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93831B1 - Upper substrat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having sam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Upper substrat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having sam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993831B1 KR100993831B1 KR1020030036816A KR20030036816A KR100993831B1 KR 100993831 B1 KR100993831 B1 KR 100993831B1 KR 1020030036816 A KR1020030036816 A KR 1020030036816A KR 20030036816 A KR20030036816 A KR 20030036816A KR 100993831 B1 KR100993831 B1 KR 10099383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ubstrate
- region
- electrode
- insulating film
- liquid crystal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06—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supporting construction, e.g. cross section or material of framework members
- E04B9/12—Connections between non-parallel members of the supporting construction
- E04B9/16—Connections between non-parallel members of the supporting construction the members lying in different pla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표시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상부기판, 이를 갖는 액정표시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이 개시된다. 액정표시장치는 상부기판, 하부기판 및 상부기판과 하부기판과의 사이에 개재된 액정층을 포함한다. 하부기판은 제1 기판 상에 투과 전극 및 반사 전극을 구비하여, 반사 영역과 투과 영역을 정의한다. 상부기판은 제2 기판, 제2 기판의 투과 영역에 구비된 제1 절연막, 제1 절연막 및 제2 기판의 반사 영역에 구비된 투명 전극 및 반사 영역에 대응하여 공통 전극 상에 적층되는 제2 절연막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액정표시장치의 셀 갭을 균일하게 유지하면서 반사 영역의 반사율 및 투과 영역의 투과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An upper substrate capable of improving display characteristics,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and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re disclosed.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includes an upper substrate, a lower substrate, and a liquid crystal layer interposed between the upper substrate and the lower substrate. The lower substrate includes a transmission electrode and a reflection electrode on the first substrate to define a reflection area and a transmission area. The upper substrate may include a second substrate, a first insulating film provided in the transmissive region of the second substrate, a transparent electrode provided in the reflective region of the first insulating film and the second substrate, and a second insulating film stacked on the common electrode corresponding to the reflective region. Is done. Therefore, the reflectance of the reflective region and the transmittance of the transmissive region can be improved while maintaining the cell gap of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niformly.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부기판을 구체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in detail the upper substr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상부기판의 평면도이다.FIG. 2 is a plan view of the upper substrate shown in FIG. 1.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부기판을 나타낸 단면도이다.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upper substrat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반투과형 액정표시장치를 구체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in detail a transflective liquid crystal display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투과 전극 및 반사 전극에 인가되는 전압에 따른 투과율 및 반사율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5 is a graph illustrating changes in transmittance and reflectance according to voltages applied to the transmission electrode and the reflection electrode.
도 6a 내지 도 6e는 도 1에 도시된 상부기판의 제조 과정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들이다.6A through 6E are cross-sectional views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upper substrate illustrated in FIG. 1.
도 7a 내지 도 7c는 도 1에 도시된 상부기판의 제조 과정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들이다.7A to 7C are cross-sectional views illustrating another example of a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upper substrate illustrated in FIG. 1.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 상부기판 120 : 컬러필터층 100: upper substrate 120: color filter layer
130 : 평탄화막 140 : 제1 절연막130
150 : 공통 전극 160 : 제2 절연막150: common electrode 160: second insulating film
200 : 하부기판 240 : 투과 전극200: lower substrate 240: transmission electrode
250 : 반사 전극 300 : 액정층250: reflective electrode 300: liquid crystal layer
400 : 액정표시장치400: liquid crystal display
본 발명은 상부기판, 이를 갖는 액정표시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표시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상부기판, 이를 갖는 액정표시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upper substrate, a liquid crystal display having the same, and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more particularly, to an upper substrate capable of improving display characteristics, a liquid crystal display having the same, and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반투과형 액정표시장치는 외부 광량이 풍부한 곳에서는 외부광을 이용하는 반사모드에서 영상을 디스플레이하고, 외부 광량이 부족한 곳에서는 자체에 충전된 전기 에너지를 소모하여 생성된 내부광을 이용하는 투과모드에서 영상을 디스플레이 한다.The transflective liquid crystal display displays an image in a reflection mode using external light where the amount of external light is abundant. Display.
반투과형 액정표시장치는 하부기판, 하부기판과 마주보는 상부기판 및 하부기판과 상부기판과의 사이에 개재된 액정층으로 이루어진 액정표시패널을 포함한다.The transflectiv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includes a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including a lower substrate, an upper substrate facing the lower substrate, and a liquid crystal layer interposed between the lower substrate and the upper substrate.
하부기판은 박막 트랜지스터(Thin Film Transistor; 이하, TFT), TFT의 드레인 전극에 연결된 투명 전극 및 반사 전극을 구비한다. 여기서, 투명 전극 상에서 반사 전극이 형성된 영역은 반사 영역이고, 투명 전극 상에서 반사 전극이 형성되지 않은 영역은 투과 영역이다.The lower substrate includes a thin film transistor (hereinafter, referred to as TFT), a transparent electrode connected to the drain electrode of the TFT, and a reflective electrode. Here, the region where the reflective electrode is formed on the transparent electrode is a reflective region, and the region where the reflective electrode is not formed on the transparent electrode is a transmission region.
TFT과 투명 전극과의 사이에는 드레인 전극을 노출시키는 콘택홀이 형성된 유기 절연막이 개재된다. 따라서, 투명 전극은 콘택홀을 통해 투명 전극과 드레인 전극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An organic insulating film in which a contact hole for exposing a drain electrode is formed between the TFT and the transparent electrode. Therefore, the transparent electrode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transparent electrode and the drain electrode through the contact hole.
일반적으로, 반투과형 액정표시장치는 반사 모드 및 투과 모드에서의 광 효율 및 표시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반사 영역에서의 셀 갭과 상기 투과 영역에서의 셀 갭을 서로 다르게 형성하여 구동한다. 즉, 반사영역의 셀 갭은 투과영역의 셀 갭의 절반이 된다.In general, in order to improve light efficiency and display quality in the reflection mode and the transmission mode, the transflectiv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drives the cell gap in the reflection region and the cell gap in the transmission region differently. That is, the cell gap of the reflection area is half of the cell gap of the transmission area.
하부기판에 구비되는 유기 절연막이 상기 반사영역에서보다 투과영역에서 더 작은 두께를 가짐으로써, 이중 셀 갭을 갖는 반투과형 액정표시장치가 구현된다. 그러나, 이중 셀 갭을 갖는 반투과형 액정표시장치를 형성하기 위하여 유기 절연막의 두께를 조절하는 데에는 공정상의 어려움이 따른다.Since the organic insulating layer provided on the lower substrate has a smaller thickness in the transmissive region than in the reflective region, the transflective liquid crystal display having a double cell gap is realized. However, in order to form a transflectiv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having a double cell gap, it is difficult to control the thickness of the organic insulating layer.
따라서, 반투과형 액정표시장치의 셀 갭을 균일하게 유지하면서 반사 모드와 투과 모드에서의 광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구조가 요구된다.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a structure capable of improving light efficiency in the reflection mode and the transmission mode while maintaining the cell gap of the transflectiv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niformly.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표시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상부기판을 제공하는 것이다.Accordingly,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upper substrate for improving display characteristics.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한 상부기판을 갖는 액정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having the above upper substrate.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한 상부기판을 제조하는 데 적절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suitable for producing the above upper substrate.
본 발명의 일 특징에 따른 상부기판은 제1 영역 및 상기 제1 영역과 인접하는 제2 영역을 갖는 기판, 상기 기판의 제1 영역에 구비된 제1 절연막, 상기 제1 절연막 및 상기 기판의 제2 영역에 구비되는 투명 전극 및 상기 제2 영역에 대응하여 상기 투명 전극 상에 구비된 제2 절연막을 포함한다.An upper substrate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ubstrate having a first region and a second region adjacent to the first region, a first insulating film provided in the first region of the substrate, the first insulating film and the first substrate of the substrate. A transparent electrode provided in two areas and a second insulating film provided on the transparent electrode corresponding to the second area.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는 하부기판, 상부기판 및 상기 하부기판과 상부기판과의 사이에 개재된 액정층을 포함한다. 상기 하부기판은 제1 기판 상에 투과 전극 및 반사 전극을 구비하여, 반사 영역과 투과 영역을 정의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liquid crystal display includes a lower substrate, an upper substrate, and a liquid crystal layer interposed between the lower substrate and the upper substrate. The lower substrate includes a transmission electrode and a reflection electrode on the first substrate to define a reflection area and a transmission area.
상기 상부기판은 제2 기판, 상기 제2 기판의 상기 투과 영역에 구비되는 제1 절연막, 상기 제1 절연막 및 상기 제2 기판의 반사 영역에 구비되는 공통 전극 및 상기 투과 영역 대응하여 상기 공통 전극 상에 구비된 제2 절연막을 포함한다.The upper substrate may include a second substrate, a first insulating film provided in the transmissive region of the second substrate, a common electrode provided in the reflective region of the first insulating film and the second substrate, and the transmissive region. It includes a second insulating film provided in.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른 상부기판의 제조 방법에 따르면, 제1 영역 및 상기 제1 영역과 인접하는 제2 영역을 갖는 기판의 상기 제1 영역에 제1 절연막을 형성한다. 이후, 상기 제1 절연막 및 상기 기판의 제2 영역에 투명 전극을 형성한다. 그 다음, 상기 제2 영역에 대응하는 상기 투명 전극 상에 제2 절연막을 형성한다.According to a method of manufacturing an upper substrate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first insulating film is formed in the first region of the substrate having a first region and a second region adjacent to the first region. Thereafter, a transparent electrode is formed in the first insulating layer and the second region of the substrate. Next, a second insulating film is formed on the transparent electrode corresponding to the second region.
이러한 상부기판을 갖는 액정표시장치는 균일한 셀 갭을 가지면서 반사 전극과 공통 전극과의 거리를 상기 투과 전극과 공통 전극과의 거리보다 크게 유지할 수 있다. 그 결과, 반사 영역의 반사율 및 투과 영역의 투과율을 모두 향상시킬 수 있고, 그로 인해서 액정표시장치의 표시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having the upper substrate may maintain a uniform cell gap and maintain the distance between the reflective electrode and the common electrode larger than the distance between the transmissive electrode and the common electrode. As a result, both the reflectance of the reflection region and the transmittance of the transmission region can be improved, thereby improving the display characteristics of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부기판을 구체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상부기판의 평면도이다.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in detail the upper substr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lan view of the upper substrate shown in FIG.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부기판(100)은 기판(110) 상에 컬러필터층(120), 평탄화막(130), 제1 절연막(140), 공통 전극(150) 및 제2 절연막(160)을 순차적으로 구비한다. 상기 상부기판(100)은 제1 영역(A1) 및 상기 제1 영역(A1)과 인접한 제2 영역(A2)으로 구분된다.1 and 2, an
상기 컬러필터층(120)은 R(red), G(Green), B(Blue) 색화소로 이루어지고, 상기 R, G, B 색화소 각각에는 상기 제2 영역(A2) 내에서 상기 기판(110)을 노출시키는 홀(121)이 형성된다. 상기 홀(121)은 상기 제2 영역(A2)보다 작게 형성된다. 도 1에서는 상기 홀(121)이 상기 R, G, B 색화소 각각에 하나씩 형성되는 구조를 도시하였다. 그러나, 상기 R, G, B 색화소 각각에는 다수의 홀이 형성될 수도 있다.The
상기 컬러필터층(120) 및 상기 홀(121)에 의해서 노출된 상기 기판(110) 상에는 평탄화막(130)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평탄화막(130)은 상기 컬러필터층(120)과 상기 홀(121)에 의해서 노출된 상기 기판(110)과의 단차를 제거한다.
The
이후, 상기 제1 영역(A1)에 대응하여 상기 평탄화막(130) 상에는 상기 제1 절연막(140)이 형성된다. 다음, 상기 제1 절연막(140) 및 상기 제2 영역(A2)에 대응하여 상기 평탄화막(130) 상에는 상기 공통 전극(150)이 균일한 두께로 형성된다.Thereafter, the first
상기 제2 영역(A2)에 대응하여 상기 공통 전극(150) 상에는 상기 제2 절연막(160)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2 절연막(160)의 제1 두께(t1)는 상기 제1 절연막(140)의 제2 두께(t2)와 동일하다. 따라서, 상기 상부기판(100)은 전체적으로 균일한 두께를 갖는다.The second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부기판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단, 도 3에는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와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병기하고, 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upper substrat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given to the same components as those shown in FIG. 1, an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부기판(180)은 기판(110) 상에 컬러필터층(170), 제1 절연막(140), 공통 전극(150) 및 제2 절연막(160)을 순차적으로 구비한다. 상기 상부기판(100)은 제1 영역(A1) 및 상기 제1 영역(A1)과 인접하는 제2 영역(A2)으로 구분된다.Referring to FIG. 3, the
상기 컬러필터층(170)은 R(red), G(Green), B(Blue) 색화소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 영역(A1)에 대응하여 상기 컬러필터층(170) 상에는 상기 제1 절연막(140)이 형성된다. 이후, 상기 제1 절연막(140) 및 상기 제2 영역(A2)에 대응하여 상기 컬러필터층(170) 상에는 상기 공통 전극(150)이 균일한 두께로 형성된다.The
다음, 상기 제2 영역(A2)에 대응하여 상기 공통 전극(150) 상에는 상기 제2 절연막(160)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2 절연막(160)의 제1 두께(t1)는 상기 제1 절연막(140)의 제2 두께(t2)로 동일하다. 따라서, 상기 상부기판(100)은 전체적으로 균일한 두께를 갖는다.Next, the second insulating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반투과형 액정표시장치를 구체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in detail a transflective liquid crystal display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반투과형 액정표시장치(400)는 하부기판(200), 상기 하부기판(200)과 대향하여 구비되는 상부기판(100) 및 상기 하부기판(200)과 상기 상부기판(100)과의 사이에 개재된 액정층(300)으로 이루어진다.Referring to FIG. 4, the transflective liquid
상기 하부기판(200)은 제1 기판(210) 상에 게이트 절연막(220), 유기 절연막(230), 투과 전극(140) 및 반사 전극(150)을 구비한다. 상기 제1 기판(210) 상에는 다수의 TFT(미도시)가 구비되고, 상기 게이트 절연막(220)은 상기 TFT를 형성하는 구성 요소의 하나로써 상기 제1 기판(210) 상에 형성된다. 또한, 상기 유기 절연막(230)은 상기 TFT 및 게이트 절연막(220) 상에 구비되고, 감광성 절연 물질인 아크릴계 수지로 이루어진다.The
상기 유기 절연막(230)의 표면에는 다수의 요철(233)이 구비된다. 즉, 상기 유기 절연막(230)은 두께가 상대적으로 두꺼운 볼록부(233a)와 두께가 상대적으로 얇은 오목부(233b)로 이루어진 상기 다수의 요철(233)을 가진다.A plurality of
상기 유기 절연막(230) 상에는 투명성 도전 물질인 인듐 틴 옥사이드(Indium Tin Oxide; 이하, ITO) 또는 인듐 징크 옥사이드(Indium Zinc Oxide; 이하, IZO)로 이루어진 상기 투과 전극(240)이 균일한 두께로 형성된다.On the organic insulating
이후, 상기 투과 전극(240) 위로 상기 투과 전극(240)의 일부분을 노출시키기 위한 투과창(251)을 갖는 상기 반사 전극(250)이 균일한 두께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반사 전극(250)은 알루미늄-네오디뮴(AlNd)으로 이루어진 단일막 또는 알루미늄-네오디뮴(AlNd)과 몰디브덴 텅스텐(MoW)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이중막 구조를 가질 수 있다.Thereafter, the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유기 절연막(230)에는 상기 TFT의 드레인 전극을 노출시키기 위한 콘택홀(미도시)이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유기 절연막(230)에 상기 콘택홀이 형성된 경우, 상기 투과 전극(240) 및 상기 반사 전극(250)은 상기 콘택홀을 통해 상기 TFT의 드레인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Although not shown, a contact hole (not shown) for exposing the drain electrode of the TFT may be formed in the organic insulating
따라서, 상기 반투과형 액정표시장치(400)는 상기 반사 전극(250)이 구비된 반사 영역(RA)과 상기 투과창(251)이 형성된 투과 영역(TA)으로 이루어진다.Accordingly, the transflective liquid
상기 반사 영역(RA)에서는 상기 상부기판(100)을 통해 입사된 외부광(L1)을 상기 반사 전극(250)에 의해서 반사하여 다시 상기 상부기판(100)을 통해 외부로 출사시킴으로써 영상을 표시한다. 한편, 상기 투과 영역(TA)에서는 상기 하부기판(200)의 후면에 배치된 광원부(미도시)로부터 입사된 내부광(L2)을 상기 투과창(251)을 통해 출사시킴으로써 영상을 표시한다.In the reflective area RA, the external light L1 incident through the
한편, 상기 상부기판(100)은 제2 기판(110) 상에 컬러필터층(120), 평탄화막(130), 제1 절연막(140), 공통 전극(150) 및 제2 절연막(160)을 순차적으로 구비한다.
Meanwhile, the
상기 컬러필터층(120)은 R(red), G(Green), B(Blue) 색화소로 이루어지고, 상기 R, G, B 색화소 각각은 상기 반사 영역(RA) 내에서 상기 제2 기판(110)을 노출시키는 홀(121)을 갖는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반사 영역(RA)에서 이용하는 상기 외부광(L1)은 상기 컬러필터층(120)을 두 번 통과하지만, 상기 투과 영역(TA)에서 이용하는 상기 내부광(L2)은 상기 컬러필터층(120)을 한 번 통과한다.The
이때, 상기 홀(121)은 상기 반사 영역(RA)에 형성되는 상기 컬러필터층(120)을 부분적으로 제거한다. 따라서, 상기 외부광(L1)이 상기 컬러필터층(120)을 통과할 수 있는 확률을 감소시킬 수 있고, 그로 인해서 상기 반사 영역(RA)과 상기 투과 영역(TA)의 색재현성의 차이를 보상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상기 컬러필터층(120) 및 상기 홀(121)에 의해서 노출된 상기 제2 기판(110) 상에는 상기 평탄화막(130)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평탄화막(130)은 상기 컬러필터층(120)과 상기 홀(121)에 의해서 노출된 상기 제2 기판(110)과의 사이에 형성되는 단차를 제거한다.The
이후, 상기 투과 영역(TA)에 대응하여 상기 평탄화막(130) 상에는 상기 제1 절연막(140)이 형성된다. 다음, 상기 제1 절연막(140) 및 상기 제2 영역에 대응하는 상기 평탄화막(130) 상에는 상기 공통 전극(150)이 균일한 두께로 형성된다.Thereafter, the first insulating
상기 반사 영역(RA)에 대응하여 상기 공통 전극(150) 상에는 상기 제2 절연막(160)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2 절연막(160)의 제1 두께(t1)는 상기 제1 절연막(140)의 제2 두께(t2)로 동일하다. 따라서, 상기 상부기판(100)의 두께는 전체적으로 균일하다.
The second
따라서, 상기 반사 영역(RA)에서의 제1 셀 갭(d1)과 상기 투과 영역(TA)에서의 제2 셀 갭(d2)이 거의 동일해질 수 있다. 이로써, 상기 반투과형 액정표시장치(400)는 균일한 셀 갭을 가질 수 있다.Therefore, the first cell gap d1 in the reflection area RA and the second cell gap d2 in the transmission area TA may be substantially the same. As a result, the transflective
반면에, 상기 반사 영역(RA)에서 상기 반사 전극(250)과 상기 공통 전극(150)과의 제1 거리(D1)는 상기 투과 영역(TA)에서 상기 투과 전극(240)과 상기 공통 전극(150)과의 제2 거리(D2)보다 더 크다.On the other hand, in the reflective region RA, the first distance D1 between the
도 5는 반사 전압과 투과 전압에 따른 투과율 및 반사율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단, 도 5에서, 제1 그래프(TG)는 투과율의 변화를 나타내고, 제2 그래프(RG)는 반사율의 변화를 나타낸다.5 is a graph showing changes in transmittance and reflectance according to the reflection voltage and the transmission voltage. In FIG. 5, the first graph TG shows a change in transmittance, and the second graph RG shows a change in reflectance.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공통 전극(230)에 인가되는 전압이 상기 투과 영역(TA)과 상기 반사 영역(RA)에서 동일한 경우, 반투과형 액정표시장치(400)는 투과 영역(TA)에 구비된 액정층(300)에 약 4.2V가 인가될 때 최대의 투과율(약 40%)을 갖는다. 한편, 상기 공통 전극(230)에 인가되는 전압이 상기 투과 영역(TA)과 상기 반사 영역(RA)에서 동일한 경우, 상기 반투과형 액정표시장치(400)는 상기 반사 영역(RA)에 구비된 액정층(300)에 약 2.6V가 인가될 때 최대의 반사율(약 38%)을 나타낸다. 4 and 5, when the voltage applied to the
이와 같이, 최대 투과율을 나타내는 투과 전압과 최대 반사율을 나타내는 반사 전압이 서로 다르기 때문에 상기 반사 영역(RA)에 구비된 액정층(300)과 상기 투과 영역(TA)에 구비된 액정층에 서로 다른 전압을 인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최대의 투과율을 나타내는 약 4.2V를 상기 투과 영역(TA)에 구비된 액정층에 인가하고, 상기 4.2V보다 작은 2.6V를 상기 반사 영역(RA)에 구비된 액정층에 인가한다. 따라서, 상기 반투과형 액정표시장치(400)의 투과율 및 반사율을 최대로 확보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since the transmission voltage showing the maximum transmittance and the reflection voltage showing the maximum reflectance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different voltages are applied to the
일반적으로, 커패시턴스(C)는 다음 수학식을 만족한다.In general, the capacitance C satisfies the following equation.
수학식 1에서, 'ε'은 유전율이고, 'd'는 전극간 거리이며, 'A'는 각 전극의 면적이다.In Equation 1, 'ε' is a permittivity, 'd' is an inter-electrode distance, and 'A' is an area of each electrode.
수학식 1에 제시된 바와 같이, 커패시턴스(C)는 거리(d)에 비례한다. 즉, 거리(d)가 증가하면 상기 커패시턴스(C)는 감소하고, 거리(d)가 감소하면 그에 반비례하여 커패시턴스(C)가 증가한다.As shown in Equation 1, the capacitance C is proportional to the distance d. That is, as the distance d increases, the capacitance C decreases, and when the distance d decreases, the capacitance C increases in inverse proportion thereto.
또한, 커패시턴스(C)는 다음 수학식 2를 만족한다.In addition, the capacitance C satisfies the following expression (2).
수학식 2에서, 'Q'는 전하량이고, 'V'는 전압이다.In
수학식 2에 제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패시턴스(C)는 상기 전압(V)과 반비례한다. 즉, 상기 커패시턴스(C)가 증가하면, 상기 전압(V)은 그에 반비례하여 감소하고, 상기 커패시턴스(C)가 감소하면, 상기 전압(V)은 그에 반비례하여 증가한다. As shown in equation (2), the capacitance (C) is inversely proportional to the voltage (V). That is, as the capacitance C increases, the voltage V decreases in inverse proportion thereto. When the capacitance C decreases, the voltage V increases in inverse proportion thereto.
다시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반사 영역(RA)에서 상기 반사 전극(250)과 상기 공통 전극(150)과의 제1 거리(D1)는 상기 투과 영역(TA)에서 상기 투과 전극(240)과 상기 공통 전극(150)과의 제2 거리(D2)보다 더 크다.Referring to FIG. 4 again, in the reflective region RA, the first distance D1 between the
수학식 1 및 수학식 2에 따르면, 상기 반사 영역(RA)에서의 제1 거리(D1)가 상기 투과 영역(TA)에서의 제2 거리(D2)보다 큰 것에 반비례하여, 상기 반사 영역(RA)에서 상기 액정층(300)에 걸리는 반사 전압은 상기 투과 영역(TA)에서 상기 액정층(300)에 걸리는 투과 전압보다 감소하게 된다.According to
수학식 1에 제시된 바와 같이, 유전율(ε)도 상기 커패시턴스(C)를 결정하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따라서, 상기 반사 전극(250)과 상기 공통 전극(150)과의 사이에 개재되는 상기 제2 절연막(160)의 유전율을 조정함으로써 상기 반사 전압을 상기 투과 전압보다 감소시킬 수도 있다. 즉, 상기 제2 절연막(160)은 상기 액정층(300)과 서로 다른 유전율을 가짐으로써 상기 반사 전압의 크기를 변경시킬 수 있다.As shown in Equation 1, the dielectric constant epsilon also serves as a factor for determining the capacitance C. Therefore, the reflection voltage may be reduced from the transmission voltage by adjusting the dielectric constant of the second insulating
도 6a 내지 도 6e는 도 1에 도시된 상부기판의 제조 과정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들이다.6A through 6E are cross-sectional views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upper substrate illustrated in FIG. 1.
도 6a를 참조하면, 기판(110) 상에 R(red), G(Green), B(Blue) 색화소로 이루어진 컬러필터층(120)을 형성한다. 상기 R, G, B 색화소 각각에는 상기 기판(110)을 노출시키기 위한 홀(121)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2 영역(A2) 내에 형성된 상기 R, G, B 색화소의 일부분이 제거된다.Referring to FIG. 6A, a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컬러필터층(120) 및 상기 홀(121)에 의해서 노출된 상기 기판(110) 상에 평탄화막(130)을 형성한다. 따라서, 상기 평탄화막(130)은 상기 컬러필터층(120)과 상기 홀(121)에 의해서 노출된 상기 기판(110)과의 사이에서 발생되는 단차를 제거한다.As shown in FIG. 6B, a
도 6c를 참조하면, 상기 평탄화막(130) 상에 포지티브 포토레지스트(미도시)를 전체적으로 형성한 후, 상기 포지티브 포토레지스트를 패터닝하기 위한 제1 마스크(101)를 상기 포지티브 포토레지스트 위에 배치한다. 여기서, 상기 제1 마스크(101)는 상기 제2 영역(A2)에 대응하는 개구부(101a)를 갖도록 패터닝된 마스크이다.Referring to FIG. 6C, after forming a positive photoresist (not shown) on the
다음, 상기 제1 마스크(101)가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포지티브 포토레지스트를 노광하고, 상기 제1 마스크(101)를 제거한 후 상기 포지티브 포토레지스트의 노광된 부분을 식각 공정을 통해 제거한다. 이로써, 상기 평탄화막(130) 상에 상기 제1 영역(A1)에 대응하는 상기 제1 절연막(140)을 형성한다.Next, the positive photoresist is exposed while the
도 6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절연막(140) 및 상기 제2 영역에 대응하여 상기 평탄화막(130) 상에는 상기 공통 전극(150)이 균일한 두께로 형성된다. 상기 공통 전극(150)은 ITO 또는 IZO로 이루어진다.As illustrated in FIG. 6D, the
도 6e를 참조하면, 상기 공통 전극(150) 상에 네가티브 포토레지스트(미도시)를 전체적으로 형성한 후, 상기 네가티브 포토레지스트를 패터닝하기 위한 상기 제1 마스크(101)를 상기 네가티브 포토레지스트 위에 형성한다.Referring to FIG. 6E, after forming a negative photoresist (not shown) on the
다음, 상기 제1 마스크(101)가 배치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네가티브포토 레지스트를 노광하고, 상기 제1 마스크(101)를 제거한 후 상기 네가티브 포토레지 스트의 노광된 부분을 식각 공정을 통해 제거한다. 이로써, 상기 공통 전극(150) 상에 상기 제2 영역(A2)에 대응하는 상기 제2 절연막(160)을 형성한다.Next, the negative photoresist is exposed while the
이와 같이, 상기 제1 절연막(140)은 포지티브 포토레지스트로 이루어진 반면에 상기 제2 절연막(160)은 네가티브 포토레지스트로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제1 절연막(140) 및 제2 절연막(160)을 하나의 마스크를 이용하여 패터닝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상부기판(100)을 제조하기 위한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제조 공정의 수를 감소시킬 수 있다.As such, the first insulating
도 7a 내지 도 7c는 도 1에 도시된 상부기판의 제조 과정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들이다.7A to 7C are cross-sectional views illustrating another example of a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upper substrate illustrated in FIG. 1.
도 7a를 참조하면, 기판(110) 상에 컬러필터층(120) 및 평탄화막(130)까지 형성된 상태에서 상기 평탄화막(130) 상에 네가티브 포토레지스트(미도시)를 전체적으로 형성한다. 이후, 상기 네가티브 포토레지스트를 패터닝하기 위한 제2 마스크(103)를 상기 네가티브 포토레지스트 상에 배치한다. 여기서, 상기 제2 마스크(103)는 상기 제1 영역(A1)에 대응하는 개구부(103a)를 갖도록 패터닝된 마스크이다.Referring to FIG. 7A, a negative photoresist (not shown) is entirely formed on the
다음, 상기 제2 마스크(103)가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네가티브 포토레지스트를 노광하고, 상기 제2 마스크(103)를 제거한 후 상기 네가티브 포토레지스트의 노광된 부분을 식각 공정을 통해 제거한다. 이로써, 상기 평탄화막(130) 상에 상기 제1 영역(A1)에 대응하는 상기 제1 절연막(140)을 형성한다.Next, the negative photoresist is exposed while the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절연막(140) 및 상기 제2 영역에 대응 하여 상기 평탄화막(130) 상에는 상기 공통 전극(150)이 균일한 두께로 형성된다.As shown in FIG. 7B, the
도 7c를 참조하면, 상기 공통 전극(150) 상에 포지티브 포토레지스트(미도시)를 전체적으로 형성한 후, 상기 포지티브 포토레지스트를 패터닝하기 위한 상기 제2 마스크(103)를 상기 포지티브 포토레지스트 상에 배치한다.Referring to FIG. 7C, after forming a positive photoresist (not shown) on the
다음, 상기 제2 마스크(103)가 배치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포지티브 포토레지스트를 노광하고, 상기 제2 마스크(103)를 제거한 후 상기 포지티브 포토레지스트의 노광된 부분을 식각 공정을 통해 제거한다. 이로써, 상기 공통 전극(150) 상에 상기 제2 영역(A2)에 대응하는 상기 제2 절연막(160)을 형성한다.Next, the positive photoresist is exposed while the
이와 같이, 상기 제1 절연막(140)은 네가티브 포토레지스트로 이루어진 반면에 상기 제2 절연막(160)은 포지티브 포토레지스트로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제1 절연막(140) 및 제2 절연막(160)을 하나의 마스크를 이용하여 패터닝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상부기판(100)을 제조하기 위한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제조 공정의 수를 감소시킬 수 있다.As such, the first insulating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제1 및 제2 절연막(140, 160) 각각은 포지티브 포토레지스트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절연막(140, 160) 각각은 네가티브 포토레지스트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 절연막(140)을 패터닝하기 위한 마스크 이외에 상기 제2 절연막(160)을 패터닝하기 위한 마스크가 추가로 구비된다.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insulating
이와 같은 상부기판, 이를 갖는 액정표시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에 따르면, 상부기판은 투과 영역에 대응하는 기판 상에 구비된 제1 절연막, 제1 절연막 및 반사 영역에 대응하는 기판 상에 구비된 공통 전극 및 반사 영역에 대응하는 공통 전극 상에 적층되는 제2 절연막으로 이루어진다.According to such an upper substrate,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the upper substrate includes a first insulating film, a first insulating film, and a common electrode provided on a substrate corresponding to the reflective region. And a second insulating film stacked on the common electrode corresponding to the reflective region.
따라서, 상기 액정표시장치는 균일한 셀갭을 가지면서 상기 반사 전극과 공통 전극과의 거리를 상기 투과 전극과 공통 전극과의 거리보다 크게 유지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반사 영역의 반사율 및 상기 투과 영역의 투과율을 모두 향상시킬 수 있고, 그로 인해서 상기 액정표시장치의 표시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Therefore, the liquid crystal display may maintain a uniform cell gap and maintain the distance between the reflective electrode and the common electrode larger than the distance between the transmissive electrode and the common electrode.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improve both the reflectance of the reflective region and the transmittance of the transmissive region, thereby improving the display characteristics of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이상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lthough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above,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variously modified and chang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set forth in the claims below. Could be.
Claims (12)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30036816A KR100993831B1 (en) | 2003-06-09 | 2003-06-09 | Upper substrat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having sam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US10/833,553 US7379134B2 (en) | 2003-04-30 | 2004-04-28 | Liquid crystal display having an insulating layer on a portion of the common electrode |
JP2004133511A JP4749678B2 (en) | 2003-04-30 | 2004-04-28 |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TW093112023A TW200500721A (en) | 2003-04-30 | 2004-04-29 | Upper substrate, liquid crystal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
US12/127,092 US7622147B2 (en) | 2003-04-30 | 2008-05-27 | Liquid crystal display having an insulating layer on a portion of the common electrod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30036816A KR100993831B1 (en) | 2003-06-09 | 2003-06-09 | Upper substrat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having sam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0105441A KR20040105441A (en) | 2004-12-16 |
KR100993831B1 true KR100993831B1 (en) | 2010-11-12 |
Family
ID=373804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30036816A Expired - Fee Related KR100993831B1 (en) | 2003-04-30 | 2003-06-09 | Upper substrat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having sam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993831B1 (en)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0111902A (en) | 1998-01-26 | 2000-04-21 | Sharp Corp |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
-
2003
- 2003-06-09 KR KR1020030036816A patent/KR100993831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0111902A (en) | 1998-01-26 | 2000-04-21 | Sharp Corp |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0105441A (en) | 2004-12-1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622147B2 (en) | Liquid crystal display having an insulating layer on a portion of the common electrode | |
US7488983B2 (en) | Transflectiv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 |
US7440055B2 (en) | Transflectiv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fabricating method thereof | |
US8390770B2 (en) | Liquid crystal display, color filter substrat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
JP4458965B2 (en) | Color filter substrat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 |
US20110220902A1 (en) | Transflectiv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 |
CN100595644C (en) | Transflective diode substrat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
US7907244B2 (en) | Manufacturing process of transflective pixel structure | |
US20070188682A1 (en) | Method for manufacturing a display device | |
US20040125288A1 (en) | Method of fabricating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having concave reflector | |
JP2006171752A (en) | Reflective transmission typ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
KR20080026721A (en) | Color filter substrat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 |
KR100993831B1 (en) | Upper substrat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having sam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
KR100995581B1 (en) | Color filter substrat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having sam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
CN1963648A (en) | Display substrat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 |
KR101000442B1 (en) | Reflective-transmissive polysilicon liquid crystal displa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
US20050124087A1 (en) | Method for manufacturing electro-optical device, electro-optical device, and electronic equipment | |
KR100983520B1 (en) | LCD Display | |
KR100957576B1 (en) | LCD Display | |
KR100981639B1 (en) | Upper substrat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having sam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
KR101023977B1 (en) | Manufacturing method of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 |
KR100803173B1 (en) | Manufacturing Method of Liquid Crystal Display | |
KR100852169B1 (en) |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rray substrate thereof | |
KR100906956B1 (en) | Reflective-transmissive liquid crystal displa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
KR20060054998A (en) | Masks and Display Panels thereby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30609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80528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30609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910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004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01027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0110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0110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