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01045B1 - Frequency Transition Method and System for Inducing Connection of Mobile Terminals Inaccessible to Femtocell to Macrocell in Femtocell Service Environment - Google Patents
Frequency Transition Method and System for Inducing Connection of Mobile Terminals Inaccessible to Femtocell to Macrocell in Femtocell Service Environment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001045B1 KR101001045B1 KR1020080097824A KR20080097824A KR101001045B1 KR 101001045 B1 KR101001045 B1 KR 101001045B1 KR 1020080097824 A KR1020080097824 A KR 1020080097824A KR 20080097824 A KR20080097824 A KR 20080097824A KR 101001045 B1 KR101001045 B1 KR 10100104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emtocell
- frequency
- mobile terminal
- macrocell
- access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24—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 H04W36/30—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by measured or perceived connection quality data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20—Manipulation of established connections
- H04W76/27—Transitions between radio resource control [RRC] stat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04—Large scale networks; Deep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042—Public Land Mobile systems, e.g. cellular systems
- H04W84/045—Public Land Mobile systems, e.g. cellular systems using private Base Stations, e.g. femto Base Stations, home Node B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펨토셀 서비스 환경에서의 펨토셀로 접근 불가능한 이동단말을 매크로셀로 접속 유도하기 위한 주파수 천이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펨토셀을 운용하는 통신시스템에서 펨토셀로 접속 불가능한 이동단말을 매크로셀로 접속 유도하기 위한 주파수 천이 방법은, 이동단말로부터 펨토셀 접속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이동단말이 상기 펨토셀로 접속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 결과, 접속 불가능한 경우 상기 이동단말이 접속 가능한 매크로셀 주파수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이동단말의 접속 주파수를 상기 추출한 매크로셀 주파수로 천이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펨토셀에 접속 불가능한 이동단말을 매크로셀로 접속 유도하여, 상기 펨토셀로 불필요한 접속을 재시도함으로써 발생하는 상기 이동단말의 서비스 공백기를 최소화시킨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requency shifting method and a system therefor for inducing a mobile terminal inaccessible to a femtocell in a femtocell service environment to a macrocell, and a system for the same. A frequency shifting method for inducing a connection to a macrocell includes: receiving a femtocell connection request message from a mobile station; Determining whether the mobile terminal is accessible to the femtocell; Extracting a macrocell frequency accessible by the mobile terminal when it is impossible to connect; And shifting the access frequency of the mobile terminal to the extracted macro cell frequenc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mobile terminal that cannot be connected to a femtocell is connected to a macrocell, thereby minimizing service white space of the mobile terminal caused by retrying unnecessary connection to the femtocell.
펨토셀, 매크로셀, 네이버 리스트, 펨토셀 주파수, 매크로셀 주파수, 주파수 천이 Femtocell, macrocell, neighbor list, femtocell frequency, macrocell frequency, frequency shift
Description
본 발명은 이동통신시스템에서의 펨토셀 기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펨토셀로 접속 시도하는 이동단말이 상기 펨토셀로 접속 불가능한 경우, 매크로셀로 접속을 유도하기 위한 주파수 천이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emtocell technology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 frequency shifting method for inducing a connection to a macrocell and a system therefor when a mobile terminal attempting to access a femtocell cannot be connected to the femtocell. will be.
현재 이동단말과 이동통신시스템이 날로 발전함에 따라, 증권 서비스, 무선 인터넷 서비스, 위치 추적 서비스 등이 가입자에게 제공되고 있다. 아울러, 이동통신 사업자들은 현 단계의 서비스보다 더욱 빠르며 저렴하고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연구를 계속하고 있다.As the mobile terminal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re developed day by day, securities services, wireless Internet services, location tracking services, etc. are provided to subscribers. In addition, mobile operators continue to research to provide faster, cheaper and more diverse services than current services.
이런 연구 대상 중의 하나는 이동통신시스템의 서비스 영역인 셀을 더욱 세분화하고, 그 셀 영역에 위치한 이동단말을 광대역 인터넷망으로 연결하는 펨토셀(FemtoCell) 서비스이다. 펨토셀은 100조분의 1을 의미하는 펨토(Femto)와 이동단말의 서비스 영역 단위인 셀(cell)의 합성어로서, 초소형 기지국인 펨토셀 AP(Femto Access Point)를 통해 기존의 이동통신 서비스 반경보다 훨씬 작은 지역을 대상으로 이동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술이다. 펨토셀은 주로 가정이나 빌딩 내부와 같이 매크로셀(Macro Cell)의 전파가 열화되는 지역이나 음영지역에서 이동통신 서비스의 품질을 보장하기 위한 목적으로도 사용되며, 펨토존 서비스 등을 통하여 저렴한 요금을 제공하는 수단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 또한, 펨토셀은 이동통신 코어망(Core Network)과의 연결을 위하여 범용 인터넷 회선을 이용하기 때문에 설치비용 및 유지보수 비용이 저렴하고, 인터넷 회선이 설치된 지역은 어디에서나 설치할 수 있기 때문에 이동성도 뛰어난 장점이 있다. One of the research subjects is a femtocell service that further subdivides a cell, which is a service area of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connects a mobile terminal located in the cell area to a broadband internet network. A femtocell is a compound word of femto, which means one hundredth of a trillion, and a cell, which is a service area unit of a mobile terminal, and is much smaller than a conventional mobile communication radius through a femtocell access point (AP). It is a technology that provides a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for a region. Femtocells are also used to guarantee the quality of mobile communication services in areas where shadows of the macro cell are degraded, such as homes or buildings, or in shadowed areas, and provide low rates through femtozone services. It can also be used as a means. In addition, since femtocells use a universal Internet line for connection to the mobile communication core network, the installation cost and maintenance cost are low, and the mobility is also excellent because it can be installed anywhere in the area where the Internet line is installed. There is this.
그런데 펨토셀의 소형 기지국인 펨토셀 AP(Access Point)는 작은 커버리지를 갖기 때문에, 동시에 수용할 수 있는 가입자 수(일반적으로 4명)에 한계를 지닌다. 이에 따라, 펨토셀 AP는 접속 권한이 있는 가입자에게만 펨토셀 서비스를 제공하고 권한이 없는 가입자의 접속을 차단한다. 또한, 펨토셀 AP는 동시에 수용할 수 있는 접속용량이 초과된 경우에도, 신규 가입자의 접속을 허락하지 않고 차단하게 된다. However, femtocell APs (Access Points), which are small base stations of femtocells, have a small coverage, thus limiting the number of subscribers (typically four) that can be accommodated simultaneously. Accordingly, the femtocell AP provides femtocell services only to subscribers with access rights and blocks the access of unauthorized subscribers. In addition, the femtocell AP will block the new subscriber without allowing access even when the capacity to be accommodated at the same time is exceeded.
이렇게 펨토셀로 접근 시도한 가입자가 펨토셀 AP에 접속이 불가능한 경우, 이동단말은 다른 셀을 선택하는 과정을 진행해야 한다. 그러나 이런 셀 재선택 과정은 이동단말의 로드를 증가시킬 뿐 아니라, 특히 이동단말이 펨토셀 AP의 접속수용 한계로 인하여 펨토셀 AP로 접속하지 못한 경우 다른 셀이 아닌 접근 불가능한 펨토셀 AP를 다시 선택하여 접속을 재시도하게 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에 따라, 이동단말은 매크로셀 기지국 또는 펨토셀 AP 중 어느 하나로도 접속하지 못하여, 통신 서비스를 제공받지 못하고 셀 선택을 위한 프로세스만을 반복하는 서비스 공 백기가 발생하게 된다.When the subscriber who attempts to access the femtocell is unable to access the femtocell AP, the mobile station must proceed to select another cell. However, such a cell reselection process not only increases the load of the mobile station, but also selects an inaccessible femtocell AP instead of another cell when the mobile station fails to access the femtocell AP due to the access acceptance limit of the femtocell AP. There is a problem of being retried. Accordingly, the mobile station does not connect to either the macro cell base station or the femtocell AP, and thus a service blanker is generated which repeats only a process for cell selection without receiving a communication service.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펨토셀 AP의 접속용량 한계로 인하여 이동단말을 수용할 수 없거나 펨토셀 AP에 접속 허락되지 않은 이동단말이 펨토셀로 접속 시도하는 경우, 해당 이동단말을 매크로셀의 기지국으로 접속 유도하는 주파수 천이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when the mobile terminal cannot accept the mobile terminal due to the access capacity limitation of the femtocell AP or the mobile terminal that is not allowed to access the femtocell AP attempts to access the femtocell, the mobile terminal macro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requency shifting method for inducing a connection to a base station of a cell and a system therefor.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Other object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nderstood by the following description, and will be more clearly understood by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lso, it will be readily appreciated that the object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realized by the means and combinations thereof indicated in the claims.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측면에 따른, 펨토셀을 운용하는 통신시스템에서 펨토셀로 접속 불가능한 이동단말을 매크로셀로 접속 유도하기 위한 주파수 천이 방법은, (a) 이동단말로부터 펨토셀 접속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b) 상기 이동단말이 상기 펨토셀로 접속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c) 상기 판단 결과, 접속 불가능한 경우 상기 이동단말이 접속 가능한 매크로셀 주파수를 추출하는 단계; 및 (d) 상기 이동단말의 접속 주파수를 상기 추출한 매크로셀 주파수로 천이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 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 the communication system operating a femtocell, a frequency shifting method for deriving a connection of a mobile terminal that cannot be connected to a femtocell to a macrocell includes (a) a femtocell connection request from a mobile terminal; Receiving a message; (b) determining whether the mobile terminal is accessible to the femtocell; (c) extracting a macrocell frequency accessible by the mobile terminal when it is impossible to connect; And (d) shifting the access frequency of the mobile terminal to the extracted macrocell frequency.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2 측면에 따른, 펨토셀 서비스 환 경에서 펨토셀로 접속 불가능한 이동단말을 매크로셀로 접속 유도하기 위한 주파수 천이 시스템은, 이동단말별로 펨토셀 접근 권한 유무를 인증하는 펨토셀 인증서버; 및 펨토셀로 접속 시도하는 이동단말의 인증을 상기 펨토셀 인증서버로 요청하고, 인증결과 상기 이동단말이 접속 미허용된 단말인 경우, 매크로셀 주파수를 추출하여 상기 이동단말의 접속 주파수를 상기 추출한 매크로셀 주파수로 천이시키는 펨토셀 기지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 secon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 the femtocell service environment, a frequency shifting system for inducing access to a mobile terminal that is not accessible to a femtocell to a macrocell, a femtocell for authenticating femtocell access authority for each mobile terminal Authentication server; And requesting authentication of the mobile terminal attempting to connect to the femtocell to the femtocell authentication server, and when the mobile terminal is an unauthorized access terminal as a result of the authentication, extracting a macrocell frequency to extract the access frequency of the mobile terminal. And a femtocell base station transitioning to a frequency.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3 측면에 따른, 펨토셀 서비스 환경에서 펨토셀로 접속 불가능한 이동단말을 매크로셀로 접속 유도하는 펨토셀 기지국 장치는, 이동단말로부터 접속 요청을 수신하는 단말 접속 처리부; 상기 이동단말의 접속 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인증부; 및 상기 인증부의 판단결과, 접속 불가능한 경우 매크로셀 주파수를 추출하여 상기 이동단말의 접속 주파수를 상기 추출한 매크로셀 주파수로 천이시키는 주파수 천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 thir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a femtocell base station apparatus for inducing a connection to a mobile terminal that is not accessible to a femtocell in a femtocell service environment, the femtocell base station apparatus, the terminal connection processing unit for receiving a connection request from the mobile terminal; An authentication unit to determine whether the mobile terminal can be connected; And a frequency shifter for extracting the macrocell frequency and converting the access frequency of the mobile terminal to the extracted macrocell frequency when it is impossible to connect.
본 발명은 펨토셀에 접속 불가능한 이동단말을 매크로셀로 접속 유도하여, 상기 펨토셀로 불필요한 접속을 재시도함으로써 발생하는 상기 이동단말의 서비스 공백기를 최소화시킨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mobile terminal that cannot be connected to a femtocell is connected to a macrocell, thereby minimizing service white space of the mobile terminal caused by retrying unnecessary connection to the femtocell.
또한, 본 발명은 펨토셀로 접속 불가능한 이동단말로 신호 세기가 가장 강한 매크로셀 주파수 정보를 전송하여 그 주파수로 이동단말을 접속시킴으로써, 재선택시 발생하는 이동단말의 로드를 감소시키는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of reducing the load of the mobile terminal generated during reselection by transmitting the macrocell frequency information with the strongest signal strength to the mobile terminal that can not be connected to the femtocell and connecting the mobile terminal at that frequency.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The foregoing and other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which: There will be.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well-known functions or constructions are not described in detail since they would obscure the invention in unnecessary detail. 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펨토셀 서비스 환경에서 펨토셀로 접근 불가능한 이동단말을 매크로셀로 접속 유도하는 주파수 천이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frequency shifting system for accessing a mobile terminal inaccessible to a femtocell to a macrocell in a femtocell service environ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주파수 천이 시스템은 매크로셀 기지국(120), 펨토셀 AP(131), 기지국제어기(200), 교환기(300), 게이트웨이(400) 및 펨토셀 인증서버(600)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1, the frequency shift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기지국(120)은 BTS(Base Station Transceiver Subsystem) 또는 NodeB로서, 무선자원을 관리하며 기지국제어기(200)의 제어에 의해 통제받는다. 또한, 기지국제어기(200)는 BSC(Base Station Controller) 또는 RNC(Radio Network Controller)로서, 이동단말(110)에 대한 무선 채널 할당 및 해제, 이동단말(110) 및 기지국(120)의 송신 출력 제어, 셀간 소프트 핸드오프 및 하드 핸드오프 결정, 트랜스 코딩(Transcoding) 및 보코딩(Vocoding), 기지국(120)에 대한 운영 및 유지 보수 기능 등을 수행한다. The
교환기(300)는 MSC(Mobile Switching Center) 또는 SGSN(Serving GPRS Support Node)로서, 기지국제어기(200)와의 인터페이스 기능을 제공하고, 음성통화, 데이터 송수신, 각종 부가서비스를 제어한다. The
게이트웨이(400)는 유선 광대역망(500)과 이동통신 코어망(Core Network)을 연결하여, 펨토셀 AP(131)에 접속한 이동단말(110)과 이동통신 코어망에 접속한 이동단말(110)간에 통신 가능하게 한다. 또한, 게이트웨이(400)는 유선 광대역망(500)을 통하여 수신된 데이터(예를 들어, 인터넷 콘텐츠)를 이동통신 코어망에 접속된 이동단말(110)로 전송한다. 또한, 게이트웨이(400)는 이동통신 코어망을 통하여 수신된 데이터(예를 들어, 모바일 콘텐츠)를 펨토셀 AP(131)에 접속한 이동단말(110)로 전송한다. 아울러, 게이트웨이(400)는 이동통신 코어망과 유선 광대역망(500)간 프로토콜 변환 기능을 수행한다. The
펨토셀 AP(131)는 주로 가정이나 빌딩 내부와 같이 매크로셀 기지국(120)의 전파가 열화되는 지역이나 음영지역에서 이동통신서비스의 품질을 보장하기 위한 목적으로 또는 펨토존 서비스 등과 같이 저렴한 요금을 제공하기 위한 목적으로 활용되는 펨토셀 기지국으로서, 범용 인터넷 회선인 유선 광대역망(500)과 연결된다. 펨토셀 영역(130)에 진입한 이동단말(110)은 상기 펨토셀 AP(131)와 연결되어 상기 펨토셀 AP(131)를 통하여 유선 광대역 회선 및 이동통신 코어 네트워크와 연결된다. 일반적으로 펨토셀 AP(131)는 1개의 주파수를 지원하고, 작은 커버리지로 인하여 동시 사용자 수(일반적으로 4명)가 매크로셀 기지국(120)보다는 적다.The femtocell AP 131 is mainly for the purpose of guaranteeing the quality of mobile communication services in areas or shadowed areas where the radio wave of the macro
펨토셀 AP(131)는 주변 매크로셀(100)들의 정보인 네이버 리스트(neighbor list)를 저장하고, 이동단말(110)과 RRC(Radio Resource Control)를 설정하여 무선 자원을 할당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펨토셀 AP(131)는 접속 시도하는 이동단말(110)의 인증 요청 메시지를 펨토셀 인증서버(600)로 전송하고, 이에 따른 인증 결과 메시지를 수신한다. 이때, 펨토셀 AP(131)는 펨토셀 인증서버(600)로부터 접속 허락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이동단말(110)을 접속을 유지시키고, 유선 광대역망(500)을 통한 펨토셀 서비스를 이동단말(110)로 제공한다. The femtocell AP 131 stores a neighbor list, which is information of neighboring
반대로, 펨토셀 AP(131)는 펨토셀 인증서버(600)로부터 접속 불가 메시지를 수신하면, 이동단말(110)과의 접속을 해제하고 상기 이동단말(110)을 매크로셀 기지국(120)으로 접속시킨다. 이때, 펨토셀 AP(131)는 네이버 리스트(neighbor list)를 참조하여, 이 중 신호가 강한 매크로셀 주파수 정보를 RRC 커넥션 해제 메시지(RRC Connection Release)에 포함시켜 이동단말(110)로 전송함으로써, 상기 이동단말(110)의 통신 주파수를 상기 매크로셀 주파수로 천이시킨다. On the contrary, when the femtocell AP 131 receives the connection disable message from the
한편, 펨토셀 AP(131)는 제조업체 또는 통신 사업자의 정책에 따라 초소형 기지국, 피코(pico) 기지국, 유비셀(ubicell) 기지국, 펨토셀 기지국 등으로 불려지기도 한다. 또한, 펨토셀(130)은 피코셀(picocell), 유비셀(ubicell) 등으로 불려지기도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있어서의 펨토셀은 범용 인터넷 회선을 통해 통신시스템의 코어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이동단말(110)에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라면 모두 해당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Meanwhile, the femtocell AP 131 may be called a micro base station, a pico base station, a ubicell base station, a femtocell base station, or the like according to a policy of a manufacturer or a communication service provider. The
펨토셀 인증서버(700)는 펨토셀 AP(131)별로 접속 가능한 이동단말(110)의 정보를 저장한다. 특히, 펨토셀 인증서버(600)는 펨토셀 AP(131)로부터 이동단 말(110)의 인증 요청 메시지가 수신되면, 이동단말(110)이 상기 펨토셀 AP(131)에 접근 가능한지 여부를 인증하고, 인증 결과 메시지(접속 허락 메시지 또는 접속 불가 메시지)를 펨토셀 AP(131)로 전송한다. The femtocell authentication server 700 stores information of the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파수 천이 시스템에서 펨토셀에 접속 불가능한 이동단말을 매크로셀로 접속시키는 방법을 설명하는 절차도이다.FIG. 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connecting a mobile terminal, which cannot be connected to a femtocell, to a macrocell in a frequency shift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이동단말(110)은 펨토셀 AP(131)를 통하여 호 연결, 무선 인터넷 연결 등의 특정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하여 또는 펨토셀 AP(131)로 핸드오버하기 위하여 펨토셀 AP(131)와 RRC 커넥션을 설정하고 무선자원을 할당받는다(S201). 이때, 이동단말(110)은 펨토셀 주파수(F2)를 이용하여 펨토셀 AP(131)와 통신한다. 그리고 이동단말(110)은 펨토셀 AP(131)로 서비스 요청 또는 핸드오버를 위한 위치등록을 요청한다(S203). Referring to FIG. 2, the
그러면, 펨토셀 AP(131)는 현재 접속된 가입자의 총수가 최대 접속자 수를 초과하였는지 여부, 즉 이동단말(110)의 접속으로 인하여 접속용량이 최대 접속자수를 초과하였는지 여부를 확인한다(S205). 이어서, 펨토셀 AP(131)는 접속용량이 초과되지 않으면, 상기 이동단말(110)의 접속권한 인증을 펨토셀 인증서버(600)로 요청한다(S207). 이때, 펨토셀 AP(131)는 이동단말(110)의 식별자와 펨토셀 식별자를 펨토셀 인증서버(600)로 전송한다. 그러면, 펨토셀 인증서버(600)는 상기 펨토셀 AP(131)에 대한 이동단말(110)의 접근권한을 인증하고, 인증 결과(접속 허락 메시지 또는 접속 불가 메시지)를 펨토셀 AP(131)로 전송한다(S209). Then, the femtocell AP 131 checks whether the total number of subscribers currently connected exceeds the maximum number of accessors, that is, whether the access capacity exceeds the maximum number of accessors due to the access of the mobile terminal 110 (S205). Subsequently, if the access capacity is not exceeded, the femtocell
펨토셀 AP(131)는 펨토셀 인증서버(600)로부터 수신한 메시지가 접속 허락 또는 접속 불가 메시지인지를 확인하고, 접속 불가 메시지이면 네이버 리스트를 참조하여 매크로셀 기지국의 주파수 중에 신호 세기가 가장 큰 주파수를 추출한다(S211, S213). The
한편, S205 단계에서, 펨토셀 AP(131)는 접속용량이 최대 접속자수를 초과한 것으로 판단되면, 이동단말(110)의 접속권한 여부를 확인하는 절차(S207 내지 S211) 없이 바로 S213 단계를 수행한다. 즉, 펨토셀 AP(131)는 접속 수용용량을 초과하거나 이동단말(110)이 접근 허락되지 않은 단말이면, 네이버 리스트를 참조하여 매크로셀 주파수를 추출한다. On the other hand, in step S205, when the
다음으로, 펨토셀 AP(131)는 이동단말(110)로 상기 추출한 매크로셀 주파수가 기록된 RRC 커넥션 해제 메시지(RRC Connection Release)를 전송한다(S215). 이때, 펨토셀 AP(131)는 상기 RRC 커넥션 해제 메시지에 포함된 "Redirection Info"에 상기 이동단말(110)의 매크로셀 주파수 정보를 기록하여 전송한다.Next, the
그러면, 이동단말(110)은 이에 대한 응답으로 RRC 커넥션 해제 완료 메시지(RRC Connection Release Complete)를 펨토셀 AP(131)로 전송하고, 펨토셀 AP(131)와 설정된 RRC 커넥션을 해제한다(S217). 그리고 이동단말(110)은 수신한 RRC 커넥션 해제 메시지에 포함된 매크로셀 주파수를 참조하여, 상기 주파수를 통신 주파수로 사용하는 매크로셀 기지국(120)과 접속한다(S219). 예를 들어, 이동단말(110)이 펨토셀 영역(130)에서 F2 주파수로 펨토셀 AP(131)와 RRC 커넥션을 설정한 상태에서 펨토셀 AP(131)로부터 F1 주파수 정보가 포함된 RRC 커넥션 해제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이동단말(110)은 통신 주파수를 F1로 천이하여 매크로셀 기지 국(120)과 통신한다.In response, the
한편, 펨토셀 AP(131)는 접속용량이 최대 접속자수를 초과하지 않고, 펨토셀 인증서버(600)로부터 이동단말(110)의 접속 허락 메시지를 수신하면, 그 이동단말(110)이 요청한 서비스를 제공하거나 핸드오버 시도한 이동단말(110)의 위치 등록 절차를 진행한다(S221). On the other hand, when the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펨토셀 AP에서 이동단말의 접속 가능 여부에 따라 선택적으로 접속 처리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selectively performing connection processing according to whether a mobile terminal can be accessed in a femtocell A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펨토셀 AP(131)는 이동단말(110)로부터 RRC 커넥션 요청 메시지(RRC Connection Request)를 수신하여 그 이동단말(110)과 RRC 커넥션을 설정하여 무선자원을 할당한다(S301). 이어서, 펨토셀 AP(131)는 이동단말(110)의 접속 요청으로 인하여 동시 접속자 수가 최대 접속자 수를 초과하였는지 여부를 확인한다(S303). Referring to FIG. 3, the
펨토셀 AP(131)는 상기 이동단말(110)의 접속을 수용할 수 있으면(즉, 동시 접속자 수가 최대 접속자 수 이하이면), 펨토셀 인증서버(600)로 이동단말(110)의 접속 권한 유무에 관한 인증을 요청하고 인증 결과를 수신한다(S305). 다음으로, 펨토셀 AP(131)는 펨토셀 인증서버(600)로부터 상기 이동단말(110)이 접근 허락된 단말임을 나타내는 접속 허락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이동단말(110)과의 접속 유지하고, 이동단말(110)이 요청한 서비스를 제공한다(S307, S309). If the
반면, 펨토셀 AP(131)는 이동단말(110)의 접속으로 인하여 동시에 수용할 수 있는 접속자수가 최대 접속자수를 초과하거나, 펨토셀 인증서버(600)로부터 이동단 말(110)의 접속 불가 메시지를 수신하면, 네이버 리스트를 참조하여 매크로셀 주파수를 추출한다(S311). 이때, 펨토셀 AP(131)는 네이버 리스트의 매크로셀 주파수 중, 신호세기가 가장 강한 매크로셀 주파수를 추출한다. 이어서, 펨토셀 AP(131)는 상기 추출한 매크로셀 주파수를 RRC 커넥션 해제 메시지(RRC Connection Release)에 포함하여 이동단말(110)로 전송함으로써, 이동단말(110)과의 접속을 해제하고 이동단말(110)을 상기 매크로셀 주파수와 대응하는 매크로셀 기지국(120)과 접속시킨다(S313).On the other hand, the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단말의 접속 가능 여부에 따라 이동단말을 선택적으로 접속 처리하는 펨토셀 AP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femtocell AP for selectively accessing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whether the mobile terminal can be connect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펨토셀 AP(131)는 단말 접속 처리부(410), 접속 인증부(430), 네이버 리스트(450) 및 주파수 천이부(470)를 포함한다. As shown in FIG. 4, the
단말 접속 처리부(410)는 매크로셀 기지국(120) 및 기지국제어기(200)의 기능을 수행하여 펨토셀(110)에 진입한 이동단말(110)과 통신하여 무선자원을 할당하고, 이동단말(110)을 통신시스템에 접속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The
접속 인증부(430)는 단말 접속 처리부(410)에서 이동단말(110)로부터 접속 요청받으면, 펨토셀 AP(131)의 접속수용 용량이 최대 접속자수를 초과하였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초과된 경우 주파수 천이부(470)로 해당 이동단말(110)의 주파수 천이를 지시한다. 또한, 접속 인증부(430)는 접속 요청된 이동단말(110)의 인증을 펨토셀 인증서버(600)로 요청하여, 상기 이동단말(110)이 접속 허가된 단말인지 여 부를 확인하고 접속 허락되지 않는 단말인 경우, 주파수 천이부(470)로 상기 이동단말(110)의 주파수 천이를 지시한다. 즉, 접속 인증부(430)는 이동단말(110)의 접속 요청에 따라 펨토셀 접속수용 용량이 최대 접속자수를 초과하거나 이동단말(110)이 접근 허가되지 않은 단말로 판별되면, 주파수 천이부(470)로 이동단말(110)의 주파수 천이를 지시한다.When the
네이버 리스트(450)는 펨토셀(130) 주변의 매크로셀 주파수와 그 주파수의 신호세기를 저장한다.The
주파수 천이부(470)는 일정 주기 간격으로 펨토셀(130) 주변의 매크로셀 주파수와 그 주파수의 신호세기를 검색하여 네이버 리스트에 저장한다. 특히, 주파수 천이부(470)는 접속 인증부(430)의 지시에 따라, 해당 이동단말(110)의 통신 주파수를 펨토셀 주파수에서 매크로셀 주파수로 천이시킨다. 구체적으로, 주파수 천이부(470)는 네이버 리스트(450)를 참조하여 신호세기가 가장 강한 매크로셀 주파수를 추출하고, 그 검출한 매크로셀 주파수가 포함된 RRC 커넥션 해제 메시지를 이동단말(110)로 전송함으로써 상기 이동단말(110)과의 접속을 해제하고 그 이동단말(110)의 통신 주파수를 매크로셀(100) 주파수로 천이시킨다. The
한편, 상술한 실시예서는 펨토셀 AP(131)에서 이동단말(110)의 접속 권한을 펨토셀 인증서버(600)로 요청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펨토셀 AP(131)는 접근 권한을 가지는 이동단말(110)의 정보를 저장하고, 이를 근거로 자체적으로 이동단말(110)의 접속 권한을 인증할 수 있다. 즉, 펨토셀 AP(131)는 접속수용 용량 확인할 뿐 아니라 이동단말(110)의 접속 권한을 직접 인증하고, 이 둘 중 하나라도 충 족되지 않으면 상기 이동단말(110)을 접속 해제하고, 이동단말(110)의 통신 주파수를 매크로셀 기지국 주파수로 천이시킨다.Meanwhile,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방법은 프로그램으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형태로 기록매체(시디롬, 램,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광자기 디스크 등)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으므로 더 이상 상세히 설명하지 않기로 한다.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may be implemented as a program and stored in a recording medium (CD-ROM, RAM, ROM, floppy disk, hard disk, magneto-optical disk, etc.) in a computer-readable form. Since this process can be easily implement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not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본 명세서는 많은 특징을 포함하는 반면, 그러한 특징은 본 발명의 범위 또는 특허청구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개별적인 실시예에서 설명된 특징들은 단일 실시예에서 결합되어 구현될 수 있다. 반대로, 본 명세서에서 단일 실시예에서 설명된 다양한 특징들은 개별적으로 다양한 실시예에서 구현되거나, 적절한 부결합(subcombination)에서 구현될 수 있다. While the specification contains many features, such features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scope of the invention or the scope of the claims. Also, the features described in the individual embodiments herein can be implemented in combination in a single embodiment. Conversely, various features described herein in a single embodiment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embodiments individually or in a suitable subcombination.
또한, 도면에서 동작들이 특정한 순서로 설명되었으나, 그러한 동작들이 도시된 바와 같은 특정한 순서로 수행되는 것으로, 또는 일련의 연속된 순서, 또는 원하는 결과를 얻기 위해 모든 설명된 동작이 수행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된다. 어떤 환경에서, 멀티태스킹 및 병렬 프로세싱이 유리할 수 있다. 아울러, 상술한 실시예에서 다양한 시스템 구성요소의 구분은 모든 실시예에서 그러한 구분을 요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상술한 프로그램 구성요소 및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단일 소프트웨어 제품 또는 멀티플 소프트웨어 제품에 패키지로 구현될 수 있다.In addition, although the operations are described in a specific order in the drawing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such operations are performed in a specific order as shown, or that a series of consecutive orders, or all described operations, are performed to obtain a desired result. No. In some circumstances, multitasking and parallel processing may be advantageous. In addi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division of various system components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does not require such division in all embodiments. The above-described program components and systems can generally be implemented as a single software product or as a package in multiple software products.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capable of various substitutions, modifications, and changes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is not limited by the drawings.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전술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The following drawings, which are attached to this specification, illustrate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ogether with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erve to further understand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펨토셀 서비스 환경에서 펨토셀로 접근 불가능한 이동단말을 매크로셀로 접속 유도하는 주파수 천이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frequency shifting system for accessing a mobile terminal inaccessible to a femtocell to a macrocell in a femtocell service environ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파수 천이 시스템에서 펨토셀에 접속 불가능한 이동단말을 매크로셀로 접속시키는 방법을 설명하는 절차도이다.FIG. 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connecting a mobile terminal, which cannot be connected to a femtocell, to a macrocell in a frequency shift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펨토셀 AP에서 이동단말의 접속 가능 여부에 따라 선택적으로 접속 처리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selectively performing connection processing according to whether a mobile terminal can be accessed in a femtocell A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단말의 접속 가능 여부에 따라 이동단말을 선택적으로 접속 처리하는 펨토셀 AP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femtocell AP for selectively accessing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whether the mobile terminal can be connect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20 : 매크로셀 기지국 131 : 펨토셀 AP120: macrocell base station 131: femtocell AP
200 : 기지국제어기 300 : 교환기200: base station controller 300: switchboard
400 : 게이트웨이 600 : 펨토셀 인증서버400: gateway 600: femtocell authentication server
410 : 단말 접속 처리부 430 : 접속 인증부410: terminal connection processing unit 430: connection authentication unit
450 : 네이버 리스트 470 : 주파수 천이부450: Naver list 470: frequency transition unit
Claims (12)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097824A KR101001045B1 (en) | 2008-10-06 | 2008-10-06 | Frequency Transition Method and System for Inducing Connection of Mobile Terminals Inaccessible to Femtocell to Macrocell in Femtocell Service Environment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097824A KR101001045B1 (en) | 2008-10-06 | 2008-10-06 | Frequency Transition Method and System for Inducing Connection of Mobile Terminals Inaccessible to Femtocell to Macrocell in Femtocell Service Environment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038742A KR20100038742A (en) | 2010-04-15 |
KR101001045B1 true KR101001045B1 (en) | 2010-12-14 |
Family
ID=422154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80097824A KR101001045B1 (en) | 2008-10-06 | 2008-10-06 | Frequency Transition Method and System for Inducing Connection of Mobile Terminals Inaccessible to Femtocell to Macrocell in Femtocell Service Environment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001045B1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8929910B2 (en) | 2012-05-14 | 2015-01-06 | Kt Corporation | Call admission control |
KR101581125B1 (en) | 2014-06-24 | 2015-12-30 |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 Method and apparatus for allocating joint pricing and power based on cooperative communicatio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02975B1 (en) * | 2011-06-14 | 2016-03-11 | 주식회사 케이티 | Method and small cell base station for small cell access control |
KR101909276B1 (en) * | 2012-05-14 | 2018-10-17 | 주식회사 케이티 |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cell redirection considering optimization femto cell throughput |
EP2987356B1 (en) | 2013-04-15 | 2019-04-10 | LG Electronics Inc. | Method and apparatus for establishing connec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070183427A1 (en) | 2005-10-04 | 2007-08-09 | Tomas Nylander | Access control in radio access network having pico base stations |
-
2008
- 2008-10-06 KR KR1020080097824A patent/KR101001045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070183427A1 (en) | 2005-10-04 | 2007-08-09 | Tomas Nylander | Access control in radio access network having pico base stations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8929910B2 (en) | 2012-05-14 | 2015-01-06 | Kt Corporation | Call admission control |
US9432875B2 (en) | 2012-05-14 | 2016-08-30 | Kt Corporation | Call admission control |
KR101581125B1 (en) | 2014-06-24 | 2015-12-30 |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 Method and apparatus for allocating joint pricing and power based on cooperative communication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038742A (en) | 2010-04-1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488264B1 (en) | A communication system for handover to a femto base station and a method thereof | |
JP5263295B2 (en) | Method for controlling access to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 |
JP5453294B2 (en) | Source-initiated communication handover | |
RU2595913C2 (en) | Device and method for establishing x2 interface and switching cells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 |
KR101376250B1 (en) | Method and apparatus of resolving pci confusion for providing inbound mobility to closed subscriber group | |
EP2356855B1 (en) | Method for associating a premier femtocell with user equipment | |
US10142815B2 (en) | Mobile station apparatus, base station apparatus, and mobile communication system | |
US20080101301A1 (en) | Handover in a cellular communication system | |
KR100991592B1 (en) | Mobile terminal access processing method in femto cell and femto base station for the same | |
US9918298B2 (en) | Paging in mobile networks using independent paging cells and access cells | |
WO2019009523A1 (en) | Device and method for load distribution of base st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 |
KR101001045B1 (en) | Frequency Transition Method and System for Inducing Connection of Mobile Terminals Inaccessible to Femtocell to Macrocell in Femtocell Service Environment | |
KR101308864B1 (en) | Gateway apparatus,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 storing communication control program | |
JP2012065140A (en) | Radio base station device, communication system and cell control method | |
KR101015017B1 (en) | A femtocell base station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setting and registering location-related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 |
KR101026064B1 (en) | Mobile terminal authentication method and system in femtocell service environment | |
KR101486520B1 (en) | Method and system for automatic configuration femto-cell location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femto AP apparatus therefor | |
CN101610555B (en) | Method, system and device for triggering switching | |
WO2011027091A1 (en) |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nd apparatus | |
KR101006284B1 (en) | Frequency shifting method and system for inducing connection of mobile terminal to femtocell area in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 |
KR101444435B1 (en) | Method for supporting closed subscriber group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 |
KR101234190B1 (en) | Redirection Method Using Handover and Mobile Communication System therefor | |
RU2456771C2 (en) | Elimination of confusion in unit identifier | |
KR20130127262A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cell redirection considering optimization femto cell throughput | |
KR20150084240A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handover processing of user equipment not being able to access to femto base station, and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 for the sam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81006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Patent event date: 20090824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005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01125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0120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0120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1202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120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1201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120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1201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1130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1123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1129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