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994976B1 - 광학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광학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94976B1
KR100994976B1 KR1020070099455A KR20070099455A KR100994976B1 KR 100994976 B1 KR100994976 B1 KR 100994976B1 KR 1020070099455 A KR1020070099455 A KR 1020070099455A KR 20070099455 A KR20070099455 A KR 20070099455A KR 100994976 B1 KR100994976 B1 KR 1009949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h
weight
parts
graft copolymer
copolym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994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34200A (ko
Inventor
안태빈
황용연
김민정
정재현
송기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0700994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94976B1/ko
Priority to JP2008256727A priority patent/JP5069198B2/ja
Priority to US12/286,559 priority patent/US7936510B2/en
Priority to CN2008101682445A priority patent/CN101402774B/zh
Publication of KR200900342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342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49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4976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8L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which oxygen atoms are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8L33/08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crylic acid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1/00Compositions of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51/06Compositions of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grafted on to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liphatic hydrocarbons contain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2323/00Functional layers of liquid crystal optical display excluding electroactive liquid crystal layer characterised by chemical composition
    • C09K2323/03Viewing layer characterised by chemical composition
    • C09K2323/031Polarizer or dy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 Manufacture Of Macromolecular Shaped Article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Graft Or Block Polym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i) (메타)아크릴계 수지 및 ii) (메타)아크릴계 고무와 방향족 비닐 화합물의 공중합체에 (메타)아크릴계 수지가 그라프트된 그라프트 공중합체를 상기 i) (메타)아크릴계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5 내지 45 중량부 포함하는 광학필름 및 위상차 필름과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를 제공한다.
광학필름, 편광자 보호필름, 투명성, 인성, 내열성

Description

광학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OPTICAL FILMS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본 발명은 광학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광학적 투명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인성 및 내열성이 우수한 광학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광학필름은 LCD와 같은 표시 장치 등의 전자 소자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근래 광학 기술의 발전에 따라 종래의 브라운관을 대신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DP), 액정 디스플레이(LCD), 유기/무기 EL 디스플레이(ELD) 등 여러 가지의 방식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기술이 제안되고 시판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디스플레이에서는 다양한 플라스틱 필름의 이용이 제안되고 있고, 그 요구 특성이 보다 고도화되고 있다. 예컨대, 액정 디스플레이의 경우, 박형화 및 경량화를 위하여, 그리고 표시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편광판, 위상차 필름, 플라스틱 기판, 도광판 등에 여러 가지 플라스틱 필름이 사용되고 있다.
편광판의 경우, 일반적으로 편광자에 보호필름으로서 트리아세틸 셀룰로오스 필름(triacetyl cellulose 필름, 이하 TAC 필름)을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용액으로 이루어진 수계 접착제로 적층시킨 구조를 갖는다. 그런데, 편광자로서 사용된 폴리비닐알코올 필름과 편광자용 보호 필름으로서 사용된 TAC 필름은 모두 내열성과 내습성이 충분하지 않다. 따라서, 상기 필름들로 이루어지는 편광판을 고온 혹은 고습의 분위기하에서 장시간 사용하면, 편광도가 저하되고, 편광자와 보호필름이 분리되거나 광특성이 저하되기 때문에 용도면으로 여러 가지 제약을 받고 있다. 또한, TAC 필름은 주변 온도/습도 환경변화에 따라 기존에 가지고 있는 면내 위상차 (Rin)와 두께 방향 위상차 (Rth)의 변화가 심하며, 특히 경사방향에서의 입사광에 대한 위상차의 변화가 크다. 이와 같은 특성을 갖는 TAC 필름을 보호필름으로서 포함하는 편광판을 액정표시장치에 적용하면, 주변 온도/습도 환경의 변화에 따라 시야각 특성이 변화하여 화상품질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TAC 필름은 주변 온도/습도 환경 변화에 따른 치수변화율이 클 뿐만 아니라 광탄성계수 값도 상대적으로 커서, 내열, 내습열 환경에서의 내구성 평가 후 국부적으로 위상차 특성의 변화가 발생하여 화상품질이 저하되기 쉽다.
이러한 TAC 필름의 여러 단점들을 보완하기 위한 소재로서 메타크릴(methacryl)계 수지가 잘 알려져 있다. 하지만 메타크릴(methacryl)계 수지는 내충격성이 부족하여 부서지거나 갈라지기 쉽기 때문에, 편광판 생산시 반송성에 문제가 되기 쉽고 생산성이 부족하다고 알려져 있다. 또한, 상기와 필름의 재료로서 아크릴레이트 수지를 이용하는 경우 캐스팅 방법을 이용하여야 하기 때문에 제조방법이 어렵고,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다.
위상차 필름의 경우, 스티렌계 수지로 제조한 필름은 이를 연신 및 배향시킬 때 그 배향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굴절율이 커지는 광학 이방성을 나타내는 재료로서, 이를 연신하여 양의 값의 두께 방향 위상차값(Rth)을 갖는 필름을 제조하는 데 적합한 재료로 알려져 있다. 또한, 스티렌계 수지는 경제성이 우수하고 투명성이 뛰어난 장점이 있다. 그러나, 고가의 특수한 단량체를 함께 사용하여 제조하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내열성에서 불충분하고, 기계적 물성이 열등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를 연신하여 위상차 필름을 제조하는 경우에는 충분한 위상차 기능의 부여가 가능하지만, 연장 정도에 대한 위상차 변화율이 크고, 보다 균일하고 안정적인 위상차 기능을 갖는 필름을 제공하기 어렵다.
상기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광학적 투명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인성 및 내열성이 우수하고, 연신 전에는 광학적 등방성이 우수하여 편광판 보호필름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고, 연신 후에는 균일하고 안정적인 위상차를 제공할 수 있어 위상차 필름으로 사용될 수 있는 광학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i) (메타)아크릴계 수지 및 ii) (메타)아크릴계 고무와 방향족 비닐 화합물의 공중합체에 (메타)아크릴계 수지가 그라프트된 그라프트 공중합체를 상기 i) (메타)아크릴계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5 내지 45 중량부 포함하는 광학필름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a) (i) (메타)아크릴계 수지 및 ii) (메타)아크릴계 고무와 방향족 비닐 화합물의 공중합체에 (메타)아크릴계 수지가 그라프트된 그라프트 공중합체를 상기 i) (메타)아크릴계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5 내지 45 중량부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을 준비하는 단계, 및 b) 상기 수지 조성물을 이용하여 필름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광학필름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광학필름을 연신한 위상차 필름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a) i) (메타)아크릴계 수지 및 ii) (메타)아크릴계 고무와 방향족 비닐 화합물의 공중합체에 (메타)아크릴계 수지가 그라프트된 그라프트 공 중합체를 상기 i) (메타)아크릴계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5 내지 45 중량부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을 준비하는 단계, b) 상기 수지 조성물을 이용하여 필름을 형성하는 단계, 및 c) 상기 필름을 1축 또는 2축 연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위상차 필름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광학필름을 편광자 보호필름으로서 포함하는 편광판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광학필름 또는 위상차 필름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광학필름은 광학적 투명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인성 및 내열성이 우수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광학필름은 연신 전에는 광학적 등방성이 우수하여 편광판 보호필름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어 기존의 고가인 TAC 수지를 대체할 수 있고, 연신 후에는 균일하고 안정적인 위상차를 제공할 수 있어 위상차 필름으로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LCD와 같은 화상표시장치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광학필름은 매트릭스 역할을 하는 (메타)아크릴계 수지에 충격보강제로서 (메타)아크릴계 고무와 방향족 비닐 화합물의 공중합체에 (메타)아크릴계 수지가 그라프트된 그라프트 공중합체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충격 보강제로서 상기와 같은 구성의 그라프트 공중합체를 이용함으로써 인성 뿐만 아니라 내열성 및 광학적 투명성이 우수한 광학필름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그라프트 공중합체는 (메타)아크릴계 고무와 방향족 비닐 화합물의 공중합체가 코어(core)를 구성하고, 그 주변에 상기 (메타)아크릴계 수지가 쉘(shell)을 구성하는 코어-쉘 타입의 그라프트 공중합체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코어에 포함되는 (메타)아크릴계 고무는 그 종류에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유리전이온도가 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알킬 (메타)아크릴레이트가 사용될 수 있으며, 탄소수 2∼8의 알킬기를 가지는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부틸 아크릴레이트 또는 2-에틸 헥실 아크릴레이트를 단독 또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코어에 포함되는 (메타)아크릴계 고무는 그라프트 공중합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20 내지 60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메타)아크릴계 고무의 함량이 20 중량부 미만일 경우에는 인성이 저하될 수 있고, 60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에는 내열성이 저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코어에 포함되는 방향족 비닐 화합물은 벤젠 핵이 하나 이상의 C1 내지 C5의 알킬기 또는 할로겐기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구조의 단량체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예컨대 스티렌, α-메틸스티렌, p-메틸스티렌, 비닐톨루엔과 같은 스티렌단량체 유도체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코어에 포함되는 방향족 비닐 화합물은 그라프트 공중합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10 내지 30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함량이 10 중량부 미만일 경우에는 투명도가 저하될 수 있고, 30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에는 인성이 저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그라프트 공중합체의 쉘을 구성하는 (메타)아크릴계 수지는 (메타)아크릴계 단량체의 호모 또는 공중합체일 수도 있으나, (메타)아크릴계 단량체와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의 공중합체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공중합체들은 추가의 공단량체로서 산 무수물, 비닐시안화합물, (메타)아크릴산 및 이미드계 단량체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단량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그라프트 공중합체의 쉘에 포함되는 (메타)아크릴계 단량체는 에스테르기의 카보닐기와 공액화된(conjugated) 탄소들 간의 이중결합을 가지는 화합물이면 족하고 그것의 치환기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 기재되는 (메타)아크릴계 단량체는 (메타)아크릴레이트 뿐만 아니라 (메타)아크릴레이트 유도체를 포함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알킬아크릴레이트, 알킬메타크릴레이트, 알킬 부타크릴레이트 등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컨대, 상기 (메타)아크릴계 단량체의 예로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이 포함된다:
Figure 112007071130014-pat00001
상기 화학식 1에 있어서,
R1, R2 및 R3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헤테로 원자를 포함하거나 하지 않는 탄소수 1 내지 30의 1가 탄화수소기를 나타내고, R1, R2 및 R3 중 적어도 하나는 에폭시기일 수 있으며; R4는 수소원자 또는 탄소수 1 내지 6의 알킬기를 나타낸다.
구체적으로, 상기 (메타)아크릴계 단량체는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가 바람직하며, 구체적으로 메틸아크릴레이트, 에틸아크릴레이트, 메틸메타크릴레이트, 에틸메타크릴레이트, 메틸에타크릴레이트, 및 에틸에타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메타)아크릴계 단량체가 사용될 수 있으며, 특히 메틸메타크릴레이트(MMA)를 사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그라프트 공중합체의 쉘에 포함되는 (메타)아크릴계 단량체는 상기 그라프트 공중합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20 내지 60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함량이 20 중량부 미만일 경우에는 투명성이 저하될 수 있고, 60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에는 인성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 그라프트 공중합체의 쉘에 포함되는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로는, 벤젠 핵이 하나 이상의 C1 내지 C5의 알킬기 또는 할로겐기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구조의 단량체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예컨대 스티렌, α-메틸스티렌, p-메틸스티렌, 비닐톨루엔의 스티렌단량체 유도체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그라프트 공중합체의 쉘에 포함되는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는 상기 그라프트 공중합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5 내지 25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방향족 비닐 화합물의 함량이 5 중량부 미만일 경우에는 가공성이 저하될 수 있고, 25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에는 인성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 그라프트 공중합체의 쉘에 공단량체로서 산 무수물이 포함되는 경우, 예컨대 카르복실산 무수물을 사용할 수 있으며, 1가 또는 2가 이상의 다가 카르복실산 무수물을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말레산 무수물 또는 이의 유도체를 사용할 수 있으며, 예컨대 하기 화학식 2의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Figure 112007071130014-pat00002
상기 식에서,
R7 R8 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또는 탄소수 1 내지 6의 알킬기를 나타낸다.
상기 그라프트 공중합체의 쉘에 공단량체로서 비닐시안화합물이 포함되는 경우, 예컨대 아크릴로니트릴, 메타아크릴로니트릴, 및 에타아크릴로니트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아크릴로니크릴계 단량체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그라프트 공중합체의 쉘에 공단량체로서 (메타)아크릴산이 포함되는 경우, 예컨대 아크릴산 및 메타크릴산과 이들의 유도체 중 1 이상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그라프트 공중합체의 쉘에 공단량체로서 이미드계 단량체가 포함되는 경우, 예컨대 페닐말레이미드, 시클로헥실말레이미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그라프트 공중합체의 쉘을 구성하는 공중합체에 공단량체로서 산 무수물, 비닐시안화합물, (메타)아크릴산 및 이미드계 단량체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단량체가 포함되는 경우, 이들은 각각 상기 그라프트 공중합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15 중량부 이하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함량이 15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에는 투명성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 고무 성분과 방향족 비닐 화합물의 공중합은 당기술분야에 알려져 있는 방법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무 성분과 방향족 비닐 화합물의 공중합체와 (메타)아크릴계 수지의 그라프트 중합도 역시 당기술분야에 알려져 있는 방법을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예컨대 통상의 유화 중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그라프트 공중합체는 상기 성분들 이외에 용도에 따라 당업계에서 통상 사용되는 개시제, 다관능성 단량체 및 분자량 조절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특히 필름의 두께가 얇아질수록, 즉 연신율이 증가함에 따라 헤이즈가 증가하는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상기 그라프트 공중합체 제조시 그라프트 공중합체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다관능성 단량체를 0.02 내지 2 중량부 추가하여 중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다관능성 단량체는 분자내에 이중 결합이 두 개 이상 존재하는 화합물이라면 제한되지 않고 사용될 수 있으며, 그 예로는 에틸렌 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 디에틸렌 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 트리에틸렌 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 1,3-부탄디올 디메타크릴레이트, 1,6-헥산디올 디메타크릴레이트, 네오펜틸 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 프로판 트리메타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 메탄 트리아크릴레이트, 알릴 메타크릴레이트, 트리알릴 이소시아누레이트, 트리알릴 아민 또는 디알릴 아민 등이 있고, 이들 단량체를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다관능성 단량체는 상기 그라프트 공중합체의 코어 및/또는 쉘을 구성하는 중합체에 공단량체로서 첨가될 수 있으며, 특히 코어를 구성하는 중합체에 공단량체로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그라프트 공중합체는 상기 매트릭스를 구성하는 (메타)아크릴계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5 내지 45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함량이 5 중량부 미만일 경우에는 인성이 저하될 수 있고, 45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에는 투명성 및 내열성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 코어-쉘 타입의 그라프트 공중합체에서 코어의 입경은 3500Å 내지 7500Å인 것이 바람직하다. 코어의 입경을 3500Å 이상으로 조절함으로써 내충격 효과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다만, 충격보강제의 코어의 입경이 너무 클 경우 광학필름의 연신시 충격보강제와 매트릭스 수지 사이에서 디본딩(debonding) 현상이 발생할 수 있고, 디본딩 현상이 발생한 부분에 생기는 공간에서 빛이 산란함에 따라 필름의 투명성을 저해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는 충격보강제의 코어의 입경을 전술한 범위로 조절하는 한편, 충격보강제의 가교도 및 그라프트율을 조절함으로써 상기와 같은 디본딩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그라프트 공중합체의 그라프트율을 20~60%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그라프트 공중합체 중 코어의 겔함량은 70~99%로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그라프트율은 상기 그라프트 공중합체 2g을 아세톤 100 mL로 24시간 동안 교반하여 코어에 그라프트되지 않은 쉘 성분을 용해한 후, 초원심분리에 의하여 겔과 졸을 분리하여 하기 수학식 1에 따라 계산하였다.
[수학식 1]
그라프트율(%) = [(겔무게-고무무게)/고무무게] ×100
상기 코어의 겔함량은 상기 코어 공중합체 1g을 톨루엔 100g에 넣고 48시간 동안 교반하여 가교되지 않은 코어 성분을 용해한 후, 초원심분리로 겔과 졸을 분리하여 하기 수학식 2에 따라 계산하였다.
[수학식 2]
겔함량(%) = 겔의 무게/시료 무게 ×100
본 발명에 있어서, 매트릭스를 구성하는 (메타)아크릴계 수지는 (메타)아크릴계 단량체의 호모 또는 공중합체일 수도 있으나, (메타)아크릴계 단량체와 방향 족 비닐계 단량체의 공중합체; 또는 (메타)아크릴계 단량체,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 및 산무수물의 공중합체인 것이 바람직하고, (메타)아크릴계 단량체,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 및 산무수물의 공중합체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각 화합물의 예는 상기 그라프트 공중합체의 쉘의 구성 성분의 예들과 같다.
상기 매트릭스를 구성하는 수지가 (메타)아크릴계 단량체,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 및 산무수물의 공중합체인 경우, 이 공중합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각각의 성분은 60 내지 90 중량부, 9 내지 30 중량부 및 1 내지 15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매트릭스를 구성하는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메타)아크릴계 단량체의 함량이 60 중량부 미만일 경우에는 투명성이 저하될 수 있고, 90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에는 내열성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 매트릭스를 구성하는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의 함량이 9 중량부 미만일 경우에는 중합 전환율이 저하될 수 있고, 30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에는 투명성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 매트릭스를 구성하는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산 무수물의 함량이 1 중량부 미만일 경우에는 내열성이 저하될 수 있고, 15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에는 투명성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 매트릭스 수지를 구성하는 공중합체들은 추가의 공단량체로서 비닐시안화합물, (메타)아크릴산 및 이미드계 단량체 중 1종 이상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들은 공중합체 100 중량부 대비 15 중량부 이하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 다.
상기 매트릭스 수지는 당 기술분야에 알려져 있는 방법을 이용하여 중합될 수 있으며, 예컨대 괴상 중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전술한 매트릭스 수지는 유리전이온도가 120~130℃, 분자량 12~15만, MI(220℃, 10kg) 10이하, 바람직하게는 4~10, 헤이즈 0.3~2%의 특징을 갖는다. 상기 MI는 수지의 흐름을 나타내는 척도로 220℃에서 하중 10kg으로 눌렸을 때 분당 흐르는 양을 나타낸다.
본 발명에 따른 광학필름의 투명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상기 매트릭스 수지와상기 그라프트 공중합체와의 굴절률 차이가 0.01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0.008 이하이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0.006 이하이다.
본 발명에 따른 광학필름은 전술한 그라프트 공중합체 및 (메타)아크릴계 수지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을 이용하여 필름을 형성하여 제조할 수 있다.
필름 형성 방법은 당 기술분야에 알려져 있는 방법을 이용할 수 있으며, 본 발명에 따른 광학필름은 아크릴계 수지만으로 이루어진 필름과 달리 캐스팅법 이외에도 압출 공정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광학필름을 제조하기 위해서 전술한 수지 조성물에 일반적인 첨가제, 예를 들면 가소제, 윤활제, 충격완화제, 산화방지제, 안정제, 자외선 흡수제, 무기 충진제 등을 첨가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광학필름이 편광자의 보호필름으로 사용되는 경우, 편광자 및 액정패널을 외부 자외선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하여, 상기 수지 조성물에 자외선 흡수제를 첨가할 수 있다. 자외선 흡수제의 종류는 특 별히 한정되어 있지 않지만, 벤조트리아졸계 자외선흡수제, 트리아진계 자외선 흡수제의 사용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로는 Tinuvin328, Tinuvin321 및 Tinuvin 360이 사용될 수 있다. 열안정제로는 Iganox 1076, Iganox 245 등이 첨가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광학필름의 두께는 20~200 ㎛, 바람직하게는 40~120 ㎛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광학필름의 유리전이온도는 110~130℃이고, 열변형온도(Vicat)는 110~140℃이며, MI(220℃, 10kg) 2~6이고, 인성(toughness)이 매우 우수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광학필름은 바람직하게는 열팽창계수 CTE(ppm/K, 40~90℃)가 50~120이고, 헤이즈는 0.5~3%이며, 투과도는 88~93%이다.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른 광학필름은 연신 전 면방향 위상차 및 두께 방향 위상차 값이 0 내지 10 nm일 수 있으며, 이를 1축 또는 2축 연신할 경우 면방향 위상차 및 두께 방향 위상차 값이 80~200 nm일 수 있다.
연신 방법 및 조건은 당 기술분야에 알려져 있는 것을 이용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광학필름의 연신 공정은 수지 조성물의 유리전이온도(Tg)를 기준으로 했을 때 Tg-30℃ 내지 Tg+30℃의 온도 범위에서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Tg-10℃ 내지 Tg+20℃의 온도 범위에서 행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연신 속도 및 연신율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는 범위 내에서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광학필름은 편광자 보호필름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 경우, 접착력 향상을 위해 표면을 개질할 수 있다. 개질 방법으로는 코로나 처리, 플라즈마 처리, UV 처리 등으로 보호필름의 표면을 처리하는 방법과 보호필름의 표면에 프라이머층을 형성하는 방법 등이 있고, 상기 두 방법을 동시에 사용할 수도 있다. 프라이머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실란커플링제와 같이 반응성 관능기를 가지는 화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광학필름을 보호필름으로 포함하는 편광판은 편광자 및 상기 편광자의 적어도 일면에 구비된 보호필름을 포함하고, 상기 보호필름 중 적어도 하나가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른 광학필름인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편광자로는 당기술분야에 알려져 있는 것을 제한되지 않고 사용할 수 있으며, 예컨대 요오드 또는 이색성 염료를 포함하는 폴리비닐알콜(PVA)로 이루어진 필름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편광자는 PVA 필름에 요오드 또는 이색성 염료를 염착시켜서 제조될 수 있으나, 이의 제조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편광자는 보호 필름을 포함하지 않는 상태를 의미하며, 편광판은 편광자와 보호 필름을 포함하는 상태를 의미한다.
상기 편광자와 보호필름의 접착은 접착제층을 이용하여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보호 필름과 편광판의 합지시 사용 가능한 접착제로는 당 기술 분야에 알려져 있는 것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예컨대 일액형 또는 이액형의 폴리비닐알콜(PVA)계 접착제, 폴리우레탄계 접착제, 에폭시계 접착제, 스티렌 부타디엔 고무계(SBR계) 접착제, 또는 핫멜트형 접착제 등이 있으나, 이들 예에만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접착제 중 폴리비닐알콜계 접착제가 바람직하며, 특히 아세트아세틸기를 함유하는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및 아민계 금속화합물 가교제를 포함하는 접착 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편광판용 접착제는 상기 아세트아세틸기를 함유하는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100 중량부 및 상기 아민계 금속화합물 가교제 1 내지 50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는 상기 편광자와 보호필름을 충분히 접착할 수 있고, 광학적 투시도가 우수하며, 경시적인 황변 등의 변화가 없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특히 가교제와의 원활한 가교반응을 고려하면 아세트아세틸기가 함유된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의 중합도 및 검화도는 아세트아세틸기를 함유하기만 하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바람직하게는 중합도가 200 내지 4,000의 범위내이고, 검화도가 70몰% 내지 99.9몰%의 범위내인 것이 좋다. 분자 움직임의 자유로움에 따른 함유 물질과의 유연한 혼합을 고려하면, 중합도는 1,500 내지 2,500의 범위내이고, 검화도는 90몰% 내지 99.9몰%의 범위내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는 상기 아세트아세틸기를 0.1 내지 30몰%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아세트아세틸기의 범위에서 가교제와의 반응이 원활할 수 있으며, 목적하는 접착제의 내수성 및 접착력에 충분히 유의하기 때문이다.
상기 아민계 금속화합물 가교제는 상기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와의 반응성을 갖는 관능기를 가지는 수용성 가교제로서, 아민계 리간드를 함유하는 금속 착물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가능한 금속으로는 지르콘늄(Zr), 타이타늄(Ti), 하프늄(Hf), 텅스텐(W), 철(Fe), 코발트(Co), 니켈(Ni), 루테늄(Ru), 오스뮴(Os), 로 듐(Rh), 이리듐(Ir), 팔라듐(Pd), 백금(Pt) 등의 전이 금속이 가능하며, 중심 금속에 결합된 리간드로는 일차아민, 이차아민(다이아민), 삼차아민이나 암모늄하이드록사이드 등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아민기를 포함한 것이 모두 가능하다. 그 사용량은 상기 폴리비닐알콜계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1 중량부 내지 50 중량부의 범위로 조절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범위에서 목적하는 접착제에 충분히 유의적인 접착력을 부여할 수 있으며, 접착제의 저장 안정성(pot life)을 향상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아세트아세틸기를 함유하는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와 상기 아민계 금속화합물 가교제를 함유하는 접착제 수용액은 pH 조절제를 사용하여 그 pH를 9이하로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pH를 2초과 9이하의 범위로 조절할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pH를 4 내지 8.5 범위로 조절할 수 있다.
상기 편광자와 보호필름의 접착은 편광자용 보호 필름 또는 편광자인 PVA 필름의 표면 상에 롤 코터, 그라비어 코터, 바 코터, 나이프 코터, 또는 캐필러리 코터 등을 사용하여 접착제를 먼저 코팅하고, 접착제가 완전히 건조되기 전에 보호 필름과 편광막을 합지 롤로 가열압착하거나 상온압착하여 합지하는 방법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핫멜트형 접착제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가열 압착롤을 사용하여야 한다.
폴리우레탄계 접착제를 사용하는 경우 광에 의해 황변되지 않는 지방족 이소시아네이트계 화합물을 이용하여 제조된 폴리우레탄계 접착제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액형 또는 이액형의 드라이 라미네이트용 접착제 또는 이소시아네이트 와 하이드록시기와의 반응성이 비교적 낮은 접착제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아세테이트계 용제, 케톤계 용제, 에테르계 용제, 또는 방향족계 용제 등으로 희석된 용액형 접착제를 사용할 수도 있다. 이때 접착제 점도는 5000 cps 이하의 저점도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접착제들은 저장안정성이 우수하면서도 400 ~ 800nm에서의 광투과도가 9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충분한 점착력을 발휘할 수 있으면 점착제도 사용될 수 있다. 점착제는 합지 후 열 또는 자외선에 의하여 충분히 경화가 일어나 기계적 강도가 접착제 수준으로 향상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계면접착력도 커서 점착제가 부착된 양쪽 필름 중 어느 한 쪽의 파괴없이는 박리되지 않는 정도의 점착력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용가능한 점착제의 구체적인 예로서는 광학투명성이 우수한 천연고무, 합성고무 또는 엘라스토머, 염화비닐/초산비닐 공중합체, 폴리비닐알킬에테르, 폴리아크릴레이트, 변성 폴리올레핀계 점착제 등과 여기에 이소시아네이트 등의 경화제를 첨가한 경화형 점착제를 들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제조되는 편광판은 각종 용도에 이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액정표시장치(LCD)용 편광판, 유기 EL 표시장치의 반사 방지용 편광판 등을 포함하는 화상표시장치에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편광판은 각종 기능성 막, 예를 들면 λ/4판, λ/2판 등의 위상차판, 광확산판, 시야각 확대판, 휘도 향상판, 반사판 등의 여러 가지 광학층을 조합한 복합 편광판에 적용될 수 있다.
상기 편광판은 이후 화상표시장치 등에의 적용이 용이하도록 적어도 일면에 점착제층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편광판이 화상표시장치 등에 적용될 때까지 점착제층을 보호하기 위하여 상기 점착제층 상에 이형필름을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광학필름 또는 위상차 필름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전자 장치는 LCD와 같은 화상표시장치일 수 있다.
예컨대, 본원 발명은 광원, 제1 편광판, 액정셀, 제2 편광판을 순차적으로 적층된 상태로 포함하고, 상기 제1 편광판 및 제2 편광판 중 적어도 하나의 보호필름으로서 또는 상기 제1 편광판 및 제2 편광판 중 적어도 하나와 액정셀 사이에 구비된 위상차 필름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광학필름 또는 위상차 필름을 포함하는 화상 표시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액정셀은 액정층; 이를 지지할 수 있는 기판; 및 상기 액정에 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전극층을 포함한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편광판은 횡전계방식(In-Plane Switching mode; IPS mode), 수직배향방식(Vertically Aligned mode; VA mode), OCB 방식(Optically Compensated Birefringence mode), 비틀린 네마틱(Twisted Nematic mode; TN mode), FFS(Fringe Field Switching mode; FFS mode) 방식 등의 모든 액정 모드에 적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나, 이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매트릭스 수지(i)로서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75 중량%, 스티렌 15 중량% 및 무수 말레산 10 중량%로 이루어지는 (메타)아크릴계 수지(굴절율 1.516) 85 중량부(광학필름 형성을 위한 수지 조성물 중 매트릭스 수지와 그라프트 공중합체의 합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함, 이하 동일)와, 충격 보강제(ii)로서 부틸 아크릴레이트 40 중량%, 스티렌 19.5 중량% 및 에틸렌 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 0.5 중량%로 이루어지는 공중합체(겔함량 93%, 입경 4000Å)에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32 중량% 및 스티렌 8 중량%를 그라프트 중합한 그라프트 공중합체(그라프트율 38%, 굴절율 1.513) 15 중량부, 및 활제로 EBS(선구화학제품) 0.5 중량부, 산화방지제로 Irganox 1076(Ciba-Geigy제품) 0.3 중량부 및 자외선 흡수제로 Tinuvin 327(Ciba-Geigy제품) 0.5 중량부를 혼합하여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상기 실시예 1에서 매트릭스 수지(i)의 (메타)아크릴계수지를 75 중량부로 사용하고, 충격 보강제(ii)의 그라프트 공중합체를 25 중량부로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여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상기 실시예 1에서 매트릭스 수지(i)로서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80 중량%, 스티렌 15 중량% 및 무수 말레산 5 중량%로 이루어진 (메타)아크릴계 수지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여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이 때 (i)의 굴절율은 1.515였다.
실시예 4
상기 실시예 1에서 충격 보강제(ii)의 그라프트 공중합체 제조시 쉘 성분으로서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27 중량%, 스티렌 8 중량% 및 아크릴로니트릴 5 중량%를 그라프트 중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여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이 때 (ii)의 굴절율은 1.514, 그라프트율은 35%였다.
실시예 5
상기 실시예 1에서 충격 보강제(ii)의 그라프트 공중합체 제조시 코어 성분으로서 부틸 아크릴레이트 40 중량%, 스티렌 19 중량% 및 에틸렌 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 1 중량%로 이루어진 공중합체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여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이 때 (ii)의 코어의 겔함량은 98%, 입경은 3900Å였고, (ii)의 그라프트율은 49%였으며, 굴절율은 1.513이었다.
실시예 6
상기 실시예 1에서 충격 보강제(ii)의 그라프트 공중합체 제조시 코어 성분의 에틸렌 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를 사용하지 않고, 동량을 쉘 성분으로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여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이 때 (ii)의 코어의 겔함량은 73%, 입경은 4100Å였고, (ii)의 그라프트율은 35%였으며, 굴절율은 1.513이었다.
실시예 7
상기 실시예 1에서 충격 보강제(ii)의 그라프트 공중합체 제조시 쉘 성분으로서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30중량%, 스티렌 8중량%, 페닐말레이미드 2중량%를 그라 프트 중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벙법으로 실시하여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이 때 (ii)의 굴절율은 1.514, 그라프트율은 36%였다.
실시예 8
상기 실시예 1에서 매트릭스 수지(i)로서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75 중량%, 스티렌 15 중량%, 무수 말레산 5 중량% 및 아크릴로니트릴 5중량%로 이루어진 (메타)아크릴계 수지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여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이 때 (i)의 굴절율은 1.515였다.
실시예 9
상기 실시예 1에서 충격 보강제(ii)의 그라프트 공중합체 제조시 다관능성 단량체를 사용하지 아니하고, 코어 성분으로서 부틸 아크릴레이트 40 중량% 및 스티렌 20 중량%로 이루어진 공중합체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여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이 때 (ii)의 코어의 겔함량은 13%, 입경은 4300Å였고, (ii)의 그라프트율은 7%였으며, 굴절율은 1.514이었다.
비교예 1
상기 실시예 1에서 매트릭스 수지(i)의 (메타)아크릴계 수지를 68 중량부로 사용하고, 충격보강제(ii)의 그라프트 공중합체를 32 중량부로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여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
상기 실시예 1에서 매트릭스 수지(i)의 (메타)아크릴계 수지를 96 중량부로 사용하고, 충격보강제(ii)의 그라프트 공중합체를 4 중량부로 사용한 것을 제외하 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여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3
상기 실시예 1에서 충격 보강제(ii)의 그라프트 공중합체 제조시 코어 성분으로서 부틸 아크릴레이트 59.5 중량% 및 에틸렌 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 0.5 중량%로 이루어진 공중합체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여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이 때 (ii)의 코어의 겔함량은 99%, 입경은 3800Å였고, (ii)의 그라프트율은 30%였으며, 굴절율은 1.502이었다.
[시험예]
상기 실시예 1 내지 9 및 비교예 1 내지 3에서 제조한 수지 조성물을 각각 220℃의 실린더 온도에서 40 파이 압출혼련기를 사용하여 펠렛 형태로 제조하고, 상기 펠렛을 T-다이가 장착된 압출혼련기와 권취 롤을 사용하여 40㎛과 80㎛ 두께의 필름을 제조하였다.
상기 필름을 이용하여 하기의 방법으로 인성(Toughness), 내열성(유리전이온도), 투명성(헤이즈)을 측정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ㄱ) Toughness - 80㎛ 필름을 손으로 10번을 굽혀 끊어지는 상태로 측정하였다. (○: 한번도 끊어지지 않음, △: 1~3번, X: 4번이상)
ㄴ) 유리전이온도 - 상기 펠렛을 TA Instruments사의 DSC Q 100을 사용하여 승온속도 10℃/분로 상승시키면서 측정하였다.
ㄷ) 헤이즈 - 상기 40㎛과 80㎛ 두께의 필름을 ASTM D 1003에 따라 측정하였다.
구분 Toughness 유리전이
온도(℃)
헤이즈
(80㎛)
헤이즈
(40㎛)
실시예 1 127 0.8 0.8
실시예 2 125 0.9 0.9
실시예 3 122 0.8 0.8
실시예 4 126 0.9 0.9
실시예 5 128 0.7 0.7
실시예 6 126 0.8 0.8
실시예 7 129 0.9 0.9
실시예 8 123 0.9 0.9
실시예 9 113 4.8 13.1
비교예 1 109 2.1 4.0
비교예 2 X 127 0.8 0.8
비교예 3 99 4.7 10.4
상기 표 1을 통하여, 본 발명에 따른 수지 조성물을 이루고 있는 각 성분들을 적정 함량 범위로 사용하여 제조한 실시예 1 내지 9의 필름은 비교예들에 비하여 인성, 내열성 및 투명성의 물성이 모두 우수하게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Claims (24)

  1. i) (메타)아크릴계 수지 및 ii) (메타)아크릴계 고무와 방향족 비닐 화합물의 공중합체에 (메타)아크릴계 수지가 그라프트된 그라프트 공중합체를 상기 i) (메타)아크릴계 수지 100 중량부 당 상기 ii) 그라프트 공중합체 5 내지 45 중량부로 포함하며, 상기 ii) 그라프트 공중합체의 코어에 포함되는 (메타)아크릴계 고무는 유리전이온도가 0℃ 이하인 광학필름.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ii) 그라프트 공중합체는 (메타)아크릴계 고무와 방향족 비닐 화합물의 공중합체가 코어(core)를 구성하고, 그 주변에 상기 (메타)아크릴계 수지가 쉘(shell)을 구성하는 코어-쉘 타입의 그라프트 공중합체인 것인 광학필름.
  3. 삭제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ii) 그라프트 공중합체의 코어에 포함되는 (메타)아크릴계 고무는 그라프트 공중합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20 내지 60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인 광학필름.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ii) 그라프트 공중합체의 코어에 포함되는 방향족 비닐 화합물은 그라프트 공중합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10 내지 30 중량부로 포함 되는 것인 광학필름.
  6.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ii) 그라프트 공중합체의 쉘을 구성하는 (메타)아크릴계 수지는 (메타)아크릴계 단량체와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의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것인 광학필름.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ii) 그라프트 공중합체의 쉘에 포함되는 (메타)아크릴계 수지 중 (메타)아크릴계 단량체는 그라프트 공중합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20 내지 60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인 광학필름.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ii) 그라프트 공중합체의 쉘에 포함되는 (메타)아크릴계 수지 중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는 그라프트 공중합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5 내지 25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인 광학필름.
  9.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메타)아크릴계 단량체와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의 공중합체는 공단량체로서 산 무수물, 비닐시안화합물, (메타)아크릴산 및 이미드계 단량체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단량체를 더 포함하는 것인 광학필름.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산 무수물, 비닐시안화합물, (메타)아크릴산 및 이미드계 단량체 중에서 선택되는 단량체들은 각각 그라프트 공중합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0 초과 15 중량부 이하로 포함되는 것인 광학필름.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ii) 그라프트 공중합체는 공단량체로서 다관능성 단량체를 그라프트 공중합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2 내지 2 중량부로 추가로 포함하는 것인 광학필름.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다관능성 단량체는 에틸렌 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 디에틸렌 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 트리에틸렌 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 1,3-부탄디올 디메타크릴레이트, 1,6-헥산디올 디메타크릴레이트, 네오펜틸 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 프로판 트리메타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 메탄 트리아크릴레이트, 알릴 메타크릴레이트, 트리알릴 이소시아누레이트, 트리알릴 아민 및 디알릴 아민 중에서 선택되는 1 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인 광학필름.
  1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ii) 그라프트 공중합체는 코어의 입경이 3500 ~ 7500 Å 이고, 겔함량은 70 ~ 99% 이며, 그라프트율은 20 ~ 60%인 것인 광학필름.
  1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i) (메타)아크릴계 수지는 (메타)아크릴계 단량체,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 및 산무수물의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것인 광학필름.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메타)아크릴계 단량체,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 및 산무수물의 공중합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메타)아크릴계 단량체,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 및 산 무수물은 각각 60 내지 90 중량부, 9 내지 30 중량부 및 1 내지 15 중량부로 포함된 것인 광학필름.
  16.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메타)아크릴계 단량체,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 및 산무수물의 공중합체는 공단량체로서 비닐시안화합물, (메타)아크릴산 및 이미드계 단량체 중 1종 이상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인 광학필름.
  1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i) (메타)아크릴계 수지와 상기 ii) 그라프트 공중합체의 굴절률 차이가 0.01 이하인 것인 광학필름.
  18. a) (i) (메타)아크릴계 수지 및 ii) (메타)아크릴계 고무와 방향족 비닐 화합물의 공중합체에 (메타)아크릴계 수지가 그라프트된 그라프트 공중합체를 상기 i) (메타)아크릴계 수지 100 중량부 당 상기 ii) 그라프트 공중합체 5 내지 45 중량부로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을 준비하는 단계, 및 b) 상기 수지 조성물을 이용하여 필름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ii) 그라프트 공중합체의 코어에 포함되는 (메타)아크릴계 고무는 유리전이온도가 0℃ 이하인 광학필름의 제조 방법.
  19. 청구항 1, 2, 4 내지 17 중 어느 하나의 항의 광학필름을 연신한 위상차 필름.
  20. a) i) (메타)아크릴계 수지 및 ii) (메타)아크릴계 고무와 방향족 비닐 화합물의 공중합체에 (메타)아크릴계 수지가 그라프트된 그라프트 공중합체를 상기 i) (메타)아크릴계 수지 100 중량부 당 상기 ii) 그라프트 공중합체 5 내지 45 중량부로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을 준비하는 단계, b) 상기 수지 조성물을 이용하여 필름을 형성하는 단계, 및 c) 상기 필름을 1축 또는 2축 연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ii) 그라프트 공중합체의 코어에 포함되는 (메타)아크릴계 고무는 유리전이온도가 0℃ 이하인 위상차 필름의 제조방법.
  21. 편광자 및 상기 편광자의 적어도 일면에 구비된 보호필름을 포함하는 편광판으로서, 상기 보호필름 중 적어도 하나가 청구항 1, 2, 4 내지 17 중 어느 하나의 항의 광학필름인 것인 편광판.
  22. 청구항 1, 2, 4 내지 17 중 어느 하나의 항의 광학필름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23. 청구항 19의 위상차 필름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24. 청구항 21의 편광판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20070099455A 2007-10-02 2007-10-02 광학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Active KR1009949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9455A KR100994976B1 (ko) 2007-10-02 2007-10-02 광학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JP2008256727A JP5069198B2 (ja) 2007-10-02 2008-10-01 光学フィルム及びこれの製造方法
US12/286,559 US7936510B2 (en) 2007-10-02 2008-10-01 Optical films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CN2008101682445A CN101402774B (zh) 2007-10-02 2008-10-06 光学薄膜及其制造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9455A KR100994976B1 (ko) 2007-10-02 2007-10-02 광학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4200A KR20090034200A (ko) 2009-04-07
KR100994976B1 true KR100994976B1 (ko) 2010-11-18

Family

ID=405079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99455A Active KR100994976B1 (ko) 2007-10-02 2007-10-02 광학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936510B2 (ko)
JP (1) JP5069198B2 (ko)
KR (1) KR100994976B1 (ko)
CN (1) CN101402774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9276B1 (ko) * 2010-11-26 2013-01-08 엘지엠엠에이 주식회사 아크릴계 라미네이트 필름 및 그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2808B1 (ko) * 2004-10-22 2006-09-19 주식회사 엘지화학 그라프트 공중합체, 그의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JPWO2008136346A1 (ja) * 2007-04-26 2010-07-29 日本ゼオン株式会社 表示画面用保護フィルムおよび偏光板
JP5564336B2 (ja) * 2009-06-01 2014-07-30 旭化成ケミカルズ株式会社 塗装代替用フィルム及びこれを具備する積層成形品
KR101422662B1 (ko) * 2011-09-08 2014-07-23 제일모직주식회사 위상차 점착필름,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부재
KR101473521B1 (ko) * 2011-11-23 2014-12-17 (주)엘지하우시스 내후성 및 성형성이 우수한 아크릴계 라미네이트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JP2013182070A (ja) * 2012-02-29 2013-09-12 Techno Polymer Co Ltd 偏光子保護用フィルム及び偏光板
WO2015036057A1 (en) * 2013-09-16 2015-03-19 Light In Light S.R.L. Composite system comprising a polymer matrix and core-shell nanoparticles, process for preparing it and use thereof
JP6342791B2 (ja) * 2013-12-27 2018-06-13 住友化学株式会社 偏光板用保護フィルム及びそれを用いた偏光板
JP6670236B2 (ja) 2014-06-30 2020-03-18 株式会社カネカ 光学用樹脂組成物およびフィルム
US10358552B2 (en) * 2014-09-24 2019-07-23 Evonik Röhm Gmbh Impact-resistant molding material having an improved characteristics profile
JP6571542B2 (ja) * 2016-01-13 2019-09-04 株式会社クラレ 芳香族ビニル系共重合体を含有する樹脂組成物
CN114986863A (zh) 2017-03-15 2022-09-02 株式会社钟化 拉伸薄膜和拉伸薄膜的制造方法
JP7129181B2 (ja) * 2017-03-17 2022-09-01 旭化成株式会社 ヘッドマウントディスプレイ用部材
WO2018190176A1 (ja) * 2017-04-10 2018-10-18 日東電工株式会社 偏光板および画像表示装置
WO2019103003A1 (ja) * 2017-11-24 2019-05-31 日東電工株式会社 偏光子の製造方法
WO2020138501A1 (ja) * 2018-12-28 2020-07-02 株式会社クラレ 多層構造重合体粒子、それを含む熱可塑性樹脂組成物、成形体及びフィルム
JP7379933B2 (ja) * 2019-08-23 2023-11-15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光学フィルム用ドープの製造方法および光学フィルムの製造方法
JP7497229B2 (ja) * 2020-06-29 2024-06-10 株式会社クラレ アクリル系樹脂組成物
JP7497228B2 (ja) * 2020-06-29 2024-06-10 株式会社クラレ アクリル系樹脂組成物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6971B1 (ko) 2005-09-05 2006-12-14 제일모직주식회사 착색성과 저온 내충격성이 우수한 고굴절률 충격보강제 및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22406B2 (ja) * 1991-10-23 2002-09-09 鐘淵化学工業株式会社 偏光膜保護用フィルム
JPH09166711A (ja) * 1995-12-15 1997-06-24 Konica Corp 偏光板用保護フィルム及び偏光板
JP2000178399A (ja) * 1998-12-15 2000-06-27 Mitsubishi Rayon Co Ltd アクリル樹脂フィルム
US6720386B2 (en) * 2002-02-28 2004-04-13 General Electric Company Weatherable styrenic blends with improved translucency
WO2004035688A1 (ja) * 2002-10-03 2004-04-29 Sekisui Chemical Co., Ltd. 熱可塑性飽和ノルボルネン系樹脂フィルム、及び、熱可塑性飽和ノルボルネン系樹脂フィルムの製造方法
JP2005314534A (ja) * 2004-04-28 2005-11-10 Toray Ind Inc アクリル樹脂フィルム、積層フィルムおよび光学フィルター
KR100682721B1 (ko) 2004-12-15 2007-02-15 제일모직주식회사 휘도가 향상된 표시장치용 광학필름 및 이를 이용한 oled 표시장치
US7502088B2 (en) * 2005-03-17 2009-03-10 Fujifilm Corporatio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having an antiglare layer
JP2007169626A (ja) * 2005-11-25 2007-07-05 Toray Ind Inc ゴム質含有共重合体、熱可塑性樹脂組成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7171577A (ja) * 2005-12-22 2007-07-05 Toray Ind Inc フィルム、偏光子保護フィルムおよび表示装置
JP2007178504A (ja) * 2005-12-27 2007-07-12 Toray Ind Inc 表示装置用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5075813B2 (ja) * 2006-03-10 2012-11-21 株式会社日本触媒 偏光子保護フィルム、偏光板、および画像表示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6971B1 (ko) 2005-09-05 2006-12-14 제일모직주식회사 착색성과 저온 내충격성이 우수한 고굴절률 충격보강제 및제조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Polymer Physics, Vol. 36, 2623-2634 (1998)*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9276B1 (ko) * 2010-11-26 2013-01-08 엘지엠엠에이 주식회사 아크릴계 라미네이트 필름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936510B2 (en) 2011-05-03
JP2009084574A (ja) 2009-04-23
JP5069198B2 (ja) 2012-11-07
CN101402774B (zh) 2010-12-29
KR20090034200A (ko) 2009-04-07
CN101402774A (zh) 2009-04-08
US20090086319A1 (en) 2009-04-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94976B1 (ko) 광학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065198B1 (ko) 광학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115131B1 (ko) 광학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115217B1 (ko) 광학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065200B1 (ko) 광학 필름, 편광자 보호 필름, 이를 이용한 편광판, 및 이를 이용한 화상 표시 장치
KR101009734B1 (ko) 광학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215806B1 (ko) 광학 필름용 조성물 및 광학 필름
KR101002695B1 (ko) 광학필름 형성용 조성물 및 이것을 이용하여 제조된광학필름
KR101065199B1 (ko) 광학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214646B1 (ko) 광학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71002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80930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71002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0072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01012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0111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0111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18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101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17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101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3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923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8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92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9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919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6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1016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6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1016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927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926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