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997854B1 - 회전식 전기코드 - Google Patents

회전식 전기코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97854B1
KR100997854B1 KR1020080029043A KR20080029043A KR100997854B1 KR 100997854 B1 KR100997854 B1 KR 100997854B1 KR 1020080029043 A KR1020080029043 A KR 1020080029043A KR 20080029043 A KR20080029043 A KR 20080029043A KR 100997854 B1 KR100997854 B1 KR 1009978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cket
terminal
mold
electric cord
rotary electric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290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03431A (ko
Inventor
김연수
Original Assignee
김연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연수 filed Critical 김연수
Priority to KR10200800290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97854B1/ko
Publication of KR200901034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034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78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7854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05Securing in non-demountable manner, e.g. moulding, rivet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01R13/11Resilient socke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5/00Flexible or turnable line connectors, i.e. the rotation angle being limited
    • H01R35/02Flexible line connectors without frictional contact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1/00One pole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회전식 전기코드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소켓부와 플러그부 각각을 일체로 몰딩하여 조립이 용이하고 전기접속력을 향상시켜서 전기결선의 염려가 없는 회전식 전기코드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회전식 전기코드는 중앙에 돌출된 내부단자와, 상기 내부단자를 고정시키는 외부단자와, 내부단자와 결합부를 절연시키는 내부단자몰드 및 외관을 이루는 외부단자몰드로 구성된 플러그부;와 상기 내부단자와 맞물리는 내부소켓과, 상기 외부단자와 결합하는 외부소켓과, 내부소켓을 절연시키는 내부소켓몰드 및 외관을 이루는 외부소켓몰드로 구성된 소켓부;로 이루어져 전원을 공급하는 동시에 회전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있다.
본 발명은 소켓부와 플러그부를 각각 일체로 몰딩하여 전기 결선이 생기는 것을 방지하고 조립시 조립이 간편하여 생산속도를 늘리는 한편 전기 결선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전극의 접지면을 늘려 접속불량이 생기는 것을 방지하며 소켓부와 플러그부의 결합의 텐션을 늘려 결합력을 높이는 장점이 있다.
회전식, 전기코드, 고데기, 몰딩, 텐션

Description

회전식 전기코드{ROTARY CONNECT POWER CORD}
본 발명은 회전식 전기코드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본체과 전원선이 각각 상대회전하면서 전원을 공급하며 소켓부와 플러그부로 결합하고 각각의 구성부분이 일체로 몰딩되어 전기 결선이 안전하며 조립이 간편한 회전식 전기코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본체과 전원선이 회전가능하면서 전원 공급이 되는 장치로서, 종래에도 회전식 전원코드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일 측으로 돌출되도록 되어있는 내부단자(101)와 상기 내부단자(101)를 고정시키는 외부단자(103)와 내부단자와 외부단자(103)를 절연시키는 내부단자몰드(102) 및 플러그부(100)를 지지하는 외부단자몰드(104)로 형성된 플러그부(100);와 상기 내부단자(101)와 맞물리는 내부소켓(115)과 상기 외부단자(103)와 결합하는 외부소켓(116) 및 소켓부를 감싸는 외부소켓몰드(117)로 구성된 소켓부(110);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플러그부(100)의 경우 내부소켓(115)과 외부소켓(116)에 연결되어 있는 전선(118)이 외부소켓몰드(117)에 일체로 몰딩되어 있지 않아 조립시 소켓부(110) 밖에서 별도로 전선결합되어야 하는바 각각의 부품을 따로 조립해야 하는 번거로움 이 있으므로, 생산원가를 상승시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으며,
상기 내부단자(101)와 접지하는 내부소켓(115)의 접지부(115a)가 2면에서 원형으로 접지되어 전극 접점부위가 두 점으로 극히 국지적으로 접촉되어 많을 전류를 공급할 수도 없을 뿐만 아니라 접점 스파크가 자주 일어나 카본이 많이 발생하여 전원 공급이 원활하지 못하여 고장이 잦은 문제가 있었으며, 또한 장기간 사용시 탄성력이 떨어져 접속불량이 발생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소켓부(110)와 플러그부(100)의 결합부분이 외부몰드 부분에 별도로 구비하여야 하여 결합부(119)를 형성하기 위하여 사출성형시 복잡한 과정을 별도로 겪어야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종래의 회전식 전기코드가 갖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회전식 전기코드를 일체로 몰딩하고 접지면을 넓히고 텐션에 의한 결합으로 조립이 간편하고 전기 결선의 염려가 없으며 회전에 의한 접속불량을 제거할 수 있는 회전식 전기코드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중앙에 돌출되어있는 내부단자와 상기 내부단자를 절연시키는 내부단자몰드와 상기 내부단자몰드를 3방향에서 압인한 외부단자와 이를 둘러싸고 있는 외부단자몰드로 이루어진 플러그부와 상기 내부단자와 결합하는 내부소켓과 상기 외부단자와 결합하는 외부소켓과 내부소켓과 외부소켓을 절연시키는 내부소켓몰드와 상기 내부소켓과 상기 외부소켓에 연결된 전선을 포함하여 일체로 몰딩한 외부소켓몰드로 이루어진 소켓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소켓단자의 접지부는 내부단자와 접촉면을 넓히기 위하여 3면으로 형성된 삼각 접지면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소켓부의 음극단자의 가장자리에 내측홈이 형성되고 상기 플러그부에는 돌기가 형성되어 소켓부와 플러그부가 탄성에 의하여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한다.
본 발명에 따른 회전식 전기 코드는 소켓부와 플러그부 각각을 일체로 몰딩 하여 전기 결선이 생기는 것을 방지하고 전선부를 포함하여 일체로 몰딩되어 조립이 간편하여 생산속도를 늘릴 수 있는 한편 소켓부와 플러그부의 결합이 외부단자와 외부소켓에서 일어나 별도의 결합부를 구성할 필요가 없으며,또한 소켓부와 플러그부의 내부단자와 내부소켓의 접지면을 높여 사용에 의한 회전으로 접속불량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해 달성되는 기술적 과제는 다음에서 설명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에 의하여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다음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하여 예시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소켓부(10)의 사시도 및 확대단면도로서 본 발명의 소켓부(10)는 내부소켓(11)과 상기 내부소켓(11)을 절연시키는 내부소켓몰드(12)와 상기 내부소켓몰드(12)를 물고 있는 외부소켓(13)과 상기 내부소켓(11)과 상기 외부소켓(13)에 연결된 전선(14)을 포함하여 일체로 몰딩한 외부소켓몰드(15)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소켓부(10)의 외부소켓(13)은 외측 가장자리 부분에 원형의 내측홈(13a)이 형성되어 플러그부(20)의 외부단자(23)의 돌기(23a)와 탄성에 의해 결합하도록 되어있으며, 이에 따라 별도로 외부나 기타 다른 지점에서 플러그부(20)와 결합부를 따로 구성할 필요가 없게 되는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외부소켓(13)은 금속재질로 구성되어 탄성력이 작다는 점을 고려 하여 탄성결합이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외부소켓(13) 일면에 플러그부(20)와 결합방향으로 'T'자형 슬릿홀(13b)이 형성되어 있어 탄성결합이 용이하고 접속력을 향상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2의 확대단면도를 살펴보면, 상기 외부소켓몰드(15)는 내부소켓(11)과 외부소켓(13)과 이들에 연결되어있는 전선(14)을 포함하여 일체로 사출성형 된 것으로 전선(14)과 내부소켓의 끝부분(11b)과 외부소켓의 끝부분(13c)의 연결부위가 외부소켓몰드(15)에 몰딩되어 외부에 노출되지 않아 전기결선이 일어나지 않으며 상기 회전식 전기코드가 결합되는 본체과 결합시 전선과 소켓부의 전기결합의 제조공정이 생략가능하여 조립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도 3은 소켓부의 정면도로, 상기 내부소켓(11)의 접지면(11a)은 접지면적이 3면에서 삼각형상으로 이루어지도록 구성되어 내부단자(21)와 접촉면적을 넓게 하고 탄성력을 높여서 내부단자(21)과 내부소켓(11)의 접촉불량을 최소화하며 전기코드의 회전에 의하여 내부단자(21)와 내부소켓(11)의 결합이 헐거워지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접속력을 향상시켰다. 또한 상기 외부소켓몰드(15)는 둥근 모양의 원형돌기(15b)와 원형돌기(15b) 상부에 직사각형 돌기(15c)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어 본체의 결합시 본체에 고정되어 플러그부(20)가 사용시 회전하여도 소켓부(10)는 회전하지 않도록 고정하도록 구성된다.
도 4와 도 5는 플러그부(20)의 사시도 및 정면도로서, 플러그부(20)는 중앙에 돌출되어있는 내부단자(21)와 상기 내부단자(21)를 절연시키는 내부단자몰드(22)와 상기 내부단자몰드(22)를 3방향에서 압인한 외부단자(23)와 이를 둘러싸 고 있는 외부단자몰드(24)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외부단자(23)는 내부단자몰드(22)를 3방향에서 삼각형상으로 압인하여 종래 원형으로 둘러싸는 형태보다 결합력이 강하다. 따라서 외부단자(23)에 외부소켓(13)이 결합되어 본체의 사용에 의하여 플러그부가 회전하여도 접촉이 원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외부단자몰드(24)는 상기 내부단자(21)와 외부단자(23)를 포함하여 일체로 구성되어 소켓부(11)의 외부소켓몰드(15)와 결합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외측에 이중으로 원형 돌기(24a)가 형성되어 본체과 결합되어 회전이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
도 6은 소켓부(10)와 플러그부(20)의 결합을 나타내는 결합도로서, 결합은 소켓부(10)의 외부소켓(13)의 내측홈(13a)과 플러그부(20)의 외부단자(23)에 형성된 돌기(23a)에 의하여 탄성결합되며, 결합 후 내부단자(21)와 내부소켓(11)이 접지하고 외부단자(23)와 외부소켓(13)이 접지하여 전류가 흐르게 되고, 내부단자(21)는 둥근 원통형을 이루고 있어 내부소켓(11)의 접지부(11a)와 접지한 후에도 회전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외부단자몰드(24)와 외부소켓몰드(15)는 외부단자(23)와 외부소켓(13)의 결합시 이중으로 결합하게 되며 외부소켓몰드(15)는 외부단자의 결합턱(15a)까지 밀려 결합하게 되며 이때 소켓부(10)와 플러그부(20)가 외부단자몰드와 외부소켓몰드의 결합에 감싸져 외부에 노출되지 않으므로 전류 방전의 위험이 없고 전기결합이 결손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도 7은 회전식 전기코드와 본체(1)의 결합도를 나타내는 것으로 , 상기 본 체(1)와 결합시 외부소켓몰드(15)에 둥근 모양의 원형 돌기(15b)와 원형돌기(15b) 상부에 형성된 직사각형 돌기(15c)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어 본체의 이에 대응하는 내측홈(1a)과 결합시 본체(1)에 고정되어 플러그부(20)가 사용시 회전하여도 소켓부(10)는 직사각형 돌기(15c)에 의하여 회전하지 않도록 고정되며, 외부단자몰드(24)에 이중 돌기(24a)는 본체(1)의 내측홈(1b)에 결합하여 회전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소켓부(10)와 플러그부(20)가 결합된 회전식 전기코드와 결합되는 본체(1)는 일반적으로 고데기와 같은 회전이 필수불가결하게 요구되는 제품에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그 이외에도 다른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본체(1)의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기술적 사상이 허용되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경되어 실시될 수 있다.
도 1은 회전식 전기코드의 종래 기술에 대한 분리 사시도.
도 2는 회전식 전기코드의 소켓부에 대한 측면도 및 확대단면도.
도 3은 회전식 전기코드의 소켓부의 정면도.
도 4는 회전식 전기코드의 플러그부의 측면도.
도 5는 회전식 전기코드의 플러그부의 정면도.
도 6은 회전식 전기코드의 소켓부와 플러그부의 결합 상태도.
도 7은 회전식 전기코드와 본체의 결합을 나타내는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본체 1a,1b:내측홈
10:소켓부 11:내부소켓
12:외부소켓몰드 13:외부소켓
13a:내측홈 13b:외부소켓 'T'자 슬릿홈
14:전선부 15:외부소켓몰드
15a:결합턱 15b:원형돌기
15c:직사각형의 고정돌기 20:플러그부 21:내부단자 22:내부단자몰드 23:외부단자 23a:외부단자돌기
24:외부단자몰드 24a:본체결합회전부

Claims (3)

  1. 중앙에 돌출되어있는 내부단자(21), 상기 내부단자(21)를 절연시키는 내부단자몰드(22), 상기 내부단자몰드(22)를 3방향에서 압인한 외부단자(23) 및 상기 외부단자를 둘러싸고 있는 외부단자몰드(24)로 이루어진 플러그부(20);
    상기 내부단자(21)와 결합하는 내부소켓(11), 상기 외부단자(23)와 결합하는 외부소켓(13), 내부소켓(11)과 외부소켓(13)을 절연시키는 내부소켓몰드(12) 및 내부소켓(11)과 외부소켓(13)에 연결된 전선(14)을 포함하여 일체로 몰딩한 외부소켓몰드(15)로 이루어진 소켓부(10);를 포함하되,
    상기 소켓부(10)의 외부소켓(13) 가장자리에는 내측 홈(13a)이 형성되고, 내부 중앙에는 상기 플러그부(20)와의 결합방향으로 T 형상의 슬릿홀(13b)이 형성되며, 상기 플러그부(20)의 외부단자(23)에는 돌기(23a)가 형성되어, 소켓부(10)와 플러그부(20)가 탄성에 의하여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전기코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소켓(11)의 접지부(11a)는 내부단자(21)와 접촉면을 넓히기 위하여 3면으로 형성된 삼각 접지면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전기코드.
  3. 삭제
KR1020080029043A 2008-03-28 2008-03-28 회전식 전기코드 Expired - Fee Related KR1009978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9043A KR100997854B1 (ko) 2008-03-28 2008-03-28 회전식 전기코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9043A KR100997854B1 (ko) 2008-03-28 2008-03-28 회전식 전기코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3431A KR20090103431A (ko) 2009-10-01
KR100997854B1 true KR100997854B1 (ko) 2010-12-01

Family

ID=415329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29043A Expired - Fee Related KR100997854B1 (ko) 2008-03-28 2008-03-28 회전식 전기코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9785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422119B2 (ja) 2011-07-26 2018-11-14 ゴゴロ インク 収集充電分配装置間でバッテリなどの電力貯蔵装置を再分配するための装置、方法及び物品
US9830753B2 (en) 2011-07-26 2017-11-28 Gogoro Inc. Apparatus, method and article for reserving power storage devices at reserving power storage device collection, charging and distribution machines
JP2014529118A (ja) 2011-07-26 2014-10-30 ゴゴロ インク 電力蓄積デバイス収集、充電、および分配マシンにおける電力蓄積デバイスの可用性に関係する情報を提供するための装置、方法、および物品
US10186094B2 (en) 2011-07-26 2019-01-22 Gogoro Inc. Apparatus, method and article for providing locations of power storage device collection, charging and distribution machines
JP6162696B2 (ja) 2011-07-26 2017-07-12 ゴゴロ インク 電力蓄積デバイスコンパートメントのための装置、方法、および物品
ES2802906T3 (es) 2013-03-15 2021-01-21 Gogoro Inc Sistema modular para la recogida y distribución de dispositivos de almacenamiento eléctrico
EP3180821B1 (en) * 2014-08-11 2019-02-27 Gogoro Inc. Multidirectional electrical connector and plug
CN116587899A (zh) 2014-09-04 2023-08-15 睿能创意公司 可携式电能储存器充电及双向分配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3431A (ko) 2009-10-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97854B1 (ko) 회전식 전기코드
KR102643063B1 (ko) 모듈 커넥터
FI71445C (fi) Elkopplingsanordning
US8079877B1 (en) Power adapter connecting in a surface to surface contact
KR101611899B1 (ko) 방수 가능한 전기 접속구
JP2004531046A (ja) 電源プラグ
US20100151699A1 (en) Electric connector apparatus
KR101442790B1 (ko) 차단기의 콘택트 시스템
KR101518009B1 (ko) 콘센트 어셈블리
JPH10125407A (ja) 一対の導電ピンと必要に応じて1つの接地ピンを有する電気器具プラグ用のプラグブリッジ
KR200460350Y1 (ko) 가압구가 구비된 콘센트
KR101884421B1 (ko) 멀티 회전 콘센트
JP2012164474A (ja) 回転コネクタ
JP2010192140A (ja) 高電圧対応多極プラグコネクター
KR100989404B1 (ko) 회전형 안전 콘센트
CN209981571U (zh) 插座
CN223156373U (zh) 一种具有防水功能的dc直流插头
JP2004039393A (ja) 電源プラグ
KR100922149B1 (ko) 조인트커넥터 어셈블리
US2498642A (en) Electrical receptacle
CN118399154B (zh) 旋转插座
CN222234030U (zh) 储能插座电连接器
CN207910158U (zh) 一种防火花自锁连接器
CN203503518U (zh) 微型防水开关
KR200167838Y1 (ko) 회전형 전원스위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8032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912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0083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0112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0112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1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112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61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