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99752B1 - Bumper device of vehicle - Google Patents
Bumper device of vehicl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999752B1 KR100999752B1 KR1020080108441A KR20080108441A KR100999752B1 KR 100999752 B1 KR100999752 B1 KR 100999752B1 KR 1020080108441 A KR1020080108441 A KR 1020080108441A KR 20080108441 A KR20080108441 A KR 20080108441A KR 100999752 B1 KR100999752 B1 KR 10099975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umper beam
- bumper
- crash box
- box
- vehicl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0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 B60R19/24—Arrangements for mounting bumpers on vehicles
- B60R19/26—Arrangements for mounting bumpers on vehicles comprising yieldable mounting means
- B60R19/34—Arrangements for mounting bumpers on vehicles comprising yieldable mounting means destroyed upon impact, e.g. one-shot typ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0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 B60R19/18—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Means within the bumper to absorb impact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1/00—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 B62D21/15—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having impact absorbing means, e.g. a frame designed to permanently or temporarily change shape or dimension upon impact with another body
- B62D21/152—Front or rear fram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0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 B60R19/24—Arrangements for mounting bumpers on vehicles
- B60R2019/242—Arrangements for mounting bumpers on vehicles on two vertical sleeves, e.g. on energy absorber en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 Vibration Damp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충돌사고시에 충격량을 흡수하기 위해 상기 차량의 좌우방향으로 배치되는 범퍼빔, 상기 범퍼빔의 후방에서 상기 차량의 좌우방향으로 배치되는 범퍼스테이, 상기 범퍼빔과 상기 범퍼스테이와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범퍼빔을 상기 범퍼스테이에 결합시키는 크래쉬박스를 포함하고, 상기 크래쉬박스는, 상기 범퍼빔이 결합되는 일단이 하측으로부터 상측을 향해 일부 돌출되어, 상기 범퍼빔이 상기 크래쉬박스와 2면에서 접촉되도록 상기 범퍼빔이 안착되는 안착단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범퍼빔의 양 끝단에 결합되는 사이드멤버와의 결합을 용이하게 하고, 별도의 연결부재없이 상기 범퍼빔과 상기 크래쉬박스를 결합시킴과 아울러 상기 범퍼빔과 상기 크래쉬박스간의 결합강성이 높아지는 차량의 범퍼 장치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bumper beam disposed in the lateral direction of the vehicle to absorb an impact amount in a vehicle crash accident, a bumper stay disposed in the lateral direction of the vehicle at the rear of the bumper beam, between the bumper beam and the bumper stay. And a crash box disposed at the bumper beam to couple the bumper beam to the bumper stay, wherein the crash box has one end to which the bumper beam is coupled to partially protrude from the lower side to the upper side, so that the bumper beam is separated from the crash box. A seating end is formed to seat the bumper beam to be in contact with the surface, thereby facilitating the combination of the side members coupled to both ends of the bumper beam, and combines the bumper beam and the crash box without a separate connection member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bumper device for a vehicle in which coupling rigidity between the bumper beam and the crash box is increased.
범퍼빔, 크래쉬박스, 안착단, 절곡부 Bumper Beam, Crash Box, Mounting Stage, Bend Section
Description
본 발명은 차량의 범퍼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크래쉬박스에 범퍼빔이 안착되는 안착단이 형성된 차량의 범퍼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umper device of a vehicle, and more particularly, to a bumper device of a vehicle in which a seating end on which a bumper beam is mounted is mounted on a crash box.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앞뒤에는 충돌 사고시에 차체에 가해지는 충격에너지를 흡수하여 탑승자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도록 범퍼 장치가 설치된다.In general, a bumper device is installed at the front and rear of the vehicle to absorb the impact energy applied to the vehicle body in the event of a crash to promote the safety of the occupants.
도 1은 일반적인 차량의 범퍼 장치가 도시된 도면이다.1 is a view illustrating a bumper device of a general vehicle.
도 1을 참조하면, 일반적인 차량의 범퍼 장치는, 차량 충돌 사고시에 충격량을 흡수하기 위해 차량의 좌우방향으로 배치되는 범퍼빔(1)과, 범퍼빔(1)의 후방에서 차량의 좌우방향으로 배치되는 범퍼스테이(2)와, 범퍼빔(1)의 전방에서 차량의 좌우방향으로 배치되어 범퍼빔(1)으로 전달되는 충격량을 흡수하는 충격흡수부재(3)와, 충격흡수부재(3)의 전방에 배치되어 범퍼 장치의 외관을 형성하는 범퍼커버(4)와, 범퍼빔(1)과 범퍼스테이(2)와의 사이에 배치되어 범퍼빔(1)을 범퍼스테이(2)에 결합시키는 크래쉬박스(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Referring to FIG. 1, a general vehicle bumper device includes a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크래쉬박스의 종래의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FIG. 2 is a view illustrating a conventional one of the crash box shown in FIG. 1.
도 2를 참조하면, 크래쉬박스(5)는, 좌우로 분리되어서, 크래쉬박스(5)의 좌측을 이루는 좌박스(5a)와, 좌박스(5a)의 우측에서 좌박스(5a)와 결합되어 크래쉬박스(5)의 우측을 이루는 우박스(5b)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크래쉬박스(5)는 좌박스(5a)와 우박스(5b)가 모두 대략 'ㄷ'자 형상의 단면을 가지도록 이루어져서 좌박스(5a)와 우박스(5b)가 서로 결합되었을 시에는 내부가 빈 대략 'ㅁ'자 형상의 단면을 가진다.Referring to FIG. 2, the
상기와 같이 크래쉬박스(5)는 그 양단이 'ㅁ'자 형상의 단면을 가지기 때문에, 범퍼빔(1)과 선접촉을 하게되어 범퍼빔(1)에 결합되기 위한 충분한 접촉면적을 확보할 수 없게 된다. 이에 범퍼빔(1)과 크래쉬박스(5)의 사이에는 범퍼빔(1)과 면접촉할 수 있는 별도의 연결부재(6)를 배치하여 연결부재(6)를 범퍼빔(1)에 고정시키고, 크래쉬박스(5)를 연결부재(6)에 용접 결합하여, 범퍼빔(1)과 크래쉬박스(5)를 결합시킨다.As described above, since the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의 범퍼 장치는, 범퍼빔(1)의 양 끝단에 결합되는 사이드멤버(미도시)와의 수직위치를 세밀하게 결정하여 결합해야 하므로 작업시간이 지연되고, 범퍼빔(1)과 크래쉬박스(5)를 연결하기 위해 범퍼빔(1)에 면접촉할 수 있는 별도의 연결부재(6)를 필요로 하며, 범퍼빔(1)과 크래쉬박스(5)가 1면에서 결합되기 때문에 결합강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bumper device of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has to determine the vertical position with the side members (not shown) coupled to both ends of the
본 발명은 범퍼빔의 양 끝단에 결합되는 사이드멤버와의 결합을 용이하게 하고, 별도의 연결부재없이 상기 범퍼빔과 크래쉬박스를 결합시킴과 아울러 상기 범퍼빔과 상기 크래쉬박스간의 결합강성이 높아지는 차량의 범퍼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facilitates the coupling of the side members coupled to both ends of the bumper beam, and the coupling stiffness between the bumper beam and the crash box as well as coupling the bumper beam and the crash box without a separate connection member, the vehicle is increased Its purpose is to provide a bumper device.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차량 충돌사고시에 충격량을 흡수하기 위해 상기 차량의 좌우방향으로 배치되는 범퍼빔, 상기 범퍼빔의 후방에서 상기 차량의 좌우방향으로 배치되는 범퍼스테이, 상기 범퍼빔과 상기 범퍼스테이와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범퍼빔을 상기 범퍼스테이에 결합시키는 크래쉬박스를 포함하고, 상기 크래쉬박스는, 상기 범퍼빔이 결합되는 일단이 하측으로부터 상측을 향해 일부 돌출되어, 상기 범퍼빔이 상기 크래쉬박스와 2면에서 접촉되도록 상기 범퍼빔이 안착되는 안착단이 형성된 차량의 범퍼 장치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the bumper beam dispos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of the vehicle to absorb the impact amount in a vehicle crash accident, the bumper stay dispos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of the vehicle from the rear of the bumper beam, the bumper A crash box disposed between the beam and the bumper stay to couple the bumper beam to the bumper stay, wherein the crash box has one end to which the bumper beam is coupled to partially protrude from the lower side to the upper side, Provided is a bumper device for a vehicle, in which a seating end on which the bumper beam is seated is formed such that the bumper beam contacts the crash box at two surfaces.
상기 안착단의 일측에는, 상기 범퍼빔이 상기 크래쉬박스와 3면에서 접촉되도록 상기 범퍼빔의 전방면과 결합되는 절곡부가 더 형성될 수 있다.At one side of the seating end, a bent portion coupl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bumper beam may be further formed such that the bumper beam is in contact with the crash box at three surfaces.
상기 크래쉬박스는 상하로 분리되고, 상기 크래쉬박스의 상부를 이루는 상부박스와, 상기 상부박스의 하측에서 상기 상부박스와 결합되어 상기 크래쉬박스의 하부를 이루고, 상기 상부박스보다 길이가 길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안착단이 형성되는 하부박스를 포함할 수 있다.The crash box is divided up and down, the upper box forming the upper portion of the crash box, the lower box is combined with the upper box to form a lower portion of the crash box, by being formed longer than the upper box, It may include a lower box in which the seating end is formed.
상기 크래쉬박스는 상기 안착단에 상기 범퍼빔이 안착된 후, 상기 범퍼빔과 접촉되는 면이 용접 결합될 수 있다.The crash box may be welded to a surface in contact with the bumper beam after the bumper beam is seated at the seating end.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범퍼 장치는, 범퍼빔이 결합되는 크래쉬박스의 일단이 하측으로부터 상측을 향해 일부 돌출되어, 상기 범퍼빔이 상기 크래쉬박스와 2면에서 접촉되도록 상기 범퍼빔이 안착되는 안착단이 상기 크래쉬박스에 형성됨으로써, 상기 범퍼빔의 양 끝단에 결합되는 사이드멤버와의 결합을 용이하게 하고, 별도의 연결부재없이 상기 범퍼빔과 상기 크래쉬박스를 결합시킴과 아울러 상기 범퍼빔과 상기 크래쉬박스간의 결합강성이 높아지는 효과가 있다.In the bumper device of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ne end of the crash box to which the bumper beams are coupled partially protrudes from the lower side to the upper side, and a seating end to which the bumper beam is seated so that the bumper beam contacts the crash box on two surfaces. The bump box is formed in the crash box to facilitate coupling with side members coupled to both ends of the bumper beam, and the bumper beam and the crash box are combined with each other without a separate connection member. The coupling stiffness between the boxes is effective.
상기한 효과가 있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effec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범퍼 장치에 포함되는 크래쉬박스의 분해된 상태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범퍼 장치에 포함되는 크래쉬박스와 범퍼빔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범퍼 장치에 포함되는 크래쉬박스와 범퍼빔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이하, 종래 기술과 동일한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Figure 3 is a view showing a state coupled to the disassembled state of the crash box included in the bumper device of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combination of the crash box and the bumper beam included in the bumper device of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Figure 5 is a side view showing a combined state of the crash box and the bumper beam included in the bumper device of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in the prior art denote the same members.
도 1 및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범퍼 장치는, 차량 충돌 사고시에 충격량을 흡수하기 위해 차량의 좌우방향으로 배치되는 범퍼빔(10)과, 범퍼빔(10)의 후방에서 차량의 좌우방향으로 배치되는 범퍼스테이(2)와, 범퍼빔(10)의 전방에서 차량의 좌우방향으로 배치되어 범퍼빔(10)으로 전달되는 충격량을 흡수하는 충격흡수부재(3)와, 충격흡수부재(3)의 전방에 배치되어 범퍼 장치의 외관을 형성하는 범퍼커버(4)와, 범퍼빔(10)과 범퍼스테이(2)와의 사이에 배치되어 범퍼빔(10)을 범퍼스테이(2)에 결합시키는 크래쉬박스(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1 and 3 to 5, a bumper device of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크래쉬박스(20)는, 범퍼빔(10)이 결합되는 일단이 하측으로부터 상측을 향해 일부 돌출되어, 범퍼빔(10)이 안착되는 안착단(24a)이 형성된다.The
안착단(24a)은 범퍼빔(10)이 안착되면 범퍼빔(10)과 범퍼빔(10)의 양 끝단에 결합되는 사이드멤버(미도시)와의 수직 결합위치가 자동으로 결정될 수 있도록 크래쉬박스(20)의 하측으로부터 상측을 향해 소정높이로 돌출된다.When the
이와 같이, 안착단(24a)은 범퍼빔(10)과 상기 사이드멤버와의 수직 결합위치가 자동으로 결정될 수 있도록 크래쉬박스(20)의 하측으로부터 상측을 향해 소정높이로 돌출되기 때문에, 범퍼빔(10)을 안착단(24a)에 안착시킨 후 곧바로 용접작업을 실시하여 범퍼빔(10)과 크래쉬박스(20)를 결합할 수 있다.As such, the
또한, 범퍼빔(10)은 안착단(24a)에 안착되어 범퍼빔(10)의 후방면과 하측면이 크래쉬박스(20)와 접촉된다.In addition, the
이와 같이, 범퍼빔(10)은 크래쉬박스(20)와 2면에서 접촉된 후 그 접촉된 부위가 용접 결합됨으로써, 기존의 1면에서 접촉된 결합구조에 비해 결합강성이 증대 되기 때문에, 범퍼빔(10)과 크래쉬박스(20)를 연결하기 위한 별도의 연결부재(6)가 필요없게 된다.As such, the
또한, 안착단(24a)의 일측에는, 안착단(24a)의 하측면으로부터 상측으로 절곡되어 범퍼빔(10)의 전방면과 결합되는 절곡부(24b)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절곡부(24b)가 형성될 경우 범퍼빔(10)은 안착단(24a)에 안착되어 범퍼빔(10)의 전방면과 후방면 및 하측면이 크래쉬박스(20)에 접촉된다. 본 실시 예에서는 크래쉬박스(20)의 안착단(24a)의 일측에 절곡부(24b)가 형성되어 범퍼빔(10)이 크래쉬박스(20)와 3면에서 접촉되는 것으로 도시하였다.In addition, a
이와 같이, 범퍼빔(10)은 크래쉬박스(20)와 3면에서 접촉된 후 그 접촉된 부위가 용접 결합됨으로써, 기존의 1면에서 접촉된 결합구조에 비해 결합강성이 증대되기 때문에, 범퍼빔(10)과 크래쉬박스(20)를 연결하기 위한 별도의 연결부재(6)가 필요없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크래쉬박스(20)는 상하로 분리되고, 크래쉬박스(20)의 상부를 이루는 상부박스(22)와, 상부박스(24)의 하측에서 상부박스(24)와 결합되어 크래쉬박스(20)의 하부를 이루고, 상부박스(22)보다 길이가 길게 형성됨으로써, 안착단(24a)이 형성된다. 물론, 크래쉬박스(20)는 상부박스(22)와 하부박스(24)로 이루어지지 아니하고, 일체형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크래쉬박스(20)는 상부박스(22)와 하부박스(24)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도시하였다.The
상부박스(22)와 하부박스(24)는 체결부재를 통해 서로 결합되거나 용접작업을 통해 서로 결합될 수 있다.The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범퍼 장치의 조립공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Looking at the assembly process of the bumper device of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re as follows.
먼저, 범퍼빔(10)을 크래쉬박스(20)의 안착단(24a)에 안착시킨 후 절곡부(24b)를 상측으로 절곡하여 범퍼빔(10)의 전방면과 접촉시켜서, 범퍼빔(10)의 전방면과 후방면 및 하측면이 크래쉬박스(20)와 접촉되도록 한다.First, the
이후, 범퍼빔(10)과 크래쉬박스(20)의 접촉된 3면을 용접작업하여 범퍼빔(10)과 크래쉬박스(20)의 조립공정을 완료한다.Subsequently, welding the three surfaces of the
도 1은 일반적인 차량의 범퍼 장치가 도시된 도면,1 is a view showing a bumper device of a typical vehicle;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크래쉬박스의 종래의 것을 도시한 도면,2 is a view showing a conventional one of the crash box shown in FIG.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범퍼 장치에 포함되는 크래쉬박스의 분해된 상태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3 is a view showing a state combined with the disassembled state of the crash box included in the bumper device of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범퍼 장치에 포함되는 크래쉬박스와 범퍼빔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mbined state of the crash box and the bumper beam included in the bumper device of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범퍼 장치에 포함되는 크래쉬박스와 범퍼빔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5 is a side view illustrating a coupled state of a crash box and a bumper beam included in a bumper device of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on main parts of the drawings>
2:범퍼스테이 10:범퍼빔2: bumper stay 10: bumper beam
20:크래쉬박스 22:상부박스20: Crash Box 22: Top Box
24:하부박스 24a:안착단24:
24b:절곡부24b: bend
Claims (3)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108441A KR100999752B1 (en) | 2008-11-03 | 2008-11-03 | Bumper device of vehicl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108441A KR100999752B1 (en) | 2008-11-03 | 2008-11-03 | Bumper device of vehicl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049328A KR20100049328A (en) | 2010-05-12 |
KR100999752B1 true KR100999752B1 (en) | 2010-12-08 |
Family
ID=422758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80108441A Expired - Fee Related KR100999752B1 (en) | 2008-11-03 | 2008-11-03 | Bumper device of vehicl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999752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6240506A (en) * | 2015-06-03 | 2016-12-21 | 标致雪铁龙集团 | For the front portion structure of vehicle or the impact absorption device of rear structure and the vehicle equipped with this device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94489B1 (en) * | 2014-09-18 | 2016-02-16 |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 Bumper stay unit for vehicles |
FR3055118A1 (en) * | 2016-08-16 | 2018-02-23 | Peugeot Citroen Automobiles Sa | REAR SHOCK ABSORBER FOR MOTOR VEHICLE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4509013A (en) | 2000-09-20 | 2004-03-25 | エス・エス・アー・ベー・ハードテック・アクチエボラーグ | Bumper beam arrangement |
JP2008018792A (en) | 2006-07-11 | 2008-01-31 | Toyoda Iron Works Co Ltd | Shock absorbing member for vehicle |
-
2008
- 2008-11-03 KR KR1020080108441A patent/KR100999752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4509013A (en) | 2000-09-20 | 2004-03-25 | エス・エス・アー・ベー・ハードテック・アクチエボラーグ | Bumper beam arrangement |
JP2008018792A (en) | 2006-07-11 | 2008-01-31 | Toyoda Iron Works Co Ltd | Shock absorbing member for vehicle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6240506A (en) * | 2015-06-03 | 2016-12-21 | 标致雪铁龙集团 | For the front portion structure of vehicle or the impact absorption device of rear structure and the vehicle equipped with this device |
CN106240506B (en) * | 2015-06-03 | 2020-08-18 | 标致雪铁龙集团 | Collision absorbing device for front or rear structure of vehicl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049328A (en) | 2010-05-1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5776885B2 (en) | Vehicle front structure | |
KR101305564B1 (en) | Tubular back beam for vehicle | |
JP4488047B2 (en) | Lamp mounting structure | |
JP4751620B2 (en) | Body front structure | |
CN107031726B (en) | The lower part body Structure of vehicle | |
KR101631987B1 (en) | Crash box for a vehicle | |
KR20160045500A (en) | Connection structure of a vehicle | |
WO2014069113A1 (en) | Fender support structure | |
JP2006015859A (en) | Front vehicle body structure of vehicle | |
JP2014189200A (en) | Bumper coupling structure and crash box | |
JP2014125000A (en) | Rear bumper reinforcement structure and rear part structure of vehicle | |
KR100999752B1 (en) | Bumper device of vehicle | |
US7464964B2 (en) | Vehicle front body structure | |
JP5954204B2 (en) | Front body structure of the vehicle | |
JP6136845B2 (en) | Vehicle front structure | |
KR20190040793A (en) | Front vehicle body reinforcing structure | |
JP2008265417A (en) | Vehicle front structure | |
JP6027448B2 (en) | Body front structure | |
KR102383254B1 (en) | Front vehicle body reinforcing structure | |
KR101251751B1 (en) | Connecting structure of vehicle front body | |
JP2009255857A (en) | Suspension structure of vehicle | |
JP2009035233A (en) | Body structure | |
CN115923702A (en) | Front structure of vehicle | |
JP5604832B2 (en) | Bumper equipment | |
JP2021187239A (en) | Front structure of vehicle body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81103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01115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0120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0120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1129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112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1128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112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709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