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001543B1 -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의 표시 시간 조절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의 표시 시간 조절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01543B1
KR101001543B1 KR1020080075985A KR20080075985A KR101001543B1 KR 101001543 B1 KR101001543 B1 KR 101001543B1 KR 1020080075985 A KR1020080075985 A KR 1020080075985A KR 20080075985 A KR20080075985 A KR 20080075985A KR 101001543 B1 KR101001543 B1 KR 1010015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osd
change
rate
ic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759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15078A (ko
Inventor
이흔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759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01543B1/ko
Priority to US12/483,766 priority patent/US20100026895A1/en
Publication of KR201000150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50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15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1543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445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OSD(On Screen Display) 아이콘의 표시 제어에 관한 것으로, OSD 아이콘을 표시하는 표시부와, 상기 표시 수단의 화면 변화에 따라 상기 OSD 아이콘을 제거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사용자의 입력 및 화면 상태에 따라 상기 OSD 아이콘을 제거함으로써, 상기 OSD 아이콘으로 인해 화면이 가려짐으로써 사용자가 겪는 불편함을 최소화할 수 있다.
OSD(On Screen Display), 변화율, 화면 변경

Description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의 표시 시간 조절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DISPLAY TERM OF ON SCREEN DISPLAY}
본 발명은 표시 수단을 구비한 기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표시 수단을 구비한 기기에서 OSD(On Screen Display)의 표시 시간을 조절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OSD(On Screen Display)는 표시 장치를 가진 기기에서 기기에 대한 제어를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서, 기기 본래의 목적을 위한 화면 위에 겹쳐진 형태로 표시된다. 예를 들어, TV(TeleVision)에서의 채널 표시 및 볼륨 조절 표시, 컴퓨터 모니터의 화면 조정 표시, 랩탑(lap top) 컴퓨터에서의 Fn 키를 이용한 제어 메뉴 표시, 휴대용 전자 기기에서의 볼륨 조절 표시 등이 OSD에 속한다.
OSD가 활용됨으로써, 사용자는 직관적으로 기기 상황 인식하며 기기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을 참고하면, 음향의 외부 출력 여부를 위해 (a)와 같은 OSD가, 화면 출력 방식을 선택하기 위해 (b)와 같은 OSD가, 터치 패드(touch pad)의 활성화/비활성화를 선택하기 위해 (c)와 같은 OSD가 사용될 수 있다. 이때, 일반적으로, OSD 아이콘은 정해진 시간 동안 지속적으로 표시된다. 여기서, OSD 아이콘의 표시 시간이 너무 짧으면, 사용자가 OSD 아이콘을 인지하고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시간이 보장되지 않는다. 따라서, OSD 아이콘의 표시 시간은 사용자의 OSD 아이콘 인지 및 명령 입력에 소요되는 시간을 고려하여 결정되어야 한다.
하지만, 정해진 시간 동안 OSD가 화면에 표시됨으로 인해, 일정 시간 동안 기기 본래의 목적을 위한 화면이 가려진다. 예를 들어, 랩탑 컴퓨터에서 동영상을 시청하고 있는 사용자가 볼륨 조절을 위한 OSD를 호출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는 상기 볼륨 조절을 위한 OSD 아이콘으로 인해 일정 시간 동안 동영상의 화면을 볼 수 없게 된다. 더욱이, OSD 아이콘은 OSD의 목적 및 기기의 특성에 따라 화면의 많은 부분을 점유하는 크기를 가질 수 있는데, 이 경우, 볼 수 없는 화면의 범위는 더욱 넓어진다. 따라서, 상기 OSD 아이콘으로 인해 화면이 가려짐으로 인해 사용자가 겪는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한 해결책이 요구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표시 수단을 구비한 기기에서 OSD(On Screen Display) 아이콘으로 인해 장시간 화면이 가려지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표시 수단을 구비한 기기에서 사용자의 입력 및 화면 상태에 따라 OSD 아이콘을 제거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표시 수단을 구비한 기기에서 사용자의 조작으로 인한 화면 변경 시 OSD 아이콘을 제거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표시 수단을 구비한 기기에서 기기의 동작으로 인한 화면 변경 시 OSD 아이콘을 제거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표시 수단을 구비한 기기에서 화면 변화를 인지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견지에 따르면, 표시 수단을 구비한 기기 장치는, OSD(On Screen Display) 아이콘을 표시하는 표시부와, 상기 표시 수단의 화면 변화에 따라 상기 OSD 아이콘을 제거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2견지에 따르면, 표시 수단을 구비 한 기기의 OSD 아이콘 표시 방법은. 상기 표시 수단에 OSD 아이콘을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표시 수단의 화면 변화에 따라 상기 OSD 아이콘을 제거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표시 수단을 구비한 기기에서 사용자의 입력 및 화면 상태에 따라 OSD(On Screen Display) 아이콘을 제거함으로써, 상기 OSD 아이콘으로 인해 화면이 가려짐으로써 사용자가 겪는 불편함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의 참조와 함께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은 표시 수단을 구비한 기기에서 OSD(On Screen Display) 아이콘으로 인해 장시간 화면이 가려지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기술에 대해 설명한다. 여기서, 상기 표시 수단을 구비한 기기는 랩탑(lap top) 컴퓨터, 데스크탑(desk top) 컴퓨터, 전자 수첩, 휴대용 디지털 미디어 재생 장치와 같은 휴대용 전자 기기 등을 포함하는 의미이다. 따라서, 이하 본 발명은 랩탑 컴퓨터를 예로 들어 설 명하지만, 표시 수단을 구비한 기기라면 모두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수단을 구비한 기기는 OSD 아이콘의 표시 시간 조절은 다음과 같은 두 가지 방식들에 따라 수행된다.
첫째, 사용자의 조작에 의한 화면 변경에 따른 방식이다. 예를 들어, 랩탑 컴퓨터에서 사용자가 화면을 스크롤하거나 또는 윈도우를 움직이는 경우, 상기 표시 수단을 구비한 기기는 OSD 아이콘을 제거한다. 이때, 컴퓨터와 같이 OS(Operation System)을 사용하는 기기의 경우, 화면 스크롤, 윈도우 이동 및 윈도우 최소/최대화와 같은 이벤트의 발생 정보는 OS에 의해 제공된다. 따라서, 상기 표시 수단을 구비한 기기는 상기 OS로부터 제공되는 정보를 통해 상기 나열된 이벤트의 발생을 인지할 수 있다.
둘째, 기기의 동작에 의한 화면 변경에 따른 방식이다. 다시 말해, 상기 표시 수단을 구비한 기기는 OSD 아이콘의 표시 영역 주변의 변화 여부를 검사하고, 변화가 발생하였으면 OSD 아이콘을 제거한다. 이를 위해, 상기 표시 수단을 구비한 기기는 화면을 주기적으로 기록(capture)하고, 이전 기록된 화면 및 현재 기록된 화면을 비교함으로써 화면의 변화 여부를 판단한다. 이때, 비교의 대상이 되는 화면은 전체 화면이 될 수 있으나, 전체 화면을 이용하는 경우 계산량이 많아진다. 따라서, 상기 표시 수단을 구비한 기기는 OSD 아이콘의 주변 영역 내의 픽셀들만을 이용하거나, 또는, 샘플링(sampling)을 통해 사용되는 픽셀 개수를 감소시킬 수 있다.
상술한 둘째 방식에 따르는 경우, 화면의 변화 여부는 연속적으로 기록된 두 화면들 간 변화율이 임계치를 초과하는지 여부에 따라 판단된다. 이때, 상기 변화율은 MSE(Mean Square Error), 상관 계수(Correlation Coefficient), 히스토그램(histogram), 경계 히스토그램(edge histogram) 등 다양한 기법들 중 하나를 통해 산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관 계수를 통한 변화율의 산출은 하기 <수학식 1>과 같다.
Figure 112008055916895-pat00001
상기 <수학식 1>에서, 상기 f(m,n)은 이전 기록된 화면의 m,n번째 픽셀 값, 상기 w(m,n)은 현재 기록된 화면의 m,n번째 픽셀 값, 상기
Figure 112008055916895-pat00002
는 이전 기록된 화면 내의 픽셀 값들의 평균,
Figure 112008055916895-pat00003
는 현재 기록된 화면 내의 픽셀 값들의 평균을 의미한다.
단, 상기 상관 계수는 두 화면들 간 유사한 정도를 나타내는 지표이기 때문에, 상기 상관 계수가 임계치보다 낮은 경우에 OSD 아이콘이 제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상관 계수가 사용되는 경우, 변화율이 아닌 유사율이 산출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수단을 구비한 기기는 두 가지 방식 들에 의해 OSD 아이콘의 표시 시간을 제어한다. 이때,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두 가지 방식들 중 하나만 선택적으로 사용되거나, 또는, 상기 두 가지 방식들이 동시에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OS에 의해 이벤트 발생 정보가 제공되지 않는 경우, 둘째 방식만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동영상 재생과 같이 화면이 지속적으로 변화하는 상황임을 인지할 수 있는 경우, 동영상 재생 상태 시 둘째 방식이, 그 외의 상태 시 첫째 방식이 적응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술한 OSD 아이콘의 표시 제어 방식에서, OSD 아이콘을 제거함은 바로 보이지 않게 하는 것, 설정된 표시기간보다 빠르게 사라지게 하는 것, 및 미리 설정된 시간 경과 후 사라지게 하는 것을 모두 포함하는 의미이다. 따라서, 상술한 OSD 아이콘의 제거의 형태들 중 어느 것을 적용하더라도, 본 발명의 실시에 해당함은 자명하다.
이하 본 발명은 상술한 방식에 따라 OSD 아이콘의 표시 시간을 제어하는 표시 수단을 구비한 기기의 동작 및 구성에 대해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수단을 구비한 기기에서 OSD 표시 절차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2를 참고하면, 상기 표시 수단을 구비한 기기는 201단계에서 OSD 아이콘 표시를 위한 사용자의 조작이 발생하는지 확인한다. 예를 들어, 랩탑 컴퓨터의 경우, 상기 표시 수단을 구비한 기기는 Fn 키를 이용한 제어 메뉴 표시를 위한 키 입력이 발생하는지 확인한다.
상기 OSD 아이콘 표시를 위한 사용자의 조작이 발생하면, 상기 표시 수단을 구비한 기기는 203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사용자의 조작에 대응되는 OSD 아이콘을 표시한다. 예를 들어, 상기 OSD 아이콘은 음향의 외부 출력 여부를 위한 도 1의 (a)와 같은 OSD, 화면 출력 방식을 선택하기 위한 도 1의 (b)와 같은 OSD, 터치 패드(touch pad)의 활성화/비활성화를 선택하기 위한 도 1의 (c)와 같은 OSD 중 하나가 될 수 있다.
상기 OSD 아이콘을 표시한 후, 상기 표시 수단을 구비한 기기는 205단계로 진행하여 추후 화면 변화율 산출을 위해 화면을 기록한다. 이때, 상기 표시 수단을 구비한 기기는 전체 화면, 또는, 표시된 OSD 아이콘에 의해 특정되는 화면의 일부 영역을 기록한다. 여기서, 상기 OSD 아이콘에 의해 특정되는 화면의 일부 범위는 상기 OSD 아이콘에 의해 가려진 범위 또는 상기 OSD 아이콘에 의해 가려진 범위를 중심으로 하는 일부 범위를 의미한다. 그리고, 화면 기록의 범위는 미리 설정된 규칙에 따라 정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화면을 기록한 후, 상기 표시 수단을 구비한 기기는 207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OSD 아이콘의 표시 이후 기본 표시 시간이 경과하였는지 확인한다. 여기서, 상기 기본 표시 시간은 상기 첫째 방식 또는 상기 둘째 방식에 대응되는 이벤트가 발생하지 않을 때 상기 OSD 아이콘의 표시가 유지되는 시간이다. 만일, 상기 기본 표시 시간이 경과하였으면, 상기 표시 수단을 구비한 기기는 217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OSD 아이콘을 제거한다.
반면, 상기 기본 표시 시간이 경과하지 않았으면, 상기 표시 수단을 구비한 기기는 209단계로 진행하여 사용자 조작에 의한 화면 변경이 발생하는지 확인한다. 즉, 상기 표시 수단을 구비한 기기는 상기 첫째 방식에 대응되는 이벤트가 발생하는지 확인한다. 예를 들어, 상기 표시 수단을 구비한 기기가 OS을 사용하는 경우, 상기 이벤트의 발생 정보는 상기 OS에 의해 발생되므로, 상기 표시 수단을 구비한 기기는 상기 OS에 의한 이벤트 발생 정보의 발생 여부를 확인한다. 만일, 상기 사용자의 조작에 의한 화면 변경이 발생하면, 상기 표시 수단을 구비한 기기는 217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OSD 아이콘을 제거한다.
반면, 상기 사용자의 조작에 의한 화면 변경이 발생하지 않으면, 상기 표시 수단을 구비한 기기는 211단계로 진행하여 화면 기록 주기가 경과하였는지 확인한다. 즉, 상기 표시 수단을 구비한 기기는 다시 화면을 기록할 시점에 도래하였는지 확인한다. 만일, 상기 화면 기록 주기가 경과하지 않았으면, 상기 표시 수단을 구비한 기기는 상기 207단계로 되돌아간다.
반면, 상기 화면 기록 주기가 경과하였으면, 상기 표시 수단을 구비한 기기는 213단계로 진행하여 화면을 기록하고, 이전 기록된 화면과 현재 기록된 화면 간 변화율을 산출한다. 이때, 상기 표시 수단을 구비한 기기는 상기 205단계에서와 동일한 범위를 대상으로 화면을 기록한다. 그리고, 계산량 감소를 위해, 상기 표시 수단을 구비한 기기는 기록된 화면 내의 픽셀들을 대상으로 샘플링을 수행함으로써, 변화율 산출에 사용되는 픽셀들의 개수를 감소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표시 수단을 구비한 기기는 MSE, 상관 계수, 히스토그램 및 경계 히스토그램 중 하 나의 기법을 이용하여 상기 변화율을 산출한다.
상기 변화율을 산출한 후, 상기 표시 수단을 구비한 기기는 215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변화율과 임계치를 비교한다. 만일, 상기 변화율이 상기 임계치보다 작거나 같으면, 상기 표시 수단을 구비한 기기는 화면이 변화하지 않음을 판단하고, 상기 207단계로 되돌아간다.
반면, 상기 변화율이 상기 임계치보다 크면, 상기 표시 수단을 구비한 기기는 화면이 변화함을 판단하고, 217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OSD 아이콘을 제거한다.
상기 도 2는 상술한 첫째 방식 및 둘째 방식을 동시에 사용하는 경우의 실시 예를 도시하고 있다. 하지만, 이미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첫째 방식 또는 상기 둘째 방식 중 하나만이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첫째 방식만이 사용되는 경우, 상기 205단계, 상기 211단계 내지 215단계는 생략된다, 그리고, 상기 둘째 방식만이 사용되는 경우, 상기 209단계는 생략된다.
또한, 상기 도 2를 참고하여 설명한 동작 절차에서, 상기 표시 수단을 구비한 기기는 두 화면들 간 변화율을 산출한다. 하지만, 사용되는 화상 비교 기법에 따라, 변경율이 아닌 유사율이 산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MSE 기법에 따르는 경우 변경율이 산출되고, 상관 계수 기법이 사용되는 경우 유사율이 산출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상기 표시 수단을 구비한 기기는 유사율을 산출하며, 상기 유사율과 임계치를 비교하고, 상기 유사율이 상기 임계치보다 작으면, 상기 OSD 아이콘을 제거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수단을 구비한 기기의 블록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표시 수단을 구비한 기기는 입력부(302), 데이터저장부(304), 표시부(306), 제어부(308), OSD타이머(310), 변경감시부(312), 변경율산출부(31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입력부(302)는 사용자에 의해 발생하는 입력을 인지하고, 입력에 대응되는 정보를 상기 제어부(308)로 제공한다. 예를 들어, 상기 입력부(302)는 키패드, 터치스크린, 터치패드, 마우스 등을 통한 사용자의 입력을 처리한다. 상기 데이터저장부(304)는 상기 표시 수단을 구비한 기기의 동작을 위한 응용 프로그램, 임시 데이터, 저장 데이터 등을 저장하며, 상기 제어부(308)의 제어에 따라 저장된 프로그램 또는 데이터를 상기 제어부(308)로 제공한다.
상기 표시부(306)는 상기 표시 수단을 구비한 기기의 표시 수단으로서, 기기의 동작 중에 발생하는 상태 정보 및 응용 프로그램의 실행에 따른 숫자, 문자 및 영상 등을 디스플레이한다. 특히, 상기 표시부(306)는 상기 제어부(308)의 제어에 따라 OSD 아이콘을 표시한다. 예를 들어, 상기 표시부(306)는 CRT(Cathode-Ray Tube), LCD(Liquid Crystal Display) 및 OLED(Organic Light-Emitting Diode) 중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308)는 상기 표시 수단을 구비한 기기의 전반적인 기능을 제어한다. 상기 제어부(308)는 상기 입력부(302)로부터 제공되는 정보에 따라 OSD 아이콘 표시를 위한 사용자의 조작이 발생하는지 확인하고, 상기 사용자에 조작에 대응 되는 OSD 아이콘을 표시하도록 상기 표시부(306)를 제어한다. 특히, 상기 제어부(308)는 상기 OSD타이머(310), 상기 변경감시부(312), 상기 변화율산출부(314)로부터 통지되는 상태 정보에 따라 표시된 OSD 아이콘을 제거하도록 상기 표시부(306)를 제어한다. 즉, 상기 OSD타이머(310)로부터 기본 표시 시간의 경과가 통지되거나, 또는 상기 변경감시부(312)로부터 사용자의 조작에 의한 화면 변화 발생이 통지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308)는 상기 OSD 아이콘을 제거하도록 상기 표시부(306)를 제어한다. 또한, 상기 변화율산출부(314)로부터 변화율이 통지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308)는 상기 변화율과 임계치를 비교하고, 상기 변화율이 상기 임계치보다 크면, 상기 OSD 아이콘을 제거하도록 상기 표시부(306)를 제어한다.
상기 OSD타이머(310)는 상기 표시부(306)에 의해 상기 OSD 아이콘이 표시된 후, 기본 표시 시간의 경과를 확인한다. 여기서, 상기 기본 표시 시간은 상기 첫째 방식 또는 상기 둘째 방식에 대응되는 이벤트가 발생하지 않을 때 상기 OSD 아이콘의 표시가 유지되는 시간이다. 만일, 상기 기본 표시 시간이 경과하였으면, 상기 OSD타이머(310)는 상기 기본 표시 시간의 경과를 상기 제어부(308)로 통지한다.
상기 변경감시부(312)는 상기 표시부(306)에 의해 상기 OSD 아이콘이 표시된 상태에서, 사용자 조작에 의한 화면 변경이 발생하는지 확인한다. 즉, 상기 변경감시부(312)는 상기 첫째 방식에 대응되는 이벤트가 발생하는지 확인한다. 예를 들어, 상기 표시 수단을 구비한 기기가 OS을 사용하는 경우, 상기 이벤트의 발생 정보는 상기 OS에 의해 발생되므로, 상기 변경감시부(312)는 상기 OS에 의한 이벤트 발생 정보의 발생 여부를 확인한다. 만일, 상기 사용자의 조작에 의한 화면 변경이 발생하면, 상기 변경감시부(312)는 상기 사용자 조작에 의한 화면 변경의 발생을 상기 제어부(308)로 통지한다.
상기 변경율산출부(314)는 상기 표시부(306)에 의해 상기 OSD 아이콘이 표시된 상태에서, 주기적으로 화면을 기록한다. 그리고, 상기 변경율산출부(314)는 연속적으로 기록된 두 화면들 간 변화율을 산출한다. 이때, 상기 변경율산출부(314)는 화면 전체 또는 상기 OSD 아이콘에 의해 특정되는 화면의 일부 영역을 기록한다. 여기서, 상기 OSD 아이콘에 의해 특정되는 화면의 일부 범위는 상기 OSD 아이콘에 의해 가려진 범위 또는 상기 OSD 아이콘에 의해 가려진 범위를 중심으로 하는 일부 범위를 의미한다. 그리고, 계산량 감소를 위해, 상기 변경율산출부(314)는 기록된 화면 내의 픽셀들을 대상으로 샘플링을 수행함으로써, 변화율 산출에 사용되는 픽셀들의 개수를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도 3을 참고하여 설명한 구성에서, 상기 변경율산출부(314)는 두 화면들 간 변화율을 산출한다. 하지만, 사용되는 화상 비교 기법에 따라, 변경율이 아닌 유사율이 산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MSE 기법에 따르는 경우 변경율이 산출되고, 상관 계수 기법이 사용되는 경우 유사율이 산출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상기 변경율산출부(314)는 유사율을 산출하며, 상기 제어부(308)는 상기 유사율과 임계치를 비교하고, 상기 유사율이 상기 임계치보다 작으면, 상기 OSD 아이콘을 제거하도록 상기 표시부(306)를 제어한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도 1은 표시 수단을 구비한 기기에서 OSD(On Screen Display)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수단을 구비한 기기에서 OSD 표시 절차를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수단을 구비한 기기의 블록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Claims (14)

  1. 표시 수단을 구비한 기기 장치에 있어서,
    OSD(On Screen Display) 아이콘을 표시하는 표시부와,
    상기 OSD 아이콘을 표시한 후 화면을 기록(capture)하고, 화면 기록 주기가 경과하면, 화면을 다시 기록하고, 연속적으로 기록된 두 화면들 간 변화율 또는 유사율을 산출하는 산출부와,
    상기 변화율이 임계치보다 크거나 또는 상기 유사율이 임계치보다 작은 경우, 상기 OSD 아이콘을 제거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산출부는, 화면 전체 또는 상기 OSD 아이콘에 의해 특정되는 화면의 일부 영역을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산출부는, MSE(Mean Square Error), 상관 계수(Correlation Coefficient), 히스토그램(histogram) 및 경계 히스토그램(edge histogram) 중 하나의 기법을 이용하여 상기 변화율 또는 상기 유사율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산출부는, 기록된 화면 내의 픽셀들을 대상으로 샘플링(sampling)을 수행함으로써, 상기 변화율 또는 상기 유사율 산출에 사용되는 픽셀들의 개수를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사용자 조작에 의한 화면 변경이 발생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감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조작에 의한 화면 변경이 발생하는 경우, 상기 OSD 아이콘을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OSD 아이콘의 표시 이후 기본 표시 시간이 경과하였는지 확인하는 타이머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본 표시 시간이 경과한 경우, 상기 OSD 아이콘을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8. 표시 수단을 구비한 기기의 OSD(On Screen Display) 아이콘 표시 방법에 있어서,
    상기 표시 수단에 OSD 아이콘을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OSD 아이콘을 표시한 후 화면을 기록(capture)하는 과정과,
    화면 기록 주기가 경과하면, 화면을 다시 기록하는 과정과,
    연속적으로 기록된 두 화면들 간 변화율 또는 유사율을 산출하는 과정과,
    상기 변화율이 임계치보다 크거나 또는 상기 유사율이 임계치보다 작은 경우, 상기 OSD 아이콘을 제거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삭제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을 기록하는 과정은,
    화면 전체 또는 상기 OSD 아이콘에 의해 특정되는 화면의 일부 영역을 기록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변화율 또는 상기 유사율은, MSE(Mean Square Error), 상관 계수(Correlation Coefficient), 히스토그램(histogram) 및 경계 히스토그램(edge histogram) 중 하나의 기법을 이용하여 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변화율 또는 상기 유사율을 산출하기에 앞서, 기록된 화면 내의 픽셀들을 대상으로 샘플링(sampling)을 수행함으로써, 상기 변화율 또는 상기 유사율 산출에 사용되는 픽셀들의 개수를 감소시키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 는 방법.
  13. 제8항에 있어서,
    사용자 조작에 의한 화면 변경이 발생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사용자 조작에 의한 화면 변경이 발생하는 경우, 상기 OSD 아이콘을 제거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4. 제8항에 있어서,
    상기 OSD 아이콘의 표시 이후 기본 표시 시간이 경과하였는지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기본 표시 시간이 경과한 경우, 상기 OSD 아이콘을 제거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080075985A 2008-08-04 2008-08-04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의 표시 시간 조절 장치 및 방법 Expired - Fee Related KR1010015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5985A KR101001543B1 (ko) 2008-08-04 2008-08-04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의 표시 시간 조절 장치 및 방법
US12/483,766 US20100026895A1 (en) 2008-08-04 2009-06-12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display time of on-screen-displa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5985A KR101001543B1 (ko) 2008-08-04 2008-08-04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의 표시 시간 조절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5078A KR20100015078A (ko) 2010-02-12
KR101001543B1 true KR101001543B1 (ko) 2010-12-17

Family

ID=416079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75985A Expired - Fee Related KR101001543B1 (ko) 2008-08-04 2008-08-04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의 표시 시간 조절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00026895A1 (ko)
KR (1) KR10100154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002092A1 (en) 2010-06-30 2012-01-05 Guidash Robert M Low noise active pixel sensor
WO2012030158A2 (en) * 2010-09-01 2012-03-08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and receiving digital broadcast signal for 3-dimensional display
CN103175570B (zh) * 2011-12-21 2017-04-19 北京普源精电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截屏功能的测量装置
KR20140027826A (ko) * 2012-08-27 2014-03-07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에서 컨텐츠를 표시하는 장치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23333B2 (ja) * 1995-02-21 2006-09-20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動画像の変化点検出方法、動画像の変化点検出装置、動画像の変化点検出システム
US6384852B1 (en) * 1999-06-09 2002-05-07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Intelligent screen saver using image difference
AU2002953335A0 (en) * 2002-12-11 2003-01-09 Click N Learn Pty Ltd Computer screen motion capture
CN100437738C (zh) * 2004-02-23 2008-11-26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具有多功能按钮的多媒体设备及其处理方法
TW200739511A (en) * 2006-04-13 2007-10-16 Coretronic Corp Method for controlling on-screen-display-menu for multimedia playback projection system and system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5078A (ko) 2010-02-12
US20100026895A1 (en) 2010-0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68088B2 (en) Electronic devices with adaptive frame rate displays
US8837919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KR101947822B1 (ko) 화상 표시 제어 장치 및 화상 표시 제어 방법
US8913834B2 (en) Acoustic signal corrector and acoustic signal correcting method
US20130047080A1 (en) Carousel User Interface For Document Management
EP3136705A2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9179090B2 (en) Moving image recording device, control method therefor,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KR20100123475A (ko) 휴대 단말기의 이미지 처리 방법
JP2015127871A (ja) 制御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001543B1 (ko)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의 표시 시간 조절 장치 및 방법
US20140168273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hanging data display size of data on display device
US20080013802A1 (en) Method for controlling function of application software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US20250234091A1 (en) Interface for communicating a threshold in a camera
CN104364738B (zh) 用于从触敏屏幕输入符号的方法和装置
US10013623B2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the position of an object displaying media content
CN112567325A (zh) 信息处理设备和信息处理方法
US20090235169A1 (en) Digital video record device with touch-panel human machine interface
US20240086136A1 (en) Display method and display apparatus
KR101944454B1 (ko) 정보처리프로그램 및 정보처리방법
US20100058389A1 (en) Display control apparatus, display control method and communication system
KR101265296B1 (ko) 카메라를 이용한 사용자 입력 인식 장치 및 방법
US9013420B2 (en) Display device, display program, and display method
KR102110775B1 (ko) 단말의 카메라 제어 방법 및 그 단말
KR101474297B1 (ko) 멀티미디어 장치 및 멀티미디어 장치에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방법
CN119342299A (zh) 视频处理方法、装置、电子设备及可读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80804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90217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80804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0070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0120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0120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0121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8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112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7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112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7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112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9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112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9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1129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909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