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99235B1 - Brake switch structure of automobile - Google Patents
Brake switch structure of automobil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999235B1 KR100999235B1 KR1020040096423A KR20040096423A KR100999235B1 KR 100999235 B1 KR100999235 B1 KR 100999235B1 KR 1020040096423 A KR1020040096423 A KR 1020040096423A KR 20040096423 A KR20040096423 A KR 20040096423A KR 100999235 B1 KR100999235 B1 KR 10099923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ovable
- contact
- fixed
- rod
- brake switch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3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994 depressogen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00—Mechanisms for operating contacts
- H01H3/02—Operating parts, i.e. for operating driving mechanism by a mechanical force external to the switch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4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braking action or preparation for braking, e.g. by detection of the foot approaching the brake pedal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7/00—Brake-action initiating means
- B60T7/02—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3/14—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 H01H13/16—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adapted for operation by a part of the human body other than the hand, e.g. by foot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31/00—Applications
- H01H2231/026—Ca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 Braking Elements And Transmiss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페달 아암의 이동에 따라 접속의 온/오프가 이루어지는 가동 접점과 고정 접점의 배치 방향을 이동 로드의 이동 방향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변경하여, 브레이크 스위치의 작동시 접점들 사이에서 접촉 및 해제시 발생되는 소음을 줄일 수 있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hanges the arrangement direction of the movable contact and the fixed contact in which the connection is turned on or off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pedal arm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moving direction of the moving rod, so that the contact between the contact points during the operation of the brake switch and The purpose is to reduce the noise generated during release.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페달 아암의 회동에 따라 일정 스트로크에 걸쳐 왕복 운동을 하는 이동 로드와; 상기 이동 로드의 일정 스트로크 경로내에서 접속의 온/오프를 위해 가동 접점과 고정 접점을 각각 형성하도록 배치되는 복수의 가동 부재와 고정 부재 및; 상기 이동 로드와 상기 가동 부재, 상기 고정 부재 및, 상기 이동 로드를 탄발지지하는 리턴 스프링을 내부에 수용하고서 차실내에서 상기 페달 아암에 인접한 부위로 고정되는 마운팅부를 갖춘 하우징을 갖추되; 상기 복수의 가동 접점과 고정 접점은 상기 이동 로드의 이동 방향에 대해 수직한 방향에서 접점의 온/오프가 이루어지도록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oving rod for reciprocating over a predetermined stroke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of the pedal arm; A plurality of movable members and fixed members arranged to form movable contacts and fixed contacts respectively for turning on / off connections within a predetermined stroke path of the moving rod; A housing having the movable rod, the movable member, the fixed member, and a mounting portion for receiving the movable rod and the return spring therein and fixed to a portion adjacent to the pedal arm in the vehicle compartment; The plurality of movable contacts and the fixed contac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on / off of the contact is arrang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moving direction of the moving rod.
Description
도 1은 종래 브레이크 스위치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도면.1 is a view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a conventional brake switch.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브레이크 스위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2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brake switc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브레이크 스위치에 있어 접점 부위를 도시한 도면.3 is a view showing a contact portion in the brake switch shown in FIG.
도 4의 (a),(b)는 각각 브레이크 페달의 답입 전/후의 시점에서 접점의 변화를 나타내는 도면.4 (a) and 4 (b) show changes in contact points before and after depression of the brake pedal, respectively.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Descrip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Drawings>
1-이동 로드 3-가동 접점1-Movable Rod 3-Movable Contacts
5-고정 접점 10-하우징5-fixed contact 10-housing
11-마운팅부 13-가동 부재11-mounting 13-movable member
15-고정 부재 17-제1돌출부15-fixing member 17-first protrusion
19-제2돌출부 21-리턴 스프링
19-second protrusion 21-return spring
본 발명은 자동차의 브레이크 스위치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브레이크 페달의 답입과 해제시 접속의 온/오프가 이루어지는 브레이크 스위치 구조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일반적으로 운전자에 의한 브레이크 페달의 답입과 해제시 접속의 온/오프가 이루어지는 브레이크 스위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다.In general, a brake switch in which the connection is turned on / off when the driver presses and releases the brake pedal has a structure as shown in FIG. 1.
즉, 종래 브레이크 스위치는 페달 아암의 회동에 따라 직선 방향으로 왕복 운동을 수행하는 이동 로드(1)와, 상기 이동 로드(1)의 일측에 다소의 이격 거리를 두고 배치된 복수의 가동 접점(3) 및, 상기 이동 로드(1)의 이동에 따라 상기 가동 접점(3)과 접속의 온/오프가 이루어지도록 다소의 이격 거리를 두고 배치된 복수의 고정 접점(5)을 갖춘 구조로 이루어진다.That is, the conventional brake switch includes a
또한, 상기 이동 로드(1)상에는 복수의 리턴 스프링(7,7')이 설치되어 있어, 상기 페달 아암의 회동에 따른 상기 이동 로드(1)의 이동과 상기 페달 아암의 복원에 따른 상기 이동 로드(1)의 이동시에 각각 복원력을 부여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그런데, 종래 브레이크 스위치에서 상기 복수의 가동 접점(3)과 고정 접점(5)은 상기 이동 로드(1)의 이동 방향을 따라 접속의 온/오프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페달 아암의 회동에 따른 상기 이동 로드(1)의 이동시 상기 가동 접점(3)과 고정 접점(5) 사이에는 접속의 온/오프시 과도한 소음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었다.
By the way, in the conventional brake switch, the plurality of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페달 아암의 이동에 따라 접속의 온/오프가 이루어지는 가동 접점과 고정 접점의 배치 방향을 이동 로드의 이동 방향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변경하여, 브레이크 스위치의 작동시 접점들 사이에서 접촉 및 해제시 발생되는 소음을 줄일 수 있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by changing the arrangement direction of the movable contact and the fixed contact in which the connection on / off is made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pedal arm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moving direction of the moving rod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reduce noise generated during contact and release between the contacts during operation of the brake switch.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페달 아암과 일측 선단이 접촉되어 상기 페달 아암의 회동에 따라 일정 스트로크에 걸쳐 왕복 운동을 하는 이동 로드와; A moving rod in contact with the pedal arm and one end thereof to reciprocate over a predetermined stroke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pedal arm;
상기 이동 로드의 일정 스트로크 경로내에서 접속의 온/오프를 위해 가동 접점과 고정 접점을 각각 형성하도록 배치되는 복수의 가동 부재와 고정 부재 및; A plurality of movable members and fixed members arranged to form movable contacts and fixed contacts respectively for turning on / off connections within a predetermined stroke path of the moving rod;
상기 이동 로드와 상기 가동 부재, 상기 고정 부재 및, 상기 이동 로드를 탄발지지하는 리턴 스프링을 내부에 수용하고서 차실내에서 상기 페달 아암에 인접한 부위로 고정되는 마운팅부를 갖춘 하우징을 갖추되; A housing having the movable rod, the movable member, the fixed member, and a mounting portion for receiving the movable rod and the return spring therein and fixed to a portion adjacent to the pedal arm in the vehicle compartment;
상기 복수의 가동 접점과 고정 접점은 상기 이동 로드의 이동 방향에 대해 수직한 방향에서 접점의 온/오프가 교번적으로 이루어지도록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lurality of movable contacts and the fixed contact may be arranged to alternately turn on / off the contact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moving direction of the moving rod.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와 도 3에 각각 도시된 바와 같이, 차실내에서 브레이크 페달의 페달 아 암(도시안됨)과 인접한 부위로 마운팅부(11)를 갖춘 하우징(10)이 차체에 고정되고,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는 상기 페달 아암과 일측 선단이 접촉되어 상기 페달 아암의 회동에 따라 일정 스트로크에 걸쳐 왕복 운동을 하는 이동 로드(1)가 설치되며, 상기 이동 로드(1)의 일정 스트로크 경로내에서 접속의 온/오프를 위해 가동 접점(3)과 고정 접점(5)을 각각 일측 선단에 갖춘 복수의 가동 부재(13)와 고정 부재(15)가 구비된다.As shown in Figs. 2 and 3, respectively, a
여기서, 상기 복수의 가동 접점(3)과 고정 접점(5)은 상기 이동 로드(1)의 이동 방향에 대해 수직한 방향에서 접점의 온/오프가 이루어지도록 배치되어 있다.Here, the plurality of
즉, 상기 가동 부재(13)와 고정 부재(15)의 일측 선단에 구비된 상기 가동 접점(3)과 고정 접점(5)은 각각 접점의 온/오프가 이루어지는 접촉의 방향이 상기 이동 로드(1)의 이동 방향과 수직한 방향이 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That is, the
또한, 상기 이동 로드(1)는 부재의 길이 방향을 따라 각각 다른 위치에서 복수의 가압 지점을 형성하는 제1,제2돌출부(17,19)를 갖추고서, 상기 제1,제2돌출부(17,19)는 상기 복수의 가동 접점(3)과 고정 접점(5) 사이의 접속을 교번적으로 수행하도록 되어 있다.In addition, the
이를 위해, 상기 제1,제2돌출부(17,19)는 상기 이동 로드(1)의 일측 선단에서 각각 대향된 부위에서 소정의 거리를 두고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To this end, the first and
한편, 상기 복수의 가동 접점(3)과 고정 접점(5)은 각각 크루즈 컨트롤 온/오프 신호용 접점과 리어 컴비네이션 램프 온/오프 신호용 접점으로 이루어져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plurality of movable contact (3) and the fixed contact (5) is composed of a cruise control on / off signal contact and a rear combination lamp on / off signal contact, respectively.
그리고, 상기 가동 부재(13)는 컨넥터 핀 부재(20)의 선단에 결합되어 전장을 따라 다소 굴곡진 형태로서 탄성력이 있는 스틸 플레이트의 소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고정 부재(15)는 컨넥터 핀 부재(20)의 선단에 결합되어 전장을 따라 상기 가동 부재(13)와 대체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스틸 플레이트의 소재로 이루어진다.In addition, the
또한, 상기 하우징(10)은 내부에 상기 이동 로드(1)를 탄발지지하는 리턴 스프링(21)을 구비하고 있다.In addition, the
따라서, 브레이크 페달의 답입과 해제에 따른 페달 아암의 이동시 상기 브레이크 스위치는 도 4의 (a),(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점의 온/오프 절환이 이루어지게 된다.Accordingly, when the pedal arm moves according to the depression and release of the brake pedal, the brake switch is switched on / off as shown in FIGS. 4A and 4B.
먼저, 페달 아암이 이동하지 않은 정상 주행의 상태에서는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동 로드(1)의 제1돌출부(17)는 리어 컴비네이션 램프 온/오프 신호용 접점을 형성하는 하측(도면기준)에 위치한 상기 가동 접점(3)과 고정 접점(5) 사이에 위치하여 이들의 접속을 해제시키는 반면에, 상기 이동 로드(1)의 제2돌출부(19)는 크루즈 컨트롤 온/오프 신호용 접점을 형성하는 상측(도면기준)에 위치한 상기 가동 접점(3)과 고정 접점(5) 사이로부터 벗어난 곳에 위치하여 이들의 접속을 도모하게 된다.First, in the normal driving state in which the pedal arm is not moved, as shown in FIG. 4A, the
이에 반해, 페달 아암이 이동하게 되는 제동 상태에서는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동 로드(1)의 제1돌출부(17)는 리어 컴비네이션 램프 온/오프 신호용 접점을 형성하는 하측(도면기준)에 위치한 상기 가동 접점(3)과 고정 접점(5) 사이로부터 벗어난 곳에 위치하여 이들의 접속을 도모하는 반면에, 상기 이 동 로드(1)의 제2돌출부(19)는 크루즈 컨트롤 온/오프 신호용 접점을 형성하는 상측(도면기준)에 위치한 상기 가동 접점(3)과 고정 접점(5) 사이에 위치하여 이들의 접속을 해제시키게 된다.In contrast, in the braking state in which the pedal arm moves, as shown in FIG. 4B, the
이 경우, 상기 복수의 가동 접점(3)과 고정 접점(5) 사이의 접속의 온/오프는 상기 이동 로드(1)의 이동 방향에 대해 수직한 방향에서 이루어짐에 따라 접속의 온/오프 전/후의 시점에서 발생하는 소음의 정도는 종래에 비해 경감될 수 있게 된다.
In this case, the on / off of the connection between the plurality of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브레이크 스위치 구조에 의하면, 브레이크 페달의 답입에 따른 페달 아암의 이동에 따라 접속의 온/오프가 이루어지는 브레이크 스위치에 있어 복수의 가동 접점과 고정 접점이 이동 로드의 이동 방향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어, 접점의 접촉 및 해제시 발생하는 소음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brake switch structure of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movable contacts and fixed contacts are provided in a brake switch in which a connection is turned on and off according to movement of a pedal arm caused by depression of a brake pedal. Since it is dispos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moving direction, there is an effect that can reduce the noise generated when the contact and release of the contact.
Claims (5)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40096423A KR100999235B1 (en) | 2004-11-23 | 2004-11-23 | Brake switch structure of automobil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40096423A KR100999235B1 (en) | 2004-11-23 | 2004-11-23 | Brake switch structure of automobil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60057315A KR20060057315A (en) | 2006-05-26 |
KR100999235B1 true KR100999235B1 (en) | 2010-12-07 |
Family
ID=371527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40096423A Expired - Fee Related KR100999235B1 (en) | 2004-11-23 | 2004-11-23 | Brake switch structure of automobil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999235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61247B1 (en) * | 2005-05-09 | 2007-09-27 | 주식회사 다이나트론 | Stop lamp switch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10059836A (en) * | 1999-12-30 | 2001-07-06 | 이계안 | brake booster for automobile |
JP2003059369A (en) * | 2001-08-14 | 2003-02-28 | Nippon Lock:Kk | Brake switch for vehicle |
-
2004
- 2004-11-23 KR KR1020040096423A patent/KR100999235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10059836A (en) * | 1999-12-30 | 2001-07-06 | 이계안 | brake booster for automobile |
JP2003059369A (en) * | 2001-08-14 | 2003-02-28 | Nippon Lock:Kk | Brake switch for vehicl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60057315A (en) | 2006-05-2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2005032491A (en) | switch | |
JP2002542109A (en) | Pedal value signal generator | |
JP5893753B2 (en) | Reset device for automobile steering column switch system and automobile | |
CA1181790A (en) | Pedal mounted switching assembly | |
KR100999235B1 (en) | Brake switch structure of automobile | |
US10490371B2 (en) | Electrical switch | |
JP2565582Y2 (en) | Lever switch | |
JP2003115238A (en) | Switch operating mechanism | |
JPS6033083Y2 (en) | Pedal stopper device | |
US6878894B2 (en) | Pushbutton switch | |
KR100535056B1 (en) | drum brake system for automotive vehicles | |
JP4196080B2 (en) | Push switch for vehicle | |
US9837225B2 (en) | Electrical pushbutton snap switch | |
RU2003105155A (en) | BUFFER RESTRICTOR | |
JP2005119547A (en) | Pedal module | |
KR101126455B1 (en) | Break stop lamp switch | |
KR100534872B1 (en) | Stop Lamp Switch Structure of Vehicle | |
US7138592B2 (en) | Electric actuation device | |
KR100421811B1 (en) | Switch, especially a motor vehicle brake-light switch | |
JPS6343708Y2 (en) | ||
US11004629B2 (en) | Lever switch mounted on a vehicle | |
JP2005149739A (en) | Push switch for vehicle | |
JP4098006B2 (en) | Push switch structure | |
WO2024170067A1 (en) | Haptic button assembly | |
JP3850685B2 (en) | Switch devi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41123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80905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41123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004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01006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0120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0120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