判定装置 | |
KR101004762B1 (ko) | 배터리 복원장치 및 방법 | |
CN104977538A (zh) | 电池控制装置 | |
KR100984556B1 (ko) | 황산화된 배터리를 복원하는 장치 및 방법 | |
JP5974882B2 (ja) | 電圧バランス制御装置 | |
JP2015165219A (ja) | 鉛蓄電池の状態判定装置、車両及び鉛蓄電池の状態判定方法 | |
JP6779808B2 (ja) | 二次電池の劣化判定方法及び二次電池の劣化判定装置 | |
KR101189122B1 (ko) | 배터리의 재생과 충전을 동시에 하는 장치 및 그 방법 | |
KR20120010805A (ko) | 배터리의 재생 및 충전방법 | |
JP3888296B2 (ja) | 車両用発電機の電圧制御装置 | |
KR101544935B1 (ko) | 배터리 전압 측정 장치 및 방법 | |
WO2013105139A1 (ja) | 二次電池の制御装置および制御方法 | |
JP7380068B2 (ja) | 電源装置、推定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 |
JP2015041445A (ja) | アルカリ二次電池の再生方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0719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00811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00719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0090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01130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0122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0122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1220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122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1219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121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1221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122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1209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120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1208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1208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1122 Year of fee payment: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1122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1211 Year of fee payment: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1211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1213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1212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1206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