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998074B1 - 슬러지, 유분, 협잡물 및 토사 종합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슬러지, 유분, 협잡물 및 토사 종합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98074B1
KR100998074B1 KR1020100054352A KR20100054352A KR100998074B1 KR 100998074 B1 KR100998074 B1 KR 100998074B1 KR 1020100054352 A KR1020100054352 A KR 1020100054352A KR 20100054352 A KR20100054352 A KR 20100054352A KR 100998074 B1 KR100998074 B1 KR 1009980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drum
sludge
dewatering
oil
soi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543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술
김경우
김범수
이중희
Original Assignee
제천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천시 filed Critical 제천시
Priority to KR10201000543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9807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80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8074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 C02F11/121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mechanical de-watering
    • C02F11/126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mechanical de-watering using drum fil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3/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 B01D33/06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with rotary cylindrical filtering surfaces, e.g. hollow drums
    • B01D33/067Construction of the filtering drums, e.g. mounting or seal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3/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 B01D33/44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 B01D33/48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flushing, e.g. counter-current air-bumps
    • B01D33/50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flushing, e.g. counter-current air-bumps with backwash arms, shoes or nozz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3/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 B01D33/58Handling the filter cake in the filter for purposes other than for regenerating the filter cake remaining on the filtering element
    • B01D33/62Handling the filter cake in the filter for purposes other than for regenerating the filter cake remaining on the filtering element for drying
    • B01D33/64Handling the filter cake in the filter for purposes other than for regenerating the filter cake remaining on the filtering element for drying by compression
    • B01D33/648Handling the filter cake in the filter for purposes other than for regenerating the filter cake remaining on the filtering element for drying by compression by screw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 C02F11/121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mechanical de-watering
    • C02F11/125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mechanical de-watering using screw fil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16Regeneration of sorbents, filt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20Sludge process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10Waste collection, transportation, transfer or storage, e.g. segregated refuse collecting, electric or hybrid propuls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40Bio-organic fraction processing; Production of fertilisers from the organic fraction of waste or refu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Treatment Of Slud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슬러지, 유분, 협잡물 및 토사 종합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하수 또는 오폐수가 유입되는 유입수관; 상기 유입수관으로부터 유입된 하수 및 오폐수에 포함된 협잡물 및 토사를 걸러 분리하는 스크린 드럼 분리기; 상기 스크린 드럼 분리기에서 분리된 협잡물 및 토사를 탈수시키는 탈수형 이송기; 상기 탈수형 이송기로부터 탈수된 협잡물 및 토사를 이송시키는 이송 컨베이어;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하수 및 오폐수 유입수에 포함된 슬러지, 유분, 협잡물 또는 토사를 1차로 걸러시아 처리함으로써 이후 처리 과정에서 하수 및 오폐수를 좀더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슬러지, 유분, 협잡물 및 토사 종합처리장치{DEVICE OF TREATING SLUDGE, OIL, ADULTERATION AND SAND}
본 발명은 슬러지, 유분, 협잡물 및 토사 종합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하수 및 오폐수에 포함된 슬러지, 유분, 협잡물 및 토사를 1차 처리하여 하수 및 오폐수가 원활하게 처리될 수 있도록 하는 슬러지, 유분, 협잡물 및 토사 종합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설치되어 있는 슬러지 / 유분/ 협잡물/ 토사 처리 장치의 경우
1. 하수 및 오폐수에 포함된 슬러지/ 유분/ 협잡물/ 토사 등의 경우 2단계 이상의 처리 공정을 거쳐 처리되기 때문에 처리 시간이 길어지고, 넓은 설치면적이 소요되는 등 결과적으로 처리 비용이 상승하게 되고,
2. 2단계 이상의 처리 공정을 거치고도 완벽하게 유입 하수 및 오폐수의 1차 처리가 되지 못하고, 처리수에 굵은 입자의 고형물질이 적체되어 부상하며,
3. 토사가 원활하게 배출되지 못하고 적체되어 이물질과 기기의 마찰로 인하여 잦은 기기고장이 발생하고,
4. 침전된 슬러지 및 토사를 제거하기 위해 별도의 준설 작업등이 필요하며,
5. 1차 처리된 처리수의 담수 현상으로 처리수 부패 및 심한 악취를 발생하고,
6. 하수 및 오폐수에 다량 포함된 동물성 유지성분(유분)이 고형화된 상태로 스크린을 막아 출수불량 및 기기 손상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을 갖는다.
더욱이, 하수처리 슬러지의 해양 투기 전면 금지등과, 방류수 수질 기준 강화에 대비하여 유입되는 하수 및 오폐수에 포함된 미세한 이물질까지 걸러 세척 및 건조기능이 탁월하고 자동화된 고효율의 1차 처리설비의 필요성 증대됨에 따라 슬러지, 유분, 협잡물 및 토사를 종합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종합 처리 장치의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하수 및 오폐수에 포함된 슬러지, 유분, 협잡물 및 토사등을 1차로 걸러 처리함으로써 1차 처리 후단의 생물반응조 등에서 처리 가능한 미세 유기물(고형체)만을 통과시켜 생물학적 또는 화학적 하수 및 오폐수 처리 환경을 조성할 수 있도록 하는 슬러지, 유분, 협잡물 및 토사 종합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슬러지, 유분, 협잡물 및 토사 종합처리장치는, 하수 및 오폐수가 유입되는 유입수관; 상기 유입수관으로부터 유입된 하수 및 오폐수에 포함된 슬러지, 유분, 협잡물 및 토사를 걸러 분리하는 스크린 드럼 분리기; 상기 스크린 드럼 분리기에서 분리된 슬러지, 유분, 협잡물 및/또는 토사를 탈수시키며 이송하는 탈수형 이송기; 상기 탈수형 이송기로부터 배출된 슬러지, 유분, 협잡물 및/또는 토사를 이송시키는 이송 컨베이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유입수관에 연결되게 설치되어, 상기 유입수관을 통해 하수 및 오폐수와 함께 유입되는 기설정 중량 이상의 이물질을 침전시켜 걸러 내기 위한 분리 탱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크린 드럼 분리기는 양단부가 개방되게 내부 수용공간을 가지며, 하부에 분리수 배출구가 형성되는 드럼 케이스; 상기 드럼 케이스 내부에서 구동 모터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하수 또는 오폐수에 포함된 슬러지, 유분, 협잡물 및 토사가 걸러지도록 다수의 통공이 원주면 상에 형성되는 스크린 드럼; 상기 스크린 드럼의 통공이 막히는 것을 방지하도록 세척하는 세척 노즐;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유입수관은 상기 스크린 드럼의 일측 유입구에 삽입되는 단부에 설치되어 유입되는 하수 및 오폐수가 상기 스크린 드럼의 타일측 토출구로 직접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차폐판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스크린 드럼은 원주 상에 기설정된 간격을 이루며 상기 통공을 이루도록 고정 설치되는 다수의 걸름바; 상기 걸름바들에 의해 만들어진 내주면 상에 길이 방향을 따라 나선 형태로 연속되게 형성되는 나선형 이송 날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걸름바는 상기 통공이 상기 스크린 드럼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점차 넓어지게 삼각 단면 형상을 가지고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세척 노즐은 상기 드럼 케이스의 내측에서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설치되며, 상기 걸름바들의 외측에서 내측으로 물을 분사하는 제1 분사 노즐; 상기 세척 노즐은 상기 스크린 드럼 내부 상측에서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설치되며, 상기 걸름바들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물을 분사하는 제2 분사 노즐;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탈수형 이송기는 스크류 탈수 이송기인 것을 포함하고, 상기 스크류 탈수 이송기는 상기 스크린 드럼 분리기와 상기 이송 컨베이어를 연결하도록 연장 형성되며 내부 이송 공간을 가지는 탈수 이송관; 상기 탈수 이송관 내부에서 길이 방향을 따라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스크린 드럼 분리기로부터 분리되어 유입된 상기 협잡물 및 토사를 상기 이송 컨베이어로 가압하며 탈수시켜 이송하는 탈수 이송 스크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탈수 이송관은 상기 스크린 드럼 분리기로부터 상기 이송 컨베이어를 향해 상향 경사지게 설치되고, 상기 스크린 드럼 분리기측 하단에는 탈수 배출구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송 컨베이어는 공압 이송 컨베이어인 것을 포함하고, 상기 공압 이송 컨베이어는 상기 탈수형 이송기로부터 유입된 상기 슬러지, 유분, 협잡물 및 토사를 이송시키도록 공기압을 발생시키는 공압 발생기; 및 상기 공압 발생기에서 발생된 공기 압력에 의해 상기 협잡물 및 토사를 이송시키도록 상기 공압 발생기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컨베이어 이송관;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송 컨베이어에 의해 이송된 상기 슬러지, 유분, 협잡물 및 토사를 담아 저장하기 위한 압롤 박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슬러지, 유분, 협잡물 및 토사 종합처리장치에 따르면, 스크린 드럼 분리기의 스크린 드럼을 이용해 하수 및 오폐수 유입수에 포함된 슬러지, 유분, 협잡물 및 토사들을 연속적으로 걸러 하수 및 오폐수를 원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협잡물 및 토사 종합처리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협잡물 및 토사 종합처리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협잡물 및 토사 종합처리장치의 우측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분리 탱크 및 스크린 드럼 분리기를 확대하여 도시한 정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서 스크린 드럼을 분리하여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Ⅵ-Ⅵ선을 따라 잘라서 본 스크린 드럼의 측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Ⅶ 부분을 도시한 확대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3의 탈수형 이송기를 분리하여 도시한 우측면도이다.
도 9는 도 3의 공기 이송 컨베이어의 공압 발생기를 도시한 정단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협잡물 및 토사 종합처리장치의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협잡물 및 토사 종합처리장치의 평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협잡물 및 토사 종합처리장치의 우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협잡물 및 토사 종합처리장치(1)는 기본적으로 유입수관(10), 스크린 드럼 분리기(30), 탈수형 이송기(40), 및 이송 컨베이어(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유입수관(10)은 협잡물 및 토사가 포함된 하수 또는 오폐수를 스크린 드럼 분리기(30)로 공급하도록 연장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협잡물 및 토사 종합처리장치(1)의 경우 2조의 스크린 드럼 분리기(30) 및 탈수형 이송기(40)는 병렬로 설치되어 유입수관(10)을 통해 유입되는 하수 또는 오폐수의 처리량에 따라 각각 운전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예시한다.
물론, 하수 또는 오폐수의 처리량에 따라 1조나 또는 2조 이상의 스크린 드럼 분리기(30) 및 탈수형 이송기(40)가 병렬로 연결되어 설치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한편, 유입수관(10)은 원수관(11)으로부터 분지된 분지관(12)을 통해 각 조의 스크린 드럼 분리기(30)로 하수 또는 오폐수를 공급할 수 있도록 연결된다.
그리고, 유입수관(10)의 분지관(12) 상에는 각각 분리 탱크(20)가 추가적으로 연결되어 설치될 수 있으며, 분리 탱크(20) 이후 스크린 드럼 분리기(30)로 유입되는 하수 또는 오폐수의 공급량을 제어하기 위한 제수 밸브(13)가 설치될 수 있다.
분리 탱크(20)는 기설정된 크기의 내부 수용 공간을 갖도록 통체로 이루어지며, 분지관(12)을 통해 기설정 유속을 가지고 각 조의 스크린 드럼 분리기(30)로 공급되는 하수 및 오폐수에 실려 들어오는 기설정 중량 및 크기 이상의 협잡물 및 자갈 등의 이물질을 침전시켜 1차 분리시키는 역할을 한다.
한편, 분리 탱크(20) 내부에서 침전되어 분리된 이물질들은 분리 탱크(20) 하부에 형성된 이물질 토출관(21)을 통해 제거할 수 있다.
여기서, 이물질 토출관(21)이 형성되는 분리 탱크(20)의 바닥면은 이물질 토출관(21)을 통해 이물질의 배출이 좀더 용이하도록 폭이 좁아지며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분리 탱크(20)를 통해 이물질이 1차로 걸러진 하수 또는 오폐수는 스크린 드럼 분리기(30)로 공급되어, 하수 또는 오폐수에 포함되는 각종 슬러지, 유분, 협잡물 및 토사등을 처리하게 된다.
도 4는 도 1의 분리 탱크 및 스크린 드럼 분리기를 확대하여 도시한 정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실시예에서 스크린 드럼 분리기(30)는 고정 프레임(31), 드럼 케이스(32), 스크린 드럼(33), 세척 노즐(3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드럼 케이스(31)는 고정 프레임(31)의 상측에 고정 설치되며 스크린 드럼(33)이 내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양측 단부가 개방되며 내부 수용 공간을 가지는 통체로 형성되고, 하부에는 스크린 드럼(33)에 의해 슬러지, 유분, 협잡물 및 토사 등이 걸러진 처리수를 모아 배출하기 위한 처리수 배출공(31a)이 형성된다.
스크린 드럼(33)은 드럼 케이스(31) 내부에서 구동 모터(미도시)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분지관(12)을 통해 유입된 하수 또는 오폐수에 포함된 협잡물 및 토사가 걸러지도록 다수의 통공들이 원주면 상에 형성되는 스크린 통체로 이루어진다.
도 5는 도 4에서 스크린 드럼을 분리하여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Ⅵ-Ⅵ선을 따라 잘라서 본 스크린 드럼의 측단면도이며, 도 7은 도 6의 Ⅶ 부분을 도시한 확대 단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스크린 드럼(33)은 뼈대를 이루는 원형의 스크린 프레임(33a), 걸름바(33b), 나선형의 이송 날개(33c)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걸름바(33b)는 스크린 드럼(33)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기설정 간격을 두고 이격 설치되는 원형의 스크린 프레임(33a)을 서로 연결하며, 스크린 프레임(33a)의 내주면 상에서 원주 방향을 따라 대략 0.5mm 내지 1mm 간격을 두고 이격되며 상기한 통공(33d)들을 형성하도록 고정 설치된다.
한편, 걸름바(33b)들은 각각 상기한 통공(33d)들이 스크린 드럼(33)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점차 넓어지게 삼각 단면 형상을 가지고 형성된다.
이처럼, 걸름바(33b)의 통공(33d)이 내측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넓어지게 삼각 단면 형상을 가지고 형성되기 때문에, 슬러지, 유분, 협잡물 및 토사를 걸러 처리하는 과정에서 후술하는 세척 노즐(34; 좀더 상세하게는 제1 분사 노즐(34a))에 의해 통공이 막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한 걸름바(32b)들에 의해 이루어지는 원통형의 내주면에는 일측유입구(33e)를 통해 삽입된 분지관(12)으로부터 공급된 하수 또는 오폐수로부터 스크린 드럼(33)에 의해 걸러진 슬러지, 유분, 협잡물 또는 토사가 스크린 드럼(33)의 타일측 토출구(33f)를 통해 배출되도록 이송시키기 위한 이송 날개(33c)가 길이 방향을 따라 나선 형태로 감겨져 형성된다.
다시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세척 노즐(34)은 제1 분사 노즐(34a)과 제2 분사 노즐(34b)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 분사 노즐(34a)은 드럼 케이스(32) 내부 상측 즉, 드럼 케이스(32)와 스크린 드럼(33) 사이에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 설치되며, 스크린 드럼(33)의 외측에서 내측으로 물을 분사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제1 분사 노즐(34a)은 전술한 바와 같이 스크린 드럼(33)을 형성하는 삼각 단면 형상의 걸름바(33b)들 사이의 통공(33d)을 통해 스크린 드럼 내부로 물을 분사함으로써, 걸러진 슬러지, 유분, 협잡물 및 토사 등에 의해 상기한 통공들(33d)이 막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제2 분사 노즐(34b)은 스크린 드럼(33) 내부 상측에서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 설치되며, 스크린 드럼(33)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물을 분사하여 제1 분사 노즐(34a)과 함께 스크린 드럼(33)의 통공(33c)이 막히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스크린 드럼(33) 내부에 걸러진 슬러지, 유분, 협잡물 및 토사 등을 재활용하기 위해 세척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스크린 드럼(33)의 일측 유입구(33e)를 통해 내부로 삽입되는 유입수관(10)의 분지관(12) 단부에는 차폐판(15)이 더 설치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차폐판(15)은 유입수관(10)의 분지관(12)을 통해 스크린 드럼(33) 내부로 기설정된 수압을 가지고 공급되는 오수 또는 폐수가 스크린 드럼(33)에 거쳐 협잡물 및 토사가 걸러지지 않은 상태로 스크린 드럼(33)의 토출구(33f)로 바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본 실시예서는 분지관(12)의 단부에 차폐판(15)을 설치하여 공급된 오수 및 폐수가 바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을 예시하고 있으나, 분지관(12)의 단부를 하방으로 절곡하여 형성하거나 또는 분지관(12) 단부에서 토출구를 하향 경사지게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따라서, 분리 탱크(20)를 통해 기설정된 크기 및 중량 이상의 이물질이 1차 걸러진 하수 및 오폐수는 스크린 드럼 분리기(30)의 스크린 드럼(33)의 입구에 삽입된 분지관(12)을 통해 스크린 드럼(33) 내부로 공급된다.
그리고, 분지관(12)을 통해 스크린 드럼(33) 내부로 공급된 하수 및 오폐수는 스크린 드럼의 걸름바들(33b)에 의해 이들에 포함된 협잡물 및 토사가 걸러지며, 이렇게 걸러진 슬러지, 유분, 협잡물 및 토사는 나선형의 이송 날개(33c)에 의해 이송되어 스크린 드럼(33)의 토출구(33f)를 통해 탈수형 이송기(40)로 공급된다.
한편, 스크린 드럼(33)에 의해 슬러지, 유분, 협잡물 및 토사가 걸러진 처리수는 드럼 케이스(32) 하부에 모인 후 처리수 토출공(32a)을 통해 배출된다.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탈수형 이송기(40)는 스크린 드럼 분리기(30)에서 분리된 협잡물 및 토사를 탈수시켜 이송 컨베이어(50)로 이송 공급하도록 구성된다.
도 8은 도 3의 탈수형 이송기를 분리하여 도시한 우측 단면도이다.
도 3과 함께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실시 예에서 탈수형 이송기(40)는 스크류 탈수형 이송기인 것을 예시하며, 스크류 탈수형 이송기는 탈수 이송관(41) 및 이송 스크류(4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탈수 이송관(41)은 스크린 드럼 분리기(30)와 이송 컨베이어(50)를 연결하도록 연장 형성되며 내부 이송 공간을 갖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탈수 이송 스크류(42)는 탈수 이송관(41) 내부에서 길이 방향을 따라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스크린 드럼 분리기(30)로부터 분리되어 유입된 협잡물 및 토사를 이송 컨베이어(50)쪽 단부로 가압하며 탈수시켜 이송 컨베이어(50)로 이송하도록 구성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탈수 이송관(41)은 스크린 드럼 분리기(30)로부터 이송 컨베이어(50)를 향해 상향 경사지게 설치되고, 스크린 드럼 분리기(50)측 하단부에는 탈수 배출구(41a)가 형성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스크린 드럼 분리기(30)로부터 탈수 이송관(41) 내부로 공급된 협잡물 또는 토사는 회전하는 탈수 이송 스크류(42)에 의해 이송 컨베이어(50) 쪽으로 가압하며 탈수가 이루어진 상태로 이송 공급하게 된다.
한편, 협잡물 및 토사의 탈수 이송 과정에서 분리된 탈수는 탈수 이송관의 스크린 드럼 분리기(50)측 하단부에 형성된 탈수 배출구(41a)를 통해 배출된다.
본 실시 예에서 탈수형 이송기(40)는 스크류 탈수형 이송기인 것을 예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이 이로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스크린 드럼 분리기(30)에 의해 분리된 협잡물 또는 토사를 연속적으로 탈수 처리할 수 있는 한 스크류 탈수 이송기 이외에 다양한 방식의 탈수형 이송기들이 적용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또한, 본 실시예의 스크류 탈수 이송기의 탈수 이송관(41)의 경사각(Θ)은 스크린 드럼 분리기(30) 및 이송 컨베이어(50)의 배치 상태에 따라 서로 다르게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한 탈수형 이송기(40)인 스크류 탈수 이송기에 의해 탈수 처리되며 이송 공급되는 협잡물 및 토사는 이송 컨베이어(50)를 통해 이송되어 압롤박스(60)에 저장된다.
한편, 본 실시 예에서 이송 컨베이어(50)는 공압 이송 컨베이어인 것을 예시하며, 공압 이송 컨베이어는 공압 발생기(51) 및 컨베이어 이송관(5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9는 도 3의 공기 이송 컨베이어의 공압 발생기를 도시한 정단면도이다.
도 3과 함께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공압 발생기(51)의 상측으로 공급된 상기 협잡물 및 토사를 컨베이어 이송관(52)을 통해 이송시키도록 공기압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공압 발생기(51)에서 발생된 공기압에 의해 걸러진 슬러지, 유분, 협잡물 및 토사가 컨베이어 이송관(52)을 통해 이송되어 압롤박스(60)에 저장되게 된다.
이처럼, 본 실시예의 협잡물 및 토사 처리 장치(1)를 통해 하수 및 오폐수로부터 걸러져 압롤박스(60)에 저장된 유분은 소각 등을 통해 후처리되고, 슬러지 또는 협잡물의 경우 퇴비로 재활용되고, 토사의 경우 건축 자재 등으로 재활용할 수 있게 된다.
이상을 통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 또는 변경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1: 협잡물 및 토사 종합처리장치 10: 유입수관
11: 원수관 12: 분지관
13: 제수 밸브 15: 차폐판
20: 분리 탱크 21: 이물질 토출관
30: 스크린 드럼 분리기 31: 고정 프레임
31a: 처리수 배출공 32: 드럼 케이스
33: 스크린 드럼 33a: 스크린 프레임
33b: 걸름바 33c: 이송 날개
33d: 통공 33e: 유입구
33f: 토출구 34: 세척 노즐
34a: 제1 분사 노즐 34b: 제1 분사 노즐
40: 탈수형 이송기 41: 탈수 이송관
41a: 탈수 배출구 42: 탈수형 이송기
50: 이송 컨베이어 51: 공기압 발생기
52: 컨베이어 이송관 60: 압롤 박스

Claims (12)

  1. 하수 또는 오폐수가 유입되는 유입수관;
    상기 유입수관상에 연결되게 설치되어, 상기 유입수관을 통해 하수 및 오폐수와 함께 유입되는 기설정 중량 이상의 이물질을 침전시켜 걸러 내기 위한 분리 탱크;
    상기 유입수관으로부터 유입된 하수 및 오폐수에 포함된 슬러지, 유분, 협잡물 및 토사를 걸러 분리하는 스크린 드럼 분리기;
    상기 스크린 드럼 분리기에서 분리된 슬러지, 유분, 협잡물 및 토사를 탈수시켜 이송하는 탈수형 이송기;
    상기 탈수형 이송기로부터 탈수된 협잡물 및 토사를 이송시키는 이송 컨베이어;를 포함하고,

    상기 스크린 드럼 분리기는,
    양단부가 개방되게 내부 수용공간을 가지며, 하부에 분리수 배출구가 형성되는 드럼 케이스;
    상기 드럼 케이스 내부에서 구동 모터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상기 하수 또는 오폐수에 포함된 협잡물 및 토사가 걸러지도록 다수의 통공이 원주면상에 형성되는 스크린 드럼; 및
    상기 스크린 드럼의 통공이 막히는 것을 방지하도록 세척하는 세척 노즐;을 포함하며,

    상기 스크린 드럼은,
    원주상에 기설정된 간격을 이루며 삼각 단면 형상을 가지고 상기 스크린 드럼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점차 넓어지게 상기 통공을 이루도록 고정 설치되는 다수의 걸름바; 및
    상기 걸름바들에 의해 만들어진 내주면 상에 길이 방향을 따라 나선 형태로 연속되게 형성되는 나선형 이송 날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세척 노즐은,
    상기 드럼 케이스의 내부 상측에서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설치되며, 상기 스크린 드럼의 외측에서 내측으로 물을 분사하는 제1 분사 노즐; 및
    상기 스크린 드럼 내부 상측에서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설치되며, 상기 스크린 드럼 분리기 내부에 물을 분사하는 제2 분사 노즐;을 포함하며,

    상기 유입수관은,
    상기 스크린 드럼의 일측 유입구에 삽입되는 단부에 설치되어 유입되는 하수 및 오폐수가 상기 스크린 드럼의 타일측 토출구로 직접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차폐판을 포함하는 슬러지, 유분, 협잡물 및 토사 종합처리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제1항에서,
    상기 탈수형 이송기는,
    스크류 탈수형 이송기인 것을 포함하고,

    상기 스크류 탈수형 이송기는,
    상기 스크린 드럼 분리기와 상기 이송 컨베이어를 연결하도록 연장 형성되며 내부이송 공간을 가지는 탈수 이송관; 및
    상기 탈수 이송관 내부에서 길이 방향을 따라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스크린 드럼 분리기로부터 분리되어 유입된 상기 슬러지, 유분, 협잡물 및 토사를 상기 이송 컨베이어로 가압하며 탈수시켜 이송하는 탈수형 이송 스크류;를 포함하는 슬러지, 유분, 협잡물 및 토사 종합처리장치.
  10. 제9항에서,
    상기 탈수 이송관은,
    상기 스크린 드럼 분리기로부터 상기 이송 컨베이어를 향해 상향 경사지게 설치되고,
    상기 스크린 드럼 분리기 측 하단에는 탈수 배출구가 형성되는 슬러지, 유분, 협잡물 및 토사 종합처리장치.
  11. 제1항에서,
    상기 이송 컨베이어는 공압 이송 컨베이어인 것을 포함하고,
    상기 공압 이송 컨베이어는,
    상기 탈수형 이송기로부터 유입된 상기 슬러지, 유분, 협잡물 및 토사를 이송시키도록 공기압을 발생시키는 공압 발생기; 및
    상기 공압 발생기에서 발생된 공기 압력에 의해 상기 슬러지, 유분, 협잡물 및 토사를 이송시키도록 상기 공압 발생기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컨베이어 이송관;을 포함하는 슬러지, 유분, 협잡물 및 토사 종합처리장치.
  12. 제1항에서,
    상기 이송 컨베이어에 의해 이송된 상기 슬러지, 유분, 협잡물 및 토사를 담아 저장하는 압롤 박스를 더 포함하는 슬러지, 유분, 협잡물 및 토사 종합처리장치.
KR1020100054352A 2010-06-09 2010-06-09 슬러지, 유분, 협잡물 및 토사 종합처리장치 Active KR1009980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4352A KR100998074B1 (ko) 2010-06-09 2010-06-09 슬러지, 유분, 협잡물 및 토사 종합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4352A KR100998074B1 (ko) 2010-06-09 2010-06-09 슬러지, 유분, 협잡물 및 토사 종합처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98074B1 true KR100998074B1 (ko) 2010-12-03

Family

ID=435123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54352A Active KR100998074B1 (ko) 2010-06-09 2010-06-09 슬러지, 유분, 협잡물 및 토사 종합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9807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3555B1 (ko) 2012-07-19 2012-09-21 비엔지테크놀로지 주식회사 드럼형 슬러지 농축기
KR20200041492A (ko) * 2018-10-12 2020-04-22 정충교 협잡물 수거용 이송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7122Y1 (ko) * 2003-10-06 2003-12-31 주식회사 타 셋 상,하수 및 폐수 등의 종합 전처리 장치
KR100924585B1 (ko) * 2008-12-31 2009-10-30 제천시 침전조 토사 처리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7122Y1 (ko) * 2003-10-06 2003-12-31 주식회사 타 셋 상,하수 및 폐수 등의 종합 전처리 장치
KR100924585B1 (ko) * 2008-12-31 2009-10-30 제천시 침전조 토사 처리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3555B1 (ko) 2012-07-19 2012-09-21 비엔지테크놀로지 주식회사 드럼형 슬러지 농축기
KR20200041492A (ko) * 2018-10-12 2020-04-22 정충교 협잡물 수거용 이송시스템
KR102113972B1 (ko) * 2018-10-12 2020-06-02 정충교 협잡물 수거용 이송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92258B1 (ko) 혼합탱크형 침사분리장치
KR102141236B1 (ko) 각종 준설토용 정화시스템
KR101656493B1 (ko) 이송펌프를 사용하지 않는 에너지 절감형 협잡물 처리기
CN103517746A (zh) 漂浮固体分离
KR101431161B1 (ko) 모래 및 협잡물 여과, 탈수 장치
JP5292483B2 (ja) 湿式選別装置
KR100998074B1 (ko) 슬러지, 유분, 협잡물 및 토사 종합처리장치
KR101943483B1 (ko) 준설토 처리장치
KR100849521B1 (ko) 준설토 선별 분리기
KR101095545B1 (ko) 드럼타공형 스크래퍼식 협잡물처리기를 포함한 종합 협잡물 처리 장치 및 그 방법
RU2571112C2 (ru) Мобильная установка для очистки сыпучего материала
KR102111034B1 (ko) 준설토 처리 장치
RU2411719C1 (ru) Установка для очистки воды преимущественно для систем капельного орошения
KR101976013B1 (ko) 수직 무한궤도 이송형 스크린을 갖춘 협잡물 처리장치
EP3342283A1 (en) Filter intended for a fish farming system
KR101886425B1 (ko) Mbr 종합 전처리기
KR101251568B1 (ko) 환경친화적인 준설슬러지 탈수처리공법 및 그 장치
KR100518805B1 (ko) 분뇨 및 축산폐수용 협잡물 종합처리기
KR102175759B1 (ko) 수처리용 이물질 분리장치
KR100783024B1 (ko) 원통형의 메쉬스크린과 헬리컬바를 이용한 고액분리장치
KR101609133B1 (ko) 동심 회전식 이중드럼을 구비한 여과 선별기
KR100648972B1 (ko) 유기물질 회수장치
KR200406764Y1 (ko) 일체형 스크린 및 원통형 모래제거기
SK501192017U1 (sk) Zariadenie na ochranu čerpadiel odpadových vôd pre mokré akumulačné komory
KR20120106173A (ko) 협잡물 종합 처리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06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00618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00609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0072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0102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0112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0112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8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102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1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100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2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110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1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112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8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918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1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921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7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917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915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1103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1114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1210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