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92840B1 - Combined cooling system with natural circulation and steam - Google Patents
Combined cooling system with natural circulation and steam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992840B1 KR100992840B1 KR1020080057788A KR20080057788A KR100992840B1 KR 100992840 B1 KR100992840 B1 KR 100992840B1 KR 1020080057788 A KR1020080057788 A KR 1020080057788A KR 20080057788 A KR20080057788 A KR 20080057788A KR 100992840 B1 KR100992840 B1 KR 10099284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efrigerant
- evaporator
- valve
- condenser
- receive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01816 cooling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
- 239000003507 refrigerant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87
- 230000006835 compress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0
- 238000007906 compress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0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8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7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3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295 mobile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65 energy consump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704 evapo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020 evapo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20169 heat gene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973 liquid crystal related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91 liquid pha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257 mal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071 pha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381 potential energ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23 venti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06 was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1/00—Fluid-circulation arrangements
- F25B41/40—Fluid line arrangement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1/00—Fluid-circulation arrangements
- F25B41/20—Disposition of valves, e.g. of on-off valves or flow control valv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1/00—Fluid-circulation arrangements
- F25B41/30—Expansion means; Dispositions thereof
- F25B41/31—Expansion valv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400/00—General features or devices for 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or heat-pump systems, i.e. not limited to a particular subgroup of F25B
- F25B2400/04—Refrigeration circuit bypassing means
- F25B2400/0415—Refrigeration circuit bypassing means for the receiver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400/00—General features or devices for 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or heat-pump systems, i.e. not limited to a particular subgroup of F25B
- F25B2400/16—Receive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600/00—Control issues
- F25B2600/25—Control of valves
- F25B2600/2523—Receiver val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연순환식 및 증기압축식 겸용 냉방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자연순환식 및 증기압축식으로 작동되는 통상의 냉방기에서 냉매의 흐름을 보다 원활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한 수액기를 구비하여 그 효율을 높인 냉방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냉방기에 사용되는 수액기는 자연순환식 및 증기압축식으로 작동되는 냉방기에 사용되는 수액기에 있어서, 액상 냉매가 저장되는 탱크부와, 응축기에서 배출된 냉매를 상기 탱크부로 공급받는 입구부와, 상기 탱크부 내부 하측에 입구를 가진 파이프와 연통되며 액상 냉매의 수위보다 높은 곳에 위치한 제 1 출구부와, 상기 탱크부의 저면 측에 설치되어 개방시 중력에 의해 액상 냉매가 상기 탱크부 외부로 흘러나오게 하는 제 2 출구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atural circulation and steam compression combined use air conditioner, and more particularly, it is provided with a receiver to more smoothly control the flow of refrigerant in a conventional air conditioner operated in a natural circulation and steam compression type It is related with the cooling which raised efficiency. The receiver used in the air condition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receiver used for the air conditioner operated in a natural circulation and steam compression type, the tank unit for storing the liquid refrigerant, the inlet unit for receiving the refrigerant discharged from the condenser to the tank unit; And a first outlet portion communicating with a pipe having an inlet at a lower side inside the tank portion and positioned above a level of the liquid refrigerant, and installed at a bottom surface of the tank portion so that the liquid refrigerant flows out of the tank portion by gravity when opened. And a second outlet portion for exiting.
증기압축식, 자연순환식, 냉방기, 기지국, 수액기 Steam compression, natural circulation, air conditioner, base station, receiver
Description
본 발명은 자연순환식 및 증기압축식 겸용 냉방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자연순환식 및 증기압축식으로 작동되는 통상의 냉방기에서 냉매의 공급량을 보다 원활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한 수액기를 구비하여 그 효율을 높인 냉방기 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atural circulation and steam compression combined use air conditioner, and more particularly, it is provided with a receiver to more smoothly control the supply amount of refrigerant in a conventional air conditioner operated in a natural circulation and steam compression type It relates to an air conditioner with improved efficiency.
최근 이동통신의 수요가 급증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이동통신용 기지국이 많이 설치되고 있다. 이러한 기지국은 각종 고밀도/고정밀 통신장비가 내부에 장착되어 있을 뿐 아니라 도로변이나 건물 옥상에 설치되기 때문에, 외부의 습기 및 먼지의 유입을 방지하기 위해 밀폐된 함체의 형태로 이루어진다. Recently, the demand for mobile communication is rapidly increasing, and thus, many base stations for mobile communication are installed. Since the base station is not only mounted inside the various high-density / high-precision communication equipment, but also installed on the roadside or the roof of a building, the base station is formed in a sealed enclosure to prevent the inflow of moisture and dust from the outside.
그런데, 기지국 내에 설치되는 통신장비들은 대부분 집적화된 전자부품으로 이루어져 있어 그 발열량이 상당한 반면 고온에 취약하기 때문에 오작동이 발생하는 경우가 많게 되고, 이에 따라 밀폐된 함체 내에서 발생하는 열을 효과적으로 제거하기 위한 냉방기가 필요하다.However, since most of the communication equipment installed in the base station is composed of integrated electronic components, its heat generation amount is considerable, but it is vulnerable to high temperature, and thus malfunctions often occur, thereby effectively removing heat generated in the sealed enclosure. A cooler is needed.
이동통신용 기지국의 함체는 내부 온도가 상당히 높기 때문에 여름철 뿐만 아니라 외기의 온도가 낮은 겨울철에도 냉방기의 작동이 필요하다. 그러나, 이동통신용 기지국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밀폐된 함체로 이루어져 있어, 환풍구 등을 통하여 직접 외기를 끌어들일 수 없을 뿐만 아니라 히트 파이프와 같은 다른 부가장치를 추가 설치하는 경우에는 비용 측면에서 그 부담이 커질 수 밖에 없다. Since the enclosure of the mobile base station has a high internal temperature, the air conditioner needs to be operated not only in summer but also in winter when the temperature of the outside air is low. However, since the base station for mobile communication is made of a sealed enclosure as described above, it is not only able to directly draw outside air through the ventilation openings, but also adds to the cost in the case of additional installation of additional equipment such as a heat pipe. There is nothing else.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출원인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689704호를 통하여 열 사이폰 원리를 이용한 자연순환식 및 증기압축식으로 작동되는 냉방기에 대한 기술을 개시한 바 있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applicant has disclosed a technology for a natural circulation and steam compression operation using the thermal siphon principle through the Republic of Korea Patent No. 689704.
상기 본 출원인의 종래 특허기술에 대하여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prior patent technology of the present applica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 as follows.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체상태의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10)를 냉방기(1)의 하부에 설치하고, 그 상부에 압축기(10)에서 압송된 냉매로부터 열을 방출시켜 냉매를 저온의 액상으로 상변화시키는 응축기(20)를 설치하며, 그 하부에 는 냉매를 저장하는 수액기(21)를 연결하고, 냉방기(1) 내부에서 발생된 열을 흡수하면서 액체 상태에서 기체 상태로 상변화되는 증발기(40)를 냉방기(1)의 하부에 설치하며, 상기 응축기(20)와 증발기(40) 사이에는 증기압축식으로 작동될 때 작동하는 팽창밸브(30)를 연결한다.As shown in FIG. 1, a
상기 응축기(20)에서 증발기(40)로 연결되는 배관은 하나의 배관에서 2개의 배관으로 분기되어지고, 이러한 2개의 배관 중에서 제1배관(22)에는 자연순환식으로 작동시에 개방되는 제1솔레노이드 밸브(SV1)를 설치하고, 제2배관(23)에는 증기압축식으로 작동시에 개방되는 제2솔레노이드 밸브(SV2)와 팽창밸브(30)를 설치한다.The pipe connected from the
또한, 증발기(40)에서 압축기(10)와 응축기(20)로 연결되는 배관은 하나의 배관에서 2개의 배관으로 분기되어지고, 이러한 2개의 배관 중에서 제3배관(41)은 증발기(40)에서 응축기(20)로 연결되며, 그 배관 상에 자연순환식으로 작동시에 개방되는 제5솔레노이드 밸브(SV5)를 설치하고, 증발기(40)에서 압축기(10)로 연결되는 제4배관(42)에는 제4솔레노이드 밸브(SV4)를 설치한다.In addition, a pipe connected from the
아울러 응축기(20)에는 증발기(40)에서 압송되는 기체 상태인 냉매의 열 방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짐은 물론 냉방기(1)의 내부에 잔존하는 열원을 방출되게 하는 응축기 팬(24)을 응축기(20)의 전면 또는 응축기(20) 주변의 적절한 위치에 설 치한다.In addition, the
또한, 증발기(40)에도 응축기(20)에서와 같이 증발기(40)의 전면 또는 주변의 적절한 위치에 증발기 팬(43)을 설치하며, 냉방기(1)의 내부 소정 위치에는 캐비넷(1) 내부의 온도를 측정하는 내부온도센서(T1)를 설치하고, 외부 소정 위치에는 캐비넷(1) 외부의 온도를 측정하는 외부온도센서(T2,도시하지 않음)를 설치한다.In addition, the
상기의 응축기 팬(24)과 증발기 팬(43)은, 자연순환식으로 작동되거나 증기압축식으로 작동시에 모두 작동되어 응축기(20)와 증발기(40)의 효율을 크게 높이며, 냉매를 보충하는 수액기(21)의 하부에는 냉매를 세정하는 드라이 필터(25)를 설치한다.The
종래 기술의 냉방기는 실내외의 온도차가 큰 겨울철에는 온도감지센서에 의하여 냉방기가 자연순환식으로 자동전환된다. 이를 위하여 제1,5 솔레노이드 밸브(SV1,SV5)는 개방시키고, 제2,4 솔레노이드 밸브(SV2,SV4)는 폐쇄시킨다. 이때, 압축기(10)는 작동되지 않는다.The air conditioner of the prior art automatically switches the air conditioner to the natural circulation by a temperature sensor in winter when th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indoor and outdoor is large. To this end, the first and fifth solenoid valves SV1 and SV5 are opened, and the second and fourth solenoid valves SV2 and SV4 are closed. At this time, the
응축기(20)에서 외기의 찬 공기가 응축기 팬(24)으로 흡입되어 냉각되므로 냉매가 응축되어 하부 증발기(40)로 유입되는데, 응축기(20)가 증발기(40)보다 높 이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응축기(20)의 냉매는 증발기(40)로 위치 에너지의 차에 의해 공급되게 된다. Since cold air of outside air is sucked into the
이후, 냉방기(1) 내부의 열기가 증발기(40)를 통과하면서 냉매를 증발시켜 상승하므로 냉매는 응축기(20)에 도달하고 전기한 바와 같이 외기의 찬 공기로 냉각되어 응축되면서 하강되는 전술한 과정을 반복한다.Thereafter, since the heat inside the
또한, 종래 기술의 냉방기는 실내외의 온도차가 작은 여름철에는 온도감지센서에 의하여 냉방기가 증기압축식으로 자동전환된다. 이를 위하여 제1,5 솔레노이드 밸브(SV1,SV5)는 폐쇄시키고, 제2,4 솔레노이드 밸브(SV2,SV4)는 개방시키며, 압축기(10)가 작동하게 된다. 이후, 통상의 냉방기와 같이 압축기(10)에 의해 고온 고압의 냉매로 압축된 냉매가 응축기-수액기-팽창밸브-증발기-압축기의 순으로 유동하여 냉방을 이루게 된다.In addition, the air conditioner of the prior art is automatically switched to the steam compression type by the temperature sensor in the summer season when th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indoor and outdoor is small. To this end, the first and fifth solenoid valves SV1 and SV5 are closed, the second and fourth solenoid valves SV2 and SV4 are opened, and the
또한 상기 종래의 기술에서는 도 2와 같은 통상의 수액기를 사용하게 되는데, 이러한 통상의 수액기(21)는 상단에 입구부(I)가 설치되고, 수액기 내부 하단으로 신장된 파이프(121)로부터 연통된 출구부(O)를 통하여 수액기 내부의 액상 냉매(C)가 배출되는 구조를 가지므로 증기압축식과 자연순환식에 각각 필요한 냉매량의 차이가 그다지 크지 않은 소형 냉방기에서만 이를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대형 냉방기에서는 증기압축식 및 자연순환식으로 가동시 각 방식에서 최 적의 조건을 만들 수 있는 냉매량의 차이가 심하며 동일한 양의 냉매를 사용하는 경우 그 효율이 낮아 두 방식을 교대로 사용할 수 없다. 즉 증기압축식으로 운전시 필요한 냉매량보다 자연순환식 운전시 필요한 냉매량이 더 많기 때문에, 이를 해결위하여 계절별로 냉매를 보충하거나 제거하는 작업이 필요하다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in the conventional technology, a conventional receiver as shown in FIG. 2 is used. Th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계절에 따라 냉매를 보충하거나 제거할 필요가 없는 냉방기를 제공하는 한편, 대형 냉방기에도 자연순환식 및 증기압축식 냉방을 동시에 적용할 수 있도록 하며, 수액기 하부로 원활하게 냉매를 유출시킬 수 있도록 하여 냉방기의 효율을 높이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By providing the air conditioner that does not need to replenish or remove the refrigerant according to the season, it is possible to simultaneously apply natural circulation and steam compression cooling to the large air conditioner, and to allow the refrigerant to flow out smoothly under the receiver. The purpose is to raise the efficiency of the air conditioner.
본 발명 청구항 1의 자연순환식 및 증기압축식 겸용 냉방기는Natural circulating and steam compression combined air conditioner of
냉매를 고압으로 압축시키는 압축기와, 이송된 냉매를 응측시키는 응축기와, 응축기에서 냉매를 공급받아 액상 냉매만을 배출하기 위한 수액기와, 상기 수액기로부터 냉매를 공급받아 저온/저압 상태로 전환하는 팽창밸브와, 냉매를 공급받아 주위의 열을 흡수하며 압축기 또는 응축기로 냉매를 공급하는 증발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자연순환식 및 증기압축식 겸용 냉방기에 있어서,A compressor for compressing the refrigerant to a high pressure, a condenser for condensing the transferred refrigerant, a receiver for supplying the refrigerant from the condenser and discharging only the liquid refrigerant, and an expansion valve for supplying the refrigerant from the receiver to a low / low pressure state. And, in the natural circulation and steam compression combined cooler comprising a refrigerant supplied with a refrigerant to absorb the surrounding heat and supply the refrigerant to the compressor or condenser,
상기 수액기는, 액상 냉매가 저장되는 탱크부와, 응축기에서 배출된 냉매를 상기 탱크부로 공급받는 입구부와, 상기 탱크부 내부 하측에 입구를 가진 파이프와 연통되며 액상 냉매의 수위보다 높은 곳에 위치한 제 1 출구부와, 상기 탱크부의 저면 측에 설치되어 개방시 중력에 의해 액상 냉매가 상기 탱크부 외부로 흘러나오게 하는 제 2 출구부를 구비하며;The receiver is in communication with a tank portion in which the liquid refrigerant is stored, an inlet portion for supplying the refrigerant discharged from the condenser to the tank portion, and a pipe having an inlet at a lower side inside the tank portion and positioned above the level of the liquid refrigerant. A first outlet portion and a second outlet portion provided at a bottom surface side of the tank portion to allow a liquid refrigerant to flow out of the tank portion by gravity when opened;
응축기는 수액기보다 높은 위치에, 수액기는 증발기보다 높은 위치에 설치되며, 상기 증발기의 입구는 증발기의 출구보다 낮은 위치에 설치되며;The condenser is installed at a position higher than the receiver, the receiver is installed at a position higher than the evaporator, and the inlet of the evaporator is installed at a position lower than the outlet of the evaporator;
상기 제 2 출구부와 연결되어 제 2 출구부로부터 냉매가 배출되어 증발기로 유입되는 것을 허용하거나 차단하는 제 1 밸브와,A first valve connected to the second outlet to allow or block the refrigerant from the second outlet and flow into the evaporator;
증발기에서 배출된 냉매를 압축기와 응축기 중 어느 하나로 흐를 수 있도록 하는 제 2 밸브를 구비하며, And a second valve allowing the refrigerant discharged from the evaporator to flow to either the compressor or the condenser,
상기 제 1 출구부에서 배출되는 냉매는 팽창밸브를 거쳐 증발기로 공급되며;The refrigerant discharged from the first outlet portion is supplied to the evaporator through an expansion valve;
자연순환식으로 작동될 때는 제 1 밸브가 개방되며, 제 2 밸브에 의해 증발기에서 응축기로 냉매가 흐르도록 하며; When operated in natural circulation, the first valve is opened to allow refrigerant to flow from the evaporator to the condenser;
증기압축식으로 작동될 때는 제 1 밸브가 폐쇄되며, 제 2 밸브에 의해 증발기에서 압축기로 냉매가 흐르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first valve is closed when the operation is steam compression, and the refrigerant flows from the evaporator to the compressor by the second valve.
본 발명 청구항 2의 자연순환식 및 증기압축식 겸용 냉방기는, Natural circulation type and steam compression combined use air conditioner of
냉매를 고압으로 압축시키는 압축기와, 이송된 냉매를 응측시키는 응축기와, 응축기에서 냉매를 공급받아 액상 냉매만을 배출하기 위한 수액기와, 상기 수액기로부터 냉매를 공급받아 저온/저압 상태로 전환하는 팽창밸브와, 냉매를 공급받아 주위의 열을 흡수하며 압축기 또는 응축기로 냉매를 공급하는 증발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자연순환식 및 증기압축식 겸용 냉방기에 있어서,A compressor for compressing the refrigerant to a high pressure, a condenser for condensing the transferred refrigerant, a receiver for supplying the refrigerant from the condenser and discharging only the liquid refrigerant, and an expansion valve for supplying the refrigerant from the receiver to a low / low pressure state. And, in the natural circulation and steam compression combined cooler comprising a refrigerant supplied with a refrigerant to absorb the surrounding heat and supply the refrigerant to the compressor or condenser,
상기 수액기는, 액상 냉매가 저장되는 탱크부와, 응축기에서 배출된 냉매를 상기 탱크부로 공급받는 입구부와, 상기 탱크부 내부 하측에 입구를 가진 파이프와 연통되며 액상 냉매의 수위보다 높은 곳에 위치한 제 1 출구부와, 상기 탱크부의 저면 측에 설치되어 개방시 중력에 의해 액상 냉매가 상기 탱크부 외부로 흘러나오게 하는 제 2 출구부를 구비하며;The receiver is in communication with a tank portion in which the liquid refrigerant is stored, an inlet portion for supplying the refrigerant discharged from the condenser to the tank portion, and a pipe having an inlet at a lower side inside the tank portion and positioned above the level of the liquid refrigerant. A first outlet portion and a second outlet portion provided at a bottom surface side of the tank portion to allow a liquid refrigerant to flow out of the tank portion by gravity when opened;
응축기는 수액기보다 높은 위치에, 수액기는 증발기보다 높은 위치에 설치되며, 상기 증발기의 입구는 증발기의 출구보다 낮은 위치에 설치되며;The condenser is installed at a position higher than the receiver, the receiver is installed at a position higher than the evaporator, and the inlet of the evaporator is installed at a position lower than the outlet of the evaporator;
방향절환 밸브로서, 제 1 출구부로 부터 배출된 냉매가 팽창밸브를 거쳐 입력되는 제 1-1 입력포트와, 상기 제 2 출구부와 연결된 제 1-2 입력포트를 구비하며 제 1 배출포트가 증발기와 연결된 제 1 밸브와;A directional valve, comprising: a 1-1 input port through which a refrigerant discharged from the first outlet part is input through an expansion valve, and a 1-2 input port connected to the second outlet part, wherein the first discharge port is an evaporator A first valve connected with the first valve;
증발기에서 배출된 냉매를 압축기와 응축기 중 어느 하나로 흐를 수 있도록 하는 제 2 밸브를 구비하며; A second valve allowing flow of the refrigerant discharged from the evaporator to either the compressor or the condenser;
자연순환식으로 작동될 때 제 1 밸브는 제 1-2 입력포트와 제 1 배출포트가 연통되어 증발기로 냉매가 공급되는 한편, 제 2 밸브에 의해 응축기로 냉매가 흐르도록 하며; When operated in natural circulation, the first valve communicates with the first 1-2 input ports and the first outlet port so that the refrigerant is supplied to the evaporator, while the second valve allows the refrigerant to flow to the condenser;
증기압축식으로 작동될 때는 제 1-2 입력포트는 폐쇄되며 제 1-1 입력포트와 제 1 배출포트가 연통되어 제 2 출구부로 배출된 냉매가 팽창밸브를 거쳐 증발기로 공급되는 한편, 제 2 밸브에 의해 압축기로 냉매가 흐르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When operating in a vapor compression type, the 1-2 input port is closed and the 1-1 input port and the first discharge port communicate with each other, and the refrigerant discharged to the second outlet is supplied to the evaporator through an expansion valve, Characterized in that the refrigerant flows to the compressor by the valve.
본 발명 청구항 3의 자연순환식 및 증기압축식 겸용 냉방기는The natural circulation type and steam compression combined use air conditioner of claim 3 of the present invention
냉매를 고압으로 압축시키는 압축기와, 이송된 냉매를 응측시키는 응축기와, 응축기에서 냉매를 공급받아 액상 냉매만을 배출하기 위한 수액기와, 상기 수액기로부터 냉매를 공급받아 저온/저압 상태로 전환하는 팽창밸브와, 냉매를 공급받아 주위의 열을 흡수하며 압축기 또는 응축기로 냉매를 공급하는 증발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자연순환식 및 증기압축식 겸용 냉방기에 있어서,A compressor for compressing the refrigerant to a high pressure, a condenser for condensing the transferred refrigerant, a receiver for supplying the refrigerant from the condenser and discharging only the liquid refrigerant, and an expansion valve for supplying the refrigerant from the receiver to a low / low pressure state. And, in the natural circulation and steam compression combined cooler comprising a refrigerant supplied with a refrigerant to absorb the surrounding heat and supply the refrigerant to the compressor or condenser,
상기 수액기는, 액상 냉매가 저장되는 탱크부와, 응축기에서 배출된 냉매를 상기 탱크부로 공급받는 입구부와, 상기 탱크부 내부 하측에 입구를 가진 파이프와 연통되며 액상 냉매의 수위보다 높은 곳에 위치한 제 1 출구부와, 상기 탱크부의 저면 측에 설치되어 개방시 중력에 의해 액상 냉매가 상기 탱크부 외부로 흘러나오게 하는 제 2 출구부를 구비하며;The receiver is in communication with a tank portion in which the liquid refrigerant is stored, an inlet portion for supplying the refrigerant discharged from the condenser to the tank portion, and a pipe having an inlet at a lower side inside the tank portion and positioned above the level of the liquid refrigerant. A first outlet portion and a second outlet portion provided at a bottom surface side of the tank portion to allow a liquid refrigerant to flow out of the tank portion by gravity when opened;
응축기는 수액기보다 높은 위치에, 수액기는 증발기보다 높은 위치에 설치되며, 상기 증발기의 입구는 증발기의 출구보다 낮은 위치에 설치되며;The condenser is installed at a position higher than the receiver, the receiver is installed at a position higher than the evaporator, and the inlet of the evaporator is installed at a position lower than the outlet of the evaporator;
상기 제 2 출구부와 연결되어 제 2 출구부로부터 냉매가 배출되어 증발기로 유입되는 것을 허용하거나 차단하는 제 1 밸브와,A first valve connected to the second outlet to allow or block the refrigerant from the second outlet and flow into the evaporator;
증발기에서 배출된 냉매를 압축기와 응축기 중 어느 하나로 흐를 수 있도록 하는 제 2 밸브와, A second valve allowing the refrigerant discharged from the evaporator to flow to either the compressor or the condenser;
상기 제 1 밸브의 하류에 설치되며, 수액기로부터 공급되는 냉매가 증발기로 직접 유입되는 것을 허용하거나 차단하는 제 3 밸브를 구비하며, A third valve installed downstream of the first valve, the third valve allowing or blocking the refrigerant supplied from the receiver to be directly introduced into the evaporator,
자연순환식으로 작동될 때는 제 1, 3 밸브가 개방되며, 제 2 밸브에 의해 증발기에서 응축기로 냉매가 흐르도록 하며; When operated in natural circulation, the first and third valves are opened, allowing the refrigerant to flow from the evaporator to the condenser by a second valve;
증기압축식으로 작동될 때는 제 1, 3 밸브가 폐쇄되며 수액기로부터 공급된 냉매가 팽창밸브를 경유하여서만 증발기로 유입되도록 하며, 제 2 밸브에 의해 증발기에서 압축기로 냉매가 흐르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When operated in vapor compression, the first and third valves are closed to allow refrigerant supplied from the receiver to flow into the evaporator only via an expansion valve and to allow refrigerant to flow from the evaporator to the compressor by a second valve; It is characterized by.
본 발명 청구항 4의 자연순환식 및 증기압축식 겸용 냉방기는Natural circulating and steam compression combined air conditioner of claim 4 of the present invention
냉매를 고압으로 압축시키는 압축기와, 이송된 냉매를 응측시키는 응축기와, 응축기에서 냉매를 공급받아 액상 냉매만을 배출하기 위한 수액기와, 상기 수액기 로부터 냉매를 공급받아 저온/저압 상태로 전환하는 팽창밸브와, 냉매를 공급받아 주위의 열을 흡수하며 압축기 또는 응축기로 냉매를 공급하는 증발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자연순환식 및 증기압축식 겸용 냉방기에 있어서,A compressor for compressing the refrigerant to a high pressure, a condenser for condensing the transferred refrigerant, a receiver for supplying the refrigerant from the condenser and discharging only the liquid refrigerant, and an expansion valve for supplying the refrigerant from the receiver to a low / low pressure state. And, in the natural circulation and steam compression combined cooler comprising a refrigerant supplied with a refrigerant to absorb the surrounding heat and supply the refrigerant to the compressor or condenser,
상기 수액기는, 액상 냉매가 저장되는 탱크부와, 응축기에서 배출된 냉매를 상기 탱크부로 공급받는 입구부와, 상기 탱크부 내부 하측에 입구를 가진 파이프와 연통되며 액상 냉매의 수위보다 높은 곳에 위치한 제 1 출구부와, 상기 탱크부의 저면 측에 설치되어 개방시 중력에 의해 액상 냉매가 상기 탱크부 외부로 흘러나오게 하는 제 2 출구부를 구비하며;The receiver is in communication with a tank portion in which the liquid refrigerant is stored, an inlet portion for supplying the refrigerant discharged from the condenser to the tank portion, and a pipe having an inlet at a lower side inside the tank portion and positioned above the level of the liquid refrigerant. A first outlet portion and a second outlet portion provided at a bottom surface side of the tank portion to allow a liquid refrigerant to flow out of the tank portion by gravity when opened;
응축기는 수액기보다 높은 위치에, 수액기는 증발기보다 높은 위치에 설치되며, 상기 증발기의 입구는 증발기의 출구보다 낮은 위치에 설치되며;The condenser is installed at a position higher than the receiver, the receiver is installed at a position higher than the evaporator, and the inlet of the evaporator is installed at a position lower than the outlet of the evaporator;
방향절환 밸브로서, 제 1 출구부와 연결된 제 1-1 입력포트와, 상기 제 2 출구부와 연결된 제 1-2 입력포트와 제 1 배출포트가 구비된 제 1 밸브와;,A directional valve, comprising: a first valve having a first input port connected to a first outlet, a first input port connected to the second outlet, and a first outlet port;
증발기에서 배출된 냉매를 압축기와 응축기 중 어느 하나로 흐를 수 있도록 하는 제 2 밸브와, A second valve allowing the refrigerant discharged from the evaporator to flow to either the compressor or the condenser;
상기 제 1 밸브의 하류에 설치되며, 제 1 배출포트로부터 공급되는 냉매가 증발기로 직접 유입되는 것을 허용하거나 차단하는 제 3 밸브를 구비하며, A third valve installed downstream of the first valve and allowing or blocking a refrigerant supplied from the first discharge port from being directly introduced into the evaporator,
자연순환식으로 작동될 때는 제 1-2 입력포트와 제 1 배출포트가 연통되며 제 3 밸브가 개방되어, 제 1 배출포트로부터 공급된 냉매가 제 3 밸브를 통과하여 증발기로 직접 유입되며, 제 2 밸브에 의해 증발기에서 응축기로 냉매가 흐르도록 하며; When operating in a natural circulation type, the first 1-2 input port and the first discharge port communicate with each other, and the third valve is opened so that the refrigerant supplied from the first discharge port passes directly through the third valve to the evaporator. Allowing two refrigerants to flow from the evaporator to the condenser;
증기압축식으로 작동될 때는 제 1-2 입력포트는 폐쇄되고 제 1-1 입력포트와 제 1 배출포트가 연통되며, 제3 밸브가 폐쇄되고, 제 1 배출포트로부터 배출된 냉매가 팽창밸브를 경유하여 증발기로 유입되도록 하며, 제 2 밸브에 의해 증발기에서 압축기로 냉매가 흐르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When operated by steam compression, the 1-2 input port is closed, the 1-1 input port and the first discharge port communicate with each other, the third valve is closed, and the refrigerant discharged from the first discharge port opens the expansion valve. It is to be introduced into the evaporator via, and the refrigerant flows from the evaporator to the compressor by the second valve.
본 발명 청구항 5의 자연순환식 및 증기압축식 겸용 냉방기는Natural circulating and steam compression combined air conditioner of claim 5 of the present invention
냉매를 고압으로 압축시키는 압축기와, 이송된 냉매를 응측시키는 응축기와, 응축기에서 냉매를 공급받아 액상 냉매만을 배출하기 위한 수액기와, 상기 수액기로부터 냉매를 공급받아 저온/저압 상태로 전환하는 팽창밸브와, 냉매를 공급받아 주위의 열을 흡수하며 압축기 또는 응축기로 냉매를 공급하는 증발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자연순환식 및 증기압축식 겸용 냉방기에 있어서,A compressor for compressing the refrigerant to a high pressure, a condenser for condensing the transferred refrigerant, a receiver for supplying the refrigerant from the condenser and discharging only the liquid refrigerant, and an expansion valve for supplying the refrigerant from the receiver to a low / low pressure state. And, in the natural circulation and steam compression combined cooler comprising a refrigerant supplied with a refrigerant to absorb the surrounding heat and supply the refrigerant to the compressor or condenser,
상기 수액기는, 액상 냉매가 저장되는 탱크부와, 응축기에서 배출된 냉매를 상기 탱크부로 공급받는 입구부와, 상기 탱크부 내부 하측에 입구를 가진 파이프와 연통되며 액상 냉매의 수위보다 높은 곳에 위치한 제 1 출구부와, 상기 탱크부의 저면 측에 설치되어 개방시 중력에 의해 액상 냉매가 상기 탱크부 외부로 흘러나 오게 하는 제 2 출구부를 구비하며;The receiver is in communication with a tank portion in which the liquid refrigerant is stored, an inlet portion for supplying the refrigerant discharged from the condenser to the tank portion, and a pipe having an inlet at a lower side inside the tank portion and positioned above the level of the liquid refrigerant. A first outlet portion and a second outlet portion provided at a bottom surface side of the tank portion to allow liquid refrigerant to flow out of the tank portion by gravity when opened;
응축기는 수액기보다 높은 위치에, 수액기는 증발기보다 높은 위치에 설치되며, 상기 증발기의 입구는 증발기의 출구보다 낮은 위치에 설치되며;The condenser is installed at a position higher than the receiver, the receiver is installed at a position higher than the evaporator, and the inlet of the evaporator is installed at a position lower than the outlet of the evaporator;
상기 제 2 출구부와 연결되어 제 2 출구부로부터 냉매가 배출되어 증발기로 유입되는 것을 허용하거나 차단하는 제 1 밸브와;,A first valve connected to the second outlet to allow or block a refrigerant from the second outlet and flow into the evaporator;
증발기에서 배출된 냉매를 압축기와 응축기 중 어느 하나로 흐를 수 있도록 하는 제 2 밸브와, A second valve allowing the refrigerant discharged from the evaporator to flow to either the compressor or the condenser;
상기 제 1 밸브의 하류에 설치되며, 상기 수액기로부터 공급되는 냉매가 유입되는 제 3 입력포트와, 증발기의 입구와 직접 연통된 제 3-1 배출포트와, 팽창밸브와 연통된 제 3-2 배출포트를 구비한 제 3 밸브를 구비하며, A third input port installed downstream of the first valve, into which the refrigerant supplied from the receiver flows, a third first discharge port in direct communication with the inlet of the evaporator, and a third second in communication with the expansion valve; A third valve having a discharge port,
자연순환식으로 작동될 때는 제 1 밸브가 개방되고 제 3 입력포트로 공급된 냉매가 제 3-1 배출포트를 통해 증발기로 직접 유입되며, 제 2 밸브에 의해 증발기에서 응축기로 냉매가 흐르도록 하며; When operating in natural circulation, the first valve is opened and the refrigerant supplied to the third input port flows directly into the evaporator through the 3-1 discharge port, and the refrigerant flows from the evaporator to the condenser by the second valve. ;
증기압축식으로 작동될 때는 제 1 밸브가 폐쇄되고 제 3 입력포트로 공급된 냉매가 제 3-2 배출포트로 배출되고 팽창밸브를 경유하여 증발기로 유입되도록 하며, 제 2 밸브에 의해 증발기에서 압축기로 냉매가 흐르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When operated by steam compression, the first valve is closed and the refrigerant supplied to the third input port is discharged to the 3-2 discharge port and flows into the evaporator via the expansion valve, and the compressor is operated from the evaporator by the second valve. To allow the refrigerant to flow.
본 발명 청구항 6의 자연순환식 및 증기압축식 겸용 냉방기는Natural circulating and steam compression combined air conditioner of claim 6 of the present invention
냉매를 고압으로 압축시키는 압축기와, 이송된 냉매를 응측시키는 응축기와, 응축기에서 냉매를 공급받아 액상 냉매만을 배출하기 위한 수액기와, 상기 수액기로부터 냉매를 공급받아 저온/저압 상태로 전환하는 팽창밸브와, 팽창밸브에서 냉매를 공급받아 주위의 열을 흡수하며 압축기 또는 응축기로 냉매를 공급하는 증발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자연순환식 및 증기압축식 겸용 냉방기에 있어서,A compressor for compressing the refrigerant to a high pressure, a condenser for condensing the transferred refrigerant, a receiver for supplying the refrigerant from the condenser and discharging only the liquid refrigerant, and an expansion valve for supplying the refrigerant from the receiver to a low / low pressure state. And, in the natural circulation and steam compression combined air conditioner comprising a refrigerant supplied from the expansion valve absorbs the surrounding heat and supplies the refrigerant to the compressor or condenser,
상기 수액기는, 액상 냉매가 저장되는 탱크부와, 응축기에서 배출된 냉매를 상기 탱크부로 공급받는 입구부와, 상기 탱크부 내부 하측에 입구를 가진 파이프와 연통되며 액상 냉매의 수위보다 높은 곳에 위치한 제 1 출구부와, 상기 탱크부의 저면 측에 설치되어 개방시 중력에 의해 액상 냉매가 상기 탱크부 외부로 흘러나오게 하는 제 2 출구부를 구비하며;The receiver is in communication with a tank portion in which the liquid refrigerant is stored, an inlet portion for supplying the refrigerant discharged from the condenser to the tank portion, and a pipe having an inlet at a lower side inside the tank portion and positioned above the level of the liquid refrigerant. A first outlet portion and a second outlet portion provided at a bottom surface side of the tank portion to allow a liquid refrigerant to flow out of the tank portion by gravity when opened;
응축기는 수액기보다 높은 위치에, 수액기는 증발기보다 높은 위치에 설치되며, 상기 증발기의 입구는 증발기의 출구보다 낮은 위치에 설치되며;The condenser is installed at a position higher than the receiver, the receiver is installed at a position higher than the evaporator, and the inlet of the evaporator is installed at a position lower than the outlet of the evaporator;
방향절환 밸브로서, 제 1 출구부와 연결된 제 1-1 입력포트와, 상기 제 2 출구부와 연결된 제 1-2 입력포트와, 제 1 배출포트가 구비된 제 1 밸브와;,A directional valve, comprising: a first valve having a first input port connected to a first outlet, a first input port connected to the second outlet, and a first outlet port;
증발기에서 배출된 냉매를 압축기와 응축기 중 어느 하나로 흐를 수 있도록 하는 제 2 밸브와, A second valve allowing the refrigerant discharged from the evaporator to flow to either the compressor or the condenser;
상기 제 1 밸브의 하류에 설치되며, 상기 수액기로부터 공급되는 냉매가 유입되는 제 3 입력포트와, 증발기의 입구와 직접 연통된 제 3-1 배출포트와, 팽창밸브와 연통된 제 3-2 배출포트를 구비한 제 3 밸브를 구비하며, A third input port installed downstream of the first valve, into which the refrigerant supplied from the receiver flows, a third first discharge port in direct communication with the inlet of the evaporator, and a third second in communication with the expansion valve; A third valve having a discharge port,
자연순환식으로 작동될 때는 제 1-2 입력포트와 제 1 배출포트가 연통되며, 제 3 입력포트로 공급된 냉매는 제 3-1 배출포트를 통해 증발기로 직접 유입되며, 제 2 밸브에 의해 증발기에서 응축기로 냉매가 흐르도록 하며; When operating in a natural circulation type, the first 1-2 input port and the first discharge port communicate with each other, and the refrigerant supplied to the third input port flows directly into the evaporator through the third-1 discharge port, and is operated by the second valve. Allow refrigerant to flow from the evaporator to the condenser;
증기압축식으로 작동될 때는 제 1-2 입력포트는 폐쇄되고 제 1-1 입력포트와 제 1 배출포트가 연통되며, 제 3 입력포트로 공급된 냉매가 제 3-2 배출포트로 배출되고 팽창밸브를 경유하여 증발기로 유입되도록 하며, 제 2 밸브에 의해 증발기에서 압축기로 냉매가 흐르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When operated by steam compression, the 1-2 input port is closed and the 1-1 input port and the first discharge port communicate with each other, and the refrigerant supplied to the third input port is discharged through the 3-2 discharge port and expanded. It is to be introduced into the evaporator via the valve, and the refrigerant flows from the evaporator to the compressor by the second valve.
본 발명 청구항 7의 자연순환식 및 증기압축식 겸용 냉방기는Natural circulating and steam compression combined air conditioner of claim 7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청구항 제 1 항 내지 제 6항 발명 중 어느 한 항의 발명에 있어서,In the invention according to any one of
상기 제 2 밸브는 압축기의 입구에 설치되며 증발기로부터 압축기의 입구로 냉매가 유입되는 것을 허용하거나 차단하는 제 2-1 밸브와, 증발기로부터 응축기로 냉매가 직접 유입되는 것을 허용하거나 차단하는 제 2-2 밸브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second valve is installed at the inlet of the compressor and the second valve for allowing or blocking the flow of refrigerant from the evaporator to the inlet of the compressor, and the second to allow or block the refrigerant from flowing directly from the evaporator to the condenser; It is characterized by consisting of two valves.
본 발명 청구항 8의 자연순환식 및 증기압축식 겸용 냉방기는The natural circulation type and steam compression combined use air conditioner of claim 8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청구항 제 1 항 내지 제 6항 발명 중 어느 한 항의 발명에 있어서,In the invention according to any one of
상기 제 2 밸브는 방향절환밸브로서 증발기와 연통된 제 2 입력포트와, 압축기의 입구와 연통된 제 2-1 출력포트와, 응축기의 입구와 연통된 제 2-2 출력포트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second valve is a direction switching valve comprising a second input port in communication with the evaporator, a 2-1 output port in communication with the inlet of the compressor, and a 2-2 output port in communication with the inlet of the condenser do.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본 발명에 의하면 냉방기를 가동함에 있어 계절에 따라 냉매를 보충하거나 제거할 필요가 없어 냉방기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으며, 냉방기의 대용량화가 가능하며, 그 구조가 간단하며 에너지 소모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no need to replenish or remove the refrigerant according to the season in the operation of the air conditioner to extend the life of the air conditioner, the large capacity of the air conditioner is possible, the structure is simple and the effect of reducing energy consumption have.
이하, 본 발명을 그 실시예에 따라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3은 본 발명 청구항 1의 실시예 냉방기의 구조를 나타낸 도이다. 3 is a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n embodiment air conditioner of
본 실시예의 냉방기는 냉매를 고압으로 압축시키는 압축기(10)와, 이송된 냉매를 응측시키는 응축기(20)와, 응축기(20)에서 냉매를 공급받아 액상 냉매만을 배출하기 위한 수액기(21)와, 상기 수액기(21)로부터 냉매를 공급받아 저온/저압 상태로 전환하는 팽창밸브(25)와, 냉매를 공급받아 주위의 열을 흡수하며 압축기(10) 또는 응축기(20)로 냉매를 공급하는 증발기(40) 등을 포함한 점에서는 종래의 자연순환식 및 증기압축식 겸용 냉방기와 동일하다. The air conditioner of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응축기(10)는 수액기(21)보다 높은 위치에, 수액기(21)는 증발기(40)보다 높은 위치에 설치되며, 상기 증발기(40)의 입구는 증발기(40)의 출구보다 낮은 위치에 설치되어, 자연순환식으로 가동시 냉매가 중력에 의해 응축기-수액기-증발기로 공급되며 증발이 원활하게 일어날 수 있도록 한다.The
본 발명의 수액기(21)는, 도 4와 같이 액상 냉매가 저장되는 탱크부(122)와, 응축기에서 배출된 냉매를 상기 탱크부로 공급받는 입구부(I)와, 상기 탱크부(122) 내부 하측에 입구를 가진 파이프(121)와 연통되며 액상 냉매(C)의 수위보다 높은 곳에 위치한 제 1 출구부(O-1)와, 상기 탱크부(122)의 저면 측에 설치 되어 개방시 중력에 의해 액상 냉매(C)가 상기 탱크부(122) 외부로 흘러나오게 하는 제 2 출구부(O-2)를 구비하고 있다.The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수액기의 제 2 출구부(O-2)에서 연결되어 제 2 출구부(O-2)로부터 배출된 냉매가 직접 증발기(40)로 공급되는 관로를 개폐하는 제 1 밸브(V1)와, 증발기(40)에서 배출된 냉매를 압축기(10) 또는 응축기(20) 중 어느 하나로 흐를 수 있도록 하는 제 2 밸브를 구비하고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first valve is connected to the second outlet (O-2) of the receiver and the first valve for opening and closing the conduit to which the refrigerant discharged from the second outlet (O-2) is directly supplied to the evaporator 40 ( V1) and a second valve which allows the refrigerant discharged from the
도 3에서 상기 제 2 밸브는, 압축기의 입구에 설치되며 증발기(40)로부터 압축기(10)의 입구로 냉매가 유입되는 것을 허용하거나 차단하는 제 2-1 밸브(V2-1)와, 증발기(40)로부터 응축기(20)로 냉매가 직접 유입되는 것을 허용하거나 차단하는 제 2-2 밸브(V2-2)로 이루어진 것이 도시되어 있으나,In FIG. 3, the second valve includes a 2-1 valve V2-1 installed at an inlet of the compressor to allow or block a refrigerant from entering the inlet of the
도 5와 같이, 상기 제 2 밸브(V2)는 방향전환 밸브로서, 증발기와 연통된 제 2 입력포트(V2I)와, 압축기(10)의 입구와 연통된 제 2-1 출력포트(V2O-1)와, 응축기(20)의 입구와 연통된 제 2-2 출력포트(V2O-2)로 이루어짐에 따라, 제 2 밸브(V2)의 작동에 따라 증발기(40)로부터 유입된 냉매가 압축기(10)나 응축기(20) 중 어느 하나로 흐를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As shown in FIG. 5, the second valve V2 is a direction switching valve, and a second input port V2I communicating with an evaporator and a 2-1th output port V2O-1 communicating with an inlet of the
자연순환식으로 작동될 때는 제 1 밸브(V1)가 개방되어 수액기(21)의 제 2 출구부(O-2)로 배출된 냉매가 제 1 밸브(V1)을 거쳐 증발기(40)의 입구로 중력에 의해 직접 공급되게 되므로, 관로저항 등이 제거되어 냉매의 공급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When operated in a natural circulation type, the first valve V1 is opened so that the refrigerant discharged to the second outlet portion O-2 of the
또한 수액기(21)의 제 1 출구부(O-2)가 폐쇄되어 있지 않으므로 사이펀 원리에 따라 제 1 출구부(O-1)와 연통된 팽창밸브(30)로 냉매가 흐르게 되지만, 팽창밸브(30)의 구조 및 제 1 출구부(O-1)와 연결되어 하방으로 굽혀진 관의 관로 저항에 따라 아주 미세한 양만이 흐르게 되어 냉방기의 효율에 영향을 거의 미치지는 않는다.In addition, since the first outlet portion O-2 of the
증발기(40)으로 공급된 냉매는, 증발기(40)내에서 증발되어 증발기(40)의 출구로 배출되며, 제 2-1 밸브(V2-1)가 폐쇄되고 제 2-2 밸브(V2-2)는 개방되어 있기 때문에, 압축기(10)로 공급되지 않고 응축기(20)로만 공급되게 된다.The refrigerant supplied to the
이에 따라 냉매는 응축기(20)-수액기(21)-증발기(40)-응축기(20) 순으로 흐르면서 자연순환식 냉방이 이루어지게 된다.Accordingly, the refrigerant flows through the
증기압축식으로 작동될 때 냉매는 통상의 증기압축식 냉방기와 같이 압축기(10)에서 응축기(20)로, 응축기(20)에서 수액기(21)로 공급되며, 제 1 밸브(V1)가 폐쇄되므로 수액기(21)의 액체 냉매는 제 1 출구부(0-1)를 통해서만 배출되어 팽창밸브(30)으로 공급된다. 제 1 출구부와 팽창밸브(30)사이에는 필요에 따라 드라이 필터(25)를 구비할 수 있다. 팽창밸브(30)에서 증발기(40)로 공급된 냉매는 증발기(40)에서 증발된 후 증발기(40)의 출구로 배출되며, 제 2-1 밸브(V2-1)가 개방되고 제 2-2 밸브(V2-2)는 폐쇄되어 있기 때문에, 응축기(20)로 공급되지 않고 압축기(10)로만 공급되게 된다.When operated in a steam compression type, the refrigerant is supplied from the
이에 따라 냉매는 압축기(10)-응축기(20)-수액기(21)-증발기(40)-압축기(10) 순으로 흐르면서 증기압축식 냉방이 이루어지게 된다. Accordingly, the refrigerant flows in the order of the
다음으로 본 발명 청구항 2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Next, an embodiment of
앞서 설명한 청구항 1의 실시예와 대비하여, 제 1 밸브(V1)의 위치와 기능에서 차이가 있다.In contrast to the embodiment of
청구항 2 실시예의 제 1 밸브(V1)은, 방향절환 밸브로서, 제 1 출구부(O-1)로부터 배출된 냉매가 팽창밸브(30)를 거쳐 입력되는 제 1-1 입력포트(V1I-1)와, 상기 제 2 출구부(O-2)와 연결된 제 1-2 입력포트(V1I-2)를 구비하며 제 1 배출포트(V1O)가 증발기(40)와 연결되어 있다.The first valve V1 of the second embodiment is a direction switching valve, and the first-first input port V1I-1 through which the refrigerant discharged from the first outlet O-1 is input through the expansion valve 30. ) And a first input port (V1I-2) connected to the second outlet (O-2), and a first discharge port (V1O) is connected to the
자연순환식으로 운전되는 경우, 제 1 밸브(V1)는 제 1-2 입력포트(V1I-2)와 제 1 배출포트(V1O)가 연통되어 증발기(40)로 냉매가 공급되게 된다. 이때 방향절환밸브의 구조상 제 1-1, 1-2 입력포트(V1I-1, V1I-2)가 제 1 배출포트(V1O)와 모두 연통될 수도 있으나, 상기 청구항 1의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 1 출구부(O-1)로 배출되는 냉매는 극소량으로 냉방기의 성능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반면, 제 2 출구부(O-2)로 배출된 냉매는 중력에 의해 증발기(40)로 원활하게 흐를 수 있게 되는 것이다.When operating in a natural circulation type, the first valve V1 communicates with the first and second input ports V1I-2 and V1O so that the refrigerant is supplied to the
증기압축식으로 운전되는 경우, 제 1 밸브(V1)는 제 1-2 입력포트(V1I-2)가 폐쇄되며, 제 1-1 입력포트(V1I-1)와 제 1 배출포트(V1O)가 연통되어 제 1 출구부(O-1)로 배출된 냉매는 팽창밸브(30)를 거쳐 증발기(40)로 공급되게 된다. 또한 제 2-1, 2-2 밸브(V2-1, V2-2)에 의해 압축기(10)로만 냉매가 흐르도록 되는 것은 앞서 청구항 1의 실시예와 동일하다. In the case of steam compression operation, the first valve V1 is closed with the 1-2 input port V1I-2, and the first-1 input port V1I-1 and the first discharge port V1O are closed. The refrigerant communicated with the first outlet O-1 is supplied to the
도 7은 청구항 3의 실시예에 관한 것으로, 청구항 1의 실시예와 대비하여, 제 3 밸브(V3)를 더 구비하며, 제 3 밸브에 의해 수액기(21)로부터 공급된 냉매가 증발기(40)로 직접 공급될 것인지 팽창밸브(30)를 통해 증발기(40)로 공급될 것인지가 결정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7 relates to the embodiment of claim 3, in contrast to the embodiment of
제 3 밸브(V3)는 상기 제 1 밸브(V1)의 하류에 설치되며, 수액기(21)로부터 공급되는 냉매가 증발기(40)로 직접 유입되는 것을 허용하거나 차단하게 된다.The third valve V3 is installed downstream of the first valve V1 and allows or blocks the refrigerant supplied from the
자연순환식으로 작동될 때는 제 1, 3 밸브(V1, V3)가 개방되며, 제 2-1,2-2 밸브(V2-1,V2-2)에 의해 증발기(40)에서 응축기(20)로 냉매가 흐르게 된다. When operating in natural circulation, the first and third valves V1 and V3 are opened, and the
이때, 팽창밸브(30)측으로도 일부 냉매가 흐를 수도 있으나, 팽창밸브(30)의 구조상 미량의 냉매만이 흐르게 되므로 냉방기의 성능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At this time, some of the refrigerant may also flow to the
증기압축식으로 작동될 때는 제 1, 3 밸브(V1, V3)가 폐쇄되며 수액기(21)로부터 공급된 냉매가 팽창밸브(30)를 경유하여서만 증발기(40)로 유입되도록 하며, 제 2-1, 2-2 밸브(V2-1,V2-2)에 의해 증발기(40)에서 압축기(10)로 냉매가 흐르게된다.When operated in a vapor compression type, the first and third valves V1 and V3 are closed to allow the refrigerant supplied from the
도 8은 청구항 4의 실시예로서, 앞서 설명한 청구항 3의 실시예 중 제 1 밸브(V1)를 방향절환밸브인 청구항 2의 제 1 밸브(V1)로 교체한 점에서 차이가 있다. 상기 청구항 2 및 청구항 3의 실시예를 이해한 당해 기술분야의 평균적 지식을 가진 기술자라면 청구항 4의 원리를 도 8을 통해서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FIG. 8 is an embodiment of claim 4, and has a difference in that the first valve V1 is replaced with the first valve V1 of
도 9는 청구항 5의 실시예로서, 앞서 설명한 청구항 3의 실시예 중 제 3 밸브(V3)를 방향절환밸브로 형성한 점에서 차이가 있다. 제 3 밸브(V3)는 상기 제 1 밸브(V1)의 하류에 설치되며, 상기 수액기로부터 공급되는 냉매가 유입되는 제 3 입력포트(V3I)와, 증발기(40)의 입구와 직접 연통된 제 3-1 배출포트(V3O-1)와, 팽창밸브(30)와 연통된 제 3-2 배출포트(V3O-2)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실시예들을 이해한 당해 기술분야의 평균적 지식을 가진 기술자라면 청구항 5의 원리를 도 9를 통해서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FIG. 9 is an embodiment of claim 5, and has a difference in that the third valve V3 is formed as a direction switching valve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of claim 3. The third valve V3 is installed downstream of the first valve V1, and is directly in communication with the third input port V3I through which the refrigerant supplied from the receiver flows, and the inlet of the
도 10은 청구항 6의 실시예로서, 앞서 설명한 청구항 5의 실시예 중 제 1 밸 브(V1)를 방향절환밸브인 청구항 2의 제 1 밸브(V1)과 교체한 점에서 차이가 있다. 상기 청구항 2 및 청구항 5의 실시예를 이해한 당해 기술분야의 평균적 지식을 가진 기술자라면 청구항 6의 원리를 도 10을 통해서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FIG. 10 is an embodiment of claim 6, which differs in that the first valve V1 is replaced with the first valve V1 of
상기 실시예들에서는 통신장비가 설치된 함체 외부에 장착될 구성은 RO로 표기된 점선 박스안에, 상기 함체 내부에 장착될 구성은 RI로 표기된 점선 박스안에 각각 표시하였다. 증발기(40)는 함체 내부에 설치하여 함체 내부의 열을 흡수하고, 응축기(20)과 압축기(10)은 함체 외부에 설치하며 나머지 구성요소는 당업자가 필요에 따라 함체 내외부에 각각 설치할 수 있는 것임은 당연하다 할 것이다. In the above embodiments, the components to be mounted outside the enclosure in which the communication equipment is installed are indicated in a dotted box labeled RO, and the components to be mounted inside the enclosure are indicated in a dotted box labeled RI. The
본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제1,2,3밸브는 온도센서 및 제어부에 의해 작동되는 솔레노이드 밸브, 설정된 운도에서 원하는 작동이 이루어지는 온도감응식 밸브, 직접 수동으로 조작하는 밸브 중 어떠한 것을 선택하여도 당해 기술분야의 평균적 지식을 가진 기술자라면 이를 구현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The first, second, and third valves described in the present embodiments may be any of a solenoid valve operated by a temperature sensor and a control unit, a temperature-sensitive valve in which desired operation is performed at a set cloud level, and a valve which is directly operated manually.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be able to implement this.
도 1은 종래의 자연순환식 및 증기압축식 겸용 냉방기의 일례를 보인 도.1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conventional natural circulation and steam compression combined use air conditioner.
도 2는 종래의 수액기의 구조를 나타낸 도.Figure 2 is a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conventional receiver.
도 3은 본 발명 청구항 1 실시예 냉방기의 구조를 나타낸 도.Figure 3 is a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n air conditioner of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수액기의 구조를 나타낸 도.Figure 4 is a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receiver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청구항 1 실시예의 또 다른 냉방기 구조를 나타낸 도.5 is a view showing another cooler structure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 청구항 2 실시예 냉방기의 구조를 나타낸 도.Figure 6 is a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n air conditioner of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 청구항 3 실시예 냉방기의 구조를 나타낸 도.7 is a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 청구항 4 실시예 냉방기의 구조를 나타낸 도.8 is a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은 본 발명 청구항 5 실시예 냉방기의 구조를 나타낸 도.9 is a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은 본 발명 청구항 6 실시예 냉방기의 구조를 나타낸 도.10 is a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n air conditioner of a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 **
10 : 압축기 20 : 응축기 21 : 수액기 10: compressor 20: condenser 21: receiver
30 : 팽창밸브 40 : 증발기 Vx : 제 x 밸브30
Claims (9)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057788A KR100992840B1 (en) | 2008-06-19 | 2008-06-19 | Combined cooling system with natural circulation and steam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057788A KR100992840B1 (en) | 2008-06-19 | 2008-06-19 | Combined cooling system with natural circulation and steam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131837A KR20090131837A (en) | 2009-12-30 |
KR100992840B1 true KR100992840B1 (en) | 2010-11-08 |
Family
ID=416909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80057788A Active KR100992840B1 (en) | 2008-06-19 | 2008-06-19 | Combined cooling system with natural circulation and steam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992840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20142124A (en) | 2021-04-14 | 2022-10-21 | 유병천 | Method for operation control of vapor compression type refrigerator for energy saving and air conditioning system using thereof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5333545B (en) * | 2015-11-20 | 2018-04-17 | 西安交通大学 | A kind of steam compressed combined refrigeration system of idle call heat pipe with injector |
CN111741660A (en) * | 2020-07-09 | 2020-10-02 | 北京中热信息科技有限公司 | A Gravity Liquid Feeding Backflow Phase Change Heat Transfer System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3004343A (en) * | 2001-06-26 | 2003-01-08 | Toshiba Kyaria Kk | Gas-liquid separator and air conditioner using the same |
JP2006017352A (en) | 2004-06-30 | 2006-01-19 | Denso Corp | Vapor compression type refrigeration machine |
-
2008
- 2008-06-19 KR KR1020080057788A patent/KR100992840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3004343A (en) * | 2001-06-26 | 2003-01-08 | Toshiba Kyaria Kk | Gas-liquid separator and air conditioner using the same |
JP2006017352A (en) | 2004-06-30 | 2006-01-19 | Denso Corp | Vapor compression type refrigeration machine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20142124A (en) | 2021-04-14 | 2022-10-21 | 유병천 | Method for operation control of vapor compression type refrigerator for energy saving and air conditioning system using thereof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131837A (en) | 2009-12-3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146460B1 (en) | A refrigerant system | |
KR20130029054A (en) | Condenser bypass for two-phase electronics cooling system | |
EP2541170A1 (en) | Air-conditioning hot-water-supply system | |
KR100992840B1 (en) | Combined cooling system with natural circulation and steam | |
CN105916361B (en) | A kind of low consumption water spray type heat pipe heat radiation complete set of equipments suitable for communication cabinet | |
KR100812777B1 (en) | Cooling / Heating Separation Heat Pump | |
JP5404471B2 (en) | HEAT PUMP DEVICE AND HEAT PUMP DEVICE OPERATION CONTROL METHOD | |
KR101814074B1 (en) | Air-conditioning system using the outside air cold water | |
EP2765480A1 (en) | Computer cooling system and method for cooling | |
US7353664B2 (en) | Heat pump and compressor discharge pressure controlling apparatus for the same | |
KR101196817B1 (en) | Air conditioner system for energy saving and method for driving of that | |
KR100946381B1 (en) | Hybrid heat pump type cooling and heating apparatus | |
JP2017172901A (en) | Ventilation device | |
KR100900440B1 (en) | Heat Pump Air Conditioning Unit | |
KR100907749B1 (en) | air conditioner | |
KR20070102190A (en) | Refrigerator heatsink | |
KR20090103850A (en) | Air conditioner | |
KR100554566B1 (en) | Cryogenic Heat Pump Cycles | |
KR100572761B1 (en) | Geothermal heating and cooling air conditioning system | |
KR102784091B1 (en) | Air conditioner without outdoor unit utilizing pcm(phase change material) cryo storage energy and driving method thereof | |
CN220771246U (en) | Integrated explosion-proof air conditioner for underground coal mine refrigeration | |
KR102784073B1 (en) | Air conditioner with defrosting function utilizing pcm(phase change material) cryo storage energy and driving method thereof | |
JP5673290B2 (en) | Air conditioner | |
KR20130028455A (en) | A heating apparatus without an outside-equipment | |
KR100748112B1 (en) | Flash Gas Reduced Air Conditione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80619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0051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00820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0110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0110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1030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103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912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091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826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0826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904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904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828 Year of fee payment: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828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1012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1005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1101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1104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