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92898B1 - Panel Fire Extinguisher - Google Patents
Panel Fire Extinguish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992898B1 KR100992898B1 KR1020080058856A KR20080058856A KR100992898B1 KR 100992898 B1 KR100992898 B1 KR 100992898B1 KR 1020080058856 A KR1020080058856 A KR 1020080058856A KR 20080058856 A KR20080058856 A KR 20080058856A KR 100992898 B1 KR100992898 B1 KR 10099289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topper
- nozzle
- thermal
- inflator
- chambe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39000003795 chemical substances by application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2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5
- 239000003814 drug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4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6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6
- 229940079593 drug Drug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29910000978 Pb alloy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07257 malfunction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8000004804 winding Methods 0.000 abstract 1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9527 percus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RYGMFSIKBFXOCR-UHFFFAOYSA-N Copper Chemical compound [Cu] RYGMFSIKBFXOC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PXIPVTKHYLBLMZ-UHFFFAOYSA-N Sodium azide Chemical compound [Na+].[N-]=[N+]=[N-] PXIPVTKHYLBLM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2445 nipple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802 copper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49 copp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611 electric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020 evapo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704 evapo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973 liquid crystal related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856 pack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360 pr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921 spra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892 sprea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467 substitu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960 trigger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08—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comprising an outlet device containing a sensor, or itself being the sensor, i.e. self-contained sprinklers
- A62C37/10—Releasing means, e.g. electrically released
- A62C37/11—Releasing means, e.g. electrically released heat-sensitive
-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13/00—Portable extinguishers which are permanently pressurised or pressurised immediately before use
- A62C13/62—Portable extinguishers which are permanently pressurised or pressurised immediately before use with a single permanently pressurised container
- A62C13/64—Portable extinguishers which are permanently pressurised or pressurised immediately before use with a single permanently pressurised container the extinguishing material being released by means of a valve
-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1/00—Delivery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
- A62C31/02—Nozzles specially adapted for fire-extinguishing
-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1/00—Delivery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
- A62C31/28—Accessories for delivery devices, e.g. suppor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어 또는 액자 등의 내부에 장착 가능하도록 컴팩트하게 구비되면서도 소화약제가 저장되는 공간을 보다 넓게 확보할 수 있으며, 전기적 제어 및 작동구조 없이 감열에 의한 자동작동 또는 필요에 따른 수동조작에 의해 작동 가능하여 소화능력을 대폭적으로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열에 의한 손상 및 오작동의 우려가 없어 작동 신뢰성을 높일 수 있는 패널형 소화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can secure a wider space for the extinguishing agent is stored while being compactly provided so as to be mounted inside the door or the frame, and by automatic operation by thermal sensing or manual operation as necessary without electrical control and operation structur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anel type fire extinguishing apparatus which can be operated to not only significantly increase the extinguishing capacity but also to increase operation reliability without fear of heat damage and malfunction.
본 발명에 따르면, 소화약제가 충전되는 약제실(21)이 형성된 본체(20)와; 이 본체(20)의 외부에 설치되도록 밀폐용기로 구비되며 상기 약제실(21) 내의 소화약제를 가압하여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충전된 가스가 분출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인플레이터(30)와; 상기 인플레이터(30)를 작동시키는 격발기구(70)와 상기 약제실(21)로부터 압송된 소화약제를 외부로 분사하는 노즐(80)이 구비되며, 상기 격발기구(70)의 작동 및 상기 약제실(21)과 노즐(80) 간의 배출관로 개폐를 연동하여 제어하도록 상기 본체(20)의 외부에 구비되는 감열작동모듈(50)을 포함하는 패널형 소화장치가 제공된다.According to the invention, the main body 20 is formed with a medicine chamber 21 is filled with the extinguishing agent; An inflator (30) provided with a sealed container to be installed outside the main body (20) and configured to eject a gas filled to press the extinguishing agent in the chemical chamber (21) to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A trigger mechanism 70 for operating the inflator 30 and a nozzle 80 for injecting the extinguishing agent conveyed from the medicine chamber 21 to the outside are provided, and the operation of the trigger mechanism 70 and the medicine chamber 21 are provided. ) Is provided with a panel type fire extinguishing device including a thermal operation module 50 provided on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20 to control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discharge pipe between the nozzle and the nozzle 80.
소화장치, 인플레이터, 감열작동모듈, 감열플러그, 격발기구, 태엽 Fire Extinguisher, Inflator, Thermal Operation Module, Thermal Plug, Trigger Device, Manual Winding
Description
본 발명은 패널형 소화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도어 또는 액자 등의 내부에 장착 가능하도록 패널형으로 구비될 뿐만 아니라 전기적 제어 및 작동구조 없이 감열에 의한 자동작동 또는 필요에 따른 수동조작에 의해서 작동 가능한 패널형 소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anel type fire extinguishing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is provided in a panel type to be mounted inside a door or a picture frame, and in addition to the automatic operation by thermal sensing or manual operation as necessary without electrical control and operation structure. It relates to a panel type fire extinguishing device operable by.
일반적으로 건축물에는 화재발생에 대비하여 소화기 등을 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요구되고 있으나, 일반 가정집이나 사무실에서 소화기를 구입하여 비치하는 것이 생활화되지 못하여 소화기의 비치율이 기대에 미치지 못하고 있다. 또한 소화기를 비치하는 경우에는 실내공간의 일부 공간을 점유하게 되고, 실내공간을 점유한 소화기는 사람의 동선에 방해가 되거나 시각적으로 주변 실내인테리어와 조화를 이루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 In general, it is desirable and required to have a fire extinguisher in a building in preparation for a fire, but the purchase rate of a fire extinguisher in a general home or office has not been realized and the rate of extinguishers has not been expected. In addition, if a fire extinguisher is provided, the fire extinguisher occupies a part of the indoor space, and the fire extinguisher occupying the indoor space may interfere with a human's movement or may not visually harmonize with the surrounding indoor interior.
근래에 와서는 전술된 바와 같은 문제점에 착안하여 실내의 벽체나 천정 또 는 도어 등에 소화장치를 매입 설치하여 화재 발생시에 자동적으로 소화약제를 분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는데, 종래의 소화장치에 따르면, 장기간 사용되지 않음에 따른 소화제의 증발 또는 누출이 발생되거나 그에 따른 분사압력의 저하로 인해 제대로 작동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In recent years, in view of the problems described above, attempts have been made to automatically install a fire extinguishing agent in a wall, ceiling, or door of an interior to spray a fire extinguishing agent in the event of a fire. According to the device,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does not work properly due to the evaporation or leakage of the extinguishing agent due to not being used for a long time or the lowering of the injection pressure.
또한 소화장치의 작동을 위해 전기 또는 배터리를 이용하게 될 경우에는 화재발생시 고열이나 화염에 의해 전기적 부품 또는 배선이 손상되어 기능이 손실되어 작동 신뢰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배터리의 방전시에는 주기마다 교체 또는 유지관리하는 데에 번거로움이 따르는 것이다. In addition, when electricity or a battery is used for the operation of the fire extinguishing system, there is a problem in that electrical components or wiring are damaged by high heat or flames in case of fire, resulting in loss of function, and thus inferior operation reliability. It is cumbersome to replace or maintain.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도어 또는 액자 등의 내부에 장착 가능하도록 컴팩트하게 구비되면서도 소화약제가 저장되는 공간을 보다 넓게 확보할 수 있으며, 전기적 제어 및 작동구조 없이 감열에 의한 자동작동 또는 필요에 따른 수동조작에 의해 작동 가능하여 소화능력을 대폭적으로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열에 의한 손상 및 오작동의 우려가 없어 작동 신뢰성을 높일 수 있는 패널형 소화장치을 제공하는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secured to a wider space for storing the extinguishing agent, while being provided compactly to be mounted inside the door or frame, electrical control and operation structure It is possible to provide a panel-type fire extinguishing device which can be operated by automatic operation by heat or by manual operation as required, which not only can greatly increase the extinguishing capacity, but also increase the operation reliability without fear of heat damage and malfunction.
본 발명에 따르면, 소화약제가 충전되는 약제실(21)이 형성된 본체(20)와; According to the invention, the
이 본체(20)의 외부에 설치되도록 밀폐용기로 구비되며 상기 약제실(21) 내의 소화약제를 가압하여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충전된 가스가 분출 가능하게 구비되는 인플레이터(30)와; An inflator (30) provided with a sealed container so as to be installed outside the main body (20) and having a filled gas so as to eject the extinguishing agent in the chemical chamber (21) to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상기 인플레이터(30)를 작동시키는 격발기구(70)와 상기 약제실(21)로부터 압송된 소화약제를 외부로 분사하는 노즐(80)이 구비되며, 상기 격발기구(70)의 작동 및 상기 약제실(21)과 노즐(80) 간의 배출관로 개폐를 연동하여 제어하도록 상기 본체(20)의 외부에 구비되는 감열작동모듈(50)을 포함하며; A
상기 감열작동모듈(50)은 상호 연통된 스토퍼공(52)과 밸브공(53)이 형성된 모듈몸체(51)와, 상기 스토퍼공(52)의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그 위치에 따라 상기 격발기구(70)를 작동 억제되도록 지지하거나 또는 작동 가능하도록 해제하는 스토퍼(60)와, 상기 스토퍼공(52)의 외측에 결합되어 상기 스토퍼(60)를 지지하되 화재 발생시에 상기 스토퍼(60)에 의한 상기 격발기구(70)의 지지를 해제시키도록 열에 의해 적어도 일부가 용융되는 감열플러그(61) 또는 수동조작에 의해 분리 가능한 플러그(62)와, 상기 스토퍼(60)에 의해 지지되도록 구비되어 위치에 따라 상기 밸브공(53)을 통해 연결된 상기 배출관로를 연통 또는 차단시키는 밸브(66)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The
상기 감열작동모듈(50)의 일측에는 상기 인플레이터(30) 및 격발기구(70)의 각 선단부가 기밀을 유지하여 내장되는 가압실(55)이 형성되거나 또는 이 가압실(55)이 형성된 가압블록(54)이 결합되고, 상기 약제실(21)과 가압실(55) 사이에는 상기 인플레이터(30)의 작동에 의해 분출되는 가스가 이동되는 주입관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형 소화장치가 제공된다. One side of the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격발기구(70)는 상기 스토퍼공(52)의 일측에 형성된 축공(56)을 통해 상기 모듈몸체(51)의 내부로 삽입되며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스토퍼(60)에 의해 고정되도록 멈치부(72)가 형성된 가동로드(71)와, 상기 가동로드(71)의 선단에 직접적으로 형성되거나 또는 상기 가동로드(71)에 의해 타격되어 상기 인플레이터(30)를 작동시키는 격발핀(73)과, 상기 가동로드(71)가 탄성력에 의해 작동되도록 구비되는 스프링(7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형 소화장치가 제공된다.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감열플러그(61)는 납보다 열전도성이 높은 금속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모듈몸체(51)에 결합되는 일부분이 납 또는 납합금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형 소화장치가 제공된다.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invention, the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플러그(62)는 체결 및 분리 가능한 고정핀(63)에 의해 상기 모듈몸체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형 소화장치가 제공된다.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invention, the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노즐(80)은 상기 감열작동모듈(5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이 노즐(80)은 소화약제의 분사에 연동되어 회동 가능하도록 상기 스토퍼(60)의 일면에 지지되는 노즐스토퍼(64)에 의해 작동 또는 정지되는 구동수단(90)에 연결되며, 상기 노즐스토퍼(64)는 상기 스토퍼공(52)에 연통되도록 상기 모듈몸체(51)에 형성된 노즐스토퍼공(57)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형 소화장치가 제공된다.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invention, the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구동수단(90)은 상기 노즐스토퍼(64)에 의해 지지되도록 코어체(91)에 결합된 회전커버판(92)과, 상기 코어체(91)와 회전커버판(92)에 양단이 각각 결합된 상태로 구비되어 풀림에 의해 상기 회전커버판(92)을 작동시키는 태엽(93)과, 상기 태엽(93)의 풀림에 따라 상기 노즐(80)을 회동시키도록 상기 회전커버판(92)와 노즐(80) 사이에 연결되는 로드(9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형 소화장치가 제공된다.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invention, the drive means 90 is rotated with the rotating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소화약제가 충전되는 약제실(21)의 면적을 최대한 확보할 수 있도록 본체(20)의 외부에 상기 약제실(21) 내의 소화약제를 외부로 분출시키기 위한 인플레이터(30)와 이 인플레이터(30)를 작동시키기 위한 감열동작모듈(50)이 구비됨으로써, 보다 넓게 확보되는 상기 약제실(21)의 면적에 따라 그에 충전되는 소화약제의 충전량을 늘릴 수 있어 소화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인플레이터(30)와 감열동작모듈(50)은 상기 본체(20)의 외부에 위치되므로 상기 약제실(21)에 충전되는 소화약제와는 무관하게 조립 또는 해체가 가능하여 유지보수를 보다 편리하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또한 상기 감열작동모듈(50)은 전기적 제어 및 작동장치 그리고 전원공급원이 필요치 않으므로 제조비용이 저렴하고 유지관리가 간편할 뿐만 아니라 평상시에는 오작동의 우려가 없으면서도 화재 발생시에는 정확한 동작이 이루어져 작동 신뢰성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since the
또한 열을 감지하여 자동적으로 작동되도록 구비되어 사람의 출입이 제한된 장소에 비치된 상태에서 용이하게 사용 가능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필요에 따라서는 고정핀(63)을 수동으로 제거할 수 있도록 구비되어 사람이 직접 소화장치를 작동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화재시에 초기 진화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임의의 장 소에 발생된 화재를 용이하게 진압할 수 있는 용도로 활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it is provided to operate automatically by sensing the heat can be easily used in a state where the access of the person is limited, as well as to remove the
또한 소화약제가 분사되는 노즐(80)이 회동 가능하게 구비됨으로써, 소화약제를 보다 넓은 범위로 분사할 수 있어 화재를 더욱 효과적으로 진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노즐(80)의 회동이 상기 감열작동모듈(50)에 구비되는 스토퍼(60)와의 기계적 연동에 의해 이루어져 화재시에 작동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Hereinafter,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s follows.
도 1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시도와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액자형으로 구비되는 소화장치를 도시한 것으로, 그림이나 사진 등의 표시물이 수용되는 액자틀(10)에 다수의 통공(11,12)이 형성하고, 이 통공(11,12)을 통해 감열플러그(61)와 노즐(80)이 노출되도록 납작한 패널형태의 본체(20)와 이 본체(20)의 외부 상단에 결합된 감열작동모듈(50)이 상기 액자틀(10)의 표시물 후방에 수용되도록 구비된 것이다. 이와 같이 액자형으로 구비되는 소화장치는 상기 액자틀(10)을 통해 사용자가 필요한 위치의 벽면에 간편하게 거치할 수 있으므로 통상적의 액자가 갖는 장식적인 특성에 더블어 소화기능을 추가할 수 있게 되며, 이로 인해 실내 동선에 지장 없이 실내 공간을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할 뿐만 아니라 소화장치의 사용 편의성 및 실내 미관을 동시에 높일 수 있게 된다. 1 to 5 show a perspective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1,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s a fire extinguishing device provided in a frame shape, and a plurality of through
이러한 본 발명은 전술된 액자 이외에도 도어 또는 천장 등에 내장될 수도 있는 것은 당연한 것이며, 액자 또는 도어 등에 내장될 수 있도록 패널형태로 구비되는 본 발명의 구성을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picture frame,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edded in a door or a ceiling, and the like, and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d in the form of a panel to be embedded in the picture frame or the door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as follows.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화약제가 충전되는 약제실(21)이 형성된 본체(20)가 구비되고, 이 본체(20)의 상단 외부에는 밀폐용기로 구비되어 그 내부에 충전된 가스가 분출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인플레이터(30)가 고정수단(31)에 의해 수평방향으로 설치되며, 이 인플레이터(30)의 선단부 측에는 화재 발생시에 열에 의해 용융되도록 구비되는 감열플러그(61)와 상기 약제실로부터 압송된 소화약제를 외부로 분사하는 노즐(80)을 포함하는 감열작동모듈(50)이 구비되며, 이 감열작동모듈(50)의 하부에는 상기 노즐(80)을 회동시켜 그에 의한 소화약제의 분사범위를 보다 넓게 형성할 수 있도록 태엽(93)을 포함하는 구동수단(90)이 구비되어 있다.As shown in FIG. 2, a
또한 상기 감열작동모듈(50)의 일측에는 상기 인플레이터(30)의 선단부가 결합되는 가압블록(54)이 더 결합되고, 이 가압블록(54)의 내부에는 상기 인플레이터(30)를 작동시키기 위한 격발기구(70)의 격발핀(73)이 내장되는 가압실(55)이 형성되며, 저면에는 상기 약제실(21)로 연장되는 주입관(45)이 구비되어 상기 약제실(21)과 가압실(55)을 연통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본체(20)와 감열작동모듈(50) 사이에는 상기 약제실(21) 내의 소화약제가 압송되는 배출관(41)이 형성되어 상기 노즐(80)에 연통되도록 되어 있다.In addition, the one side of the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은 열에 의해 자동적으로 동작하거나 또는 수동조작에 의해 소화약제가 분사되도록 구비된 것으로, 자동 또는 수동에 의한 소화약제의 분사는 기계적 연동에 의해 가능하게 되는데, 이러한 본 발명의 작동상태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The present invention by such a configuration is provided that the extinguishing agent is to be automatically operated by the heat or by manual operation, the injection of the extinguishing agent by automatic or manual is possible by mechanical interlocking,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ration state is described in more detail as follows.
도 3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감열작동모듈(50)은 내부에 서로 연통된 스토퍼공(52)과 밸브공(53) 그리고 축공(56)이 형성된 모듈몸체(51)가 구비되는데, 상기 스토퍼공(52)은 상기 모듈몸체(51)의 횡방향으로 관통되도록 형성되고, 내부에 스프링(65)에 의해 외측으로 탄성력을 받는 상태로 설치되는 스토퍼(60)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스토퍼공(52) 일단의 입구 외측에는 상기 스토퍼(60)에 결합되어 상기 스토퍼(60)를 지지하는 감열플러그(61)가 결합되는데, 이 감열플러그(61)는 구리와 같은 열전도율이 우수한 금속에 의해 코어를 형성하고 그 주위에 납 또는 납합금과 같이 비교적 낮은 온도에서 용융되는 저온용융금속으로 이루어져 화재 발생시에 결합부가 신속하게 용융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스토퍼공(52) 타단의 입구 외측에는 상기 스토퍼(60)에 결합되어 상기 스토퍼(60)를 지지하는 플러그(62)가 결합되는데, 이 플러그(62)는 수동 조작에 의해 체결 또는 분리가 가능한 고정핀(63)에 의해 상기 모듈몸체(51)에 설치되어 있다. As shown in Figure 3 and 4, the
또한 상기 스토퍼공(52)의 대략 중앙부분에는 상기 인플레이터(30) 측으로 축공(56)이 형성되고, 이 축공(56) 내부에는 상기 스토퍼(60)에 의해 지지된 상태로 구비된 후에, 상기 스토퍼(60)에 의해 지지된 상태가 해제되면 상기 인플레이터(30)를 작동시키는 격발기구(70)가 구비된다. 이 격발기구(70)는 일단이 상기 스 토퍼(60)의 각 단부에 의해 양측에서 지지되는 멈치부(72)가 형성된 가동로드(71)가 구비되고, 이 가동로드(71)는 스프링(74)에 의해 상기 인플레이터(30) 측으로 탄성력을 받는 상태로 설치되며, 그 선단부 측에는 상기 가동로드(71)에 의해 타격되어 상기 인플레이터(30)를 개방시킬 수 있도록 첨예하게 형성된 격발핀(73)이 구비되어 있다. In addition, the
이때에, 상기 격발핀(73)은 상기 가동로드(71)의 선단에 직접적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나,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가동로드(71)를 지지하는 스프링(74)에 의한 강한 탄성력이 직접적으로 상기 인플레이터(30)를 타격하여 순간적으로 많은 양의 가압가스가 분출하게 되므로 이를 방지하여 상기 격발핀(73) 만이 상기 인플레이터(30)을 타격하여 가압가스의 분출을 원활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격발핀(73)이 타격되면 상기 인플레이터(30)에 박힌 상태가 되는데, 이 상태에서도 가압가스의 분출이 가능하도록 상기 격발핀(73)의 내부에는 선단부에서 기단부로 연통되는 분출공이 형성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At this time, the
또한 상기 모듈몸체(51)의 일측에는 상기 인플레이터(30)의 선단부와 상기 격발핀(73)이 기밀을 유지하여 내장되는 가압실(55)이 형성되는데, 이 가압실(55)은 상기 모듈몸체(51)에 결합되는 가압블록(54)의 내부에 형성되고, 이 가압블록(54)의 저면에는 소화약제가 충전되는 약제실(21)로 연통되는 주입관로를 형성하는 주입관(45)이 연결되어 있다. 이때에, 주입관로는 상기 주입관(45) 대신에 상기 가압블록(54)을 상기 본체(20)에 기밀을 유지하여 결합시킬 수 있도록 구비한 후에, 상기 가압블록(54) 자체에 주입공을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In addition, one side of the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상기 인플레이터(30) 내의 가스가 분출되면, 가압된 가스가 상기 가압실(55)을 통하여 상기 약제실(21)로 유입되면서 소화약제를 배출관로를 통하여 배출시키게 되는데, 이때에 상기 인플레이터(30)는 자동차의 안전장치로 사용되는 통상의 에어백과 유사하게 아지트화나트륨을 비롯한 무연화약물질을 화학반응시켜 다량의 기체를 발생시키는 화학반응 방식의 것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압축기체를 팽창시키거나 액화기체를 기화시켜 상기 약제실(21)을 가압시키는 물성변화 방식의 것을 이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약제실(21)에는 별도의 가압판이 더 구비될 수도 있다.In this configuration, when the gas in the
또한 상기 모듈몸체(51)에는 상기 스토퍼공(52)을 기준으로 상기 축공(56)에 대향된 방향에 한 쌍의 밸브공(53)이 평행하게 형성되는데, 이 밸브공(53)은 상기 배출관(41)에 연통되도록 연장됨과 동시에 상기 노즐(80)에 연통되도록 형성된 연통공(58)에 연결되도록 구비된다. 상기 배출관(41)과 밸브공(53) 그리고 연통공(58)은 상호 연통되도록 구비되어 소화약제의 배출이 이루어지는 배출관로를 형성하게 되며, 이러한 배출관로를 개폐하기 위해 상기 밸브공(53)의 내부에는 밸브(66)가 설치된다. 상기 밸브(66)는 상기 밸브공(53)의 양측에 연결되는 배출관(41)의 배출구를 차단 또는 연통시키는 밸브체(67)와 이 밸브체(67)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상기 스토퍼(60)에 그 단부가 지지되는 밸브스토퍼(68)가 구비되고, 이 밸브스토퍼(68)에는 스프링(69)이 긴장(또는 수축)된 상태로 결합되어 상기 스토퍼(60)의 지지가 해제되면 탄성력(스프링(69)의 이완 또는 팽창)에 의해 전방으로 튕겨져 나가 상기 밸브체(67)가 배출관로를 개방하도록 구비된다.In addition, a pair of valve holes 53 are formed in the
이상과 같은 구성에 의하면, 상기 감열플러그(61) 또는 플러그(62)가 열에 의해 자동적으로 제거되거나 또는 수동 조작에 의해 제거되면 상기 격발기구(70)의 작동 및 상기 약제실(21)과 노즐(80) 간의 배출관로 개폐가 기계적 연동에 의해 제어되어 소화약제가 상기 노즐(80)을 통하여 외부로 분출되도록 구비되는데, 이에 더하여 상기 노즐(80)은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그 분사범위를 보다 넓게 형성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when the
이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도 3과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모듈몸체(51)의 스토퍼공(52)에는 상기 감열플러그(61)에 의해 지지되는 스토퍼(60)의 하부에 위치되도록 노즐스토퍼공(57)이 더 형성되고, 이 노즐스토퍼공(57)에는 상기 스토퍼(60)의 저면에 지지되는 노즐스토퍼(64)가 구비되며, 이 노즐스토퍼(64)의 타단은 태엽(93)의 풀림에 의해 상기 노즐(80)을 회동시키도록 구비되는 구동수단(90)이 연결되어 있다. 이때에, 상기 노즐스토퍼(64)는 스프링(64a)에 의해 상기 스토퍼(60)에 탄성지지된 상태로 구비될 뿐만 아니라 이에 의해 상기 구동수단(90)을 정지된 상태로 고정시키게 되며, 상기 스토퍼(60)가 해제되면 상기 스프링(64a)의 탄성력에 의해 상측으로 튕겨져 나가 상기 구동수단(90)을 작동시키게 된다. 이러한 작동에 의한 상기 구동수단(90)은 상기 모듈몸체(51)의 하면 중앙부에 수직 설치되는 고정판(95)의 일면에 결합된 코어체(91)에 결합된 회전커버판(92)이 구비되어 상기 노즐스토퍼(64)의 단부에 지지된 상태로 구비되고, 상기 회전커버판(92)의 내측에는 상기 코어체(91)와 회전커버판(92)에 양단이 각각 결합된 상태로 감긴 태엽(93)이 구비되며, 이 태엽(93)은 상기 노즐스토퍼(64)가 해제되면 그 풀림에 의해 상기 회전커버판(92)을 회전시키도록 구비된다.In more detail, as shown in FIGS. 3 and 5, the
또한 상기 회전커버판(92)의 일면에는 상기 노즐(80) 측으로 연장되는 로드(94)의 일단이 결합되어 있으며, 이 로드(94)의 타단은 상기 노즐(80)에 결합된 링크체(84)에 결합되어 있다. 이때에, 상기 노즐(80)은 상기 모듈몸체(51)에는 배출관로의 단부에 볼타입 니플(81)과 이 니플(81)의 외부에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체(82)로 이루어지며, 이 회전체(82)는 상기 링크체(84)의 일단이 결합되어 상기 구동수단(90)의 작동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링크체(84)에는 상기 구동수단(90)의 작동에 의해 원활하게 좌우로 회동되도록 소정의 위치에 절곡부위가 형성될 뿐만 아니라 그 일부는 상기 모듈몸체(51)에 내장된 상태에서 그 일측이 고정패킹(85)에 의해 고정된 상태로 구비된다.In addition, one end of the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상기 노즐(80)은 좌우로 회동되도록 구비되는데, 이러한 회동 상태에서 상기 노즐(80)에 의한 분사범위를 보다 확대시킬 수 있도록 상기 노즐(80)의 선단부에는 상하로 형성된 분사홈(83)이 더 형성되어 소화약제가 상하로 퍼지면서 분사되도록 구비되어 있다.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the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구성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various substitutions, modifications, and changes are possible within the scope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who have knowledge.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설치 상태도1 is an installation state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성도2 is a block diagra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구성의 요부를 도시한 사시도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main portion of the configuration according to the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구성을 도시한 평단면도Figure 4 is a plan sectional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구성을 도시한 정단면도Figure 5 is a front 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configur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6)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058856A KR100992898B1 (en) | 2008-06-23 | 2008-06-23 | Panel Fire Extinguish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058856A KR100992898B1 (en) | 2008-06-23 | 2008-06-23 | Panel Fire Extinguisher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132727A KR20090132727A (en) | 2009-12-31 |
KR100992898B1 true KR100992898B1 (en) | 2010-11-11 |
Family
ID=416916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80058856A Expired - Fee Related KR100992898B1 (en) | 2008-06-23 | 2008-06-23 | Panel Fire Extinguishe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992898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63005B1 (en) | 2009-12-08 | 2012-07-12 | 박창기 | Percussion apparatus for fire extinguishing apparatus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78580B1 (en) * | 2010-12-23 | 2013-06-28 | 박창기 | Panel type extinguisher vessel |
CN117224882B (en) * | 2023-03-16 | 2024-03-12 | 广东华途仕建材实业有限公司 | Fireproof heat-insulating type suspended ceiling aluminum veneer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951865A (en) * | 1983-07-28 | 1984-03-26 | 科防工業株式会社 | Heat responsive member |
JPS5993458U (en) * | 1982-12-13 | 1984-06-25 | 日本火災予防株式会社 | Furniture and other furnishings equipped with a small automatic spray fire extinguisher |
JPS59207163A (en) * | 1983-05-09 | 1984-11-24 | 加藤 初徳 | Fire extinguishing apparatus |
KR200402894Y1 (en) * | 2005-08-09 | 2005-12-08 | 주식회사 진화이앤씨 | Automatic fire extinguisher |
-
2008
- 2008-06-23 KR KR1020080058856A patent/KR100992898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993458U (en) * | 1982-12-13 | 1984-06-25 | 日本火災予防株式会社 | Furniture and other furnishings equipped with a small automatic spray fire extinguisher |
JPS59207163A (en) * | 1983-05-09 | 1984-11-24 | 加藤 初徳 | Fire extinguishing apparatus |
JPS5951865A (en) * | 1983-07-28 | 1984-03-26 | 科防工業株式会社 | Heat responsive member |
KR200402894Y1 (en) * | 2005-08-09 | 2005-12-08 | 주식회사 진화이앤씨 | Automatic fire extinguisher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63005B1 (en) | 2009-12-08 | 2012-07-12 | 박창기 | Percussion apparatus for fire extinguishing apparatus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132727A (en) | 2009-12-3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080114460A (en) | Panel Fire Extinguisher | |
KR100937601B1 (en) | Hose type extinguisher | |
JP3645857B2 (en) | Fire extinguisher | |
KR101084614B1 (en) | Fire door | |
KR100992898B1 (en) | Panel Fire Extinguisher | |
JP6219476B1 (en) | Simple automatic fire extinguisher | |
KR20230082972A (en) | Manual fire extinguisher | |
KR100961089B1 (en) | Panel type extinguisher vessel | |
KR102708522B1 (en) | FIRE EXTINGUISHER HAVING IoT FUNCTION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 |
KR101357790B1 (en) | A Educational Fire Extinguisher Having Pump | |
KR101008563B1 (en) | Pipe type fire extinguisher | |
KR20070115320A (en) | Fire extinguishing door | |
KR101179547B1 (en) | A door that digestion device is equiped | |
KR100937596B1 (en) | Spiral type tube manufaturing apparatus and extinguisher with the spiral type tube manufatured by the apparatus | |
KR100679675B1 (en) | Fire extinguishing agent discharge head automatic opening device | |
KR200400018Y1 (en) | Automatic fire extinguishing equipment | |
CN212016510U (en) | Gas fire extinguishing device | |
KR100958601B1 (en) | Pressurization type extinguisher with an external inflator | |
RU2262366C1 (en) | Fire-extinguishing module | |
KR20080102604A (en) | Fire Extinguisher with Rotary Jet Head | |
WO2004080541A1 (en) | Automatic fire extinguisher | |
CN215995390U (en) | Manual fire extinguisher convenient to operation | |
JP3937381B2 (en) | Indoor fire extinguishing equipment | |
CN218129680U (en) | Spray head for fire control | |
KR100958603B1 (en) | Spray type hose extinguishe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80623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0062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01019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0110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0110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