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993378B1 - 압축 착화 엔진의 연소시기 판별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압축 착화 엔진의 연소시기 판별방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93378B1
KR100993378B1 KR1020080122132A KR20080122132A KR100993378B1 KR 100993378 B1 KR100993378 B1 KR 100993378B1 KR 1020080122132 A KR1020080122132 A KR 1020080122132A KR 20080122132 A KR20080122132 A KR 20080122132A KR 100993378 B1 KR100993378 B1 KR 1009933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bustion
scale
engine
wavelet
compression ignit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221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63561A (ko
Inventor
김장헌
민경덕
최승목
김성욱
Original Assignee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801221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93378B1/ko
Priority to US12/552,213 priority patent/US8033165B2/en
Priority to DE102009029539.9A priority patent/DE102009029539B4/de
Publication of KR201000635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635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33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3378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02Circuit arrangements for generating control signals
    • F02D41/14Introducing closed-loop correc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02Circuit arrangements for generating control signals
    • F02D41/04Introducing corrections for particular operating condi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35/00Controlling engines, dependent on conditions exterior or interior to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D35/02Controlling engines, dependent on conditions exterior or interior to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n interior conditions
    • F02D35/028Controlling engines, dependent on conditions exterior or interior to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n interior conditions by determining the combustion timing or phas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5/00Electrical control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2D41/00 - F02D43/00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PMEASURING LINEAR OR ANGULAR SPEED,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SHOCK; INDICATING PRESENCE, ABSENCE, OR DIRECTION, OF MOVEMENT
    • G01P15/00Measuring acceleration; Measuring deceleration; Measuring shock, i.e. sudden change of acceler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2200/00Input parameters for engine control
    • F02D2200/02Input parameters for engine control the parameters being related to the engine
    • F02D2200/025Engine noise, e.g. determined by using an acoustic sens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bined Controls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압축 착화 방식의 엔진에서 엔진 블록에 설치되는 가속도 센서를 이용하여 엔진의 진동을 측정하고, 측정된 엔진 진동신호의 분석을 통해 엔진의 연소시기를 판별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엔진의 연소로 발생되는 블록 진동 신호를 측정하는 과정, 블록 진동에서 분석하고자 하는 주파수 영역을 설정한 다음 웨이블렛 스케일로 분할하는 과정, 분할된 웨이블렛 스케일에 대하여 연속적인 웨이블렛 변환을 실행하여 시간에 따른 결과 값을 추출하고, 이전 스케일의 결과 값과 이후 스케일의 차이 값을 계산하는 과정, 계산된 차이 값과 설정 값을 비교하여 설정 값을 초과하면 해당 시점의 크랭크 각도를 저장하는 과정, 전체 웨이블렛 스케일에 대한 비교가 완료되면 저장된 크랭크 각도를 평균하여 연소시기를 판별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연소시기, 웨이블렛 변환, 블록 진동, 가속도 센서

Description

압축 착화 엔진의 연소시기 판별방법 및 그 장치{START OF COMBUSTION DETECTING METHOD IN COMPRESSION IGNITION ENGINES AND SYSTEM THEREOF}
본 발명은 압축 착화 방식의 엔진에서 엔진 블록에 설치되는 가속도 센서를 이용하여 엔진의 진동을 측정하고, 측정된 엔진 진동신호의 분석을 통해 엔진의 연소시기를 판별하는 압축 착화 엔진의 연소시기 판별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내연 기관에서 연소시기를 판별하고 그 정보를 얻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일반적인 가솔린 엔진에서는 점화시기로 연소를 제어하고, 디젤 엔진에서는 연료의 분사시기로 연소를 제어한다.
그러나, HCCI(Homogeneous Charge Compressed Ignition)나 CAI(Controlled Auto Ignition)와 같은 직접 분사식 압축 착화 방식을 갖는 엔진에서는 기존의 가솔린이나 디젤 엔진과 달리 연소를 제어할 수 있는 인자들이 제한적이며, 간접적인 방식에 의해 제어가 이루어진다.
연소시기를 간접적으로 제어하는 압축 착화 방식의 엔진에서 연소를 제어하기 위해 가장 중요한 정보는 엔진에서 연소가 어떻게 진행되고 있는지를 알아내는 것이다.
즉, 연소시기, 노킹(Knocking) 여부, 불완전 연소와 같은 정보를 토대로 다음 사이클의 연소를 보다 효율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연소를 해석하는 기술은 크게 연소실 내부에 장착된 센서를 통해 검출되는 정보를 분석하여 연소를 직접 해석하는 방법과 외부에서 연소에 의해 발생하는 효과를 측정하고, 이를 분석함으로써 간접적으로 해석하는 방법이 있다.
연소를 직접적으로 해석하는 기술에는 연소실 압력을 측정하는 방법과 이온 프로브를 사용하는 방법이 있다.
연소실 압축을 측정하는 방법은 측정된 연소 압력을 토대로 연소 과정이 진행되는 동안의 열 방출량을 계산함으로써 연소 전반에 대한 해석을 정확하게 할 수 있는 기술이다.
이온 프로브를 사용하는 방법은 연소실에 설치된 이온 프로브를 이용하여 연소 전후에서 발생하는 이온의 양을 측정함으로써 연소실 내에서 연소가 진행되는 상황을 예측하고 측정하는 기술이다.
상기한 연소를 직접적으로 해석하는 기술은 연소실 내부에 센서를 장착하고 이를 토대로 얻어진 정보를 통해 연소를 해석하므로 연소를 비교적 정확히 해석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연소실 내부는 고온 고압의 상태가 반복되기 때문에 연소에 직접 노출된 센서의 경우 내구성과 수명을 확보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으며, 센서가 고가임을 생각할 때 양산 차량에 활용하기에는 그 활용도가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또한, 외부에서 연소에 의한 효과를 측정하는 방법에는 엔진 블록의 진동 신호를 수집하고 이를 분석하는 방법이 있는데, 이 기술은 노킹(Knocking)을 판별하는 데 있어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진동 신호의 주파수와 크기를 기준으로 판별하거나 푸리에 변환(FFT)을 통해 에너지 분포를 구하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방법의 기술은 한 사이클의 연소에 대해서는 해석을 할 수는 있지만, 연소시기와 같이 시간 정보가 주요하게 요구되는 상황에서는 시간에 따른 연소의 변화를 판별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 그 목적은 직접 분사식 압축 착화방식이 적용되는 엔진에서 가속도 센서를 이용하여 엔진 블록의 진동 신호를 측정하고 이를 웨이블렛 변환(Wavelet Transformation)을 통해 해석하여 연소시기에 대한 보다 정확한 정보를 확보하고, 이를 연소 제어에 필요한 입력 정보로 사용함으로써 최적의 연소 제어가 제공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압축 착화 엔진의 연소시기 판별방법은,
엔진의 연소로 발생되는 블록 진동 신호를 측정하는 과정;
블록 진동에서 분석하고자 하는 주파수 영역을 설정한 다음 웨이블렛 스케일로 분할하는 과정;
상기 분할된 웨이블렛 스케일에 대하여 연속적인 웨이블렛 변환을 실행하여 시간에 따른 결과 값을 추출하고, 이전 스케일의 결과 값과 이후 스케일의 차이 값을 계산하는 과정;
상기 계산된 차이 값과 설정 값을 비교하여 설정 값을 초과하면 해당 시점의 크랭크 각도를 저장하는 과정;
전체 웨이블렛 스케일에 대한 비교가 완료되면 저장된 크랭크 각도를 평균하여 연소시기를 판별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압축 착화 엔진의 연소시기 판별장치는,
엔진 블록의 소정 위치에 장착되어, 연소에 따른 블록 진동을 검출하는 가속도 센서;
가속도 센서에서 검출되는 블록 진동을 웨이블렛 스케일로 분할한 다음 웨이블렛 변환하고 설정 값과 비교하여 크랭크 각도를 추출하고, 전체 주파수 영역에 대하여 추출된 크랭크 각도를 평균하여 연소시기를 판별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전술한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에서는 웨이블렛 변환을 통해 시간과 주파수 영역에 대해 엔진 블록의 진동 신호를 분석함으로써 연소시기와 같은 정보가 중요한 직접 분사식 압축 착화 엔진을 제어하는 데 있어 중요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기대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엔진 블록의 진동을 수집하기 위해 이용한 가속도 센서는 점화 엔진에서 노킹 판별을 위해 이미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양산 차량에 적용하고 자 할 때 쉽게 적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므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압축 착화 엔진의 연소시기 판별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동력원인 엔진(100), 가속도 센서(110), 크랭크 각 센서(120), 인젝터(130), 점화 플러그(140), ETC(150), 제1산소센서(160), 제2산소센서(170) 및 제어부(200)를 포함한다.
가속도 센서(110)는 엔진 블록의 상부측 소정 위치에 장착되어, 엔진(100)의 연소로 발생하는 엔진 블록의 진동을 검출하여 그에 대한 신호를 제어부(200)에 인가한다.
상기 가속도 센서(110)의 장착 위치는 엔진 블록의 진동을 여타의 노이즈(Noise)를 배제한 상태에서 측정할 수 있는 위치이다.
크랭크 각 센서(120)는 크랭크 축의 위치 및 미싱 투스를 검출하여 기통 판별을 위한 정보를 제어부(200)에 제공한다.
인젝터(130)는 제어부(200)에서 인가되는 제어신호에 의해 개폐되어 현재의 운전조건에 따라 결정되는 연료량을 연소실에 분사한다.
점화 플러그(140)는 제어부(200)의 제어에 따라 연소실에 불꽃 방전을 제공하여 압축되는 혼합기의 연소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ETC(150)는 도시되지 않은 가속페달의 변위에 따라 제어부(200)에서 인가되는 제어신호에 의해 동작되어 스로틀 밸브의 개도량, 즉 엔진(100)에 흡입되는 공기량을 조정한다.
제1산소센서(160)는 촉매의 전방에 장착되어 엔진(100)에서 배출되는 배기가스에 포함된 산소농도를 검출하여 공연비의 정보를 제어부(200)에 제공한다.
제2산소센서(170)는 촉매의 후방에 장착되어 촉매를 통해 정화된 배기가스에 포함된 산소농도를 검출하여 그에 대한 정보를 제어부(200)에 제공한다.
제어부(200)는 가속도 센서(110)에서 인가되는 엔진의 연소에 따라 측정되는 엔진 블록의 진동 신호를 웨이블렛 변환하고, 얻어진 결과를 분석하여 연소시기를 판별한 다음 엔진의 연소 제어에 필요한 입력 정보로 활용한다.
전술한 전체의 구성은 HCCI에 적용되는 엔진장치의 구성이며, 본 발명에서는 연소시기를 판별하는데 있어 가속도 센서(110)의 정보만을 이용하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동작을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직접 분사식 압축 착화방식이 적용되는 엔진(100)이 시동 온 되면 제어부(200)는 가속도 센서(110)로부터 엔진(100)의 연소로 발생하는 엔진 블록의 진동을 검출한다(S101).
이후, 가속도 센서(110)로부터 검출되는 엔진(100) 블록 진동에서 분석하고자 하는 주파수 영역을 설정한 다음(S102) 설정된 단위, 바람직하게는 10Hz 단위의 웨이블렛 스케일(Wavelet Scale)로 분할한다(S103).
상기와 같이 분할된 웨이블렛 스케일의 각각에 대하여 연속적인 웨이블렛 변환을 실행하여 시간에 따른 주파수의 변환, 즉 시간에 따른 엔진 블록의 진동 변환을 추출한다(S104).
그리고, 각 웨이블렛 스케일 별로 시간에 따른 주파수로 변환된 각각의 스케일에 대한 결과 값을 추출하고, 이전 스케일의 결과 값과 이후 스케일의 결과 값의 차이 값을 계산하여(S105), 차이 값이 설정 값을 초과하였는지 판단한다(S106).
상기 S106의 판단에서 차이 값이 설정 값을 초과하지 않았으면 다음 웨이블렛 스케일의 결과 값을 선택한 다음(S111) 전술한 S104의 과정으로 리턴하고, 차이 값이 설정 값을 초과하였으면 해당 시점에서의 크랭크 각도를 저장한다(S107).
상기한 절차가 상기 S103에서 웨이블렛 스케일로 분할된 전체 주파수, 즉 최종 웨이블렛 스케일까지 실행되었는지 판단하여(S108), 최종 웨이블렛 스케일까지의 비교가 실행되지 않았으면 다음 웨이블렛 스케일을 선택한 다음(S111) 전술한 S104의 과정으로 리턴 된다.
그러나, 상기 S108의 판단에서 최종 웨이블렛 스케일까지의 비교가 완료되었으면 저장된 크랭크 각도를 평균하고(S109), 평균된 크랭크 각도로부터 연소시기를 판별한다(S110).
상기와 같이 평균된 크랭크 각도로부터 연소시기가 판별되면 이를 엔진(100) 의 연소 제어에 적용하여 직접 분사식 압축 착화 엔진의 제어에 안전성 및 신뢰성을 제공한다.
도 3과 도 4는 각각 1,500RPM과 2,000rpm의 조건에서 단기통 가솔린 HCCI 엔진의 진동 신호를 웨이블렛 변환하여 연소시기를 판별한 결과와 측정된 연소압력으로부터 열방출량을 계산하여 구한 연소시기를 비교한 것이다.
엔진 블록의 진동 신호는 압축 착화 엔진에서 연소에 의해 발생하는 진동 신호를 가장 잘 반영하는 것으로 알려진 주파수 영역인 500Hz 에서 4kHz 에 대한 분석을 통해 연소시기를 판별하였다.
두 개의 신호를 비교하였을 때, 웨이블렛 변환하여 판별한 연소시기와 연소 압력으로부터 열방출량을 계산하여 구한 연소시기는 동일 내지 유사한 값으로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압축 착화 엔진의 연소시기 판별장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압축 착화 엔진의 연소시기 판별 절차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압축 착화 엔진에서 1,500RPM의 조건에서 웨이블렛 변환을 통해 판별한 연소시기와 연소압력으로부터 열방출량을 계산하여 구한 연소시기의 비교 그래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압축 착화 엔진에서 2,000RPM의 조건에서 웨이블렛 변환을 통해 판별한 연소시기와 연소압력으로부터 열방출량을 계산하여 구한 연소시기의 비교 그래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엔진 110 : 가속도 센서
120 : 크랭크 각 센서 130 : 인젝터
140 : 점화 플러그 150 : ETC
160 : 제1산소센서 170 : 제2산소센서
200 : 제어부

Claims (5)

  1. 엔진의 연소로 발생되는 블록 진동 신호를 측정하는 과정;
    블록 진동에서 분석하고자 하는 주파수 영역을 설정한 다음 웨이블렛 스케일로 분할하는 과정;
    상기 분할된 웨이블렛 스케일에 대하여 연속적인 웨이블렛 변환을 실행하여 시간에 따른 결과 값을 추출하고, 이전 스케일의 결과 값과 이후 스케일의 차이 값을 계산하는 과정;
    상기 계산된 차이 값과 설정 값을 비교하여 설정 값을 초과하면 해당 시점의 크랭크 각도를 저장하는 과정;
    전체 웨이블렛 스케일에 대한 비교가 완료되면 저장된 크랭크 각도를 평균하여 연소시기를 판별하는 과정;
    을 포함하는 압축 착화 엔진의 연소시기 판별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 진동 신호의 측정은 엔진 블록에 장착되는 가속도 센서를 이용하는 압축 착화 엔진의 연소시기 판별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웨이블렛 스케일은 100Hz 단위로 분할되는 압축 착화 엔진의 연소시기 판별방법.
  4. 엔진 블록의 소정 위치에 장착되어, 연소에 따른 블록 진동을 검출하는 가속도 센서;
    상기 가속도 센서에서 검출되는 블록 진동을 웨이블렛 스케일로 분할한 다음 웨이블렛 변환하고 설정값과 비교하여 크랭크 각도를 추출하고, 전체 주파수 영역에 대하여 추출된 크랭크 각도를 평균하여 연소시기를 판별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압축 착화 엔진의 연소시기 판별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블록 진동에서 분석을 위한 주파수 영역을 설정한 다음 웨이블렛 스케일로 분할하고, 각 스케일을 웨이블렛 변환하여 시간에 따른 결과 값을 추출하며, 이전 스케일의 결과 값과 이후 스케일의 차이 값을 계산하여 차이 값이 설정 값을 초과하면 해당 시점의 크랭크 각도를 저장하고, 전체 스케일에 대한 크랭크 각도를 평균하여 연소시기를 판별하는 압축 착화 엔진의 연소시기 판별장치.
KR1020080122132A 2008-12-03 2008-12-03 압축 착화 엔진의 연소시기 판별방법 및 그 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1009933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2132A KR100993378B1 (ko) 2008-12-03 2008-12-03 압축 착화 엔진의 연소시기 판별방법 및 그 장치
US12/552,213 US8033165B2 (en) 2008-12-03 2009-09-01 Method for detecting combustion timing and system thereof
DE102009029539.9A DE102009029539B4 (de) 2008-12-03 2009-09-17 Verfahren und System zum Detektieren der Verbrennungs-Zeiteinstellu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2132A KR100993378B1 (ko) 2008-12-03 2008-12-03 압축 착화 엔진의 연소시기 판별방법 및 그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3561A KR20100063561A (ko) 2010-06-11
KR100993378B1 true KR100993378B1 (ko) 2010-11-09

Family

ID=421457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22132A Expired - Fee Related KR100993378B1 (ko) 2008-12-03 2008-12-03 압축 착화 엔진의 연소시기 판별방법 및 그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8033165B2 (ko)
KR (1) KR100993378B1 (ko)
DE (1) DE102009029539B4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554295B2 (ja) * 2011-07-28 2014-07-23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内燃機関の燃焼騒音検出方法及び燃焼騒音検出装置並びに内燃機関の制御装置
DE102011053984A1 (de) * 2011-09-27 2013-03-28 Caterpillar Global Mining Europe Gmbh Vorrichtung für die fräsende und/oder bohrende Bearbeitung von Materialien und Verfahren hierfür
KR101316281B1 (ko) 2011-12-13 2013-10-08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디젤엔진의 연소 제어 방법
KR101646330B1 (ko) 2014-06-09 2016-08-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엔진 연소 추정에 의한 엔진 연소 강건성 제어 방법 및 엔진 연소 강건성 제어시스템
FR3030631B1 (fr) 2014-12-23 2016-12-23 Continental Automotive France Procede de determination du couple moteur delivre par un moteur multicylindr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21074A (ja) 2001-01-03 2002-08-09 Eaton Corp 内燃機関のノッキング/ミスファイヤの検出システム
JP2004108218A (ja) 2002-09-17 2004-04-08 Hitachi Ltd 多気筒エンジンの制御装置及び制御方法
KR100666452B1 (ko) 2005-09-07 2007-01-09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회전기계의 상태 진단방법 및 그 방법을 사용하는 진단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30328A (en) * 1982-04-15 1985-07-23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Ignition timing controller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S58200076A (ja) * 1982-05-14 1983-11-21 Mitsubishi Electric Corp 内燃機関の点火時期制御装置
US4643023A (en) * 1985-11-01 1987-02-17 Capps David F Vibration testing apparatus
US6456927B1 (en) * 1993-03-22 2002-09-24 Motorola, Inc. Spectral knock detection method and system therefor
JP3715082B2 (ja) * 1996-09-19 2005-11-09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内燃機関のノック制御装置
SE520435C2 (sv) * 2001-03-30 2003-07-08 Scania Cv Ab Sätt och anordning för att bestämma cylindertryck vid en förbränningsmotor
JP4087265B2 (ja) * 2003-02-21 2008-05-21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内燃機関の点火時期制御装置
JP2006177259A (ja) * 2004-12-22 2006-07-06 Toyota Motor Corp 内燃機関のノッキング判定装置
JP4390774B2 (ja) * 2006-01-27 2009-12-2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内燃機関の点火時期制御装置
FR2905142B1 (fr) 2006-08-28 2008-10-24 Inst Francais Du Petrole Methode d'estimation en temps reel d'indicateurs de l'etat de la combustion d'un moteur a combustion interne
JP4582184B2 (ja) * 2008-04-17 2010-11-17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の制御装置および制御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21074A (ja) 2001-01-03 2002-08-09 Eaton Corp 内燃機関のノッキング/ミスファイヤの検出システム
JP2004108218A (ja) 2002-09-17 2004-04-08 Hitachi Ltd 多気筒エンジンの制御装置及び制御方法
KR100666452B1 (ko) 2005-09-07 2007-01-09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회전기계의 상태 진단방법 및 그 방법을 사용하는 진단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009029539A1 (de) 2010-06-10
US20100132443A1 (en) 2010-06-03
DE102009029539B4 (de) 2019-07-18
KR20100063561A (ko) 2010-06-11
US8033165B2 (en) 2011-10-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609718C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a normal combustion characteristic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from an accelerometer signal
US10815916B2 (en) Using ion current signal for engine performance and emissions measuring techniques and methods for doing the same
US678620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combustion quality in lean burn reciprocating engines
US713376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ing accelerometers
KR100993378B1 (ko) 압축 착화 엔진의 연소시기 판별방법 및 그 장치
US20130211694A1 (en)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 of an internalcombustion engine based on engine crank angle
US7200487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cessing an accelerometer signal to assist in combustion quality control in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Pla et al. Knock analysis in the crank angle domain for low-knocking cycles detection
US11226264B2 (en) Method for the diagnosis of engine misfires in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De Bellis et al. Knock and cycle by cycle analysis of a high performance V12 spark ignition engine. Part 1: experimental data and correlations assessment
Mittal et al. Fast mass-fraction-burned calculation using the net pressure method for real-time applications
Moreno et al. Cylinder pressure based method for in-cycle pilot misfire detection
US10519879B2 (en) Determining in-cylinder pressure by analyzing current of a spark plug
Souder et al. Microphones and knock sensors for feedback control of HCCI engines
Badawy et al. Closed loop control using ion current signal in a diesel engine
EP2681682A2 (en) Using ion current signal for soot and in-cylinder variable measuring techniques in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nd methods for doing the same
CN101061297B (zh) 用于处理加速度计信号以帮助内燃机中燃烧质量控制的系统和方法
JP4277280B2 (ja) クランク角測定装置および測定方法
CN112267998A (zh) 一种多缸柴油机缸内最高温度及各缸不均匀性测试方法
KR100226232B1 (ko) 실린더 압력을 이용한 자동차의 점화시기 제어방법
KR100189341B1 (ko) 자동차의 점화시기 제어방법
JP2005351148A (ja) クランク角センサの補正装置および補正方法
CN103603738A (zh) 基于离子电流预测发动机缸内空燃比的方法
Nwagboso et al. Design of combustion sensory based controller for natural gas engines
JP2010190091A (ja) 内燃機関の筒内圧力検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D13-X000 Search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D14-X000 Search report comple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Fee payment year number: 1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31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Fee payment year number: 4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30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Fee payment year number: 5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Fee payment year number: 6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Fee payment year number: 7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30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Fee payment year number: 8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30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Fee payment year number: 9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9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Fee payment year number: 10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Fee payment year number: 11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Fee payment year number: 12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Fee payment year number: 13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PC1903 Unpaid annual fee

Not in force date: 20231104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PC1903 Unpaid annual fee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231104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