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01079B1 - Application providing method and system for notifying terminal support information - Google Patents
Application providing method and system for notifying terminal support information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001079B1 KR101001079B1 KR1020080137147A KR20080137147A KR101001079B1 KR 101001079 B1 KR101001079 B1 KR 101001079B1 KR 1020080137147 A KR1020080137147 A KR 1020080137147A KR 20080137147 A KR20080137147 A KR 20080137147A KR 101001079 B1 KR101001079 B1 KR 10100107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pplication
- terminal
- information
- mobile communication
- suppor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22—Processing or transfer of terminal data, e.g. status or physical capabilities
- H04W8/24—Transfer of terminal data
- H04W8/245—Transfer of terminal data from a network towards a terminal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8/00—Arrangements for software engineering
- G06F8/60—Software deployment
- G06F8/61—Installation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8/00—User notification, e.g. alerting and paging, for incoming communication, change of service or the like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18—Processing of user or subscriber data, e.g. subscribed services, user preferences or user profiles; Transfer of user or subscriber dat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이동통신 단말에 어플리케이션 제공시 단말기에서의 지원 여부를 공지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 제공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lication providing system and method for notifying whether a terminal supports the application when the application is provid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본 발명에 따르면,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이동통신 단말로 어플리케이션 제공시 단말에서의 지원 여부를 공지하는 어플리케이션 제공 방법으로서, (a) 이동통신 단말로부터 다운로드할 어플리케이션을 선택받고 다운로드를 요청받는 단계; (b) 상기 이동통신 단말의 단말기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c) 상기 추출된 단말기 정보를 근거로 하여 상기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의 단말 지원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및 (d)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지원하는 것으로 확인되지 않으면, 상기 이동통신 단말로 해당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단말 지원여부 정보를 공지하는 어플리케이션 제공 방법이 개시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 application providing method for notifying whether a terminal supports the application when providing an application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the method comprising: (a) selecting an application to download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receiving a download request; (b) extracting terminal inform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 checking whether the selected application supports the terminal based on the extracted terminal information; And (d) providing the corresponding information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f it is not confirmed that the application is supported. The application providing method of notifying whether the terminal supports the information is disclosed.
이동통신, 어플리케이션, 지원여부, 공지 Mobile communication, application, support, notice
Description
본 발명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이동통신 단말로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서비스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이동통신 단말에 어플리케이션 제공시 단말기에서의 지원 여부를 공지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 제공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rvice for providing an application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lication providing system and a method for notifying whether a terminal supports the application.
최근의 전자 공학 및 통신 공학의 비약적인 발전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도 다양한 기능을 갖게 되었다. 즉, 무선 통신 및 데이터 처리 기술이 급속도로 발전함에 따라 사람들은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음성 통화뿐만 아니라 인터넷 접속, 화상 통신 및 동영상 메시지 전송 등의 기능을 이용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급격한 보급으로 인해 인간관계에서 발생하는 상당한 양의 통신이 이동 통신 단말기를 통해 이루어지는 등 이동통신 단말기는 현대 생활에서 필수적인 통신 수단으로 자리잡고 있다.With the recent rapid development of electronic engineering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have various functions. That is, with the rapid development of wireless communication and data processing technology, people can use not only voice calls but also Internet access, video communication and video message transmission us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Also, due to the rapid spread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are becoming an essential means of communication in modern life, such as a considerable amount of communication occurring in human relations through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이러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성능이나 기능의 개선과 함께 사용자들은 단말기 를 통해서 다양한 콘텐츠나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기 시작하였고, 이러한 콘텐츠 및 어플리케이션은 이동통신 시스템을 통해서 다운로드 받고 있다. 또한, 이동통신사에서는 이러한 추세에 따라 다양한 콘텐츠와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하여 제공하거나, 외부 어플리케이션 개발 업체에서 개발한 어플리케이션도 시스템을 통해 이동통신 사용자들에게 제공하고 있다. 요즘에는 이동통신사에서 개발하는 어플리케이션보다는 이동통신사에 제휴되어 있는 콘텐츠 제공업체(CP)에서 개발한 어플리케이션이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With the improvement of the performance or func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ers began to use various contents or applications through the terminal, and these contents and applications are downloaded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In addition, according to this trend, mobile communication companies develop and provide various contents and applications, or provide applications developed by external application development companies to mobile communication users through the system. Nowadays, applications developed by a content provider (CP) affiliated with a mobile communication company occupy most of the applications provided by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rather than applications developed by a mobile communication company.
아울러, 현재 출시되어 사용하고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종류는 매우 다양하여 모든 단말기에서 지원 가능한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하기에는 어려움이 많다. 따라서, 현재 제공되는 모든 어플리케이션들은 특정 모델의 단말기나 특정 소프트웨어 버전에서는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않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types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that are currently released and used are very diverse, and it is difficult to develop applications that can be supported by all terminals. Therefore, all applications currently provided may not operate normally in a specific model terminal or a specific software version.
이와 같이 정상 동작하지 않는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받을 경우에는 가입자들의 불편 및 불만이 제기될 수 있고, 이로 인해 전체적인 이동통신 서비스의 품질이 하락할 수 있는 문제가 있다.In the case of downloading an application that does not operate normally as described above, inconveniences and complaints of subscribers may be raised, and thus, there is a problem that the quality of the overall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may decrease.
이러한 문제점에 따라 기존에는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하려는 사용자가 해당 어플리케이션이 자신의 단말기에 지원 가능한지 여부를 확인하고, 지원 가능할 경우에만 다운로드하여 이용하였다. 또는, 다운로드 하려는 어플리케이션의 일정 부분만을 다운로드하여 지원 가능한지 여부를 테스트한 후, 가능한 경우에 모든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하는 방법이 이용되고 있다.In accordance with this problem, the user who attempts to download the application checks whether the corresponding application is supported on his terminal, and downloads and uses the application only when the application is supported. Alternatively, a method of downloading whether all applications are downloaded after testing whether or not only a portion of an application to be downloaded is supported and testing is supported.
그러나 이러한 방법들은 사용자들이 일일이 지원 가능 여부를 확인해야 하거나 또는 미리 일정 부분의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하고 이를 다시 테스트하는 등의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본인의 단말기 모델을 잘 모르는 사용자들은 지원 가능여부를 확인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고, 어플리케이션의 정상 구동 유무와 상관없이 다운로드가 진행된 시점에서 이미 사용자에게는 비용이 발생하기 때문에 단순 불만을 넘어선 환불에 대한 절차 및 비용이 추가로 발생할 우려가 있다.However, these methods are cumbersome, such as having to check whether users can support each other or downloading a portion of an application in advance and retesting it. In addition, users who are not familiar with their terminal model have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check whether they can support it, and regardless of whether the application is running normally, the user already incurs the cost at the time of the download process. There is a risk of additional procedures and costs.
이와 같이, 어플리케이션과 단말기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통신사는 이런 문제점들로 인하여 단말기와 어플리케이션을 출시하기 전에 사전 검수제를 운영하지만 모든 단말기 모델에 대해 모든 어플리케이션을 사전 검수하기에는 막대한 비용이 수반되며, 새로운 어플리케이션과 새로운 단말기가 출시될 때마다 이러한 과정을 반복 수행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한 문제가 있다. As such, carriers providing applications and terminals to users operate a pre-check system before releasing terminals and applications due to these problems, but it entails a huge cost to pre-check all applications for all terminal models. Repeating this process every time a new terminal is released has a problem that is practically impossible.
아울러, 기존의 방법들은 사용자 스스로 또는 이동통신 단말기측에서 어플리케이션의 지원 가능여부를 파악해야 하는 것으로, 이동통신 시스템을 운용하는 측에서의 책임 회피 문제와 고객 불편 문제들이 제기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existing methods need to determine whether the application can be supported by the user or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problem of avoidance of responsibility and customer inconvenience on the side of operating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may be raised.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한 것으로서,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이동통신 단말로 어플리케이션 제공시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다운로드 전에 단말기와의 지원 여부를 사용자에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provides a method and system for enabling a user to check whether the application is supported before downloading the corresponding application when the application is provided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ts purpose is to.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Further object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nderstood by the following description, and will be more clearly understood by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lso, it will be readily appreciated that the object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realized by the means and combinations thereof indicated in the claims.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단말 지원여부 정보를 공지하는 어플리케이션 제공 방법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이동통신 단말로 어플리케이션 제공시 단말에서의 지원 여부를 공지하는 어플리케이션 제공 방법으로서, (a) 이동통신 단말로부터 다운로드할 어플리케이션을 선택받고 다운로드를 요청받는 단계; (b) 상기 이동통신 단말의 단말기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c) 상기 추출된 단말기 정보를 근거로 하여 상기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의 단말 지원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및 (d)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지원하는 것으로 확인되지 않으면, 상기 이동통신 단말로 해당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application providing method for notifying whether the terminal supports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n application providing method for notifying whether the terminal supports the application when providing the application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a) selecting an application to download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receiving a download request; (b) extracting terminal inform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 checking whether the selected application supports the terminal based on the extracted terminal information; And (d) if it is not confirmed that the application supports the information, providing the corresponding information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이동통신 단말로 어플리케이션 제공시 단말에서의 지원 여부를 공지하는 어플리케이션 제공 시스템으로서, 이동통신 단말로부터 다운로드할 어플리케이션을 선택받고 다운로드 요청에 따라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처리하는 어플리케이션 제공 수단; 상기 이동통신 단말의 단말기 정보를 추출하고, 이 추출된 단말기 정보를 근거로 상기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의 단말 지원 여부를 확인하는 지원여부 판단 수단; 및 상기 지원여부 판단 수단에서 판단결과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지원하는 것으로 확인되지 않으 면, 상기 이동통신 단말로 해당 정보를 제공하는 지원정보 제공 수단;을 포함하는 단말 지원여부 정보를 공지하는 어플리케이션 제공 시스템이 제공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application providing system for notifying whether a terminal supports the application when providing an application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application is selected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download the selected application according to the download request Application providing means for processing; Support determination means for extracting terminal inform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confirming whether the selected application supports the terminal based on the extracted terminal information; And support information providing means for providing the corresponding information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f it is not determined that the support means determines the application. do.
본 발명에 따르면,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이동통신 단말로 어플리케이션 제공시에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하려는 이동통신 단말과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지원 가능 여부를 어플리케이션 다운로드 전에 이동통신 시스템 측에서 파악하여 이동통신 단말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지원을 보장할 수 없는 어플리케이션의 다운로드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provid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by grasp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download the application when the application is provided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whether the application can be supported or not before downloading the application. It provides the effect of preventing the downloading of applications that cannot guarantee support.
아울러, 이동통신 시스템 측에서 어플리케이션의 지원 여부를 미리 알려주어, 추후에 고객 불만을 줄여 서비스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고, 고객 불만 처리에 따른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In addition,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informs in advance whether the application is supported, thereby improving the quality of service by reducing customer complaints later, and providing an effect of reducing the cost of handling customer complaints.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 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Prior to this, terms or words used in the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as having a conventional or dictionary meaning, and the inventors should properly explain the concept of terms in order to best explain their own invention. Based on the principle that can be defined, it should be interpreted as meaning and concept corresponding to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and the drawings shown in the drawings are only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represent all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modifications that can be replaced at the time of the present applica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may be equivalents and variation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지원여부 정보를 공지하는 어플리케이션 제공 시스템이 구현된 네트워크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FIG.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network configuration of an application providing system that announces terminal support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이 구현된 네트워크 구성은, 이동통신 단말(400), 이동통신망에 포함된 어플리케이션 제공 서버(100), 가입자 정보 제공 노드(200), 어플리케이션 제공 업체(300,301) 등을 포함한다.As shown in FIG. 1, the network configuration in which th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implemented includes a
이동통신 단말(400)은 이동통신망에 접속하여 이동 중 음성 통화 또는 영상 통화를 지원하는 단말이다. 상기 이동통신 단말(400)은 이동통신망의 무선 접속망을 통해서 이동통신 시스템(코어 네트워크)에 접속하며,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받거나, 다른 이동통신 단말과의 통신 서비스를 제공받는다.The
아울러, 상기 이동통신 단말(400)은 이동통신 시스템으로부터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하여 저장, 설치, 실행 및 재생할 수 있는 기능을 구비한다. 상기 이동통신 단말(400)은 셀룰러 폰, 스마트 폰, PDA 등을 포함한다. 나아가, 상기 이동통신 단말(400)은 이동통신 서비스 및 어플리케이션을 처리할 수 있는 다양한 기종과 모델이 채택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통신 단말(400)은 내부의 소프트웨어, 시스템 소프트웨어, 펌웨어가 다양한 종류 또는 다양한 버전으로 존재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상기 가입자 정보 제공 노드(200)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코어 네트워크에 포함되며, 이동통신 가입자의 정보를 저장, 관리,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가입자 정보 제공 노드(200)는 홈위치등록기(HLR), 고객 정보 관리시스템 또는 고 객 정보 관리시스템에 연동된 노드일 수 있다. 상기 가입자 정보 제공 노드(200)는 후술할 어플리케이션 제공 서버(100)에 연동하며, 요청에 따라 가입자 정보(단말기 정보)를 제공한다.The subscriber
상기 어플리케이션 제공 서버(100)는 이동통신망을 통해서 접속한 이동통신 단말(400)에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어플리케이션 제공 서버(100)는 이동통신망의 코어 네트워크에 포함되거나 또는 코어 네트워크에 연결된 서버 장치일 수 있다. 상기 어플리케이션 제공 서버(100)는 자체 제작한 어플리케이션 또는 다수의 외부 어플리케이션 제공 업체(300,301)에서 제작된 어플리케이션을 저장, 관리하여 접속한 이동통신 단말의 요청에 따라 제공한다. 상기 어플리케이션 제공 서버(100)는 데이터베이스(150)를 구비하여 이동통신 단말로 제공할 어플리케이션을 저장, 관리한다.The
나아가, 상기 어플리케이션 제공 서버(100)는 이동통신 단말(400)에서 선택하고 다운로드 요청한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기 전에, 해당 단말로 제공할 어플리케이션의 지원여부(정상 설치, 실행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된 정보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400)로 제공하는 기능을 구비한다.Further, the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어플리케이션 제공 서버(100)의 보다 상세한 설명을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mor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지원여부 정보를 공지하는 어플리케이션 제공 서버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n application providing server that announces terminal support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단말 지원여부 정보를 공지하는 어플리케 이션 제공 서버(100)는, 어플리케이션 제공 모듈(110), 지원여부 판단 모듈(120), 지원정보 제공 모듈(130) 그리고 어플리케이션이 저장된 데이터베이스(150) 등을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2, the
상기 어플리케이션 제공 모듈(110)은 이동통신망을 통해서 접속한 이동통신 단말(400)로 단말 사용자가 희망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어플리케이션 제공 모듈(110)에는 선택 처리부(112)와 다운로드 처리부(114) 등이 구비된다.The
상기 선택 처리부(112)는 접속한 이동통신 단말이 원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하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상기 선택 처리부(112)는 상기 데이터베이스(150)에 저장, 관리중인 어플리케이션들의 목록을 이동통신 단말로 제공하고, 이동통신 단말로부터 다운로드를 희망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선택받는다.The
상기 다운로드 처리부(114)는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을 이동통신 단말로 전송하여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상기 다운로드 처리부(114)는 상기 선택 처리부(112)에서 선택받은 어플리케이션을 상기 데이터베이스(150)에서 추출하여 이동통신 단말로 전송 처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다운로드 처리부(114)는 후술할 지원정보 제공 모듈(130)에서의 다운로드 처리 지시가 있기 전까지는 다운로드 처리를 개시하지 않는다.The
상기 지원여부 판단 모듈(120)은 접속한 이동통신 단말로 제공할 어플리케이션이 상기 이동통신 단말에서 지원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지원 가능 여부란, 이동통신 단말로 다운로드한 어플리케이션이 해당 단말 내에 서 설치 또는 실행이 정상적으로 가능한지 여부를 의미한다. 상기 지원여부 판단 모듈(120)에는 단말기 정보 추출부(122), 지원 가능 목록 추출부(124), 비교 판단부(126) 등을 구비한다.The
상기 단말기 정보 추출부(122)는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하려는 이동통신 단말의 단말기 정보를 추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상기 단말기 정보 추출부(122)는 이동통신 망에 접속한 이동통신 단말의 가입자 정보를 통해서 해당 단말의 단말기 정보를 추출한다. 상기 단말기 정보로는, 단말기 기종, 모델, 소프트웨어 버전, IMEI(International Mobile station Equipment Identify) 정보 등이 포함된다. 상기 단말기 정보 중 IMEI 정보는 단말기 본체에 내장되어 있는 기기 고유 정보로 상기 IMEI 정보 중 SNR 파트는 단말의 모델을 나타낸다. 아울러, 상기 소프트웨어 버전은 단말기 내에 구비된 시스템 소프트웨어 버전, 펌웨어 버전 또는 어플리케이션 처리 소프트웨어 버전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The
아울러, 상기 단말기 정보 추출부(122)는 상기 가입자 정보 제공 노드(200)로부터 가입자 정보를 통한 단말기 정보를 제공받는다. 즉, 상기 가입자 정보 제공 노드(200)와 연동하여, 접속한 이동통신 단말의 가입자 정보와 단말기 정보를 의뢰하고 해당 정보를 제공받는다. 다른 실시예로는, 이동통신 단말의 어플리케이션 제공 서버(100) 접속시 또는 어플리케이션 요청시의 메시지 또는 프로토콜에 포함된 정보를 통해서 단말기 정보를 추출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terminal
이와 같이, 상기 단말기 정보 추출부(122)에서 단말기 정보를 제공받는 방법은, 이동통신 망 또는 어플리케이션 제공 서버(100)에 접속한 단말기로부터 정보를 직접 추출하는 방법과 기존 가입자 데이터베이스(가입자 정보 제공 노드(200))에서 필요한 정보를 추출하는 방법이 있다. 나아가, 위와 같은 방법들은 동시에 구현이 가능하며 망에 접속하는 단말기에서만 정보를 추출할 경우 가입자 정보 제공 노드(200)와 연동을 할 필요가 없다는 장점이 있고, 정확한 정보 추출이 안되었을 경우에는 추가로 가입자 정보 제공 노드(200)에서 추출한 정보를 사용할 수도 있다. 이는 통신사의 구현 이슈에 따르는 내요응로 쉬차선택 및 복수 구현이 가능하다.As such, the method of receiving terminal information from the terminal
상기 지원 가능 목록 추출부(124)는 이동통신 단말이 다운로드하기 위해 선택한 어플리케이션의 단말 지원가능 정보를 추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상기 선택 처리부(112)에서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지원가능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서 추출한다. 상기 지원가능 정보에는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지원(정상 설치 및 실행 가능)하는 단말기 정보가 포함된다. 또는,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지원하는 단말기 목록이 포함된다.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지원하는 단말인지 여부는 해당 특정 어플리케이션 제작 시 사전 검수(테스트)를 통해 설정할 수 있다.The supportable list extractor 124 extracts terminal supportable information of an application selected for download by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at is, the supportable information about the application selected by the
상기 비교 판단부(126)는 이동통신 단말의 단말기 정보와 다운로드하려는 어플리케이션의 지원가능 정보를 비교하여 해당 어플리케이션이 상기 이동통신 단말에서 지원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상기 단말기 정보 추출부(122)에서 추출한 단말기 정보와, 상기 지원 가능 목록 추출부(124)에서 추출한 지원가능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단말기 정보가 상기 지원가능 정보에 포함되었는지를 판별하고, 포함되면 지원 가능한 것으로, 포함되지 않으면 지원 불가능 또는 정상 지원을 보장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한다. 여기서 상기 단말기 정보가 상기 지 원가능 정보에 포함되지 않는 경우를 보다 명확하게 정의하자면, 해당 단말에서 지원 가능한 것인지 지원 불가능한 것인지 알 수 없는 상태를 나타낸다. 즉, 지원 가능 여부를 보장할 수 없는 상태이다.The
따라서, 지원가능 정보에 단말기 정보가 포함되지 않은 경우에는,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한 이동통신 단말에서 어플리케이션이 설치 및 실행되지 않을 우려가 있으며, 지원하지 않을 경우 이미 다운로드한 이후이므로 고객 불만 및 불편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Therefore, if the terminal information is not included in the supportable information, there is a concern that the application may not be installed and execut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at downloaded the application. There is a problem.
상기 지원정보 제공 모듈(130)은 이동통신 단말에 다운로드할 어플리케이션의 지원 가능 여부의 정보를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상기 지원 여부 판단 모듈(120)에서 판단한 결과 정보를 접속한 이동통신 단말(400)로 전송하여 공지한다. 상기 지원 정보 제공 모듈(130)에는 안내 정보 제공부(132), 정상 처리부(134) 등이 구비된다.The support
상기 안내 정보 제공부(132)는 이동통신 단말로 전송할 어플리케이션의 단말에서의 지원 여부 정보를 안내 메시지로 생성하여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상기 지원여부 판단 모듈(120)에서의 결과 정보에 따라 안내 메시지를 생성하고, 어플리케이션 다운로드 전에 메시지를 전송하여 이동통신 단말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안내 메시지에는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정상 설치 및 실행을 보장하지 않는다는 내용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안내 메시지는 팝업 메시지 형태로 제공할 수 있다. 아울러, 안내 정보 제공과 함께 다운로드 진행 여부의 확인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제공하여 사용자로부터 다운로드 진행 여부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상기 안내 정보 제공부(132)는 상기 지원 여부 판단 모듈(120)에서 지원이 불가능한 어플리케이션으로 판단될 경우(지원을 보장할 수 없는 경우)에만 안내 메시지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guide
상기 정상 처리부(134)는 이동통신 단말로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처리하도록 지시 및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상기 지원 여부 판단 모듈(120)에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에 지원 가능한 어플리케이션으로 판단되면, 상기 어플리케이션 제공 모듈(110)로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상기 이동통신 단말로 다운로드 처리하도록 지시한다. 아울러, 상기 정상 처리부(134)는 상기 지원 여부 판단 모듈(120)에서 지원 가능한 어플리케이션으로 판단된 경우(지원을 보장하는 경우)에는 상기 안내 정보 제공부(132)에서 안내 정보 제공을 처리를 수행하지 않고, 즉시 다운로드 처리를 수행하도록 지시 및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또한, 상기 안내 정보 제공부(132)에서, 안내 정보 제공 후에 이동통신 단말로부터 다운로드의 진행 요청을 입력받으면, 상술한 바와 같이 정상적으로 다운로드 처리를 수행하도록 제어한다. 다시 말해서, 상기 안내 정보 제공부(132)를 통해서 이동통신 단말로 지원을 보장하지 않는 어플리케이션이라는 정보를 제공(공지)함에도 불구하고, 사용자로부터 다운로드 요청 신호를 입력받으면 상기 정상 처리부(134)를 통해 정상적인 다운로드 처리를 수행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사용자에게 지원 여부를 보장할 수 없다는 안내 정보를 제공하였기 때문에, 다운로드 받은 사용자로부터 추후에 어플리케이션 구동 불가 등의 이유로 불편 불만 신고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 안내 정보의 제공은 추후 사용자의 불편 불만 시의 반박의 증거로 이용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guide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지원여부 정보를 공지하는 어플리케이션 제공 시스템에 구비된 데이터베이스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database provided in an application providing system for reporting terminal support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베이스(150)는 어플리케이션 DB(152)와 지원정보 DB(154)를 구비한다. 아울러, 가입자 정보 또는 단말기 정보를 따로 저장 관리하는 단말정보 DB(미도시)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단말정보 DB를 구비할 경우에는, 상기 가입자 정보 제공 노드(200)의 연동 없이 단말기 정보를 추출하여 이용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a
상기 어플리케이션 DB(152)는 이동통신 단말로 제공할 다수의 어플리케이션 데이터가 데이터베이스화되어 저장, 관리된다. 상기 다수의 어플리케이션 데이터는 외부 어플리케이션 제공 업체(300,301)로부터 제공받거나, 또는 자체 제작한 어플리케이션 등을 포함한다.The
상기 지원정보 DB(154)는 상기 어플리케이션 DB(152)에 저장된 각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지원정보가 저장된 데이터베이스이다. 상기 지원정보 DB(154)에는 각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여 지원가능 단말기 정보가 저장된다. 즉,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지원 가능한 단말기의 목록 정보가 저장된다. 상기 단말기의 목록은, 단말기 모델 정보, IMEI 정보, 소프트웨어 버전 정보 등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이 조합되어 저장된다. 아울러 지원정보 DB(154)에는 이동통신 시스템 측에서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지원가능 여부를 검수한 후 지원정보를 생성하여 저장한다. 또는, 어플리케이션 제작시 지원가능 단말기 정보를 테스트하여 가능한 단말기 정보를 목록으로 제공받아 저장할 수도 있다.The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지원여부 정보를 공지하는 어플리케이션 제공 방법의 절차를 도시한 순서도이다.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dure of an application providing method of notifying terminal support availability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먼저 이동통신 단말이 이동통신 시스템을 통해서 어플리케이션 제공 서버에 접속한다. 이때에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데이터 통신 서비스를 이용하여 접속하게 된다.(S10)Referring to FIG. 4, first,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esses an application providing server through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In this case, access is made using a data communication servic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어플리케이션 제공 서버에 이동통신 단말이 접속하면, 어플리케이션 목록을 추출하여 이동통신 단말로 제공하는 절차를 진행한다. 이동통신 단말에서는 제공받은 목록을 확인하고 다운로드할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하는 절차가 이루어진다. 이렇게, 단말로부터 어플리케이션을 선택받은 후에 어플리케이션 제공 서버는 단말로부터 선택한 어플리케이션의 다운로드 요청 신호를 수신한다.(S20)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application providing server, a procedure of extracting an application list and providing the same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performed. The mobile terminal checks the list provided and selects an application to download. In this way, after the application is selected from the terminal, the application providing server receives a download request signal of the selected application from the terminal (S20).
다운로드 요청 신호를 수신하면, 접속한 이동통신 단말의 단말기 정보를 추출하는 절차가 진행된다. 상기 접속한 이동통신 단말의 단말기 정보는 접속시의 정보나 프로토콜을 통해서 확인하거나, 또는 가입자 정보 제공 노드와 연동하여 가입자 정보를 통해 단말기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S30)When the download request signal is received, a procedure of extracting terminal information of the connecte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performed. The terminal information of the connecte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n be confirmed through the information or protocol at the time of connection, or the terminal information through the subscriber information in association with the subscriber information providing node (S30).
이와 함께, 어플리케이션 제공 서버에서는 이동통신 단말이 선택하고 다운로드 요청한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지원 가능 단말기 목록 정보를 추출하는 절차가 진행된다. 상기 지원 가능 단말기 목록 정보는 지원정보 DB에서 추출한다. 이 목록 정보에는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지원하는 단말기들의 정보가 기록되어 있다.(S40)In addition, in the application providing server, a procedure of extracting supportable terminal list information on an application selected and requested for downloading by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performed. The supportable terminal list information is extracted from the support information DB. In this list information, information on terminals supporting the application is recorded (S40).
이상에서와 같이 접속한 단말기의 정보를 추출하고, 다운로드 하려는 어플리 케이션에 대한 지원 가능 목록 정보를 추출하면, 추출한 위 두 정보를 비교하여 해당 어플리케이션이 해당 단말에서 지원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절차가 이루어진다. 즉, 추출한 단말기의 정보가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지원 가능 목록 정보에 포함되었는지를 판단한다. 단말기 정보가 지원 가능 목록에 포함되어 있으면, 지원 가능한 것으로 판단하고, 포함되지 않으면 지원 불가능한 것 또는 지원을 보장할 수 없는 것으로 판단한다.(S50)As described above, when the extracted information of the connected terminal is extracted and the support list information for the application to be downloaded is extracted, the procedure of determining whether the corresponding application is supported by the corresponding terminal is performed by comparing the extracted two pieces of information. That is,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extracted terminal information is included in the support list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application. If the terminal information is included in the support available list, it is determined that the support is possible, and if it is not included, it is determined that it is not supported or that the support cannot be guaranteed (S50).
위에서 지원 불가능 또는 지원 보장을 할 수 없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는, 해당 사실을 지원 안내 메시지로 생성하여 이동통신 단말로 제공하는 절차가 진행된다. 즉, 다운로드하려는 어플리케이션은 해당 이동통신 단말에서 지원이 불가능하거나 지원을 보장할 수 없다는 내용의 안내 메시지를 전송한다. 예를 들어 팝업 메시지로 상기와 같은 내용의 안내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팝업 메시지가 이동통신 단말로 제공된 예를 도 5에 도시하였다.If it is determined that the above cannot be supported or cannot be guaranteed, a procedure of generating the fact as a support guide message and providing the fact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performed. That is, the application to download transmits a guide message indicating that support is not available or cannot be guaranteed in the correspond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example, a pop-up message may provide guidance information as described above. An example in which such a popup message is provid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illustrated in FIG. 5.
도 5는 이동통신 단말로 제공되는 어플리케이션 지원 불가 안내 팝업 메시지의 예를 나타낸 화면이다. 도면에서와 같이, 이동통신 단말의 디스플레이 장치로 팝업 안내 메시지가 표시된다. 내용은 다운로드 하려는 어플리케이션은 해당 단말에서 구동 또는 설치가 불가능할 수 있다는 내용을 포함한다. 아울러, 지원이 불가능하거나 지원을 보장하지 않는다는 안내와 함께, 그래도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할 것인지를 질문하는 메시지가 포함될 수 있다.(S60)5 is a screen illustrating an example of an application support disable guide popup message provided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s shown in the figure, a pop-up guide message is displayed on the display devic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contents include that the application to be downloaded may not be able to be driven or installed on the terminal. In addition, a message asking whether to download the corresponding application may be included with the guidance that the support is not possible or the support is not guaranteed.
여기서, 지원 안내 메시지 제공 후에, 사용자로부터 어플리케이션 다운로드 수락 신호가 수신되면,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이동통신 단말로 전송 처리하는 절차 (후술할 단계 S80)가 진행된다.Here, after the support guide message is provided, if an application download acceptance signal is received from the user, a procedure (step S80 to be described later) of transmitting the corresponding application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performed.
안내 메시지를 확인한 이동통신 단말 사용자는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다운로드 시작 전에 해당 사실을 인지하며, 이에 따라 다운로드 취소를 요청하고 어플리케이션 제공 서버에서는 다운로드 취소 절차가 진행된다. 따라서, 이동통신 단말로 어플리케이션 데이터의 다운로드 처리가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즉, 사용자는 어플리케이션 다운로드 전에 미리 지원 불가 정보를 인지하여 불필요한 데이터 다운로드를 방지할 수 있다.(S70)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er who confirms the guide message recognizes the fact before the start of downloading of the corresponding application, and requests the cancellation of the download, and the download providing procedure is performed in the application providing server. Therefore, the application data download process is not perform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at is, the user may recognize information that cannot be supported in advance before downloading the application, thereby preventing unnecessary data download (S70).
반면에, 상기 단계 S50에서 지원 가능한 것으로 판단되면 별도의 안내 메시지 제공 절차 없이 해당 어플리케이션 데이터의 전송 처리가 이루어진다. 즉, 이동통신 단말에서 다운로드 요청한 어플리케이션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에서 추출하여 이동통신 망을 통해서 상기 요청한 이동통신 단말로 다운로드 처리하는 절차가 진행된다. 물론, 이 경우에도 지원 가능한 사실을 별도의 안내 메시지로 제공할 수도 있다.(S80)On the other han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support is possible in step S50, the transmission process of the corresponding application data is performed without a separate guidance message providing procedure. That is, a procedure of downloading the application data requested by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rom the database and downloading the application data to the requested mobile terminal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is performed. Of course, in this case, the facts that can be supported may be provided as a separate guide message.
이상에서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by means of limited embodiments and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will be described below by the person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Of course,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전술된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The following drawings, which are attached to this specification, illustrate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ogether with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erve to further understand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matters described in such drawings. It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지원여부 정보를 공지하는 어플리케이션 제공 시스템이 구현된 네트워크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FIG.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network configuration of an application providing system that announces terminal support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지원여부 정보를 공지하는 어플리케이션 제공 서버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n application providing server that announces terminal support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지원여부 정보를 공지하는 어플리케이션 제공 시스템에 구비된 데이터베이스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database provided in an application providing system for reporting terminal support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지원여부 정보를 공지하는 어플리케이션 제공 방법의 절차를 도시한 순서도이다.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dure of an application providing method of notifying terminal support availability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이동통신 단말로 제공되는 어플리케이션 지원 불가 안내 팝업 메시지의 예를 나타낸 화면이다.5 is a screen illustrating an example of an application support disable guide popup message provided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 어플리케이션 제공 서버 150 : 데이터베이스100: application server 150: database
200 : 가입자 정보 제공 노드 300,301 : 어플리케이션 제공 업체200: subscriber information providing node 300,301: application provider
400 : 이동통신 단말400: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laims (14)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137147A KR101001079B1 (en) | 2008-12-30 | 2008-12-30 | Application providing method and system for notifying terminal support information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137147A KR101001079B1 (en) | 2008-12-30 | 2008-12-30 | Application providing method and system for notifying terminal support information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078787A KR20100078787A (en) | 2010-07-08 |
KR101001079B1 true KR101001079B1 (en) | 2010-12-14 |
Family
ID=426399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80137147A Active KR101001079B1 (en) | 2008-12-30 | 2008-12-30 | Application providing method and system for notifying terminal support information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001079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720583B1 (en) * | 2010-08-31 | 2017-03-29 | 삼성전자 주식회사 |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6178912A (en) * | 2004-12-24 | 2006-07-06 | Fujitsu Ltd |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
-
2008
- 2008-12-30 KR KR1020080137147A patent/KR101001079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6178912A (en) * | 2004-12-24 | 2006-07-06 | Fujitsu Ltd |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078787A (en) | 2010-07-0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2342869B1 (en) |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and appling history information of terminal in converged personal network service environment, and converged personal network service server, mobile communication and end device therefor | |
US7881745B1 (en) | Electronic device network employing provisioning techniques to update firmware and/or software in electronic devices | |
US8311518B2 (en) | Method and system for executing applications in wireless telecommunication networks | |
US20070156846A1 (en) | Method of enabling a wireless information device to access customer support services | |
JP2008537375A (en) | Wireless data exchange | |
EP2001256A1 (en) | Portable base station device and charging method | |
CN110475229B (en) | Method and device for accessing service data, computer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 |
US20140074931A1 (en) | Method and device for suggesting applications | |
US8249582B1 (en) | Self-care client integration with diagnostic client | |
KR101001079B1 (en) | Application providing method and system for notifying terminal support information | |
EP2356805B1 (en) | Method and system for service management of mobile stations | |
WO2005004448A1 (en) | Caller id service system and the method | |
KR20080060202A (en) | How to automatically update the address book of the mobile terminal | |
KR101187359B1 (en) | Method for network access of application in multi-band multi-mode terminal and multi-band multi-mode terminal therefor | |
KR101936596B1 (en) |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ARS service using data network | |
KR100963969B1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advertising service | |
KR100488353B1 (en) | Method of displaying the voice calling sign during data communication for a user terminal of telephone network and apparatus thereof | |
KR101441131B1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measuring performance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web | |
KR100631683B1 (en) | Maintenance management method and system using short message | |
KR100727096B1 (en) | Call origination / reception service method and device in mobile terminal | |
CN115734201B (en) | User service data acquisition method and device, electronic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 |
KR100673259B1 (en) | How to download wireless content | |
KR101612769B1 (en) | System, server and method for managing of roaming | |
KR101024285B1 (en) | Notification method for communication system and data service availability | |
KR20050112176A (en) | Method for measuring the call quality of mobile terminal using over the ai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81230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Patent event date: 20090824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0071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01125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0120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0120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1202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120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1201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120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1201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1130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1123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1129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