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93680B1 - Amplifier circuit with noise filter and noise filter - Google Patents
Amplifier circuit with noise filter and noise filt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993680B1 KR100993680B1 KR1020090026467A KR20090026467A KR100993680B1 KR 100993680 B1 KR100993680 B1 KR 100993680B1 KR 1020090026467 A KR1020090026467 A KR 1020090026467A KR 20090026467 A KR20090026467 A KR 20090026467A KR 100993680 B1 KR100993680 B1 KR 10099368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apacitor
- capacitance
- noise filter
- junction
- voltage sid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H—IMPEDANCE NETWORKS, e.g. RESONANT CIRCUITS; RESONATORS
- H03H7/00—Multiple-port networks comprising only passive electrical elements as network components
- H03H7/01—Frequency selective two-port networks
- H03H7/0107—Non-linear filters
-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mplifiers
- H03F2200/03—Indexing scheme relating to amplifiers the amplifier being designed for audio applications
-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mplifiers
- H03F2200/114—Indexing scheme relating to amplifiers the amplifier comprising means for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EMI] protection
-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3/00—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r only semiconductor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3/181—Low-frequency amplifiers, e.g. audio preamplifiers
- H03F3/183—Low-frequency amplifiers, e.g. audio preamplifiers with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03F3/187—Low-frequency amplifiers, e.g. audio preamplifiers with semiconductor devices only in integrated circuits
-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H—IMPEDANCE NETWORKS, e.g. RESONANT CIRCUITS; RESONATORS
- H03H7/00—Multiple-port networks comprising only passive electrical elements as network components
- H03H7/01—Frequency selective two-port networks
- H03H7/0115—Frequency selective two-port networks comprising only inductors and capacit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s (AREA)
Abstract
다이오드의 접합 용량을 이용한 노이즈 필터(LPF)에서는, 접합 용량의 용량값과 저항값에 의해 LPF의 차단 주파수가 결정된다. 그러나 충분한 RFI 제거 특성을 얻기 위해서는, 5㎒ 이하의 차단 주파수가 필요하게 되어, 용량값이나 저항값 중 어느 하나를 늘릴 필요가 있다. 그러나, 용량값을 크게 하면 칩 사이즈의 확대로 되고, 저항값을 크게 하면 입력 손실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었다. 3단자 중 2단자를 다이오드 접속한 트랜지스터로 이루어지는 제1 용량과, pn 접합 용량과 절연 용량을 병렬 접속한 제2 용량에 의해, 사다리형의 LPF를 구성한다. 반도체층에 형성하는 pn 접합 용량과 그 표면에 형성하는 절연 용량을 대략 중첩시켜 병렬 접속시키기 때문에, 용량값을 증가시켜도 점유 면적의 증가를 회피할 수 있다. 또한, 제1 용량이 스냅백 특성을 갖기 때문에, 절연 용량을 갖는 제2 용량을 ESD로부터 보호할 수 있고, 소형이며 고성능의 RFI 제거 특성을 갖고, 고EDS화를 실현할 수 있다.In the noise filter LPF using the junction capacitance of the diode, the cutoff frequency of the LPF is determined by the capacitance value and the resistance value of the junction capacitance. However, in order to obtain sufficient RFI rejection characteristics, a cutoff frequency of 5 MHz or less is required, and either the capacitance value or the resistance value needs to be increased. However, if the capacitance value is increased, the chip size is enlarged. If the resistance value is increased, the input loss increases. A ladder type LPF is formed by a first capacitor comprising a transistor in which two terminals of the three terminals are diode-connected, and a second capacitor in which a pn junction capacitor and an insulating capacitor are connected in parallel. Since the pn junction capacitance formed in the semiconductor layer and the insulating capacitance formed on the surface thereof are superimposed in parallel and connected in parallel, an increase in the occupied area can be avoided even when the capacitance value is increased. In addition, since the first capacitance has a snapback characteristic, it is possible to protect the second capacitance having an insulation capacitance from ESD, to have a small and high-performance RFI removal characteristic, and to realize high EDS.
제1 용량, 제2 용량, pn 접합 용량, 절연 용량, 절연막, 도전층 First capacitance, second capacitance, pn junction capacitance, insulation capacitance, insulating film, conductive layer
Description
본 발명은, 노이즈 필터 및 노이즈 필터 내장 앰프 회로에 관한 것으로, 특히 RFI(Radio Frequency Interference)의 개선을 실현한 노이즈 필터 및 노이즈 필터 내장 앰프 회로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일렉트릿 콘덴서 마이크로폰(Electret Condenser Microphone : 이하 ECM)의 임피던스 변환 및 증폭을 행하기 위해, 앰프 소자가 이용되고 있다. 앰프 소자는 예를 들면, 접합형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Junction Field Effect Transistor : 이하 J-FET)나, 증폭 집적 회로 소자에 의해 구성된다.An amplifier element is used to perform impedance conversion and amplification of an electret condenser microphone (ECM). The amplifier element is composed of, for example, a junction field effect transistor (hereinafter referred to as J-FET) or an amplifying integrated circuit element.
그런데, ECM이 예를 들면 휴대 전화 등에 탑재된 경우에, 휴대 전화의 무선 주파수의 전파가 배선이나 관련 부품에 영향을 주어, ECM의 노이즈로서 검출되게 된다.By the way, when the ECM is mounted on, for example, a cellular phone, radio wave propagation of the radio frequency of the cellular phone affects the wiring and related components and is detected as noise of the ECM.
따라서, 신호 등의 배선을 통한 노이즈의 누설이나 침입을 방지하여, RFI를 개선하기 위해, 다양한 노이즈 필터가 이용되고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특허 문헌 2 참조).Therefore, various noise filters are used to prevent leakage or intrusion of noise through wiring such as signals and to improve RFI (see
도 5는, 임피던스 변환용의 증폭 집적 회로 소자에 접속하는 종래의 노이즈 필터(510, 511)를 도시하는 회로도이다. 노이즈 필터(510, 511)는, 예를 들면 전자 간섭을 방지하기 위한 저역 통과 필터(Low-Pass Filter : LPF)형의 EMI(Electro-magnetic interference) 필터이다.FIG. 5 is a circuit diagram showing
도 5의 (A)에 도시한 노이즈 필터(510)는 2개의 용량 C11, C12를 병렬로 접속하고, 2개의 용량 C11, C12의 고전압측의 일단의 사이에 저항 R이 직렬 접속한 것이다. 노이즈 필터(510)의 입력 단자 Vi'는 전원에 접속하고, 출력 단자 Vo'는 증폭 집적 회로 소자(도시 생략)에 접속한다.In the
이 회로는, 2개의 용량 C11, C12를 사다리형으로 접속하고 그 사이에 저항 R을 접속한 LPF이며, 이것을 증폭 집적 회로 소자에 접속함으로써, 외래의 RF 노이즈는 LPF에 의해 차단되어 증폭 집적 회로 소자에 주는 영향을 매우 작게 할 수 있으므로, ECM의 RFI를 개선할 수 있다.This circuit is an LPF in which two capacitors C11 and C12 are connected in a ladder shape and a resistor R is connected therebetween. By connecting this to an amplifier integrated circuit element, foreign RF noise is cut off by the LPF, thereby amplifying integrated circuit elements. Since the influence on the surface can be made very small, the RFI of the ECM can be improved.
또한 도 5의 (B)에 도시한 노이즈 필터(511)는, 상기의 용량 C11, C12 대신에 다이오드 D1, D2가 접속한 것이며, 다이오드 D1, D2의 접합 용량 C21, C22를, 도 11의 (A)에 도시한 용량 C11, C12로서 이용한 LPF이다.In addition, in the
LPF를, 증폭 집적 회로 소자, 또는 증폭 집적 회로 소자와 동일하게 임피던스 변환에 이용하는 J-FET나 p채널형 MOSFET(Metal 0xide Semiconductor Field Effect Transistor)와 동일 칩에 집적화하는 것도 가능하며, 이 경우에는 정전기 방전(electrostatic discharge : ESD)이나 제조 프로세스의 관점에서, 도 5의 (B)와 같이 다이오드 D1, D2의 접합 용량을 이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The LPF can be integrated on the same chip as the amplification integrated circuit device or the amplification integrated circuit device and the J-FET or p-channel MOSFET (Metal 0xide Semiconductor Field Effect Transistor) used for impedance conversion. In view of an electrostatic discharge (ESD) or a manufacturing process, it is common to use the junction capacitances of the diodes D1 and D2 as shown in Fig. 5B.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제2007-267168호 공보 [Patent Document 1] Japanese Unexamined Patent Publication No. 2007-267168
[특허 문헌 2] 일본 특허 공표 제2006-514497호 공보[Patent Document 2] Japanese Patent Publication No. 2006-514497
도 6은, 도 5의 (B)에 도시한 노이즈 필터(511)를 증폭 집적 회로 소자(550)에 접속한 경우의 일례를 도시하는 회로도이다.FIG. 6 is a circuit diagram showing an example in the case where the
증폭 집적 회로 소자(550)는 그 입력 단자 IN이, ECM(560)의 일단에 접속한다. 노이즈 필터(511)는 고전압측의 출력 단자 Vo'와 저전압측의 출력 단자(GND)가, 증폭 집적 회로 소자(550)와 병렬로 접속한다. 따라서, 노이즈 필터(511)와 증폭 집적 회로 소자(550)는 1칩에 집적화하는 것이 가능하다.The input terminal IN of the amplified
그런데, 다이오드 D1, D2를 이용한 노이즈 필터(511)에서는, 다이오드 D1, D2의 접합 용량 C21, C22와, 저항 R의 저항값에 의해 LPF의 차단 주파수 fc가 결정된다. 그러나, RFI를 충분히 개선하기 위해서는 필터의 차단 주파수 fc를 낮게 할 필요가 있으며, 그를 위해서는 용량값이나 저항값을 크게 해야만 한다.By the way, in the
그러나, 용량값을 크게 하는 것은 노이즈 필터(511), 혹은 이것과 증폭 집적 회로 소자(550)를 집적화한 노이즈 필터 내장 증폭 집적 회로 소자의 칩 사이즈가 확대되는 문제가 있다.However, increasing the capacitance has a problem in that the chip size of the
또한, 저항 R의 저항값을 크게 하면, 노이즈 필터(511)로부터 출력되는 전압 강하에 의해, 증폭 집적 회로 소자(550)에 인가되는 전압도 감소하기 때문에, EMC(560)로부터의 출력 저하의 문제(출력 로스)가 생긴다.In addition, when the resistance value of the resistor R is increased, the voltage applied to the amplified
본 발명은 이러한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첫째로, 3단자 중 2단자를 다이오드 접속한 트랜지스터의 접합 용량으로 이루어지는 제1 용량과, pn 접합 용량과 절연 용량을 병렬 접속하여 이루어지는 제2 용량과, 저항을 구비하고, 상기 제1 용량의 고전압측을 입력으로 하고, 상기 제2 용량의 고전압측을 출력으로 하여, 상기 제1 용량 및 상기 제2 용량 사이에 상기 저항을 접속하고, 상기 제1 용량 및 상기 제2 용량의 저전압측을 GND 접속함으로써 해결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mentioned problems. Firstly, a first capacitance comprising a junction capacitance of a transistor in which two terminals of three terminals are diode-connected, a second capacitance formed by connecting a pn junction capacitance and an insulation capacitance in parallel, A resistor is provided, the high voltage side of the first capacitor is input, the high voltage side of the second capacitor is output, the resistor is connected between the first capacitor and the second capacitor, and the first capacitor is connected. And the GND connection of the low voltage side of the second capacitor.
둘째로, 3단자 중 2단자를 다이오드 접속한 트랜지스터의 접합 용량으로 이루어지는 제1 용량과, pn 접합 용량과 절연 용량을 병렬 접속하여 이루어지는 제2 용량과, 저항을 구비하고, 상기 제1 용량의 고전압측을 입력으로 하고, 상기 제2 용량의 고전압측을 출력으로 하여, 상기 제1 용량 및 상기 제2 용량 사이에 상기 저항을 접속하고, 상기 제1 용량 및 상기 제2 용량의 저전압측을 GND 접속한 노이즈 필터의 출력에 접속한 앰프 소자를 구비함으로써 해결하는 것이다.Secondly, a first capacitor comprising a junction capacitance of a transistor in which two terminals of the three terminals are diode-connected, a second capacitor formed by connecting a pn junction capacitor and an insulation capacitor in parallel, and a resistor, and have a high voltage of the first capacitor. The side is input, the high voltage side of the second capacitor is output, the resistor is connected between the first capacitor and the second capacitor, and the low voltage side of the first capacitor and the second capacitor is connected to GND. This is solved by providing an amplifier element connected to the output of one noise filter.
셋째로, 1칩을 구성하는 일 도전형 반도체층과, 그 일 도전형 반도체층에 설치된 노이즈 필터와, 상기 일 도전형 반도체층에 설치된 앰프 소자를 구비하고, 상기 노이즈 필터는, 3단자 중 2단자를 다이오드 접속한 트랜지스터의 접합 용량으로 이루어지는 제1 용량과, pn 접합 용량과 절연 용량을 병렬 접속하여 이루어지는 제2 용량과, 저항을 구비하고, 상기 노이즈 필터는, 상기 제1 용량의 고전압측을 입력으로 하고, 상기 제2 용량의 고전압측을 출력으로 하여, 상기 제1 용량 및 상기 제2 용량 사이에 상기 저항을 접속하고, 상기 제1 용량 및 상기 제2 용량의 저전압 측을 GND 접속하고, 상기 앰프 소자는 상기 노이즈 필터의 출력에 접속됨으로써 해결하는 것이다.Third, one conductive semiconductor layer constituting one chip, a noise filter provided in the one conductive semiconductor layer, and an amplifier element provided in the one conductive semiconductor layer, the noise filter comprises two of three terminals. A first capacitor comprising a junction capacitance of a transistor having diode-connected terminals, a second capacitor formed by connecting a pn junction capacitance and an insulation capacitor in parallel, and a resistor; and the noise filter includes a high voltage side of the first capacitor. An input, the high voltage side of the second capacitor being an output, the resistor connected between the first capacitor and the second capacitor, the GND connection of the low voltage side of the first capacitor and the second capacitor, The amplifier element is solved by being connected to the output of the noise filter.
본 발명에 따르면, 첫째로, 소형이며 또한 높은 용량값의 노이즈 필터를 제공할 수 있다. 즉, 한쪽의 용량(제2 용량)을 pn 접합 용량과 절연 용량을 병렬 접속한 용량으로 함으로써, 노이즈 필터로서의 사이즈를 증가시키지 않고 높은 용량값이 얻어진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rstly, it is possible to provide a noise filter having a small and high capacitance value. That is, by setting one capacitance (second capacitance) as a capacitance in which the pn junction capacitance and the insulation capacitance are connected in parallel, a high capacitance value is obtained without increasing the size as the noise filter.
둘째로, 단자를 다이오드 접속한 트랜지스터의 접합 용량을 제1 용량에 이용함으로써, 높은 ESD 효과가 얻어진다. 제2 용량은 특히 절연 용량이 ESD에 약한 문제가 있지만, 제1 용량이 갖는 스냅백 특성과 제1 용량과 제2 용량 사이에 삽입하는 저항에 의해, 제2 용량을 보호할 수 있다.Second, a high ESD effect is obtained by using the junction capacitance of the transistor having diode-connected terminals as the first capacitance. Although the second capacitance has a problem that the insulation capacitance is particularly weak in ESD, the second capacitance can be protected by the snapback characteristic of the first capacitance and the resistance inserted between the first capacitance and the second capacitance.
셋째로, 증폭 집적 회로 소자와 노이즈 필터를 동일 칩에 집적화한 노이즈 필터 내장 증폭 집적 회로 소자는, 종래 구조와 비교하여 동일 칩 사이즈로 높은 RFI 제거 특성을 실현할 수 있다.Third, the amplification integrated circuit device incorporating the amplification integrated circuit device and the noise filter integrated on the same chip can realize a high RFI elimination characteristic at the same chip size as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structure.
또한, 종래 구조와 동등한 RFI 제거 특성을 유지하는 것이면, 칩 사이즈를 축소할 수 있어, 코스트를 저감할 수 있다.In addition, if the RFI removal characteristic equivalent to the conventional structure is maintained, the chip size can be reduced, and the cost can be reduced.
즉, 소형이며, 양호한 RFI 제거 특성을 갖고, 높은 ESD 효과가 얻어지는 노이즈 필터 내장 증폭 집적 회로 소자를 제공할 수 있다.That is,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amplification integrated circuit device with a built-in noise filter having a small size, good RFI removal characteristics, and a high ESD effect.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3.
도 1은, 본 실시 형태의 노이즈 필터(100)를 도시하는 회로도이다. 1 is a circuit diagram showing the
노이즈 필터(100)는 제1 용량(10)과, 제2 용량(20)과, 저항(30)으로 구성된다.The
제1 용량(10)은 3단자 중 2단자를 다이오드 접속한 트랜지스터의 접합 용량이다. 구체적으로는 트랜지스터는 예를 들면, 소스 S, 드레인 D, 게이트 G, 소스 S에 접속된 백 게이트 BG를 갖는 MOSFET(Metal 0xide Semiconductor Field Effect Transistor)이며, 소스 S와 게이트 G를 다이오드 접속하고, 애노드 A로 한다. 드레인 D는, 캐소드 K로 되고 노이즈 필터(100)의 입력 단자 Vi로 된다.The
애노드 A는 저전압측(GND)에 접속되고, 캐소드 K는 고전압측(부하 저항 RL 경유로 전원 VDD)에 접속되어 있고, 역바이어스가 인가되기 때문에, 다이오드가 아니라 용량으로서 동작한다(도 2 참조).The anode A is connected to the low voltage side GND, the cathode K is connected to the high voltage side (power supply VDD via the load resistor R L ), and since reverse bias is applied, it operates as a capacitor rather than a diode (see FIG. 2). ).
제2 용량(20)은 pn 접합 용량(20a)과 절연 용량(20b)을 병렬 접속한 것이다. 일단이 애노드 A, 타단이 캐소드 K로 되고 노이즈 필터(100)의 출력 단자 Vo로 된다. 애노드 A는 저전압측(GND)에 접속되고, 캐소드 K는 고전압측(저항(30) 및 부하 저항 RL 경유로 전원 VDD)에 접속되어 있고, 역바이어스가 인가되기 때문에, pn 접합 용량(20a)은 다이오드가 아니라 용량으로서 동작한다(도 2 참조).The
제1 용량(10)과 제2 용량(20) 양자의 캐소드 K(고전압측) 사이에는 저항(30)이 직렬로 접속되어, n형의 노이즈 필터(100)가 구성된다.A
노이즈 필터(100)는, 예를 들면 전자 간섭을 방지하기 위한 EMI(Electro- magnetic interference) 필터이며, 이하 EMI 필터(100)라고 칭한다.The
도 2는, 도 1의 EMI 필터(100)를 내장한 앰프 회로(200)(이하 EMI 필터 내장 앰프 회로(200))를 도시하는 회로도이다.FIG. 2 is a circuit diagram showing an amplifier circuit 200 (hereinafter referred to as an EMI filter built-in amplifier circuit 200) incorporating the
앰프 소자(201)는, 예를 들면 증폭 집적 회로 소자나 J-FET 등에 의해 구성되고, 제1 단자 IN(Gate)이 일렉트릿 콘덴서 마이크로폰(ECM)(250)의 일단에 접속하고, 제2 단자 OUT(Drain)가, EMI 필터(100)의 출력 단자 Vo측에 접속한다. 또한, 제3단자 GND(Source)는 GND에 접속된다.The
본 실시 형태의 EMI 필터 내장 앰프 회로(200)는, 이와 같이 EMI 필터(100)와 앰프 소자(201)를 1칩에 집적화한 집적 회로 소자이다.The amplifier circuit with built-in EMI filter of this embodiment is an integrated circuit element which integrated the
ECM(250)은 진동막(진동판)과, 이것과 대향하는 전극을 케이스 내에 배치한 것이며, 소리에 의한 진동막의 움직임이 진동막 및 전극간의 정전 용량의 변화로서 취출되는 것이다. 진동막은 예를 들면 고분자 재료 등에 의해 구성되고, 일렉트릿 효과에 의해 진동막에 전하를 지속시킨 것이다.The
EMI 필터 내장 앰프 회로(200)의 일단(제1 용량(10)의 캐소드 K(입력 단자 Vi))은, 부하 저항 RL을 통하여 전원 VDD에 접속한다. EMI 필터 내장 앰프 회로(200)의 타단(제1 용량(10)의 애노드 A, 제2 용량의 애노드 A, 앰프 회로(201)의 제3 단자(GND))은 GND에 접속한다.One end (cathode K (input terminal Vi) of the first capacitor 10) of the
앰프 회로(201)의 제2 단자(OUT)에 흐르는 전류는, EMI 필터(100)의 차단 주파수에 비해 충분히 낮은 주파수(예를 들면 100㎑)로, EMI 필터(100)를 그대로 통 과하여, EMI 필터 내장 앰프 회로(200)의 출력 전류로 된다. 이 전류가 부하 저항 RL에 흐름으로써, 부하 저항 RL의 양단에 전위차가 생기고, 이 전위차의 변화(AC분)가 VOUT로서 출력된다.The current flowing through the second terminal OUT of the
VDD나 부하 저항 RL측으로부터, EMI 필터(100)에 불필요한 고주파 신호(RF 노이즈)가 전파되면, 부하 저항 RL과 EMI 필터(100)가 2차의 LPF로서 동작하고, 제1 용량(10), 제2 용량(20)을 통하여 RF 노이즈가 빠져나가기 때문에, 최대 -12㏈/OCT의 차단 특성을 나타낸다.When unnecessary high frequency signals (RF noise) are propagated from the VDD or the load resistor R L side to the
이에 의해, 앰프 소자(201)에 무선 주파수의 고주파 신호가 입력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reby, the high frequency signal of a radio frequency can be prevented from being input to the
후에 상세히 설명하지만, 본 실시 형태의 제2 용량(20)은 반도체층에 형성한 pn 접합 용량(20a)과, 반도체층 상에 절연막을 유전체로 하고, 그 위에 도전 재료를 배치한 절연 용량(20b)을 대략 중첩시켜 배치하고, 병렬 접속한 것이다. 따라서, EMI 필터(100)의 사이즈를 증가시키지 않고, 용량값을 증가시킬 수 있다. 따라서, 이것을 내장한 EMI 필터 내장 앰프 회로(200)의 칩 사이즈의 증가를 방지하고, RFI 제거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Although described later in detail, the
한편으로 절연 용량(20b)은 유전체로서 절연막을 이용하기 때문에, 정전기 방전(ESD)에 약한 구조이다. 그러나,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1 용량(10)으로서 2단자를 다이오드 접속한 MOSFET를 이용하고 있다. 이에 의해, 제1 용량(10)에서 정전기를 충분히 방전시켜, 제2 용량(20)에 인가되는 정전기를 대폭 감쇠시킬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insulating
도 3은, 제1 용량(10)인 MOSFET의 전류 I-전압 V 특성을 나타내는 개요도이다. 이와 같이, MOSFET는 다이오드 접속으로 하기 때문에, 스냅백 특성을 갖고, ESD에 강하다. 따라서, MOSFET의 브레이크다운 전압을, 스냅백하는 전압 VSB 이하로 설계함으로써, 정전기를 충분히 흡수하여, 제2 용량(20) 및 앰프 소자(201)를 ESD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3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current I-voltage V characteristics of the MOSFET which is the
도 4는, 본 실시 형태의 EMI 필터 내장 앰프 회로(200)의 제2 용량(20) 부분의 구조를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여기서는 p형 반도체 기판을 예로 이용하여 설명한다.4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the structure of a portion of the
제2 용량(20)은 pn 접합 용량(20a)과 절연 용량(20b)으로 이루어진다. pn 접합 용량(20a)은, p-형 반도체층(11)의 표면에 n형(n+형) 불순물을 확산한 n형 반도체 영역(22)이 형성되고, p-형 반도체층(11) 표면에 절연막(23)이 형성된다. p-형 반도체층(11) 상에는, 절연막(23)에 형성된 개구부를 통하여, n형 반도체 영역(22)과 컨택트하는 제1 용량 전극(캐소드 전극)(25)이 형성된다. 제1 용량 전극(25)은, EMI 필터(100)의 출력 단자 Vo로 되며 저항(30)의 저항 전극 및 앰프 소자(201)의 드레인 전극과 접속한다.The
p-형 반도체층(11) 표면에는, 고농도의 p형(p+형) 불순물 영역에 의한 다른 GND 컨택트 영역(28)이 형성되고, 절연막(23)에 형성된 개구부를 통하여, 제2 용량 전극(애노드 전극)(26)과 컨택트한다.On the surface of the p-
p-형 반도체층(11)과 n형 반도체 영역(22)의 pn 접합에 의해, pn 접합 용량(20a)이 형성된다.The
또한 p-형 반도체층(11) 표면의 절연막(23) 상에는, 도전층(예를 들면 폴리실리콘)(24)이 배치된다. 폴리실리콘(24) 상은 다시 절연막(23)으로 덮여지고, 폴리실리콘(24) 일단은, 그 위에 형성된 제3 용량 전극(27)과 컨택트한다. 제2 용량 전극(26)과 제3 용량 전극(27)은 접속되고, GND 전위가 인가된다. 이에 의해, 절연막(23)을 유전체로 하고, 제1 용량 전극(25)을 캐소드 전극으로 하고, 제3 용량 전극(27)을 애노드 전극으로 하는 절연 용량(20b)이 구성된다.In addition, a conductive layer (for example, polysilicon) 24 is disposed on the insulating
pn 접합 용량(20a)과 절연 용량(20b)의 병렬 접속에 의해, 종래 구조(도 5의 (A)의 용량 C12, 도 5의 (B)의 용량 C22)와 비교하여, 용량값을 증가시킬 수 있다.By the parallel connection of the
또한, 절연 용량(20b)은 p-형 반도체층(11)에 형성한 pn 접합 용량(20a)과 대략 중첩하여 형성된다. 즉 제2 용량(20)은 pn 접합 용량(20a)과 절연 용량(20b)의 병렬 접속에 의해 용량값을 증가시킨 구조이면서, 그 점유 면적의 증가를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insulating
도 1은 본 실시 형태의 노이즈 필터를 설명하는 회로도.1 is a circuit diagram illustrating a noise filter of the present embodiment.
도 2는 본 실시 형태의 노이즈 필터 내장 앰프 회로를 설명하는 회로도.Fig. 2 is a circuit diagram illustrating an amplifier circuit with a built-in noise filter of this embodiment.
도 3은 본 실시 형태의 노이즈 필터를 설명하는 특성도.Fig. 3 is a characteristic diagram illustrating the noise filter of this embodiment.
도 4는 본 실시 형태의 노이즈 필터 내장 앰프 회로의 제2 용량을 설명하는 단면도.4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econd capacitance of the amplifier circuit with a built-in noise filter of this embodiment.
도 5는 종래의 노이즈 필터를 설명하는 회로도.5 is a circuit diagram illustrating a conventional noise filter.
도 6은 종래의 노이즈 필터를 내장한 앰프 회로를 설명하는 회로도.6 is a circuit diagram illustrating an amplifier circuit incorporating a conventional noise filter.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 제1 용량10: first dose
11 : p-형 반도체층11: p-type semiconductor layer
20 : 제2 용량20: second dose
20a : pn 접합 용량20a: pn junction capacity
20b : 절연 용량20b: insulation capacity
22 : n형 반도체 영역22: n-type semiconductor region
23 : 절연막23: insulating film
24 : 도전층24: conductive layer
25 : 제1 용량 전극25: first capacitor electrode
26 : 제2 용량 전극26: second capacitor electrode
27 : 제3 용량 전극27: third capacitor electrode
28 : GND 컨택트 영역28: GND contact area
30 : 저항30: resistance
100 : 노이즈 필터100: noise filter
200 : 노이즈 필터 내장 앰프 회로200: amplifier circuit with built-in noise filter
201 : 앰프 소자(J-FET)201: Amplifier element (J-FET)
250 : ECM250: ECM
510, 511 : 노이즈 필터510, 511: noise filter
550 : 증폭 집적 회로 소자550 amplified integrated circuit device
C11, C12 : 용량C11, C12: Capacity
C21, C22 : 접합 용량C21, C22: junction capacity
Vi, Vi', IN : 입력 단자Vi, Vi ', IN: Input terminal
Vo, Vo' : 출력 단자Vo, Vo ': Output terminal
R : 저항R: resistance
D1, D2 : 다이오드 D1, D2: Diode
Claims (5)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26467A KR100993680B1 (en) | 2008-03-28 | 2009-03-27 | Amplifier circuit with noise filter and noise filt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08-086636 | 2008-03-28 | ||
KR1020090026467A KR100993680B1 (en) | 2008-03-28 | 2009-03-27 | Amplifier circuit with noise filter and noise filter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103826A KR20090103826A (en) | 2009-10-01 |
KR100993680B1 true KR100993680B1 (en) | 2010-11-10 |
Family
ID=415333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90026467A Expired - Fee Related KR100993680B1 (en) | 2008-03-28 | 2009-03-27 | Amplifier circuit with noise filter and noise filte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993680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40067478A (en) | 2012-11-26 | 2014-06-05 | 삼성전기주식회사 | Radio frequency input circuit with esd protection function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1298256A (en) | 1998-04-09 | 1999-10-29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Amplifier |
JP2007267168A (en) | 2006-03-29 | 2007-10-11 | Tdk Corp | Low-pass filter and low-pass filter array |
-
2009
- 2009-03-27 KR KR1020090026467A patent/KR100993680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1298256A (en) | 1998-04-09 | 1999-10-29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Amplifier |
JP2007267168A (en) | 2006-03-29 | 2007-10-11 | Tdk Corp | Low-pass filter and low-pass filter array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103826A (en) | 2009-10-0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5337395B2 (en) | Noise filter and amplifier circuit with built-in noise filter | |
US9343455B2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high voltage I/O electro-static discharge protection | |
US7795987B2 (en) | Methods of achieving linear capacitance in symmetrical and asymmetrical EMI filters with TVS | |
US7292696B2 (en) | Electret capacitor microphone | |
US7863995B2 (en) | Methods of achieving linear capacitance in symmetrical and asymmetrical EMI filters with TVS | |
US8581356B2 (en) | Semiconductor structures for biasing devices | |
US20090086992A1 (en) | Microphone circuit and charge amplifier thereof | |
US8680926B2 (en) | Amplification circuit comprising input signal limiting network | |
US8111844B2 (en) |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and condenser microphone | |
US7019382B2 (en) | Arrangement for ESD protection of an integrated circuit | |
JP2786104B2 (en) | Semiconductor device | |
US8229140B2 (en) | Filter circuit for an electret microphone | |
US20120170773A1 (en) | Amplifier with high-frequency noise removing function, microphone module, and sensor module | |
KR100993680B1 (en) | Amplifier circuit with noise filter and noise filter | |
US20070018318A1 (en) | Means of integrating a microphone in a standard integrated circuit process | |
JP2010087567A (en) | Amplification ic device | |
JP2009237753A (en) | Constant voltage power supply circuit | |
JP2012049796A (en) | Amplifying circuit device | |
JP2010283065A (en) | Amplifying element | |
JP2010258282A (en) | Semiconductor device | |
JP2002124631A (en) |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and surge-protecting circuit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0327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01018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0110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0110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1030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103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510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