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993938B1 - 이동식 욕조 장치 - Google Patents

이동식 욕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93938B1
KR100993938B1 KR1020080045030A KR20080045030A KR100993938B1 KR 100993938 B1 KR100993938 B1 KR 100993938B1 KR 1020080045030 A KR1020080045030 A KR 1020080045030A KR 20080045030 A KR20080045030 A KR 20080045030A KR 100993938 B1 KR100993938 B1 KR 1009939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h
tub
unit
frame
bathtub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450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19158A (ko
Inventor
승근배
Original Assignee
승근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승근배 filed Critical 승근배
Priority to KR10200800450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93938B1/ko
Publication of KR200901191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191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39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3938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3/00Baths; Douches; Appurtenances therefor
    • A47K3/02Baths
    • A47K3/06Collapsible baths, e.g. inflatable; Movable bath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10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special adaptations of hoists thereto
    • A61G7/104Devices carried or supported by
    • A61G7/1046Mobile bases, e.g. having whee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Nurs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vices For Medical Bathing And Washing (AREA)

Abstract

상판 프레임과; 상판 프레임의 하부에 설치되며, 이동을 위한 바퀴를 가지는 카트유닛과; 상판 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되며, 목욕을 위한 물을 수용할 수 있는 수용부를 가지며, 소정 부분을 접어서 전체 길이를 가변시킬 수 있는 길이 가변용 욕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욕조 장치가 개시된다.
이동식, 욕조, 접철, 길이 조정, 회동, 등받이, 승강

Description

이동식 욕조 장치{A movable bathtub apparatus}
본 발명은 이동식 욕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 등에 탑재하여 이동이 편리한 이동식 욕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이동식 욕조장치는 중환자나, 장애인, 고령인 등과 같이 거동이 불편한 사람들을 거주지역이나 현장에서 목욕할 수 있도록 된 장치이다.
최근 국내에서는 장기요양보험제도의 도임으로 인해 중환의 재가노인들을 대상으로 한 방문목욕서비스가 활성화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으므로, 이동식 욕조장치의 필요성이 더욱더 높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도 1은 종래의 이동식 욕조 장치를 나타내 보인 것으로서, 고무 튜브형태의 구성을 가지며, 별도의 물 공급호스, 샤워기 및 물 공급펌프 등을 구비하여야 한다.
그런데, 도 1과 같은 종래의 이동식 욕조장치(1)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튜브형태이므로, 주택에서 목욕을 준비하기 전에 공기를 주입하는 데 많은 시간이 걸리며, 또한 목욕 후에도 주입된 공기를 빼내야 하는데 이때 소요되는 시 간이 많게 된다. 즉, 실제 목욕시간에 비하여 준비 및 정리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불편함이 있다. 이와 같이 불필요한 시간이 많이 소요되면, 적은 시간 안에 다수의 목욕 케이스를 수행하여야 하는 방문 목욕 서비스에 있어서, 비용이 많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도 2는 종래의 다른 이동식 욕조장치(2)를 나타내 보인 도면으로서, 바퀴(12)가 달린 다리부재(10)와, 다리부재(10)의 상부에 수평상태로 놓이는 지지프레임(11)과, 상기 지지프레임(11) 상에 설치되는 욕조(12)를 구비한다.
상기 구성의 이동식 욕조장치(2)는 바퀴(12)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쉽게 이동이 가능하고, 도 1의 이동식 욕조장치(1)와 같이 준비 및 정리하는데 걸리는 시간이 적은 이점은 있으나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즉, 상기 이동식 욕조장치(2)의 경우에는 프레임 등이 금속재질로 형성되므로 무게가 무거우므로, 차량으로 이동시 어려운 문제가 있다.
또한, 최근 한국은 물론 선진국의 경우 아파트를 주거로 하는 비율이 높아지고 있으며, 따라서 거동이 불편한 노인들도 아파트에 거주하는 비율이 높아지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반하여 상기 이동식 욕조장치(1)의 경우에는 구조상 아파트의 층간 이동수단인 엘리베이터에 탑재가 어려우며, 사이즈가 크기 때문에 층간 이동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한국의 벤 형식의 차량의 경우, 충분한 실내 공간을 확보하기 어려우므로 도 2와 같은 이동식 욕조장치(2)를 탑재하여 이동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탑재형 이동식 욕조장치의 경우에는, 차량에 욕조가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거동이 불편한 사람이 차량까지 이동하여 목욕을 해야 하는데, 도심의 주거환 경이나 도로환경이 열악한 곳에서는 거주지에 인접되게 차량이 접근하기 힘든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이동이 용이하며, 사이즈를 줄여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이동식 욕조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이동식 욕조 장치는, 상판 프레임과; 상기 상판 프레임의 하부에 설치되며, 이동을 위한 바퀴를 가지는 카트유닛과; 상기 상판 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되며, 목욕을 위한 물을 수용할 수 있는 수용부를 가지며, 소정 부분을 접어서 전체 길이를 가변시킬 수 있는 길이 가변용 욕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길이 가변용 욕조는, 상기 상판 프레임의 상부에 고정되며, 제1바닥부와 상기 제1바닥부의 테두리에서 소정 높이로 연장된 제1측벽부들을 가지는 제1욕조부와; 상기 제1욕조부에 대해 포개질 수 있도록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제2바닥부와, 상기 제2바닥부의 테두리에서 소정 높이로 연장된 제2측벽부들을 가지는 제2욕조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바닥부의 서로 접하는 부분에는 상기 제1 및 제2욕조부를 회동가능하게 연결 지지하는 회동부재가 내장된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욕조부는 외력에 의해 탄력적으로 변형 가능하며, 방수 재질로 형성된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제2바닥부에 배수구가 마련된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욕조부의 서로 연결되어 회동 가능한 부분은 다른 부분에 비하여 복수 겹으로 형성된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카트유닛은, 지상에 위치시 직립되고, 차량에 탑재시 회동되어 접철 가능한 다리부재와; 상기 다리부재의 하단에 설치되는 바퀴;를 포함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제1욕조부의 일부분을 강제로 접어서 소정 각도 경사지게 유지되도록 하여 목욕자의 등받이 역할을 가능하도록 하는 승강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승강유닛은, 상기 상판 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제1욕조부의 일부분을 지지하는 회동브라켓과; 일단이 상기 회동브라켓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링크부재와; 상기 링크부재의 타단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왕복 이동 가능한 슬라이딩부재; 및 상기 슬라이딩부재를 강제로 왕복 이동시키기 위한 가동부;를 포함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욕조 장치에 따르면, 욕조를 부분적으로 접어서 전체 길이를 가변시킬 수 있기 때문에, 이동 공간의 제약을 적게 받아 다양한 이동수단으로 원하는 곳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접철 가능한 카트유닛을 구비함으로써 차량과 일반 지상에서 자유롭게 이동 및 탑재가 용이한 이점이 있다.
또한, 욕조를 부분적으로 가변시켜 각도 조절시킴으로써, 목욕자의 등받이 기능을 제공함으로써 보다 질 높은 목욕 서비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종래에 비하여 목욕을 준비하고 정리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이 단축되는 이점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욕조장치를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욕조장치는, 상판 프레임(110)과, 상판 프레임(110)의 하부를 지지하는 카트유닛(120) 및 상기 상판 프레임(110)의 상부에 설치되는 길이 가변용 욕조(130)를 구비한다.
상기 상판 프레임(110)은 수평 프레임(111)과, 상기 수평 프레임(111)의 테두리에 소정 높이로 연결된 측면 프레임(112)을 구비한다. 상기 구성의 상판 프레임(110)은 금속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욕조(130)를 지지하는 구조물의 역할을 한다.
상기 카트유닛(120)은 상판 프레임(110)의 하부에 설치되며, 이동을 위한 바퀴(121)와, 상기 바퀴(121)를 지지하며, 상기 상판 프레임(110)에 대해 선택적으로 회동 및 복원 가능하게 설치되는 다수의 다리부재(122) 및 링크부재들(123)을 구비한다. 상기 구성을 가지는 카트유닛(120)은 차량에 탑재시에는 접철되어 상판 프레임(110)의 하측에 밀착됨으로써, 차량 내부에 탑재가 가능하며, 차량 내부에서 바깥으로 빼내면 접철되었던 다리부재들(122) 및 링크부재(123)가 펼쳐지면서 상판 프레임(110)을 지지면으로부터 소정 높이에 위치되게 지지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카트유닛(120)은 통상적으로 구급차 등에서 널리 사용되는 환자 운반용 카트(운반 수레)에 적용되는 기술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다.
상기 길이 가변용 욕조(130)는 상판 프레임(110)의 상부에 설치되며, 목욕을 위한 물을 수용할 수 있는 수용부(130a)를 가지며, 소정 부분을 접어서 전체길이를 가변시킬 수 있다. 이러한 길이 가변용 욕조(130)는 제1욕조부(131)와, 제1욕조부(131)에 대해 포개질 수 있도록 연장되는 제2욕조부(132)를 구비한다.
상기 제1욕조부(131)는 제1바닥부(131a)와, 제1바닥부(131a)의 테두리에서 소정 높이로 연장된 제1측벽부(131b)를 가진다. 상기 제1바닥부(131a)와 제1측벽부(131b)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소정 두께를 가지는 방수 재질 예를 들어 비닐이나 합성 수지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측벽부(131b)는 제1바닥부(131a)의 세 둘레를 감싸도록 소정 높이로 마련되며, 물이 외부로 넘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제1욕조부(131)는 상기 상판 프레임(110)의 상부에 고정되거나, 또는 착탈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2욕조부(132)는 제2바닥부(132a)와, 제2바닥부(132a)의 세 테두리에서 소정 높이로 연장된 제2측벽부(132b)를 구비한다. 상기 제2바닥부(132a)는 제1바닥부(131a)에서 소정 길이 연장되게 연결된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제2측벽부(132b)와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제2욕조부(132)도 제1욕조부(131)와 동일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욕조부(132)는 상판 프레임(110)에 지지되지 않고, 공중에 떠 있는 상태로서, 목욕하는 사람의 다 리 부분이 위치되도록 하면 큰 하중을 받지 않게 되어 안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제1바닥부(131a)에 목욕자가 않거나, 눕게 되면 제2욕조부(132) 쪽으로 목욕하는 사람의 다리 부분이 위치하게 된다.
상기 제2바닥부(132a)에는 배수구(132c)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바닥부(131a,132a)의 서로 접하는 부분에는 제1 및 제2욕조부(131,132)를 회동되어 포개질 수 있도록 연결 지지하는 회동부재(133)가 내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회동부재(133)는 통상적인 경첩부재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욕조(130)의 내부에 고정되게 설치되며,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및 제2욕조부(131,132)의 서로 접히는 부분(135)은 다른 부분에 비하여 얇게 형성됨으로써, 접히는 위치가 변하지 않도록 하고, 안정되게 접힐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접히는 부분(135)에는 적어도 2겹 이상이 되도록 외피(130a) 및 내피(130b)를 갖는 구조를 가짐으로써 반복적으로 접히는 동작에 의해 마모되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욕조(130)는 방수재질의 외피(130a) 및 내피(130b)와, 탄성을 가지는 내장재(130c)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내장재(130c)는 쿠션을 제공하도록 우레탄재질, 섬유재질, 고무재질, 합성수지, 비닐 등 다양한 재질로 구성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그리고 상기 내피(130b)는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천연 또는 인공가죽, 인공 섬유, 고무재질 등이 가능하다.
상기 구성을 가지는 길이 가변용 욕조(130)는 상기 접히는 부분(135)을 중심으로 제2욕조부(132)를 강제로 회동시켜서 접게 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욕조(130)의 전체 길이를 줄일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비좁은 차량에도 쉽게 탑재시켜 운반할 수 있음은 물론, 아파트의 이동수단인 엘리베이터에 실어서 운반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도 6, 도 7a 및 도 7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욕조 장치는, 상판 프레임(110)과, 카트유닛(120)과, 길이 가변용 욕조(130') 및 승강 유닛(140)을 구비한다. 도 6 내지 도 7b에서는 앞서 도 3 내지 도 5를 통해 설명한 도면부호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였으며, 자세한 설명은 생락한다.
여기서, 상기 제1욕조부(131)에는 목욕자의 등을 받칠 수 있도록 일부분이 소정 각도로 세워질 수 있는 등받이 구조가 가능하도록 소정 부분에 접히는 부분(136)이 마련된다. 상기 접히는 부분(136)의 내측에는 회동부재(133)가 내장되며, 앞서 설명한 접히는 부분(135)과 동일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제1욕조부(131)의 접히는 부분(136)을 기준으로 하여 소정 각도로 세워지는 소위 등받이부(130b)는 상기 승강유닛(140)에 의해 강제로 들어 올려지거나 원위치로 내려올 수 있게 된다.
상기 승강유닛(140)은 수동 및 자동 모두 가능하며, 본 발명의 예에서는 수공인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즉, 도 7a 및 도 7b를 참조하면, 승강유닛(140)은 제1욕조부(131)의 일부분 즉, 등받이부(130b)를 지지하도록 상기 상판 프레임(110)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회동브라켓(141)과, 상기 회동브라켓(141)에 일단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링크부재(142)와, 상기 링크부재(142)의 타단이 회동 가능하 게 연결되며, 왕복 이동 가능한 슬라이딩부재(143) 및 상기 슬라이딩부재(143)를 황복 이동시키기 위한 가동부(144)를 구비한다. 상기 가동부(144)는 상판 프레임(110)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슬라이딩부재(143)와 나사 결합되는 리드스크류인 것이 바람직하며, 그 단부에는 회전손잡이(145)가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회전손잡이(145)를 잡고 어느 한 방향으로 가동부(144)를 회전시키면, 회전 방향에 따라서 슬라이딩부재(144)가 이동하면서 상기 링크부재(142)를 연동시킴으로써 회동브라켓(141)의 자세를 조정할 수 있게 된다.
물론, 상기 승강유닛(140)을 자동으로 동작시키기 위해서는,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가동부(144) 대신에 유압구동부(유입피스톤 및 유압실린더 포함)를 이용하여 상기 슬라이딩부재(143)를 왕복 이동시킴으로써 회동브라켓(141)을 회동시킬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당연한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예에서는 유압 피스톤유닛을 이용한 자동 승강유닛의 구조에 대해서는 생략하기로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욕조장치의 경우에는, 길이 가변용 욕조(130')를 2 부분(135,136)에서 회동 내지는 접을 수 있는 구조를 가짐으로써, 길이 조정은 물론, 않아 있기 힘든 목욕자를 위해서 등받이 기능을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보다 질 높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이점이 있으며, 편안한 상태에서 목욕을 할 수 있게 된다.
도 1 및 도 2 각각은 종래의 이동식 욕조 장치를 나타내 보인 도면.
도 3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욕조 장치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
도 3b는 도 3a의 카트유닛이 접철되는 상태를 나타내 보인 도면.
도 4a는 도 3a에 도시된 길이 가변용 욕조를 나타내 보인 단면도.
도 4b는 도 4a의 요부를 확대하여 나타내 보인 도면.
도 5는 도 3a에 도시된 이동식 욕조 장치의 사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욕조 장치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
도 7a는 도 6에 도시된 이동식 욕조 장치를 나타내 보인 부분 단면도.
도 7b는 도 7a의 상태에서 승강유닛의 구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상판 프레임 120..카트유닛
130,130'..길이 가변용 욕조 131,132..제1 및 제2욕조부
133..회동부재 135,136..접히는 부분
140..승강유닛 141..회동브라켓
142..링크부재 143..슬라이딩부재
144..가동부재

Claims (9)

  1. 상판 프레임;
    상기 상판 프레임의 하부에 설치되며, 이동을 위한 바퀴를 가지는 카트유닛; 및
    상기 상판 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되며, 목욕을 위한 물을 수용할 수 있는 수용부를 가지며, 소정 부분을 접어서 전체 길이를 가변시킬 수 있는 길이 가변용 욕조;를 포함하고,
    상기 길이 가변용 욕조는,
    상기 상판 프레임의 상부에 고정되며, 제1바닥부와 상기 제1바닥부의 테두리에서 소정 높이로 연장된 제1측벽부들을 가지는 제1욕조부와;
    상기 제1욕조부에 대해 포개질 수 있도록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제2바닥부와, 상기 제2바닥부의 테두리에서 소정 높이로 연장된 제2측벽부들을 가지는 제2욕조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욕조부는, 외력에 의해 탄력적으로 변형 가능하도록 탄성을 가지는 내장재와; 방수재질의 외피를 포함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욕조부의 서로 연결되어 회동 가능한 부분은, 내피를 더욱 포함하여 다른 부분에 비하여 복수 겹으로 형성되되, 다른 부분에 비하여 얇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욕조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바닥부의 서로 접하는 부분에는 상기 제1 및 제2욕조부를 회동가능하게 연결 지지하는 회동부재가 내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욕조 장치.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바닥부에 배수구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욕조 장치.
  6. 삭제
  7. 제1항, 제3항 또는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유닛은,
    지상에 위치시 직립되고, 차량에 탑재시 회동되어 접철 가능한 다리부재와;
    상기 다리부재의 하단에 설치되는 바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욕조 장치.
  8. 제3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욕조부의 일부분을 강제로 접어서 소정 각도 경사지게 유지되도록 하여 목욕자의 등받이 역할을 가능하도록 하는 승강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욕조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유닛은,
    상기 상판 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제1욕조부의 일부분을 지지하는 회동브라켓과;
    일단이 상기 회동브라켓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링크부재와;
    상기 링크부재의 타단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왕복 이동 가능한 슬라이딩부재; 및
    상기 슬라이딩부재를 강제로 왕복 이동시키기 위한 가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욕조 장치.
KR1020080045030A 2008-05-15 2008-05-15 이동식 욕조 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1009939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5030A KR100993938B1 (ko) 2008-05-15 2008-05-15 이동식 욕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5030A KR100993938B1 (ko) 2008-05-15 2008-05-15 이동식 욕조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9158A KR20090119158A (ko) 2009-11-19
KR100993938B1 true KR100993938B1 (ko) 2010-11-12

Family

ID=416028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45030A Expired - Fee Related KR100993938B1 (ko) 2008-05-15 2008-05-15 이동식 욕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9393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3760B1 (ko) 2010-08-27 2012-03-16 한국생산기술연구원 고령친화형 샤워 캐리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147161B (zh) * 2015-07-30 2018-01-23 田蜜 组合浴盆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14004A (ja) * 1997-10-14 1999-04-27 Seiken Medical:Kk 昇降器付折畳移動浴槽
JP2002035079A (ja) 2000-07-21 2002-02-05 Futaji Nagayoshi 多機能付き移動式簡易風呂
JP2003093255A (ja) 2001-09-20 2003-04-02 Ginraku Kogyo Kk 折り畳み式防水シート浴槽と分割浴槽を組み合わせた簡易浴槽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14004A (ja) * 1997-10-14 1999-04-27 Seiken Medical:Kk 昇降器付折畳移動浴槽
JP2002035079A (ja) 2000-07-21 2002-02-05 Futaji Nagayoshi 多機能付き移動式簡易風呂
JP2003093255A (ja) 2001-09-20 2003-04-02 Ginraku Kogyo Kk 折り畳み式防水シート浴槽と分割浴槽を組み合わせた簡易浴槽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3760B1 (ko) 2010-08-27 2012-03-16 한국생산기술연구원 고령친화형 샤워 캐리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9158A (ko) 2009-1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67194B1 (ko) 욕조를 구비한 침대
CN109952083B (zh) 用于行动不便的人的担架
KR101057515B1 (ko) 환자용 목욕기구
KR101144747B1 (ko) 욕조가 구비된 침대
KR20160142766A (ko) 각도 및 승하강이 조절되는 좌변기 보조장치
KR20190052370A (ko) 침대 및 욕조 기능을 갖는 휠체어
KR100993938B1 (ko) 이동식 욕조 장치
KR101624163B1 (ko) 각도 및 승하강이 조절되는 좌변기 보조장치
US20120204340A1 (en) Portable tub
KR101725458B1 (ko) 접이식 세정 장치
KR200401864Y1 (ko) 환자용 목욕 전용 침대
KR101814284B1 (ko) 환자용 침대에 적합한 접이식 간이 욕조
US10695243B2 (en) Multi-function multi-configuration care bed for enhanced patient comfort and caregiver convenience
JP7305145B2 (ja) 入浴装置
KR101310611B1 (ko) 좌변기 시트 어셈블리
KR20120115164A (ko) 이동식 샤워부스
JP4156011B2 (ja) 簡易風呂及びその組み立て方法
JP3810295B2 (ja) シャワーが可能なベッド装置
CN218899977U (zh) 一种可切换成浴缸的轮椅
JP3150311B2 (ja) 入浴装置
JP2009065993A (ja) 簡易風呂及びその組み立て方法
JP2020031972A (ja) 介護用入浴装置
KR200410118Y1 (ko) 지체부자유인용 간이 이동 목욕차량
JP2530566B2 (ja) 浴槽に兼用できる介護用ベッド
AU2009101230A4 (en) An Improved Access Bat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80515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0032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0090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0110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0110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04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110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51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