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999150B1 - 반응고 슬러리 절단이송장치 - Google Patents

반응고 슬러리 절단이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99150B1
KR100999150B1 KR1020080068505A KR20080068505A KR100999150B1 KR 100999150 B1 KR100999150 B1 KR 100999150B1 KR 1020080068505 A KR1020080068505 A KR 1020080068505A KR 20080068505 A KR20080068505 A KR 20080068505A KR 100999150 B1 KR100999150 B1 KR 1009991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urry
separation
chamber
reaction
uni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685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08100A (ko
Inventor
김민수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685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99150B1/ko
Publication of KR201000081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81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91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9150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27/00Treating the metal in the mould while it is molten or ductile ; Pressure or vacuum cas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3/00Other mixers; Mixing plants; Combinations of mixers
    • B01F33/45Magnetic mixers; Mixers with magnetically driven stirr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7/00Pressure die casting or injection die casting, i.e. casting in which the metal is forced into a mould under high pressure
    • B22D17/007Semi-solid pressure die cas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35/00Equipment for conveying molten metal into beds or moul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41/00Casting melt-holding vessels, e.g. ladles, tundishes, cups or the like
    • B22D41/50Pouring-nozzles
    • B22D41/62Pouring-nozzles with stirring or vibrat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And Apparatus (AREA)

Abstract

반응고 슬러리의 절단 및 이동이 이루어지는 반응고 슬러리 절단이송장치가 소개된다. 이 반응고 슬러리 절단이송장치의 슬러리 분리본체(100)는 반응고 슬러리(500)가 투입되는 챔버(120)를 갖고, 분리커터(200)는 챔버(120)에 입출가능하게 슬러리 분리유닛(110)에 장착되고, 구동부(300)는 분리커터(200)를 전후방향으로 이동하기 위해 슬러리 분리본체(100)에 장착되며, 이송롤러(400)는 슬러리 분리본체(100)의 하부에 마련된다.
슬러리 분리본체, 분리커터, 이송롤러

Description

반응고 슬러리 절단이송장치{APPARATUS FOR CUTTING AND TRANAPORTING SEMI-SOLIDSLURRY}
본 발명은 반응고 슬러리를 절단하여 다이캐스팅 장치로 이송하기 위한 반응고 슬러리 절단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반응고 가공법은 액상과 고상이 공존하는 온도 영역에서 금속 또는 금속계 복합재료를 성형하는 방법이다. 이러한 반응고 가공법은 반응고 성형법(Rheocasting)과 반용융 성형법(Thixoforming)으로 분류될 수 있다.
반응고 성형법은 반응고 상태에서 제조된 슬러리(slurry)를 직접 성형 가공하여 최종 제품으로 제조하고, 반용융 성형법은 반응고 상태에서 주조된 빌렛을 제조한 후, 이 빌렛이 적당한 길이로 절단된 슬러그(slug)를 반응고 상태로 재가열하여 단조 또는 다이캐스팅을 실시하여 최종제품으로 제조한다.
여기서, 반응고 성형에 필요한 반응고 원소재는 금속의 고상과 액상 성분이 혼재한 상태에서 기계적 또는 전자기적으로 교반하여 제조하고, 이 제조공정을 레오캐스팅(Rheocasting)이라 한다. 반응고 금속은 전단변형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점성도가 감소하는 의가소성(pseudoplastic) 및 교반력이 증가함에 따라 점성도가 감 소하는 딕소트로픽(Thixotrophic) 특성을 가진다. 따라서, 반응고 금속의 합금은 슬러리 상태에서 다이에 충진이 잘 되며, 총 응고시간이 줄어들어 수축, 유공성이 줄어든다. 아울러, 고액공존상태에서도 마치 고체처럼 빌렛을 이송시킬 수 있어 취급이 용이하다.
한편, 종래 반응고 슬러리를 제조하는 경우, 반응고 슬러리 제조장치를 통해 사용하고자 하는 용량의 슬러리에 맞는 각각의 반응고 슬러리를 제조하여 왔다. 따라서, 서로 다른 용량의 슬러리의 제조를 위해서는 반응고 슬러리 제조장치를 이용하여 해당 용량에 맞는 반응고 슬러리를 여러 번 제조하여야 한다는 단점이 있었다.
이상,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될 것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반응고 슬러리를 작은 용량의 반응고 슬러리로 절단하여 이동하기 위한 반응고 슬러리 절단이송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반응고 슬러리가 투입되는 챔버를 갖는 슬러리 분리본체와, 상기 챔버내 반응고 슬러리가 복수개로 절단되도록 상기 챔버에 입출가능하게 상기 슬러리 분리본체에 장착되는 분리커터와, 상기 분리커터를 전후방향으로 이동하기 위해 상기 슬러리 분리본체에 장착되는 구동부, 및 상기 슬러리 분리본체의 하부에 마련되는 이송롤러를 포함한다.
상기 슬러리 분리본체는 상기 분리커터에 의해 구획되는 복수의 슬러리 분리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슬러리 분리유닛은 횡방향으로 인접하여 배치되어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슬러리 분리유닛에는 전방 개폐를 위한 개폐도어가 힌지 연결되고, 상기 슬러리 분리유닛에는 챔버내 산화방지 가스를 주입하는 가스주입부가 마련된다. 상기 슬러리 분리유닛에는 상기 챔버내 온도를 일정 온도로 유지하기 위한 고주파 열처리부가 내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복수의 슬러리 분리유닛은 서로 다른 용량의 챔버를 갖는 슬러리 분리유닛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큰 용량의 반응고 슬러리를 제조한 후 이를 복수의 작은 용량의 반응고 슬러리로 절단함으로써, 한 번의 반응고 슬러리 제조를 통해 서로 다른 용량의 반응고 슬러리 제조가 가능하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원가 절감 및 수축공 결함 없는 우수한 품질의 제품을 제조할 수 있고, 산화피막 발생을 방지하며, 충진시 발생하는 와류에 의한 기공 혼입을 방지함으로써 제품 결함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반응고 슬러리 절단이송장치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의 "A"부분을 확대하여 슬러리 분리유닛에 대한 작동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반응고 슬러리 절단이송장치의 반응고 슬러리의 이송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반응고 슬러리 절단이송장치는, 결합 및 분리되는 슬러리 분리본체(100)를 통해, 큰 용량의 반응고 슬러리(500)를 작은 용량의 서로 다른 반응고 슬러리(500)로 절단하여 다이캐스팅 장치(600)에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다는 점에 가장 큰 특징이 있다.
이를 구현하기 위한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이 반응고 슬러리 절단이송장치는, 챔버(120)를 갖는 슬러리 분리본체(100)와, 챔버(120)에 입출가능하게 슬러리 분리본체(100)에 설치되는 분리커터(200)와, 분리커터(200)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300), 및 슬러리 분리본체(100)를 이동시키기 위한 이송롤러(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슬러리 분리본체(100)는 반응고 슬러리 제조장치(미도시)를 통해 제조된 반응고 슬러리(500)가 투입되는 챔버(120)를 갖는다. 이 챔버(120)는 큰 용량의 반응고 슬러리(500), 예컨대 약 10kg대의 반응고 슬러리(500)가 투입 가능한 공간을 제공한다.
슬러리 분리본체(100)의 전면에는 챔버(120)를 개폐하기 위한 개폐도어(111)가 힌지 연결된다. 이 개폐도어(111)는 챔버(120)에 대한 반응고 슬러리(500)의 입출시 개폐되면서, 반응고 슬러리(500)의 수용을 단속한다.
아울러, 슬러리 분리유닛(110)에는 산화방지 가스가 주입되는 가스주입부(112)가 마련된다. 이 가스주입부(112)는 아르곤(Ar) 가스를 챔버(120) 내에 주입함으로써, 챔버(120)내 반응고 슬러리(500)의 산화피막을 억제한다. 또한, 슬러리 분리유닛(110)에는 챔버(120)내 온도를 일정 온도로 유지하기 위한 고주파 열처리부(113)가 내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슬러리 분리본체(100)에는 챔버(120)를 복수의 챔버(120)로 분할하기 위한 분리커터(200가 마련된다. 이 분리커터(200)은 챔버(120)에 입출가능하도록 슬러리 분리본체(100)의 개구(114) 내측으로 내장된다. 따라서, 이 분리커터(200)가 챔버(120) 내로 전개되면, 챔버(120) 내 수용된 반응고 슬러리(500)는 분리커터(200)에 의해 절단되어 분리될 수 있다. 이때, 분리커터(200)는 챔버(120)의 길이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는 복수개로 구성되는 바, 이 복수의 분리커터(200) 이격 거리에 따라, 절단되는 슬러리 분리본체(100)의 크기가 결정된다.
분리커터(200)의 작동은 슬러리 분리본체(100)에 내장된 구동부(300)인 서보모터(미도시:servomotor)를 통해 이루어진다. 즉, 도 2에서 보듯이, 챔버(120) 내로 반응고 슬러리(500)가 투입되어 개폐도어(111)가 닫힌 상태에서, 서보모터는 슬러리 분리본체(100) 내부에 인입된 분리커터(200)를 전방으로 이동시켜 챔버(120) 내측에 돌출되도록 함으로써, 챔버(120)의 반응고 슬러리(500)가 절단되도록 한다.
슬러리 분리본체(100)의 하부에는 이동을 위한 이송롤러(400)가 설치된다. 이송롤러(400)는 슬러리 분리본체(100)를 이동시켜, 가공된 복수의 반응고 슬러리(500)가 각각의 용량에 해당되는 다이캐스팅 장치(600)로 이송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슬러리 분리본체(100)는 분리커터(200)에 의해 구획되는 복수의 슬러리 분리유닛(110)을 포함한다. 이 복수의 슬러리 분리유닛(110)은 횡방향으로 인접하여 배치되어 결합된다. 즉, 각각의 슬러리 분리유닛(110)은 절단된 반응고 슬러리(500)가 수용되는 챔버(120)를 가지며, 이 챔버(120)를 사이에 두고 한 쌍의 분리커터(200)가 구비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요한 용량에 적합하도록 챔버(120)내 반응고 슬러리(500)가 분리커터(200)에 의해 절단되면, 절단된 반응고 슬러리(500)는 다이캐스팅 장치(600)로 이송된다.
각각의 슬러리 분리유닛(110)은 서로 다른 용량의 챔버(120)를 갖는 슬러리 분리유닛(110)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하나의 슬러리 분리유닛(110)은 2kg 상당의 반응고 슬러리(500)가 수용 가능한 챔버(120)를 가지며, 다른 슬러리 분리유닛(110)은 3kg 상당의 반응고 슬러리(500)가 수용 가능한 챔버(120)를 가지며, 또 다른 슬러리 분리유닛(110)은 5kg 상당의 반응고 슬러리(500)가 수용 가능한 챔버(120)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반응고 슬러리 절단이송장치를 도시한 구성도.
도 2는 도 1의 "A"부분을 확대하여 슬러리 분리유닛에 대한 작동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반응고 슬러리 절단이송장치의 반응고 슬러리의 이송 과정을 도시한 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0 :슬러리 분리본체 200 :분리커터
300 :구동부 400 :이송롤러
500 :반응고 슬러리

Claims (6)

  1. 반응고 슬러리(500)가 투입되는 챔버(120)를 갖는 슬러리 분리본체(100);
    상기 챔버(120)내 반응고 슬러리(500)가 복수개로 절단되도록 상기 챔버(120)에 입출가능하게 상기 슬러리 분리본체(100)에 장착되는 분리커터(200);
    상기 분리커터(200)를 전후방향으로 이동하기 위해 상기 슬러리 분리본체(100)에 장착되는 구동부(300); 및
    상기 슬러리 분리본체(100)의 하부에 마련되는 이송롤러(4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응고 슬러리 절단이송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슬러리 분리본체(100)는 상기 분리커터(200)에 의해 구획되는 복수의 슬러리 분리유닛(110)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슬러리 분리유닛(110)은 횡방향으로 인접하여 배치되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응고 슬러리 절단이송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슬러리 분리유닛(110)에는 전방 개폐를 위한 개폐도어(111)가 힌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응고 슬러리 절단이송장치.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슬러리 분리유닛(110)에는 상기 챔버(120)내 산화방지 가스를 주입하는 가스주입부(112)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응고 슬러리 절단이송장치.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슬러리 분리유닛(110)에는 상기 챔버(120)내 온도를 일정 온도로 유지하기 위한 고주파 열처리부(113)가 내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응고 슬러리 절단이송장치.
  6.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슬러리 분리유닛(110)은 서로 다른 용량의 챔버(120)를 갖는 슬러리 분리유닛(11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응고 슬러리 절단이송장치.
KR1020080068505A 2008-07-15 2008-07-15 반응고 슬러리 절단이송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1009991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8505A KR100999150B1 (ko) 2008-07-15 2008-07-15 반응고 슬러리 절단이송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8505A KR100999150B1 (ko) 2008-07-15 2008-07-15 반응고 슬러리 절단이송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8100A KR20100008100A (ko) 2010-01-25
KR100999150B1 true KR100999150B1 (ko) 2010-12-08

Family

ID=418167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68505A Expired - Fee Related KR100999150B1 (ko) 2008-07-15 2008-07-15 반응고 슬러리 절단이송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99150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6116B1 (ko) 2003-04-24 2004-06-16 홍준표 반용융 성형용 빌렛의 제조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6116B1 (ko) 2003-04-24 2004-06-16 홍준표 반용융 성형용 빌렛의 제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8100A (ko) 2010-0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663547B1 (en) Die casting machine and casting method by thereof machine
EP1152852B1 (de) Vorrichtung zur herstellung von halbzeugen und formteilen aus metallischem material
US7699092B2 (en) Metal-molding system and process for making foamed alloy
EP2790853A1 (en) Die casting device and method for amorphous alloy
EP1470262B1 (en) Metal foam casting apparatus and method
WO2011054098A1 (en) Feeding system for semi-solid metal injection
CN1817512A (zh) 镁合金半固态注射成形方法和装置
EP1004374B1 (de) Druckgiess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Gussstücken aus Legierungen mit thixotropen Eigenschaften sowie Vorrichtung zur Duchführung des Verfahrens
CN103357851A (zh) 高真空压铸法
US20130328229A1 (en) Process and device for producing an injection moulding
KR100999150B1 (ko) 반응고 슬러리 절단이송장치
CN113199000A (zh) 一种具有多压射方式的真空压铸机及压铸方法
CN211661053U (zh) 一种铝合金压铸模具
CN206435740U (zh) 一种可自动回收并熔融余料的压铸设备
US20010013402A1 (en) Mold structure for injection molding of a light alloy and method of injection molding a light alloy using the same
DE102015208964A1 (de) Verfahren zum Gießen von Metall, Adaptereinheit und Vorrichtung zum Gießen von Metall umfassend eine derartige Adaptereinheit
CN103240398A (zh) 用于生产中空铝压铸产品的方法
EP3871806B1 (en) Die casting method and die casting device
DE102012203039B4 (de) Verfahren zum Betreiben einer Druckgussmaschine mit einer Schmelzetransportvorrichtung
CN220679325U (zh) 一种旋转式进浇组件
DE3873994T2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metallgiessen.
EP1195448B1 (en) Production method for magnesium alloy member
CN113070994B (zh) 一种加气混凝土砌块自动浇注装置
CN212962782U (zh) 一种金属成形机中金属材料熔化装置
KR101306117B1 (ko) 진공융해용 금속재료 장입장치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80715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007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0101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0120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0120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9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112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8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112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9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1129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7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1127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1126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309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