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01144B1 - 상변환 메모리 장치 - Google Patents
상변환 메모리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001144B1 KR101001144B1 KR1020090041370A KR20090041370A KR101001144B1 KR 101001144 B1 KR101001144 B1 KR 101001144B1 KR 1020090041370 A KR1020090041370 A KR 1020090041370A KR 20090041370 A KR20090041370 A KR 20090041370A KR 101001144 B1 KR101001144 B1 KR 10100114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ignal
- voltage level
- enable signal
- resistance
- sens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1
- 230000003321 amplifica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51
- 238000003199 nucleic acid amplifica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51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5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0
- 230000004913 activa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4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5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3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30000007274 generation of a signal involved in cell-cell signaling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0000001276 controll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9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9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8
- 101100072620 Streptomyces griseus ind2 gene Proteins 0.000 description 6
- 101001107782 Homo sapiens Iron-sulfur protein NUBPL Proteins 0.000 description 5
- 102100021998 Iron-sulfur protein NUBPL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5
- 101000592685 Homo sapiens Meiotic nuclear division protein 1 homolog Proteins 0.000 description 4
- 102100033679 Meiotic nuclear division protein 1 homolog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4
- 101100513621 Saccharomyces cerevisiae (strain ATCC 204508 / S288c) MND2 gene Protein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4065 semi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10000618 GeSb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13 activ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990 capaci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4770 chalcogenid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90 computer pro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747 exhibi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05 regulat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52 repeti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068 sta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467 substitu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3/0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torage elements not covered by groups G11C11/00, G11C23/00, or G11C25/00
- G11C13/0002—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torage elements not covered by groups G11C11/00, G11C23/00, or G11C25/00 using resistive RAM [RRAM] elements
- G11C13/0021—Auxiliary circuits
- G11C13/004—Reading or sensing circuits or methods
-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3/0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torage elements not covered by groups G11C11/00, G11C23/00, or G11C25/00
- G11C13/0002—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torage elements not covered by groups G11C11/00, G11C23/00, or G11C25/00 using resistive RAM [RRAM] elements
- G11C13/0021—Auxiliary circuits
- G11C13/0061—Timing circuits or methods
-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3/0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torage elements not covered by groups G11C11/00, G11C23/00, or G11C25/00
- G11C13/0002—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torage elements not covered by groups G11C11/00, G11C23/00, or G11C25/00 using resistive RAM [RRAM] elements
- G11C13/0004—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torage elements not covered by groups G11C11/00, G11C23/00, or G11C25/00 using resistive RAM [RRAM] elements comprising amorphous/crystalline phase transition cells
-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3/0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torage elements not covered by groups G11C11/00, G11C23/00, or G11C25/00
- G11C13/0002—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torage elements not covered by groups G11C11/00, G11C23/00, or G11C25/00 using resistive RAM [RRAM] elements
- G11C13/0021—Auxiliary circuits
- G11C13/0038—Power supply circuits
-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5/00—Details of stores covered by group G11C11/00
- G11C5/14—Power supply arrangements, e.g. power down, chip selection or deselection, layout of wirings or power grids, or multiple supply levels
-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7/06—Sense amplifiers; Associated circuits, e.g. timing or triggering circuits
- G11C7/065—Differential amplifiers of latching type
-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3/0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torage elements not covered by groups G11C11/00, G11C23/00, or G11C25/00
- G11C13/0002—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torage elements not covered by groups G11C11/00, G11C23/00, or G11C25/00 using resistive RAM [RRAM] elements
- G11C13/0021—Auxiliary circuits
- G11C13/004—Reading or sensing circuits or methods
- G11C2013/0054—Read is performed on a reference element, e.g. cell, and the reference sensed value is used to compare the sensed value of the selected cell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emiconductor Memories (AREA)
- Dram (AREA)
Abstract
Description
Claims (50)
- 워드라인 선택신호의 활성화구간 내에서 순차적으로 각각 활성화되고 각각 예정된 활성화구간 길이를 갖는 제1 및 제2 감지증폭 인에이블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신호 생성부;상기 제1 감지증폭 인에이블 신호의 활성화구간동안 상기 워드라인 선택신호에 대응하는 상변환 메모리 셀에 설정된 동작전류를 공급하여 그 저항 값을 감지하고, 감지결과에 대응하여 저항감지신호의 전압레벨을 결정하기 위한 저항감지부; 및상기 제2 감지증폭 인에이블 신호의 활성화구간동안 논리기준신호의 전압레벨을 기준으로 상기 저항감지신호의 전압레벨을 논리적으로 판단하고 증폭하여 저항감지증폭신호로서 출력하기 위한 전압레벨 증폭부를 구비하는 상변환 메모리 장치.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전압레벨 증폭부는,상기 논리기준신호를 제1입력단으로 입력받고,상기 저항감지신호를 제2입력단으로 입력받아,그 전압레벨 차이를 차동증폭하고, 상기 제2 감지증폭 인에이블 신호의 활성 화구간동안 증폭된 전압레벨을 유지한 상태로 상기 저항감지증폭신호로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변환 메모리 장치.
- 제2항에 있어서,상기 신호 생성부는,상기 워드라인 선택신호의 활성화구간 내에서 리드 커맨드에 응답하여 상기 제1 감지증폭 인에이블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제1 감지증폭 인에이블 신호 생성부; 및상기 워드라인 선택신호의 활성화구간 내에서 상기 제1 감지증폭 인에이블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2 감지증폭 인에이블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제2 감지증폭 인에이블 신호 생성부를 구비하는 상변환 메모리 장치.
- 제3항에 있어서,상기 제1 감지증폭 인에이블 신호 생성부는,상기 워드라인 선택신호가 활성화된 이후 상기 리드 커맨드에 응답하여 상기 제1 감지증폭 인에이블 신호를 활성화시키고,활성화시점에서 예정된 제1시간이 흐른 이후 - 상기 워드라인 선택신호가 비활성화되기 전 시점임 - 상기 제1 감지증폭 인에이블 신호를 비활성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변환 메모리 장치.
- 제4항에 있어서,상기 제2 감지증폭 인에이블 신호 생성부는,상기 제1 감지증폭 인에이블 신호가 활성화된 이후 예정된 제2시간 - 상기 예정된 제1시간보다 짧음 - 이 흐른 시점에서 상기 제2 감지증폭 인에이블 신호를 활성화시키고,상기 워드라인 선택신호가 비활성화되는 시점에서 상기 제2 감지증폭 인에이블 신호를 비활성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변환 메모리 장치.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전압레벨 증폭부는,상기 논리기준신호를 제1입력단으로 입력받고,상기 저항감지신호를 제2입력단으로 입력받아,상기 제2 감지증폭 인에이블 신호의 활성화구간 내에서 그 전압레벨 차이를 차동증폭하여 상기 저항감지증폭신호로서 출력하기 위한 감지증폭부; 및상기 제2 감지증폭 인에이블 신호의 활성화구간 내에서 토글링하는 신호저장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저항감지증폭신호의 전압레벨을 래치하기 위한 전압레벨 래 치부를 구비하는 상변환 메모리 장치.
- 제6항에 있어서,상기 신호 생성부는,상기 워드라인 선택신호의 활성화구간 내에서 리드 커맨드에 응답하여 상기 제1 감지증폭 인에이블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제1 감지증폭 인에이블 신호 생성부; 및상기 워드라인 선택신호의 활성화구간 내에서 상기 제1 감지증폭 인에이블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신호저장신호 및 상기 제2 감지증폭 인에이블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제2 감지증폭 인에이블 신호 생성부를 구비하는 상변환 메모리 장치.
- 제7항에 있어서,상기 제1 감지증폭 인에이블 신호 생성부는,상기 워드라인 선택신호가 활성화된 이후 상기 리드 커맨드에 응답하여 상기 제1 감지증폭 인에이블 신호를 활성화시키고,활성화시점에서 예정된 제1시간이 흐른 이후 - 상기 워드라인 선택신호가 비활성화되기 전 시점임 - 상기 제1 감지증폭 인에이블 신호를 비활성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변환 메모리 장치.
- 제8항에 있어서,상기 제2 감지증폭 인에이블 신호 생성부는,상기 제1 감지증폭 인에이블 신호가 활성화된 이후 예정된 제2시간 - 상기 예정된 제1시간보다 짧음 - 이 흐른 시점에서 상기 제2 감지증폭 인에이블 신호를 활성화시키고,상기 제2 감지증폭 인에이블 신호가 활성화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신호저장신호를 토글링시키며,상기 신호저장신호의 토글링이 종료되는 시점 - 상기 워드라인 선택신호가 비활성화되기 전 시점임 - 에서 상기 제2 감지증폭 인에이블 신호를 비활성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변환 메모리 장치.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저항감지부는,상기 제1 감지증폭 인에이블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워드라인 선택신호에 대응하는 상변환 메모리 셀에 상기 동작전류를 공급하기 위한 전류공급부; 및상기 전류공급부의 동작을 통해 감지되는 상기 워드라인 선택신호에 대응하는 상변환 메모리 셀의 저항 값에 대응하여 상기 저항감지신호의 전압레벨을 결정하기 위한 전압레벨 결정부를 구비하는 상변환 메모리 장치.
- 제10항에 있어서,상기 전류공급부는,전류 생성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동작전류를 생성하기 위한 동작전류 생성부; 및상기 제1 감지증폭 인에이블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동작전류 생성부와 상기 워드라인 선택신호에 대응하는 상변환 메모리 셀 사이에서 상기 동작전류가 전송되는 경로를 온/오프 제어하기 위한 전류전송 경로 제어부를 구비하는 상변환 메모리 장치.
- 제11항에 있어서,상기 전압레벨 결정부는,예정된 저항값을 갖는 상태로 상기 동작전류 생성부와 상기 전류전송 경로 제어부 사이에 접속되는 분배저항을 구비하고, 상기 분배저항과 상기 전류전송 경로 제어부 사이에 위치하는 노드에서 상기 저항감지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변환 메모리 장치.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전압레벨 증폭부는,상기 제2감지증폭 인에이블 신호가 활성화된 상태에서 상기 논리기준신호의 전압레벨보다 상기 저항감지신호의 전압레벨이 높은 경우,상기 저항감지신호에 대응하는 상변환 메모리 셀에 저장된 데이터의 논리레벨이 로직'하이'(High)인 것으로 판단하고, 그에 따라 상기 저항감지신호의 전압레벨을 전원전압레벨로 증폭하여 상기 저항감지증폭신호로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변환 메모리 장치.
- 제13항에 있어서,상기 전압레벨 증폭부는,상기 제2감지증폭 인에이블 신호가 활성화된 상태에서 상기 논리기준신호의 전압레벨보다 상기 저항감지신호의 전압레벨이 낮은 경우,상기 저항감지신호에 대응하는 상변환 메모리 셀에 저장된 데이터의 논리레벨이 로직'로우'(Low)인 것으로 판단하고, 그에 따라 상기 저항감지신호의 전압레벨을 접지전압레벨로 증폭하여 상기 저항감지증폭신호로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변환 메모리 장치.
- 제14항에 있어서,상기 전압레벨 증폭부는,상기 제2감지증폭 인에이블 신호가 비활성화된 상태에서 상기 저항감지신호의 전압레벨과 상관없이 아무런 동작도 수행하지 않으며, 출력되는 저항감지증폭신호의 전압레벨을 초기화상태로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변환 메모리 장치.
- 제13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상기 논리기준신호는,별도의 입력패드를 통해 외부에서 입력되거나.별도로 구비된 내부의 전압 생성회로에서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변환 메모리 장치.
- 워드라인 선택신호의 활성화구간 내에서 순차적으로 각각 활성화되고 각각 예정된 활성화구간 길이를 갖는 제1 및 제2 감지증폭 인에이블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신호 생성부;상기 제1 감지증폭 인에이블 신호의 활성화구간동안 상기 워드라인 선택신호에 대응하는 상변환 메모리 셀에 설정된 선택 셀 감지동작전류를 공급하여 그 저항 값을 감지하고, 감지결과에 대응하여 저항감지신호의 전압레벨을 결정하기 위한 선택 셀 저항감지부;상기 제1 감지증폭 인에이블 신호의 활성화구간동안 기준 셀에 설정된 기준 셀 감지동작전류를 공급하여 상기 기준 셀의 저항 값을 감지하고, 그에 대응하여 논리기준신호의 전압레벨을 결정하기 위한 기준 셀 저항감지부; 및상기 제2 감지증폭 인에이블 신호의 활성화구간동안 상기 논리기준신호의 전압레벨을 기준으로 상기 저항감지신호의 전압레벨을 논리적으로 판단하고 증폭하여 저항감지증폭신호로서 출력하기 위한 전압레벨 증폭부를 구비하는 상변환 메모리 장치.
- 제17항에 있어서,상기 전압레벨 증폭부는,상기 논리기준신호를 제1입력단으로 입력받고,상기 저항감지신호를 제2입력단으로 입력받아,그 전압레벨 차이를 차동증폭하고, 상기 제2 감지증폭 인에이블 신호의 활성화구간동안 증폭된 전압레벨을 유지한 상태로 상기 저항감지증폭신호로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변환 메모리 장치.
- 제18항에 있어서,상기 신호 생성부는,상기 워드라인 선택신호의 활성화구간 내에서 리드 커맨드에 응답하여 상기 제1 감지증폭 인에이블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제1 감지증폭 인에이블 신호 생성부; 및상기 워드라인 선택신호의 활성화구간 내에서 상기 제1 감지증폭 인에이블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2 감지증폭 인에이블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제2 감지증폭 인에이블 신호 생성부를 구비하는 상변환 메모리 장치.
- 제19항에 있어서,상기 제1 감지증폭 인에이블 신호 생성부는,상기 워드라인 선택신호가 활성화된 이후 상기 리드 커맨드에 응답하여 상기 제1 감지증폭 인에이블 신호를 활성화시키고,활성화시점에서 예정된 제1시간이 흐른 이후 - 상기 워드라인 선택신호가 비활성화되기 전 시점임 - 상기 제1 감지증폭 인에이블 신호를 비활성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변환 메모리 장치.
- 제20항에 있어서,상기 제2 감지증폭 인에이블 신호 생성부는,상기 제1 감지증폭 인에이블 신호가 활성화된 이후 예정된 제2시간 - 상기 예정된 제1시간보다 짧음 - 이 흐른 시점에서 상기 제2 감지증폭 인에이블 신호를 활성화시키고,상기 워드라인 선택신호가 비활성화되는 시점에서 상기 제2 감지증폭 인에이블 신호를 비활성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변환 메모리 장치.
- 제17항에 있어서,상기 전압레벨 증폭부는,상기 논리기준신호를 제1입력단으로 입력받고,상기 저항감지신호를 제2입력단으로 입력받아,상기 제2 감지증폭 인에이블 신호의 활성화구간 내에서 그 전압레벨 차이를 차동증폭하여 상기 저항감지증폭신호로서 출력하기 위한 감지증폭부; 및상기 제2 감지증폭 인에이블 신호의 활성화구간 내에서 토글링하는 신호저장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저항감지증폭신호의 전압레벨을 래치하기 위한 전압레벨 래치부를 구비하는 상변환 메모리 장치.
- 제22항에 있어서,상기 신호 생성부는,상기 워드라인 선택신호의 활성화구간 내에서 리드 커맨드에 응답하여 상기 제1 감지증폭 인에이블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제1 감지증폭 인에이블 신호 생성부; 및상기 워드라인 선택신호의 활성화구간 내에서 상기 제1 감지증폭 인에이블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신호저장신호 및 상기 제2 감지증폭 인에이블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제2 감지증폭 인에이블 신호 생성부를 구비하는 상변환 메모리 장치.
- 제23항에 있어서,상기 제1 감지증폭 인에이블 신호 생성부는,상기 워드라인 선택신호가 활성화된 이후 상기 리드 커맨드에 응답하여 상기 제1 감지증폭 인에이블 신호를 활성화시키고,활성화시점에서 예정된 제1시간이 흐른 이후 - 상기 워드라인 선택신호가 비활성화되기 전 시점임 - 상기 제1 감지증폭 인에이블 신호를 비활성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변환 메모리 장치.
- 제24항에 있어서,상기 제2 감지증폭 인에이블 신호 생성부는,상기 제1 감지증폭 인에이블 신호가 활성화된 이후 예정된 제2시간 - 상기 예정된 제1시간보다 짧음 - 이 흐른 시점에서 상기 제2 감지증폭 인에이블 신호를 활성화시키고,상기 제2 감지증폭 인에이블 신호가 활성화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신호저장신호를 토글링시키며,상기 신호저장신호의 토글링이 종료되는 시점 - 상기 워드라인 선택신호가 비활성화되기 전 시점임 - 에서 상기 제2 감지증폭 인에이블 신호를 비활성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변환 메모리 장치.
- 제17항에 있어서,상기 선택 셀 저항 감지부는,상기 제1 감지증폭 인에이블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워드라인 선택신호에 대응하는 상변환 메모리 셀에 상기 선택 셀 감지동작전류를 공급하기 위한 선택 셀 전류공급부; 및상기 선택 셀 전류공급부의 동작을 통해 감지되는 상기 워드라인 선택신호에 대응하는 상변환 메모리 셀의 저항 값에 대응하여 상기 저항감지신호의 전압레벨을 결정하기 위한 저항감지신호 전압레벨 결정부를 구비하는 상변환 메모리 장치.
- 제26항에 있어서,상기 선택 셀 전류공급부는,전류 생성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선택 셀 감지동작전류를 생성하기 위한 선택 셀 감지동작전류 생성부; 및상기 제1 감지증폭 인에이블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선택 셀 감지동작전류 생성부와 상기 워드라인 선택신호에 대응하는 상변환 메모리 셀 사이에서 상기 선택 셀 감지동작전류가 전송되는 경로를 온/오프 제어하기 위한 선택 셀 전류전송 경로 제어부를 구비하는 상변환 메모리 장치.
- 제27항에 있어서,상기 저항감지신호 전압레벨 결정부는,예정된 저항값을 갖는 상태로 상기 선택 셀 감지동작전류 생성부와 상기 선택 셀 전류전송 경로 제어부 사이에 접속되는 분배저항을 구비하고, 상기 분배저항과 상기 선택 셀 전류전송 경로 제어부 사이에 위치하는 노드에서 상기 저항감지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변환 메모리 장치.
- 제17항에 있어서,상기 기준 셀 저항 감지부는,상기 제1 감지증폭 인에이블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기준 셀에 상기 기준 셀 감지동작전류를 공급하기 위한 기준 셀 전류공급부; 및상기 기준 셀 전류공급부의 동작을 통해 감지되는 상기 기준 셀의 저항 값에 대응하여 상기 논리기준신호의 전압레벨을 결정하기 위한 논리기준신호 전압레벨 결정부를 구비하는 상변환 메모리 장치.
- 제29항에 있어서,상기 기준 셀 전류공급부는,전류 생성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기준 셀 감지동작전류를 생성하기 위한 기준 셀 감지동작전류 생성부; 및상기 제1 감지증폭 인에이블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기준 셀 감지동작전류 생성부와 상기 기준 셀 사이에서 상기 기준 셀 감지동작전류가 전송되는 경로를 온/오프 제어하기 위한 기준 셀 전류전송 경로 제어부를 구비하는 상변환 메모리 장치.
- 제30항에 있어서,상기 논리기준신호 전압레벨 결정부는,예정된 저항값을 갖는 상태로 상기 기준 셀 감지동작전류 생성부와 상기 기준 셀 전류전송 경로 제어부 사이에 접속되는 분배저항을 구비하고, 상기 분배저항과 상기 기준 셀 전류전송 경로 제어부 사이에 위치하는 노드에서 상기 논리기준신 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변환 메모리 장치.
- 제17항에 있어서,상기 전압레벨 증폭부는,상기 제2감지증폭 인에이블 신호가 활성화된 상태에서 상기 논리기준신호의 전압레벨보다 상기 저항감지신호의 전압레벨이 높은 경우,상기 저항감지신호에 대응하는 상변환 메모리 셀에 저장된 데이터의 논리레벨이 로직'하이'(High)인 것으로 판단하고, 그에 따라 상기 저항감지신호의 전압레벨을 전원전압레벨로 증폭하여 상기 저항감지증폭신호로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변환 메모리 장치.
- 제32항에 있어서,상기 전압레벨 증폭부는,상기 제2감지증폭 인에이블 신호가 활성화된 상태에서 상기 논리기준신호의 전압레벨보다 상기 저항감지신호의 전압레벨이 낮은 경우,상기 저항감지신호에 대응하는 상변환 메모리 셀에 저장된 데이터의 논리레벨이 로직'로우'(Low)인 것으로 판단하고, 그에 따라 상기 저항감지신호의 전압레벨을 접지전압레벨로 증폭하여 상기 저항감지증폭신호로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변환 메모리 장치.
- 제33항에 있어서,상기 전압레벨 증폭부는,상기 제2감지증폭 인에이블 신호가 비활성화된 상태에서 상기 저항감지신호의 전압레벨과 상관없이 아무런 동작도 수행하지 않으며, 출력되는 저항감지증폭신호의 전압레벨을 초기화상태로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변환 메모리 장치.
- 어레이 형태로 이루어진 다수의 상변환 메모리 셀;로우 어드레스에 대응하는 워드라인 선택신호의 활성화구간 내에서 컬럼 어드레스에 대응하는 리드 커맨드에 응답하여 순차적으로 각각 활성화되고 각각 예정된 활성화구간을 갖는 제1 및 제2 감지증폭 인에이블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신호 생성부;상기 제1 감지증폭 인에이블 신호의 활성화구간동안 상기 다수의 상변환 메모리 셀 중 상기 워드라인 선택신호에 대응하는 상변환 메모리 셀에 설정된 동작전류를 공급하여 그 저항값을 감지하고, 감지 결과에 대응하여 저항감지신호의 전압레벨을 결정하기 위한 저항감지부; 및상기 제2 감지증폭 인에이블 신호의 활성화구간동안 논리기준신호의 전압레 벨을 기준으로 상기 저항감지신호의 전압레벨을 논리적으로 판단하고 증폭하여 저항감지증폭신호로서 출력하기 위한 전압레벨 증폭부를 구비하는 상변환 메모리 장치.
- 제35항에 있어서,상기 전압레벨 증폭부는,상기 논리기준신호를 제1입력단으로 입력받고,상기 저항감지신호를 제2입력단으로 입력받아,그 전압레벨 차이를 차동증폭하고, 상기 제2 감지증폭 인에이블 신호의 활성화구간동안 증폭된 전압레벨을 유지한 상태로 상기 저항감지증폭신호로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변환 메모리 장치.
- 제36항에 있어서,상기 신호 생성부는,상기 워드라인 선택신호의 활성화구간 내에서 상기 리드 커맨드에 응답하여 상기 제1 감지증폭 인에이블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제1 감지증폭 인에이블 신호 생성부; 및상기 워드라인 선택신호의 활성화구간 내에서 상기 제1 감지증폭 인에이블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2 감지증폭 인에이블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제2 감지증폭 인에이블 신호 생성부를 구비하는 상변환 메모리 장치.
- 제37항에 있어서,상기 제1 감지증폭 인에이블 신호 생성부는,상기 워드라인 선택신호가 활성화된 이후 상기 리드 커맨드에 응답하여 상기 제1 감지증폭 인에이블 신호를 활성화시키고,활성화시점에서 예정된 제1시간이 흐른 이후 - 상기 워드라인 선택신호가 비활성화되기 전 시점임 - 상기 제1 감지증폭 인에이블 신호를 비활성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변환 메모리 장치.
- 제38항에 있어서,상기 제2 감지증폭 인에이블 신호 생성부는,상기 제1 감지증폭 인에이블 신호가 활성화된 이후 예정된 제2시간 - 상기 예정된 제1시간보다 짧음 - 이 흐른 시점에서 상기 제2 감지증폭 인에이블 신호를 활성화시키고,상기 워드라인 선택신호가 비활성화되는 시점에서 상기 제2 감지증폭 인에이블 신호를 비활성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변환 메모리 장치.
- 제35항에 있어서,상기 전압레벨 증폭부는,상기 논리기준신호를 제1입력단으로 입력받고,상기 저항감지신호를 제2입력단으로 입력받아,상기 제2 감지증폭 인에이블 신호의 활성화구간 내에서 그 전압레벨 차이를 차동증폭하여 상기 저항감지증폭신호로서 출력하기 위한 감지증폭부; 및상기 제2 감지증폭 인에이블 신호의 활성화구간 내에서 토글링하는 신호저장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저항감지증폭신호의 전압레벨을 래치하기 위한 전압레벨 래치부를 구비하는 상변환 메모리 장치.
- 제40항에 있어서,상기 신호 생성부는,상기 워드라인 선택신호의 활성화구간 내에서 상기 리드 커맨드에 응답하여 상기 제1 감지증폭 인에이블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제1 감지증폭 인에이블 신호 생성부; 및상기 워드라인 선택신호의 활성화구간 내에서 상기 제1 감지증폭 인에이블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2 감지증폭 인에이블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제2 감지증폭 인에이블 신호 생성부를 구비하는 상변환 메모리 장치.
- 제41항에 있어서,상기 제1 감지증폭 인에이블 신호 생성부는,상기 워드라인 선택신호가 활성화된 이후 상기 리드 커맨드에 응답하여 상기 제1 감지증폭 인에이블 신호를 활성화시키고,활성화시점에서 예정된 제1시간이 흐른 이후 - 상기 워드라인 선택신호가 비활성화되기 전 시점임 - 상기 제1 감지증폭 인에이블 신호를 비활성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변환 메모리 장치.
- 제42항에 있어서,상기 제2 감지증폭 인에이블 신호 생성부는,상기 제1 감지증폭 인에이블 신호가 활성화된 이후 예정된 제2시간 - 상기 예정된 제1시간보다 짧음 - 이 흐른 시점에서 상기 제2 감지증폭 인에이블 신호를 활성화시키고,상기 제2 감지증폭 인에이블 신호가 활성화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신호저장신호를 토글링시키며,상기 신호저장신호의 토글링이 종료되는 시점 - 상기 워드라인 선택신호가 비활성화되기 전 시점임 - 에서 상기 제2 감지증폭 인에이블 신호를 비활성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변환 메모리 장치.
- 제35항에 있어서,상기 저항감지부는,상기 제1 감지증폭 인에이블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워드라인 선택신호에 대응하는 상변환 메모리 셀에 상기 동작전류를 공급하기 위한 전류공급부; 및상기 전류공급부의 동작을 통해 감지되는 상기 워드라인 선택신호에 대응하는 상변환 메모리 셀의 저항 값에 대응하여 상기 저항감지신호의 전압레벨을 결정하기 위한 전압레벨 결정부를 구비하는 상변환 메모리 장치.
- 제44항에 있어서,상기 전류공급부는,전류 생성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동작전류를 생성하기 위한 동작전류 생성부; 및상기 제1 감지증폭 인에이블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동작전류 생성부와 상기 워드라인 선택신호에 대응하는 상변환 메모리 셀 사이에서 상기 동작전류가 전송되는 경로를 온/오프 제어하기 위한 전류전송 경로 제어부를 구비하는 상변환 메모리 장치.
- 제45항에 있어서,상기 전압레벨 결정부는,예정된 저항값을 갖는 상태로 상기 동작전류 생성부와 상기 전류전송 경로 제어부 사이에 접속되는 분배저항을 구비하고, 상기 분배저항과 상기 전류전송 경로 제어부 사이에 위치하는 노드에서 상기 저항감지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변환 메모리 장치.
- 제35항에 있어서,상기 전압레벨 증폭부는,상기 제2감지증폭 인에이블 신호가 활성화된 상태에서 상기 논리기준신호의 전압레벨보다 상기 저항감지신호의 전압레벨이 높은 경우,상기 저항감지신호에 대응하는 상변환 메모리 셀에 저장된 데이터의 논리레벨이 로직'하이'(High)인 것으로 판단하고, 그에 따라 상기 저항감지신호의 전압레벨을 전원전압레벨로 증폭하여 상기 저항감지증폭신호로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변환 메모리 장치.
- 제47항에 있어서,상기 전압레벨 증폭부는,상기 제2감지증폭 인에이블 신호가 활성화된 상태에서 상기 논리기준신호의 전압레벨보다 상기 저항감지신호의 전압레벨이 낮은 경우,상기 저항감지신호에 대응하는 상변환 메모리 셀에 저장된 데이터의 논리레벨이 로직'로우'(Low)인 것으로 판단하고, 그에 따라 상기 저항감지신호의 전압레벨을 접지전압레벨로 증폭하여 상기 저항감지증폭신호로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변환 메모리 장치.
- 제48항에 있어서,상기 전압레벨 증폭부는,상기 제2감지증폭 인에이블 신호가 비활성화된 상태에서 상기 저항감지신호의 전압레벨과 상관없이 아무런 동작도 수행하지 않으며, 출력되는 저항감지증폭신호의 전압레벨을 초기화상태로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변환 메모리 장치.
- 제47항 내지 제49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상기 논리기준신호는,별도의 입력패드를 통해 외부에서 입력되거나.별도로 구비된 내부의 전압 생성회로에서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변환 메모리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41370A KR101001144B1 (ko) | 2009-05-12 | 2009-05-12 | 상변환 메모리 장치 |
US12/487,707 US8130539B2 (en) | 2009-05-12 | 2009-06-19 | Phase change memory device |
US13/358,994 US20120120724A1 (en) | 2009-05-12 | 2012-01-26 | Phase change memory devic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41370A KR101001144B1 (ko) | 2009-05-12 | 2009-05-12 | 상변환 메모리 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122368A KR20100122368A (ko) | 2010-11-22 |
KR101001144B1 true KR101001144B1 (ko) | 2010-12-17 |
Family
ID=430683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90041370A Expired - Fee Related KR101001144B1 (ko) | 2009-05-12 | 2009-05-12 | 상변환 메모리 장치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US (2) | US8130539B2 (ko) |
KR (1) | KR101001144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53814B1 (ko) * | 2010-09-30 | 2012-06-14 |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 상변화 메모리 소자 |
WO2014175907A1 (en) * | 2013-04-25 | 2014-10-30 | Being Advanced Memory Corporation | Phase change memory with flexible time-based cell decoding |
US9715925B2 (en) * | 2014-09-30 | 2017-07-25 | Sandisk Technologies Llc | Methods and apparatus for vertical cross point re-RAM array bias calibration |
US9595323B1 (en) * | 2016-02-04 | 2017-03-14 | Sandisk Technologies Llc | Word line compensation for memory arrays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335397B1 (ko) | 1998-05-25 | 2002-09-05 |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 센스앰프순차구동장치 |
KR100610008B1 (ko) | 2004-07-19 | 2006-08-08 | 삼성전자주식회사 | 버스트 리드동작에 적합한 상변화 메모리 장치 및 그에따른 데이터 리딩방법 |
KR100895389B1 (ko) | 2007-09-06 | 2009-04-30 |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 상 변화 메모리 장치 |
Family Cites Familie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00783B1 (ko) | 2003-04-29 | 2009-06-02 |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 피크 전류를 감소시키는 제어 장치 |
JP4606869B2 (ja) * | 2004-12-24 | 2011-01-05 | ルネサス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 半導体装置 |
US7495944B2 (en) * | 2005-03-30 | 2009-02-24 | Ovonyx, Inc. | Reading phase change memories |
KR101367659B1 (ko) * | 2007-07-12 | 2014-02-25 | 삼성전자주식회사 | 읽기 에러를 줄일 수 있는 멀티 레벨 상 변화 메모리 장치및 그것의 읽기 방법 |
KR100919565B1 (ko) * | 2007-07-24 | 2009-10-01 |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 상 변화 메모리 장치 |
-
2009
- 2009-05-12 KR KR1020090041370A patent/KR101001144B1/ko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9-06-19 US US12/487,707 patent/US8130539B2/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12
- 2012-01-26 US US13/358,994 patent/US20120120724A1/en not_active Abandoned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335397B1 (ko) | 1998-05-25 | 2002-09-05 |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 센스앰프순차구동장치 |
KR100610008B1 (ko) | 2004-07-19 | 2006-08-08 | 삼성전자주식회사 | 버스트 리드동작에 적합한 상변화 메모리 장치 및 그에따른 데이터 리딩방법 |
KR100895389B1 (ko) | 2007-09-06 | 2009-04-30 |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 상 변화 메모리 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20100290272A1 (en) | 2010-11-18 |
KR20100122368A (ko) | 2010-11-22 |
US20120120724A1 (en) | 2012-05-17 |
US8130539B2 (en) | 2012-03-0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TWI582771B (zh) | 電阻式記憶體裝置與其感測電路 | |
KR20120126434A (ko) |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 및 센싱 방법 | |
CN108335715B (zh) | 非易失性存储器件及其操作方法 | |
US7643336B2 (en) | Phase change memory device | |
JP2007234133A (ja) | 半導体記憶装置及び半導体集積回路システム | |
JP2007234133A5 (ko) | ||
JP2008165970A (ja) | 強誘電体素子を適用した半導体メモリ装置及びそのリフレッシュ方法 | |
CN106601285B (zh) | 存储器装置及其操作方法 | |
CN114187945A (zh) | 用于写入数据的电阻式存储器装置及其操作方法 | |
KR101001144B1 (ko) | 상변환 메모리 장치 | |
KR101150592B1 (ko) | 상 변화 메모리 장치 | |
US7499344B2 (en) | Integrated circuit memory having a read circuit | |
CN1811988B (zh) | 存储单元阵列偏置方法以及半导体存储器件 | |
KR100546100B1 (ko) | 계층 전달 센싱구조를 갖는 불휘발성 강유전체 셀 어레이회로 | |
KR100895389B1 (ko) | 상 변화 메모리 장치 | |
KR100934853B1 (ko) | 상 변화 메모리 장치 | |
US8514644B2 (en) | Bit line sense amplifier control circuit and semiconductor memory apparatus having the same | |
KR101010947B1 (ko) | 반도체 메모리 장치 | |
JP2004348936A (ja) | タイミングレファレンスセンシング機能を有するレジスタアレイ、該アレイを用いる不揮発性強誘電体メモリ装置及びタイミングレファレンスを利用したデータセンシング方法 | |
US8395439B2 (en) | Semiconductor device having fuse circuit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JP2011204358A (ja) | 半導体記憶装置 | |
KR20120063394A (ko) |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 및 센싱 방법 | |
KR20230108676A (ko) | 메모리 장치 및 그것의 동작 방법 | |
KR100894488B1 (ko) | 반도체 메모리 소자 | |
KR20230040436A (ko) | 증폭 전압에 기초하여 동작하는 컬럼 선택 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메모리 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0512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01130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0120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0120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