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터치센서용 키 유닛 및 센싱유닛을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유형을 채용한 터치센서(100)는 예를 들어, 핸드폰, PDP, 게임기 등의 각종 전자기기에 설치된 상태에서, 서로 긴밀하게 연계 동작하는 키 유닛(120), 센싱유닛(130), 전기발광 시트(141), 인쇄회로기판(300) 등이 체계적으로 조합된 구성을 취하여, 일련의 <사용자/전자기기 간 인터페이스 수단>으로써, 활발하게 작용하게 된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키 유닛(120)은 키 패턴(122)의 기저체로 작용하는 키 패드(121)와, 이 키 패드(121)의 전면에 배열된 상태에서, 소정의 문자, 숫자 등을 가시적으로 표현하면서, 사용자 측 터치영역을 정의하는 다수의 키 패턴(122)이 체계적으로 조합된 구성을 취하게 된다. 이 경우, 키 패드(121)로는 폴리카보네이트 필름,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 아크릴계 필름 등이 선택될 수 있으며, 키 패턴(122)으로는 전도성 폴리머 패턴, 예컨대, 페돗 패턴(PEDOT pattern: Poly Ethylene DiOxty Thiospnene pattern)이 선택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센싱유닛(130)은 센싱패턴(132)의 기저체로 작용하는 센싱패드(131)와, 이 센싱패드(131)의 전면에 배열된 상태에서, 전기연결 라인(133)들을 통해, 인쇄회로기판(300)의 컨트롤 서킷(300a)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구조를 취하는 센싱패턴(132)들이 체계적으로 조합된 구성을 취하게 된다.
이 경우, 센싱패드(131)로는 폴리카보네이트 필름,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 아크릴계 필름 등이 선택될 수 있으며, 센싱패턴(132)으로는 투명 전도성 재질(Transparent conductive material)의 패턴, 바람직하게, ITO 패턴 또는 전도성 폴리머 패턴, 예컨대, 페돗 패턴(PEDOT pattern: Poly Ethylene DiOxty Thiospnene pattern)이 융통성 있게 선택될 수 있다.
이 상황에서, 센싱패턴(132)들은 사용자가 자신의 신체일부, 예컨대, 손가락을 통해, 키 유닛(120) 측 키 패턴(122)들을 터치하고, 이에 기인하여, <자신(132)과 연결된 전자기기 내의 회로단자>와 <사용자> 사이에서 일련의 정전용량 변화(즉, 전자기기의 정전용량 변화)가 발생하게 되는 경우, 해당 정전용량의 변화를 면밀하게 센싱한 후, 그에 상응하는 센싱신호를 생성하고, 생성 완료된 센싱신호를 인쇄회로기판(300)의 컨트롤 서킷(300a) 측으로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함으로써, 전자기기 측에서, 사용자의 조작의사에 상응하는 일련의 동작을 적절하게 취할 수 있도록 보조하게 된다.
이때, 앞의 전기발광 시트(141), 예를 들어, 이엘 시트는 전자기기 측으로부터 일련의 전기적인 신호가 전송되는 경우, 그에 따라, 자체적인 발광상태를 이루어, 키 패턴(122)의 발광을 위한 백 라이트로 작용함으로써, 사용자 측에서, 예컨대, 야간, 흐린 날씨 등의 어두운 환경 하에서도, 밝게 활성화된 키 패턴(122)들을 적절히 확인하면서, 별다른 문제점 없이, 전자기기를 정상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보조하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체제 하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터치센서(100)는 키 유닛(120)에 구비된 키 패턴(122)을 터치하는 사용자 측 동작을 시발점으로 하여, 일련의 사용자/전자기기 간 인터페이스 기능을 수행하기 때문에, <키 패턴(122)이 얼 마만큼 정확하게 사용자 측 터치동작을 체크/접수할 수 있겠느냐 하는 문제점>은 터치센서(100)의 전체적인 성능을 결정짓는데 있어, 매우 중요한 변수로 작용하게 된다.
이러한 민감한 상황에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각 키 패턴(122)의 외곽 테두리에 전기적인 균일성 부여를 위한 고전도성 금속라인(123)을 추가로 접촉·배치시키는 조치를 강구하게 된다. 이 경우, 본 발명의 고전도성 금속라인(123)은 바람직하게, 자신의 내측에 놓인 키 패턴(122: 예컨대, 페돗 패턴)의 전기 전도도보다 더 높은 전기 전도도를 가지는 재질, 예컨대, 금, 은, 또는, 구리 재질을 이루게 된다.
물론, 이처럼, 각 키 패턴(122)의 외곽 테두리에 해당 키 패턴(122)의 전기 전도도 보다 더 높은 전기 전도도를 가지는 고전도성 금속라인(123)이 추가로 접촉·배치된 개선된 상황 하에서, 각 키 패턴(122)의 터치위치 A1,A2,A3,A4별 전위차(또는, 저항차)는 고전도성 금속라인(123)의 전기적인 영향 하에, 자연스럽게 대폭 축소될 수 있게 되며, 결국, 키 패턴(122) 측에서는 사용자의 터치 편의성을 위하여, 일정 크기 이상의 사이즈를 정상적으로 유지하면서도, <터치위치 A1,A2,A3,A4에 따른 전위차(또는, 저항차) 문제점>을 전혀 발생시키지 않게 되고, 그 결과, 별다른 어려움 없이, 사용자 측 터치동작을 매우 정확하게(정밀하게) 체크/접수할 수 있게 된다.
당연히, 이러한 본 발명의 구현환경 하에서, 사용자 측에서는 종래와 달리, 자신의 제어의사(터치동작)를 전자기기 측에 보다 정확하게 전달/접수시킬 수 있게 됨으로써, 전체적인 전자기기 사용효율이 크게 향상되는 이점을 융통성 있게 향유할 수 있게 되며, 생산자(전자기기 생산자, 터치센서 생산자 등) 측 역시, 품질의 고급화를 요구하는 최근의 사용자 욕구에 탄력적으로 대응할 수 있게 됨으로써, 자사의 제품 경쟁력이 크게 향상되는 이점을 폭 넓게 향유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센싱유닛(130)에 구비된 센싱패턴(132) 역시, 키 패턴(122)을 터치하는 사용자 측 동작을 시발점으로 하여, 일련의 사용자/전자기기 간 인터페이스 기능을 수행하기 때문에, <센싱패턴(132)이 얼마만큼 정확하게 사용자 측 터치동작을 체크/감지할 수 있겠느냐 하는 문제점> 또한 터치센서(100)의 전체적인 성능을 결정짓는데 있어, 매우 중요한 변수로 작용하게 된다.
이러한 민감한 상황에서, 앞의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각 센싱패턴(132)의 외곽 테두리에 전기적인 균일성 부여를 위한 고전도성 금속라인(134)을 추가로 접촉·배치시키는 조치를 강구하게 된다. 이 경우에도, 본 발명의 고전도성 금속라인(134)은 바람직하게, 자신의 내측에 놓인 센싱패턴(132: 예컨대, ITO 패턴, 페돗 패턴 등)의 전기 전도도보다 더 높은 전기 전도도를 가지는 재질, 예컨대, 금, 은, 또는, 구리 재질을 이루게 된다.
물론, 이처럼, 센싱패턴(132)의 외곽 테두리에 해당 센싱패턴(132)의 전기 전도도 보다 더 높은 전기 전도도를 가지는 고전도성 금속라인(134)이 추가로 접촉·배치된 개선 상황 하에서, 각 센싱패턴(132)의 터치위치 B1,B2,B3,B4별 전위차(또는, 저항차)는 고전도성 금속라인(134)의 전기적인 영향 하에, 자연스럽게 대폭 축소될 수 있게 되며, 결국, 센싱패턴(132) 측에서는 기본적인 감지기능 실행을 위 하여 일정 크기 이상의 사이즈를 정상적으로 유지하면서도, <터치위치 B1,B2,B3,B4에 따른 전위차(또는, 저항차) 문제점>을 전혀 발생시키지 않게 되고, 그 결과, 별다른 어려움 없이, 사용자 측 터치동작을 매우 정확하게(정밀하게) 체크/접수할 수 있게 된다.
당연히, 이러한 본 발명의 구현환경 하에서도, 사용자 측에서는 종래와 달리, 자신의 제어의사(터치동작)를 전자기기 측에 보다 정확하게 전달/접수시킬 수 있게 됨으로써, 전체적인 전자기기 사용효율이 크게 향상되는 이점을 융통성 있게 향유할 수 있게 되며, 생산자(전자기기 생산자, 터치센서 생산자 등) 측 역시, 품질의 고급화를 요구하는 최근의 사용자 욕구에 탄력적으로 대응할 수 있게 됨으로써, 자사의 제품 경쟁력이 크게 향상되는 이점을 폭 넓게 향유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유형 하에서, 터치센서(101)는 서로 긴밀하게 연계 동작하는 키 유닛(120a), 센싱유닛(130a), 도광체(151), 인쇄회로기판(300) 등이 체계적으로 조합된 구성을 취하게 된다.
이 경우, 앞의 도광체(151), 예컨대, LGP(Light Guide Panel), LGF(Light Guide Film) 등은 광원(155: 예컨대, LED)으로부터 광선이 출력되는 경우, 그에 따라, 일련의 면 발광상태를 형성하여, 키 유닛(120a)에 구비된 키 패턴(122)의 백 라이트로 작용함으로써, 사용자 측에서, 예컨대, 야간, 흐린 날씨 등의 어두운 환경 하에서도, 밝게 활성화된 키 패턴(122)들을 적절히 확인하면서, 별다른 문제점 없이, 전자기기를 정상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보조하게 된다.
물론, 이러한 변화된 환경(즉, 도 3의 전기발광 시트(141)가 도 4의 도광 체(151)로 변화된 환경) 하에서도, 본 발명에서는 각 키 패턴(122)의 외곽 테두리에 전기적인 균일성 부여를 위한 고전도성 금속라인(123)을 추가로 접촉·배치시키는 조치를 강구하게 된다.
이 경우에도, 본 발명의 고전도성 금속라인(123)은 바람직하게, 자신의 내측에 놓인 키 패턴(122: 예컨대, 페돗 패턴)의 전기 전도도보다 더 높은 전기 전도도를 가지는 재질, 예컨대, 금, 은, 또는, 구리 재질을 이루게 된다.
나아가, 본 발명에서는 앞의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각 센싱패턴(132)의 외곽 테두리에 전기적인 균일성 부여를 위한 고전도성 금속라인(134)을 추가로 접촉·배치시키는 조치도 동일하게 강구하게 된다. 이 경우에도, 본 발명의 고전도성 금속라인(134)은 바람직하게, 자신의 내측에 놓인 센싱패턴(132: 예컨대, ITO 패턴, 페돗 패턴 등)의 전기 전도도보다 더 높은 전기 전도도를 가지는 재질, 예컨대, 금, 은, 또는, 구리 재질을 이루게 된다.
이처럼, 각 키 패턴(122)의 외곽 테두리에 해당 키 패턴(122)의 전기 전도도 보다 더 높은 전기 전도도를 가지는 고전도성 금속라인(123)이 추가로 접촉·배치된 개선된 상황 하에서도, 각 키 패턴(122)의 터치위치 A1,A2,A3,A4별 전위차(또는, 저항차)는 고전도성 금속라인(123)의 전기적인 영향 하에, 자연스럽게 대폭 축소될 수 있게 되며, 결국, 키 패턴(122) 측에서는 사용자의 터치 편의성을 위하여, 일정 크기 이상의 사이즈를 정상적으로 유지하면서도, <터치위치 A1,A2,A3,A4에 따른 전위차(또는, 저항차) 문제점>을 전혀 발생시키지 않게 되고, 그 결과, 별다른 어려움 없이, 사용자 측 터치동작을 매우 정확하게(정밀하게) 체크/접수할 수 있게 된다.
나아가, 센싱패턴(132)의 외곽 테두리에 해당 센싱패턴(132)의 전기 전도도 보다 더 높은 전기 전도도를 가지는 고전도성 금속라인(134)이 추가로 접촉·배치된 개선된 상황 하에서도, 각 센싱패턴(132)의 터치위치 B1,B2,B3,B4별 전위차(또는, 저항차)는 고전도성 금속라인의 전기적인 영향 하에, 자연스럽게 대폭 축소될 수 있게 되며, 결국, 센싱패턴(132) 측에서는 기본적인 감지기능 실행을 위하여 일정 크기 이상의 사이즈를 정상적으로 유지하면서도, <터치위치 B1,B2,B3,B4에 따른 전위차(또는, 저항차) 문제점>을 전혀 발생시키지 않게 되고, 그 결과, 별다른 어려움 없이, 사용자 측 터치동작을 매우 정확하게(정밀하게) 체크/접수할 수 있게 된다.
당연히, 이러한 본 발명의 다른 구현환경 하에서도, 사용자 측에서는 종래와 달리, 자신의 제어의사(터치동작)를 전자기기 측에 보다 정확하게 전달/접수시킬 수 있게 됨으로써, 전체적인 전자기기 사용효율이 크게 향상되는 이점을 융통성 있게 향유할 수 있게 되며, 생산자(전자기기 생산자, 터치센서 생산자 등) 측 역시, 품질의 고급화를 요구하는 최근의 사용자 욕구에 탄력적으로 대응할 수 있게 됨으로써, 자사의 제품 경쟁력이 크게 향상되는 이점을 폭 넓게 향유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유형을 채용한 터치센서(102)는 예를 들어, 핸드폰, PDP, 게임기 등의 각종 전자기기에 설치된 상태에서, 서로 긴밀하게 연계 동작하는 키 유닛(120b), 센싱유닛(130b), 전기발광 시트(140), 인쇄회로기판(300) 등이 체계적으로 조합된 구성을 취하여, 일련의 <사용 자/전자기기 간 인터페이스 수단>으로써, 활발하게 작용하게 된다.
이 경우, 키 유닛(120b) 및 센싱유닛(130b)을 이루는 키 패턴(122) 및 센싱패턴(124)들은 키 패드(121)를 기저체로 공유하면서, 해당 키 패드(121)의 전·후면을 각기 점유하는 구조를 취하게 되며, 결국, 이러한 구조 하에서, 키 패드(121)는 키 수단으로써의 역할뿐만 아니라, 정전용량 센싱수단으로써의 역할까지도 융통성 있게 동시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키 유닛(120b)은 키 패턴(122)의 기저체로 작용하는 키 패드(121)와, 이 키 패드(121)의 전면에 배열된 상태에서, 소정의 문자, 숫자 등을 가시적으로 표현하면서, 사용자 측 터치영역을 정의하는 다수의 키 패턴(122)이 체계적으로 조합된 구성을 취하게 된다. 이 경우에도, 키 패드(121)로는 폴리카보네이트 필름,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 아크릴계 필름 등이 선택될 수 있으며, 키 패턴(122)으로는 전도성 폴리머 패턴, 예컨대, 페돗 패턴(PEDOT pattern: Poly Ethylene DiOxty Thiospnene pattern)이 선택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센싱유닛(130b)은 센싱패턴(124)의 기저체로 작용하는 키 패드(121)와, 이 키 패드(121)의 후면에 배열된 상태에서, 전기연결 라인(125)들을 통해, 인쇄회로기판(300)의 컨트롤 서킷(300a)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구조를 취하는 센싱패턴(124)들이 체계적으로 조합된 구성을 취하게 된다.
이 경우에도, 센싱패턴(124)으로는 투명 전도성 재질(Transparent conductive material)의 패턴, 바람직하게, ITO 패턴 또는 전도성 폴리머 패턴, 예컨대, 페돗 패턴(PEDOT pattern: Poly Ethylene DiOxty Thiospnene pattern)이 선 택될 수 있다.
이 상황에서, 센싱패턴(124)들은 사용자가 자신의 신체일부, 예컨대, 손가락을 통해, 키 유닛(120b) 측 키 패턴(122)들을 터치하고, 이에 기인하여, <자신(131)과 연결된 전자기기 내의 회로단자>와 <사용자> 사이에서 일련의 정전용량 변화(즉, 전자기기의 정전용량 변화)가 발생하게 되는 경우, 해당 정전용량의 변화를 면밀하게 센싱한 후, 그에 상응하는 센싱신호를 생성하고, 생성 완료된 센싱신호를 인쇄회로기판(300)의 컨트롤 서킷(300a) 측으로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함으로써, 전자기기 측에서, 사용자의 조작의사에 상응하는 일련의 동작을 적절하게 취할 수 있도록 보조하게 된다.
이때에도, 앞의 전기발광 시트(141), 예를 들어, 이엘 시트는 전자기기 측으로부터 일련의 전기적인 신호가 전송되는 경우, 그에 따라, 자체적인 발광상태를 이루어, 키 패턴(122)의 발광을 위한 백 라이트로 작용함으로써, 사용자 측에서, 예컨대, 야간, 흐린 날씨 등의 어두운 환경 하에서도, 밝게 활성화된 키 패턴(122)들을 적절히 확인하면서, 별다른 문제점 없이, 전자기기를 정상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보조하게 된다.
물론, 이러한 변화된 환경(즉, 키 유닛(120b) 및 센싱유닛(130b)이 키 패드(121)를 기저체로 공유하는 변화된 환경) 하에서도, 본 발명에서는 각 키 패턴(122)의 외곽 테두리에 전기적인 균일성 부여를 위한 고전도성 금속라인(123)을 추가로 접촉·배치시키는 조치를 강구하게 된다.
이 경우에도, 본 발명의 고전도성 금속라인(123)은 바람직하게, 자신의 내측 에 놓인 키 패턴(122: 예컨대, 페돗 패턴)의 전기 전도도보다 더 높은 전기 전도도를 가지는 재질, 예컨대, 금, 은, 또는, 구리 재질을 이루게 된다.
나아가, 본 발명에서는 앞의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각 센싱패턴(124)의 외곽 테두리에 전기적인 균일성 부여를 위한 고전도성 금속라인(126)을 추가로 접촉·배치시키는 조치도 동일하게 강구하게 된다. 이 경우에도, 본 발명의 고전도성 금속라인(126)은 바람직하게, 자신의 내측에 놓인 센싱패턴(124: 예컨대, ITO 패턴, 페돗 패턴 등)의 전기 전도도보다 더 높은 전기 전도도를 가지는 재질, 예컨대, 금, 은, 또는, 구리 재질을 이루게 된다.
이처럼, 각 키 패턴(122)의 외곽 테두리에 해당 키 패턴(122)의 전기 전도도 보다 더 높은 전기 전도도를 가지는 고전도성 금속라인(123)이 추가로 접촉·배치된 개선된 상황 하에서도, 각 키 패턴(122)의 터치위치 A1,A2,A3,A4별 전위차(또는, 저항차)는 고전도성 금속라인(123)의 전기적인 영향 하에, 자연스럽게 대폭 축소될 수 있게 되며, 결국, 키 패턴(122) 측에서는 사용자의 터치 편의성을 위하여, 일정 크기 이상의 사이즈를 정상적으로 유지하면서도, <터치위치 A1,A2,A3,A4에 따른 전위차(또는, 저항차) 문제점>을 전혀 발생시키지 않게 되고, 그 결과, 별다른 어려움 없이, 사용자 측 터치동작을 매우 정확하게(정밀하게) 체크/접수할 수 있게 된다.
나아가, 센싱패턴(124)의 외곽 테두리에 해당 센싱패턴(124)의 전기 전도도 보다 더 높은 전기 전도도를 가지는 고전도성 금속라인(126)이 추가로 접촉·배치된 개선된 상황 하에서도, 각 센싱패턴(124)의 터치위치 B1,B2,B3,B4별 전위차(또 는, 저항차)는 고전도성 금속라인(126)의 전기적인 영향 하에, 자연스럽게 대폭 축소될 수 있게 되며, 결국, 센싱패턴(124) 측에서는 기본적인 감지기능 실행을 위하여 일정 크기 이상의 사이즈를 정상적으로 유지하면서도, <터치위치 B1,B2,B3,B4에 따른 전위차(또는, 저항차) 문제점>을 전혀 발생시키지 않게 되고, 그 결과, 별다른 어려움 없이, 사용자 측 터치동작을 매우 정확하게(정밀하게) 체크/접수할 수 있게 된다.
당연히, 이러한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환경 하에서도, 사용자 측에서는 종래와 달리, 자신의 제어의사(터치동작)를 전자기기 측에 보다 정확하게 전달/접수시킬 수 있게 됨으로써, 전체적인 전자기기 사용효율이 크게 향상되는 이점을 융통성 있게 향유할 수 있게 되며, 생산자(전자기기 생산자, 터치센서 생산자 등) 측 역시, 품질의 고급화를 요구하는 최근의 사용자 욕구에 탄력적으로 대응할 수 있게 됨으로써, 자사의 제품 경쟁력이 크게 향상되는 이점을 폭 넓게 향유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유형 하에서, 터치센서(103)는 서로 긴밀하게 연계 동작하는 키 유닛(120c), 센싱유닛(130c), 도광체(151), 인쇄회로기판(300) 등이 체계적으로 조합된 구성을 취하게 된다.
이 경우에도, 키 유닛(120c) 및 센싱유닛(130c)은 키 패드(121)를 기저체로 공유하면서, 해당 키 패드(121)의 전·후면을 각기 점유하는 구조를 취하게 되며, 결국, 이러한 구조 하에서, 키 패드(121)는 키 수단으로써의 역할뿐만 아니라, 정전용량 센싱수단으로써의 역할까지도 융통성 있게 동시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물론, 이러한 변화된 환경(즉, 도 5의 전기발광 시트(141)가 도 6의 도광체(151)로 변화된 환경) 하에서도, 본 발명에서는 각 키 패턴(122)의 외곽 테두리에 전기적인 균일성 부여를 위한 고전도성 금속라인(123)을 추가로 접촉·배치시키는 조치를 강구하게 된다.
이 경우에도, 본 발명의 고전도성 금속라인(123)은 바람직하게, 자신의 내측에 놓인 키 패턴(122: 예컨대, 페돗 패턴)의 전기 전도도보다 더 높은 전기 전도도를 가지는 재질, 예컨대, 금, 은, 또는, 구리 재질을 이루게 된다.
나아가, 본 발명에서는 앞의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각 센싱패턴(124)의 외곽 테두리에 전기적인 균일성 부여를 위한 고전도성 금속라인(126)을 추가로 접촉·배치시키는 조치도 동일하게 강구하게 된다. 이 경우에도, 본 발명의 고전도성 금속라인(126)은 바람직하게, 자신의 내측에 놓인 센싱패턴(124: 예컨대, ITO 패턴, 페돗 패턴 등)의 전기 전도도보다 더 높은 전기 전도도를 가지는 재질, 예컨대, 금, 은, 또는, 구리 재질을 이루게 된다.
이처럼, 각 키 패턴(122)의 외곽 테두리에 해당 키 패턴(122)의 전기 전도도 보다 더 높은 전기 전도도를 가지는 고전도성 금속라인(123)이 추가로 접촉·배치된 개선된 상황 하에서도, 각 키 패턴(122)의 터치위치 A1,A2,A3,A4별 전위차(또는, 저항차)는 고전도성 금속라인(123)의 전기적인 영향 하에, 자연스럽게 대폭 축소될 수 있게 되며, 결국, 키 패턴(122) 측에서는 사용자의 터치 편의성을 위하여, 일정 크기 이상의 사이즈를 정상적으로 유지하면서도, <터치위치 A1,A2,A3,A4에 따른 전위차(또는, 저항차) 문제점>을 전혀 발생시키지 않게 되고, 그 결과, 별다른 어려움 없이, 사용자 측 터치동작을 매우 정확하게(정밀하게) 체크/접수할 수 있게 된다.
나아가, 센싱패턴(124)의 외곽 테두리에 해당 센싱패턴(124)의 전기 전도도 보다 더 높은 전기 전도도를 가지는 고전도성 금속라인(126)이 추가로 접촉·배치된 개선된 상황 하에서도, 각 센싱패턴(124)의 터치위치 B1,B2,B3,B4별 전위차(또는, 저항차)는 고전도성 금속라인의 전기적인 영향 하에, 자연스럽게 대폭 축소될 수 있게 되며, 결국, 센싱패턴(124) 측에서는 기본적인 감지기능 실행을 위하여 일정 크기 이상의 사이즈를 정상적으로 유지하면서도, <터치위치 B1,B2,B3,B4에 따른 전위차(또는, 저항차) 문제점>을 전혀 발생시키지 않게 되고, 그 결과, 별다른 어려움 없이, 사용자 측 터치동작을 매우 정확하게(정밀하게) 체크/접수할 수 있게 된다.
당연히, 이러한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환경 하에서도, 사용자 측에서는 종래와 달리, 자신의 제어의사(터치동작)를 전자기기 측에 보다 정확하게 전달/접수시킬 수 있게 됨으로써, 전체적인 전자기기 사용효율이 크게 향상되는 이점을 융통성 있게 향유할 수 있게 되며, 생산자(전자기기 생산자, 터치센서 생산자 등) 측 역시, 품질의 고급화를 요구하는 최근의 사용자 욕구에 탄력적으로 대응할 수 있게 됨으로써, 자사의 제품 경쟁력이 크게 향상되는 이점을 폭 넓게 향유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유형을 채용한 터치센서(104)는 예를 들어, 핸드폰, PDP, 게임기 등의 각종 전자기기에 설치된 상태에 서, 서로 긴밀하게 연계 동작하는 키 유닛(120d), 센싱유닛(130d), 인쇄회로기판(300) 등이 체계적으로 조합된 구성을 취하여, 일련의 <사용자/전자기기 간 인터페이스 수단>으로써, 활발하게 작용하게 된다.
이 경우, 센싱유닛(130d)을 이루는 센싱패턴(142)들은 앞의 실시예들과 다르게, 전기발광 시트(141), 예컨대, 이엘 시트의 전면을 점유하는 변화된 구조를 취하게 되며, 결국, 이러한 구조 하에서, 전기발광 시트(141)는 기존, 백 라이트로써의 역할뿐만 아니라, 정전용량 센싱수단으로써의 역할까지도 융통성 있게 동시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키 유닛(120d)은 키 패턴(122)의 기저체로 작용하는 키 패드(121)와, 이 키 패드(121)의 전면에 배열된 상태에서, 소정의 문자, 숫자 등을 가시적으로 표현하면서, 사용자 측 터치영역을 정의하는 다수의 키 패턴(122)이 체계적으로 조합된 구성을 취하게 된다. 이 경우에도, 키 패드(121)로는 폴리카보네이트 필름,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 아크릴계 필름 등이 선택될 수 있으며, 키 패턴(122)으로는 전도성 폴리머 패턴, 예컨대, 페돗 패턴(PEDOT pattern: Poly Ethylene DiOxty Thiospnene pattern)이 선택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센싱유닛(130d)은 센싱패턴(142)의 기저체로 작용하는 전기발광 시트(141)와, 이 전기발광 시트(141)의 전면에 배열된 상태에서, 전기연결 라인(143)들을 통해, 인쇄회로기판(300)의 컨트롤 서킷(300a)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구조를 취하는 센싱패턴(142)들이 체계적으로 조합된 구성을 취하게 된다.
이 경우에도, 센싱패턴(142)으로는 투명 전도성 재질(Transparent conductive material)의 패턴, 바람직하게, ITO 패턴 또는 전도성 폴리머 패턴, 예컨대, 페돗 패턴(PEDOT pattern: Poly Ethylene DiOxty Thiospnene pattern)이 선택될 수 있다.
이때, 센싱패턴(142)의 기저체로 작용하는 전기발광 시트(141)(참고로, 전기발광 시트(141)는 예컨대, 도전성 투명전극층, 발광층(또는, 형광층), 절연층(또는, 유전층), 배면전극층, 보호층 등이 일체로 조합된 구성을 취하게 되며, 이에 관한 세부내역은 당업계의 기술적 상식에 속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함)는 전자기기 측으로부터 일련의 전기적인 신호가 전송되는 경우, 그에 따라, 자체적인 발광상태를 이루어, 키 패턴(122)의 발광을 위한 백 라이트로 작용함으로써, 사용자 측에서, 예컨대, 야간, 흐린 날씨 등의 어두운 환경 하에서도, 밝게 활성화된 키 패턴(122)들을 적절히 확인하면서, 별다른 문제점 없이, 전자기기를 정상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보조하게 된다.
또한, 이 상황에서, 센싱패턴(142)들은 사용자가 자신의 신체일부, 예컨대, 손가락을 통해, 키 유닛(120d) 측 키 패턴(122)들을 터치하고, 이에 기인하여, <자신(142)과 연결된 전자기기 내의 회로단자>와 <사용자> 사이에서 일련의 정전용량 변화(즉, 전자기기의 정전용량 변화)가 발생하게 되는 경우, 해당 정전용량의 변화를 면밀하게 센싱한 후, 그에 상응하는 센싱신호를 생성하고, 생성 완료된 센싱신호를 인쇄회로기판(300)의 컨트롤 서킷(300a) 측으로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함으로써, 전자기기 측에서, 사용자의 조작의사에 상응하는 일련의 동작을 적절하게 취할 수 있도록 보조하게 된다.
물론, 이러한 변화된 환경(즉, 전기발광 시트(141)가 백 라이트로써의 역할 및 정전용량 센싱수단으로써의 역할을 동시 수행하는 변화된 환경) 하에서도, 본 발명에서는 각 키 패턴(122)의 외곽 테두리에 전기적인 균일성 부여를 위한 고전도성 금속라인(123)을 추가로 접촉·배치시키는 조치를 강구하게 된다.
이 경우에도, 본 발명의 고전도성 금속라인(123)은 바람직하게, 자신의 내측에 놓인 키 패턴(122: 예컨대, 페돗 패턴)의 전기 전도도보다 더 높은 전기 전도도를 가지는 재질, 예컨대, 금, 은, 또는, 구리 재질을 이루게 된다.
나아가, 본 발명에서는 앞의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각 센싱패턴(142)의 외곽 테두리에 전기적인 균일성 부여를 위한 고전도성 금속라인(144)을 추가로 접촉·배치시키는 조치도 동일하게 강구하게 된다. 이 경우에도, 본 발명의 고전도성 금속라인(144)은 바람직하게, 자신의 내측에 놓인 센싱패턴(142: 예컨대, ITO 패턴, 페돗 패턴 등)의 전기 전도도보다 더 높은 전기 전도도를 가지는 재질, 예컨대, 금, 은, 또는, 구리 재질을 이루게 된다.
이처럼, 각 키 패턴(122)의 외곽 테두리에 해당 키 패턴(122)의 전기 전도도 보다 더 높은 전기 전도도를 가지는 고전도성 금속라인(123)이 추가로 접촉·배치된 개선된 상황 하에서도, 각 키 패턴(122)의 터치위치 A1,A2,A3,A4별 전위차(또는, 저항차)는 고전도성 금속라인(123)의 전기적인 영향 하에, 자연스럽게 대폭 축소될 수 있게 되며, 결국, 키 패턴(122) 측에서는 사용자의 터치 편의성을 위하여, 일정 크기 이상의 사이즈를 정상적으로 유지하면서도, <터치위치 A1,A2,A3,A4에 따른 전위차(또는, 저항차) 문제점>을 전혀 발생시키지 않게 되고, 그 결과, 별다른 어려움 없이, 사용자 측 터치동작을 매우 정확하게(정밀하게) 체크/접수할 수 있게 된다.
나아가, 센싱패턴(142)의 외곽 테두리에 해당 센싱패턴(142)의 전기 전도도 보다 더 높은 전기 전도도를 가지는 고전도성 금속라인(144)이 추가로 접촉·배치된 개선된 상황 하에서도, 각 센싱패턴(142)의 터치위치 B1,B2,B3,B4별 전위차(또는, 저항차)는 고전도성 금속라인(144)의 전기적인 영향 하에, 자연스럽게 대폭 축소될 수 있게 되며, 결국, 센싱패턴(142) 측에서는 기본적인 감지기능 실행을 위하여 일정 크기 이상의 사이즈를 정상적으로 유지하면서도, <터치위치 B1,B2,B3,B4에 따른 전위차(또는, 저항차) 문제점>을 전혀 발생시키지 않게 되고, 그 결과, 별다른 어려움 없이, 사용자 측 터치동작을 매우 정확하게(정밀하게) 체크/접수할 수 있게 된다.
당연히, 이러한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환경 하에서도, 사용자 측에서는 종래와 달리, 자신의 제어의사(터치동작)를 전자기기 측에 보다 정확하게 전달/접수시킬 수 있게 됨으로써, 전체적인 전자기기 사용효율이 크게 향상되는 이점을 융통성 있게 향유할 수 있게 되며, 생산자(전자기기 생산자, 터치센서 생산자 등) 측 역시, 품질의 고급화를 요구하는 최근의 사용자 욕구에 탄력적으로 대응할 수 있게 됨으로써, 자사의 제품 경쟁력이 크게 향상되는 이점을 폭 넓게 향유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유형을 채용한 터치센서(105)는 예를 들어, 핸드폰, PDP, 게임기 등의 각종 전자기기에 설치된 상태에 서, 서로 긴밀하게 연계 동작하는 키 유닛(120e), 센싱유닛(130e), 인쇄회로기판(300) 등이 체계적으로 조합된 구성을 취하여, 일련의 <사용자/전자기기 간 인터페이스 수단>으로써, 활발하게 작용하게 된다.
이 경우, 센싱유닛(130e)을 이루는 센싱패턴(152)들은 앞의 실시예들과 다르게, 도광체(151)의 전면을 점유하는 변화된 구조를 취하게 되며, 결국, 이러한 구조 하에서, 도광체(151)는 기존, 백 라이트로써의 역할뿐만 아니라, 정전용량 센싱수단으로써의 역할까지도 융통성 있게 동시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키 유닛(120e)은 키 패턴(122)의 기저체로 작용하는 키 패드(121)와, 이 키 패드(121)의 전면에 배열된 상태에서, 소정의 문자, 숫자 등을 가시적으로 표현하면서, 사용자 측 터치영역을 정의하는 다수의 키 패턴(122)이 체계적으로 조합된 구성을 취하게 된다. 이 경우에도, 키 패드(121)로는 폴리카보네이트 필름,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 아크릴계 필름 등이 선택될 수 있으며, 키 패턴(122)으로는 전도성 폴리머 패턴, 예컨대, 페돗 패턴(PEDOT pattern: Poly Ethylene DiOxty Thiospnene pattern)이 선택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센싱유닛(130e)은 센싱패턴(152)의 기저체로 작용하는 도광체(151)와, 이 도광체(151)의 전면에 배열된 상태에서, 전기연결 라인(153)들을 통해, 인쇄회로기판(300)의 컨트롤 서킷(300a)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구조를 취하는 센싱패턴(152)들이 체계적으로 조합된 구성을 취하게 된다.
이 경우에도, 센싱패턴(152)으로는 투명 전도성 재질(Transparent conductive material)의 패턴, 바람직하게, ITO 패턴 또는 전도성 폴리머 패턴, 예 컨대, 페돗 패턴(PEDOT pattern: Poly Ethylene DiOxty Thiospnene pattern)이 선택될 수 있으며, 도광체(151)로는 예컨대, 플라스틱 사출물 형태의 LGP(Light Guide Panel), 또는,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아크릴계 수지 등과 같은 절연성 필름 형태의 LGF(Light Guide Film)가 선택될 수 있다.
이때, 센싱패턴(152)의 기저체로 작용하는 도광체(151)는 광원(155: 예컨대, LED)으로부터 광선이 출력되는 경우, 그에 따라, 일련의 면 발광상태를 형성하여, 키 유닛(120e)에 구비된 키 패턴(122)의 백 라이트로 작용함으로써, 사용자 측에서, 예컨대, 야간, 흐린 날씨 등의 어두운 환경 하에서도, 밝게 활성화된 키 패턴(122)들을 적절히 확인하면서, 별다른 문제점 없이, 전자기기를 정상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보조하게 된다.
또한, 이 상황에서, 센싱패턴(152)들은 사용자가 자신의 신체일부, 예컨대, 손가락을 통해, 키 유닛(120e) 측 키 패턴(122)들을 터치하고, 이에 기인하여, <자신(152)과 연결된 전자기기 내의 회로단자>와 <사용자> 사이에서 일련의 정전용량 변화(즉, 전자기기의 정전용량 변화)가 발생하게 되는 경우, 해당 정전용량의 변화를 면밀하게 센싱한 후, 그에 상응하는 센싱신호를 생성하고, 생성 완료된 센싱신호를 인쇄회로기판(300)의 컨트롤 서킷(300a) 측으로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함으로써, 전자기기 측에서, 사용자의 조작의사에 상응하는 일련의 동작을 적절하게 취할 수 있도록 보조하게 된다.
물론, 이러한 변화된 환경(즉, 도광체(151)가 백 라이트로써의 역할 및 정전용량 센싱수단으로써의 역할을 동시 수행하는 변화된 환경) 하에서도, 본 발명에서 는 각 키 패턴(122)의 외곽 테두리에 전기적인 균일성 부여를 위한 고전도성 금속라인(123)을 추가로 접촉·배치시키는 조치를 강구하게 된다.
이 경우에도, 본 발명의 고전도성 금속라인(123)은 바람직하게, 자신의 내측에 놓인 키 패턴(122: 예컨대, 페돗 패턴)의 전기 전도도보다 더 높은 전기 전도도를 가지는 재질, 예컨대, 금, 은, 또는, 구리 재질을 이루게 된다.
나아가, 본 발명에서는 앞의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각 센싱패턴(152)의 외곽 테두리에 전기적인 균일성 부여를 위한 고전도성 금속라인(154)을 추가로 접촉·배치시키는 조치도 동일하게 강구하게 된다. 이 경우에도, 본 발명의 고전도성 금속라인(154)은 바람직하게, 자신의 내측에 놓인 센싱패턴(152: 예컨대, ITO 패턴, 페돗 패턴 등)의 전기 전도도보다 더 높은 전기 전도도를 가지는 재질, 예컨대, 금, 은, 또는, 구리 재질을 이루게 된다.
이처럼, 각 키 패턴(122)의 외곽 테두리에 해당 키 패턴(122)의 전기 전도도 보다 더 높은 전기 전도도를 가지는 고전도성 금속라인(123)이 추가로 접촉·배치된 개선된 상황 하에서도, 각 키 패턴(122)의 터치위치 A1,A2,A3,A4별 전위차(또는, 저항차)는 고전도성 금속라인(123)의 전기적인 영향 하에, 자연스럽게 대폭 축소될 수 있게 되며, 결국, 키 패턴(122) 측에서는 사용자의 터치 편의성을 위하여, 일정 크기 이상의 사이즈를 정상적으로 유지하면서도, <터치위치 A1,A2,A3,A4에 따른 전위차(또는, 저항차) 문제점>을 전혀 발생시키지 않게 되고, 그 결과, 별다른 어려움 없이, 사용자 측 터치동작을 매우 정확하게(정밀하게) 체크/접수할 수 있게 된다.
나아가, 센싱패턴(152)의 외곽 테두리에 해당 센싱패턴(152)의 전기 전도도 보다 더 높은 전기 전도도를 가지는 고전도성 금속라인(154)이 추가로 접촉·배치된 개선된 상황 하에서도, 각 센싱패턴(152)의 터치위치 B1,B2,B3,B4별 전위차(또는, 저항차)는 고전도성 금속라인(154)의 전기적인 영향 하에, 자연스럽게 대폭 축소될 수 있게 되며, 결국, 센싱패턴(152) 측에서는 기본적인 감지기능 실행을 위하여 일정 크기 이상의 사이즈를 정상적으로 유지하면서도, <터치위치 B1,B2,B3,B4에 따른 전위차(또는, 저항차) 문제점>을 전혀 발생시키지 않게 되고, 그 결과, 별다른 어려움 없이, 사용자 측 터치동작을 매우 정확하게(정밀하게) 체크/접수할 수 있게 된다.
당연히, 이러한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환경 하에서도, 사용자 측에서는 종래와 달리, 자신의 제어의사(터치동작)를 전자기기 측에 보다 정확하게 전달/접수시킬 수 있게 됨으로써, 전체적인 전자기기 사용효율이 크게 향상되는 이점을 융통성 있게 향유할 수 있게 되며, 생산자(전자기기 생산자, 터치센서 생산자 등) 측 역시, 품질의 고급화를 요구하는 최근의 사용자 욕구에 탄력적으로 대응할 수 있게 됨으로써, 자사의 제품 경쟁력이 크게 향상되는 이점을 폭 넓게 향유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9 및 도 10(참고로, 도 10은 도 9를 뒤집어 보인 도면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유형을 채용한 터치센서(106)는 예를 들어, 핸드폰, PDP, 게임기 등의 각종 전자기기에 설치된 상태에서, 서로 긴밀하게 연계 동작하는 키 유닛(120f), 센싱유닛(130f), 인쇄회로기판(300) 등이 체계적으로 조합된 구성 을 취하여, 일련의 <사용자/전자기기 간 인터페이스 수단>으로써, 활발하게 작용하게 된다.
이 경우, 키 유닛(120f) 및 센싱유닛(130f)을 이루는 키 패턴(122) 및 센싱패턴(152)들은 도광체(151)를 기저체로 공유하면서, 해당 도광체(151)의 전·후면을 각기 점유하는 구조를 취하게 되며, 결국, 이러한 구조 하에서, 도광체(151)는 백 라이트 수단으로써의 역할뿐만 아니라, 키 수단으로써의 역할, 정전용량 센싱수단으로써의 역할까지도 융통성 있게 동시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때, 도면부호 400은 광원(155)으로부터 입사되는 광선을 도광체(151)의 전면으로 반사시켜, 해당 광선의 출력휘도를 향상시키는 역할을 수행하는 반사판을 의미하며, 도면부호 401은 광원(155)으로부터 입사되는 광선을 확산시켜, 해당 광선의 출력휘도를 향상시키는 역할을 수행하는 광선확산 유도패턴을 의미한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키 유닛(120f)은 키 패턴(122)의 기저체로 작용하는 도광체(151)와, 이 도광체(151)의 전면에 배열된 상태에서, 소정의 문자, 숫자 등을 가시적으로 표현하면서, 사용자 측 터치영역을 정의하는 다수의 키 패턴(122)이 체계적으로 조합된 구성을 취하게 된다(도 9 참조). 이 경우에도, 도광체(151)로는 예컨대, 플라스틱 사출물 형태의 LGP(Light Guide Panel), 또는,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아크릴계 수지 등과 같은 절연성 필름 형태의 LGF(Light Guide Film)가 선택될 수 있으며, 키 패턴(122)으로는 전도성 폴리머 패턴, 예컨대, 페돗 패턴(PEDOT pattern: Poly Ethylene DiOxty Thiospnene pattern)이 선택될 수 있다.
이와 함께, 본 발명에 따른 센싱유닛(130f)은 센싱패턴(152)의 기저체로 작용하는 도광체(151)와, 이 도광체(151)의 후면에 배열된 상태에서, 전기연결 라인(153)들을 통해, 인쇄회로기판(300)의 컨트롤 서킷(300a)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구조를 취하는 센싱패턴(152)들이 체계적으로 조합된 구성을 취하게 된다(도 10 참조).
이 경우에도, 센싱패턴(152)으로는 투명 전도성 재질(Transparent conductive material)의 패턴, 바람직하게, ITO 패턴 또는 전도성 폴리머 패턴, 예컨대, 페돗 패턴(PEDOT pattern: Poly Ethylene DiOxty Thiospnene pattern)이 선택될 수 있다.
이때, 센싱패턴(152)의 기저체로 작용하는 도광체(151)는 광원(155: 예컨대, LED)으로부터 광선이 출력되는 경우, 그에 따라, 일련의 면 발광상태를 형성하여, 키 유닛(120e)에 구비된 키 패턴(122)의 백 라이트로 작용함으로써, 사용자 측에서, 예컨대, 야간, 흐린 날씨 등의 어두운 환경 하에서도, 밝게 활성화된 키 패턴(122)들을 적절히 확인하면서, 별다른 문제점 없이, 전자기기를 정상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보조하게 된다.
이 상황에서, 센싱패턴(152)들은 사용자가 자신의 신체일부, 예컨대, 손가락을 통해, 키 유닛(120f) 측 키 패턴(122)들을 터치하고, 이에 기인하여, <자신(152)과 연결된 전자기기 내의 회로단자>와 <사용자> 사이에서 일련의 정전용량 변화(즉, 전자기기의 정전용량 변화)가 발생하게 되는 경우, 해당 정전용량의 변화를 면밀하게 센싱한 후, 그에 상응하는 센싱신호를 생성하고, 생성 완료된 센싱신 호를 인쇄회로기판(300)의 컨트롤 서킷(300a) 측으로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함으로써, 전자기기 측에서, 사용자의 조작의사에 상응하는 일련의 동작을 적절하게 취할 수 있도록 보조하게 된다.
물론, 이러한 변화된 환경(즉, 키 유닛(120f) 및 센싱유닛(130f)이 도광체(151)를 기저체로 공유하는 변화된 환경) 하에서도, 본 발명에서는 각 키 패턴(122)의 외곽 테두리에 전기적인 균일성 부여를 위한 고전도성 금속라인(123)을 추가로 접촉·배치시키는 조치를 강구하게 된다.
이 경우에도, 본 발명의 고전도성 금속라인(123)은 바람직하게, 자신의 내측에 놓인 키 패턴(122: 예컨대, 페돗 패턴)의 전기 전도도보다 더 높은 전기 전도도를 가지는 재질, 예컨대, 금, 은, 또는, 구리 재질을 이루게 된다.
나아가, 본 발명에서는 앞의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각 센싱패턴(152)의 외곽 테두리에 전기적인 균일성 부여를 위한 고전도성 금속라인(154)을 추가로 접촉·배치시키는 조치도 동일하게 강구하게 된다. 이 경우에도, 본 발명의 고전도성 금속라인(154)은 바람직하게, 자신의 내측에 놓인 센싱패턴(152: 예컨대, ITO 패턴, 페돗 패턴 등)의 전기 전도도보다 더 높은 전기 전도도를 가지는 재질, 예컨대, 금, 은, 또는, 구리 재질을 이루게 된다.
이처럼, 각 키 패턴(122)의 외곽 테두리에 해당 키 패턴(122)의 전기 전도도 보다 더 높은 전기 전도도를 가지는 고전도성 금속라인(123)이 추가로 접촉·배치된 개선된 상황 하에서도, 각 키 패턴(122)의 터치위치 A1,A2,A3,A4별 전위차(또는, 저항차)는 고전도성 금속라인(123)의 전기적인 영향 하에, 자연스럽게 대폭 축 소될 수 있게 되며, 결국, 키 패턴(122) 측에서는 사용자의 터치 편의성을 위하여, 일정 크기 이상의 사이즈를 정상적으로 유지하면서도, <터치위치 A1,A2,A3,A4에 따른 전위차(또는, 저항차) 문제점>을 전혀 발생시키지 않게 되고, 그 결과, 별다른 어려움 없이, 사용자 측 터치동작을 매우 정확하게(정밀하게) 체크/접수할 수 있게 된다.
나아가, 센싱패턴(152)의 외곽 테두리에 해당 센싱패턴(152)의 전기 전도도 보다 더 높은 전기 전도도를 가지는 고전도성 금속라인(154)이 추가로 접촉·배치된 개선된 상황 하에서도, 각 센싱패턴(152)의 터치위치 B1,B2,B3,B4별 전위차(또는, 저항차)는 고전도성 금속라인(154)의 전기적인 영향 하에, 자연스럽게 대폭 축소될 수 있게 되며, 결국, 센싱패턴(152) 측에서는 기본적인 감지기능 실행을 위하여 일정 크기 이상의 사이즈를 정상적으로 유지하면서도, <터치위치 B1,B2,B3,B4에 따른 전위차(또는, 저항차) 문제점>을 전혀 발생시키지 않게 되고, 그 결과, 별다른 어려움 없이, 사용자 측 터치동작을 매우 정확하게(정밀하게) 체크/접수할 수 있게 된다.
당연히, 이러한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환경 하에서도, 사용자 측에서는 종래와 달리, 자신의 제어의사(터치동작)를 전자기기 측에 보다 정확하게 전달/접수시킬 수 있게 됨으로써, 전체적인 전자기기 사용효율이 크게 향상되는 이점을 융통성 있게 향유할 수 있게 되며, 생산자(전자기기 생산자, 터치센서 생산자 등) 측 역시, 품질의 고급화를 요구하는 최근의 사용자 욕구에 탄력적으로 대응할 수 있게 됨으로써, 자사의 제품 경쟁력이 크게 향상되는 이점을 폭 넓게 향유할 수 있게 된 다.
한편, 도 11 및 도 12(참고로, 도 12는 도 11을 뒤집어 보인 도면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유형을 채용한 터치센서(107)는 예를 들어, 핸드폰, PDP, 게임기 등의 각종 전자기기에 설치된 상태에서, 서로 긴밀하게 연계 동작하는 키 유닛(120g), 센싱유닛(130g), 인쇄회로기판(300) 등이 체계적으로 조합된 구성을 취하여, 일련의 <사용자/전자기기 간 인터페이스 수단>으로써, 활발하게 작용하게 된다.
이 경우, 키 유닛(120g) 및 센싱유닛(130g)을 이루는 키 패턴(122) 및 센싱패턴(152)들은 각기 위·아래로 누적 배치된 제 1 및 제 2 도광체(151,156)를 기저체로 활용하면서, <제 1 도광체(151)의 전면을 점유하는 구조>(키 패턴(122)의 경우)(도 11 참조), <제 2 도광체(156)의 후면을 점유하는 구조>(센싱패턴(152)의 경우)(도 12 참조)를 취하게 되며, 결국, 이러한 구조 하에서, 제 1 및 제 2 도광체(151,156)는 각기 백 라이트 수단으로써의 역할뿐만 아니라, <키 수단으로써의 역할>, <정전용량 센싱수단으로써의 역할>까지도 융통성 있게 동시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때, 도면부호 400은 광원(155)으로부터 입사되는 광선을 제 1 및 제 2 도광체(151,156)의 전면으로 반사시켜, 해당 광선의 출력휘도를 향상시키는 역할을 수행하는 반사판을 의미하고, 도면부호 401은 광원(155)으로부터 입사되는 광선을 확산시켜, 해당 광선의 출력휘도를 향상시키는 역할을 수행하는 광선확산 유도패턴을 의미하며, 도면부호 157,158은 광원(155)으로부터 입사되는 광선을 키 패 턴(122)들로 집중·출력시키는 광선집중 유도패턴을 의미한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키 유닛(120g)은 키 패턴(122)의 기저체로 작용하는 제 1 도광체(151)와, 이 제 1 도광체(151)의 전면에 배열된 상태에서, 소정의 문자, 숫자 등을 가시적으로 표현하면서, 사용자 측 터치영역을 정의하는 다수의 키 패턴(122)이 체계적으로 조합된 구성을 취하게 된다(도 11 참조). 이 경우에도, 제 1 도광체(151)로는 예컨대, 플라스틱 사출물 형태의 LGP(Light Guide Panel), 또는,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아크릴계 수지 등과 같은 절연성 필름 형태의 LGF(Light Guide Film)가 선택될 수 있으며, 키 패턴(122)으로는 전도성 폴리머 패턴, 예컨대, 페돗 패턴(PEDOT pattern: Poly Ethylene DiOxty Thiospnene pattern)이 선택될 수 있다.
이와 함께, 본 발명에 따른 센싱유닛(130g)은 센싱패턴(152)의 기저체로 작용하는 제 2 도광체(156)와, 이 제 2 도광체(156)의 후면에 배열된 상태에서, 전기연결 라인(153)들을 통해, 인쇄회로기판(300)의 컨트롤 서킷(300a)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구조를 취하는 센싱패턴(152)들이 체계적으로 조합된 구성을 취하게 된다(도 12 참조).
이 경우에도, 센싱패턴(152)으로는 투명 전도성 재질(Transparent conductive material)의 패턴, 바람직하게, ITO 패턴 또는 전도성 폴리머 패턴, 예컨대, 페돗 패턴(PEDOT pattern: Poly Ethylene DiOxty Thiospnene pattern)이 선택될 수 있으며, 제 2 도광체(156)로는 예컨대, 플라스틱 사출물 형태의 LGP(Light Guide Panel), 또는,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아크릴계 수지 등과 같은 절연성 필름 형태의 LGF(Light Guide Film)가 융통성 있게 선택될 수 있다.
이때, <키 패턴(122)의 기저체로 작용하는 제 1 도광체(151)> 및 <센싱패턴(152)의 기저체로 작용하는 제 2 도광체(156)>는 광원(155: 예컨대, LED)으로부터 광선이 출력되는 경우, 그에 따라, 일련의 면 발광상태를 형성하여, 키 유닛(120g)에 구비된 키 패턴(122)의 백 라이트로 작용함으로써, 사용자 측에서, 예컨대, 야간, 흐린 날씨 등의 어두운 환경 하에서도, 밝게 활성화된 키 패턴(122)들을 적절히 확인하면서, 별다른 문제점 없이, 전자기기를 정상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보조하게 된다.
이 상황에서, 센싱패턴(152)들은 사용자가 자신의 신체일부, 예컨대, 손가락을 통해, 키 유닛(120g) 측 키 패턴(122)들을 터치하고, 이에 기인하여, <자신(152)과 연결된 전자기기 내의 회로단자>와 <사용자> 사이에서 일련의 정전용량 변화(즉, 전자기기의 정전용량 변화)가 발생하게 되는 경우, 해당 정전용량의 변화를 면밀하게 센싱한 후, 그에 상응하는 센싱신호를 생성하고, 생성 완료된 센싱신호를 인쇄회로기판(300)의 컨트롤 서킷(300a) 측으로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함으로써, 전자기기 측에서, 사용자의 조작의사에 상응하는 일련의 동작을 적절하게 취할 수 있도록 보조하게 된다.
물론, 이러한 변화된 환경(즉, 키 유닛(120g) 및 센싱유닛(130g)이 제 1 도광체(151) 및 제 2 도광체(156)를 기저체로 활용하는 변화된 환경) 하에서도, 본 발명에서는 각 키 패턴(122)의 외곽 테두리에 전기적인 균일성 부여를 위한 고전도 성 금속라인(123)을 추가로 접촉·배치시키는 조치를 강구하게 된다.
이 경우에도, 본 발명의 고전도성 금속라인(123)은 바람직하게, 자신의 내측에 놓인 키 패턴(122: 예컨대, 페돗 패턴)의 전기 전도도보다 더 높은 전기 전도도를 가지는 재질, 예컨대, 금, 은, 또는, 구리 재질을 이루게 된다.
나아가, 본 발명에서는 앞의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각 센싱패턴(152)의 외곽 테두리에 전기적인 균일성 부여를 위한 고전도성 금속라인(154)을 추가로 접촉·배치시키는 조치도 동일하게 강구하게 된다. 이 경우에도, 본 발명의 고전도성 금속라인(154)은 바람직하게, 자신의 내측에 놓인 센싱패턴(152: 예컨대, ITO 패턴, 페돗 패턴 등)의 전기 전도도보다 더 높은 전기 전도도를 가지는 재질, 예컨대, 금, 은, 또는, 구리 재질을 이루게 된다.
이처럼, 각 키 패턴(122)의 외곽 테두리에 해당 키 패턴(122)의 전기 전도도 보다 더 높은 전기 전도도를 가지는 고전도성 금속라인(123)이 추가로 접촉·배치된 개선된 상황 하에서도, 각 키 패턴(122)의 터치위치 A1,A2,A3,A4별 전위차(또는, 저항차)는 고전도성 금속라인(123)의 전기적인 영향 하에, 자연스럽게 대폭 축소될 수 있게 되며, 결국, 키 패턴(122) 측에서는 사용자의 터치 편의성을 위하여, 일정 크기 이상의 사이즈를 정상적으로 유지하면서도, <터치위치 A1,A2,A3,A4에 따른 전위차(또는, 저항차) 문제점>을 전혀 발생시키지 않게 되고, 그 결과, 별다른 어려움 없이, 사용자 측 터치동작을 매우 정확하게(정밀하게) 체크/접수할 수 있게 된다.
나아가, 센싱패턴(152)의 외곽 테두리에 해당 센싱패턴(152)의 전기 전도도 보다 더 높은 전기 전도도를 가지는 고전도성 금속라인(154)이 추가로 접촉·배치된 개선된 상황 하에서도, 각 센싱패턴(152)의 터치위치 B1,B2,B3,B4별 전위차(또는, 저항차)는 고전도성 금속라인(154)의 전기적인 영향 하에, 자연스럽게 대폭 축소될 수 있게 되며, 결국, 센싱패턴(152) 측에서는 기본적인 감지기능 실행을 위하여 일정 크기 이상의 사이즈를 정상적으로 유지하면서도, <터치위치 B1,B2,B3,B4에 따른 전위차(또는, 저항차) 문제점>을 전혀 발생시키지 않게 되고, 그 결과, 별다른 어려움 없이, 사용자 측 터치동작을 매우 정확하게(정밀하게) 체크/접수할 수 있게 된다.
당연히, 이러한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환경 하에서도, 사용자 측에서는 종래와 달리, 자신의 제어의사(터치동작)를 전자기기 측에 보다 정확하게 전달/접수시킬 수 있게 됨으로써, 전체적인 전자기기 사용효율이 크게 향상되는 이점을 융통성 있게 향유할 수 있게 되며, 생산자(전자기기 생산자, 터치센서 생산자 등) 측 역시, 품질의 고급화를 요구하는 최근의 사용자 욕구에 탄력적으로 대응할 수 있게 됨으로써, 자사의 제품 경쟁력이 크게 향상되는 이점을 폭 넓게 향유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유형을 채용한 터치센서(108)는 예를 들어, 핸드폰, PDP, 게임기 등의 각종 전자기기에 설치된 상태에서, 서로 긴밀하게 연계 동작하는 키 유닛(120h), 센싱유닛(130h), 인쇄회로기판(300) 등이 체계적으로 조합된 구성을 취하여, 일련의 <사용자/전자기기 간 인터페이스 수단>으로써, 활발하게 작용하게 된다.
이 경우, 키 유닛(120h) 및 센싱유닛(130h)을 이루는 키 패턴(122) 및 센싱패턴(152)들은 각기 위·아래로 누적 배치된 제 1 및 제 2 도광체(151,156)를 기저체로 활용하면서, <제 1 도광체(151)의 전면을 점유하는 구조>(키 패턴(122)의 경우), <제 2 도광체(156)의 전면을 점유하는 구조>(센싱패턴(152)의 경우)를 취하게 되며, 결국, 이러한 구조 하에서, 제 1 및 제 2 도광체(151,156)는 각기 백 라이트 수단으로써의 역할뿐만 아니라, <키 수단으로써의 역할>, <정전용량 센싱수단으로써의 역할>까지도 융통성 있게 동시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때, 도면부호 400은 광원(155)으로부터 입사되는 광선을 제 1 및 제 2 도광체(151,156)의 전면으로 반사시켜, 해당 광선의 출력휘도를 향상시키는 역할을 수행하는 반사판을 의미한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키 유닛(120h)은 키 패턴(122)의 기저체로 작용하는 제 1 도광체(151)와, 이 제 1 도광체(151)의 전면에 배열된 상태에서, 소정의 문자, 숫자 등을 가시적으로 표현하면서, 사용자 측 터치영역을 정의하는 다수의 키 패턴(122)이 체계적으로 조합된 구성을 취하게 된다. 이 경우에도, 제 1 도광체(151)로는 예컨대, 플라스틱 사출물 형태의 LGP(Light Guide Panel), 또는,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아크릴계 수지 등과 같은 절연성 필름 형태의 LGF(Light Guide Film)가 선택될 수 있으며, 키 패턴(122)으로는 전도성 폴리머 패턴, 예컨대, 페돗 패턴(PEDOT pattern: Poly Ethylene DiOxty Thiospnene pattern)이 선택될 수 있다.
이와 함께, 본 발명에 따른 센싱유닛(130h)은 센싱패턴(152)의 기저체로 작 용하는 제 2 도광체(156)와, 이 제 2 도광체(156)의 전면에 배열된 상태에서, 전기연결 라인(153)들을 통해, 인쇄회로기판(300)의 컨트롤 서킷(300a)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구조를 취하는 센싱패턴(152)들이 체계적으로 조합된 구성을 취하게 된다.
이 경우에도, 센싱패턴(152)으로는 투명 전도성 재질(Transparent conductive material)의 패턴, 바람직하게, ITO 패턴 또는 전도성 폴리머 패턴, 예컨대, 페돗 패턴(PEDOT pattern: Poly Ethylene DiOxty Thiospnene pattern)이 선택될 수 있으며, 제 2 도광체(156)로는 예컨대, 플라스틱 사출물 형태의 LGP(Light Guide Panel), 또는,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아크릴계 수지 등과 같은 절연성 필름 형태의 LGF(Light Guide Film)가 융통성 있게 선택될 수 있다.
이때, <키 패턴(122)의 기저체로 작용하는 제 1 도광체(151)> 및 <센싱패턴(152)의 기저체로 작용하는 제 2 도광체(156)>는 광원(155: 예컨대, LED)으로부터 광선이 출력되는 경우, 그에 따라, 일련의 면 발광상태를 형성하여, 키 유닛(120h)에 구비된 키 패턴(122)의 백 라이트로 작용함으로써, 사용자 측에서, 예컨대, 야간, 흐린 날씨 등의 어두운 환경 하에서도, 밝게 활성화된 키 패턴(122)들을 적절히 확인하면서, 별다른 문제점 없이, 전자기기를 정상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보조하게 된다.
이 상황에서, 센싱패턴(152)들은 사용자가 자신의 신체일부, 예컨대, 손가락을 통해, 키 유닛(120h) 측 키 패턴(122)들을 터치하고, 이에 기인하여, <자 신(152)과 연결된 전자기기 내의 회로단자>와 <사용자> 사이에서 일련의 정전용량 변화(즉, 전자기기의 정전용량 변화)가 발생하게 되는 경우, 해당 정전용량의 변화를 면밀하게 센싱한 후, 그에 상응하는 센싱신호를 생성하고, 생성 완료된 센싱신호를 인쇄회로기판(300)의 컨트롤 서킷(300a) 측으로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함으로써, 전자기기 측에서, 사용자의 조작의사에 상응하는 일련의 동작을 적절하게 취할 수 있도록 보조하게 된다.
물론, 이러한 변화된 환경(즉, 키 유닛(120h) 및 센싱유닛(130h)이 제 1 도광체(151) 및 제 2 도광체(156)를 기저체로 활용하는 변화된 환경) 하에서도, 본 발명에서는 각 키 패턴(122)의 외곽 테두리에 전기적인 균일성 부여를 위한 고전도성 금속라인(123)을 추가로 접촉·배치시키는 조치를 강구하게 된다.
이 경우에도, 본 발명의 고전도성 금속라인(123)은 바람직하게, 자신의 내측에 놓인 키 패턴(122: 예컨대, 페돗 패턴)의 전기 전도도보다 더 높은 전기 전도도를 가지는 재질, 예컨대, 금, 은, 또는, 구리 재질을 이루게 된다.
나아가, 본 발명에서는 앞의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각 센싱패턴(152)의 외곽 테두리에 전기적인 균일성 부여를 위한 고전도성 금속라인(154)을 추가로 접촉·배치시키는 조치도 동일하게 강구하게 된다. 이 경우에도, 본 발명의 고전도성 금속라인(154)은 바람직하게, 자신의 내측에 놓인 센싱패턴(152: 예컨대, ITO 패턴, 페돗 패턴 등)의 전기 전도도보다 더 높은 전기 전도도를 가지는 재질, 예컨대, 금, 은, 또는, 구리 재질을 이루게 된다.
이처럼, 각 키 패턴(122)의 외곽 테두리에 해당 키 패턴(122)의 전기 전도도 보다 더 높은 전기 전도도를 가지는 고전도성 금속라인(123)이 추가로 접촉·배치된 개선된 상황 하에서도, 각 키 패턴(122)의 터치위치 A1,A2,A3,A4별 전위차(또는, 저항차)는 고전도성 금속라인(123)의 전기적인 영향 하에, 자연스럽게 대폭 축소될 수 있게 되며, 결국, 키 패턴(122) 측에서는 사용자의 터치 편의성을 위하여, 일정 크기 이상의 사이즈를 정상적으로 유지하면서도, <터치위치 A1,A2,A3,A4에 따른 전위차(또는, 저항차) 문제점>을 전혀 발생시키지 않게 되고, 그 결과, 별다른 어려움 없이, 사용자 측 터치동작을 매우 정확하게(정밀하게) 체크/접수할 수 있게 된다.
나아가, 센싱패턴(152)의 외곽 테두리에 해당 센싱패턴(152)의 전기 전도도 보다 더 높은 전기 전도도를 가지는 고전도성 금속라인(154)이 추가로 접촉·배치된 개선된 상황 하에서도, 각 센싱패턴(152)의 터치위치 B1,B2,B3,B4별 전위차(또는, 저항차)는 고전도성 금속라인(154)의 전기적인 영향 하에, 자연스럽게 대폭 축소될 수 있게 되며, 결국, 센싱패턴(152) 측에서는 기본적인 감지기능 실행을 위하여 일정 크기 이상의 사이즈를 정상적으로 유지하면서도, <터치위치 B1,B2,B3,B4에 따른 전위차(또는, 저항차) 문제점>을 전혀 발생시키지 않게 되고, 그 결과, 별다른 어려움 없이, 사용자 측 터치동작을 매우 정확하게(정밀하게) 체크/접수할 수 있게 된다.
당연히, 이러한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환경 하에서도, 사용자 측에서는 종래와 달리, 자신의 제어의사(터치동작)를 전자기기 측에 보다 정확하게 전달/접수시킬 수 있게 됨으로써, 전체적인 전자기기 사용효율이 크게 향상되는 이점을 융통 성 있게 향유할 수 있게 되며, 생산자(전자기기 생산자, 터치센서 생산자 등) 측 역시, 품질의 고급화를 요구하는 최근의 사용자 욕구에 탄력적으로 대응할 수 있게 됨으로써, 자사의 제품 경쟁력이 크게 향상되는 이점을 폭 넓게 향유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본 발명은 터치센서를 필요로 하는 다양한 유형의 전자/전기 기기에서 전반적으로 유용한 효과를 나타낸다.
그리고,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이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가능성이 있는 것은 자명한 일이다.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안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