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996560B1 - 프로테아제 활성화제를 포함하는 화장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프로테아제 활성화제를 포함하는 화장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96560B1
KR100996560B1 KR1020087004443A KR20087004443A KR100996560B1 KR 100996560 B1 KR100996560 B1 KR 100996560B1 KR 1020087004443 A KR1020087004443 A KR 1020087004443A KR 20087004443 A KR20087004443 A KR 20087004443A KR 100996560 B1 KR100996560 B1 KR 1009965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lete delete
composition
skin
acid
exfoliat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044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30109A (ko
Inventor
파울로 유. 지아코모니
피터 제이. 렌티니
이스마일 시에드
로스 마리에 스파라시오
Original Assignee
이엘씨 매니지먼트 엘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엘씨 매니지먼트 엘엘씨 filed Critical 이엘씨 매니지먼트 엘엘씨
Publication of KR200800301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301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65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6560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10Washing or bath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6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61K8/365Hydroxycarboxylic acids; Ketocarboxylic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6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61K8/368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with carboxyl groups directly bound to carbon atoms of aromatic r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0Sugars;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0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8/602Glycosides, e.g. rut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4Proteins; Peptides;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 A61K8/66Enzym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7Vitamins
    • A61K8/671Vitamin A; Derivatives thereof, e.g. ester of vitamin A acid, ester of retinol, retinol, retin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2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the composition as a whole
    • A61K2800/28Rubbing or scrubbing compositions; Peeling or abrasive compositions; Containing exfolia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밤나무 추출물과 같은 프로테아제 활성화제, 1 이상의 박리제, 및 화장품에 허용되는 비히클을 포함하는 박리용 조성물, 및 이의 사용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박리용 조성물, 프로테아제 활성화제, 박리제

Description

프로테아제 활성화제를 포함하는 화장용 조성물{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A PROTEASE ACTIVATOR}
본 발명은 피부 도포용 화장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각질층에 존재하는 효소의 활성화제를 제공함으로써 피부에 보다 광채가 나게 하고, 보다 활기를 띄게 하며, 보다 매끈하게 하여, 전체적인 외관을 향상시키는 화장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각질층으로 알려진 피부의 최외층은 주로 탈수화된 케라틴 단백질로 구성된 세포로 구성된다. 분화라고 불리는 정상적인 과정에서, 표피 세포는 아래에 있는 세포에 의해 표면으로 점차 올라오게 되어 박리된다. 비정상적인 과정, 즉, 이들 세포가 박리되지 않는 경우에는, 이들은 표면에 축적되어 불쾌감을 야기시키는 과다각화성 조직을 형성하게 된다. 포유동물에서 과다각화성 조직은 각화과다증 조직(tyloma)(굳은살 및 열창), 티눈(heloma/corn), 각화증 조직(구직, papule) 및 비듬을 포함하는 건조 피부 파편 및 조각을 포함한다.
박리는 각질층으로부터 분리될 조각난 각질세포를 제거하여, 보다 매끈하고 덜 조각난 피부로 만든다. 박리는 피부로부터 이물, 기름 및 미생물을 기계적으로 제거하는 것을 도움으로써 피부 클린싱을 개선시킨다. 상기 제시한 바와 같은 파 편(조각) 제거 및 기름 제거의 개선 이외에 박리에 의한 또다른 가능한 건강상 이점은 피부 상에 박테리아가 감소되며, 기계적인 자극에 의해 피부로의 혈류가 증가될 수 있다는 것이다.
과다각화성 조직을 관리하는 통상적인 방법은 로션 또는 크림 담체 중의 알파 히드록시산(AHA)이나 또는 살리실산과 같은 각질용해제를 도포하거나 또는 기계적으로 스크래핑하여 박리를 유도하는 것이다. 하지만 이러한 각질용해제와 기계적 스크래핑은 이들이 정상적인 표피를 자극하는 경향이 있어 바람직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화장품 분야에서의 사용이 허여된 살리실산의 양은 나라마다 다양하여, 모든 시장에서 민감성 피부를 갖는 몇몇 소비자를 위해 하나의 제품을 제제화하는 데에는 다소 제약이 있다. 또한, 살리실산은 AHA보다는 약하긴 하지만 자극적일 수 있다. 글루코사민 또는 이의 유사체와 같은 성분이 살리실산의 양을 감소시키기 위해 살리실산에 첨가되어 왔지만, 만족스러운 박리를 제공하는 조성물의 개발에 대한 요구가 여전히 존재한다.
밤나무의 글루시딕 정제 분획물은 고착 또는 박리 과정을 정상화시킴으로써 피부의 장벽 기능을 조절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조절은 표피 지질 합성 메카니즘을 재구성하고 표피 분화를 향상시킴으로써 일어난다. 따라서, 글루시딕 정제 분획물은 피부의 항상성과 피부의 수화 상태를 유지시키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하지만 각질층의 효소 작용을 조정함으로써 피부를 박리시키기 위해, 밤나무 추출물과 다른 성분을 조합시키는 본 발명은 지금까지 알려지지 않았다.
따라서, 자극 또는 다른 원치않는 부작용이 나타나지 않는 박리 조성물 및 박리 방법에 관한 요구가 있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은 1 이상의 밤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프로테아제 활성화제, 1 이상의 박리제, 및 화장품에 허용되는 비히클을 포함하는 박리용 조성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또한 프로테아제 활성화제와 박리제를 조합시켜 밤나무 추출물과 같은 프로테아제 활성화제의 박리 활성을 향상시키는 단계, 및 프로테아제 활성화제와 박리제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피부에 국소 도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인간 피부의 박리 방법을 포함한다.
각질층에서, 각질세포는 단백질 결합 뿐 아니라 사카라이드 결합을 통해 함께 결합되어 있다. 어떠한 이론에 구속되는 것은 아니지만, 산성 크림 및 로션의 사용은 이러한 결합을 파괴시키나, 상기 기술한 바와 같은 바람직하지 않은 부작용도 야기시킨다고 여겨진다. 산성 물질 없이 각질의 상호 결합을 파괴시키기 위해서는, 물질이 두개 유형의 결합 모두에 작용하여야만 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프로테아제 활성화제와 박리제의 조합을 통해, 프로테아제 활성화제의 박리 활성이 놀라울 정도로 향상시킨다. 또한, 어떠한 이론에 구속되는 것은 아니지만, 본 발명의 조성물 중의 조합물은 트립신 또는 키모트립신과 같은 존재하는 프로테아제의 활성을 향상시켜 단백질 결합을 파괴시키면서도 사카라이드 결합을 전위(displacement)시킬 수 있다. 또한 별개의 메카니즘에 따라 작용하는 공지된 박리제와 비교시에 프로테아제 활성화제의 고유의 약한 박리 작용은 별개의 메카니즘에 의해 작용하는 공지된 박리제의 존재 하에서 향상된다는 것이 놀랍게도 발견되었다.
하기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프로테아제 활성화제 단독은 피부에 도포시에 고유의 박리 작용이 거의 나타나지 않는다. 또한, 하기 표 2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공지된 박리제와 프로테아제 활성화제의 조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피부에 도포시 전체적인 박리 작용의 개선이 나타났다. 프로테아제 활성화제와 박리제의 조합물은 놀랍게도 프로테아제 활성화제가 프로테아제가 단독으로 나타내는 것보다 큰 박리 작용을 갖게 한다.
본 발명의 박리용 조성물의 제1 필수 성분은 1 이상의 밤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프로테아제 활성화제이다. 프로테아제 활성화제는 폴리사카라이드(예, 올리고사카라이드), 세라마이드, 스핑고신, 피토신 및 리신, 또는 이를 함유하는 적합한 식물 유래 분획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바람직하게는, 밤나무 추출물은 파가세애(Fagaceae) 과의 카스타네아 사티바(Castanea sativa)이다. 물 및 알콜 유도된 추출물, 및 글루시딕 정제 추출물 및 가수분해된 추출물을 포함하여, 밤나무 추출물의 다른 형태도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밤나무의 글루시딕 정제 분획물이 본 발명의 조성물에 사용된다(실랍(Silab)으로부터 레코베린(Recoverine)®으로서 상업적으로 입수가능함). 밤나무 추출물의 활성 성분은 람노갈락투로난스 및 우론산을 비제한적으로 포함한다. 상업적으로 입수가능한 프로테아제 활성화제로서 작용하는 다른 활성물에는 예를 들어, 노팔선인장(선인장 열매)로부터의 올리고사카라이드의 추출물인 실랍으로부터 엑스폴엑티브(Exfolactive)®가 비제한적으로 포함된다.
프로테아제 활성화제는 반응 평형 상수(Km)에 의해 계산된 양으로 사용된다. 프로테아제 활성화제는 건조 활성 성분 중량을 기준으로 약 0.001 내지 10%, 바람직하게는 약 0.1 내지 8%,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0.4 내지 6%의 양으로 사용된다.
본 발명의 2차 필수 성분은 박리제이다. 박리제는 피부의 박리를 돕는 것으로 당업자에게 공지된 임의의 성분이다. 본 발명의 박리제에는 베타 히드록시산, 알파 히드록시산, N-아세틸-D-글루코사민 및 이의 유사체, 단백분해 효소, 및 레틴산 및 이들의 유도체가 비제한적으로 포함된다. 베타 히드록시산 및 알파 히드록시산은 글리콜산, 락트산, 살리실산, 메틸락트산, 시트르산, 말산, 타르타르산, 사카르산, 글루코헵톤산, 갈락투론산, 글루쿠론산, 만델산, 점액산, 피루브산, 타르트론산, 글루코로노락톤 및 글루코노락톤과 같은 락톤, 및 이들 화합물의 에스테르 및 알킬 및 알케닐 유도체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단백분해 효소는 파파인, 펩신, 펩티다제, 트립신 및 엔테로키나제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글루코사민 유사체는 수크로스, 프룩토스, 글루코스, 자일로스, 리보스, 푸코스, 자일로스 및 이들의 이량체, 삼량체, 및 올리고머 및 글리세롤, 소르비톨, 및 이들의 올리고머와 같은 다른 폴리올을 비제한적으로 포함한다. 박리제로서 N-아세틸-D-글루코사민 또는 프로테아제 억제제와 조합되는 박리제로서 N-아세틸-D-글루코사민과 베타 히드록시산의 조합물이 특히 바람직하다. 가장 특히 바람직하게는, 베타 히드록시산은 살리실산이다.
박리제는 약 0.01 내지 20%, 바람직하게는 약 0.1 내지 5%,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0.1 내지 2.0%의 양으로 사용되지만, 이 양은 조성물에 대해 선택되는 박리제에 따라 다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박리제가 N-아세틸-D-글루코사민인 경우, 본 발명에 유용한 양은 약 0.01 내지 2.0%, 바람직하게는 약 0.05 내지 1.0%,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0.1 내지 0.5%이며; 박리제가 살리실산인 경우, 본 발명에 유용한 양은 0.01 내지 5.0%,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2.0%, 가장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1.0%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피부 도포시에 박리 작용을 향상시킬 수 있는 양으로, 국소적으로 유용한 임의 유형의 비히클에 사용될 수 있다. 담체는 화장품에 허용되는 것들, 즉, 피부 도포를 위한 화장품 용도의 비히클일 것이며, 이러한 비히클은 활성 성분을 목적하는 표적에 전달하여, 치료하고자 하는 표면에 도포되는 경우 일반적인 인간에게 해를 끼치지 않을 것이다. 본원에 사용된 "화장품"은 활성 성분과 상용성인 인간용 화장품, 즉, 겔, 크림, 로션, 연고, 스프레이, 고형 스틱, 파우더, 현탁액, 분산액 등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다양한 유형의 비히클 제제화용 기법은 당업계에 주지되어 있으며, 예를 들어, 본원에 참고문헌으로 인용되는 문헌 [Chemistry and Technology of the Cosmetics and Toiletries Industry, Williams and Schmitt, eds., Blackie Academic and Professional, Second Edition, 1996 Harry's Cosmeticology, Eighth Edition, M. Reiger, ed. (2000)], 및 [Remington: The Science and Practice of Pharmacy, Twentieth Edition, A. Gennaro, ed, (2003)]에서 확인될 수 있다.
국소 전달에 유용한 임의의 통상적인 조성물, 예를 들어, 수분산액, 수성 조성물, 에멀젼(실리콘/수중유, 유중수/실리콘, 다중 에멀젼, 마이크로에멀젼, 나노에멀젼)이 사용될 수 있는데, 다만 성분들은 본 발명의 필수 성분과 상용성이어야 한다. 예를 들어, 일부 실리콘 에멀젼화제는 어떤 성분들과는 비상용성일 수 있으며, 이 경우 비실리콘 기재 에멀젼 조성물을 사용하여야만 한다. 이러한 요구는 통상적인 실험을 통해 결정될 수 있다.
임의 성분
추가적 성분으로서 항산화제(예: BHT); 킬레이트제(예: 이나트륨 EDTA); 방부제(예: 메틸 파라벤); 향수(예: 피넨); 습윤제(예: 글리세린); 보습제(예: 콜레스테롤, 부틸렌 글리콜); 비타민(예: 토코페롤); 태양광 차단제(예: 옥틸 메톡시신나메이트, 이산화 티탄, 산화 아연, 캄포 유도체, 신나메이트, 살리실레이트, 벤조페논, 트리아진, PABA 유도체, 디페닐아크릴레이트 유도체, 및 디벤조일메탄 유도체) 등이 비제한적으로 포함된다.
본 조성물은 또한 1 이상의 추가 활성 성분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것으로는 박리용 화장품 이외의 화장용 조성물 또는 제약 조성물일 수 있으며, 당업자는 본 발명에서 논의되는 조성물의 유효성을 결정하기 위해 예컨대 항노화 및 농도를 결정할 수 있다. 이러한 추가 활성 성분은 본 발명의 조성물의 박리성을 방해하지 않으면서도 자극과 같은 부작용에 영향을 주지 않는 농도로 첨가된다. 유용한 활성물의 예에는 검버섯, 각화증 및 주름을 개선시키거나 또는 근절시키는 것들, 진통제, 마취제, 항여드름제, 항박테리아제, 항효모제, 항진균제, 항바이러스제, 항피부염제, 항가려움제, 항구토제, 항과다각질용해제, 피부 건조 방지제, 항건성증제, 항지루제, 항노화제, 항주름제, 항히스타민제, 상처치료제, 비타민, 코르티코스테로이드, 탄닝제 또는 호르몬제를 비제한적으로 포함한다. 유용한 활성제의 보다 구체적인 예에는 토코페롤 및 이들의 에스테르 및 아미드 유도체; 상어 연골; 우유 단백질; DHEA 및 이들의 유도체; 국소 심혈관제; 클로트리마졸, 케토코나졸, 미코나졸, 그리세오풀빈, 히드록시진, 디펜히드라민, 프라목신, 리도카인, 프로카인, 메피바카인, 모노벤존, 에리트로미신, 테트라시클린, 클린다마이신, 메클로실린, 히드로퀴논, 미노시클린, 나프록센, 이부프로펜, 테오필린, 크로몰린, 알부테롤, 히드로코르티손, 히드로코르티손 21-아세테이트, 히드로코르티손 17-발러레이트, 히드로코르티손 17-부티레이트, 베타메타손 발러레이트, 베타메타손 디프로프리오네이트, 트리아미놀론 아세토나이드, 플루오시노나이드, 클로베타솔, 프로프리오네이트, 벤조일 페록시드, 크로타미톤, 프로프라놀, 프로메타진, 및 이들의 혼합물이 포함된다.
본 제제의 특히 바람직한 실시태양은 박리용 조성물로서 사용되는 피부 관리 제제이다.
본 조성물은 수용성 성분을 함께 혼합시키고, 오일 가용성 성분을 함께 혼합시킨 후, 원하는 에멀젼 유형에 따라 오일 혼합물을 수 혼합물에 첨가하거나 또는 수 혼합물을 오일 혼합물에 첨가함으로써 제제화된다.
사용 방법
본 발명의 조성물은 인간 피부에 대한 박리성을 향상(특히 얼굴에 대한 박리 균일성을 향상)시키며, 화장용 조성물을 사용하여 피부의 외관을 개선시킬 뿐 아니라, 피부의 라인 및 주름을 감소시키는 방법에서의 조성물로서 특히 유용하다. 본 발명의 방법은 프로테아제 활성화제의 박리 활성의 향상에 관한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박리 활성이 향상된 프로테아제 활성화제는 밤나무 추출물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밤나무 추출물은 밤나무의 글리시딕 정제 분획물 또는 가수분해된 밤나무 추출물이다. 바람직하게는, 박리제는 N-아세틸-D-글루코사민 및 베타 히드록시산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베타 히드록시산은 살리실산이다.
이러한 방법은 본 발명의 조성물의 안전 유효량을 투여하거나 또는 피부에 국소 도포하는 것을 포함한다. 본 조성물의 성분의 양은 원하는 박리 정도 및 개개인의 피부 유형에 따라 다양할 것이다.
약 1월 1회 내지 약 1일 2회, 바람직하게는 약 1주 1회 내지 약 2일 1회,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1일 1회의 범위로 국소 투여하는 예가 제안된다. 바람직하게는, 본 조성물은 2 mg/cm2 내지 100 mg/cm2의 양으로 도포된다. 피부에 도포되는 조성물의 양은 원하는 적용 범위에 따라 다양할 것이다.
다음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더욱 예시할 것이지만, 본 발명은 이로 제한되지 않는다.
실시예 1
밤나무 추출물(레코베린®)을 단독으로 포함하는 본 발명의 조성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공지된 박리제인 실리실산 및 N-아세틸 글루코사민(NADG)과 24 시간 동안의 박리성 면에서 비교하였다.
20명의 여성의 얼굴에 조성물을 아침에 한번, 저녁에 한번, 총 두번 도포하였다. 하나의 제제를 얼굴의 오른쪽 편에 도포하였고, 또다른 제제를 얼굴의 왼쪽 편에 도포하였다.
다음날 아침, 피부 박리성을 D-스콰메스(D-Squames, CuDerm Corporation, Dallas, Texas)를 통해 평가하였다. 이들의 22 mm 지름의 깨끗하게 코팅된 디스크는 각질층으로부터 표면의 각질세포를 제거하는 접착제의 균일층을 갖는다. 두개의 D-스콰메스를 각각 방문시마다 각각의 부위에서 채취하여 깨끗한 현미경 슬라이드에 두었다. 그 후 라이트 박스에서 슬라이드에 조명을 비추어 CCD 비디오 카메라를 통해 관찰하였다. 시료의 비디오 화상을 소형 컴퓨터에서 캡쳐하여 화상 분석 프로그램 Optimas 6.51로 처리하였다. 피부 박리를 통합 광학 밀도(IOD)로 평가하였다. IOD가 감소됨에 따라, 푸석푸석한 세포와 파편들이 보다 적게 제거되고 있는 것이며, 이에 따라 피부가 보다 매끈해진 것이다.
수행된 시험의 기본 제제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고,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물의 양을 조절하여 본 실험에서 시험되는 밤나무 추출물과 박리제의 첨가를 조절하였다. 필수 성분 이외에, 상기 조성물은 방부제, 보습제 및 증점화제와 같은 추가 성분을 포함하였다.
성분
84.85%
렉솔(Lexol) GT-865/리포네이트(Liponate) G 8.50%
시물겔(Simulgel) 600 (아크릴아미드/소듐 아크릴로일디메틸 타우레이트 공중합체&이소헥사데칸&폴리소르베이트 80) 1.00%
1,3 부틸렌 글리콜 2.00%
페녹세톨(Phenoxetol, 페녹시에탄올) 0.70%
센시바(Sensiva) SC 50 (2-에틸헥실 글리세릴에테르) 0.50%
카프릴릴 글리콜(Diocide®) 0.70%
반잔(Vanzan)® NF-F (잔탄 검) 0.50%
EDTA BD/NA 2(이나트륨 에틸렌디아민테트라아세트산 염) 0.050%
총계 98.80%
결과
밤나무 추출물 (%) N-아세틸-D-글루코사민 (%) 살리솜(Salisomes) (%) (10% 살리실산 함유) 박리 파라미터 개선도 (%)
G1 0 0.2 0 10
Y1 0 0.2 5.0 15
G2 1 0.2 0 12
O 4 0.2 0 16
Y2 4 0.2 5.0 20
5 0 5.0 14
G3 5 0 0 2
상기 표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밤나무 추출물(레코베린®)을 5%의 양으로 단독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은 상기 기술한 IOD 측정에 기초한 박리 파라미터 개선도(%)가 박리제가 없는 대조군에 비해 2% 증가하였으나(G3 행 참조), 공지된 박리제 N-아세틸-D-글루코사민(NADG)를 0.2%의 양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은 대조군에 비해 박리 파라미터 개선도가 10% 증가하였다(G1 행 참조). 따라서 레코베린®은 박리제로서 NADG보다 상대적으로 덜 유효한 것으로 생각된다.
하지만, 놀랍게도, 0.2% NADG와 레코베린® 1% 및 4%의 조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박리 파라미터 개선도가 0.2% NADG만의 조성물에 비해 각각 10% 에서 12%로, 10%에서 16%로 증가하였다(G2 행 및 O 행을 각각 G1 행과 비교). 결론적으로, NADG와 비교하여 안좋은 박리제로 여겨지는 레코베린®은 공지된 박리제에 첨가되었을 때, 예상치못하게 매우 큰 박리 파라미터 개선도가 나타났다. 단독으로 분석시, 5% 레코베린®은 대조군에 비해 2% 박리 파라미터 개선도를 수득하였지만(G3 행 참조), 0.2% NADG와의 조합물을 분석시에는, 1% 레코베린®은 0.2% NADG 단독에 비해 2% 박리 파라미터 개선도를 얻었으며(12%-10% = 2%, G2 행 및 G1 행 참조), 4% 레코베린®은 0.2% NADG 단독에 비해 6% 박리 파라미터 개선도를 얻었다(16%-10% = 6%, O 행 및 G1 행 참조). 이는 4% 레코베린®과 0.2% NADG의 조합이 레코베린® 단독에 비해 박리 파라미터 개선도면에서 3배 증가하였다는 점에서 놀라운 것이다(G3 행에 나타낸 2%(단독) vs O 행 및 G1 행에 나타낸 6%(0.2% NADG와의 조합물); 2%*3=6%).
1% 레코베린®과 0.2% NADG의 조합시에, 그 결과는 1% 레코베린®과 0.2% NADG 조합물이 5% 레코베린® 단독에 필적하는 박리 활성을 나타내었기 때문에 매우 놀랄만큼은 아니더라도 균등한 것이었다(즉, 5% 레코베린® 단독에서는 G3 행에 나타낸 바와 같이 2% 박리 파라미터 개선도가 나타났고, 0.2% NADG와 조합된 1% 레코베린®의 경우에도 역시 G2 행 및 G1 행에 나타낸 바와 같이 2% 박리 파라미터 개선도가 나타났음). 따라서 0.2% NADG와 조합된 1% 레코베린®은 5% 레코베린® 단독보다 5배 효과적이었다.
0.2% NADG와 조합된 레코베린®에서 확인된 것과 유사한 결과가 0.2% NADG 및 살리실산(10% 살리실산을 함유하는 5% 살리소메스®의 양으로 존재함)과 조합된 레코베린®에서 나타났다. 4% 레코베린®이 0.2% NADG와 살리실산(10% 살리실산 함유 5% 살리소메스®)의 조합물에 첨가된 경우, 박리 파라미터 개선도는 15%(레코베린®이 없는 경우, Y1 행 참조)에서 20%(레코베린®이 존재하는 경우, Y2 행 참조)로, 5% 증가한다. 이러한 증가는 역시 5% 레코베린® 단독에 의해 나타나는 박리 파라미터 개선도보다 우수하다(G3 행 참조). 사실, 0.2% NADG 및 10% 살리실산 함유 5% 살리소메스®과 조합된 4% 레코베린®은 5% 레코베린® 단독보다 박리 파라미터 개선도가 3배 이상 효과적이었다(0.2% NADG와 10% 살리실산 함유 5% 살리소메스®의 조합물에 첨가된 4% 레코베린®은 박리 파라미터 개선도를 5% 증가시켰고(Y1 행 및 Y2 행 참조), 이에 반해 5% 레코베린® 단독은 박리 파라미터 개선도를 2% 증가시켰음(G3 행 참조). 상기 데이타에 근거시, 약 12.5% 레코베린® 단독은 0.2% NADG 및 10% 살리실산 함유 5% 살리소메스®과 조합된 4% 레코베린®에 비해 박리 파라미터가 5% 증가될 것이다(12.5%를 4%로 나누면 3.125%이며, 따라서 0.2% NADG 및 10% 살리실산 함유 5% 살리소메스®과 조합된 4% 레코베린®은 5% 레코베린® 단독보다 3배 이상 우수함). 그러므로, 레코베린®은 공지된 박리제와 조합시 박리제로서의 기능이 향상된다.
본원에서 예시되고 기술된 발명의 구체적인 양태들은 단지 대표적인 것일 뿐임이 이해되어야만 한다. 본 명세서에서 제시하는 것들을 비제한적으로 포함하는 변화가 본 명백한 개시 내용에서 벗어나지 않는다면 예시적인 실시태양으로 만들어질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전 권리범위를 결정하는데에는 하기 첨부되는 특허청구범위가 참조되어야만 한다.

Claims (26)

  1. 파가세애 과(family Fagaceae) 카스타네아 종(Castanea genus)의 1 이상의 밤나무 추출물;
    N-아세틸-D-글루코사민 및 살리실산으로부터 선택되는 1 이상의 박리제; 및
    화장품에 허용되는 비히클
    를 포함하는 박리용 조성물.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밤나무 추출물이 밤나무의 글리시딕 정제 분획물 또는 가수분해된 밤나무 추출물인 조성물.
  4. 제3항에 있어서, 밤나무 추출물이 밤나무의 글리시딕 정제 분획물인 조성물.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박리제가 살리실산과 N-아세틸-D-글루코사민의 조합물인 조성물.
  10. 제1항에 있어서, 박리제가 N-아세틸-D-글루코사민인 조성물.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KR1020087004443A 2005-08-26 2006-08-23 프로테아제 활성화제를 포함하는 화장용 조성물 Active KR10099656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71165005P 2005-08-26 2005-08-26
US60/711,650 2005-08-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30109A KR20080030109A (ko) 2008-04-03
KR100996560B1 true KR100996560B1 (ko) 2010-11-24

Family

ID=377719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04443A Active KR100996560B1 (ko) 2005-08-26 2006-08-23 프로테아제 활성화제를 포함하는 화장용 조성물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EP (1) EP1916993B1 (ko)
JP (1) JP4845966B2 (ko)
KR (1) KR100996560B1 (ko)
AU (1) AU2006283168B2 (ko)
CA (1) CA2619479C (ko)
ES (1) ES2613953T3 (ko)
WO (1) WO2007024915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147890A (ko) 2023-03-31 2024-10-10 여명바이오켐 주식회사 아시아틱애씨드와 n-아세틸-d-글루코사민의 합성화합물을 포함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110412B1 (fr) * 2020-05-19 2022-05-13 Fiabila Composition cosmétique de soin pour les ongles sous la forme d’un verni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081681A1 (en) * 2002-10-25 2004-04-29 Jacob Vromen Formulations for topical delivery of bioactive substances and methods for their use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04105A (en) * 1990-04-10 1993-04-20 Chanel, Inc. Cosmetic composition
US5391373A (en) 1992-07-01 1995-02-21 Chanel, Inc. Skin cream composition
US5571503A (en) 1995-08-01 1996-11-05 Mausner; Jack Anti-pollution cosmetic composition
KR100253843B1 (ko) * 1997-02-14 2000-07-01 유상옥 율피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제
FR2767833B1 (fr) * 1997-08-29 2001-03-02 Oreal Polypeptide isole de l'epiderme et son utilisation
JP2000247907A (ja) * 1999-02-26 2000-09-12 Kanebo Ltd 角質剥離促進剤、外用剤、化粧料及び角質剥離促進方法
US6800292B1 (en) * 1999-04-22 2004-10-05 Howard Murad Pomegranate fruit extract compositions for treating dermatological disorders
JP2001220344A (ja) * 2000-02-09 2001-08-14 Ichimaru Pharcos Co Ltd 植物水蒸気蒸留水含有化粧料組成物
US20020142013A1 (en) * 2001-01-31 2002-10-03 Maes Daniel H. Cholesterol sulfate and amino sugar compositions for enhancement of stratum corneum function
JP2002234845A (ja) * 2001-02-09 2002-08-23 Naris Cosmetics Co Ltd 皮膚外用剤
JP2002371276A (ja) * 2001-06-14 2002-12-26 Kanebo Ltd 抗酸化剤、それを用いた食品及び化粧品
FR2846236B1 (fr) * 2002-10-24 2006-07-28 Oreal Utilisation d'un oxysterol ou derive, pour le traitement des peaux seches ou du cuir chevelu sec
FR2850024B1 (fr) * 2003-01-16 2007-08-24 Oreal Compositions pour applicaton topique comprenant au moins un polypeptide de la famille des hydrolases a activite amidasique et/ou un produit capable de moduler son activit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081681A1 (en) * 2002-10-25 2004-04-29 Jacob Vromen Formulations for topical delivery of bioactive substances and methods for their us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147890A (ko) 2023-03-31 2024-10-10 여명바이오켐 주식회사 아시아틱애씨드와 n-아세틸-d-글루코사민의 합성화합물을 포함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619479A1 (en) 2007-03-01
EP1916993A4 (en) 2014-12-10
JP4845966B2 (ja) 2011-12-28
JP2009506045A (ja) 2009-02-12
CA2619479C (en) 2012-01-03
ES2613953T3 (es) 2017-05-29
KR20080030109A (ko) 2008-04-03
EP1916993B1 (en) 2016-11-02
AU2006283168B2 (en) 2010-02-18
EP1916993A1 (en) 2008-05-07
AU2006283168A1 (en) 2007-03-01
WO2007024915A1 (en) 2007-03-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52084B2 (en) Methods for fat reduction or elimination of lipid droplets
KR100778992B1 (ko) 체모 성장을 지연시키기 위한 미용 조성물 및 방법
FR2768927A1 (fr) Utilisation de l'acide ellagique, de ses sels, de ses complexes metalliques, de ses derives mono- ou poly-ethers, mono- ou poly-acyles dans le domaine de la cosmetique et de la pharmacie, notamment de la dermatologie
CN113924108B (zh) 包含积雪草的局部用护肤组合物
FR2782919A1 (fr) Composition contre le vieillissement et son utilisation
JP2008143903A (ja) 落屑を促進するためのアニス酸の美容的使用
US20230065900A1 (en)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modulating inflammation and wound healing
EP2051690B1 (en) Use of c-glycoside derivatives as pro-desquamating active agents
JP2005306831A (ja) 皮膚外用剤
KR20230048515A (ko) 천연 스킨케어 조성물
JP2024180459A (ja) N-アシルジペプチド誘導体及び非イオン性脂質を含有する局所用組成物
US20080050331A1 (en)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A Protease Activator
JPH09255547A (ja) 皮膚外用剤
WO2002083087A1 (fr) Promoteurs d'apport de sucre
AU2002243390B2 (en) Cholesterol sulfate and amino sugar compositions for enhancement of stratum corneum function
KR100996560B1 (ko) 프로테아제 활성화제를 포함하는 화장용 조성물
CN118843452A (zh) 使用胶态燕麦的局部用护肤
JP2001172155A (ja) 皮膚外用剤
JP2002128702A (ja) 局所活性成分の効力のモノ−アシル−(リゾ)−グリセロリン脂質による増強方法およびその用途
EP1080719A2 (en) Methods for potentiation of efficacy of topical actives by mono-acyl-(lyso)-glycerophosholipids
FR2968952A1 (fr) Ester d'acide amine n-acyle a titre d'agent apaisant
SE531805C2 (sv) Kosmetiska komposition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80225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80225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0022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0102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0111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0111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04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110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2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1112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1026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1101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1029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